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6517B1 -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 Google Patents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6517B1
KR102746517B1 KR1020230036184A KR20230036184A KR102746517B1 KR 102746517 B1 KR102746517 B1 KR 102746517B1 KR 1020230036184 A KR1020230036184 A KR 1020230036184A KR 20230036184 A KR20230036184 A KR 20230036184A KR 102746517 B1 KR102746517 B1 KR 10274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housing
support member
bobbin
len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3618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042687A (en
Inventor
이갑진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361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6517B1/en
Publication of KR202300426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42687A/en
Priority to KR1020240187210A priority patent/KR2025000342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6517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5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 H04N23/687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mechanical compensation by shifting the lens or sensor posi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G03B13/16Viewfinders combined with focusing aid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Focusing arrangements of general interest for cameras, projectors or printers
    • G03B3/10Power-operated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2Motion detection based on additional sensors, e.g. acceleration senso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05/00Adjustment of optical system relative to image or object surface other than for focusing
    • G03B2205/0053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 G03B2205/0069Driving means for the movement of one or more optical element using electromagnetic actuators, e.g. voice co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 Adjustment Of Camera Lense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측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 상기 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해, 손떨림 보정된 영상의 외곽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ens driving unit including: a bobbin accommodating a lens module inside; a first driving unit located in the bobbin; a first housing located outside the bobbin; a second driving unit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and moving the first driving un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driving unit; a third driving unit moving the second driving un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housing located outside the first housing; a first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mage distortion occurring at the periphery of a shake-corrected image can be minimized.

Description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본 실시예는 렌즈 구동 유닛,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embodiment relates to a lens driving unit,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device.

각종 휴대단말기의 보급이 널리 일반화되고,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상용화됨에 따라 휴대단말기와 관련된 소비자들의 요구도 다양화되고 있어 다양한 종류의 부가장치들이 휴대단말기에 장착되고 있다.As various types of mobile terminals become more widespread and wireless Internet services become commercialized, consumer demands related to mobile terminals are also diversifying, and various types of additional devices are being installed in mobile terminals.

그 중에서 대표적인 것으로 피사체를 사진이나 동영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이 있다.A representative example among them is a camera module that captures a subject as a photo or video.

한편, 근래에는 오토 포커스(Auto Focus, AF)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을 갖춘 카메라 모듈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카메라 모듈은 렌즈를 좌우로 동작하는 시프트(shift) 방식으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그런데, 시프트 방식에 의해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카메라 모듈에서는, 보정된 영상의 외곽에서 이미지가 왜곡되어 문제되고 있다.Meanwhile, camera modules equipped with auto focus (AF) and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unctions have been used recently. Meanwhile, conventional camera modules perform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by shifting the lens left and right. However, in camera modules that perform the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by shifting, the image is distorted at the edges of the corrected image, which is a problem.

(특허문헌 1) WO 2009-139543 A1(Patent Document 1) WO 2009-139543 A1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렌즈를 틸트(tilt) 방식으로 이동시켜 손떨림 보정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it is an object to provide a lens drive unit that performs a shake correction function by moving the lens in a tilt manner.

또한,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및 광학기기를 제공하고자 한다.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provide a camera module and an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lens driving unit.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은, 내측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 상기 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bbin accommodating a lens module inside; a first driving unit positioned in the bobbin; a first housing positioned outside the bobbin; a second driving unit positioned in the first housing and moving the first driving un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driving unit; a third driving unit moving the second driving un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housing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housing; a first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상측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 및 상기 제2하우지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upper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a lower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부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above third driving unit can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riving unit downward.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부의 하면 전체가 상기 제3구동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driving unit can be fixed to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exposed to the third driving unit.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하우징 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The above second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protrude downwards from the first housing.

상기 제2하우징의 하측에 위치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3구동부는 FP 코일로 구비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It further includes a bas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housing, and the third driving unit is equipped with an FP coil and can be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in a state of being mounted on a circuit board.

하부 개방형의 내측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는 커버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further includes a cover member having an inner space of a lower open type and a lower end joined to the base, and the second housing can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부 안착홈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동부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의 외측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above first driving part is positioned in a first driving part mounting groov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being sunken inward,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par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can form a flat surface.

상기 보빈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렌즈 모듈의 광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The above bobbin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movabl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module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하여 틸트가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The above first housing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tiltable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상기 제2구동부는, 제1마그넷, 및 상기 제1마그넷과 이격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제1마그넷과 대향하는 제1코일, 및 상기 제2마그넷과 대향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일 및 상기 제2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magnet and a second magne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the third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coil oppos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opposing the second magnet, and the directions of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can be controlled separately.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상측 제1지지부재와,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제1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may include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lower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상기 제1구동부 및 상기 제3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2구동부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third driving unit may include a coil, and the second driving unit may include a magnet.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측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 상기 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bobbin accommodating a lens module on the inside; a first driving unit positioned in the bobbin; a first housing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 second driving unit positioned in the first housing and moving the first driving un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driving unit; a third driving unit moving the second driving unit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a second housing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a first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본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카메라 모듈은, 내측에 렌즈 모듈을 수용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 상기 보빈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제1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1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하우징; 상기 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main body, a display portion arranged on one surface of the main body to display information, and a camera module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capture images or photographs, wherein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bobbin accommodating a lens module inside thereof; a first driving portion positioned in the bobbin; a first housing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a second driving portion positioned in the first housing and moving the first driving por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first driving portion; a third driving portion moving the second driving portion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portion; a second housing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a first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bobbin and the first housing; and a second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본 발명을 통해, 손떨림 보정된 영상의 외곽에서 발생하는 이미지 왜곡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image distortion occurring at the periphery of a shake-corrected image can be minimized.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의 구성을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핸드폰,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용 스마트 기기, 디지털 카메라,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어떠한 장치도 가능하다.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but is not limited to, a mobile phone, a cell phone, a smart phone, a portable smart device, a digital camera, a laptop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a PMP (Portable Multimedia Player), a navigation device, etc., and any device for taking images or pictures may be us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광학기기는, 본체(미도시)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며 카메라 모듈(미도시)을 갖는 카메라(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An optical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ain body (not shown), a display unit (not shown) arranged on one side of the main body to display information, and a camera (not shown) installed in the main body to take images or photographs and having a camera module (not shown).

이하에서는, 상기 카메라 모듈의 구성을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camera module is described.

카메라 모듈은, 렌즈 구동 유닛(미도시), 렌즈 모듈(10), 적외선 차단 필터(미도시), 인쇄회로기판(미도시), 이미지 센서(미도시),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may include a lens driving unit (not shown), a lens module (10), an infrared blocking filter (not shown), a printed circuit board (not shown), an image sensor (not shown), and a control unit (not shown).

