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4754B1 -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4754B1
KR102744754B1 KR1020220064717A KR20220064717A KR102744754B1 KR 102744754 B1 KR102744754 B1 KR 102744754B1 KR 1020220064717 A KR1020220064717 A KR 1020220064717A KR 20220064717 A KR20220064717 A KR 20220064717A KR 102744754 B1 KR102744754 B1 KR 1027447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k
height
information
industrial vehicle
control un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471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64946A (en
Inventor
최재성
조영재
Original Assignee
두산밥캣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밥캣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밥캣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47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4754B1/en
Publication of KR202301649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4946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47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4754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20Means for actuating or controlling masts, platforms, or for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5Position control; Position det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9/00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 B66F9/06Devices for lifting or lowering bulky or heavy goods for loading or unloading purposes movable, with their loads, on wheels or the like, e.g. fork-lift trucks
    • B66F9/075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F9/0759Details of operating station, e.g. seats, levers, operator platforms, cabin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는 작업자가 산업차량의 포크의 높이 정보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설정하는 키패드 및 산업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키패드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and the display device for the industrial vehicle includes a keypad for a worker to set height information of a fork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corridor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information set by the keypad.

Description

산업차량의 표시장치{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포크가 이동될 높이의 설정 및 이를 표시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that sets a height at which a fork is to be moved and displays the same.

일반적으로 포크를 포함하고 이를 통해 하물을 운반 및 적재한다. 최근에는 창고의 운용 비용절감을 위해 이러한 산업차량을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 많은 짐을 쌓아 올리기 위해서 높은 위치에 다단 적재를 이용하는 형태가 많아지고 있다.It usually includes a fork and carries and loads the load through it. Recently, in order to reduce the operating cost of warehouses, these industrial vehicles are increasingly used for multi-level stacking at high locations to stack a lot of loads in a narrow space.

이러한 하물의 적재를 다단으로 정확히 하기 위해 카메라와 같은 보조장치를 이용하여 산업차량의 포크 높이를 제어하고 있다.To ensure accurate multi-stage loading of these loads, auxiliary devices such as cameras are used to control the fork height of the industrial vehicle.

보조장치는 별도로 산업차량에 설치되어야 하며, 이의 설치공간에 대한 자유도 또는 이의 파손 방지 등을 위한 별도의 유지 보수 및 이의 설치를 위한 설계가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Auxiliary devices must be installed separately in industrial vehicl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separate maintenance and design for their installation are required to prevent damage to the auxiliary devices and to ensure freedom in their installation space.

또는, 작업자가 포크의 높이를 저장하고 산업차량이 이렇게 저장된 포크의 높이에서 포크가 멈추는 기능을 포함한 산업차량도 있다. Alternatively, there are industrial vehicles that include a feature where the operator stores the height of the forks and the industrial vehicle stops at this stored height.

하지만, 이러한 경우, 정해진 높이를 작업자가 일일이 메뉴화면 및 이의 설정변경을 위한 모드의 변환등 설정 높이를 바꾸기 위해 복잡한 과정을 통해 이뤄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우, 창고의 위치 및 복도(랙)의 형상 등에 높이를 설정하기에 제한된 메모리만을 사용하여 산업차량의 운용을 위한 확장성에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s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et height is changed through a complicated process, such as the operator changing the mode for changing the menu screen and its settings. In addition, in these cases,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xpandability for the operation of industrial vehicles is limited because only limited memory is used to set the height, such as the location of the warehouse and the shape of the hallway (rack).

본 발명의 실시예는 산업차량이 다단 적재를 위한 포크의 높이 설정 및 이의 설정을 작업자가 용이하게 하고 다단 정보를 다양하게 저장할 수 있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를 제공한다.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that enables a worker to easily set the height of a fork for multi-stage loading and store various multi-stage informa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는 작업자가 산업차량의 포크의 높이 정보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설정하는 키패드 및 산업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키패드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includes a keypad for a worker to set height information of a fork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corridor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information set by the keypad.

또한, 상술한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작업자가 상기 포크의 높이 정보 또는 상기 복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described abov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worker will set at least one of the fork height information or the corridor information based on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pad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또한, 상기 키패드는 작업자에 조작되며 복수의 번호를 포함하는 숫자 패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keypad may be a numeric pad that is operated by the operator and includes multiple numbers.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복도 정보 설정모드를 입력 받은 후,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상기 복도 정보를 변경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change and store the hallway information to a number entered from the number pad after receiving a hallway information setting mode from the keypa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복도 정보 설정모드를 입력 받지 않은 경우,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상기 포크의 높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if the control unit does not receive a hallway information setting mode from the keypad, it can store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in the number input from the number pa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N번을 입력 받는 경우, N번에서의 현재 포크의 높이와 N번 보다 작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number N from the number pad, it can compare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current fork at number N and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smaller than number N, and display on the display unit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at number 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N번을 입력 받는 경우, N번 보다 큰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와 N번에서의 현재 포크의 높이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ontrol unit receives a number N from the number pad, it can compare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greater than N and the height of the current fork at N, and display on the display unit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at N.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기설정된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포크의 높이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can delete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when a preset number is input from the number pa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현재의 포크 높이와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 높이 중 최대 포크 높이를 비교하여 포크가 이동될 목표 높이를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number is input from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can compare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among the fork heights stored in the number input from the number pad to display the target height to which the fork is to be moved.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의 기설정된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복도 정보 설정모드로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at the hallway information setting mode is in place when a preset number from the number pad is inp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포크를 포함하는 산업차량에 설치된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는 작업자가 산업차량의 포크의 높이 정보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설정하는 숫자 패드, 그리고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표시하는 복도 정보 표시영역과 상기 숫자 패드에 의해 설정된 포크의 목표 높이 및 현재 높이를 표시하는 포크 정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In addition,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installed on an industrial vehicle including a for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unit including a number pad for an operator to set height information of a fork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information on a corridor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a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for displaying information on a corridor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and a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for displaying a target height and current height of the fork set by the number pad.

