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3191B1 -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 Google Patents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3191B1
KR102743191B1 KR1020217029594A KR20217029594A KR102743191B1 KR 102743191 B1 KR102743191 B1 KR 102743191B1 KR 1020217029594 A KR1020217029594 A KR 1020217029594A KR 20217029594 A KR20217029594 A KR 20217029594A KR 102743191 B1 KR102743191 B1 KR 1027431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lubricant
paint composition
paint
fluororubber
present disclosu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95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26710A (ko
Inventor
다이스케 미카메
도모히로 시로마루
야스카즈 나카타니
Original Assignee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26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6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31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319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5/08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resins; comprising acryl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rubber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rubber derivatives
    • C09D115/02Rubber derivatives containing hal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7/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7/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7/1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fluorine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1Additives non-macromolecular in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5Additives macromolecula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부여하는 도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불소 고무, 가황제, 고체 윤활제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윤활제는,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A)와는 다른 고체 윤활제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본 개시는,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에 관한 것이다.
고무 코트의 도장 물품은, 표면이 고무층에 의해 덮여 있으므로, 그 제조 또는 보관 공정에 있어서 고무층끼리 고착되기 쉬운 문제가 있다. 그래서 고무층의 고착을 방지할 목적으로, 비점착층을 고무층 상에 마련한 재료가 제안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는, 불소 고무층 상에 불소 수지(고체 윤활제), 불소 고무,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및 물을 포함하는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비점착 처리층을 마련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국제 공개 제2007/135956호
본 개시는,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부여하는 도료 조성물, 그리고, 그러한 도막을 구비하는 도장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는, 불소 고무, 가황제, 고체 윤활제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윤활제는,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A)와는 다른 고체 윤활제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고체 윤활제 (A)는 불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윤활제 (B)는 그래파이트,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불화흑연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고무와 상기 고체 윤활제와의 질량비(불소 고무/고체 윤활제)가 20/80 내지 80/2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B)와의 질량비(고체 윤활제 (A)/고체 윤활제 (B))가 50/50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 조성물은,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료 조성물은, 엘라스토머층의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마련된 엘라스토머층과,
상기 엘라스토머층 상에 마련된,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물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불소 고무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장 물품은, 불소 고무 코트 개스킷 재료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에 의하면,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부여하는 도료 조성물, 그리고, 그러한 도막을 구비하는 도장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개시는, 불소 고무, 가황제, 고체 윤활제 및 유기 용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윤활제는,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A)와는 다른 고체 윤활제 (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을 포함하므로,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비점착성으로서는, 예를 들어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의 제조 또는 보관 시에 있어서의, 당해 도막끼리의 비점착성이나,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되는 도막의 제조 또는 사용 시에 있어서의, 당해 도막의 표면과 접촉하는 다른 재료(프레스 금형 등)에 대한 비점착성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또한, 도료 안정성에도 우수하다.
상기 불소 고무로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계 불소 고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프로필렌[Pr]계 불소 고무, TFE/Pr/VdF계 불소 고무, 에틸렌[Et]/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계 불소 고무, Et/HFP/VdF계 불소 고무, Et/HFP/TFE계 불소 고무, 플루오로실리콘계 불소 고무, 플루오로포스파젠계 불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VdF계 불소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고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dF계 불소 고무로서는, VdF/HFP 공중합체, VdF/TFE/HFP 공중합체, VdF/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공중합체, VdF/CTFE/TFE 공중합체, VdF/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AVE] 공중합체, VdF/TFE/PAVE 공중합체, VdF/HFP/PAVE 공중합체, VdF/HFP/TFE/PAVE 공중합체, VdF/TFE/Pr 공중합체, VdF/Et/HFP 공중합체, VdF/식 (1)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식 (1):
(식 중, Rf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상기 가황제로서는, 예를 들어 아민 가황제, 폴리올 가황제 (폴리히드록시 방향족 화합물, 퍼옥사이드 가황제 등을 들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폴리올 가황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가황제로서는, 폴리올 가황계 불소 고무에 통상 사용되는 가황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가황제로서는, 수산기, 특히 페놀성 수산기를 분자 내에 적어도 2개 갖는 화합물이며, 가황 성능을 갖는 것을 들 수 있고, 이 화합물은, 고분자 화합물이어도 된다.