렌즈 모듈(10)은, 한 개 이상의 렌즈(미도시)와, 상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렌즈 모듈(10)의 일 구성이 렌즈 배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한 개 이상의 렌즈를 지지할 수 있는 홀더 구조라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렌즈 모듈(10)은, 렌즈 구동 유닛에 결합되어 렌즈 구동 유닛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렌즈 모듈(10)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유닛과 나사 결합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은, 일례로서 자외선 경화 에폭시에 의해 렌즈 구동 유닛과 접착될 수 있다. 렌즈 모듈(10)은, 일례로서 렌즈 구동 유닛의 내측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1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The lens module (10) may include one or more lenses (not shown) and a lens barrel that accommodates the one or more lenses. However,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module (10) is not limited to the lens barrel, and any holder structure capable of supporting one or more lenses may be used. The lens module (10) is coupled to the lens driving unit and may move together with the lens driving unit. The lens module (10) may be screw-coupled to the lens driving unit, for example. The lens module (10) may be adhered to the lens driving unit by ultraviolet-curing epoxy, for example. The lens module (10) may b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lens driving unit, for example. Meanwhil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10) may be irradiated to an image sensor.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이미지 센서에 적외선 영역의 광이 입사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일례로서 렌즈 모듈(10)과 이미지 센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적외선 차단 필터는 베이스(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으며, 홀더 부재(미도시)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적외선 필터는 베이스의 중앙부에 형성되는 중공홀(미도시)에 장착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필름 재질 또는 글래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적외선 필터는, 일례로서 촬상면 보호용 커버유리, 커버 글래스와 같은 평판 형상의 광학적 필터에 적외선 차단 코팅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될 수 있다.An infrared cut filter can block infrared light from entering an image sensor. The infrared cut filter can be positioned between a lens module (10) and an image sensor, for example. The infrared cut filter can be installed on a base (not shown) and combined with a holder member (not shown). As an example, the infrared filter can be mounted in a hollow hole (not shown) formed in the center of the base. The infrared filter can be formed of a film material or a glass material, for example. Meanwhile, the infrared filter can be formed by coating an infrared cut coating material on a flat optical filter, such as a cover glass for protecting an imaging surface, for example.

인쇄회로기판은 렌즈 구동 유닛을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에는 이미지 센서가 실장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는 렌즈 구동 유닛이 위치하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내측에는 이미지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의 상면 외측에는 센서홀더(미도시)가 결합되고, 상기 센서홀더 위에 렌즈 구동 유닛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구조를 통해, 렌즈 구동 유닛의 내측에 수용된 렌즈 모듈(10)을 통과한 광이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는 이미지 센서에 조사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렌즈 구동 유닛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인쇄회로기판에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가 위치할 수 있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support the lens driving unit. An image sensor can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More specifically, the lens driving unit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part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image sensor can be positioned on the inn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a sensor holder (not shown) can be coupled to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lens driving unit can be coupled on the sensor holder. Through the above structur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10) accommod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lens driving unit can be irradiated to the image sensor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supply power to the lens driving unit. Meanwhile,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lens driving unit can be position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이미지 센서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10)과 광축이 일치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이미지 센서는 렌즈 모듈(10)을 통과한 광을 획득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조사되는 광을 영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는, 일례로서 CCD(charge coupled device, 전하 결합 소자), MOS(metal oxide semi-conductor, 금속 산화물 반도체), CPD 및 CID일 수 있다. 다만, 이미지 센서의 종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image sensor can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The image sensor can be positioned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image sensor is aligned with that of the lens module (10). Through this, the image sensor can obtain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10). The image sensor can output the irradiated light as an image. The image sensor can be, for example, a CCD (charge coupled device), a MOS (metal oxide semi-conductor), a CPD, and a CID. However, the type of the image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제어부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일례로서 렌즈 구동 유닛의 내측에도 위치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을 이루는 구성 각각에 대하여 공급하는 전류의 방향, 세기 및 진폭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렌즈 구동 유닛을 제어하여 렌즈 모듈(10)을 광축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광축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틸트(tilt) 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는 오토 포커스 기능 및 손떨림 보정 기능의 피드백(Feedback)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be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may be located, for example, inside the lens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direction, intensity, amplitude, etc. of the current supplied to each component forming the lens driving unit.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ens driving unit to perform at least one of the auto focus function and the shake correction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That is, the control unit may control the lens driving unit to move the lens module (1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move it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or tilt it. Furthermore, the control unit may perform feedback control of the auto focus function and the shake correction function.

이하에서는,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Below, the configuration of the lens driving unit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단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은,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제2하우징(410), 제3구동부(420), 제1지지부재(600), 및 제2지지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에서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제2하우징(410), 제3구동부(420), 제1지지부재(600), 및 제2지지부재(7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은, 커버 부재(미도시), 베이스(미도시), 오토 포커스용 센서(미도시), 및 손떨림 보정용 센서(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the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 first actuator (200), a second actuator (300), a second housing (410), a third actuator (420), a first support member (600), and a second support member (700). However, in the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t least one of the first actuator (200), the second actuator (300), the second housing (410), the third actuator (420), the first support member (600), and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may be omitted. Meanwhile, the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cover member (not shown), a base (not shown), an autofocus sensor (not shown), and an image stabilization sensor (not shown).

커버 부재는, 렌즈 구동 유닛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 부재는, 하부가 개방된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커버 부재는, 상면과, 상면의 외측으로부터 하측으로 연장되는 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커버 부재는, 베이스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커버 부재와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제1가동자(200), 제2가동자(300), 제2하우징(410), 제3구동부(420), 제1지지부재(600) 및 제2지지부재(70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는, 내측면이 베이스의 측면부 일부 또는 전부와 밀착하여 베이스에 장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커버 부재는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함과 동시에 외부 오염물질 침투방지 기능을 가질 수 있다.The cover member can form the appearance of the lens driving unit. The cover member can have a hexahedral shape with an open bottom.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cover member can include an upper surface and a side surfac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outer side of the upper surface. Meanwhile, the cover member can be mount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In the internal space formed by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a first actuator (200), a second actuator (300), a second housing (410), a third actuator (420), a first support member (600), and a second support member (700) can be positioned.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can be mounted on the base with its inner surface in close contact with part or all of the side surface of the base. Through this structure, the cover member can protect internal components from external impact and at the same time have a function of preventing the penetration of external contaminants.

커버 부재는, 일례로서 금속재로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커버 부재는, 금속의 판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커버 부재는 전파 간섭을 차단할 수 있다. 즉, 커버 부재는, 렌즈 구동 유닛의 외부에서 발생되는 전파가 커버 부재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커버 부재는, 커버 부재 내부에서 발생된 전파가 커버 부재 외측으로 방출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커버 부재의 재질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cover member may be formed of,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More specifically, the cover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plate. In this case, the cover member can block radio interference. That is, the cover member can block radio waves generated outside the lens driving unit from flowing into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In addition, the cover member can block radio waves generated inside the cover member from being emitted outside the cover member. However, the material of the cover member is not limited thereto.

커버 부재는 상면에 형성되어 렌즈 모듈(10)을 노출시키는 개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는, 렌즈 모듈(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개구부의 크기는, 렌즈 모듈(10)이 개구부를 통해 조립될 수 있도록 렌즈 모듈(10)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광이 렌즈 모듈(10)을 통과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10)을 통과한 광은 이미지 센서로 전달될 수 있다.The cover member may include an opening (not shown)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o expose the lens module (10). The opening may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lens module (10). The size of the opening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lens module (10) so that the lens module (10) can be assembled through the opening. In addition, light introduced through the opening may pass through the lens module (10). Meanwhile,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10) may be transmitted to the image sensor.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과 제1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동자(200)는, 카메라 모듈의 구성요소인 렌즈 모듈(10)(단, 렌즈 모듈(10)은 렌즈 구동 유닛의 구성요소로 설명될 수도 있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렌즈 모듈(10)은, 제1가동자(20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가동자(200)의 내주면에 렌즈 모듈(10)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제1가동자(200)는, 제2가동자(300)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렌즈 모듈(10)과 일체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제1가동자(200)는 렌즈 모듈(10)을 이동시킬 수 있다. The first actuator (200) may include a bobbin (210) and a first driving unit (220). The first actuator (200) may be coupled with a lens module (10), which is a component of a camera module (however, the lens module (10) may also be described as a component of a lens driving unit). That is, the lens module (10)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rst actuator (200). In other words,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10) may be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ctuator (200). Meanwhile, the first actuator (200) may move integrally with the lens module (10) through interaction with the second actuator (300). That is, the first actuator (200) may move the lens module (10).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가동자(200)는, 보빈(210)과 결합되는 제1구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ctuator (200) may include a bobbin (210). In addition, the first actuator (20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220) coupled with the bobbin (210).

