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0956B1 -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brush-applied cosmetics - Google Patents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brush-applied cosmetics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0956B1 KR102740956B1 KR1020230064139A KR20230064139A KR102740956B1 KR 102740956 B1 KR102740956 B1 KR 102740956B1 KR 1020230064139 A KR1020230064139 A KR 1020230064139A KR 20230064139 A KR20230064139 A KR 20230064139A KR 102740956 B1 KR102740956 B1 KR 10274095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iner
- overcap
- housing cover
- solder
- guide groo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9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84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5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7865 dilu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80 transpare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08 enhan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04 eva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6—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in combination with other toiletry or cosmetic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4—Casings for two or more cosmetic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45D40/26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05—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 B65D81/3211—Separate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joined to each other at their external surfaces coaxially and provided with means facilitating admixtur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two or more different materials which must be maintained separate prior to use in admixture
- B65D81/3255—Containers provided with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and permitting admixture within the container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8—Means for mixing different substances prior to appl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브러쉬로 바르는 화장품을 위한 투인원 화장품 용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용기; 상부에 상기 제1 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용기가 배치되는 오버캡; 솔대헤드 및 솔대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출통로가 상기 솔대헤드 및 상기 솔대바디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대헤드는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대바디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솔대; 및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솔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제1 내용물을 상기 배출통로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펌프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펌프모듈은, 상기 솔대헤드에 결합되는 밸브; 상기 제1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기 밸브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커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A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applying cosmetics with a brush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smetic container may include: a first contain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conten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side; an overcap having an open area formed at an upper side to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and having the first container disposed inside; a brush head and a brush body, wherein a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ontent to pass through is formed inside the brush head and the brush body, the brush head is disposed inside the overcap,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rush body to connect the discharge passage to the outside; and a pump module disposed inside the overcap,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coupled to the brush,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 from the first container into the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pump module may include: a valve coupled to the brush hea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valve; And the housing cover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using cover so that the housing cover can move in an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alve.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브러쉬로 바르는 화장품을 위한 투인원 화장품 용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cosmetics applied with a brush.
마스카라, 컨실러, 립컬러 등 다양한 종류의 화장품은 액체 형태로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화장액이 담긴 용기에 삽입되어 있는 브러쉬를 분리하여 브러쉬에 묻어 있는 화장액을 필요한 부위에 바르는 방식으로 화장액을 사용한다. Various types of cosmetics, such as mascara, concealer, and lip color, are available in liquid form. Typically, users use cosmetics by detaching the brush inserted into the container containing the cosmetics and applying the cosmetics on the brush to the desired area.
일부 화장액의 경우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액이 함께 사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립컬러와 립글로스, 컨실러와 블레미쉬 에센스 등이 그러하다. 마스카라와 같은 화장액은 신속하게 휘발 및 건조되는 특성을 가져 이를 희석하기 위한 용액이 함께 사용되기도 한다.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화장액이 함께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는 각각의 화장액을 서로 다른 용기에서 꺼내어 브러쉬로 필요 부위에 바르게 되므로 상당한 불편이 따른다. 그렇다고 이들을 하나의 용기에 혼합하여 보관하면 각 화장액을 개별적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된다.In the case of some cosmetics, two different types of cosmetics can be used together as needed, such as lip color and lip gloss, concealer and blemish essence, etc. Cosmetics such as mascara have the characteristic of quickly evaporating and drying, so a solution to dilute them is also used together. When two different types of cosmetics are used together, the user takes each cosmetic out of a different container and applies it to the required area with a brush, which is quite inconvenient. However, if they are mixed and stored in one container, each cosmetic cannot be used individually.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측면은 서로 다른 화장액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는 투인원 화장품 용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two-in-one cosmetic container that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allowing different cosmetic liquids to be used together.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용기; 상부에 상기 제1 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용기가 배치되는 오버캡; 솔대헤드 및 솔대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출통로가 상기 솔대헤드 및 상기 솔대바디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대헤드는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대바디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솔대; 및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솔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제1 내용물을 상기 배출통로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펌프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펌프모듈은, 상기 솔대헤드에 결합되는 밸브; 상기 제1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기 밸브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커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솔대헤드의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세로가이드홈을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진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용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대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대적 각도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지 못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smetic container may include: a first contain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conten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side; an overcap having an open area formed at an upper side to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and having the first container arranged inside; a brush head and a brush body, wherein a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ontent to pass through is formed inside the brush head and the brush body, the brush head is arranged inside the overcap,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rush body to connect the discharge passage to the outside; and a pump module arranged inside the overcap,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coupled to the brush,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 from the first container into the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pump module comprises: a valve coupled to the brush hea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valve; And the housing cover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using cover so that the housing cover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alve. Here, a first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older head, wherein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having a width that can pass through the vertical guide groove, and as the first container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rotates, a relative angle of the guide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may be changed,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may be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not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본 발명의 다른 일측면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제1 내용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하측에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용기; 상부에 상기 제1 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용기가 배치되는 오버캡; 솔대헤드 및 솔대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출통로가 상기 솔대헤드 및 상기 솔대바디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대헤드는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대바디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솔대; 및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솔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제1 내용물을 상기 배출통로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펌프모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펌프모듈은, 상기 솔대헤드에 결합되는 밸브; 상기 제1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기 밸브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커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하우징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버캡의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가이드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세로가이드홈을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진 가이드돌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용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대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대적 각도가 변경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지 못하게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smetic container may include: a first container configured to receive a first content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side; an overcap having an open area formed at an upper side to expose a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and having the first container arranged inside; a brush head and a brush body, wherein a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ontent to pass through is formed inside the brush head and the brush body, the brush head is arranged inside the overcap, and a discharge hole formed in the brush body to connect the discharge passage to the outside; and a pump module arranged inside the overcap,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coupled to the brush,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 from the first container into the discharge passage, wherein the pump module comprises: a valve coupled to the brush hea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rotatably coupled with respect to the valve; And the housing cover may include a first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using cover so that the housing cover can mov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valve. Here, a first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housing cove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cap, wherein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vertical guide groove formed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having a width that can pass through the vertical guide groove, and as the first container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rotates, a relative angle of the guide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may change,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may be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not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may be arranged so as not to be able to move up and down.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다음과 같은 실시예들을 하나 또는 그 이상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상기 세로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결합부는 상기 세로가이드홈의 단부에서 이어지는 가로가이드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로가이드홈 내에서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인접한 위치에는 홈의 깊이가 감소된 걸림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one or more of the following embodiments. For example, amo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the coupling portion including the vertical guide groove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guide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In this case, a catch portion with a reduced groove depth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with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화장품 용기는, 상기 오버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솔대바디의 일부가 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2 용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cosmetic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ntainer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vercap, accommodates a second content therein, and is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sole body is inserted therein.
화장품 용기는,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에 결합되고,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솔대바디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관통공이 하부에 형성된 용기패킹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용기패킹은,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원통형 형상의 패킹바디; 및 상기 패킹바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container packing that is joined to the neck of the second container,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bottom thereof configured to allow a portion of the sole body to pass through. The container packing may include a packing body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neck of the second container; and a wiper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acking body and having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화장품 용기는, 상기 솔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오버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솔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솔대바디에는 환기홈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정도보다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정도가 더 클 수 있는데, 상기 솔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환기홈이 상기 관통공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소통하게 될 수 있다.The cosmetic con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brush so that the brush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vercap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A ventilation groove may be formed in the brush body, and a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t the second position may be greater than a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t the first position, and when the brush is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may be positioned in the through hole so that air may communicate through the through hole.
상기 용기패킹은,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원통형 형상의 패킹바디; 및 상기 패킹바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와이퍼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솔대바디는, 상기 패킹바디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확경부; 및 상기 관통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축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킹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씰링돌기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확경부에는 환기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솔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환기홈이 상기 씰링돌기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씰링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확경부에 접촉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container packing may include a cylindrical packing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and a wiper positioned below the packing body and having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nd the seal body may include an expanded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acking body; and a diametral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A sealing protrusion configured to contac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xpanded portion may be form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and a ventilation groove may be formed on the expanded portion, and when the seal body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may be positioned on the sealing protrusion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sealing protrusion does not contact the expanded portion.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사항을 포함하는 다양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아래의 효과를 모두 발휘해야 성립되는 것은 아니다. According to the problem solv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xamined above, various effects including the following can be expect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established only when all of the following effects are exhibit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가 제1 내용물을 제2 내용물이 묻어 있는 위치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서로 다른 두 가지 내용물을 동시에 함께 사용할 수 있게 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provide the first content to a location where the second content is buried, thereby allowing the user to use two different contents simultaneously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hereby increasing user convenience.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는 제1 내용물을 수용한 제1 용기와 제2 내용물을 수용한 제2 용기를 강하게 밀폐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면서도 제2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하여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tightly sealing a first container containing a first content and a second container containing a second content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at an appropriate level.
본 발명의 또 다른 일실시예는 사용자가 간단한 동작으로 펌프모듈의 작동을 해제하여 제1 내용물의 제공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의도치 않게 펌프모듈이 작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사용자 편의를 증대시킬 수 있다.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user convenience by preventing the pump module from being operated unintentionally when the provision of the first content is not required by allowing the user to disable the operation of the pump module with a simple action.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제1 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펌프모듈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오버캡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솔대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용기패킹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외력이 처음 가해진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외력이 더 가해진 상태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3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하우징커버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도 13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의 솔대를 예시하는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ure 1.
Figure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ure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first container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ump module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
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n overcap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brush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6.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the container packing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6.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6,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e befo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ig. 11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6,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first applied.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6, and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dditional external force is applied.
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3.
Figure 1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ure 13.
Fig. 16 is a drawing illustrating a housing cover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3.
Fig. 17 is a drawing exemplifying the brush of the cosmetic container illustrated in Fig. 13.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내측", "외측", "상측" 및 "하측" 등의 표현을 사용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내측"이라 함은 화장품 용기의 내부에 가까운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고, "외측"이라 함은 화장품 용기의 내부로부터 먼 쪽을 지칭하려는 것이다. 한편, "상측" 및 "하측"에 대한 언급은 도 1, 도 6 및 도 13에서와 같이 제1 용기(125)가 위를 향하도록 배치된 상태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 500, 700)의 실제 사용시에는 명세서에서 언급된 상측 방향이 실제 상측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expressions “inner,” “outer,” “upper,” and “lower” are used in this specific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inner” refers to the side closer to the inside of the cosmetic container, and “outer” refers to the side farther from the inside of the cosmetic container. Meanwhile, references to “upper” and “lower” are based o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ainer (125) is placed facing upward, as in FIGS. 1, 6, and 13. Of course, when the cosmetic container (300, 500, 7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ctually used, the upper direction mentioned in the specification may not match the actual upper direction.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상관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를 예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각각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300)의 정면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도 1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300)의 제1 용기(125)와 펌프모듈(14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2 and 3 are a front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respectively, of the cosmetic container (300) illustrated in FIG. 1. FIGS. 4 and 5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 first container (125) and a pump module (140) of the cosmetic container (300) illustrated in FIG. 1, respectively.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는 상부의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하면 제1 용기(125)의 내부에 주입된 제1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펌프모듈(140)에 의해서 솔대(200)의 배출홀(210)을 통해 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제2 용기(220)의 내부에는 제2 내용물이 충진되어 있는데, 제2 내용물은 주입된 제1 내용물과 혼합 및 희석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to 5,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at the top is pressurized downward, the first content (not shown)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of the solder (200) by the pump module (140). In addition, the inside of the second container (220) is filled with the second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an be used by being mixed and diluted with the injected first content.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가 마스카라 용기인 경우, 제2 내용물은 마스카라 화장액이고 제1 내용물은 식염수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식염수를 이용해서 마스카라 화장액을 희석하거나 경화된 마스카라 화장액을 녹여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는 마스카라 용기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의 종류, 성질 및 용도에는 제한이 없다.If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a mascara container, the second content may be mascara liquid and the first content may be saline solution, etc. Therefore,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mascara liquid by diluting it with saline solution or by dissolving the hardened mascara liquid. Of course,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a mascara container, and 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type, nature, and us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는 오버캡(105), 제1 용기(125), 용기패킹(130), 펌프모듈(140), 솔대(200) 및 제2 용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 제2 실시예 및 제3 실시예 사이에는 약간의 차이가 있으나, 서로 대응하는 구성요소가 있는 경우 제2 실시예 또는 제3 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된 참조번호가 제1 실시예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될 수 있고,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Referring to FIGS. 1 to 5, a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may include an overcap (105), a first container (125), a container packing (130), a pump module (140), a sole (200), and a second container (220). Although there are slight differences between the first embodiment,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re are corresponding components, reference numerals used in connection with the second embodiment or the third embodiment may be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and vice versa.
오버캡(105)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형성하는 측벽(116)을 가져 내측에 수용공간(115; 도 7 참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수용공간(115) 내에 제1 용기(125), 펌프모듈(140) 및 솔대(200)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다. 오버캡(105) 내부에는 솔대(200)의 솔대헤드(202; 도 8 참조)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돌기(194)가 형성될 수 있고, 지지돌기(194)의 내측에는 솔대(200)의 솔대바디(218; 도 8 참조)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관통공(193; 도 7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The overcap (105) may have a side wall (116) forming a hollow cylindrical shape to form an accommodation space (115; see FIG. 7) on the inside, and may accommodate a first container (125), a pump module (140), and a part of the sole (200) within the accommodation space (115). A support protrusion (194) for supporting a sole head (202; see FIG. 8) of the sole (200) may be formed inside the overcap (105), and a through hole (193; see FIG. 7) configured to allow a sole body (218; see FIG. 8) of the sole (200) to pass through may be formed on the inside of the support protrusion (194).