상기 폴리올 가황제로서는, 그 중에서도, 비스페놀 A, 비스페놀 AF, 히드로퀴논 등의 페놀 유도체 및 그것들의 염; 페놀 수지 등의 엔올형 수산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폴리히드록시 화합물 및 그것들의 염; 식: Rf 1(CH2OH)2(Rf 1은 퍼플루오로알킬폴리에테르기를 나타낸다.)로 표시되는 화합물 등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올 가황제로서는, 상기 이외에도, 불소 고무용 폴리올계 가황제로서 시판되고 있는 것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 가황제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용 조성물에 있어서는, 가황을 촉진시키기 위해, 가황 보조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가황 보조제로서는, 알킬 및 아르알킬 제4급 암모늄염; 제4급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세늄염 등의 제4급 암모늄염; 3급 아민; 4급 포스포늄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황제 및 상기 가황 보조제의 첨가량은, 사용하는 불소 고무의 종류나 양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술한 것 중 2종류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고체 윤활제로서,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A)와는 다른 고체 윤활제 (B)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다른 고체 윤활제를 병용함으로써, 비점착성뿐만 아니라, 내 스크래치 흠집성도 우수한 도막이 얻어진다.
상기 고체 윤활제(고체 윤활제 (A) 및 (B))로서는, 불소 수지, 그래파이트,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불화흑연, 질화붕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고체 윤활제 (A)는, 불소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수지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 공중합체[FEP], TFE/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AVE] 공중합체[PFA], TFE/HFP/PAVE 공중합체[EPA], 폴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PCTFE], TFE/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공중합체, TFE/에틸렌[Et] 공중합체[ETF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등을 들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내열성, 내마모성 등의 관점에서, PTFE가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윤활제 (B)는, 그래파이트,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불화흑연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래파이트 및 이황화몰리브덴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그래파이트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B)와의 질량비(A/B)는, 50/50 내지 90/10인 것이 바람직하고, 55/45 내지 85/15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60/40 내지 80/2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65/45 내지 80/2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고체 윤활제는, 도막 중에 안정적으로 보유 지지시키는 점에서, 평균 입경이 0.1 내지 10㎛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한 하한이 0.15㎛이며, 더 바람직한 상한이 5㎛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평균 입경은, 호리바 세이사쿠쇼제 CAPA700(원심 침강식 입도 분포 측정 장치)으로 측정된 값이다.
