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0896B1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Google Patents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0896B1 KR102740896B1 KR1020180158261A KR20180158261A KR102740896B1 KR 102740896 B1 KR102740896 B1 KR 102740896B1 KR 1020180158261 A KR1020180158261 A KR 1020180158261A KR 20180158261 A KR20180158261 A KR 20180158261A KR 102740896 B1 KR102740896 B1 KR 10274089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panel
- adhesive
- cover window
- cover
- bonding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3/00—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printed circuits
- H05K3/36—Assembling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 H05K3/361—Assembling flexible printed circuits with other printed circui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표시장치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패드부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 상기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 및 상기 본딩 커버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딩 커버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includes a display panel having a pad portion into which a driving signal is input, a cover window bonded to the display panel and covering the display panel,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onded to the pa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providing the driving signal toward the display panel,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the pad portion bond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ver window and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ver window.
Description
본 발명은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구조를 갖는 표시장치와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structure with improve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표시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며, 표시장치의 종류에는 액정표시장치와 유기발광 표시장치가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백라이트 어셈블리를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하고, 유기전계발광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하는 유기발광 표시패널을 포함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A display device is a device that displays an image, and types of display devices include liquid crystal displays and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s.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a backlight assembly, and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displays an image by including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that includes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표시장치 내에 표시패널 및 이와 결합된 다른 구성요소들의 구조에 따라 표시패널의 일정 부분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표시패널의 단자부는 일반적으로 연성인쇄회로기판과 같은 부품에 본딩될 수 있으며, 연성인쇄회로기판이 유동되는 경우에 표시패널의 단자부에 스트레스가 가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표시패널의 단자부에 과도한 스트레스가 가해지는 경우에, 표시패널의 단자부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Depending on the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and other components combined therewith within the display device, stress may be applied to a certain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For example, the termin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may generally be bonded to a component such a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stress may be appli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wh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moved. In this case, if excessive stress is applied to the termin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cracks may occur in the terminal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On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display device with improve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력에 대한 내구성이 향상된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having improved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표시장치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패드부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 상기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 및 상기 본딩 커버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본딩 커버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된 접착부재를 포함한다. A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panel having a pad portion into which a driving signal is input; a cover window bonded to the display panel and covering the display panel;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onded to the pa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providing the driving signal toward the display panel;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the pad portion bond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ver window and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ver window.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표시장치는, 구동신호가 입력되는 패드부를 갖는 표시패널,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 상기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접착성 격벽을 포함한다. Another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the above-describ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display panel having a pad portion into which a driving signal is input; a cover window bonded to the display panel and covering the display panel;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onded to the pa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providing the driving signal toward the display panel;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the pad portion bond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and bonding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window; and an adhesive barri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and bonding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window.
또한, 상기 접착성 격벽은 상기 접착층을 둘러싸서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는 영역을 정의한다. 상기 접착성 격벽은 상기 표시패널의 에지를 따라 배치된 선형의 형상을 갖는다. 상기 패드부에 대응하는 상기 접착성 격벽의 일 부분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에 접착된다. In addition, the adhesive barrier surrounds the adhesive layer to define an area where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The adhesive barrier has a linear shape arranged alo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A portion of the adhesive barrier corresponding to the pad portion is arrang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is bonded to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 표시패널의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가 형성된다. 커버 윈도우의 배면에 접착부재가 접착된다. 상기 커버 윈도우가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된다. Another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for achieving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a pad portion of a display panel bonde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is formed. An adhesive member is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a cover window. The cover window is bonded to the display panel.
또한, 상기 커버 윈도우가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될 때,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본딩 커버부에 접착되어 상기 패드부가 상기 커버 윈도우에 고정된다. Additionally, when the cover window is bonded to the display panel, the adhesive member is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ortion, thereby fixing the pad portion to the cover wind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패널의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가 형성되며, 본딩 커버부와 커버 윈도우 사이에 접착부재가 개재된다. 따라서, 본딩 커버부와 접착부재의 구조에 의해 표시패널의 패드부가 커버 윈도우에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외력에 의해 패드부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a pad portion of a display panel is formed, and an adhesive member is interposed between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ver window. Accordingly, the pa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by the structure of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adhesive member, thereby preventing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pad portion due to external force.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패드부를 커버 윈도우에 고정하는 구조가 적용되는 경우에, 패드부의 폭이 작아져 본딩 커버부가 충분한 두께로 형성되기가 용이하지 않더라도, 접착부재를 이용하여 본딩 커버부와 커버 윈도우 간의 갭이 용이하게 채워질 뿐만 아니라, 접착부재와 본딩 커버부로 구성되는 구조체에 의해 패드부의 강성이 보완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where a structure is applied that fixes the pad portion to the cover window using an adhesive member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width of the pad portion is small and it is not easy to form the bonding cover portion with a sufficient thickness, not only can the gap between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ver window be easily filled using the adhesive member, but the rigidity of the pad portion can be supplemented by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adhesive member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및 도 6e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line II` illustrated in Figure 1.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line II-II` shown in Fig. 5a.
FIGS. 6A, 6B, 6C, 6D, and 6E are drawings showing a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효과는 도면과 관련된 실시예들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응용되어 변형될 수도 있다. 오히려 후술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기술 사상을 보다 명확히 하고, 나아가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당업자에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가 후술될 실시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한편, 하기 실시예와 도면 상에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 요소를 나타낸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urpose, feature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understood through embodiments related to the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appli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below are provided so that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by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and further, so tha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having average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by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Meanwhile, the same reference numbers in the following embodiments and the drawings represent the same components.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및 '제2'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또한,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있다고 할 때,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막, 영역, 구성 요소 등이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In addition, the terms "first" and "secon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used in a restrictive sense,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In addition, when a part such as a film, region, or component is said to be "over" or "on" another part, it includes not only the case where it is directly over the other part, but also the case where another film, region, component, etc. is interposed between them.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표시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Fig.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taken along line I-I` illustrated in Fig.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장치(200)는 표시패널(110), 백라이트 어셈블리(100), 커버 윈도우(CG), 터치 센싱부(TS), 연성 인쇄회로기판(120), 인쇄회로기판(130), 본딩 커버부(GF), 접착성 격벽(AW), 접착층(AL) 및 접착부재(ST)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display device (200)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backlight assembly (100), a cover window (CG), a touch sensing portion (T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a printed circuit board (130), a bonding cover portion (GF), an adhesive barrier (AW), an adhesive layer (AL), and an adhesive member (ST).