또한, 상기 복도 정보 표시영역은 선택된 복도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복도에 기설정된 포크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abov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can display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reset fork height in the selected corridor.

또한, 상기 포크 정보 표시영역은 현재의 포크 높이와, 현재의 포크가 이동될 목표 높이를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can display the current fork height and the target height to which the current fork is to be moved.

또한, 상기 목표 높이를 표시할 때, 상기 목표 높이가 저장된 번호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Additionally, when displaying the target height, the number where the target height is stored can also be display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는 다단 적재를 위한 포크의 높이를 작업자가 설정 변경시 용이하게 접근하여 이를 변경 및 저장할 수 있게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enables a worker to easily access, change and save the height of a fork for multi-level loading when changing the setting.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는 작업자가 숫자 패드를 동해 복도별 서로 다른 복수의 포크 높이를 설정 및 이를 용이하게 편집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worker to set and easily edit a plurality of different fork heights for each corridor by using a number pa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의 일부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복도(랙) 번호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의 복도 번호 및 포크 높이 설정과정을 나타낸다.
도 4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의 포크 높이 정보 삭제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의 복도 번호에 대응되는 포크 높이가 저장된 번호의 편집 과정 및 목표 높이를 표시하는 과정을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 partial configuration diagram of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the hallway (rack) numbers.
FIG. 3 shows a process for setting the corridor number and fork height of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4 and 7 illustrate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process for deleting fork height information of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 process for editing a number in which a fork height corresponding to an aisle number of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and a process for displaying a target height.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implement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도면들은 개략적이고 축적에 맞게 도시되지 않았다는 것을 일러둔다. 도면에 있는 부분들의 상대적인 치수 및 비율은 도면에서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해 그 크기에 있어 과장되거나 감소되어 도시되었으며 임의의 치수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지 한정적인 것은 아니다. 그리고 둘 이상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구조물 요소 또는 부품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가 유사한 특징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It is noted that the drawings are schematic and not drawn to scale. The relative dimensions and proportions of parts in the drawings are exaggerated or reduced in size for clarity and convenience in the drawings, and any dimensions are for illustration only and not limiting. In addi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similar features where the same structural elements or parts appear in more than one drawing.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illustrate ideal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a resul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diagrams are expected. Accordingly, the embodiments are not limited to the specific form of the illustrated area, and also include modifications of the form by manufacturing, for example.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를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a display device (101)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200)와 표시부(100)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101)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200) and a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1 and FIG. 4.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는 산업차량에 설치되어 산업차량의 운행 정보 또는 이의 주행 상태등의 정보를 출력하여 운전자에게 알리고, 운전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아 이를 차량 제어부(300)에 전달할 수 있다.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is installed in the industrial vehicle and outputs information such a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or its driving status to inform the driver, and can receive information from the driver and transmit it to the vehicle control unit (30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는,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키패드(200)와 표시부(100)를 포함한다.The display device (101) of an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keypad (200) and a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1 and FIG. 4.

키패드(200)는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며, 작업자가 산업차량의 포크의 높이 정보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The keypad (200) is operated by a worker, and the worker can se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the corridor information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표시부(100)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업차량의 운행 정보 및 키패드(200)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100)는 산업차량의 주행상태 또는 작업 상태정보 등을 작업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00)는 속도 또는 경고와 같은 정보를 작업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00), as illustrated in Fig. 4, displays the operating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the information set by the keypad (200). Specifically, the display unit (100)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the driving status or working status of the industrial vehicle so that the worker can visually recognize it. The display unit (100) can display information such as speed or warnings to the worker.

또한, 표시부(100)는 키패드(200)를 통해 작업자로부터 입력 받은 설정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즉, 표시부(100)는 작업자가 키패드(200)를 통해 조작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0) can display set information input from a worker through the keypad (200). That is, the display unit (100) can output information manipulated by a worker through the keypad (200).

구체적으로, 복도 정보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업차량이 이동하는 랙(복도)에 부여된 정보일 수 있다. A,B,C…의 복도에 대응되는 정보일 수 있다. Specifically, the corridor information may be information given to a rack (corridor) through which an industrial vehicle moves, as illustrated in Fig. 2. It may b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corridors A, B, C…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작업자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를 통해 포크의 높이 정보 및 복도 정보를 설정하고 이의 출력정보를 인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에 의해 복도에 따른 포크의 높이 설정을 용이하게 하고 이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작업자가 인지할 수 있다.With this configuration, the worker can se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and the corridor information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recognize the output information thereof. Accordingly,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kes it easy to set the height of the fork according to the corridor and effectively allows the worker to recognize the information thereof.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나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는 제어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may further include a control unit (300).

제어부(300)는 키패드(200)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작업자가 포크의 높이 정보 또는 복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여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will set one or more of the fork height information or the hallway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pad (200) and output it to the display unit (10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키패드(200)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작업자가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설정을 변경할지 복도 정보의 설정을 변경할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판단을 통해 제어부(300)는 작업자의 설정 변경에 대한 정보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작업자는 키패드(200)를 통해 현재 변경 중인 설정 상태를 표시부(100)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worker changes the setting of the current fork height information or the setting of the corridor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pad (200). In addition, through this determination,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information about the worker's setting change to the display unit (100). Accordingly, the worker can recognize the setting status currently being changed through the keypad (200)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키패드(200)는 복수의 번호를 포함하는 숫자 패드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keypad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number pad including a plurality of numbers.

키패드(200)는 숫자 패드로 형성되어 있어, 작업자가 복수의 번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포크의 높이 정보 또는 복도 정보를 설정 및 재설정 할 수 있다.The keypad (200) is formed as a number pad, so that the operator can set and reset the fork height information or corridor information by selecting one of a plurality of numbers.

