KR102747447B1 - Multi-functional floating body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reof - Google Patents
Multi-functional floating body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7447B1 KR102747447B1 KR1020230095033A KR20230095033A KR102747447B1 KR 102747447 B1 KR102747447 B1 KR 102747447B1 KR 1020230095033 A KR1020230095033 A KR 1020230095033A KR 20230095033 A KR20230095033 A KR 20230095033A KR 102747447 B1 KR102747447 B1 KR 10274744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uoyancy body
- multifunctional
- buoyancy
- pipe
- body par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34—Pontoons
- B63B35/38—Rigidly-interconnected ponto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기능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다기능 부력체는 부력 제공수단이 내장 설치되며,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는 부력 몸체부; 상기 부력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에 단차를 통한 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측 돌출부;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안착홈에 놓인 파이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기 상측 돌출부의 너비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and a floa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ncludes: a buoyancy body part having a built-in buoyancy providing means and provided in a block shape; an upper protrusion part which is formed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except for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forms a pipe-receiving groove through a step at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a pipe-detachment prevention plate part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part, and whose left and right widths ar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part so as to cover an upper surface of a pipe placed in the pipe-receiving groove.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기능 부력체 및 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and a floating structure using the same.
최근 세계적으로 이상기후 대비 산업규모 거대화에 의한 지상 공간 고갈, 환경보호 강조 및 민원발생에 따른 육상공간의 활용 제한으로 대안공간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갖고 있는 미개척지인 해양공간의 경제적 친환경적 창출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Recently, as the need for alternative spaces has increased due to the depletion of terrestrial space caused by the expansion of industrial scale in preparation for abnormal climate, the emphasis on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restrictions on the use of terrestrial space due to civil complaints, the need for economic and eco-friendly creation of marine space, an undeveloped area with enormous growth potential, is increasing.
해양 선진국들의 해양공간 활용 문제는 주로 터미널 해상공항 해상 컨테이너 LNG ,터미널 등 산업 인프라에 집중되어 있으며 산업 인프라의 해상화에 대해서는 기술적 가능성이 확보되어 있는 상태이며, 이에 가장 주요하게 언급되는 것이 해양 부유 구조물에 대한 개발이다.The problem of utilizing marine space in advanced maritime countries is mainly focused on industrial infrastructure such as terminals, offshore airports, offshore containers, LNG, and terminals. The technical possibility of offshore industrial infrastructure is secured, and the most important thing mentioned in this regard is the development of offshore floating structures.
해양 부유 구조물은 크게 부유식, 착저식, 매립식으로 구분 가능하며, 특히 부유식은 폰툰형, 반잠수식, 잔교 혼합형 등을 분류되기도 한다.Marine floating structures can be broadly classified into floating, bottom-mounted, and buried types. In particular, floating structures can be classified into pontoon, semi-submersible, and scaffolding hybrid types.
이러한 해양 공간의 활용을 위한 해양 부유 구조물의 개발과 관련하여 최근 다양한 기술들이 새롭게 제시되고 있으며, 특히 해양 공간에 구조물을 설치 후 장기간 이용되는 과정에서의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고, 노후화를 최소화시킬 수 있는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점차 증대되고 있다.Recently, various new technologies have been proposed in relation to the development of floating marine structures for the utilization of such marine spaces, and in particular,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technologies that can ensure sufficient safety and minimize aging during the long-term use of structures installed in marine spaces.
이와 관련하여 시설물의 부력을 제공하는 플로팅 유닛을 이중구조의 연결 파이프가 하나 이상 삽입 고정하여 시설의 설치가 용이하면서 내구력이 우수한 수상 부유 구조물을 제공하기 위해 마련된 종래기술에 대한 선행문헌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KR 10-2196017호의 "수상 부유 구조물"(이하, '종래기술'이라고 함)가 있다.In this regard, a prior art document regarding a conventional technology for providing a floating structure with excellent durability and ease of installation of the facility by inserting and fixing one or more double-structured connecting pipes to provide buoyancy to the facility is “Floating Structure” of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KR 10-2196017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하지만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부력체 혹은 부유 구조물 관련 기술의 경우, 부유 구조물을 구성한 각 부품간의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특히 조립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가 작업을 수행함에 있어 충분한 작업 편의성을 제공하지 못하여 조립 결과물의 구조적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existing technologies related to buoyancy bodies or floating structures, including prior art technologies,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connection between each part of the floating structure was not stably formed, and in particular, sufficient convenience was not provided to workers performing assembly work, which affected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assembled result.
또한, 종래 기술을 비롯한 기존의 부력체 혹은 부유 구조물 관련 기술의 경우, 설치환경으로부터 발생되는 다양한 외부 요인들에 쉽게 영향을 받아 구조적 안정성이 오래 유지되지 못하고 최초 설치위치로부터 부품들이 이탈되거나 파손되는 문제가 빈번히 발생하였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existing technologies related to buoyancy bodies or floating structures, including prior technologies, structural stability is not maintained for a long time due to being easily affected by various external factors arising from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and problems frequently occur in which parts are detached or damaged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location.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아래와 같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as follows.
