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2036B1 -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2036B1
KR102742036B1 KR1020190121707A KR20190121707A KR102742036B1 KR 102742036 B1 KR102742036 B1 KR 102742036B1 KR 1020190121707 A KR1020190121707 A KR 1020190121707A KR 20190121707 A KR20190121707 A KR 20190121707A KR 102742036 B1 KR102742036 B1 KR 102742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stance
battery cell
battery
temperature
power calcul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17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9186A (ko
Inventor
윤성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to KR10201901217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2036B1/ko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Priority to HUE20871542A priority patent/HUE067840T2/hu
Priority to JP2022500158A priority patent/JP7359350B2/ja
Priority to ES20871542T priority patent/ES2990053T3/es
Priority to EP20871542.5A priority patent/EP3992650B1/en
Priority to US17/631,920 priority patent/US11828806B2/en
Priority to PCT/KR2020/013023 priority patent/WO2021066396A1/ko
Priority to CN202080050999.4A priority patent/CN114127571B/zh
Publication of KR2021003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2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203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44Constructional arrangements
    • G01R31/3648Constructional arrangements comprising digital calculation means, e.g. for performing an algorithm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74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with means for correcting the measurement for temperature or age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1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4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 H01M10/443Methods for charging or discharging in response to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6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measuring temperat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3Control systems
    • H01M10/633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algorithms, flow charts, software detail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는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목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하는 저항 산출부, 및 상기 배터리의 온도와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APP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BATTERY POWER}
본 발명은 배터리의 발열 및 냉각 조건을 고려하여 목표 시간 동안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이차 전지에 대한 연구 개발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여기서 이차 전지는 충방전이 가능한 전지로서, 종래의 Ni/Cd 전지, Ni/MH 전지 등과 최근의 리튬 이온 전지를 모두 포함하는 의미이다. 이차 전지 중 리튬 이온 전지는 종래의 Ni/Cd 전지, Ni/MH 전지 등에 비하여 에너지 밀도가 훨씬 높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는 소형, 경량으로 제작할 수 있어서, 이동 기기의 전원으로 사용된다. 또한, 리튬 이온 전지는 전기 자동차의 전원으로 사용 범위가 확장되어 차세대 에너지 저장 매체로 주목을 받고 있다.
또한, 이차 전지는 일반적으로 복수 개의 배터리 셀들이 직렬 및/또는 병렬로 연결된 배터리 모듈을 포함하는 배터리 팩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배터리 팩은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의하여 상태 및 동작이 관리 및 제어된다.
이러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서는 일반적으로 배터리의 사용 전력을 현재의 SOC나 온도 등의 조건을 기준으로 계산한다. 이 때, 배터리가 최대 전력을 사용하다가 한계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 전력을 일정값으로 일괄 제한하게 된다. 그러나, 배터리의 한계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전력을 최대로 사용하다가 급격하게 전력을 제한하는 경우, 차량에서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목표 시간 동안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력값을 계산함으로써,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차량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는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목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하는 저항 산출부, 및 상기 배터리의 온도와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는 상기 배터리 셀의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현재 SOC에서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 셀의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SOC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임계 온도는 사전에 결정된 값이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전력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 상기 임계 온도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총 열량과 상기 배터리 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발열량 및 냉각 열량을 고려하여 상기 최적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상기 시간 설정부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목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은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목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의 온도와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목표 시간 동안 상기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은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은 상기 배터리 셀의 SOC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목표 시간 동안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력값을 계산함으로써,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차량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배터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배터리의 최적 전력값을 계산하기 위한 열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 최적 전력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온도에 따른 배터리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배터리의 동작에 따른 SOC의 변화와 SOC에 따른 배터리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 의한 배터리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문서에서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해당 구성 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도 1은 배터리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팩(1)과 상위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상위 제어기(2)를 포함하는 배터리 제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 팩(1)은 하나의 이상의 배터리 셀로 이루어지고, 충방전 가능한 배터리 모듈(10)과, 배터리 모듈(10)의 +단자 측 또는 -단자 측에 직렬로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의 충방전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스위칭부(14)와,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여, 과충전 및 과방전 등을 방지하도록 제어 관리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20)을 포함한다.
