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3725B1 -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 Google Patents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3725B1
KR102743725B1 KR1020220108203A KR20220108203A KR102743725B1 KR 102743725 B1 KR102743725 B1 KR 102743725B1 KR 1020220108203 A KR1020220108203 A KR 1020220108203A KR 20220108203 A KR20220108203 A KR 20220108203A KR 102743725 B1 KR102743725 B1 KR 1027437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er
worker
housing
thigh
auxilia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0820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29874A (en
Inventor
권철민
김덕후
김진범
김재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젤로보틱스
Priority to KR10202201082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3725B1/en
Publication of KR2024002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2987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37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372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9Constructional details, e.g. manipulator supports, ba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ipula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동력(또는 전동) 방식으로 무게와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본 발명은 무동력(또는 전동) 방식으로 무게와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착용자의 수하물 작업시 고관절 영역의 보조토크 및 하중에 대한 보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체의 다양한 회전 또는 굽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ve device for a worker, which minimizes weight and cost in a non-powered (or powered) manner while simultaneously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which provides auxiliary torque and auxiliary power for a load in the hip joint area when the wearer works with luggage,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various degrees of freedom for rotation or bending of the upper body.

Description

작업자용 보조기{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본 발명은 작업자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은 무동력(또는 전동) 방식으로 무게와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착용자의 수하물 작업시 고관절 영역의 보조토크 및 하중에 대한 보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체의 다양한 회전 또는 굽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용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ve device for worker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ssistive device for workers that can minimize weight and cost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in a non-powered (or powered) manner, provide assistive torque and load to the hip joint area when the wearer works with luggage, and provide various degrees of freedom for rotation or bending of the upper body.

최근 동력 방식의 작업자용 착용형 로봇이 소개되고 있다. 특정 동작 반복시 작업자의 신체에 가해지는 반복 하중을 지지하거나 작업자의 움직임을 보조하기 위하여 작업자용 착용형 로봇들이 소개되고 있다.Recently, wearable robots for workers using power have been introduced. Wearable robots for workers are being introduced to support the repetitive load applied to the worker's body during specific repetitions or to assist the worker's movements.

대부분 전동식 구동기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신체 능력보다 큰 힘을 내거나, 반복 동작시 관절과 근육을 보호하기 위한 보조력을 제공하거나, 장시간 불편한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작업의 특성상 작업자의 자세를 보조하는 보조력을 제공하여 신체의 피로도를 낮추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동식 구동기가 아닌 스프링 등에 의한 특정 자세에 중력에 대한 보조력을 제공하는 장비(차량 조립 또는 건축 공사 등을 위한 장비)들도 소개된 바가 있으나, 그러한 제품은 특정 자세를 지지하기 위하여 설계되어 다양한 움직임과 자유도가 요구되는 작업에서 적절치 않다.Most of them are equipped with electric actuators, so that they can exert force greater than the wearer's physical ability, provide assistive force to protect joints and muscles during repetitive movements, or provide assistive force to support the worker's posture due to the nature of the work that requires maintaining an uncomfortable posture for a long time, thereby reducing physical fatigue. In addition, equipment that provides assistive force against gravity for a specific posture using springs, etc. rather than electric actuators (equipment for vehicle assembly or construction work, etc.) has been introduced, but such products are designed to support a specific posture, and are not suitable for work that requires various movements and degrees of freedom.

물류단지에서 수행되는 택배 상하차 작업은 취급 물품이 크기 또는 무게 등이 규격화되지 않고, 협소한 공간에서 지속적인 반복동작을 통해 수하물을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작업으로 수하물의 무게도 견뎌야 하며, 컨베이어 벨트와 차량 사이에서 몸을 반복적으로 비틀거나 상체를 굽히고 세우는 동작이 장시간 반복되며, 물류량에 따라 작업자의 수도 탄력적으로 운용되는 특성이 있다.The loading and unloading work performed in logistics complexes involves loading and unloading luggage through continuous, repetitive movements in a narrow space, where the size or weight of the items being handled is not standardized. The weight of the luggage must also be withstood. The body is repeatedly twisted or the upper body is bent and raised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vehicle for a long time. The number of workers is also flexibly operated depending on the amount of logistics.

비용과 무게 그리고 크기까지 최소화되면서도 이러한 택배 상하차 작업 작업자의 피로도와 부상을 낮추고 작업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작업자용 보조기에 대한 요구가 크다.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worker assistance devices that can reduce fatigue and injuries of workers loading and unloading parcels and increase work efficiency while minimizing cost, weight, and size.

또한, 택배 상하차 작업 이외에도 작업자의 작업 환경에 따라 작업 대상물의 하중 보조 기능이 필요한 경우 이외에도 공조시설이 부족한 환경에서 송풍 기능 또는 어두운 환경에서 조명 기능 등의 다양한 서포트가 제공될 필요가 있다.In addition to the loading and unloading of parcels, there are cases where the load assistance function of the work object is required depending on the worker's work environment, and various supports such as a ventilation function in an environment with insufficient air conditioning facilities or a lighting function in a dark environment need to be provided.

본 발명은 무동력(또는 전동) 방식으로 무게와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하게 하고, 착용자의 수하물 작업시 고관절 영역의 보조토크 및 하중에 대한 보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체의 다양한 회전 또는 굽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는 작업자용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worker's assistive device that can minimize weight and cost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in a non-powered (or powered) manner, provide assistive torque and assistive force for load in the hip joint area when the wearer works with luggage, and provide various degrees of freedom for rotation or bending of the upper body.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상체유닛; 착용자의 골반에 착용되는 골반유닛; 착용자의 대퇴에 착용되는 대퇴유닛; 및, 상기 상체유닛, 상기 골반유닛 및 상기 대퇴유닛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고관절 신전 또는 굴곡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는 작업자용 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ssistive device for a worker, including: an upper body unit mounted on the upper body of a wearer; a pelvis unit worn on the pelvis of the wearer; a thigh unit worn on the thigh of the wearer; and a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pper body unit, the pelvis unit, and the thigh unit and providing an assistive torque that assists a hip joint extension or flexion motion of the wearer.

또한,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골반유닛에 장착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상체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바 및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대퇴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바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는 상기 상부 연결바와 상기 하부 연결바의 연결각도 감소시 복원토크를 발생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necting unit includes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mounted on the pelvic unit; a pair of upper connecting bars connecting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upper body unit; and a pair of lower connecting bars connecting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thigh unit, and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can generate a restoring torque when the connecting angle of the upper connecting bar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decreases.

그리고, 상기 골반유닛은 착용자의 골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골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는 각각의 상기 골반부재의 외측에 미리 결정된 범위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And, the pelvic unit includes a pair of pelvic members that wrap around both sides of the wearer's pelvis, and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constituting the connecting unit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pelvic members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여기서,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편심된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곡면 구름면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연결바 측에 연결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구름면을 따라 구름 구동되며 상기 상부 연결바 측에 연결되는 캠롤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캠롤러를 상기 캠부재의 구름면 방향으로 추진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에 상기 캠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운트 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may include a housing, a cam member rotatably mounted by a rotating shaft eccentric with the housing and having a curved rolling surfac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side, a cam roller that rolls along the rolling surface of the cam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side, an elastic member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within the housing to propel the cam roller in the direction of the rolling surface of the cam member, and a mount member o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at one end and the cam roller is rotatably mounted at the other end.

이 경우,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압축 가능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elastic member may be a coil spring that is compressi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하우징 측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캠부재 측에 연결될 수 있다.And, the upper connecting bar can be connected to the housing sid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can be connected to the cam member sid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또한, 상기 상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하우징으부터 착용자의 상체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체유닛에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connecting bar can be bent from the housing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toward the rear of the wearer's upper body and connected to the upper body unit.

그리고, 상기 상체유닛은 착용자의 등판을 감싸는 등판부 및 착용자의 양어깨로 분지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등판부재 및 상기 등판부재에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상부 연결바의 연결 높이, 연결 폭 또는 연결 각도 변경을 허용하는 사이즈조절장치를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body unit may include a back member including a back member covering the back of the wearer and a branch member branching to both shoulders of the wearer, and a size adjustment device mounted on the back member to allow a change in the connection height, connection width, or connection angle of a pair of the upper connection bars.

여기서, 상기 사이즈조절장치는 상기 등판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착용자의 전방 방향 x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연결바의 단부가 양단에서 탄성 견인된 상태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익스텐더;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size adjustment device may include a guide bar mounted vertically on the climbing member, a slider slidably mounted on the guide bar, a rotator mounted on the slider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x-ax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wearer, and a pipe-shaped extender mounted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rotator and having each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inserted or withdrawn in a state where it is elastically pulled at both ends to enable width adjustment.

이 경우, 상기 상부 연결바는 상기 사이즈조절장치의 익스텐더 양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connecting bar can be connected horizontally to both ends of the extender of the size adjusting device.

그리고, 상기 가이드바는 중공 카본 파이프로 구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guide bar may be composed of a hollow carbon pipe.

또한, 상기 등판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착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글로브 형태의 손지지부를 견인하는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견인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 견인장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traction device may be further provided, which is mounted on the above-mentioned climbing member and has a traction wire wound around it to provide a traction force that tractions a glove-shaped hand support part mounted on the hand of the wearer.

그리고,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는 2개가 각각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two of the above wire pulling devices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ranch portion of the climbing member.

여기서,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견인 와이어가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권취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기부에 슬라이딩록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Here, the traction wire constituting the wire traction device is elastically wound by an elastic member, and the housing can be mounted on the branch section in a sliding lock manner.

이 경우,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를 경유하여 착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손지지부로 연결되도록 착탈 가능한 클립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분기부에 장착되는 와어어 가이드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traction wire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clip so as to be connected to a hand support member worn on the wearer's hand via a branch portion of the climbing member, and a wire guide member mounted on the branch portion may be provided.

