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356B1 -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 Google Patents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356B1
KR102747356B1 KR1020220158283A KR20220158283A KR102747356B1 KR 102747356 B1 KR102747356 B1 KR 102747356B1 KR 1020220158283 A KR1020220158283 A KR 1020220158283A KR 20220158283 A KR20220158283 A KR 20220158283A KR 102747356 B1 KR102747356 B1 KR 102747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graph
water quality
slope
wa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82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76877A (en
Inventor
송덕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룸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룸기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룸기술
Priority to KR10202201582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356B1/en
Publication of KR20240076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87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3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4Forecasting or optimisation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or management purposes, e.g. linear programming or "cutting stock proble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는 상수도 본부 서버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중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값을 가공하여 누수 예측 가공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 상기 데이터 중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가공하여 관로 수명 예측가공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 상기 데이터 중 상기 관로의 수질 값을 가공하여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가공부, 상기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누수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누수 예측부, 상기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관로 수명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하는 관로 수명 예측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수질 예측부를 포함한다.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data from a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and an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a leakage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sensitivity status value of a leakage meter among the data to generate and provide leakage prediction processed data, a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pressure value and a flow rate value of a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and provide pipeline life prediction processed data, a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water quality value of the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and provid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ed data, a leakage predic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a leakage is possible using the leakage prediction processed data generated by the leakage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a pipe life prediction unit which predicts the pipe life using the pipe life prediction processed data generated by the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and a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which determines the water quality status of the pipe using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ed data generated by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Description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nd its execution method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본 발명은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상수관로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의 관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사고 발생에 대한 예측, 관로 수명에 대한 예측을 통해 유지보수의 전략적 접근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ystem through application of a water supply digital twin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ystem through application of a water supply digital twin and a method for implementing the same, which develops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rol system for water pipes by incorporating digital twin technology that supports the life cycle and enables a strategic approach to maintenance through prediction of accident occurrence and prediction of the life of the pipes.

상수도망은 필수적인 도시 기반 시설이며 상수도관을 그 기본 골격으로 한다. 하지만, 주로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상수도관의 특성상, 파손 상태나 노후도 등의 정확한 파악이 쉽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다.The water supply network is an essential urban infrastructure, and water pipes form its basic framework. However, due to the nature of water pipes, which are mostly buried undergrou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amage status or aging.

외부적인 요인이나 노후 등의 이유로 인해 수도관이 파손되는 경우 누수 등이 발생함으로써 경제적인 손실을 가져오게 될 뿐만 아니라, 파손 부위로 오염물질이 침투할 수 있으며, 노후관에 의해 녹물이 발생하는 등의 크고 작은 많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여기서 수도관의 파손이 수도관의 노후 상태와 반드시 비례하는 것은 아니며, 따라서 수도관을 노후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일괄적으로 교체하는 것은 경제성이나 효율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고 보기 어렵다.When water pipes break due to external factors or aging, it not only causes economic losses due to water leaks, but also causes pollutants to infiltrate the damaged area, and causes many other problems, large and small, such as rust caused by aging pipes. Here, the breakage of water pipes is not necessarily proportional to the aging of water pipes,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see it as desirable in terms of economy or efficiency to replace water pipes in order of aging.

따라서, 상수도관의 교체 우선순위 산정 등에 적용하기 위하여 정확하게 상수도관을 진단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Therefore, it is required to accurately diagnose water pipes in order to apply them to calculating the priority for replacing water pipes.

상수관망의 진단을 위해서 종래에 제안된 기술이 하기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 에 개시되어 있다.Previously proposed technologies for diagnosing water supply networks are disclosed in the following <Patent Document 1> to <Patent Document>.

<특허문헌 1>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관망진단을 위한 관망모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관망모델 자동 생성모듈, 수압, 유속 및 누수량 정보를 고려해 관망을 해석하기 위한 관망 해석 모듈, 관 상태를 소정의 평가 인자를 이용해 자동으로 평가하기 위한 관 상태 평가 모듈, 관망의 구역별 누수량 및 수질 정보를 포함하는 수리/수질 정보를 분석하기 위한 수리/수질 진단 모듈, 수집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 개량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한 시설 개선 의사 결정 모듈을 포함한다.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pipeline model automatic gener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generating a pipeline model for pipeline diagnosis, a pipeline analysis module for analyzing a pipeline by considering water pressure, flow rate, and water leakage information, a pipe condition evaluation module for automatically evaluating a pipe condition using a predetermined evaluation factor, a hydraulic/water quality diagnosis module for analyzing hydraulic/water quality information including leakage amount and water quality information by section of a pipeline, and a facility improvement decision-making module for determining a pipeline improvement priority using collected data.

이러한 구성을 통해, 수리, 수질 및 시설 진단 결과를 기반으로 산정된 수도관망에 대한 자동 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관망 정비의 우선 순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게 된다.This configuration supports decision-making on priority for pipeline maintenance by using automatic analysis results for water pipe networks calculated based on repair, water quality and facility diagnosis results.