상기 불소 고무와 상기 고체 윤활제와의 질량비(불소 고무/고체 윤활제)는, 20/80 내지 80/20인 것이 바람직하고, 25/75 내지 75/25인 것이 더 바람직하고, 30/70 내지 70/3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유기 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메틸에틸케톤[MEK], 메틸이소부틸케톤[MIBK], 디이소부틸케톤[DIBK], 디아세톤알코올, 시클로헥사논, 이소포론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부틸, 아세트산이소펜틸 등의 에스테르류, 디에틸렌글리콜디메틸에테르 등의 에테르류, 톨루엔, 크실렌 등의 탄화수소류,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등의 아미드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유기 용제를 1종만 사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유기 용제를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상기 유기 용제의 배합량은, 상기 도료 조성물에 배합하는 불소 고무의 종류에 따라 적절하게 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유기 용제를 포함하기 때문에, 용제계 도료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물을 용매로 하는 수계 도료와 같이, 분산제로서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필요가 없고, 당해 계면 활성제가 도막에 잔존하는 것에 의한 도막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수계 도료와 비교하여, 도료 안정성도 우수하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상술한 불소 고무, 가황제, 고체 윤활제 및 유기 용제 이외에도, 안정제를 포함하는 것이어도 된다. 안정제로서는 예를 들어, 오르토포름산에스테르, 오르토탄산에스테르, 환상 오르토에스테르, 락톤아세탈, 오르토포름산 트리메틸에스테르, 오르토포름산트리에틸에스테르, 오르토아세트산트리메틸에스테르, 오르토아세트산트리에틸에스테르, 오르토탄산트리메틸에스테르, 오르토탄산트리에틸에스테르, 오르토탄산테트라메틸에스테르, 오르토탄산테트라에틸에스테르 등의 오르토에스테르류; 모노카르복실산(포름산,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등), 디카르복실산(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등) 등의 유기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상기 안정제를 1종만 사용하는 것이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안정제를 사용하는 것이어도 된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 이외에도 각종 첨가제, 예를 들어 충전재, 착색제, 소포제, 표면 조정제 등을 배합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로서는, 카본 블랙, 화이트 카본, 탄산칼슘, 황산바륨, 탈크, 규산칼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무기 안료, 복합 산화물 안료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소포제로서는 실리콘계 소포제, 중합체계 소포제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표면 조정제로서는 실록산 화합물, 아크릴계 공중합물, 메타크릴계 공중합물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을 도포 대상물에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도료 조성물의 도포는, 브러시 도포, 스프레이 코팅, 침지 도포, 플로 코팅, 디스펜서 코팅, 스크린 코팅 등, 공지의 도포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상기 도포ㆍ건조의 후, 필요에 따라 경화를 행해도 된다. 상기 경화는, 1층마다 행해도 되고, 복수의 층에 대해 통합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경화를, 상기 건조와 동시에 행해도 된다.
건조 및 경화의 조건은,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 및 도포 대상물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은,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우수한 도막을 부여하는 점에서,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로서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처리 대상이 엘라스토머 층인 경우에,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한층 현저하게 발휘되는 점에서, 엘라스토머층의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로서 특히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의 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에 사용할 수 있는 엘라스토머로서는, 불소 고무, 니트릴 고무, 수소화 니트릴 고무,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BR), 클로로프렌 고무(CR), 부타디엔 고무(BR), 천연 고무(NR), 이소프렌 고무(IR), 에틸렌-α-올레핀 고무, 에틸렌-α-올레핀-비공액 디엔 고무, 염소화 폴리올레핀 고무, 클로로술폰화 폴리올레핀 고무, 아크릴 고무, 에틸렌계 아크릴 고무,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실리콘 고무, 부틸 고무(IIR), 에틸렌-비닐에스테르 고무 및 에틸렌-메타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불소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고무로서는,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VdF]계 불소 고무,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TFE]/프로필렌[Pr]계 불소 고무, TFE/Pr/VdF계 불소 고무, 에틸렌[Et]/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HFP]계 불소 고무, Et/HFP/VdF계 불소 고무, Et/HFP/TFE계 불소 고무, 플루오로실리콘계 불소 고무, 플루오로포스파젠계 불소 고무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VdF계 불소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불소 고무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VdF계 불소 고무로서는, VdF/HFP 공중합체, VdF/TFE/HFP 공중합체, VdF/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틸렌[CTFE] 공중합체, VdF/CTFE/TFE 공중합체, VdF/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PAVE] 공중합체, VdF/TFE/PAVE 공중합체, VdF/HFP/PAVE 공중합체, VdF/HFP/TFE/PAVE 공중합체, VdF/TFE/Pr 공중합체, VdF/Et/HFP 공중합체, VdF/식 (1)로 표시되는 불소 함유 단량체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식 (1):
(식 중, Rf는 탄소수 1 내지 12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플루오로알킬기)
본 개시는,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마련된 엘라스토머층과, 상기 엘라스토머층 상에 마련된, 상술한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물품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본 개시의 도장 물품은,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을 가지므로,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우수하다.