첫째, 부력체의 위로 파이프 구조체를 올려놓아 상호 연결 설치함에 있어 쉽게 최초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거나 변형되지 않고 오랜 기간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First, we aim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maintain structural stability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out easily being deformed or dislodged from the initial installation location when installing a pipe structure on top of a buoyancy body and interconnecting it.
둘째, 부력체 및 파이프 구조체를 기반으로 부유 구조물을 조립함에 있어 각종 체결수단을 이용하기 위한 작업자의 작업공간을 충분히 제공하고, 작업의 편의성을 충분히 확보해줄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Second, we aim to provide technology that can provide sufficient working space for workers to use various fastening means when assembling floating structures based on buoyancy bodies and pipe structures, and ensure sufficient convenience of work.
셋째, 부유 구조물의 설치 후, 파도와 같은 설치 환경상의 각종 영향으로 인해 인접하게 연결된 부력체간의 충돌이 최소한으로 일어나고, 충돌이 일어나더라도 상호 최소한의 영향만을 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Third, after the installation of a floating structure, we aim to provide a technology to minimize collisions between adjacent buoyant bodies due to various influences i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such as waves, and to ensure that even if a collision does occur, the mutual influence is minimal.
넷째, 부유 구조물의 설치 전 다기능 부력체가 바닥에 놓이는 상황까지 고려하여 바닥으로부터의 영향을 최소화하고, 구조적으로도 안정적으로 놓여 있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Fourth, we aim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minimizes the influence from the bottom and ensures that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s placed structurally stable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in which it is placed on the bottom before installing the floating structure.
다섯째, 부유 구조물의 설치 후, 파도와 같은 설치 환경상의 각종 영향으로부터 설치 구조상의 안정성을 충분히 확보하고, 롤링 기능을 제공하여 구성들의 파손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Fifth, after the installation of a floating structure, we aim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can sufficiently secure the stability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from various influences in the installation environment, such as waves, and provide a rolling function to significantly reduce the risk of damage to the components.
여섯째, 부력체가 바닥에 닿을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하면을 별도의 구성을 통해 보호하고, 무게중심을 아래로 향하게 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Sixth, we aim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protects the lower part of the buoyancy body from situations where it may touch the bottom through a separate configuration and enables structurally more stable use and management by directing the center of gravity downward.
일곱째, 부유 구조물의 측면으로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설치 가능하게 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설치 과정에서의 작업 편의성을 충분히 갖출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Seventh, we aim to provide a technology that enables the installation of various functional members on the side of a floating structure, and further provides sufficient convenience during the installation proces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부력체는, 부력 제공수단이 내장 설치되며,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는 부력 몸체부; 상기 부력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에 단차를 통한 한 쌍의 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측 돌출부;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안착홈에 놓인 파이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기 상측 돌출부의 너비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를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oyancy body part having a buoyancy providing means built-in and provided in a block shape; an upper protrusion part formed to protrude upwardly in an area excluding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par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thereby forming a pair of pipe-receiving grooves through a step at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par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nd a pipe-detachment prevention plate part provided in a plate shape,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part, and whose left and right widths ar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part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a pipe placed in the pipe-receiving groove.
여기서, 상기 부력 몸체부는 상면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하면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추도록 전단면과 후단면이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한다.Here, the buoyancy body portion forms an inclined surface with the front and rear cross sections so as to have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lower surface is shorter than the front-back direction length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부력 몸체부는 좌우 양 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part has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recessed inwardly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그리고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상기 부력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 영역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양 단부 사이에 상측으로 함입된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하측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And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further includes a pair of lower protrusions formed so that the two end areas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buoyancy bod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thereby forming a recessed groove for providing rolling safety that is recessed upward between the two ends.
또한,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하측 돌출부 각각의 하면을 덮도록 고정 결합되는 바닥 보호판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further includes a bottom protec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ly connect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protrusions.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은, 부력 제공수단이 내장 설치되며,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는 부력 몸체부; 및 상기 부력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에 단차를 통한 한 쌍의 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측 돌출부;를 포함하며,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달아 배치되어 열을 갖추고, 형성된 열이 좌우 너비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을 갖추도록 배치되는 다수의 다기능 부력체; 막대형 구조체로서,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을 향하되 다수의 상기 다기능 부력체의 각 열을 기준으로 한 쌍의 상기 파이프 안착홈 각각에 안착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파이프; 막대형 구조체로서,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을 향하되 다수의 상기 다기능 부력체가 이어진 열을 따라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다수의 상기 세로 파이프 상면 및 상기 상측 돌출부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 파이프; 판형 구조체로서, 다수의 상기 가로 파이프 상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 및 막대형 구조체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발판이 연결된 전체 구조상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싸며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상기 가로 파이프 상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파이프;를 포함한다.Meanwhile,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floating structure using a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uoyancy body part having a buoyancy providing means built-in and formed in a block shape; and an upper protrusion formed so that an area except for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par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is protrud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and a pair of pipe mounting grooves are formed through a step at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par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arrang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to form rows, and the rows formed are arranged so that at least one row is formed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s a rod-shaped structu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which is oriented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is mounted and installed in each of the pair of pipe mounting grooves based on each row;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as a rod-shaped structure,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which is orient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along the row in which the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are connected, and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protrusions; As a plate-shaped structure, it includes at least one foot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and as a bar-shaped structure, it includes at least one frame pip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to surround the entire structural boundary to which the at least one footplate is connected and form an outer frame.
