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1812B1 -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전송 대역들 - Google Patents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전송 대역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1812B1
KR102741812B1 KR1020227028273A KR20227028273A KR102741812B1 KR 102741812 B1 KR102741812 B1 KR 102741812B1 KR 1020227028273 A KR1020227028273 A KR 1020227028273A KR 20227028273 A KR20227028273 A KR 20227028273A KR 102741812 B1 KR102741812 B1 KR 102741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mission band
band
modulation
transmission
symbol leng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82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9041A (ko
Inventor
유 신
통 바오
진 수
구앙후이 유
리우준 후
Original Assignee
지티이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티이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지티이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2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0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1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181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25Numerology, i.e. varying one or more of symbol duration, subcarrier spacing, Fourier transform size, sampling rate or down-clo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02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 H04L1/000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by adapting the transmission rate by switching between different modulation sche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35Maintenance of orthogonality, e.g. for signals exchanged between cells or users, or by using covering codes or sequ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05Symbol extensions, e.g. Zero Tail, Unique Word [UW]
    • H04L27/2607Cyclic extens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상이한 수비학(numerology)들을 갖는 전송들을 위한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수비학과 연관된 제1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전송 대역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Δf1) 및 시간 영역에서의 T1의 제1 심볼 길이를 포함한다.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수비학과 연관된 제2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전송 대역과 제2 전송 대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과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심볼 길이(T1)와 동일한 심볼 길이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전송 대역들
이 특허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기술은 세계를 점점 더 연결되고 네트워크화된 사회쪽으로 움직이게 하고 있다. 이동 통신의 급속한 성장과 기술의 발전은 능력 및 연결성에 대한 더 큰 수요를 야기시켰다. 에너지 소비, 디바이스 비용, 스펙트럼 효율성, 및 레이턴시와 같은 다른 양태들이 또한 다양한 통신 시나리오들의 요구사항을 충족시키는 데 중요하다. 더 높은 서비스 품질, 더 긴 배터리 수명, 및 향상된 성능을 제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들을 비롯한 다양한 기술들이 논의되고 있다.
이 특허 문서는, 다른 것들 중에서, 인접해 있는 모든 전송 대역들의 서브캐리어들 간에 직교성(orthogonality)이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간섭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스펙트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 간의 스펙트럼을 활용하기 위해 상이한 수비학(numerology)들을 갖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 또는 서브 대역들 간에 위치한 특수 전송 대역 또는 서브 대역을 제공하는 기술들을 설명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양태에서, 무선 통신 방법.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수비학과 연관된 제1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전송 대역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Δf1) 및 시간 영역에서의 T1의 제1 심볼 길이를 포함한다. 방법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수비학과 연관된 제2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2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을 포함하며, 여기서 Δf2=N×Δf1이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방법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전송 대역과 제2 전송 대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3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과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제1 심볼 길이(T1)와 동일한 심볼 길이를 포함한다.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통신 장치가 개시된다. 장치는 전술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 다른 예시적인 양태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가 개시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저장 매체 상에는 코드가 저장되어 있다. 이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프로세서로 하여금 설명된 방법을 구현하게 한다.
이들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 방법의 흐름도 표현이다.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시간 영역 심볼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의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국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본 명세서에서 섹션 제목은 가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만 사용된 것이며, 각 섹션에서의 개시된 실시예들과 기술들의 범위를 해당 섹션으로만 한정시키지 않는다. 5세대(5G) 무선 프로토콜의 예시를 사용하여 특정한 특징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개시된 기술들의 적용가능성은 5G 무선 시스템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5G NR(New Radio) 통신 시스템은 순환 프리픽스 직교 주파수 분할 멀티플렉싱(Cyclic-Prefix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CP-OFDM)을 기본 파형으로서 사용한다. 또한,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 또는 서브 대역들은 상이한 수비학들을 사용할 수 있다. 즉, 서브캐리어 간격이 더 이상 고정되지 않는다. 5G에서의 유연한 수비학은 많은 유연성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파형들이 구축되고 관리되는 방식에 새로운 과제들을 또한 도입시킨다. 특히,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에 의한 상이한 수비학들의 사용은 서브캐리어들 간의 직교성을 파괴시키고, 간섭 문제들을 야기시킨다.