보빈(210)은 렌즈 모듈(10)과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내측에 렌즈 모듈(10)을 수용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보빈(210)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10)의 외주면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보빈(210)에는 제1구동부(220)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빈(210)의 하부는 하측 제1지지부재(620)와 결합되고, 보빈(210)의 상부는 상측 제1지지부재(610)와 결합될 수 있다. 보빈(210)은, 제1하우징(310)의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보빈(210)은, 제1하우징(310)에 대해 광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 bobbin (210) can be coupled with the lens module (10). The bobbin (210) can accommodate the lens module (10) on the inside. More specifically, the inner surface of the bobbin (210) can be coupled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10). Meanwhile, the first driving unit (220) can be coupled to the bobbin (210).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bobbin (210) can be coupled with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and the upper part of the bobbin (210) can be coupled with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The bobbin (210) can be located on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bobbin (210) can move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10).

보빈(210)은, 내측에 형성되는 렌즈 결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부(211)에는 렌즈 모듈(10)이 결합될 수 있다. 렌즈 결합부(211)의 내주면에는 렌즈 모듈(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형상의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렌즈 결합부(211)의 내주면에 렌즈 모듈(10)의 외주면이 나사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렌즈 모듈(10)의 외주면과 렌즈 결합부(211)의 내주면는 접착제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 에폭시일 수 있다.The bobbin (210) may include a lens coupling portion (211) formed on the inside. A lens module (10) may be coupled to the lens coupling portion (211). A screw thread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thread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10)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coupling portion (211). That is,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10) may be screw-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coupling portion (211). Meanwhile,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module (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ens coupling portion (211) may be coupled by an adhesive. At this time, the adhesive may be an ultraviolet-curable epoxy.

보빈(210)은, 제1구동부(220)가 권선되거나 장착되는 제1구동부 안착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 안착홈은, 보빈(210)의 외측면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구동부 안착홈은, 보빈(210)의 외측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거나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부 안착홈은, 보빈(210)의 외측면 중 일부가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구동부 안착홈에는 제1구동부(220)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구동부 안착홈에 위치한 제1구동부(220)는 제1구동부 안착홈을 형성하는 보빈(210)의 외측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보빈(210)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부 안착홈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구동부(220)의 외측면과 보빈(210)의 외측면은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The bobbin (210) may include a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not shown) in which the first driving unit (220) is wound or mounted.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In addition,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or forme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may be formed by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being sunken.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and the first driving unit (220) positioned in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may be support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forming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The first driving part (220) may be positioned in the first driving part mounting groov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being sunken inward. At this time,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part (220)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may form a flat surface.

보빈(210)은, 상측 제1지지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213)는, 상측 제1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213)의 돌기(미도시)는 내측부(612)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측 제1지지부재(610)에 돌기가 구비되고 보빈(2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The bobbin (210) may include an upper coupling portion (213) coupled with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The upper coupling portion (213) may be coupled with an inner portion (612) of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As an example, a protrusion (not shown) of the upper coupling portion (213)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or hole (not shown) of the inner portion (612) and coupled. Meanwhile,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the bobbin (2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r hole so that the two may be coupled.

보빈(210)은, 하측 제1지지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보빈(2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측 결합부(214)는 하측 제1지지부재(620)의 내측부(622)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214)의 돌기(미도시)는 내측부(622)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하측 제1지지부재(620)에 돌기가 구비되고 보빈(2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The bobbin (210) may include a lower coupling portion (214) coupled with a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The lower coupling portion (214)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210) may be coupled with an inner portion (622) of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As an example, a protrusion (not shown)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214)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or hole (not shown) of the inner portion (622) and coupled. Meanwhile,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ay be provided with a protrusion and the bobbin (210) may be provided with a groove or hole so that the two may be coupled.

제1구동부(220)는, 제2가동자(300)의 제2구동부(320)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제2구동부(3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보빈(210)을 제1하우징(310)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제1구동부(22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일은, 제1구동부 안착홈(212)에 가이드되어 보빈(210)의 외측면에 권선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코일은 4 개의 코일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2 개의 코일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보빈(210)의 외측면에 배치될 수도 있다. 제1구동부(220)가 코일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은 하측 제1지지부재(620)를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코일에 대한 전원 공급을 위해 한 쌍으로 분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일로 공급되는 전원은 상측 제1지지부재(610)를 통해 공급될 수도 있다. 한편, 제1구동부(220)는 전원 공급을 위한 한 쌍의 인출선(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구동부(220)의 한 쌍의 인출선 각각은 한 쌍의 하측 제1지지부재(620) 각각에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일로 전원이 공급되면 코일 주변에는 전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로, 제1구동부(220)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가 코일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be positioned opposite the second driving unit (320) of the second actuator (300).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move the bobbin (210)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10)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320).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include a coil. The coil may be woun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while being guided by the first driving unit mounting groove (212).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coil may be independently provided with four coils and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210) such that two adjacent coils form a 90°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When the first driving unit (220) includes a coil, power supplied to the coil may be supplied through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At this time,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ay be provided as a pair separately for supplying power to the coil. In addition, the power supplied to the coil may be supplied through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Meanwhile,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include a pair of lead lines (not shown) for supplying power. Each of the pair of lead lines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be electrically coupled to each of the pair of lower first support members (620). Meanwhile,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coil, an electromagnetic field may be formed around the coil. In addition, as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include a magnet. In this case,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provided as a coil.

제2가동자(300)는 제1가동자(200)의 외측에 제1가동자(200)와 대향되어 위치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제2하우징(410)에 이동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가동자(300)는 커버 부재의 내측 공간에 위치할 수 있다. The second actuator (300) may be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actuator (200) and facing the first actuator (200). The second actuator (300) may be movably supported in the second housing (410). The second actuator (300) may b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of the cover member.

제2가동자(300)는, 보빈(210)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1하우징(3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가동자(300)는, 제1구동부(220)와 대향되게 위치하며 제1하우징(310)에 고정되는 제2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actuator (300) may include a first housing (310) positioned on the outside of the bobbin (210). In addition, the second actuator (300) may include a second actuator (320)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actuator (220) and fixed to the first housing (310).

제1하우징(310)은 절연재질로 형성되고, 생산성을 고려하여 사출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하우징(310)은 손떨림 보정 기능(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구동을 위해 움직이는 부분으로써 보빈(210) 및 제2하우징(410)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10) is formed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may be formed as an injection molded product in consideration of productivity. The first housing (310) is a moving part for driving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function (OIS) and may be positioned at a certain distance from the bobbin (210) and the second housing (410).

제1하우징(310)은, 상측 및 하측이 개방되며 제1가동자(20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제1가동자(200)를 수용할 수 있다. 제1하우징(310)은 내측에 상하 개방형의 내측 공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내측 공간에는 제1가동자(200)가 이동가능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내측 공간은 제1가동자(200)와 대응하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내측 공간을 형성하는 제1하우징(310)의 내주면은 제1가동자(200)의 외주면과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10) can accommodate the first actuator (20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sides are open and the first actuator (200) can move up and down. The first housing (310) can include an inner space (not shown) that is open up and down on the inside. The first actuator (200) can be positioned in the inner space so as to be movable. That is, the inner space can be provid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actuator (200).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 forming the inner space can be position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actuator (200).

