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2689B1 -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 Google Patents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2689B1
KR102742689B1 KR1020220065703A KR20220065703A KR102742689B1 KR 102742689 B1 KR102742689 B1 KR 102742689B1 KR 1020220065703 A KR1020220065703 A KR 1020220065703A KR 20220065703 A KR20220065703 A KR 20220065703A KR 102742689 B1 KR102742689 B1 KR 102742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groove
locking ball
spring
hold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5891A (ko
Inventor
김진성
김현규
Original Assignee
김진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진성 filed Critical 김진성
Priority to KR10202200657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2689B1/ko
Publication of KR20230165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2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2689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7Details of the aspiration tip,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00Suction or pumping devices for medical purposes; Devices for carrying-off, for treatment of, or for carrying-over, body-liquids; Drainage systems
    • A61M1/84Drainage tubes; Aspiration tips
    • A61M1/86Connectors between drainage tube and handpiece, e.g. drainage tubes detachable from handpie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08Tubes; Storage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M2039/087Tools for handling tubes, e.g. crimping tool for connecting tubes to a connect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9/00Ancillary equipment
    • A61M2209/04Tools for specific apparatu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 튜브를 체외로 인출하는데 사용되는 바늘 및 이 바늘과 함께 사용하는 홀더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는 흡인기의 배액 튜브가 연결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의 전방을 소정의 깊이로 수용한 상태로 결속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은 상기 홀더와의 결속을 위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결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바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늘홈과, 상기 바늘홈 내부 공간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늘의 이동을 결속하는 결속기구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An extracting apparatus for medical drain tube}
본 발명은 의료용 흡인기 튜브를 체외로 인출하는데 사용되는 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튜브 인출용 바늘 및 이 바늘과 함께 사용하는 홀더에 관한 것이다.
의료용 흡인기는 수술 후 환부에 발생하는 체액, 혈장 등 삼출물을 체외로 배출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구를 말한다. 의료용 흡인기는 체액 인출 통로를 형성하는 배액 튜브와 배액 튜브에 연결된 상태로 소정의 음압을 제공하여 흡인력을 발생시키는 흡인 용기로 구성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346944호에는 종래 의료용 흡인기의 일 예가 개시되어 있다. 종래 특허에 개시된 바와 같이, 배액 튜브는 그 선단부가 투관침이라고 불리는 의료용 바늘에 끼워진 상태로 환부를 관통하여 인출된 후, 투관침을 제거한 자리에 배액 용기의 주입구를 꽂아 사용하게 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의료용 바늘은 금속 재질로 매끄러운 표면을 이루고 있어 시술자가 체액이 묻은 손으로 다룰 때 미끄러지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수술 부위의 상처를 과도하게 크게 하거나, 장기 또는 신경 손상 등 의료 사고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수술용 바늘을 체외로 인출하기 위해 시술자는 한 손으로 바늘 후방을 잡은 상태에서 다른 손으로 체외로 관통된 바늘 선단부를 당겨야 하는데, 손이 미끄러져 수술 작업에 어려움을 겪거나 뾰족한 바늘에 찔려 시술자가 다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 제1346944호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술 과정에서 튜브 인출용 바늘의 미끄러짐으로 인한 작업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는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술자가 시술 중에 바늘에 찔리는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흡인기 튜브 인출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의료 사고의 위험을 줄일 수 있는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는 흡인기의 배액 튜브가 연결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의 전방을 소정의 깊이로 수용한 상태로 결속하는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은 상기 홀더와의 결속을 위해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형상으로 만입되어 형성되는 결속홈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바늘을 수용할 수 있도록 축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는 바늘홈과, 상기 바늘홈 내부 공간 일부를 선택적으로 점유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기 바늘의 이동을 결속하는 결속기구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속기구부는 상기 바늘홈 내부까지 진퇴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록킹볼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볼은 상기 바늘홈 내부를 차지하는 위치에 구속되는 결속 상태와, 상기 바늘홈 내부를 차지하지 않도록 위치가 구속되지 않은 해제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결속기구부는 상기 바늘홈 입구 둘레에 형성되는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를 반경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록킹볼이 설치되는 볼삽입홀과, 상기 실린더부 둘레에 설치되며 축방향 위치에 따라 상기 록킹볼의 반경 방향 운동을 선택적으로 구속하는 푸쉬커버와, 상기 실린더부 및 상기 푸쉬커버 사이에 내장되어 상기 푸쉬커버에 축방향 힘을 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푸쉬커버는 결속 상태에서 상기 볼삽입홀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록킹볼의 반경 방향 운동을 구속하고, 해제 상태에서는 상기 볼삽입홀의 외측을 커버하지 않도록 위치하는 지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면부까지의 반경방향거리는 상기 록킹볼 지름의 길이보다 작다.