간섭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하나의 통상적인 방법은 상이한 수비학들을 갖는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 사이에 보호 대역(guard band)을 삽입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큰 보호 대역은 주파수 자원의 낭비가 된다. 다른 통상적인 방법은 윈도잉(windowing) 및/또는 필터링(filtering)에 기초하여 대역 외 누설(out-of-band leakage)을 억제하지만, 이러한 방법들은 서브 대역들인 전송 대역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제한적이다. 따라서, 전송 대역들 및/또는 서브 대역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우수한 스펙트럼 효율성을 제공하는 전송 메커니즘에 대한 필요성이 남아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일부 기술들은 상이한 수비학들을 갖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 또는 서브 대역들 사이에 위치하는 특수 전송 대역 또는 서브 대역을 제공한다. 특수 전송 대역은, 인접해 있는 모든 전송 대역들의 서브캐리어들 간에 직교성이 유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간섭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스펙트럼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으로 보호 대역(들)의 스펙트럼을 활용하도록 설계된다. 특수 전송 대역은 머신 간(Machine-To-Machine) 전송 및/또는 협대역 사물 인터넷(Narrow Band Internet of Things; NB-IoT) 전송에 적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기술에 따른 무선 통신을 위한 예시적인 방법(100)의 흐름도 표현이다. 방법(100)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수비학과 연관된 제1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110)를 포함한다. 제1 전송 대역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Δf1) 및 시간 영역에서의 T1의 제1 심볼 길이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심볼 길이는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 CP)를 포함하는 시간 영역 길이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T1=1/Δf1+Tcp=Ti이고, 여기서 Tcp는 CP의 길이이고, Ti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심볼들의 시작 위치들 간의 간격이다. Ti를 심볼 간격이라고도 칭한다. 일부 경우들에서, 심볼 길이는 CP를 제외한 유효 심볼 길이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심볼이 CP를 포함하는 경우, T1=1/Δf1=Ti-Tcp이고, 여기서 Ti는 심볼 간격이고, Tcp는 CP의 길이이다. 심볼이 CP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T1=1/Δf1=Ti이고, 여기서 Ti는 심볼 간격이다. 방법(100)은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수비학과 연관된 제2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120)를 포함한다. 제2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을 포함한다. 여기서, Δf2=N×Δf1이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이다. 방법은 또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전송 대역과 제2 전송 대역 사이에 위치된 제3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130)를 포함한다. 제3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과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심볼 길이(T1)와 동일한 심볼 길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송 대역은 대역 또는 서브 대역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전송 대역을 점유하는 신호 전송들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또는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기지국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사용자 디바이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제2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및 제3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제2, 및 제3 전송 대역들은 채널 대역폭의 서브 대역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심볼 길이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심볼들의 시작 위치들 사이의 시간 영역 간격과 동일하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심볼 길이는 Tcp의 길이를 갖는 순환 프리픽스를 포함하고, T1=1/Δf1+Tcp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심볼 길이는 순환 프리픽스를 제외한 유효 심볼 길이이고, T1=1/Δf1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전송 대역의 심볼 길이는 N개의 복제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한다. 심볼들의 복제는 신호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복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전송 대역의 경계(boundary) 서브캐리어와 제1 전송 대역의 서브캐리어 간의 간격은 L×Δf1이고, L은 양의 정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3 전송 대역의 경계 서브캐리어와 제2 전송 대역의 서브캐리어 간의 간격은 M×Δf2이고, M은 양의 정수들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전송 대역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modulation and coding scheme ; MCS)과 연관되고, 제2 전송 대역은 제2 MCS와 연관되고, 제3 전송 대역은 제3 MCS와 연관된다. 제1 및/또는 제2 MCS는 제1 세트의 MCS들(예를 들어, MCS들의 제1 테이블)로부터 선택되고, 제3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제2 세트의 MCS들(예를 들어, MCS들의 제2 테이블)로부터 선택된다. 제2 세트의 MCS들의 최대 변조 차수는 제1 세트의 MCS들의 최대 변조 차수 이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1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는 제3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 이상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2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는 제3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 이상이다. 즉, 제3 전송 대역은 더 낮은 변조 차수를 갖는 MCS를 사용하고, 이에 의해 신호 간섭의 영향을 감소시키고, 복조 성능을 향상시킨다.