여기서,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안착홈에 놓인 다수의 상기 세로 파이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기 상측 돌출부의 너비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를 더 포함한다.Here,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further includes a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whose left-right width is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portion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s of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placed in the pipe mounting groove.
아울러, 상기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는 다수의 상기 가로 파이프 중 인접한 상기 가로 파이프 사이에 마련된 상기 이격공간 중 일부에 전후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의 여유공간으로서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된다.In addition, the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is arranged so that a gap is formed as a predetermined amount of free spac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ome of the separation spaces provided between adjacent horizontal pipes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또한, 상기 부력 몸체부는 상면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하면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추도록 전단면과 후단면이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portion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end surfaces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front and rear end surfaces have a shorter front-to-back length than the front-to-back length of the upper surface.
또한, 상기 부력 몸체부는 좌우 양 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part has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recessed inwardly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그리고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상기 부력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 영역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양 단부 사이에 상측으로 함입된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하측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And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further includes a pair of lower protrusions formed so that the two end areas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buoyancy bod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thereby forming a recessed groove for providing rolling safety that is recessed upward between the two ends.
또한,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하측 돌출부 각각의 하면을 덮도록 고정 결합되는 바닥 보호판부;를 더 포함한다.In addition,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further includes a bottom protec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fixedly connect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protrusions.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첫째, 다기능 부력체의 상면 좌우 양측에 마련된 파이프 안착홈의 구조를 비롯해 파이프 안착홈에 놓인 세로 파이프의 상면을 덮도록 상측 돌출부에 장착되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에 의해 세로 파이프가 안정적으로 안착 설치되어 외력에 영향에도 쉽게 설치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된다.First, the vertical pipe is stably installed by the pipe-mounting groove structure provided on both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and the pipe-disengagement prevention plate part mounted on the upper protrusion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pe placed in the pipe-mounting groove, so that the vertical pipe does not easily come off from the installation location even under the influence of external force.
둘째, 다기능 부력체의 측면에 형성된 볼트조립용 함입홈을 통해, 다기능 부력체 위로 놓이는 세로파이프와 다기능 부력체 아래를 받쳐 보호하는 바닥 보호판부의 볼트조립을 통한 작업의 충분한 공간을 제공함으로서, 연결 설치 및 해제 작업의 용이성을 제공한다.Second, by providing sufficient space for bolt assembly work through the vertical pipe placed over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and the bottom protection plate part that supports and protects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through the bolt assembly recess formed on the side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t provides ease of connection installation and release work.
셋째, 다기능 부력체의 구조가 하부로 갈수록 길이가 줄어는 테이퍼진 형태를 갖추어 전단면과 후단면에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서, 파도와 같은 설치공간에서의 물 흐름에 영향을 받아 부력체 간의 연결 구조상의 움직임, 꺾임, 이탈, 부딪침 등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Third, the structure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has a tapered shape that becomes shorter as it goes down, forming inclined surfaces on the front and rear sections, thereby minimizing the influence of movement, bending, separation, and collision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buoyancy bodies due to the influence of water flow in the installation space, such as waves.
넷째, 다기능 부력체의 하부에 하측 돌출부 한 쌍이 형성되어 바닥에 닿는 영역을 최소화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부여할 수 있다.Fourth, a pair of lower protrusions are formed on the lower part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to minimize the area touching the bottom and provide structural safety.
다섯째, 다기능 부력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측 돌출부 한 쌍으로 인해 가운데 상측으로 함입되어 형성되는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이 마련됨으로써, 물의 움직임 또는 외부로부터의 전해지는 외력에 의한 롤링(rolling)을 회피(averting)하고 감쇠(damping)시킬 수 있어, 설치 구조상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고 파손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Fifth, a recessed groove for providing rolling stability is formed by being recessed toward the center due to a pair of lower protrusion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thereby avoiding and damping rolling caused by water movement or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greatly reducing the risk of damage.
여섯째, 다기능 부력체의 하부에 형성된 하측 돌출부 한 쌍의 각 하면을 덮는 바닥 보호판부를 통해 다기능 부력체가 바닥에 닿을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보호 커버의 역할을 하고, 무게 중심이 다기능 부력체(110)의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Sixth, the bottom protection plate that covers each lower surface of a pair of lower protrusion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serves as a protective cover to prevent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from touching the bottom, and the center of gravity is directed downwards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thereby enabling more structurally stable use and management.
일곱째, 파이프 이탈방지판부와 가로 파이프 사이의 틈으로서 마련된 소정의 여유공간이 가로 파이프의 단부측에 전기 융착시스템 (Electro Fusion System)을 활용해 철망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고, 더 나아가 세로 파이프 및 가로 파이프 등의 구조체들 간의 연결성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Seventh, the space provided as a gap between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and the horizontal pipe not only secures space for installing various functional members, such as wire mesh, on the end side of the horizontal pipe by utilizing an electro fusion system, but also further strengthens the connectivity between structures, such as vertical pipes and horizontal pipes.