즉, 복도 정보는 숫자 패드를 통해 기설정된 숫자로 입력하고,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숫자와 매칭되는 복도 정보를 표시부(100)에 텍스트(A, B, C….)로 출력할 수 있다.That is, the hallway information is input as a preset number through the number pad, and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the hallway information matching the preset number as text (A, B, C…) on the display unit (100).

구체적으로, 숫자 패드의 입력을 통해 작업자는 포크가 이동될 높이를 설정 또는 편집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operator can set or edit the height to which the fork will be moved via input from the number pad.

이에 따라, 작업자는 복잡한 모드 변환 등의 복수의 키를 조작할 필요 없이,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의 키패드(200)의 숫자 패드를 선택함으로써 포크의 높이 정보 또는 복도 정보를 설정 및 재설정하고 이를 선택 또는 해제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operator can set and reset the fork height information or corridor information and select or deselect it by selecting the number pad of the keypad (200) of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without having to operate multiple keys such as complex mode conversio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부(100)는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과 포크 정보 표시영역(5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allway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and a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00).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은 복도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도 정보는 선택된 복도 정보(410)를 작업자가 판별할 수 있는 문자 또는 아이콘, 선택된 복도에 해당되는 서로 다른 포크의 높이를 갖는 복도별 번호(또는 문자: 식별기호)(410)일 수 있다.Th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can display corridor information. Specifically, the corridor information can be a letter or icon that allows a worker to determine the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410), or a corridor number (or letter: identifier) (410) having different fork height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rridor.

구체적으로, 숫자 패드에 대응되는 복도(랙) 번호가 기설정되어 있고, 작업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부(100)에 출력될 수 있다.Specifically, a corridor (rack) number corresponding to the number pad is preset and can b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00) according to the worker's selection.

즉, 하나의 복도(410)에는 복수개의 번호(420)가 서로 다른 포크 높이 설정값을 저장할 수 있다.That is, in one corridor (410), multiple numbers (420) can store different fork height settings.

포크 정보 표시영역(500)은 현재의 포크 높이(550) 및 저장된 포크 높이 정보(530)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목표 높이(520)는 복수의 복도별 번호(510) 중 현재 포크가 상방향으로 이동될 포크 높이(520) 및 이가 저장된 번호 정보(5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00) can display the current fork height (550) and the stored fork height information (530). Specifically, the target height (520) can include the fork height (520) to which the current fork is to move upward among a plurality of corridor numbers (510) and the number information (510) at which it is stored.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키패드(200)로부터 복도 정보 설정모드를 입력 받은 후,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복도 정보를 변경 저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hange and store the hallway information to a number entered from the number pad after receiving the hallway information setting mode from the keypad (200).

작업자는 숫자 패드의 복수의 번호 중 기설정된 어느 번호를 누르는 경우,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현재 복도 정보를 설정하기 위함을 판단할 수 있다. When the worker presses a preset number among multiple numbers on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that the worker is currently setting the hallway information.

일예로, 제어부(300)는 숫자 패드의 9번이 눌러진 경우, 복도 정보 설정모드로 변경됨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숫자 패드의 9번을 눌러 복도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숫자 패드의 9번이 눌러진 경우, 작업자가 복도 정보를 변경할 수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that when the number 9 on the number pad is pressed, the mode for setting the hallway information has been changed. That is, the worker can set the hallway information by pressing the number 9 on the number pad.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that when the number 9 on the number pad is pressed, the worker can change the hallway information.

그리고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숫자 패드의 다른 번호를 입력하면 이의 신호를 수신하여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포크의 높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300) can receive a signal when the operator inputs another number on the number pad and store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in the number selected by the operator.

이때,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9번을 누른 후 숫자 패드의 다른 번호 N번을 기설정된 시간동안 누른 경우, 이의 신호를 전달받아 N번에 포크의 높이 정보를 설정 또는 변경하여 N번에 이러한 포크의 높이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At this time, when the operator presses 9 and then presses another number N on the number pad for a preset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signal and sets or changes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to N, thereby storing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to N.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숫자 패드로부터 N번을 입력 받은 경우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표시부(100)에 표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isplay on the display unit (100)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in number N when N is input from the number pad.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숫자 패드를 통해 N번을 입력하는 경우, 현재의 포크의 높이를 N번에 저장 가능한지를 판단하여 이의 상태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When the operator inputs N through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height of the fork can be stored in N and output the status thereof on the display unit (100).

제어부(300)는 N번에 포크의 높이를 저장 가능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N번에 포크 높이가 저장이 완료됨을 텍스트(11)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이러한 텍스트 메시지(11)를 일정시간 후(약 3초), 표시부(100)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다. If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height of the fork can be stored at number N, it can display text (11) indicating that the height of the fork has been stored at number N, as shown in Fig. 4. Then, the control unit (300) can cause this text message (11) to disappear from the display unit (100)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approximately 3 seconds).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숫자 패드를 통해 N번을 입력하는 경우, 현재 포크의 높이와 N번 보다 작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operator inputs number N through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300) can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current fork and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smaller than number 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in number N.

또한,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숫자 패드를 통해 N번을 입력하는 경우, 현재 포크의 높이와 N번 보다 큰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operator inputs number N through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300) can compare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current fork and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greater than number N to determine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in number N.

일예로, 제어부(300)가 작업자가 숫자 패드에 3을 입력하는 경우,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를 3번에 저장 가능한지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와 3번 보다 작은 번호인(2번 또는 1번 중 가장 가까운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 차를 비교한다. For example, when the operator inputs 3 on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current height of the fork can be stored in number 3.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current fork and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smaller than 3 (the closest number between 2 and 1).

이때, 제어부(300)는, 포크의 제어 특성의 정밀도 등을 고려하여 현재 포크의 높이가 3번 보다 작은 번호보다 크고 이의 차가 설정기준 높이(α)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 일예로 설정기준 높이는 500mm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height of the fork is greater than a number smaller than 3 and whether the difference exceeds the set reference height (α) by considering the precision of the control characteristics of the fork, etc. For example, the set reference height may be 500 mm.