또한, 상기 푸쉬커버는 해제 상태에서 상기 볼삽입홀 외측을 커버하는 입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입구부 내면까지의 반경방향거리는 상기 록킹볼 지름의 길이보다 크다.
또한, 상기 결속기구부는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푸쉬커버의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푸쉬커버가 전방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스토퍼링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부는 상기 스프링 둘레에 접촉되도록 설치되며,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링 최외각까지의 반경 방향 거리는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면부까지의 반경방향거리 보다 크다.
또한, 결속 상태 하에서 상기 스프링의 와이어 피치는 상기 록킹볼 지름의 길이 보다 작다.
또한, 상기 바늘은 소정의 각도로 꺾이는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벤딩부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바늘 외면에는 파지홈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바늘은 둘 이상의 결속홈을 포함하거나, 상기 홀더는 둘 이상의 록킹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는 바늘 인출 시 사용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있어, 쉽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 시술자가 바늘을 손으로 잡아당길 때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손 찔림 사고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바늘에는 벤딩부의 방향에 일치되는 파지홈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바늘을 잡고 있는 손의 감각을 통해 파지홈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침부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도1에 도시된 튜브 인출 기구의 바늘을 A-A'선에 따라 자른 단면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도1의 B-B'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4는 도1의 C-C'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5 및 도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 홀더의 결속기구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 홀더의 결속기구부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8은 도7의 D-D'선에 따라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
도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바늘을 도시한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홀더 요부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을 해당 실시예로 한정하기 위해 기술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 뿐만 아니라 본 명세서 전체로부터 이해되는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물, 대체물,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구성된다”, “가진다” 등의 표현은 추가적인 구성 요소나 기능을 배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제1…”, “제2…”, “첫째”, “둘째”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 요소들 사이의 순서나 중요도 등을 한정하는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이하에서 사용될 수 있는 “결합된다”, “연결된다” 등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직접적으로 결합되거나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거나 개재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용어의 사용에 있어서 단수의 표현은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배제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공간상의 좌표계가 설정되어 설명될 수 있다. 설명에 사용되는 좌표계는 대상물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목적일 뿐 절대적인 방향성을 뜻하는 것은 아니다. 사용되는 좌표계는 직교 좌표계, 원통 좌표계, 구면 좌표계 등이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 있어서 편의상 대상물들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전, 후, 좌, 우, 상, 하 등의 방향이 설정되어 설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는 튜브(3)가 결합되는 바늘(1) 및 바늘(1)의 선단부에 결속되는 홀더(2)를 포함한다. 