본 명세서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전술한 방법은 상이한 수비학들을 갖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 간에 특수 전송 대역을 제공한다. 특수 전송 대역은, 특수 전송 대역과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의 서브캐리어들이 직교하고, 이에 이해 대역들 또는 서브 대역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는 것을 보장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특수 전송 대역들의 사용은 또한 주파수 자원들의 낭비를 최소화하고, 이에 의해 우수한 스펙트럼 효율성을 제공한다. 개시된 기술들의 일부 예시들이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다.
실시예 1
도 2는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2에서, 특수 전송 대역(대역3)(203)이 두 개의 인접해 있는 대역들(또는 서브 대역들)(대역1(201), 대역2(202)) 사이에 위치한다. 대역1과 대역2는 상이한 수비학들을 갖는다. 대역1(201)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1이고, 대역1의 유효 심볼 길이는 1/Δf1이다. 대역2(202)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이고, 대역2의 유효 심볼 길이는 1/Δf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Δf2=NΔf1이 충족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1이다.
대역3(203)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동일함)이고, 대역3의 심볼 길이는 대역1의 심볼 길이와 동일하다. 이 경우, 심볼 길이는 각 대역의 유효 심볼 길이를 가리킨다. 즉, 대역1과 대역3의 유효 길이는 둘 다 1/Δf1이다. 대역3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Δf2로 설정하는 것은 대역3의 서브캐리어들과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이 서로 직교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마찬가지로, 대역3의 심볼 길이를 대역1의 심볼 길이로 설정하는 것은 대역3의 서브캐리어들과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이 서로 직교를 유지하게 해줄 수 있다. 심볼 길이가 CP를 포함하더라도, 서브캐리어들의 비직교성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은 낮게 유지된다.
이 실시예에서, 대역3(203)은 대역1(201)과 대역2(202) 사이의 전체 스펙트럼을 점유한다. 대역3의 최좌측 서브캐리어(211)와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거리는 LΔf1이며, 여기서 L은 양의 정수이다. 대역3의 최우측 서브캐리어(213)와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는 MΔf2이며,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대역3의 서브캐리어들은 대역1 및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과 직교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1은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가질 수 있다. 대역1의 서브캐리어 간격(Δf1)은 15kHz이다. 대역1의 심볼 길이는 1/Δf1=1/15kHz이다. 대역2는 또한 RB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Δf2)=2Δf1=30kHz(즉, N=2)이다. N은 다른 정수 값들일 수도 있다. 특수 전송 대역(대역3)은 4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전송 대역들(예를 들어, 대역1, 대역2, 및/또는 대역3)은 더 많은 서브캐리어들 및/또는 다중 RB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또한 유념한다. 특수 전송 대역은 그 서브캐리어 간격이 Δf2=30kHz이고 심볼 길이가 1/Δf1=1/15kHz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 특수한 예시에서, 대역3의 최좌측 서브캐리어와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거리는 LΔf1이며, 여기서 L=1, 2, ..., 12이다. 대역3의 최우측 서브캐리어와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는 MΔf2이며, 여기서 M=1, 2, ..., 12이다.
실시예 2
도 3은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다. 도 3에서, 특수 전송 대역(대역3)(303)이 두 개의 인접해 있는 대역들(또는 서브 대역들)(대역1(301), 대역2(302)) 사이에 위치한다. 대역1과 대역2는 상이한 수비학들을 갖는다. 대역1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1이고, 대역1의 심볼 길이는 1/Δf1이다. 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이고, 대역2의 심볼 길이는 1/Δf2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Δf2=NΔf1이 충족되고, N은 양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1이다.