여기서, 스위칭부(14)는 배터리 모듈(10)의 충전 또는 방전에 대한 전류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반도체 스위칭 소자로서,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MOSFET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BMS(20)는, 배터리 팩(1)의 전압, 전류, 온도 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서, 반도체 스위칭 소자의 게이트, 소스 및 드레인 등의 전압 및 전류를 측정하거나 계산할 수 있고, 또한, 반도체 스위칭 소자(14)에 인접해서 마련된 센서(12)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의 전류, 전압, 온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BMS(20)는 상술한 각종 파라미터를 측정한 값을 입력받는 인터페이스로서, 복수의 단자와, 이들 단자와 연결되어 입력받은 값들의 처리를 수행하는 회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MS(20)는, 스위칭 소자(14) 예를 들어 MOSFET의 ON/OFF를 제어할 수도 있으며, 배터리 모듈(10)에 연결되어 배터리 모듈(10)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상위 제어기(2)는 BMS(20)로 배터리 모듈에 대한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MS(20)는 상위 제어기로부터 인가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동작이 제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배터리 셀이 ESS(Energy Storage System) 또는 차량 등에 이용되는 배터리 팩에 포함된 구성일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용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배터리 팩(1)의 구성 및 BMS(20)의 구성은 공지된 구성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200)는 시간 설정부(210), 온도 센서부(220), 저항 산출부(230), 전력 산출부(240) 및 메모리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시간 설정부(210)는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목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목표 시간이란 배터리 셀이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사용 가능한 시간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시간 설정부(210)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목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시간 설정부(210)는 차량 시스템에서 운전 모드나 네비게이션 연동 정보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을 목표 시간으로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목표 시간은 초(sec)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온도 센서부(220)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 때, 온도 센서부(220)는 배터리 셀의 온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거나 미리 설정된 시간 간격으로 측정할 수 있다.
저항 산출부(230)는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항 산출부(230)는 배터리 셀에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에 기초하여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저항 산출부(230)는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저항 산출부(230)는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의 저항과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또는 다른 고온 조건)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5에서 후술한다.
그리고, 저항 산출부(230)는 배터리 셀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저항 산출부(230)는 배터리 셀의 현재 SOC에서의 저항과 배터리 셀의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SOC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값과 SOC에 따른 저항값들은 실험이나 계산을 통해 사전에 구해놓은 값일 수 있다. 이러한 값들은 메모리부(25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력 산출부(240)는 배터리의 온도와 저항에 기초하여,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력 산출부(240)는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력의 범위에서의 최적 전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임계 온도는 사전에 결정된 값이거나, 또는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일 수 있다.
전력 산출부(240)는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 임계 온도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총 열량과 배터리 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발열량 및 냉각 열량을 고려하여 최적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에 관해서는 도 3 및 4에서 후술한다.
메모리부(250)는 배터리 셀의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파라미터값들은 배터리 셀의 질량, 배터리 셀의 열용량, 열저항, 전술한 배터리 셀의 온도와 SOC에 따른 저항 변화를 반영하는 보정 계수, 배터리 셀의 발열량을 구하기 위한 보정 계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부(250)는 배터리 셀의 온도, SOC 및 저항값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 의하면, 목표 시간 동안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력값을 계산함으로써,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차량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배터리의 최적 전력값을 계산하기 위한 열 모델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배터리 셀에 냉각재(coolant)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나타낸다. 이 때, 배터리 셀이 현재 온도에서 임계 온도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총 열량(Q_tot)은 충방전시 발생하는 배터리 셀의 발열량(Q_gen)에서 냉각 열량(Q_cool)을 뺀 값과 같다. 이에 기초하여, 도 4에서 배터리 셀의 최적 전력값을 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 최적 전력값을 산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 배터리의 최적 전력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먼저 사용자가 배터리를 한계 온도까지 도달하지 않고 사용하기 위한 목표 시간(ttarget)을 입력한다.
또한, 배터리 셀의 온도(Tcell, now)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배터리 셀의 저항값(Rcell, norm)을 계산한다.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배터리 셀의 온도와 SOC를 고려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의 최적 전력을 산출하기 위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고정 파라미터(예를 들면, 배터리 셀의 열용량, 질량, 각종 보정 계수 등)를 계산식에 도입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는 최적 전력을 산출할 수 있으며, 최적 전력으로 동작하기 위한 최적 전류값(Iopt, RMS)을 출력하여 배터리를 구동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최적 전류값을 계산하는 식을 유도하는 과정은 이하와 같다.
