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5069B1 -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5069B1
KR102745069B1 KR1020210037488A KR20210037488A KR102745069B1 KR 102745069 B1 KR102745069 B1 KR 102745069B1 KR 1020210037488 A KR1020210037488 A KR 1020210037488A KR 20210037488 A KR20210037488 A KR 20210037488A KR 102745069 B1 KR102745069 B1 KR 10274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import
information
logistics
compan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7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32324A (ko
Inventor
신민호
김효은
신영우
Original Assignee
신민호
신영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민호, 신영우 filed Critical 신민호
Priority to KR1020210037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50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32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2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506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06Q10/0875Itemisation or classification of parts, supplies or services, e.g. bill of mater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4Calendaring for a resour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3Workflow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7Strategic management or analysis, e.g. setting a goal or target of an organisation; Planning actions based on goals; Analysis or evaluation of effectiveness of go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8Historical dat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업의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포워딩 회사, 보세창고, 운송회사, 관세법인, 내륙운송 회사 등의 다자간에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시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은, 기업의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포워딩회사 단말기, 보세창고 단말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관세법인 단말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관세청의 적하목록 시스템(MFCS) 또는 수입화물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서비스에 회원 가입된 단말기들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입화물 및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입 화물 또는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AWB) 번호를 입력받아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처리를 통제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된 수입 물류 정보를 SMS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전과정을 통제하는 수입물류 공유장치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Multi-lateral import logistics information sharing system and method using mobile}
본 발명은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자세하게는 기업의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포워딩 회사, 보세창고, 운송회사, 관세법인, 내륙운송 회사 등의 다자간에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 있는 수입 기업들이 해외에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 등을 구매하여 수입하는 경우, 수입 기업은 수입 화물이 수입국에 입항한 후 여러 단계를 거쳐 수입화물을 최종적으로 인수하게 된다.
즉, 수입 화물이 입항하기 전에 포워딩 회사나 국제 운송 회사들은 아래와 같이 처리한다.
(1) 수입 화물에 대한 당사자, 품명 및 수량, 국제운송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세청 적하목록 시스템에 제출한다.
(2) 적하목록이 제출된 화물이 항구나 공항에 입항하면 국제 운송회사는 입항보고를 한다.
(3) 운송수단인 항공기와 선박으로부터 화물의 하역 작업을 한다.
(4) 양륙 하역 작업을 완료한 화물은 지정된 보세구역에서 보세창고 등으로 보세 운송하여 입고한다.
(5) 관세청은 수입화물에 대하여 화물 검사(은닉화물 등 확인 필요시)가 필요한 경우 관리대상 화물로 지정하여 검사한다. 이는 수입신고 물품에 대하여 신고내용과 물품이 일치하는지 확인하는 검사와는 별개의 검사이다.
(6) 관세법인은 수입기업으로부터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서류,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수입요건 구비서류 등을 제시받아 수입신고서, 가격신고서 및 납세신고서를 전산으로 작성하여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신고서를 접수한다.
(7) 관세청은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된 신고서에 대하여 수입 신고내용과 물품이 일치하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경우 검사를 실시한다.
(8) 수입신고 물품에 대한 검사를 실시한 관세청은 수입신고 내용과 신고물품이 일치하는지 확인한 후 이상이 없는 경우 신고를 수리한다.
(9) 관세법인은 수입 신고필증을 보세창고에 보내어 수입물품에 대한 출고를 지시한다.
(10) 포워딩 회사는 수입물품을 수입기업까지 내륙 운송할 운송회사(또는 차량)를 수배하여 운송을 의뢰한다.
(11) 내륙운송을 의뢰받은 회사 또는 차량은 내륙 운송을 하여 수입기업에 수입화물을 인도하고, 인수 담당자로부터 인수증에 서명을 받은 후 내륙운송을 의뢰받은 회사에 제출함으로써 모든 절차가 종료된다.
이러한 절차에 관계되는 포워딩 회사, 보세창고, 관세법인, 내륙운송 회사, 내륙운송 차량, 수입기업 구매담당 및 화물 인수담당은 지금까지 오프라인으로 각 당사자 회사에 유선으로 전화를 걸어 수입화물에 대한 물류정보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공유하면서 업무를 처리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오프라인 방식의 업무처리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담당자간 유선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만 이용이 가능하여 담당자가 전화를 받지 않는 경우 파악 자체가 불가능하였다.
(2) 유선전화 통화가 이루어지더라도 수입화물 물류정보에 변동이 생기는 때에만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늘 적시통보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3) 업데이트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유선전화, 이메일, 네이트온, 카카오톡 등을 통해 담당자가 일일이 입력하여 정보를 전달하는 경우에만 업데이트가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수입화물 정보공유를 위하여 담당자들이 단순업무를 위해 귀중한 시간, 비용 및 인력을 낭비하는 문제가 있었다.
KR 10-2018-0061782 A (공개일자: 2018. 06. 08)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기업의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포워딩 회사, 보세창고, 운송회사, 관세법인, 내륙운송 회사 등의 다자간에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은, 국제운송, 적하목록 제출, 창고배정, 내륙 운송업체 지정을 포함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포워딩 회사 단말기; 수입화물 보관업무 및 수입신고 수리 후 출고를 담당하는 보세창고 단말기; 보세구역 간 운송업무를 담당하는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관세청에 수입물품과 수입가격에 대한 신고, 납세를 위한 신고 업무를 처리하는 관세법인 단말기; 수입신고 수리 후 보세창고로부터 출고한 수입화물을 수입기업(화주)에게 국내 배송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관세청의 적하목록 시스템(MFCS) 또는 수입화물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서비스에 회원 가입된 상기 포워딩 회사 단말기,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수입화물 및 상기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및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 번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 번호를 입력받아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처리를 통제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된 수입 물류 정보를 SMS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전과정을 통제하는 수입물류 공유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또는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는, 해외에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을 포함하는 물품 또는 화물을 구매하여 수입하는 경우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수입국에 입항하기 전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당사자, 품명 및 수량, 국제운송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시스템에 제출하고, 적하목록이 제출된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이 항구나 공항에 입항되면 입항 보고를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제출할 수 있다.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는 양륙 하역작업이 완료된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지정된 보세 구역에서 보세 운송하여 보세창고에 입고한 입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는 항공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화물 또는 물품에 대해, 수입기업으로부터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서류,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수입요건 구비서류를 제공받아 수입신고서, 가격신고서 및 납세신고서를 생성하고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신고서를 접수할 수 있다.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는 상기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입신고필증 및 수입물품 출고 지시를 수신하여, 이에 근거해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의 출고를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는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수입기업까지 내륙 운송할 운송회사를 지정하여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을 의뢰할 수 있다.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을 통하여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관리하는 회사명, 담당자, 휴대전화를 등록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체크하여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내륙운송회사에 관련된 차량기사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성명, 차량번호, 차량톤수, 차종, 휴대전화를 입력하여 회원 등록하고, 선하증권(B/L) 번호를 조회하고 상차완료 등록을 체크하고 차량출발시간과 도착예상시간을 입력하면, 선하증권(B/L) 번호, 차량배정 정보, 상차 완료, 배송 출발, 도착 정보, 운전기사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인도받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여 선하증권(B/L) 번호에 인수자를 입력하고 인수증에 서명하면 인수증을 상기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선하증권(B/L) 번호, 배송완료, 인수자, 인수증 확인하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또는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로 발송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방법은, 기업의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포워딩회사 단말기, 보세창고 단말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관세법인 단말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를 포함하는 다자 간에 통신하는 수입물류 공유장치의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방법으로서, (a)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또는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가,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수입국에 입항하기 전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당사자, 품명 및 수량, 국제운송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세청 적하목록 시스템에 제출하고, 적하목록이 제출된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이 항구나 공항에 입항되면 입항 보고를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제출하는 단계; (b)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가, 양륙 하역작업이 완료된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지정된 보세 구역에서 보세 운송하여 보세창고에 입고한 입고 정보를 기록하는 단계; (c)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가, 항공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화물 또는 물품에 대해, 수입기업으로부터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서류,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수입요건 구비서류를 제공받아 수입신고서, 가격신고서 및 납세신고서를 생성하고 상기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신고서를 접수하는 단계; (d)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가, 상기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입신고필증 및 수입물품 출고 지시를 수신하는 단계; 및 (e)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가,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수입기업까지 내륙 운송할 운송회사를 지정하여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가,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 번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 번호를 입력받아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처리를 통제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된 수입 물류 정보를 SMS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전과정을 통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을 통하여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관리하는 회사명, 담당자, 휴대전화를 등록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체크하여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내륙운송회사에 관련된 차량기사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성명, 차량번호, 차량톤수, 차종, 휴대전화를 입력하여 회원 등록하고, 선하증권(B/L) 번호를 조회하고 상차완료 등록을 체크하고 차량출발시간과 도착예상시간을 입력하면, 선하증권(B/L) 번호, 차량배정 정보, 상차 완료, 배송 출발, 도착 정보, 운전기사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f) 단계에서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는,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인도받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여 선하증권(B/L) 번호에 인수자를 입력하고 인수증에 서명하면 인수증을 상기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선하증권(B/L) 번호, 배송완료, 인수자, 인수증 확인하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 또는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로 발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의 수입업무와 관련하여 국제운송, 적하목록 제출, 창고배정, 내륙운송업체 지정 등 업무를 담당하는 포워딩회사, 수입화물 보관업무 및 수입신고 수리 후 출고를 담당하는 보세창고, 보세구역간 운송업무를 담당하는 운송회사, 관세청에 수입물품과 수입가격에 대한 신고, 납세를 위한 신고 등 업무를 처리하는 관세법인, 수입신고 수리 후 보세창고로부터 출고한 수입화물을 수입기업(화주)에게 국내 배송하는 내륙운송회사 간에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함으로써, 관련 기업의 담당자들은 단순업무를 위해 낭비되는 귀중한 시간, 비용과 인력을 절감할 수 있다.
