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5646B1 - Display apparatus - Google Patents
Display apparatu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5646B1 KR102745646B1 KR1020180141063A KR20180141063A KR102745646B1 KR 102745646 B1 KR102745646 B1 KR 102745646B1 KR 1020180141063 A KR1020180141063 A KR 1020180141063A KR 20180141063 A KR20180141063 A KR 20180141063A KR 102745646 B1 KR102745646 B1 KR 102745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d
- area
- power supply
- bending
- li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베젤 영역은 패드 영역,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링크 영역, 및 패드 영역과 링크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베젤 영역의 패드 영역에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데이터 패드, 데이터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전원 공급 패드, 및 제2 전원 공급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더미 패드,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데이터 패드와 연결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 베젤 영역에서 데이터 링크 배선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는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 및 베젤 영역에서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며 더미 패드와 연결되는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ay include a display area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bezel area may include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pad area, a link area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pad area, and a bending area dispos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link area, a data pad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ad area of the bezel area, second power supply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pad, and dummy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 data link wiring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ata pad, a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link wiring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nd a dummy pad lin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ummy pad. In addition, one end of the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장치의 벤딩(bending)을 감지하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 각각이 벤딩 영역 내에서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specifica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evice in which each of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for detecting bending of the display device is arranged in different areas within a bending area.
최근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소재로 이루어진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종이처럼 휘어져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가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 받고 있다. 플렉서블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다. 또한,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Recently, flexible display devices that are manufactured by forming display sections and wiring on a substrate made of flexible materials such as plastics so that they can display images even when bent like paper are attracting attention as next-generation display devices. The application range of flexible display devices is expanding from computer monitors and TVs to personal mobile devices. In addition,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flexible display devices that have a large display area while having a reduced volume and weight.
한편,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 또는 폴딩(folding)함에 따라 내부 소자들의 손상이 우려될 수 있으며, 이에, 사용자가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벤딩 또는 폴딩하는 정도를 감지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존재한다. 이에, 별도로 제조된 벤딩 센서를 플렉서블 표시 장치에 부착하는 방식으로 플렉서블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것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Meanwhile, there is concern that internal components may be damaged when the flexible display device is bent or folded, and thus there is a demand for detecting the degree to which the user is bending or folding the flexible display device. Accordingl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on manufacturing a flexible display device by attaching a separately manufactured bending sensor to the flexible display device.
[관련기술문헌][Related technical literature]
1. 전자 기기 및 전자 기기의 제어 방법(한국특허출원번호 제10-2011-0077585호)1. Electronic device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1-0077585)
본 명세서의 발명자는 표시 장치의 벤딩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해 벤딩 영역에 벤딩 정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배치하고, 센서의 양단에 전압을 인가하며 센서에 흐르는 전류에 기초하여 센서의 저항값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벤딩 정도를 판단한다. 벤딩 영역 전체에 하나의 벤딩 센서를 배치할 경우, 벤딩 영역의 각각의 위치별 벤딩 되는 정도의 감지가 불가능하다. 또한, 벤딩 영역 전체에 배치된 벤딩 센서는 벤딩됨에 따른 저항값의 변화가 작아 정확한 벤딩 정도를 감지하는데 어려움이 있다.The invento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etermines the bending degree by arranging a sensor for detecting the bending degree in a bending area to detect the bending degree of a display device, applying voltage to both ends of the sensor, and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nsor based on the current flowing in the sensor. If one bending sensor is arranged in the entire bending area, it is impossible to detect the bending degree at each position in the bending area. In addition, since the change in resistance value due to bending of the bending sensor is small, it is difficult to detect the exact bending degree in the bending sensor arranged in the entire bending area.
이에, 본 명세서의 발명자는 벤딩 영역 내에서 각각의 위치별로 벤딩되는 정도를 측정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Accordingly, the invento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vented a display device having a novel structure capable of measuring the degree of bending at each position within a bending area.
이에,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벤딩 영역에 벤딩 방향을 따라 복수개의 벤딩을 감지하는 패턴을 배치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bend-detecting patterns arranged along a bending direction in a bending area.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벤딩되는 영역이 벤딩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나누어지며 각각의 영역에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이 각각 배치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bending region is divid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nding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each region.
또한,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크랙(crack)의 전파를 막기 위해 벤딩 감지 패턴을 커버하는 평탄화층과 배선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이 서로 분리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In addition, the problem that this specifica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flattening layer covering a bend detection pattern and a flattening layer covering wiring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prevent the propagation of cracks.
본 명세서의 발명자는 표시 장치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온도에 의한 표시 장치의 소자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도록 표시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에 온도 모니터링 패턴이 배치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invento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vente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detecting damage to an element of the display device due to temperature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having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arranged on the display device.
또한, 본 명세서의 발명자는 표시 장치에서 온도 모니터링 패턴과 벤딩 모니터링 패턴이 배치되는 베젤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표시 장치를 발명하였다. 이에, 본 명세서가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베젤영역에 배치된 온도 모니터링 패턴 및 벤딩 모니터링 패턴이 복수의 패드중 하나를 함께 공유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이 형성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벤딩 모니터링 패턴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설계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inventor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vented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ducing the area of a bezel area where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and a bending monitoring pattern are arranged in the display device. Accordingly,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in which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and a bending monitoring pattern arranged in a bezel area share one of a plurality of pads. 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design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so as to reduce the area where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is formed.
본 명세서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베젤 영역은 패드 영역,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링크 영역, 및 패드 영역과 링크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베젤 영역의 패드 영역에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데이터 패드, 데이터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전원 공급 패드, 및 제2 전원 공급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더미 패드,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데이터 패드와 연결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 베젤 영역에서 데이터 링크 배선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는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 및 베젤 영역에서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며 더미 패드와 연결되는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isplay device may include a display area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the bezel area including a pad area, a link area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pad area, and a bending area dispos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link area, a flexible substrate, a data pad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ad area of the bezel area, second power supply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pad, and dummy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 data link wiring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ata pad, a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link wiring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nd a dummy pad lin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ummy pad. In addition, one end of the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베젤 영역은 패드 영역, 패드 영역과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벤딩 영역, 및 벤딩 영역 및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링크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변에 배치되는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제2 변에 배치되는 제2b 전원 공급 라인, 및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변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 라인과 제2 변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as described above,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displa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wires transmitting a data signal and a plurality of pixe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ata wires,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bezel area may include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pad area, a bending area arrang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display area, and a link area arranged between the bending area and the display area,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bezel area and each connected to the data wires, a 2a power supply line arranged in the bezel area and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a 2b power supply line arranged on the second side, and a first dummy pad line arranged in the bezel area and arranged on the firs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and a second dummy pad line arranged on the second side. 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a power supply line, and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b power supply line.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명세서는 벤딩되는 방향에 따라 배치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을 이용하여 벤딩 영역을 구성하는 각각의 영역의 벤딩의 정도 및 정확하게 벤딩되었는지 여부를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the effect of more accurately detecting the degree of bending and whether or not each area constituting a bending area is bent accurately by using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arranged according to the bending direction.
또한, 본 명세서는 곡률 반경이 큰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감지 패턴의 밀도를 곡률 반경이 작은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감지 패턴의 밀도보다 크게 하여 보다 세밀하게 벤딩의 정도를 감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the effect of enabling more precise detection of the degree of bending by making the dens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arranged in a bending area with a large radius of curvature greater than the dens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arranged in a bending area with a small radius of curvature.
본 명세서는 온도 모니터링 패턴을 베젤 영역의 패드 영역에 배치하여 표시 장치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온도에 의한 표시 장치의 소자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an detect damage to elements of a display device due to temperature by measuring changes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display device by placing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in a pad area of a bezel area.
그리고, 본 명세서는 베젤 영역의 패드영역에 배치된 온도 모니터링 패턴과 베젤 영역의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모니터링 패턴이 복수의 패드중 하나를 함께 공유하여, 표시 장치에서 베젤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specification has an effect of reducing the area of the bezel area in the display device by allowing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arranged in a pad area of the bezel area and a bending monitoring pattern arranged in a bending area of the bezel area to share one of a plurality of pads.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은 표시 장치가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패턴이 형성되어야 하는 벤딩 모니터링 패턴과는 다른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온도 모니터링 패턴이 형성되는 면적을 줄일 수 있도록 형상을 설계함으로써, 표시 장치에서 베젤 영역의 면적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can be formed to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in which the pattern must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display device is bent. Accordingly, by designing the shape so as to reduce the area in which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is formed,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the area of the bezel area in the display device.
본 명세서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to the contents exemplified above, and more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a-IIIa' 및 IIIb-III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B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벤딩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IX-IX'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3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ure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ure 1.
Figure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IIIa-IIIa' and IIIb-IIIb' of Figure 2.
Figure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ure 1 in a bent state.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6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6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part B of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d in FIG. 6a.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bent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7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9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9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IX-IX' of Fig. 9a.
FIG. 10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2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13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S. 14A and 14B are enlarged plan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본 명세서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명세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명세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명세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the method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specification belongs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명세서가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명세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re illustrative and therefore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illustrat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When the terms “includes,” “has,” “consists of,” etc. are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it includes a case where the plural is included unless there is a specifically explicit description.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When describ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the positional relationship between two parts is described as 'on ~', 'upper ~', 'lower ~', 'next to ~', etc., one or more other parts may be located between the two parts, unless 'right' or 'directly' is used.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When an element or layer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or layer, it includes both instances where the other element is directly on top of the other element or layer, or instances where there is another layer or element intervening therebetween.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Although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Thus, a first component referred to below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within the technical scope of this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refer to identical components.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명세서가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e size and thicknes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is specifica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components shown.
본 명세서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individual features of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various technical connections and operations are possible, as can be fu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e individual embodiments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FIG. 1 is a schematic plan view illustrat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플렉서블 기판(110), COF(120)(Chip on Flim) 및 인쇄 회로 기판(13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1, the display device (100)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110), a COF (120) (Chip on Flim),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30).
플렉서블 기판(110)은 표시 장치(100)의 여러 구성요소들을 지지하고 보호하기 위한 기판이다. 플렉서블 기판(110)은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절연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10)은 폴리이미드(ployimide) 등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a substrate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various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flexible substrate (110) may be composed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flexibility. For example, the flexible substrate (110) may be made of a plastic such as polyim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플렉서블 기판(110)은 표시 영역(AA) 및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Z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lexible substrate (110) may include a display area (AA) and a bezel area (Z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A).
표시 영역(AA)은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표시 영역(AA)에는 표시 소자 및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동 소자들이 배치된다. The display area (AA) is an area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display device (100), and display elements and various driving elements for driving the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베젤 영역(ZA)은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영역이다. 베젤 영역(ZA)은 표시 장치(100)에서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며, 배선 또는 회로부가 형성된다. 베젤 영역(ZA)은 링크 영역(L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을 포함한다. The bezel area (ZA) is an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AA). The bezel area (ZA) is an area in the display device (100) where no image is displayed, and where wiring or circuitry is formed. The bezel area (ZA) includes a link area (LA), a bending area (BA), and a pad area (PA).
링크 영역(LA)은 표시 영역(A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링크 영역(LA)은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배선들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다양한 링크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링크 배선(DLL), 고전위 전압 공급 배선 등이 링크 영역(LA)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nk area (LA)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display area (AA). The link area (LA) is an area where link wires for transmitting signals to wires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are arranged, and various link wires can be arranged. For example, data link wires (DLL), high-potential voltage supply wires, etc. can be arranged in the link area (LA).
벤딩 영역(BA)은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링크 영역(L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플렉서블 기판(110)은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영역에서 벤딩되지 않고 평탄한 상태로 유지되고, 벤딩 영역(BA)만이 벤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렉서블 기판(110)의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두 개의 벤딩되지 않는 영역은 서로 마주보도록 표시 장치(100)가 벤딩될 수 있다. The bending area (BA) may be an area where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The bending area (BA)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link area (LA). The flexible substrate (11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it is not bent but remains flat in an area excluding the bending area (BA), and only the bending area (BA) is bent.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bent such that two non-bending areas excluding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face each other.
패드 영역(P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며, 복수의 패드(P)가 형성되는 영역이다. 패드 영역(PA)은 벤딩 영역(B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다. 패드 영역(PA)은 복수의 패드(P)와 외부 모듈, 예를 들어, COF(120) 등이 본딩되는 영역이다. The pad area (PA) is an area where no image is displayed and where multiple pads (P) are formed. The pad area (PA) extends from one side of the bending area (BA). The pad area (PA) is an area where multiple pads (P) and external modules, such as COF (120), are bonded.
COF(120)는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121)에 각종 부품을 배치한 필름으로, 표시 영역(AA)의 화소(PX)로 신호를 공급하기 위한 부품이다. COF(120)는 베젤 영역(ZA)의 패드 영역(PA)에 배치되어 패드 영역(PA)에 배치된 패드(P)를 통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화소(PX)로 공급한다. COF(120)는 베이스 필름(121) 및 구동 IC(122)를 포함하고, 이 외에도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COF (120) is a film in which various components are arranged on a flexible base film (121), and is a component for supplying signals to pixels (PX) of a display area (AA). COF (120) is arranged in a pad area (PA) of a bezel area (ZA) and supplies power voltage, data voltage, etc. to pixels (PX) of a display area (AA) through a pad (P) arranged in the pad area (PA). COF (120) includes a base film (121) and a driving IC (122), and various components may be arranged in addition to these.
베이스 필름(121)은 COF(120)를 지지하는 층이다. 베이스 필름(121)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예를 들어, 플렉서빌리티를 갖는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base film (121) is a layer that supports the COF (120). The base film (121)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and for example, may be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having flexibility.
구동 IC(122)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도 1에서는 구동 IC(122)가 COF(120) 방식으로 실장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구동 IC(122)는 COG(Chip On Glass), TCP (Tape Carrier Package) 등의 방식으로 실장될 수도 있다. The driving IC (122) is a component that processes data for displaying an image and a driving signal for processing the data. In Fig. 1, the driving IC (122) is illustrated as being mounted in a COF (120) mann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driving IC (122) may be mounted in a COG (Chip On Glass), TCP (Tape Carrier Package), or the like.
인쇄 회로 기판(130)에는 IC 칩, 회로부 등과 같은 제어부가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인쇄 회로 기판(130)에는 메모리, 프로세서 등도 장착될 수 있다. 인쇄 회로 기판(130)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어부로부터 표시 소자로 전달하고, 표시 장치(100)의 벤딩 각도를 감지하기 위한 측정 패드(131) 및 측정 배선(132)이 배치되는 구성이다. 패드 영역(PA)의 복수의 패드(P)는 COF(120)를 통해 인쇄 회로 기판(130)의 복수의 측정 배선(132) 및 복수의 측정 패드(131)와 연결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의 벤딩 각도는 벤딩 감지 패턴과 연결된 일부 측정 패드(131)를 통하여 감지될 수 있다. 벤딩 감지 패턴과 연결된 벤딩 감지 배선(150)은 측정 패드(131)와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측정 패드(131)에 전압을 인가하여 흐르는 전류가 측정될 수 있고, 이에 벤딩 감지 배선(150)의 저항값이 측정됨에 따라 벤딩 각도가 감지될 수 있다.A control unit such as an IC chip, a circuit unit, etc.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n addition, a memory, a processor, etc. may also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configured to transmit a signal for driving a display element from the control unit to the display element, and to have a measurement pad (131) and a measurement wire (132) for detecting a bend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100) arranged thereon. A plurality of pads (P) of the pad area (PA) may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easurement wires (132) and a plurality of measurement pads (131)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through the COF (120). The bending angle of the bending area (BA) may be detected through some of the measurement pads (131) connected to the bending detection pattern. A bending detection wire (150) connected to the bending detection pattern may be connected to the measurement pad (131). Accordingly, a voltage can be applied to the measurement pad (131) to measure the flowing current, and accordingly, the bending angle can be detected a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ending detection wire (150) is measured.
