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3015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3015B1
KR102743015B1 KR1020200028344A KR20200028344A KR102743015B1 KR 102743015 B1 KR102743015 B1 KR 102743015B1 KR 1020200028344 A KR1020200028344 A KR 1020200028344A KR 20200028344 A KR20200028344 A KR 20200028344A KR 102743015 B1 KR102743015 B1 KR 1027430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light source
camera module
mirrors
reflective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8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12822A (ko
Inventor
서인준
김철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8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3015B1/ko
Priority to US17/909,713 priority patent/US12135493B2/en
Priority to PCT/KR2021/002675 priority patent/WO2021177743A1/ko
Publication of KR20210112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12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30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301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7/00Systems using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 waves, e.g. lidar systems
    • G01S17/88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G01S17/89Lidar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mapping or imaging
    • G01S17/8943D imaging with simultaneous measurement of time-of-flight at a 2D array of receiver pixels, e.g. time-of-flight cameras or flash lida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4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 G01S7/4815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of transmitters alone using multiple transmitt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7/00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 G01S7/48Details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s G01S13/00, G01S15/00, G01S17/00 of systems according to group G01S17/00
    • G01S7/481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 G01S7/4817Constructional features, e.g. arrangements of optical elements relating to scan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6/00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 G02B26/08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 G02B26/0816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 G02B26/0833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using movable or deformable optical elements for controlling the direction of light by means of one or more reflecting elements the reflecting element being a micromechanical device, e.g. a MEMS mirror, DMD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5/00Special procedures for taking photographs; Apparatus therefor
    • G03B15/02Illuminating scene
    • G03B15/06Special arrangements of screening, diffusing, or reflecting devices, e.g. in studi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07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 H04N13/236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using a single 2D image sensor using varifocal lenses or mirr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0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 H04N13/254Image signal generators using stereoscopic image cameras in combination with electromagnetic radiation sources for illuminating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20Image signal generators
    • H04N13/271Image signal generators wherein the generated image signals comprise depth maps or disparity map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6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발광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제 1 렌즈부,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 부재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기준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발광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는 복수의 어퍼쳐(aperture)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복수의 어퍼쳐의 수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기준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배치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카메라 모듈은 객체를 촬영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장착되고 있다. 특히 카메라 모듈은 초소형으로 제작되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의 휴대용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드론, 차량 등에 적용되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은 이미지 센서와 렌즈 사이의 간격을 자동 조절하여 렌즈의 초점거리를 정렬하는 오토포커스(autofocus, AF)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줌 렌즈(zoom lens)를 통해 원거리의 객체의 배율을 증가 또는 감소시켜 촬영하는 줌 업(zoom up) 또는 줌 아웃(zoom out)의 주밍(zooming)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모듈은 영상 흔들림 방지(image stabilization, IS)기술을 채용하여 불안정한 고정장치 혹은 사용자의 움직임에 기인한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인한 영상의 흔들림을 보정하거나 방지하는 기술이 채용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3차원 컨텐츠에 대한 수요 및 공급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3차원 컨텐츠 구현을 위해 깊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다양한 기술들이 연구 및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깊이 정보를 파악할 수 있는 기술은 스테레오(Stereo)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 구조광(Structured light)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 DFD(Depth from defocus)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 TOF(Time of flight) 카메라 모듈을 이용한 기술 등이 있다.
먼저, 스테레오(Stereo)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은 복수의 카메라, 예컨대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각각의 카메라를 통해 수신된 영상의 좌우 시차에서 발생하는 거리, 간격 등의 차이를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또한, 구조광(Structured light)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은 설정된 패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광원을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이며, DFD(Depth from defocus) 카메라를 이용한 기술은 초점의 흐려짐을 이용한 기술로 동일한 장면에서 촬영된 서로 다른 초점을 가지는 복수의 영상을 이용하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또한, TOF(Time of flight) 카메라는 광원에서 대상을 향해 방출한 광이 상기 대상에 반사되어 센서에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함으로써 상기 대상과의 거리를 계산하여 깊이 정보를 생성하는 기술이다. 이러한 TOF 카메라는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최근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TOF 카메라는 상대적으로 높은 파장 대역의 광을 사용하여 안전상 문제가 있다. 자세하게, TOF 카메라에 사용되는 광은 일반적으로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사용하며, 상기 광이 사람의 민감한 부위, 예컨대 눈, 피부 등에 입사될 경우 각종 부상 및 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또한, TOF 카메라의 발광부는 카메라 전면에 위치한 객체의 크기, 객체와의 거리 등과 무관하게 동일한 광도 및 크기의 광을 발광하고 있으며, FOI(Field of illumination) 또는 특정 위치에 제한되어 발광하고 있다. 이에 따라, FOI 또는 특정 위치에 광이 도달하지 않거나, 낮은 세기의 광이 도달하여 깊이 정보에 대한 정확도가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공간에 대한 해상도(spatial resolution) 특성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카메라 모듈이 요구된다.