따라서 수입화물 물류정보에 변동이 생기는 때에도 업데이트가 가능하여 늘 적시통보가 가능하고, 업데이트 사항이 발생하더라도 유선전화, 이메일, 네이트온, 카카오톡 등을 통해 담당자가 일일이 입력하지 않아도 정보를 전달할 수 있어 언제든지 업데이트가 가능하며, 수입화물 정보공유를 위하여 담당자들이 단순업무를 위해 귀중한 시간, 비용과 인력을 낭비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항만 물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서버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방법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법인 가입 여부를 검색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당자 가입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화면을 예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입물류 공유장치에서 각 사용자 단말기로 수입물류 정보를 공유하는 메시지를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입물류 공유장치가 운송기사의 단말기에서 작성된 운송 정보를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입물류 공유장치가 수입물품 인수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인수증을 관련 회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100)은,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보세창고 단말기(120),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관세법인 단말기(140),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0) 및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일부는 유선 네트워크, 다른 일부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유선 네트워크 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혼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포워딩 회사(110)는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된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것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관세법인(140)은 유선 네트워크에 연결되었으나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도 1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관세청 적하목록 시스템(MFCS) 및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는 포워딩 회사에 설치된 컴퓨터 장치 등을 포함하는 단말기로서, 국제운송, 적하목록 제출, 창고배정, 내륙 운송업체 지정을 포함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여기서,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는 간단히 '포워딩 회사(110)'로 표시할 수 있다.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보세 창고에 설치되거나 보세 창고를 관리하는 단말기로서, 수입화물 보관업무 및 수입신고 수리 후 출고를 담당한다. 여기서,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간단히 '보세 창고(120)'로 표시할 수 있다.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는 보세운송회사에 설치된 단말기로서, 보세구역 간 운송업무를 담당한다.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는 컴퓨터 장치 등으로 구현되고, 간단히 '보세운송회사(130)'로 표시할 수 있다.
관세법인 단말기(140)는 관세 법인에 설치된 단말기로서, 관세청에 수입물품과 수입가격에 대한 신고, 납세를 위한 신고 업무를 처리한다. 관세법인 단말기(140)는 예컨대, 컴퓨터 장치 등으로 구현되고, 간단히 '관세법인(140)'으로 표시할 수 있다.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는 내륙운송회사에 설치된 단말기로서, 수입신고 수리 후 보세창고로부터 출고한 수입화물을 수입기업(화주)에게 국내 배송하는 업무를 담당한다.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는 컴퓨터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간단히 '내륙운송회사(150)'로 표시할 수 있다.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0)는 관세청 적하목록 시스템(MFCS) 또는 수입화물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서비스에 회원 가입된 포워딩 회사 단말기, 보세창고 단말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로부터 주기적으로 수입화물 및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한다.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포워딩회사 단말기, 보세창고 단말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수입 화물 또는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 번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 번호를 입력받아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처리를 통제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된 수입 물류 정보를 SMS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전과정을 통제할 수 있다.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또는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는, 해외에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을 포함하는 물품 또는 화물을 구매하여 수입하는 경우,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수입국에 입항하기 전에,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에 대한 당사자, 품명 및 수량, 국제운송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세청 적하목록 시스템에 제출하고, 적하목록이 제출된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항구나 공항에 입항되면 입항 보고를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제출할 수 있다.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양륙 하역작업이 완료된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을 지정된 보세 구역에서 보세 운송하여 보세창고에 입고한 입고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
관세법인 단말기(140)는 항공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화물 또는 물품에 대해, 수입기업으로부터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서류,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수입요건 구비서류를 제공받아 수입신고서, 가격신고서 및 납세신고서를 생성하고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신고서를 접수할 수 있다.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입신고필증 및 수입물품 출고 지시를 수신하여, 이에 근거해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의 출고를 실행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는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을 수입기업까지 내륙 운송할 운송회사를 지정하여 내륙운송회사 단말기에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의 운송을 의뢰할 수 있다.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포워딩회사 단말기, 보세창고 단말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관세법인 단말기 및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을 통하여 수입 화물 또는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관리하는 회사명, 담당자, 휴대전화를 등록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체크하여 수입 화물 또는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내륙운송회사에 관련된 차량기사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성명, 차량번호, 차량톤수, 차종, 휴대전화를 입력하여 회원 등록하고, 선하증권(B/L) 번호를 조회하고 상차완료 등록을 체크하고 차량출발시간과 도착예상시간을 입력하면, 선하증권(B/L) 번호, 차량배정 정보, 상차 완료, 배송 출발, 도착 정보, 운전기사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을 인도받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여 선하증권(B/L) 번호에 인수자를 입력하고 인수증에 서명하면 인수증을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선하증권(B/L) 번호, 배송완료, 인수자, 인수증 확인하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포워딩회사 단말기 또는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로 발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항만 물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은, 협업 기능부(203), 저장부(230) 및 디스패처부(235)를 구비하는 물류 서버(200)를 포함한다.
협업 기능부(203)는 각 물류 주체(예를 들어, 운항 선사(245), Joint 선사(250), SOC 선사(255) 등)의 담당자와 실질적인 물류 정보 교류를 담당하는 장치로서, 통신망(예를 들어, 인터넷 망 또는 공중 전용망)을 통하여 수신되는 물류 정보를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하거나,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0)에 저장된 물류 정보를 미리 지정된 조건에 따라 각 담당자에 의한 조회, 입력, 수정, 삭제를 가능하게 하는 수단이다.