이하에서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을 위해 도 2 및 도 3을 함께 참조한다.Hereinafter, reference will be made to FIGS. 2 and 3 together for a more detailed description of a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2은 도 1의 A 영역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2의 IIIa-IIIa' 및 IIIb-IIIb'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COF(120)가 본딩되기 전 상태의 표시 장치(100)를 도시하였다.Fig. 2 is an enlarged view of area A of Fig. 1. Fig.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s IIIa-IIIa' and IIIb-IIIb' of Fig. 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2 illustrates the display device (100) before the COF (120) is bonded.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영역(AA)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는 표시 영역(AA)에 배치되며, 박막 트랜지스터(160) 등의 소자를 포함한다. 복수의 화소(PX) 각각은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된다. 데이터 배선(DL)은 복수의 화소(PX)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을 의미한다. Referring to FIGS. 2 and 3, the display area (AA)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s (PX). The plurality of pixels (PX) are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and include elements such as thin film transistors (160).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PX) is connected to a data line (DL). The data line (DL) refers to a line that transmits a data signal to the plurality of pixels (PX).
도 3을 참조하여 표시 영역(AA)을 살펴보면,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60)가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게이트 전극(162)이 형성되고, 액티브층(161) 상에는 게이트 절연층(111)이 형성된다. 게이트 절연층(111)은 실리콘 나이트라이드(SiNx) 또는 실리콘 옥사이드(SiOx) 등과 같은 무기물로 이루어지고, 단일층이거나 복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층(111) 상에는 박막 트랜지스터(160)의 채널이 형성되는 액티브층(161)이 배치된다. 액티브층(161) 상에는 소스 전극(163) 및 드레인 전극(164)이 형성된다. 도 3에서는 박막 트랜지스터(160)가 바텀 게이트(bottom gate) 타입의 박막 트랜지스터(160)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박막 트랜지스터(160)의 적층 구조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3 and examining the display area (AA), a thin film transistor (160) is arranged on a flexible substrate (110). A gate electrode (162) is form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a gate insulating layer (111) is formed on an active layer (161). The gate insulating layer (111) is made of an inorganic material such as silicon nitride (SiNx) or silicon oxide (SiOx), and may be a single layer or a plurality of layers. An active layer (161) in which a channel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is formed is arranged on the gate insulating layer (111). A source electrode (163) and a drain electrode (164) are formed on the active layer (161). In FIG. 3,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is illustrated as a bottom gate type thin film transistor (160), but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is not limited thereto.
박막 트랜지스터(160) 상에는 제1 평탄화층(112)이 배치된다. 제1 평탄화층(112)은 박막 트랜지스터(160)의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한 절연층이다. 제1 평탄화층(112)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평탄화층(112)은 아크릴(acryl)계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is arranged on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is an insulating layer for planarizing the upper portion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For example,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may be made of an acrylic-based organ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1 평탄화층(112) 상에는 연결 전극(170)이 배치된다. 연결 전극(170)은 박막 트랜지스터(160)와 유기 발광 소자(18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극이다. 연결 전극(170)은 제1 평탄화층(112)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하여 박막 트랜지스터(160)의 드레인 전극(164)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연결 전극(170)은 박막 트랜지스터(160)의 소스 전극(163) 및 드레인 전극(164)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A connection electrode (170) is arrang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The connection electrode (170) is an electrode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and th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180). The connection electrode (17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rain electrode (164)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The connection electrode (170)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ource electrode (163) and the drain electrode (164)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but is not limited thereto.
연결 전극(170) 및 제1 평탄화층(112) 상에는 제2 평탄화층(113)이 배치된다. 제2 평탄화층(113)은 연결 전극(170)의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한 절연층이다. 제2 평탄화층(113)은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평탄화층(113)(234)은 아크릴(acryl)계 유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평탄화층(112)은 제1 평탄화층(112)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A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is arranged on the connecting electrode (170)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is an insulating layer for planarizing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electrode (170).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may be made of an organic material. For example,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234) may be made of an acrylic-based organic material, but is not limited thereto. In additi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but is not limited thereto.
제2 평탄화층(113) 상에는 발광 소자(180)의 애노드(181)가 배치된다. 애노드(181)는 제2 평탄화층(113) 상에 배치되여, 제2 평탄화층(113)에 형성된 컨택홀을 통하여 연결 전극(17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애노드(181)는 유기 발광층(182)에 정공을 공급하기 위하여 일함수가 높은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애노드(181)는, 예를 들어, 인듐 주석 산화물(ITO; 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ZO; Indium Zinc Oxide),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TZO; Indium Tin Zinc Oxide) 등과 같은 투명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탑 에미션(top emission) 방식인 경우, 애노드(181)는 반사판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An anode (181) of a light-emitting element (180) is disposed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The anode (181) is disposed 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electrode (170) through a contact hole formed i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The anode (181) may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having a high work function in order to supply holes to the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2). The anode (181)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such as, for example,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or indium tin zinc oxide (ITZO).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of the top emission type, the anode (181)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a reflector.
애노드(181) 및 제2 평탄화층(113) 상에는 뱅크(114)가 배치된다. 뱅크(114)는 인접하는 복수의 화소(PX)를 구분하는 절연층이다. 뱅크(114)는 애노드(181)의 양측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배치되어 애노드(181)의 상면 일부를 노출시킨다. 뱅크(114)는 아크릴(acryl)계 수지,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계 수지, 또는 폴리이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 bank (114) is arranged on the anode (181) and the second flattening layer (113). The bank (114) is an insulating layer that separates a plurality of adjacent pixels (PX). The bank (114) is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both sides of the anode (181) to expose a portion of the upper surface of the anode (181). The bank (114) may be made of an acrylic resin, a benzocyclobutene (BCB) resin, or polyimi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애노드(181) 및 뱅크(114) 상에는 발광층(182)이 배치된다. 발광층(182)은 적색광, 녹색광, 청색광 및 백색광을 발광하는 발광층(18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발광층(182)은 광을 발광하는 발광층 외에 정공 수송층, 전자 수송층, 정공 저지층, 전자 저지층, 정공 주입층, 및 전자 주입층 중 적어도 하나의 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3에서는 발광층(182)이 복수의 화소(PX)에 형성된 공통층인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발광층(182)은 복수의 화소(PX) 별로 패터닝될 수도 있다.An emitting layer (182) is arranged on the anode (181) and the bank (114). The emitting layer (182) may be any one of emitting layers (182) that emit red light, green light, blue light, and white light. In addition to the emitting layer that emits light, the emitting layer (182)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layer of a hole transport layer, an electron transport layer, a hole blocking layer, an electron blocking layer, a hole injection layer,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In FIG. 3, the emitting layer (182) is illustrated as a common layer formed on a plurality of pixels (PX),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emitting layer (182) may be patterned for each of a plurality of pixels (PX).
캐소드(183)는 발광층(182) 상에 배치된다. 캐소드(183)는 발광층(182)으로 전자를 공급한다. 캐소드(183)는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 Oxide, IZO), 인듐 주석 아연 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아연 산화물(Zinc Oxide, ZnO) 및 주석 산화물(Tin Oxide, TO) 계열의 투명 도전성 산화물 또는 이테르븀(Yb)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는, 캐소드(183)는 금속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cathode (183) is arranged on the light-emitting layer (182). The cathode (183) supplies electrons to the light-emitting layer (182). The cathode (183)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conductive oxide of the series of indium tin oxide (ITO), indium zinc oxide (IZO), indium tin zinc oxide (ITZO), zinc oxide (ZnO), and tin oxide (TO), or an ytterbium (Yb) alloy. Alternatively, the cathode (183)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도 2를 참조하면,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링크 영역(L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에 배치되어 표시 영역(AA)의 데이터 배선(DL)과 패드 영역(PA)의 패드(P)를 연결한다.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벤딩 영역(BA)에서는 벤딩 영역(BA)이 벤딩됨에 따라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크랙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지그재그 형상, 마름모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벤딩 영역(BA)에서 지그재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data link wiring (DLL) is arranged in a link area (LA), a bend area (BA), and a pad area (PA) to connect a data wiring (DL) of a display area (AA) and a pad (P) of a pad area (PA). The data link wiring (DLL)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zigzag shape, a diamond shape, etc., in order to minimize cracking of the data link wiring (DLL) as the bend area (BA) is bent.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data link wiring (DLL) may have a zigzag shape in the bend area (BA).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는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배치될 수 있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평탄화층(11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가 고해상도로 설계됨에 따라, 베젤 영역(ZA)에 배치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수 또한 증가하여야 한다. 다만,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하나의 층에 배치될 경우, 데이터 링크 배선(DLL)을 배치할 수 있는 공간이 매우 협소하게 되므로, 설계에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는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1 평탄화층(112) 상에 배치되어 보다 원활하게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배치에 대한 설계가 가능하며, 베젤 영역(ZA)의 크기가 최소화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layers. That is, som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may be arrang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the remaining portions may be arrang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As the display device is designed to have a high resolution, the number of data link wires (DLLs) arranged in the bezel area (ZA) must also increase. However, if the data link wires (DLLs) are arranged on one layer, the space where the data link wires (DLLs) can be arranged becomes very narrow, which may cause difficulties in design. Accordingly,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som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are arrang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the remaining portions are arrang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so that the design for the arrangement of the data link wires (DLLs) can be made more smoothly, and the size of the bezel area (ZA) can be minimized.
몇몇 실시예에서,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배치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하나와 제1 평탄화층(112) 상에 배치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하나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병렬 연결될 수 있다. 또는, 동일 층에 배치된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저항이 감소될 수 있고, 서로 연결된 2개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하나에 크랙이 발생되더라도 정상적으로 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In some embodiments, som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For example, on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on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two data link wires (DLLs) may be connected in parallel. Alternatively, two data link wires (DLLs) disposed on the same layer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ccordingly, the resistanc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may be reduced, and even if a crack occurs in one of the two data link wires (DLL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signal may be transmitted normally.
도 2를 참조하면, 벤딩 영역(BA)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및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은 벤딩 영역(BA)의 일측으로부터 타측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벤딩 영역(BA)의 링크 영역(LA)으로부터 순차적으로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및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벤딩 영역(BA)이 포함하는 서브 벤딩 영역의 개수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2, the bending area (BA)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For example, the bending area (BA) may include a first sub-bending area (SBA1), a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nd a third sub-bending area (SBA3).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of the bending area (BA). That is,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nd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from the link area (LA) of the bending area (BA). However, the number of sub-bending areas included in the bending area (BA) is not limited thereto.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는 벤딩 영역(BA)에 배치되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표시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이 벤딩되는 정도를 감지하기 위한 패턴이다. 표시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이 벤딩됨에 따라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의 저항이 변화하며, 측정되는 저항값에 따라 표시 장치(100)의 벤딩되는 정도가 감지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벤딩 영역(BA)이 굴곡됨에 따라 발생하는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에서의 응력(stress) 편차를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굴곡될 경우,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의 벤딩된 정도는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이 받는 응력에는 편차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에 배치되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이 받는 응력을 검출할 수 있고, 이에, 응력의 편차를 구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display device (100)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e patterns for detecting the degree to which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As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the resistanc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changes, and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can be detected according to the measured resistance value. That is,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a stress deviation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that occurs as the bending area (BA) is bent. When the bending area (BA) is bent, the degrees of bending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ly, there may be a deviation in the stress receiv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and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e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to detect the stress received by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and thus the deviation in stress can be obtained.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제1 벤딩 감지 패턴(141), 제2 벤딩 감지 패턴(142) 및 제3 벤딩 감지 패턴(143)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각각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벤딩 감지 패턴(141)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에 배치되고, 제2 벤딩 감지 패턴(142)은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에 배치되며, 제3 벤딩 감지 패턴(143)은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include a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a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2), and a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At this time,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arranged in a different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That is,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2)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nd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may be arranged in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벤딩 영역(BA)에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중앙부에 배치되고,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배치된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벤딩 영역(BA)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도 있고, 중앙부의 좌측 및 우측 중 일 측에만 위치할 수도 있다.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That is,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nding area (BA), and the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where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are arrang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nding area (BA), or may be arranged on only one sid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central portion.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복수의 벤딩 감지 배선(150)과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벤딩 감지 배선(150)은 복수의 패드(P)와 연결되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과 복수의 패드(P)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배선이다.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can b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wires (150).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wires (150) are wires that ar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ads (P) so that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and a plurality of pads (P)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을 따라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벤딩 감지 패턴(141), 제2 벤딩 감지 패턴(142) 및 제3 벤딩 감지 패턴(143)은 벤딩 영역(BA)이 벤딩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arranged diagonally along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2,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2), and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may be arranged diagonally based 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ending area (BA) is bent.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복수의 서브 패턴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서브 패턴과 벤딩 방향과 상이한 방향, 예를 들어, 벤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된 서브 패턴을 포함한다.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composed of a plurality of sub-patterns extending in different directions. Referring to FIG. 2,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include sub-patterns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and sub-patterns extend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bending direction, for example,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bending direction.
이때, 복수의 서브 패턴 중 적어도 일부는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과 평행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패턴 중 적어도 일부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될 경우,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표시 장치(100)의 벤딩되는 정도를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패턴이 벤딩 영역(BA)의 벤딩되는 방향과 평행하기 배치될 경우, 평행하지 않게 배치되는 경우보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이 받는 응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에, 벤딩 영역(BA)을 벤딩한 경우 복수의 서브 패턴이 받는 응력의 크기가 증가될 수 있으므로, 벤딩 영역(BA)이 벤딩됨에 따른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의 저항의 변화량 또한 커질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벤딩되는 정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b-patterns may be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Whe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b-pattern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can effectively detect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display device (100). When the plurality of sub-pattern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the stress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increase compared to when they are arranged not parallel. Accordingly, when the bending area (BA) is bent, the magnitude of the stress received by the plurality of sub-patterns may increase, and thus the amount of change in resistanc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due to the bending of the bending area (BA) may also increase.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more effectively detect the degree of bending.
도 3의 IIIa-IIIa'에 따른 단면도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가 배치된다.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는 박막 트랜지스터(160)의 소스 전극(163) 또는 드레인 전극(164)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는 소스 전극(163) 또는 드레인 전극(164)과 동일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와 플렉서블 기판(110)이 직접 접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하나 이상의 절연층이 배치되고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the cross-sectional view according to IIIa-IIIa' of FIG. 3,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are arrang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0).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source electrode (163) or the drain electrode (164) of the thin film transistor (160). That is,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source electrode (163) or the drain electrode (164) in the same process. Although FIG. 3 illustrates that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are in direct contact with the flexible substrate (110), one or more insulating layers may be arranged on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arranged.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 상에 제1 평탄화 층이 배치되고, 제1 평탄화층(112) 상에 제3 벤딩 감지 패턴(143) 및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다른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및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다른 일부는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및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다른 일부는 연결 전극(170)과 동일 물질로 동일 공정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플렉서블 기판(110)과 제1 평탄화층(112) 사이 및 제1 평탄화층(112)과 제2 평탄화층(113) 사이에 나누어 배치됨으로써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A first planarization layer may be disposed on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and a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and other part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That is,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nd other part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disposed on the same layer.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nd other part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simultaneously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connection electrode (170) in the same process.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are divided and disposed between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and between the first planarization layer (112) and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thereby minimizing the area occupied by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도전층 중 최상위 도전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도전층 중 최상위 도전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벤딩을 효과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표시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이 벤딩될 경우,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도전층 중 최상위 도전층이 받는 응력이 가장 클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도전층 중 최상위 도전층의 저항 변동 가장 클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도전층 중 최상위 도전층을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으로 이용하여 벤딩 감지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be formed as the uppermost conductive layer among the conductive layer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effectively detect bending by forming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s the uppermost conductive layer among the conductive layer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Specifically, when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the stress received by the uppermost conductive layer among the conductive layer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may be the largest. Accordingly, the resistance variation of the uppermost conductive layer among the conductive layer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may be the largest.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effectively perform bending detection by using the uppermost conductive layer among the conductive layer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as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제3 벤딩 감지 패턴(143) 및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다른 일부 상에는 제2 평탄화층(113)이 배치된다. 제2 평탄화층(113)은 제3 벤딩 감지 패턴(143) 및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상부를 평탄화할 수 있다. A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is disposed on the third bend detection pattern (143) and some oth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113) can planarize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end detection pattern (143) and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제2 평탄화층(113) 상에는 마이크로 코팅층(micro coting layer; MCL)(115)이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 코팅층(115)은 유기물 등과 같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진 층이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 코팅층(115)은 아크릴계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우레탄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마이크로 코팅층(115)은 벤딩 영역(BA)에서의 중립면(neutral plane)을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벤딩 시에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배선들이 크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A micro coating layer (MCL) (115) may be arranged on the second flattening layer (113). The micro coating layer (115) is a layer made of an insulating material such as an organic material. For example, the micro coating layer (115) may be made of an acrylic material or may be made of urethane acrylate. The micro coating layer (115) may play a role in controlling a neutral plane in the bending area (BA), thereby preventing wire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from cracking during bending.