그리고,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면으로 선택적 돌출되는 돌기 형태의 로킹부,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장착되고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로킹 해제버튼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를 상기 분기부에 슬라이딩 장착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에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의 로킹부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의 하우징이 슬라이드 장착되기 가이드 슬롯을 구비할 수 있다.And, the wire pulling device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locking release button tha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an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by a pushing action, and a sliding rail for slidingly mounting the wire pulling device on the branch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may be provided with a catch protrusion for catching and fix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wire pulling device on the branch portion of the climbing member, and a guide slot for slidingly mounting the housing of the wire pulling device.

또한,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캠부재 하부로부터 착용자의 대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대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대퇴유닛의 대퇴부재에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nnecting bar may be ben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m member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toward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and connected to the thigh member of the thigh unit by being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thigh.

그리고, 상기 대퇴유닛은 착용자의 대퇴 전방을 감싸는 대퇴부재 및 상기 대퇴부재 외주면에 상기 하부 연결바의 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대퇴부재에 장착되는 캡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high unit may include a thigh member that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and a cap member that is mounted on the thigh member in a state where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is receiv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high member.

여기서,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대퇴부재 전방으로 연결되되 상기 하부 연결바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캡부재 내부에 상기 하부 연결바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lower connecting bar may be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high member, and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may be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rotational spa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p member so that the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에 의하면, 착용자의 수하물 작업시 고관절 영역의 보조토크 및 하중에 대한 보조력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체의 다양한 회전 또는 굽힘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worker's assis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ssistive torque and assistive force for load in the hip joint area while the wearer is working with luggage, while also providing various degrees of freedom for rotation or bending of the upper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에 의하면, 무게, 부피와 무전동 방식으로 비용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구조를 단순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orker's assis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while minimizing the weight, volume, and cost by being non-electric.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에 의하면, 상체유닛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와이어 견인장치를 통해 팔에 가해지는 하중 부담을 줄일 수 있으나, 와이어 견인장치가 팔의 외골격 형태로 장착되지 않으므로 상하차 작업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팔의 자유로운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load burden applied to the arm can be reduced through the wire traction device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but since the wire traction device is not mounted in the form of an exoskeleton of the arm, free movement of the arm, which is most frequently used in loading and unloading work, can be provided.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에 의하면, 사이즈 조절장치를 구비하여 다양한 작업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고 보관시에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size adjustment device so as to accommodate various body sizes of workers and minimize volume during stora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에 의하면, 다양한 목적과 기능의 보조장치를 착용자가 선택적으로 장착과 분리가 가능하므로 장비의 활용성이 증대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earer can selectively attach and detach auxiliary devices of various purposes and functions, so the usability of the equipment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박스 형태의 수하물을 들고 있는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의 전방 사시도와 후방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를 착용한 착용자가 바닥에 존재하는 수하물을 들어올리는 과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 및 도 8은 슈트, 밴드 등의 착용부재가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후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상체유닛의 후면도와 상체유닛에 장착된 와이어 견인장치가 분리된 상태의 후면도를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유틸리티 장치로서의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2는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 내부에서의 견인 와이어의 권취상태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사이즈 조절장치를 구성하는 익스텐더의 폭방향 사이즈 조절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연결유닛의 외측면도 및 내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작동상태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대퇴유닛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8 및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상체유닛에 와이어 견인장치 대신 조명장치 및 송풍장치가 각각 장착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er holding a box-shaped piece of luggage to explain the concept of a worker's assis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orker's assis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earer wearing a worker's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4 to 6 illustrate side views of a process in which a wearer wearing a worker's assis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fts a baggage present on the floor.
FIGS. 7 and 8 illustrate rear and side views of a worker's ai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wearable parts such as a suit and band removed.
FIGS. 9 and 10 illustrate a rear view of the upper body unit of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ar view of the wire traction device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in a separated state.
Figure 11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traction device (130) as a utility device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llustrates the winding state of the traction wire inside the wire traction device.
Figure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th-wise size adjustment state of an extender constituting a size adjustment device of an assistant for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llustrates an outer side view and an inner side view of a connecting unit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constituting a connecting unit of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constituting a connecting unit of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7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gh unit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18 and 19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mbodiment in which a lighting device and a blower device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a wire traction device.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s can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Like reference numerals represent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하여 작업자(w)가 박스 형태의 수하물(B)을 들고 있는 측면도를 도시한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a worker (w) holding a box-shaped piece of luggage (B) to explain the concept of a worker's assista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택배 등의 수하물(B)의 상하차 작업은 컨베이어 밸트와 배송 차량 사이에서 수많은 수하물(B)을 반복적으로 상차하거나 하차하는 작업으로 작업의 피로도가 상당하다. 또한, 수하물(B)의 상차 또는 하차시 수하물(B)의 위치와 수하물(B)의 무게와 형태가 다양하다는 특징이 있다.The loading and unloading of baggage (B) such as parcels involves repeatedly loading or unloading numerous baggage (B) between the conveyor belt and the delivery vehicle, and the work is quite tiring. In addition, when loading or unloading baggage (B), the location of the baggage (B) and the weight and shape of the baggage (B) are different.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하물(B)을 작업자가 들고 상하차 작업을 하는 경우 작업자의 팔은 전방으로 향하고 수하물(B)의 무게 중심(g)은 작업자의 전방에 위치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하물(B) 없이 직립한 상태와 비교하여 수하물(B)의 무게 및 수하물(B)의 무게에 의한 모멘트가 작업자의 팔, 어께, 척추 및 고관절과 슬관절을 포함하는 하체를 통해 신체에 가해지게 된다.As illustrated in Fig. 1, when a worker is carrying a baggage (B) and loading and unloading, the worker's arm is directed forward and the center of gravity (g) of the baggage (B) is located in front of the worker. Therefore, compared to a state where the worker is standing upright without the baggage (B), the weight of the baggage (B) and the moment due to the weight of the baggage (B) are applied to the body through the worker's arms, shoulders, spine, and lower body including the hip and knee joints.

따라서, 본 발명은 팔과 수하물(B)의 무게를 보상할 수 있도록 스프링(전동 구동기도 가능) 등을 이용한 팔의 중력보상 메커니즘을 적용하여 작업자 팔의 피로도는 낮추고, 하중 전달구조를 제공하여 수하물(B)의 하중이 작업자의 척추, 허리 및 다리의 신체 기관 이외에 보조기를 통해 지면으로 전달되는 경로를 제공하여 신체적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2 이하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applies a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 of the arm using a spring (also possible with an electric drive) or the like to compensate for the weight of the arm and the baggage (B), thereby reducing fatigue of the arm of the worker, and providing a load transfer structure so that the load of the baggage (B) is transferred to the ground through an assistive device in addition to the body organs of the spine, waist, and legs of the worker, thereby minimizing physical burden.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and below.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하나의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를 착용한 착용자의 전방 사시도와 후방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를 착용한 착용자가 바닥에 존재하는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과정의 측면도를 도시한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one embodiment of a worker's assista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front perspective view and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wearer wearing a worker's assista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4 to 6 are side views of a process in which a wearer wearing a worker's assista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fts a baggage (B) located on the floor.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 착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상체유닛(100); 착용자의 골반에 착용되는 골반유닛(300); 착용자의 대퇴에 착용되는 대퇴유닛(400); 및, 상기 상체유닛(100), 상기 골반유닛(300) 및 상기 대퇴유닛(400)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고관절 신전 또는 굴곡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worker's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upper body unit (100) mounted on the upper body of the wearer; a pelvis unit (300) worn on the pelvis of the wearer; a thigh unit (400) worn on the thigh of the wearer; and a connecting unit (200) for connecting the upper body unit (100), the pelvis unit (300), and the thigh unit (400) and providing an assisting torque for assisting the wearer's hip joint extension or flexion motion.

즉,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 작업자가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과정에서 상체와 하체를 전개 또는 신전하는 동작에서 보조토크를 제공하여 착용자의 하중 부담을 경감하고 근력을 보조할 수 있다.That is,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uxiliary torque in the movement of unfolding or extending the upper and lower body while the worker lifts the baggage (B), thereby reducing the wearer's load burden and assisting muscle strength.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 착용자의 상체, 골반 및 대퇴에 각각 장착되는 상체유닛(100), 골반유닛(300) 및 대퇴유닛(400)을 구비하고, 상체유닛(100), 골반유닛(300) 및 대퇴유닛(400)을 연결유닛(200)을 이용하여 연결하여 상기 골반유닛(300)을 중심으로 상체유닛(100)과 대퇴유닛(400)의 전개 또는 신전 보조력 또는 보조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worker's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body unit (100), a pelvis unit (300), and a thigh unit (400) which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wearer's upper body, pelvis, and thigh, and the upper body unit (100), the pelvis unit (300), and the thigh unit (400) are connected using a connecting unit (200) so as to provide an assistive force or assistive torque for the deployment or extension of the upper body unit (100) and the thigh unit (400) centered on the pelvis unit (300).

상기 연결유닛(200)은 작업자가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작업 등에서 상기 골반유닛(300)을 중심으로 상체유닛(100)과 대퇴유닛(400)의 전개 또는 신전 보조력 또는 보조토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골반유닛(300)에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를 구비하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상체유닛(100)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바(230) 및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하체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바(25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상기 상부 연결바(230)와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연결각도 감소시, 예를 들면 작업자가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등의 동작시 복원토크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작업자 상체와 하체의 회전중심인 골반에 설치되는 골반유닛(300) 측에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 connecting unit (200) is provided with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mounted on each side of the pelvis unit (300) to provide an assistive force or an auxiliary torque for the expansion or extension of the upper body unit (100) and the thigh unit (400) centered on the pelvis unit (300) when the worker lifts the baggage (B), and includes a pair of upper connecting bars (230) connecting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upper body unit (100) and a pair of lower connecting bars (250) connecting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lower body unit.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may be provided to generate a restoring torque when the connecting angle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decreases, for example, when the worker lifts the baggage (B), and may be mounted on the pelvis unit (300) installed at the pelvis, which is the rotation center of the worker's upper and lower bodies. there is.