실시예는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장거리에 위치한 객체의 깊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복수의 객체의 깊이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실시예는 두께 및 부피를 감소시킬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발광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제 1 렌즈부,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제1 렌즈부를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 부재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기준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배치된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발광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광을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는 복수의 어퍼쳐(aperture)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복수의 어퍼쳐의 수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기준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배치된다.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향상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은 광원과 수광부 사이에 배치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미러는 제어부에 의해 소정의 각도로 틸트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객체에 보다 많은 광을 집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장거리에 위치한 객체의 깊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은 복수의 미러 중 상기 객체와 대응되는 미러 및 상기 객체의 주변부와 대응되는 미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거리에 위치한 상기 객체에 보다 많은 광을 집중할 수 있어 정확도가 향상된 깊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객체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객체의 이동 등에 의해 위치가 변경될 경우 이와 대응되는 미러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객체의 위치가 변경되어도 정확한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한 복수의 객체의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카메라 모듈은 상기 복수의 객체와 각각 대응되는 미러, 복수의 객체의 주변부와 대응되는 미러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고, 정확도가 향상된 깊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발광부는 수광부와 다른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발광부의 광축은 상기 수광부의 광축과 수직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은 보다 얇은 두께,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 및 수광부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와 반사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광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와 반사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와 반사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들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객체의 유무에 따른 반사 부재의 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이 적용된 이동 단말기 및 차량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으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하기 앞서 제1 방향은 도면에 도시된 x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도면에 도시된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수평 방향은 제1 및 제2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 중 적어도 한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평 방향은 도면의 x축 및 y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도면의 z축 방향으로 상기 x축 및 y축 방향과 수직인 방향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구성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 및 수광부의 구성도이다. 또한,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와 반사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광 패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반사 부재의 정면도이다.
먼저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발광부(100), 수광부(300), 반사 부재(500) 및 제어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설정된 세기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설정된 방향으로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00)는 가시광 또는 적외선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약 700nm 내지 약 1mm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상기 발광부(100)의 전면 방향으로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발광부(100)는 광 출사 방향에 위치한 객체를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00)는 광을 수광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00)는 상기 객체에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00)는 상기 발광부(100)에서 방출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00)는 상기 발광부(100)가 방출한 광과 대응되는 파장 대역의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수광부(300)는 상기 발광부(100)에서 방출되어 상기 객체에 반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객체를 향해 광을 방출하고 객체에 반사되어 되돌아오는 광 정보를 바탕으로 객체의 깊이 정보를 산출하는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객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의 광원(110)과 상기 객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와 상에 배치되며 상기 발광부(100)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발광부(100)에서 방출된 광을 설정된 각도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에 대해서는 후술할 도면을 이용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30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발광부(100) 및 상기 수광부(300) 중 적어도 하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반사 부재(500)와 연결되어 상기 반사 부재(50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10)는 객체의 크기, 위치 형태 등에 따라 상기 반사 부재(500)에 포함된 복수의 미러(510)의 틸트 각도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0) 결합부(미도시) 및 연결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후술할 광학 기기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는 회로기판 및 상기 회로기판 상에 배치되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단자는 상기 광학 기기와의 물리적, 전기적 연결을 위한 커넥터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후술할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기판(50)과 상기 결합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상기 기판(50)과 상기 결합부를 연결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연결부는 연성 PCB(FBCB)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기판(50)과 상기 결합부의 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50)은 후술할 제 1 기판(50a) 및 제 2 기판(50b)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발광부(100) 및 수광부(3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100)는 제 1 기판(50a) 상에 배치되며, 광원(110) 및 제 1 렌즈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0a)은 상기 