대역3(303)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동일함)이고, 대역3의 심볼 길이는 1/Δf1이고 대역1의 심볼 길이와 동일하다. 여기서, 대역1과 대역3의 심볼 길이들은 둘 다 CP가 없는 각 대역의 유효 심볼 길이들이다. 이 실시예에서, 대역3은 대역1과 대역2 사이의 전체 스펙트럼을 점유하지 않는다. 스펙트럼의 각 끝에서는 작은 보호 대역(d1, d2)이 위치한다. 대역3의 최좌측 서브캐리어(311)와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거리는 d1+LΔf1이며, 여기서 L은 양의 정수이다. 대역3의 최우측 서브캐리어(313)와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는 d2+MΔf2이며, 여기서 M은 양의 정수이다.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대역3의 서브캐리어 간격을 Δf2로 설정하는 것은 대역3의 서브캐리어들과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이 서로 직교를 유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대역3의 심볼 길이를 대역1의 심볼 길이로 설정하는 것은 대역3의 서브캐리어들과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이 서로 직교를 유지하게 해준다. 심볼 길이가 CP를 포함하더라도, 서브캐리어들의 비직교성에 의해 야기되는 간섭은 낮게 유지된다. 추가적인 작은 보호 대역들(d1, d2)은 주파수 자원들의 큰 낭비 없이 간섭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1=0이고 d2>0이고, d2는 Δf2의 정수배이다. 심볼 길이가 CP를 포함하는 경우, 작은 보호 대역들의 이러한 구성은 대역3와 대역2 사이의 낮은 간섭을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역1(301)은 자원 블록(RB)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가질 수 있다. 대역1의 서브캐리어 간격(Δf1)은 15kHz이다. 대역1의 심볼 길이는 1/Δf1=1/15kHz이다. 대역2(302)는 또한 RB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Δf2)=2Δf1=30kHz(즉, N=2)이다. 특수 전송 대역(대역3)(303)은 4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그러나, 전송 대역들(예를 들어, 대역1, 대역2, 및/또는 대역3)은 더 많은 서브캐리어들 및/또는 다중 RB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한다. 특수 전송 대역은 그 서브캐리어 간격이 Δf2=30kHz이고 심볼 길이가 1/Δf1=1/15kHz가 되도록 구성된다.
이 특수한 예시에서, 대역3의 최좌측 서브캐리어와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거리는 d1+LΔf1이며, 여기서 L=1, 2, ..., 12이다. 대역3의 최우측 서브캐리어와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는 d2+MΔf2이며, 여기서 M=1, 2, ..., 12이다.
실시예 3
도 4는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다. 이 특수 예시에서, 대역1(401)은 두 개의 RB들에서 24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대역1의 서브캐리어 간격(Δf1)은 15kHz이다. 대역1의 심볼 길이는 1/Δf1=1/15kHz이다. 대역2(402)는 또한 두 개의 RB들에서 24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Δf2)=2Δf1=30kHz(즉, N=2)이다. 특수 전송 대역(대역3)(403)은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그러나, 전송 대역들(예를 들어, 대역1, 대역2, 및/또는 대역3)은 더 많은 수의 또는 더 적은 수의 서브캐리어들 및/또는 다중 RB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한다. 특수 전송 대역은 그 서브캐리어 간격이 Δf2=30kHz이고 심볼 길이가 1/Δf1=1/15kHz가 되도록 구성된다.
대역3(403)은 대역1(401)과 대역2(402) 사이의 전체 스펙트럼을 점유한다. 대역3의 최좌측 서브캐리어와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거리는 LΔf1이며, 여기서 L=1, 2, ..., 24이다. 대역3의 최우측 서브캐리어와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는 MΔf2이며, 여기서 M=1, 2, ..., 24이다.
실시예 4
도 5는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다른 예시들을 나타낸다. 이 특수 예시에서, 대역1(501)은 RB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대역1의 서브캐리어 간격(Δf1)은 15kHz이다. 대역1의 심볼 길이는 1/Δf1=1/15kHz이다. 대역2(502)는 또한 RB에서 12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Δf2)=4Δf1=60 kHz(즉, N=4)이다. 특수 전송 대역(대역3)(503)은 4개의 서브캐리어들을 갖는다. 전송 대역들(예를 들어, 대역1, 대역2, 및/또는 대역3)은 더 많은 수의 또는 더 적은 수의 서브캐리어들 및/또는 다중 RB들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유념한다. 특수 전송 대역은 그 서브캐리어 간격이 Δf2=60kHz이고 심볼 길이가 1/Δf1=1/15kHz가 되도록 구성된다.