또한, <특허문헌 2>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대상 체의 소리를 감지하는 음향 감지부, 저장부, 송신부, 누수감지모듈을 포함하고, 누수 여부와 누수 위치 파악이 보다 정밀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누수가 없는 지역에서의 탐사를 위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2> includes an acoustic detection unit for detecting the sound of a target object, a storage unit, a transmitter unit, and a water leak detection module, and enables more precise and easy identification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water leak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thereby minimizing waste of time and manpower for exploration in areas where there is no water leak, thereby maximizing work efficiency.

또한, <특허문헌 3>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유체가 흐르는 대상 체의 소리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부, 음향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부, 누수감지장치, 음향 데이터를 분석하는 연산부를 포함하고, 감시 대상체의 소음이 발생하는 부분을 소음 수준과 소음 분포를 이용하여 분석하여, 누수 여부와 누수 위치 파악이 보다 정밀하고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누수가 없는 지역에서의 탐사를 위한 시간과 인력의 낭비를 최소화하여 작업 효율성을 극대화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3> includes a detection sensor unit for detecting the sound of a target object through which a fluid flows, a storage unit for storing acoustic data, a water leak detection device, and a calculation unit for analyzing the acoustic data, and analyzes the part of the target object where noise is generated using the noise level and noise distribution, thereby enabling the identification of whether there is a water leak and the location of the leak to be performed more precisely and easily, thereby minimizing waste of time and manpower for exploration in an area without a leak, thereby maximizing work efficiency.

또한, <특허문헌 4> 에 개시된 종래기술은 절단된 배수관 사이에 이형관 양단을 연결 설치하며, 이형관 양단에는 양측 배수관에 각각 연결하고 이형관 상단에는 내부에 내시경 장비를 투입할 수 있도록 출입 플랜지부를 형성하며, 출입 플랜지부에는 마개 플랜지를 개폐 가능하게 구비하여, 배수관을 절단하지 않고 내시경 장비를 투입하여 공사 비용을 절감하고, 공사 시간에 따른 단수시간을 단축할 수 있도록 한다.In addition, the prior art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4> connects and installs both ends of a special-shaped pipe between cut drain pipes, and connects both ends of the special-shaped pipe to drain pipes on both sides, forms an access flange portion on the top of the special-shaped pipe so that an endoscopic device can be inserted inside, and provides a plug flange that can be opened and closed on the access flange portion, so that an endoscopic device can be inserted without cutting the drain pipe, thereby reducing construction costs and shortening the water outage time due to the construction time.

현재 기술 수준에서 지하매설 시설인 상수관망은 GIS 중심으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시설 제원에 대한 2차원 평면상의 단편적 정보 표출 수준에 한계가 있다. At the current technological level, underground water pipe networks are managed primarily using GIS, but there is a limit to the level of fragmentary information displayed on a two-dimensional plane regarding facility specifications.

스마트상수도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으나 노후화 및 사고 예측보다는 상수도 현재 상태의 감시를 위한 센서를 설치하고 정보를 수집하는 정도이고, 방대한 양의 측정정보를 이용한 복합적인 예측 분석은 어려운 실정이다. Although the smart water supply project is underway, it is limited to installing sensors to monitor the current status of the water supply and collecting information rather than predicting aging and accidents, and complex prediction analysis using a large amount of measurement information is difficult.

기존에는 디지털 트윈이 적용되는 제조, 시티, 홈, 에너지, 의료, 교육 분야 등 각 도메인 및 그 도메인에 속한 객체만을 디지털 트윈의 대상으로 하였고, 디지털 트윈의 객체가 도메인간을 이동하거나 서로 다른 도메인의 디지털 트윈 시스템들간의 연동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각 도메인에 흩어져 있는 디지털 트윈의 객체에 대한 정보 공유 및 관리가 수행되지 않았다.Previously, only the domains and objects belonging to each domain, such as manufacturing, city, home, energy, medical, and education, to which digital twins were applied, were targeted as digital twins, and the movement of digital twin objects between domains or the linkage between digital twin systems in different domains were not considered. Therefore, information sharing and management of digital twin objects scattered across each domain were not performed.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3828호(2013.07.02. 등록)(상수관망 진단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83828 (registered on July 2, 2013) (water pipe network diagnosis system)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82231호(2014.04.01. 등록)(음의 연속성을 이용한 누수진단 시스템)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382231 (registered on April 1, 2014) (leakage diagnosis system using negative continuity)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63380호(2014.05.27. 공개)(소음 수준 및 분포를 이용한 상시누수진단 시스템)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Patent No. 10-2014-0063380 (Published on May 27, 2014) (Permanent water leak diagnosis system using noise level and distribution)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0-0003282호(2010.03.25. 공개(배수관 진단용 이형관)Republic of Korea Public Utility Model No. 20-2010-0003282 (Published on March 25, 2010 (Deformed pipe for drainage pipe diagnosis))

본 발명은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상수관로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의 관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사고 발생에 대한 예측, 관로 수명에 대한 예측을 통해 유지보수의 전략적 접근을 수행할 수 있는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ystem and an implementation method thereof by applying a water supply digital twin capable of performing a strategic approach to maintenance through prediction of accident occurrence and prediction of pipeline lifespan by developing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rol system for water pipes by incorporating digital twin technology that supports the life cycle.