또한, 제어부(300)는 3번 보다 큰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4번,5번… 중 가장 가까운 번호가 현재 포크의 높이보다 크고 이의 차가 설정기준 높이를 초과하는지를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greater than 3 (the closest number among 4, 5, etc.) is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current fork and whether the difference between them exceeds the set reference height.

즉, 제어부(300)는 선택된 복도 번호 내에서, 3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를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현재 포크의 높이가 3번 보다 작은 번호와 3번 보다 큰 번호 사이에 설정된 포크 높이에 위치하는지를 판별하여 3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 저장 가능여부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ontrol unit (300) wants to set the height of the current fork to number 3 within the selected corridor number, it can determine whether the height of the current fork is located at a fork height set between a number smaller than number 3 and a number larger than number 3 and output to the display unit (100)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at number 3.

만약, 3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를 저장 불가능하다고 제어부(300)가 판단하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현재 포크의 높이 설정이 불가능함을 텍스트(12)로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If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fork height cannot be stored at number 3, as shown in Fig. 4, the text (12) indicating that the current fork height setting is impossibl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00).

또한, 제어부(300)는 N이 1번인 경우, 이보다 작은 번호의 비교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00) can omit the comparison process for numbers smaller than N when N is 1.

또한, 제어부(300)는 N번이 8번인 경우, 이보다 큰 번호의 비교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ontrol unit (300) can omit the comparison process for numbers greater than N when N is 8.

즉, N번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는 목표 높이일 수 있다.That is,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at number N can be the target heigh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기설정된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포크의 높이 정보를 삭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delete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when a preset number is input.

제어부(300)는 숫자 패드로부터 기설정된 정보 삭제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현재의 복도에서 저장된 포크의 높이 정보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preset information deletion number from the number pad, it can delete all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stored in the current corridor.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선택된 복도 정보 내에서 포크의 높이 설정 중, 숫자 패드로부터 0번의 신호를 입력받는 경우, 선택된 복도 정보 내의 포크의 높이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Specifically, when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signal of 0 from the number pad during setting of the height of the fork within the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it can delete all the heights of the forks within the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일예로, 복도C에서 기저장된 1,4,7,8에 저장된 포크의 설정높이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For example, you can delete all the set heights of the forks stored in 1, 4, 7, and 8 in corridor C.

이때, 제어부(300)는 선택되지 않은 복도에 저장된 포크의 설정높이는 삭제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어부(300)는 이렇게 선택된 복도에서 기저장된 포크 높이가 모두 삭제됨의 메세지를(13)을,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에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does not delete the set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the unselected corridor.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can display a message (13) indicating that all of the pre-stored fork heights in the selected corridor are deleted on the display unit (100), as shown in Fig. 4.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입력된 숫자 패드에 대응되는 번호에 설정된 포크의 높이 정보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set to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input number pad to the display unit (100).

제어부(300)는, 포크를 설정된 복도(랙)의 일정 높이 위치로 이동전 숫자 패드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은 경우, 현재의 포크 높이와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 높이를 비교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하나의 복도에 복수개의 숫자를 통해 복수개의 서로 다른 포크 높이가 저장된 경우, 현재의 포크 높이와 복수개의 포크 높이 중 최대의 포크 높이를 비교한다.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fork height stored in the number entered from the number pad when a number is entered from the number pad before moving the fork to a certain height position in the set corridor (rack). Specifically, when a plurality of different fork heights are stored through a plurality of numbers in one corridor,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among the plurality of fork heights.

또한, 제어부(300)는 복도 정보가 작업자에 의해 숫자 패드를 통해 선택된 경우, 이러한 복도 정보에 기설정된 포크의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부(100)에 표시한다.In addition, when the corridor information is selected by the worker through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a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 of the fork preset in the corridor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00).

즉, 제어부(300)는 복도(랙)의 정보와 선택된 복도에 대응되는 복수의 포크의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부(100)에 표시한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현재 선택된 복도에 대응되는 복수의 포크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를 숫자 패드를 통해 포크 높이가 저장된 번호를 선택 또는 해제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information about the corridor (rack) and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of multiple fork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rridor on the display unit (100). In other words, the operator can select or deselect the number corresponding to the heights of multiple forks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corridor using the number pad, and the number in which the fork height is stored.

제어부(300)는 현재의 포크 높이(550)와 복수의 번호에 설정된 포크의 높이 중, 가장 가까운 상단의 높이로 포크가 이동될 목표 높이로 설정하고, 이의 목표 높이(520)를 표시부(100)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can set the target height to which the fork will be moved to the closest upper height among the current fork height (550) and the heights of the forks set to multiple numbers, and display the target height (520) on the display unit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300)는 동일한 번호가 숫자 패드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이에 대응되는 포크의 높이 정보를 포크의 목표 높이 설정시 배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xclude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fork when setting the target height of the fork if the same number is entered through the number pad.

제어부(300)는 선택된 복도 정보에 저장된 복수의 번호 중 어느 하나와 동일한 번호가 재입력되는 경우, 이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를 목표 높이 판정시 배제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can exclude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the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from the target height determination when a number identical to one of the multiple numbers stored in the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is re-entered.

이하, 도 1 내지 도 5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의 제어과정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and FIG. 7, the control process of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제어부(300)는 9번의 숫자 패드가 입력된 경우, 작업자가 복도 정보를 설정 또는 재설정한다고 판단한다(S100).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worker is setting or resetting the hallway information when the number pad number 9 is entered (S100).

제어부(300)는 표시부(100)의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의 복도에 대응되는 문자 또는 아이콘 등을 점멸시킨다(S110).The control unit (300) causes letters or icons corresponding to the corridor in th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of the display unit (100) to flash (S110).