발광부(1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0a)은 상기 발광부(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0a)은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0a)은 상기 발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수지층으로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판(50a)은 리지드 PCB(Rigid PCB), 메탈 코어 PCB(MCPCB, Metal Cor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RFPCB(Rigid Flexible 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기판(50a)은 글래스(glass), 수지,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세라믹(ceramic), 표면이 절연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기판(50a)은 플레이트, 리드 프레임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1 기판(50a) 상에는 제너 다이오드, 변압 조절기 및 저항 등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1 기판(50a) 상에는 절연층(미도시) 또는 보호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또는 보호층은 상기 제 1 기판(50a)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은 상기 제 1 기판(5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은 상기 제 1 기판(50a)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 1 기판(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은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110)은 발광 다이오드(LED; Light Emitting diode),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VCSEL;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레이저 다이오드(LD; Laser diode) 중 적어도 하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기판(50a) 상에 복수의 발광소자가 배치될 경우,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제 1 기판(50a) 상에서 설정된 패턴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는 상기 복수의 발광소자에서 광이 방출되는 영역, 예컨대 광 방출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어퍼쳐(aperture)가 소정의 규칙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110)은 설정된 방향으로 설정된 세기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은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원(110)은 가시광 또는 적외선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110)은 약 380nm 내지 약 700nm 파장 대역의 가시광을 방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110)은 약 700nm 내지 약 1mm 파장 대역의 적외선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기 광원(110) 상에는 제 1 렌즈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과 이격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유리(glass), 플라스틱(plast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방출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과 대응되는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중심이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중첩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집광, 확산 및 산란 중 적어도 하나를 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설정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복수의 점 광원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상기 수광부(300)의 이미지 센서(310)의 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이 객체에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제어하여 사람의 눈, 피부 등과 같이 광에 민감한 영역에 광이 직접적으로 조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휘도 균일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의 발광소자가 배치된 곳, 예컨대 상기 발광소자의 어퍼쳐와 대응되는 영역에 광이 집중되는 핫스팟(hot spot)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100)는 구동 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결합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하우징과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actu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과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상기 광원(110) 사이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상기 광원(110)과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상기 광원(110) 사이의 거리는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을 따라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110)과 최인접한 하나의 렌즈와 상기 광원(110) 사이의 거리는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렌즈부(130)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상기 하나의 렌즈와 다른 렌즈 사이의 거리 또한 변화할 수 있다.
즉,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경로를 변경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광원(110)과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간격이 가까워지도록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00)에서 방출된 광이 면 광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광원(110)과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간격이 멀어지도록 구동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00)에서 방출된 광이 점 광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면 광원은 도 4(a)와 같이 설정된 영역에 균일하게 조사되는 광원을 의미할 수 있고, 점 광원은 도 4(b)와 같이 설정된 영역에 점 형태로 조사되는 광원을 의미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발광부(100)는 점 광원 및 면 광원 중 선택되는 하나의 광원을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110) 및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되어 점 광원 또는 면 광원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이동이 불필요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00)는 제 2 기판(50b) 상에 배치되며 이미지 센서(310) 및 제 2 렌즈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상기 수광부(30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상기 수광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회로 기판일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상기 발광부(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선층을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수지층으로 형성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기판(50b)은 리지드 PCB(Rigid PCB), 메탈 코어 PCB(MCPCB, Metal Core PCB), 연성 PCB(FPCB, Flexible PCB), RFPCB(Rigid Flexible PCB)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기판(50b)은 글래스(glass), 수지,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합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고, 열전도성이 우수한 세라믹(ceramic), 표면이 절연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플레이트, 리드 프레임과 같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제 2 기판(50b) 상에는 제너 다이오드, 변압 조절기 및 저항 등이 더 배치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 2 기판(50b) 상에는 절연층(미도시) 또는 보호층(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연층 또는 보호층은 상기 제 2 기판(50b)의 일면 및 타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상기 제 1 