제1하우징(310)은 측면에 제2구동부(320)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구동부(320)을 수용하는 제2구동부 결합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제2구동부(320)를 수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2구동부 결합부(312)에 접착제(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제1하우징(310)의 내주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구동부(220)와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또한,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일례로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3구동부(420)와 제2구동부(3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한 장점이 있다. 제2구동부 결합부(312)는, 일례로서 4개로 구비될 수 있다. 4개의 제2구동부 결합부(312) 각각에는 제2구동부(320)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housing (310) may include a second drive unit coupling part (312) formed on the sid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rive unit (320) to accommodate the second drive unit (320). The second drive unit coupling part (312) may accommodate and fix the second drive unit (320). The second drive unit (320) may be fixed to the second drive unit coupling part (312) by an adhesive (not shown). Meanwhile, the second drive unit coupling part (312) may be loc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housing (310).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drive unit (220) locat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drive unit (320). In addition, the second drive unit coupling part (312) may have an open bottom, for example. In this case, there is an advantage in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third driving unit (420) located below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20). The second driving unit coupling unit (312) may be provided in four units, for example.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coupled to each of the four second driving unit coupling units (312).

제1하우징(310)의 상부에는 상측 제1지지부재(610)가 결합되고, 제1하우징(310)의 하부에는 하측 제1지지부재(620)가 결합될 수 있다. 제1하우징(310)은, 상측 제1지지부재(610)와 결합되는 상측 결합부(3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결합부(313)는, 상측 제1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와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서, 상측 결합부(313)의 돌기(미도시)는 외측부(611)의 홈 또는 홀(미도시)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는 상측 제1지지부재(610)에 돌기가 구비되고 제1하우징(310)에 홈 또는 홀이 구비되어 양자가 결합될 수도 있다. 한편, 제1하우징(310)은, 하측 제1지지부재(620)와 결합되는 하측 결합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하우징(310)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측 결합부는 하측 제1지지부재(620)의 외측부(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서, 하측 결합부의 돌기는 외측부의 홈 또는 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may be coupl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a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ay be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first housing (310) may include an upper coupling portion (313) coupled with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The upper coupling portion (313) may be coupled with an outer portion (611) of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As an example, a protrusion (not shown) of the upper coupling portion (313)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or hole (not shown) of the outer portion (611) and coupled thereto. Meanwhile, in another embodiment, a protrusion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and a groove or hole may be provided on the first housing (310) so that the two may be coupled. Meanwhile, the first housing (310) may include a lower coupling portion (not shown) coupled with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The lower coupling portion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may be coupled with the outer portion (not shown) of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As an example, the protrusion of the lower coupling portion may be inserted into a groove or hole of the outer portion and coupled.

제1하우징(310)은, 제2하우징(410)의 내측에 수용될 수 있다. 제1하우징(310)은, 제2지지부재(700)에 의해 제2하우징(410)에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제1하우징(310)은, 제2하우징(410)에 대하여 틸트(tilt)가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The first housing (310)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second housing (410). The first housing (310) can be elastically supported by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to the second housing (410). The first housing (310) can be supported so as to be able to tilt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410).

제2구동부(320)는, 제1가동자(200)의 제1구동부(220)와 대향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1구동부(220)와 전자기적 상호작용을 통해 제1구동부(22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마그넷은 제1하우징(310)의 제2구동부 결합부(31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일례로서 4 개의 마그넷이 독립적으로 구비되어 인접한 2 개의 마그넷이 상호간 90°를 이루도록 제1하우징(310)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구동부(320)는, 제1하우징(310)의 4 개의 측면에 등 간격으로 장착되어 내부 체적의 효율적인 사용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구동부(320)은 제1하우징(310)에 접착제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제1구동부(220)가 마그넷을 포함하고 제2구동부(320)가 코일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2구동부(320)는, 일례로서 4개의 마그넷을 포함할 수 있다. 4개의 마그넷 각각은, 제1하우징(310)의 4개의 측면 각각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4개의 마그넷 각각은, 제1하우징(310)의 4개의 코너 각각에 위치할 수도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driving unit (220) of the first actuator (200).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move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rough electromagnetic interaction with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include a magnet. The magnet may be fixed to the second driving unit coupling unit (312) of the first housing (310). As an example,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provided with four magnets independently and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housing (310) such that two adjacent magnets form a 90° angle with respect to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driving unit (320) can be mounted at equal intervals on the four sides of the first housing (310) to ensure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volume. In addition, the second driving unit (320) can be bonded to the first housing (310) by an adhesive. However, it is not limited thereto. Meanwhile, the first driving unit (220) may include a magnet and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provided as a coil.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include four magnets as an example. Each of the four magnets may be located on each of the four sides of the first housing (310). In addition, each of the four magnets may be located on each of the four corners of the first housing (310).

제2구동부(320)는, 제2구동부(320)의 하면 전체가 제3구동부(420)에 노출되도록 제1하우징(310)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하면의 일부가 제1하우징(310)에 의해 가려지는 경우와 비교하여 제2구동부(320)와 제3구동부(4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유리할 수 있다. 제2구동부(320)는, 제1하우징(310)의 내측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가 제1하우징(310) 보다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구동부(320)의 하면 전체가 제3구동부(420)에 노출될 수 있다.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fixed to the first housing (310) so tha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is exposed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In this case,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nd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advantageous compared to a case where a part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is covered by the first housing (310).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fixed to the inner side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first housing (310). In this case,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ay be exposed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제2하우징(410)은, 제1하우징(31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하우징(410)은, 내측에 제1하우징(310)을 수용할 수 있다. 제2하우징(410)은, 제1하우징(310)을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제2하우징(410)은, 일례로서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2하우징(410)은, 일례로서 베이스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하우징(410)은, 제1하우징(310)과 제2지지부재(700)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하우징(410)은, 제1하우징(310)과 제2지지부재(700)를 통해 탄성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housing (410) may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second housing (410) may accommodate the first housing (310) on the inside. The second housing (410) may movably support the first housing (310). The second housing (410)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for example. Meanwhile, the second housing (410) may be supported by the base, for example. The second housing (410)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310)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The second housing (410) may be elastically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310) through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제3구동부(420)는,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제3구동부(420)의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제2구동부(320)와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2구동부(320) 및 제2구동부(320)가 고정된 제1하우징(310)이 일체로 움직일 수 있다. 제3구동부(420)는, 회로기판에 실장되거나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제3구동부(420)는, 렌즈 모듈(10)의 광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렌즈 구동 유닛의 소형화(광축 방향인 z축 방향으로의 높이를 낮게 하는 것)를 고려할 때, 제3구동부(420)는 패턴 코일(patterned coil)인 FP 코일로 형성되어 회로기판에 배치 또는 실장될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은, 연성의 회로기판인 FPCB(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제3구동부(420)와 베이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회로기판은 제3구동부(42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렌즈 모듈(10)을 통과한 광을 통과시키는 관통홀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회로기판은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단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는 외부전원과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회로기판에 전원이 공급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include a coil. When power is applied to the coil of the third driving unit (420),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nd the first housing (310) to which the second driving unit (320) is fixed may move as a unit by interaction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320).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mounted on a circuit board or electrically connected thereto. Meanwhile,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have a through hole through which light of the lens module (10) passes. In addition, considering miniaturization of the lens driving unit (reducing the height in the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formed as an FP coil, which is a patterned coil, and may be placed or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which is a flexible circuit board. The circuit board may be located between the third driving unit (420) and the base. Meanwhile, the circuit board may supply power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The circuit board may have a through hole for passing light passing through the lens module (10). 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a terminal portion that is folded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terminal portion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through which power may be supplied to the circuit board.