오버캡(105)의 상부에는 개방영역(114)이 형성될 수 있는데, 개방영역(114)은 도시된 바와 같이 오버캡(105)의 상면과 둘레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개방영역(114)이 오버캡(105)의 상면 전체와 둘레면 일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개방영역(114)을 통해 제1 용기(125)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개방영역(114)은, 오버캡(105)의 내부에 삽입되는 제1 용기(125)의 둘레면 및 상면 일부를 외부로 노출되게 하는데, 이로 인해서 사용자는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할 수 있고 또한 제1 용기(125)에 잔존하는 내용물의 양을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오버캡(105)의 상부가 제1 용기(125)의 상부에 대응하는 높이를 가짐에 따라, 제1 용기(125)의 상부가 오버캡(105)의 상부를 너머 돌출되는 경우에 비해 제1 용기(125)가 의도치 않게 가압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An open area (114)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cap (105), and the open area (114) may be formed across the upper surface and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cap (105) as illustrated. More specifically, the open area (114) may be formed on the entire upper surface and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cap (105), and a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may be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114). The open area (114) exposes a por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125)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overcap (105) to the outside, which allows the user to pressurize the first container (125) downward and also determine the amount of contents remaining in the first container (125). Since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cap (105) has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possibility of the first container (125) being unintentionally pressurized can be reduced compared to a case where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protrudes beyond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cap (105).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개방영역(114)이 오버캡(105)의 상면 전체에 걸쳐 형성됨에 따라 솔대(200), 펌프모듈(140) 및 제1 용기(125)를 순서대로 수용공간(115) 내에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수용공간(115) 내에서 제1 용기(125), 펌프모듈(140) 및 솔대(200)의 조립이 완성된 후에는 이들이 서로 견고하게 고정되어 오버캡(105) 상부의 개방영역(114)을 통해 이탈하지 않게 된다. 예를 들어, 오버캡(105)의 내주면에는 내향 돌출된 걸림돌기(192)가 구비될 수 있다. 걸림돌기(192)는 솔대헤드(202)의 상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솔대헤드(202)가 걸림돌기(192)와 지지돌기(194) 사이에 삽입됨에 따라 솔대(200)가 정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As in the illustrated embodiment, since the open area (114) is form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overcap (105), the stand (200), the pump module (140), and the first container (125) can be easily mounted in sequence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5). After the assembly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pump module (140), and the stand (200)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5) is completed, they are firmly fixed to each other so as not to come off through the open area (114)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vercap (105). For example, an inwardly protruding catch (192)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overcap (105). The catch (192) can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older head (202), and the solder head (202) can be fixed in place as the solder head (202) is inserted between the catch (192) and the support protrusion (194).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를 조립할 때, 제조자는 솔대(200)를 오버캡(105)의 개방영역(114)을 통해 삽입하되 솔대바디(218)가 먼저 관통공(193)을 통과하게 한 후, 솔대헤드(202)가 걸림돌기(192)를 통과하도록 압입할 수 있다. 솔대헤드(202)가 걸림돌기(192)를 통과하면 솔대헤드(202)가 걸림돌기(192)와 지지돌기(194) 사이에 고정될 수 있고, 제조자는 이어서 연결부재(185), 탄성부재(158), 하우징커버(145), 피스톤(165), 가이드(170) 및 하우징(155)을 차례로 삽입하여 조립할 수 있다.When assembling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nufacturer may insert the stem (200) through the open area (114) of the overcap (105), and then press-fit the stem body (218) so that it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93) first, and then the stem head (202) passes through the catch (192). When the stem head (202) passes through the catch (192), the stem head (202) can be fixed between the catch (192) and the support protrusion (194), and the manufacturer may then sequentially insert and assemble the connecting member (185), the elastic member (158), the housing cover (145), the piston (165), the guide (170), and the housing (155).
오버캡(105)은 제2 용기(220)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하부의 내주면에는 암나사(196) 등의 결합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솔대(200)의 솔대바디(218)는 관통공(193)을 통해 오버캡(105)의 하부로 돌출하므로, 오버캡(105)이 제2 용기(220)에 결합될 때 솔대바디(218)는 제2 용기(220)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The overcap (105)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220), and for this purpose, a coupling means such as a female screw (196)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Since the solder body (218) of the solder (200) protrudes to the lower portion of the overcap (105) through the through hole (193), when the overcap (105) is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solder body (218) can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제1 용기(125)는 전술한 바와 같이 내부에 제1 내용물을 수용할 수 있고, 사용자가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하면 제1 내용물이 펌프모듈(140)에 의해 솔대(200)의 배출통로(208)를 통해서 제2 용기(220)의 내부에 주입될 수 있다. 제1 용기(125)는 투명한 재질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사용자는 제1 용기(125)의 내부에 주입되어 있는 제1 내용물의 잔존량을 개방영역(114)을 통해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ainer (125) can accommodate the first content therein, and when a user presses downward on the first container (125), the first content can be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08) of the sole (200) by the pump module (140). The first container (125) can be manufactured using a transparent material, which allows the user to easily determine the remaining amount of the first content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rough the open area (114).
도 4와 도 5를 참조하면, 제1 용기(125)는 내부에 제1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충진되는 수용부(120)와 입구 부위에 해당하는 넥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 넥부(121)의 하부에는 개구부(124)가 형성될 수 있고, 개구부(124)를 통해 수용부(120)의 내부가 외부로 개방될 수 있다. 넥부(121)는 펌프모듈(140)과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수용부(120)에 비해 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다. 넥부(121)가 축소된 직경을 가지므로 제1 용기(125)에서 넥부(121) 이외의 부분과 하우징커버(145)가 유사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S. 4 and 5, the first container (125)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20) in which first contents (not shown) are filled, and a neck portion (121) corresponding to an inlet portion. An opening (124) may be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121), and the interior of the receiving portion (120) may be open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124). The neck portion (121) may have a smaller outer diameter than the receiving portion (120) so that it may be easily coupled with the pump module (140). Since the neck portion (121) has a reduced diameter, a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other than the neck portion (121) and the housing cover (145) may have similar outer diameters.
제1 용기(125)가 펌프모듈(140)에 결합되면, 펌프모듈(140)의 하우징(155)이 개구부(124)를 통해 제1 용기(125)의 넥부(121) 내에 삽입될 수 있고, 넥부(121)는 펌프모듈(140)의 하우징커버(145)와 하우징(155)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용기(125)와 펌프모듈(140)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도록, 제1 용기(125)의 넥부(121)의 외주면에는 외향 돌출된 걸림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돌기(128)는 하우징커버(145)의 걸림돌기(148)와 맞물려 펌프모듈(140)에 대해 제1 용기(125)를 고정시킬 수 있다.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coupled to the pump module (140), the housing (155) of the pump module (140) can be inserted into the neck (121)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rough the opening (124), and the neck (121) can be inserted between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housing (155) of the pump module (140). In order for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pump module (140) to be firmly coupled, an outwardly protruding catch (128) can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neck (121)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catch (128) can be engaged with the catch (148) of the housing cover (145) to secure the first container (125) to the pump module (140).
다시 도 1 내지 3을 참조하면, 용기패킹(130)은 제2 용기(220)의 넥부(222)에 결합해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용기패킹(130)은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패킹바디(134)를 가질 수 있고, 패킹바디(134)의 상단 및 하단에는 플랜지(132) 및 와이퍼(136)가 형성될 수 있다(도 9 참조). 패킹바디(134)의 외주면은 제2 용기(220)의 넥부(222)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용기패킹(130)은 화장품 용기(300)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더욱 플렉서블한 재질(예를 들면, PE)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압될 때 약간의 탄성 변형을 나타내어 강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S. 1 to 3,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be coupled to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o provide a sealing function.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have a packing body (134) that is open at both the top and bottom, and a flange (132) and a wiper (136) can b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packing body (134) (see FIG. 9).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134) can be coupl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be made of a more flexible material (e.g., PE) than other parts of the cosmetic container (300), and can exhibit a slight elastic deformation when pressurized to provide a strong sealing function.
패킹바디(134)의 상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32)는 외향 돌출된 구조를 갖고 둘레 방향 전체에 형성되어 있어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플랜지(132)는 제2 용기(220)의 넥부(222)의 상부에 걸리게 설치될 수 있다. 오버캡(105)이 제2 용기(220)에 결합될 때, 플랜지(132)는 오버캡(105)의 지지돌기(194)와 제2 용기(220)의 넥부(222) 사이에 가압되어 제2 용기(220)를 강하게 밀폐할 수 있다.The flange (132)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acking body (134) has an outwardly protruding structure and is formed along the entire circumference, so that it may have a ring shape. The flange (132) may be installed to be hung on the upper portion of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When the overcap (105) is coupled to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flange (132) is pressed between the support protrusion (194) of the overcap (105) and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so that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strongly sealed.
용기패킹(130)의 하단부에는 와이퍼(136)가 구비될 수 있다. 와이퍼(136)는 예를 들어 내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솔대(200)를 제2 용기(220)에서 분리하는 경우, 축경부(216)의 둘레면에 잔존하는 제2 내용물이 와이퍼(136)에 의해서 닦여 제거될 수 있다. 와이퍼(136)의 중앙에는 관통공(138; 도 9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관통공(138)에는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가 통과할 수 있다.A wiper (136)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 wiper (136)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wardly, for example, and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older body (218) as illustrated in FIG. 3. Accordingly, when the solder (200)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second contents remaining on the peripheral surface of the axial portion (216) may be wiped off by the wiper (136). A through hole (138; see FIG. 9)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wiper (136).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older body (218) may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38).
펌프모듈(140)은 제1 용기(125)의 넥부(121)에 결합되어 제1 용기(125) 내에 수용된 제1 내용물을 솔대(200)의 배출통로(208)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펌프모듈(140)은 하우징커버(145), 하우징(155), 탄성부재(158), 피스톤(165), 가이드(170) 및 연결부재(185)를 포함할 수 있다.The pump module (140) may be coupled to the neck (121)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may serve to move the first contents contained in the first container (125) to the discharge passage (208) of the solder (200). The pump module (140) may include a housing cover (145), a housing (155), an elastic member (158), a piston (165), a guide (170), and a connecting member (185).
하우징커버(145)는 펌프모듈(140)의 일부 구성요소를 내부에 수용하는 동시에 펌프모듈(140)이 제1 용기(125)의 넥부(121)에 결합되는 것을 돕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하우징커버(145)는 상부 및 하부가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내부에는 커버단턱(142) 및 내부돌기(141)가 구비될 수 있다.The housing cover (145) may serve to accommodate some components of the pump module (140) inside and at the same time assist in coupling the pump module (140) to the neck portion (121)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housing cover (145)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and may be provided with a cover step (142) and an internal protrusion (141) inside.
하우징커버(145)는 커버단턱(142)을 중심으로 직경이 상이한 두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다. 커버단턱(142)의 외측에서는 외측둘레면(147)이 더 큰 직경을 가지며 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둘레면(147)은 가이드(17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로 연장될 수 있고, 하우징커버(145)의 걸림돌기(148)는 이와 같이 길게 연장된 외측둘레면(147)의 상단에서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170)의 길이에 대응하는 길이라 함은 가이드(170) 전체의 길이, 가이드플랜지(172) 아래의 길이, 또는 이에 근접한 길이일 수 있다. 하우징커버(145)의 이러한 구조는 부피를 필요 이상으로 증가시키지 않고 이미 필요한 부피 이내에서 제1 용기(125)를 정해진 위치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하여 제1 용기(125)의 외주면이 오버캡(105)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게 할 수 있고, 따라서 투명한 재질의 제1 용기(125)의 표면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housing cover (145) can be divided into two parts with different diameters centered on the cover step (142). On the outside of the cover step (142),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7) can have a larger diameter and a shape that extends upwar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7) can be extended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ide (170), and the catch (148) of the housing cover (145) can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at the upper end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147) extended in this manner. Here, the length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guide (170) can be the length of the entire guide (170), the length below the guide flange (172), or a length close thereto. This structure of the housing cover (145) can more firmly fix the first container (125) to a set position within the already required volume without increasing the volume more than necessary, thereby preven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125) from contacting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cap (105), and thus preventing scratches from forming on the surface of the first container (125)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 용기(125)의 걸림돌기(128)가 하우징커버(145)의 걸림돌기(148)에 맞물린 상태에서 제1 용기(125)의 하단부는 커버단턱(14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용기(125)의 하단부와 커버단턱(142) 사이에 하우징(155)의 가압돌기(151)가 배치될 수 있고, 제1 용기(125)의 하단부와 가압돌기(151) 사이에 씰링부재(149)가 더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125) can be supported by the cover step (142) while the catch (128)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engaged with the catch (148) of the housing cover (145). As illustrated, the pressing projection (151) of the housing (155)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cover step (142), and a sealing member (149) can be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pressing projection (151).
내부돌기(141)는 하우징커버(145)의 하단부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원기둥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내부돌기(141)의 상단부에는 피스톤(165)의 내부피스톤(162)이 삽입되고 하단부에는 연결부재(185)가 삽입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내부돌기(141)는 커버단턱(142)에서 하향 연장된 부분으로부터 다시 위로 연장되어 내부돌기(141)와 커버단턱(142) 사이에 홈이 형성될 수 있고, 하우징(155)의 하단부가 내부돌기(141)와 커버단턱(142) 사이의 홈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55)의 하단부에는 걸림돌기(156)가 형성될 수도 있다.The inner protrusion (141) is a hollow cylinder formed in the center of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open. The inner piston (162) of the piston (165) can be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protrusion (141), and a connecting member (185)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portion. More specifically, the inner protrusion (141) can extend upward again from a portion extending downward from the cover protrusion (142), so that a groove can be formed between the inner protrusion (141) and the cover protrusion (14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55)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between the inner protrusion (141) and the cover protrusion (142). A catch protrusion (156) can also be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55).
씰링부재(149)는 실리콘(silicone) 등의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오링(O-ring)과 같은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씰링부재(149)는 제1 용기(125)의 하단부와 하우징커버(145)의 커버단턱(142)의 사이에 위치하면서 밀폐 기능을 제공하는 동시에 제1 용기(125)의 걸림돌기(128)가 하우징커버(145)의 걸림돌기(148)에 밀착되게 하여 더 견고한 결합을 제공할 수 있다.The sealing member (149)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such as silicone, and may be formed in an annular shape such as an O-ring. The sealing member (149) is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cover step (142)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provides a sealing function while allowing the catch (128) of the first container (125)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catch (148) of the housing cover (145), thereby providing a more secure bond.
하우징(155)은 제1 용기(125)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으로서 상단 및 하단이 모두 개방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하우징(155)의 하단부는 하우징커버(14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155)의 내부에는 탄성부재(158), 가이드(170) 및 피스톤(165)이 배치될 수 있다.The housing (155) is a part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both the top and bottom are open, and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55) may be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cover (145). An elastic member (158), a guide (170), and a piston (165) may be arranged inside the housing (155).
하우징(155)의 상단부에는 하우징유입홀(152)이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유입홀(152)에는 디스크밸브(157)가 장착될 수 있는데, 디스크밸브(157)가 개방될 때 제1 용기(125) 내부의 제1 내용물이 하우징유입홀(152)을 통해 하우징(155)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A housing inlet hole (152)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55). A disc valve (157) can be mounted in the housing inlet hole (152), and when the disc valve (157) is opened, the first content inside the first container (125) can flow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55) through the housing inlet hole (152).
