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40614B1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with absorbant recirculation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with absorbant recircul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40614B1 KR102740614B1 KR1020220083815A KR20220083815A KR102740614B1 KR 102740614 B1 KR102740614 B1 KR 102740614B1 KR 1020220083815 A KR1020220083815 A KR 1020220083815A KR 20220083815 A KR20220083815 A KR 20220083815A KR 102740614 B1 KR102740614 B1 KR 1027406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bon dioxide
- absorbent
- rich
- absorption tower
- pi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68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4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2
- 230000002745 absorben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7
- 239000002250 absorb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7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7
- 230000003134 recircul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6
- 150000003464 sulfur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1276 controll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791 quen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0171 quench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150000001412 amin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992 reflux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TQHKBHJIVJGKJ-UHFFFAOYSA-N sulfur monoxide Chemical class S=O XTQHKBHJIVJGK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6477 desulfu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23556 desulfuriz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815 sulfur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HZAXFHJVJLSVMW-UHFFFAOYSA-N 2-Aminoethan-1-ol Chemical compound NCCO HZAXFHJVJLSVM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31 catalytic redu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95 desorp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46 flu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431 greenhous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6395 saturated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792 w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QGZKDVFQNNGYKY-UHFFFAOYSA-N Ammonia Chemical compound N QGZKDVFQNNGYK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 amin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872 dega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TXKMVPPZCYKFAC-UHFFFAOYSA-N disulfur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O=S=S TXKMVPPZCYKFA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4 petroleum ref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75—Removing carbon diox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12—Controlling the absorption proces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25—Regeneration of liquid absorb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31—Pretreatment by other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56—Removing acid components
- B01D53/1481—Removing sulfur dioxide or sulfur trioxid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1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bsorption
- B01D53/1493—Selection of liquid materials for use as absorb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2/00—Absorbents, i.e. solvents and liquid materials for gas absorption
- B01D2252/20—Organic absorbents
- B01D2252/204—Am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50—Carbon oxides
- B01D2257/504—Carbon dioxide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C—CAPTURE, STORAGE, SEQUESTRATION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GHG]
- Y02C20/0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 Y02C20/40—Capture or disposal of greenhouse gases of CO2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ing Waste Gase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화합물을 제거하는 전처리 설비; 상기 전처리 설비에서 황화합물이 제거된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입 배관; 상기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흡수제를 반응시키는 흡수탑;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흡수제가 반응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이동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마련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탈거탑; 상기 탈거탑과 상기 흡수탑을 연결하며,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이동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되는 재순환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을 통해 상기 제1배관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상기 흡수탑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omprising: a pretreatment facility for removing sulfur compound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from which sulfur compounds have been removed in the pretreatment facility moves; an absorption tower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and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reacts with an absorbent; a first pipe through which a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which has reacted the carbon dioxide with the absorbent, moves;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first pipe and through which heat exchange with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is performed; a stripping tower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is introduced and through which carbon dioxide is separated from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a second pipe connecting the stripping tower and the absorption tower and through which a carbon dioxide-lean absorbent from which the carbon dioxide has been separated moves; a recirculation pipe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and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moving into the first pipe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투입할 수 있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which can re-inject a portion of the circulated absorbent into an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in the absorption tower.
최근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심각성이 인식되기 시작하면서 세계 각국은 온실 가스에 대한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으며, 이러한 지구 온난화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이산화탄소이다. 따라서, 온실 가스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포집하여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저감시키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Recently, as the seriousness of the global warming phenomenon has begun to be recognized,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struggling to come up with countermeasures for greenhouse gases, and one of the biggest factors in this global warming is carbon dioxide. Therefore,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on technologies that efficiently capture carbon dioxide, the most important greenhouse gas, and reduce carbon dioxide in exhaust gas.
CCS(Carbon Capture & storage)는 이산화탄소의 포집, 압축, 이송 및 저장에 관한 기술을 통칭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의 이산화탄소를 화학흡수공정에 의해 분리하는 기술로서, 습식 아민(Amine) 공정이 상용화 기술로서 타당하게 평가되고 있다. CCS (Carbon Capture & Storage) is a general term for technologies related to capturing, compressing, transporting, and storing carbon dioxide. Among these, the wet amine process is being evaluated as a feasible commercialization technology as a technology that separates carbon dioxide from exhaust gas emitted from thermal power plants through a chemical absorption process.
일반적으로, 액상의 아민류 화합물 또는 액상의 암모니아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서, 석유 정제 공정에서 황 성분을 제거하는 공정이나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공정에 사용될 수 있다. In general, liquid amine compounds or liquid ammonia have the property of absorbing carbon dioxide, so they can be used in processes for removing sulfur components in petroleum refining processes or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from exhaust gas emitted from thermal power plants.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습식 아민 공정에 의한 이산화탄소 포집설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아민을 이용한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설비는 아민계열의 흡수제와 배기가스의 접촉을 위한 흡수탑(20)과, 흡수된 이산화탄소의 탈거를 위한 탈거탑(50)과, 배기가스의 전처리 설비(10)를 포함한다. Figure 1 illustrates a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using a conventional wet amine process. Referring to Figure 1,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using amine includes an absorption tower (20) for contacting an amine-based absorbent with exhaust gas, a stripping tower (50) for stripping the absorbed carbon dioxide, and a pretreatment facility for exhaust gas (10).