제3구동부(420)는, 제2구동부(320)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3구동부(420)는, 제2하우징(410)와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만약, 제3구동부(420)가 제2하우징(410)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3구동부(4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구성이 다수 요구되지만, 제3구동부(420)가 제2구동부(320)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제3구동부(420)가 회로기판 등에 직접 실장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제3구동부(420)는,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3구동부(420)와 베이스 사이에는 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제3구동부(420)는, FP 코일로 구비되어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베이스의 상면에 위치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driving unit (320) downwardly. That is,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using (410). If the third driving unit (420) is positioned in the second housing (410), a number of configurations are required to supply power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but if the third driving unit (420) is positioned below the second driving unit (320),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directly mounted on a circuit board or the like to receive power. 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be positioned on the base. However, a circuit board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third driving unit (420) and the base. The third driving unit (420) can be position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while being equipped with an FP coil and mounted on a circuit board.

제3구동부(420)는, 제2구동부(320)의 제1마그넷(321)과 대향하는 제1코일(421)과, 제2구동부(320)의 제2마그넷(322)과 대향하는 제2코일(42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코일(421) 및 제2코일(42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별도로 제어될 수 있다. 즉, 제1코일(421) 및 제2코일(422)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상응할 수 있으며, 반대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전류 방향 제어를 통해, 제2구동부(420)는 제3구동부(420)에 대하여 틸트(도 2의 B 참조)될 수 있다.The third driving unit (420) may include a first coil (421) facing the first magnet (321)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nd a second coil (422) facing the second magnet (322)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t this time,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2) may be controlled separately. That is,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coil (421) and the second coil (422) may correspond or be opposite. Through such current direction control, the second driving unit (420) may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see B of FIG. 2).

베이스는, 보빈(210), 제1하우징(310), 및 제2하우징(41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일례로서, 베이스는 제2하우징(410)을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의 하측에는 인쇄회로기판이 위치할 수 있다. 베이스는, 보빈(210)의 렌즈 결합부(211)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관통홀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이미지 센서를 보호하는 센서홀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베이스에는 적외선 필터(Infrared Ray Filter)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의 관통홀에는 적외선 필터가 결합될 수 있다.The base may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obbin (210),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using (410). As an example, the base may support the second housing (410) from the bottom. A printed circuit board may be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base. The base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lens coupling portion (211) of the bobbin (210). The base may perform a sensor holder function for protecting the image sensor. Meanwhile, an infrared filter may be positioned at the base. In addition, an infrared filter may be coupled to the through hole of the base.

베이스는, 일례로서 커버 부재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질 포집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물질 포집부는, 베이스의 상면 상에 위치하며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커버 부재와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 상의 이물질을 포집할 수 있다. The base may include, for example, a foreign matter capturing portion (not shown) that captures foreign matter that has entered the inside of the cover member. The foreign matter capturing portion is loc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can capture foreign matter in the inner space formed by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including an adhesive material.

베이스는, 손떨림 보정용 센서가 결합되는 센서 장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센서 장착부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제1하우징(310)에 결합된 제2구동부(320)를 감지하여 제1하우징(310)의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센서 장착부는, 일례로서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개의 센서 장착부 각각에는 손떨림 보정용 센서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제1하우징(310)의 x축 및 y축 방향 움직임 모두를 감지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base may include a sensor mounting portion to which a shake correction sensor is coupled. That is, the shake correction sensor may be mounted on the sensor mounting portion. At this time, the shake correction sensor may detect the movement of the first housing (310) by detecting the second driving portion (320) coupled to the first housing (310). As an example, two sensor mounting portions may be provided. A shake correction sensor may be positioned on each of the two sensor mounting portions. In this case, the shake correction sensor may be arranged to detect both the x-axis and y-axis movements of the first housing (310).

제1지지부재(600)는, 제1가동자(200) 및 제2가동자(300)를 연결할 수 있다. 제1지지부재(600)는, 제1가동자(200) 및 제2가동자(300)를 탄성적으로 연결하여 제1가동자(200) 및 제2가동자(300) 사이에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1지지부재(600)는,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제1지지부재(600)는, 일례로서 상측 제1지지부재(610), 및 하측 제1지지부재(6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support member (600) can connect the first movable member (200) and the second movable member (300). The first support member (600) can elastically connect the first movable member (200) and the second movable member (300) to enabl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first movable member (200) and the second movable member (300). That is, the first support member (600) can be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The first support member (600) can include, for example,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and a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상측 제1지지부재(610)는, 일례로서 외측부(611), 내측부(612),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1지지부재(610)는, 제1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611),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12), 및 외측부(611)와 내측부(6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may include, for example, an outer portion (611), an inner portion (612), and a connecting portion (613).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611)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310), an inner portion (612) coupled with the bobbin (210), and a connecting portion (613)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outer portion (611) and the inner portion (612).

상측 제1지지부재(610)는, 제1가동자(200)의 상부와 제2가동자(30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상측 제1지지부재(610)는 보빈(210)의 상부와 제1하우징(3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상측 제1지지부재(610)의 내측부(612)는 보빈(210)의 상측 결합부(213)와 결합하고, 상측 제1지지부재(610)의 외측부(611)는 제1하우징(310)의 상측 결합부(313)와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mover (2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mover (300). In more detail,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2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inner portion (612) of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213) of the bobbin (210), and the outer portion (611) of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313) of the first housing (310).

상측 제1지지부재(610)는, 일례로서 6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6개의 상측 제1지지부재(610) 중 2개는 하측 제1지지부재(620)와 통전되어 제1구동부(220)에 전원을 인가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6개의 상측 제1지지부재(610) 중 나머지 4개는, 보빈(210)에 위치하는 오토 포커스용 센서에 전원을 공급하고, 제어부와 오토 포커스용 센서 사이에 정보 또는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변형례로서 6개의 상측 제1지지부재(610) 중 2개는 제1구동부(220)에 직접 연결되고, 4개는 오토 포커스용 센서와 연결될 수 있다.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may be provided as an example by being divided into six pieces. At this time, two of the six upper first support members (610) may b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first driving unit (220) by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eanwhile, the remaining four of the six upper first support members (610) may be used to supply power to the auto focus sensor located in the bobbin (210) and to transmit and receive information or signals between the control unit and the auto focus sensor. In addition, as a modification, two of the six upper first support members (61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first driving unit (220), and four may be connected to the auto focus sensor.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일례로서 한 쌍의 하측 제1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하측 제1지지부재(620) 각각은 코일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220)의 한 쌍의 인출선 각각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한 쌍의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회로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통해, 한 쌍의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회로기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제1구동부(220)에 제공할 수 있다.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ay include, for example, a pair of lower first support members. Each of the pair of lower first support members (620) may be connected to a pair of lead lines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provided with a coil to supply power. Meanwhile, the pair of lower first support members (62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Through this structure, the pair of lower first support members (620) may provide power supplied from the circuit board to the first driving unit (220).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일례로서 외측부(미도시), 내측부(622),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제1하우징(310)과 결합되는 외측부, 보빈(210)과 결합되는 내측부(622), 및 외측부와 내측부(6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6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ay include, for example, an outer portion (not shown), an inner portion (622), and a connecting portion (623).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310), an inner portion (622) coupled with the bobbin (210), and a connecting portion (623)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outer portion and the inner portion (622).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제1가동자(200)의 하부와 제2가동자(30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하측 제1지지부재(620)는 보빈(210)의 하부와 제1하우징(3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제1지지부재(620)의 내측부(622)에는 보빈(210)의 하측 결합부(214)가 결합되고, 하측 제1지지부재(620)의 외측부에는 제1하우징(310)의 하측 결합부가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mover (20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mover (300). More specifically,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2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The lower coupling portion (214) of the bobbin (210) can be connected to the inner portion (622) of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and the lower coupling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can be connected to the outer portion of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620).