하우징(155)은 그 외주면이 길게 연장되면서 제1 용기(125)의 넥부(121)의 내주면에 밀착될 수 있다. 하우징(155)의 하단부는 가압돌기(151) 아래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이는 하우징커버(145)의 커버단턱(142)과 내부돌기(141) 사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하우징커버(145)의 내부돌기(141)는 하우징(155)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위로 연장되되 가압돌기(151)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재(185)의 상부는 내부돌기(141)의 내측으로 삽입되되, 제1 용기(125)가 하향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부재(185)의 상부가 하우징커버(145)의 내부돌기(141)보다 높은 위치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housing (155) can be fit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neck (121) of the first container (125) while its outer surface is extended long.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55) can have a shape that extends below the pressure projection (151), and this can be inserted and fixed between the cover step (142)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inner projection (141). The inner projection (141) of the housing cover (145) can be fitted into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55) and extended upward, but can be exten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pressure projection (151).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can be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inner projection (141), but even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not pressed downward,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can be extended to a position higher than the inner projection (141) of the housing cover (145).
하우징(155)의 외주면과 넥부(121)의 내주면은 더 큰 길이에 걸쳐 밀착되고, 하우징커버(145)의 내부돌기(141)의 외주면과 하우징(155)의 내주면 역시 더 큰 길이에 걸쳐 밀착되며, 제1 용기(125), 하우징커버(145) 및 하우징(155)의 접촉점에 씰링부재(149)가 구비된다. 넥부(121)의 외주면과 하우징커버(145)의 외측둘레면(147)의 내주면 사이도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로 접촉하는 부재가 큰 길이에 걸쳐 밀착되면 더욱 넓은 면접촉에 의해 수밀성이 강화되며, 이로 인해 제1 내용물이 제1 용기(125)와 펌프모듈(140) 밖으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1 용기(125)가 하향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연결부재(185)는 하우징커버(145)의 내부돌기(141) 전체를 내측에서 지지하여 위의 부재들 사이에 틈이 발생할 가능성을 더 줄일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5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121) are in close contact over a greater leng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protrusion (141)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55) are also in close contact over a greater length, and a sealing member (149) is provided at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first container (125),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housing (155). It is also possible to strongl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neck portion (12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147) of the housing cover (145). When the members in contact with each other are in close contact over a greater length, the watertightness is strengthened by a wider surface contact, and as a result, the first content can be prevented from leaking out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pump module (140). Even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not pressurized downward, the connecting member (185) can support the entire inner protrusion (141) of the housing cover (145) from the inside, thereby further reducing the possibility of a gap occurring between the above members.
또한, 제1 용기(125)의 걸림돌기(128)가 하우징커버(145)의 걸림돌기(148)에 맞물리고 제1 용기(125)의 하단부 아래에 씰링부재(149)가 배치되는데, 씰링부재(149)가 약간의 탄성을 가진 재료로 구성되므로 씰링부재(149)는 걸림돌기(128, 148)들이 서로에 대해 더 강하게 밀착되도록 하고, 반대로 걸림돌기(128, 148)의 맞물림은 씰링부재(149)가 주위에 더 강하게 밀착되게 하여 해당 부위의 밀폐 성능을 강화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catch (128)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engaged with the catch (148)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a sealing member (149) is placed under the lower part of the first container (125). Since the sealing member (149)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some elasticity, the sealing member (149) allows the catches (128, 148) to adhere more strongly to each other, and conversely, the engagement of the catches (128, 148) allows the sealing member (149) to adhere more strongly to the surrounding area, thereby enhancing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rresponding area.
하우징(155) 상단부의 하우징유입홀(152)에 디스크밸브(157)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크밸브(157)는 하우징(155) 내부의 압력에 따라서 하우징유입홀(152)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용기(125)가 하향 가압되어 하우징(155)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면 디스크밸브(157)는 상승해서 하우징유입홀(152)을 폐쇄할 수 있고, 제1 용기(125)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어 하우징(155) 내부의 압력이 하강하면 디스크밸브(157)는 하강해서 하우징유입홀(152)이 개방되고 하우징유입홀(152)을 통해서 제1 내용물이 하우징(155)의 내부로 유입된다.A disc valve (157) may be provided in the housing inlet hole (152) at the upper end of the housing (155). The disc valve (157) may open or close the housing inlet hole (152) depending on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55). For example,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pressurized downward and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55) increases, the disc valve (157) may rise to close the housing inlet hole (152), and 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container (125) is removed and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55) decreases, the disc valve (157) may descend to open the housing inlet hole (152) and the first content may flow into the inside of the housing (155) through the housing inlet hole (152).
탄성부재(158)는 제1 용기(125)가 솔대(200)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제1 용기(125)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158)가 하우징커버(145)의 하부와 연결부재(185)의 플랜지(188)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솔대(200)의 솔대헤드(202)는 연결부재(185)에 고정되어 있고, 제1 용기(125)는 하우징커버(145)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탄성부재(158)는 가이드(170), 연결부재(185) 및 솔대(200)의 조립체에 대하여 제1 용기(125), 하우징커버(145) 및 하우징(155)의 조립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The elastic member (158) can elastically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25) so that the first container (125) can move relatively to the guide (200).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to 5, the elastic member (158) is arranged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flange (188)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Since the guide head (202) of the guide (200) is fixed to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the first container (125) is fixed to the housing cover (145), the elastic member (158) allows the assembly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housing (155) to move relatively to the assembly of the guide (170),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the guide (200).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커버(145)의 하면에 고정돌기(146)가 환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연결부재(185)는 결합부(186)의 하단에 플랜지(188)가 형성되어 있다. 탄성부재(158)는 연결부재(185)의 외주면에 장착되어 하우징커버(145)의 하면과 플랜지(188)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탄성부재(158)의 상단은 고정돌기(146) 내측에 고정되고 하단은 플랜지(188) 상에 지지될 수 있다. 탄성부재(158)는 코일 스프링에 해당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탄성부재의 형상이나 재질에 의해서 제한되지 않는다.Referring to FIG. 5, a fixing projection (146) is formed in an annular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a flange (188)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a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86). An elastic member (158) may be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positioned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flange (188),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elastic member (158)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xing projection (146)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supported on the flange (188). The elastic member (158) may correspond to a coil spr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r material of the elastic member.
탄성부재(158)가 이와 같은 위치에 구비됨에 따라 탄성부재(158)가 제1 내용물에 접촉하지 않아도 된다. 코일 스프링의 경우와 같이 탄성부재(158)가 금속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탄성부재(158)가 제1 내용물에 접촉하면 내용물도 탄성부재(158)로 인해 오염되거나 변질될 우려가 있고, 탄성부재(158)도 액체 내용물에 의해 부식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탄성부재(158)가 펌프모듈(140)의 외측에 위치하게 함으로써 탄성부재(158)의 수명을 증가키는 동시에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의 변질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펌프모듈(140)의 작동에 사용되는 탄성부재(158)를 추후 설명되는 다른 탄성부재(258; 도 10 내지 도 12 참조)와 구분하기 위해 제1 탄성부재(158)로 언급되기도 한다.Since the elastic member (158) is provided at such a position, the elastic member (158) does not have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ents. In the case where the elastic member (158) is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metal, as in the case of a coil spring, if the elastic member (15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rst contents, there is a concern that the contents may be contaminated or deteriorated by the elastic member (158), and the elastic member (158) may also be corroded by the liquid contents. However, by positioning the elastic member (158) on the outside of the pump module (140)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ife of the elastic member (158) can be increased while simultaneousl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first contents and the second contents.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elastic member (158) used for the operation of the pump module (140) is also referred to as a first elastic member (158) in order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elastic members (258; see FIGS. 10 to 12) to be described later.
피스톤(165)은 가이드(170)의 둘레에 위치하면서 가이드(170)의 둘레에 형성된 가이드유입홀(174)을 개방하거나 폐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피스톤(165)은 동심원 형상으로 배열되고 직경이 상이한 내부피스톤(162) 및 외부피스톤(164)을 구비할 수 있다.The piston (165)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guide (170) and may serve to open or close the guide inlet hole (174) formed around the guide (170). The piston (165) may be arranged in a concentric shape and may have an inner piston (162) and an outer piston (164) with different diameters.
내부피스톤(162)은 외부피스톤(164)의 내부에 위치하고 가이드(17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내부피스톤(162)은 하우징(155)의 승하강에 연동해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가이드유입홀(174)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 The inner piston (162) can be positioned inside the outer piston (164) and positioned so as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guide (170). The inner piston (162) can rise or fall in conjunction with the elevation of the housing (155), thereby opening or closing the guide inlet hole (174).
외부피스톤(164)은 내부피스톤(162)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고 하우징(155)의 내주면에 밀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외부피스톤(164)의 밀착에 의해서 하우징(155)이 하강하는 경우 피스톤(165) 역시 하강할 수 있다.The outer piston (164) can be positioned outside the inner piston (162) and can be position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using (155). When the housing (155) is lowered by the close contact of the outer piston (164), the piston (165) can also be lowered.
가이드(170)는 내부에 이동통로(176)가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하우징(155)의 내부로 유입된 제1 내용물이 솔대(200)로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가이드(170)는 연결부재(185)에 의해서 솔대(200)의 상부에 결합되어 있으며, 그 둘레에는 피스톤(165)의 내부피스톤(162)이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170)의 상부에는 가이드플랜지(172)가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플랜지(172)는 피스톤(165)이 위로 이동할 수 있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The guide (170) may have a passage (176) formed therein, thereby providing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content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55) may move to the screw (200). The guide (170) is conn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crew (200) by a connecting member (185), and an inner piston (162) of a piston (165) may be positioned around the guide. A guide flange (17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170), and the guide flange (172) may limit the range in which the piston (165) may move upward.
펌프모듈(140) 및 이에 결합된 제1 용기(125)는 가이드(170)와 연결부재(18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결합되지만 피스톤(165)이 가이드플랜지(172)에 걸려 설계된 범위를 벗어나는 상향 이동이 제한되므로, 연결부재(185)뿐만이 아니라 제1 용기(125), 펌프모듈(140), 가이드(170) 및 연결부재(185) 모두 설계된 범위를 벗어나는 위치로 상향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오버캡(105)이 제1 용기(125)를 상부에서 지지하지 않아도 되게 하며, 따라서 오버캡(105)의 개방영역(114)이 오버캡(105)의 상면 전부에 걸쳐 형성될 수 있게 한다.The pump module (140) and the first container (125) coupled thereto are coupl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guide (170) and the connecting member (185), but since the piston (165) is caught on the guide flange (172) and is restricted from upward movement beyond the designed range, not only the connecting member (185), but also the first container (125), the pump module (140), the guide (170), and the connecting member (185) are prevented from moving upward to a position beyond the designed range. As described above, this allows the overcap (105) not to support the first container (125) from above, and thus allows the open area (114) of the overcap (105) to be form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overcap (105).
가이드(170)의 둘레에는 가이드유입홀(17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유입홀(174)은 가이드(170) 내부의 이동통로(176)와 연통할 수 있다. 이동통로(176)는 가이드(1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유입홀(174)과 연통되며 하단부는 연결부재(185)의 이동통로(184)와 연통될 수 있다. 가이드유입홀(174)을 통해서 하우징(155)의 내부로 유입된 제1 내용물은 가이드(170)의 이동통로(176) 및 연결부재(185)의 이동통로(184)를 통해 솔대(200)의 배출통로(208)로 이동할 수 있다. 가이드유입홀(174)은 내부피스톤(162)에 의해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다.A guide inlet hole (174) may be formed around the guide (170). The guide inlet hole (174) may be communicated with a moving passage (176) inside the guide (170). The moving passage (176) may b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170), communicated with the guide inlet hole (174), and a lower portion may be communicated with a moving passage (184) of a connecting member (185). The first content introduced into the interior of the housing (155) through the guide inlet hole (174) may be moved to the discharge passage (208) of the solder (200) through the moving passage (176) of the guide (170) and the moving passage (184)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The guide inlet hole (174) may be opened or closed by the internal piston (162).
연결부재(185)는 펌프모듈(140)과 솔대(200)를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고, 내부에는 이동통로(184)가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85)의 상부에서는 가이드(170)가 연결부재(185)의 내부에 삽입될 수 있고, 연결부재(185)의 하부에서는 연결부재(185)의 이동통로(184)가 솔대헤드(202)의 결합홀(206)과 연결될 수 있다. 이동통로(184)는 연결부재(185)의 길이 방향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고, 가이드(170)의 내부로 유입된 제1 내용물은 연결부재(185)를 통과해서 솔대(200)의 배출통로(208)로 유입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185) can serve to connect the pump module (140) and the screw (200), and a moving passage (184) can be formed inside.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a guide (170) can be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the moving passage (184)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can be connected to a joining hole (206) of the screw head (202). The moving passage (184) can be formed along the entire length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the first content introduced into the inside of the guide (170) can pass through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be introduced into the discharge passage (208) of the screw (200).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솔대헤드(202)의 일부가 연결부재(185)의 이동통로(184) 내부로 삽입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솔대헤드(202)에는 결합홀(206) 주위로 보스(207)가 형성될 수 있다. 보스(207)는 솔대헤드(202)로부터 위로 연장될 수 있고, 내측에 결합홀(206)로 이어지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연결부재(185)의 하부는 보스(207)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직경이 확장된 결합부(186)가 구비될 수 있다.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1 to 5, a part of the solder head (202) is inserted into the moving passage (184)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More specifically, a boss (207) may be formed around a coupling hole (206) in the solder head (202). The boss (207) may extend upward from the solder head (202) and form a passage leading to the coupling hole (206) on the inside. Meanwhile, a connecting portion (186) having an expanded diameter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boss (207)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보스(207)의 외주면에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고, 결합부(186)의 내주면에는 이에 대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연결부재(185)는 결합부(186)와 보스(207)의 나사결합에 의해 솔대헤드(202)에 결합될 수 있다. 연결부재(185)가 솔대헤드(202)에 결합되면 연결부재(185)의 이동통로(184)는 자연히 솔대헤드(202)의 결합홀(206)과 연통하게 된다. 연결부재(185)가 이와 같이 나사결합에 의해 솔대헤드(202)에 결합되면 연결부재(185)를 위로 당기는 힘이 가해지더라도 용이하게 이탈하지 않게 된다.A 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boss (207), and a corresponding fe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ortion (186), and the connecting member (185) may be connected to the solder head (202) by screw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186) and the boss (207). When the connecting member (185) is connected to the solder head (202), the movement passage (184)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naturally communicates with the connecting hole (206) of the solder head (202). When the connecting member (185) is connected to the solder head (202) by screw connection in this way, even if a force is applied to pull the connecting member (185) upward, it will not easily come off.
