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5815B1 -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 Google Patents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5815B1
KR102745815B1 KR1020230077939A KR20230077939A KR102745815B1 KR 102745815 B1 KR102745815 B1 KR 102745815B1 KR 1020230077939 A KR1020230077939 A KR 1020230077939A KR 20230077939 A KR20230077939 A KR 20230077939A KR 102745815 B1 KR102745815 B1 KR 1027458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skin
atopic
image
displ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793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임동영
엄현정
강경수
이효주
허영
Original Assignee
우당네트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당네트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우당네트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77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5815B1/en
Priority to PCT/KR2024/008016 priority patent/WO202426286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58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581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6Buying, selling or leasing transactions
    • G06Q30/0601Electronic shopping [e-shopping]
    • G06Q30/0631Item recommend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electronic clinical trials or questionnair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nutrition control, e.g. die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3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image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5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simulation or modelling of medical disor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athology (AREA)
  • Fina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수신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유형 결정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disclosed invention may include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kin lesion image of a user from a camera; an atopic type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 atopic severity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d a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and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Description

아토피 개인 정밀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본 발명은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피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allows users to check analysis results on their own skin.

사회경제적인 성장에 의한 생활환경의 변화는 알레르기 질환 유발 및 악화 요인이 되고 있으며, 2000년 이후 알레르기 질환 환자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알레르기 비염 및 천식과 함께 대표적인 알레르기 질환으로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질병 통계 데이터에 따르면 2020년 기준 아토피 피부염 환자 수는 약 97만 명으로 집계되었다. 이 중, 9세 이하의 유아 환자의 비율은 약 33.9%를 차지하고, 10대 소아·청소년 환자의 비율은 약 16.8%로 유·소아의 환자가 상당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Changes in living environments due to socioeconomic growth are factors that cause and worsen allergic diseases, and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llergic diseas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since 2000. Atopic dermatitis is a representative allergic disease along with allergic rhinitis and asthma. According to disease statistics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the number of patients with atopic dermatitis was estimated at approximately 970,000 in 2020. Of these, the proportion of infants under the age of 9 accounted for approximately 33.9%, and the proportion of patients in their teens and adolescence accounted for approximately 16.8%, showing that infants and children account for a significant proportion.

한편, 종래의 아토피 증상에 대한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은 질환 정보를 제공하고, 개인 생활 습관, 피부 사진 및 병원 진료 내역 기록, 그래프/차트 제공 및 제품 추천 등을 수행할 뿐, 서비스 사용자 개인이 장소에 제한되지 않고 간단하게 자신의 환부에 대한 맞춤형 분석 결과를 제공받을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이와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2022년 2월 15일에 공개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22-0018813호 가 있다.
Meanwhile, the conventional method of providing analysis services for atopic symptoms only provides disease information, personal lifestyle habits, skin photos and hospital treatment history records, graphs/charts, and product recommendations, bu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ndividual service users cannot easily receive customized analysis results for their affected area without being limited by location.
Meanwhile, related prior art include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2-0018813 published on February 15, 2022.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아토피 환부를 촬영하고, 자신의 아토피 환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비대면으로 확인할 수 있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which allows a user to take a picture of an atopic dermatitis area by himself or herself without the help of a specialist and to check the analysis results of his or her atopic dermatitis area remotely.

또한, 본 발명은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아토피 환부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that can assist a non-expert user to appropriately photograph an atopic dermatitis area.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환부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는 IOT 기기를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including an IoT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photographing an atopic dermatitis area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또한, 본 발명은 아토피 환부를 분석한 사용자에게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아토피 질환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atopic disease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apable of additionally providing a microbiome analysis service to a user who has analyzed an atopic dermatitis area, and a control method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수신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유형 결정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may include: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 skin lesion image of a user from a camera; an atopic type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 atopic severity determining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d a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and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또한, 상기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측정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분 정보 및 피부 유분 정보를 획득하는 SCH 센서; 및 상기 사용자의 경피 수분 손실 정보를 획득하는 TEWL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mera is provided and a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the skin lesion image to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is further included, and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may include: an SCH sensor for obtaining skin moisture information and skin oil information of the user; and a TEWL sensor for obtaining transepidermal water loss information of the user.

또한, 상기 피부 정보 측정 장치는: 빛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 및 상기 카메라가 피부 환부 이미지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의 피부를 향해 빛을 입사시키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측정 장치 프로세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light-emitting element that generates light; and a measuring device processor that controls the light-emitting element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user's skin when the camera acquires a skin lesion image.

또한, 상기 피부 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카메라가 피부 환부 이미지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거리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측정 장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발광 소자가 생성하는 빛의 세기가 증가하게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distance sensor configured to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when the camera obtains a skin lesion image, and the measuring device processor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element so that the intensity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increases based on th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또한, 상기 피부 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 상기 피부 수분 정보, 상기 피부 유분 정보 및 경피 수분 손실 정보를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로 와이파이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the skin moisture information, the skin oil information, and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information to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using at least one of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또한,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3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로부터 아토피 환부가 분포한 영역의 이미지인 환부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환부 영역 추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아토피 유형 결정부는,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는,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affected area extraction unit configured to extract an affected area image, which is an image of an area where atopic lesions are distributed, from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the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and the atopic severity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또한,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는 학습용 환부 영역 이미지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상기 제3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learning lesion area image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또한,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는, 상기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된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적정 크기의 환부 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acquir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and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generates information of an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that includes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acquired in real tim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generates information of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so that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camera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n affected area image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acquired based on a relative size of the extracted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1 기준 비율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가까이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2 기준 비율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멀리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f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so that information to indicate positioning the camera closer to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ratio; and generate information of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so that information to indicate positioning the camera further away from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ratio.