여덟째, 실시에 따라 세로 파이프 및 가로 파이프 등의 구조체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내구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파이프로 마련하고, 이러한 파이프 외면에 플라스틱을 코팅하여 내식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고 발판과의 조립 시 볼트의 사용이 없이 융착하여 설치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Eighth,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t least one of the structures, such as vertical pipes and horizontal pipes, may be made of durable aluminum pipes, and the outer surface of such pipes may be coated with plastic to improve corrosion resistance and durability, and installation may be possible by fusion without using bolts when assembling with a footing.
아홉째, 실시에 따라 다기능 부력체의 상부측면에 알루미늄 프로파일을 설치하여 계선주, 방충재, 파일가이드 등 다양한 액세서리형 부재들을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고, 설치되는 부재의 종류에 따라 부유체의 충격 및 휨 응력에 대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Ninth, by installing an aluminum profile on the upper side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various accessory-type parts such as mooring posts, insect repellents, and pile guides can be easily installed,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parts installed, the durability of the buoyancy body against impact and bending stress can be improved.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의 구조를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 내 연결된 다기능 부력체의 전단측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 내 발판 및 프레임 파이프를 제외한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부유 구조물 내 발판 및 프레임 파이프를 제외한 전단측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력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다기능 부력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hear-side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connected in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xcluding the footing and frame pipe.
Figure 5 is an enlarged view showing the shear-side structure excluding the footing and frame pipe in the floating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structure of a multifunctional buoyanc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되, 이미 주지된 기술적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의 간결함을 위해 생략하거나 압축하기로 한다.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technical parts already known will be omitted or compressed for the sake of brevity.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에 관한 설명><Description of a floating structure using a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다기능 부력체(110)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100)은 다기능 부력체(110) 다수개가 열을 이루어 이어진 집합체가 다시 행을 따라 상호 이격되면 배치되고, 이러한 다수의 다기능 부력체(110)의 배치형태를 기저로 하여, 세로 파이프(120), 가로 파이프(130), 발판(140) 및 프레임 파이프(150)가 올려지며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구조물을 완성한다.Referring to FIG. 1, a floating structure (100) using a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such that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are connected in a row and then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row, and based on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a vertical pipe (120), a horizontal pipe (130), a footing (140), and a frame pipe (150) are placed and interconnected to complete a single structure.
다기능 부력체(110)는 기본적인 부력의 제공은 물론이고, 구조물 구조상 최하단에서 다양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으로, 도6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몸체부(111), 하측 돌출부(113), 바닥 보호판부(114), 상측 돌출부(115) 및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16)를 포함한다.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is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functions at the lowest part of the structure as well as basic buoyancy, and includes a buoyancy body part (111), a lower protrusion part (113), a bottom protection plate part (114), an upper protrusion part (115), and a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part (1116) as shown in FIGS. 6 and 7.
우선, 부력 몸체부(111)는 부력 제공수단이 내장 설치되며,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는 기본 몸체 구성에 해당된다.First, the buoyancy body part (111) has a buoyancy providing means built-in and corresponds to a basic body configuration provided in a block shape.
여기서, 부력 몸체부(111)는 EPS(Expanded polystyrene)와 같은 부력 제공수단이 충진되어 부유성 부가를 위한 설치가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일측에 별도의 주입 혹은 회수를 위한 개구를 실시에 따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buoyancy body part (111) can be installed to provide floating properties by filling it with a buoyancy providing means such as EPS (Expanded polystyrene), and for this purpose, a separate opening for injection or recovery can be provided on one side,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또한, 부력 몸체부(111)는 도3 및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하면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도록 하방으로 갈수록 전후방향을 길이가 짧아지는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춤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buoyancy body part (111)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becomes shorter as it goes downward so that the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lower surface is shorter than the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of the upper surface as shown in FIGS. 3 and 5.
이로 인해, 부력 몸체부(111)의 전단면과 후단면은 기울어진 경사면(112)을 형성하게 되어, 다기능 부력체(110)가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연달아 이어지며 도1 미 도2와 같이 열을 갖춘 상황에서 일 다기능 부력체(110)의 후단면과 바로 이어진 타 다기능 부력체(110)의 전단면 사이에는 각각의 경사면에 의해 형성된 삼각형의 단면 구조의 공간이 부유 시 파도를 비롯한 각종 부유 공간상의 물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움직임, 꺾임, 이탈, 부딪침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게 된다. Due to this, the front and rear cross-sections of the buoyancy body (111) form an inclined slope (112), so that when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are connect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and are arranged in a row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pace with a triangular cross-sectional structure formed by each inclined plane between the rear cross-section of on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and the front cross-section of another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that is directly connected to it minimizes the influence of movement, bending, separation, collision, etc. caused by various water flows in the floating space, including waves, when floating.
아울러, 부력 몸체부(111)는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양 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111H)을 구비한다.In addition, the buoyancy body part (111) has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111H) recessed inwardly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as shown in FIGS. 5 and 6.
이러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111H)은 추후 설명될 파이프 안착홈(115H)에 놓일 세로 파이프(120)의 고정 설치를 위한 볼트의 조립 시 충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하측 돌출부(113)의 하면을 덮는 바닥 보호판부(114)의 고정 설치를 위한 볼트의 조립 시 충분한 작업 공간을 제공하기도 한다.These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111H) not only provide sufficient working space when assembling bolts for fixed installation of a vertical pipe (120) to be placed in a pipe mounting groove (115H) to be described later, but also provide sufficient working space when assembling bolts for fixed installation of a bottom protection plate (114)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rotrusion (113).