아민을 이용한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대표적인 흡수제로는 MEA(Monoethanol Amine)가 있으며, 재생에너지 절감 및 열화 방지를 위해 개선된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용 흡수제가 사용될 수 있다. A representative absorbent for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ies using amines is MEA (Monoethanol Amine), and improved absorbents for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ies can be used to save renewable energy and prevent deterioration.
석탄화력발전소에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가 적용될 경우,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는, 탈황(FGD: Flue Gas Desulfurization) 설비, 탈질(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설비, 집진 설비가 구비된 전처리 설비(10)를 통과한 후 유입 배관(12)을 통해 흡수탑(20)으로 유입된다. When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is applied to a coal-fired power plant,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passes through a pretreatment facility (10) equipped with a desulfurization (FGD: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a denitrification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facility, and a dust collection facility, and then flows into an absorption tower (20) through an inlet pipe (12).
배기가스 중 이산화탄소의 함량은 연소되는 연료 및 운전조건에 따라 달라지나 석탄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 함량은 통상 15 vol.% 내외이며, 복합화력발전소에서는 배기가스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약 3~4 vol.%일 수 있다. 배기가스 중 일부는 급기팬(11)에 의해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이송된다. 유입된 배기가스는 별도의 ??칭 타워(16)로 유입되는데, 석탄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면, 배기가스 내에 잔존하는 황산화물이 더 제거되고, 배기가스 온도는 약 40℃로 낮아진다.The carbon dioxide content in the exhaust gas varies depending on the fuel being burned and the operating conditions, but the carbon dioxide content in the exhaust gas of a coal-fired power plant is typically around 15 vol.%, and in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exhaust gas can be around 3 to 4 vol.%. A portion of the exhaust gas is transported to a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by a supply fan (11). The introduced exhaust gas is introduced into a separate quenching tower (16). When the exhaust gas of a coal-fired power plant is introduced, the sulfur oxides remaining in the exhaust gas are further removed, and the exhaust gas temperature is lowered to around 40°C.
복합화력발전소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면, 배기가스 내에 황산화물이 거의 없어 잔존하는 황산화물을 더 제거하는 목적보다는 배기가스 온도를 약 40℃로 낮추는데 그 목적이 있다. 석탄화력발전소와 복합화력발전소 모두 배기가스 내에 수분은 ??칭타워에서 응축수로 제거되고, ??칭타워 이후에는 해당 온도 (약 40℃)의 포화수증기압으로 흡수탑으로 유입된다.When the exhaust gas of a combined cycle power plant is introduced, the purpose is to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to approximately 40℃ rather than to further remove the remaining sulfur oxides since there is almost no sulfur oxide in the exhaust gas. In both coal-fired power plants and combined cycle power plants, moisture in the exhaust gas is removed as condensate in the quenching tower, and after the quenching tower, it flows into the absorption tower at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of the corresponding temperature (approximately 40℃).
이와 같이 배기가스 전처리 설비(10)를 거친 배기가스는 흡수탑(20)의 하부로 유입되고, 흡수탑(20)의 상부로부터 액상 흡수제가 투입되면, 흡수탑(20) 내에서 서로 향류로 흐르면서 기-액 접촉이 진행되어 액상 흡수제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된다.In this way, th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exhaust gas pretreatment facility (10) flows into the low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20), and when a liquid absorbent is injec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20), gas-liquid contact occurs while they flow countercurrently within the absorption tower (20), and carbon dioxide is absorbed by the liquid absorbent.
흡수탑(20)의 상부로는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흡수탑(20) 하부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리치 용액(rich solution))가 배출된다.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으며, 온도는 약 40~50℃정도이다. 이산화탄소가 제거된 배기가스는 흡수탑(20) 상부의 워터 스프레이(Water Spray)로 인하여 온도가 약 40℃까지 낮아지고, 상기 배기가스는 다시 주연돌 또는 별도 연돌을 통해 배출된다.The exhaust gas from which carbon dioxide has been removed is discharg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20), and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ich solution)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20).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contains carbon dioxide and has a temperature of about 40 to 50°C.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from which carbon dioxide has been removed is lowered to about 40°C due to the water spray at the upp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20), and the exhaust gas is discharged again through the main chimney or a separate chimney.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제1배관(30)을 통해 이동되며, 제1배관(30)에 구비된 리치 용액 펌프(31)를 통해 열교환기(40)로 유입될 수 있다. 열교환기(40)를 거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현열(sensible heat)을 회수하여 90~100℃의 온도로 가열되면서 탈거탑(50)의 상부로 유입된다.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moved through the first pipe (30) and can be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rich solution pump (31) provided in the first pipe (30).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has passed through the heat exchanger (40)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stripping tower (50) while recovering sensible heat and being heated to a temperature of 90 to 100°C.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탈거탑(50) 상부에서 하부로 흐르면서 열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흡수제와 이산화탄소가 분리되고,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탈거탑(50) 상부로 배출된다. 탈거탑(50) 상부로 배출되는 고농도의 이산화탄소의 온도는 약 80~90℃로서 탈거탑(50)의 상부 온도와 거의 같고, 포화수증기압에 해당하는 수분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응축기(70) 및 환류 드럼 (Reflux Drum, 71)를 통해 수분이 제거될 수 있다.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flows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stripping tower (50) and is heated by heat energy, so that the absorbent and carbon dioxide are separated, and the separated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stripping tower (50). The temperature of the high-concentration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the top of the stripping tower (50) is approximately 80 to 90°C, which is almost the same as the temperature at the top of the stripping tower (50), and since it contains moisture corresponding to the saturated vapor pressure, the moisture can be removed through the condenser (70) and the reflux drum (71).
