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135B1 -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 Google Patents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135B1
KR102747135B1 KR1020220029048A KR20220029048A KR102747135B1 KR 102747135 B1 KR102747135 B1 KR 102747135B1 KR 1020220029048 A KR1020220029048 A KR 1020220029048A KR 20220029048 A KR20220029048 A KR 20220029048A KR 102747135 B1 KR102747135 B1 KR 1027471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rbon dioxide
dme
heating means
hydroge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9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2644A (ko
Inventor
조원준
조원재
이영수
이제설
유혜진
이준우
변현승
주영준
이정일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프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프랜즈 filed Critical (주)바이오프랜즈
Priority to KR10202200290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135B1/ko
Priority to PCT/KR2022/009135 priority patent/WO2023171856A1/ko
Publication of KR20230132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2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1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1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7Pressure swing ad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 B01D53/228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diffusion characterised by specific membr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00Hydrogen; Gaseous mixtures containing hydrogen; Separation of hydrogen from mixtures containing it; Purification of hydrogen
    • C01B3/0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 C01B3/32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 C01B3/34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 C01B3/38Production of hydrogen or of gaseous mixtures containing a substantial proportion of hydrogen by reaction of gaseous or liquid organic compounds with gasifying agents, e.g. water, carbon dioxide, air by reaction of hydrocarbons with gasifying agents using catalys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 H01M8/0606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 H01M8/0612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reactants or for treatment of residues with means for production of gaseous reactants from carbon-containing material
    • H01M8/0618Reforming processes, e.g. autothermal, partial oxidation or steam re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205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 C01B2203/0227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 C01B2203/0233Processe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reforming step containing a catalytic reforming step the reforming step being a steam reforming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05Purification by membrane sepa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4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containing a purification step for the hydrogen or the synthesis gas
    • C01B2203/042Purification by adsorption on sol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0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 C01B2203/066Integration with other chemical processes with fuel ce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Feeding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205Composition of the feed
    • C01B2203/1211Organic compounds or organic mixtures used in the process for making hydrogen or synthesis ga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203/00Integrated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hydrogen or synthesis gas
    • C01B2203/14Details of the flowsheet
    • C01B2203/146At least two purification steps in series
    • C01B2203/147Three or more purification steps in s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10Fuel cell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40Combination of fuel cells with other energy production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ME(dimethyl ether)를 원료로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산하여 스마트 농장에 비료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DME 개질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특히 C02의 발생을 최소화한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DME REFORMING SYSTEM FOR SMART FARMING AND POWER PLANT}
본 발명은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ME(dimethyl ether)를 원료로 수소를 생산하고, DME 개질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특히 C02의 발생을 최소화한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환경 친화적인 에너지원 개발은 이제 전 세계적인 추세로 여러 나라에서 신 에너지 기술개발에 관한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추진 중에 있다. 구체적으로, 신 에너지기술 개발 시스템 기술 향상, 배출가스 제어기술 향상, 청정에너지 변환 등 환경친화적인 시스템 개발에 초점을 이루고 있다.
그 중에서도 청정에너지인 천연가스를 활용하여 다른 에너지원으로 전환하는 기술이 신연료 에너지 개발을 위해 가능성이 높이 평가되고 있고, 이중 하나가 다양한 원료(천연가스, 매립지가스, 바이오가스, 바이오매스, 석탄 등)로부터 제조한 디메틸에테르(dimethyl ether; DME)이다.
다양한 원료로부터 제조한 DME는 최근 수송에너지(연료)로서 각광을 받고 있는데 연료로서 천연가스의 물리·화학적 단점을 대부분 보완할 수 있는 특성을 갖추고 있어서 중요한 차세대 연료로서 주목받고 있다.
DME는 친환경 에너지원으로서, 병원, 농장 등 환경적인 이슈에 민감한 지역 또는 기관에서 활용될 수 있다. DME는 다양한 방법으로 에너지원으로서 활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연소되어 에너지로 변환될 수도 있고, 다른 형태로 변환되어 에너지원으로 활용될 수도 있다.