표시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다양한 배선 등은 벤딩 영역(BA)이 벤딩됨에 따라 손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이 벤딩됨에 따라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중 일부에 과도하게 응력이 가해지게 되어 크랙이 발생하거나 저항이 증가한 경우, 크랙이 발생한 위치에 대응하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중 일부에도 크랙이 발생하거나 저항이 증가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에 대한 저항 변화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벤딩 영역(BA)에 배치된 배선의 손상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에 배치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130) 상의 복수의 측정 패드(131)에 특정 전압을 인가하고,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는 경우 각각의 벤딩 감지 패턴에서의 저항값이 계산될 수 있다. 이때, 계산된 저항값이 예상되는 저항값과 편차가 심한 경우 또는 특정 기준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벤딩 영역(BA)에 배치되는 배선이 크랙되었거나 지나치게 과도한 응력이 가해진 상태임이 확인될 수 있다. 특히,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벤딩 영역(BA) 전체에 대응하도록 하나의 벤딩 감지 패턴이 배치되는 것이 아니고, 벤딩 영역(BA)에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이 배치되어 서브 벤딩 영역 별로 응력이 가해지는 정도가 측정될 수 있으므로, 보다 세밀하게 이상 영역에 대한 판단이 가능할 수 있다. 이에, 배선의 크랙 및/또는 과도한 응력 발생이 확인된 표시 장치(100) 이후에 제조되는 표시 장치(100)에 대한 제조 공정에서 벤딩 영역(BA)을 벤딩하는 공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다.Various wires, etc.,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00) may be damaged as the bending area (BA) is bent. For example, if excessive stress is applied to som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 as the bending area (BA) is bent, causing cracks or increased resistance, som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corresponding to the location where the cracks occurred may also cause cracks or increased resistance. Accordingly,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ther the wires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are damaged may be determined by measuring a change in resistance for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That is, when a specific voltage is applied to a plurality of measuring pads (131) on a printed circuit board (130)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ranged in each of a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and a flowing current is measured, a resistance value of each bending detection pattern can be calculated. At this time, if the calculated resistance value deviates significantly from the expected resistance value or exceeds a specific reference value,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wiring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is cracked or excessively stressed. In particular,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single bending detection pattern is not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entire bending area (BA), but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e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so that the degree of stress applied to each sub-bending area can be measured, and therefore, an abnormal area can be determined more precisely. Accordingly, the process of bending the bending area (BA)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display device (100) manufactured after the display device (100) in which cracks and/or excessive stress in the wiring are confirmed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corrected.
한편, 표시 장치(100)의 벤딩 영역(BA)을 벤딩하는 과정에서 벤딩 영역(BA)이 설계와는 어긋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00)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벤딩 영역(BA)과 링크 영역(LA)의 경계를 기준으로 정확히 벤딩되지 않고, 벤딩 영역(BA)과 링크 영역(LA)의 경계의 사선 방향으로 표시 장치(100)가 벤딩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양측에 배치된 대응되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표시 장치(100)가 정확하게 벤딩될 경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을 기준으로 대응하는 벤딩 감지 패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벤딩 정도를 갖기 때문에 각각의 벤딩 감지 패턴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표시 장치(100)가 어긋나게 벤딩될 경우,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에 배치되는 벤딩 감지 패턴과 우측에 배치되는 벤딩 감지 패턴의 저항값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다. 이에, 서로 대응되는 서브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감지 패턴의 저항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표시 장치(100)의 정확한 벤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에 각각 배치함으로써, 표시 장치(100)가 정확하게 벤딩되었는지 여부도 판단될 수 있다. 나아가, 표시 장치(100)가 정확하게 벤딩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해당 표시 장치(100) 이후에 제조되는 표시 장치(100)에 대한 제조 공정에서 벤딩 영역(BA)을 벤딩하는 공정이 신속하고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00), the bending area (BA) may be bent in a manner that is different from the design.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display device (100), the display device (100) may not be bent exactly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link area (LA), but may be bent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link area (LA). In this case, the corresponding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When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exactly, the corresponding bending detection patterns based on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 have substantially the same degree of bending, and therefore,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respective bending detection patterns may be substantially the same. However, if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misaligned,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values between the bend detection pattern disposed on the lef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DLL) and the bend detection pattern disposed on the right side may be very large.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accurately by comparing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bend detection patterns disposed in corresponding sub-bending areas. Accordingly, in the display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y disposing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in a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it is also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device (100) is bent accurately. Furthermore,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isplay device (100) is not bent accurately, the process of bending the bending area (BA)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manufactured after the display device (100) can be quickly and accurately corrected.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가 벤딩된 상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의 플렉서블 기판(110), 마이크로 코팅층(115), COF(120) 및 인쇄 회로 기판(130)을 도시한다. Fig.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in a bent stat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ig. 4 illustrates a flexible substrate (110), a micro-coating layer (115), a COF (120), and a printed circuit board (130) of the display device (100).
도 4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110)의 벤딩 영역(BA)은 벤딩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반원형을 이루며 벤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됨에 따라, COF(120)와 인쇄 회로 기판(130)은 표시 영역(AA)과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can be bent. The bending area (BA) can be bent to form a semicircle. As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the COF (12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can be arranged to face the display area (AA).
플렉서블 기판(110)의 표시 영역(AA) 상에는 표시 유닛(DU)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유닛(DU)은 표시 장치(100)로부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에 도시된 박막 트랜지스터(160), 및 유기 발광 소자(18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유닛(DU) 상에는 편광판(171)이 배치될 수 있다. 편광판(171)은 표시 장치(100)의 외관반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코팅층(115)은 플렉서블 기판(110)의 베젤 영역(ZA)의 일부에 형성될 수 있다. 즉, 마이크로 코팅층(115)은 베젤 영역(ZA) 중 링크 영역(L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에 형성될 수 있다. A display unit (DU) may be arranged on the display area (A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The display unit (DU) is a configuration for displaying an image from the display device (100) and may include a thin film transistor (160) and an organic light emitting element (180) as shown in FIG. 3. A polarizing plate (171) may be arranged on the display unit (DU). The polarizing plate (171) may suppress external reflection of the display device (100). In addition, the micro-coating layer (115) may be formed on a part of the bezel area (Z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That is, the micro-coating layer (115) may be formed on the link area (LA), the bending area (BA), and the pad area (PA) of the bezel area (ZA).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플렉서블 기판(110)의 벤딩되지 않는 영역의 하부에는 제1 백 플레이트(172) 및 제2 백 플레이트(173)가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렉서블 기판(110)의 표시 영역(AA) 및 링크 영역(LA)의 하부에는 제1 백 플레이트(172)가 배치되며, 플렉서블 기판(110)의 패드 영역(PA)의 하부에는 제2 백 플레이트(173)가 배치된다. 플렉서블 기판(110)이 폴리이미드(PI)와 같은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플렉서블 기판(110) 하부에 유리로 이루어지는 지지 기판이 배치된 상황에서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이 진행되고, 표시 장치(100)의 제조 공정이 완료된 후 지지 기판이 릴리즈될 수 있다. 다만, 지지 기판이 릴리즈된 이후에도 플렉서블 기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요소가 필요하므로, 플렉서블 기판(110)을 지지하기 위한 제1 백 플레이트(172) 및 제2 백 플레이트(173)가 플렉서블 기판(1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백 플레이트(172) 및 제2 백 플레이트(173)는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플렉서블 기판(110)의 다른 영역에서 벤딩 영역(BA)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백 플레이트는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다른 적합한 폴리머들, 이들 폴리머들의 조합 등으로 형성된 플라스틱 박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A first back plate (172) and a second back plate (173) are arranged at the bottom of a non-bending area of a flexible substrate (110) excluding a bending area (BA). Specifically, the first back plate (172)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a display area (AA) and a link area (L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the second back plate (173)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a pad area (P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When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made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imide (PI),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performed in a situation where a support substrate made of glass is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and after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0) is completed, the support substrate can be released. However, since a component fo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required even after the support substrate is released, a first back plate (172) and a second back plate (173) for supporting the flexible substrate (110) may be placed under the flexible substrate (110). The first back plate (172) and the second back plate (173) may be placed in another are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other than the bending area (BA) so as to be adjacent to the bending area (BA). The back plate may be made of a plastic film formed of polyimide (PI),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ther suitable polymers, a combination of these polymers, or the like.
제1 백 플레이트(172) 및 제2 백 플레이트(173) 사이에 지지 부재(174)가 배치되고, 지지 부재(174)는 접착층에 의해 제1 백 플레이트(172) 및 제 백 플레이트 각각과 접착될 수 있다. 지지 부재(174)는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이미드(PI),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다른 적합한 폴리머들, 이들 폴리머들의 조합 등과 같은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 재료들로 형성된 지지 부재(174)의 강도는 지지 부재(174)의 두께 및/또는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한 첨가제들을 제공하는 것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174)는 목표된 컬러(예를 들어, 흑색, 백색, 등)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 부재(174)는 유리, 세라믹, 금속 또는 다른 강성이 있는(rigid) 재료들 또는 전술한 재료들의 조합들로 형성될 수도 있다.A support member (174)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back plate (172) and the second back plate (173), and the support member (174) can be bonded to each of the first back plate (172) and the second back plate by an adhesive layer. The support member (174) can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such as polycarbonate (PC), polyimide (PI), polyethylene naphthalate (PEN),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other suitable polymers, combinations of these polymers, and the like. The strength of the support member (174) formed of such plastic materials can also be controlled by providing additives to increase the thickness and/or strength of the support member (174). The support member (174) can be formed in a desired color (e.g., black, white, etc.). Additionally, the support member (174) can be formed of glass, ceramic, metal, or other rigid materials, or combinations of the aforementioned materials.
도 5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표시 장치(5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의 배치가 상이하며, 다른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Fig. 5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play device (500) illustrated in Fig. 5 differs in the arrangement of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and 2, and other descrip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so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5를 참조하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된다. 예를 들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중 서로 다른 영역에 각각 배치되며, 이때,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정렬되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은 제1 벤딩 감지 패턴(541), 제2 벤딩 감지 패턴(542) 및 제3 벤딩 감지 패턴(5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감지 패턴(541), 제2 벤딩 감지 패턴(542) 및 제3 벤딩 감지 패턴(543)은 각각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및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벤딩 감지 패턴(541), 제2 벤딩 감지 패턴(542) 및 제3 벤딩 감지 패턴(543)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일렬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500)에서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이 배치되는 벤딩 영역(BA)의 크기가 감소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540)이 배치되는 벤딩 영역(BA)의 넓이는 더욱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500)의 다른 구성 요소들을 배치할 수 있는 영역의 넓이가 증가될 수 있어, 표시 장치(500) 내의 공간이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될 수 있으며, 베젤의 폭이 감소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5,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For example,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different areas among a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and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may be arranged in a ro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may include a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541), a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542), and a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543).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541),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542), and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543)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nd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respectively. And,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541),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542), and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543)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a row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Accordingly, in the display device (5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ize of the bending area (BA) where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are arranged may be reduced or minimized. That is, the area of the bending area (BA) where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540) are arranged may be further reduced. Accordingly, the area of the area where other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500) can be arranged may be increased, so that the space within the display device (500) may be utilized more efficiently, and the width of the bezel may also be reduced.
도 6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00)의 B부분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표시 장치(6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벤딩 영역(BA)의 위치가 상이하며, 다른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g. 6a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6b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B of a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d in Fig. 6a. The display device (600)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differs from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5 in the position of the bending area (BA), and since other descrip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600)의 벤딩 영역(BA)은 표시 영역(AA)의 일부 영역 및 일부 영역의 양측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영역(AA)의 일부 영역과 일부 영역의 양측에 배치된 베젤 영역(ZA)이 벤딩 영역(BA)으로 정의되어 벤딩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은 표시 영역(AA)의 일부 영역의 양측에 있는 벤딩 영역(BA)에 배치된다. 벤딩 영역(BA)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면, 벤딩 영역(BA)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및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서브 벤딩 영역의 수는 도 6b에 도시된 개수에 제한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600) may be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A) and both sides of the portion. For example, a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A) and a bezel area (ZA)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may be defined as the bending area (BA) and may be bent.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are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on both sides of the portion of the display area (AA). The bending area (BA)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and for example, the bending area (BA) may include a first sub-bending area (SBA1), a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nd a third sub-bending area (SBA3). However, the number of sub-bending areas is not limited to the number illustrated in FIG. 6B.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벤딩 감지 패턴(641)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에 배치되고, 제2 벤딩 감지 패턴(642)은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에 배치되며, 제3 벤딩 감지 패턴(643)은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은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에 대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의 배치와 같이 벤딩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이 벤딩 방향을 따라 일렬로 배치될 경우, 벤딩 영역(BA)의 크기는 감소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으며, 이에, 벤딩 영역(BA)에 해당되는 베젤 영역(ZA)의 폭은 감소되거나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은 벤딩 감지 배선(650)과 연결될 수 있다. 벤딩 감지 배선(650)은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과 패드(P)를 연결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may be arranged in different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For example,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641) may be arranged in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642)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nd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643) may be arranged in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may be arranged in a diagon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as illustrated in FIGS. 6A and 6B ,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y may be arranged in a line along the bending direction, such as the arrangement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illustrated in FIG. 5 . When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are arranged in a row along the bending direction, the size of the bending area (BA) can be reduced or minimized, and thus, the width of the bezel area (ZA)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can be reduced or minimized.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can be connected to the bending detection wiring (650). The bending detection wiring (650) can connect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and the pad (P).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00)는, 벤딩 영역(BA)이 표시 영역(AA)의 일부 영역 및 일부 영역의 양측으로 됨으로써, 표시 영역(AA)이 벤딩되는 경우에도 벤딩되는 정도를 감지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이 벤딩되는 경우,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의 저항값은 변화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벤딩되는 각도가 증가됨에 따라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의 저항값이 증가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에 배치됨에 따라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에 배치된 표시 영역(AA)의 소자들이 받는 응력을 독립적으로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640) 각각은 벤딩 영역(BA)에 해당되는 표시 영역(AA)이 받는 응력을 서브 벤딩 영역별로 감지함으로써 표시 장치(600)의 벤딩 각도를 보다 세밀하게 측정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600)에서는, 표시 영역(AA)에 있는 벤딩 영역(BA)의 벤딩 각도가 보다 세밀하게 측정될 수 있고, 표시 장치(600)는 측정된 각도에 따라 사용자에게 표시할 영상에 대한 보정 작업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A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detect the degree of bending even when the display area (AA) is bent, since the bending area (BA) is formed as a part of the display area (AA) and on both sides of the part of the display area (AA). When the bending area (BA) is bent,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may change, and for example,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may increase as the bending angle increases. At this time, since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are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the stress received by elements of the display area (AA)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can be independently detected. 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640) can measure the bending angle of the display device (600) more precisely by detecting the stress received by the display area (AA)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for each sub-bending area. Accordingly, in the display device (6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bending angle of the bending area (BA) in the display area (AA) can be measured more precisely, and the display device (600) can also perform correction work, etc. on an image to be displayed to the user according to the measured angle.