그리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에서 발생되는 보조토크를 상체와 하체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연결유닛(200)의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와 상체유닛(100) 및 대퇴유닛(400)을 각각의 연결바(230, 250)로 연결한다.And, in order to transmit the auxiliary torque generated from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to the upper body and lower body,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of the connecting unit (200), the upper body unit (100), and the thigh unit (400) are connected by each connecting bar (230, 250).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유닛(200)은 각각의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와 상기 상체유닛(100)의 후방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바(230) 및 각각의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대퇴유닛(400)의 전방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바(250)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nnecting unit (200) may include a pair of upper connecting bars (230) connecting each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s (210) and the rear of the upper body unit (100), and a pair of lower connecting bars (250) connecting each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s and the front of the thigh unit (400).

각각의 연결바(230, 250)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에서 제공되는 보조토크 또는 보조력이 전달될 수 있는 강성을 지니고, 각각의 연결바(230, 250)의 일단은 골반 양측에서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체의 후방과 대퇴의 전방 방향으로 각각 도달하도록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Each connecting bar (230, 250) has a rigidity that allows the auxiliary torque or auxiliary power provided from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to be transmitted, and one end of each connecting bar (230, 250) may be connected to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on both sides of the pelvis, and the other end may have a bent shape so as to reach the rear of the upper body and the front of the thigh, respectively.

그리고, 상기 골반유닛(300)은 착용자의 골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골반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각각의 골반부재(310) 외측에 미리 결정된 범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elvic unit (300) includes a pair of pelvic members (310) that wrap around both sides of the wearer's pelvis, and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side of each pelvic member (310)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각각의 골반부재(310) 외측에 미리 결정된 범위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와 관련된 설명은 후술한다.The abov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is described later with respect to a structure in which it i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each pelvic member (310)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골반유닛(300)은 착용자의 허리와 골반에 착용 가능한 벨트 등이 구비되어 골반부재(310)를 연결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pelvic unit (300) can be equipped with a belt or the like that can be worn on the wearer's waist and pelvis to connect the pelvic member (3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In addition, the worker's assistant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상체유닛(100)은 착용자의 등판을 감싸는 등판부(113)와 착용자의 양어깨로 분기되는 분기부(111)를 포함하는 등판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body unit (100) may include a back panel member (110) including a back panel portion (113) that wraps around the wearer's back panel and a branch portion (111) that branches off to the wearer's shoulders.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재(110)는 착용자의 등 영역에 장착되고, 상기 등판부재(110)에 착용자의 가슴을 감싸는 슈트부재(s) 등이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the back member (110) is mounted on the wearer's back area, and a suit member (s) that wraps around the wearer's chest can be mounted on the back member (110).

상기 등판부재(110)는 수지 또는 카본강화 플라스틱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슈트부재(s) 등은 유연한 직물 또는 시트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climbing member (110) may be composed of resin or carbon-reinforced plastic, and the above-mentioned suit member (s) may be composed of flexible fabric or sheet material.

그리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상기 등판부재(110)에 장착되고, 상기 착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글로브 형태의 손지지부(g)를 견인하는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견인와이어가 권취된 와이어 견인장치(1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 wire traction device (130) having a traction wire wound around it to provide traction force for traction of a glove-shaped hand support member (g) mounted on the wearer's hand, which is mounted on the climbing member (110).

상기 등판부재(110)는 착용자의 등판을 감싸는 등판부(113)와 착용자의 양어깨로 분기되는 분기부(111)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2개가 상기 분기부(111)에 하나씩 장착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back member (110) includes a back part (113) that wraps around the wearer's back and a branch part (111) that branches off to both shoulders of the wearer, and two wire traction devices (130) can be mounted on each of the branch parts (111).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와 연결된 견인 와이어(w)를 구비하고, 상기 견인 와이어(w)는 글로브 형태의 손지지부(g)에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wire traction device (130) has a housing, an elastic member within the housing, and a traction wire (w)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and the traction wire (w) can be connected to a glove-shaped hand support member (g).

따라서, 상기 견인 와이어(w)는 상기 손지지부(g)를 견인하도록 구성되어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바닥에 있는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동작시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고관절의 신전 또는 전개를 위한 보조토크를 연결바(230, 250)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손지지부(g)를 견인 와이어(w)를 통해 상체유닛(100) 방향으로 견인하여 수하물(B)에 의한 근력 부담을 완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traction wire (w) is configured to traction the hand support part (g), and as shown in FIGS. 4 to 6, when the wearer lifts the baggage (B) on the floor,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provides auxiliary torque for extension or expansion of the hip joint through the connecting bar (230, 250), and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tractions the hand support part (g) toward the upper body unit (100) through the traction wire (w), thereby alleviating the muscle strain caused by the baggage (B).

그리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와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도 4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지면에 위치한 수하물(B)을 들어 올리는 동작 이외에도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하물(B)을 들고 서있는 경우에도 수하물(B)에 의한 상체가 기울어지려는 모맨트와 손에 가해지는 중력방향 하중부담을 크게 경감할 수 있으며, 수하물을 들어올린 착용자가 보행중 어느 하나의 발의 족저면이 지면에 접지하는 순간부터 분리되는 시점까지 착용자의 체중이 실린 상태로 상체와 대퇴의 각도가 최소화된 상태에서 증가되는 과정인 입각기 보행시에도 고관절 전개 보조력을 제공하여 착용자의 근력 또는 체력 부담을 보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movement of the worker lifting the baggage (B) located on the ground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and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moment of the upper body tilting due to the baggage (B) and the gravitational load applied to the hand even when the worker is standing while holding the baggage (B) as shown in FIG. 6, and can also provide hip joint extension assistance power to assist the wearer's muscle strength or physical strength burden during the stance phase walking, which is the process in which the wearer's weight is increased from the moment when the sole of one foot touches the ground while walking to the moment when the foot separates.

이와 같은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상대적으로 큰 수하물(B)을 작업자가 직접 들어올리는 동작시 고관절 신전 동작을 보조하는 이외에 수하물(B)의 무게를 분담하기 위하여 구비되나, 후술후는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착탈 가능하게 상체유닛(100)에 장착되어 작업환경, 작업종류 또는 작업자의 다양한 니즈에 따라 다양한 유틸리티 보조장치로 대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설명은 뒤로 미룬다.The wire traction device (130) of this type is provided to assist the hip joint extension movement when the worker directly lifts a relatively large baggage (B) and to share the weight of the baggage (B). However, as described later,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is detachably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100) and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utility auxiliary devices depending on the work environment, type of work, or various needs of the worker. A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ostponed later.

도 7 및 도 8은 슈트, 밴드 등의 착용부재가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후면도 및 측면도를 도시한다.Figures 7 and 8 illustrate rear and side views of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wearable parts such as a suit and band removed.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를 구성하는 상체유닛(100)은 손과 팔에 가해지는 수하물(B)의 하중부담을 경감하기 위하여 구비된 전술한 와이어 견인장치(130) 이외에도 상기 상체유닛(100)의 등판부재(110)에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상부 연결바(230)의 연결 높이, 연결 폭 또는 연결 각도 변경을 허용하는 사이즈 조절장치(150)를 구비할 수 있다.The upper body unit (100) constituting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wire traction device (130) provided to reduce the load burden of the baggage (B) applied to the hands and arms, a size adjustment device (150) mounted on the climbing member (110) of the upper body unit (100) to allow changes in the connection height, connection width, or connection angle of a pair of the upper connection bars (230).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결바(230)는 상기 사이즈 조절장치(150)의 양 측면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7,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can be connected in the direction of both sides of the size adjusting device (150).

상기 사이즈 조절장치(150)는 상기 등판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바(151), 상기 가이드바(15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152), 상기 슬라이더(152)에 착용자의 전방 방향 x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153), 상기 로테이터(153)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연결바의 단부가 양단에서 탄성 견인된 상태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익스텐더(15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 size adjustment device (15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guide bar (151) mounted vertically on the climbing member, a slider (152) slidably mounted on the guide bar (151), a rotator (153) mounted on the slider (152) so as to be rotatable about the x-ax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wearer, and a pipe-shaped extender (154) that is mounted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rotator (153) and is inserted or withdrawn while each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is elastically pulled at both ends to enable width adjustment.

상기 가이드바(151)는 상기 등판부재(110)의 중심부를 상하로 가로질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바(151)는 경량화 및 강성확보를 위하여 중공 카본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바(151)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The above guide bar (151) may be provided to vertically cross the center of the above climbing member (110), and the above guide bar (151)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hollow carbon pipe to ensure light weight and rigidity. The above guide bar (151) may have a circular, oval, or polygonal cross-section.

상기 가이드바(151)는 착용자의 상체 길이에 따라 상부 연결바(230)가 장착된 익스텐더(154)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으며, 보조기의 미사용시에도 보조기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보관의 용이성을 증대할 수 있다.The above guide bar (151) can change the position of the extender (154) equipped with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ccording to the length of the wearer's upper body, and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assistive device even when it is not in use, thereby increasing the ease of storage.

즉, 착용자의 신체의 크기 및 상체와 하체의 비율에 따라 상부 연결바(230)의 폭과 연결 위치를 변경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the width and connection position of the upper connection bar (230) can be chang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body and the ratio of the upper and lower body.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더(152)는 상기 가이드바(151)에 의하여 관통된 상태로 가이드바(151)를 따라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152)에 로테이터(153)가 x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S. 8 and 9, the slider (152) is mounted so as to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bar (151) while being penetrated by the guide bar (151), and a rotator (153) can be mounted on the slider (152) so as to be able to rotate around the x-axis.

또한, 상기 로테이터(153)에 익스텐더(154)가 관통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익스텐더(154)는 상기 로테이터(153)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며 양단에 상부 연결바(230)가 삽입 또는 인출 가능하게 장착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n extender (154) may be installed through the rotator (153). Specifically, the extender (154)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the rotator (153)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have upper connecting bars (230) installed at both ends so as to be insertable or withdrawable, thereby allowing for width adjustment.