기판(50a)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판(50b)은 상기 제 1 기판(50a)과 분리되어 이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 한정하지는 않는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제 2 기판(50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제 2 기판(50b)의 상면과 직접 접촉하며 상기 제 2 기판(5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제 2 기판(50b)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객체에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에 입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과 대응되는 파장의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후술할 제 2 렌즈부(330)를 통해 입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광원(110)으로부터 방출되어 상기 객체에 반사된 광을 감지하여 상기 객체의 깊이 정보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310)는 상기 광원(110)과 다른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미지 센서(310)의 광축과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은 서로 다른 방향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이미지 센서(310)의 광축과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은 수직일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330)는 상기 이미지 센서(3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330)는 상기 이미지 센서(310)와 이격되며 적어도 하나의 렌즈 및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렌즈는 유리(glass), 플라스틱(plastic)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330)는 상기 수광부(300)로 입사되는 광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렌즈부(33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되어 상기 객체에 반사된 광을 상기 이미지 센서(310) 방향으로 통과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 2 렌즈부(330)는 광축이 상기 이미지 센서(310)의 광축과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수광부(300)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상기 객체와 상기 이미지 센서(3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는 상기 이미지 센서(310) 및 상기 제 2 렌즈부(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는 설정된 파장 대역의 광을 통과시키고, 이와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필터링 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필터는 상기 제 2 렌즈부(330)를 통해 상기 수광부(300)에 입사된 광 중, 상기 광원(110)과 대응되는 파장의 광을 통과시킬 수 있고, 상기 광원(110)과 다른 파장 대역의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발광부(100) 상에는 반사 부재(5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광원(110) 및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광원(110) 및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한 광을 객체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복수의 미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과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의 중심은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의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발광소자의 어퍼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MEMS(Micro-electric mechanical system) 미러 및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반사형 MEMS 미러, 투과형 MEMS 미러, 반사형 DMD 소자, 투과형 DMD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반투과형 MEMS 미러 또는 반투과형 DMD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원형, 태원형, 삼각형, 사각형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서로 동일한 형태 및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도 5와 같이 사각형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광소자가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격될 경우 상기 복수의 미러는 도 5와 같이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미러(510) 중 하나의 미러는 인접한 미러와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미러와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미러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미러와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미러는 서로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미러와 가로 방향으로 인접한 미러 사이의 간격은 세로 방향으로 인접한 미러 사이의 간격과 동일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과 대응되는 개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발광소자의 복수의 어퍼쳐와 같거나 상기 어퍼쳐보다 많은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가 상기 발광소자의 어퍼쳐와 동일한 개수를 가질 경우,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각각의 어퍼쳐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러(510)가 상기 어퍼쳐의 개수보다 많을 경우, 상기 어퍼쳐에서 방출되는 광의 경로를 보다 세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보다 향상된 분해능(resolution)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가장 좌측 열을 기준으로 제 1 내지 제 8 미러(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미러(511)는 최하부에 위치한 미러일 수 있고, 상기 제 8 미러(518)는 최상부에 위치한 미러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상 명세서 및 도면에는 상기 미러(510)가 가로 방향 8줄, 세로 방향 8줄 총 64개가 배치되는 것으로 표현하였으나, 실시예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가로 방향 n(n>1)줄, 세로 방향 m(m>1)줄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의 값과 m의 값은 서로 같거나 상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미러(510)의 수는 상기 발광부(100)에서 방출되는 광, 발광소자의 개수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510)의 수는 상기 수광부(300)의 이미지 센서(310) 크기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발광부(100)에 대해 소정의 경사각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서로 동일한 경사각을 가지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 각각의 상면들을 연장하는 가상의 평면은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에 대해 소정의 기준각(θ)으로 정의되는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러(510)의 상면은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이 입사되어 반사되는 반사면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미러(510) 각각은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에 대해 기준각(θ)만큼 기울어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각(θ)은 90도 이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준각(θ)은 45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한 광은 상기 미러(510)에 반사되어 객체를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반사 부재(500)에 입사된 광은 상기 복수의 미러(510)에 의해 경로가 90도 변경되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tilt)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 각각은 상기 기준각(θ)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틸트(tilt)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제어부(7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카메라 모듈(1000) 전면의 객체에 위치, 거리 등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를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할 수 있다. 