또한,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학습용 아토피 병변 유형을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learning atopic lesion type preset to correspond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또한,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학습용 아토피 중증도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ethod may further include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learning atopy severity level that is preset to correspond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아토피 중증도에 대응되는 피부과 검진 필요 여부 정보,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uch that information on whether a dermatolog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s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opic lesion type and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to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기준 중증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f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severity,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for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에 대한 1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user inpu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first feces for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receives the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f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that includes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또한, 상기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는,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second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second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1차 분변의 취득 시점 및 상기 2차 분변의 취득 시점 간의 상기 사용자의 건강 개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s health has improved between the time of acquisition of the first feces and the time of acquisition of the second feces, based on the first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second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은, 피부 정보 수신부에 의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환부 영역 추출부에 의해,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3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로부터 아토피 환부가 분포한 영역을 환부 영역 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아토피 유형 결정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적정 크기의 환부 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1 기준 비율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가까이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2 기준 비율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멀리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아토피 중증도에 대응되는 피부과 검진 필요 여부 정보,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기준 중증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1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1차 분변의 취득 시점 및 상기 2차 분변의 취득 시점 간의 상기 사용자의 건강 개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 method of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receiving a user's skin lesion image from a camera by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extracting an area in which an atopic lesion is distributed from the skin lesion image as an lesion area image by a lesion area extracting unit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determining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by an atopic type determining unit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lesion area image; determining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by an atopic severity determining unit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lesion area image; generating information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and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by a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receiving a skin lesion image acquired by the camera in real time by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step for generating,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information of an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a affected area, which includes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acquired in real tim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 step for generating,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a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camera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n affected area image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xtracted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 step for generating,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a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camera to be positioned closer to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f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ratio; A step for generating,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information of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a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for instructing the camera to be positioned further away from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f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ratio; A step for generating information of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nformation on whether a dermatolog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information on recommended medicines, information on recommended cosmetics, and information on recommended foods corresponding to the atopic lesion type and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for generating information of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nformation recommending a microbiome analysis for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if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severity level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for receiving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by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A step for receiving, after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receives the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first feces for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by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The method may include: generating, by the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that includes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receiving, by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second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second feces for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generating, by the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s health has improved between the acquisition time of the first feces and the acquisition time of the second feces, and that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A computer program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can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o execute a control method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개시된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사용자가 전문가의 도움 없이도 스스로 아토피 환부를 촬영하고, 자신의 아토피 환부에 대한 분석 결과를 비대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disclosed invention, a user can take a picture of an atopic dermatitis area by himself or herself without the help of a professional, and check the analysis results of his or her atopic dermatitis area remotel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전문가인 사용자가 아토피 환부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assist non-expert users in properly photographing atopic dermatitis areas.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토피 환부를 적절하게 촬영할 수 있는 IOT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oT device capable of appropriately photographing an atopic dermatitis area may be includ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아토피 환부를 분석한 사용자에게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를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microbiome analysis service can be additionally provided to a user who has analyzed an atopic dermatitis area.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정보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아토피 환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환부에 접근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된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환부에서 멀어지게 하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된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앱에 의해 분석 결과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의 앱에서 표시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식품 정보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익균에 대한 분석 결과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Figure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performing analysis on an atopic dermatitis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refund photography assistance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intended to guide a camera to approach a ref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refund shooting assistance screen that displays information intended to induce the camera to move away from the refun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performing microbiome-based analys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icrobiome-based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by a healthcare ap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displayed in an app of an atopic care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1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on which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2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providing stress care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that displays analysis results for beneficial bacteri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4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atopic care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microbiome analysis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개시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is specification does not describe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and general information with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isclosed invention pertains or information that is redundant between the embodiments is omitted.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Additionally, when a part is said to "include" a component, this does not mean that it excludes other components, but rather that it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unless otherwise specifically sta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로서,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FPGA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할 수 있다. '~부'에서 제공하는 기능은 복수의 구성요소에 의해 분리되어 수행되거나, 다른 추가적인 구성요소와 통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부'는 반드시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으며,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 unit' used in this specification refers to a unit that processes at least one function or operation, and may mean, for example, a software, FPGA, or hardware component. The function provided by the '~ unit' may be performed separately by multiple components, or may be integrated with other additional components. The '~ unit' of this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software or hardware, and may be configured to be i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reproduce one or more processors. According to embodiments, multiple '~ units' may be implemented as one component, or one '~ unit' may include multiple components.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aforementioned terms.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The identification codes in each step are us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do not describe the order of each step. Each step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specified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a specific order.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개시된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The working principle and embodiments of the disclosed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elow.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자신 또는 다른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하고, 촬영된 피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종류 또는 아토피 중증도를 분석하여 분석 결과 또는 분석 결과가 포함되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는 분석 결과 화면(400)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일 수 있다. 하지만,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분석할 수 있는 아토피의 종류가 반드시 아토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a system configured to allow a user to take a picture of his or her own or another user's skin, analyze the type or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for the taken skin image, and generate an analysis result screen (400) that may be displayed on a display or may include the analysis result. However, the type of atopy that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analyze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topy.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서버에 마련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사용자 단말(500)들 및 관리자 단말과 유무선의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The atopic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100) is provided on a server and can communicate with at least one user terminal (500) and an administrator terminal via wired or wireless means.

사용자 단말(500)은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이용하여 아토피 증상에 대한 분석 결과를 획득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생성한 분석 결과 화면(400)을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아토피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관리자의 단말일 수 있다.The user terminal (500) may be a terminal used by a user who wishes to obtain analysis results for atopic symptoms using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e user may check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generated by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The administrator terminal may be a terminal of an administrator who provides an atopic care service.

한편,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반드시 서버에 마련되고, 사용자 단말(500)과의 통신을 통해 사용자 단말(500)에 분석 결과 데이터 또는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송신하는 방식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0)이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방식으로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다운로드 받을 경우,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카메라(210)를 통해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촬영하고, 이러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분석 결과 화면(400)을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확인할 수만 있다면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어떠한 단말이나 서버에 마련되고 어떠한 방식으로 구동되더라도 상관없다.Meanwhile,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being provided on a server and transmitting analysis result data or information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400) to a user terminal (500) through communication with the user terminal (500). For example, if the user terminal (500) downloads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by downloading an application from a server,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be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500). That is, as long as the user can capture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hrough a camera (210) and check an analysis result screen (400)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does not matter on which terminal or server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provided and in what manner it is operated.

도 1을 참조하면,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피부 정보 수신부(111),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 환부 영역 추출부(120),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 메모리(160), 기계학습부(170) 및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include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a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a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an affected area extracting unit (120), an atopic type determining unit (130), an atopic severity determining unit (140), a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150), a memory (160), a machine learning unit (170), and a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카메라(210)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수신할 수 있다. 피부 환부 이미지(300)는 아토피 증상이 의심되는 사용자의 피부를 촬영한 이미지일 수 있다.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of the user from the camera (210).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may be an image taken of the skin of the user suspected of having atopic symptoms.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서버에 마련되어 있는 경우,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에 마련된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된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Whe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provided on a server,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by a camera (210) provided i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from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Alternatively,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by a camera (210)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500) from the user terminal (500).

만약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되어 있을 경우,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에 마련된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는,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된 카메라(210)에 의해 획득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다른 기기나 서버를 거치지 않고 사용자 단말(500)의 카메라(210)로부터 바로 수신할 수도 있다. 즉, 이미지 수신부(110)가 어떠한 방식으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수신하더라도 상관없다.I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500),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receive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by the camera (210) provided i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from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Alternatively,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directly receive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by the camera (210)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500) from the camera (210) of the user terminal (500) without going through another device or server. In other words, it does not matter how the image receiving unit (110) receives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환부 영역 추출부(120),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 또는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로 전달할 수 있다.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transmit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o the affected area extraction unit (120), the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130), or the atopic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0).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161)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제1 인공지능 모델(161)은 입력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해당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응되는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The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130) can determine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300).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can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ed to determine the atopic lesion type corresponding to the input skin lesion image (300).

아토피 병변 유형은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을 일반적인 4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했을 때 나뉘어지는 유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특정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아토피 병변 유형은 급성 아토피성 피부염(Acute Atopic Dermatitis), 만성 아토피성 피부염 (Chronic Atopic Dermatitis), 아토피성 육아종 (Infantile Eczema) 및 비아토피성 유형 (Non-Atopic Eczema)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아토피 병변 유형의 종류가 반드시 4가지 종류이거나 전술한 유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topic lesion types can be the types that are divided when atopic dermatitis is classified into four general types. For example, the atopic lesion type of a specific atopic dermatitis can be one of acute atopic dermatitis, chronic atopic dermatitis, infantile eczema, and non-atopic eczema. However, the types of atopic lesion types are not necessarily the four types or limited to the types mentioned above.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는 결정된 아토피 병변 유형을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130) can transmit the determined atopic lesion type to th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162)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인공지능 모델(162)은 입력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해당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응되는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는데 이용되는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The atopic severity judgment unit (140) can determine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based o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can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ed to determine the atopic severity corresponding to the input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아토피 중증도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중증도를 일반적인 4가지의 단계로 분류했을 때 나뉘어지는 증상의 정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느 특정한 아토피성 피부염의 중증도는 일상 생활에 지장이 없는 1 단계, 가려움증과 피부의 염증이 심해지는 2단계, 심한 가려움증과 피부 건조, 피부의 갈라짐 및 피부 감염의 가능성이 있는 3단계 및 피부가 국도로 건조해져서 갈라지고 일상생활에 심각한 제약인 있는 4단계 중 하나일 수 있다. 하지만 아토피 병변 유형의 중증도가 반드시 4가지 단계이거나 전술한 단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everity of atopy can be the degree of symptoms that are divided when the severity of atopic dermatitis is classified into four general stages. For example, the severity of a specific atopic dermatitis can be one of the following: stage 1, which does not interfere with daily life; stage 2, which is severe itching and skin inflammation; stage 3, which is severe itching, dry skin, cracking of the skin, and the possibility of skin infection; and stage 4, which is severely dry and cracking of the skin, and severely restricts daily life. However, the severity of atopic lesion types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four stages or the aforementioned stages.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는 결정된 아토피 중증도를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로 전달할 수 있다.The atopy severity judgment unit (140) can transmit the determined atopy severity to th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분석 결과 화면(400)을 생성하는데 필요한 신호 또는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분석 결과 화면(400)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f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and the atopic lesion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Specificall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signals or information necessary to generate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분석 결과 화면(400)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화면일 수 있다. 분석 결과 화면(400)은 사용자가 촬영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응되는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아토피 중증도에 대응되는 피부과 검진 필요 여부 정보,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 등이 포함된 화면일 수 있다.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may be a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may be a screen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a dermatolog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corresponding to the atopic lesion type and atopic dermatitis severity corresponding to the skin lesion image (300) taken by the user, information on recommended medicines, information on recommended cosmetics, and information on recommended foods.