바늘(1)은 수술 부위의 신체 조직을 관통하여 흡인기 튜브(3)를 체외로 인출하기 위해 사용된다. 흡인기 튜브(3)는 일단부가 바늘(1)의 후단부에 끼워져 바늘(1)과 함께 체외로 인출된다. 바늘(1) 후단부에는 튜브(3)에 결합되는 튜브 끼움부(11)가 구성된다. 튜브 끼움부(11)는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어 튜브(3) 내벽면과의 체결력을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바늘(1)은 3~5 ㎜ (밀리미터) 크기의 직경을 갖는 것이 일반적이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늘(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앞부분이 대략 20 ~ 30 °(도)가량 구부러진 벤딩부(12)를 가질 수 있다. 바늘(1)은 벤딩부(12) 앞부분에 위치하는 전방부(1A)와 벤딩부(12) 뒷부분에 위치하는 후방부(1B)로 편의상 구분될 수 있다. 벤딩부(12)는 바늘(1)이 사용되는 수술의 종류, 시술 조건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바늘(1)은 벤딩부(12) 없는 일자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바늘(1)의 선단부는 뾰족한 침부(13)을 이룬다. 침부(13)의 후방에는 홀더(2)와의 결속에 사용되는 결속홈(14)이 형성된다. 결속홈(14)은 원통형 표면의 둘레를 따라 소정의 깊이로 형성된다. 결속홈(14)은 후술하는 록킹볼(240)과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갖는 원호의 단면 형상을 갖는다. 벤딩부(12) 후방에는 바늘 표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파지홈(15)이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파지홈(15)은 바늘 표면에 평평한 면을 이룬다. 파지홈(15)의 바닥면(15a)은 시술자가 손가락으로 눌러 지지할 수 있는 면으로 사용됨으로써, 바늘(1)이 시술자의 손에서 미끄러지거나 회전하지 않도록 작용한다. 파지홈(15)은 바늘(1)의 벤딩 방향과 동일한 방향에 형성된다. 즉,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의 중심축(O)를 기준으로 하여 파지홈(15) 바닥면(15a)이 향하는 방향인 법선 방향(N)과 바늘(1)의 전방부(1A)가 벤딩되는 방향은 동일하다. 수술과정에서 바늘(1)이 수술 부위의 신체 내에 위치한 상태로 사용될 경우 시술자는 파지홈(15)의 방향을 촉각으로 확인함으로써 바늘(1) 침부(13)가 향하는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파지홈(15)의 형성 방향은 시술자의 사용 편의를 고려한 인체공학적인 설계가 반영된다.
홀더(2)는 신체를 뚫고 노출된 바늘(1)에 결합되어, 바늘(1)을 쉽게 인출할 수 있도록 보조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바늘(1)은 전방부(1A)에 형성된 결속홈(14)을 통해 홀더(2)에 결합된다. 홀더(2) 앞부분에는 바늘(1)을 결속하기 위한 결속 기구부(200)가 구성된다. 바늘(1)은 침부(13)를 포함하여 전방부(1A) 일부가 홀더(2) 내부로 삽입된 상태로 결속된다. 결속홈(14)을 고정하는 결속 기구부(200)에 대하여는 아래에서 좀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시술자는 한 손으로 바늘(1)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홀더(2)를 조작하여 결속 작업을 수행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홀더(2)는 일 방향으로 긴 환봉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중간부분이 오목한 형상을 갖는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홀더(2) 표면에는 사용자가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굴곡이 형성되거나, 당겨지기 쉽도록 후단부가 양쪽으로 벌어진 티자(“T”형태를 이룰 수도 있으며 그 외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홀더(2) 내부에는 중심축을 따라 바늘홈(21)이 형성된다. 바늘홈(21)은 홀더(2)의 전방단부로부터 소정의 길이까지 형성된다. 바늘홈(21)의 길이(La)는 적어도 바늘(1)의 결속홈(14)까지 수용할 수 있는 길이여야 하며, 바람직하게는 전방부(1A) 전체가 수용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져야 한다. 바늘늘홈(21)의 직경은 바늘(1)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소정의 유격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결속기구부(200)에 대하여 도4 내지 도8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결속기구부(200)는 바늘(1)을 물리적으로 결속하도록 작용한다. 결속기구부(200)는 진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쉬커버(210), 푸쉬커버(210) 안쪽에 내장되는 스프링(220), 푸쉬커버(210)가 이탈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스토퍼링(230), 결속홈(14)을 걸어 고정하는 록킹볼(240) 및 이들이 설치되는 실린더부(250)를 포함한다.