여기서 소정의 각도 범위는 약 5도 미만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는 약 3도 미만일 수 있다. 상기 각도 범위가 약 5도를 초과할 경우, 상대적으로 원거리에 위치한 객체에 균일한 광을 조사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로 인해, 원거리에 위치한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의 정확성이 낮아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도 범위는 상술한 범위를 만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와 반사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다른 도면이다. 도 6을 이용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광원(110)과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상기 광원(110) 및 상기 제 1 렌즈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복수의 미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의 중심은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의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발광소자의 어퍼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에 대해 기준각(θ)만큼 기울어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각(θ)은 90도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준각(θ)은 45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되어 상기 반사 부재(500)에 입사된 광은 상기 복수의 미러(510)에 의해 경로가 90도 변경되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복수의 미러(510)에 반사되어 상기 제 1 렌즈부(130)에 입사될 수 있고,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하여 상기 객체를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기준각(θ)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틸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틸트(tilt)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제어부(7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 상에는 제 1 렌즈부(13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중심이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수직인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반사 부재(500)에 반사된 광의 경로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반사 부재(500)에 반사된 광을 집광, 확산 및 산란 중 적어도 하나를 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반사 부재(500)에 반사된 광을 설정된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반사 부재(500)에 반사된 광을 원형,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단면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반사 부재(500)에 반사된 광을 복수의 점 광원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렌즈부(130)는 상기 반사 부재(500)에 반사된 광을 상기 수광부(300)의 이미지 센서(310)의 유효 영역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의 거리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의 거리는 증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상기 광원(110) 사이의 거리 역시 증감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적어도 하나의 렌즈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반사 부재(500)와 최인접한 하나의 렌즈와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의 거리는 변화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렌즈부(130)가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경우, 상기 하나의 렌즈와 다른 렌즈 사이의 거리 또한 변화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구동 부재(150)는 상기 제 1 렌즈부(130)와 상기 반사 부재(500) 사이의 간격을 제어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1000)에서 방출된 광이 면 광원 또는 점 광원을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발광부와 반사 부재의 배치를 나타낸 또 다른 도면들이다. 도 7 및 도 8을 이용한 설명에서는 앞서 설명한 카메라 모듈과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며 동일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반사 부재(500)는 도 7과 같이 상기 제 1 렌즈부(130) 상에 배치되거나 도 8과 같이 상기 광원(110)과 상기 제 1 렌즈부(1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반사 부재(500)는 복수의 미러(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의 중심은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의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설정된 패턴으로 배치되는 발광소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발광소자의 어퍼쳐와 대응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에 대해 기준각(θ)만큼 기울어지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기준각(θ)은 90도 이하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기준각(θ)은 90도일 수 있다. 즉, 상기 복수의 미러(510) 각각의 상면들을 연장하는 가상의 평면은 상기 광원(110)의 광축(OA)과 수직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을 투과 또는 반투과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의 출사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의 경우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한 광은 상기 복수의 미러(510)를 통과하여 상기 객체를 향해 방출될 수 있다. 또한, 도 8의 경우,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복수의 미러(510)를 통과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미러(510)를 통과한 광은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하여 상기 객체를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기준각(θ)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에서 틸트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2차원 또는 3차원 방향으로 틸트(tilt)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제어부(710)에서 인가되는 신호에 의해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은 객체의 유무에 따른 반사 부재의 틸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동작 방법에 대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에는 전원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발광부(100)는 전면을 향해 광을 방출할 수 있고, 상기 수광부(300)는 객체로부터 반사되어 수광부(300)에 입사된 광을 감지할 수 있다. 이 과정에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RGB 이미지 또는 Gray 이미지를 얻을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 1 렌즈부(130)를 통과하여 상기 반사 부재(500)에 입사될 수 있다. 