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7044B1 - 트러스 목교 구조체 - Google Patents

트러스 목교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7044B1
KR102747044B1 KR1020230031230A KR20230031230A KR102747044B1 KR 102747044 B1 KR102747044 B1 KR 102747044B1 KR 1020230031230 A KR1020230031230 A KR 1020230031230A KR 20230031230 A KR20230031230 A KR 20230031230A KR 102747044 B1 KR102747044 B1 KR 10274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horizontal
base
hole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12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37891A (ko
Inventor
이용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어소시에이츠 엘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어소시에이츠 엘작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어소시에이츠 엘작
Priority to KR10202300312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7044B1/ko
Publication of KR20240137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7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704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6/00Truss-type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02Joists; Girders, trusses, or trusslike structures, e.g. prefabricated; Lintels; Transoms; Brac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1/00Material constitution of bridges
    • E01D2101/20Concrete, stone or stone-like material
    • E01D2101/24Concrete
    • E01D2101/26Concrete reinforced
    • E01D2101/28Concrete reinforced prestres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러스 목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크고 고 중량체인 교량 구조물을 설치 현장인 산악 지형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시공 후 교량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로연결부(2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와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연결부(400); 및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구비되는 덮개부(500);를 포함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트러스 목교 구조체 { TRUSS WOODEN BRIDGE STRUCTURE }
본 발명은 트러스 목교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부피가 크고 고 중량체인 교량 구조물을 설치 현장인 산악 지형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시공 후 교량 안전성을 유지하도록, 베이스부, 가로연결부, 세로연결부, 상하연결부 및 덮개부를 포함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교량 구조물은 구조 형태에 따라 거더교, 트러스교, 아치교, 라멘교, 케이블 등으로 나누어 진다. 이들 중 거더교는 철제거더(steel girder) 또는 콘크리트 거더(concrete girder) 등을 수평으로 걸쳐 상부의 하중을 지지하게 하는 경량 구조의 다리이며, 최대 200m 정도의 장스팬이 실현되고 있다. 상기 거더로는 대표적으로 강판(鋼板)과 산형강(山形鋼) 등을 조합하여 I형 단면으로 한 플레이트 거더(plate girder)와, 강판과 콘크리트로 상자형 단면으로 한 상자모양의 거더(box ginder) 등이 있다. 트러스교는 본체를 트러스만으로 구성한 것으로서, 트러스는 부재의 축력에 의해서만 휨모멘트와 전단력에 저항하도록 하고 있어 단면효율이 매우 뛰어나고, 각 부재들 사이에 개방공간을 형성하고 있어 내풍에 대한 안전성이 매우 뛰어나며, 특히 외관을 미려하게 꾸밀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상기 트러스의 구조적 장점과 아울러 외관의 미려함을 위하여 트러스 형상의 거더를 이용한 교량 구조물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
종래의 이런한 교량들은 주거더를 공장 또는 교량가설 현장에서 제작하고, 제작된 주거더를 크레인 등의 가설장치를 이용해서 교각 위에 거치하고, 다음으로 차량 하중에 직접 저항하는 콘크리트 바닥판을 시공하는 과정을 거친다. 이러한 일련의 시공과정에서 주거더는 자중뿐만 아니라 바닥판 및 방호벽 시공에 따른 추가적인 고정하중, 그리고 이후에는 차량하중 등의 각종 사용하중에 대해 저항할 수 있는 구조성능을 지니고 있어야만 한다.
이러한 교량 건설 작업은 일반적인 교량 건설 현장에서도 난이도가 높은 공사에 속하여, 많은 어려움이 극복되어야만 하나의 교량을 완성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고지대나 산악 지형에서 이러한 교량을 설치하는 것은 고하중이고 부피가 큰 교량 부재들을 설치 현장에 이동하는 것에서 부터 어려움이 발생하며, 헬기를 이용하는 경우 착륙지점 근처의 나무 높이 등에 제약이 있어 수목을 제거하여야하는 것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산림자원과 경관자원의 보호 필요성으로 이러한 수목 제거를 통한 운송이 불가능하여, 차량 또는 헬기로 교량부재를 옮긴 후 설치 현장까지 교량부재를 다시 옮기는 실정이다.