응축기(70)와 환류 드럼(71)에서 제거된 수분은 응축수로서 다시 탈거탑(50)으로 유입된다. 수분이 제거된 이산화탄소는 이송, 저장 또는 재이용하기 위해서는 압축설비로 공급된다. The moisture removed from the condenser (70) and the reflux drum (71) is returned to the stripping tower (50) as condensate. The carbon dioxide from which moisture has been removed is supplied to a compression facility for transport, storage, or reuse.
탈거탑(50)의 하단으로는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린 용액(lean solution))가 배출된다.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의 온도는 약 105~120℃ 정도이고, 제2배관(60)을 통해 열교환기(40)로 유입되어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 현열을 전달한다. 현열을 잃은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는 제2배관(60)에 구비된 린 용액 펌프(61)를 통해 흡수탑(20)의 상부로 유입되어, ??칭 타워(16)에서 전처리된 배기가스와 접촉하게 된다.A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lean solution)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stripping tower (50).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is approximately 105 to 120°C, and it is introduced into the heat exchanger (40) through the second pipe (60) to transfer sensible heat to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that has lost sensible hea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20) through the lean solution pump (61) provided in the second pipe (60),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exhaust gas pretreated in the quenching tower (16).
이와 같이, 탈거탑(50) 하부로는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배출되는데, 이산화탄소가 분리되는 과정에 있는 탈거탑(50) 내의 일부 흡수제는 재열기(80)로 유입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from which carbon dioxide has been separated is discharged from the bottom of the stripping tower (50), and some of the absorbent in the stripping tower (50) in which carbon dioxide is being separated may be introduced into the reheater (80).
재열기(80)로는 약 2 bar.g 이상의 증기가 유입되고, 증기에 의해 재열기(80) 내부로 유입된 흡수제가 가열된다. 재열기(80) 내에서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와 증기가 발생하고, 이 혼합가스는 탈거탑(50)으로 유입되어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열 에너지를 제공한다. Steam of about 2 bar.g or more is introduced into the reheater (80), and the absorbent introduced into the reheater (80) is heated by the steam. Carbon dioxide and steam are generated from the absorbent inside the reheater (80), and this mixed gas is introduced into the stripping tower (50) to provide heat energy for separating carbon dioxide from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다양하나, 대개 끓는점이 물의 끓는점보다 높고,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서 이산화탄소의 탈기 온도 역시 물의 끓는점보다 높다. 따라서 재열기(80)에서 가장 먼저 끓어 기화되는 물질은 물일 수 있다. 재열기(80)에서 가열된 물질의 대부분은 물이며, 물이 가열되어 증기로 전환된 후 탈거탑(50)으로 유입된다. 이에 탈거탑(50) 상부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가열하는 물질은 물이 증발한 증기일 수 있다.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s are diverse, but most of them have a boiling point higher than that of water, and the degassing temperature of carbon dioxide in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also higher than that of water. Therefore, the substance that boils and vaporizes first in the reheater (80) may be water. Most of the substance heated in the reheater (80) is water, and the water is heated and converted into vapor and then flows into the stripping tower (50). Accordingly, the substance that heats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flows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ripping tower (50) may be vapor from evaporated water.
재열기(80)에서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흡수제는 다시 탈거탑(50)으로 유입된다. 재열기(80)로 유입된 증기는 잠열을 전달하고 응축수의 형태로 응축수 탱크(81)로 유입 및 집수된 후 증기 생산공정으로 회송된다. The absorbent from which carbon dioxide has been separated in the reheater (80) is fed back into the stripping tower (50). The steam fed into the reheater (80) transfers latent heat and is fed into and collected in the form of condensate in the condensate tank (81) and then returned to the steam production process.
재열기(80)로 유입되는 증기의 양은 리치 용액 펌프(31)와 린 용액 펌프(61)에 의한 흡수제의 순환속도에 따라 달라진다. 두 펌프의 유량을 높이면, 흡수제의 순환량이 증가한다. 흡수제의 순환량이 증가하면, 흡수탑(20)에서 기액비 (L/G, Liquid-Gas Ratio)가 증가하여 흡수탑(20)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이 증가한다. The amount of steam flowing into the reheater (80) varies depending on the circulation speed of the absorbent by the rich solution pump (31) and the lean solution pump (61). When the flow rate of the two pumps is increased, the circulation amount of the absorbent increases. When the circulation amount of the absorbent increases, the liquid-gas ratio (L/G) in the absorption tower (20) increases, and the absorp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in the absorption tower (20) increases.