또한, 본 발명은 상수관로로부터 측정한 관로 설치 정보, 운전정보의 취득, 취득한 정보의 신뢰성 검증, 시계열과 비시계열 정보의 결합을 기반으로 한 누수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누수 예측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ystem and an execution method thereof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water pipe digital twin that can develop a deep learning model for water leakage prediction based on acquisition of pipe install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water pipes,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combination of time series and non-time series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and reliability of water leakage predic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urposes mentioned above, and other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t will be easily understood that the purpos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claims.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는 상수도 본부 서버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데이터 중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값을 가공하여 누수 예측 가공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 상기 데이터 중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가공하여 관로 수명 예측가공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 상기 데이터 중 상기 관로의 수질 값을 가공하여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가공부, 상기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누수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는 누수 예측부, 상기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관로 수명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하는 관로 수명 예측부 및 상기 수질 데이터 가공부에 의해 생성된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수질 예측부를 포함한다. In order to achieve these objectives,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which receives data from a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and an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a leakage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sensitivity status value of a leakage meter among the data to generate and provide leakage prediction processed data, a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pressure value and a flow rate value of a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and provide pipeline life prediction processed data, a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which processes a water quality value of the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and provid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ed data, a leakage prediction unit which determines whether a leakage is possible using the leakage prediction processed data generated by the leakage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a pipe life prediction unit which predicts the pipe life using the pipe life prediction processed data generated by the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and a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which determines the water quality status of the pipe using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ed data generated by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또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상수관망 지능화 방법은 상수도 본부 서버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중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값을 가공하여 누수 예측 가공데이터를 생성하여 단계, 상기 데이터 중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가공하여 관로 수명 예측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중 상기 관로의 수질 값을 가공하여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생성된 누수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로 수명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하고, 상기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In addition, a method for intelligentizing a water pipe network to achieve these purposes includes the steps of receiving data from a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and an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the step of processing a sensitivity status value of a water leak meter among the data to generate water leak prediction processed data, the step of processing a pressure value and a flow rate value of a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water leak life prediction processed data, the step of processing a water quality value of the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ed data, and the steps of determining whether a water leak is possible using the generated water leak prediction processed data, predicting the pipe life using the pipe life prediction processed data, and determining the water quality status of the pipe using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ed data.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생애주기를 지원하는 디지털 트윈 기술을 접목하여 상수관로에 대한 인공지능 기반의 관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사고 발생에 대한 예측, 관로 수명에 대한 예측을 통해 유지보수의 전략적 접근을 수행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an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ontrol system for water pipelines can be developed by incorporating digital twin technology that supports the life cycle, thereby enabling a strategic approach to maintenance through prediction of accident occurrence and prediction of pipeline lifespa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수관로로부터 측정한 관로 설치 정보, 운전정보의 취득, 취득한 정보의 신뢰성 검증, 시계열과 비시계열 정보의 결합을 기반으로 한 누수예측을 위한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누수 예측 가능성과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is possible to develop a deep learning model for water leakage prediction based on acquisition of pipe installation information and operation information measured from water pipes, verification of the reliability of the acquired information, and combination of time series and non-time series information, thereby increasing the possibility and reliability of water leakage predi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지능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Figure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ystem through application of a water supply digital tw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트위 은 해당 상수관을 소프트웨어 상의 가상 객체로 표현한 것을 뜻한다. Figure 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ystem through application of a water pipe digital tw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gital twi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eans expressing a corresponding water pipe as a virtual object in software.

도 1을 참조하면, 상수도 디지털 트윈 적용을 통한 상수관망 지능화 시스템은 상수도 본부 서버(100),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200) 및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ystem through application of water supply digital twin includes a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100), an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200), and a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상수도 본부 서버(100)는 복수의 수도 계량기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수도 계량기를 검친하는 원격 검침 수도 계량기로부터 원격 검침 정보(즉, 상수도 사용량)을 수신한다. 이때, 수도 계량기는 기존 상수도 사용가에 설치된 계량기를 의미하며, 상기 원격 검침 수도 계량기는 상기 수도 계량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동되도록 설치된다.The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100) is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water meters and receives remote metering information (i.e., water usage) from a remote metering water meter that measures the water meter. At this time, the water meter means a meter installed in an existing waterworks user, and the remote metering water meter is installed to be connected to the water meter via wires or wirelessly.

상수도 본부 서버(100)는 상수도 유량 정보, 수질 정보, 압력 정보, 원격 검침 정보, 진동 정보 등을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에 제공한다. The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100) provides water supply flow rate information, water quality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remote metering information, vibration information, etc. to th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200)는 토질 정보, 강수 정보, 경사 정보, 도로 정보, 온도 정보, 배관 시뮬레이션 정보, 용도 지구 정보, 지진 정보, 지하철 정보, 토양도 정보, 토양 배급 등급 정보, 토지 이용 계획 정보 등을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에 제공한다. The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200) provides soil information, precipitation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pipe simulation information, use area information, earthquake information, subway information, soil map information, soil distribution grade information, land use plan information, etc. to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상수도 본부 서버(100)로부터 상수도 유량 정보, 수질 정보, 압력 정보, 원격 검침 정보, 진동 정보 등을 수신한다. Th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receives water supply flow rate information, water quality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remote metering information, vibration information, etc. from the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10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상수도 본부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수도 계량기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수도 계량기를 검친하는 원격 검침 수도 계량기를 통해 측정된 상수도 사용량을 수신한다.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receives the measured water usage from the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100) through a remote metering water meter that is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water meters and checks the corresponding water meter.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200)로부터 토질 정보, 강수 정보, 경사 정보, 도로 정보, 온도 정보, 배관 시뮬레이션 정보, 용도 지구 정보, 지진 정보, 지하철 정보, 토양도 정보, 토양 배급 등급 정보, 토지 이용 계획 정보 등을 수신한다.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receives soil information, precipitation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pipe simulation information, use area information, earthquake information, subway information, soil map information, soil distribution grade information, land use plan information, etc. from the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200).