대역3(503)은 대역1(501)과 대역2(502) 사이의 전체 스펙트럼을 점유한다. 대역3의 최좌측 서브캐리어와 대역1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우측으로부터 좌측으로의) 거리는 LΔf1이며, 여기서 L=1, 2, ..., 12이다. 대역3의 최우측 서브캐리어와 대역2의 서브캐리어들 사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의) 거리는 MΔf2이며, 여기서 M=1, 2, ..., 12이다.
실시예 5
도 6은 본 기술에 따른 전송 대역들의 시간 영역 심볼들의 예시들을 나타낸다. 전송 대역(대역1)(611)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1이다. 전송 대역(대역2)(612)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이다. Δf2=NΔf1이고,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이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1이다. 특수 전송 대역(대역3)(613)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과 동일함)이다. 여기서, 심볼 길이는 CP를 포함하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심볼들의 시작 위치들 사이의 시간 영역 간격인 심볼 간격을 가리킨다.
대역3의 유효 심볼 길이 내에서는 시간 영역 데이터의 N개의 복제 복사본들이 있다. 1/Δf2의 길이를 갖는 시간 영역 데이터(601)는 N-1회 반복된다. 즉, N/Δf2=1/Δf1이다.
예를 들어, 대역1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1=15kHz이다. 각 심볼의 유효 길이는 1/Δf1=1/15kHz이다. 도 6은 대역1(611)의 14개의 심볼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 심볼은 순환 프리픽스(CP1)가 선행한다. 대역2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NΔf1=30kHz이며, 여기서 N=2이다. 도 6은 대역2(612)의 28개의 심볼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각 심볼은 순환 프리픽스(CP2)가 선행한다. 대역3의 서브캐리어 간격은 Δf2=30kHz이다. 도 6은 대역3(613)의 14개의 심볼들을 나타태고 있으며, 각 심볼은 한 번 반복된다(즉, N=2). 대역3의 유효 심볼 길이는 1/Δf1=1/15kHz이며, 각 심볼은 CP1과 동일한 길이를 갖는 순환 프리픽스(CP3)가 선행한다.
도 7은 본 기술의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기술들이 적용될 수 있는 무선 통신 시스템(700)의 예시를 도시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700)은 하나 이상의 기지국(base station; BS)(705a, 705b), 하나 이상의 무선 디바이스(710a, 710b, 710c, 710d), 및 코어 네트워크(725)를 포함할 수 있다. 기지국(705a, 705b)은 하나 이상의 무선 섹터에서 무선 디바이스(710a, 710b, 710c, 710d)에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기지국(705a, 705b)은 상이한 섹터들에서 무선 커버리지를 제공하기 위해 둘 이상의 지향성 빔들을 생성하는 지향성 안테나를 포함한다.
코어 네트워크(725)는 하나 이상의 기지국(705a, 705b)과 통신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725)는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유선 통신 시스템과의 연결을 제공한다. 코어 네트워크는 가입된 무선 디바이스들(710a, 710b, 710c, 710d)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서비스 가입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지국(705a)은 제1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반면, 제2 기지국(705b)은 제2 무선 액세스 기술에 기초한 무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기지국들(705a, 705b)은 배치 시나리오에 따라 동일 위치에 있거나 또는 현장에서 별개로 설치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들(710a, 710b, 710c, 710d)은 다수의 상이한 무선 액세스 기술들을 지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들과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무선 디바이스들의 기지국들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국의 일부의 블록도 표현이다. 기지국 또는 무선 디바이스(또는 UE)와 같은 무선국(805)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된 하나 이상의 무선 기술을 구현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 전자장치(810)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805)은 안테나(820)와 같은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하기 위한 트랜시버 전자장치(815)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805)은 데이터를 송신 및 수신하기 위한 다른 통신 인터페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국(805)은 데이터 및/또는 명령들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메모리(명시적으로 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들에서, 프로세서 전자장치(810)는 트랜시버 전자장치(81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개시된 기술들, 모듈들, 또는 기능들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국(805)을 사용하여 구현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무선국(805)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방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시버 전자장치(815)는 도 1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제2, 및 제3 전송 대역들에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는 상이한 수비학들을 갖는 두 개의 인접해 있는 전송 대역들/서브 대역들 사이의 특수 전송 대역/서브 대역에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스펙트럼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구현될 수 있는 기술들을 개시한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상기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 모듈들 및 기능 동작들은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구조들 또는 이들 구조의 등가물을 포함하는, 디지털 전자 회로에서 또는 컴퓨터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하드웨어에서 또는 이들의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실시예들은 데이터 처리 장치에 의한 실행을 위하거나 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인코딩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즉,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모듈로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머신 판독가능 저장 디바이스, 머신 판독가능 저장 기판, 메모리 디바이스, 머신 판독가능 전파 신호를 초래하는 물질의 조성, 또는 이들 중 하나의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용어 "데이터 처리 장치"는 예를 들어,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 컴퓨터, 또는 다중 프로세서들 또는 컴퓨터들을 비롯하여,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모든 장치, 디바이스, 및 머신을 망라한다. 