물론 기액비를 증가시키더라도 이산화탄소 흡수율(단위 흡수제의 무게당 흡수하는 이산화탄소의 무게의 비)이 증가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기액비가 증가하면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를 미처 흡수하지 못하는 흡수제가 있어서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율은 감소할 수 있다. Of course, even if the gas-liquid ratio increases,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the ratio of the weight of carbon dioxide absorbed per unit weight of absorbent) does not increase. Rather, if the gas-liquid ratio increases, there may be absorbents that cannot absorb carbon dioxide in the absorption tower, so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of the absorbent may decrease.
반대로, 흡수제의 순환량이 감소하면, 기액비가 낮아져, 흡수탑(20)에서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여 원하는 이산화탄소 제거율을 달성하지 못할 수 있다. 흡수탑(20)에서의 최적의 기액비는 흡수제에 따라 다르므로 실험적으로 도출하는데, 이론적으로는 흡수탑(20) 하부의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이산화탄소를 모두 포집한 상태가 바람직하다.Conversely, if the circulation amount of the absorbent decreases, the gas-liquid ratio decreases, so that the absorption tower (20) may not sufficiently absorb carbon dioxide, and thus the desired carbon dioxide removal rate may not be achieved. The optimal gas-liquid ratio in the absorption tower (20) varies depending on the absorbent, and is derived experimentally. In theory, it is desirable for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20) to capture all carbon dioxide.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탈거탑(50)에서 충분히 탈기하기 위해서는 탈거탑(50)에서 충분한 체류시간과 충분한 증기가 공급되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탈거탑(50)에서 흡수액이 충분히 재생되지 않아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 내에 미처 탈기되지 않은 이산화탄소가 포함되어 있어 흡수탑(20)에서 이산화탄소를 충분히 흡수하지 못하게 될 수 있다. 즉,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 내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흡수액이 일정량 계속 순환하여 시스템이 효율적이지 않게 된다. In order to sufficiently strip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in the stripping tower (50), sufficient residence time and sufficient steam must be supplied in the stripping tower (50). Otherwise, the absorbent liquid in the stripping tower (50) is not sufficiently regenerated, so that the carbon dioxide that has not been degassed is contained in the carbon dioxide-lean absorbent, and thus carbon dioxide may not be sufficiently absorbed in the absorption tower (20). In other words, the absorbent liquid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continues to circulate in a certain amount within the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making the system inefficient.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탈거탑(50)으로 유입되는데, 흡수제가 흡수한 이산화탄소의 양과는 무관하게 탈거탑에서 흡수제의 물 성분을 기화시켜야 하기 때문에 투입되는 증기의 유량에 비하여 탈기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이 적을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흡수제의 순환량을 실험적으로 최적화하여 운전하여야 한다.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fed into the stripping tower (50), bu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by the absorbent, the water component of the absorbent must be vaporized in the stripping tower, so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stripped must be less than the amount of steam being injected. Therefore, the circulation amount of the absorbent must be experimentally optimized for operation.
복합화력발전소는 가스터빈(Gas Turbine)의 부하 변동이 심하다. 급전지시에 따라 DSS (Daily Start and Stop) 운전을 하거나 1일 운전 중에도 최대 부하와 부분 부하 운전이 수시로 변하기도 한다. 가스터빈의 운전 부하에 따라 발생되는 배기가스의 유량 및 배기가스 조성이 달라진다. 특히 CO2 농도는 35% 부분 부하시 약 3.5 vol.% 정도이나 정격부하에서는 약 4.8 vol.%까지 증가한다. Combined cycle power plants have a large load fluctuation of gas turbines. Depending on the power supply command, DSS (Daily Start and Stop) operation is performed, and even during one-day operation, the maximum load and partial load operation may change frequently. The flow rate and composition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vary depending on the operating load of the gas turbine. In particular, the CO2 concentration is about 3.5 vol.% at 35% partial load, but increases to about 4.8 vol.% at rated load.
통상 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일부를 취출하여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시키는데, 이때 배기가스 유량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유량이 일정한데, 가스터빈의 부하에 따라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달라지면, 흡수탑(20)에서 이산화탄소 흡수율이 달라질 뿐만 아니라 탈거탑(5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 유량도 달라진다. A portion of the exhaust gas generated from a power plant is extracted and fed in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and the exhaust gas flow rate is maintained constant. While the exhaust gas flow rate fed into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is constant,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hanges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gas turbine, not only does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in the absorption tower (20) change, but the carbon dioxide flow rat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50) also changes.
탈거탑(50) 이후에는 이산화탄소를 활용 또는 저장하기 위해 압축설비가 설치되는데, 압축설비로 유입되는 유량 변동이 있을 경우, 안정적인 운전이 어렵다. 따라서 안정적인 압축설비 운용을 위해서는 탈거탑(5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가능한 일정하게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fter the desorption tower (50), a compression facility is installed to utilize or store carbon dioxide. However, if there is a change in the flow rate flowing into the compression facility, stable operation is difficult. Therefore, in order to operate the compression facility stably, it is desirable to keep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desorption tower (50) as constant as possible.