도 7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벤딩한 단면도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및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740)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이 상이하며, 다른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Fig. 7a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when bent. Fig. 7b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play device (7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d in Figs. 7a and 7b has different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and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740)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since other descrip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7a를 참조하면, 플렉서블 기판(110)의 벤딩 영역(BA)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적어도 일부는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일부 서브 벤딩 영역의 폭은 다른 서브 벤딩 영역의 폭보다 작거나 클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 영역(BA)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 제4 서브 벤딩 영역(SBA4) 및 제5 서브 벤딩 영역(SBA5)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및 제5 서브 벤딩 영역(SBA5)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 및 제4 서브 벤딩 영역(SBA4)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보다 클 수 있다.Referring to FIG. 7a, the widths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included in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with respect to the bending direction may b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may have different widths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widths of some of the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may be smaller or larger than the widths of other sub-bending areas.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bending area (BA) may include a first sub-bending area (SBA1), a second sub-bending area (SBA2), a third sub-bending area (SBA3), a fourth sub-bending area (SBA4), and a fifth sub-bending area (SBA5), and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and the fifth sub-bending area (SBA5) may be larger than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and the fourth sub-bending area (SBA4).
플렉서블 기판(110)의 벤딩 영역(BA)이 포함하는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은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일부는 곡률 반경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표시 장치(700)의 설계에 따라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모두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도록 설계될 수 있으나, 공정 오차 등에 의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이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표시 장치(700)의 설계 자체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별로 서로 다른 곡률 반경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에, 벤딩 영역(BA)은 벤딩 영역(BA)의 단면이 원의 일부의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으나,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원의 일부의 형상으로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10)의 벤딩 영역(BA)이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되는 경우, 벤딩 영역(BA)의 곡률 반경 중 가장 작은 곡률 반경은 R1 및 R3이며, 가장 큰 곡률 반경은 R2일 수 있다. 따라서, 벤딩 영역(BA)의 곡률 반경은 벤딩 영역(BA) 내에서 증가하였다가 감소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상대적으로 곡률 반경이 큰 서브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상대적으로 곡률 반경이 작은 서브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보다 작을 수 있다.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included in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may have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For example, some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may have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Depending on the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700), all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may be designed to have the same radii of curvature. However, due to process errors, etc.,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may have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lternatively, the design of the display device (700) itself may be such that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have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ccordingly, the bending area (BA) may be bent into a shape of a portion of a circle in the cross s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but may be bent into a shape of a portion of an ellipse, as illustrated in FIG. 7A. For example, when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smallest radii of curvature of the bending area (BA) may be R1 and R3, and the largest radii of curvature may be R2. Accordingly, the radii of curvature of the bending area (BA) may increase and then decrease within the bending area (BA). At this time, the width of a sub-bending area having a relatively large radii of curvature among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and SBA5) in the bending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 of a sub-bending area having a relatively small radii of curvature in the bending direction.
예를 들면,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 및 제4 서브 벤딩 영역(SBA4)의 곡률 반경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및 제5 서브 벤딩 영역(SBA5)의 곡률 반경은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 및 제4 서브 벤딩 영역(SBA4)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 및 제5 서브 벤딩 영역(SBA5)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보다 작을 수 있다. For example, among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and SBA5), the curvature radii of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and the fourth sub-bending area (SBA4) may be larger than the curvature radii of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and the fifth sub-bending area (SBA5). For example, the widths of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and the fourth sub-bending area (SBA4) in the bending direction may be smaller than the widths of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and the fifth sub-bending area (SBA5) in the bending direction.
도 7b를 참조하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740) 각각은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서로 다른 영역에 배치된다. 제1 벤딩 감지 패턴(741)은 제1 서브 벤딩 영역(SBA1)에 배치되고, 제2 벤딩 감지 패턴(742)은 제2 서브 벤딩 영역(SBA2)에 배치된다. 또한, 제3 벤딩 감지 패턴(743)은 제3 서브 벤딩 영역(SBA3)에 배치되고, 제4 벤딩 감지 패턴(744)은 제4 서브 벤딩 영역(SBA4)에 배치되며, 제5 벤딩 감지 패턴(745)은 제5 서브 벤딩 영역(SBA5)에 배치된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740)은 벤딩 감지 배선(750)과 연결될 수 있다. 벤딩 감지 배선(750)은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740)을 패드(P)와 연결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b,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740) is arranged in a different region among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741) is arranged in the first sub-bending area (SBA1),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742) is arranged in the second sub-bending area (SBA2),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743) is arranged in the third sub-bending area (SBA3), the fourth bending detection pattern (744) is arranged in the fourth sub-bending area (SBA4), and the fifth bending detection pattern (745) is arranged in the fifth sub-bending area (SBA5).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740) may be connected to bending detection wiring (750). The bend detection wiring (750) can connect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740) to the pad (P).
또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740) 중 적어도 일부는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즉, 제1 벤딩 감지 패턴(741) 및 제5 벤딩 감지 패턴(745)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제2 벤딩 감지 패턴(742), 제3 벤딩 감지 패턴(743) 및 제4 벤딩 감지 패턴(744)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740) 중 제1 벤딩 감지 패턴(741)과 제2 벤딩 감지 패턴(742)은 벤딩 영역(BA)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벤딩 감지 패턴(741)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은 제2 벤딩 감지 패턴(742)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보다 클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740) may have different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That is, the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741) and the fifth bending detection pattern (745) may be larger than the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742),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743), and the fourth bending detection pattern (744). For example,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741) and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742)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740) may have different widths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bending area (BA). For example, the width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741)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in the bending direction of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742).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700)는,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SBA4, SBA5) 중 일부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을 다른 일부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과 상이하게 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서브 벤딩 영역의 폭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벤딩 영역(BA) 중 특정 영역은 벤딩되는 정도가 더욱 세밀하게 파악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 중 일부 영역은 다른 영역보다 벤딩되는 정도가 클 수 있고, 따라서, 벤딩되는 정도가 상대적으로 큰 일부 영역은 여러 개의 벤딩 감지 패턴을 배치하여 벤딩되는 정도가 더욱 세밀하게 감지될 수 있다. 나아가, 벤딩 영역(BA) 중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큰 서브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을 작게 설정하고, 곡률 반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서브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을 크게 설정하여 크랙 등의 손상을 정밀하게 감지할 수 있다. 곡률 반경이 큰 서브 벤딩 영역의 경우, 곡률 반경이 작은 서브 벤딩 영역보다,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됨에 따라 기판상에 배치된 박막 트랜지스터(160) 또는 여러 배선들에 크랙이 발생될 확률이 클 수 있다. 이때, 곡률 반경이 큰 서브 벤딩 영역의 벤딩 방향에 대한 폭을 상대적으로 감소시킬 경우, 벤딩 영역(BA) 중 곡률 반경이 큰 영역이 포함하는 서브 벤딩 영역의 밀도가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면적을 갖는 2개의 영역 중 곡률 반경이 큰 영역에 곡률 반경이 작은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많은 수의 벤딩 감지 패턴이 배치될 수 있고, 보다 세밀한 벤딩 감지가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곡률 반경이 큰 벤딩 영역(BA)의 일부 영역에 폭이 작은 벤딩 감지 패턴이 여러 개 배치될 경우, 벤딩에 의한 크랙이 발생되었을 때의 크랙이 발생한 위치를 보다 정확히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표시 장치(700)의 벤딩 공정상의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명확히 알 수 있고, 이에 의해, 공정상 변경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A display device (7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adjust the width of the sub-bending areas as needed by making the width of some areas among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SBA4, SBA5) different from the width of some areas among the bending directions. For example, the degree of bending of a specific area among the bending areas (BA) can be detected more precisely. Some areas among the bending areas (BA) can have a greater degree of bending than other areas, and therefore, some areas having a relatively greater degree of bending can have the degree of bending detected more precisely by arranging multiple bending detection patterns. Furthermore, the width of the bending direction of a sub-bending area having a relatively large radius of curvature among the bending areas (BA) can be set small, and the width of the bending direction of a sub-bending area having a relatively small radius of curvature can be set large, so that damage such as cracks can be precisely detected. In the case of a sub-bending region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probability that cracks will occur in the thin film transistors (160) or multiple wires arranged on the substrate as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may be higher than in a sub-bending region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t this time, if the width of the sub-bending region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in the bending direction is relatively reduced, the density of the sub-bending region included in the region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among the bending regions (BA) may increase. Accordingly, among two regions having the same area, a relatively larger number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may be arranged in the region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an in the region having a small radius of curvature, and more detailed bending detection may be possible. For example, if several bending detection patterns having small widths are arranged in some region of the bending region (BA) having a large radius of curvature, the location where a crack occurs due to bending can be determined more accurately. Accordingly, the location where an error occurred in the bending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700) can be clearly identified, and thus, changes can be made quickly in the process.
도 8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단면도는 도 3의 IIIa-IIIa'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2 평탄화층(813)의 구조가 상이하며, 다른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ed in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IIIa-IIIa' of FIG. 3. The display device (8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d in FIG. 8 differs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813)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other descrip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so that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제2 평탄화층(813)은 제1 평탄화 패턴(813a) 및 제2 평탄화 패턴(813b)을 포함한다. 제1 평탄화 패턴(813a)은 제3 벤딩 감지 패턴(143)을 포함하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는 패턴이며, 제2 평탄화 패턴(813b)은 제3 벤딩 감지 패턴(143)과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을 커버하는 패턴이다. 이에, 제2 평탄화층(813)은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인 제1 평탄화 패턴(813a)과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 배선을 커버하는 제2 평탄화 패턴(813b)으로 나누어질 수 있고, 제1 평탄화 패턴(813a) 및 제2 평탄화 패턴(813b)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도록 배치된 제2 평탄화층(813)은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는 부분인 제1 평탄화 패턴(813a)과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 배선을 커버하는 제2 평탄화 패턴(813b)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flattening layer (813) includes a first flattening pattern (813a) and a second flattening pattern (813b). The first flattening pattern (813a) is a pattern that covers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including a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and the second flattening pattern (813b) is a pattern that covers a data link wiring (DLL) arranged on the same layer as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Accordingly, the second flattening layer (813) can be divided into a first flattening pattern (813a), which is a flattening layer covering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nd a second flattening pattern (813b), which covers wiring arrang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nd the first flattening pattern (813a) and the second flattening pattern (813b) can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hat is, the second flattening layer (813) arranged to cover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can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by the first flattening pattern (813a), which is a portion covering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nd the second flattening pattern (813b), which covers wiring arrang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에서는, 제2 평탄화층(813)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는 제1 평탄화 패턴(813a) 및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과 동일한 층에 배치된 배선을 커버하는 제2 평탄화 패턴(813b)을 포함함으로써, 제2 평탄화 패턴(813b)이 커버하는 배선에 크랙이 전파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보다 정확하고 넓은 범위의 저항 측정을 위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은 벤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턴을 가질 수 있다. 다만, 벤딩 영역(BA)의 벤딩 시에 벤딩 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턴이 다른 방향으로 연장하는 패턴에 비해 보다 많은 응력을 받게 되므로, 표시 장치(800)가 벤딩됨에 따라 데이터 링크 배선(DLL)에는 크랙이 발생되지 않으나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에는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에 발생한 크랙은 제2 평탄화층(813)을 통해 데이터 링크 배선(DLL)으로 전파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800)에서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는 제2 평탄화층(813)의 부분과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을 커버하는 제2 평탄화층(813)의 부분을 서로 분리하여,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에서 발생한 크랙이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으로 전파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In a display device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813) includes a first planarization pattern (813a) covering a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and a second planarization pattern (813b) covering wiring arranged on the same layer as the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thereby reducing the propagation of cracks in the wiring covered by the second planarization pattern (813b). For example,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easure more accurate and wider range of resistance, the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may have patterns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However, since a pattern extending i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bending direction receives more stress than a pattern extending in a different direction when the bending area (BA) is bent, cracks may not occur in the data link wiring (DLL) as the display device (800) is bent, but cracks may occur in the plurality of bend detection patterns (140). In addition, cracks occurring in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also propagate to the data link wiring (DLL) through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813). 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8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portion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813) covering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nd a portion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813) covering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DLL)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cracks occurring in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can be minimized from propagating to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DLL).
도 9a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벤딩 영역의 일부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의 IX-IX'에 따른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9a 및 도 9b의 표시 장치(900)는 도 1 내지 도 4의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제2 평탄화층(913)의 구조가 상이하며, 다른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FIG. 9A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portion of a bending area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 9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IX-IX' of FIG. 9A. The display device (900) of FIGS. 9A and 9B differs from the display device (100) of FIGS. 1 to 4 in the structure of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913), and since other descrip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a duplicate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제2 평탄화층(913)은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각각을 커버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평탄화 패턴으로 분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평탄화층(913)은 제1 평탄화 패턴(913a), 제2 평탄화 패턴(913b) 및 제3 평탄화 패턴(913c)을 포함한다. 제1 평탄화 패턴(913a)은 제1 벤딩 감지 패턴(141)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이며, 제2 평탄화 패턴(913b)은 제2 벤딩 감지 패턴(142)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이고, 제3 평탄화 패턴(913c)은 제3 벤딩 감지 패턴(143)을 커버하는 평탄화층이다. Referring to FIGS. 9a and 9b,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913) can be separated into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lanarization patterns that cover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For example,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913) includes a first planarization pattern (913a), a second planarization pattern (913b), and a third planarization pattern (913c). The first planarization pattern (913a) is a planarization layer that covers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the second planarization pattern (913b) is a planarization layer that covers the secon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2), and the third planarization pattern (913c) is a planarization layer that covers the third bending detection pattern (143).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는 제2 평탄화층(913)을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각각을 커버하는 서로 이격된 복수의 평탄화 패턴으로 분리하여 형성함으로써,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중 하나의 패턴에서 발생된 크랙이 전파되는 것을 저감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 장치(900)가 벤딩됨에 따라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중 일부에는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이 위치한 복수의 서브 벤딩 영역(SBA1, SBA2, SBA3) 각각의 벤딩 곡률은 상이할 수 있고, 벤딩 곡률이 큰 서브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감지 패턴은 벤딩 곡률이 작은 서브 벤딩 영역에 배치된 벤딩 감지 패턴과 비교하여 더 큰 응력을 받기에 크랙될 가능성이 더 클 수 있다. 또한, 일부 벤딩 감지 패턴에 발생한 크랙은 제2 평탄화층(913)을 통해 다른 벤딩 감지 패턴 또는 데이터 링크 배선(DLL)으로 전파될 수 있다. 일부 벤딩 감지 패턴에서 발생한 크랙이 다른 벤딩 감지 패턴으로 전파될 경우, 크랙이 전파된 벤딩 감지 패턴의 저항값을 크게 증가되어 크랙이 발생되었다고 측정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이 전파된 벤딩 감지 패턴이 크랙이 발생된 벤딩 감지 패턴이라고 측정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900)에서는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을 커버하는 제2 평탄화층(913)을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각각을 커버하도록 서로 분리하여,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중 일부 패턴에서 발생한 크랙이 다른 벤딩 감지 패턴으로 전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크랙이 발생된 벤딩 감지 패턴이 배치된 서브 벤딩 영역이 정확하게 판단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reduce the propagation of a crack generated in on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by forming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913) as a plurality of spaced apart planarization patterns that cover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For example, as the display device (900) is bent, a crack may occur in som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The bending curvatures of each of the plurality of sub-bending areas (SBA1, SBA2, SBA3) in which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are positioned may be different, and a bending detection pattern positioned in a sub-bending area having a large bending curvature may be more likely to crack because it receives a greater stress compared to a bending detection pattern positioned in a sub-bending area having a small bending curvature. In addition, cracks that occur in some bending detection patterns may be propagated to other bending detection patterns or data link wiring (DLL) through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913). If a crack that occurs in some bending detection patterns is propagated to other bending detection patterns,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ending detection pattern to which the crack has propagated may be significantly increased, and thus it may be measured that a crack has occurred. Accordingly,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bending detection pattern to which the crack has propagated is measured as the bending detection pattern in which a crack has occurred. Accordingly, in a display device (9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planarization layer (913) covering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is separated from each other to cover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thereby minimizing cracks that occur in som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from being propagated to other bending detection patterns. Accordingly, the sub-bending area in which the bending detection pattern in which the crack has occurred is arranged can be accurately determined.