그 후,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상수도 본부 서버(100)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이용하여 관제 서비스, 원격 검침 서비스, 누수 검침 결과 제공 서비스, 급수 정보 제공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an provide control services, remote metering services, water leakage metering result provision services, water supply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s, etc. using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100) and the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200).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관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역이 선택되면 지도 상에 선택된 구역 및 해당 구역의 원격 검침 정보를 제공한다. In one embodiment, when a zone is selected by a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control service, th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vides the selected zone and remote metering information of the zone on a map.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누수 검침 결과 제공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역이 선택되면 지도 상에 선택된 구역 및 누수 계측기의 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누수 계측기가 선택되면 해당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누수 경향 및 계측기 속성 정보를 제공한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area and water leak meter on the map when the area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water leak detection result provision service. At this time, when a specific water leak meter is selected by the user,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vides the sensitivity status, water leak trend, and water leak meter property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water leak meter.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displays the sensitivity status of the water leak meter as a first graph,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1 그래프를 분석하여 파형이 존재하는 경우 주기 단위로 나누어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analyzes the first graph, divides it into periodic units if a waveform exists, and groups the groups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압축한다. After tha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ompress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 graphs to create multiple groups, and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the corresponding groups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이때,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1 그래프 중 감도 현황 값을 특정 개수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an divide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in the first graph into a specific number of units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감도 현황 값을 압축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그룹 각각에 해당하는 제2 그래프 중 특정 감도 현황 값을 추출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ompress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and then extracts a specific sensitivity status value from the second graph corresponding to each group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바이오 임피던스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때, 제2 그래프는 각각의 그룹에 대해서 해당 그룹에 있는 특정 개수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한 후 평균값에 해당하는 감도 현황 값을 표시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averages the bio-impedance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 average value as a second graph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t this time, the second graph display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value after averaging a specific number of sensitivity status values in each group.

상기와 같이,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group for each of a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largest slope value and uses th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에 따라 그룹을 병합하여 하나의 기울기 값만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group, calculates a slop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slope values, and merge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slope difference value to extract only one slope value and uses th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상기와 같이,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group for each of a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largest slope value and uses th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에 따라 그룹을 병합하여 하나의 기울기 값만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group, calculates a slope difference value by comparing the slope values, and merge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slope difference value to extract only one slope value and uses this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calculate a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slop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re merged, and then a larger slope value is extracted between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and this can be used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감도 현황 값을 추출한 후 감도 현황 값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extract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express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n a third graph, and analyzes the third graph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an analyze the third graph and determine that no leak has occurre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falls within the normal ran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can analyze the third graph and determine that a leak has occurre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outside the normal range.

상기의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감도 현황 값 및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감도 현황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감도 현황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analyzes the third graph, an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compar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before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after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if the differenc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determines that a leak has occurred and provide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또 다른 일 실시예에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원격 검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역이 선택되면 지도 상에 선택된 구역 및 유량계의 위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사용자에 의해 특정 유량계가 선택되면 해당 관로의 압력 유량, 적산 유량, 수질, 속성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vides the location of the selected area and flow meter on the map when the area is selected by the user in the process of providing a remote metering service. At this time, when a specific flow meter is selected by the user,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may include information such as pressure flow rate, accumulated flow rate, water quality, and attribute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ipe.

보다 구체적으로,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관로의 압력 값, 유량 값 각각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 1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More specifically,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displays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flow rate value of the pipe as a first graph,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관로의 압력 값, 유량 값 및 수질 값 각각을 평균화하여 평균값을 산출하고, 요소 사이의 관계 정보After that,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averages the pressure value, flow rate value, and water quality value of the pipes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to calculate the average value and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를 참조하면,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데이터 수신부(310),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330),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 누수 예측부(350), 관로 수명 예측부(360) 및 수질 예측부(37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includes a data receiving unit (310), a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330), a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a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a pipe life prediction unit (360), and a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데이터 수신부(310)는 상수도 본부 서버(100)로부터 상수도 유량 정보, 수질 정보, 압력 정보, 원격 검침 정보, 진동 정보 등을 수신한다. The data receiving unit (310) receives water supply flow rate information, water quality information, pressure information, remote metering information, vibration information, etc. from the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100).

데이터 수신부(310)는 상수도 본부 서버(100)로부터 복수의 수도 계량기 각각에 연결되어 해당 수도 계량기를 검친하는 원격 검침 수도 계량기를 통해 측정된 상수도 사용량을 수신한다. The data receiving unit (310) receives the water usage measured through a remote metering water meter that is connected to each of a plurality of water meters from the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100) and checks the water meter.

