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3925B1 -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 Google Patents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3925B1
KR102743925B1 KR1020230136451A KR20230136451A KR102743925B1 KR 102743925 B1 KR102743925 B1 KR 102743925B1 KR 1020230136451 A KR1020230136451 A KR 1020230136451A KR 20230136451 A KR20230136451 A KR 20230136451A KR 102743925 B1 KR102743925 B1 KR 102743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vable frame
horizontal frame
bridge
safety devi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6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명권
Original Assignee
(주)건설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건설기술원 filed Critical (주)건설기술원
Priority to KR1020230136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3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3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392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2/00Methods or apparatus for repairing or strengthening existing bridges ; Methods or apparatus for dismant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의 하부에서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를 제안한다. 본 발명 안전장치는, 작업자와 연결할 수 있는 안전고리를 구비하는 수평프레임(12), 수평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고정되고, 내측으로 벤딩된 상단부에서 빔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를 구비하는 측면 고정프레임(14)을 구비하고 있다. 가동프레임은, 수평프레임의 타측에서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상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간격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거나,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좌우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내측으로 벤딩된 상단부에서 빔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Safety device for bridge inspection}
본 발명은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 위에 있는 차량으로부터 교량의 하부로 연장된 기구물을 이용하여 안전 점검을 수행하는 경우, 차량의 위험이 작업자의 위험으로 연결되지 않도록 교량의 빔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점검용 안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의 안전 진단을 수행하는 경우, 교량의 하부에서 상태를 점점하는 것이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교량 하부에 점검을 위한 레일 등이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작업자의 몸에 안전장치를 장착함으로써 간단하게 안전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의 안전장치 중의 하나가 한국 특허 10-0977071에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교량의 하부에 점검을 위한 점검로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작업차가 교량 상에 있는 상태에서, 교량의 하부를 볼 수 있도록 대략 ㄷ자형의 붐 구조물을 통하여 점점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식을 따르면 실질적으로 교량위에 있는 점검용 차에는 일측으로만 하중이 전달되기 때문에, 차량의 위험은 작업자의 위험으로 바로 나타날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교량 위에 차량에서 교량 하부로 연장되는 구조물을 이용하여 교량의 안전을 점검하는 경우, 교량 저면의 빔에 의지할 수 있는 별도의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교량 위의 차량의 위험이 교량 밑에서 작업하는 점점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안전장치를 교량 하부의 빔을 이용하여 설치함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고자 하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본 발명 안전장치는, 수평프레임과,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고정되고, 내측으로 벤딩된 상단부에서 빔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수평프레임의 타측에는,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상단부가 외측으로 일정 간격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내측으로 벤딩된 상단부에서 빔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를 구비하는 가동프레임이 설치된다. 여기서 가동프레임이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복귀시키고, 가동프레임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이 구비된다. 상기 수평프레임, 가동프레임 또는 고정프레임 중의 적어도 일측에는 안전고리가 설치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수평프레임의 타측에 지지되는 가동프레임 하부에 대하여 가동프레임 상부가 외측으로 일정 간격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가동프레임의 상부에는 빔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가 구비된다.
또 다른 실시례에 의하면, 상기 가동프레임 하부는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례의 가동프레임은, 수평프레임의 타측에서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하면, 교량 위의 작업차량을 이용하여, 교량 하부에서 안전 진단을 실시하는 작업자가 본 발명 안전장치를 이용함으로써 차량의 안전 여부와 별도로 교량의 빔을 이용하여 추락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안전장치를 제안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 안전장치는 교량의 점검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을 근본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안전장치의 전체적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 안전장치의 요부 사시도.
다음에는 도면에 도시한 실시례를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안전장치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 안전장치(10)는 교량의 저면을 구성하는 빔(2)에 지지되면서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것이다. 여기서 빔(2)은 교각 상부에 올려져서 교량의 상판 및 상부 구조물을 지지하는 것으로, 통행 방향을 따르는 다수 개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빔을 이용한다는 것은 실질적으로 교량의 상부 구조물 중에서 가장 안전한 구조물에 지지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차량(교량 위에 위치)과 연결되는 ㄷ형 구조물에 의하여 교량의 하부에서 안전 여부를 점검(진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안전 진단을 수행할 때,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교량 상부에 있는 차량의 상태에 의하여, 작업자의 안전이 결정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안전 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안전장치는 상술한 빔(2)을 이용하여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것으로, 수평프레임(12)과, 수평프레임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고정프레임(14), 그리고 수평프레임(12)의 타측면에 설치되는 가동프레임(16)을 포함하고, 이들은 예를 들면 사각 강관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본 발명 안전장치의 일측에는 안전고리(18)가 구비되는데, 도시한 실시례에서는 양측면의 고정프레임(14) 및 가동프레임(16)에 설치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안전고리(18)는 작업자의 안전 줄과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2)의 일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된 고정프레임(14)이 설치된다. 여기서 고정프레임(14)은 수평프레임(12)의 일측 단부에 고정된 상태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수평프레임(12)의 타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이동 가능한 가동프레임(16)이 설치된다. 고정프레임(14)과 가동프레임(16)의 상단부(14a,16a)는 서로 내측으로 벤딩된 상태에서, 구름롤러(Ra,Rb)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름롤러(Ra,Rb)는 빔(2)의 상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구름 운동을 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이어서, 궁극적으로 점검자는 구름롤러(Ra,Rb)의 구름 운동에 따라서 빔(2) 방향을 따라 이동하면서 교량 상태를 점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가동프레임(16)은 실질적으로 그 상단부가 이동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것이고, 다음과 같은 이동을 위한 구체적인 구조를 가지고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프레임(16)의 일부(수평프레임의 상부측)에는 힌지(20)가 개재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프레임(16)의 상부는 상기 힌지(2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전하여 벌어질 수 있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힌지(20)는 회전축과, 회전축을 중심을 회전하는 한 쌍의 회전편으로 구성되는 경첩을 예시하고 있다.