협업 기능부(203)는 통신부(205), 어플리케이션부(210), 맵핑부(215), 변환부(220), 데이터 발송부(225)를 포함한다. 협업 기능부(203)의 각 구성 요소의 일부는 소프트웨어 형태로 구현되어 설치될 수 있고, 복수의 구성 요소가 하나의 구성 요소 형태로 통합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협업 기능부(203)는 복수의 서버 장치의 조합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205)는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가 웹 브라우저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물류 서버(2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담당자에 대한 인증 기능(예를 들어, 시스템 접속 허여 여부를 판단하는 게이트(Gate) 기능)을 수행하며, 각 담당자의 단말기(245, 250 등)로부터 수신된 요청을 어플리케이션부(210) 등으로 전달하거나 어플리케이션부(210) 등에 의한 처리 결과를 당해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한다.
어플리케이션부(210)는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각 물류 주체 담당자들의 접속 증가에 따른 서버 부하를 분산시켜 최적의 서비스 수행 속도를 유지하고,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스크립트 언어를 구동하여 저장부(230)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제어(예를 들어, 저장부(230) 내에서 임의의 데이터를 추출, 삭제하거나 저장부(230) 내에 임의의 데이터를 입력, 저장)하며, 디스패처부(235)를 호출하여 필요한 서버 자원을 이용하도록 한다. 어플리케이션부(210)에 적용될 수 있는 스크립트 언어로는 JSP(Java Server Page), EJB(Enterprise Java Bean),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등이 있다.
맵핑부(215)는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자 문서 교환(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 방식으로 전자 문서를 수신하거나 역의 경우, 당해 전자 문서를 데이터화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거나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자문서화한다. 즉, 전자문서를 전담하여 처리하는 수단으로 전자 문서를 효율적으로 분석, 생성한다.
변환부(220)는 임의의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전자 문서가 표준 EDI 문서가 아닌 사용자 정의 서식 형태(User Defined Format)로 수신되거나 전송을 요청한 경우 저장부(230)에 저장된 다양한 문서 구조 형식을 이용하여 맵핑부(215)와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또는 담당자 단말기)가 인지할 수 있는 표준 EDI 문서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변환부(220)는 맵핑부(215)와 함께 백엔드 서비스를 관장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발송부(225)는 통신망을 통해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와 또는 담당자 간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수단이다. 데이터 발송부(225)는 예를 들어 인터넷으로 연결된 물류 서버(200)와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 간에 전자 우편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SMTP 프로토콜 지원 및 메일 서비스를 수행하는 전자 우편 처리부(도시되지 않음)와, 각 담당자가 거래 상대방(TP : Trading Partner)에게 임의의 문서를 팩스 형태로 전송하고, 팩스의 전송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팩스 발송부(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팩스 발송부는 임의의 담당자의 팩스 발송 요청에 따라 디스패처부(235)에 의해 미리 지정된 형태로 변환된 이미지 파일을 전송한다. 그리고, 데이터 발송부(225)는 통신부(205)의 일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저장부(230)는 회원 정보, 코드 정보(예를 들어, 표준화 코드, 물류 주체별 자사 코드), 수출입 정보, 환적 컨테이너 정보, 입출항 정보 등을 저장한다. 저장부(230)는 저장되는 정보의 유형에 따라 회원 계정 DB, 코드 DB, 수입 DB, 수출 DB, 환적 DB, 입출항 DB, 적하 목록 DB, 위험물 DB 등으로 세분화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저장부(230)가 복수의 DB로 세분화되어 구성되는 경우 각 DB에 저장되는 정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회원 계정 DB는 가입이 완료된 법인(예를 들어, 각 물류 주체) 및 개인 회원(예를 들어, 각 물류 주체 내의 담당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법인 정보로서 선사코드, 업체코드, 세관부호 등이 있고, 개인 정보로서 이름, 이메일 계정, 전화 번호 등이 있을 수 있음)를 저장한다, 임의의 물류 주체의 담당자가 물류 서버(200)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경우 저장된 개인 신상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담당자 간에 물류 정보, 담당자 정보 등의 공유를 가능케 한다.
코드 DB는 표준화 코드와 임의의 물류 주체에 상응하는 자체 코드를 저장한다. 표준화 코드가 아닌 특정 물류 주체에 대한 자체 코드를 사용하는 담당자의 경우, 거래 상대방과의 협업 또는 전자 문서의 교환시에 사전 저장된 자체 코드와 표준화 코드의 매칭 정보를 이용하여, 자체 코드 또는 표준화 코드로의 변환이 가능하도록 하여 각 담당자가 관리하는 물류 정보의 포맷을 일치시켜 줄 수 있다. 코드 DB는 컨테이너 규격 및 항구 코드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수입 DB는 국내에 입항 예정인 선박의 선박명, 호출부호, 항차 등 선적정보 및 적하항(POL; Port Of Loading), 양하항(Port Of Discharging), 최종목적지(FDP, Final Destination Port), 선적위치(Stowage Cell) 등의 양적하 및 통과화물에 대한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한다.
수출 DB는 국내에서 해외로 수출되기 위하여 선적될 컨테이너 정보 및 해외로 이동 장치될 선사 빈(EMPTY)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한다.
환적 DB는 국내에 양하된 컨테이너 중 국내로 반입되지 아니하고, 직접 해외로 반출되는 환적 컨테이너 정보, 장치장별 재고 현황 등의 컨테이너 정보를 저장한다.
입출항 DB는 컨테이너 터미널 및 일반부두의 선박 및 선적 스케줄을 선사 및 터미널로부터 EDI 문서 또는 통신망을 통한 입력 방식으로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입출항 DB는 선박 스케줄 정보, 호출 부호 정보, 입출항 정보 등을 더 저장할 수 있다.
적하 목록 DB는 선사가 수입 및/또는 수출을 위하여 세관에 신고한 선하증권(B/L; Bill of Loading), 컨테이너정보 및 하선장소 정보 등을 저장한다.
위험물 DB는 관련법규에 의거하여 지방 해운 항만청에 신고하여야 하는 수출 위험물 정보, 통과 및 환적화물 중 신고 대상 컨테이너에 대한 위험물 화물정보를 저장한다.
디스패처부(235)는 어플리케이션부(210)로부터 전달되는 명령을 전달받아 전자문서 교환 방식, 팩스, 전자 우편 등 해당 프로세스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호출하여 관련 DB의 자동 검색, 조회를 통해 부여된 서비스 역할을 분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디스패처부(235)는 어플리케이션부(210)의 일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상술한 물류 서버(200)의 기능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서버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동작 흐름도이다.