전술한 바와 같이 연결부재(185)의 하부에는 플랜지(188)가 구비될 수 있다. 플랜지(188)는 연결부재(185)가 솔대헤드(202)의 편평부(205)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탄성부재(158)의 하단부를 고정 및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 flange (188)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The flange (188) may serve to stably support the connecting member (185) on the flat portion (205) of the solder head (202) while fixing and supporting the lower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158).
솔대(200)는 브러쉬(212)를 구비해서 제2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어플리케이터(applicator)에 해당할 수 있고, 제1 내용물이 제2 용기(220)의 내부로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솔대(200)는 크게 솔대헤드(202) 및 솔대바디(218)를 포함할 수 있는데, 솔대바디(218)는 용기패킹(130)의 관통공(138)을 통과하지 않도록 구성된 확경부(214)와 관통공(138)을 통과하도록 구성된 축경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솔대(200)의 내부에는 제1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는 배출통로(208)가 형성될 수 있는데, 배출통로(208)는 솔대(200)의 상부에서 결합홀(206)에 이어지고 하부에서 배출홀(210)로 이어질 수 있다. The solder (200) may correspond to an applicator that has a brush (212) to enable use of the second content, and may provide a passage through which the first content moves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solder (200) may largely include a solder head (202) and a solder body (218), and the solder body (218) may include an enlarged portion (214) configured not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38)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and a reduced diameter portion (216) configured to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138). A discharge passage (208) through which the first content can pass may be formed inside the solder (200), and the discharge passage (208) may be connected to the joining hole (206) at the upper portion of the solder (200) and to the discharge hole (210) at the lower portion.
솔대헤드(202)는 오버캡(105)의 내부에서 지지돌기(194)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솔대헤드(202)는 원통형 형상의 외측둘레면(204)과 그 하부의 편평한 형상을 가진 편평부(205)를 포함하여 상부가 개방된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솔대헤드(202)는 그 중앙에 연결부재(185)가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솔대헤드(202)의 편평부(205)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결합홀(206) 주위로 보스(207)가 형성될 수 있고, 보스(207)의 외주면에는 연결부재(185)의 결합부(186)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에 대응하는 수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솔대헤드(202)의 외측둘레면(204)은 오버캡(105)의 내주면과 접하는데, 이로 인해 오버캡(105)의 수용공간(115) 내부에서 솔대(20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정적으로 위치할 수 있다. The solder head (202) may be position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94) inside the overcap (105). The solder head (202)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upper portion, includi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04) of a cylindrical shape and a flat portion (205) having a flat shape at the lower portion thereof. The solder head (202) may be configured so that a connecting member (185) is coupled to the center thereof. To this end, a boss (207) may be formed around a coupling hole (206) on the flat portion (205) of the solder head (202) as described above, and a male screw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ss (207) corresponding to a female screw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186)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04) of the solder head (202)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overcap (105), which allows the solder (200) to be stably positioned without shaking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5) of the overcap (105).
솔대바디(218)는 솔대헤드(202)의 하부 중앙에서 하향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제2 용기(220)의 내부에 삽입되는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솔대바디(218)의 내부에는 제1 내용물이 이동할 수 있는 배출통로(208)가 형성되어 있고, 배출통로(208)는 배출홀(210)과 연통될 수 있다. 배출홀(210)은 제2 용기(220)의 내부에 위치하여 제1 내용물이 제2 용기(220)의 내부에 분사될 수 있게 한다.The solder body (218) may be formed by protruding downward from the lower center of the solder head (202) and may correspond to a portion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A discharge passage (208) through which the first content can move is formed inside the solder body (218), and the discharge passage (208) may be communicated with a discharge hole (210). The discharge hole (210) is locat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so that the first content can be spray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솔대바디(218)는 확경부(214)와 축경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축경부(216)는 용기패킹(130)의 관통공(138)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고, 확경부(214)는 축경부(216)보다 더 큰 외경을 가질 수 있다. 확경부(214)는 솔대헤드(202)의 외경보다는 작은 외경을 가질 수 있고, 오버캡(105)의 관통공(193)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The solder body (218) may include an expanding portion (214) and an axial portion (216). The axial portion (216)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38)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and the expanding portion (214) may have an outer diameter larger than the axial portion (216). The expanding portion (214) may have an outer diameter small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solder head (202), and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93) of the overcap (105).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의 하단에는 결합홈(213)이 구비될 수 있고, 브러쉬(212)의 일부가 결합홈(213; 도 8 참조)에 삽입되는 방식으로 브러쉬(212)가 축경부(216)에 결합될 수 있다.A joining groove (213)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older body (218), and the brush (212) may be joined to the axial portion (216) in such a way that a part of the brush (212) is inserted into the joining groove (213; see FIG. 8).
배출홀(210)은 브러쉬(212)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는데, 이로 인해 배출홀(210)을 통해서 배출된 제1 내용물은 브러쉬(212)로 직접 배출되지 않고 제2 용기(22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분사된 제1 내용물을 이용해서 경화된 제2 내용물을 용이하게 희석해서 사용할 수 있다.The discharge hole (210) may be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rush (212), so that the first content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may not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brush (212), but may be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Accordingly, the user can easily dilute and use the hardened second content using the sprayed first content.
제2 용기(220)는 제2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그 상부에는 넥부(22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용기(220)는 하부가 폐쇄되고 상부가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을 갖고, 단턱(도면부호 없음)에 의해서 직경이 축소되는 넥부(222)를 구비할 수 있다. 넥부(222)의 외주면에는 수나사(224)가 형성될 수 있고, 수나사(224)는 오버캡(105)의 하부에 형성된 암나사(196)와 나사 결합을 형성할 수 있다.The second container (220) is a container for accommodating second contents (not shown), and a neck portion (222)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thereof. The second container (22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with a closed lower portion and an open upper portion, and may be provided with a neck portion (222) whose diameter is reduced by a step (no drawing symbol). A male screw (224) may b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neck portion (222), and the male screw (224) may form a screw connection with a female screw (196) form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overcap (105).
사용자는 제2 용기(220)에 주입된 제2 내용물이 경화되거나 제2 내용물을 희석해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하면 된다. 오버캡(105)의 개방영역(114)을 통해 노출된 제1 용기(125)의 일부를 사용자가 하향 가압하면, 탄성부재(158)가 변형되면서 하우징커버(145) 및 하우징(155)이 제1 용기(125)와 함께 하향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165) 역시 하우징(155)과 함께 하향 이동하면서 가이드(170)에 형성된 가이드유입홀(174)이 개방될 수 있다. 이 때에는 하우징(155)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므로 디스크밸브(157)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f the user wants to use the second content injected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by hardening or diluting the second content, the user can press down on the first container (125). When the user presses down on a part of the first container (125)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114) of the overcap (105), the elastic member (158) is deformed, and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housing (155) can move downward together with the first container (125). The piston (165) can also move downward together with the housing (155), and the guide inlet hole (174) formed in the guide (170) can be opened. At this time,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55) increases, so that the disc valve (157) can remain closed.
하우징(155) 내부에 채워져 있던 제1 내용물은 개방된 가이드유입홀(174)을 통해 가이드(170)의 이동통로(176)로 유입될 수 있고, 이어서 연결부재(185)의 이동통로(184)와 솔대바디(218)의 배출통로(208)를 통해 제2 용기(220)의 내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내용물은 솔대바디(218)에서 브러쉬(212)의 상부에 형성된 배출홀(210)을 통해서 브러쉬(212)가 아닌 제2 용기(220)의 내부로 배출되기 때문에 제2 내용물을 용이하게 희석할 수 있다.The first content filled inside the housing (155) can be introduced into the passage (176) of the guide (170) through the open guide inlet hole (174), and then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rough the passage (184) of the connecting member (185) and the discharge passage (208) of the solder body (218). Since the first content is discharg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rather than the brush (212)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brush (212) in the solder body (218), the second content can be easily diluted.
제1 용기(125)에 가해진 외력이 제거되면, 제1 용기(125), 하우징커버(145) 및 하우징(155)은 탄성부재(15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상향 이동할 수 있다. 피스톤(165) 역시 하우징(155)과 함께 상향 이동하면서 가이드(170)에 형성된 가이드유입홀(174)이 폐쇄될 수 있다. 이 때에는 하우징(155) 내부의 제1 내용물이 소모된 데다가 하우징(155)이 위로 상승하면서 하우징(155) 내부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므로, 하우징(155)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 있다. 그 결과, 디스크밸브(157)가 개방될 수 있고, 제1 용기(125) 내부의 제1 내용물이 다시 하우징(155)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first container (125) is removed, the first container (125),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housing (155) can move upward agai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elastic member (158). The piston (165) can also move upward together with the housing (155), and the guide inlet hole (174) formed in the guide (170) can be closed. At this time, since the first content inside the housing (155) is consumed and the volume inside the housing (155) increases as the housing (155) rises upward, the pressure inside the housing (155) is in a reduced state. As a result, the disk valve (157) can be opened, and the first content inside the first container (125) can flow into the housing (155) again.
사용자가 제2 내용물을 사용할 때에는, 사용자가 오버캡(105)을 잡고 회전시켜서 오버캡(105)을 제2 용기(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오버캡(105)이 제2 용기(220)에서 분리되면 솔대(200)도 제2 용기(220)에서 함께 분리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솔대(200)의 브러쉬(212)에 도포된 제2 내용물(제1 내용물에 의해 희석되었을 수 있음)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user uses the second content, the user can hold and rotate the overcap (105) to separate the overcap (105) from the second container (220). When the overcap (105)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brush (200) is also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tainer (220), so that the user can use the second content (which may have been diluted by the first content) applied to the brush (212) of the brush (200).
전술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간단한 가압 동작에 의해 제1 내용물로 제2 내용물을 희석함으로써 경화한 또는 농축된 제2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자가 브러쉬(212)를 사용하기 위해 오버캡(105)을 분리할 때, 솔대(200)의 축경부(216)가 용기패킹(130)의 관통공(138)을 통과하면서 와이퍼(136)가 축경부(216)의 외주면에 묻은 제2 내용물을 닦아내어 사용자의 부주의에 의해 제2 내용물이 주변 물체를 오염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use the hardened or concentrated second content by diluting the second content with the first content by a simple pressurizing action. When the user detaches the overcap (105) to use the brush (212),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brush (2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38)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and the wiper (136) wipes off the second content stuck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xial portion (216), thereby reducing the possibility of the second content contaminating surrounding objects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한편,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에서는 불필요한 부피의 증가 없이 제1 용기(125)와 제2 용기(220)를 강하게 밀폐시킬 수 있으며, 누출에 의해 제1 및/또는 제2 내용물이 주변 물체를 오염시킬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strongly sealed without unnecessary increase in volume, and the possibility of the first and/or second contents contaminating surrounding objects due to leakage can be reduced.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 도 8 및 도 9는 각각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500)의 오버캡(105), 솔대(200) 및 용기패킹(130)을 예시하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와 다수의 공통점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1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일부 참조번호는 제1 실시예에 해당 참조번호가 적용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려는 것이다.FIG. 6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7, 8, and 9 are cross-sectional views illustrating an overcap (105), a sole (200), and a container packing (130)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illustrated in FIG. 6, respectively.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any commonalities with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differences between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eature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first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likewise, features described with respect to the second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the first embodiment. Some reference numbers mentioned in describing the second embodiment are intended to refer to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s to whic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bers were applied in the first embodiment.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에서도 상부의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하면 제1 용기(125)의 내부에 주입된 제1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펌프모듈(140)에 의해서 솔대(200)를 통해서 제2 용기(220)의 내부에 주입된다. 제2 용기(220)의 내부에는 제2 내용물이 충진되어 있는데, 제2 내용물은 주입된 제1 내용물과 혼합 및 희석되어서 사용될 수 있다.Similar to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n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upper first container (125) is pressurized downward, the first content (not shown)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injected into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rough the plunger (200) by the pump module (140). The interior of the second container (220) is filled with the second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can be used by being mixed and diluted with the injected first content.
다만, 제2 용기(220)가 강하게 밀폐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 용기(125) 내부의 제1 내용물을 제2 용기(220)로 토출시키면, 제2 용기(220)의 내부 압력이 이에 상응하게 증가하게 된다. 이는 사용자가 제2 내용물을 사용하기 위해 솔대(200)를 인출할 때 또는 기타 의도치 않은 때에 제2 용기(220) 내부의 제2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구조로 설계될 수 있다.However, when the user discharges the first content inside the first container (125)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while the second container (220) is tightly seale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second container (220) increases accordingly. This may cause the second content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to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when the user withdraws the plunger (200) to use the second content or at other unintended times.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esigned with a structure that prevents this phenomenon.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는 오버캡(105), 제1 용기(125), 용기패킹(130), 펌프모듈(140), 제1 탄성부재(158), 솔대(200), 제2 용기(220) 및 제2 탄성부재(258)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와의 차이점 중 하나로,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는 펌프모듈(140)의 작동을 위한 제1 탄성부재(158)에 더해 솔대(200)를 오버캡(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258)를 포함할 수 있다. A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vercap (105), a first container (125), a container packing (130), a pump module (140), a first elastic member (158), a stem (200), a second container (22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58). As one of the differences from the cosmetic container (300)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may include, in addition to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for operating the pump module (140), a second elastic member (258) for supporting the stem (200) so as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vercap (105).
제2 탄성부재(258)의 탄성적 지지에 의해, 솔대(200)는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오버캡(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258)가 적게 변형되거나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고, 제2 위치는 예를 들어 제2 탄성부재(258)가 더 변형된 상태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제1 위치에서의 제2 탄성부재(258)의 탄성 변형 정도보다 제2 위치에서의 제2 탄성부재(258)의 탄성 변형 정도가 더 클 수 있다.By the elastic support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the sole (200) can be configured to be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vercap (105)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The first position can be, for exampl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is less deformed or not deformed, and the second position can be, for example,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state in which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is more deformed. That is,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at the second position can be greater than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at the first posi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의 오버캡(105)에는 전술한 구성요소 이외에 걸림턱(199)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걸림턱(199)은 오버캡(105)의 측벽(116) 내측에서 내경이 감소되는 부분으로서, 걸림턱(199)의 상부보다 걸림턱(199)의 하부에서 내경이 더 작게 형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in addition to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a catch (199)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vercap (105)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atch (199) is a portion whose inner diameter is reduced on the inner side of the side wall (116) of the overcap (105), and the inner diameter may be formed to be smaller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atch (199) than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atch (199).