표시패널(110)은 영상을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10)은 액정표시패널일 수 있고, 표시패널(110)은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 출력되는 광을 이용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The display panel (110) displays an image. In this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and the display panel (110) displays an image using light output from the backlight assembly (100).
표시패널(110)은 어레이 기판(101), 대향 기판(105) 및 액정층(미도시)을 포함한다. 어레이 기판(101)에는 다수의 화소들이 구비되고, 상기 다수의 화소들의 각각은 화소전극과 상기 화소전극과 함께 상기 액정층의 액정분자들의 방향자들을 제어하는 공통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어레이 기판(101)의 배면에는 편광판이 점착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10) includes an array substrate (101), a counter substrate (105), and a liquid crystal layer (not shown). The array substrate (101)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ixels,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pixels may include a pixel electrode and a common electrode that controls the direction of liquid crystal molecules of the liquid crystal layer together with the pixel electrode.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separately, a polarizing plate may be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array substrate (101).
대향기판(105)은 어레이 기판(101)에 결합되며, 대향기판(105)은 상기 액정층을 사이에 두고 어레이 기판(101)에 대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대향기판(105)에는 컬러필터들이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로부터 출력되어 상기 액정층을 통과한 광은 상기 컬러필터들에 의해 컬러광으로 필터링될 수 있다. The counter substrate (105) is coupled to the array substrate (101), and the counter substrate (105) faces the array substrate (101) with the liquid crystal layer therebetween. In this embodiment, the counter substrate (105) may be provided with color filters, and thus, light output from the backlight assembly (100) and passing through the liquid crystal layer may be filtered into colored light by the color filters.
본 발명이 어레이 기판(101)과 대향기판(105)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컬러필터들은 어레이 기판(101)에 구비될 수도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array substrate (101) and the counter substrate (105).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color filters may be provided on the array substrate (101).
또한, 본 발명이 표시패널(110)의 종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10)은 유기발광 표시패널일 수 있고, 이 경우에 표시장치(200)의 구성요소로 백라이트 어셈블리(100)가 생략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type of the display panel (110).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display panel (110) may be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panel, and in this case, the backlight assembly (100) may be omitted as a component of the display device (200).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표시패널(110) 측으로 광을 출력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백라이트 어셈블리(10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광을 발생하는 광원, 상기 광원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표시패널(110) 측으로 가이드하는 도광판 및 상기 도광판으로부터 출력된 광의 진행방향을 제어하는 다수의 광학시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cklight assembly (100) outputs light toward the display panel (110). In this embodiment, the backlight assembly (100) may include a light source that generates light using power provided from an external source, a light guide plate that guides the light generated from the light source toward the display panel (110), and a plurality of optical sheets that control the direction of propagation of the light output from the light guide plate.
커버 윈도우(CG)는 표시패널(110)을 커버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커버 윈도우(CG)는 커버 글라스일 수 있고, 커버 윈도우(CG)는 표시장치(200)에서 최상측에 위치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표시패널(110)을 보호한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커버 윈도우(CG)는 아크릴 수지와 같이 광을 투과하는 특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over window (CG) covers the display panel (110). In this embodiment, the cover window (CG) may be a cover glass, and the cover window (CG) is positioned at the uppermost side of the display device (200) to protect the display panel (110) from external impact. In another embodiment, the cover window (CG) may be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having light-transmitting properties, such as an acrylic resin.
이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싱부(TS)는 터치 스크린 패널과 같은 형태로 제공되어, 투명 접착층(미도시)에 의해 커버 윈도우(CG)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이 터치 센싱부(TS)의 구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싱부(TS)는 투명 접착층에 의해 표시패널(110) 상에 접착되거나, 터치 센싱부(TS)는 표시패널(110)의 내부에 내장될 수도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unit (TS) is provided in the form of a touch screen panel and can be coupled to the cover window (CG) by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not show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tructure of the touch sensing unit (TS), and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the touch sensing unit (TS) may be adhered to the display panel (110) by a transparent adhesive layer, or the touch sensing unit (TS) may be built into the interior of the display panel (110).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은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에 본딩된다.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은 표시패널(110)을 인쇄회로기판(130)에 전기적으로 연결시킨다. 이 실시예에서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은 플렉시블한 베이스 필름 및 상기 베이스 필름 위에 인쇄된 도전배선들을 포함한다. 또한, 구동칩(DC)은 COF(chip on film) 방식으로 연성 인쇄회로기판(120) 위에 실장될 수 있고, 구동칩(DC)은 표시패널(110) 측으로 데이터 신호들을 출력할 수 있다.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is bonded to a pad portion (PD) of a display panel (110).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electrically connects the display panel (110) to a printed circuit board (130). In this embodiment,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includes a flexible base film and conductive wires printed on the base film. In addition, a driving chip (DC) may be mounted o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in a COF (chip on film) manner, and the driving chip (DC) may output data signals toward the display panel (110).
인쇄회로기판(130)은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을 통해 표시패널(110)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 실시예에서는 인쇄회로기판(130) 위에 타이밍 제어부와 같은 전자 부품들이 실장될 수 있으며, 인쇄회로기판(130)은 표시패널(110)의 구동을 제어하는 신호들을 생성한다.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display panel (110) through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In this embodiment, electronic components such as a timing control unit may be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generates signals that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display panel (110).