이후, 상기 반사 부재(500)에 입사된 광은 상기 복수의 미러(510)에 의해 반사되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전면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복수의 미러(510)는 상기 광원(110)의 광축(OA)에 대해 기준각(θ)만큼 기울어진 제 1 내지 제 8 미러(511, 512, 513, 514, 515, 516, 517, 5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 1 미러(511)에 반사된 제 1 광(L1), 상기 제 2 미러(512)에 반사된 제 2 광(L2), 상기 제 3 미러(513)에 반사된 제 3 광(L3) 및 상기 제 4 미러(514)에 반사된 제 4 광(L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원(110)에서 방출된 광은, 상기 제 5 미러(515)에 반사된 제 5 광(L5), 상기 제 6 미러(516)에 반사된 제 6 광(L6), 상기 제 7 미러(517)에 반사된 제 7 광(L7) 및 상기 제 8 미러(518)에 반사된 제 8 광(L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8 광(L1~L8)은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전방에 배치된 대상을 향해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8 광(L1~L8)은 설정된 방향 및 영역으로 방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내지 제 8 광(L1~L8)은 상기 제 1 렌즈부(130) 및 상기 구동 부재(150)에 의해 면 광원 또는 점 광원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8 광(L1~L8)은 상기 대상에 반사될 수 있고, 반사된 반사광(RL)은 상기 수광부(300)에 입사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획득한 이미지에서 객체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고,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이미지 내에 객체가 있을 경우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획득한 이미지에서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자세하게, 도 8과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전면에 제 1 객체(Ob1)가 위치할 경우, 상기 제어부(710) 또는 사용자는 상기 제 1 객체(Ob1)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10)는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객체(Ob1)에 대한 상기 반사 부재(500)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복수의 미러(510) 중 상기 제 1 객체(Ob1)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 및 그 주변부의 미러(510) 중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의 이동량, 예컨대 틸트 정도를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객체(Ob1)는 상기 복수의 미러(510) 중 적어도 하나의 미러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객체(Ob1)는 도 8과 같이 상기 제 1 미러(5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객체(Ob1)에는 상기 제 1 미러(511)의 제 1 광(L1)이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객체(Ob1)에 광을 조사하는 미러(510), 상기 제 1 객체(Ob1)의 주변부에 광을 조사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광(L1)을 형성하는 제 1 미러(51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리머(511)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미러(511)는 상기 제 1 객체(Ob1)에 보다 많은 광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2 광(L2) 및 상기 제 3 광(L3)을 형성하는 제 2 미러(512) 및 제 3 미러(513)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미러(511)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미러(512) 및 상기 제 3 미러(513)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미러(512)는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제 2 각도(θ2)만큼 틸트될 수 있고, 상기 제 3 미러(513)는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제 3 각도(θ3)만큼 틸트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각도(θ2) 및 상기 제 3 각도(θ3)는 상술한 소정의 각도 범위를 만족하며 약 5도 미만일 수 있다. 또한, 나머지 미러들, 예컨대 제 4 내지 제 8 미러(514, 515, 516, 517, 518)은 틸트되지 않고, 상기 기준각(θ)을 유지하며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객체(Ob1)의 주변부에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객체(Ob1)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객체(Ob1)에는 보다 많은 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수광부(300)의 이미지 센서(310)에는 상기 제 1 객체(Ob1)에 반사된 반사광(RL)이 보다 많이 입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객체(Ob1)에 대해 보다 정확한 초점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객체(Ob1)와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상기 제 1 객체(Ob1)에 대한 향상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 1 객체(Ob1)에 대한 깊이 정보의 획득이 종료될 경우, 상기 제 2 및 제 3 미러(512, 513)는 틸트되지 않고 상기 기준각(θ)으로 되돌아가 유지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객체(Ob1)가 상대적으로 먼 거리에 위치할 경우, 상기 제 1 객체(Ob1)에 도달하는 광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를 틸트하여 상기 제 1 객체(Ob1)에 광을 집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객체(Ob1)가 장거리에 위치하여도 정확도가 향상된 깊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객체(Ob1)를 트래킹(tracking)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객체(Ob1)의 위치가 변경될 경우, 상기 제 1 객체(Ob1)와 대응되는 미러(510) 및 상기 제 1 객체(Ob1)의 주변부와 대응되는 미러(5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위치가 변화하는 객체에 대해 보다 정확한 초점을 잡으며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발광부(100)의 광축과 상기 수광부(300)의 광축이 서로 수직인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발광부(100)가 수평 방향으로 연장하는 형태를 가질 수 있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전체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전면에는 복수의 객체가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의 전면에는 제 1 객체(Ob1) 및 상기 제 1 객체(Ob1)와 이격된 제 2 객체(Ob2)가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10) 또는 사용자는 상기 제 1 객체(Ob1) 및 상기 제 2 객체(Ob2) 중 적어도 하나의 객체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710)는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어부(710) 또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제 1 객체(Ob1) 및 상기 제 2 객체(Ob2)를 모두 선택했을 경우,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객체(Ob1) 및 상기 제 2 객체(Ob2)와 각각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객체(Ob1) 및 상기 제 2 객체(Ob2)의 주변부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미러(510)의 이동량을 계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객체(Ob1)는 상기 제 1 미러(511)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 1 객체(Ob1)에는 상기 제 1 미러(511)의 제 1 광(L1)이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객체(Ob1)에 광을 조사하는 제 1 미러(511)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1 객체(Ob1)의 주변부에 광을 조사하는 제 2 미러(512) 및 제 3 미러(513)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1 미러(511)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미러(512) 및 상기 제 3 미러(513)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2 미러(512)는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제 2 각도(θ2)만큼 틸트될 수 있고, 상기 제 3 미러(513)는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제 3 각도(θ3)만큼 틸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객체(Ob2)는 상기 제 7 미러(517)와 대응되는 영역에 위치할 수 있고, 상기 제 2 객체(Ob2)에는 상기 제 7 미러(517)의 제 7 광(L7)이 입사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2 객체(Ob2)에 광을 소자하는 제 7 미러(517)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710)는 상기 제 2 객체(Ob2)의 주변부에 광을 조사하는 제 6 미러(516) 및 제 8 미러(518)를 제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제 7 미러(517)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6 미러(516) 및 상기 제 8 미러(518)는 상기 제어부(710)에 의해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6 미러(516)는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제 6 각도(θ6)만큼 틸트될 수 있고, 상기 제 8 미러(518)는 상기 기준각(θ)으로부터 제 8 각도(θ8)만큼 틸트될 수 있다.