걸림턱(199)은 걸림돌기(192)와 지지돌기(194) 사이의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솔대(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솔대헤드(202)에 형성된 플랜지(209; 도 8 참조)의 하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솔대(200)가 오버캡(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는데, 걸림돌기(192)는 솔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솔대헤드(202)의 플랜지(209)를 상부에서 제한할 수 있고, 걸림턱(199)은 솔대(200)가 제2 위치에 있을 때 솔대헤드(202)의 플랜지(209)를 하부에서 제한할 수 있다.The catch (199) can be formed at a position between the catch projection (192) and the support projection (194), and can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lange (209; see FIG. 8) formed on the screw head (202) when the screw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crew (200) is relatively movably coupled to the overcap (105), and the catch projection (192) can restrict the flange (209) of the screw head (202) from the upper side when the screw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and the catch projection (199) can restrict the flange (209) of the screw head (202) from the lower side when the screw (200) is in the second position.
도 3에서는 오버캡(105)의 걸림돌기(192)가 오버캡(105)의 내주면 전체를 가로지르는 띠의 형태로 형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92)가 도 7과 같이 단속적으로 형성된 돌기의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시된 예에서와 같이 솔대헤드(202)의 플랜지(209)가 연속적으로 형성된 띠의 형태로 구성되는 경우, 걸림돌기(192)는 단속적인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 솔대(200)의 결합을 더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돌기(192)가 연속된 형태로 형성되고 솔대헤드(202)의 플랜지(209)가 단속적인 돌기의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In FIG. 3,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catch (192) of the overcap (105) is formed in the form of a band that crosses the entire inner surface of the overcap (105), but in some embodiments, the catch (192)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discontinuously formed protrusion as in FIG. 7. In the illustrated example, when the flange (209) of the solder head (202)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ntinuously formed band, forming the catch (192) in an discontinuous form can make it easier to couple the solder (200). Of course, in some embodiments, the catch (192) may be formed in a continuous form and the flange (209) of the solder head (202) may be configured in the form of an discontinuous protrusion.
본 실시예의 화장품 용기(500)에서는 오버캡(105)의 지지돌기(194)가 솔대바디(218)의 확경부(214)에 밀착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94) 내측의 관통공(193)은 그 내경이 솔대바디(218)의 확경부(214)의 외경에 대응하게 형성될 수 있고, 관통공(193) 이외의 부분에서는 지지돌기(194)가 기체와 액체의 흐름을 온전히 차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In the cosmetic container (500) of the present embodiment, the support protrusion (194) of the overcap (105) can be formed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expanded portion (214) of the sole body (218). That is, the through hole (193) inside the support protrusion (194) can be formed so that its inner diameter corresponds to the outer diameter of the expanded portion (214) of the sole body (218), and the support protrusion (194) can be configured to completely block the flow of gas and liquid in a portion other than the through hole (193).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의 솔대(200)는 제1 실시예의 솔대(200)와 유사하게 솔대헤드(202)와 솔대바디(218)로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brush (200)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mposed of a brush head (202) and a brush body (218) similar to the brush (200) of the first embodiment.
솔대헤드(202)는 상부로 개방된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외측둘레면(204)과 편평부(205)를 포함할 수 있는데, 외측둘레면의 외측에는 플랜지(209)가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솔대(200)는 제2 탄성부재(258)로 인해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고, 플랜지(209)는 이에 상응하게 걸림돌기(192)와 걸림턱(199)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The solder head (202)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open to the top and may include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04) and a flat portion (205), and a flange (209) may be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s described above, the solder head (200) may move between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due to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and the flange (209) may move correspondingly between the catch projection (192) and the catch step (199).
솔대바디(218)는 확경부(214)와 축경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확경부(214)의 외경이 오버캡(105)의 관통공(193)의 내경에 대응하는 동시에 용기패킹(130)의 패킹바디(134; 도 9 참조)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는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용기패킹(130)의 관통공(138)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솔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즉 제1 용기(12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때에는, 솔대바디(218)의 확경부(214)가 오버캡(105)의 관통공(193)과 용기패킹(130)의 내주면에 밀착되고, 축경부(216)가 용기패킹(130)의 관통공(138)에 밀착되어 제2 용기(220)의 수밀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The solder body (218) may include an expanding portion (214) and a diametral portion (216).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outer diameter of the expanding portion (214)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93) of the overcap (105) and at the same time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acking body (134; see FIG. 9)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In addition, the diametral portion (216) of the solder body (218)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38)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as in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When the solder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at is, 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tainer (125), the expanded portion (214) of the solder body (218)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193) of the overcap (105)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and the reduced diameter portion (216)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through hole (138)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watertightness of the second container (220).
한편, 확경부(214)의 상부에는 환기홈(215)이 형성될 수 있다. 환기홈(215)은 확경부(214)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해당하며, 확경부(2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환기홈(215)은, 솔대(200)가 오버캡(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있을 때 오버캡(105)의 관통공(193)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솔대(200)가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환기홈(215)이 관통공(193)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더 이상 솔대바디(218)의 확경부(214)가 관통공(193)을 밀폐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용기(220) 내의 공기가 환기홈(215)과 관통공(193)을 통해 수용공간(115)으로 배기될 수 있다.Meanwhile, a ventilation groove (215)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expanded portion (214). The ventilation groove (215) corresponds to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expanded portion (214) and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xpanded portion (214). The ventilation groove (215)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93) of the overcap (105) when the sole (200) moves relative to the overcap (105) and is in the second position. Therefore, when the sole (200)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215)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93), and the expanded portion (214) of the sole body (218) may no longer seal the through hole (193). In this state, air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exhausted to the receiving space (115)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215) and the through hole (193).
이와 유사하게, 축경부(216)의 상부에도 환기홈(217)이 형성될 수 있다. 환기홈(217)은 축경부(216)의 외주면에 형성된 홈에 해당하며, 축경부(216)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 길이 연장될 수 있다. 환기홈(217)은, 솔대(200)가 오버캡(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하여 제2 위치에 있을 때 용기패킹(130)의 관통공(138)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솔대(200)가 제2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환기홈(217)이 관통공(138)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더 이상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가 관통공(138)을 밀폐시키지 않을 수 있다. 이 상태에서는 제2 용기(220) 내의 공기가 환기홈(217)과 관통공(138)을 통해 용기패킹(130)의 내부로 배기될 수 있다.Similarly, a ventilation groove (217)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axial portion (216). The ventilation groove (217) corresponds to a groov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xial portion (216) and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axial portion (216). The ventilation groove (217) may be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38)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when the sole (200) moves relative to the overcap (105) and is at a second position. Therefore, when the sole (200)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217) moves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hrough hole (138), and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ole body (218) may no longer seal the through hole (138). In this state, air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exhausted into the interior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217) and the through hole (138).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의 용기패킹(130)은 플랜지(132), 패킹바디(134) 및 와이퍼(13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용기패킹(130)의 구성요소들과 유사할 수 있다. 용기패킹(130)은 화장품 용기(500)의 다른 부분들에 비해 더욱 플렉서블한 재질(예를 들면, PE)에 의해서 제작될 수 있으며, 가압될 때 약간의 탄성 변형을 나타내어 강한 밀폐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ontainer packing (130)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ange (132), a packing body (134), and a wiper (136), which may be similar to the components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iner packing (130) may be manufactured from a more flexible material (e.g., PE) than other parts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and may exhibit a slight elastic deformation when pressurized to provide a strong sealing function.
용기패킹(130)의 플랜지(132)에는 씰링돌기(133)가 형성될 수 있다. 씰링돌기(133)는 플랜지(132)의 상면에서 위로 돌출할 수 있고, 플랜지(132)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오버캡(105)이 제2 용기(220)의 넥부(222)에 결합될 때 지지돌기(194)와 제2 용기(220)의 상단부는 그 사이에 위치하는 플랜지(132)를 가압하는데, 이 때 씰링돌기(133)는 작은 크기로 인해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오버캡(105)과 용기패킹(130) 사이를 빈틈없이 밀폐시킬 수 있다.A sealing projection (133) may be formed on the flange (132)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 sealing projection (133)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32) and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flange (132) to have an annular shape. When the overcap (105) is coupled to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support projection (194)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20) press the flange (132) located therebetween. At this time, the sealing projection (133) may be more easily deformed due to its small size, and the space between the overcap (105) and the container packing (130) may be sealed without a gap.
용기패킹(130)의 패킹바디(134)에도 씰링돌기(135)가 형성될 수 있다. 씰링돌기(135)는 패킹바디(134)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솔대(200)의 확경부(214)는 패킹바디(134)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는데, 씰링돌기(135)는 패킹바디(134)의 내측으로 더 돌출할 수 있다. 씰링돌기(135)는 작은 크기로 인해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솔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솔대(200)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패킹바디(134)와 확경부(214) 사이를 빈틈없이 밀폐시킬 수 있다.A sealing projection (135) may also be formed on the packing body (134)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 sealing projection (135)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134) and may have an annular shape. The expanded portion (214) of the sealing member (200)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packing body (134), and the sealing projection (135) may further protrude into the inner side of the packing body (134). The sealing projection (135) may be more easily deformed due to its small size, and may seal the space between the packing body (134) and the expanded portion (214) without a gap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ede the movement of the sealing member (200) when the sealing member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용기패킹(130)의 와이퍼(136)에도 씰링돌기(137)가 형성될 수 있다. 씰링돌기(137)는 와이퍼(136)의 하단부에서 관통공(138)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솔대(200)의 축경부(216)는 관통공(138)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는데, 씰링돌기(137)는 관통공(138)의 내측으로 더 돌출할 수 있다. 씰링돌기(137)는 작은 크기로 인해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솔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 솔대(200)의 이동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와이퍼(136)와 축경부(216) 사이를 빈틈없이 밀폐시킬 수 있다.A sealing protrusion (137) may also be formed on the wiper (136)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 sealing protrusion (137) may be continuously form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through hole (138) at the lower end of the wiper (136) and may have an annular shape. The axial reduction portion (216) of the sealing member (200)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138), and the sealing protrusion (137) may further protrude into the inner side of the through hole (138). The sealing protrusion (137) may be more easily deformed due to its small size, and may seal the space between the wiper (136) and the axial reduction portion (216) without a gap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impede the movement of the sealing member (200) when the sealing member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한편, 용기패킹(130)의 패킹바디(134)의 다른 위치에도 씰링돌기(139)가 형성될 수 있다. 씰링돌기(139)는 패킹바디(134)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환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용기패킹(130)의 패킹바디(134)는 제2 용기(220)의 넥부(222)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질 수 있는데, 씰링돌기(139)는 패킹바디(134)의 외측으로 더 돌출할 수 있다. 씰링돌기(139)는 작은 크기로 인해 더 쉽게 변형될 수 있으며, 패킹바디(134)와 넥부(222) 사이를 빈틈없이 밀폐시킬 수 있다.Meanwhile, a sealing protrusion (139) may be formed at another location of the packing body (134)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 sealing protrusion (139)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134) and may have an annular shape. The packing body (134)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may have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and the sealing protrusion (139) may further protrude toward the outside of the packing body (134). The sealing protrusion (139) may be more easily deformed due to its small size, and may seal the space between the packing body (134) and the neck portion (222) without a gap.
용기패킹(130)에 형성된 씰링돌기(133, 135, 137, 139)들은 용기패킹(130)에 접촉하는 다른 부재들과 용기패킹(130) 사이를 밀폐시킬 수 있다. 씰링돌기(133, 135, 137, 139)들은 제2 용기(220) 내의 제2 내용물이 의도치 않게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용기패킹(130)의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sealing protrusions (133, 135, 137, 139) formed on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seal the space between the container packing (130) and other members that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tainer packing (130). The sealing protrusions (133, 135, 137, 139) can improve the function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o prevent the second contents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from unintentionally leaking to the outside.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에서는 오버캡(105)의 수용공간(115) 내에서 솔대(200)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 탄성부재(258)가 구비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in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ole (200) may be configured to be movable to a first position and a second position within the receiving space (115) of the overcap (105), and a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provided for this purpose.
제2 탄성부재(258)는 예를 들어 솔대헤드(202)의 하면과 지지돌기(19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좁은 공간을 감안하여 제2 탄성부재(258)는 절두원추형 형상의 코일 스프링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제2 탄성부재(258)의 형상 및 위치는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arranged, for example, between the lower surface of the sole head (202) and the support protrusion (194). In this case, considering the narrow space,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a coil spring having a truncated cone shape, etc. Of course,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set in various ways.
제1 용기(125)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2 탄성부재(258)가 변형되지 않거나 적게 변형된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제2 탄성부재(258)에 의해 솔대(200)가 제1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용기(125)에 외력이 가해져 제2 탄성부재(258)가 변형되면, 제2 탄성부재(258)이 압축되면서 솔대(200)가 하강하여 제2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When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tainer (125),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in a state of not being deformed or being slightly deformed, and the stand (200) may be placed at the first position by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is deforme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is compressed and the stand (200) may be lowered and placed at the second position.
이하에서는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의 작동을 더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은 도 6에 예시된 화장품 용기(500)의 일부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외력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를 예시하고, 도 11은 화장품 용기(500)에 외력이 처음 가해진 상태를 예시하며, 도 12는 화장품 용기(500)에 외력이 더 가해진 상태를 예시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2. FIG. 10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art of the cosmetic container (500) illustrated in FIG. 6, illustrating a state before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FIG. 11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first applied to the cosmetic container (500), and FIG. 12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further applied to the cosmetic container (500).
도 10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화장품 용기(500)에 아직 외력이 가해지지 않았으며, 제1 탄성부재(158)와 제2 탄성부재(258) 모두 변형되지 않거나 적게 변형된 상태에 있다. 제1 탄성부재(158)는 제1 용기(125)의 상부가 오버캡(105)의 개방영역(114)으로 노출되도록 제1 용기(125), 하우징커버(145) 및 하우징(155)의 조립체를 지지하고, 제2 탄성부재(258)는 솔대헤드(202)의 플랜지(209)가 걸림돌기(192)에 접촉하도록 솔대(200)를 제1 위치에 지지하고 있다.In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10, no external force has been applied to the cosmetic container (500), and both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are not deformed or are slightly deformed.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supports the assembly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housing (155)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exposed to the open area (114) of the overcap (105),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supports the solder head (200) at the first position so that the flange (209) of the solder head (202) contacts the catch (192).