아토피 케어 서비스 시스템이 서버에 마련된 경우, 서버는 분석 결과 화면(400)이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도록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로 송신할 수 있다. 아토피 케어 서비스 시스템이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될 경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로 바로 전달할 수 있다.When the atopic care service system is provided on a server, the server can transmit information of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to the user terminal (500) so that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When the atopic care service system is provided on the user terminal (500),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directly transmit information of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to the processor that controls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제1 인공지능 모델(161), 제2 인공지능 모델(162) 및 제3 인공지능 모델(163) 등의 인공지능 모델은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제1 인공지능 모델(161), 제2 인공지능 모델(162) 및 제3 인공지능 모델(163) 등의 각각의 인공지능 모델이 반드시 서로 구별되는 별개의 인공지능 모델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인공지능 모델(161), 제2 인공지능 모델(162) 및 제3 인공지능 모델(163)은 서로 완전히 동일한 인공지능 모델일 수도 있으며, 각각의 인공지능 모델들이 표현만 달리 된 것일 뿐 본 발명에 따른 인공지능 모델은 오직 하나이고, 하나의 인공지능 모델이 본 발명의 모든 딥러닝 연산을 수행할 수도 있다.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such as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eanwhile,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such as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are not necessarily separat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that are distinc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and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may be completely the sam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and th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s may only be expressed differently, and there is only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one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perform all deep learning oper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기계학습부(170)는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학습용 아토피 병변 유형을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제1 인공지능 모델(161)을 생성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can create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multiple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learning atopic lesion type that is preset to correspond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기계학습부(170)는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학습용 아토피 중증도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제2 인공지능 모델(162)을 생성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can create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multiple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pre-set learning atopy severity level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기계 학습이란 다수의 파라미터로 구성된 모델을 이용하며, 주어진 데이터로 파라미터를 최적화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기계 학습은 학습 문제의 형태에 따라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및 강화 학습(reinforcement learning)을 포함할 수 있다.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은 입력과 출력 사이의 매핑을 학습하는 것이며, 입력과 출력 쌍이 데이터로 주어지는 경우에 적용할 수 있다.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은 입력만 있고 출력은 없는 경우에 적용하며, 입력 사이의 규칙성 등을 찾아낼 수 있다.Machine learning can mean using a model composed of multiple parameters and optimizing the parameters with given data. Machine learning can include supervised learning, unsupervised learning, and reinforcement learning depending on the type of learning problem. Supervised learning is learning the mapping between inputs and outputs, and can be applied when input and output pairs are given as data. Unsupervised learning is applied when there are only inputs and no outputs, and can find regularities between inputs, etc.

기계학습부(170)는 다양한 방식으로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부(170)는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로부터 추출되는 특징(feature)을 딥러닝 기반의 학습방법으로 학습할 수 있다. 이때,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로부터 특징을 추출하는 방식을 학습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컨볼루션 계층(convolution layer)을 쌓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구조가 활용될 수 있으나, 기계학습부(170)의 학습방법이 반드시 CNN 구조를 활용하는 방법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계학습부(170)의 학습 방식은 ANN(artificial neural network) 또는 RNN(recurrent neural network) 등을 포함하는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통한 방식일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can generat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in various ways. For example, 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can learn features extracted from learning skin lesion images using a deep learning-based learning method. At this time, a CNN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structure that stacks several stages of convolution layers can be utilized to learn a method of extracting features from learning skin lesion images. However, the learning method of 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a method utilizing the CNN structure. For example, the learning method of 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can be a method using a machine learning algorithm including an ANN (artificial neural network) or an RNN (recurrent neural network).

사용자는 아토피 증상을 분석하고자 하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촬영할 수도 있으나, 피부 환부를 촬영하는데 특화된 IOT 기기에 마련된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할 수도 있다.A user may capture an image (300) of a skin lesion for which an atopic dermatitis symptom is to be analyzed using his/her user terminal (500), but may also capture the image using a camera (210) provided in an IoT device specialized for capturing skin lesions.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 정보 측정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는 카메라(210)가 마련되고, SCH 센서(220), TEWL 센서(230), 거리 센서(240) 및 발광 소자(25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2, a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may be provided with a camera (210) and may include a SCH sensor (220), a TEWL sensor (230), a distance sensor (240), and a light-emitting element (250).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는 카메라(210)를 통해 획득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피부 정보 수신부(111)로 송신할 수 있다.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can transmit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through a camera (210) to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SCH 센서(220)는 사용자의 피부 수분 정보 및 피부 유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CH 센서(220)는 전극이 피부와 접촉하여 피부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피부의 수분 함량을 계산하여 피부 수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또한, SCH 센서(220)는 유분 흡수지에 접촉한 피부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흡수되는 유분의 양을 측정하여 피부 유분 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The SCH sensor (220) can obtain the user's skin moisture information and skin oil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SCH sensor (220) can measure skin moisture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kin when the electrod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kin, and calculating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based on this. In addition, the SCH sensor (220) can measure skin oil information by measuring the amount of oil absorbed from the skin in contact with an oil absorbent paper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TEWL 센서(230)는 사용자의 경피 수분 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경피 수분 손실 정보는 각질층 중의 수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파라미터는 아니지만, 장벽 기능과 보습 기능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TEWL 센서(230)는 피부 표면의 수분이 환경으로 증발하는 속도를 측정함으로써 피부 장벽의 무결성과 수분 보호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TEWL 센서(230)는 피부 표면에서 수분이 공기중으로 확산하는 것에 대해서 증기압을 구해서 표피로부터 증발하는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피부가 건조할수록 TEWL 값은 높아지며, 피부 장벽의 손상이나 피부 질환 등으로 인해 TEWL 값이 높아질 수 있다.The TEWL sensor (230) can obtain the user's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information. The transepidermal water loss information is not a parameter that directly indicates moisture in the stratum corneum, but is closely related to the barrier function and moisturizing function. The TEWL sensor (230) can measure the integrity of the skin barrier and the moisture protection function by measuring the rate at which moisture on the skin surface evaporates into the environment. For example, the TEWL sensor (230) can measure the amount of moisture evaporating from the epidermis by obtaining the vapor pressure for moisture diffusing into the air from the skin surface. In general, the TEWL value increases as the skin becomes drier, and the TEWL value may increase due to damage to the skin barrier or skin disease.

발광 소자(250)는 빛을 생성할 수 있다. 발광 소자(250)는 가시광선 영역대의 빛을 생성하는 주광 LED(251) 및 자외선 영역대의 빛을 생성하는 UV LED(252)를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emitting element (250) can generate light. The light-emitting element (250) can include a daylight LED (251) that generates light in the visible light range and a UV LED (252) that generates light in the ultraviolet light range.

측정 장치 프로세서(270)는 카메라(210)가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획득할 때, 사용자의 피부를 향해 빛을 입사시키도록 발광 소자(250)를 제어할 수 있다. 피부를 향해 입사된 가시광선 영역대 또는 자외선 영역대의 빛은 피부를 비추어서 카메라(210)가 피부 환부를 촬영할 때 적절한 밝기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processor (270)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element (250)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user's skin when the camera (210) acquires a skin lesion image (300). The light in the visible light range or ultraviolet light range that is irradiated toward the skin can illuminate the skin so that the camera (210) can acquire an image of appropriate brightness when capturing the skin lesion.