이와 관련하여, 실시에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111H)은 파이프 안착홈(115H)에 놓일 세로 파이프(120) 및 하측 돌출부(113)의 하면을 덮는 바닥 보호판부(114)의 고정 설치를 수행함에 있어 볼트를 이용한 조립 외에도 상호 결합을 통한 고정 연결이 가능한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변형된 상호 연결을 위한 고정 설치방법의 작업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In this regard,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111H)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to enable fixed connection through mutual coupling in addition to assembly using bolts when performing fixed installation of a vertical pipe (120) to be placed in a pipe mounting groove (115H) and a bottom protection plate (114) covering the lower surface of a lower protrusion (113), and provide a working space for a fixed installation method for such modified mutual connection.
다음으로, 하측 돌출부(113)는 부력 몸체부(111)의 하면으로부터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몸체부(111)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 영역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됨으로서 한 쌍으로 마련된다.Next, the lower protrusions (113) are formed as a pair by exten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111) so that the left and right width-wise end areas of the buoyancy body (111) protrude downward as shown in FIGS. 2 and 3.
이러한 한 쌍의 하측 돌출부(113)의 구조적 특징으로 인해 부력 몸체부(111)의 하면 양 단부 사이에는 상측으로 함입된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113H)이 형성된다.Due to the structural features of this pair of lower protrusions (113), an upper recessed groove (113H) for providing rolling stability is formed between the two ends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111).
구체적으로, 한 쌍의 하측 돌출부(113)의 구조적 특징은 다기능 부력체(110)가 바닥에 닿는 영역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받침 구조가 형성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한 쌍의 하측 돌출부(113) 사이에 마련된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113H)을 통해 물의 움직임 또는 외부로부터의 전해지는 외력에 의한 롤링(rolling)을 회피(averting)하고 감쇠(damping)시킬 수 있어, 설치 구조상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기고 파손의 위험을 크게 줄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structural features of a pair of lower protrusions (113) enable a stable support structure to be formed while minimizing the area where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touches the floor, and at the same time, a recessed groove (113H) provided between a pair of lower protrusions (113) for providing rolling stability can be avoided (averted) and damped (damped) by rolling caused by the movement of water or an external force transmitted from the outside, thereby increasing the stability of the installation structure and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damage.
이에 더해, 바닥 보호판부(114)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하측 돌출부(113) 각각의 하면을 덮도록 고정 결합되는 구조체이다.In addition, the floor protection plate (114) is a structure that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2 and 3 and is fixedly connect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protrusions (113).
여기서, 바닥 보호판부(114)는 실시에 따라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혹은 철 재질 등의 판 구조체로 마련되며, 궁극적으로 한 쌍의 하측 돌출부(113)를 비롯한 다기능 부력체(110) 자체가 바닥에 닿을 수 있는 상황으로부터 보호 커버의 역할을 수행한다.Here, the floor protection plate (114) is provided as a plate structure made of aluminum, stainless steel or iron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and ultimately serves as a protective cover from a situation where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itself, including a pair of lower protrusions (113), may touch the floor.
더 나아가, 바닥 보호판부(114)는 무게 중심이 다기능 부력체(110)의 하방으로 향하게 하여 구조적으로 더욱 안정적인 이용 및 관리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에 해당한다.Furthermore, the floor protection plate (114) is configured to have the center of gravity directed downwards of th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0) to enable structurally more stable use and management.
다음으로, 상측 돌출부(115)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력 몸체부(111)의 상면으로부터 부력 몸체부(111)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는 부분에 해당한다.Next, the upper protrusion (115) corresponds to a portion formed to extend upward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111) except for the two ends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111), as shown in FIGS. 6 and 7.
이러한 상측 돌출부(115)의 구조적 특징은 부력 몸체부(111)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에 단차를 통한 한 쌍의 파이프 안착홈(115H)이 형성되도록 한다.The structural feature of this upper protrusion (115) is that a pair of pipe mounting grooves (115H) are formed through a step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of the buoyancy body (111).
결과적으로, 부력 몸체부(111)의 좌우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우측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돌출부(115)로 인해 '┛'자형의 파이프 안착홈(115H)이 형성되고, 부력 몸체부(111)의 좌우 너비방향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돌출부(115)로 인해 '┗'자형의 파이프 안착홈(115H)이 형성된다.As a result, a '┛'-shaped pipe mounting groove (115H) is formed on the right side based o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111) due to the upper protrusion (115) as shown in FIG. 6, and a '┗'-shaped pipe mounting groove (115H) is formed on the left side based on the left-right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111) due to the upper protrusion (115) as shown in FIG. 6.
마지막으로,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는 도6 및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측 돌출부(115)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파이프 안착홈(115H)에 놓인 다수의 세로 파이프(120)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측 돌출부(115)의 너비에 비해 길게 마련된다.Lastly,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16)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s shown in FIGS. 6 and 7, and at least on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15),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provid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115) so as to be able to cover the upper surfaces of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120) placed in the pipe mounting groove (115H).