따라서, 상기 로테이터(153)는 상기 익스텐더(154)가 관통된 상태로 x축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보조기를 착용한 작업자의 상체의 x축 방향 기울어짐에 대응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동작을 허용하여 작업자의 보조기에 대한 이질감과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otator (153) can rotate in the x-axis direction with the extender (154) penetrating through it, thereby responding to the inclination of the upper body of a worker wearing the assistive device in the x-axis direction, thereby allowing various movements and minimizing the worker's discomfort and discomfort with the assistive device.

그리고, 상기 익스텐더(154)는 상기 로테이터(153)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연결바(230)의 단부가 양단에서 탄성 견인된 상태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어, 착용자의 상체 크기에 따라 상기 상부 연결바(230) 사이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보조기의 보관시에도 보조기의 크기를 최소화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xtender (154) is installed so as to penetrate the rotator (153)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is configured in a pipe shape in which the ends of each upper connecting bar (230) are inserted or withdrawn in a state in which they are elastically pulled at both ends, thereby enabling the spacing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bars (230) to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wearer's upper body, and can also enable the auxiliary device to be stored in a state in which its size is minimized when stored.

상기 익스텐더(154) 내부에는 탄성부재(도 14, 1543 참조)가 구비되어 양단에 연결된 상부 연결바(230)의 간격 조절과정에서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structure in which an elastic member (see FIG. 14, 1543) is provided inside the above extender (154) to provide elastic restoring force during the process of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bars (230) connected at both ends will be described later.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상체유닛(100)의 후면도와 상체유닛(100)에 장착된 와이어 견인장치(130)가 분리된 상태의 후면도를 도시한다.Figures 9 and 10 illustrate a rear view of the upper body unit (100) of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ear view of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100) in a separated state.

그리고, 상기 상체유닛(100)에 장착되는 유틸리티 장치로서의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2개가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등판부재(110)의 분기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And, two wire traction devices (130)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100) as utility devices can be detachably mounted on the branch portion (111) of the climbing member (110) as described above.

그리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각각 중공 하우징(131)을 구비하고 각각의 하우징 내에 견인 와이어(w)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탄성 권취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기부(111)에 슬라이드록 로킹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And, as shown in Fig. 10, each of the wire traction devices (130) has a hollow housing (131), and a traction wire (w) is elastically woun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within each housing, and the housing can be mounted on the branch section (111) in a slide locking manner.

상기 하우징(131)은 원통형 형상으로 도시되나 그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The above housing (131) is depicted as having a cylindrical shape, but its shape may be changed in various ways.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하우징(131) 하면으로 선택적 돌출되는 돌기 형태의 로킹부(133), 상기 하우징(131) 외측면에 장착되고 가압시 상기 로킹부(133)를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는 로킹 해제버튼(132), 상기 하우징(131) 하부에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를 상기 분기부(111)의 장착부(115)에 슬라이딩 장착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134)이 구비되고, The above wire pulling device (13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art (133)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31), a locking release button (132) tha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31) and allows the locking part (133) to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when pressed, and a sliding rail (134) for slidingly mounting the wire pulling device (130) to the mounting part (115) of the branch part (111)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31).

상기 등판부재(110)의 분기부(111)에는 와이어 견인장치(130)가 장착되는 장착부(115), 상기 로킹부(133)가 안착되기 위하여 상기 장착부(115)에 형성된 안착홈(114), 상기 안착홈(114) 내에 상기 로킹부(133)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114s) 및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하우징이 슬라이드 장착되기 가이드 슬롯(11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branch portion (111) of the above-mentioned climbing member (110) may be provided with a mounting portion (115) in which a wire traction device (130) is mounted, a mounting groove (114) formed in the mounting portion (115) for mounting the locking portion (133), a catch protrusion (114s) for catching and fixing the locking portion (133) within the mounting groove (114), and a guide slot (112) for slidingly mounting the housing of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상기 로킹부(133)는 하우징(131)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일면이 경사면(133s)인 돌기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로킹부(133)는 상기 로킹 해제버튼(132)에 의하여 돌출 상태가 해제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로킹 해제버튼(132)은 탄성부재(미도시)에 의하여 탄성 지지되고,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를 교체하거나 후술하는 조명장치 또는 송풍장치 등의 다른 유틸리티 장치로 교체하는 경우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에 구비된 로킹 해제버튼(132)을 눌러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로킹부(133)의 상기 안착홈(114)의 걸림턱(114s)에 대한 로킹상태를 해제하여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를 분리할 수 있다.The above locking portion (133) is configured in a protrusion shape with one surface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31) as an inclined surface (133s), and the locking portion (133) can be configured in a structure in which the protruding state is released by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and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is elastically supported by an elastic member (not shown), and when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is replaced or replaced with another utility device such as a lighting device or a blower device described later,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provided on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is press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133) of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relative to the engaging protrusion (114s) of the mounting groove (114), thereby detaching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하우징(131)에는 슬라이딩 레일(134)이 구비되고, 상기 등판부재(110)의 분기부(111)에 형성된 장착부(115)에 가이드 슬롯(112)이 구비되어 와이어 견인장치(130)를 등판부재(110)에 장착하는 경우 위치 결정이 용이할 수 있다.A sliding rail (134) is provided in the housing (131) of the above wire traction device (130), and a guide slot (112) is provided in the mounting portion (115) formed in the branch portion (111) of the above climbing member (110), so that when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is mounted on the climbing member (110), positioning can be easily determined.

따라서,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를 상기 분기부(111)에 장착하는 경우 상기 로킹부(133)는 삽입방향으로 경사면(133s) 등의 구조에 의하여 저항없이 안착홈(114)에 진입하여 장착되되 분리방향으로는 로킹부(133)가 안착홈(114)의 걸림턱(114s)에 걸려 슬라이딩록 방식으로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으며, 이 로킹부(133)의 고정상태 또는 로킹상태는 로킹 해제버튼(132)에 의하여 해제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is mounted on the branch portion (111), the locking portion (133) may be mounted by entering the mounting groove (114) without resistance by a structure such as an inclined surface (133s) in the insertion direction, but may be structured such that the locking portion (133) is caught on a catch (114s) of the mounting groove (114) in the separation direction and fixed in a sliding lock manner. The fixed state or locked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133) may be released by a locking release button (132).

또한, 상기 견인 와이어(w)가 상기 등판부재(110)의 분기부(111)를 경유하여 착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손지지부(g)로 연결되도록 착탈 가능한 클립 형태로 구성되는 와이어 가이드 부재(137)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guide member (137)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clip may be provided so that the traction wire (w) is connected to a hand support member (g) worn on the wearer's hand via a branch member (111) of the climbing member (110).

즉, 상기 와이어 가이드 부재(137)는 견인 와이어(w)에 의한 작업자의 어께 쓸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견인 와이어(w)의 배치 경로를 안내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와이어 가이드 부재(137)는 클립 형태로 상기 등판부재(110)의 분기부(111)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That is, the wire guide member (137) may be provided to guide the arrangement path of the traction wire (w) in order to prevent the worker's shoulder from being rubbed by the traction wire (w), and the wire guide member (137) may be detachably mounted to the branch portion (111) of the climbing member (110) in the form of a clip.

또한,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하우징 내에 권취된 견인 와이어(w)를 상기 와이어 가이드 부재(137)까지 배치하기 위한 와이어 가이드관(138)이 구비되어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하우징(131), 상기 와이어 가이드관(138) 및 상기 와이어 가이드 부재(137)는 일체형으로 분리 및 장착될 수 있고, 견인 와이어(w)가 경유하는 와이어 가이드 부재(137)와 직접적인 마찰 등을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a wire guide tube (138) is provided to arrange the traction wire (w) wound inside the housing of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to the wire guide member (137), so that the housing (131) of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the wire guide tube (138), and the wire guide member (137) can be separated and mounted as an integral body, and direct friction between the traction wire (w) and the wire guide member (137) passing through can be minimized.

그리고, 상기 상체유닛(100)의 등판부재(110) 하부의 밴드 연결부(115)의 좌우에 밴드 연결부재(17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밴드 연결부재(170)는 상기 밴드 연결부에 형성된 장착구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a band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moun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band connecting member (115) at the lower part of the climbing member (110) of the upper body unit (100). The band connecting member (170) may be rotatab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formed in the band connecting member.

따라서, 밴드부재의 연결방향이 변경 가능하므로 착용자의 신체 형상에 대응하여 유연하게 밴드부재의 착용이 가능하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direction of connection of the band member can be changed, the band member can be flexibly worn in response to the wearer's body shape.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의 유틸리티 장치로서의 와이어 견인장치(130)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12는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 내부에서의 견인 와이어(w)의 권취상태를 도시한다.FIG. 1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wire traction device (130) as a utility device of an assistant for work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2 illustrates a winding state of a traction wire (w) inside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상부 하우징(131a)과 하부 하우징(131b)으로 분할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하우징(131b)에 상기 로킹부(133)가 노출 가능한 개방구가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wire pulling device (130) may be divided into an upper housing (131a) and a lower housing (131b), and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locking part (133) can be exposed may be formed in the lower housing (131b).

상기 하우징(131) 내부에는 상기 견인 와이어(w)가 탄성 권취되는 릴유닛(1303)이 구비되어 권취된 견인 와이어(w)가 풀리는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한다. 따라서, 손지지부를 잡아당겨 손에 착용하면 상기 릴유닛(1303) 방향으로 견인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상체유닛에 와이어 견인장치를 장착한 보조기를 착용한 작업자는 수하물의 하중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Inside the housing (131), a reel unit (1303) is provided in which the traction wire (w) is elastically wound, thereby providing a traction forc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wound traction wire (w) is released. Accordingly, when the hand support part is pulled and worn on the hand, a traction force can be provided in the direction of the reel unit (1303), so that a worker wearing an assistive device equipped with a wire traction device on the upper body unit can reduce the burden of the load of the baggage.

상기 릴유닛(1303)은 상부 하우징(131a)과 하부 하우징(131b)을 연결하는 회전축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으며, 상부와 하부에 릴유닛(1303)의 회전 마찰을 최소화하기 위한 베어링(1307)이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reel unit (1303) can be rotatably mounted on a rotational shaft connecting the upper housing (131a) and the lower housing (131b), and a bearing (1307) can be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to minimize rotational friction of the reel unit (1303).