DME는 스마트 농장 등에 적용되어, 친환경 에너지로서 농장 운용에 요구되는 에너지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이때, DME를 활용하는 것에 있어서, DME의 에너지 변환 과정에서 오염 물질 생성을 최대한 배제하고, 고효율의 활용 가능한 기술 개발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ME(dimethyl ether)를 원료로 수소를 생산하고, DME 개질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특히 C02의 발생을 최소화한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DME를 개질하여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DME 개질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에 DME를 공급하는 DME 공급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의 수소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연료 전지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의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 및
상기 DME 개질 유니트에 마련되는 전기 가열부에 전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니트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DME 개질 유니트는, 상기 DME 공급 유니트 및 상기 워터 공급 유니트 각각으로부터 DME와 물을 공급받은 후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생성하는 혼합 가스 생성부; 상기 혼합 가스 생성부로부터 혼합 가스를 전달받아 가열하는 예열부; 내부에 촉매가 마련되고 상기 예열부로부터 혼합 가스를 전달받아 개질 반응을 통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 열을 공급하는 상기 전기 가열부; 및 상기 반응부로부터 혼합 상태의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전달받아 서로 분리하여 각각 상기 수소 출력 라인과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으로 배출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반응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촉매가 마련되는 반응 튜브와, 상기 반응 튜브의 중심축으로 따라 형성되는 가열 수단 삽입관과, 상기 반응 튜브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혼합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반응 튜브의 타단부에 위치하며 수소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전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수단 삽입관에 삽입되는 제1 가열 수단과, 상기 반응 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가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응 튜브의 외주면을 덮는 커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제1 가열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은 IR 히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전원 공급 유니트는 풍력발전 시스템, 수력발전 시스템, 조력발전 시스템, 파력발전 시스템,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지열발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는,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정제하는 제1 정제부; 및 상기 제1 정제부에서 정제된 가스를 전달받아 이산화탄소를 한번 더 정제하는 제2 정제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제1 정제부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멤브레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정제부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제2 정제부는 압력변동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정제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는, 상기 제1 정제부에서 분리된 수소를 상기 수소 출력 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 수소 회수 유로; 및 상기 제2 정제부에서 분리된 수소를 상기 수소 출력 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 수소 회수 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DME(dimethyl ether)를 원료로 수소를 생산하고, DME 개질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특히 C02의 발생을 최소화한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DME(dimethyl ether)를 원료로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산하여 스마트 농장에 비료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DME 개질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특히 C02의 발생을 최소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수소 형태로 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오염 물질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수소 생산에 있어서 열원을 친환경 에너지로 구동되는 디바이스를 사용함으로써, 열원에 의한 오염 물질 생성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효과적으로 분리하여, 각각의 자원 활용도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DME 개질 유니트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반응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반응부에 제1 가열 수단 및 제2 가열 수단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반응부에 커버 수단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버 수단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측", "외측", “일면”, “타면” 등이 지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 또는 평소에 본 발명 제품을 사용할 시 배치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본 발명의 설명과 간략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표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제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DME 개질 유니트(1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반응부(130)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A-A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반응부(130)에 제1 가열 수단(141) 및 제2 가열 수단(142)이 배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B-B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는 반응부(130)에 커버 수단(143)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커버 수단(143)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DME(dimethyl ether)를 원료로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생산하여 스마트 농장(11)에 비료와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고, DME 개질 과정에서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특히 C02의 발생을 최소화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환경 오염물질의 발생 및 접근에 민감한 스마트 농장(11)에 오염물질의 발생없이 DME를 원료로 시비와 전력 공급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DME(dimethyl ether)를 개질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DME 스팀 개질을 통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것일 수 있다. DME 스팀 개질은 메탄 스팀 개질보다 훨씬 낮은 온도에서 수소를 생산하는 것이 가능한 것일 수 있다.