데이터 수신부(310)는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200)로부터 토질 정보, 강수 정보, 경사 정보, 도로 정보, 온도 정보, 배관 시뮬레이션 정보, 용도 지구 정보, 지진 정보, 지하철 정보, 토양도 정보, 토양 배급 등급 정보, 토지 이용 계획 정보 등을 수신한다. The data receiving unit (310) receives soil information, precipitation information, slope information, road information, temperature information, pipe simulation information, use area information, earthquake information, subway information, soil map information, soil distribution grade information, land use plan information, etc. from the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200).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누수 계측기의 감도 정보를 가공한다.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processes the sensitivity information of the water leak measuring device.

먼저,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Firs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displays the sensitivity status of the water leak measuring device as a first graph,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one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다른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제1 그래프를 분석하여 파형이 존재하는 경우 주기 단위로 나누어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nalyzes the first graph, divides it into periodic units if a waveform exists, and groups it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압축한다. After tha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compress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 graphs to create multiple groups, and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the corresponding groups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이때,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제1 그래프 중 감도 현황 값을 특정 개수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can divide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in the first graph into a specific number of units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감도 현황 값을 압축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그룹 각각에 해당하는 제2 그래프 중 특정 감도 현황 값을 추출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fter tha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compress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and then extracts a specific sensitivity status value from the second graph corresponding to each group to determine whether a water leak is possible.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바이오 임피던스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때, 제2 그래프는 각각의 그룹에 대해서 해당 그룹에 있는 특정 개수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한 후 평균값에 해당하는 감도 현황 값을 표시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verages the bio-impedance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 average value as a second graph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t this time, the second graph display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value after averaging a specific number of sensitivity status values in each group.

상기와 같이,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고 이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largest slope value and uses this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에 따라 그룹을 병합하여 하나의 기울기 값만을 추출하여 누수 예측부(35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group, compares the slope values, calculates a slope difference value, merge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slope difference value, extracts only one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so that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leak is possible using only the slope value.

상기와 같이,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감도 현황 값을 추출하여 누수 예측부(35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most sensitive status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so that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leak is possible using only the slope value.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에 따라 그룹을 병합하여 하나의 기울기 값만을 추출하여 누수 예측부(35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group, compares the slope values, calculates a slope difference value, merge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slope difference value, extracts only one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so that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leak is possible using only the slope value.

상기의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누수 예측부(35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calculate a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slop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re merged, and then the larger slope value is extracted between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and provided to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so that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leak is possible using only the slope value.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330)는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 1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 The pipeline life data processing unit (330) displays each of the pipeline pressure value and flow rate value as a first graph,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33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평균값을 산출한다. After that, the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33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and calculates an average value of the pressure value and flow rate value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이때,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330)는 제1 그래프 중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특정 개수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pipeline life data processing unit (330) can divide the pressure values and flow rate values in the first graph into a specific number of units to creat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때, 제2 그래프는 각각의 그룹에 대해서 해당 그룹에 있는 특정 개수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평균화한 후 평균값에 해당하는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verages the pressure values and flow rat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 average value as a second graph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t this time, the second graph displays the pressure values and flow rates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values after averaging a specific number of pressure values and flow rates in each group.

상기와 같이,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수질 예측부(370)에 제공하여 수질 예측부(370)가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verages the pressure and flow rate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largest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so that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a water leak is possible using only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and flow rate values.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수질 값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displays the water quality values in a first graph,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다른 일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제1 그래프를 분석하여 파형이 존재하는 경우 주기 단위로 나누어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한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analyzes the first graph, divides it into periodic units if a waveform exists, and groups it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수질 값을 압축한다. After tha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compresse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일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수질 값을 평균화하여 평균값을 산출한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s the divided graphs to create multiple groups, and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verage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the corresponding groups to calculate an average value.

이때,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제1 그래프 중 수질 값을 특정 개수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can divide the water quality values in the first graph into a specific number of units to create multiple groups.

그 후,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수질 값을 압축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그룹 각각에 해당하는 제2 그래프 중 특정 수질 값을 추출하여 수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Thereafter,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compresse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and then extracts a specific water quality value from the second graph corresponding to each group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status.

일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복수의 그룹 각각의 수질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한다. 이때, 제2 그래프는 각각의 그룹에 대해서 해당 그룹에 있는 특정 개수의 수질 값을 평균화한 후 평균값에 해당하는 수질 값을 표시한 것이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average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 average value as a second graph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t this time, the second graph displays the water quality value corresponding to the average value after averaging a specific number of water quality values in each group.

상기와 같이,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수질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수질 예측부(37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average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largest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so that the water leakage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age using only the slope value.

일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에 따라 그룹을 병합하여 하나의 기울기 값만을 추출하여 누수 예측부(35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group, compares the slope values, calculates a slope difference value, merge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slope difference value, extracts only one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so that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leak using only the slope value.

상기와 같이,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감도 현황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수질 예측부(370)에 제공하여 누수 예측부(35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averag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s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m as a second graph, then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the largest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so that the water leakage prediction unit (350) can determine whether or not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age using only the slope value.

일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에 따라 그룹을 병합하여 하나의 기울기 값만을 추출하여 수질 예측부(370))에 제공하여 수질 예측부(37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수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group, compares the slope values to calculate the slope difference value, merges the groups according to the slope difference value, extracts only one slope value, and provides it to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so that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can determine the water quality condition using only the slope value.