도 3에서, 순서도에 포함된 각 단계가 반드시 순서대로 진행될 필요는 없으며 현 단계에서 진행하고자 하는 업무의 종류나 시점에 따라 상이한 단계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물류 서버(200)의 동작 절차에 포함된 각 단계에 대한 구체적인 사항은 이후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물류 서버(200)의 동작 절차를 설명함에 있어, 실제적으로는 각 단계가 협업 기능부(203) 등의 각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물류 서버(200)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물류 서버(200)는, 단계 310에서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법인(예를 들어, 각 물류 주체) 또는 개인(예를 들어,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으로부터 신상 정보(예를 들어, 법인 정보로서 선사코드, 업체코드, 세관부호 등이 있고, 개인 정보로서 이름, 이메일 계정, 전화 번호 등이 있을 수 있음)를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이 과정에서 물류 서버(200)는 법인 및/또는 개인에 대해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 번호를 부여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며, 추후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 번호의 유효성 여부를 이용하여 인증을 수행한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15에서 사용자 인증이 완료된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자체 코드(예를 들어, 컨테이너 규격, 항구 코드 등)를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20에서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원시 BAYPLAN(본선적부도) 전자 문서(EDI 문서)를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당해 원시 BAYPLAN 전자문서는 당해 담당자가 해외로부터 입수한 문서로서 당해 물류 주체의 자체 코드를 부여하여 저장된 전자 문서이다. 이때, BAYPLAN 문서는 물류 주체별(예를 들어, 선사별, 터미널)로 다른 버전의 형태로 이용될 수 있다. 물류 서버(200)는 당해 원시 BAYPLAN 전자 문서를 표준 BAYPLAN 전자 문서 형태로 저장부(230)에 저장하기 위해, 맵핑부(215), 변환부(220) 등으로 작업을 지시하는 디스패처부(235)를 호출하면, 디스패처부(235)가 변환부(220)로 표준 EDI 문서 형태로 변환을 지시하고, 변환부(220)는 수신된 당해 원시 BAYPLAN 전자 문서가 표준 EDI 문서인지를 확인하여 표준 EDI 문서가 아닌 경우에는 표준 EDI 문서 형태로 변환을 수행한다. 그리고, 디스패처부(235)는 맵핑부(215)로 표준 코드로의 변환 작업을 지시하고, 맵핑부(215)는 원시 BAYPLAN 전자 문서가 자체 코드로 구성되었는지 아니면 표준화 코드에 의해 구성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자체 코드로 구성된 경우 이를 표준 코드로 매칭하여 표준 BAYPLAN 전자 문서를 생성한다. 이러한 과정에 의해 생성된 표준 BAYPLAN 전자 문서가 저장부(230)에 저장된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25에서 운항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모선(선박) 기초 정보(예를 들어, 터미널, 모선 코드, 항차, 선사 항차, MRN(Manifest Reference Number) 등)를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수신된 모선 기초 정보를 당해 운항 선사에 상응하도록 등록된 조인트(JOINT) 선사의 담당자에게 이메일(E-Mail) 및/또는 단문 메시지(SMS) 등의 형태로 통지한다. 이때, 당해 모선 기초 정보의 통지 과정은 운항 선사로부터 모선 기초 정보가 수신되면 상응하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에게 자동 전송되도록 하거나 운항 선사의 담당자가 지정한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에게만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서버(200)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SOC 선사 지정 요청을 수신하여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당해 SOC 선사의 담당자에게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즉, 단계 320을 통해 모선 기초 정보를 이메일 및/또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수신한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가 단말기를 이용하여 통신망을 통해 물류 서버(200)에 접속하여, SOC 선사를 지정하면 물류 서버(200)는 지정된 SOC 선사의 담당자에게 이메일 및/또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해당 정보를 전송한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30에서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 및/또는 SOC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컨테이너 물량 확정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컨테이너 확정 정보를 저장한다. 즉, 운항 선사의 담당자 및/또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로부터의 전송 요청에 따라 물류 서버(200)로부터 모선 정보 등을 이메일 및/또는 단문 메시지 형태로 수신한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및 SOC 선사의 담당자는 자가 물량과 SOC 물량에 대한 공동 작업을 수행한다.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및 SOC 선사의 담당자는 각각 개별 컨테이너 및 선하증권(B/L: Bill of Loading)을 이용하여 각각 선사별 확정을 하는 것이다. 확정 후, SOC 선사의 담당자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에게 확정 내용을 통지하고,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는 운항 선사의 담당자에게 이를 통지한다. 이와 같은 확정 작업이 이루어진 후에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및 SOC 선사의 담당자가 확정 컨테이너 및/또는 모선 정보에 관한 추가 정보 입력, 수정 및 삭제가 불가능하도록 제한할 수 있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35에서 운항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마감 요청에 상응하여 모선 정보를 확정하고 BAYPLAN 자료를 컨테이너 터미널 또는 일반 부두로 전송한다. 즉, 운항 선사의 담당자가 최종적으로 모선(선박)의 확정 상태(예를 들어, 터미널 등의 모선 정보)를 확인한 후, 상응하는 컨테이너 터미널 및/또는 일반 부두로 BAYPLAN 자료를 전송한다. 이때, BAYPLAN 자료는 표준화된 컨테이너 규격 및 항구 코드를 이용하여 환적 화물의 표현이 가능한 형태의 문서로 생성되어 전송된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40에서 BAYPLAN 자료 확정 통보를 운항 선사의 담당자 및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유관 기관에 신고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운항 선사 및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는 확정된 BAYPLAN 자료를 각각의 단말기로 다운로드하여 각각의 선사에서 보유하고 있는 선하증권(B/L) 정보와 비교하여 실제의 컨테이너 정보를 확인한 후 세관, 해양청 등의 유관 기관에 전자문서 신고를 하게 된다. 이때, 물류 서버(200)는 각 선사의 담당자로부터 저장 요청이 있는 경우 수출입 적하 목록, 하선 신고서, 외항선 입출항 신고 등의 정보를 백앤드(Back End) 기능으로 협업 기능부(203)에 의해 저장부(230)에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 물류 서버(200)는 단계 345에서 운항 선사의 담당자(예를 들어, 환적 및 운항부서 담당자) 및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예를 들어, 환적 및 운항부서 담당자)의 요청에 의해 환적 업무 및 선적 지시를 수행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운항 선사 및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는 해외 출항지에서 환적 컨테이너 화물을 선적하고 국내에 입항한 입항 모선(1st 선박)을 조회하면서, 선사 내외의 각종 변수 및 업무 조합을 통해 출항 모선(2nd 선박)을 지정한다. 수출 업무에 있어 환적 컨테이너 물량보다 국내 수출 컨테이너 물량의 선적이 더욱 중요시되어, 환적 컨테이너 물량에 대해서는 이미 지정되었던 출항 모선(2nd 선박)이 수시로 변경될 수 있으므로 먼저 가상 모선(Virtual Vessel)을 지정하여 작업을 수행한 후 실제 모선으로 출항 모선(2nd선박)을 지정하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입항 모선과는 달리 출항 모선의 경우에는 운항 선사가 아닌 컨테이너 화물의 오퍼레이터(Operator)인 조인트(Joint) 선사별로 업무가 이루어진다.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는 입항 모선의 환적 컨테이너 화물에 대한 컨테이너 넘버리스트(N/L: Number List)를 작성하여, 해당 지정 운송회사의 담당자에게 자/타부두별로 환적 컨테이너 운송 지시(DO: Drayage Order)를 명령하도록 물류 협업 시스템 서버(200)로 요청한다. 물류 서버(200)는 디스패처부(235)를 이용하여 맵핑부(215), 변환부(220) 및 데이터 발송부(225)측으로 작업을 지시하여, 운송 지시가 거래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출항 모선의 지정이 확정된 후 환적 컨테이너가 자사의 선박이 아닌 피더(Feeder) 선사를 이용하도록 지정된 경우, 물류 서버(200)의 디스패처부(235)는 저장부(230) 내에 저장된 환적 컨테이너 정보, 선하증권 정보 등을 추출하여 피더 선사의 담당자에게 EDI 및/또는 팩스 전송하여 선적 지시(S/R: Shipping Request)를 하게 된다
이후, 물류 서버(200)는 단계 350에서 선적 예정 목록을 터미널 (또는 일반부두) 등으로 전송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서버(200)를 항만 물류 작업에 이용하는 경우 종래에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화하여 처리함으로써 효율성 증진 및 작업 시간의 획기적 절감이 가능하고, 또한 환적 화물 업무 처리를 위한 일련의 과정(예를 들어, 환적 정보의 분류와 검증, 통지, 수정과 보완, 피더선 지정, 운송 하역 작업 지시, 피더선복 예약 등)에서의 획기적인 개선이 가능해진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방법의 동작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100)에서, 포워딩회사 단말기(110) 또는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는,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수입국에 입항하기 전에,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에 대한 당사자, 품명 및 수량, 국제운송 내역에 대한 정보를 관세청 적하목록 시스템에 제출하고, 적하목록이 제출된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항구나 공항에 입항되면 입항 보고를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제출한다(S410).