따라서 복합화력발전소 가스터빈에서 발생하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가스터빈의 부하 변동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일정한 유량 및 일정한 이산화탄소 농도가 유입되는 조건으로 운전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유입조건이 변동되는 조건에 대한 대비책이 없는 문제점이 있다. Therefor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ie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from exhaust gas generated from combined cycle power plant gas turbines must be able to actively respond to load fluctuations in the gas turbine. However, conventional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ies are generally operated under conditions where a constant flow rate and constant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re introduced, so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re is no countermeasure for conditions where the inflow conditions change.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투입할 수 있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more specifically, relates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in which an absorbent is recycled, in which a portion of the circulated absorbent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in the absorption tower for absorbing carbon dioxid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를 포집하기 위한 이산화탄소 포집설비로서,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화합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전처리 설비; 상기 전처리 설비에서 처리된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입 배관; 상기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흡수제를 반응시키는 흡수탑;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흡수제가 반응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이동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마련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탈거탑; 상기 탈거탑과 상기 흡수탑을 연결하며,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이동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되는 재순환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을 통해 상기 제1배관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상기 흡수탑으로 재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exhaust gas, comprising: a pretreatment facility for removing sulfur compound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treated in the pretreatment facility moves; an absorption tower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flows in through the inlet pipe and which reacts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with an absorbent; a first pipe through which a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which has reacted the carbon dioxide and the absorbent, flows;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first pipe and through which heat exchange with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is performed; a stripping tower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flows in and which separates carbon dioxide from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a second pipe connecting the stripping tower and the absorption tower and through which a carbon dioxide-lean absorbent from which the carbon dioxide is separated flows; It includes a recirculation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pipe and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oving to the first pipe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흡수탑으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treatment facility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rate control valve for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에 따라 개폐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treatment facility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low meter capable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and the flow rate control valve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flow met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전처리 설비는 배기가스를 이동시키는 급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급기팬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회송 배관에 설치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treatment facility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fan for moving exhaust gas, and the flow rate control valve can be installed in a return pip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ly fan.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분석기를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treatment facility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rbon dioxide analyzer that measur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제1배관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리치 용액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은, 상기 흡수탑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rst pipe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rich solution pump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nd the recirculation pipe can be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while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connecting between the absorption tower and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재순환 배관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상기 흡수탑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리치 용액 펌프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recirculation pipe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in which the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irculates may be equipped with a second rich solution pump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o the absorption tow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상기 흡수탑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리치 분석기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 및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치 분석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 및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ich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rich analyz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제1배관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리치 용액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rst pipe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first rich solution pump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nd the recirculation pipe can be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while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connecting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heat exchang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재순환 배관에는, 상기 재순환 배관을 개폐하는 제1조절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recirculation pipe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in which the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irculates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recirculation pi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에는, 상기 제1배관의 개폐하는 제2조절 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first pipe connecting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heat exchanger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ntro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ip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상기 흡수탑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리치 분석기와, 상기 제1조절 밸브 및 상기 제2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치 분석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조절 밸브 및 상기 제2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rich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and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wherein the control unit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rich analyzer.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의 상기 흡수탑에서 상기 재순환 배관이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제2배관이 상기 흡수탑과 연결되는 지점 보다 낮은 지점일 수 있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oint at which the re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in the absorption tower of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 point lower than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pipe is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본 발명은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투입함에 따라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탈거탑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in which an absorbent is recycled. The facility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a stripping tower can be maintained constant even if th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change by reintroducing a portion of the circulated absorbent into the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in the absorption tower.
본 발명은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탈거탑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탈거탑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운영되는 압축설비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tably operate a compression facility system operated with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a stripping tower by maintaining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from a stripping tower constant even when th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change.
또한, 본 발명은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순환시켜 흡수탑에서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증가시킴에 따라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최대화시켜 탈거탑에서 이산화탄소 분리에 필요한 열에너지 또는 증기 소요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maximize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of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by recycling a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in the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liquid-gas ratio (L/G) in the absorption tow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energy or steam required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in the stripping tower.
이와 함께, 본 발명은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분석기와, 배기가스의 유입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flowing into a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can be controlled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rough a carbon dioxide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exhaust gas in real time and a flow rate control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도 1은 종래의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치 분석기와 제어부를 통해 제1리치 용액 펌프 및 제2리치 용액 펌프와, 제1조절 밸브 및 제2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drawing showing a conventional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showing the control of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and the first regulating valve and the second regulating valve through a rich analyzer and a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명확히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고, 실시 예들을 개시한다. 개시된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is specification clarifies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explains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iscloses embodiments so that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closed embodiments can be implemented in various forms.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서 사용될 수 있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발명(disclosure)된 해당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하나 이상의 기능, 동작 또는 구성요소 등을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includes" or "may include", which may be used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dicate the presence of the disclosed corresponding function, operation or component, etc., and do not limit one or more additional functions, operations or components, etc. In addi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includes" or "has"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said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said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also be other new components between said component and said other component.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new components exist between said component and said other component.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본 발명은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으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투입할 수 있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nd more particularly, to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in which a portion of the circulated absorbent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in the absorption tower for absorbing carbon diox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탈거탑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흡수탑으로 재순환시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reases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by recycling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in the absorption tower to the absorption tower in order to keep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constant even when th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vary.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전처리 설비(110), 유입 배관(112), 흡수탑(120), 제1배관(130), 열교환기(140), 탈거탑(150), 제2배관(160), 재순환 배관(210)을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 2,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etreatment facility (110), an inlet pipe (112), an absorption tower (120), a first pipe (130), a heat exchanger (140), a stripping tower (150), a second pipe (160), and a recirculation pipe (210).