실린더부(250)는 홀더(2)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둘레가 원통형을 이룬다. 실린더부(250)에는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볼삽입홀(251)이 형성된다. 록킹볼(240)은 볼삽입홀(251)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스프링(220)은 원통형의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며, 실린더부(250) 둘레에 설치된다. 스프링(220) 바깥 둘레에는 푸쉬커버(210)가 설치된다. 푸쉬커버(210)는 내측에서 스프링(220)에 걸려 전방으로 향하는 힘을 받는 상태로 설치된다. 스토퍼링(230)은 스프링(220) 및 푸쉬커버(210)가 전방으로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실린더부(250)는 스프링(220)이 설치되는 스프링 거치부(252)를 포함한다. 스프링거치부(252)의 후방에는 스프링(220)의 후방 단부를 지지하는 스프링 지지부(253)가 구성된다. 스프링(220)은 스프링 거치부(252) 상에서 압축 또는 신장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를 위하여 스프링 거치부(252)의 외경은 스프링(220)의 내경보다 작은 것이 바람직하다. 스프링 지지부(253)는 스프링 거치부(252) 보다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형상을 갖는다. 스프링 거치부(252)의 전방에는 반경방향으로 만입되는 스토퍼링 설치홈(254)이 형성된다. 스토퍼링(230)은 일부가 절개된 금속 링으로 이루어지며(도7 참조), 스토퍼링 설치홈(254)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푸쉬커버(210) 및 스프링(220)을 지지한다.
결속기구부(200)는 록킹볼(240)을 볼삽입홀(251)에 넣은 후 실린더부(250)에 스프링(220), 푸쉬커버(210), 스토퍼링(230)을 순차로 끼워 넣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록킹볼(240)이 반경방향 내측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볼삽입홀(251) 안쪽에는 걸림턱부(251a)가 형성된다(도4 및 도8 참조). 록킹볼(240)이 걸림턱부(251a)에 지지될 때 실린더부(250)의 반경방향으로 가장 안쪽에 위치된다. 이때 록킹볼(240)은 내측 일부분이 바늘홈(21) 내부로 돌출된다(도5 참조). 이 돌출 부분은 바늘(1)의 결속홈(14)에 삽입되어 바늘(1)이 빠지지 않도록 작용한다. 결속홈(14)은 록킹볼(240)은 동일한 곡률 반경을 가지며 긴밀한 접촉을 이룬다.
푸쉬커버(210)는 스프링(220) 바깥 둘레를 감싸도록 설치되며, 필요에 따라 스프링(220)을 후방으로 압축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0)은 스프링 거치부(252) 둘레에 여러 번 감긴 상태로 설치된다. 스프링(220)의 후방단부는 스프링 지지부(253)에 의해 지지되고, 전방 단부는 스토퍼링(230)에 의해 지지되어 소정의 압축 상태를 유지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220)은 볼삽입홀(251)의 외측 개방부에 감겨 있음으로 해서 록킹볼(240)의 외측을 지지한다. 스프링 거치부(252)에 감겨 있는 스프링(220)의 위치, 스프링(220)을 구성하는 코일의 간격(피치)가 달라짐에 따라서 록킹볼(240)의 외측을 지지하는 스프링(220)의 위치 상태도 달라질 수 있다.