여기서, 물류 서버(200)는 임의의 물류 주체(예를 들어, 운항 선사, 조인트 선사, SOC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물류 주체의 담당자가 통신망을 통해 물류 서버(200)에 접속하여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방법으로 웹브라우저에 미리 지정된 URL을 입력하고 화면상에 표시된 인증 정보 입력창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방법, 물류 공유 방법 수행을 위한 전용 프로그램에 인증 정보를 입력하여 전송하는 방법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물류 서버(200)는 수신한 인증 정보가 유효한 인증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물류 서버(200)는 인증 정보의 유효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저장부(230)에 저장된 인증 정보를 추출하여 일치성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만일 당해 인증 정보가 유효한 인증 정보인 경우에는 접속 허용 정보를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물류 서버(200)는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법인 대표 아이디 조회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 정보 공유 방법은 복수의 물류 주체 간의 상호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당해 사용자는 임의의 물류 주체 내에서의 담당자일 것을 요한다. 따라서, 당해 사용자가 물류 서버(200)에 접속하여 물류 정보 공유를 수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당해 법인(즉, 물류 주체)이 물류 서버(200)에 회원으로서 등록되어있을 것을 전제 조건으로 한다.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법인 대표 아이디 정보를 포함하는 조회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단계를 종료하고, 조회 요청이 수신되면 당해 법인 대표 아이디가 이미 등록된 법인 아이디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당해 법인 대표 아이디가 아직 등록되지 않은 법인 아이디인 경우에는 법인 등록 요청을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고, 당해 법인으로부터 수신되는 등록 정보에 따라 법인 등록을 수행한다. 즉, 법인 가입이 되어 있지 아니한 물류 주체의 담당자인 경우에는 먼저 물류 서버(200)로부터 전송되는 법인 이용신청서의 이용 약관에 동의하고 또한 필수 항목의 정보를 기재한 후 법인 명판 및 직인을 날인하여 물류 사업자에게 팩스 송부한다. 이후 물류 서버(200) 관리자는 해당 물류 주체에 대한 등록을 완료한 후 접근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그러나, 만일 당해 법인 대표 아이디가 이미 등록된 법인 아이디인 경우에는 법인 아이디 조회 결과를 통신망을 통해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도 5a에 임의의 물류 주체 담당자가 "KLTEST01"이라는 법인 대표 아이디를 입력하여 조회를 요청한 경우 조회 결과 정보를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 경우의 화면 표시가 예시되어 있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법인 가입 여부를 검색하는 경우의 화면 표시의 예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담당자 가입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물류 서버(200)는 당해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담당자 가입 요청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담당자 가입 요청이 수신되지 않으면 단계를 종료하고, 담당자 가입 요청이 수신되면 물류 서버(200)는 통신망을 통해 담당자 단말기로 가입 양식을 전송하고, 수신되는 담당자 가입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임의의 물류 주체 담당자가 회원 가입을 위해 가입 정보를 입력하여야 하는 가입 양식이 도 5b에 예시되어 있고, 가입 양식 내에는 이름, 전화번호, 이메일 주소 등의 신상 정보 입력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이어,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양륙 하역작업이 완료된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을 지정된 보세 구역에서 보세 운송하여 보세창고에 입고한 입고 정보를 기록한다(S420).
이어, 관세법인 단말기(140)가, 항공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화물 또는 물품에 대해, 수입기업으로부터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서류,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수입요건 구비서류를 제공받아 수입신고서, 가격신고서 및 납세신고서를 생성하고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신고서를 접수한다(S430).
이어,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입신고필증 및 수입물품 출고 지시를 수신한다(S440).
이어, 포워딩회사 단말기(110)는,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수입기업까지 내륙 운송할 운송회사를 지정하여 상기 운송회사 단말기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의 운송을 의뢰한다(S450).
이어,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보세창고 단말기(120),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관세법인 단말기(140) 및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 번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 번호를 입력받아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처리를 통제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된 수입 물류 정보를 SMS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여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전과정을 통제한다(S460).
예를 들면, 물류 서버(200)는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INBOUND - 운항 - 통보업무"에 상응하는 메뉴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담당자가 포함된 운항 선사코드에 상응하는 모선 리스트를 저장부(230)로부터 추출하여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그리고, 물류 서버(200)는 운항 선사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모선 정보를 저장부(230)에 저장한다. 도 6a에는 운항 선사의 담당자가 "INBOUND - 운항 - 통보업무"에 상응하는 메뉴를 선택한 경우 담당자 단말기 표시부에 디스플레이되는 통보 업무 메뉴 화면이 예시되어 있다. 통보 업무 메뉴 화면에는 모선 정보 입력 영역, 메시지 입력 영역, 관계사 담당자 리스트 영역 및 기능 버튼(예를 들어, 저장 버튼, 이메일 전송 버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모선 정보 입력 영역에는 입항 예정 일시(ETA : Estimated Time for Arrival) 항목, 마감 일시(Closing Time) 항목, 입항 터미널 항목, 선사항차 항목, 선박(모선)명 항목, 터미널 모선 코드 항목, 터미널 항차(접안번호) 항목, 선박 호출부호 항목, MRN(Manifest Reference Numb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운항 선사의 담당자는 모선 정보 입력 영역(655)에 관련 정보를 입력한 후 저장 버튼을 선택하여 입력된 모선 정보의 저장 요청을 물류 서버(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관계사 담당자 리스트 영역 내에 표시되는 관계사 담당자 리스트는 당해 운항 선사 담당자가 모선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기 전까지는 표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운항 선사 담당자가 모선 정보를 입력하여 저장하면 통보 업무의 관리 단계는 "통보전"에서 "작업중"으로 변경된다.
물류 서버(200)는 운항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당해 모선 정보를 전송하고자 하는 관계사(즉, 조인트 선사, 검수 회사 등) 담당자(PIC : People In Contact)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선택된 담당자에게 모선 정보를 이메일 형태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운항 선사의 담당자는 메시지 입력 영역 내에 필요한 메시지를 입력하여 이메일 전송시 함께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물류 서버(200)는 운항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이메일 전송 버튼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 디스패처부(235)를 호출하고, 디스패처부(235)는 데이터 발송부(225)에 이메일 발송 작업을 지시하고, 데이터 발송부(225)는 이메일 내용을 생성하고 SMTP(Simple Mail Transfer Protocol)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선택된 관계사 담당자들에게 이메일을 발송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전송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수신 화면을 예시한 도면이다.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및/또는 검수회사의 담당자 등은 운항 선사의 담당자로부터 수신한 모선 정보(예를 들어, 선박의 항구별 컨테이너별 요약 정보)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신들이 사용하는 메일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당해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등이 수신한 이메일 메시지를 클릭하면 물류 서버(200)에 자동으로 접속하게 되고, 인증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인증을 수행한 후 원하는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당해 담당자가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인 경우 SOC 선사(Shipper's Own Container)가 존재하면 SOC를 컨테이너별로 설정한 후, 운항 선사의 담당자가 수행한 절차와 동일한 절차로서 SOC 선사의 담당자에게 해당 정보를 통지할 수 있다.