용기패킹(130)의 패킹바디(134)가 제2 용기(220)의 넥부(222)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갖고, 용기패킹(130)의 플랜지(132)가 제2 용기(220)의 상단부와 지지돌기(194) 사이에 가압되고, 또한 패킹바디(134)의 외주면과 플랜지(132)의 상면에 씰링돌기(133, 139)들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패킹(130)은 제2 용기(220)를 밀폐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해, 솔대(200)가 제1 위치에 있을 때에는, 솔대(200)의 축경부(216)가 관통공(138) 주위의 씰링돌기(137)에 밀착되고, 솔대(200)의 확경부(214)가 패킹바디(134) 내주면의 씰링돌기(135)에 밀착되므로 솔대(200) 주위로도 강한 밀봉이 형성될 수 있다.Since the packing body (134)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has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222)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flange (132)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is pressed between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20) and the support protrusion (194), and sealing protrusions (133, 139)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134)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lange (132),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seal the second container (220). In addition, when the sealing member (200) is in the first position,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ealing memb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rojection (137) around the through hole (138), and the expanded portion (214) of the sealing member (2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ealing projection (135)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134), so that a strong seal can be formed around the sealing member (200).
이와 같이, 제1 용기(125)와 펌프모듈(140) 측에서는 제1 용기(125)의 넥부(121), 하우징커버(145) 및 씰링부재(149)의 구조에 의해 제1 용기(125)가 온전히 밀폐되고, 제2 용기(220) 측에서는 오버캡(105), 용기패킹(130) 및 솔대(200)의 구조에 의해 제2 용기(220)가 온전히 밀폐될 수 있다.In this way, on the side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pump module (140), the first container (125) can be completely sealed by the structure of the neck portion (121),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sealing member (149)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on the side of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completely sealed by the structure of the overcap (105), the container packing (130), and the sole (200).
제2 용기(220)가 이와 같이 온전히 밀폐된 상태에서 제1 용기(125)의 제1 내용물이 제2 용기(220)로 토출되면, 제2 용기(220) 내의 압력이 과도히 높아져 솔대(200)가 인출될 때 제2 내용물이 분출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500)는 펌프모듈(140)에 의해 제1 내용물이 제2 용기(220) 내로 토출되기 이전에 제2 용기(220)의 환기가 가능하게 하여 제2 용기(220) 내의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content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while the second container (220) is completely sealed in this manner, there is a risk that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will become excessively high and the second content will be ejected when the solder (200) is withdrawn. Therefore, the cosmetic container (5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at an appropriate level by allowing ventila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20) before the first content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by the pump module (140).
도 11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화장품 용기(500)에 처음 외력이 가해져 제1 용기(125)가 약간 하강하였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오버캡(105)의 개방영역(114)으로 노출된 제1 용기(125)의 상부를 하향 가압함으로써 이루어진 것일 수 있다. 제1 용기(125)의 이와 같은 약간의 하강은 제2 탄성부재(258)의 탄성적 변형에 의한 것이며, 솔대(200) 자체가 하강하였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즉, 외력이 처음 가해질 때, 제1 탄성부재(158)는 변형되지 않거나 약간만 변형될 수 있고, 이에 반해 제2 탄성부재(258)는 온전히 탄성적으로 변형되어 솔대(2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솔대(200)는 솔대헤드(202)의 플랜지(209)가 걸림턱(199)에 접촉할 때까지 하강할 수 있다.In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11, an external force is first applied to the cosmetic container (500) and the first container (125) is slightly lowered. This may be achieved, for example, by the user pressuring downwar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exposed to the open area (114) of the overcap (105). This slight lowering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due to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and is a phenomenon that occurs because the sole (200) itself is lowered. That is, when an external force is first applied,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may not be deformed or may be only slightly deformed, whereas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completely elastically deformed to move the sole (200) from the first position to the second position. The sole (200) may be lowered until the flange (209) of the sole head (202) contacts the catch (199).
제1 탄성부재(158)보다 제2 탄성부재(258)가 더 먼저 그리고 더 많이 변형되도록 제2 탄성부재(258)가 제1 탄성부재(158)의 탄성계수보다 낮은 탄성계수를 갖도록 설정할 수 있으나, 제1 탄성부재(158)와 제2 탄성부재(258)가 유사한 탄성계수를 가지더라도 펌프모듈(140)과 제2 용기(220) 내의 높은 압력으로 인해 제2 탄성부재(258)가 더 먼저 변형될 것을 예상할 수 있다.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may be set to have a lower elastic coefficient than the elastic coefficient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so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deforms earlier and more than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However, even if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have similar elastic coefficients, it can be expected that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will deform earlier due to the high pressure within the pump module (140) and the second container (220).
도 11에서와 같이 솔대(200)가 제2 위치로 하강하면,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에 형성된 환기홈(217)이 와이퍼(136)의 씰링돌기(137)에 위치하게 되어 와이퍼(136)와 솔대바디(218)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씰링돌기(137)는 더 이상 밀봉을 제공하지 않으며, 제2 용기(220) 내부의 공기가 환기홈(217)을 통해 용기패킹(130) 내측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1, when the screw (200) is lower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217) formed in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crew body (218) is positioned on the sealing projection (137) of the wiper (136), so that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wiper (136) and the screw body (218). The sealing projection (137) no longer provides a seal, and the air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move to the space inside the container packing (130)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217).
마찬가지로, 솔대(200)가 제2 위치로 하강하면, 솔대바디(218)의 확경부(214)에 형성된 환기홈(215)이 패킹바디(134)의 씰링돌기(135)에 위치하게 되어 패킹바디(134)와 솔대바디(218) 사이에 틈이 발생하게 된다. 즉, 씰링돌기(135)는 더 이상 밀봉을 제공하지 않으며, 용기패킹(130) 내측 공간의 공기가 환기홈(215)을 통해 지지돌기(194) 상부로 이동할 수 있다.Likewise, when the solder (200) is lower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215) formed in the enlarged portion (214) of the solder body (218) is positioned on the sealing projection (135) of the packing body (134), so that a gap is created between the packing body (134) and the solder body (218). That is, the sealing projection (135) no longer provides a seal, and air in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move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projection (194)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215).
이와 같이 제2 용기(220) 내부의 공기가 환기홈(217)을 통해 용기패킹(130)의 내측의 공간으로 이동할 수 있고, 용기패킹(130) 내측 공간의 공기가 환기홈(215)을 통해 지지돌기(194) 상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지지돌기(194) 상부의 수용공간(115)에서는 솔대헤드(202), 펌프모듈(140) 및 제1 용기(125)가 오버캡(105)의 측벽(116)에 대해 밀폐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2 용기(2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고 제2 용기(220) 내부의 압력이 적정 수준으로 낮추어질 수 있다.In this way, air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move to the inner space of the container packing (130)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217), and air inside the container packing (130) can move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rotrusion (194) through the ventilation groove (215), and in the receiving space (115) above the support protrusion (194), the solder head (202), the pump module (140), and the first container (125) are not sealed to the side wall (116) of the overcap (105), so that air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lowered to an appropriate level.
도 12에 도시된 상태에서는 화장품 용기(500)에 외력이 더 가해져 제1 용기(125)가 더 하강하였다. 이는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1 내용물을 제2 용기(220)로 토출하기 위해 제1 용기(125)의 상부를 더 누른 경우에 해당한다. 물론, 사용자가 제1 용기(125)의 상부를 누를 때에는 일반적으로 제2 탄성부재(258)의 변형과 제1 탄성부재(158)의 변형을 구분하여 의식하지는 않을 것이며, 단지 제1 내용물의 토출만을 의도할 것이다. 다만, 제1 내용물이 토출되는 동작에 앞서, 사용자가 의식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제2 용기(220)의 환기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In the state illustrated in Fig. 12, an external force is further applied to the cosmetic container (500) so that the first container (125) is lowered further. This corresponds to, for example, a case where the user further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Of course, when the user presses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the user will generally not be conscious of distinguishing between the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and the deformation of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and will only intend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 However, prior to the operation of discharging the first content, the aforementioned ventilation operation of the second container (220) will be performed even if the user is not conscious of it.
제2 탄성부재(258)가 이미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태에서 제1 용기(125)를 더 누르면, 제1 탄성부재(158)가 탄성적으로 변형하면서 펌프모듈(140)이 작동할 수 있다. 즉, 제1 실시예에 관한 위 설명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펌프모듈(140)은 하우징(155) 내에 유입되었던 제1 내용물을 이동통로(176, 184)와 배출통로(208)를 통해 제2 용기(220) 내부로 토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솔대(200)는 이미 제2 위치로 이동한 상태이고, 환기홈(215, 217)에 의해 제2 용기(220)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는 상태이므로 제1 내용물이 제2 용기(220) 내부로 토출되더라도 제2 용기(220) 내부의 압력이 증가하지 않는다.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further pressed while the second elastic member (258) is already elastically deformed, the pump module (140) can operate while the first elastic member (158) is elastically deformed. That is, as exemplified in the above descrip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he pump module (140) can discharge the first content that has been introduced into the housing (155)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through the movement passage (176, 184) and the discharge passage (208). At this time, the solder (200) has already moved to the second position, and the air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exhausted to the outside by the ventilation groove (215, 217), so even if the first content is discharged into the second container (220),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does not increase.
사용자가 제1 용기(125)에 가한 힘을 제거하면, 제1 및 제2 탄성부재(158, 258)는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고, 하우징(155) 내에는 제1 내용물이 보충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어서 오버캡(105)을 제2 용기(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고, 브러쉬(212)를 이용하여 제1 내용물에 의해 희석된 제2 내용물을 필요한 부위에 도포할 수 있다. 오버캡(105)을 분리할 때 솔대(200)의 축경부(216)는 와이퍼(136)를 통과하고, 축경부(216) 표면에 묻은 제2 내용물은 와이퍼(136)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When the user removes the force applied to the first container (125),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members (158, 258) can return to their original positions, and the first content can be replenished inside the housing (155). The user can then separate the overcap (105) from the second container (220), and apply the second content diluted by the first content to a required area using the brush (212). When the overcap (105) is separated,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ole (200) passes through the wiper (136), and the second content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axial portion (216) can be removed by the wiper (136).
전술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내용물을 수용한 제1 용기(125)와 제2 내용물을 수용한 제2 용기(220)를 강하게 밀폐하여 내용물의 누출을 방지하면서도 제2 용기 내부의 압력을 적정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게 한다. 특히, 펌프모듈(140)의 조작을 위해 제1 용기(125)가 가압되더라도 이로 인해 제2 용기(220) 내의 압력이 증가하여 제2 내용물이 외부로 분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tainer (125) containing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ainer (220) containing the second content are strongly sealed to prevent leakage of the content while maintaining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at an appropriate level. In particular, even if the first container (125) is pressurized for the operation of the pump module (140), the phenomenon of the second content being ejected to the outside due to an increase in the pressure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can be prevented.
도 1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를 예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각각 화장품 용기(700)의 단면도 및 분해사시도이다. 도 16은 화장품 용기(700)의 하우징커버(145)를 예시하는 도면이고, 도 17은 화장품 용기(700)의 솔대(200)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참고로, 도 14에는 탄성부재(158, 258)를 포함하여 일부 구성요소가 생략되어 있다.Fig. 1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4 and 15 are a cross-sectional view and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respectively, of the cosmetic container (700). Fig. 16 is a drawing illustrating a housing cover (145) of the cosmetic container (700), and Fig. 17 is a drawing illustrating a sole (200) of the cosmetic container (700). For reference, some components, including elastic members (158, 258), are omitted in Fig. 14.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는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 500)와 다수의 공통점을 가지며, 이하에서는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3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3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징들이 제1 실시예 또는 제2 실시예에 적용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언급되는 일부 참조번호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해당 참조번호가 적용된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구성요소를 지칭하려는 것이다.The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many commonalities with the cosmetic containers (300, 5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differences of the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The feature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may be applied to the third embodiment, and likewise, the features described in relation to the third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the first or second embodiment. Some of the reference numbers mentioned in describing the third embodiment are intended to refer to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components to which the corresponding reference numbers are applied i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는 오버캡(105), 제1 용기(125), 용기패킹(130), 펌프모듈(140), 솔대(200) 및 제2 용기(22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to 17, a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overcap (105), a first container (125), a container packing (130), a pump module (140), a sole (200), and a second container (220).
전술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 500)와 유사하게,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에서도 상부의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하면 제1 용기(125)의 내부에 주입된 제1 내용물(도시하지 않음)이 펌프모듈(140)에 의해서 솔대(200)의 배출홀(210)에서 토출될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 500)는 브러쉬(212)를 결합하기 위한 결합홈(213) 위에 배출홀(210)이 형성된 것으로 묘사되어 있으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에서와 같이 솔대바디(218)의 배출통로(208)와 연통하는 통로가 브러쉬(222)의 내부에 형성되어 배출홀(210)이 솔대바디(218)의 말단에 형성될 수도 있다. 배출홀(210)이 형성된 솔대바디(218)의 축경부(216)는 평소에는 제2 용기(220) 내부에 삽입되어 보관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솔대(200)를 인출할 때에는 솔대바디(218)에 제2 내용물(미도시)이 묻어 있을 수 있다. Similar to the cosmetic containers (300, 5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described above, in the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at the top is pressurized downward, the first content (not shown) injected into the inside of the first container (125) can be discharged from the discharge hole (210) of the brush body (200) by the pump module (140). However, the cosmetic containers (300, 5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are described as having the discharge hole (210) formed above the joining groove (213) for joining the brush (212), but as in the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a passage communicating with the discharge passage (208) of the brush body (218) may be formed inside the brush (222), so that the discharge hole (210) may be formed at the end of the brush body (218). The axial portion (216) of the solder body (218) in which the discharge hole (210) is formed can be normally inserted and stored inside the second container (220), and when the user withdraws the solder (200), the second content (not shown) may be present in the solder body (218).