거리 센서(240)는 카메라(210)가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획득할 때, 사용자의 피부와 카메라(2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거리 센서(240)는 카메라(210)가 턴 온 되면 사용자의 피부와 카메라(2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거리 센서(240)가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은 거리 센서(240)가 생성한 초음파 또는 빛이 피부에서 반사되어 돌아오는데 걸리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distance sensor (240) can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210) when the camera (210) obtains a skin target image (300). The distance sensor (240) can obtai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210) when the camera (210) is turned on. The method by which the distance sensor (240) obtains distance information may be a method of measuring the time it takes for the ultrasonic waves or light generated by the distance sensor (240) to be reflected from the skin and return, but is not limited thereto.

카메라(210)가 피부와 떨어진 거리에 상관없이 일관적인 밝기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It may be desirable for the camera (210) to obtain a skin lesion image (300) of consistent brightness regardless of the distance from the skin.

측정 장치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의 피부와 카메라(2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피부와 카메라(210)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발광 소자(250)가 생성하는 빛의 세기가 증가하게 발광 소자(25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측정 장치 프로세서(270)는 사용자의 피부와 카메라(210) 사이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의 피부와 카메라(210) 사이의 거리가 가까워질수록 발광 소자(250)가 생성하는 빛의 세기가 감소하게 발광 소자(250)를 제어할 수 있다.The measuring device processor (270)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element (250) so that the intensity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250)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210) increase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210). In addition, the measuring device processor (270) can control the light emitting element (250) so that the intensity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 emitting element (250) de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210) decrease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210).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에 마련된 통신부(26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 피부 수분 정보, 피부 유분 정보 및 경피 수분 손실 정보를 피부 정보 수신부(111)로 와이파이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송신할 수 있다. 하지만, 통신부(260)가 정보를 송신하는 통신 방식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communication unit (260) provided i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can transmit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skin moisture information, skin oil information, and transdermal moisture loss information to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using at least one of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However, the communication method by which the communication unit (260) transmits information is not limited thereto.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 피부 수분 정보, 피부 유분 정보 및 경피 수분 손실 정보를 포함하는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n analysis result screen (400) including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skin moisture information, skin oil information, and transdermal moisture loss information.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아토피 환부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process for performing analysis on an atopic dermatitis are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카메라(210)를 통해 획득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가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3, it can be confirmed that a skin lesion image (300) acquired by the user through a camera (210)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이후 카메라(210)로 환부에 대한 촬영을 완료하면, 획득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해서 아토피 환부가 분포한 영역의 이미지인 환부 영역 이미지(301)가 박스로 표시될 수 있다. 피부 환부 이미지(300)는 사용자가 촬영하여 획득한 이미지로서 적절한 위치에서 적절한 환부를 촬영하여 획득되었다면 분석 대상으로서 적절할 수 있으나, 환부에 비래 지나치게 넓은 부위가 촬영되었을 때 문제될 수 있다. 환부 영역 이미지(301)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서 분석 대상으로 쓰일 수 있는 환부가 분포한 영역의 이미지일 수 있다.After completing the shooting of the affected area with the camera (210), the affected area image (301), which is an image of the area where the atopic affected area is distributed, may be displayed as a box in the acquired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is an image acquired by the user, and if it is acquired by shooting an appropriate affected area at an appropriate location, it may be appropriate as an analysis target. However, if an excessively large area is shot compared to the affected area, it may be problematic. The affected area image (301) may be an image of the area where the affected area is distributed that can be used as an analysis target i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이후,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피부 환부 이미지(300) 또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에 대해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perform analysis o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or affected area image (301) and display the analysis results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의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아토피 중증도에 대응되는 피부과 검진 필요 여부 정보,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so that information on whether a dermatolog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s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atopic lesion type and atopic dermatitis severity of the skin lesion image (3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환부 영역 추출부(12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제3 인공지능 모델(163)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로부터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추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3, the affected area extraction unit (120) can extract an affected area image (301) from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based o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제3 인공지능 모델(163)은 입력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해당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응되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추출하는데 이용되는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may be an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used to extract an affected area image (301) corresponding to an input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기계학습부(170)는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는 학습용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제3 인공지능 모델(163)을 생성할 수 있다.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can generate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multiple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learning lesion area images (301)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output variables.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161)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162)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할 수 있다.The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130) can determine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301). The atopic severity determination unit (140) can determine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301).

한편, 아토피 증상 분석을 수행하려는 사용자는 아토피에 대해서 비전문가일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장에서는 어떠한 위치에서 카메라(210)를 통해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 것이 분석에 가장 적절할 지 잘 모를 수 있다.Meanwhile, users who wish to perform atopic symptom analysis may be non-experts in atopic dermatitis. Such users may not know at which location to acquire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hrough the camera (210) to be most appropriate for analysis.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환부에 접근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된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를 환부에서 멀어지게 하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된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wound photography assistance screen (302) on which information for inducing a camera to approach a wound is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wound photography assistance screen (302) on which information for inducing a camera to move away from a wound is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환부를 촬영하는 것을 보조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이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이용하는 카메라(210)는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고 피부 정보 측정 장치(200)에 마련된 것일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it can be seen that a camera photographing assistance screen (302) that assists the user in photographing the affected area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At this time, the camera (210) used by the user may be provided in the user terminal (500) or may be provided in th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00).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카메라(210)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수신할 수 있다.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21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포함하면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기초로 사용자가 실시간으로 카메라(210)를 통해 촬영하고 있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가 표시된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을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f a skin lesion image (300) acquired in real time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on the lesion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a skin lesion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on which a skin lesion image (300) being photographed by the user in real time through a camera (21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nformation of the skin lesion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추출된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적정 크기의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카메라(210)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ffected area shooting auxiliary screen (302) so that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camera (210)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n affected area image (301)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xtracted affected area image (301)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1 기준 비율 미만이면,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가까이 카메라(210)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f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so tha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mera (210) should be positioned closer to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1)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ratio.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1 기준 비율 미만이면, "카메라를 환부에 더 접근시키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1) to the affected area image (300)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ratio,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that displays the message “Please bring the camera closer to the affected area.”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면적에 대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의 면적일 수도 있고,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에 대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의 가로 또는 세로 길이일 수도 있다.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1) to the affected area image (300) may be the area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0) relative to the area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1), or may be the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0) relative to the horizontal or vertical length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1).

제1 기준 비율은 카메라(210)가 지나치게 멀리서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비율일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ratio may be a preset ratio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amera (210) acquires a skin lesion image (300) from too far away.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2 기준 비율 이상이면,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멀리 카메라(210)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f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so tha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mera (210) should be positioned further from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301) to the affected area image (3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ratio.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2 기준 비율 이상이면, "카메라를 환부로부터 조금 떨어뜨리세요"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 skin injury shooting auxiliary screen (302) that displays a message “Move the camera slightly away from the injury”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injury area image (301) to the skin injury image (300)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ratio.

제2 기준 비율은 카메라(210)가 지나치게 가까이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획득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데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비율일 수 있다.The second reference ratio may be a preset ratio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determining whether the camera (210) is acquiring a skin lesion image (300) too close.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결과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and 6,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so that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to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드립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n analysis result screen (400) that displays the message “We recommend microbiome analysis.”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은 생물체의 마이크로바이옴, 즉 생물체의 내부 또는 표면에 서식하는 미생물 군집을 연구하고 분석하는 분석 방법이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간의 몸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진균, 바이러스 등 다양한 미생물의 집합체를 의미할 수 있다.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은 다양한 방법을 사용하여 마이크로바이옴의 구성원, 다양성, 기능 등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주로 사용되는 분석 기술에는 16S 리보솜 RNA 유전자 시퀀싱, 메타게놈 시퀀싱, 유전체 분석, 유전체 기능 분석, 단백질 분석 등이 있다.Microbiome analysis is an analytical method that studies and analyzes the microbiome of an organism, that is, the microbial community that lives inside or on the surface of the organism. The microbiome can refer to a collection of various microorganisms such as bacteria, fungi, and viruses that exist in the human body. Microbiome analysis can be performed using various methods to understand and explain the composition, diversity, and functions of the microbiome. The commonly used analytical techniques include 16S ribosomal RNA gene sequencing, metagenomic sequencing, genome analysis, genome functional analysis, and protein analysis.