배터리 셀이 현재 온도(Tcell, now)에서 임계 온도(Tcell, limit)까지 도달할 때의 총 열량(Qtot)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Qtot = Ccell x mcell x (Tcell, limit - Tcell, now) - 수학식 (1)
Ccell은 배터리 셀의 열용량, mcell은 배터리 셀의 질량을 나타내며, 이는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또한, 임계 온도(Tcell, limit) 역시 정해진 값으로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 있으며, 현재 온도(Tcell, now)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의 센서(예를 들면, 도 2의 온도 센서부(220))에 의한 측정값일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것과 같이 임계 온도(Tcell, limit)는 고정값이 아니라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일 수 있다. 이 경우, 임계 온도(Tcell, limit)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서 별도로 산출될 수 있다.
한편, 배터리의 총열량(Qtot)은 충방전시 발생하는 배터리 셀의 발열량(Qgen)에서 냉각 열량(Qcool)을 뺀 값과 같다.
Qtot = Qgen - Qcool - 수학식 (2)
또한, 배터리 셀의 발열량(Qgen)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Qgen= αx Iopt,RMS 2 x Rcell,norm x ttarget - 수학식 (3)
α는 보정 계수로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 있으며, Iopt, RMS는 구하고자 하는 최적 전류의 RMS 값이고(A), Rcell, norm는 배터리 셀의 저항을 나타낸다.
발열량(Qgen)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배터리 셀 저항값(Rcell, norm)은 고온 조건까지의 배터리 셀 저항을 나타낼 수 있는 값으로,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저항값(Rcell, est)으로부터 고온 조건에 적합하도록 이하와 같이 보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Rcell,norm = k x Rcell,est - 수학식 (4)
여기서, k는 고온 조건에 적합한 보정 계수(k < 1)이고, 배터리 셀 저항이 측정된 현재 온도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셀의 저항값은 전술한 것과 같이 온도 조건에 따른 보정 계수(k)뿐 아니라, 주요 사용 SOC 영역에 따른 보정 계수(k')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k'은 후술하는 CS(Charge Sustain) 모드에서는 1 내외이며, CD(Charge Depletion) 모드에서는 1보다 클 수 있다. 이 때, 온도와 SOC에 따른 보정 계수(k, k')는 메모리에 저장된 값일 수 있다. 이와 같이, SOC에 따른 보정 계수를 적용하는 경우에는 위의 수학식 (4)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Rcell,norm = k x k' x Rcell,est - 수학식 (4')
한편, 배터리 셀의 냉각 열량(Qcool)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수학식 (5) -
이 때, 배터리 셀의 온도를 평균적으로 사용하기 위해
Figure 112019100592371-pat00002
를 사용하였으며, Tcoolant는 냉각재의 온도를 나타낸다. 또한, Rth는 열저항을 나타내며 ttarget은 임계 온도(Tcell,limit)를 넘지 않고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시간(목표 시간)(s)이다. 이 때, Rth, Tcoolant, Tcell, limit는 고정값으로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전술한 수학식 (2)에 수학식 (1), 수학식 (3) 및 수학식 (5)를 각각 대입하면 아래와 같다.
수학식 (6) -
위 수학식 (6)을 Iopt, RMS에 대해 정리하면 아래와 같으며,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또는 BMS)에 구현되는 최종 수식이다.
수학식 (7) -
전술한 메모리에 저장된 값들은 사전에 정해진 값이므로 Iopt, RMS는 다음과 같은 인자에 의한 함수로 볼 수 있다.
수학식 (8) -
이와 같이, 목표 시간(ttarget) 동안 임계 온도를 도달하지 않는 범위에서의 최적 RMS 전류(Iopt, RMS)는 목표 시간(ttarget)을 포함하여 계산하는 시점의 배터리 셀 온도(Tcell, now) 및 저항(Rcell, norm)을 입력값으로 하여 구할 수 있다.
도 5는 온도에 따른 배터리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배터리의 저항은 온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온도가 증가하므로, 배터리의 저항은 점차 작아질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의 저항 특성을 반영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9) -
여기서, a는 현재 온도의 배터리 저항, b는 일정 시간 이후 고온인 상태(예를 들면, 임계 온도)에서의 배터리 저항이다. 그러나, 온도에 따른 저항의 보정 계수는 위 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6은 배터리의 동작에 따른 SOC의 변화와 SOC에 따른 배터리 저항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의 (a)를 참조하면, 배터리 셀의 SOC는 동작 상태에 따라 2가지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초기의 SOC는 배터리를 보다 적극적으로 사용(방전)하여 SOC가 점진적으로 낮아지며, 이를 CD(Charge Depletion) 모드라고 한다. 또한, SOC가 일정 수준에 도달하면(예를 들면, 30%), 회생 제동을 통해 배터리의 사용량(방전량)과 충전량을 갖도록 하여 SOC를 유지하는데 이를 CS(Charge Sustain) 모드라고 한다.