상기 금속판으로서는, 철; 스테인리스; 알루미늄; 구리; 놋쇠; 티타늄; 아연 도금, 알루미늄 도금 등을 실시한 도금 강판 등을 포함하는 판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스테인리스판, 알루미늄판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을 구성하는 엘라스토머로서는, 상술한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에 의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한 엘라스토머층에 대해 예시한 엘라스토머를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불소 고무가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상기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의 도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두께가 5 내지 50㎛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내지 30㎛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상기 금속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마련된다.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상기 금속판 상에 직접 마련되어도 되고, 프라이머층 등의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마련되어도 된다.
상기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은, 상기 엘라스토머층 상에 마련된다. 상기 도막은, 상기 엘라스토머층 상에 직접 마련되어도 되고, 다른 층을 사이에 두고 마련되어도 되지만,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한층 현저하게 발휘되는 점에서, 상기 엘라스토머층 상에 직접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은, 두께가 0.5㎛ 이상 10㎛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상기 도막 상에, 다른 층을 더 마련해도 되지만, 비점착성 및 내 스크래치 흠집성이 한층 현저하게 발휘되는 점에서, 상기 도막 상에 다른 층을 마련하지 않는 것, 즉 상기 도막이 상기 도장 물품의 최표면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개시의 도장 물품은, 예를 들어 상기 금속판 상에 상기 엘라스토머를 포함하는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하여 얻어진 도막 상에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각 층을 형성하는 도료 조성물을 도포ㆍ건조시킨 후, 필요에 따라 경화를 행해도 된다. 상기 경화는, 1층마다 행해도 되고, 복수의 층에 대해 통합하여 행해도 된다. 또한, 상기 경화를, 상기 건조와 동시에 행해도 된다.
건조 및 경화의 조건은,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 및 엘라스토머층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은, 비점착성, 내 스크래치 흠집성 등이 요구되는 분야에 있어서 사용할 수 있어, 예를 들어 각종 시트·벨트류; O-링, 다이어프램, 밸브 시일, 화학 플랜트용 가스킷, 엔진 가스킷 등의 실링재; 내 약품성 튜브, 연료 호스, 조인트 등의 약액 등 유체 수송 부재; 복사기, 프린터, 팩시밀리 등의 OA 기기용 롤(예를 들어, 정착 롤, 압착 롤) 또는 반송 벨트 등에 사용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가스킷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도장 물품이 불소 고무 코트 개스킷 재료인 것은, 바람직한 양태의 하나이다.
실시예
다음으로 실시예를 들어 본 개시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개시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의 조제>
실시예 1
불소 고무로서 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불소 농도: 68질량%)를 포함하는 엘라스토머의 고형분 100질량부에 대해, 그래파이트 37.5질량부, 불소 수지(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112.5질량부 및 수산제 5질량부를 오픈 롤로 혼련해 컴파운드로 하였다. 이 컴파운드를 유기 용제로서의 메틸에틸케톤 700질량부와 혼합하고, 컴파운드 용액을 얻었다.
한편, 폴리올계 가황제 2질량부와 가황 보조제 0.5질량부를, 유기 용제로서의 메틸에틸케톤 200질량부 및 에탄올 5질량부로 구성되는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그 중에 안정제로서, 오르토아세트산에스테르계 화합물 2질량부 및 유기산 2질량부를 첨가하였다. 이 용액을, 먼저 조제한 컴파운드 용액과 디스퍼로 혼합하여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및 6
불소 고무, 불소 수지 및 그래파이트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하며, 또한 카본 블랙을 배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내지 5
불소 고무, 불소 수지 및 그래파이트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7 내지 10
그래파이트를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불소 고무, 불소 수지 및 그래파이트의 배합량을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불소 고무(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헥사플루오로프로필렌 공중합체)의 수성 디스퍼전(불소 고무 함유량 60질량%) 100질량부, 불소 수지(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의 수성 디스퍼전(불소 수지 함유량 60질량%) 100질량부, 아미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6질량부, 물 3800질량부를 혼합하여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얻었다.