전술된 바와 같이,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은 플렉시블한 특성을 가지므로,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은 표시패널(110)의 전방으로부터 표시패널(110)의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벤딩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의 벤딩 구조에 의해 인쇄회로기판(130)은 표시패널(110)의 배면 위에 배치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has a flexible characteristic,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can have a shape that is bent in a direction from the front of the display panel (110) toward the rear of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ly, the printed circuit board (130) can be plac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by the bending structure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described above.
본딩 커버부(GF)는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에 본딩된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를 커버한다. 따라서, 본딩 커버부(GF)는 패드부(PD)와 패드부(PD)에 본딩된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의 단자부를 보호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딩 커버부(GF)에 의해 패드부(PD) 측으로 수분 또는 오염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본딩 커버부(GF)에 의해 연성 인쇄회로기판(120)의 단자부와 패드부(PD) 간의 본딩력이 보완될 수 있다.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covers the pad portion (PD) of the display panel (110) bonded to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Therefore,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can protect the pad portion (PD) and the terminal portion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bonded to the pad portion (PD). More specifically,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can prevent moisture or contaminants from flowing into the pad portion (PD), and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terminal portion and the pad portion (PD) of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can be supplemented by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이 실시예에서는, 본딩 커버부(GF)는 패드부(PD)의 위치에 대응하여 표시패널(110)에 발생되는 단차를 완화시키고, 본딩 커버부(GF)에 접착되는 접착부재(ST)에 의해 패드부(PD)가 커버 윈도우(CG)에 고정되며, 이에 따라 패드부(PD)에 외력에 의한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bonding cover part (GF) alleviates a step generated in the display panel (11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d part (PD), and the pad part (PD)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adhesive member (ST) adhered to the bonding cover part (GF), thereby preventing cracks from occurring in the pad part (PD) due to external force.
접착성 격벽(AW)은 커버 윈도우(CG)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을 커버 윈도우(CG)에 접착시키되, 평면상에서 볼 때 접착성 격벽(AW)은 표시패널(110)의 에지를 따라 선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접착성 격벽(AW)은 표시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일 높이를 갖도록 접착층(AL)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폐루프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접착성 격벽(AW)으로 둘러싸이는 공간 내에 접착층(AL)을 구성하는 레진들이 채워질 수 있어, 접착성 격벽(AW)은 접착층(AL)이 형성되는 영역을 정의할 수 있다. An adhesive partition (AW) is disposed between a cover window (CG) and a display panel (110) to adhere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cover window (CG).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the adhesive partition (AW) is formed in a linear shape alo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In addition, the adhesive partition (AW) is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so as to surround the adhesive layer (AL) so as to have a height from a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ccordingly, resins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AL) can be filled within a space surrounded by the adhesive partition (AW), so that the adhesive partition (AW) can define a region where the adhesive layer (AL) is formed.
접착층(AL)은 커버 윈도우(CG)와 표시패널(110) 사이에 배치되어 표시패널(110)을 커버 윈도우(CG)에 접착시킨다. 또한, 접착층(AL)은 접착성 격벽(AW)에 의해 둘러싸인 형상을 가지며, 접착층(AL)은 표시패널(110)의 표시영역(DA)에 중첩될 수 있다. An adhesive layer (AL) is disposed between a cover window (CG) and a display panel (110) to adhere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cover window (CG). In addition, the adhesive layer (AL) has a shape surrounded by an adhesive barrier (AW), and the adhesive layer (AL) can overlap a display area (DA) of the display panel (110).
이 실시예에서는, 접착층(AL)과 접착성 격벽(AW)은 광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투명성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술한 접착층(AL)과 접착성 격벽(AW)의 구조에 의해 표시패널(110)이 커버 윈도우(CG)에 견고하게 접착 및 결합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layer (AL) and the adhesive barrier (AW) can be formed by curing a transparent resin that is cured by light or heat, and the display panel (110) can be firmly adhered and bonded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structure of the adhesive layer (AL) and the adhesive barrier (AW) described above.
접착부재(ST)는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 사이에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착부재(ST)는 커버윈도우(CG)가 갖는 에지들 중 패드부(PD)에 대응되는 에지(EG)에 위치할 수 있다. An adhesive member (ST) is positioned between a bonding cover portion (GF) and a cover window (CG). More specifically, the adhesive member (ST) may be positioned at an edge (EG) corresponding to a pad portion (PD) among the edges of the cover window (CG).
이 실시예에서는, 접착부재(ST)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접착부재(ST)는 본딩 커버부(GF)의 상부면과 커버 윈도우(CG)의 배면에 접착된다. 그 결과, 접착부재(ST)에 의해 패드부(PD)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 간의 갭이 채워질 뿐만 아니라, 접착부재(ST)에 의해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가 커버 윈도우(CG)에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ST) may be a double-sided tape, and thus the adhesive member (ST) is bond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and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window (CG). As a result, not only is the gap between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covering the pad portion (PD) and the cover window (CG) filled by the adhesive member (ST), but also the pad portion (PD) of the display panel (110)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adhesive member (ST).