제2지지부재(700)는, 제1하우징(310)과 제2하우징(410)을 탄성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700)는, 제1지지부재(600)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2지지부재(700)는, 제1지지부재(600)를 내측에 수용할 수 있다. 제2지지부재(700)는, 적어도 일부가 탄성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지지부재(700)는, 제1하우징(310)을 제2하우징(410)에 대하여 이동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can elastically connect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second housing (410).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can be locat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600). That is,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can accommodate the first support member (600) on the inside.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can be provided as an elastic member. Through this, 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can movably support the first housing (310) with respect to the second housing (410).

제2지지부재(700)는, 상측 제2지지부재(710) 및 하측 제2지지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support member (700) may include an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and a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상측 제2지지부재(710)는, 일례로서 외측부(711), 내측부(712), 연결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 상측 제2지지부재(710)는, 제2하우징(410)과 결합되는 외측부(711), 제1하우징(310)과 결합되는 내측부(712), 및 외측부(711)와 내측부(71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713)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may include, for example, an outer portion (711), an inner portion (712), and a connecting portion (713). 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711) coupled with the second housing (410), an inner portion (712)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310), and a connecting portion (713)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outer portion (711) and the inner portion (712).

상측 제2지지부재(710)는, 제1하우징(310)의 상부와 제2하우징(4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측 제2지지부재(710)의 내측부(712)는 제1하우징(310)의 상측 결합부(미도시)와 결합하고, 상측 제2지지부재(710)의 외측부(711)는 제2하우징(410)의 상측 결합부(미도시)와 결합할 수 있다.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410). The inner portion (712) of 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not shown)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outer portion (711) of 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coupling portion (not shown) of the second housing (410).

상측 제2지지부재(710)는, 일례로서 제1구동부(220), 제2구동부(320) 및 제3구동부(4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측 제2지지부재(710)는 다수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may be used, for example, to supply power to one or more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nd the third driving unit (420). In this case, 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710) may be formed in multiple separate pieces.

하측 제2지지부재(720)는, 일례로서 외측부(721), 내측부(722), 연결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 하측 제2지지부재(720)는, 제2하우징(410)과 결합되는 외측부(721), 제1하우징(310)과 결합되는 내측부(722), 및 외측부(721)와 내측부(722)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연결부(723)를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may include, for example, an outer portion (721), an inner portion (722), and a connecting portion (723). 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may include an outer portion (721) coupled with the second housing (410), an inner portion (722) coupled with the first housing (310), and a connecting portion (723)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outer portion (721) and the inner portion (722).

하측 제2지지부재(720)는, 제1하우징(310)의 하부와 제2하우징(4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하측 제2지지부재(720)의 내측부(722)에는 제1하우징(310)의 하측 결합부(미도시)가 결합되고, 하측 제2지지부재(720)의 외측부(721)에는 제2하우징(410)의 하측 결합부(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310)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410). The lower coupling portion (not shown) of the first housing (310) can be coupled to the inner portion (722) of 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and the lower coupling portion (not shown) of the second housing (410) can be coupled to the outer portion (721) of 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하측 제2지지부재(720)는, 일례로서 제1구동부(220), 제2구동부(320) 및 제3구동부(420)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측 제2지지부재(720)는 다수로 분리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may be used, for example, to supply power to one or more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e second driving unit (320), and the third driving unit (420). In this case, 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720) may be formed in multiple separate pieces.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오토 포커스(AF, Auto Focus) 피드백(Feedback)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제1가동자(200) 및 제2가동자(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제1하우징(310)에 위치하며 제1구동부(220)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AF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보빈(210)에 위치하며 제2구동부(320)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여 AF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FPCB(Flexible Printend Circuit Board)에 실장되어 위치할 수 있으며, FPCB는 상측 제1지지부재(610)와 통전될 수 있다. 다만, 오토 포커스용 센서의 위치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auto focus sensor can be used for an auto focus (AF) feedback function. The auto focus sensor can detec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ctuator (200) and the second actuator (300). As an example, the auto focus sensor can be located in the first housing (310) and detec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unit (220) to provide information for AF feedback. As another example, the auto focus sensor can be located in the bobbin (210) and detec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to provide information for AF feedback. The auto focus sensor can be mounted and positioned on an FPCB (Flexible Printend Circuit Board), and the FPCB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610). However, the position of the auto focus sensor is not limited thereto.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손떨림 보정(OIS, Optical Image stabilization) 피드백(Feedback) 기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제1가동자(200) 및 제2가동자(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일례로서,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제2가동자(300)의 수평방향 움직임 내지는 틸트를 감지하여 OIS 피드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image stabilization sensor can be used for an optical image stabilization (OIS) feedback function. The image stabilization sensor can detect the position or movemen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ctuator (200) and the second actuator (300). As an example, the image stabilization sensor can detect horizontal movement or tilt of the second actuator (300) to provide information for OIS feedback.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베이스에 위치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제3구동부(420)가 실장되는 회로기판의 상면 또는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일례로서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배치되어 베이스에 형성되는 센서 장착부에 위치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일례로서 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가동자(300)의 제2구동부(320)의 자기장을 센싱하여 제3구동부(420)에 대한 제2가동자(300)의 상대적인 움직임을 센싱할 수 있다.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일례로서 2개 이상으로 구비되어 제2가동자(300)의 x축 및 y축 움직임을 모두 감지할 수 있다.The shake correction sensor can be located on the base. The shake correction sensor can be located on the upper or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on which the third actuator (420) is mounted. The shake correction sensor can be located, for exampl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and in a sensor mounting portion formed on the base. The shake correction sensor can include, for example, a Hall sensor. In this case, the relative movement of the second actuator (300) with respect to the third actuator (420) can be sensed by sensing the magnetic field of the second actuator (320) of the second actuator (300). The shake correction sensor can be provided in two or more units, for example, and can detect both the x-axis and y-axis movements of the second actuator (30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elow, the operation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렌즈 구동 유닛의 작동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먼저,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을 설명한다. 코일로 구비되는 제1구동부(2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그넷으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320)와 제1구동부(2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1구동부(220)가 제2구동부(3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1구동부(220)가 결합된 보빈(210)은 제1구동부(2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렌즈 모듈(10)이 내측에 결합된 보빈(210)이 제1하우징(310)에 대하여 상하 방향 내지 광축 방향(도 2의 A 참조)으로 이동하게 된다. 보빈(2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10)이 가까워지도록 이동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하는 결과가 되므로 피사체에 대한 포커스 조절이 수행되는 것이다.First, the auto focus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first driving unit (220) equipped with a coil, the first driving unit (220) moves with respect to the second driving unit (320)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driving unit (320) equipped with a magnet and the first driving unit (220). At this time, the bobbin (210) to which the first driving unit (220) is coupled moves integrally with the first driving unit (220). That is, the bobbin (210) with the lens module (10) coupled inside moves in the up-and-down direction or the optical axis direction (see A of FIG. 2)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310). This movement of the bobbin (210) results in the lens module (10) moving closer to or away from the image sensor, thereby performing focus adjustment for the subject.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오토 포커스 피드백이 적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제2구동부(320)의 자기장을 감지할 수 있도록 보빈(210)에 구비된다. 한편, 보빈(210)이 제1하우징(310)에 대하여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오토 포커스용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보빈(210)의 z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보빈(21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오토 포커스 피드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오토 포커스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auto focus feedback may be applied to more precisely realize the auto focus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 more detail, the auto focus sensor is provided on the bobbin (210) so as to detect the magnetic field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eanwhile, when the bobbin (210) moves relative to the first housing (310), the amount of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auto focus sensor changes. The auto focus sensor detects the amount of movement or position of the bobbin (210) in the z-axis direction in this manner and transmits the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movement of the bobbin (210)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value. Since this process occurs in real time, the auto focus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precisely performed through the auto focus feedback.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을 설명한다. 코일로 구비되는 제3구동부(420)에 전원이 공급되면, 마그넷으로 구비되는 제2구동부(320)와 제3구동부(420) 사이의 전자기적 상호작용에 의해 제2구동부(320)가 제3구동부(420)에 대하여 이동을 수행하게 된다. 이때, 제2구동부(320)가 결합된 제1하우징(310)은 제2구동부(320)와 일체로 이동하게 된다. 즉, 제1하우징(310)이 제3구동부(42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제3구동부(420)의 제1코일(421)과, 제1코일(421)의 맞은편에 위치하는 제2코일(422) 각각에 전류 방향이 상이하게 제공됨으로써 제1하우징(310)은 제3구동부(420)에 대하여 틸트(도 2의 B 참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하우징(310)과 연결된 보빈(210)도 제3구동부(420)에 대하여 틸트될 수 있다. 보빈(210)의 이와 같은 이동은, 이미지 센서에 대하여 렌즈 모듈(10)이 틸트되는 결과가 되므로 손떨림 보정 기능이 수행되는 것이다.The shake correction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described.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equipped with a coil, the second driving unit (320) moves relative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due to the electromagnetic interaction between the second driving unit (320) equipped with a magnet and the third driving unit (420). At this time, the first housing (310) to which the second driving unit (320) is coupled moves integrally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320). That is, the first housing (310) moves relative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At this time, since the current direction is provided differently to the first coil (421) of the third driving unit (420) and the second coil (422) located opposite the first coil (421), the first housing (310) can be tilted (see B of FIG. 2) with respect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In this case, the bobbin (210) connected to the first housing (310) can also be tilted with respect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Such movement of the bobbin (210) results in the lens module (10) being tilted with respect to the image sensor, and thus the shake correction function is performed.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의 보다 정밀한 실현을 위해 손떨림 보정 피드백이 적용될 수 있다. 베이스에 장착되며 홀센서로 구비되는 한 쌍의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제1하우징(310)에 고정된 제2구동부(320)의 마그넷의 자기장을 감지한다. 한편, 제2구동부(320)가 제3구동부(420)에 대한 상대적인 이동을 수행하면, 손떨림 보정용 센서에서 감지되는 자기장의 양이 변화하게 된다. 한 쌍의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2구동부(320)의 수평방향(x축 및 y축 방향)의 이동량 또는 위치를 감지하여 감지값을 제어부로 송신한다. 제어부는 수신한 감지값을 통해 제2구동부(320)에 대한 추가적인 이동을 수행할지 여부를 결정하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은 실시간으로 발생되므로 손떨림 보정 피드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손떨림 보정 기능은 보다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는 것이다.Meanwhile, in order to more precisely realize the shake correction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shake correction feedback may be applied. A pair of shake correction sensors mounted on the base and equipped with a Hall sensor detect the magnetic field of the magnet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fixed to the first housing (310). Meanwhile, when the second driving unit (320) performs a relative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third driving unit (420), the amount of the magnetic field detected by the shake correction sensor changes. The pair of shake correction sensors detect the horizontal movement amount (x-axis and y-axis directions) or position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in this manner and transmit the detection value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o perform addi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driving unit (320) based on the received detection value. Since this process occurs in real time, the shake correction function of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erformed more precisely through shake correction feedback.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even though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Tha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and operated one or more times. In addition, the terms "include," "compose," or "have" described above,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and therefore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other components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unless otherwise defined.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evant technology, and sha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descrip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210: 보빈 220: 제1구동부
310: 제1하우징 320: 제2구동부
410: 제2하우징 420: 제3구동부
600: 제1지지부재 700: 제2지지부재
210: Bobbin 220: 1st drive unit
310: 1st housing 320: 2nd drive unit
410: 2nd housing 420: 3rd drive unit
600: 1st support member 700: 2nd support member