따라서 가동프레임(16)은 힌지(20)의 간섭 또는 가동프레임(16)의 접철 부분의 간섭에 의하여 직립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힌지(20)를 중심으로 외측으로 회동하여 벌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가동프레임(16)에서 힌지(20)를 중심으로 하는 상부와 하부가 직립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
도시한 실시례에서, 가동프레임(16)에서 힌지(20)의 상하부에 대응하는 가동프레임(16)의 상부와 하부가 직립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구성을 예시적으로 채택하고 있다. 가동프레임 상부(16u)의 내측면에 체결공(16s)을 구비하는 체결편(16m)을 설치하고, 가동프레임 하부(16l)에는 결합슬롯(16r)을 구비하는 고정편(16n)을 설치하고 있다.
여기서 가동프레임 상부(16u)와 가동프레임 하부(16l)가 수직 상태가 되면, 체결편(16m)이 결합슬롯(16r)을 관통하여 내측으로 돌출된다(도 1 참조). 이러한 상태에서 체결편(16m)의 체결공(16s)에 고정용 핀을 끼움으로써, 가동프레임(16)은 전체적으로 수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직상태는 실질적으로 간섭에 의하여 상하 방향으로 일직선을 이루고 이러한 상태를 고정수단에 의하여 유지하고 있는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례에서는, 가동프레임(16)에 대한 하나의 실시례로서, 가동프레임(16)의 상부(16u)가 하부(16l)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을 설명하였다. 여기서 가동프레임(16) 전체가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회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충분히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가동프레임(16)은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도시한 실시례에 의하면, 수평프레임(12)은 가동프레임(16) 하부의 관통공(16d)을 관통한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가동프레임 하부(16l)는 수평프레임(12)의 정해진 위치에 고정되어야 한다. 이렇게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하는 가동프레임(16)을 정해진 위치에 고정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다양한 구조로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예를 들면 수평프레임(12) 및 가동프레임 하부(16l)에 적절한 간격을 구멍을 형성하고, 고정용 핀을 공통적으로 결합하면, 실질적으로 가동프레임(16)은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고정된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구성 이외에도, 쐐기를 이용하거나 양자를 서로 고정시키는 것 등을 통하여,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가동프레임(16)을 고정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다양한 구성이 있을 수 있을 것임을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쉽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동프레임(17)은 구름롤러(Rb)가 설치되어 있는 상단부가 외측으로 벌어졌다가 원위치로 복귀하여 빔(2)의 상면에 걸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가동프레임(16)이 외측으로 벌어지는 것은 가동프레임의 상부를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가동프레임(16) 전체가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례로서 가동프레임(16)이 수평프레임(1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 가능함과 동시에 회동하는 것도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도시된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은 안전장치를 통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안전고리(18)를 이용하여 작업자를 추락하지 않도록 잡은 상태로 교량의 점검이 수행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안전장치를 이용하는 것에 의하여, 교량 위 작접 차량의 상태와 무관하게 작업자의 안전을 충분히 더 확보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본적인 기술적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다양한 변형이 가능할 것임은 자명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기초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임도 특허법의 규정 취지상 당연한 것으로 생각된다.