결속기구부(200)는 록킹볼(240)의 위치에 따라서 바늘(1)을 결속하거나 또는 결속을 해제할 수 있다. 록킹볼(240)이 홀더(2)의 중심축에 가까워져 바늘홈(21) 내부로 일부가 진입한 상태가 되면 록킹볼(240)은 바늘홈(21) 내에서 바늘(1)이 이동하는 것을 막는 차단물로 작용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1)이 바늘홈(21)에 진입한 상태에서 결속홈(14)에 록킹볼(240)이 진입하게 되면, 바늘(1)은 홀더(2)에 결속되어 빠지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록킹볼(240) 일부분이 바늘홈(21) 내부로 진입하여 공간을 점유하고 있는 위치를 “결속 위치”라고 하고, 록킹볼(240)이 “결속 위치”에 구속되어 있는 상태를 “결속 상태”라고 한다. 반대로 록킹볼(240)이 바늘홈(21)을 가로막지 않고 바깥에 있는 위치를 “해제 위치”라고 하고, 록킹볼(240)이 “결속 위치”에 구속되어 있지 않고 “해제 위치”로 전환될 수 있는 상태를 “해제 상태”라고 한다. 록킹볼(240)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바늘(1)과 홀더(2)는 결속이 해제되고, 바늘(1)은 바늘홈(2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도6에는 해제 상태에 있는 결속기구부(200) 단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볼(240)이 바늘홈(21) 바깥에 위치하면(점선 위치), 바늘(1)은 바늘홈(21) 내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사용자는 푸쉬커버(210)를 조작하여 결속 상태를 해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푸쉬커버(210)를 후방으로 이동시키면 푸쉬커버(210) 내측에 걸려 있는 스프링(220)이 함께 후방으로 압축된다. 록킹볼(240) 외측을 지지하던 스프링(220)은 제거되고 록킹볼(240)은 바깥쪽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록킹볼(240)은 해제 상태가 된다.
푸쉬커버(210)의 위치에 따라 결속 상태와 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도5에서와 같이 푸쉬커버(210)가 전방에 위치할 때 결속 상태가 되며, 도6에서와 같이 푸쉬버커(210)가 후방에 위치하면 해제 상태가 된다.
푸쉬커버(210)는 실린더부(250) 둘레를 감싸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푸쉬커버(210)의 외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널링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전방 단부는 면취 가공될 수 있다. 푸쉬커버(210) 내측면과 실린더부(250) 사이에는 소정의 이격 공간이 형성된다. 푸쉬커버(210)의 내측면에는 반경이 좁아지는 밴드부(212)가 형성된다. 편의상 푸쉬커버(210)는 밴드부(212)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입구부(211)와 밴드부(212)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인 커버부(213)로 구분될 수 있다. 밴드부(212)는 중심축(O)을 향하고 있는 지지면부(212b)와, 지지면부(212b) 및 입구부(212) 사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턱부(212a)와, 지지면부(212b) 및 커버부(213) 사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턱부(212c)를 포함한다.
조립된 상태에서 푸쉬커버(210)는 스프링(220)의 복원력에 의해 전방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푸쉬커버(210)는 스토퍼링(230)에 걸려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는다. 즉, 전방턱부(212a)가 스토퍼링(230)에 걸리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위하여 반경 방향으로의 거리에 있어서 바늘홈(21)으로부터 스토퍼링(230) 최외각까지의 거리(Gb)는 바늘홈(21)으로부터 지지면부(212b)까지의 거리(Ga)보다 커야 한다.