Claims (20)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제1하우징;
상기 제1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되는 제1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는 제2구동부;
상기 제2구동부와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오토 포커스용 센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센서가 실장되는 FPCB;
상기 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하우징은 상기 제2하우징에 대하여 틸트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상기 오토 포커스의 피드백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상측 제1지지부재와,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상측 제1지지부재와 통전되는 렌즈 구동 유닛.
Second Housing;
A first housing disposed within the second housing;
A bobbin placed within the first housing;
A first driving unit arranged on the above bobbin;
A second driving unit arranged in the first housing;
A third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econd driving unit by interacting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A sensor for autofocus arranged in the first housing and detect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unit;
FPCB on which the above auto focus sensor is mounted;
A first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above bobbin and the first housing; and
Including a second support member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above first housing is supported so as to be tiltable relative to the above second housing,
The above bobbin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to perform autofocus,
The above auto focus sensor is used for feedback control of the auto focus,
The above first support member is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above second support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lower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The above FPCB is a lens driving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3구동부에 대하여 틸트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cond driving unit is a lens driving unit that tilts with respect to the above third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손떨림 보정용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상기 제1하우징의 틸트를 감지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es a sensor for image stabilization,
The above-mentioned shake correction sensor is a lens driving unit that detects the tilt of the first housing.
제3항에 있어서,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는 커버 부재; 및
상기 제3구동부가 실장되는 회로기판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베이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상기 회로기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third paragraph,
base;
A cover member disposed on the above base; and
Including a circuit board on which the third driving unit is mounted,
The above second housing is placed on the base,
The above-mentioned shake correction sensor is a lens driving unit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ircuit boar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베이스의 상면 상에 배치되고 접착성 물질을 포함하여 상기 커버 부재와 상기 베이스에 의해 형성되는 내측 공간의 이물질을 포집하는 이물집 포집부와, 상기 손떨림 보정용 센서가 배치되는 센서 장착부를 포함하는 렌즈 구동 유닛.
In paragraph 4,
The base is a lens driving unit including a foreign matter collecting section that is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base and includes an adhesive material to collect foreign matters in an inner space formed by the cover member and the base, and a sensor mounting section in which the shake correction sensor is arranged.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상측 제2지지부재와,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 및 상기 제2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상측 제1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측 제1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상측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하측 제2지지부재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방향으로 오버랩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support member includes an upper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nd a lower second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hou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first support member overla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lens driving unit in which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 second support member overlap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제1지지부재와 상기 상측 제2지지부재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Article 8,
A lens driving unit in which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and the upper second support member are arranged on the same pla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부와 하측으로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3구동부는 상기 제2하우징과 이격되어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third driving unit is positioned below and spaced apart from the above second driving unit,
The above third driving unit is a lens driving unit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2구동부의 하면 전체가 상기 제3구동부에 노출되도록 상기 제1하우징에 고정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unit in which the second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first housing so that the entir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driving unit is exposed to the third driving uni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내측에 고정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하우징보다 하측으로 돌출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A lens driving unit in which the second driving unit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housing and at least a portion thereof protrudes downward more than the first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3구동부는 FP 코일로 구비되어 상기 회로기판에 실장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의 상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paragraph 4,
The third driving unit is a lens driving unit equipped with an FP coil and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and plac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부재는 하부 개방형의 내측 공간을 가지며 하단부가 상기 베이스와 결합하고,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커버 부재의 내측면에 배치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Article 13,
The above cover member has an inner space with an open bottom and a lower portion is connected to the base,
The above second housing is a lens driving unit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는 상기 보빈의 외측면이 내측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제1구동부 안착홈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외측면과 상기 보빈의 외측면은 평면을 형성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driving part is placed in a first driving part mounting groove formed by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being sunken inward,
A lens driving unit in whic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driving unit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bobbin form a flat surfa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상부와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를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측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상측 제1지지부재와 통전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Including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upper part of the above bobbin and the upper part of the above first housing,
The above FPCB is a lens driving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부와 상기 제3구동부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의 상기 마그넷은 제1마그넷과, 상기 제1마그넷과 이격되는 제2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제3구동부의 상기 코일은 상기 제1마그넷과 대향하는 제1코일과, 상기 제2마그넷과 대향하는 제2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코일과 상기 제2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방향은 별도로 제어되는 렌즈 구동 유닛.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driving unit and the above third driving unit include a coil,
The abov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magnet,
The magnet of the second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magnet and a second magne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magnet,
The coil of the third driving unit includes a first coil facing the first magnet and a second coil facing the second magnet,
A lens driving unit in which the direction of the current applied to the first coil and the second coil is separately controlled.
제2하우징;
상기 제2하우징 내에 배치되고 제1하우징과 제2구동부를 포함하는 제2가동자;
상기 제2가동자 내에 배치되고 보빈과 제1구동부를 포함하는 제1가동자;
상기 제2구동부와 상호작용을 통해 상기 제2구동부를 이동시키는 제3구동부;
상기 제1하우징에 배치되고 상기 제1구동부의 위치 또는 이동을 감지하는 오토 포커스용 센서;
상기 오토 포커스용 센서가 실장되는 FPCB;
손떨림 보정용 센서;
상기 보빈과 상기 제1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제2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구동부는 상기 제3구동부에 대하여 틸트되고,
상기 손떨림 보정용 센서는 상기 제2가동자의 틸트를 감지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하우징에 대해 광축방향으로 이동하여 오토 포커스를 수행하고,
상기 오토 포커스용 센서는 상기 오토 포커스의 피드백 제어를 위해 사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제2지지부재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의 외측면의 적어도 일부와 상기 제2지지부재의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는 광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오버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는 상기 보빈의 상부 및 상기 제1하우징의 상부와 결합하는 상측 제1지지부재와, 상기 보빈의 하부 및 상기 제1하우징의 하부와 결합하는 하측 제1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FPCB는 상기 상측 제1지지부재와 통전되는 렌즈 구동 유닛.
Second Housing;
A second actuator disposed within the second housing and including a first housing and a second actuator;
A first actuator disposed within the second actuator and including a bobbin and a first driving unit;
A third driving unit that moves the second driving unit by interacting with the second driving unit;
A sensor for autofocus arranged in the first housing and detecting the position or movement of the first driving unit;
FPCB on which the above auto focus sensor is mounted;
Sensor for image stabilization;
A first support member elastically connecting the above bobbin and the first housing; and
Including a second support member that elastically connects the first housing and the second housing,
The above second driving unit is tilted with respect to the above third driving unit,
The above-mentioned shake correction sensor detects the tilt of the second actuator,
The above bobbin moves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housing to perform autofocus,
The above auto focus sensor is used for feedback control of the auto focus,
The above first support member is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above second support member,
At least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upport member and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support member overlap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The first support member includes an upper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and a lower first support member coupled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bobbin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housing.
The above FPCB is a lens driving unit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upper first support member.
인쇄회로기판;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배치되는 이미지 센서;
상기 인쇄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제1항 내지 제5항 및 제8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의 렌즈 구동 유닛; 및
상기 렌즈 구동 유닛의 상기 보빈에 결합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rinted circuit board;
An image sensor arranged on the above printed circuit board;
A lens driving unit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and claims 8 to 18, arrang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lens coupled to the bobbin of the lens driving unit.
본체;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본체에 배치되어 영상과 사진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촬영하는 제19항의 카메라 모듈을 포함하는 광학기기.
entity;
A display unit arranged in the above body to display information; and
An optical device including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claim 19, which is arranged in the main body and captures at least one of a video and a photograph.
KR1020230036184A 2015-07-10 2023-03-2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Active KR102746517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36184A KR102746517B1 (en) 2015-07-10 2023-03-2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0240187210A KR20250003423A (en) 2015-07-10 2024-12-16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8267A KR102513613B1 (en) 2015-07-10 2015-07-1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0230036184A KR102746517B1 (en) 2015-07-10 2023-03-2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67A Division KR102513613B1 (en) 2015-07-10 2015-07-1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87210A Division KR20250003423A (en) 2015-07-10 2024-12-16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2687A KR20230042687A (en) 2023-03-29
KR102746517B1 true KR102746517B1 (en) 2024-12-24