한편, 물류 서버(200)가 운항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수신된 모선 정보를 저장할 때, 저장부(230)(예를 들어, 적하 목록 DB)를 검색하여, 모선 정보에 포함된 MRN과 일치하는 컨테이너 정보 및 선하증권(B/L) 정보를 검색하여 이를 수입 DB와 환적 DB에 저장된 정보와 연계하게 된다. 연계된 적하 목록DB의 컨테이너 정보 및 선하증권(B/L) 정보는 환적 업무시 담당자의 이중 입력 없이 수입시 신고 처리한 자료를 이용하여 원 클릭으로 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일반적으로 BAYPLAN이 적하 목록보다 자료의 확정 및 신고가 빨리 이루어져 저장부(230)에 먼저 저장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적하목록이 먼저 생성 신고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여기서, 물류 서버(200)는 운항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인증 정보(예를 들어, 사용자 아이디 및 비밀번호)를 포함하는 인증 요청을 수신한다. 그리고, 물류 서버(200)는 수신한 인증 정보가 유효한 인증 정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당해 인증 정보가 유효한 인증 정보가 아닌 경우에는 인증 에러 메시지를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한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보세창고 단말기(120),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관세법인 단말기(140) 및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을 통하여 수입 화물 또는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관리하는 회사명, 담당자, 휴대전화를 등록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체크하여 수입 화물 또는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입물류 공유장치에서 각 사용자 단말기로 수입물류 정보를 공유하는 메시지를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하는 예들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내륙운송회사에 관련된 차량기사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성명, 차량번호, 차량톤수, 차종, 휴대전화를 입력하여 회원 등록하고, 선하증권(B/L) 번호를 조회하고 상차완료 등록을 체크하고 차량출발시간과 도착예상시간을 입력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하증권(B/L) 번호, 차량배정 정보, 상차 완료, 배송 출발, 도착 정보, 운전기사 정보를 포함하는 문자 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입물류 공유장치가 운송기사의 단말기에서 작성된 운송 정보를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을 인도받은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기가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여 선하증권(B/L) 번호에 인수자를 입력하고 인수증에 서명하면 인수증을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하증권(B/L) 번호, 배송완료, 인수자, 인수증 확인하기를 포함하는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포워딩회사 단말기 또는 내륙운송회사 단말기로 발송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입물류 공유장치가 수입물품 인수자 단말기에서 작성된 인수증을 관련 회사 단말기로 전송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입항 모선 지정 정보 및 컨테이너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가 출항 모선의 운항 스케줄을 알지 못하여 출항 모선을 지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상 모선(Virtual Vessel)을 지정하여 임시적으로 환적 업무를 진행할 수 있고, 추후 출항 모선 확정시에 실제 모선을 지정함으로써 환적 업무를 종료할 수 있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입항 모선별 환적 컨테이너 내역, 적하목록 상에 실제로 입항된 환적 컨테이너, 환적 컨테이너 중 선정 예정된 환적 컨테이너 내역, 선적 완료되어 출항된 환적 컨테이너 내역 등의 정보가 조인트 선사 및/또는 SOC 선사에 제공되어 항구별, 장치 장소별 재고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유관 기관에는 항만 통계의 기초 정보로 제공할 수도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출항 모선에 선적하고자 하는 컨테이너에 대한 환적 운송 지시서 생성 및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생성된 환적 운송 지시서를 선택된 운송사 담당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조인트 선사 담당자가 통신망을 통해 수입물류 공유장치(170)에 접속한 후, 운송 지시서 표시 화면에서 해당 운송 지시서를 전송하고자 하는 수신자를 지정하여 전송할 수 있다. 조인트 선사 담당자는 해당 운송 지시서를 EDI 전자문서로 송부할 것인지 또는 팩스로 송부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도 있다. 즉, 수입물류 공유장치(170)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운송 지시 명령이 수신되면 저장부(230)(예를 들어, 환적 DB)에 저장된 정보를 추출하여 미리 지정된 포맷에 따른 환적 운송 지시서를 생성하고, 생성된 환적 운송 지시서를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는 화면 상에 표시된 환적 운송 지시서의 내용을 확인한 후, 거래 상대방 및 전송 방식(즉, EDI 전자 문서 전송 요청 또는 팩스 전송)을 지정하고, 전송 요청을 입력하여 전송함으로써 해당 환적 운송 지시서가 거래 상대방에게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수입물류 공유장치(170)의 디스패처부(235)는 맵핑부(215) 및 데이터 발송부(225)에 표준 전자 문서의 생성 및 생성된 데이터의 전송을 지시하고, 맵핑부(215)는 환적 운송 지시서에 상응하는 표준 전자 문서를 생성하고, 데이터 발송부(225)는 전송 방식이 EDI인 경우 거래 상대방의 EDI 계정에 생성된 표준 전자 문서를 전송하고, 전송 방식이 팩스인 경우 거래 상대방에 상응하는 팩스 번호로 표준 전자 문서에 상응하는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피더 선사 또는 출항 모선 지정 정보와 선적 지시서 생성 및 전송 요청을 수신하고, 선적 지시서(S/R: Shipping Request)를 생성하여 지정된 피더 선사 또는 출항 모선의 담당자에게 EDI 또는 팩스 전송 방식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물류 서버(200)는 조인트 선사에 상응하여 저장부(230)(예를 들어, 적하목록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검색 전송하여 선적 지시서를 생성하게 된다. 조인트 선사의 담당자는 출항 모선 등에 선적되어야 할 컨테이너를 확인한 후, 선적지시(S/R) 버튼을 선택함으로써 선적 지시서를 거래 상대방에게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실제적인 환적 업무에서는 입항 모선사가 출항 모선사 또는 피더 선사를 지정하여 입항 모선에 선적되어 있는 조인트 선사 등의 컨테이너를 목적항으로 운반하는 과정도 일반적으로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입항 모선사는 안정적인 선복 확보를 위해 출항 모선사로서 피더 선사와의 환적 선복에 대한 일정 물량의 선복 슬롯(SLOT) 계약을 수행한다. 이로써 피더선사 역시 자사 모선에 대한 사전 물량의 확보로 안정적인 노선 운영이 가능하게 된다. 입항 모선사와 계약이 이루어지면, 피더선사의 담당자는 통신망을 통해 물류 서버(200)에 접속(예를 들어, 운항 스케쥴 메뉴)하여 운항 스케줄을 등록한다. 또한, 동일 메뉴 상에서 또는 별도의 메뉴(예를 들어, 피더 스케쥴 메뉴)를 선택하여 선복 슬롯(SLOT) 계약을 체결한 입항 모선사에 대해 이미 예약 할당된 선복 물량 정보(및 양하항(POD)별로 모선명 및 호출부호 등이 포함될 수 있음)를 입력하여 등록되도록 한다. 이후, 물류 서버(200)는 입항 모선사의 담당자가 출항 모선을 지정하고자 하여, 양하항(POD) 및 출항 모선(및/또는 피더선사)의 운항스케줄을 조회할 경우, 당해 양하항에 상응하는 출항 모선들에 대한 검색 결과 정보를 당해 담당자 단말기에 표시함에 있어 우선적으로 당해 입항 모선사에 상응하여 등록된 피더 선사 정보가 표시되도록 한다. 즉, 입항 모선사의 담당자가 출항 모선을 지정하고자 할 때, 당해 양하항에 상응하는 피더선사로서 당해 입항 모선사와 선복 슬롯(Slot) 계약을 체결한 피더선사가 존재한다면 해당 정보를 다른 검색 결과 정보보다 우선하여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입항 모선사의 담당자는 효율적인 출항 모선의 지정이 가능해진다.