본 발명의 실시예와 달리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 간에 갭이 발생된 경우에는, 패드부(PD)에 본딩된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유동되는 경우에 패드부(PD)에 외력이 가해질 수 있고, 그 결과로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에 크랙이 발생될 수 있다. 하지만,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드부(PD)에 외력이 가해지더라도, 패드부(PD)에 가해지는 외력이 커버 윈도우(CG)에 분산되는 효과가 발생되므로 외력에 의해 패드부(PD)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Unlike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gap occurs between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when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bonded to the pad part (PD) moves, an external force may be applied to the pad part (PD), and as a result, a crack may occur in the pad part (PD) of the display panel (110). However,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pad part (PD), the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ad part (PD) is distributed to the cover window (CG), so that cracks may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pad part (PD) due to the external forc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3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 describing Fig. 3,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previously described,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도 3을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1)는 접착부재(ST-1)를 포함하고, 접착부재(ST-1)는 제1 부분(P1)과 제2 부분(P2)을 포함한다. 접착부재(ST-1)의 제1 부분(P1)은 커버 윈도우(CG)와 본딩 커버부(GF)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분(P1)은 커버 윈도우(CG)와 본딩 커버부(GF)에 접촉된다. Referring to FIG. 3, a display device (201)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adhesive member (ST-1), and the adhesive member (ST-1) includes a first portion (P1) and a second portion (P2). The first portion (P1) of the adhesive member (ST-1) is positioned between a cover window (CG) and a bonding cover portion (GF), and the first portion (P1)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window (CG)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접착부재(ST-1)의 제2 부분(P2)은 제1 부분(P1)과 연결되며, 제2 부분(P2)은 제1 부분(P1)보다 접착성 격벽(AW)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접착부재(ST-1)의 제2 부분(P2)은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의 주변의 일 부분과 커버 윈도우(CG) 사이의 갭에 배치되어 상기 갭에 채워진다. The second part (P2) of the adhesive member (ST-1)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P1), and the second part (P2) is positioned closer to the adhesive barrier (AW) than the first part (P1). Accordingly, the second part (P2) of the adhesive member (ST-1) is positioned in the gap between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pad part (PD)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window (CG) and fills the gap.
상술한 접착부재(ST-1)의 구성에 따르면, 접착부재(ST-1)의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에 접착되는 제1 부분(P1)에 의해 패드부(PD)가 커버 윈도우(CG)에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패드부(PD)가 크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ST-1)의 제2 부분(P2)에 의해 상술한 제1 부분(P1)의 구조가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고, 접착부재(ST-1)의 제2 부분(P2)에 의해 패드부(PD)에 대응되는 표시패널(110)의 에지가 커버 윈도우(CG)에 보다 견고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발생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adhesive member (ST-1) described above, the pad member (PD)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first part (P1)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art (GF) of the adhesive member (ST-1) and the cover window (CG), thereby preventing the pad member (PD) from being cracked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first part (P1) described above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second part (P2) of the adhesive member (ST-1), and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corresponding to the pad member (PD) can be more firmly supported by the cover window (CG) by the second part (P2) of the adhesive member (ST-1).
또한, 접착부재(ST-1)의 제2 부분(P2)에 의해 본딩 커버부(GF)를 구성하는 레진 중에 미경화된 일부의 레진이 표시패널(110)과 커버 윈도우(CG)의 사이에 유입되는 것이 차단되어, 상기 미경화된 레진에 의해 표시패널(110)의 표시품질이 저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some of the uncured resin among the resin forming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is blocked from flowing between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window (CG) by the second part (P2) of the adhesive member (ST-1), thereby preventing the display quality of the display panel (110) from being deteriorated by the uncured resin.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의 단면도이다. 한편, 도 4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eanwhile, in describing Fig. 4,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previously described,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도 4를 참조하면, 이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2)는 접착부재(ST-2)를 포함하고, 접착부재(ST-2)는 제1 부분(P1-1), 제2 부분(P2-1) 및 제3 부분(P3-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4, the display device (202)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n adhesive member (ST-2), and the adhesive member (ST-2) includes a first portion (P1-1), a second portion (P2-1), and a third portion (P3-1).
접착부재(ST-2)의 제1 부분(P1-1)은 커버 윈도우(CG)와 본딩 커버부(GF)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부분(P1)은 커버 윈도우(CG)와 본딩 커버부(GF)에 접촉된다. 또한, 제2 부분(P2-1)은 제1 부분(P1-1)과 연결되어 본딩 커버부(GF)의 일 측면을 커버하고, 제3 부분(P3-1)은 제1 부분(P1-1)과 연결되어 본딩 커버부(GF)의 다른 측면을 커버한다. 따라서, 접착부재(ST-2)의 제2 부분(P2-1)은 본딩 커버부(GF)를 사이에 두고 제3 부분(P3-1)과 대향한다. A first portion (P1-1) of the adhesive member (ST-2) is disposed between a cover window (CG) and a bonding cover portion (GF), and the first portion (P1)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window (CG)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In addition, a second portion (P2-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P1-1) to cover one side of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and a third portion (P3-1)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P1-1) to cover the other side of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Therefore, the second portion (P2-1) of the adhesive member (ST-2) faces the third portion (P3-1) with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interposed therebetween.
상술한 접착부재(ST-2)의 구조에 따르면, 접착부재(ST-2)의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에 접착되는 제1 부분(P1-1)에 의해 패드부(PD)가 커버 윈도우(CG)에 고정되어 외력에 의해 패드부(PD)가 크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착부재(ST-2)는 본딩 커버부(GF)를 둘러싸는 형상을 가져 본딩 커버부(GF)에 접촉되는 면적이 크기가 증가되므로, 접착부재(ST-2)와 본딩 커버부(GF) 간의 접착력에 의한 결합 구조가 보다 견고해질 수 있다. 그 결과, 본딩 커버부(GF)와 접착부재(ST-2)에 의해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가 커버 윈도우(CG)에 고정되는 효과가 보다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dhesive member (ST-2) described above, the pad member (PD)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first portion (P1-1) that is adhered to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of the adhesive member (ST-2), so that the pad member (P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racked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since the adhesive member (ST-2) ha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onding cover part (GF), the area in contact with the bonding cover part (GF) increases in size, so that the bonding structure b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adhesive member (ST-2) and the bonding cover part (GF) can be made more solid. As a result, the effect of fixing the pad member (PD) of the display panel (110)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adhesive member (ST-2) can be further improved.