사용자가 선택에 따라 제1 용기(125)를 하향 가압하면 제1 내용물이 배출홀(210)을 통해 토출되면서 사용자는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을 함께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의 조합으로는, 예를 들어, 립컬러 화장액과 립글로스 화장액의 조합, 컨실러 화장액과 블레미쉬 에센스 화장액의 조합, 서로 다른 톤의 컨실러 화장액의 조합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물론,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내용물과 제2 내용물의 종류, 성질 및 용도에는 제한이 없다.When the user presses downward on the first container (125) according to his/her choice, the first content is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allowing the user to use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together. As a combination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for example, a combination of lip color and lip gloss, a combination of concealer and blemish essence, a combination of concealer with different tones, etc. can be used. Of course,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type, nature, and use of the first content and the second content.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 500)와의 주요 차이점 중 하나로,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제1 용기(125)가 가압되더라도 펌프모듈(140)이 작동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커버(145)와 솔대헤드(202) 각각에 서로 맞물리는 결합부가 구비될 수 있다.One of the major differences from the cosmetic containers (300, 5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s that the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can prevent the pump module (140) from operating even if the first container (125) is pressurized according to the user's choice. To this en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coupling part that interlocks with each other may be provided on each of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sole head (202).
도 16과 도 17을 참조하면, 하우징커버(145)는 제1 결합부로서 가이드홈(250)을 포함할 수 있고, 솔대헤드(202)는 제2 결합부로서 가이드돌기(26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홈(250)과 가이드돌기(260)가 서로 정렬된 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260)가 가이드홈(250)을 통과하면서 하우징커버(145)와 솔대헤드(20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고, 가이드홈(250)과 가이드돌기(260)가 서로 정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260)가 가이드홈(250)을 통과할 공간이 없어 하우징커버(145)와 솔대헤드(20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없게 된다.Referring to FIGS. 16 and 17, the housing cover (145) may include a guide groove (250) 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crew head (202) may include a guide protrusion (260) a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When the guide groove (250) and the guide protrusion (260) are aligned with each other,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screw head (202) can move relative to each other in the up-and-down direction as the guide protrusion (260) passes through the guide groove (250), and when the guide groove (250) and the guide protrusion (260) are not aligned with each other, there is no space for the guide protrusion (260) to pass through the guide groove (250), and thus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screw head (202) cannot move in the up-and-down direction.
먼저 도 17을 참조하면, 솔대헤드(202)에는 결합부로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돌기(260)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돌기(260)는 솔대헤드(202)의 외측둘레면(204)의 내주면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고, 하우징커버(145)의 가이드홈(250)을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17에는 가이드돌기(260)가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데, 이는 가이드돌기(260)가 더 높은 구조적 강도를 갖게 하고 가이드홈(250)의 일부인 세로가이드홈(252)에 삽입될 때 더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물론, 가이드돌기(260)가 반드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1개 지점에서 내측으로 돌출하는 점 형상의 돌기로 구현될 수도 있다.First, referring to FIG. 17, one or more guide protrusions (260) may be formed as a joint portion on the screw head (202). The guide protrusions (260) may protrude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04) of the screw head (202) and may be formed to have a width that allows them to pass through the guide grooves (250) of the housing cover (145). In FIG. 17, the guide protrusions (260) are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ch allows the guide protrusions (260) to have higher structural strength and to maintain more stable joints when inserted into the vertical guide grooves (252) that are part of the guide grooves (250). Of course, the guide protrusions (260) do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shape that ext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 some embodiments, they may be implemented as point-shaped protrusions that protrude inwardly from one point.
한편, 솔대바디(218)의 확경부(214)는 걸림돌기(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대(200)가 오버캡(105)에 결합될 때, 걸림돌기(264)는 지지돌기(194)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걸림돌기(264)는 지지돌기(194)의 하부에 걸리게 되어 오버캡(105) 내부에서 상하 방향을 기준으로 솔대(200)의 위치를 제한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걸림돌기(264)는 오버캡(105)에 대한 솔대(200)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는 역할도 겸할 수 있다. 즉, 지지돌기(194)의 하부는 각 걸림돌기(264)를 양측에서 구속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Meanwhile, the enlarged portion (214) of the screw body (218) may further include a catch (264). When the screw (200) is coupled to the overcap (105), the catch (264) may be positioned below the support protrusion (194). The catch (264) may be caught on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94) to limit the position of the screw (200) in the up-down direction within the overcap (105).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atch (264) may also serve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of the screw (200) with respect to the overcap (105). That is,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rotrusion (194) may have a structure that restrains each catch (264) on both sides.
오버캡(105)과 솔대(200)는 걸림돌기(264)에 더하여 또는 걸림돌기(264)를 대신하여 오버캡(105)에 대한 솔대(200)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용기(125)와 펌프모듈(140)은 펌프모듈(140)의 하우징커버(145)에 대한 제1 용기(125)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overcap (105) and the sole (200) may include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or instead of the catch (264)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of the sole (200) with respect to the overcap (105). Similarly,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pump module (140) may further include components to prevent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with respect to the housing cover (145) of the pump module (140).
이어서 도 16을 참조하면, 하우징커버(145)에는 결합부로서 하나 이상의 가이드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커버(145)가 커버단턱(142) 아래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하부실린더(240)를 포함할 수 있고, 가이드홈(250)이 하부실린더(240)에 형성될 수 있다. 하부실린더(240)의 외경은 솔대헤드(202)의 외측둘레면(204)의 내경에 대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6, one or more guide grooves (250) may be formed as a joining part in the housing cover (145).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housing cover (145) may include a lower cylinder (240) that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below the cover step (142), and the guide groove (250) may be formed in the lower cylinder (240).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cylinder (240) may be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204) of the solder head (202).
가이드홈(250)은 세로가이드홈(252)과 가로가이드홈(254)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가이드홈(252)은 하부실린더(240)의 외주면에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고, 가로가이드홈(254)은 세로가이드홈(252)의 단부에서 이어지되 가로 방향을 따라, 즉 하부실린더(240)의 외주면의 원주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guide groove (250) may include a vertical guide groove (252) and a horizontal guide groove (254).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may be formed along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ylinder (240), and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may be formed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that i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lower cylinder (240), while continuing from the end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가이드돌기(260)가 도 16에서와 같이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 가로가이드홈(252)은 하부실린더(240)의 최하단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로가이드홈(254)이 하부실린더(240)의 최하단에 형성되어 가로가이드홈(254)의 상측에 걸림단턱(255)이 형성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이드돌기(260)가 반드시 상하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가이드돌기(260)가 점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 가로가이드홈(252)은 하부실린더(240)에서 최하단이 아닌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다. If the guide protrusion (260) is implemented in a form extending in the up-down direction as in FIG. 16, it is preferable that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2) be formed at the lowest end of the lower cylinder (240).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16,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is formed at the lowest end of the lower cylinder (240), and the catch step (255)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As described above, the guide protrusion (260)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up-down direction, and if the guide protrusion (2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point,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2) may be formed at a position other than the lowest end of the lower cylinder (240).
전술한 바와 같이, 솔대(200)는 오버캡(105)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고, 하우징커버(145) 및 이에 결합된 제1 용기(125)는 오버캡(105)에 대한 상대적 회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700)에서는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300, 500)에 비해 제1 용기(125)가 노출되는 영역이 더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도시된 예에서는 제1 용기(125)의 상부 전체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다. 이는 오버캡(105)의 개방영역(114)이 더 확대된 것으로 볼 수도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ole (200) may be configured not to rotate relative to the overcap (105), and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first container (125) coupled thereto may be configured to rotate relative to the overcap (105). In addition, in the cosmetic container (7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the area where the first container (125) is exposed may be larger than in the cosmetic containers (300, 5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For example,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13, the entir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is exposed to the outside. This may be viewed as an enlargement of the open area (114) of the overcap (105).
제1 내용물의 토출이 요구되지 않을 때에는, 하부실린더(240)의 외경이 외측둘레면(204)의 내경에 대응하고 가이드돌기(260)의 전체(가이드돌기(260)가 점 형상을 가진 경우) 또는 가이드돌기(260)의 상부(가이드돌기(260)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을 가진 경우)가 가로가이드홈(254) 내에 위치하여 하부실린더(240)의 최하단이 솔대헤드(202)의 외측둘레면(204) 내측에 삽입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가이드돌기(260)의 상단은 가로가이드홈(254) 상측의 걸림단턱(255)에 접촉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용기(125)를 아래로 누르더라도, 가이드돌기(260)가 걸림단턱(255)에 걸려 하우징커버(145) 및 제1 용기(125)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하우징커버(145)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므로 펌프모듈(140)이 작동하지 못하고, 제1 내용물(미도시)이 배출홀(210)로 토출되지 못한다.When discharge of the first content is not required, the outer diameter of the lower cylinder (240) corresponds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04), and the entire guide projection (260) (when the guide projection (260) has a dot shape) or the upper portion of the guide projection (260) (when the guide projection (260) has a straight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positioned with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so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lower cylinder (2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ide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204) of the solder head (202). At this time, the upper end of the guide projection (260) can contact the engaging step (255) on the upper side of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Accordingly, even if the user presses down the first container (125), the guide protrusion (260) is caught on the catch (255), preventing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first container (125) from moving down. Since the housing cover (145) cannot move down, the pump module (140) cannot operate, and the first contents (not shown) cannot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hole (210).
제1 내용물의 토출이 요구될 때에는, 사용자가 오버캡(105) 위로 노출된 제1 용기(125)의 일부를 파지하여 제1 용기(125)를 회전시킬 수 있다. 1 용기(125)와 펌프모듈(140)은 하우징커버(145)에 대한 제1 용기(125)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 용기(125)가 회전될 때 하우징커버(145)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오버캡(105)과 솔대(200)는 오버캡(105)에 대한 솔대헤드(202)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와 같이 하우징커버(145)를 솔대헤드(202)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시켜 가이드돌기(260)가 세로가이드홈(252)에 정렬되는 제1 각도로 이동하게 할 수 있고, 이 때에는 제1 용기(125)의 하향 가압 및 펌프모듈(140)의 작동이 가능해진다. 즉, 가이드돌기(260)가 제1 각도에 있을 때 제1 용기(125)가 아래로 가압되면, 가이드돌기(260)가 세로가이드홈(252)을 통과하면서 하우징커버(145)가 솔대헤드(202)를 향해 아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는 펌프모듈(140)을 작동시키게 되고, 하우징(155) 내부에 있던 제1 내용물이 배출통로(208)를 통해 배출홀(210)로 토출될 수 있다.When discharge of the first content is required, the user can rotate the first container (125) by gripping a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exposed above the overcap (105).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pump module (140) may include a component for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with respect to the housing cover (145), so that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rotated, the housing cover (145) may be rotated together. Meanwhile, the overcap (105) and the screw head (200) may include a component for preventing relative rotation of the screw head (202) with respect to the overcap (105). Accordingly, the user can rotate the housing cover (145) relative to the screw head (202) in this way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60) moves to a first angle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at which time the downward pressuriza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operation of the pump module (140) become possible. That is, when the first container (125) is pressurized downward when the guide protrusion (260) is at the first angle, the housing cover (145) can move downward toward the screw head (202) as the guide protrusion (260) passes through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This operates the pump module (140), and the first content inside the housing (155) can be discharged through the discharge passage (208) into the discharge hole (210).
사용자가 더 이상 제1 내용물의 토출을 원하지 않을 때에는 가이드돌기(260)가 세로가이드홈(252)과 정렬되지 않는 위치로 제1 용기(125)를 다시 회전시킬 수 있다. 제1 용기(125)의 회전가능한 범위는 가로가이드홈(254)의 길이에 대응할 수 있다. 물론, 일부 실시예에서는 가로가이드홈(254)이 생략되고 가이드홈(250)이 세로가이드홈(252)만 포함할 수도 있다.When the user no longer wants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s, the first container (125) can be rotated again to a position where the guide projection (260) is not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The rotatable range of the first container (125) can correspond to the length of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Of course, in some embodiments,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may be omitted and the guide groove (250) may include only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도 16을 참조하면, 하우징커버(145)의 결합부는 가로가이드홈(254) 내에 형성된 걸림부(257, 25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걸림부(257, 259)는 예를 들어 해당 위치에서 가로가이드홈(254)의 깊이가 감소된 부분에 해당할 수 있다. 즉, 가이드돌기(260)와 가로가이드홈(254)은, 가이드돌기(260)가 가로가이드홈(254)의 나머지 부분을 통과하는 것에 비해 걸림부(257, 259)를 통과하기가 더 어렵도록 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6, the joint portion of the housing cover (145) may further include a catch portion (257, 259) formed with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The catch portion (257, 259) may correspond, for example, to a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at which the depth is reduced at that location. That is, the guide projection (260) and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may be configured so that it is more difficult for the guide projection (260) to pass through the catch portion (257, 259) than for it to pass through the remaining portion of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걸림부(257) 중 하나는 세로가이드홈(252)에 인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용기(125)를 회전시켜 가이드돌기(260)를 제1 각도로 이동시킬 때, 가이드돌기(260)가 걸림부(257)를 넘어가는 촉감과 소리 및/또는 걸림부(257)를 통과하는 데 요구되는 힘의 차이를 감지하여 가이드돌기(260)가 세로가이드홈(252)에 정렬되었는지 여부를 확인하게 할 수 있다. 걸림부(257)는 또한 가이드돌기(260)가 제1 각도로 이동하여 세로가이드홈(252)에 진입한 후 의도치 않게 세로가이드홈(252)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One of the catches (257) may be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Accordingly, when the user rotates the first container (125) to move the guide protrusion (260) at a first angle, the user may detect a tactile sensation and sound of the guide protrusion (260) passing over the catche (257) and/or a difference in forc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catche (257) to determine whether the guide protrusion (260)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The catche (257) may also serve to prevent the guide protrusion (260) from unintentionally being separated from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after moving at the first angle and entering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가로가이드홈(254)에는 세로가이드홈(252)에 인접한 위치 이외에도 하나 이상의 걸림부(259)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6에 도시된 예에서는, 가로가이드홈(254) 중 세로가이드홈(252)에 연결되지 않는 반대편 단부에 인접한 위치에도 걸림부(259)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제1 용기(125)를 회전시켜 가이드돌기(260)가 세로가이드홈(252)으로부터 최대한 멀리 떨어진 제2 각도로 이동시킬 때에도 가이드돌기(260)가 걸림부(259)를 넘어가는 촉감과 소리 및/또는 걸림부(259)를 통과하는 데 요구되는 힘의 차이를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는 걸림부(259)가 가로가이드홈(254) 내에 등간격으로 여러 개 형성되어 사용자가 제1 용기(125)를 회전시킬 때 클릭감을 감지하게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o a position adjacen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one or more catches (259) may be formed 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For example, in the example illustrated in FIG. 16, a catch (259) is also formed in a position adjacent to an opposite end of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that is not connected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In this case, when the user rotates the first container (125) so that the guide protrusion (260) moves to a second angle as far as possible from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the user can sense the tactile sensation and sound of the guide protrusion (260) passing over the catch (259) and/or the difference in force required to pass through the catch (259). In some embodiments, a plurality of catches (259) may be formed at equal intervals with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254) so that the user can sense a click sensation when rotating the first container (125).