제어부(300)는 점멸중인 복도에 대응되는 문자에, 작업자가 누르는 숫자 패드의 번호로부터 이의 번호와 매칭되도록 기설정된 문자를 표시부(100)에 출력한다(S120). 즉, 작업자는 현재 자신이 누르는 숫자 패드와 매칭된 복도 문자가 출력됨을 표시부(100)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다시 9번을 누르고 번호를 누르면 선택된 번호의 복도의 선택은 취소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에는 1번이복도 A, 2번이 복도 B, 3번이 복도 C등이 기설정되어 있다. 즉, 작업자가 누르는 숫자 패드(200)는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에 복도 번호(410)로 출력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outputs a preset character to match the number of the number pad pressed by the worker with the character corresponding to the flashing hallway on the display unit (100) (S120). That is, the worker can confirm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that the hallway character matching the number pad he or she is currently pressing is output. At this time, if 9 is pressed again and the number is pressed, the selection of the hallway of the selected number can be canceled.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0) has presets such as 1 for hallway A, 2 for hallway B, and 3 for hallway C. That is, the number pad (200) pressed by the worker can be output as a hallway number (410) in the hallway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작업자가 현재의 번호로 복도를 선택하면, 제어부(300)는 표시부(100)에 현재 선택된 번호에 대응되는 복도 문자 또는 아이콘의 점멸이 중지시킨다(S130). 일예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3을 누르면 C의 복도가 선택되고 이의 점멸이 중지될 수 있다. 즉, 작업자는 현 단계에서 복도 번호를 변경할 수 있다.When the worker selects a corridor with the current number, the control unit (300) stops the blinking of the corridor letter or icon corresponding to the currently selected number on the display unit (100) (S1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4, when the worker presses 3, corridor C can be selected and its blinking can be stopped. That is, the worker can change the corridor number at this stage.

제어부(300)는 현재 선택된 복도에 저장된 서로 다른 포크의 높이 정보를 복수의 숫자로 표시부(100)의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에 표시한다(S140). 즉, 제어부(300)는 현재 선택된 C복도에 서로 다른 포크의 높이가 저장됨을 복수의 숫자로 표기한다.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the height information of different forks stored in the currently selected corridor in multiple numbers in th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of the display unit (100) (S140).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indicates that the heights of different forks are stored in the currently selected C corridor in multiple numbers.

다시 말해,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부(300)는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에 복도 정보(410)와 이에 저장된 기설정된 포크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 1,4,7,8(420)을 표시한다. 즉, 이러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C복도에는 1번, 4번, 7번 그리고 8번에 각각 서로 다른 포크의 높이가 저장됨을 작업자가 알 수 있다.In other words, as illustrated in FIG. 4,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the corridor information (410) and the numbers 1, 4, 7, and 8 (420) corresponding to the preset fork heights stored therein in th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That is, 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4, the worker can know that different fork heights are stored in corridor C at numbers 1, 4, 7, and 8, respectively.

제어부(300)는 복도 선택이 완료된 후, 작업자는 캐빈내에 배치된 조작부를 동작시켜 포크(10)를 이동시킨다(S210). 구체적으로, 조작부의 조작신호는 산업차량의 제어부(30)를 통해 구동부(20)로 전달하고 이에 따라 포크(10)의 높이가 가변된다. 이러한 포크(10)의 높이는 산업차량의 제어부(30)가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의 제어부(300)로 전달할 수 있다.After the corridor selection is completed, the operator moves the fork (10) by operating the operating unit placed in the cabin (S210). Specifically, the operating signal of the operating unit is transmitted to the driving unit (20) through the control unit (30)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fork (10) is changed. The height of the fork (10) can be transmitted from the control unit (30) of the industrial vehicle to the control unit (300) of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위치를 저장하기 위해,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숫자 패드 정보를 수신한다(S220). 즉, 작업자는 선택된 복도 중 원하는 번호에 설정된 포크 높이를 변경 또는 설정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the number pad information selected by the operator to store the current fork position (S220). That is, the operator can change or set the fork height set to a desired number among the selected corridors.

이때, 제어부(300)는 작업자로부터 선택된 숫자 패드(200)의 번호가 일정시간 이상 유지시(약 3초) 선택된 번호의 포크 높이 설정변경을 판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o change the fork height setting of the selected number when the number of the number pad (200) selected by the worker is maintained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pproximately 3 seconds).

제어부(300)는 현재의 포크 높이를 작업자가 선택한 숫자 패드의 번호에 설정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23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작업차가 선택한 숫자 패드 그리고 이와 가장 가까운 큰 번호 그리고 이와 가장 가까운 작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위치와 비교한다.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fork height can be set to the number of the number pad selected by the worker (S23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position of the fork stored in the number pad selected by the work vehicle, the largest number closest thereto, and the smallest number closest thereto.

일예로,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이 C(410), 1, 4, 7, 8(420)을 표시하고, 작업자가 4를 선택한 경우, 제어부(300)는 1번에 저장된 포크 높이와 7번에 저장된 포크 높이 그리고 현재의 포크 높이를 비교한다.For example, if th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displays C (410), 1, 4, 7, 8 (420) and the worker selects 4,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fork height stored in 1, the fork height stored in 7, and the current fork height.

즉, 제어부(300)는 현재의 포크의 높이가 1번에 저장된 포크 높이 보다는 크고, 7번에 저장된 포크 높이 보다는 작은지 판별한다. 또한, 이때 이들 각각의 차가 500mm 이상 되는지도 함께 판단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current fork height is greater than the fork height stored in No. 1 and less than the fork height stored in No. 7. In addition, it can also be determined whether each of these differences is greater than 500 mm.

이때, 제어부(300)는 상술한 조건들을 만족하여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현재의 포크 높이를 저장가능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에 선택된 번호에 포크의 높이 설정이 완료됨을 표시한다(S240).At this time, if the control unit (300) satisfies the conditions described above and can store the current fork height in the number selected by the operator, as shown in Fig. 4, it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100) that the height setting of the fork in the selected number is complete (S240).