구체적으로,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는 파이프 안착홈(115H)에 놓인 다수의 세로 파이프(120)의 상면을 덮되 부력 몸체부(111)의 좌우측으로 돌출되어 튀어나가지 않도록 함으로서 세로 파이프(120)가 상부로 이탈되지 않게 한다.Specifically, the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116) covers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120) placed in the pipe mounting groove (115H), but protrudes to the left and right of the buoyancy body (111) so as not to protrude, thereby preventing the vertical pipes (120) from being separated upward.
따라서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는 하면이 상측 돌출부(115)의 상면에 접하는 중앙부분(116a)과 하면이 세로 파이프(120)의 상면에 접하는 측단부분(116b)으로 구성되며, 측단부분(116b)으로 인해 상측 돌출부(115)의 너비보다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의 너비가 길게 마련되되 세로 파이프(120) 및 부력 몸체부(111) 보다 좌우 양측으로 더 돌출되지 않도록 적정 너비를 갖춤이 바람직하다.Accordingly,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16) is composed of a central portion (116a) whos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15) and a side portion (116b) whose lower surface contacts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pe (120). Due to the side portion (116b), the width of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16) is mad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115), but it is desirable to have an appropriate width so as not to protrude further to the left and right than the vertical pipe (120) and the buoyancy body portion (111).
이러한 구성 및 구조적 특징을 갖춘 다기능 부력체(11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 구조물(100)의 완성을 위해 우선적으로 전후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연달아 배치되어 열을 갖추고, 형성된 열이 좌우 너비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행을 갖추도록 배치된다.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with such configuration and structural features are arranged in a row in a number of plac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to form a row in order to complete the floating structure (100) as shown in FIG. 4, and the formed rows are arranged so that they form at least one row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s.
이에 이어, 막대형 구조체로서 마련된 세로 파이프(120)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을 향하되 다수의 다기능 부력체(110)의 각 열을 기준으로 한 쌍의 파이프 안착홈(115H) 각각에 안착 설치된다.Next, as shown in Fig. 4, a vertical pipe (120) provided as a rod-shaped structure is installed in a pair of pipe mounting grooves (115H)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the front-back direction based on each row of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다음으로,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는 상측 돌출부(115)의 상면에 설치되어 세로 파이프(120)의 상면을 덮는 형태로 열을 따라 인접한 대상간의 상호 소정의 이격거리를 형성하며 배치된다.Next, as described above,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16)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15) and is arranged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 pipe (120)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distance between adjacent objects along the row.
구체적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 사이의 상측 돌출부(115)의 상면 영역은 상호 이격을 통해 제공되는 공간(116H)으로 아래 설명될 가로 파이프(13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된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7, the upper surface area of the upper protrusion (115) between adjacent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s (116) is used as a space (116H) provided through mutual separation, where a part of a horizontal pipe (130) to be described below can be placed.
그 다음으로는, 막대형 구조체로서 마련된 가로 파이프(130)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을 향하되 다수의 다기능 부력체(110)가 이어진 열을 따라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다수의 세로 파이프(120) 상면 및 상측 돌출부(115) 상면에 설치가 이루어진다.Next, a horizontal pipe (130) provided as a rod-shaped structure is arranged so that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es left and right, as shown in Fig. 4, and a predetermined space is formed along a row of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115).
구체적으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기능 부력체(110)가 이어진 열을 따라 배치된 가로 파이프(130)의 인접한 대상 간에는 소정의 이격공간(130H)이 형성되고, 이러한 이격공간(130H)에는 앞 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가 배치된다.Specifically, as illustrated in FIG. 5, a predetermined separation space (130H) is formed between adjacent objects of horizontal pipes (130) arranged along a row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110), and a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116) is arranged in this separation space (130H) as described above.
여기서,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는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가로 파이프(130) 중 인접한 가로 파이프(130) 사이에 마련된 이격공간(130H) 중 일부에 전후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의 여유공간(116T)으로서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됨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116) be arranged so that a gap is formed as a predetermined amount of free space (116T)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ome of the separation spaces (130H) provided between adjacent horizontal pipes (130) among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130), as shown in FIG. 5.
이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와 가로 파이프(130) 사이의 틈으로서 마련된 소정의 여유공간(116T)이 가로 파이프(130)의 단부측에 전기 융착시스템 (Electro Fusion System)을 활용해 철망과 같은 다양한 기능성 부재들을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확보하기 위함이다.This is to secure a space (116T) provided as a gap between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16) and the horizontal pipe (130) to install various functional members, such as wire mesh, on the end side of the horizontal pipe (130) using an electro fusion system.
더 나아가, 파이프 이탈방지판부(116)과 가로 파이프(130) 사이의 틈으로서 마련된 소정의 여유공간(116T)으로 인해 세로 파이프(120) 및 가로 파이프(130) 등의 구조체들 간의 연결성을 더욱 강화하고 안정적으로 가져갈 수 있다.Furthermore, due to a predetermined amount of free space (116T) provided as a gap between the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16) and the horizontal pipe (130), the connection between structures such as the vertical pipe (120) and the horizontal pipe (130) can be further strengthened and made stable.
실시에 따라, 가로 파이프(130)는 알루미늄 재질의 파이프에 PE(Polyethylene) 코팅처리를 한 상태로 마련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the horizontal pipe (130) can be prepared as a pipe made of aluminum material with a PE (polyethylene) coating.