이때, 산악 지형으로 인한 사고와 작업자 안전 사고 발생이 빈번하여 이에 대한 해결책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102450호, 발명의 명칭 : 콘크리트 합성강관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 내지는 필요성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부피가 크고 고 중량체인 교량 구조물을 설치 현장인 산악 지형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시공성을 높이고, 시공 후 교량 안전성을 유지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로연결부(2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를 부피와 중량이 적은 소모듈로 사전 제작하여 산악 지형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한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연결부(4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구비되는 덮개부(500)를 각각의 모듈로 분해하여 설치 현장까지의 이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결합부(410)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통공(411)이 형성되는 제 1 베이스면(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 1 하부지지면(413)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1 경사확장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의 대향 위치에는 제 12 경사확장면(415)이 구비되며, 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상기 제 2 결합부(420)가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통공(421), 제 2 베이스면(422), 제 21 경사확장면(424) 및 제 22 경사확장면(425)으로 구비되어 모듈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작업의 표준화가 이루어지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체결바디부(430)는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과 상기 제 21 경사확장면(424)을 서로 이어주는 제 1 바디확장면(431)과 상기 제 12 경사확장면(415)과 상기 제 22 경사확장면(425)을 서로 이어주는 제 2 바디확장면(432)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과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 사이에는 제 1 이격공간(413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중앙에는 제 1 하부결합공(413b)이 구비되어 모듈 자체 하중을 경감하면서도, 내구력은 강화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 1 체결통공(41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과 나란한 장공 방향을 갖는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좌우에는 제 1 고정통공(411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고정통공(411b)의 중심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체결통공(42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 방향과 나란한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12a)의 좌우에 제 2 고정통공(421b)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통동(421b)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어 결합 고정력을 높이며, 좌우 편차 조정이 가능한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 2 기초모듈(120)에 접면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을 서로 고정하도록 상하 길이를 갖는 제 1 가로재체결수단(13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을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에 고정하도록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내면에는 제 1 베이스마찰면(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면(422) 내면에는 제 2 베이스마찰면(4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상면에는 제 1 하부마찰지지면(413c)이 구비되어 지지 내구성을 높이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트러스 목교 구조체는 먼저,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로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연결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구비되는 덮개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410)는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통공(411)이 형성되는 제 1 베이스면(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 1 하부지지면(413)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1 경사확장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의 대향 위치에는 제 12 경사확장면(41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420)는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통공(421), 제 2 베이스면(422), 제 21 경사확장면(424) 및 제 22 경사확장면(425)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부(430)는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과 상기 제 21 경사확장면(424)을 서로 이어주는 제 1 바디확장면(431)과 상기 제 12 경사확장면(415)과 상기 제 22 경사확장면(425)을 서로 이어주는 제 2 바디확장면(4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과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 사이에는 제 1 이격공간(413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중앙에는 제 1 하부결합공(41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통공(41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과 나란한 장공 방향을 갖는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좌우에는 제 1 고정통공(411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고정통공(411b)의 중심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통공(42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 방향과 나란한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12a)의 좌우에 제 2 고정통공(421b)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통동(421b)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 2 기초모듈(120)에 접면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을 서로 고정하도록 상하 길이를 갖는 제 1 가로재체결수단(13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을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에 고정하도록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내면에는 제 1 베이스마찰면(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면(422) 내면에는 제 2 베이스마찰면(4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상면에는 제 1 하부마찰지지면(413c)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제공하여,
첫째, 부피가 크고 고 중량체인 교량 구조물을 설치 현장인 산악 지형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시공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이고, 시공 후 교량 안전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둘째,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로연결부(2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를 부피와 중량이 적은 소모듈로 사전 제작하여 산악 지형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한 효과가 있다.