한편, 도 6의 (b)는 전술한 CD 모드(방전시)에서의 SOC에 따른 배터리 저항의 변화를 나타낸다. 그래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배터리의 저항은 SOC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즉, 배터리는 일반적으로 사용 시간이 길어질수록 SOC가 감소하므로, 반대로 배터리의 저항은 점차 증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배터리의 저항 특성을 반영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는 다음과 같이, 보정 계수를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0) -
여기서, a는 현재 SOC에서의 배터리 저항, b는 일정 시간 이후 SOC가 감소한 상태에서의 배터리 저항이다. 한편, CS 모드인 경우에는 SOC가 일정하게 유지되므로 저항의 측정 시점과 이후의 저항값의 차이가 없기 때문에 k'=1이 된다. 그러나, SOC에 따른 저항의 보정 계수는 위 식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으로 산출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 의한 배터리 전류의 변화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 의하면, 배터리 전류는 산출된 RMS 전류의 제한값의 범위에서 인가됨을 알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서는 임계 온도의 도달 시간(t)에 대한 적정 RMS 전류값을 차량의 제어부(예를 들면, ECU)에 제공함으로써, 차량에서 사용되는 동적으로 변화하는 전류 측정값을 입력값으로 하여 전력을 관리하는 경우에 비해 차량에서 정적으로 출력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즉,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에 의하면 RMS의 전류값이 기준치를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 최적으로 출력을 관리할 수 있으므로 초기 시간에 전류를 적게 사용한 만큼 이후에 큰 전류를 사용할 수 있는 여유를 확보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배터리 셀을 사용하는 목표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S810). 목표 시간은 사용자가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하는 시간으로서, 사용자가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목표 시간은 차량 시스템에서 운전 모드나 네비게이션 연동 정보 등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을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임계 온도는 사전에 결정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값이거나, 또는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일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고(S820),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S830). 그러나, 도 8에 나타낸 것과는 반대로 배터리 셀의 저항을 먼저 산출하고,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으로, 배터리의 온도와 저항에 기초하여,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S840). 이 때,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 임계 온도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총 열량과 상기 배터리 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발열량 및 냉각 열량을 고려하여 최적 전류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데 필요한 각종 파라미터(예를 들면, 배터리의 열용량, 열저항, 각종 보정 계수 등)는 별도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8에는 나타내지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은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전술한 것과 같이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의 저항과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은 배터리 셀의 SOC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셀의 현재 SOC에서의 저항과 배터리 셀의 미리 설정된 시간 이후의 SOC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에 의하면, 목표 시간 동안 한계 온도에 도달하지 않고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력값을 계산함으로써, 목표 시간 동안 배터리를 적정 온도로 유지하고 차량의 에너지 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배터리 관리 시스템(900)은, 각종 처리 및 각 구성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MCU; 910)와, 운영체제 프로그램 및 각종 프로그램(예로서, 배터리팩의 전력 산출 프로그램 혹은 배터리팩의 저항 보정 프로그램) 등이 기록되는 메모리(920)와, 배터리셀 모듈 및/또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와의 사이에서 입력 인터페이스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입출력 인터페이스(930)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외부와 통신 가능한 통신 인터페이스(9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메모리(920)에 기록되고, 마이크로 컨트롤러(910)에 의해 처리됨으로써 예를 들면 도 2 및 도 4에서 도시한 각 기능 블록들을 수행하는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배터리 팩 2: 상위 제어기
10: 배터리 모듈 12: 센서
14: 스위칭부 20: BMS
200, 900: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210: 시간 설정부
220: 온도 센서부 230: 저항 산출부
240: 전력 산출부 250: 메모리부
910: MCU 920: 메모리
930: 입출력 I/F 940: 통신 I/F

Claims (12)

  1.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배터리 셀을 사용할 수 있는 목표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 설정부;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 센서부;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하는 저항 산출부;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 및 상기 목표 시간을 인자로 하는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시간 동안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기 위한 파라미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의 저항과 상기 배터리 셀의 임계 온도에서의 저항의 비에 따라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SOC(State of Charge)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저항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SOC에 따른 저항의 비로 산출된 보정 계수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계 온도는 사전에 결정된 값이거나, 또는 상기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시스템의 운전 모드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출된 값인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 산출부는 상기 배터리 셀의 현재 온도에서 상기 임계 온도까지 도달할 때까지의 총 열량과 상기 배터리 셀의 충방전시 발생하는 발열량 및 냉각 열량을 고려하여 상기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간 설정부는 사용자의 입력 또는 외부 시스템으로부터의 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목표 시간을 설정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10.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배터리 셀을 사용할 수 있는 목표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산출하는 단계; 및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 및 상기 목표 시간을 인자로 하는 함수를 이용하여, 상기 목표 시간 동안 상기 임계 온도를 초과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는 최적 전류값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온도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셀의 SOC에 따른 저항 변화를 고려하여 상기 배터리 셀의 저항을 보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배터리 전력 산출 방법.