도 10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와 비교하여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을 포함하며, 다른 설명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Fig. 10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isplay device (1000) illustrated in Fig. 10 includes a temperatur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compared to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4, and other descriptions are substantially the same, so redundant descriptions are omitted.
도 10을 참조하면,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는 표시 장치(1000)의 온도의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패턴의 저항값을 감지하는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을 포함한다.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은 패드 영역(PA)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은 벤딩되지 않는 영역이라면, 예를 들면,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영역이라면 임의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은 링크 영역(LA)이나 표시 영역(AA)의 양측면에 위치한 베젤 영역(ZA)에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0, a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ncludes a temperatur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that detects a resistance value of a pattern that changes according to a change in temperature of the display device (1000). The temperatur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may be located in a pad area (P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mperatur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may be located in any area that is not bent, for example, except for a bending area (BA). For example, the temperatur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may be located in a link area (LA) or a bezel area (Z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area (AA).
표시 장치(1000)의 온도가 크게 높아지거나 크게 낮아지는 경우, 표시 장치(1000)가 포함하는 소자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에서는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온도에 의한 소자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isplay device (1000) rises or falls significantly, damage to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000) may occur. 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amage to the elements due to temperature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with respect to temperature.
도 10을 참조하면,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은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중 하나와 패드(P)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의 일 단과 연결된 저항 감지 배선은 제1 벤딩 감지 패턴(141)의 일 단과 연결된 벤딩 감지 배선(1050)과 연결되어, 동일한 패드(P)에 연결될 수 있다.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과 제1 벤딩 감지 패턴(141)에 대한 저항값을 측정하는 작업은 별도로 이루어지므로,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과 제1 벤딩 감지 패턴(141)이 서로 패드(P)를 공유하더라도 저항값 측정에는 문제가 없다. 이에,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0)에서는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1090)이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중 하나와 패드(P)를 공유함으로써, 패드(P)의 수가 최소화되고 베젤 영역(ZA)의 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0, th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for temperature may share a pad (P) with one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For example, a resistance detection wire connected to one end of th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for temperature may be connected to a bending detection wire (1050) connected to one end of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and may be connected to the same pad (P). Since the tasks of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s for th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for temperature and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are performed separately, there is no problem in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s even if th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for temperature and the first bending detection pattern (141) share a pad (P). Accordingly, in a display device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temperature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1090) shares a pad (P) with one of a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thereby minimizing the number of pads (P) and minimizing the area of the bezel area (ZA).
또한, 도 10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140) 각각도 패드(P)를 서로 공유하여 패드(P)의 수가 최소화되고 베젤 영역(ZA)의 넓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FIG. 10, each of the plurality of bending detection patterns (140) may share a pad (P) with each other so that the number of pads (P) can be minimized and the area of the bezel area (ZA) can be minimized.
도 11은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COF(120)가 본딩되기 전 상태의 표시 장치(1100)를 도시하였다. FIG. 11 is an enlarged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splay device (1100) is illustrated before the COF (120) is bonded.
도 11에 도시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100)의 구성요소와 비교하여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따라서, 도 11에서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이외의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display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llustrated in FIG. 11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components of the display device (100) illustrated in FIGS. 1 to 4, except for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of components other than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in FIG. 11 is omitted.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00)는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서 표시 소자 및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구동소자들이 배치된 표시 영역(AA), 그리고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으로서 배선 또는 회로부가 배치된 베젤영역(ZA)을 포함할 수 있다. 베젤 영역(ZA)은 벤딩 영역(BA), 링크영역(LA) 및 패드 영역(PA)을 포함할 있다. 그리고, 표시 영역(AA)은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 배선(DL)과 연결된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배선(DL)은 데이터 링크 배선(DLL)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데이터 배선(DL)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링크 영역(LA), 벤딩 영역(BA) 및 패드 영역(PA)에 배치되어 패드 영역(PA)의 패드(P)와 표시 영역(AA)의 데이터 배선(DL)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1, a display device (1100) may include a display area (AA) in which display elements and various driving elements for driving the display elements are arranged as an area where an image is displayed, and a bezel area (ZA) in which wiring or circuitry is arranged as an area where an image is not displayed. The bezel area (ZA) may include a bending area (BA), a link area (LA), and a pad area (PA). In addition, the display area (AA)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s (PX) connected to a data wire (DL) that transmits a data signal. The data wire (DL)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ata link wire (DLL). The data link wire (DLL)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ata wire (DL) may be arranged in the link area (LA), the bending area (BA), and the pad area (PA) to electrically connect a pad (P) of the pad area (PA) and the data wire (DL) of the display area (AA).
벤딩 영역(BA)은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되는 영역을 의미한다. 벤딩 영역(BA)은 링크 영역(LA)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링크 영역(LA)은 표시 영역(AA)과 벤딩 영역(B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The bending area (BA) refers to an area where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The bending area (BA) may be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link area (LA). The link area (LA) may be located between the display area (AA) and the bending area (BA).
패드 영역(PA)은 복수의 패드(P)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패드 영역(PA)은 벤딩 영역(BA)의 일측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패드 영역(PA)과 링크 영역(LA)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The pad area (PA) may be an area where a plurality of pads (P) are formed. The pad area (PA) may be arranged adjacent to one side of the bending area (BA). The bending area (BA) may be located between the pad area (PA) and the link area (LA).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됨에 따라, 플레서블 기판(110)의 벤딩 영역(BA)에서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손상되는 것을 줄이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 또는 마름모 형상 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0)의 벤딩 영역(BA)에 대응하는 데이터 링크 배선(DLL)에서 크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그재그 형상을 가지도록 데이터 링크 배선(DLL)이 형성될 수 있다. 지그재그 형상은 베젤 영역(ZA)에 형성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중에서 벤딩 영역(BA)과 대응하는 영역에 위치하는 데이터 링크 배선(DLL)에 형성될 수 있다. As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the data link wiring (DLL) may be formed in various shapes, such as a zigzag shape or a diamond shape, in order to reduce damage to the data link wiring (DLL) in the bending area (B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 in order to prevent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data link wiring (DLL)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the data link wiring (DLL) may be formed to have a zigzag shape. The zigzag shape may be formed in the data link wiring (DLL) locat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among the data link wirings (DLL) formed in the bezel area (ZA).
도 1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100)는 벤딩 영역(BA)에 배치되는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패드 영역(PA)에 배치되는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표시 장치(1100)의 벤딩 영역(BA)의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패턴일 수 있다.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표시 장치(1100)의 표시 장치(1100)의 온도 변화에 따라 변화되는 패턴의 저항값을 모니터링하기 위한 패턴일 수 있다.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링크 영역(LA)이나 표시 영역(AA)의 양측면에 위치한 베젤 영역(ZA)에 배치될 수도 있다. Referring to FIG. 11, the display device (1100) may include a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disposed in a bending area (BA) and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disposed in a pad area (PA).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be a pattern for monitoring a degree of bending of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may be a pattern for monitoring a resistance value of a pattern that changes according to a temperature change of the display device (1100) of the display device (1100).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may be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bending area (BA). For example,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may be disposed in a link area (LA) or a bezel area (Z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display area (AA).
벤딩 영역(BA)이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저항값이 변화될 수 있다. 벤딩되기 전(前)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초기 저항값 대비 벤딩된 후(後) 변화된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시 장치(1100)가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change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bending area (BA) is bent. By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hanged after bending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before bending,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1100) is bent can be monitored.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베젤 영역(ZA)의 벤딩 영역(BA)이 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벤딩 영역(BA)에서의 응력(stress)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configured to detect stress in the bending area (BA) that occurs as the bending area (BA) of the bezel area (ZA) bends.
표시 장치(1100)의 온도가 크게 높아지거나 크게 낮아지는 경우, 표시 장치(1100)가 포함하는 소자의 손상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100)에서는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온도에 의한 소자의 손상을 감지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of the display device (1100) rises or falls significantly, damage to the elements included in the display device (1100) may occur. Therefore, in the display device (1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damage to the elements due to temperature can be detected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패드(P)는 복수개의 모니터링 패드(MP) 및 복수개의 픽셀패드(PP)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모니터링 패드(MP)는 연결 배선(310)을 통하여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 또는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의 픽셀패드(PP)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을 통하여 표시영역(AA)의 복수의 화소(PX)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1, the plurality of pads (P)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and a plurality of pixel pads (PP).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or a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through a connection wire (310).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pixel pads (PP)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xels (PX) of a display area (AA)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와 함께 복수의 모니터링 패드(MP)중 하나를 공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0)의 패드영역(PA)에 배치된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복수의 모니터링 패드(MP)중 제1 모니터링 패드(MP1) 및 제2 모니터링 패드(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표시 장치(1100)의 벤딩영역(BA)에 배치된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복수의 모니터링 패드(MP)중 제2 모니터링 패드(MP2) 및 제3 모니터링 패드(MP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 및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제2 모니터링 패드(MP2)를 공유할 수 있다.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may share one of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with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disposed in the pad area (PA) of the display device (1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onitoring pad (MP1) and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of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In addition,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disposed in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and the third monitoring pad (MP3) of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share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한쪽 끝단은 제1 모니터링 패드(MP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모니터링 패드(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것이다.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한쪽 끝단은 제3 모니터링 패드(MP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것이다.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모니터링 패드(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모니터링 패드(MP2)에는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다른쪽 끝단과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다른쪽 끝단이 함께 연결될 수 있다. One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onitoring pad (MP1). And, the other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One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monitoring pad (MP3). And,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The other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connected together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연결 배선(31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310)은 패드(P)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310)은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패드(P)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배선이다.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연결 배선(310)과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배선(310)은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과 패드(P)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게 하는 배선이다.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ire (310). The connecting wire (310) can be connected to the pad (P). The connecting wire (310) is a wire that allows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and the pad (P)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In addition,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can be connected to the connecting wire (310). The connecting wire (310) is a wire that allows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pad (P)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연결 배선(310)은 제1 연결 배선(311), 제2 연결 배선(312), 및 제3 연결 배선(3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 배선(311)은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과 제1 모니터링 패드(MP1)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연결 배선(312)은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과 제2 모니터링 패드(MP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연결 배선(312)은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제2 모니터링 패드(MP2)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제2 연결 배선(312)을 공유할 수 있다. 제3 연결 배선(313)은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제3 모니터링 패드(MP3)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The connecting wire (31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wire (311), a second connecting wire (312), and a third connecting wire (313). The first connecting wire (311)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first monitoring pad (MP1). The second connecting wire (312)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In addition, the second connecting wire (312)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and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and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may share the second connecting wire (312). The third connecting wire (313)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and the third monitoring pad (MP3).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한쪽 끝단은 제1 연결 배선(311)을 통하여 제1 모니터링 패드(MP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연결 배선(312)을 통하여 제2 모니터링 패드(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한쪽 끝단은 제3 연결 배선(313)을 통하여 제3 모니터링 패드(MP3)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5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연결 배선(312)을 ??하여 제2 모니터링 패드(MP2)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다른쪽 끝단과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연결 배선(312)을 함께 공유할 있다.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의 다른쪽 끝단과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다른쪽 끝단은 제2 연결 배선(312)을 통하여 제2 모니터링 패드(MP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One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monitoring pad (MP1) through the first connection wire (311). Then, the other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wire (312). One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third monitoring pad (MP3) through the third connection wire (313). Then,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5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through the second connection wire (312). The other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share the second connection wire (312). And, the other end of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and the other end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through the second connecting wire (312).
제1 모니터링 패드(MP1)와 제2 모니터링 패드(MP2)를 통하여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에서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온도의 변화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링 패드(MP2) 및 제3 모니터링 패드(MP3)를 통하여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에서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 장치(1100)의 벤딩영역(BA)이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 The change in temperature can be monitor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resistance value in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0) through the first monitoring pad (MP1) and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is bent can be monitor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resistance value in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through the second monitoring pad (MP2) and the third monitoring pad (MP3).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데이터 배선(DL)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플렉서블 기판(1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표시 장치(1100)의 벤딩 영역(BA)에서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단, 이에 제한 되지 않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벤딩영역(BA)의 중앙부에 배치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 및 우측 중 일 측에만 위치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2,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wires (DL)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In addition,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and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be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be positioned on only one of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nding area (BA).
표시 장치(1100)의 벤딩 영역(BA)을 벤딩하는 과정에서 벤딩 영역(BA)이 설계와는 어긋나도록 벤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1100)를 벤딩하는 과정에서 벤딩 영역(BA)과 링크영역(LA)의 경계, 그리고 벤딩 영역(BA)과 패드 영역(PA)의 경계를 기준으로 정확히 벤딩되지 않을 수 있다. 벤딩이 정확히 되지 않는 경우, 벤딩 영역(BA)과 링크 영역(LA)의 경계 또는 벤딩 영역(BA)과 패드 영역(PA)의 경계의 사선 방향으로 표시 장치(1100)가 벤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벤딩이 정확히 되지 않은 경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the bending area (BA) may be bent in a manner that is different from the design. For example, in the process of bending the display device (1100), the bending may not be performed accurately based on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link area (LA), or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pad area (PA). If the bending is not performed accurately, the display device (1100) may be bent in a diagonal direction of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link area (LA) or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pad area (PA). In this way, if the bending is not performed accurately,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s (240)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벤딩이 정확히 된 경우에는, 벤딩 영역(BA)의 중앙영역(C)은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평방향인 제1 방향은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또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은 표시 장치(1100)의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되는 방향인 제2 방향과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When the bending is done accurately, the central area (C) of the bending area (BA) can be formed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 direction which is perpendicular to a plurality of data link lines (DLL). Alternatively,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can be a direction which is perpendicular to a second direction which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110) of the display device (1100) is bent.
표시 장치(1100)의 플렉서블 기판(110)이 정확히 제1 방향으로 벤딩 되지 않는 경우에는, 벤딩 영역(BA)의 중앙영역(C)은 사선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사선방향은 수평방향인 제1 방향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가지도록 기울어진 방향일 수 있다. In a case where the flexible substrate (110) of the display device (1100) is not bent exactly in the first direction, the central area (C) of the bending area (BA) may be formed in a diagonal direction. The diagonal direction may be a direction tilted at a certain angle with respect to the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벤딩 영역(BA)과 링크 영역(LA)의 경계를 기준으로 표시 장치(1100)가 사선방향으로 벤딩이 된 경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서로 상이한 저항값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표시 장치(1100)가 어긋나게 벤딩된 경우,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의 저항값과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의 저항값의 차이가 매우 클 수 있다.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의 저항값과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의 저항값을 비교하는 방식으로 표시 장치(1100)의 정확한 벤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100) is bent diagonally with respect to the boundary between the bending area (BA) and the link area (LA),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s (240) respectively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 may have different resistance values. In this way, when the display device (1100) is bent misalig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data link wire (DLL)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data link wire (DLL) may be very large. By comparing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it is possible to determine whether the display device (1100) is accurately bent.