최종적으로, 세로 파이프(120) 및 가로 파이프(130)의 설치 후에는 판형 구조체로서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140)이 다수의 가로 파이프(130) 상면에 설치되도록 한다.Finally,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vertical pipe (120) and the horizontal pipe (130), at least one foot plate (140) provided as a plate-shaped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130).
이와 더불어, 막대형 구조체로서 마련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파이프(150)를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140)이 연결된 전체 구조상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싸며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가로 파이프(130) 상면에 설치되도록 하여 부유 구조물(100)을 완성한다.In addition, at least one frame pipe (150) provided as a rod-shaped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130) to form an outer frame by surrounding the entire structural boundary to which at least one foothold (140) is connected as shown in Fig. 1, thereby completing the floating structure (100).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부유 구조물
110 : 다기능 부력체
111 : 부력 몸체부 111H : 볼트조립용 함입홈
112 : 경사면 113 : 하측 돌출부
114 : 바닥 보호판부 115 : 상측 돌출부
115H : 파이프 안착홈 116 : 파이프 이탈방지판부
120 : 세로 파이프 130 : 가로 파이프
140 : 발판 150 : 프레임 파이프 100 : Floating Structure
110: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111: Buoyancy body part 111H: Bolt assembly groove
112 : Slope 113 : Lower projection
114: Bottom protection plate 115: Upper protrusion
115H: Pipe mounting groove 116: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120 : vertical pipe 130 : horizontal pipe
140 : Footrest 150 : Frame Pipe
Claims (12)
상기 부력 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를 제외한 영역이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에 단차를 통한 한 쌍의 파이프 안착홈을 형성하는 상측 돌출부; 및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안착홈에 놓인 파이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기 상측 돌출부의 너비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몸체부는 상면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하면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추도록 전단면과 후단면이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부력 몸체부는 좌우 양 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
A buoyancy body part having a built-in buoyancy providing means and provided in a block shape;
An upper protrusion formed so that an area excluding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part is extende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form a pair of pipe mounting grooves through a step at both ends of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of the buoyancy body part; and
It includes a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is installed on at least on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whose left and right widths are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portion so as to cover the upper surface of the pipe placed in the pipe mounting groove;
The above buoyancy body part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ections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front and rear sections have a shorter front and rear length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 of the upper surface.
The above buoyancy body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recessed inwardly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상기 부력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 영역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양 단부 사이에 상측으로 함입된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하측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lower protrusions form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 areas of the buoyancy body part are extended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form a recessed groove for providing rolling safety that is recessed upwardly between the two ends.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하측 돌출부 각각의 하면을 덮도록 고정 결합되는 바닥 보호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
In paragraph 4,
The abov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s,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bottom protec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fixedly connect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protrusions.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막대형 구조체로서,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을 향하되 다수의 상기 다기능 부력체의 각 열을 기준으로 한 쌍의 상기 파이프 안착홈 각각에 안착 설치되는 다수의 세로 파이프;
막대형 구조체로서, 길이방향이 좌우방향을 향하되 다수의 상기 다기능 부력체가 이어진 열을 따라 소정의 이격공간을 형성하도록 배치되어 다수의 상기 세로 파이프 상면 및 상기 상측 돌출부 상면에 설치되는 다수의 가로 파이프;
판형 구조체로서, 다수의 상기 가로 파이프 상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발판; 및
막대형 구조체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발판이 연결된 전체 구조상의 테두리를 따라 둘러싸며 외측 프레임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상기 가로 파이프 상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파이프;를 포함하며,
상기 부력 몸체부는 상면의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하면의 전후방향 길이가 짧은 테이퍼(Taper)진 형태를 갖추도록 전단면과 후단면이 기울어진 경사면을 형성하며,
상기 부력 몸체부는 좌우 양 측면 각각에 내측으로 함입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볼트조립용 함입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
A buoyancy body part having a built-in buoyancy providing means and formed in a block shape; and an upper protrusion part formed so as to protrude from an upp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except for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par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thereby forming a pair of pipe mounting grooves through a step at both ends of the buoyancy body part in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arranged in a row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ront and rear to form a row, and the formed rows being arranged to form at least one row along the left and right width direction;
A rod-shaped structure, wherein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re installed and secured in each of a pair of pipe securing grooves based on each row of the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forward and backward;
A rod-shaped structure, wherein a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are arranged so as to form a predetermined space along a row in which a plurality of multifunctional buoyancy bodies are connected, with the longitudinal direction facing left and right, and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s of the plurality of vertical pipes and the upper surfaces of the upper protrusions;
As a plate-shaped structure, at least one footplat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said horizontal pipes; and
As a rod-shaped structure, it comprises at least one frame pip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plurality of said transverse pipes to form an outer frame by surrounding the entire structural perimeter to which at least one or more of said footings are connected;
The above buoyancy body part has a tapered shape in which the front and rear sections form an inclined surface so that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lower surface are shorter than the front and rear lengths of the upper surface.
The above buoyancy body part is characterized by having at least one or more bolt assembly recesses recessed inwardly on each of the left and right sides.