장치는 또한, 하드웨어에 더하여, 해당 컴퓨터 프로그램을 위한 실행 환경을 생성하는 코드, 예를 들어, 프로세서 펌웨어, 프로토콜 스택,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운영체제,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구성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파 신호는 인위적으로 생성된 신호, 예를 들어, 전송을 위한 정보를 적절한 수신기 장치에 인코딩하기 위해 생성된 머신 생성 전기, 광학, 또는 전자기 신호이다.
컴퓨터 프로그램(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 스크립트, 또는 코드로서 알려짐)은 컴파일링되거나 또는 해석된 언어를 비롯한, 임의의 형태의 프로그래밍 언어로 작성될 수 있고, 독립형 프로그램으로서 또는 컴퓨팅 환경에서의 사용에 적절한 모듈, 컴포넌트, 서브루틴, 또는 다른 유닛으로서를 비롯하여, 임의의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 내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할 필요가 있는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은 다른 프로그램 또는 데이터, 예를 들어, 마크업 언어 문서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스크립트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에 , 해당 프로그램에 전용되는 단일의 파일에, 또는 다중 코디네이션된 파일에,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모듈, 서브프로그램, 또는 코드 부분을 저장하는 파일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에 위치되거나 또는 복수의 사이트들에 걸쳐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접속된 복수의 컴퓨터 상에서 또는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프로세스 및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를 운용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밍가능 컴퓨터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스들 및 논리 흐름들은 또한 예컨대,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특수 목적 논리 회로에 의해 수행될 수 있고, 이러한 것으로서 장치가 또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들은 예로서, 범용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특수 목적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쪽 모두를, 그리고 임의의 유형의 디지털 컴퓨터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 또는 이 둘 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어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필수 엘리먼트는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 및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일반적으로, 컴퓨터는 또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용량 저장 디바이스, 예를 들어,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또는 광디스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또는 이들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이 둘 다를 행하도록 동작가능하게 결합되거나 또는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이러한 디바이스를 가질 필요는 없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적합한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는 예로서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예를 들어, EPROM, EEPROM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 자기 디스크(예를 들어, 내부 하드디스크 또는 착탈가능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및 CD 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한다. 프로세서 및 메모리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에 의해 추가되거나 또는 특수 목적 논리 회로부 내에 통합될 수 있다.
본 특허 명세서가 많은 상세를 포함하고 있지만, 이들은 본 발명 또는 청구될 수 있는 것 중 어느 것의 범위에 대한 한정으로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특정 발명의 특정 실시예로 특정할 수 있는 특징의 설명으로서 해석되어야 한다. 개별적인 실시예들의 환경에서 본 특허 명세서에서 기술된 어떠한 특징들이라도 단일 실시예와 조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반대로, 단일 실시예의 환경에서 설명된 다양한 특징들은 또한 다수의 실시예들에서 개별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또는 임의의 적절한 서브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특징들이 특정 조합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위에서 설명될 수 있고 심지어 이와 같이 초기에 청구되어 있지만, 청구된 조합으로부터 하나 이상의 특징들이 일부 경우들에서 이러한 조합으로부터 실행될 수 있고 청구된 조합은 부분조합으로 또는 부분조합의 변경예에 관련된 것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도면들에서는 특정한 순서로 동작들이 도시되고 있지만, 원하는 결과를 달성하기 위해, 이러한 동작들이 도시된 특정 순서로 수행되거나 또는 순차적인 순서로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과 도시된 모든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한다는 것을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것을 이해해서는 안된다. 또한, 이 특허 명세서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들의 분리는 모든 실시예들에서 그러한 분리를 요구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단지 몇 가지 구현들과 예시들이 설명되어 있고, 이 특허 명세서에서 설명되고 예시된 것에 기초하여 다른 구현들, 강화들 및 변형들이 이루어질 수 있다.