그리고, 제어부(300)는 선택된 번호에 현재의 포크 높이를 저장한다(S250).Then, the control unit (300) stores the current fork height in the selected number (S250).

또는, 제어부(300)는 상술한 조건들을 만족하지 못하여 작업자에 의해 선택된 번호에 현재의 포크 높이 저장이 불가능한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부(100)에 선택된 번호에 포크의 높이 설정이 불가능함을 표시한다(S260).Alternatively, if the control unit (300) does not satisfy the conditions described above and thus it is impossible to store the current fork height in the number selected by the operator, as shown in Fig. 4,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on the display unit (100) that the height setting of the fork in the selected number is impossible (S260).

이러한 상술한 번호 선택을 반복하여 복도에 복수의 포크 높이를 서로 다르게 설정할 수 있다.By repeating the above-described number selection, multiple fork heights can be set in the hallway at different heights.

또한, 제어부(300)는 복도 번호 설정 후(S100),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숫자 패드로부터 0번 신호를 3초이상 입력 받는 경우, 현재 선택된 복도에 저장된 복수의 번호에 해당되는 포크 높이를 모두 삭제한다(S310).In addition, after setting the corridor number (S100), if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0 signal from the number pad for 3 seconds or more as shown in FIG. 5, it deletes all fork heights corresponding to multiple numbers stored in the currently selected corridor (S310).

즉, 제어부(300)는, 상술한 선택된 C복도에 저장된 포크 높이 번호를 모두 삭제할 수 있다.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an delete all fork height numbers stored in the selected C corridor described above.

또한, 제어부(300)는 이러한 선택된 복도 번호에 대응되는 복수의 번호에 설정된 포크 높이가 모두 삭제됨의 메시지를 표시부(100)에 표시한다(S320)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a message on the display unit (100) that all fork heights set for multipl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rridor number are deleted (S320).

이하, 도 1 내지 도 2 그리고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포크의 목표 높이 선택 및 이의 해제에 관해 설명한다. 즉, 작업자는 선택된 복도에 저장된 복수의 번호를 선택 또는 해제시켜 포크의 목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2 and FIGS. 6 and 7, selection of a target height of a fork and its release will be described. That is, a worker can adjust the target height of a fork by selecting or releasing multiple numbers stored in a selected corridor.

제어부(300)는 작업자 입력한 숫자 패드(200)의 정보를 수신한다(S410). 즉, 제어부(300)는 작업자에 의해 숫자 패드(200)로부터 선택한 번호를 입력 받는다.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information from the number pad (200) entered by the worker (S410).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receives a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from the number pad (200).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가 이미 선택되었는지 판단한다(S420). 즉, 제어부(300)는 현재 표시부(100)의 복도 정보 표시영역(400) 상에 선택된 복도(410) 및 이에 기설정된 포크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420) 중 상기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가 있는지 판별한다.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has already been selected (S420).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is among the selected corridor (410) and the number (420) corresponding to the preset fork height in th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00) of the current display unit (100).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가 이미 선택되어 중복 선택된 경우, 제어부(300)는 선택된 번호를 해제한다(S43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표시부(100)에 복도 C에 1,4,7,8이 표시된 경우, 다시 4번이 선택되면 1,7,8을 표시한다. If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has already been selected and is selected repeatedly, the control unit (300) deselects the selected number (S430). Specifically, if 1, 4, 7, and 8 are displayed in corridor C on the display unit (100),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1, 7, and 8 if 4 is selected again.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중복된 번호 선태에 의해, 이전의 번호에 저장된 정보 활용이 배제됨으로 판단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that the use of information stored in a previous number is excluded due to the operator's selection of a duplicate number.

또는,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가 이미 선택되지 않은 경우, 현재 선택된 번호에 포크 높이가 기설정되었는지 판단한다(S440). 즉,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에 포크 높이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whether the fork height is preset for the currently selected number if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has not already been selected (S440).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an determine whether the fork height is preset for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에 포크 높이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300)는 표시부(100)에 선택된 번호에 포크 높이를 설정하라고 텍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S450). 이때, 제어부(300)는 이러한 텍스트를 3초후에 사라지게 할 수 있다.If the fork height is not set for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the control unit (300) can display a text on the display unit (100) to set the fork height for the selected number (S450).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can make this text disappear after 3 seconds.

또는,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에 포크 높이가 설정된 경우, 제어부(300)는 선택된 번호가 표시됨을 표시부(100)에 출력한다(S460). 즉,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추가한 번호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작업자가 추가한 번호(420)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fork height is set to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the control unit (300) outputs to the display unit (100) that the selected number is displayed (S460).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the number added by the worker to the display unit (10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the number (420) added by the worker to the display unit (100).

또한,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와 현재의 선택된 복도에 기설정된 최대 포크 높이를 비교한다(S470). 구체적으로,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와 선택된 C복도의 1,4,7,8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 중 최대의 포크 높이와 비교한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preset in the currently selected corridor (S470). Specifically,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among the heights of the forks stored in 1, 4, 7, and 8 of the selected C corridor.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가 선택된 복도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보다 작다고 판단된 경우, 포크의 이동 가능을 판단하고 현재 포크의 높이로부터 이동될 목표 높이(520)를 표시부(100)에 출력한다(S490).If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height of the fork is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the selected corridor, it determines whether the fork can move and outputs the target height (520) to which the fork will move from the current height of the fork to the display unit (100) (S490).

일예로, 제어부(300)는 C복도에 1,4,7,8이 표시부(100)에 출력된 상태에서, 현재 포크가 이동될 목표 높이를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the target height to which the current fork is to be moved on the display unit (100) while 1, 4, 7, and 8 are output on the display unit (100) in corridor C.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4번에 포크의 높이가 4000mm가 저장되고 7번(410)에 포크의 높이가 7000mm(420)가 저장된 경우, 현재 포크 높이(550)가 5000mm라며 제어부(300)는 포크 정보 표시영역(500)에 7번(510)과 목표 높이(520)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550)로부터 가장 가까운 상방향으로의 높이를 목표 높이로 표시부(100)에 출력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if the height of the fork is 4000 mm stored in No. 4 and the height of the fork is 7000 mm (420) stored in No. 7 (410),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No. 7 (510) and the target height (520) together in th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00) while stating that the current fork height (550) is 5000 mm. That is, the control unit (300) can output the closest upward height from the current fork height (550) as the target height on the display unit (100).