표시 장치(1100)가 정확하게 벤딩될 경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과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벤딩 정도를 갖기 때문에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의 저항값과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의 저항값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When the display device (1100) is accurately bent, the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DLLs) and the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data link wires (DLLs) have substantially the same bending degree, so that the resistance value of the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and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can be substantially the same.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표시 장치(1100)의 벤딩영역(BA)에 배치된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과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과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은 서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s illustrated in Fig. 12, the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and the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arranged in the bending area (BA) of the display device (1100) may have the same shape. In addition,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may have different shapes.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돌출부와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돌출부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오목부는 제2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표시 장치(1100)의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은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된 정도를 모니터링하는 패턴이므로,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의 돌출부의 돌출 방향 및 오목부의 오목한 방향은 플렉서블 기판(1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과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은 동일한 패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have a protrusion and a concave portion. In addition, the protrusion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protrude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second direction, which is a vertical direction. In addition, the concave portion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be formed concavely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1100) of the display device (1100) is bent. Since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is a pattern that monitors the degree to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the protrusion direction of the protrusion and the concave direction of the concave portion of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may b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110) is bent. Accordingly, the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DLL) and the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DLL) may have the same pattern shape.
도 12를 참조하면, 복수의 데이터 배선(DL)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은 플렉서블 기판(1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 모니터링 패턴(250)은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장치(1100)의 플렉서블 기판(110)의 패드영역(PA)에 배치된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은 및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은 서로 다른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은 및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은 서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 12, a plurality of data link lines (DLL) each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DL) may be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In addition, the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s (250)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ata link lines (DLL).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arranged in the pad area (PA) of the flexible substrate (110) of the display device (1100) may have different shape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may have the same shape.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 및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중 적어도 하나는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다른 형상으로 가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 및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 중 적어도 하나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제1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 및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중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이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은 수평방향인 제1 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제1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모니터링 패턴(252)은,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같이,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방향으로 돌출된 돌출부와 제2 방향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이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데이터 링크 배선(DLL)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이 벤딩 모니터링 패턴(240)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For example, at least one of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may hav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ncave portion re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Referring to FIG. 12, among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the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The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may hav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first direction, which is a horizontal direction, and a concave portion re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In addition, the second monitoring pattern (252) may have a protrusion protruding in a second direction, which is perpendicular to the first direction, and a concave portion recessed in the second direction, like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a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DLLs) may have the same shape as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and a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DLL) may have a different shape from the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0).
패드 영역(PA)의 복수개의 패드(P)는 복수의 픽셀 패드(PP), 및 복수의 픽셀 패드(PP)의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는 복수의 모니터링 패드(MP)를 포함 수 있다. 복수의 픽셀 패드(PP)는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을 통하여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화소(PX)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온도 모니터링 패턴(251) 및 제1 벤딩 모니터링 패턴(241)은 복수의 픽셀 패드(PP) 좌측에 형성된 복수의 모니터링 패드(MP)중 하나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온도 모니터링 패턴(252) 및 제2 벤딩 모니터링 패턴(242)은 복수의 픽셀 패드(PP) 우측에 형성된 복수의 모니터링 패드(MP)중 하나를 함께 공유할 수 있다.A plurality of pads (P) of a pad area (PA) may include a plurality of pixel pads (PP), and a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position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urality of pixel pads (PP). The plurality of pixel pads (PP)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pixels (PX) of a display area (AA) through a plurality of data link lines (DLL). Referring to FIG. 12, a first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1) and a first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1) may share one of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plurality of pixel pads (PP). In addition, a second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52) and a second bending monitoring pattern (242) may share one of the plurality of monitoring pads (MP) formed on the right side of the plurality of pixel pads (PP).
도 1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300)는 정보를 표시하는 액티브 영역(AA)과, 정보가 표시되지 않는 베젤 영역(ZA)을 포함할 수 있다. Fig. 13 is a schematic plan view for explain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Referring to Fig. 13, the display device (300) may include an active area (AA) where information is displayed and a bezel area (ZA) where information is not displayed.
액티브 영역(AA)은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으로 복수의 화소들(P)이 매트릭스 타입으로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그리고, 베젤 영역(ZA)은 패드부가 배치된 패드 영역(PA), 기판(310)이 구부러지는 벤딩 영역(BA), 및 링크 영역(L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ctive area (AA) may be an area where an input image is displayed and where multiple pixels (P) are arranged in a matrix type. In addition, the bezel area (ZA) may include a pad area (PA) where a pad part is arranged, a bending area (BA) where the substrate (310) is bent, and a link area (LA).
링크 영역(LA)은 표시 영역(AA) 및 베젤 영역(B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 영역(LA)은 표시 영역(AA)에 배치된 배선들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들이 배치되는 영역으로, 다양한 링크 배선들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게이트 링크 배선(GLLa, GLLb),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 및 제1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DL1~VDLn) 등이 링크 영역(LA)에 배치될 수 있다. The link area (LA) may be arranged between the display area (AA) and the bezel area (BA). In addition, the link area (LA) is an area where link wires for transmitting signals to wires arranged in the display area (AA) are arranged, and various link wires may be arranged. For example, gate link wires (GLLa, GLLb), data link wires (DLL1 to DLLn), and first link power supply lines (VDL1 to VDLn), etc. may be arranged in the link area (LA).
벤딩 영역(BA)은 기판(310)이 벤딩되는 영역일 수 있다. 벤딩 영역(BA)은 링크 영역(LA)과 패드 영역(P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기판(310)은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영역에서 벤딩되지 않고 평탄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으며, 벤딩 영역(BA)만의 기판(310)이 벤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판(310)의 벤딩 영역(BA)을 제외한 두 개의 벤딩되지 않는 영역의 기판(310)은 서로 마주보도록 표시 장치(300)가 벤딩될 수 있다. The bending area (BA) may be an area where the substrate (310) is bent. The bending area (BA) may be arranged between the link area (LA) and the pad area (PA). The substrate (310) may be maintained in a flat state without being bent in an area excluding the bending area (BA), and may be configured such that only the substrate (310) in the bending area (BA) is bent.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bent so that the substrate (310) in two non-bending areas excluding the bending area (BA) of the substrate (310) face each other.
패드 영역(P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으며, 복수의 패드가 형성되는 영역일 수 있다. 패드 영역(PA)은 벤딩 영역(BA)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패드 영역(PA)은 복수의 패드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원 공급 패드(VDPa, VDPb), 데이터 패드(Data1~Datan), 게이트 패드(GIPa, GIPb), 제2 전원 공급 패드(VSPa, VSPb), 및 더미 패드(DPa, DPb)등이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The pad area (PA) may be an area where no image is displayed and where multiple pads are formed. The pad area (PA) may be an area extending from one side of the bending area (BA). The pad area (PA) may be an area where multiple pads are arranged. For example, it may be an area where first power supply pads (VDPa, VDPb), data pads (Data1 to Datan), gate pads (GIPa, GIPb), second power supply pads (VSPa, VSPb), and dummy pads (DPa, DPb) are arranged.
베젤 영역(ZA)에는 게이트 구동회로의 게이트 구동부(GIPDa, GIPDb), 게이트 링크 배선들(GLLa, GLLb), 데이터 링크 배선들(DLL1~DLLn), 제1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DL1~VDLn),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SL1, VSL2), 및 제1 전원 공급전극(VDL) 등이 배치될 수 있다. In the bezel area (ZA), gate driving circuit gate driving units (GIPDa, GIPDb), gate link wires (GLLa, GLLb), data link wires (DLL1 to DLLn), first link power supply lines (VDL1 to VDLn),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and first power supply electrodes (VDL) may be arranged.
그리고, 액티브 영역(AA)에는 복수의 데이터라인들(DL1~DLn) 및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1~GLn)이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이들의 교차영역마다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화소(PX)들을 포함할 수 있다. And, in the active area (AA), a plurality of data lines (DL1 to DLn) and a plurality of gate lines (GL1 to GLn) may be arranged to intersect each other. And, each of these intersecting areas may include pixels (PX) arranged in a matrix form.
각각의 화소(PX)는 발광 다이오드(LED), 발광 다이오드(LED)에 흐르는 전류량을 제어하는 구동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이하 구동 TFT라 함), 구동 TFT(DT)의 게이트-소스간 전압을 세팅하기 위한 프로그래밍부(SC)를 포함할 수 있다. 표시장치(300)의 화소(PX)들은 제 1 전원라인들(VD1~VDn)을 통해 고전위 전압인 제 1 전원(Vdd)을 공급받을 수 있으며,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들(VSL1, VSL2)을 통해 저전위 전압인 제 2 전원(Vss)을 공급받을 수 있다. Each pixel (PX)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diode (LED), a driving thin film transistor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driving TFT) for controll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ing through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and a programming section (SC) for setting a gate-source voltage of the driving TFT (DT). The pixels (PX) of the display device (300) may be supplied with a first power supply (Vdd), which is a high-potential voltage, through first power supply lines (VD1 to VDn), and may be suppli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Vss), which is a low-potential voltage, through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제 1 전원라인들(VD1~VDn)은 베젤영역(ZA)에 배치된 제1 전원 공급패드(VDPa, VDPb) 및 제 1 전원 공급전극(VDL)을 통해 제 1 전원(Vdd)를 공급받을 수 있다. 제1 전원 공급전극(VDL)을 통해 공급된 제1 전원(Vdd)은 제1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DL1~VDLn)을 통하여 액티브 영역(AA)에 배치된 제1 전원라인들(VD1~VDn)에 공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전원(Vdd)은 패드 영역(PA)의 제1 전원 공급패드(VDPa, VDPb)를 통하여 링크 영역(LA)의 제1 전원 공급전극(VDL)에 공급될 수 있으며, 제1 전원 공급전극(VDL)에 공급된 제1 전원(Vdd)은 링크 영역(LA)의 제1 링크 전원 공급라인(VDL1~VDLn)을 통하여 액티브 영역(AA)의 제1 전원라인(VD1~VDn)에 공급될 수 있다. The first power lines (VD1 to VDn) can be supplied with the first power (Vdd)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pads (VDPa, VDPb) and the first power supply electrode (VDL) arranged in the bezel area (ZA). The first power (Vdd) supplied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electrode (VDL)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power lines (VD1 to VDn) arranged in the active area (AA) through the first link power supply lines (VDL1 to VDLn). For example, the first power supply (Vdd)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electrode (VDL) of the link area (LA) through the first power supply pad (VDPa, VDPb) of the pad area (PA), and the first power supply (Vdd) supplied to the first power supply electrode (VDL) can be supplied to the first power line (VD1 to VDn) of the active area (AA) through the first link power supply line (VDL1 to VDLn) of the link area (LA).
그리고, 제2 전원(Vss)은 패드 영역(PA)의 제2 전원 공급패드(VSPa, VSPb)를 통하여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 VSL2)에 공급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power supply (Vss)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through the second power supply pads (VSPa, VSPb) of the pad area (PA).
프로그래밍부(SC)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위치 TFT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토리지 커패시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TFT는 게이트 라인들(GL1~GLn)로부터의 스캔 신호에 응답하여 턴 온됨으로써, 데이터라인들(DL1~DLn)로부터의 데이터전압을 스토리지 커패시터의 일측 전극에 인가할 수 있다. 구동 TFT(DT)는 스토리지 커패시터에 충전된 전압의 크기에 따라 발광 다이오드(LED)로 공급되는 전류량을 제어하여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의 발광량은 구동 TFT(DT)로부터 공급되는 전류량에 비례할 수 있다. The programming section (SC) may include at least one switch TFT and at least one storage capacitor. The switch TFT may be turned on in response to a scan signal from the gate lines (GL1 to GLn), thereby applying a data voltage from the data lines (DL1 to DLn) to one electrode of the storage capacitor. The driving TFT (DT) may control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to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according to the magnitude of the voltage charged in the storage capacitor, thereby controlling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The light emission amount of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may be proportional to the amount of current supplied from the driving TFT (DT).
화소(PX)를 구성하는 TFT들은 p 타입으로 구현되거나 n 타입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화소(PX)를 구성하는 TFT들의 반도체층은, 비정질 실리콘 또는, 폴리 실리콘 또는, 산화물 반도체물질 중에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다이오드(LED)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 사이에 개재된 발광 구조물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은 구동 TFT(DT)에 접속될 수 있다. 발광 구조물은 발광층(Emission layer, EML)을 포함하고, 발광층을 사이에 두고 그 일측에는 정공 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및 정공 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이, 그 타측에는 전자 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이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TFTs constituting the pixel (PX) may be implemented as a p type or an n type. In addition, the semiconductor layer of the TFTs constituting the pixel (PX)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morphous silicon, polysilicon, or an oxide semiconductor material. The light emitting diode (LED) includes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a light emitting structure interposed between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The anode electrode may be connected to a driving TFT (DT). The light emitting structure includes an emission layer (EML), and a hole injection layer (HIL) and a hole transport layer (HTL)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emission layer, and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ide, respectively.
데이터 전압은 패드 영역(PA)의 데이터 패드(Data1~Datan)를 통하여 링크 영역(LA)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에 공급된 데이터 전압은 액티브 영역(AA)의 데이터 라인들(DL1~DLn)에 공급될 수 있다.The data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data link wiring (DLL1 to DLLn) of the link area (LA) through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of the pad area (PA). And, the data voltage supplied to the data link wiring (DLL1 to DLLn) can be supplied to the data lines (DL1 to DLn) of the active area (AA).