상기 전처리 설비(110)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화합물을 더 제거하거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것일 수 있으며, 상기 유입 배관(112)은 상기 전처리 설비(110)에서 처리된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배관일 수 있다. 상기 유입 배관(112)은 상기 전처리 설비(110)와 상기 흡수탑(120)을 연결하는 배관일 수 있다.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10) may further remove sulfur compound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or lower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nd the inlet pipe (112) may be a pip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treated in the pretreatment facility (110) moves. The inlet pipe (112) may be a pipe connecting the pretreatment facility (110) and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전처리 설비(110)는 탈황(FGD: Flue Gas Desulfurization) 설비, 탈질(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설비, 집진 설비가 구비되는 것으로, 상기 전처리 설비(10)를 통과한 배기가스는 상기 유입 배관(112)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될 수 있다.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10) is equipped with a desulfurization (FGD: Flue Gas Desulfurization) facility, a denitrification (SCR: Selective Catalytic Reduction) facility, and a dust collection facility, and the exhaust gas passing through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0) can be 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inlet pipe (112).
상기 전처리 설비(110)는 배기가스를 이동시키는 급기팬(111)과 ??칭 타워(Quenching Tower, 116)을 포함하며, 상기 급기팬(111)을 통해 배기가스가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칭 타워(116)는 배기가스에 잔존하는 황산화물을 추가로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배기가스는 상기 ??칭 타워(116)를 통과하면서 잔존하는 황산화물이 더 제거되고, 온도가 약 40℃로 낮아진후 상기 흡수탑(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10) includes a supply fan (111) for moving exhaust gas and a quenching tower (116), and the exhaust gas can be moved through the supply fan (111). The quenching tower (116) can additionally remove sulfur oxides remaining in the exhaust gas, and as the exhaust gas passes through the quenching tower (116), the remaining sulfur oxides are further removed, and after the temperature is lowered to about 40° C., it can be mov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흡수탑(120)은 상기 유입 배관(112)을 통해 상기 전처리 설비(110)의 배기가스가 유입되는 것으로, 상기 흡수탑(120)에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흡수제가 반응할 수 있다. 상기 흡수탑(110)은 종래의 흡수탑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 The above absorption tower (120) receives the exhaust gas of the pretreatment facility (110) through the inflow pipe (112), and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can react with the absorbent in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above absorption tower (110) can adopt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absorption tower as it i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기가스는 상기 유입 배관(112)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로 유입된다. 상기 흡수탑(120)의 상부로 액상 흡수제가 투입되면, 상기 흡수탑(120) 내에서 배기가스와 액상의 흡수제가 서로 향류로 흐르면서 기-액 접촉되어 상기 액상의 흡수제에 이산화탄소가 흡수되어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CO2-rich-흡수제, 리치 용액(Rich Soultion))를 형성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xhaust gas containing carbon dioxide is introduced into the low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inlet pipe (112). When a liquid absorbent is introduced into the upp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exhaust gas and the liquid absorbent flow countercurrently with each other inside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come into gas-liquid contact, so that carbon dioxide is absorbed into the liquid absorbent, thereby forming a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CO2-rich absorbent, rich solution).
상기 제1배관(130)은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흡수제가 반응한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이동하는 배관으로, 상기 흡수탑(12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온도는 대략 섭씨 40℃ 내지 50℃ 정도를 유지될 수 있다. The first pipe (130) is a pipe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which has reacted with the carbon dioxide and the absorbent, moves, and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temperature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an be maintained at approximately 40° C. to 50° C.
상기 열교환기(140)는 상기 제1배관(130) 상에 마련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곳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후술할 상기 탈거탑(150)으로부터 유도되는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CO2-Lean Solution; Lean Soultion)와 열교환을 하며, 상기 열교환기(140)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와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서로 교차되면서 열교환 되는 곳이다. The above heat exchanger (140) is provided on the first pipe (130) and is where heat exchange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performed. Specifically,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exchanges heat with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CO2-Lean Solution; Lean Solution) derived from the stripping tower (150) described below, and the heat exchanger (140) is wher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nd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exchange heat while crossing each other.
상기 탈거탑(150)은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할 수 있는 곳이다. 상기 흡수탑(120)에 배출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상기 제1배관(130)을 통해 상기 탈거탑(15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탈거탑(150)은 상기 흡수탑(120)과 마찬가지로, 종래의 탈거탑의 구성을 그대로 채용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tripping tower (150) is a place wher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introduced and carbon dioxide can be separated from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discharged from the absorption tower (120) can be mov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ripping tower (150) through the first pipe (130). The stripping tower (150), like the absorption tower (120), can adopt the configuration of a conventional stripping tower as it is.