또는,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가 선택된 복도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보다 작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기저장된 번호를 이용하여 포크의 이동 높이를 표시할 수 없음으로 포크 정보 표시영역(500)에 "0:0000"을 표시한다(S480). 즉,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저장된 포크 높이 설정을 활용할 수 없음을 표시부(100)에 출력한다. 다시 말해, 이러한 경우, 제어부(300)는 포크 정보 표시영역(500)에 목표 높이에 0000 그리고 목표 높이 번호에 0을 표시할 수 있다.Alternatively, if the control unit (300) determines that the current height of the fork is not smaller than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the selected corridor, the control unit (300) cannot display the moving height of the fork using the pre-stored number, and thus displays “0:0000” in th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00) (S480). That i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0) outputs to the display unit (100) that the stored fork height setting cannot be utilized. In other words, in this case, the control unit (300) can display 0000 for the target height and 0 for the target height number in th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00).

이때, 제어부(300)는 현재의 포크 높이(550)는 표시부(100)에 표시한다.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300) displays the current fork height (550) on the display unit (100).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선택한 번호가 이미 선택되어 중복 선택되어 중복된 선택 번호를 해제한 경우, 제어부(300)는 해제된 번호를 제외한 상태에서 현재 포크의 높이와 최대 포크 높이를 비교한다(S470). 구체적으로, 복도 C에 1,4,7,8로부터 다시 4번이 선택되어 복도 C에 1,7,8이 선택 및 표시된 경우, 제어부(300)는 현재 포크의 높이와 1,7,8에 저장된 포크 높이 중 최대 포크 높이를 비교한다.Or, as described above, if the number selected by the worker has already been selected and is selected repeatedly and the duplicate selection number is deselected,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while excluding the deselected number (S470). Specifically, if 4 is selected again from 1,4,7,8 in corridor C and 1,7,8 is selected and displayed in corridor C, the control unit (300)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among the fork heights stored in 1,7,8.

이때, 현재 포크의 높이가 5000mm이고, 1번에 저장된 포크 높이가 1000mm이고 7번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가 7000mm이라면, 제어부(300)는 포크가 7000mm의 목표 높이(520)로 이동되도록 포크 정보 표시영역(500)에 표시할 수 있다.At this time, if the current fork height is 5000 mm, the fork height stored in No. 1 is 1000 mm, and the fork height stored in No. 7 is 7000 mm, the control unit (300) can display in th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00) that the fork is moved to the target height (520) of 7000 mm.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는 작업자가 키패드(200)를 통해 포크 높이를 용이하게 설정 및 변경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변경된 정보를 표시부(100)를 통해 인지할 수 있다.By this configuration,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worker to easily set and change the fork height through the keypad (200), and accordingly, the changed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through the display unit (100).

또한, 본 발명의 일 시시예에 따른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는 작업자가 숫자 패드를 통해 복도 및 이에 따른 설정된 포크 높이를 선택 및 편집할 수 있어, 조작부의 모드 변환 및 설정 입력 변환을 통한 복잡한 절차 없이 숫자 패드를 통해 포크 목표 높이를 설정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operator to select and edit a corridor and a set fork height according to the corridor through a number pad, so that the fork target height can be set through the number pad without a complicated procedure through mode conversion and setting input conversion of the operating unit.

따라서, 산업차량은 상술한 산업차량의 표시장치(101)를 통해 포크 높이의 설정을 변경하여, 작업자가 조작부를 조정시 설된 목표 높이로 포크가 동작되도록 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industrial vehicle can change the setting of the fork height through the display device (101) of the industrial vehicle described above, so that the operator can adjust the operating unit to operate the fork to the set target height.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of.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in all respect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in 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포크 100: 표시부
200: 키패드, 숫자 패드 101: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300: 제어부 400: 복도 정보 표시영역
410: 선택된 복도 420: 선택된 복도에 대응되는 번호
500: 포크 정보 표시영역 510: 번호
520: 목표 높이 530: 현재 포크 높이
10: Fork 100: Display
200: Keypad, number pad 101: Display device of industrial vehicle
300: Control unit 400: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410: Selected corridor 420: Number corresponding to the selected corridor
500: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510: Number
520: Target height 530: Current fork height

Claims (14)