KR1020190121707A 2019-10-01 2019-10-01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27420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07A KR102742036B1 (ko) 2019-10-01 2019-10-01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JP2022500158A JP7359350B2 (ja) 2019-10-01 2020-09-25 電池電力算出装置および方法
ES20871542T ES2990053T3 (es) 2019-10-01 2020-09-25 Aparato y método para calcular la potencia de batería
EP20871542.5A EP3992650B1 (en) 2019-10-01 2020-09-25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battery power
HUE20871542A HUE067840T2 (hu) 2019-10-01 2020-09-25 Berendezés és eljárás akkumulátor teljesítmény számítására
US17/631,920 US11828806B2 (en) 2019-10-01 2020-09-25 Apparatus and method for calculating battery power
PCT/KR2020/013023 WO2021066396A1 (ko) 2019-10-01 2020-09-25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CN202080050999.4A CN114127571B (zh) 2019-10-01 2020-09-25 用于计算电池功率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1707A KR102742036B1 (ko) 2019-10-01 2019-10-01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9186A KR20210039186A (ko) 2021-04-09
KR102742036B1 true KR102742036B1 (ko) 2024-12-13

Family

ID=753382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1707A Active KR102742036B1 (ko) 2019-10-01 2019-10-01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828806B2 (ko)
EP (1) EP3992650B1 (ko)
JP (1) JP7359350B2 (ko)
KR (1) KR102742036B1 (ko)
CN (1) CN114127571B (ko)
ES (1) ES2990053T3 (ko)
HU (1) HUE067840T2 (ko)
WO (1) WO202106639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174631A (ko) * 2023-06-09 2024-12-17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KR20240176516A (ko) * 2023-06-16 2024-12-24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배터리 셀의 불량 검사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
CN118962230A (zh) * 2024-10-09 2024-11-15 浙江欣旺达电子有限公司 电池输出功率限值的更新方法、系统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777A (ja) * 2014-03-28 2015-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の運転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88641A (ja) * 1992-12-17 1994-07-08 Fuji Electric Co Ltd 電流検出装置および電流制限装置
TWI299589B (en) * 2004-12-27 2008-08-01 Ind Tech Res Inst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a secondary battery protection
JP2006304572A (ja) 2005-04-25 2006-11-02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充電装置
JP5089883B2 (ja) 2005-12-16 2012-12-05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蓄電池管理装置
JP4984527B2 (ja) * 2005-12-27 2012-07-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状態推定装置および充電状態推定方法
JP2009207312A (ja) 2008-02-28 2009-09-10 Sanyo Electric Co Ltd 車両用の電源装置とその電流制御方法
JP5028315B2 (ja) 2008-03-31 2012-09-19 川崎重工業株式会社 二次電池の充電状態推定方法及び装置
JP4930482B2 (ja) 2008-09-30 2012-05-16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の充放電制御装置
JP5331493B2 (ja) * 2009-01-13 2013-10-30 日立ビークルエナジー株式会社 電池制御装置
JP5378023B2 (ja) 2009-03-24 2013-12-25 三洋電機株式会社 車両用電源装置及びその冷却方法
JP5126150B2 (ja) 2009-04-09 2013-01-2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蓄電容量推定装置および蓄電容量推定方法
JP2011257219A (ja) * 2010-06-08 2011-12-22 Nissan Motor Co Ltd 二次電池の内部抵抗又は開放電圧を演算する演算装置
KR20120024009A (ko) * 2010-09-03 2012-03-14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배터리 센서 모듈
JP5715694B2 (ja) 2011-06-10 2015-05-1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池制御装置、電池システム
CN104145190B (zh) 2012-02-29 2017-07-11 Nec能源元器件株式会社 电池组和用于计算电池组的电能的方法
JP6119402B2 (ja) * 2012-05-29 2017-04-26 株式会社Gsユアサ 内部抵抗推定装置及び内部抵抗推定方法
KR102037149B1 (ko) * 2013-09-23 2019-10-28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온도 별 저항 값을 이용한 전류 측정 장치 및 그 방법
US10086718B2 (en) * 2013-10-15 2018-10-0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battery pack
KR101854218B1 (ko) 2013-10-22 2018-05-0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에너지 저장 시스템, 배터리 팩의 충전 방법
JP2015220956A (ja) * 2014-05-21 2015-12-07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充電装置
CN105467324B (zh) * 2014-09-30 2020-03-03 株式会社杰士汤浅国际 电池劣化判定装置、电池劣化判定方法以及电池组