도 5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203)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에 도시된 II-II`을 따라 절취된 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한편, 도 5a 및 도 5b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FIG. 5a is a plan view of a display device (203)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b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urface cut along line II-II` illustrated in FIG. 5a. Meanwhile, in describing FIGS. 5a and 5b,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to components described above,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면, 표시장치(203)는 표시패널(110), 커버 윈도우(CG), 터치 센싱부(TS), 연성인쇄회로기판(120), 본딩 커버부(GF), 접착층(AL) 및 접착성 격벽(AW-1)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5a and 5b, the display device (203) includes a display panel (110), a cover window (CG), a touch sensing portion (T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a bonding cover portion (GF), an adhesive layer (AL), and an adhesive barrier (AW-1).
앞서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착성 격벽(도 1의 AW)은 커버 윈도우(도 1의 CG)와 표시패널(도 1의 110) 사이에서 표시패널의 에지를 따라 선형의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평면상에서 볼 때 접착성 격벽(도 1의 AW)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관없이 접착성 격벽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갖는다. In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1 above, the adhesive partition (AW of FIG. 1) is formed in a linear closed loop shape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between the cover window (CG of FIG. 1) and the display panel (110 of FIG. 1), and when viewed in a plan view, the adhesive partition (AW of FIG. 1) has substantially the same width regardless of the position at which it is formed.
이에 반해,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접착성 격벽(AW-1)은 커버 윈도우(CG)와 표시패널(110)의 사이에서 표시패널(110) 또는 커버 윈도우(CG)의 에지를 따라 선형의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되, 평면상에서 볼 때 접착성 격벽(AW-1)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접착성 격벽(AW-1)은 서로 상이한 폭을 가질 수 있다. In contrast, in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FIGS. 5A and 5B, the adhesive partition (AW-1) is formed in a linear closed loop shape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or the cover window (CG) between the cover window (CG) and the display panel (110), but the adhesive partition (AW-1) may have different widths depending on the position at which the adhesive partition (AW-1) is formed when viewed in a plan view.
보다 상세하게는, 이 실시예와 같이 표시패널(110)과 커버 윈도우(CG)의 각각이 장방형의 형상을 갖는 경우에, 접착성 격벽(AW-1)은 커버 윈도우(CG)의 두 개의 장변들과 두 개의 단변들을 따라 폐루프의 형상으로 형성되되, 접착성 격벽(AW-1)의 패드부(PD)에 중첩되는 제1 부분(A1)의 제1 폭(W1)은 접착성 격벽(AW-1)의 패드부(PD)에 중첩되지 않는 제2 부분(A2)의 제2 폭(W2) 보다 크다. More specifically, in a case where each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window (CG) has a rectangular shape as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partition (AW-1) is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along two long sides and two short sides of the cover window (CG), and the first width (W1) of the first portion (A1) that overlaps the pad portion (PD) of the adhesive partition (AW-1) is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W2) of the second portion (A2) that does not overlap the pad portion (PD) of the adhesive partition (AW-1).
즉, 접착성 격벽(AW-1)의 제1 부분(A1)은 패드부(PD)에 중첩되도록 제2 부분(A2)보다 큰 폭을 갖는 것으로, 이에 따라 접착성 격벽(AW-1)은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의 사이에 배치되어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에 접착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part (A1) of the adhesive barrier (AW-1) has a wider width than the second part (A2) so as to overlap the pad part (PD), and accordingly, the adhesive barrier (AW-1) is positioned between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and can be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상술한 접착성 격벽(AW-1)의 구조에 따르면, 표시장치(203)에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 접착부재(도 1의 ST)를 대신하여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 간의 갭이 채워질 수 있고, 게다가 접착성 격벽(AW-1)이 패드부(PD)를 커버 윈도우(CG)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패드부(PD)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패드부(PD)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adhesive barrier wall (AW-1) described above, the gap between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can be filled instead of the adhesive member (ST of FIG. 1)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in the display device (203), and furthermore, the adhesive barrier wall (AW-1) can fix the pad part (PD) to the cover window (CG). Accordingly, cracks in the pad part (PD)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due to an external force applied to the pad part (PD).
도 6a, 도 6b, 도 6c, 도 6d 및 도 6e는 도 1에 도시된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한편, 도 6a 내지 도 6e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도면 부호를 병기하고,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된다. FIGS. 6A, 6B, 6C, 6D, and 6E are drawings showing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illustrated in FIG. 1. Meanwhile, in describing FIGS. 6A to 6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re given for components previously described, and redundant descriptions of the components are omitted.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도 6a에서는 표시패널(110)에 예비 접착성 격벽(P-AW)을 형성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고, 도 6b에서는 도 6a에 도시된 예비 접착성 격벽(P-AW)이 형성된 표시패널(110)의 횡단면도가 도시된다. Referring to FIGS. 6A and 6B, FIG. 6A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method of forming a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P-AW) on a display panel (110), and FIG. 6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display panel (110) on which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P-AW) illustrated in FIG. 6A is formed.
어레이 기판(101)과 대향기판(105)을 포함하는 표시패널(110)을 준비하며, 표시패널(110)의 표면 위에 예비 접착성 격벽(P-AW)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 따른 예비 접착성 격벽(P-AW)을 형성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A display panel (110) including an array substrate (101) and a counter substrate (105) is prepared, and a pre-adhesive barrier wall (P-AW)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A method for forming a pre-adhesive barrier wall (P-AW)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s follows.