셋째,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연결부(4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구비되는 덮개부(500)를 각각의 모듈로 분해하여 설치 현장까지의 이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넷째, 상기 제 1 결합부(410)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통공(411)이 형성되는 제 1 베이스면(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 1 하부지지면(413)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1 경사확장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의 대향 위치에는 제 12 경사확장면(415)이 구비되며, 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상기 제 2 결합부(420)가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통공(421), 제 2 베이스면(422), 제 21 경사확장면(424) 및 제 22 경사확장면(425)으로 구비되어 모듈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작업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교량 설치 경제성이 높다.
다섯째, 상기 체결바디부(430)는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과 상기 제 21 경사확장면(424)을 서로 이어주는 제 1 바디확장면(431)과 상기 제 12 경사확장면(415)과 상기 제 22 경사확장면(425)을 서로 이어주는 제 2 바디확장면(432)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과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 사이에는 제 1 이격공간(413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중앙에는 제 1 하부결합공(413b)이 구비되어 모듈 자체 하중을 경감하면서도, 내구력은 강화된다.
여섯째, 상기 제 1 체결통공(41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과 나란한 장공 방향을 갖는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좌우에는 제 1 고정통공(411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고정통공(411b)의 중심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체결통공(42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 방향과 나란한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12a)의 좌우에 제 2 고정통공(421b)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통동(421b)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어 결합 고정력을 높이며, 좌우 편차 조정이 가능하다.
일곱째,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 2 기초모듈(120)에 접면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을 서로 고정하도록 상하 길이를 갖는 제 1 가로재체결수단(13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을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에 고정하도록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내면에는 제 1 베이스마찰면(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면(422) 내면에는 제 2 베이스마찰면(4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상면에는 제 1 하부마찰지지면(413c)이 구비되어 지지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베이스부 및 가로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 내지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상하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베이스부를 더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도 1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베이스부 및 가로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 내지 10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상하연결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덮개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2 및 1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의 베이스부를 더 자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본원 발명의 일 실시 예와 관련된 트러스 목교 구조체는 먼저,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부(100)는 현장에서 콘크리트 타설 작업으로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제 1,2 기초모듈(110,120)이 사전에 캐스팅되어 설치 현장에 이송되어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가로연결부(200)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의 높낮이와 각 가로재모듈 사이의 폭 간격은 현장 여견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가 구성되는데, 상기 세로연결부(300)은 상부, 하부 또는 상하 양쪽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상하연결부(400)가 구성된다.
여기에,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상부에는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형성되는 덮개부(500)가 구성되어 교량을 완성하는데 상기 판재(510)는 방부목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1 결합부(410)는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통공(411)이 형성되는 제 1 베이스면(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 1 하부지지면(413)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1 경사확장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의 대향 위치에는 제 12 경사확장면(415)이 구비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마주보며 1 조로 결합되는 모듈이 연접 결합되어 삼각형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다.