KR101685130B1 (ko) 2014-12-19 2016-12-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의 전력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925002B1 (ko) 2015-08-21 2018-12-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의 충전 조건 조정 장치 및 방법
JP6657879B2 (ja) 2015-12-04 2020-03-04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バッテリーの制御システム、ハイブリッド車両及びバッテリーの制御方法
JP6411318B2 (ja) * 2015-12-09 2018-10-24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充電電流設定方法、充電方法、充電装置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2017117756A (ja) 2015-12-25 2017-06-29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制御方法及び制御装置
US11437829B2 (en) 2016-03-07 2022-09-06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Method to charge lithium-ion batteries with user, cell and temperature awareness
US11693060B2 (en) * 2016-03-08 2023-07-04 Kabushiki Kaisha Toshiba Battery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US10955479B2 (en) * 2016-05-18 2021-03-23 Vehicle Energy Japan Inc. Battery control device
US10923774B2 (en) * 2017-03-07 2021-02-16 Denso Corporation Battery state estimating device and power supply device
KR101998069B1 (ko) * 2017-06-23 2019-07-09 이정환 전기자동차용 배터리의 열화 발생을 저감하면서 고속충전과 최대방전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장치
JP6881154B2 (ja) * 2017-08-23 2021-06-0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二次電池の劣化状態推定方法および二次電池システム
KR102507229B1 (ko) * 2017-12-05 2023-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배터리 냉각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777A (ja) * 2014-03-28 2015-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蓄電システム及び電池パックの運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066396A1 (ko) 2021-04-08
KR20210039186A (ko) 2021-04-09
JP7359350B2 (ja) 2023-10-11
EP3992650B1 (en) 2024-07-31
CN114127571B (zh) 2024-08-13
US20220283232A1 (en) 2022-09-08
US11828806B2 (en) 2023-11-28
CN114127571A (zh) 2022-03-01
JP2022540401A (ja) 2022-09-15
ES2990053T3 (es) 2024-11-28
HUE067840T2 (hu) 2024-11-28
EP3992650A4 (en) 2022-08-24
EP3992650A1 (en) 2022-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45190B2 (ja) 電池制御装置
CN103918120B (zh) 铅蓄电池系统
KR102742036B1 (ko) 배터리 전력 산출 장치 및 방법
WO2013094057A1 (ja) 電池制御装置、電池システム
JP2014522491A (ja) Essの劣化状態予測方法
US10312538B2 (en) Fuel cell system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956254B1 (ko) 전기자동차 배터리의 모듈별 전압값에 따른 전류지령 변경을 통한 밸런싱 제어 시스템
KR20160063756A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어 방법
JPH11501447A (ja) 充電/放電中のバッテリー温度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130221903A1 (en) Battery charging device and method
WO2014148018A1 (ja) 二次電池の充電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電池パック
JP2016178052A (ja) 二次電池の制御システム
US8237413B2 (en) Method for battery charging management
CN115349093A (zh) 电池管理设备和方法
KR100964316B1 (ko) 배터리 셀 밸런싱 시스템, 그 방법 및 이를 기록한기록매체
KR20170142451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배터리 팩 및 배터리 충전 방법
KR102564716B1 (ko) 과방전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과 방법
JP6447446B2 (ja) 車両用電池制御装置
RU2430860C1 (ru) Способ эксплуатации литий-ионной аккумуляторной батареи в составе космического аппарата негерметичного исполнения с радиационным охлаждением и космический аппарат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KR20210098215A (ko) 배터리 충방전 제어 장치 및 방법
US20230268759A1 (en) Autonomously activated electric energy storag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Sepe et al. Lithium ion battery/lithium ion capacitor hybrid portable energy storage device for pulsed power applications
KR20240031785A (ko) 배터리 관리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N119560700A (zh) 基于全温度补偿算法的镍氢电池管理系统
KR20230056414A (ko) 배터리 장치,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디레이팅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10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10601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0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10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