그리고, 상기 로킹부(133)와 로킹 해제버튼(132)이 각각의 장착구 또는 개구부 상에 설치되고 상기 로킹부(133)와 로킹 해제버튼(132) 사이에 토션 스프링(1306)이 구비되어 상기 로킹부(133)와 로킹 해제버튼(132)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cking part (133) and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are installed on each mounting hole or opening, and a torsion spring (1306) is provided between the locking part (133) and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to elastically support the locking part (133) and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상기 로킹부(133), 상기 로킹 해제버튼(132) 및 상기 토션 스프링(1306)은 위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정부재(1305)에 의하여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 locking part (133), the locking release button (132) and the torsion spring (1306) can be fixed by a fixing member (1305) to prevent displacement.

상기 로킹 해제버튼(132)이 눌려지면 상기 로킹 해제버튼이 장착된 토션 스프링(1306)을 회전시켜 상기 로킹부(133)의 로킹 상태가 해제되어 와이어 견인장치가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When the above-mentioned locking release button (132) is pressed, the torsion spring (1306) equipped with the above-mentioned locking release button is rotated to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art (133) so that the wire pulling device can be separated.

그리고, 상기 하우징(131) 내에 견인 와이어의 권취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롤러(1307)가 구비될 수 있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에는 한 쌍의 와이어 가이드관(138)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t least one roller (1307)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131) to guide the winding motion of the traction wire, and a pair of wire guide tubes (138)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as shown in FIG. 11.

상기 릴유닛(1303)에 권취된 견인 와이어는 어느 하나의 와이어 가이드관(138a)을 통해 손지지부에 연결되고, 상기 손지지부를 경유한 견인 와이어는 다른 하나의 와이어 가이드관(138b)을 통해 하우징 내의 와이어 가이드관 단부에 구비된 앵커부(1308)에 고정될 수 있다.The traction wire wound on the above reel unit (1303) is connected to a hand support unit through one wire guide tube (138a), and the traction wire passing through the hand support unit can be fixed to an anchor part (1308) provided at the end of the wire guide tube within the housing through another wire guide tube (138b).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사이즈 조절장치(150)를 구성하는 익스텐더(154)의 폭방향 사이즈 조절 상태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13(a)는 상부 연결바(230)의 간격이 최소화된 상태의 익스텐더(154)의 단면도를 도시하며 도 13(b)는 상부 연결바(230)의 간격이 최대화된 상태의 익스텐더(154)의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width-direction size adjustment state of an extender (154) constituting a size adjustment device (150)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ally, FIG. 13(a)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nder (154) in a state where the spacing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30) is minimized, and FIG. 13(b)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n extender (154) in a state where the spacing of the upper connecting bars (230) is maximized.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 등에 따라 그 크기가 가변되는 구조를 갖는다.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its size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wearer's body size, etc.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 중 몸통의 폭과 고관절의 높이는 착용자의 성별, 나이 또는 개인차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치 유닛에 연결되는 상부 연결바(230)의 연결 간격 및 연결 위치를 조절하기 위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사이즈 조절장치(150)를 구비할 수 있다.Since the width of the torso and the height of the hip joint among the wearer's body sizes may vary depending on the wearer's gender, age, or individual differences,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quipped with a size adjustment device (150)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7 for adjusting the connection interval and connection position of the upper connection bar (230) connected to the upper unit in response to the wearer's body size.

상기 사이즈 조절장치(150)는 상하방향 가이드바(151)와 폭조절이 가능한 익스텐더(154)를 구비하여, 착용자의 몸통의 폭과 고관절의 위치에 따라 작업자용 보조기(1)의 폭과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above size adjustment device (150) is equipped with an upper and lower guide bar (151) and an extender (154) with adjustable width, so that the width and height of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width of the wearer's torso and the position of the hip joint.

상기 익스텐더(154)는 파이프 형태로 구비되어 상부 연결관이 삽입 또는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착용자의 몸통폭에 대응하여 그 길이방향 폭을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상체유닛(100)에서 상기 익스텐더(154)의 높이 조절을 통해 익스텐더(154)에 장착된 상부 연결바(230)의 높이를 조절하여 결국 그 상부 연결바(230)에 연결된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The above extender (154) is provided in a pipe shape and configured so that the upper connecting tube can be inserted or withdrawn, so that its longitudinal width can be adjusted in response to the width of the wearer's torso, and 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extender (154) in the upper body unit (100), the height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mounted on the extender (154) can be adjusted, thereby ultimatel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즈 조절장치(150)를 구성하는 익스텐더(154)는 파이프형 하우징(1541) 내측에 탄성부재(1543)가 구비되고, 상기 탄성부재(1543)의 단부가 연결된 상태로 상부 연결바(230)의 내측 단부와 접합되는 금속재질의 커플러(1545)와 상기 커플러(1545) 외주면을 감싸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1541) 내주면과 마찰을 저감시키기 위한 파이프형 마찰 저감부재(1544)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13, the extender (154) constituting the size adjustment device (150) may include a metal coupler (1545) that is provided with an elastic member (1543) on the inside of a pipe-shaped housing (1541), an end of the elastic member (1543) connected to the inn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nd a pipe-shaped friction reduction member (1544) that wraps a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coupler (1545) to reduce friction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shaped housing (1541).

상기 커플러(1545)는 탄성부재로서 코일 스프링과 상부 연결바(230)의 고정 작업이 쉽지 않으므로 부가되는 구성으로 상부 연결바(230)와 상기 커플러(1545)는 상기 상부 연결바(230)의 단부가 파이프 형태의 커플러(1545) 내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용접 또는 압착 등의 방법으로 접합될 수 있다.Since the above coupler (1545) is an elastic member and it is not easy to fix the coil spring and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s an additional configuration,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nd the above coupler (1545) can be joined by welding or pressing, etc., with the end of the above upper connecting bar (230) inserted into the pipe-shaped coupler (1545).

더 나아가 탄성부재(1543)인 코일 스프링의 단부는 링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기 커플러(1545)와 탄성부재 사이에 탄성부재(1543)의 단부 고리를 걸기 위한 링연결부재(1548)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링연결부재(1548)와 상기 커플러(1545)는 볼트 등으로 체결되거나 압착 또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될 수 있다.Furthermore, since the end of the coil spring, which is an elastic member (1543), may be configured in a ring shape, a ring connecting member (1548) for hanging the end ring of the elastic member (1543) between the coupler (1545) and the elastic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The ring connecting member (1548) and the coupler (1545) may be connected with a bolt or the like, or may be fixed by a method such as compression or welding.

상기 마찰 저감부재(1544)는 착용자의 신체 사이즈에 대응하여 상부 연결바(230)의 수평방향 슬라이딩 과정에서 금속재질의 상기 커플러(1545)와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1541)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을 저감하는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마찰 저감부재(1544)는 예를 들면 테프론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above friction reducing member (1544) may be composed of a material that reduces friction between the metal coupler (154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shaped housing (1541) during the horizontal sliding process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ize of the wearer. For example, Teflon resin may be applied to the above friction reducing member (1544).

상기 파이프형 하우징(1541) 내측에 구비된 하나의 탄성부재의 양단에 상부 연결바(230)의 양단이 연결되는 구조도 구성이 가능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형 하우징(1541) 내부에 탄성부재가 2개가 일렬로 구비되되 파이프형 하우징(1541) 내부에 고정된 고정재(1542)에 각각 일단이 연결되고 각각의 타단에서 상부 연결바(230)의 타단이 연결된 커플러(1545) 측에 연결되는 구조일 수도 있다.A structure in which both ends of an upper connecting bar (230)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an elastic member provided inside the pipe-shaped housing (1541) may also be configured, and as illustrated in FIG. 13, two elastic members may be provided in a single row inside the pipe-shaped housing (1541), each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fixed member (1542) fixed inside the pipe-shaped housing (1541), and the other end of each may be connected to a coupler (1545) to which the oth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is connected.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연결유닛(200)의 외측면도 및 내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연결유닛(200)을 구성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작동상태의 투시도를 도시하며,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연결유닛(200)을 구성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다.FIG. 14 illustrates an outer side view and an inner side view of a connection unit (200)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of an operating state of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constituting a connection unit (200)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6 illustrate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constituting a connection unit (200)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는 착용자의 골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골반부재(310)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상기 골반부재(310)의 외측에 장착되어 착용자의 고관절 신전 또는 굴곡 동작시 보조토크를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4(a), the worker's assist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pelvic members (310) that surround both sides of the wearer's pelvis, and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elvic members (310) to provide auxiliary torque when the wearer performs hip joint extension or flexion movements.

그리고, 도 1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상기 골반부재(310)에 축결합되되 고정되지 않고 골반부재(310) 내주면에 장착된 축결합 부재(320)에 원호형 가이드홈(321)을 구비하고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내주면에 상기 가이드홈(321)에 안착되어 회전 범위가 제한되는 가이드축(201)을 구비하여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상기 골반부재(310)의 외측에 미리 결정된 범위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And, as illustrated in FIG. 14(b),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is provided with an arc-shaped guide groove (321) in an axial coupling member (320)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pelvic member (310) but is not fixed thereto and is moun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elvic member (310), and a guide shaft (201) that is secured to the guide groove (321) on the inner surfac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and has a limited rotation range, so that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can be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the pelvic member (310)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따라서, 착용자가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하중 작업 이외에 상체와 하체의 어느 정도의 움직임을 허용할 수 있다.Therefore, the wearer can be allowed some movement of the upper and lower body in addition to the load task of lifting the baggage (B).