게이트 구동 전압은 패드 영역(PA)의 게이트 패드(GIPa, GIPb)를 통하여 링크영역(LA)의 게이트 링크 배선(GLLa, GLLb)으로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링크 배선(GLLa, GLLb)에 공급된 게이트 구동 전압은 게이트 구동부(GIPDa, GIPDb)에 공급될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구동 전압은 게이트 구동부(GIPDa, GIPDb)를 통하여 액티브 영역(AA)의 게이트 라인(GL1~GLn)에 공급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GIPDa, GIPDb)는 게이트 구동 전압 외에도 스타트 펄스, 게이트 쉬프트 클럭들, 및 플리커 신호등의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게이트 하이 전압(VGH), 게이트 로우 전압(VGL) 등의 게이트 구동 전압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스타트 펄스, 게이트 쉬프트 클럭 및 플리커 신호는 대략 0V와 3.3V 사이에서 스윙하는 신호들일 수 있다. 게이트 쉬프트 클럭은 소정의 위상차를 갖는 n 상 클럭신호들일 수 있다. 게이트 하이 전압(VGH)은 표시장치(300)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 이상의 전압으로서 대략 28V 정도의 전압일 수 있고, 게이트 로우 전압(VGL)은 표시장치(300)의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에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TFT)의 문턱 전압보다 낮은 전압으로서 대략 -5V 내외의 전압일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gate driving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gate link wiring (GLLa, GLLb) of the link area (LA) through the gate pad (GIPa, GIPb) of the pad area (PA). Then, the gate driving voltage supplied to the gate link wiring (GLLa, GLLb) can be supplied to the gate driving unit (GIPDa, GIPDb). Then, the gate driving voltage can be supplied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of the active area (AA) through the gate driving unit (GIPDa, GIPDb). In addition to the gate driving voltage, the gate driving unit (GIPDa, GIPDb) can receive signals such as a start pulse, gate shift clocks, and a flicker signal. Then, the gate driving voltage such as a gate high voltage (VGH) and a gate low voltage (VGL) can be supplied. The start pulse, the gate shift clock, and the flicker signal can be signals swinging between approximately 0 V and 3.3 V. The gate shift clock may be n-phase clock signals having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The gate high voltage (VGH) may be a voltage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a thin film transistor (TFT) formed in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of the display device (300), and may be a voltage of approximately 28 V, and the gate low voltage (VGL) may be a voltage low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a thin film transistor (TFT) formed in the thin film transistor array of the display device (300), and may be a voltage of approximately -5 V or so,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에서는 게이트 구동부(GIPDa, GIPDb)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양측에 배치되어 액티브 영역(AA)의 양단부에서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하는 구성을 도시하고 있지만 본 명세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게이트 구동부 액티브 영역(AA)의 일측에만 배치되어 액티브 영역(AA)의 일측에서 게이트 라인들(GL1~GLn)에 게이트 펄스를 공급할 수도 있다. 게이트 구동부(GIPDa, GIPDb)가 액티브 영역(AA) 외측의 양측에 배치되는 경우, 동일 수평라인에 배치된 화소(PX)에는 게이트 라인을 통하여 동일 위상, 동일 진폭의 게이트 펄스가 공급될 수 있다.Although FIG. 13 illustrates a configuration in which gate drivers (GIPDa, GIPDb) are arranged on both sides outside the active area (AA) to supply gate pulses to gate lines (GL1 to GLn) from both ends of the active area (AA),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gate drivers may be arranged only on one side of the active area (AA) to supply gate pulses to the gate lines (GL1 to GLn) from one side of the active area (AA). When the gate drivers (GIPDa, GIPDb) are arranged on both sides outside the active area (AA), gate pulses having the same phase and the same amplitude can be supplied to pixels (PXs) arranged in the same horizontal line through the gate lines.
도 13을 참조하면, 표지 장치(300)는 패드 영역(PA)에 배치되는 더미 패드(DPa, DPb)와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을 포함할 수 있다. 더미 패드(DPa, DPb)는 표시 장치(300)에서 벤딩 영역(BA)의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미 패드(DPa, DPb)는 패드 영역(PA)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더미 패드(DPa)는 패드 영역(P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더미 패드(DPb)는 패드 영역(P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display device (300) may include dummy pads (DPa, DPb) and dummy pad lines (DPLa, DPLb) arranged in the pad area (PA). The dummy pads (DPa, DPb) may serve to monitor the degree of bending of the bending area (BA) in the display device (300). The dummy pads (DPa, DPb) may be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pad area (PA).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3, the first dummy pad (DPa)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pad area (PA), and the second dummy pad (DPb)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pad area (PA).
그리고,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은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SL1, VSL2)과 더미 패드(DPa, DPb)을 연결할 수 있다.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은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은 패드 영역(PA)에 배치될 수 있으며, 패드 영역(PA)에서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은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링크 영역(LA)에서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이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은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과 제1 더미 패드(DPa)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And, the dummy pad lines (DPLa, DPLb) can connect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and the dummy pads (DPa, DPb). The dummy pad lines (DPLa, DPLb) can include a first dummy pad line (DPLa) and a second dummy pad line (DPLb).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can be arranged in the pad area (PA), and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in the pad area (P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in the link area (LA).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and the first dummy pad (DPa).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패드 영역(PA)에 배치될 수 있으며, 링크 영역(LA)에서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링크 영역(LA)에서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이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제2 더미 패드(DPb)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arranged in the pad area (PA),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link area (LA).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link area (LA).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and the second dummy pad (DPb).
도 13에서는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은 패드 영역(PA)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링크 영역(LA)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도시 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이 링크 영역(LA)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패드 영역(LA)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모두 패드 영역(PA)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및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모두 링크 영역(LA)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 및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FIG. 13,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in the pad area (PA),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link area (LA),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in the link area (LA),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pad area (LA). Alternatively,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oth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and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pad area (PA), respectively. Alternatively,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oth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and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respectively, in the link area (LA).
벤딩 영역(BA)이 벤딩되는 정도에 따라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SL1, VSL2)의 저항값이 변화될 수 있다. 벤딩되기 전(前)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SL1, VSL2)의 초기 저항값 대비 벤딩된 후(後) 변화된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SL1, VSL2)의 저항값을 측정하여, 표시 장치(300)가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 할 수 있다.The resistance valu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may change depending on the degree to which the bending area (BA) is bent. By measuring the resistance valu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after bending compared to the initial resistance valu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before bending,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300) is bent can be monitored.
더미 패드(DPa, DPb)는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이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 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베젤 영역(ZA)의 벤딩 영역(BA)이 휘어짐에 따라 발생하는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들(VSL1, VSL2)의 저항값이 변화되는 것으로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패드(DPa, DPb)는 벤딩 영역(BA)에서의 응력(stress)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더미 패드(DPa)와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을 통하여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드(DPa) 및 제2a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a 전원 공급 패드(VSPa)를 통하여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 장치(300)가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The dummy pads (DPa, DPb)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that occurs as the bending area (BA) of the bezel area (ZA) is bent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dummy pad lines (DPLa, DPLb)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In addition, the dummy pads (DPa, DPb) can be configured to detect a stress in the bending area (BA). For example, the dummy pads (DPa, DPb)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VSL1) through the first dummy pad (DPa) and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And,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300) is bent can be monitored by measuring the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through the second a power supply pad (VSPa)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dummy pad (DPa) and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그리고, 제2 더미 패드(DPb) 및 제2b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b 전원 공급 패드(VSPb)를 통하여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2)의 저항값의 변화를 측정하여 표시 장치(300)가 벤딩되는 정도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egree to which the display device (300) is bent can be monitored by measuring a change in the resistance value of the second 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through the second b power supply pad (VSP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dummy pad (DPb) and the second 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데이터 배선(DL1~DLn)과 각각 연결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 및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과 연결된 데이터 패드(Data1~Datan)는 기판(310)의 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 VSL2)은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 VSL2)과 연결된 제2 전원 공급 패드(VSPa, VSPb)는 데이터 패드(Data1~Datan)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The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each connected to the data wirings (DL1 to DLn) and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connected to the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may be located at the center of the substrate (310). In addition,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In addition, the second power supply pads (VSPa, VSPb)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그리고, 제2 링크 전원 공급라인(VSL1, VSL2)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이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더미 패드(DPa, DPb)는 데이터 패드(Data1~Datan)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dummy pad lines (DPLa, DPL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s (VSL1, VSL2)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In addition, dummy pads (DPa, DPb)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ummy pad lines (DPLa, DPLb) may be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예를 들면, 데이터 배선(DL1~DLn)과 각각 연결된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은 기판(310)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ZA)에서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트 링크 배선(DLL1~DLLn)과 연결된 데이터 패드(Data1~Datan)는 기판(310)의 상측부에 위치하는 베젤 영역(ZA)에서 중앙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a 전원 공급 패드(VSPa)는 데이터 패드(Data1~Datan)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a 전원 공급 패드(VSPa)와 연결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은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b 전원 공급 패드(VSPb)는 데이터 패드(Data1~Datan)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b 전원 공급 패드(VSPb)와 연결된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2)은 데이터 링크 배선(DLL1~DLLn)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each connected to the data wirings (DL1 to DLn) may be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a bezel area (ZA)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310). In addition,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connected to the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may be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zel area (ZA) locat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substrate (310). In addition, the second a power supply pad (VSPa)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and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connected to the second a power supply pad (VSPa)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s (DLL1 to DLLn). Additionally, the second power supply pad (VSPb)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data pads (Data1 to Datan), and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VSL2)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pad (VSPb)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DLL1 to DLLn).
그리고, 제1 더미 패드(DPa)는 제2a 전원 공급 패드(VSPa)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더미 패드(DPa)와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을 연결하는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은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first dummy pad (DPa)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a power supply pad (VSPa). In addition,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connecting the first dummy pad (DPa) and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그리고, 제2 더미 패드(DPb)는 제2b 전원 공급 패드(VSPb)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더미 패드(DPb)와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2)을 연결하는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2)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second dummy pad (DPb)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b power supply pad (VSPb). In addition,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connecting the second dummy pad (DPb) and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도 13을 참조하면,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과 동일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는 벤딩 영역(BA)에서 벤딩 영역(BA)에 대응되는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의 패턴과 동일한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서는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만이 벤딩 영역(BA)에서 지그 재그 패턴으로 형성된 것으로 도시 되었으나,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도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과 동일한 지그재그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더미 패드 라인(DPLa, DPL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돌출부와 오목부를 가지는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formed in the same pattern as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VSL1)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For example,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formed in the same zigzag pattern as the pattern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VSL1) corresponding to the bending area (BA) in the bending area (BA). In addition, although FIG. 13 illustrates that only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is formed in the zigzag pattern in the bending area (BA),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may also be formed in the same zigzag pattern as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However, the shapes of the dummy pad lines (DPLa, DPLb) are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formed in a pattern having a protrusion portion and a concave portion.
도 14a 및 도 14b는 본 명세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확대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는 도 13에서 D영역을 확대한 평면도이다. 도 14a 및 도 14b를 참조하면,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벤딩영역(BA)에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의 돌출부는 수평방향인 제1 방향과 수직한 제2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의 오목부는 제2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방향은 표시장치(300)의 기판(3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은 기판(310)이 벤딩된 정도를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벤딩영역(BA)에서 기판(3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부 및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은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과 동일한 패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제1 더미 패드 라인(DPLb)은 벤딩영역(BA)에서 돌출부와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FIGS. 14A and 14B are enlarged plan views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FIGS. 14A and 14B are enlarged plan views of area D in FIG. 13. Referring to FIGS. 14A and 14B,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have a protrusion and a concave portion in the bending area (BA). Further, the protrusion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protrude in a second direction that is perpendicular to a first direction that is a horizontal direction. Further, the concave portion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formed to be concave in the second direction. The second direction may be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310) of the display device (300) is bent. In order to monitor the degree to which the substrate (310) is bent,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have a protrusion and a concave portion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substrate (310) is bent in the bending area (BA).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may have a shape of the same pattern as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Accordingly, the first dummy pad line (DPLb) may have a protrusion and a concave portion in the bending area (BA).
그리고, 도 14a를 참조하면,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의 한쪽 끝단은 링크 영역(LA)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의 다른쪽 끝단은 패드 영역(PA)에서 제2 더미 패드(DPb)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에서 기판(3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부와 오목부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드 라인(DPLb)도 한쪽 끝단은 링크 영역(LA)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의 다른쪽 끝단은 패드 영역(PA)에서 제1 더미 패드(DP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에서 기판(3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부와 오목부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And, referring to FIG. 14a,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link area (LA).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mmy pad (DPb) in the pad area (PA). And, in the bending area (BA), the substrate (310) may have a pattern of protrusions and recess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ending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DPLb)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in the link area (LA).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ummy pad (DPa) in the pad area (PA). And, in the bending area (BA), the substrate (310) may have a pattern of protrusions and recess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bending direction.
도 14b를 참조하면,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의 한쪽 끝단은 패드 영역(PA)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2)과 연결될 수 있다. 제2 더미 패드 라인(DPLb)의 다른쪽 끝단도 패드 영역(PA)에서 제2 더미 패드(DPb)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드 라인(DPLb)도 한쪽 끝단은 패드 영역(PA)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VSL1)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더미 패드 라인(DPLa)의 다른쪽 끝단도 패드 영역(PA)에서 제1 더미 패드(DPa)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벤딩 영역(BA)에서 기판(310)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부와 오목부의 패턴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14b,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VSL2) in the pad area (PA).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DPLb)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mmy pad (DPb) in the pad area (PA). 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DPLb)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VSL1) in the pad area (PA).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DPLa) may also be connected to the first dummy pad (DPa) in the pad area (PA). In addition, the substrate (310) may have a pattern of protrusions and recesses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it is bent in the bending area (BA).
저항값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2개의 패드 단자가 필요하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예를 들어, 베젤 영역(ZA)의 좌측에 가해지는 응력(Stress)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1 더미 패드(DPa)및 제2a 전원 공급 패드(VSPa)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패드 단자를 배치하지 않고, 제2a 전원 공급 패드(VSPa)를 하나의 단자로 이용함으로써, 베젤 영역(ZA)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그리고, 베젤 영역(ZA)의 우측에 가해지는 응력(stress)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제2 더미 패드(DPb) 및 제2b 전원 공급 패드(VSPb)를 이용하여 저항값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별도의 패드 단자를 배치하지 않고, 제2b 전원 공급 패드(VSPb)를 하나의 단자로 이용함으로써, 베젤 영역(ZA)의 면적을 줄일 수 있다. In order to measure a resistance value, at least two pad terminals are required. The display devic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measure the resistance value using the first dummy pad (DPa) and the seconda power supply pad (VSPa), for example, in order to measure the stress applied to the left side of the bezel area (ZA). In this way, by using the seconda power supply pad (VSPa) as one terminal without arranging a separate pad terminal, the area of the bezel area (ZA) can be reduced. In addition, in order to measure the stress applied to the right side of the bezel area (ZA), the resistance value can be measured using the second dummy pad (DPb) and the secondb power supply pad (VSPb). In this way, by using the secondb power supply pad (VSPb) as one terminal without arranging a separate pad terminal, the area of the bezel area (ZA) can be reduced.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can be described as follows.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베젤 영역은 패드 영역, 표시 영역 및 패드 영역의 사이에 배치된 링크 영역, 및 패드 영역과 링크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베젤 영역의 패드 영역에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데이터 패드, 데이터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전원 공급 패드, 및 제2 전원 공급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더미 패드,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데이터 패드와 연결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 베젤 영역에서 데이터 링크 배선의 양측에 배치되며 제2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는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 및 베젤 영역에서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며 더미 패드와 연결되는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may include a display area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bezel area includes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pad area, a link area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pad area, and a bending area dispos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link area, a data pad dispos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pad area of the bezel area, second power supply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pad, and dummy pad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 data link wiring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ata pad, a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link wiring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nd a dummy pad lin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ummy pad. In addition, one end of the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 영역에서 상기 데이터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전원 공급 패드 및 게이트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ad area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ower supply pad and a gate pad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ata pa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전원 공급 패드는 고전위 전압인 제1 전원(Vdd)를 공급받을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power supply pad can be supplied with a first power supply (Vdd) that is a high potential voltag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원 공급 패드는 저전위 전압인 제2 전원(Vss)를 공급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power supply pad can be suppli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Vss) that is a low potential voltag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전원 공급 패드는 데이터 패드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2a 전원 공급 패드와 데이터 패드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b 전원 공급 패드를 포함하며,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은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b 전원 공급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은 제2a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고,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은 제2b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second power supply pad may include a 2a power supply pad disposed on a first side of the data pad and a 2b power supply pad disposed on a second side of the data pad, and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may include a 2a link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a firs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and a 2b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a second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In addition, the 2a link power supply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a power supply pad, and the 2b link power supply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b power supply pa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더미 패드는 제2a 전원 공급 패드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와 제2b 전원 공급 패드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를 포함하며, 더미 패드 라인은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 라인과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1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dummy pad may include a first dummy pad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2a power supply pad and a second dummy pad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2b power supply pad, and the dummy pad line may include a first dummy pad line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2a link power supply line and a second dummy pad line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2b link power supply line. Then,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dummy pa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a link power supply line,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b link power supply lin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링크 영역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링크 영역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reg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reg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패드 영역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패드 영역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area,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area.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은 베젤 영역에서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오목한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have a protrusion portion and a concave recess portion that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in the bezel area.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은 베젤 영역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 및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동일한 패턴을 가질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have the same pattern as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bezel area.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패드 영역에서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링크 영역에서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region,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reg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복수의 데이터 배선 및 복수의 데이터 배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 및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고, 베젤 영역은 패드 영역, 패드 영역과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벤딩 영역, 및 벤딩 영역 및 표시 영역 사이에 배치된 링크 영역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기판,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변에 배치되는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제2 변에 배치되는 제2b 전원 공급 라인, 및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변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 라인과 제2 변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제2-1 패턴 및 제2-2 패턴 중 적어도 하나는 제2 방향과 수직한 제1 방향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와 제1 방향으로 오목한 제2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may include a displa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wires transmitting data signals and a plurality of pixe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ata wires,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bezel area may include a flexible substrate including a pad area, a bending area arrang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display area, and a link area arranged between the bending area and the display area,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bezel area and each connected to the data wires, a seconda power supply line arranged in the bezel area and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a secondb power supply line arranged on the second side, and a first dummy pad line arranged in the bezel area and arranged on the firs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and a second dummy pad line arranged on the second side. In addition,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a power supply line, and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be connected to the 2b power supply line. According to another feature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t least one of the 2-1 pattern and the 2-2 pattern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protruding in a first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econd direction and a second concave portion recessed in the first direct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은 벤딩 영역에서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와 오목한 오목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a concave recess that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in the bending region.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패드 영역에서 연결되고,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링크 영역에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a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area, and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b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area.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 영역에 배치되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더미 패드 및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더미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ad area may include a first dummy pa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a second dummy pa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본 명세서의 실시예예 따르면,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과 연결되며 패드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고, 제1 더미 패드는 데이터 패드의 제1 변에 배치되고, 제2 더미 패드는 데이터 패드의 제2 변에 배치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data pad is included that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and is arranged in a central portion of a pad area, and a first dummy pad can be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data pad, and a second dummy pad can be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data pad.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영역에서 데이터 패드와 제1 더미 패드 사이에 배치되며,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제2a 전원 공급 패드, 및 패드영역에서 데이터 패드와 제2 더미 패드 사이에 배치되며,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제2b 전원 공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ad region may include a seconda power supply pad disposed between the data pad and the first dummy pad and connected to the seconda power supply line, and a secondb power supply pad disposed between the data pad and the second dummy pad in the pad region and connected to the secondb power supply line.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따르면, 패드 영역에서 제2a 전원 공급 패드와 데이터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a 전원 공급 패드, 및 패드 영역에서 제2b 전원 공급 패드와 데이터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b 전원 공급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1a 전원 공급 패드 및 제1b 전원 공급 패드는 고전위 전압인 제1 전원(Vdd)를 공급받고, 제2a 전원 공급 패드 및 제2b 전원 공급 패드는 저전위 전압인 제2 전원(Vss)를 공급받을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 first power supply pad may be disposed between a second power supply pad and a data pad in a pad region, and a first power supply pad may be disposed between a second power supply pad and a data pad in the pad region. In addition, the first power supply pad and the first power supply pad may be supplied with a first power supply (Vdd) that is a high-potential voltag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nd the second power supply pad may be suppli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Vss) that is a low-potential voltage.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명세서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명세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명세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명세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is specifica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is specification.