<시험편(도장 물품)의 제작>
미리 아세톤 세정해 둔 알루미늄판에, 불소 고무 도료(VdF/HFP 공중합체의 디이소부틸케톤 용액)을 플로 코터로 도장하고, 100℃에서 30분 건조시킨 후에, 200℃에서 30분 소성하고, 고무층 두께 25㎛의 도장판을 얻었다.
상기에서 얻어진 도장판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에, 상온에서 침지 도장하고, 이어서 80 내지 100℃에서 5분간 건조를 행한 후, 200℃에서 5분간 소성하고, 두께 1㎛의 비점착 처리층을 갖는 시험편(도장 물품)을 얻었다.
이하의 방법에 의해 각 물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비점착성 시험(도막끼리의 비점착성)>
상기 시험편을 2㎝ 폭으로 잘라내서 2㎝×3㎝의 도막면끼리를 겹치고, 하중 1kg, 200℃의 조건 하에서 1시간 유지하였다. 상기 조건에서 중첩한 상태의 시험편에 대해, 실온 하에서 JIS K6850의 인장 전단 접착 강도 시험법에 따라, 만능 시험기(시마즈 세이사쿠쇼사제)를 사용하여 인장 강도를 측정하고, 하기의 기준으로 표면의 점착력을 평가하였다.
○: 인장 강도 0MPa
△: 인장 강도 1.0×10-2MPa 미만
×: 인장 강도 1.0×10-2Mpa 이상
<형 오염성(도막과 알루미늄판의 비점착성)>
상기 시험편을 2㎝ 폭으로 잘라내고, 별도 준비한 알루미늄판(2㎝ 폭)을 2㎝×3㎝의 도막면에 겹치고, 하중 1kg, 200℃의 조건 하에서, 1시간 유지하였다. 중첩한 시험편을 박리한 후의 알루미늄판의 오염도를 이하의 기준으로 눈으로 평가하였다.
○: 오염 없음
△: 약간 오염
×: 전체면에 오염
<내 스크래치 흠집성>
헤이돈(HEIDON)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기 시험편의 도막의 흠집 발생 하중을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80g 이상
△: 60 내지 70g
×: 40 내지 50g
<도료 안정성>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어진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을 25℃에서 24시간 보관 후에 재분산하고, 100 메쉬 금속망으로 여과하고, 여과 잔사의 농도를 측정하고,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1질량% 미만
△: 2 내지 4질량%
×: 5질량% 이상
Figure 112021106238917-pct00003

Claims (11)

  1. 불소 고무, 가황제, 고체 윤활제, 유기 용제 및 안정제를 포함하고,
    상기 고체 윤활제는,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A)와는 다른 고체 윤활제 (B)를 포함하고,
    상기 가황제는 폴리올 가황제이며,
    상기 안정제는 오르토에스테르류 및 유기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윤활제 (A)는 불소 수지인, 도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윤활제 (B)는 그래파이트, 이황화몰리브덴, 이황화텅스텐, 불화흑연 및 질화붕소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도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불소 고무와 상기 고체 윤활제와의 질량비(불소 고무/고체 윤활제)가 20/80 내지 80/20인, 도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 윤활제 (A)와 상기 고체 윤활제 (B)의 질량비(고체 윤활제 (A)/고체 윤활제 (B))가 50/50 내지 90/10인, 도료 조성물.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인, 도료 조성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엘라스토머층의 비점착 처리용 도료 조성물인, 도료 조성물.
  9. 금속판과,
    상기 금속판의 편면 또는 양면에 마련된 엘라스토머층과,
    상기 엘라스토머층 상에 마련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도료 조성물로 형성된 도막
    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장 물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층은, 불소 고무층인, 도장 물품.
  11. 제9항에 있어서, 불소 고무 코트 개스킷 재료인, 도장 물품.