상기 제 1 미러(511)의 틸트 각도, 상기 제 7 미러(517)의 틸트 각도, 상기 제 2 각도(θ2), 상기 제 3 각도(θ3), 상기 제 6 각도(θ6) 및 상기 제 8 각도(θ8)는 상술한 소정의 각도 범위를 만족하며 약 5도 미만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객체(Ob1)와 상기 제 2 객체(Ob2) 각각의 주변부에 조사되는 광을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Ob1, Ob2)를 향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Ob1, Ob2)에는 보다 많은 광이 조사될 수 있으며, 상기 이미지 센서(310)에는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Ob1, Ob2)에서 각각 반사된 반사광(RL)이 보다 많이 입사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복수의 객체에 대한 초점을 동시에 잡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Ob1, Ob2)와의 각각의 거리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정확도가 향상된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제 1 객체(Ob1)와 상기 제 2 객체(Ob2)는 서로 다른 위치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객체(Ob1)는 상기 제 2 객체(Ob2)보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0)과 먼 거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도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상기 제 1 및 제 2 객체(Ob1, Ob2)와 각각 대응되는 미러(510) 및 주변부의 미러(510)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Ob1, Ob2)의 서로 다른 깊이 정보를 동시에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객체(Ob1) 및 상기 제 2 객체(Ob2)는 서로 같은 방향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각각의 객체(Ob1, Ob2)와 대응되는 미러(510) 및 그 주변부의 미러(510)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객체(Ob1, Ob2)에 대한 초점을 정확히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위치가 변화하는 복수의 객체에 대한 깊이 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할 수 있고, 깊이 정보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광학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도 1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이동 단말기(1500)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500)는 후면에 제 1 카메라 모듈(1000), 제 2 카메라 모듈(101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1000)은 상술한 카메라 모듈(1000)로 발광부(100) 및 수광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00)은 TOF(Time of flight) 카메라일 수 있다.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1010)은 이미지 촬영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1000)은 자동 초점(Auto focus), 줌(zoom) 기능 및 OIS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카메라 모듈(1010)은 촬영 모드 또는 화상 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 영상 또는 동셩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소정의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이동 단말기(1500)의 전면에도 카메라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500)의 후면에는 플래시 모듈(153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래시 모듈(1530)은 내부에 광을 발광하는 발광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래쉬 모듈(1530)은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 작동 또는 사용자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이동 단말기(1500)를 이용하여 객체를 촬영 및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상기 제 1 카메라 모듈(1000)을 이용하여 상기 객체의 깊이 정보를 효과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도 1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00)은 차량(3000)에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300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13FL, 13FR), 소정의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카메라 센서(200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카메라 센서(2000)는 상술한 카메라 모듈(1000)을 포함하는 카메라 센서일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차량(3000)은, 전방 영상 또는 주변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 센서(2000)를 통해 영상 정보 및 깊이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및 깊이 정보를 이용하여 차선 미식별 상황을 판단하고 미식별시 가상 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2000)는 차량(3000)의 전방을 촬영하여 전방 영상을 획득하고, 프로세서(미도시)는 이러한 전방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분석하여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센서(2000)가 촬영한 영상에 차선, 인접차량, 주행 방해물, 및 간접도로 표시물에 해당하는 중앙 분리대, 연석, 가로수 등의 객체를 촬영할 경우, 프로세서는 이러한 객체의 영상 정보뿐만 아니라 깊이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즉, 실시예는 차량(3000)의 탑승자에게 객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실시예들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해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카메라 모듈: 1000 기판: 50
발광부: 100 광원: 110
제1 렌즈부: 130 구동 부재: 150
수광부: 300 이미지 센서: 310
제2 렌즈부: 330 반사 부재: 500
미러: 510 제어부: 710

Claims (11)

  1. 발광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는 제 1 렌즈부;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광을 객체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 부재; 및
    상기 제 1 렌즈부를 상기 광원과 상기 반사 부재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기준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배치되며,
    상기 이미지 센서는 상기 반사 부재에서 반사된 광으로부터 상기 객체에서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카메라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객체가 선택될 경우,
    상기 객체와 대응되는 미러 및 상기 객체의 주변부와 대응되는 미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기준각으로부터 상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되는 카메라 모듈.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 중에 상기 객체와 대응되지 않는 미러는 상기 기준각을 유지하며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는 반사형 MEMS(Micro-electric mechanical system) 미러, 투과형 MEMS 미러, 반사형 DMD(Digital Micromirror Device) 소자 및 투과형 DMD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광원의 광축에 대해 상기 기준각으로 기울어지며 배치되고,