구체적으로, 상기 탈거탑(150) 내에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열 에너지에 의해 가열되어 아민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분리되고, 분리된 이산화탄소는 탈거탑(150)의 상부로 배출된다.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CO2-Lean Solution, 린 용액(Lean Solution))는 탈거탑(150)하부로 배출되어 상기 열교환기(140)로 흐른다.Specifically, in the stripping tower (150),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is heated by heat energy to separate carbon dioxide from the amine absorbent, and the separated carbon dioxide is discharged to the upper part of the stripping tower (150). The carbon dioxide-lean absorbent (CO2-Lean Solution, Lean Solution) from which carbon dioxide is separated is discharged to the lower part of the stripping tower (150) and flows to the heat exchanger (140).
상기 제2배관(160)은 상기 탈거탑(150)과 상기 흡수탑(120)을 연결하는 배관으로,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이동하는 배관일 수 있다. 상기 제2배관(160)은 상기 탈거탑(150)과 상기 흡수탑(120)을 연결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2배관(160) 상에 상기 열교환기(140)가 구비될 수 있다. The second pipe (160) above is a pipe connecting the stripping tower (150) and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may be a pipe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in which carbon dioxide is separated from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oves. The second pipe (160) may connect the stripping tower (150) and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the heat exchanger (140)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pipe (160).
상기 제2배관(160)은 상기 탈거탑(150)의 하단부로부터 연장된다. 상기 탈거탑(150)의 하단으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는 대략 섭씨 105℃ 내지 115℃ 정도이며, 상기 열교환기(140)로 유동하여 상기 열교환기(140) 내에서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와 열교환 한 후에 상기 흡수탑(120)의 상부로 유입된다.The second pipe (160) extends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ripping tower (150).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discharg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stripping tower (150) has a temperature of approximately 105° C. to 115° C., flows to the heat exchanger (140), exchanges heat with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within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n flows into the upper part of the absorption tower (1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배관(130)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리치 용액 펌프(131)가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배관(160)에는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린 용액 펌프(161)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ipe (130) may be equipped with a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that provides power to move a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nd the second pipe (160) may be equipped with a lean solution pump (161) that provides power to move a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는 상기 흡수탑(120)과 상기 열교환기(14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를 통해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상기 열교환기(140)로 이동될 수 있다.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ay be moved to the heat exchanger (140) through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상기 린 용액 펌프(161)는 상기 열교환기(140)와 상기 흡수탑(12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린 용액 펌프(161)를 통해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상기 열교환기(140)에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이동될 수 있다. The above lean solution pump (161) may be provided between the heat exchanger (140) and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may be moved from the heat exchanger (140) 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lean solution pump (16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응축기(170), 환류 드럼(171), 재열기(180), 응축수 탱크(18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ndenser (170), a reflux drum (171), a reheater (180), and a condensate tank (181).
상기 응축기(170), 상기 환류 드럼(171), 상기 재열기(180), 상기 응축수 탱크(181)는 배경기술에서 상술한 종래의 응축기(70), 환류 드럼(71), 재열기(80), 응축수 탱크(81)와 동일한 것일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above condenser (170), the reflux drum (171), the reheater (180), and the condensate tank (181) may be the same as the conventional condenser (70), reflux drum (71), reheater (80), and condensate tank (81) described above in the background art,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배기가스가 발생되는 발전소에서 가스터빈의 부하가 변동되면, 배기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상기 탈거탑(12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으로, 배기가스 내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경되더라도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을 유지하면 상기 탈거탑(12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ad of a gas turbine in a power plant generating exhaust gas changes,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exhaust gas may change.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maintain the produc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120) constant, so that even if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in the exhaust gas changes, the produc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120) can be maintained constant if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is maintained.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처리 설비(110)는 유량 조절 밸브(113), 유량계(114), 이산화탄소 분석기(115)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pretreatment facilit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low control valve (113), a flow meter (114), and a carbon dioxide analyzer (115).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는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유량계(114)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 이산화탄소 분석기(115)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bove flow control valve (113)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flow meter (114) can measure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and the carbon dioxide analyzer (115) can measure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는 상기 유량계(114)에서 측정된 유량에 따라 개폐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The above flow control valve (113) can be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flow meter (114),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는 상기 이산화탄소 분석기(115)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can control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analyzer (115).
구체적으로, 발전소의 가스터빈의 부하가 증가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증가한 경우,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발전소의 가스터빈의 부하가 감소하여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가 감소한 경우,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when the load of the gas turbine of the power plant increases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ncreases,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can be reduced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In addition, when the load of the gas turbine of the power plant decreases and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decreases,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can be increased through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처리 설비(110)는 배기가스를 이동시키는 급기팬(111)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는 상기 급기팬(111)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회송 배관(117)에 설치될 수 있다. The pretreatment facility (1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fan (111) that moves exhaust gas, and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can be installed in a return pipe (117)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ly fan (111).