지지면부(212b)는 스프링(220)의 외면을 지지한다. 지지면부(212b)는 스프링(220)을 반경방향으로 소정 거리 밀어주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스프링(220)은 지지면부(212b) 안쪽에 놓이는 부분의 반경이 소정 정도 축소된 상태가 된다. 지지면부(212b)는 록킹볼(240)이 결속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속한다.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면부(212b)는 스프링(220) 와이어가 개재된 상태로 록킹볼(240)이 바깥으로 움직이지 않도록 지지한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스프링(220) 와이어가 록킹볼(240) 외측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기 위해서는 결속 상태에서 와이어 피치의 길이(P)가 록킹볼(240) 지름의 길이(D) 보다 작아야 한다. 경우에 따라 스프링(220) 와이어는 도5에 도시된 위치와 달리 위치하거나 또는 지지면부(212b)가 록킹볼(240)에 직접 맞닿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결속 상태가 유지되지 위해서 바늘홈(21)으로부터 지지면부(212b)까지의 반경방향 거리(Ga)는 록킹볼(240) 지름의 길이(D) 보다 작아야 한다. 또한, 지지면부(212b)가 록킹볼(240)의 최외곽 부분을 지지하기 위해서 지지면부(212b)의 축방향 길이(Lb)는 스토퍼링(230)으로부터 록킹볼(240) 중심까지의 수평거리(Lc)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푸쉬커버(210)는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전방에 위치하여 결속 상태를 유지한다.결속 상태를 해제할 필요가 있을 경우 푸쉬커버(210)를 도6과 같이 후방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해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푸쉬커버(210)의 이동 시 스프링(220)도 후방으로 압축된다. 스프링(220)은 일부가 후방턱부(212c)에 걸려 압축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푸쉬커버(21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 록킹볼(240)을 구속하고 있던 스프링(220) 및 지지면부(212b)도 이동되고, 록킹볼(240)은 반경 방향 바깥으로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즉, 록킹볼(240)은 해제 상태로 전환된다 한편, 해제 상태 하에서 록킹볼(240)이 바깥으로 빠져나가지 않도록 푸쉬커버(210)는 그 입구부(211)가 볼삽입홀(251)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록킹볼(240)이 바늘홈(21) 바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공간이 확보되기 위해서 바늘홈(21)으로부터 입구부(211) 내면까지의 반경방향 거리(Gc)는 록킹볼(240) 지름의 길이(D) 보다 커야 한다.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볼(240)이 해제 위치(점선 위치)로 이동되면, 푸쉬커버(210)와 스프링(220)은 그 전방 단부가 록킹볼(240)에 걸려 압축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푸쉬커버(210)의 축방향 이동이 제한된다.
아래에서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작용과 수술시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홀더(2)는 수술 과정에서 체외로 노출된 바늘(2)을 미끄러짐 없이 안정적으로 인출하는 용도로 사용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2)는 푸쉬커버(210)의 전후방 위치에 따라 결속 상태와 해제 상태가 전환될 수 있다.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푸쉬커버(210)는 전방에 위치되어 결속 상태 하에 있게 된다. 결속 상태에서는 록킹볼(240)이 가로 막고 있기 때문에 바늘(1)이 바늘홈(21) 안쪽으로 들어갈 수 없다. 사용자가 홀더(2)를 잡고 있는 손의 엄지손가락 등을 이용해 푸쉬커버(210)를 후방으로 당기면 해제 상태로 전환되고, 바늘(1)은 바늘홈(21) 안쪽으로 깊이 수용될 수 있다. 바늘(1)은 도6에 도시된 것처럼 결속홈(14)이 록킹볼(240) 위치보다 깊이 진입된 상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이 때 바늘(1)은 록킹볼(240)을 바늘홈(21) 바깥으로 지지하는 상태가 되어 사용자가 푸쉬커버(210)를 당기지 않더라도 전방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사용자가 다시 홀더(2)를 서서히 후방으로 당기면 록킹볼(240)과 결속홈(14)의 축방향 위치가 일치되면서 록킹볼(240)은 스프링(220) 힘에 의해 밀려 결속홈(14)에 걸리게 된다. 록킹볼(240)이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스프링(220)에 대한 간섭이 해제되고, 홀더(2)는 도5와 같이 결속 상태로 전환된다. 바늘(1)이 홀더(2)에 결속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바늘(1) 대신 홀더(2)를 당김으로써 바늘(1)을 쉽게 인출할 수 있다.