    상기 기준각은 45도인 카메라 모듈.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는 복수의 어퍼쳐(aperture)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복수의 어퍼쳐의 수보다 많거나 같은 수로 제공되는 카메라 모듈.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광원의 광축을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렌즈부는 상기 구동 부재에 의해 상기 광원의 광축과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카메라 모듈.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재는 객체에 조사되는 광 패턴을 면 광원 또는 점 광원으로 조정하는 카메라 모듈.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광부는 상기 이미지 센서 상에 배치되는 제 2 렌즈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발광부; 및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수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광부는,
    광원;
    상기 광원 상에 배치되며 상기 광원에서 방출한 광을 객체를 향해 반사하는 반사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광원은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캐비티 표면 방출 레이저는 복수의 어퍼쳐(aperture)를 포함하고,
    상기 반사 부재는 복수의 미러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상기 복수의 어퍼쳐의 수 이상이고,
    상기 복수의 미러는 기준각으로부터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틸트 가능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KR1020200028344A 2020-03-06 2020-03-06 카메라 모듈 Active KR1027430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344A KR102743015B1 (ko) 2020-03-06 2020-03-06 카메라 모듈
US17/909,713 US12135493B2 (en) 2020-03-06 2021-03-04 Camera module
PCT/KR2021/002675 WO2021177743A1 (ko) 2020-03-06 2021-03-04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8344A KR102743015B1 (ko) 2020-03-06 2020-03-06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12822A KR20210112822A (ko) 2021-09-15
KR102743015B1 true KR102743015B1 (ko) 2024-12-17

Family

ID=776136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8344A Active KR102743015B1 (ko) 2020-03-06 2020-03-06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2135493B2 (ko)
KR (1) KR102743015B1 (ko)
WO (1) WO2021177743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7691A (ja) 2008-12-17 2010-07-01 Canon Inc 画像生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35120B2 (ja) 2012-12-19 2017-05-31 富士通株式会社 距離測定装置、距離測定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56201B2 (en) * 2014-02-10 2016-09-2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VCSEL array for a depth camera
US9503708B2 (en) * 2014-11-03 2016-11-22 Aquifi,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ducing z-thickness and zero-order effects in depth cameras
KR101538395B1 (ko) 2015-02-16 2015-07-23 주식회사 나무가 방사각의 조절이 가능한 광 확산장치 조합모듈, 3d 카메라 및 방사각을 최적화하는 방법
DE102016204148A1 (de) 2016-03-14 2017-09-14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Multiaperturabbildungsvorrichtung, Abbildungssystem und Verfahren zum Erfassen eines Objektbereichs
KR101976605B1 (ko) 2016-05-20 2019-05-09 이탁건 전자기기 및 그 동작 방법
KR102378472B1 (ko) 2017-08-10 2022-03-25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러를 회전 시킬수 있는 구동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CN208572292U (zh) * 2018-03-18 2019-03-01 宁波舜宇光电信息有限公司 深度信息摄像模组及其基座组件和电子设备
KR102488006B1 (ko) * 2018-03-20 2023-01-1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20190117176A (ko) 2018-04-06 2019-10-16 삼성전기주식회사 적외선 카메라 모듈, 이의 이미지 센서 및 전자 기기
KR20200012611A (ko) * 2018-07-27 2020-02-05 자화전자(주) 마이크로 미러 기반 오토 포커싱 카메라 모듈
US11604259B2 (en) * 2019-10-14 2023-03-14 Infineon Technologies Ag Scanning LIDAR receiver with a silicon photomultiplier detecto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47691A (ja) 2008-12-17 2010-07-01 Canon Inc 画像生成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210795A1 (en) 2024-06-27
WO2021177743A1 (ko) 2021-09-10
US12135493B2 (en) 2024-11-05
KR20210112822A (ko) 2021-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1964B1 (en) Illuminator for camera system having three dimensional time-of-flight capture with movable mirror element
CN210093323U (zh) 光学变焦成像装置及深度相机
KR20100134778A (ko) 개선된 원격 제어를 갖는 조명 장치
CN114428437B (zh) 一种结构光与泛光照明合置的3d投射器及电子设备
WO2023092859A1 (zh) 激光雷达发射装置、激光雷达装置及电子设备
US20240170466A1 (en) Optical navigation module performing lateral detection
KR102743015B1 (ko) 카메라 모듈
KR20200113438A (ko) 카메라 모듈
CN116774233A (zh) 激光雷达系统、电子设备及车辆
KR20220009663A (ko) 광학계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N220171253U (zh) 一种3d模组及电子设备
US20230266465A1 (en) Distance measuring camera
JP2015190988A (ja) 光学エンジ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プロジェクタ
KR102754180B1 (ko) 카메라 모듈
US20080193118A1 (en) Device for accurately capturing face image within camera's field of view
US20230017619A1 (en) Structured-light projector, camera assembly, and electronic device
KR102754179B1 (ko) 카메라 모듈
KR102680498B1 (ko) 카메라 모듈
KR20220013778A (ko) 거리 측정 카메라
CN213091888U (zh) 深度测量系统及电子设备
US20240255643A1 (en) Distance measurement camera module
KR20220015133A (ko) 거리 측정 카메라
KR102754178B1 (ko) 카메라 모듈 및 카메라 모듈의 정상 동작 확인 방법
KR20200086815A (ko) 카메라 모듈
KR102764648B1 (ko) 카메라 엑추에이터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030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