그리고,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연결바(230)가 장착되는 하우징(212), 상기 하우징(212)과 편심된 회전축(21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곡면 구름면(219s)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연결바(250)에 연결되는 캠부재(219), 상기 캠부재(219)의 구름면(219s)을 따라 구름 구동되며 상기 상부 연결바(230) 측에 연결되는 캠롤러(217), 상기 하우징(212) 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캠롤러(217)를 상기 캠부재(219)의 구름면(219s) 방향으로 추진하는 탄성부재(214) 및 상기 탄성부재(214)가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에 상기 캠롤러(21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운트 부재(215);를 구비할 수 있다.And,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may include a housing (212) on which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is mounted, a cam member (219) that is rotatably mounted by a rotary shaft (218) eccentric with the housing (212) and has a curved rolling surface (219s) on its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is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a cam roller (217) that is rolled along the rolling surface (219s) of the cam member (219)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n elastic member (214) that is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within the housing (212) and propels the cam roller (217) in the direction of the rolling surface (219s) of the cam member (219), and a mount member (215) on which the elastic member (214) is supported at one end and the cam roller (217) is rotatably mounted at the other end.

상기 캠부재(219)는 상기 하우징(212)과 편심된 회전축(218)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곡면 구름면(219s)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연결바(250) 측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연결바(250)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에 대하여 상기 편심된 회전축(218)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above cam member (219) is rotatably mounted by the housing (212) and the eccentric rotation shaft (218), has a curved cloud surface (219s) on its outer surface, and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Accordingly,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eccentric rotation shaft (218) with respect to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바(230) 및 상기 하우징(212) 측에 장착되며 상기 캠부재(219)의 구름면(219s)을 따라 구름 구동되며 캠롤러(217)가 구비되어 상기 캠부재(219)의 구름면(219s)을 따라 구동할 수 있다.And, a cam roller (217) is provided, which is mounted on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nd the housing (212) side and is driven along the cloud surface (219s) of the cam member (219) and can be driven along the cloud surface (219s) of the cam member (219).

상기 캠롤러(217)는 상기 상부 연결바(230)가 장착된 하우징 내부에서 탄성부재(214)의 탄성력에 지지되며 장착되지만 탄성부재(214)에 직결되는 것이 아니라 별도의 마운트 부재(215) 일단에 장착되고, 상기 마운트 부재(215)의 타단에 탄성부재(214)의 일단이 지지될 수 있다.The above cam roller (217) is mounted and supported b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214) inside the housing equipped with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but is not directly connected to the elastic member (214), but is mounted on one end of a separate mount member (215), and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214) can be supported on the other end of the mount member (215).

도 15 또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탄성부재(214)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압축된 상태로 장착된 코일 스프링일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214) 내측으로 토크 조절 샤프트(213)가 관통하여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일단이 상기 마운트 부재(215)에 체결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15 or FIG. 16, the elastic member (214) may be a coil spring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and a torque adjustment shaft (213) may penetrate into the elastic member (214) so that one end of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may be fastened to the mount member (215).

상기 탄성부재(214) 선형 탄성계수 또는 강성도가 10.0 N/M ~30.0N/M 정도의 코일 스프링이 적용될 수 있다.A coil spring having a linear elastic modulus or rigidity of about 10.0 N/M to 30.0 N/M can be applied to the above elastic member (214).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타단은 상기 하우징(212) 외측으로 인출되고 단부에 토크 조절휠(211)에 장착되고,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에 상기 하우징(212) 내에서 탄성부재(214)의 타단을 지지하는 가압판(213p)이 고정 장착될 수 있다.The other end of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is extended outside the housing (212) and mounted on a torque adjustment wheel (211) at one end, and a pressure plate (213p) that supports the other end of an elastic member (214) within the housing (212) can be fixedly mounted on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따라서, 상기 토크 조절휠(211)을 회전시켜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마운트 부재(215)의 체결 깊이를 조절하면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에 장착된 가압판(213p)이 탄성부재를 압축 또는 신장시켜 상기 마운트 부재(215)의 타단에 지지되는 탄성부재의 길이를 변화시켜 상기 캠롤러(217)에 가해지는 탄성력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토크 조절휠에 의하여 조절 가능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 범위는 20 % 정도 내외가 되도록 보조토크 또는 보조력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ly, by rotating the torque adjustment wheel (211) to adjust the fastening depth of the mount member (215) of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the pressure plate (213p) mounted on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compresses or extends the elastic member to change the length of the elastic member supported on the other end of the mount member (215), thereby adjusting the elastic force applied to the cam roller (217). The elastic force range of the elastic member that can be adjusted by the torque adjustment wheel can be about 20% to provide auxiliary torque or auxiliary force.

도 15(a)에 도시된 상태는 도 5에 도시된 착용자가 수하물(B)을 바닥에서 들어올리는 상태이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에 장착된 캠롤러(217)가 캠부재(219)의 구름면(219s)을 따라 변위되고 그러면 상기 캠롤러(217)와 상기 하우징 내의 편심된 회전축(218)의 거리가 증가하게 되고 탄성부재는 수축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 반발력 및 그에 따른 보조토크는 상기 캠롤러(217)와 상기 하우징 내의 편심된 회전축(218) 사이의 거리가 감소되는 방향으로 제공될 수 있다.The state illustrated in Fig. 15(a) is a state in which the wearer illustrated in Fig. 5 lifts the baggage (B) from the floor, and in this case, the cam roller (217) mounted on the housing is displaced along the cloud surface (219s) of the cam member (219),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cam roller (217) and the eccentric rotational shaft (218) within the housing increases, and the elastic member contracts. Accordingly, the elastic repulsive force of the elastic member and the auxiliary torque resulting therefrom can be provid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am roller (217) and the eccentric rotational shaft (218) within the housing decreases.

따라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은 결국 상기 캠롤러(217)가 도 15(b)에 도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캠롤러(217)가 장착된 하우징을 도 6에 도시된 착용자의 직립 상태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보조토크로 변환되고 이러한 보조토크는 착용자의 고관절 신전 또는 전개 동작을 보조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is eventually converted into an auxiliary torque that rotates the housing in which the cam roller (217) is mounted in the upright state of the wearer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cam roller (217) is in the state as shown in FIG. 15(b), and this auxiliary torque can assist the hip joint extension or unfolding movement of the wearer.

따라서, 상기 캠부재(219)와 하우징을 체결하기 위한 회전축의 상기 캠부재(219) 상의 위치 또는 상기 캠롤러(217)와의 거리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 또는 보조토크 발생 구간을 결정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elastic force or auxiliary torque generation section of the elastic member can be determined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shaft for fastening the cam member (219) and the housing on the cam member (219) or the distance from the cam roller (217).

즉, 도 1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과정이 착용자에게 가장 큰 근력 부하가 발생되는 시점일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상부 연결바(230)와 하부 연결바(250)의 각도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가장 많이 압축되도록 하고,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자가 수하물(B)을 다 들어올린 경우에는 근력 부하가 상대적으로 감소된 상태이므로 상기 탄성부재의 압축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캠부재(219) 상에서의 상기 회전축의 위치를 선정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 15(a), the process in which the wearer lifts the baggage (B) may be the time at which the wearer experiences the greatest muscular load, so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the most at the angle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and as shown in Fig. 15(b), when the wearer has completely lifted the baggage (B), the muscular load is relatively reduced, so the position of the rotation axis on the cam member (219) may be selected so that the compression of the elastic member is minimized.

도 15은 바닥에 있는 수하물(B)을 들어올리는 작업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작업의 종류, 예를 들면 높은 곳에 있는 수하물(B)을 들어 바닥에 내려 놓는 작업 등의 경우에도 고관절 굴곡 방향 저항이 되는 보조토크를 제공하여 작업자의 하중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Fig. 15 illustrates an example of lifting a baggage (B) on the floor, but even in the case of other types of work, such as lifting a baggage (B) from a high place and placing it on the floor, the load burden on the worker can be reduced by providing an auxiliary torque that acts as resistance in the direction of hip joint flexion.

그리고,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캠롤러(217)가 장착된 상기 마운트 부재(215)는 후방에서 상기 탄성부재가 탄성 지지된 상태이며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일단은 도 16(b)에 도시된 마운트 부재(215)의 체결홀(215c)에 나사방식으로 체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인출되고 단부에 토크 조절휠(211)에 장착되고 상기 하우징 내에서 탄성부재의 타단을 지지하는 가압판(213p)이 구비되는 구조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And, as shown in FIG. 16, the mount member (215) on which the cam roller (217) is mounted is in a state where the elastic member is elastically supported at the rear, and one end of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is screw-fastened to the fastening hole (215c) of the mount member (215) shown in FIG. 16(b) and the other end is extended outside the housing and is mounted on the torque adjustment wheel (211) at the end, and a pressure plate (213p) that supports the other end of the elastic member within the housing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상기 토크 조절휠(211)을 회전시키면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상기 마운트 부재(215) 내의 체결깊이를 변경할 수 있고,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에 구비된 가압판(213p)은 상기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보조토크의 크기를 세팅할 수 있다.By rotating the torque adjustment wheel (211), the depth of fastening of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within the mount member (215) can be changed, and the pressure plate (213p) provided on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can set the size of the auxiliary torque by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즉, 상대적으로 큰 하중의 수하물 취급시에는 토크 조절휠(211)을 돌려 탄성부재(214)를 더 압축시키고, 가벼운 하중의 수하물 취급시에는 그 반대로 돌려 탄성부재(214)의 압축상태를 풀어 자유로운 움직임을 더 보장할 수 있다.That is, when handling luggage with a relatively large load, the torque control wheel (211) can be turned to further compress the elastic member (214), and when handling luggage with a light load, the torque control wheel (211) can be turn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release the compression state of the elastic member (214) to ensure more free movement.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가 상기 마운트 부재(215)에 장착되는 과정에서 하우징 내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마운트 부재(215)의 외주면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회전시 상기 하우징 내에서의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212)의 내주면의 형상에 형합되는 비틀림 방지돌기(215p)가 구비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twisting within the housing during the process of mounting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to the mount member (215), a twist prevention protrusion (215p) conforming to the shap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2) may be provided to prevent twisting within the housing when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rotate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unt member (215).

상기 비틀림 방지돌기(215p)는 하우징 내주면에 형성된 홈에 형합되어 상기 토크 조절 샤프트(213)의 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비틀림 토크에 의한 상기 하우징 내에서의 마운트 부재(215)의 회전 또는 비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anti-twist projection (215p) is formed into a groov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thereby preventing rotation or twisting of the mount member (215) within the housing due to torsional torque that may occur when the torque adjustment shaft (213) rotates.