상기의 실시예에서, 수질 데이터 가공부(340)는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수질 예측부(370)에 제공하여 수질 예측부(370)가 기울기 값만을 이용하여 수질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340)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to calculate a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slop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re merged, and then a larger slope value is extracted between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and provided to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so that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can determine the water quality condition using only the slope value.

누수 예측부(350)는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320)로부터 수신된 감도 현황 값의 기울기를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The water leak prediction unit (350) expresses the slope o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received from the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320) as a third graph, and analyzes the third graph to determine whether a water leak is possible.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부(350)는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누수가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may analyze the third graph and determine that no leak has occurre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falls within the normal ran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부(350)는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may analyze the third graph and determine that a leak has occurre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상기의 실시예에서, 누수 예측부(350)는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감도 현황 값 및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감도 현황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감도 현황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한다. In the above embodiment, the leak prediction unit (350) analyzes the third graph, an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out of the normal range, compar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before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after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if the differenc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determines that a leak has occurred and provide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관로 수명 예측부(360)는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330)로부터 수신된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을 수신하고,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 각각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한다. The pipe life prediction unit (360) receives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from the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330), expresses each of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as a third graph, and analyzes the third graph to predict the pipe life.

일 실시예에서, 관로 수명 예측부(360)는 제3 그래프 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관로 수명이 미리 결정된 수명 만큼 잔존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ipe life prediction unit (360) can determine that the pipe life remains for a predetermined lifespan if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n the third graph fall within a normal ran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관로 수명 예측부(360)는 제3 그래프 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관로 수명이 줄어들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pipe life prediction unit (360) may determine that the pipe life has been reduced if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n the third graph is outside the normal range.

상기의 실시예에서, 관로 수명 예측부(360)는 제3 그래프 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압력 값 및 유량 값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줄어든 관로 수명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f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n the third graph are out of the normal range, the pipe life prediction unit (360) can predict and provide a reduced pipe lif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immediately before they are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immediately after they are out of the normal range.

수질 예측부(370)는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330)로부터 수신된 수질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을 수신하고,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수질 상태를 판단한다.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receives the slope value of each water quality value received from the pipeline life data processing unit (330), expresses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as a third graph, and analyzes the third graph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status.

일 실시예에서, 수질 예측부(370)는 제3 그래프 상의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에 해당하면 수질 상태가 정상적이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can determine that the water quality condition is normal if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on the third graph falls within the normal range.

다른 일 실시예에서, 수질 예측부(370)는 제3 그래프 상의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수질 상태가 정상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may determine that the water quality condition is not normal if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on the third graph is out of the normal range.

상기의 실시예에서, 수질 예측부(370)는 제3 그래프 상의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수질 값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수질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수질이 어느 정도로 나쁜지 수질 등급을 예측하여 제공할 수 있다. In the above embodiment, if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on the third graph is out of the normal range,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370) can predict and provide a water quality grade indicating how bad the water quality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quality value just before it goe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water quality value immediately after it goes out of the normal range.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관망 지능화 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Figure 3 is a flow chart for explaining one embodiment of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상수도 본부 서버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한다(단계 S310).Referring to FIG. 3, th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receives data from the water supply headquarters server and the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step S31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상기 데이터 중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값을 가공하여 누수 예측 가공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320).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cess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of the water leak measuring device among the above data to generate water leak prediction processed data (step S32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데이터 중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가공하여 관로 수명 예측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330).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cesses the pressure and flow values of the pipe among the data to generate pipe life prediction processing data (step S33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데이터 중 상기 관로의 수질 값을 가공하여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생성한다(단계 S340).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processe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the pipes among the data to generat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ing data (step S34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300)는 누수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로 수명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하고, 상기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수질 상태를 판단한다(단계 S350).The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00) uses the water leak prediction processing data to determine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water leak, uses the pipe life prediction processing data to predict the pipe life, and uses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ing data to determine the water quality status of the pipe (step S350).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by way of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it is not limited to the abov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from this descrip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invention pertains. Accordingly, the spirit of the invention should be understoo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set forth below, and all equivalent or equivalent variations thereof will be deem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spirit of the invention.

100: 상수도 본부 서버,
200: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
300: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
310: 데이터 수신부,
320: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
330: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
340: 수질 데이터 가공부,
350: 누수 예측부,
360: 관로 수명 예측부
370: 수질 예측부
100: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200: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300: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310: Data receiving unit,
320: Leakage prediction data processing department,
330: Pipe life data processing department,
340: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department,
350: Leakage Prediction Unit,
360: Pipeline Life Prediction Department
370: Water Quality Prediction Department

Claims (2)