Floating structure using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상측 돌출부의 상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상기 파이프 안착홈에 놓인 다수의 상기 세로 파이프의 상면을 덮을 수 있도록 좌우 너비가 상기 상측 돌출부의 너비에 비해 길게 마련되는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
In Article 6,
The abov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s,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pipe detachment preven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at least on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protrusion, and the left and right widths are provided longer than the width of the upper protrusion portion so as to be able to cover the upper surfaces of a plurality of vertical pipes placed in the pipe mounting groove.
Floating structure using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상기 파이프 이탈방지판부는 다수의 상기 가로 파이프 중 인접한 상기 가로 파이프 사이에 마련된 상기 이격공간 중 일부에 전후 길이방향 양측으로 소정의 여유공간으로서 틈이 형성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
In Article 7,
The above pipe separation prevention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so that a gap is formed as a predetermined amount of free space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some of the space provided between adjacent horizontal pipes among the plurality of horizontal pipes.
Floating structure using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상기 부력 몸체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부력 몸체부의 좌우 너비방향 기준 양 단부 영역이 하측으로 돌출되도록 연장 형성되어, 양 단부 사이에 상측으로 함입된 롤링안전성 제공용 함입홈을 형성하는 한 쌍의 하측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
In Article 6,
The abov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s,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includes a pair of lower protrusions formed so that the left and right end areas of the buoyancy body part are extended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buoyancy body part to form a recessed groove for providing rolling safety that is recessed upwardly between the two ends.
Floating structure using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상기 다기능 부력체는,
판 형상으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하측 돌출부 각각의 하면을 덮도록 고정 결합되는 바닥 보호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기능 부력체를 이용한 부유 구조물.In Article 11,
The above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is,
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bottom protection plate portion which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and fixedly connected to cover the lower surface of each of the pair of lower protrusions.
Floating structure using multifunctional buoyancy body.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5033A KR102747447B1 (en) | 2023-07-21 | 2023-07-21 | Multi-functional floating body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95033A KR102747447B1 (en) | 2023-07-21 | 2023-07-21 | Multi-functional floating body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reof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47447B1 true KR102747447B1 (en) | 2024-12-27 |
Family
ID=94080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95033A Active KR102747447B1 (en) | 2023-07-21 | 2023-07-21 | Multi-functional floating body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7447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7175B1 (en) * | 2018-11-02 | 2020-05-06 |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 Floating structure using unit buoyant body |
KR102317497B1 (en) * | 2020-01-28 | 2021-10-26 |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
JP2022135866A (en) * | 2021-03-05 | 2022-09-15 | コアン チェン チェン | Artificial floating island block and artificial floating island assembly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block |
KR20230081937A (en) * | 2021-11-30 | 2023-06-08 | (주)브릿지 | Module prefabricated floating structure |
-
2023
- 2023-07-21 KR KR1020230095033A patent/KR10274744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07175B1 (en) * | 2018-11-02 | 2020-05-06 | 주식회사 코부이테크 | Floating structure using unit buoyant body |
KR102317497B1 (en) * | 2020-01-28 | 2021-10-26 | 주식회사 마린코리아 | Floating structure for easy assemblability of floating body |
JP2022135866A (en) * | 2021-03-05 | 2022-09-15 | コアン チェン チェン | Artificial floating island block and artificial floating island assembly using artificial floating island block |
KR20230081937A (en) * | 2021-11-30 | 2023-06-08 | (주)브릿지 | Module prefabricated floating structur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2012059766A1 (en) | Bollard mounting | |
JP7017541B2 (en) | Improvement structure and improvement method of existing sheet pile type quay | |
KR20130064841A (en) | Water fence for prevention of floods | |
KR102747447B1 (en) | Multi-functional floating body and floating structure having thereof | |
KR101740004B1 (en) | Box girder bridge construction and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1468101B1 (en) | Retaining wall using diagonal reinforcement member | |
KR101183545B1 (en) | Assemble type float device | |
KR102800224B1 (en) | Floating structure capable of connecting accessory members | |
KR101876511B1 (en) | Window seismic system using Steel Frame with Slit | |
KR100641975B1 (en) | Insect Resistant Structure of Quay Wall Structure with Fiber Reinforced Composite Panda Panel | |
CN210684718U (en) | Combined foundation pit supporting structure | |
JP2013096096A (en) | Bridge | |
CN210458928U (en) | Bridge telescoping device and bridge | |
CN109930559B (en) | Dam reinforcing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
KR101355843B1 (en) | Guard fence reinforcing structure and method of installing thereof | |
KR102312940B1 (en) | Buoyant structure, articl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eparing the buoyant object | |
KR101973661B1 (en) | gabion retaining wall block with built-up type | |
KR102490231B1 (en) | Floating water structure with shock absorber. | |
JP6546399B2 (en) | Sabo dam | |
JP6756071B2 (en) | Evacuation float | |
KR20140046328A (en) | The soundproof wall of reinforce rib post and link by welded insertion method | |
KR102691858B1 (en) | Barge using buoyancy assembly | |
KR200455216Y1 (en) | Mooring Tube Holder for Buoyancy Reinforcement | |
KR101407503B1 (en) | Ground reinforcement device and retaining wall by using of it) | |
JP6347120B2 (en) | Embankment reinforcement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21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3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