우선, 디스펜서(미도시)를 이용하여 접착성 레진을 표시패널(110)의 상부면 위에 제공한다. 상기 접착성 레진은 광 또는 열에 의해 경화되는 투명한 특성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접착성 레진은 표시패널(110)의 에지를 따라 선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접착성 레진은 폐루프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 이후에, 표시패널(110) 위에 제공된 상기 접착성 레진을 임시로 경화시킨다. 그 결과, 상기 접착성 레진이 임시로 경화되어 표시패널(110) 위에 예비 접착성 격벽(P-AW)이 형성될 수 있다. First, an adhesive resin is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using a dispenser (not shown). The adhesive resin may have a transparent property that is cured by light or heat, and the adhesive resin may be formed linearly along an edge of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adhesive resin may be formed in a closed loop shape. Thereafter, the adhesive resin provided on the display panel (110) is temporarily cured. As a result, the adhesive resin is temporarily cured, and a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P-AW) may be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10).
어레이 기판(101)의 패드부(PD)에는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본딩되고, 패드부(PD)에는 본딩 커버부(GF)가 형성될 수 있다. 본딩 커버부(GF)는 패드부(PD) 위에 접착성 레진을 제공하고, 상기 접착성 레진이 경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패드부(PD)에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본딩되는 공정과 본딩 커버부(GF)를 형성하는 공정의 순서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면, 다른 실시예에서는 표시패널(110)에 예비 접착성 격벽(P-AW)이 형성되기 이전에, 패드부(PD)에 연성인쇄회로기판(120)이 본딩되고, 패드부(PD)에 본딩 커버부(GF)가 형성될 수 있다.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may be bonded to a pad portion (PD) of an array substrate (101), and a bonding cover portion (GF) may be formed on the pad portion (PD).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may be formed by providing an adhesive resin on the pad portion (PD) and curing the adhesive resin. 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order of the process of bonding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to the pad portion (PD) and the process of forming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For example, in another embodiment, before a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P-AW) is formed on the display panel (110), th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20) may be bonded to the pad portion (PD),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may be formed on the pad portion (PD).
도 6c를 참조하면, 예비 접착성 격벽(P-AW)으로 정의되는 공간 내에 접착성 레진(RS)를 제공하여 예비 접착층(P-AL)을 형성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디스펜서(DP)를 이용하여 접착성 레진(RS)이 예비 접착성 격벽(P-AW)의 내측에 제공될 수 있으며, 접착성 레진(RS)은 경화되기 이전의 상태로 점성을 갖는 액체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c, an adhesive resin (RS) is provided within a space defined as a pre-adhesive barrier wall (P-AW) to form a pre-adhesive layer (P-AL).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resin (RS) may be provided to the inner side of the pre-adhesive barrier wall (P-AW) using a dispenser (DP), and the adhesive resin (RS) may be a liquid having viscosity before being cured.
전술된 바와 같이, 예비 접착성 격벽(P-AW)은 접착성 레진이 임시로 경화되어 형성되므로, 예비 접착성 격벽(P-AW)은 표시패널(110)의 표면으로부터 일 높이를 갖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예비 접착성 격벽(P-AW)은 선형의 폐루프의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예비 접착성 격벽(P-AW)은 접착성 레진(RS)을 가두는 댐(dam)의 기능을 할 수 있다. 따라서, 예비 접착성 격벽(P-AW)의 내측에 접착성 레진(RS)이 채워져 예비 접착층(P-AL)이 형성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wall (P-AW) is formed by temporarily curing the adhesive resin,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wall (P-AW) can have a structure having a height from the surface of the display panel (110). In addition, since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wall (P-AW)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inear closed loop,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wall (P-AW) can function as a dam that confines the adhesive resin (RS). Accordingly, the adhesive resin (RS) can be filled on the inside of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wall (P-AW) to form the preliminary adhesive layer (P-AL).
도 6d를 참조하면, 커버 윈도우(CG)의 배면(BS)에 접착부재(ST)를 접착한다. 이 실시예에서는 접착부재(ST)는 양면 테이프일 수 있다. 따라서, 접착부재(ST)의 일 접착면은 커버 윈도우(CG0의 배면에 접착되고, 접착부재(ST)의 다른 면은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d, an adhesive member (ST) is adhered to the back surface (BS) of the cover window (CG).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ST) may be a double-sided tape. Accordingly, one adhesive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ST) may be adher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window (CG0), and the other surface of the adhesive member (ST)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접착부재(ST)는 표시패널의 패드부(도 6a의 PD)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 윈도우(CG)의 배면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윈도우(CG)와 표시패널이 합착되는 경우에, 접착부재(ST)가 패드부 위에 배치된 본딩 커버부(도 6b의 GF)에 중첩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the adhesive member (ST) can be bond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window (CG)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pad portion (PD of FIG. 6a) of the display panel. Accordingly, when the cover window (CG) and the display panel are bonded, the adhesive member (ST) can overlap the bonding cover portion (GF of FIG. 6b) disposed on the pad portion.
도 6e를 참조하면, 앞서 도 6a 내지 도 6c들을 참조하여 설명된 본딩 커버부(GF), 예비 접착성 격벽(P-AW) 및 예비 접착층(P-AL)이 형성된 표시패널(110)과 도 6d를 참조하여 설명된 접착부재(ST)가 형성된 커버 윈도우(CG)에 대해 합착 공정이 수행된다. Referring to FIG. 6e, a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on a display panel (110) formed with a bonding cover portion (GF), a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P-AW), and a preliminary adhesive layer (P-AL)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a to 6c, and a cover window (CG) formed with an adhesive member (ST)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d.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합착 공정에서는 표시패널(110)과 커버 윈도우(CG)가 서로 마주하도록 합착되며, 상기 합착 공정이 진행될 때 접착부재(ST)가 본딩 커버부(GF)에 중첩되어 본딩 커버부(GF)에 접착될 수 있도록 커버 윈도우(CG)가 표시패널(110)에 정렬될 수 있다. More specifically, in the bonding process, the display panel (110) and the cover window (CG) are bonded so that they face each other, and when the bonding process is performed, the cover window (CG) can be aligned to the display panel (110) so that the adhesive member (ST) overlaps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can be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art (GF).