Claims (17)

  1. 무선 통신 방법에 있어서,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수비학(numerology)과 연관된 제1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 상기 제1 전송 대역은 제1 서브캐리어 간격(Δf1)과 시간 영역에서의 T1의 제1 심볼 길이를 포함함 -;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수비학과 연관된 제2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 상기 제2 전송 대역은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을 포함하고, Δf2=N×Δf1이고, N은 1보다 큰 양의 정수임 -; 및
    상기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전송 대역과 상기 제2 전송 대역 사이에 위치한 제3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전송 대역은 상기 제2 서브캐리어 간격(Δf2)과 동일한 서브캐리어 간격 및 상기 제1 심볼 길이(T1)와 동일한 심볼 길이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전송 대역의 경계(boundary) 서브캐리어와 상기 제1 전송 대역의 서브캐리어 간의 간격은 L×Δf1이며, L은 양의 정수들이고,
    상기 제3 전송 대역의 또 다른 경계 서브캐리어와 상기 제2 전송 대역의 서브캐리어 간의 간격은 M×Δf2이며, M은 양의 정수들인 것인 무선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제3 전송 대역을 동작시키는 단계는 동시에 수행되는 것인 무선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볼 길이는 Tcp의 길이를 갖는 순환 프리픽스(cyclic prefix)를 포함하며, T1=1/Δf1+Tcp인 것인 무선 통신 방법.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송 대역의 심볼 길이는 N개의 복제 데이터 시퀀스들을 포함한 것인 무선 통신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대역은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scheme)과 연관되고, 상기 제2 전송 대역은 제2 변조 및 코딩 방식과 연관되고, 상기 제3 전송 대역은 제3 변조 및 코딩 방식과 연관되며;
    상기 제1 변조 및 코딩 방식 또는 상기 제2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제1 세트의 변조 및 코딩 방식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제3 변조 및 코딩 방식은 제2 세트의 변조 및 코딩 방식들로부터 선택되며;
    상기 제2 세트의 변조 및 코딩 방식들 내의 최대 변조 차수는 상기 제1 세트의 변조 및 코딩 방식들 내의 최대 변조 차수 이하인 것인 무선 통신 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는 상기 제3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 이상인 것인 무선 통신 방법.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는 상기 제3 전송 대역의 변조 차수 이상인 것인 무선 통신 방법.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송 대역, 상기 제2 전송 대역, 및 상기 제3 전송 대역은 채널 대역폭의 서브 대역들인 것인 무선 통신 방법.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통신 장치.