도 15 내지 도 17에서는 하우징커버(145)가 제1 결합부로서 가이드홈(250)을 포함하고 솔대헤드(202)가 제2 결합부로서 가이드돌기(260)를 포함하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우징커버(145)와 솔대헤드(202) 사이의 상대적 회전에 의해 서로 정렬되어 맞물릴 수 있는 가이드홈(250)과 가이드돌기(260)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는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즉,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하우징커버(145)가 제1 결합부로서 하우징커버(145)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가이드돌기를 포함하고, 솔대헤드(202)가 제2 결합부로서 외측둘레면의 내주면에 형성된 가이드홈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In FIGS. 15 to 17, examples are shown in which the housing cover (145) includes a guide groove (250) 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crew head (202) includes a guide projection (260) a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However,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positions of the guide groove (250) and the guide projection (260), which can be aligned and engaged with each other by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screw head (202), may change. That is, in some embodiments not shown, the housing cover (145) may include a guide project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145) as a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crew head (202) may include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as a second connecting portion. Of course, in this case, the shapes of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jection may be different.
또한, 위 결합부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펌프모듈(140)이 작동가능하게 하거나 작동가능하지 못하게 하기 위한 것이므로,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가 반드시 하우징커버(145)와 솔대헤드(202)에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시되지 않은 일부 실시예에서는 제1 결합부로서의 가이드돌기가(또는 가이드홈이) 제1 용기(125)과 하우징커버(145)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제2 결합부로서의 가이드홈이(또는 가이드돌기가) 오버캡(105)의 내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 경우 가이드홈과 가이드돌기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다. 제2 결합부를 오버캡(105)에 형성하는 경우 오버캡(105)에 대한 솔대(200)의 상대적 회전을 방지하는 구성요소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urpose of the above-described connecting portion is to enable or disable the pump module (140) depending on the user's selection,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jection do not necessarily have to be formed on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screw head (202). For example, in some embodiments not shown, the guide projection (or guide groove) as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125) and the housing cover (145), and the guide groove (or guide projection) as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overcap (105). Of course, in this case, the shapes of the guide groove and the guide projection may be different. When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is formed on the overcap (105), it is possible to omit a component that prevents relative rotation of the screw head (200) with respect to the overcap (105).
전술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선택에 따라 제1 용기(125)의 노출된 부분을 회전시켜 선택적으로 펌프모듈(140)이 작동가능한 상태에 있거나 작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 있게 할 수 있다. 펌프모듈(140)이 작동가능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가이드돌기(260)가 세로가이드홈(252)에 정렬되지 않아 걸림단턱(255)에 걸리게 되며, 따라서 사용자가 제1 용기(125)를 가압해도 제1 용기(125)는 아래로 이동하지 못한다. 이는 사용자가 부주의에 의해 의도치 않게 제1 내용물이 토출되는 것을 확실히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를 제공한다.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the user can selectively rotate the exposed portion of the first container (125) to selectively place the pump module (140) in an operable or inoperable state. When the pump module (140) is in an inoperable state, the guide protrusion (260) is not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252) and is caught on the catch (255), so that even if the user presses the first container (125), the first container (125) does not move downward. This provides the effect of reliably preventing the first contents from being discharged unintentionally due to the user's carelessness.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300, 500, 700: 화장품 용기
105: 오버캡 114: 개방영역
125: 제1 용기 130: 용기패킹
140: 펌프모듈 145: 하우징커버
155: 하우징 158: 제1 탄성부재
165: 피스톤 170: 가이드
185: 연결부재 200: 솔대
220: 제2 용기 250: 가이드홈
252: 세로가이드홈 254: 가로가이드홈
255: 걸림단턱 257, 259: 걸림부
258: 제2 탄성부재 260: 가이드돌기300, 500, 700: Cosmetic containers
105: Overcap 114: Open area
125: 1st container 130: Container packing
140: Pump module 145: Housing cover
155: Housing 158: First elastic member
165: Piston 170: Guide
185: connecting member 200: solder
220: Second container 250: Guide home
252: Vertical guide home 254: Horizontal guide home
255: Hanging step 257, 259: Hanging part
258: Second elastic member 260: Guide projection
Claims (11)
상부에 상기 제1 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용기가 배치되는 오버캡;
솔대헤드 및 솔대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출통로가 상기 솔대헤드 및 상기 솔대바디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대헤드는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대바디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솔대; 및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솔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제1 내용물을 상기 배출통로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펌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모듈은,
상기 솔대헤드에 결합되는 밸브;
상기 제1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기 밸브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커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커버의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솔대헤드의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세로가이드홈을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진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용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대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대적 각도가 변경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지 못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A first container configured to receive first contents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side;
An overcap having an open area formed on the upper side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container and having the first container placed inside;
A solder having a solder head and a solder body, wherein a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ontent to pass through is formed inside the solder head and the solder body, the solder head is arranged inside the overcap,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solder body to connect the discharge passage to the outside; and
A pump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overcap,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coupled to the sol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s from the first container into the discharge passage.
The above pump module,
A valve coupled to the above solder hea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rotatably coupled relative to the valve; and
The housing cover comprises a first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using cover so that the housing cover can move in an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alve,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cove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solder head, wherein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vertical guide groove formed along an up-and-down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guide protrusion having a width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guide groove, and as the first container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rotates, a relative angle of the guide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is changed,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is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not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is arranged so as not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상부에 상기 제1 용기의 일부를 노출시키는 개방영역이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제1 용기가 배치되는 오버캡;
솔대헤드 및 솔대바디를 구비하되, 상기 제1 내용물이 통과하도록 구성된 배출통로가 상기 솔대헤드 및 상기 솔대바디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솔대헤드는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솔대바디에는 상기 배출통로를 외부와 연결시키는 배출홀이 형성되어 있는 솔대; 및
상기 오버캡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용기의 개구부에 결합되고 상기 솔대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용기로부터 상기 제1 내용물을 상기 배출통로로 토출하도록 구성된 펌프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펌프모듈은,
상기 솔대헤드에 결합되는 밸브;
상기 제1 용기에 결합되고 상기 밸브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커버; 및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기 밸브에 대해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커버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1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용기와 상기 하우징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외주면에는 제1 결합부가 구비되고 상기 오버캡의 내주면에는 제2 결합부가 구비되되,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어느 하나는 상하 방향을 따라 형성된 세로가이드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다른 하나는 상기 세로가이드홈을 통과할 수 있는 폭을 가진 가이드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개방영역을 통해 노출된 상기 제1 용기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대한 상기 가이드돌기의 상대적 각도가 변경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돌기가 상기 세로가이드홈과 정렬되지 않으면 상기 하우징커버가 상하 방향을 따라 이동가능하지 못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A first container configured to receive first contents and having an opening formed at a lower side;
An overcap having an open area formed on the upper side to expose a part of the first container and having the first container placed inside;
A solder having a solder head and a solder body, wherein a discharge passage configured to allow the first content to pass through is formed inside the solder head and the solder body, the solder head is arranged inside the overcap, and a discharge hole is formed in the solder body to connect the discharge passage to the outside; and
A pump module is disposed inside the overcap, coupled to the opening of the first container, coupled to the sole, and configured to discharge the first contents from the first container into the discharge passage.
The above pump module,
A valve coupled to the above solder head;
A housing cover coupled to the first container and rotatably coupled relative to the valve; and
The housing cover comprises a first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housing cover so that the housing cover can move in an up-and-down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valve,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first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outer surface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container and the housing cover, and a second coupling portion is provided on an inner surface of the overcap, wherein on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vertical guide groove formed along an up-and-down direction, and the other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includes a guide protrusion having a width capable of passing through the vertical guide groove, and wherein a relative angle of the guide protrusion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is changed as the first container exposed through the open area is rotated,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is arranged so as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and when the guide protrusion is not aligned with the vertical guide groove, the housing cover is arranged so as not to be able to move along the up-and-down direction.
상기 제1 결합부와 상기 제2 결합부 중 상기 세로가이드홈을 포함하는 결합부는 상기 세로가이드홈의 단부에서 이어지는 가로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In claim 1 or 2,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portion including the vertical guide groove among the first coupling portion and the second coupling portion further includes a horizontal guide groove extending from an end of the vertical guide groove.
상기 가로가이드홈 내에서 상기 세로가이드홈에 인접한 위치에는 홈의 깊이가 감소된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In the third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catch portion with a reduced groove depth is formed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vertical guide groove within the horizontal guide groove.
상기 오버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솔대바디의 일부가 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2 용기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In claim 1 or 2,
A cosmetic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overcap, containing a second content therein, and configured such that a portion of the sole body is inserted therein.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에 결합되고,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솔대바디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관통공이 하부에 형성된 용기패킹을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In paragraph 5,
A cosmetic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packing which is joined to the neck of the second container,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bottom through which a part of the sole body passes.
상기 용기패킹은,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원통형 형상의 패킹바디; 및
상기 패킹바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와이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In paragraph 6,
The above container packing is,
A cylindrical packing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and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wiper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ing body and having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상기 솔대가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오버캡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솔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용기.
In claim 1 or 2,
A cosmetic container further comprising a second elastic member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tem so that the stem is relative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overcap between the first position and the second position.
상기 솔대바디에는 환기홈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정도보다 상기 제2 위치에서의 상기 제2 탄성부재의 탄성 변형 정도가 더 크고,
상기 솔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환기홈이 상기 오버캡에 형성된 관통공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해 공기가 소통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In Article 8,
The above solder body has a ventilation groove formed,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t the second position is greater than the degree of elastic deformation of the second elastic member at the first position,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above-mentioned sole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is positioned in the through-hole formed in the overcap, so that air communicates through the through-hole.
상기 오버캡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고, 제2 내용물을 내부에 수용하며, 상기 솔대바디의 일부가 내부에 삽입하도록 구성된 제2 용기; 및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에 결합되고, 연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솔대바디의 일부가 통과하도록 구성된 관통공이 하부에 형성된 용기패킹을 더 포함하되,
상기 용기패킹은,
상기 제2 용기의 넥부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원통형 형상의 패킹바디; 및
상기 패킹바디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관통공이 형성된 와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솔대바디는,
상기 패킹바디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확경부; 및
상기 관통공의 내경에 대응하는 외경을 가진 축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
In Article 8,
A second container detachably connected to the above overcap, containing a second content therein, and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sole body is inserted therein; and
Further comprising a container packing which is joined to the neck of the second container, is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and has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bottom through which a part of the sole body passes.
The above container packing is,
A cylindrical packing body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neck portion of the second container; and
A wiper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packing body and having the through hole formed therein,
The above solder body is,
An expanding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above packing body; and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diaphragm portion having an outer diameter corresponding to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상기 패킹바디의 내주면에는 상기 확경부의 외주면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씰링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확경부에는 환기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솔대가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환기홈이 상기 씰링돌기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씰링돌기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확경부에 접촉하지 않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In Article 10,
A cosmetic container characterized in that a sealing protrusion configured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expanded portion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cking body, a ventilation groove is formed in the expanded portion, and when the sole moves to the second position, the ventilation groove is positioned on the sealing protrusion so that at least a part of the sealing protrusion does not contact the expand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4139A KR102740956B1 (en) | 2023-05-18 | 2023-05-18 |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brush-applied cosmetic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4139A KR102740956B1 (en) | 2023-05-18 | 2023-05-18 |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brush-applied cosmetic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6649A KR20240166649A (en) | 2024-11-26 |
KR102740956B1 true KR102740956B1 (en) | 2024-12-10 |
Family
ID=93704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4139A Active KR102740956B1 (en) | 2023-05-18 | 2023-05-18 |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brush-applied cosmetics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095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6383Y1 (en) | 2001-09-19 | 2001-12-14 | 송감섭 | A case cam use separayion charge and mix to powder or solution of different each otater poneni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0284B1 (en) * | 2012-04-06 | 2014-03-05 | (주)연우 | Spuit type Cosmetic vessel having mixed two-type materials |
US10849405B2 (en) * | 2017-09-20 | 2020-12-01 | Elc Management Llc | Cap and vial applicator system for applying two cosmetic products |
KR102449414B1 (en) * | 2020-11-16 | 2022-10-04 | 주식회사 삼화 | Cosmetic container |
-
2023
- 2023-05-18 KR KR1020230064139A patent/KR10274095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56383Y1 (en) | 2001-09-19 | 2001-12-14 | 송감섭 | A case cam use separayion charge and mix to powder or solution of different each otater ponenit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6649A (en) | 2024-11-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7444784B (en) | Mixing container for heterogeneous contents with improved productivity and sealing capabilities | |
KR102332817B1 (en) | Dual container | |
JP6714027B2 (en) | Fluid container | |
KR102740956B1 (en) | Two-in-one cosmetic container for brush-applied cosmetics | |
KR102573274B1 (en) |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 |
CN113827023A (en) | Container with a lid | |
KR102711029B1 (en) | Cosmetic container for a brush-applied cosmetic | |
KR102188920B1 (en) | Dual container | |
KR102306251B1 (en) | Container | |
JP5238457B2 (en) | Application container | |
KR102686441B1 (en) | Cosmetic container | |
KR200477737Y1 (en) |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nozzle for contents leak preventing | |
KR20240001492U (en) | Container for discharging two kinds of liquids | |
JP7350586B2 (en) | Discharge machine | |
KR102478899B1 (en) | Tubeless dispenser container | |
JP2023500489A (en) | pump container | |
JP4367698B2 (en) | Metering container | |
JP3197254U (en) | Pump dispenser | |
CN215477029U (en) | Two-dose type large-discharge-capacity washing and protecting bottle | |
JP2024172534A (en) | cartridge | |
CN119425996A (en) | A distributor | |
JP5554160B2 (en) | Dispenser with applicator | |
JP7303501B2 (en) | Injection operation support equipment | |
KR101934866B1 (en) | Cosmetic vessel | |
JP3111086U (en) | Valv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1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5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