한편, 인간의 분변을 분석하여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간의 분변을 분석하여 마이크로바이옴을 연구하는 것은 해당 인간의 건강과 질병, 면역 체계, 영양 흡수, 소화 과정 등을 분석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Meanwhile, microbiome analysis can be performed by analyzing human feces. For example, studying the microbiome by analyzing human feces can help analyze the health and disease, immune system, nutrient absorption, digestive process, etc. of the person.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요청한다는 취지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입력하고, 자신의 분변을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관리자에게 전달한후, 관리자가 입력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A user inputs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requesting microbiome analysis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500), transmits his/her feces to an administrator of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and then 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s entered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50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기준 중증도 이상이면,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기준 중증도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데 기준이 되는 미리 설정된 아토피 중증도일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so that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to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if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is higher than the reference severity. The reference severity may be a preset atopic severity that serves as a reference for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예를 들어,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3단계이고, 기준 중증도가 2단계이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드립니다"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if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is stage 3 and the standard severity is stage 2,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that displays the message “We recommend microbiome analysi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을 수행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7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for performing microbiome-based analysi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는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nd FIG. 7,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can receive input information ente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는 수신한 입력 정보를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 및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로 전달할 수 있다.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can transmit the received input information to the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150) and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로 사용자의 분변에 대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을 수행하라는 취지의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When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receives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or a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to perform microbiome-based analysis on the user's stool.

관리자는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을 수행하라는 취지의 정보 또는 메시지를 확인한 후,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분변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처음 전달받은 분변은 사용자에 대한 1차 분변일 수 있다.After the administrator confirms the information or message that requests a microbiome-based analysis, the administrator can analyze the user's stool received from the user. At this time, the stool first received by the administrator may be the first stool for the user.

관리자는 사용자에 대한 1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 단말을 통해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administrator can generate prim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s for the primary feces of the user. The administrator terminal can receive prim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구체적으로,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관리자 단말로부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can receive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를 포함하면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f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that includes first stoo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s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stoo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a user terminal (500).

사용자는 1차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받은 후 추천된 제품을 통해 건강을 관리한 후 차도가 있는지 2차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수행하고자 할 수도 있다.After receiving the results of the first microbiome analysis and taking care of their health with the recommended products, users may want to perform a second microbiome analysis to see if there is any improvement.

관리자는 1차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을 수행한 후 일정 시간이 지난 뒤 사용자로부터 전달받은 사용자의 분변을 분석할 수 있다. 이때, 관리자가 두번째로 전달받은 분변은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일 수 있다.The administrator can analyze the user's stool received from the user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fter performing the microbiome-based analysis for the first time. At this time, the stool received by the administrator for the second time may be the user's secondary stool.

관리자는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관리자 단말은 관리자 단말을 통해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The administrator can generate second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s for the secondary feces of the user. The administrator terminal can receive second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구체적으로,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는,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can receive second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second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prim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기초로, 1차 분변의 취득 시점 및 2차 분변의 취득 시점 간의 사용자의 건강 개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면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500)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s health has improved between the time of acquisition of the first feces and the time of acquisition of the second feces, based on the first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second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8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creen of a microbiome-based analysis resul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의 구성을 확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configuration of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can be confirmed.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는 사용자에 대한 유해균 지수의 값 및 해당 값이 특정 집단의 평균적인 유해균 지수와 비교하여 높은지에 대한 정보 및 해당 값의 위험도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may display the value of the harmful bacteria index for the user, information on whether the value is high compared to the average harmful bacteria index of a specific group, and risk information of the value.

사용자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에 표시된 '추천 유산균 확인'을 터치하여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추천하는 유산균 제품의 종류 및 효과 등의 정보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에 표시될 수 있다.When a user touches 'Check recommended lactic acid bacteria' display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s screen (401) and inputs it as input information, information such as the type and effectiveness of the recommended lactic acid bacteria product can be display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s screen (401).

또한, 추천하는 유산균 제품이 표시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에서 사용자가 '상품 구매하기'를 터치하여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해당 유산균 제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Purchase Product'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showing the recommended lactic acid bacteria product and inputs the information, a purchase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lactic acid bacteria product can be provided.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은 사용자가 유산균 제품을 구매 및 복용 후 개선되는 효과를 유해균 또는 유익균의 리포트 형태로서 표시할 수 있다.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can display the improved effects after the user purchases and takes the probiotic product in the form of a report on harmful or beneficial bacteria.

도 9은 일 실시예에 따른 헬스 케어 앱에 의해 분석 결과 화면이 표시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는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의 앱에서 표시되는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9 is a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display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by a healthcare app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0 is a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displayed in an app of an atopic care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9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의해 제공되는 헬스 케어 앱 서비스를 자신의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이용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a user can use the healthcare app service provided by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50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챗봇과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는 챗봇 채팅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500)은 챗봇 채팅 화면의 정보를 기초로 디스플레이에 챗봇 채팅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 chatbot chat screen through which a user can exchange messages with a chatbot. 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the chatbot chat screen on the display based on the information on the chatbot chat screen.

사용자는 챗봇 채팅 화면을 보면서 자신이 의도한 내용의 메시지를 입력 정보로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는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A user can input a message of his/her intended content as input information while viewing the chatbot chat screen.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can receive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500) from the user terminal (500).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는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조작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의도에 따른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 단말(500)에 자신의 의도에 따른 입력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input according to the user's intention to manipulate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The user may input input information according to his/her intention into the user terminal (500) through the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것은, 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사용자 단말(500)에 마련되는 키보드, 버튼 또는 마우스가 사용자로부터 물리적인 힘을 받는 방식이거나, 디스플레이에 터치 입력 방식으로 입력 정보를 입력받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서버에 마련된 경우,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입력을 수신하는 것은, 서버의 통신 모듈이 사용자 단말(500)로부터 수신한 입력의 신호를,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서버의 통신 모듈로부터 전달받는 방식일 수 있다.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may receive input information in a manner in which a keyboard, button, or mouse provided on a user terminal (500) equipped with a display receives physical force from the user, or may receive input information in a touch input manner on the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i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s provided on a server,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may receive input in a manner in which the server's communication module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terminal (500), and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signal from the server's communication module.

사용자는 챗봇 채팅 화면을 통해 자신의 피부 상태에 대한 대략적인 정보를 메시지로 입력할 수 있다.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챗봇 채팅 화면을 통해 입력한 메시지를 분석하여 사용자의 피부 상태를 분석할 수 있다.A user can input a message contain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his or her skin condition through the chatbot chat scree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100) can analyze the user's skin condition by analyzing the message input by the user through the chatbot chat screen.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아토피 분석 여부 결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topic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section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perform an atopic analysis.

아토피 분석 여부 결정부는 사용자가 챗봇 채팅 화면을 통해 입력한 메시지를 기초로, 메시지 분석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아토피 분석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The atopy analysis decision unit can use a message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o determine whether an atopy analysis is necessary based on the message entered by the user through the chatbot chat screen.

메시지 분석 인공지능 모델은 아토피에 관련된 메시지를 입력 변수로 설정하고, 해당 메시지를 입력한 사람에 대해서 미리 설정된 아토피 분석의 필요 여부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미리 학습된 인공지능 모델일 수 있다. 메시지 분석 인공지능 모델은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message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a pre-traine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at sets a message related to atopy as an input variable and sets the necessity of a pre-set atopy analysis for the person who input the message as an output variable. The message analysis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ay be stored in memory (160).