상수도 본부 서버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거나 제1 그래프를 분석하여 파형이 존재하는 경우 주기 단위로 나누어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바이오 임피던스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 중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특정 개수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
수질 값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한 상기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수질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고,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수질 데이터 가공부;
상기 누수 예측 데이터 가공부로부터 수신된 감도 현황 값의 기울기를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감도 현황 값 및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감도 현황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감도 현황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누수 예측부;
상기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로부터 수신된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을 수신하고,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 각각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 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압력 값 및 유량 값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줄어든 관로 수명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관로 수명 예측부;
상기 관로 수명 데이터 가공부로부터 수신된 수질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을 수신하고,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 상의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수질 값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수질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수질이 어느 정도로 나쁜지 수질 등급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수질 예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
A data receiving unit that receives data from the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and the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A water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which displays the sensitivity status of a water leak meter in a first graph, divides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groups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or analyzes the first graph, divides it into cycle units if a waveform exists, groups it, and creates multiple groups, and averages the bio-impedance values of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in a second graph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compare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groups, and calculates a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slope difference value is less than a specific value, merges the first and second groups, and then extracts and provides a larger slope value between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A pipeline life data processing unit that displays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f a pipeline as a first graph, divides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f the first graph into a specific number of units to create a plurality of groups, averages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groups, and displays the calculated average value as a second graph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nd analyzes the second graph to extract and provide the largest slope value;
A water quality data processing unit which generates a plurality of groups by dividing the first graph, which displays water quality values as a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ing the first graph, and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the water quality values of the corresponding group are averaged and displayed as a second graph, and then compares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of the second graph to calculate a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slope difference value is lower than a specific value, merges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then extracts and provides a larger slope value between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A leak prediction unit that expresses the slope o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received from the above leak prediction data processing unit as a third graph, analyzes the third graph, an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deviates from the normal range, compares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before deviating from the normal range and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after deviating from the normal range, and determines that a leak has occurred if the differenc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and provides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 pipe life prediction unit which receives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from the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expresses each of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as a third graph, and if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on the third graph are out of the normal range, predicts and provides a reduced pipe lif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immediately before they are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pressure values and the flow rate values immediately after they are out of the normal range;
A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water quality prediction unit that receives the slope value of each water quality value received from the pipe life data processing unit, expresses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as a third graph, and, if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on the third graph is out of the normal range, predicts and provides a water quality grade indicating how bad the water quality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quality value immediately before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water quality value immediately after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Water supply network intelligence server.
상수관망 지능화 서버에서 실행되는 상수관망 지능화 방법에 있어서,
상수도 본부 서버 및 개방형 정보 취득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중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값을 가공하여 누수 예측 가공데이터를 생성하여 단계;
상기 데이터 중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가공하여 관로 수명 예측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데이터 중 상기 관로의 수질 값을 가공하여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생성된 누수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로 수명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하고, 상기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중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 값을 가공하여 누수 예측 가공데이터를 생성하여 단계는
누수 계측기의 감도 현황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거나 제1 그래프를 분석하여 파형이 존재하는 경우 주기 단위로 나누어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룹 각각의 바이오 임피던스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중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가공하여 관로 수명 예측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관로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하고, 제1 그래프 중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특정 개수 단위로 분할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을 평균화하여 산출된 평균값을 그룹에 해당하는 위치에 제2 그래프로 표시하고, 상기 제2 그래프를 분석하여 가장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데이터 중 상기 관로의 수질 값을 가공하여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수질 값을 제1 그래프로 표시한 상기 제1 그래프를 특정 단위로 나눈 후 그룹핑하여 복수의 그룹을 생성하고, 복수의 그룹 각각에 대해서 해당 그룹의 수질 값을 평균화하여 제2 그래프로 표시한 후 제2 그래프의 제1 그룹 및 제2 그룹 각각에서 추출된 기울기 값을 비교하여 기울기 차이 값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기울기 차이 값이 특정 값 이하이면 제1 그룹 및 제2 그룹을 병합한 후 제1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및 제2 그룹에서 추출된 가장 큰 기울기 값 중 더 큰 기울기 값을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생성된 누수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누수 가능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관로 수명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관로 수명을 예측하고, 상기 수질 예측 가공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관로의 수질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감도 현황 값의 기울기를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상기 제3 그래프를 분석하여 감도 현황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감도 현황 값 및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감도 현황 값을 비교하여 차이 감도 현황 값이 특정 값 이상이면 누수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여 관리자 단말에 알림 메시지를 제공하는 단계;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을 수신하고,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 각각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 상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압력 값 및 유량 값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압력 값 및 유량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줄어든 관로 수명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단계;
수질 값 각각의 기울기 값을 수신하고,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을 제3 그래프로 표현하며, 제3 그래프 상의 수질 값의 기울기 값이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정상 범위를 벗어나기 직전의 수질 값과 정상 범위를 벗어난 직후의 수질 값 사이의 차이에 따라 수질이 어느 정도로 나쁜지 수질 등급을 예측하여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관망 지능화 방법.
In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method executed on a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ce server,
A step of receiving data from a waterworks headquarters server and an open information acquisition server;
Step 1: Processing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of the water leak meter among the above data to generate water leak prediction processing data;
A step of processing the pressure value and flow rate value of the pipeline among the above data to generate pipeline life prediction processing data;
A step of processing the water quality value of the pipeline among the above data to generat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ing data;
It includes a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leak using the generated leak prediction processing data, predicting the life of the pipeline using the pipeline life prediction processing data, and determining the water quality status of the pipeline using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ing data.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of the water leak meter among the above data is processed to generate water leak prediction processing data.
A step of displaying the sensitivity status of a water leak meter as a first graph, dividing the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ing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or analyzing the first graph, dividing it into periodic units if a waveform exists, and then grouping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A step of averaging the bio-impedance values of each of the above multiple groups, displaying the average value calculated as a second graph at a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group, analyzing the second graph, comparing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calculating the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difference in slop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the step of merging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then extracting and providing a larger slope value among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The step of generating pipeline life prediction processing data by processing the pipeline pressure and flow rate values among the above data is
A method of producing a ...
The step of processing the water quality value of the pipe among the above data to generat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ing data
A step of dividing the first graph, which displays the water quality values as a first graph, into specific units and then grouping them to create multiple groups, averaging the water quality values of each group for each of the multiple groups and displaying them as a second graph, and then comparing the slope values extracted from each of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of the second graph to calculate a slope difference value; and
If the above-mentioned difference in slope value is less than or equal to a specific value, the step of merging the first group and the second group and then extracting and providing a larger slope value among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first group and the largest slope value extracted from the second group,
The step of determining whether there is a possibility of a leak using the generated leak prediction processing data, predicting the life of the pipeline using the pipeline life prediction processing data, and determining the water quality status of the pipeline using the water quality prediction processing data is provided.
A step of expressing the slope o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as a third graph, analyzing the third graph, and if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deviates from the normal range, comparing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before deviating from the normal range and the sensitivity status value immediately after deviating from the normal range, and determining that a leak has occurred if the difference sensitivity status value is greater than a specific value, and providing a notification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A step of receiving a slope value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expressing each of the slope values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as a third graph, and if the slope value of each of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on the third graph is out of the normal range, predicting and providing a reduced pipe life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immediately before going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pressure value and the flow rate value immediately after going out of the normal range;
A method for receiving a slope value of each water quality value, expressing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as a third graph, and, if the slope value of the water quality value on the third graph is out of the normal range, predicting and providing a water quality grade indicating how bad the water quality is based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water quality value immediately before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and the water quality value immediately after it is out of the normal range.
Method for making water supply networks intelligent.
KR1020220158283A 2022-11-23 2022-11-23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Active KR10274735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283A KR102747356B1 (en) 2022-11-23 2022-11-23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8283A KR102747356B1 (en) 2022-11-23 2022-11-23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877A KR20240076877A (en) 2024-05-31
KR102747356B1 true KR102747356B1 (en) 2024-12-27