푸쉬커버(210)에 별도의 힘을 가해 이동시키지 않는 한 결속 상태는 유지되고, 사용자는 안정적으로 인출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늘(1)과 홀더(2)가 서로 결속되기 위해서 사용자에게 둘 사이의 상대 위치를 정교하게 배치시킬 것은 요구되지는 않는다. 바늘(1)을 바늘홈(21)에 일단 삽입한 상태에서 바늘(1)과 홀더(2) 사이의 상대 위치를 서서히 변경하면, 록킹볼(240)과 결속홈(14)이 일치되는 지점에서 록킹볼(240)이 자동으로 결속홈(14)에 체결된다. 이는 스프링(220)이 록킹볼(240)을 안쪽으로 밀어주는 힘에 의해 일어난다. 록킹볼(240)이 결속홈(14)에 체결될 때 사용자는 '딸깍'하는 클릭감을 느낄 수 있다. 즉, 결속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 촉각으로 인지될 수 있고, 사용자는 이에 신속하게 대응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는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다른 다양한 변형 예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바늘(1)은 결속홈(14)을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9에는 두 개의 결속홈(14A, 14B)을 갖는 바늘(1)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결속홈(14A, 14B)은 소정의 거리 이격되어 형성된다.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편리한 위치의 결속홈(14A, 14B)에 홀더를 결속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일예로써 본 발명에 따른 튜브 인출 기구의 홀더(2)는 록킹볼(240)을 둘 또는 그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도10에는 두 개의 록킹볼(240A, 240B)을 구비하는 홀더(2)가 도시되어 있다. 록킹볼(240A, 240B)은 바늘의 결속홈(14) 둘레에 두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결속되도록 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는 바늘 인출 시 사용할 수 있는 홀더를 포함하고 있어, 쉽고 편리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종래에 시술자가 바늘을 손으로 잡아당길 때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러짐, 손 찔림 사고의 위험을 없앨 수 있다. 또한, 바늘에는 벤딩부의 방향에 일치되는 파지홈이 구비되어 있어 사용자는 눈으로 확인할 수 없는 상황에서도 바늘을 잡고 있는 손의 감각을 통해 파지홈의 위치를 감지함으로써 침부의 방향을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1 : 바늘 2 : 홀더
11 : 튜브 끼움부 12 : 벤딩부
13 : 침부 14 : 결속홈
15 : 파지홈 21 : 바늘홈
200 : 결속기구부 210 : 푸쉬커버
211 : 입구부 212 : 밴드부
213 : 커버부 220 : 스프링
230 : 스토퍼링 240 : 록킹볼
250 : 실린더부 251 : 볼삽입홀
252 : 스프링 거치부 253 : 스프링 지지부
254 : 스토퍼링 설치홈

Claims (10)

  1. 의료용 흡인기의 배액 튜브가 연결되는 바늘과 상기 바늘을 결속하여 인출하기 위한 홀더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의 후단부에는 배액 튜브가 결합되는 튜브 끼움부가 형성되고,
    상기 바늘의 전단부에는 뾰족한 침부가 형성되고,
    상기 침부로부터 이격된 후방에는 원통형 표면 둘레를 따라 소정 깊이로 만입 형성되어 상기 홀더와 결속에 사용되는 결속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바늘의 상기 침부로부터 적어도 상기 결속홈까지를 수용할 수 있는 길이로 형성되는 바늘홈과, 상기 바늘홈에 수용된 상기 바늘을 결속하는 결속기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속기구부는 상기 홀더의 전방으로 돌출되어 원통형을 이루며 반경방향으로 관통되는 볼삽입홀이 형성된 실린더부와, 상기 볼삽입홀 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볼과, 상기 실린더부 둘레에 설치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과, 상기 스프링 둘레에 설치되며 상기 스프링에 걸려 힘을 받도록 설치되는 푸쉬커버와, 상기 스프링 및 상기 푸쉬커버가 상기 홀더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스토퍼링을 포함하고,
    상기 록킹볼은 상기 록킹볼의 일부분이 상기 바늘홈 내부로 진입하는 결속 위치 및 상기 록킹볼이 상기 바늘홈의 바깥에 위치하는 해제 위치 간에 전환 가능하게 설치되는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커버의 내측면에는 반경이 좁아지는 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는 스프링 외면을 지지하여 반경 방향으로 소정 거리 밀어주도록 작용하는 지지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면부는 상기 록킹볼에 직접 맞닿아 지지하는 상태에서 상기 록킹볼이 결속 위치에 놓일 수 있도록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면부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는 상기 록킹볼의 지름의 길이보다 작은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푸쉬커버는 상기 밴드부를 기준으로 전방에 위치하는 입구부와 후방에 위치하는 커버부로 구분되고,