그리고, 상기 상부 연결바(230)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하우징 측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결바(250)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캠부재(219) 측에 연결될 수 있다.And,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can be connected to the housing sid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can be connected to the cam member (219) sid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상기 하부 연결바(250)는 상기 캠부재(219)에 직결될 수도 있으나 대퇴부의 내전 또는 외전 동작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캠부재(219)에 내외전축에 축결합되는 내외전 부재(220)를 매개로 상기 캠부재(219)에 연결될 수 있다.The lower connecting bar (25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cam member (219), but may be connected to the cam member (219) via an internal/external rotation member (220)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internal/external rotation axis of the cam member (219) to allow internal/external rotation or external rotation of the thigh.

상기 하우징(212)은 상기 탄성부재(214)와 상기 마운트 부재(215)가 내부에서 형합되는 구조로 내측에 별도의 연결바 삽입공간이 준비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연결바(230)의 상단은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하우징으부터 착용자의 상체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체유닛(100)에 연결되고, 상기 상부 연결바(230)의 하단은 상기 보조토크 발생징치(210)의 하우징(212) 내측면의 길이방향으로 절곡된 후 상기 하우징에 장착되는 보조 하우징(212') 사이에 장착되어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에 고정되어 함께 회전되는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The housing (212) above may not have a separate connecting bar insertion space prepared inside since the elastic member (214) and the mount member (215) are formed internally. Accordingly, the upp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may be bent from the housing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toward the rear of the wearer's upper body and connected to the upper body unit (100), and the lower end of the upper connecting bar (230) may be b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212)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and then mounted between the auxiliary housings (212') mounted on the housing, fixed to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and configured to rotate together.

도 17는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대퇴유닛(400)의 사시도와 단면도를 도시한다.Figure 17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thigh unit (400) of a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연결바(250)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의 캠부재(219) 하부로부터 착용자의 대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대퇴유닛(400)의 대퇴부재(410)에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8,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may be configured to be bent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cam member (219)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toward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and connected to the thigh member (410) of the thigh unit (400).

상기 대퇴부재(410)가 착용자의 대퇴의 전방을 지지하는 이유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210)에서 제공되는 보조토크가 고?樗萱? 굴곡상태에서의 신전 또는 전개 동작에서 착용자의 고관절에 보조력 또는 보조토크를 제공하므로 대퇴 등에 힘전달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The reason why the thigh member (410) supports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is that the auxiliary torque provided from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210) provides auxiliary power or auxiliary torque to the wearer's hip joint during an extension or unfolding motion in a high-flexion state, thereby facilitating power transmission to the thigh, etc.

구체적으로, 상기 대퇴유닛(400)은 착용자의 대퇴 전방을 감싸는 대퇴부재(410) 및 상기 대퇴부재(410) 외주면에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대퇴부재(410)에 장착되는 캡부재(4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고, 상기 하부 연결바(250)는 상기 대퇴부재(410) 전방으로 연결되되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캡부재(430) 내부에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 공간(412)이 구비되어 착용자의 대퇴의 어느 정도의 움직임을 허용하는 구조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thigh unit (4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thigh member (410) that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and a cap member (430) that is mounted on the thigh member (410) in a state in which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is receiv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high member (410),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high member (410), and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is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rotational space (412) is provided inside the cap member (430) so that the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so that a certain degree of movement of the wearer's thigh may be allowed.

또한, 상기 회동공간(412) 내에 상기 캡부재 내주면 상에 형성되는 지지면(412s)는 상기 대퇴부재에 대한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회전 각도를 제한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단부를 지지하기 위한 경사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support surface (412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ap member within the rotational space (412) may be provided to limit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with respect to the thigh member, and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inclined surface to support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그리고, 상기 대퇴부재(410)의 외주면은 상기 캡부재(430)와 함께 상기 회동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절곡된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412) 및 상기 수용부(412)로 진입되는 하부 연결바(250)가 안착 지지되기 위한 안착홈(413)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thigh member (410)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ing portion (412) for receiving a bent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and a fixing groove (413) for supporting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that enters the receiving portion (412) to securely attach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to the rotating space formed together with the cap member (430).

상기 대퇴부재(410)는 좌우 구별되지 않고 적용이 가능하도록 수용부(412)가 2개씩 구비되고 안착홈(413)은 양방향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thigh member (410) is provided with two receiving portions (412) so that it can be applied regardless of left and right, and the fixing groove (413) can be provided in both directions.

그리고, 상기 하부 연결바(250)의 단부는 좌우 각각 내측 수용부(412)에 수용된 후 한번더 절곡되어 하부 연결바(250)의 비틀림을 방지하며, 하부 연결바의 분리를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may be configured to be received in the inner receiving portions (412)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then bent once more to prevent twisting of the lower connecting bar (250) and to prevent separation of the lower connecting bar.

도 18 및 도 19은 본 발명에 따른 작업자용 보조기(1)의 상체유닛(100)에 와이어 견인장치(130) 대신 조명장치(130B) 및 송풍장치(130C)가 각각 장착된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Figures 18 and 19 are perspective views of an embodiment in which a lighting device (130B) and a blower device (130C) are respectively mounted on the upper body unit (100) of the worker's auxiliary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stead of the wire traction device (130).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착용자의 상체유닛(100)에 착탈 가능한 와이어 견인장치(130)를 구비함은 전술한 바와 같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wire traction device (130) on the wearer's upper body unit (100).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130)는 착용자의 팔에 가해지는 수하물(B)의 하중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구비되지만 작업 종류와 작업 환경에 따라 다앙?h 유틸리티 장치의 적용이 가능할 수 있다.The above wire traction device (130) is provided to reduce the load of the baggage (B) applied to the wearer's arm, but various utility devices may be applied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and work environment.

즉,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명이 부족한 작업 환경에서 작업하는 착용자를 위하여 상기 상체유닛(100)에 조명장치(130B), 고온 작업 환경에서 작업하는 착용자를 위하여 상기 상체유닛(100)에 송풍장치(130C)가 적용될 수 있다.That is, as shown in FIGS. 18 and 19, a lighting device (130B) may be applied to the upper body unit (100) for a wearer working in a poorly lit work environment, and a blower device (130C) may be applied to the upper body unit (100) for a wearer working in a high-temperature work environment.

각각의 조명장치(130B)와 송풍장치(130C) 역시 전술한 와이어 견인장치(130)와 유사한 구조의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기부(111)에 로킹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Each lighting device (130B) and blower device (130C) also have a housing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wire pulling device (130) described above, and the housing can be mounted in a locking manner to the branch section (111).

마찬가지로, 상기 조명장치(130B)와 송풍장치(130C)는 하우징의 하면에서 돌출되는 일면이 경사면 형태의 돌기 형태의 로킹부,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장착되고 가압시 상기 로킹부를 하우징 내부로 삽입시킬 수 있는 로킹 해제버튼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상기 조명장치(130B) 또는 송풍장치를 상기 분기부에 슬라이딩 장착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에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의 로킹부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이 구비된 안착홈 및 조명장치(130B)와 송풍장치(130C)의 하우징이 슬라이드 장착되기 가이드 슬롯이 구비될 수 있고, 로킹 방식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이외에도 착탈식 방식이라면 다양한 로킹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Likewise, the lighting device (130B) and the blower device (130C)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in the form of a protrusion having a sloped surface on one side protruding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locking release button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apable of inserting the locking portion into the housing when pressed, and a sliding rail for slidingly mounting the lighting device (130B) or the blower device on the branch portion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and a fixing groove having a catch provided for the locking portion of the wire pulling device to be caught and fixed on the branch portion of the climbing member, and a guide slot for slidingly mounting the housing of the lighting device (130B) and the blower device (130C) may be provided, and the locking method may be applied in the same manner, but various locking structures may be applied if it is a detachable method.

그리고, 상기 송풍장치와 조명장치는 충전식 배터리가 구비되어 충전과 교체가 가능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유틸리티 장치로서 와이어 견인장치가 탄성부재 방식이 아닌 모터와 베터리를 구비한 전동식 견인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와 같은 유틸리티 장치는 작업자의 작업 종류 또는 작업 환경에 따라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lower and lighting device may be configured with a structure that is equipped with a rechargeable battery and can be recharged and replaced. In addition, as the utility device described above, the wire traction device may be configured as an electric traction device equipped with a motor and a battery rather than an elastic member type, and such a utility device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various applic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work or work environment of the worker.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이하에서 서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변형된 실시가 기본적으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면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포함된다고 보아야 한다.Although this specifica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modify and change the present invention in various way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Therefore, if the modified implementation basically includes the elements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hat it is included in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 작업자용 보조기
100 : 대퇴유닛
200 : 연결유닛
300 : 골반유닛
400 : 대퇴유닛
1: Auxiliary device for workers
100 : Thigh Unit
200 : Connection Unit
300 : Pelvic Unit
400 : Thigh Unit

Claims (19)