DME 스팀 개질은 우선 DME의 가수분해 반응을 통해 메탄올(CH3OH)를 만들고,다시 그렇게 만든 메탄올을 스팀 개질 반응을 통해 CO2와 H2로 분리하는 것일 수 있다. 더하여, 발생물 중 남은 CO와 스팀을 일산화탄소 전환 반응기에서 CO2와 H2로 전환시키는 WGSR(Water Gas Shift Reaction)반응으로 수소를 추가로 생산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DME를 개질하여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DME 개질 유니트(100);
상기 DME 개질 유니트(100)에 DME를 공급하는 DME 공급 유니트(200);
상기 DME 개질 유니트(100)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 유니트(300);
상기 DME 개질 유니트(100)의 수소 출력 라인(180)에 연결되는 연료 전지 유니트(400);
상기 DME 개질 유니트(100)의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190)에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500);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500)에서 출력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600); 및
상기 DME 개질 유니트(100)에 마련되는 전기 가열부(140)에 전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니트(70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DME 개질 유니트(100)는, 상기 DME 공급 유니트(200) 및 상기 워터 공급 유니트(300) 각각으로부터 DME와 물을 공급받은 후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생성하는 혼합 가스 생성부(110); 상기 혼합 가스 생성부(110)로부터 혼합 가스를 전달받아 가열하는 예열부(120); 내부에 촉매(131a)가 마련되고 상기 예열부(120)로부터 혼합 가스를 전달받아 개질 반응을 통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반응부(130); 상기 반응부(130)에 열을 공급하는 상기 전기 가열부(140); 및 상기 반응부(130)로부터 혼합 상태의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전달받아 서로 분리하여 각각 상기 수소 출력 라인(180)과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190)으로 배출하는 분리부(15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혼합 가스 생성부(110)는 물과 DME을 혼합하여 기체 상태의 혼합 가스로 만든 후 예열부(120)로 전할 수 있다. 혼합 가스 생성부(110)에는 물과 DME를 기체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 열원이 구비될 수 있다.
예열부(120)는 반응부(130)에서 생성된 생성물을 분리부(150)로 전달하는 유로와 열교환하여 반응부(130)로 주입되는 혼합 가스를 예열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예열부(120)는 반응부(130)로 혼합 가스를 주입하는 입력 유로와 반응부(130)에서 생성된 생성물을 배출하는 출력 유로 사이에 열교환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반응부(1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촉매(131a)가 마련되는 반응 튜브(131)와, 상기 반응 튜브(131)의 중심축으로 따라 형성되는 가열 수단 삽입관(132)과, 상기 반응 튜브(131)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혼합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133)와, 상기 반응 튜브(131)의 타단부에 위치하며 수소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구(134)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반응 튜브(131)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반응 튜브(131)의 중심에는 반응 튜브(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원통형상의 가열 수단 삽입관(132)이 위치하기 때문에, 반응 튜브(131)에서 촉매(131a)가 위치하여 DME가 개질되는 공간은 반응 튜브(13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상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튜브(131)의 양단부 각각에는 주입구(133)와 배출구(134)가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튜브(131)로 주입된 수증기와 DME가 혼합된 혼합 가스는 반응 튜브(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튜브(131) 내부에서 촉매(131a)가 채워지는 영역은 반응 튜브(131)의 양단부에서 일정공간을 제외하여 형성될 수 있다. 주입구(133)와 배출구(134)는 반응 튜브(131) 상에서 촉매(131a)가 채워지지 않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반응 튜브(131)로 주입된 혼합 가스는 반응 튜브(13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링 형상으로 환산된 후, 반응 튜브(13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흐를 수 있다.
반응부(130)는 복수로 마련된 수 있으며, 복수의 반응부(130) 각각은 주입구(133)와 배출구(134)가 서로 연결되어, 직렬로 결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기 가열부(140)는, 상기 가열 수단 삽입관(132)에 삽입되는 제1 가열 수단(141)과, 상기 반응 튜브(131)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가열 수단(142)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14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응 튜브(131)의 외주면을 덮는 커버 수단(143)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열 수단(141) 및 제2 가열 수단(142)은 반응 튜브(13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열 수단(141) 및 제2 가열 수단(142)은 반응 튜브(13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열 수단(141) 및 제2 가열 수단(142)의 양단부는 반응 튜브(131)의 양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 튜브(13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제1 가열 수단(141)은 반응 튜브(131)의 중심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반응 튜브(131)의 중심축과 제1 가열 수단(141)의 중심축을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열 수단(142)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반응 튜브(131)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복수의 제2 가열 수단(142)은 반응 튜브(131)가 형성하는 원 바깥에 위치하고, 반응 튜브(131)가 형성하는 원의 원주를 따라 등 간격을 배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수단(143)은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142)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응 튜브(131)의 외주면을 덮는 것일 수 있다. 커버 수단(143)에는 제2 가열 수단(142)에 대면하는 위치에 오목부(143a)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로 마련되는 제2 가열 수단(142)에 대해서 복수의 오목부(143a)가 마련될 수 있다. 오목부(143a)는 반응 튜브(131)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장홈으로 형성되고, 반응 튜브(131)의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 있어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 수단(143)은 두 개의 커버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각 커버 부재는 반응 튜브(131)의 양측면을 덮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열 수단(141)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142)은 IR 히터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반응부(130)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전지 에너지를 사용하는 IR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히터로 인한 오염물질 발생을 배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의 연소로 열을 공급하는 히터들은 오염물질이 발생하게 되고, 오염물질은 농장과 같은 환경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서 반응부(130)에 열을 공급하는 열원을 전지 에너지를 사용하는 IR 히터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적인 공간에 환경오염물질을 배출하는 악영향을 배제할 수 있다.