Family

ID=57992109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67A Active KR102513613B1 (en) 2015-07-10 2015-07-1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0230036184A Active KR102746517B1 (en) 2015-07-10 2023-03-2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0240187210A Pending KR20250003423A (en) 2015-07-10 2024-12-16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8267A Active KR102513613B1 (en) 2015-07-10 2015-07-10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87210A Pending KR20250003423A (en) 2015-07-10 2024-12-16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1361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55006A (en) * 2019-12-18 2020-04-03 湖北航天技术研究院总体设计所 Light beam emission lens cone protective cover
KR20230009764A (en) * 2021-07-09 2023-01-1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Camera modul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025035A (en) * 2011-07-20 2013-02-04 Micro Uintekku Kk Lens drive device
US20130050828A1 (en) * 2011-08-24 201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JP5606819B2 (en) 2010-08-03 2014-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The camera module
JP6129513B2 (en) 2011-11-08 2017-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Camera module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2021412B1 (en) * 2012-05-09 2019-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6819B2 (en) * 1972-04-07 1981-02-13
JPS5458186A (en) * 1977-10-19 1979-05-10 Hitachi Ltd Tele-monitor controlling device using inversed magnet type indica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606819B2 (en) 2010-08-03 2014-10-15 シャープ株式会社 The camera module
JP2013025035A (en) * 2011-07-20 2013-02-04 Micro Uintekku Kk Lens drive device
US20130050828A1 (en) * 2011-08-24 2013-02-28 Mitsumi Electric Co., Ltd. Lens holder driving device including damper compound suppressing undesired resonance
JP6129513B2 (en) 2011-11-08 2017-05-17 シャープ株式会社 Camera module with camera shake correction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equipped with the same
KR102021412B1 (en) * 2012-05-09 2019-09-16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Voice coil mo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3613B1 (en) 2023-03-24
KR20230042687A (en) 2023-03-29
KR20250003423A (en) 2025-01-07
KR20170006895A (en) 2017-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167752A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KR102485461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32105B1 (en) Camera devic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10772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607892B1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46517B1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688147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22061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85937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809974B1 (en) Camera modul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30040314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56055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29165B1 (en) Dual lens driving device,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609414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687482B1 (en) Dual lens driving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92140B1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71260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40063834A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764090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240064611A (en) Dual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516888B1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473465B1 (en) Lens driving unit,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20190139011A (en) Optical Apparatus
KR102704943B1 (en)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KR102812493B1 (en) Lens driving device, camera module and optical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3032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7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9826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111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2409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4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216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50710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5009826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