또 이때, 상기 제 2 결합부(420)는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통공(421), 제 2 베이스면(422), 제 21 경사확장면(424) 및 제 22 경사확장면(425)으로 구비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체결바디부(430)는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과 상기 제 21 경사확장면(424)을 서로 이어주는 제 1 바디확장면(431)과 상기 제 12 경사확장면(415)과 상기 제 22 경사확장면(425)을 서로 이어주는 제 2 바디확장면(432)가 구비되어 각 파이프 또는 원통 파이프 대비 경량화를 이루되, 경량화로 인한 구조 안정성이 저해되는 것을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과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 사이에는 제 1 이격공간(413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중앙에는 제 1 하부결합공(413b)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 1 체결통공(41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과 나란한 장공 방향을 갖는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좌우에는 제 1 고정통공(411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고정통공(411b)의 중심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어 결합 하중과 보행자 등 교량 이동 하중을 분산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 2 체결통공(42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 방향과 나란한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12a)의 좌우에 제 2 고정통공(421b)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통동(421b)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어 전술된 하중을 상하좌우에서 고르게 분산시키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 2 기초모듈(120)에 접면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을 서로 고정하도록 상하 길이를 갖는 제 1 가로재체결수단(13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을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에 고정하도록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내면에는 제 1 베이스마찰면(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면(422) 내면에는 제 2 베이스마찰면(4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상면에는 제 1 하부마찰지지면(413c)이 구비되어 결합력을 증진하고 최종적으로 상기 베이스부(100)을 통해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과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을 상호 결합시키는 체결고정부재(15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체결고정부재(150)의 하부는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에 매립되어 구비되고, 상부는 상기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와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체결고정부재(150)는 하광상협의 형상으로 구비되는 고정저부(151)와, 상기 고정저부(151)에서 상부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고정본체(152)와, 상기 고정본체(152)의 상단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을 지지하는 기초모듈지지면(153)과, 상기 기초모듈지지면(153)의 상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의 저면을 지지하는 체결수단지지면(154)과, 상기 체결수단지지면(154)의 상단에 구비되어 상기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과 결합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결합돌출(155)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기초모듈지지면(153)과 상기 체결수단지지면(154)의 사이에는 제 2 이격공간(156)이 형성되어 상기 가로연결부로부터 전해지는 가압력을 상기 체결수단지지면(154)이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상기 고정본체(152)와 상기 결합돌출(155)의 외주면에는 각각 제 1 결합라인(152a)과 제 2 결합라인(155a)이 더 구비되어 베이스부 또는 가로연결부의 상호 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 개로 구비되는 상기 가로연결부(200)에 있어서, 양단에 구비되는 상기 가로연결부(200)의 너비는 W1로 구비되고, 그 외에 상기 가로연결부(200)의 너비는 W2로 구비되되, W1는 W2보다 크게 형성되어 목교에 가압되는 하중을 용이하게 분산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원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트러스 목교 구조체를 이용하면, 부피가 크고 고 중량체인 교량 구조물을 설치 현장인 산악 지형에서 간편하고 안전하게 이동하여 시공의 안전성과 경제성을 높이고, 시공 후 교량 안전성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으며,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로연결부(2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를 부피와 중량이 적은 소모듈로 사전 제작하여 산악 지형 이동이 편리하고 안전하며,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연결부(400)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구비되는 덮개부(500)를 각각의 모듈로 분해하여 설치 현장까지의 이송이 안전하게 이루어지며, 상기 제 1 결합부(410)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통공(411)이 형성되는 제 1 베이스면(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 1 하부지지면(413)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1 경사확장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의 대향 위치에는 제 12 경사확장면(415)이 구비되며, 이에 대응되는 구조로 상기 제 2 결합부(420)가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통공(421), 제 2 베이스면(422), 제 21 경사확장면(424) 및 제 22 경사확장면(425)으로 구비되어 모듈의 경량화를 도모하고, 작업의 표준화가 이루어져 교량 설치 경제성이 높아지며, 상기 체결바디부(430)는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과 상기 제 21 경사확장면(424)을 서로 이어주는 제 1 바디확장면(431)과 상기 제 12 경사확장면(415)과 상기 제 22 경사확장면(425)을 서로 이어주는 제 2 바디확장면(432)가 구비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과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 사이에는 제 1 이격공간(413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중앙에는 제 1 하부결합공(413b)이 구비되어 모듈 자체 하중을 경감하면서도, 내구력이 강화되고, 상기 제 1 체결통공(41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과 나란한 장공 방향을 갖는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좌우에는 제 1 고정통공(411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고정통공(411b)의 중심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고 이에 대응되는 상기 제 2 체결통공(42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 방향과 나란한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12a)의 좌우에 제 2 고정통공(421b)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통동(421b)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어 결합 고정력을 높이며, 좌우 편차 조정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 2 기초모듈(120)에 접면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을 서로 고정하도록 상하 길이를 갖는 제 1 가로재체결수단(13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을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에 고정하도록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내면에는 제 1 베이스마찰면(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면(422) 내면에는 제 2 베이스마찰면(4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상면에는 제 1 하부마찰지지면(413c)이 구비되어 지지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가 기대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도응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 되어야 될 것이다.