분리부(150)는 기액 분리를 통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분리하여 각각 수소 출력 라인(180)과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190)으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전원 공급 유니트(700)는 풍력발전 시스템, 수력발전 시스템, 조력발전 시스템, 파력발전 시스템,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지열발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전원 공급 유니트(700)는 환경오염물질을 생성하지 않는 신재생에너지 시스템 중에서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500)는,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190)과 연결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190)을 통해 전달받은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정제하는 제1 정제부(510); 및 상기 제1 정제부(510)에서 정제된 가스를 전달받아 이산화탄소를 한번 더 정제하는 제2 정제부(520)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정제부(510)와 제2 정제부(520)는 직렬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에 있어서,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500)는 정제된 이산화탄소에 대해서 다종의 방법으로 수소를 다시 분리함으로써, 고순도의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획득 가능하게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제부(510)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멤브레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정제부(520)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정제부(510)에서 멤브레인은 막분리법을 통해 수소를 정제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정제부(520)는 압력변동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정제하는 것일 수 있다. 제2 정제부(520)는 이산화탄소를 흡착제에 흡착시켜 수소와 한번 더 분리한 후, 압력 변동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착제에 분리시켜 따로 수집한 것일 수 있다.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500)는, 상기 제1 정제부(510)에서 분리된 수소를 상기 수소 출력 라인(180)으로 전달하는 제1 수소 회수 유로(511); 및 상기 제2 정제부(520)에서 분리된 수소를 상기 수소 출력 라인(180)으로 전달하는 제2 수소 회수 유로(521)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정제부(510)의 출력 라인으로서 제1 수소 회수 유로(511) 및 제1 이산화탄소 전달 유로(512)가 마련되고, 제2 정제부(520)의 출력 라인으로서 제2 수소 회수 유로(521) 및 제2 이산화탄소 전달 유로(522)가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수소 회수 유로(511) 및 제2 수소 회수 유로(521)는 수소 출력 라인(180)에 연결되고, 제1 이산화탄소 전달 유로(512)는 제2 정제부(520)에 연결되며, 제2 이산화탄소 전달 유로(522)는 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600)에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DME 공급 유니트(200) 및 워터 공급 유니트(300)에는 각각 펌프가 마련되어, DME와 물을 DME 개질 유니트(100)에 공급할 수 있다.