    상기 밴드부는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입구부 사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전방턱부와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커버부 사이의 단차에 의해 형성되는 후방턱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방턱부는 상기 스토퍼링에 걸려 지지되도록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스토퍼링의 최외각까지의 거리는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지지면부까지의 거리보다 큰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면부와 상기 록킹볼 사이에 상기 스프링의 적어도 하나의 와이어가 개재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결속 상태에서 상기 스프링 와이어 피치는 상기 록킹볼의 지름의 길이보다 작은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볼이 해제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푸쉬커버의 상기 입구부는 상기 볼삽입홀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록킹볼이 상기 바늘홈의 바깥으로 완전히 이탈되는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상기 바늘홈으로부터 상기 입구부 내면까지의 반경방향 거리는 상기 록킹볼 지름의 길이보다 큰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소정 각도로 꺽이는 벤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의 후단부 외면에는 상기 벤딩부가 향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는 바닥면을 갖는 파지홈이 형성된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20065703A 2022-05-28 2022-05-28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Active KR1027426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03A KR102742689B1 (ko) 2022-05-28 2022-05-28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703A KR102742689B1 (ko) 2022-05-28 2022-05-28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891A KR20230165891A (ko) 2023-12-05
KR102742689B1 true KR102742689B1 (ko) 2024-12-12

Family

ID=89157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703A Active KR102742689B1 (ko) 2022-05-28 2022-05-28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426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739A (ja) * 2005-03-07 2011-03-10 Erskine Medical Llc 針保護デバイス
KR101540199B1 (ko) * 2014-12-26 2015-07-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기튜브 인도용 바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944B1 (ko) 2012-02-06 2014-01-10 홍태호 의료용 흡인기의 튜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5739A (ja) * 2005-03-07 2011-03-10 Erskine Medical Llc 針保護デバイス
KR101540199B1 (ko) * 2014-12-26 2015-07-28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흡인기튜브 인도용 바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891A (ko) 2023-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28798C (en) Needle safety device
US7347838B2 (en) Needle tip protector
JP3843414B2 (ja) 針保護鞘
JP2019195650A (ja) 安全針アセンブリおよび関連する方法
JP5283904B2 (ja) インプラントの後部注入装置
JP2004538103A (ja) 引込み式安全針装置
EP1979028B1 (en) Attachment device
EP1479408A1 (en) Needle shield with wings
US11116949B2 (en) Drainage tube introducer
US20140200522A1 (en) Safe vein detained needle
CA2895920A1 (en) Cannula-needle with protective member
EP1159983B1 (en) Clamp for winged needle
KR102742689B1 (ko) 의료용 흡인기 튜브 인출 기구
US7442199B2 (en) Clip for acupuncture needle
KR102761200B1 (ko) 의료용 바늘
US12246147B2 (en) Indwelling needle assembly
JP2022540626A (ja) 抗力の減少を促進するカテーテルシステム
JP7183252B2 (ja) カテーテル組立体
KR20220091006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JP2023504325A (ja) 静脈内カテーテル装置
JP7541935B2 (ja) 操作デバイス及び埋込体留置具
KR20220091007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KR20220091008A (ko) 성형용 리프팅 부재
US20220096808A1 (en) Medical device with misaligned cannula
EP1803477A2 (en) Catheter with needle tip protec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52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