  12. 코드를 갖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방법을 구현하게 하는 것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227028273A 2020-01-17 2020-01-17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전송 대역들 Active KR1027418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CN2020/072741 WO2021093167A1 (en) 2020-01-17 2020-01-17 Transmission bands for different numerologi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041A KR20220129041A (ko) 2022-09-22
KR102741812B1 true KR102741812B1 (ko) 2024-12-11

Family

ID=75911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8273A Active KR102741812B1 (ko) 2020-01-17 2020-01-17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전송 대역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2155515B2 (ko)
EP (1) EP4091308A4 (ko)
KR (1) KR102741812B1 (ko)
CN (1) CN114930780B (ko)
WO (1) WO20210931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832266B2 (en) * 2020-03-09 2023-11-28 Intel Corporation Frame structure and resource allocation scheme for 5G system operating above 52.6 GHz carrier frequency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9697A1 (en) * 2016-05-20 2017-11-23 Qualcomm Incorporated Non-equal bit allocation for coexistence with scaled numerology systems
US10419171B2 (en) * 2016-08-11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guard band for heterogeneous symbol lengths/subcarrier spacing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55387A1 (en) * 2005-12-30 2007-07-05 Qinghua Li Techniques for scheduling and adaptation to combat fast fading
US8699882B2 (en) * 2009-01-08 2014-04-15 Ofidium Pty Ltd Signal method and apparatus
US9769796B2 (en) * 2013-10-08 2017-09-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Radio channel utilization
US10548129B2 (en) * 2015-02-11 2020-01-28 Apple Inc. Device, system and method employing unified flexible 5G air interface
US10038581B2 (en) * 2015-06-01 2018-07-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System and scheme of scalable OFDM numerology
KR102677807B1 (ko) * 2016-05-09 2024-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의 동기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618342B1 (en) * 2016-05-13 2020-11-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ulti-subcarrier system with multiple numerologies
CN107483166B (zh) * 2016-06-08 2019-10-01 上海朗帛通信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通信中的方法和装置
KR102329949B1 (ko) * 2016-07-05 2021-11-2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뉴머롤러지를 이용한 전송 방법 및 장치, 그리고 뉴머롤러지를 이용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KR102332992B1 (ko) * 2016-07-13 2021-12-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 셀룰라 통신 시스템에서 랜덤액세스 프리앰블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4027705A1 (en) * 2016-07-28 2022-07-13 Guangdong Oppo Mobile Telecommunications Corp., Ltd. Method for transmitting data, terminal device and network device
WO2018021008A1 (ja) * 2016-07-29 2018-02-01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装置、方法、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7733831B (zh) * 2016-08-12 2021-06-1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无线信号传输方法及装置
US10206080B2 (en) * 2016-09-08 2019-02-12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or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therefor
US11283575B2 (en) * 2016-11-10 2022-03-22 Qualcomm Incorporated Sequence generation for systems supporting mixed numerologies
CN108306719A (zh) 2017-01-12 2018-07-20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CN110463153B (zh) * 2017-02-03 2022-04-19 瑞典爱立信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多个参数集
US11224024B2 (en) * 2017-02-13 2022-01-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s for controlling UE synchronization and cell identification in NR
WO2018157301A1 (en) * 2017-02-28 2018-09-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Waveform coding for multicarrier wake up radio frame
CN108737306B (zh) * 2017-04-14 2020-12-11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基于频分复用的通信
US20210211343A1 (en) * 2017-05-05 2021-07-0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umerology-dependent physical uplink control changnel. structure wireless communication
CN109302718B (zh) * 2017-07-24 2020-10-0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及装置
US10911191B2 (en) * 2018-09-27 2021-02-02 Centre Of Excellence In Wireless Technology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communication operations in 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syste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339697A1 (en) * 2016-05-20 2017-11-23 Qualcomm Incorporated Non-equal bit allocation for coexistence with scaled numerology systems
US10419171B2 (en) * 2016-08-11 2019-09-17 Qualcomm Incorporated Flexible guard band for heterogeneous symbol lengths/subcarrier spac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353127A1 (en) 2022-11-03
US12155515B2 (en) 2024-11-26
EP4091308A4 (en) 2023-01-25
CN114930780B (zh) 2024-04-23
CN114930780A (zh) 2022-08-19
EP4091308A1 (en) 2022-11-23
KR20220129041A (ko) 2022-09-22
WO2021093167A1 (en)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75625B9 (en) Frequency hopping design for ifdma, lfdma and ofdma systems
US20240223427A1 (en) Data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data modulation method and apparatus,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US12309015B2 (en) Synchronization signal transmission
US12095692B2 (en) Reference signal sequences in time domain data
KR102769535B1 (ko) 낮은 피크 평균 전력비를 위한 주파수-도메인 변조 방식
KR102741812B1 (ko) 상이한 수비학들을 위한 전송 대역들
US11757584B2 (en) Transmissions using discrete spectra
CN107959647B (zh) 多载波系统的符号配置方法及装置、数据解调方法及装置
KR102773235B1 (ko) 낮은 피크 평균 전력 비율을 위한 시간 도메인 변조 스킴
CN113179669B (zh) 用于使用离散频谱的技术
CN119728367A (zh) 数据传输方法、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8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