10 ..... 안전장치
12 ..... 수평프레임
14 ..... 고정프레임
16 ..... 가동프레임
18 ..... 안전고리
Ra, Rb ..... 구름롤러

Claims (4)

  1. 수평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일측에서 수직으로 고정되고, 내측으로 벤딩된 상단부에서 빔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를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의 타측에서 설치되고, 상부가 수평프레임 하부에 대하여 외측으로 일정 간격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하부가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좌우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내측으로 벤딩된 상단부에 빔의 상면에 접하도록 설치되는 구름롤러를 구비하는 가동프레임;
    상기 수평프레임, 가동프레임 또는 고정프레임 중의 적어도 일측에 설치되는 안전고리; 그리고
    상기 가동프레임이 수평프레임에 대하여 수직상태로 복귀된 가동프레임의 수직상태를 유지하는 유지수단으로 구성되고;
    상기 유지수단은, 가동프레임 상부의 내측면에 설치되는 체결공을 구비하는 체결편과, 가동프레임 하부에 설치되는 결합슬롯을 구비하는 고정편, 그리고 가동프레임 상부와 가동프레임 하부가 수직 상태가 되면 체결편이 결합슬롯을 관통한 상태에서 체결편의 체결공에 끼워지는 고정용핀으로 구성되는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30136451A 2023-10-13 2023-10-13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Active KR102743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451A KR102743925B1 (ko) 2023-10-13 2023-10-13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6451A KR102743925B1 (ko) 2023-10-13 2023-10-13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43925B1 true KR102743925B1 (ko) 2024-12-17

Family

ID=94079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36451A Active KR102743925B1 (ko) 2023-10-13 2023-10-13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3925B1 (ko)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9548U (ko) * 1989-03-30 1990-10-25
KR100504426B1 (ko) * 2002-05-13 2005-07-28 최성문 이동식 교량 점검 장치
JP2005232773A (ja) * 2004-02-19 2005-09-02 Sakurai Giken Kogyo Kk 橋梁・高架道路等の補修用の移動式吊足場
KR20090119339A (ko) * 2008-05-16 2009-11-19 윤지희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KR20100138298A (ko) * 2009-06-25 2010-12-31 김용일 거푸집 가로대 고정용 팀버 브라켓
KR20140006161U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론지용 안전로프 클램프
KR20160106815A (ko) * 2015-03-02 2016-09-13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용 클램프
KR20170094055A (ko) * 2016-02-05 2017-08-17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용 클램프
KR101839600B1 (ko) * 2017-07-27 2018-03-16 현빈개발 주식회사 경강선 보강을 이용한 일체형 안전교량점검로
CN113846556A (zh) * 2021-10-12 2021-12-28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一种桥梁安全检测装置
CN114657853A (zh) * 2022-05-07 2022-06-24 刘艳会 一种公路桥梁的桥面状态检测装置
CN218842865U (zh) * 2022-12-08 2023-04-11 杭州市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平衡式桥检挂架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129548U (ko) * 1989-03-30 1990-10-25
KR100504426B1 (ko) * 2002-05-13 2005-07-28 최성문 이동식 교량 점검 장치
JP2005232773A (ja) * 2004-02-19 2005-09-02 Sakurai Giken Kogyo Kk 橋梁・高架道路等の補修用の移動式吊足場
KR20090119339A (ko) * 2008-05-16 2009-11-19 윤지희 파이프고정용 클램프
KR20100138298A (ko) * 2009-06-25 2010-12-31 김용일 거푸집 가로대 고정용 팀버 브라켓
KR20140006161U (ko) * 2013-05-29 2014-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L론지용 안전로프 클램프
KR20160106815A (ko) * 2015-03-02 2016-09-13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용 클램프
KR20170094055A (ko) * 2016-02-05 2017-08-17 주식회사 블루폼 거푸집용 클램프
KR101839600B1 (ko) * 2017-07-27 2018-03-16 현빈개발 주식회사 경강선 보강을 이용한 일체형 안전교량점검로
CN113846556A (zh) * 2021-10-12 2021-12-28 交通运输部科学研究院 一种桥梁安全检测装置
CN114657853A (zh) * 2022-05-07 2022-06-24 刘艳会 一种公路桥梁的桥面状态检测装置
CN218842865U (zh) * 2022-12-08 2023-04-11 杭州市交通工程集团有限公司 一种平衡式桥检挂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8136118A1 (ja) エレベータのかご上手摺装置
JP5217073B2 (ja) 乗りかご及びエレベータ装置
US10119248B2 (en) Guardrail for construction equipment
KR102743925B1 (ko) 교량 점검용 안전장치
JP2015101472A (ja) 乗客コンベア用フレーム支持構造
WO2015178511A1 (ko) 건설 중장비용 접이식 레일
KR20200023861A (ko) 로프 보호기구
JP6724111B2 (ja) 屋上用目地カバー装置
EP1916214A1 (en) Elevator device
US11390305B2 (en) Underfloor device of railway vehicle
JP6650416B2 (ja) 乗客コンベア及び乗客コンベアのリニューアル方法
JP6902985B2 (ja) 軌道走行式機械
JP6024605B2 (ja) エレベーターの据付作業床装置
JP7478107B2 (ja) 乗客コンベア装置
JPH1031988A (ja) 蓄電池設備
KR101250709B1 (ko) 갱폼 인양용 가이드레일 시스템
JP2000247565A (ja) 乗客コンベア
KR100397103B1 (ko) 리프트장치
JP2016098106A (ja) エレベータのかご固定装置
JP4807144B2 (ja) エレベータのレールゲージサポート部材
JP3848704B2 (ja) 親綱支持装置
JP3331520B2 (ja) 免震エレベ−タの構造
KR101574466B1 (ko) 갱폼과 레일의 연결구조 및 이를 적용한 갱폼 장치
CN222714989U (zh) 后配重托盘及起重设备
JP2009018901A (ja) 引掛かり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01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3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01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