아토피 분석 여부 결정부가 챗봇 채팅 화면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해서 아토피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카메라(210)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가 실시간으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토피 분석 여부 결정부가 챗봇 채팅 화면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에 대해서 아토피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하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포함하면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If the atopy analysis decision unit determines that atopy analysis is necessary for a message entered through the chatbot chat screen,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display display screen so that an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210) is displayed in real time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For example, if the atopy analysis decision unit determines that atopy analysis is necessary for a message entered through the chatbot chat screen,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an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that includes an affected area image (300) acquired in real time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이후,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피부 환부 이미지(300) 또는 환부 영역 이미지(301)에 대해서 분석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는 사용자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중등도'이고, 아토피 유형이 '아토피 피부염'이며 해당 사용자에 대한 처방이 '처방 보습제 하루 3회 도포'임을 포함할 수 있다.Thereafter,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may perform an analysis o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or affected area image (301) and display the analysis result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For example,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ay include that the atopic severity of the user is 'moderate', the atopic type is 'atopic dermatitis', and the prescription for the user is 'apply a prescription moisturizer three times a day'.

또한,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해당 사용자에 대한 추천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추천 서비스로는 케어 프로그램, 추천 제품,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및 병원 진료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display information on recommended services for the user. At this time, the recommended services can include care programs, recommended products, microbiome analysis, and hospital treatment.

도 10를 참조하면, 아토피 케어 서비스의 앱에서 표시되는 구성들을 확인하 수 있다.Referring to Figure 10, you can check the configurations displayed in the atopic care service app.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복수개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들 각각에 대한 분석 결과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아토피 케어 서비스의 앱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분석 결과, 케어 가이드, 분석 리포트, 추천 제품 등이 표시되도록 아토피 케어 서비스의 앱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추천 제품의 이미지, 제품명 및 가격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해 추천하는 검사의 종류 및 각 검사의 내용 설명이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control the app of the atopic care service so that the analysis results for each of the multiple skin affected area images (300)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app of the atopic care service can be controlled so that the analysis results, care guide, analysis report, recommended products, etc. for each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re displayed. At this time, the image, product name, and price of the recommended product for each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In addition, the type of test recommended for each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nd the description of the content of each tes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추천 식품 정보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은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레스 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1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on which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is display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2 is a drawing illustrat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that provides a stress care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1을 참조하면, 분석 결과 화면(400)으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추천 식단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대체 식단 확인하기'를 터치하여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추천하는 대체 식단이 분석 결과 화면(400)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it can be confirmed that a recommended diet for a skin lesion image (300) is displayed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At this time, if the user touches 'Check alternative diet'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nputs it as input information, the recommended alternative diet can be displayed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또한, 추천하는 대체 식단이 표시된 분석 결과 화면(400)에서 사용자가 '상품 구매하기'를 터치하여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해당 상품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user touches 'Purchase Product' on the analysis results screen (400) showing the recommended alternative diet and inputs the information, a purchase service for the corresponding product can be provided.

도 12을 참조하면, 분석 결과 화면(400)으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스트레서 완화 프로그램이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디스플레이에 표시된 '스트레스 검사 신청'을 터치하여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추천하는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이 분석 결과 화면(400)에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스트레스 검사 신청'을 터치하면, '템플 스테이'가 추천된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으로서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2, it can be confirmed that a stress relief program for a skin lesion image (300) is displayed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At this time, if the user touches 'Request for Stress Test' displayed on the display and inputs it as input information, a recommended stress relief program can be displayed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For example, if the user touches 'Request for Stress Test', 'Temple Stay'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as a recommended stress relief program.

또한, 추천하는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이 표시된 분석 결과 화면(400)에서 사용자가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을 신청한다는 취지의 입력을 입력 정보로서 입력하면, 해당 프로그램에 대한 구매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In addition, if a user inputs information indicating that he or she wishes to apply for a stress relief program on the analysis results screen (400) showing the recommended stress relief program, a purchase service for the program can be provided.

도 13는 일 실시예에 따른 유익균에 대한 분석 결과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FIG. 13 is a diagram illustrating an analysis result screen that displays analysis results for beneficial bacteri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3를 참조하면,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촬영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비대면 진료 서비스, 의사 상담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3,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display information on non-face-to-face treatment services and doctor consultation services for skin lesion images (300) taken by the user.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사용자가 촬영한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비대면 진료 예약을 위한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거나, 의사 상담을 위한 화면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screen information for a non-face-to-face medical consultation reservation for a skin lesion image (300) taken by a user, or generate screen information for a doctor consultation.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At least one component may be added or deleted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In addition, it will be readi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mutual positions of the components may be changed in response to the performance or structure of the system.

도 14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 이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이며, 필요에 따라 일부 구성이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Fig. 14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n atopic care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is is only a preferred embodiment for achieving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t is obvious that some components may be added or deleted as needed.

도 14을 참조하면,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카메라(210)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수신할 수 있다(1001). 피부 정보 수신부(111)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환부 영역 추출부(120)로 전달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of the user from the camera (210) (1001).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can transmit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to the affected area extraction unit (120).

환부 영역 추출부(12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제3 인공지능 모델(163)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로부터 아토피 환부가 분포한 영역을 환부 영역 이미지(301)로 추출할 수 있다(1002).The affected area extraction unit (120) can extract an area where an atopic dermatitis lesion is distributed from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as an affected area image (301) using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based on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300) (1002).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포함하면서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을 생성할 수 있다(1003). 이때,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추출된 환부 영역 이미지(301)의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적정 크기의 환부 영역 이미지(301)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카메라(210)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환부 촬영 보조 화면(302)을 생성할 수 있다.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a skin lesion image (300) acquired in real time and a skin lesion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1003). At this time,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a skin lesion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302) so that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camera (210)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n appropriately sized skin lesion image (301)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xtracted skin lesion image (301) to the skin lesion image (300)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161)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할 수 있다(1004).The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130) can determine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1)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300) (1004).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162)을 이용하여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할 수 있다(1005).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assessment unit (140) can determine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300) (1005).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는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피부 환부 이미지(300)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1006).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150) can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400)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and the atopic lesion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300) (1006).

사용자 단말(500)은 디스플레이에 분석 결화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1007).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an analysis result screen on the display (1007).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다.Figure 15 is a flowchart of a method for providing a microbiome analysis ser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 단말(500)은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400)의 정보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할 수 있다(2001).Referring to FIG. 15, 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information on an analysis result screen (400) that displays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to the user (2001).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500)을 통해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요청한다는 취지의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2002).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하면,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관리자 단말로 사용자의 분변에 대해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분석을 수행하라는 취지의 정보 또는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A user can input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to request microbiome analysis through his/her user terminal (500).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can receive the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2002). When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can transmit information or a message to the administrator terminal to perform a microbiome-based analysis on the user's stool.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관리자 단말로부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2003).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can receive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from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receives the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2003).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는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을 표시할 수 있다(2004).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including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2004).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는,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2005).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can receive second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second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primary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2005).

사용자 단말(500)의 디스플레이는 1차 분변의 취득 시점 및 2차 분변의 취득 시점 간의 사용자의 건강 개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401)을 표시할 수 있다(2006).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500) can display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401)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s health has improved between the time of obtaining the first stool and the time of obtaining the second stool (2006).

피부 정보 수신부(111), 사용자 입력 수신부(112),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113), 환부 영역 추출부(120), 아토피 유형 결정부(130),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14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150), 기계학습부(170), 통신부(260) 및 측정 장치 프로세서(270)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포함된 복수개의 프로세서 중 어느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지금까지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앞으로 설명할 실시예에 따른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은,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프로그램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1),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112), the stoo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113), the affected area extracting unit (120), the atopic type determining unit (130), the atopic severity determining unit (140), the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150), the machine learning unit (170), the communication unit (260), and the measuring device processor (270) may include any one of the multiple processors included i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100). In addition,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so far and the embodiments to be described hereinafter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program that can be driven by a processor.