연료 전지 유니트(400)는 연료와 산화제를 전기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서, 수소를 연료로 하고, 산소를 산화제로 하는 연료 전지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연료 전지 유니트(400)는 DME 개질 유니트(100)의 수소 출력 라인(180)과 연결되고, 생성된 전기를 스마트 농장(11)에 공급하는 것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600)는 이산화탄소 정체 유니트로부터 전달받은 이산화탄소가 저장되는 저장 탱크일 수 있다. 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600)에 저장된 이산화탄소를 스마트 농장(11)에 공급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은, DME 스팀 개질을 통해 생성된 수소와 이산화탄소 모두를 활용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수소로부터 전기 에너지를 생성하여 스마트 농장(11) 운용에 요구되는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고, 이산화탄소를 이용하여 작물의 생장을 도울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스마트 농장 100...DME 개질 유니트
110...혼합 가스 생성부 120...예열부
130...반응부 131...반응 튜브
131a...촉매 132...가열 수단 삽입관
133...주입구 134...배출구
140...전기 가열부 141...제1 가열 수단
142...제2 가열 수단 143...커버 수단
143a...오목부 150...분리부
180...수소 출력 라인 190...이산화탄소 출력 라인
200...DME 공급 유니트 300...워터 공급 유니트
400...연료 전지 유니트 500...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
510...제1 정제부 511...제1 수소 회수 유로
512...제1 이산화탄소 전달 유로 520...제2 정제부
521...제2 수소 회수 유로 522...제2 이산화탄소 전달 유로
600...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 700...전원 공급 유니트

Claims (10)

  1. DME를 개질하여 수소 및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DME 개질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에 DME를 공급하는 DME 공급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에 물을 공급하는 워터 공급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의 수소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연료 전지 유니트;
    상기 DME 개질 유니트의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에 연결되는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에서 출력되는 이산화탄소를 저장하는 이산화탄소 저장 유니트; 및
    상기 DME 개질 유니트에 마련되는 전기 가열부에 전기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 유니트를 포함하고,
    상기 DME 개질 유니트는 상기 DME 공급 유니트 및 상기 워터 공급 유니트 각각으로부터 DME와 물을 공급받은 후 혼합하여 혼합 가스를 생성하는 혼합 가스 생성부; 상기 혼합 가스 생성부로부터 혼합 가스를 전달받아 가열하는 예열부; 내부에 촉매가 마련되고 상기 예열부로부터 혼합 가스를 전달받아 개질 반응을 통해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생산하는 반응부; 상기 반응부에 열을 공급하는 상기 전기 가열부; 및 상기 반응부로부터 혼합 상태의 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전달받아 서로 분리하여 각각 상기 수소 출력 라인과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으로 배출하는 분리부를 포함하며,
    상기 반응부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촉매가 마련되는 반응 튜브와, 상기 반응 튜브의 중심축으로 따라 형성되는 가열 수단 삽입관과, 상기 반응 튜브의 일단부에 위치하며 혼합 가스가 주입되는 주입구와, 상기 반응 튜브의 타단부에 위치하며 수소와 이산화탄소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고,
    상기 전기 가열부는 상기 가열 수단 삽입관에 삽입되는 제1 가열 수단과, 상기 반응 튜브의 외주면을 따라 위치하는 복수의 제2 가열 수단과,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반응 튜브의 외주면을 덮는 커버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열 수단 및 상기 복수의 제2 가열 수단은 IR 히터이고,
    상기 제1 가열 수단 및 상기 제2 가열 수단은 상기 반응 튜브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제1 가열 수단 및 상기 제2 가열 수단은 상기 반응 튜브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1 가열 수단 및 상기 제2 가열 수단의 양단부는 상기 반응 튜브의 양단부보다 더 돌출되며,
    상기 제2 가열 수단은 복수로 마련되고,
    상기 반응 튜브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단면 상에서, 복수의 상기 제2 가열 수단은 상기 반응 튜브가 형성하는 원 바깥에 위치하고, 상기 반응 튜브가 형성하는 원의 원주를 따라 등 간격을 배치되며,
    상기 커버 수단은 두 개의 커버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두 개의 커버 부재 각각은 상기 반응 튜브의 양측면 각각을 덮도록 결합되는 것인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 유니트는 풍력발전 시스템, 수력발전 시스템, 조력발전 시스템, 파력발전 시스템, 태양광발전 시스템 및 지열발전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는,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이산화탄소 출력 라인을 통해 전달받은 가스에서 이산화탄소를 정제하는 제1 정제부; 및
    상기 제1 정제부에서 정제된 가스를 전달받아 이산화탄소를 한번 더 정제하는 제2 정제부를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정제부는 이산화탄소와 수소를 분리하는 멤브레인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정제부는 이산화탄소를 흡착하는 흡착제가 구비되는 것인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제부는 압력변동흡착(PSA, pressure swing adsorption)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정제하는 것인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산화탄소 정제 유니트는,
    상기 제1 정제부에서 분리된 수소를 상기 수소 출력 라인으로 전달하는 제1 수소 회수 유로; 및