한편, 각 담당자 단말기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지지, 수납하기 위한 각종 프레임 등을 포함한다. 복수의 표시 패널들은 각각 분할된 영상을 표시하고,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이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대형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하로 2행 및 좌우로 2열로 배열된 4개의 표시 패널들을 포함하고, 더 큰 화면을 제공하기 위해 3*3 또는 4*4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각 표시 패널들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와, 표시부 주변의 비표시부를 포함한다. 비표시부는 각 표시 패널들 사이의 제 1 비표시부와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외곽의 제 2 비표시부를 포함한다. 상부 프레임은 각 표시 패널들의 비표시부 상에 배치된다. 상부 프레임은 제 1 비표시부 상에 배치되는 제 1 상부 프레임과, 제 2 비표시부 상에 배치되는 제 2 상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제 1 상부 프레임은 표시 패널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부, 및 격벽부에서 좌우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서로 인접한 표시 패널들의 제 1 비표시부 상에 배치된 베젤부를 포함한다. 격벽부는 각 표시 패널들 사이에 끼움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패널들이 하나의 제 1 상부 프레임을 공유함에 따라, 제 1 상부 프레임의 두께만큼 각 표시 패널 사이의 제 1 비표시부의 폭을 줄일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의 외곽 가장자리 및 측면을 덮도록(cover) 제 2 상부 프레임이 배치될 수 있다. 제 2 상부 프레임은 제 2 비표시부 상에 배치되는 외곽 베젤부, 및 외곽 베젤부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한다. 제 1 상부 프레임과 각 표시 패널들 사이, 및 제 2 상부 프레임과 각 표시 패널들 사이에 접착 부재가 더 배치될 수 있다.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 1 상부 프레임, 제 2 상부 프레임,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패널, 중간 프레임, 광학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및 하부 프레임을 포함한다. 중간 프레임, 광학 시트, 도광판, 반사 시트, 및 하부 프레임 등을 통칭하여 백라이트 유닛이라 한다. 표시 패널은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사각의 판상으로 마련된다. 표시 패널들은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또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 등의 다양한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은 각각 제 1 기판, 제 1 기판에 대향되는 제 2 기판, 및 제 1 기판과 제 2 기판 사이에 형성된 액정층을 포함한다. 제 1 기판은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복수의 화소 전극, 화소 전극 각각에 구동 전압을 인가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 전극과 박막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기 위한 각종 신호선을 포함한다. 제 2 기판은 제 1 기판과 대향되도록 배치되며, 투명 전도성 물질로 형성된 공통 전극, 및 컬러 필터를 포함한다. 컬러 필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가 있다. 액정층은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 사이에 개재되며, 화소 전극 및 공통 전극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하여 재배열된다. 이와 같이, 재배열된 액정층은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출사된 광의 투과율을 조절하고, 이렇게 조절된 광이 컬러 필터를 통과 함으로써 영상을 외부로 표시한다. 또한, 제 1 기판의 배면에 하부 편광판 및 제 2 기판의 상면에 상부 편광판이 각각 더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편광판 및 하부 편광판은 표시 패널에 대응되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상부 편광판은 외부에서 도달하는 광 중 특정 편광만 통과시키며, 나머지 광을 흡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하부 편광판은 백라이트 유닛에서 출력되는 광 중에서 특정 편광만 통과시키거나, 나머지 광을 흡수 또는 차단시킬 수 있다. 중간 프레임은 사각의 고리 형상을 가지며, 표시 패널, 광학 시트, 및 도광판 등을 수용하고 지지한다. 중간 프레임은 단일 구조물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복수 개로 형성된 후, 조립될 수도 있다. 중간 프레임은 에폭시 수지 조성물, 실리콘 수지 조성물, 실리콘 변성 에폭시 수지 등의 변성 에폭시 수지 조성물, 에폭시 변성 실리콘 수지 등의 변성 실리콘 수지 조성물,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변성 폴리이미드 수지 조성물, 폴리프탈아미드(PP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 액정 폴리머(LCP), ABS 수지, 페놀 수지, 아크릴 수지, 및 PBT 수지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광학 시트는 도광판 상에 배치되어 도광판(150a, 150b)으로부터 전달되는 빛을 확산 또는 집광하는 역할을 한다. 광학 시트는 확산 시트, 프리즘 시트, 및 보호 시트를 포함한다. 확산 시트는 도광판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분산시켜서 빛이 특정 영역에 집속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프리즘 시트는 일면에 삼각 기둥 모양의 프리즘이 일정한 배열을 갖고 형성되어 있을 수 있고, 확산 시트 상에 배치되어 확산 시트로부터 확산된 빛을 표시 패널에 수직한 방향으로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호 시트는 프리즘 시트 위에 형성될 수 있고, 프리즘 시트의 표면을 보호하고, 광을 확산시켜서 빛의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원으로부터 제공받은 광을 표시 패널(120)로 균일하게 공급한다. 도광판은 4각형의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LED 칩과 같은 광원을 사용하는 경우, 광원의 위치에 따라 소정의 홈 또는 돌기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은 설명의 편의상, 플레이트(plate)로 기술하였으나, 표시 장치의 슬림화를 위해 시트 또는 필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도광판은 광을 가이드하기 위한 플레이트 및 필름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광판은 광을 효율적으로 가이드할 수 있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재료, 예를 들어 PMMA(PolyMethylMethAcrylate)와 같은 아크릴 수지,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와 같은 재료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광판과 하부 프레임 사이에 반사 시트가 배치된다. 반사 시트는 도광판의 하부로 방출되는 빛을 표시 패널로 향하도록 반사시켜 빛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반사 시트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이루어져 반사성을 가질 수 있으며, 그 한쪽 표면은 예를 들어, 티타늄 디옥사이드를 함유하는 확산층으로 코팅될 수 있다. 또한, 반사 시트는 은(Ag)과 같은 금속을 포함하는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프레임은 스테인리스 스틸,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마그네슘, 마그네슘 합금, 구리, 구리 합금, 및 전기 아연 도금 강판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에서 각 담당자 단말기들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복수의 표시 패널들; 및 표시 패널들 사이에 배치된 제 1 상부 프레임을 구비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제 1 상부 프레임은 표시 패널들 사이에 배치된 격벽부; 및 격벽부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며 서로 인접한 표시 패널들의 전면 가장자리를 덮는 베젤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표시 패널 각각은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부, 및 표시부 주변의 비표시부를 포함하며, 베젤부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표시 패널들의 비표시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표시 패널들의 외곽 비표시부 상에 배치된 외곽 베젤부, 및 외곽 베젤부에서 하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된 측벽부를 포함하는 제 2 상부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상부 프레임은 베젤부 상에 배치된 광학 구조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업의 수입 업무와 관련하여, 포워딩 회사, 보세창고, 운송회사, 관세법인, 내륙운송 회사 등의 다자간에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모바일을 이용하여 정확하면서도 편리하게 공유할 수 있게 하는,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110 : 포워딩 회사 단말기 120 : 보세창고 단말기
130 : 보세운송회사 단말기 140 : 관세법인 단말기
150 : 내륙운송회사 단말기 160 :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
170 : 수입물류 공유장치 200 : 물류 서버
203 : 협업 기능부 205 : 통신부
210 : 어플리케이션부 215 : 맵핑부
220 : 변환부 225 : 데이터 발송부
230 : 저장부 235 : 디스패처부
245 : 운항 선사 단말기 250 : Joint 선사 단말기
255 : SOC 선사 단말기 260 : 터미널 단말기
265 : 운송사 단말기 270 : 검수사 단말기
275 : 세관 단말기 280 : 해양청 단말기

Claims (6)

  1. 국제운송, 적하목록 제출, 창고배정, 내륙 운송업체 지정을 포함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수입화물 보관업무 및 수입신고 수리 후 출고를 담당하는 보세창고 단말기(120);
    보세구역 간 운송업무를 담당하는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관세청에 수입물품과 수입가격에 대한 신고, 납세를 위한 신고 업무를 처리하는 관세법인 단말기(140);
    수입신고 수리 후 보세창고로부터 출고한 수입화물을 수입기업(화주)에게 국내 배송하는 업무를 담당하는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
    상기 관세청의 적하목록 시스템(MFCS) 또는 수입화물정보 시스템과 통신망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서비스에 회원 가입된 상기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120),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140)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로부터 주기적으로 상기 수입화물 및 상기 수입물품에 대한 물류 정보를 제공받아 저장 관리하는 정보관리 데이터베이스(160); 및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110),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120),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140)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ill of Lading; B/L) 번호 또는 항공화물운송장(Air Waybill; AWB) 번호를 입력받아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처리를 통제하되, 주기적으로 변경된 수입 물류 정보를 SMS 문자메시지 또는 카카오톡 메시지를 이용하여 회원의 단말기로 전송하고 수입 물류 통관 및 운송 전과정을 통제하는 수입물류 공유장치(170);