착용자의 상체에 장착되는 상체유닛; 착용자의 골반에 착용되는 골반유닛;
착용자의 대퇴에 착용되는 대퇴유닛; 및, 상기 상체유닛, 상기 골반유닛 및 상기 대퇴유닛을 연결하며, 착용자의 고관절 신전 또는 굴곡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토크를 제공하기 위한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은 상기 골반유닛에 장착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상체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상부 연결바 및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와 상기 대퇴유닛을 연결하는 한 쌍의 하부 연결바를 포함하며,
상기 상체유닛은 착용자의 등판과 양어깨에 장착되는 등판부재 및 상기 등판부재에 장착되어 한 쌍의 상기 상부 연결바의 연결 높이, 연결 폭 또는 연결 각도 변경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등판부재에 상하 방향으로 장착되는 가이드바, 상기 가이드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더, 상기 슬라이더에 착용자의 전방 방향 x축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로테이터, 상기 로테이터를 수평 방향으로 관통하여 장착되고, 각각의 상기 상부 연결바의 단부가 양단에서 탄성 견인된 상태로 삽입 또는 인출되어 폭조절이 가능한 파이프 형태의 익스텐더;를 구비하는 사이즈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An upper body unit mounted on the wearer's upper body; a pelvic unit mounted on the wearer's pelvis;
A thigh unit worn on the wearer's thigh; and a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upper body unit, the pelvis unit, and the thigh unit, and providing an auxiliary torque to assist the wearer's hip joint extension or flexion motion;
The above connecting unit includes an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mounted on the pelvic unit; a pair of upper connecting bars connecting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upper body unit; and a pair of lower connecting bars connecting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d the thigh unit.
The upper body unit comprises a back panel member mounted on the back and both shoulders of the wearer, a guide bar mounted vertically on the back panel member to allow for changing the connection height, connection width, or connection angle of a pair of upper connection bars mounted on the back panel member, a slider slidably mounted on the guide bar, a rotator mounted on the slider to be rotatable about the x-axis in the forward direction of the wearer, and a pipe-shaped extender mounted horizontally penetrating the rotator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width by inserting or withdrawing each end of the upper connection bar while being elastically pulled at both ends; A worker's assist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는 상기 상부 연결바와 상기 하부 연결바의 연결각도 감소시 복원토크를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first paragraph,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generates a restoring torque when the connecting angle between the upper connecting bar and the lower connecting bar decreas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골반유닛은 착용자의 골반 양측면을 감싸는 한 쌍의 골반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닛을 구성하는 보조토크 발생장치는 각각의 상기 골반부재의 외측에 미리 결정된 범위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first paragraph,
A worker's assist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pelvic unit includes a pair of pelvic members that wrap around both sides of the wearer's pelvis, and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constituting the connecting unit is mounted on the outer side of each of the pelvic members so as to be rota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편심된 회전축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면에 곡면 구름면을 구비하며 상기 하부 연결바 측에 연결되는 캠부재, 상기 캠부재의 구름면을 따라 구름 구동되며 상기 상부 연결바 측에 연결되는 캠롤러, 상기 하우징 내에서 압축된 상태로 장착되어 상기 캠롤러를 상기 캠부재의 구름면 방향으로 추진하기 위한 탄성부재 및 상기 탄성부재가 일단에 지지되고 타단에 상기 캠롤러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마운트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 worker's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by comprising: a housing, a cam member rotatably mounted by an eccentric rotational shaft with respect to the housing and having a curved rolling surface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connected to the lower connecting bar side, a cam roller that rolls along the rolling surface of the cam member and is connected to the upper connecting bar side, an elastic member mounted in a compressed state within the housing to propel the cam roller in the direction of the rolling surface of the cam member, and a mount member on which the elastic member is supported at one end and the cam roller is rotatably mounted at the other en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우징의 길이방향으로 압축 가능한 코일 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paragraph 4,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elastic member is a coil spring that can be compres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하우징 측에 연결되고,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캠부재 측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upper connecting bar is connected to the housing sid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onnecting bar is connected to the cam member side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하우징으부터 착용자의 상체 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상체유닛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second paragraph,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nnecting bar is bent from the housing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toward the rear of the wearer's upper body and connected to the upper body uni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체유닛의 등판부재는 착용자의 등판을 감싸는 등판부 및 착용자의 양어깨로 분지되는 분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second paragraph,
A worker's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ody unit's back panel member includes a back panel portion that wraps around the wearer's back panel and a branch portion that branches off to the wearer's shoulder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연결바는 상기 사이즈조절장치의 익스텐더 양단에 수평 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first paragraph,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connecting bar is connected horizontally to both ends of the extender of the size adjust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바는 중공 카본 파이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first paragraph,
An auxiliary device for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guide bar is composed of a hollow carbon pipe.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등판부재에 장착되고, 상기 착용자의 손에 장착되는 글로브 형태의 손지지부를 견인하는 견인력을 제공하기 위한 견인와이어가 하우징 내에 권취된 와이어 견인장치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8,
An assistive device for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wire traction device having a traction wire wound inside a housing to provide traction force for traction of a glove-shaped hand support part mounted on the above-mentioned climbing member and mounted on the hand of the wear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는 2개가 각각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12,
A worker's auxilia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wo of the above wire pulling devices are detachably mounted on the branch portion of the above climbing member.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 내에 견인 와이어가 탄성부재에 의하여 탄성 권취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분기부에 슬라이딩록 방식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13,
An auxiliary device for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a traction wire is elastically wound by an elastic member within a housing constituting the wire traction device, and the housing is mounted to the branch section in a sliding lock manner.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 와이어가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를 경유하여 착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손지지부로 연결되도록 착탈 가능한 클립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분기부에 장착되는 와어어 가이드 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12,
An auxiliary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ction wire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etachable clip so as to be connected to a hand support member worn by the wearer via a branch portion of the climbing member, and a wire guide member mounted on the branch portion is provide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는 상기 하우징 하면으로 선택적 돌출되는 돌기 형태의 로킹부, 상기 하우징 외측면에 장착되고 푸시 동작에 의해 상기 로킹부의 로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로킹 해제버튼 및 상기 하우징 하부에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를 상기 분기부에 슬라이딩 장착하기 위한 슬라이딩 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등판부재의 분기부에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의 로킹부가 걸림 고정되기 위한 걸림턱 및 상기 와이어 견인장치의 하우징이 슬라이드 장착되기 가이드 슬롯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12,
The wire pulling device is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in the form of a projection that selectively protrudes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 locking release button that is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can release the locking state of the locking portion by a pushing action, and a sliding rail for slidingly mounting the wire pulling device on the branch portion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and a catch for fixing the locking portion of the wire pulling device on the branch portion of the climbing member, and a guide slot for slidingly mounting the housing of the wire pulling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보조토크 발생장치의 캠부재 하부로부터 착용자의 대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대퇴 전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대퇴유닛의 대퇴부재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the second paragraph,
An assistive device for workers,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onnecting bar is bent from the lower part of the cam member of the auxiliary torque generating device toward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and connected to the thigh member of the thigh unit by being bent toward the front of the thigh.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대퇴유닛은 착용자의 대퇴 전방을 감싸는 대퇴부재 및 상기 대퇴부재 외주면에 상기 하부 연결바의 단부가 수용된 상태로 상기 대퇴부재에 장착되는 캡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17,
A worker's assistive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gh unit includes a thigh member that wraps around the front of the wearer's thigh and a cap member that is mounted on the thigh member in a state in which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is receiv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thigh member.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연결바는 상기 대퇴부재 전방으로 연결되되 상기 하부 연결바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방향으로 절곡되고, 상기 캡부재 내부에 상기 하부 연결바의 단부가 미리 결정된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회동 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자용 보조기.
In Article 18,
An assistive device for a worker,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er connecting bar is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thigh member, an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is bent in a predetermined direction, and a rotational space is provided inside the cap member so that the end of the lower connecting bar can rotate at a predetermined angle.
KR1020220108203A 2022-08-29 2022-08-29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Active KR10274372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03A KR102743725B1 (en) 2022-08-29 2022-08-29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08203A KR102743725B1 (en) 2022-08-29 2022-08-29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874A KR20240029874A (en) 2024-03-07
KR102743725B1 true KR102743725B1 (en) 2024-12-17

Family

ID=9027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08203A Active KR102743725B1 (en) 2022-08-29 2022-08-29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3725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9375B1 (en) 2024-07-29 2024-08-27 코스모로보틱스 주식회사 A strength-assisting device with an angle adjustment part
KR102699381B1 (en) 2024-07-29 2024-08-27 코스모로보틱스 주식회사 A non-powered strength-assisting device equipped with a cam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952992U (en) * 2017-07-19 2018-02-02 深圳龙海特机器人科技有限公司 wearable robot
CN111571568A (en) * 2020-05-22 2020-08-25 广州海同工业技术有限公司 Exoskeleton device
CN114714325A (en) * 2021-01-04 2022-07-08 重庆牛迪创新科技有限公司 Upper limb assistance exoskeleton and exoskeleton device capable of assisting in carrying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3041B1 (en) * 2018-12-12 2023-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6952992U (en) * 2017-07-19 2018-02-02 深圳龙海特机器人科技有限公司 wearable robot
CN111571568A (en) * 2020-05-22 2020-08-25 广州海同工业技术有限公司 Exoskeleton device
CN114714325A (en) * 2021-01-04 2022-07-08 重庆牛迪创新科技有限公司 Upper limb assistance exoskeleton and exoskeleton device capable of assisting in carry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29874A (en) 202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43748B1 (en)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US10124485B2 (en) Apparatus for human arm supporting exoskeleton
KR102743725B1 (en)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US20220228710A1 (en) Gravity compensation mechanisms and methods
US11730621B2 (en) Exoskeleton
CN114714325B (en) Upper limb assisting exoskeleton and exoskeleton device capable of assisting carrying
JP6538283B2 (en) Back module for exoskeleton structure
KR101988078B1 (en)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ular strength
CN109070335B (en) The modular ectoskeleton structure that power assists is provided to user
CN109070336B (en) The ectoskeleton structure that power assists is provided to user
EP3545917B1 (en) Device for assisting human body bending/stretching using elastic body
KR101961400B1 (en) Foot module for exoskeleton structures
WO2014093408A2 (en) Adaptive arm support systems and methods for use
EP3975968B1 (en) Load compensation device, in particular of gravitational loads, applicable to exoskeletons
KR102516555B1 (en) Powerless muscle-power support device
CN114654449B (en) Active and passive combined wearable knee joint power assisting exoskeleton
CN110861070B (en) Support assembly and exoskeleton robot
CN110861068B (en) Exoskeleton robot
KR102486715B1 (en)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CN119347727B (en) Unpowered weight compensation device applied to exoskeleton robot
KR102686443B1 (en) Auxiliary Equipment For Worker
CN114260883B (en) Knee joint booster
CN109877804B (en) Exoskeleton system
HK40009679A (en)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arm of a user
HK40009679B (en) Device for supporting at least one arm of a us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