100 ... 베이스부
110 ... 제 1 기초모듈
120 ... 제 2 기초모듈
130 ... 제 1 가로재체결수단
140 ... 제 2 가로재체결수단
200 ... 가로연결부
210 ... 제 1 가로재모듈
220 ... 제 2 가로재모듈
300 ... 세로연결부
310 ... 제 1 세로연결재
320 ... 제 2 세로연결재
400 ... 상하연결부
410 ... 제 1 결합부
411 ... 제 1 체결통공
411a ... 제 1 위치조절장공
411b ... 제 1 고정통공
412 ... 제 1 베이스면
412a ... 제 1 베이스마찰면
413 ... 제 1 하부지지면
413a ... 제 1 이격공간
413b ... 제 1 하부결합공
413c ... 제 1 하부마찰지지면
414 ... 제 11 경사확장면
415 ... 제 12 경사확장면
420 ... 제 2 결합부
421 ... 제 2 체결통공
421a ... 제 2 위치조절장공
421b ... 제 2 고정통공
422 ... 제 2 베이스면
422a ... 제 2 베이스마찰면
423 ... 제 2 하부지지면
424 ... 제 21 경사확장면
425 ... 제 22 경사확장면
430 ... 체결바디부
431 ... 제 1 바디확장면
431 ... 제 2 바디확장면
500 ... 덮개부
510 ... 판재
H1 ... 제 1 높이
H2 ... 제 2 높이

Claims (5)

  1. 교량의 양단에 제 1 높이(H1) 위치를 갖는 제 1 기초모듈(110)과 상기 제 1 높이(H1) 보다 높은 제 2 높이(H2)로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보다 교량 중심에서 먼 위치에 연접 배치되는 제 2 기초모듈(1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베이스부(100);
    상기 제 1 기초모듈(11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상부에서 상기 제 2 기초모듈(120) 사이를 서로 연결하도록 배치되는 제 2 가로재모듈(220)이 복수 개로 구비되는 가로연결부(200);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1 세로연결재(310)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 사이를 상기 베이스부(100)와 평행하게 서로 연결하는 제 2 세로연결재(320)이 소정 간격을 이루며 배치되는 세로연결부(300);
    일단은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결합부(410)가 구비되고, 타단은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에 체결되는 제 2 결합부(420)가 구비되며 상기 제 1,2 결합부(410,420)를 상하로 경사지게 일체로 연결하는 체결바디부(430) 다수 개가 지그재그 형상으로 상기 가로연결부(200)를 연결 고정하도록 구비되는 상하연결부(400); 및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 사이를 가르지르는 다수의 판재(510)로 구비되는 덮개부(500);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결합부(410)는,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에 체결되는 제 1 체결통공(411)이 형성되는 제 1 베이스면(412)이 구비되고,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하부에서 내측 방향으로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의 하부면 일부를 지지하도록 제 1 하부지지면(413)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후방에서 상기 제 2 결합부(430) 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제 11 경사확장면(414)이 형성되고,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의 대향 위치에는 제 12 경사확장면(415)이 구비되며,
    상기 제 2 결합부(420)는,
    상기 제 1 결합부(410)와 대응되도록 제 2 체결통공(421), 제 2 베이스면(422), 제 21 경사확장면(424) 및 제 22 경사확장면(425)으로 구비되며,
    상기 체결바디부(430)는,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과 상기 제 21 경사확장면(424)을 서로 이어주는 제 1 바디확장면(431)과 상기 제 12 경사확장면(415)과 상기 제 22 경사확장면(425)을 서로 이어주는 제 2 바디확장면(43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과 상기 제 11 경사확장면(414) 사이에는 제 1 이격공간(413a)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중앙에는 제 1 하부결합공(413b)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통공(41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과 나란한 장공 방향을 갖는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좌우에는 제 1 고정통공(411b)이 각각 구비되되,
    상기 제 1 고정통공(411b)의 중심 높이는 상기 제 1 위치조절장공(41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며,
    상기 제 2 체결통공(421)은,
    중앙에는 상기 가로연결부(200) 진행 방향과 나란한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이 배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12a)의 좌우에 제 2 고정통공(421b)이 각각 배치되되, 상기 제 2 고정통동(421b)의 중심 위치가 상기 제 2 위치조절장공(421a)의 중심 위치보다 더 높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100)는,
    상기 제 2 기초모듈(120)에 접면되어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과 상기 제 2 가로재모듈(220)을 서로 고정하도록 상하 길이를 갖는 제 1 가로재체결수단(130)이 소정 간격으로 구비되며,
    상기 제 1 가로재모듈(210)을 상기 제 1 기초모듈(110)의 상면에 고정하도록 제 2 가로재체결수단(140)이 구비되며,
    상기 제 1 베이스면(412)의 내면에는 제 1 베이스마찰면(41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2 베이스면(422) 내면에는 제 2 베이스마찰면(422a)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하부지지면(413)의 상면에는 제 1 하부마찰지지면(413c)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러스 목교 구조체.