KR1020217029594A 2019-02-21 2020-02-21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Active KR10274319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29423 2019-02-21
JP2019029423 2019-02-21
PCT/JP2020/006986 WO2020171196A1 (ja) 2019-02-21 2020-02-21 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6710A KR20210126710A (ko) 2021-10-20
KR102743191B1 true KR102743191B1 (ko) 2024-12-17

Family

ID=721436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9594A Active KR102743191B1 (ko) 2019-02-21 2020-02-21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7381938B2 (ko)
KR (1) KR102743191B1 (ko)
CN (1) CN113474161A (ko)
WO (1) WO2020171196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1551A (ja) * 1999-10-13 2001-07-03 Toagosei Co Ltd フッ素系塗料用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塗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80960B2 (ja) * 1993-03-17 2003-12-22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および基材表面の改質方法
JPH09109703A (ja) * 1995-10-13 1997-04-28 Akurosu Kk 塗料組成物及びフューエルキャップパッキン
JPH10324840A (ja) * 1997-05-26 1998-12-08 Asahi Glass Co Ltd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
JP4081929B2 (ja) * 1998-08-04 2008-04-30 Jsr株式会社 光硬化性樹脂組成物および硬化膜
JP2002012813A (ja) * 2000-06-30 2002-01-15 Asahi Glass Co Ltd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
KR20040094744A (ko) * 2002-02-27 2004-11-10 다이킨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불소 고무 도료용 조성물
JP4867138B2 (ja) * 2004-06-04 2012-02-01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溶剤型塗料組成物
US7037966B2 (en) * 2004-06-23 2006-05-02 Arkema Inc. Stain resistant coating
JP2008308509A (ja) * 2005-09-22 2008-12-25 Daikin Ind Ltd 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品
JP5025131B2 (ja) * 2005-10-31 2012-09-12 豊田合成株式会社 燃料系シール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9190171A (ja) 2006-05-18 2009-08-27 Daikin Ind Ltd 表面が非粘着処理された積層体及びその用途
JP5545396B1 (ja) * 2013-06-25 2014-07-09 Nok株式会社 ゴム−金属積層ガスケット素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81551A (ja) * 1999-10-13 2001-07-03 Toagosei Co Ltd フッ素系塗料用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の塗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381938B2 (ja) 2023-11-16
JPWO2020171196A1 (ja) 2021-12-09
WO2020171196A1 (ja) 2020-08-27
KR20210126710A (ko) 2021-10-20
CN113474161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67442B1 (en) Water-based vulcanizable fluororubber composition and article coated with fluororubber
US7344780B2 (en) Fluororubber coating composition
JP4168480B2 (ja) フッ素ゴム水性塗料組成物および被覆物品
JP4569003B2 (ja)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および被覆物品
JP4802433B2 (ja) フッ素ゴム加硫用水性組成物およびフッ素ゴム被覆物品
JP4872172B2 (ja) フッ素樹脂被覆物製造方法及びフッ素樹脂被覆物
JP4759958B2 (ja) フッ素ゴム塗料用組成物
JP2009190171A (ja) 表面が非粘着処理された積層体及びその用途
KR102743191B1 (ko)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US20050085576A1 (en) Fluororubber coating composition
JP5231430B2 (ja) 窒素含有芳香性物質を含有する粉体塗装用フルオロポリマー組成物
JP4586216B2 (ja) フッ素ゴム被覆物品
KR102569441B1 (ko) 도료 조성물 및 도장 물품
JP2000263715A (ja) フッ素樹脂被覆物品
JPWO2020171193A1 (ja)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品
JP2002338872A (ja) フッ素ゴム塗料組成物
WO2010080202A1 (en) Thick film fluoropolymer powder coating
WO2006059474A1 (ja) エラストマー用下塗り塗料組成物及び塗装物品
JP2001054761A (ja) 物品の被覆方法および被覆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14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