    를 포함하고,
    운항 선사(245), Joint 선사(250) 및 SOC 선사(255)의 담당자와 실질적인 물류 정보 교류를 담당하는 협업 기능부(203);
    회원 정보, 코드 정보, 수출입 정보, 환적 컨테이너 정보, 입출항 정보 등을 저장하는 저장부(230); 및
    명령을 전달받아 전자문서 교환 방식, 팩스, 전자 우편 등 해당 프로세스의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서비스를 호출하여 관련 DB의 자동 검색, 조회를 통해 부여된 서비스 역할을 분배하는 디스패처부(235);
    로 이루어지는 물류 서버(200)를 포함하고,
    상기 협업 기능부(203)는,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가 웹 브라우저 또는 전용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물류 서버(200)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저장부(230)에 저장된 회원 정보를 이용하여 각 담당자에 대한 인증 기능을 수행하며, 각 담당자의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요청을 어플리케이션부(210)로 전달하거나 또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210)에 의한 처리 결과를 당해 담당자의 단말기로 전송하는 통신부(205);
    통신망을 통해 접속한 각 물류 주체 담당자들의 접속 증가에 따른 서버 부하를 분산시켜 최적의 서비스 수행 속도를 유지하고, 임의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명령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스크립트 언어를 구동하여 상기 저장부(230)를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제어하며, 상기 디스패처부(235)를 호출하여 필요한 서버 자원을 이용하도록 하는 상기 어플리케이션부(210);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전자 문서 교환(EDI : Electronic Data Interchange) 방식으로 전자 문서를 수신하거나, 전자 문서를 데이터화하여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하고, 또는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추출하여 전자문서화하는 맵핑부(215);
    임의의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전자 문서가 표준 EDI 문서가 아닌 사용자 정의 서식 형태(User Defined Format)로 수신되거나 전송을 요청한 경우 상기 저장부(230)에 저장된 문서 구조 형식을 이용하여 상기 맵핑부(215)와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 단말기가 인지할 수 있는 표준 EDI 문서 형태로 변환하는 변환부(220); 및
    통신망을 통해 각 물류 주체의 담당자와 또는 담당자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 발송부(225);
    를 포함하며,
    상기 포워딩 회사 단말기(110),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120),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140)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복수의 표시 패널과 표시 패널을 지지 및 수납하기 위한 프레임을 포함하는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상기 Joint 선사(250)의 담당자 단말기로부터 입항 모선 지정 정보 및 컨테이너 정보 조회 요청을 수신하고, 검색 결과를 상기 Joint 선사(250)의 담당자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Joint 선사(250)의 담당자가 출항 모선의 운항 스케줄을 알지 못하여 출항 모선을 지정할 수 없는 경우에는, 가상 모선(Virtual Vessel)을 지정하여 임시적으로 환적 업무를 진행하고, 추후 출항 모선 확정시에 실제 모선을 지정함으로써 환적 업무를 종료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110) 또는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는, 해외에서 원재료, 반제품, 완제품을 포함하는 물품 또는 화물을 구매하여 수입하는 경우 수입물품 또는 수입화물이 수입국에 입항하기 전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당사자, 품명 및 수량, 국제운송 내역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적하목록 시스템에 제출하고, 적하목록이 제출된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이 항구나 공항에 입항되면 입항 보고를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제출하며,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양륙 하역작업이 완료된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지정된 보세 구역에서 보세 운송하여 보세창고에 입고한 입고 정보를 기록하며,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140)는 항공기 또는 선박으로부터 하역된 화물 또는 물품에 대해, 수입기업으로부터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에 대한 운송서류, 상업송장, 포장명세서, 수입요건 구비서류를 제공받아 수입신고서, 가격신고서 및 납세신고서를 생성하고,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에 전송하여 신고서를 접수하고,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120)는 상기 관세청 유니패스 시스템으로부터 수입신고필증 및 수입물품 출고 지시를 수신하며,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110)는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을 수입기업까지 내륙 운송할 운송회사를 지정하여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에 상기 수입물품 또는 상기 수입화물의 운송을 의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입물류 공유장치(170)는,
    상기 포워딩회사 단말기(110), 상기 보세창고 단말기(120), 상기 보세운송회사 단말기(130), 상기 관세법인 단말기(140) 및 상기 내륙운송회사 단말기(15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부터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을 통하여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제공하되,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 진행현황정보 모바일 앱에 접속하고, 관리하는 회사명, 담당자, 휴대전화를 등록하고 문자메시지 발송을 체크하여 상기 수입 화물 또는 상기 수입 물품에 대한 선하증권(B/L) 번호 조회 시, 선하증권(B/L) 번호, 품명, 포장개수, 총중량을 포함하는 진행 현황을 카카오톡 또는 SMS 메시지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210037488A 2021-03-23 2021-03-23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ctive KR1027450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88A KR102745069B1 (ko) 2021-03-23 2021-03-23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7488A KR102745069B1 (ko) 2021-03-23 2021-03-23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24A KR20220132324A (ko) 2022-09-30
KR102745069B1 true KR102745069B1 (ko) 2024-12-20

Family

ID=83451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7488A Active KR102745069B1 (ko) 2021-03-23 2021-03-23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506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17309B1 (ko) * 2023-05-04 2023-12-21 임준석 항공화물 종합 운송 관리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항공화물 운송절차 관리방법
KR102645566B1 (ko) * 2023-05-22 2024-03-07 엄길용 해외운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725972B1 (ko) * 2024-02-21 2024-11-06 주식회사 지비티에스 실시간 해상 물류 모니터링 및 운송 정보 공유 플랫폼의 운영 방법과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1782A (ko) 2016-11-30 2018-06-08 주식회사 케이티비랩 개인화된 스마트물류 기반 공유경제 서비스 장치 및 서비스 방법
KR20180072651A (ko) * 2018-06-22 2018-06-29 김명구 다중거래처의 비엘물류업무 통합처리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2324A (ko) 2022-09-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45069B1 (ko) 모바일을 이용한 다자간 수입 물류 정보 공유 시스템 및 방법
US20200034788A1 (en) Method,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for real-time and online freight management
Keceli A proposed innovation strategy for Turkish port administration policy via information technology
US7698204B2 (en) Method and system for e-commerce freight management
Bisogno et al. Improving the efficiency of Port Community Systems through integrated information flows of logistic processes
CN104050553A (zh) 基于云计算的库存与配送管理系统
US20150294263A1 (en) Ship performance analysis and log management
US20040015409A1 (en) Method, computer system and computer system network
US8380585B2 (en) Supply chain integration
US8099371B1 (en) Electronically enabled clearance methodology for improved processing at border crossings
CN109978420A (zh) 一种物流配送管理调度系统
US20090182572A1 (en) System for determining equipment repositioning plans
US20230053048A1 (en) System and method to deliver goods with precise handling requirements
KR20200088025A (ko) 종합수배송 공유 방법
US20020082970A1 (en) Integrated transportation
KR20220037134A (ko) 수출입 관리를 위한 토탈 솔루션 시스템
CN117764470A (zh) 货物运输控制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20050117320A (ko) 통신망을 이용한 항만 물류 협업을 위한 정보 공유 및통합 방법 및 시스템
KR20010098236A (ko) 인터넷을 이용한 수출입 업무 수행 방법
US20140279166A1 (en) Method and System for Brokering Shipping Contracts Between Solicitors and Service Providers
KR100787570B1 (ko) 인터넷 전자무역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040068426A1 (en) Shipment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JP2006244196A (ja) 国際輸送リスクマネジメント支援システム
US20170124634A1 (en) EZCloud Sales (ECS)
KR20210067250A (ko) 화물 정보 제공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3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62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