Family

ID=91330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8283A Active KR102747356B1 (en) 2022-11-23 2022-11-23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7356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28B1 (en) *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System for diagnosing performance of water supply network
KR102101625B1 (en)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3424B1 (en) * 2006-07-10 2009-04-17 임철식 Performance Evaluation and Maintenance Improvement Planning Establishment System and Method of Aged Road Water Supply Network
KR20100003282U (en) 2008-09-16 2010-03-25 김원수 Drainage Pipe for Drainage Diagnosis
KR101382231B1 (en) 2012-11-15 2014-04-17 주식회사 한국빅텍 Leak sensing system
KR20140063380A (en) 2013-05-27 2014-05-27 주식회사 한국빅텍 Leakage diagnosis system using noise level and distribu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3828B1 (en) * 2012-04-04 2013-07-15 한국수자원공사 System for diagnosing performance of water supply network
KR102101625B1 (en) * 2019-11-27 2020-04-17 (주)케이엠에스 ICT integrated monitoring water management system for smart water city construction, and integrated control server for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877A (en) 2024-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84873B (en) Water supply network real-time leakage detection method, device, system and storage medium
TWI391803B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resources in a water utility network
CN116482227B (en) Pipeline corrosion monitoring method, device and system
KR101283828B1 (en) System for diagnosing performance of water supply network
CN102235575B (en) Data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checking pipeline leakage
Laucelli et al. Detecting anomalies in water distribution networks using EPR modelling paradigm
US1189870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echanical failure classification, condition assessment and remediation recommendation
CN113065721B (en) Classified early warn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medium for community water supply network leakage incidents
EP3112823A1 (en) System for monitoring a utility network
CN103953098B (en) pipe network leakage monitoring method
Romano et al. Statistical process control based system for approximate location of pipe bursts and leak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WO2020153903A1 (en)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a gas distribution network operating at low pressure
JP2014510261A (en) System and method for identifying potential geographic locations in a waterworks network
CN112883538A (en) Corrosion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for buried crude oil pipeline
Özdemir Water leakage management by district metered areas at water distribution networks
KR102626331B1 (en) Pipe anomaly recording apparatus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 same
Bozkurt et al. Development of a new comprehensive framework for the evaluation of leak management components and practices
JP7482486B2 (en) Pipeline anomaly detection system, estimation device, learning model generation device, pipeline anomaly detection device, pipeline anomaly detection method, estimation method, and learning model generation method
KR10278810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ecasting flood
CN116562694A (en) Sewage pipeline dynamic health evaluation method and system based on hydraulic model
KR102747356B1 (en) Water pipe network intelligent system using water digital twin abd apparatus performing thereof
CN116906837B (en) State monitoring system and monitoring method for underground pipeline
CN118031138A (en) Positioning method for leaking pipe section in urban sewage pipe network
Machell et al. Online data processing for proactive UK water distribution network operation
Romano Near real-time detection and approximate location of pipe bursts and other events in water distribution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23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