100, 500, 600, 700, 900, 800, 1000, 1100: 표시 장치
110: 플렉서블 기판
111: 게이트 절연층
112: 제1 평탄화층
113, 813, 913: 제2 평탄화층
114: 뱅크
115: 마이크로 코팅층
120: COF
121: 베이스 필름
122: 구동 IC
130: 인쇄 회로 기판
131: 측정 패드
132: 측정 배선
140, 540, 640, 740: 복수의 벤딩 감지 패턴
141, 541, 641, 741: 제1 벤딩 감지 패턴
142, 542, 642, 742: 제2 벤딩 감지 패턴
143, 543, 643, 743: 제3 벤딩 감지 패턴
150, 650, 750, 1050: 벤딩 감지 배선
160: 박막 트랜지스터
161: 액티브층
162: 게이트 전극
163: 소스 전극
164: 드레인 전극
170: 연결 전극
180: 유기 발광 소자
181: 애노드
182: 유기 발광층
183: 캐소드
171: 편광판
172: 제1 백 플레이트
173: 제2 백 플레이트
174: 지지 부재
744: 제4 벤딩 감지 패턴
745: 제5 벤딩 감지 패턴
813a, 913a: 제1 평탄화 패턴
813b, 913b: 제2 평탄화 패턴
913c: 제3 평탄화 패턴
1090: 온도에 대한 저항 감지 패턴
ZA: 베젤 영역
AA: 표시 영역
PA: 패드 영역
BA: 벤딩 영역
LA: 링크 영역
P: 패드
MP: 모니터링 패드
PP: 픽셀 패드
250: 온도 모니터링 패턴
240: 벤딩 모니터링 패턴
310: 연결 배선
DLL: 데이터 링크 배선
PX: 화소
DL: 데이터 배선100, 500, 600, 700, 900, 800, 1000, 1100: Display Device
110: Flexible substrate
111: Gate insulation layer
112: 1st leveling layer
113, 813, 913: 2nd flattening layer
114: Bank
115: Micro coating layer
120: COF
121: Base Film
122: Drive IC
130: Printed Circuit Board
131: Measuring Pad
132: Measurement Wiring
140, 540, 640, 740: Multiple bend detection patterns
141, 541, 641, 741: First bend detection pattern
142, 542, 642, 742: Second bend detection pattern
143, 543, 643, 743: Third bend detection pattern
150, 650, 750, 1050: Bending detection wiring
160: Thin film transistor
161: Active layer
162: Gate electrode
163: Source electrode
164: Drain electrode
170: Connection electrode
180: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181: Anode
182: Organic light-emitting layer
183: Cathode
171: Polarizing plate
172: 1st back plate
173: 2nd back plate
174: Absence of support
744: 4th bend detection pattern
745: Fifth bend detection pattern
813a, 913a: First flattening pattern
813b, 913b: Second Flattening Pattern
913c: Third Flattening Pattern
1090: Resistance detection pattern for temperature
ZA: Bezel Area
AA: Display Area
PA: Pad area
BA: Bending area
LA: Link Area
P: Pad
MP: Monitoring Pad
PP: Pixel Pad
250: Temperature monitoring pattern
240: Bending monitoring pattern
310: Connection Wiring
DLL: Data Link Wiring
PX: Pixel
DL: Data Wiring
Claims (18)
상기 베젤 영역의 상기 패드 영역에서 중앙부에 배치되는 데이터 패드, 상기 데이터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2 전원 공급 패드, 및 상기 제2 전원 공급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더미 패드;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며, 상기 데이터 패드와 연결되는 데이터 링크 배선;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에서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2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는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에서 상기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양측에 배치되며 상기 더미 패드와 연결되는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상기 더미 패드와 직접 접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상기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직접 접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더미 패드 라인은 상기 베젤 영역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오목한 복수의 오목부를 가지는, 표시 장치.A flexible substrate comprising a display area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the bezel area including a pad area, a link area disposed between the display area and the pad area, and a bending area dispos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link area;
A data pad disposed in the center of the pad area of the bezel area, a second power supply pa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pad, and a dummy pad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power supply pad;
Data link wiring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dispos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data pad;
A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data link wiring in the bezel area, and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nd
A dummy pad line is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and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bezel area and is connected to the dummy pad.
One end of the above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above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above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make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above dummy pad line has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recesses that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in the bezel area.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데이터 패드의 양측에 배치되는 제1 전원 공급 패드 및 게이트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display device further comprising a first power supply pad and a gate pad arranged on both sides of the data pad in the pad area.
상기 제1 전원 공급 패드는 고전위 전압인 제1 전원(Vdd)를 공급받는, 표시 장치.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first power supply pad is a display device, which is supplied with a first power supply (Vdd) which is a high potential voltage.
상기 제2 전원 공급 패드는 저전위 전압인 제2 전원(Vss)를 공급받는, 표시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power supply pad is a display device suppli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Vss) which is a low-potential voltage.
상기 제2 전원 공급 패드는 상기 데이터 패드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2a 전원 공급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b 전원 공급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은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은 상기 제2a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은 상기 제2b 전원 공급 패드와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paragraph 4,
The second power supply pad includes a seconda power supply pad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data pad and a secondb power supply pad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data pad.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ncludes a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and a second b link power supply line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data link wiring,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pad, and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ower supply pad.
상기 더미 패드는 상기 제2a 전원 공급 패드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와 상기 제2b 전원 공급 패드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더미 패드 라인은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제1 측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 라인과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의 제2 측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1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며,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2 더미 패드와 연결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은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paragraph 5,
The above dummy pad includes a first dummy pad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seconda power supply pad and a second dummy pad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secondb power supply pad.
The above dummy pad line includes a first dummy pad line arranged on a first side of the 2a link power supply line and a second dummy pad line arranged on a second side of the 2b link power supply line,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first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A display device,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dummy pa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타단은 상기 링크 영역에서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타단은 상기 링크 영역에서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Article 6,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area,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area.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타단은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타단은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Article 6,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area,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area.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 및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은 상기 베젤 영역에서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 및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동일한 패턴을 가지는, 표시 장치.In Article 7,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have the same pattern as the seconda link power supply line and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bezel area.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타단은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제2a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타단은 상기 링크 영역에서 상기 제2b 링크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Article 6,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 a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pad area,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b link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area.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상기 데이터 배선과 각각 연결된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의 제1 변에 배치되는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제2 변에 배치되는 제2b 전원 공급 라인;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 상에 배치되고, 상기 베젤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의 상기 제1 변에 배치되는 제1 더미 패드 라인과 상기 제2 변에 배치되는 제2 더미 패드 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직접 접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일단은 상기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직접 접촉하도록 연결되고,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 및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은 상기 벤딩 영역에서 상기 플렉서블 기판이 벤딩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돌출부와 오목한 복수의 오목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A flexible substrate comprising a display area including a plurality of data wires transmitting data signals and a plurality of pixel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ata wires, and a bezel area surrounding the display area, wherein the bezel area includes a pad area, a bending area arranged between the pad area and the display area, and a link area arranged between the bending area and the display area;
A plurality of data link wires arranged on the flexible substrate, position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ezel area, and each connected to the data wire;
A second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disposed in the bezel area,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and a second power supply line disposed on the second side; and
A first dummy pad line is disposed on the flexible substrate, is disposed in the bezel area, and includes a first dummy pad line disposed on the first side of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and a second dummy pad line disposed on the second side.
One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a power supply line, and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second b power supply line.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the second dummy pad line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a plurality of concave recesses that protrude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in which the flexible substrate is bent in the bending area.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패드 영역에서 연결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상기 일단은 상기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상기 링크 영역에서 연결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2,
The above one end of the above first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above 2a power supply line and the above pad area,
A display device, wherein one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is connected to the secondb power supply line in the link area.
상기 패드 영역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1 더미 패드 및 상기 제2 더미 패드 라인의 타단과 연결되는 제2 더미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4,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dummy pad arranged in the pad area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dummy pad line; and a second dummy pa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second dummy pad line.
상기 복수의 데이터 링크 배선과 연결되며 상기 패드 영역의 중앙부에 배치되는 데이터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더미 패드는 상기 데이터 패드의 제1 변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더미 패드는 상기 데이터 패드의 제2 변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In Article 15,
A data pad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data link wirings and positioned in the center of the pad area,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dummy pad is placed on a first side of the data pad, and the second dummy pad is placed on a second side of the data pad.
상기 패드영역에서 상기 데이터 패드와 상기 제1 더미 패드 사이에 배치되며, 제2a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제2a 전원 공급 패드; 및
상기 패드영역에서 상기 데이터 패드와 상기 제2 더미 패드 사이에 배치되며, 제2b 전원 공급 라인과 연결되는 제2b 전원 공급 패드를 포함하는, 표시장치.In Article 16,
A second power supply pad,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data pad and the first dummy pad in the pad area and is connected to a second power supply line; and
A display device comprising a secondb power supply pad, which is positioned between the data pad and the second dummy pad in the pad area and is connected to a secondb power supply line.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제2a 전원 공급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a 전원 공급 패드; 및
상기 패드 영역에서 상기 제2b 전원 공급 패드와 상기 데이터 패드 사이에 배치되는 제1b 전원 공급 패드를 포함하며,
상기 제1a 전원 공급 패드 및 상기 제1b 전원 공급 패드는 고전위 전압인 제1 전원(Vdd)를 공급받고, 상기 제2a 전원 공급 패드 및 상기 제2b 전원 공급 패드는 저전위 전압인 제2 전원(Vss)를 공급받는, 표시장치.In Article 17,
A first a power supply pad disposed between the second a power supply pad and the data pad in the pad area; and
In the above pad area, a first b power supply pad is disposed between the second b power supply pad and the data pad,
A display device, wherein the first power supply pad and the first power supply pad are supplied with a first power supply (Vdd) that is a high-potential voltage, and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nd the second power supply pad are supplied with a second power supply (Vss) that is a low-potential volta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063A KR102745646B1 (en) | 2018-11-15 | 2018-11-15 | Display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41063A KR102745646B1 (en) | 2018-11-15 | 2018-11-15 | Display apparatu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6847A KR20200056847A (en) | 2020-05-25 |
KR102745646B1 true KR102745646B1 (en) | 2024-12-20 |
Family
ID=709146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41063A Active KR102745646B1 (en) | 2018-11-15 | 2018-11-15 | Display apparatu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564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2041022A1 (en) * | 2020-08-27 | 2022-03-0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KR20220063359A (en) * | 2020-11-10 | 2022-05-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2810772B1 (en) | 2020-12-24 | 2025-05-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CN114823716B (en) * | 2021-01-29 | 2024-08-13 |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 A driving backplane, a display panel and a display device |
KR20250085861A (en) * | 2023-12-05 | 2025-06-13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0619B1 (en) * | 2004-12-29 | 2006-08-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
KR100892964B1 (en) * | 2007-03-08 | 2009-04-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EL display |
KR102026927B1 (en) * | 2012-12-24 | 2019-10-0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Including Driving Unit |
KR102394723B1 (en) * | 2015-09-30 | 2022-05-0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 screen panel and display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2732854B1 (en) * | 2016-07-13 | 2024-11-21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709760B1 (en) * | 2016-12-23 | 2024-09-27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device |
KR102750445B1 (en) * | 2016-12-30 | 2025-01-03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Touch-integrated display device |
-
2018
- 2018-11-15 KR KR1020180141063A patent/KR10274564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56847A (en) | 2020-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427258B (en) | Display device | |
KR102745646B1 (en) | Display apparatus | |
US12238996B2 (en) | Display device including a flexible substrate | |
CN112838106B (en) |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 |
KR102601724B1 (en) | Display device | |
US11243629B2 (en) | Touch display device | |
US12079434B2 (en) | Touch sensing un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29706B1 (en) | Display device | |
CN109378332B (en) | Flexibl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 |
CN110718577A (en) | Display module and display device | |
US9229570B2 (en) | Display device | |
KR102648626B1 (en) | Display device comprisng bending sensor | |
TWI773707B (en) | Display device | |
KR102605378B1 (en) | Display apparatus with touch sensor | |
US11714504B2 (en) | Display device | |
US12182353B2 (en) |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a touch functional layer | |
KR20180004881A (en) | Printed circuit board packag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04814B1 (en)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 |
KR20220082123A (en) | Display device | |
KR102471919B1 (en) | Display device | |
US12105911B2 (en) | Touch display device and touch driving method | |
US20220140060A1 (en) | Electroluminescence display device | |
KR102403459B1 (en) | Display device | |
KR102568148B1 (en) | Display apparatus | |
KR100864885B1 (en) | Array substrate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1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93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1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