또한, 상기 합착 공정이 완료된 이후에, 예비 접착성 격벽(도 6c의 P-AW)과 예비 접착층(도 6c의 P-AL)에 대해 경화 공정이 진행된다. 그 결과,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된 임시로 경화된 예비 접착성 격벽(도 6c의 P-AW)이 완전히 경화되어 접착성 격벽(AW)이 형성되고, 예비 접착층(도 6c의 P-AL)이 완전히 경화되어 접착층(AL)이 형성된다. In addition, after the above bonding process is completed, a curing process is performed on the pre-adhesive barrier wall (P-AW of FIG. 6c) and the pre-adhesive layer (P-AL of FIG. 6c). As a result, the temporarily cured pre-adhesive barrier wall (P-AW of FIG. 6c)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6c is completely cured to form the adhesive barrier wall (AW), and the pre-adhesive layer (P-AL of FIG. 6c) is completely cured to form the adhesive layer (AL).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화 공정 진행 시, 자외선과 같은 광(LT)이 커버 윈도우(CG)의 전면 측으로 조사되고, 광(LT)에 의해 접착성 격벽(AW)과 접착층(AL)을 구성하는 접착성 레진들이 경화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접착성 격벽(AW)과 접착층(AL)을 구성하는 접착성 레진들은 열에 의해 경화될 수도 있다.In this embodiment, when the curing process is performed, light (LT) such as ultraviolet rays is irradiated to the front side of the cover window (CG), and the adhesive resins constituting the adhesive barrier wall (AW) and the adhesive layer (AL) can be cured by the light (LT). In another embodiment, the adhesive resins constituting the adhesive barrier wall (AW) and the adhesive layer (AL) can also be cured by heat.
상술한 경화 공정에 의해 접착성 격벽(AW)와 접착층(AL)이 형성됨에 따라, 커버 윈도우(CG)는 접착성 격벽(AW)와 접착층(AL)에 의해 표시패널(110)에 견고하게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합착 공정 및 상기 경화 공정 진행이 수행됨에 따라, 접착부재(ST)는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의 사이에 배치되어 본딩 커버부(GF)와 커버 윈도우(CG)에 접착될 수 있다. 따라서, 표시패널(110)의 패드부(PD)가 본딩 커버부(GF)와 접착부재(ST)로 구성되는 구조체에 의해 커버 윈도우(CG)에 고정되는 효과가 발생되어, 패드부(PD)의 강성이 보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패드부(PD)에 크랙이 발생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s the adhesive barrier wall (AW) and the adhesive layer (AL) are formed by the above-described curing process, the cover window (CG) can be firmly adhered to the display panel (110) by the adhesive barrier wall (AW) and the adhesive layer (AL). In addition, as the above-described bonding process and the above-described curing process are performed, the adhesive member (ST) can be disposed between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and adhered to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cover window (CG). Accordingly, the pad part (PD) of the display panel (110)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CG) by the structure composed of the bonding cover part (GF) and the adhesive member (ST), so that the rigidity of the pad part (PD) can be supplemented, and thus cracks can be prevented from occurring in the pad part (PD).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bove embodiment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100: 백라이트 어셈블리 110: 표시패널
120: 연성인쇄회로기판 130: 인쇄회로기판
AL: 접착층 ST: 접착부재
CG: 커버 윈도우 GF: 본딩 커버부
AW: 접착성 격벽 P-AW: 예비 접착성 격벽
P-AL: 예비 접착층 200: 표시장치100: Backlight assembly 110: Display panel
120: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130: Printed circuit board
AL: Adhesive layer ST: Adhesive member
CG: Cover window GF: Bonding cover part
AW: Adhesive Bulkhead P-AW: Pre-adhesive Bulkhead
P-AL: Preliminary adhesive layer 200: Display device
Claims (15)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 상기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 및
상기 본딩 커버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본딩 커버부와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된 접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 사이에 개재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본딩 커버부의 일 측면을 커버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본딩 커버부의 다른 측면을 커버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본딩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본딩 커버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having a pad section into which a driving signal is input;
A cover window adhered to the above display panel and covering the above display panel;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onded to the pa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providing the driving signal toward the display panel;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the pad portion bonded to the abov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It comprises an adhesive member disposed between the bonding cover part and the cover window and adhered to the bonding cover part and the cover window,
The above adhesive material is,
A first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covering one side of the bonding cover part; and
A third part is included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bonding cover part,
The above first part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art,
The second part is opposite to the third part with the bonding cover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adhesive member ha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onding cover portion.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층을 둘러싸서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접착성 격벽을 더 포함하고,
상기 패드부에 인접한 상기 커버 윈도우의 일 에지에서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접착성 격벽보다 상기 커버 윈도우의 에지에 인접하고, 상기 접착성 격벽은 상기 접착층보다 상기 커버 윈도우의 에지에 인접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In paragraph 1,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to adhere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window; and
Further comprising an adhesive barrier arrang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to adhere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window and surround the adhesive layer to define a region where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t one edge of the cover window adjacent to the pad portion, the adhesive member is closer to the edge of the cover window than the adhesive partition, and the adhesive partition is closer to the edge of the cover window than the adhesive layer.