    상기 제2 정제부에서 분리된 수소를 상기 수소 출력 라인으로 전달하는 제2 수소 회수 유로를 더 포함하는 것인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KR1020220029048A 2022-03-08 2022-03-08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Active KR1027471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48A KR102747135B1 (ko) 2022-03-08 2022-03-08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PCT/KR2022/009135 WO2023171856A1 (ko) 2022-03-08 2022-06-27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9048A KR102747135B1 (ko) 2022-03-08 2022-03-08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2644A KR20230132644A (ko) 2023-09-18
KR102747135B1 true KR102747135B1 (ko) 2024-12-30

Family

ID=8793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9048A Active KR102747135B1 (ko) 2022-03-08 2022-03-08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47135B1 (ko)
WO (1) WO202317185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0104A (ja) 2015-02-26 2016-09-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水素製造装置及び水素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1762B1 (en) * 1998-01-21 2005-05-04 Haldor Topsoe A/S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hydrogen-rich gas
KR20060007574A (ko) * 2004-07-20 2006-01-26 한국화학연구원 분리막 반응기를 이용한 수소의 제조방법
AU2006261881A1 (en) * 2005-06-23 2007-01-04 Grdc, Llc Efficient production of hydrogen
KR20060135391A (ko) * 2005-06-24 2006-1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분무부를 구비한 개질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연료전지시스템
KR100786462B1 (ko) * 2006-05-17 2007-12-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산소 공급기를 사용하는 개질기 및 이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시스템
KR101377077B1 (ko) * 2012-07-30 2014-03-21 (주) 팝스 하이브리드형 수소가스 생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소가스 생산방법
KR20150145412A (ko) * 2014-06-19 2015-12-30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디메틸에테르 수증기 개질반응과 수성가스 전환반응의 촉매 및 그를 이용한 합성가스 제조방법
KR20170034718A (ko) * 2015-09-21 2017-03-29 한국전력공사 복합발전 시스템
KR102323734B1 (ko) * 2019-12-31 2021-11-1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블루수소 생산공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60104A (ja) 2015-02-26 2016-09-05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水素製造装置及び水素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71856A1 (ko) 2023-09-14
KR20230132644A (ko) 2023-09-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25356B (zh) 具有二氧化碳废气利用的零排放发电站
ES2402398T3 (es) Procedimiento e instalación de generación de portador de energía para la compensación neutra en dióxido de carbono de picos de generación y valles de generación en la generación de energía eléctrica y/o para la generación de un portador de energía que contiene hidrocarburo
CN106784940B (zh) 一种固体氧化物燃料电池发电系统
US20160060537A1 (en) Renewable energy storage and zero emission power system
US20190337876A1 (en) Integrated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methanol product
CN104134811B (zh) 一种可以回收利用变压吸附解析气的重整制氢装置及工艺
JPH11322315A (ja) バイオマス利用炭素製造装置
CN114471401B (zh) 基于化学回热氨源部分裂解的布雷顿循环系统及循环方法
WO2016073500A1 (en) Renewable energy storage and zero emission power system
CN104649227B (zh) 基于透氧膜的太阳能综合利用系统
CN107777663B (zh) 一种轻烃制氢和甲醇制氢的耦合方法
US8674532B2 (en) Hybrid concentrated solar combined cycle power plant and solar reformer for use therein
WO2017029189A1 (en) A combined system for producing fuel and thermal energy and a method for poduction of fuel and thermal energy
CN203983407U (zh) 一种可以回收利用变压吸附解析气的重整制氢装置
CN113005475A (zh) 一种基于氨基热化学能储能的太阳能高温电解水耦合制氢的系统及工艺
KR102707471B1 (ko) 난방 및 수소 공급 시스템
KR102747135B1 (ko) 스마트 농장 및 발전소를 위한 dme 개질 시스템
CN118105904B (zh) 一种绿色甲醇的制备系统与制备方法
KR20200048814A (ko) 바이오가스의 열화학적 고질화 시스템
CN112322366A (zh) 一种太阳能生物质混合气化制备天然气的方法
CN211998804U (zh) 甲醇水蒸气与氢混合气一体式超高压制氢系统
KR102118313B1 (ko) 순산소연소발전과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에너지자립시스템
KR20160015588A (ko) 고체산화물셀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7671208B2 (ja) 炭化水素製造システム
CN220685254U (zh) 一种碳氢燃料电解重整制氢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