여기서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기계어 코드나 고급 언어 코드를 이용하여 설계 및 제작된 것일 수 있다. 프로그램은 상술한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것일 수도 있고,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에게 기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각종 함수나 정의를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도 있다. 전술한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이때, 기록매체는 메모리(160)일 수 있다.Here, the program may include program commands, data files, and data structures, either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may be designed and produced using machine language codes or high-level language codes. The program may be specifically designed to implement the above-described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or may be implemented using various functions or definitions that ar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The program for implementing the above-described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method may be recorded on a recording medium readable by a processor. In this case, the recording medium may be a memory (160).

메모리(160)는 전술한 동작 및 후술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메모리(160)는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와 메모리(160)가 복수인 경우에, 이들이 하나의 칩에 집적되는 것도 가능하고, 물리적으로 분리된 위치에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메모리(160)는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랩(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60)는 제어 프로그램 및 제어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이피롬(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PROM), 이이피롬(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EEPROM)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The memory (160) can store a program that performs the operations described above and the operations described below, and the memory (160) can execute the stored program. In the case where there are a plurality of processors and memories (160), they can be integrated into a single chip or can be provided in physically separate locations. The memory (160) can include volatile memory such as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and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for temporarily storing data. In addition, the memory (160) can include nonvolatile memory such as ROM (Read Only Memory),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and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for long-term storage of control programs and control data.

프로세서는 각종 논리 회로와 연산 회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160)로부터 제공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따라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The processor may include various logic circuits and operation circuits, process data according to a program provided from memory (160), and generate a control signal according to the processing result.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As described above, the disclosed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forms other than the disclosed embodiment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are exemplar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100: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1: 피부 정보 수신부
112: 사용자 입력 수신부
113: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
120: 환부 영역 추출부
130: 아토피 유형 결정부
140: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
150: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
160: 메모리
161: 제1 인공지능 모델
162: 제2 인공지능 모델
163: 제3 인공지능 모델
170: 기계학습부
200: 피부 정보 측정 장치
210: 카메라
220: SCH 센서
230: TEWL 센서
240: 거리 센서
250: 발광 소자
251: 주광 LED
252: UV LED
260: 통신부
270: 측정 장치 프로세서
300: 피부 환부 이미지
301: 환부 영역 이미지
302: 환부 촬영 보조 화면
400: 분석 결과 화면
401: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
500: 사용자 단말
100: Atopic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111: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112: User Input Reception Unit
113: Fecal analysis results receiving unit
120: Extraction of the refund area
130: Atopic type determination section
140: Atopic Severity Assessment Section
150: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section
160: Memory
161: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2: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63: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170: Machine Learning Department
200: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210: Camera
220: SCH sensor
230: TEWL sensor
240: Distance sensor
250: Light-emitting element
251: Daylight LED
252: UV LED
260: Communications Department
270: Measuring Device Processor
300: Skin lesion image
301: Image of the refund area
302: Refundable Photo Auxiliary Screen
400: Analysis Results Screen
401: Microbiome Analysis Results Screen
500: User Terminal

Claims (20)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수신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유형 결정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 및
상기 카메라가 마련되고,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측정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피부 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 수분 정보 및 피부 유분 정보를 획득하는 SCH 센서;
상기 사용자의 경피 수분 손실 정보를 획득하는 TEWL 센서;
빛을 생성하는 발광 소자;
상기 카메라가 피부 환부 이미지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의 피부를 향해 빛을 입사시키도록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측정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카메라가 피부 환부 이미지를 획득할 때,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거리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측정 장치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 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피부와 상기 카메라 사이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상기 발광 소자가 생성하는 빛의 세기가 증가하게 상기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of a user's skin area from a camera;
An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 atopic dermatitis severity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n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above skin lesion image and the atopic lesion severity for the above skin lesion image; and
A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is provided with the above camera and configured to transmit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abov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SCH sensor for obtaining skin moisture information and skin oil information of the user;
A TEWL sensor for obtaining transepidermal water loss information of the user;
A light-emitting element that produces light;
A measuring device processor that controls the light-emitting element to irradiate light toward the user's skin when the camera acquires an image of the skin area; and
When the above camera acquires a skin area image, it includes a distance sensor configured to acquire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The above measuring device processor,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which controls a light-emitting element so that the intensity of light generated by the light-emitting element increases as the distance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increases based on distance information between the user's skin and the camer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정보 측정 장치는,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 상기 피부 수분 정보, 상기 피부 유분 정보 및 경피 수분 손실 정보를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로 와이파이 통신 방식 또는 블루투스 통신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kin information measuring device,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communication unit configured to transmit the skin lesion image, the skin moisture information, the skin oil information, and the transdermal moisture loss information to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using at least one of a Wi-Fi communication method and a Bluetooth communication method.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수신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유형 결정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3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로부터 아토피 환부가 분포한 영역의 이미지인 환부 영역 이미지를 추출하도록 구성되는 환부 영역 추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토피 유형 결정부는,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는,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는,
상기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된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적정 크기의 환부 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of a user's skin area from a camera;
An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 atopic dermatitis severity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n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above skin lesion image and the atopic lesion severity for the above skin lesion image; and
Based on the above skin lesion image, a lesion area extraction unit is configured to extract an lesion area image, which is an image of an area where atopic lesions are distributed, from the above skin lesion image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e above atopic type determination part is,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The above atopic dermatitis severity assessment section is,
It is configured to determine the severity of atopy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The abov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The above camera is configured to receive a skin affected area image acquired in real time,
The abov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Generating a skin injury shooting auxiliary screen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ile including the skin injury image acquired in real time; and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the affected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so that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camera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n affected area image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acquired based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xtracted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제6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는 학습용 환부 영역 이미지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상기 제3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rticle 6,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setting a plurality of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a learning lesion area image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삭제delet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1 기준 비율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가까이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고; 그리고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2 기준 비율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멀리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rticle 6,
The abov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If the relative size of the image of the affected area to the image of the affected skin is less than the first reference ratio,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mera should be positioned closer to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to generate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the affected area; and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an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the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indicating that the camera should be positioned further from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the second reference ratio.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학습용 아토피 병변 유형을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상기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preset learning atopic lesion type corresponding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를 입력 변수로 하고, 각각의 학습용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응되도록 미리 설정된 학습용 아토피 중증도를 출력 변수로 설정하여 기계 학습 방식을 통해 상기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기계학습부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machine learning unit configured to generate the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through a machine learning method by using a plurality of learning skin lesion images as input variables and setting a learning atopic dermatitis severity level that is preset to correspond to each learning skin lesion image as an output variabl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아토피 중증도에 대응되는 피부과 검진 필요 여부 정보,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uch that information on whether a dermatolog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corresponding to the atopic lesion type and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information on recommended medicines, information on recommended cosmetics, and information on recommended foods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피부 정보 수신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유형 결정부;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기준 중증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n image of a user's skin area from a camera;
An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 atopic severity determination unit configured to determine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and
A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n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above skin lesion image and an atopic lesion severity for the above skin lesion image,
The abov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for the user is configured to be generated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th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nd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f the atopic severity of the above skin lesion imag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severity,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for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삭제delet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입력 수신부; 및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에 대한 1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를 더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rticle 13,
A user inpu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put information entered through the user terminal; and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further comprising a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after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receives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first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an administrator terminal.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rticle 15,
The abov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including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는,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rticle 16,
The receiving unit of the above fecal analysis results is,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receive, after receiving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second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second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는,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1차 분변의 취득 시점 및 상기 2차 분변의 취득 시점 간의 상기 사용자의 건강 개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
In Article 17,
The above display screen generation unit,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nfigured to generate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s health has improved between the time of acquisition of the first feces and the time of acquisition of the second feces, based on the first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second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피부 정보 수신부에 의해,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환부 영역 추출부에 의해,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를 기초로, 제3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로부터 아토피 환부가 분포한 영역을 환부 영역 이미지로 추출하는 단계;
아토피 유형 결정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제1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을 결정하는 단계;
아토피 중증도 판단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를 기초로 제2 인공지능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결정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를 기초로,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피부 정보 수신부에 의해, 상기 카메라가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실시간으로 획득되는 피부 환부 이미지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추출된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를 기초로, 적정 크기의 환부 영역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위치로 상기 카메라를 이동시키도록 유도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1 기준 비율 미만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가까이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환부 영역 이미지의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상대적인 크기가 제2 기준 비율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의 피부에서 더 멀리 카메라를 위치시키라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도록 상기 환부 촬영 보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아토피 병변 유형 및 상기 아토피 중증도에 대응되는 피부과 검진 필요 여부 정보,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피부 환부 이미지에 대한 아토피 중증도가 기준 중증도 이상이면, 상기 사용자에 대해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을 권유하는 취지의 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게 상기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사용자 입력 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입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입력 수신부가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요청 정보를 수신한 후,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1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에 대응되는 추천 의약품 정보, 추천 화장품 정보 및 추천 식품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한 후, 상기 분변 분석 결과 수신부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 대한 2차 분변에 대한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를 기초로 생성되어 상기 관리자 단말을 통해 입력된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플레이 표시 화면 생성부에 의해, 상기 1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 및 상기 2차 분변 분석 결과 정보를 기초로, 상기 1차 분변의 취득 시점 및 상기 2차 분변의 취득 시점 간의 상기 사용자의 건강 개선 여부 정보를 포함하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마이크로바이옴 분석 결과 화면의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
A step of receiving an image of a user's skin affected area from a camera by a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step of extracting an area where an atopic dermatitis lesion is distributed from the skin lesion image as an lesion area image using a thir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skin lesion image by the lesion area extraction unit;
A step of determining an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a first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by an atopic type determination unit;
A step of determining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using a second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based on the affected area image by an atopic severity judgment unit;
A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f an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a user terminal based on the atopic lesion type for the skin lesion image and the atopic severity for the skin lesion image by a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of receiving a skin affected area image acquired in real time by the camera by the skin information receiving unit;
A step of generating a skin area photographing auxiliary screen, which includes the skin area image acquired in real time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nd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 step of generating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the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for inducing the camera to move to a position where an image of the affected area of an appropriate size can be obtained based on the relative size of the extracted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of generating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the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indicating to position the camera closer to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less than a first reference ratio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of generating the auxiliary screen for photographing the affected area so that information indicating to position the camera further from the user's ski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when the relative size of the affected area image to the skin affected area image is greater than or equal to a second reference ratio,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nformation on whether a dermatological examination is necessary, information on recommended medicines, information on recommended cosmetics, and information on recommended foods corresponding to the atopic lesion type and the atopic dermatitis severity are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the analysis result screen so that, if the atopic severity of the skin lesion image is higher than the standard severity, information recommending microbiome analysis for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 step of receiving input information input through the user terminal by a user input receiving unit;
A step of receiving, by the user input receiving unit, microbiome analysis request information, and then receiving, by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first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A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f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that includes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recommended medicine information, recommended cosmetic information, and recommended food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After receiving the first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 step of receiving second fecal analysis result information generated based on the microbiome analysis result for the second feces of the user and input through the administrator terminal by the fecal analysis result receiving unit; and
A control method for an atopic care service providing system, comprising the step of generating information on a microbiome analysis result screen displayed on a display of the user terminal, the information including information on whether the user's health has improved between the time of acquiring the first feces and the time of acquiring the second feces, based on the first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and the second feces analysis result information, by the display display screen generating unit.
제19항의 아토피 케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제어 방법을 실행시키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to execute the control method of the atopic care service provision system of Article 19.
KR1020230077939A 2023-06-19 2023-06-19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Active KR102745815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939A KR102745815B1 (en) 2023-06-19 2023-06-19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PCT/KR2024/008016 WO2024262863A1 (en) 2023-06-19 2024-06-12 System for providing precise personal atopic dermatitis care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77939A KR102745815B1 (en) 2023-06-19 2023-06-19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5815B1 true KR102745815B1 (en) 2024-12-24