상기 제1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제1 부분보다 상기 접착성 격벽에 인접한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접착부재의 상기 접착성 격벽에 인접한 부분은,
상기 패드부의 주변에서 상기 표시패널과 상기 커버 윈도우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 In the third paragraph, the adhesive member is,
Connected to the first portion and including a portion adjacent to the adhesive barrier wall more than the first portion,
The portion of the above adhesive member adjacent to the above adhesive barrier is,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arranged between the display panel and the cover window around the pad portion.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
상기 표시패널의 패드부에 본딩되어 상기 표시패널 측으로 상기 구동신호를 제공하는 연성인쇄회로기판;
상기 연성인쇄회로기판에 본딩된 상기 패드부를 커버하는 본딩 커버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는 접착층;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표시패널을 상기 커버 윈도우에 접착시키고, 상기 접착층을 둘러싸서 상기 접착층이 형성되는 영역을 정의하는 접착성 격벽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성 격벽은 상기 표시패널의 에지를 따라 배치된 선형의 형상을 갖고, 상기 패드부에 대응하는 상기 접착성 격벽의 일 부분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의 사이 및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대향 기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 윈도우, 상기 본딩 커버부 및 상기 대향 기판에 접착된 표시장치. A display panel comprising an array substrate having a plurality of pixels, a counter substrate coupled to the array substrate, and a liquid crystal layer between the array substrate and the counter substrate, and having a pad portion to which a driving signal is input;
A cover window adhered to the above display panel and covering the above display panel;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bonded to the pad portion of the display panel and providing the driving signal toward the display panel;
A bonding cover portion covering the pad portion bonded to the above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 adhesive layer dis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to adhere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window; and
An adhesive barrier is dis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to adhere the display panel to the cover window and surround the adhesive layer to define an area where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The adhesive partition has a linear shape arranged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and a portion of the adhesive partition corresponding to the pad portion is arrang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counter substrate, and is a display device bonded to the cover window, the bonding cover portion, and the counter substrate.
커버 윈도우의 배면에 접착부재가 접착되는 단계; 및
상기 커버 윈도우가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윈도우가 상기 표시패널에 접착될 때, 상기 접착부재가 상기 본딩 커버부에 접착되어 상기 패드부가 상기 커버 윈도우에 고정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 사이에 개재된 제1 부분;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본딩 커버부의 일 측면을 커버하는 제2 부분; 및
상기 제1 부분과 연결되어 상기 본딩 커버부의 다른 측면을 커버하는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본딩 커버부에 접촉되고,
상기 제2 부분은 상기 본딩 커버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부분에 대향하고,
상기 접착부재는 상기 본딩 커버부를 둘러싸는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A step of forming a bonding cover portion that covers a pad portion of a display panel bonded to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 step of bonding an adhesive material to the back surface of the cover window; and
Including a step of adhering the cover window to the display panel,
When the above cover window is bonded to the display panel, the adhesive member is bonded to the bonding cover portion so that the pad portion is fixed to the cover window,
The above adhesive material is,
A first portion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ortion;
A second part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covering one side of the bonding cover part; and
A third part is included that is connected to the first part and covers the other side of the bonding cover part,
The above first part is in contact with the cover window and the bonding cover part,
The second part is opposite to the third part with the bonding cover part interposed therebetwee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dhesive member has a shape that surrounds the bonding cover portion.
상기 표시패널의 에지를 따라 상기 표시패널 위에 접착성 레진이 폐루프 형상으로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접착성 레진이 경화되어 예비 접착성 격벽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예비 접착성 격벽으로 정의되는 공간 내에 접착성 레진이 제공되어 예비 접착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커버 윈도우가 상기 표시패널에 합착되고, 상기 커버 윈도우와 상기 표시패널의 사이에 상기 예비 접착성 격벽과 상기 예비 접착층이 개재되는 단계; 및
상기 예비 접착성 격벽이 경화되고, 상기 예비 접착층이 경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장치의 제조 방법. In the 12th paragraph, the step of attaching the cover window to the display panel is,
A step of forming an adhesive resin in a closed loop shape on the display panel along the edge of the display panel;
A step in which the above adhesive resin is cured to form a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A step of providing an adhesive resin within a space defined by the above-mentioned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to form a preliminary adhesive layer;
A step in which the cover window is bonded to the display panel, and the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and the preliminary adhesive layer are interposed between the cover window and the display panel;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preliminary adhesive barrier is cured and the above-mentioned preliminary adhesive layer is cure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261A KR102740896B1 (en) | 2018-12-10 | 2018-12-10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58261A KR102740896B1 (en) | 2018-12-10 | 2018-12-10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0762A KR20200070762A (en) | 2020-06-18 |
KR102740896B1 true KR102740896B1 (en) | 2024-12-12 |
Family
ID=7114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58261A Active KR102740896B1 (en) | 2018-12-10 | 2018-12-10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089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8840A1 (en) * | 2010-06-16 | 2011-12-22 | 旭硝子株式会社 | Curable resin composition,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laminate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1114B1 (en) * | 2010-12-03 | 2015-05-19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
KR102181331B1 (en) * | 2013-11-15 | 2020-11-20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and liquid crystal display including the same |
KR102263982B1 (en) * | 2014-10-20 | 2021-06-11 |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KR20170098351A (en) * | 2016-02-19 | 2017-08-3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Display apparatus |
-
2018
- 2018-12-10 KR KR1020180158261A patent/KR10274089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158840A1 (en) * | 2010-06-16 | 2011-12-22 | 旭硝子株式会社 | Curable resin composition, laminate comprising same, and process for production of the laminat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0762A (en) | 2020-06-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62699B2 (en) | Display device | |
JP4494446B2 (en) | Display device | |
JP5147610B2 (en) | Liquid crystal display | |
KR101130456B1 (en) | Protective plate integrated display apparatus | |
US10347864B2 (en) | Display device | |
JP6779805B2 (en) | Backlight devic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quipped with this | |
JP2010085632A (en) | Electro-optical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160092084A (en) | Curved display device | |
US20170242287A1 (en) |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 |
KR102351509B1 (en) | Display device | |
CN206990977U (en) | Display device | |
KR102740896B1 (en) |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 same | |
KR102162169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JP4974280B2 (en) | Backlight uni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 |
JP2008203728A (en)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 |
CN112309244A (en) | displa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0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