KR1020230031230A 2023-03-09 2023-03-09 트러스 목교 구조체 Active KR10274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230A KR102747044B1 (ko) 2023-03-09 2023-03-09 트러스 목교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1230A KR102747044B1 (ko) 2023-03-09 2023-03-09 트러스 목교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7891A KR20240137891A (ko) 2024-09-20
KR102747044B1 true KR102747044B1 (ko) 2024-12-26

Family

ID=9292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31230A Active KR102747044B1 (ko) 2023-03-09 2023-03-09 트러스 목교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704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3757B1 (ko) * 2001-05-04 2004-03-22 원대연 프리스트레스트 합성 트러스 보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109665B1 (ko) * 2010-02-24 2012-02-06 이승수 트러스에 플레이트 거더를 결합한 혼합 트러스교량
KR101102450B1 (ko) 2011-06-10 2012-01-05 고재욱 콘크리트 합성강관 트러스 빔 및 이를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7891A (ko) 2024-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3152283B (zh) 路桥预制小箱梁式隐盖梁的大胯径支承体系的施工方法
CN105780989B (zh) 一种双梁楼盖结构
KR101366903B1 (ko) 트러스 단면을 갖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및 육교 시공 방법
KR102035492B1 (ko) 세미 사장교 구조
US5152112A (en) Composite girder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same
KR100569028B1 (ko) 박스형 가설교량
KR101825587B1 (ko) 공장제작형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박스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CN113863114B (zh) 一种公铁同层非对称布置的斜拉桥
CN111827079A (zh) 带挑臂的公铁两用箱桁组合梁桥
KR101536659B1 (ko) 프리스트레스 철골합성 구조물
KR102747044B1 (ko) 트러스 목교 구조체
KR101682010B1 (ko) 좌굴 방지 기능이 강화된 현장 조립구조의 거더
KR102641650B1 (ko) 경량모듈식 교량 및 그 시공방법
KR101274990B1 (ko) 중간가로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레이트 거더교
KR100634344B1 (ko) 합성바닥판 및 그 연결구조
KR102408862B1 (ko) 박스 모듈을 이용한 거더교
CN215482228U (zh) 一种公铁合建三片主桁无横联钢桁梁
KR101765845B1 (ko) 공장 제작된 콘크리트 데크를 이용한 i형 강재거더 교량의 시공방법.
KR20090048671A (ko) 강상판 블럭을 이용한 가설교량
KR101635523B1 (ko) 복합 원형 트러스교
CN216007793U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支撑结构
CN210421390U (zh) 装配式钢结构-混凝土混合结构体系和低层住宅建筑
KR101451066B1 (ko) 조립식 트러스 거더 및 그 시공방법
CN113481885A (zh) 一种桥梁用工字钢加固梁的构造方法
CN218990664U (zh) 一种混凝土轻钢组合结构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0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