Family

ID=93935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7939A Active KR102745815B1 (en) 2023-06-19 2023-06-19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45815B1 (en)
WO (1) WO2024262863A1 (en)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309A (en)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alysis of face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190007121A (en) * 2017-07-11 2019-01-22 주식회사 지파워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thereof
KR102128910B1 (en) * 2018-03-30 2020-07-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kin lesion diagnosis based on neural network and method for aiding skin lesion diagnosis
KR20210079229A (en)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A system for personal tailored cosmetic with improved customer satisfaction
KR20220018813A (en)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Skin disease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reminal and skin disease management method
KR20220057793A (en) * 2020-10-30 2022-05-09 이후경 User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topic dermatitis diagnosis based on deep learning
KR20220063705A (en) * 2020-11-10 2022-05-17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Portable medical diagnosis device and disease diagnosis method using same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52309A (en) * 2014-11-04 2016-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analysis of face information in electronic device
KR20190007121A (en) * 2017-07-11 2019-01-22 주식회사 지파워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ystem thereof
KR102128910B1 (en) * 2018-03-30 2020-07-01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Apparatus for skin lesion diagnosis based on neural network and method for aiding skin lesion diagnosis
KR20210079229A (en) * 2019-12-19 2021-06-29 재단법인 제주테크노파크 A system for personal tailored cosmetic with improved customer satisfaction
KR20220018813A (en) * 2020-08-07 2022-02-15 주식회사 에이아이포펫 Skin disease measuring system using a portable treminal and skin disease management method
KR20220057793A (en) * 2020-10-30 2022-05-09 이후경 User terminal configured to perform atopic dermatitis diagnosis based on deep learning
KR20220063705A (en) * 2020-11-10 2022-05-17 메타메디슨 주식회사 Portable medical diagnosis device and disease diagnosis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262863A1 (en) 2024-1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832958B2 (en) Automatic image-based skin diagnostics using deep learning
US20190261914A1 (en) Physiologic audio methods and arrangements
US20140313303A1 (en) Longitudinal dermoscopic study employing smartphone-based image registration
CN104871160B (en) System and method for feeling and recognizing anatomy
Horst et al. Gutenberg Gait Database, a ground reaction force database of level overground walking in healthy individuals
WO2014172671A1 (en) Physiologic data acquisition and analysis
JPWO2020113326A5 (en)
Rodríguez et al. In-bed posture classification from pressure mat sensors for the prevention of pressure ulcers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s
Jones et al. Reliability of an automated high-resolution manometry analysis program across expert users, novice users, and speech-language pathologists
Koumpouros et al. PYTHEIA: A scale for assessing rehabilitation and assistive robotics
Ferreira et al. Neural network-based method to stratify people at risk for developing diabetic foot: A support system for health professionals
Chica et al. Objective assessment of skin repigmentation using a multilayer perceptron
CN115317304A (en) Intelligent massage method and system based on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detection
KR10271650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of skin diseases using chatbot
KR102745815B1 (en) Personalized care service for Atopic Dermatitis
CN119920457A (en) Diabetic foot control methods and related equipment for diabetic patients
JP2002078699A (en) Measurement of cognitive impairment due to incidental or intentional exposure to neurotoxic element
KR2023016382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on-Face-To-Face disease diagnosis
Anbarasi et al. An overview of current developments and methods for identifying diabetic foot ulcers: A survey
KR102720578B1 (en) Personalized AI Foot Care Massager
Dhoundiyal et al. Harnessing CNNs for Accurate Skin Disease Identification
Sofia CORTEX FEET PRESSURE BALANCING FOR DIABETIC PATIENT
Chandrakala et al. Health-Lens: A Health Diagnosis Companion.
الهلة et al. Detection and classification of skin cancer using CNN
Kao et al. Investigating the Development of an AI-Based Classification System for Detecting Sarcopenia in the Elderly Through Gait and Posture Analysi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6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2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