작업자가 산업차량의 포크의 높이 정보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설정하는 키패드;
산업차량의 운행 정보 및 상기 키패드에 의해 설정된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 및
상기 키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정보를 기초로 작업자가 상기 포크의 높이 정보 또는 상기 복도 정보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설정할 것인지 판단하여 상기 표시부에 출력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A keypad for the operator to se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the corridor information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operation information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the information set by the keypad;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whether the worker will set one or more of the fork height information or the corridor information based on the information input from the keypad and outputs the result to the display unit.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including:
삭제delete 제1항에서,
상기 키패드는 작업자에 조작되며 복수의 번호를 포함하는 숫자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paragraph 1,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keypad is a number pad that is operated by a worker and includes multiple numbers.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복도 정보 설정모드를 입력 받은 후,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상기 복도 정보를 변경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paragraph 3,
An industrial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an change and store the corridor information to a number entered from the number pad after receiving a corridor information setting mode from the keypad.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패드로부터 복도 정보 설정모드를 입력 받지 않은 경우,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상기 포크의 높이 정보를 저장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paragraph 3,
An industrial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an store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in the number entered from the number pad when the hallway information setting mode is not entered from the keypad.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N번을 입력 받는 경우, N번에서의 현재 포크의 높이와 N번 보다 작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rticle 5,
The above control unit,
An industrial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N is entered from the above number pad, the display unit displays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at N can be stored by comparing the difference in height of the current fork at N and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at a number smaller than N.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N번을 입력 받는 경우, N번 보다 큰 번호에 저장된 포크의 높이와 N번에서의 현재 포크의 높이의 높이 차를 비교하여, N번에 현재 포크의 높이 정보의 저장 가능여부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rticle 5,
The above control unit,
An industrial vehicle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when N is entered from the above number pad, the display unit displays whether or not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current fork can be stored in N by comparing the height difference between the height of the fork stored in a number greater than N and the height of the current fork in N.
제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기설정된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포크의 높이 정보를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rticle 5,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deletes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when a preset number is input from the number pad.
제3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현재의 포크 높이와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 입력 받은 번호에 저장된 포크 높이 중 최대 포크 높이를 비교하여 포크가 이동될 목표 높이를 표시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paragraph 3,
The above control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 number is input from the number pad, the control unit compares the current fork height with the maximum fork height among the fork heights stored in the number input from the number pad, and displays the target height to which the fork is to be moved.
제4항 또는 5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숫자 패드로부터의 기설정된 번호를 입력 받는 경우, 상기 복도 정보 설정모드로 판단하는 것을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paragraph 4 or 5,
The abov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is in the corridor information setting mode when a preset number from the number pad is entered.
포크를 포함하는 산업차량에 설치된 산업차량의 표시장치에 있어서,
작업자가 산업차량의 포크의 높이 정보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설정하는 숫자 패드; 및
산업차량이 이동되는 복도 정보를 표시하는 복도 정보 표시영역과, 상기 숫자 패드에 의해 설정된 포크의 목표 높이 및 현재 높이를 표시하는 포크 정보 표시영역을 포함하는 표시부
를 포함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 display device of an industrial vehicle installed on an industrial vehicle including a fork,
A number pad on which the operator sets the height information of the fork of the industrial vehicle and the corridor information along which the industrial vehicle moves; and
A display section including a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that displays corridor information along which an industrial vehicle moves, and a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that displays the target height and current height of the fork set by the number pad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including:
제11항에서,
상기 복도 정보 표시영역은,
선택된 복도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복도에 기설정된 포크 높이에 대응되는 번호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rticle 11,
The above corridor information display area is,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selected corridor information and a number corresponding to a preset fork height in the selected corridor.
제11항에서,
상기 포크 정보 표시영역은,
현재의 포크 높이와, 현재의 포크가 이동될 목표 높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rticle 11,
The above fork information display area is,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characterized by displaying the current fork height and the target height to which the current fork is to be moved.
제13항에서,
상기 목표 높이를 표시할 때, 상기 목표 높이가 저장된 번호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차량의 표시장치.
In Article 13,
A display device for an industrial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displaying the target height, the number in which the target height is stored is also displayed.
KR1020220064717A 2022-05-26 2022-05-26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Active KR10274475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717A KR102744754B1 (en) 2022-05-26 2022-05-26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4717A KR102744754B1 (en) 2022-05-26 2022-05-26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46A KR20230164946A (en) 2023-12-05
KR102744754B1 true KR102744754B1 (en) 2024-12-18

Family

ID=89157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4717A Active KR102744754B1 (en) 2022-05-26 2022-05-26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4754B1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614A (en) 2001-07-12 2003-01-29 Toyota Industr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position, industrial vehicle, mark, pallet, shelf and system for materials handling and pasting agent
JP2011195334A (en) 2010-09-03 2011-10-06 Shinmei Ind Co Ltd Safety device of forklift
JP2020179953A (en) * 2019-04-24 2020-1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Cargo handling suppor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96335B2 (en) * 1996-06-12 2005-09-14 株式会社トプコン Method for associating each measurement point of multiple images
KR101415975B1 (en) * 2012-07-19 2014-07-04 한국콘베어공업주식회사 Automatic fork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forklift
KR101955630B1 (en) * 2016-12-08 2019-03-07 삼성중공업(주) Apparatus and method for managing position of material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28614A (en) 2001-07-12 2003-01-29 Toyota Industrie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on of position, industrial vehicle, mark, pallet, shelf and system for materials handling and pasting agent
JP2011195334A (en) 2010-09-03 2011-10-06 Shinmei Ind Co Ltd Safety device of forklift
JP2020179953A (en) * 2019-04-24 2020-1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Cargo handling support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4946A (en)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62389A (en) Information processor with multi-window display function
US6081819A (en) Electronic calculator with graph displaying function
CN103010957B (en) Crane working condition inquiring system and method
KR102744754B1 (en) Display device of the industrial vehicle
EP2557466A1 (en) Portable remote controller and robotic system
EP3805888B1 (en) Remote operation system for forklift
CN112181907A (en) Method and device for switching display of file directory of external device
US20190095966A1 (en) Amplifier selection device comprising accessory selecting function
JP6323841B2 (en) Display device for work equipment
CN112306330B (en) Construction of multilevel menu operating system applied to crane operating handle
US7712587B2 (en) Elevator system and method of monitoring elevators by using a virtual elevator group
JP6878367B2 (en) Numerical control device
JP6358635B1 (en) Manned and unmanned cargo handling system
JP2008156051A (en) Inspection terminal, inspection program and inspection method
US6351655B1 (en) Method of handling registration data and telephone apparatus for the same
KR102625973B1 (en) Graphic image-based machine tool pallet monitor device and display method thereof
US20080114471A1 (en) Display method for supervisory control system
JPH05341941A (en) Information processor
JP3446245B2 (en) Data input device
JP2005012916A (en) Power system monitor control system
JPH0756625B2 (en) Cursor menu controller
JPH0822369A (en) Signal input device
JPH0891798A (en) Working control system for forklift truck
CN112278686A (en) Goods shelf selection system and method
JPH07334517A (en) Screen selection system for portable computer for mainten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