상기 회송 배관(117)은 상기 급기팬(111)의 후단에서 분기되어 상기 급기팬(111)의 전단으로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회송 배관(117)을 통해 상기 급기팬(111)을 통과한 배기가스가 상기 급기팬(111)의 전단으로 다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급기팬(111)의 후단은 상기 흡수탑(120)을 향하는 방향일 수 있으며, 상기 급기팬(111)의 전단은 발전소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The above return pipe (117) branches off from the rear end of the supply fan (111) and is 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ly fan (111). The exhaust gas that has passed through the supply fan (111) through the return pipe (117) can move back to the front end of the supply fan (111). Here, the rear end of the supply fan (111) may b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the front end of the supply fan (111) may be in the direction toward the power plant.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를 상기 급기팬(110)의 후단에 설치하여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도 있으나,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이 많은 경우, 배관경이 커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를 설치하기 어려울 수 있다. The abov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may be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supply fan (110) to control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However, if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is large, it may be difficult to install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because the pipe diameter is large.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는 상기 급기팬(111)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상기 회송 배관(117)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송 배관(117)에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를 설치함에 따라, 상기 급기팬(111)을 일정 유량 및 일정 토출압으로 운전할 수 있게 되면서 안정적인 설비 운전이 가능해질 수 있다. Therefore,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nstalled in the return pipe (117)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ly fan (111). By installing the flow rate control valve (113) in the return pipe (117), the supply fan (111) can be operated at a constant flow rate and constant discharge pressure, thereby enabling stable operation of the equipment.
구체적으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와 상기 회송 배관(117)을 통해 상기 급기팬(111)의 후단으로 이동된 배기가스를 상기 급기팬(111)의 전단으로 회송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Specifically, the exhaust gas moved to the rear end of the supply fan (111) through the flow control valve (113) and the return pipe (117) can be returned to the front end of the supply fan (111), thereby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의 개도율을 증가시키면, 상기 회송 배관(117)의 유량이 증가하게 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이 감소할 수 있으며, 반대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의 개도율을 감소시키면, 상기 회송 배관(117)의 유량이 감소하여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이 증가할 수 있다. If the opening rate of the above flow control valve (113) is increased, the flow rate of the return pipe (117) increases, and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may decrease. Conversely, if the opening rate of the above flow control valve (113) is decreased, the flow rate of the return pipe (117) decreases, and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may increase.
여기서, 상기 유량 조절 밸브(113)의 개도율은, 상기 이산화탄소 분석기(115)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와 상기 유량계(114)에서 측정된 배기가스의 유량으로부터 계산된 이산화탄소의 총량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조절될 수 있다. Here, the opening rate of the flow control valve (113) can be adjusted so that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calculated from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measured by the carbon dioxide analyzer (115) and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measured by the flow meter (114) is kept constan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탈거탑(12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이 일정하더라도 배기가스 유량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조절해야 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maintain the produc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120) constant,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must be adjusted as the exhaust gas flow rat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hange even if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is constant.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가 조절되지 않으면, 상기 흡수탑(120)에서의 이산화탄소 제거율이 변동되고, 흡수제에 대한 이산화탄소의 흡수율도 달라지면서 상기 재열기(180)로 유입되는 스팀의 유량도 조절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변동에 의해 설비의 조절이 안정화되기까지 상기 탈거탑(15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이 변동될 수 있다. If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is not controlled, the carbon dioxide removal rate in the absorption tower (120) fluctuates, and the absorption rate of carbon dioxide for the absorbent also changes, so the flow rate of steam flowing into the reheater (180) must also be controlled. Due to such fluctuations,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150) may fluctuate until the control of the equipment is stabilized.
따라서, 상기 탈거탑(15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총량이 일정하더라도 배기가스 유량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동됨에 따라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조절해야 한다. Therefore, in order to maintain the produc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above-mentioned stripping tower (150) constant,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must be adjusted as the exhaust gas flow rat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change even if the total amount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is constant.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상기 재순환 배관(210)을 통해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 시킬 수 있다. To this end,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introduc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210).
상기 재순환 배관(210)은 상기 제1배관(130)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재순환 배관(210)을 통해 상기 제1배관(130)을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 될 수 있다. The above recirculation pipe (210) branches off from the first pipe (130) and is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so that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oving through the first pipe (130)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210)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전처리 설비(110)에서 배기가스 유량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동되면서 배기가스가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가 변경됨에 따라 흡수제에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흡수되지 못할 수 있다. When the exhaust gas flow rat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10) change and the exhaust gas flows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changes, so carbon dioxide may not be sufficiently absorbed by the absorbent.
이 경우, 상기 재순환 배관(210)을 통해 상기 제1배관(130)을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됨에 따라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증가시켜 이산화탄소를 다 흡수하지 못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도 이산화탄소가 흡수될 수 있게 된다. In this case, as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oving through the first pipe (130)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210)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is increased, so that carbon dioxide can be absorbed even in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has not fully absorbed carbon dioxide.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재순환 배관(210)은 상기 흡수탑(120)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130)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재순환 배관(210)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의 전단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the recirculation pipe (2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130) connecting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That is, the recirculation pip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branching from the front end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순환 배관(210)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상기 흡수탑(120)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리치 용액 펌프(211)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irculation pipe (210) may be equipped with a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o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211)는 상기 재순환 배관(210)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로 이송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일부는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211)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can provide power to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flows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210), and a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is transported to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리치 분석기(220)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 및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ich analyzer (220)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a control unit (2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치 분석기(220)는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리치 분석기(220)는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rich analyzer (220) can measure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rich analyzer (220) can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s long as it can measure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전처리 설비(110)에서 배기가스 유량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동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배기가스 유입되면, 배기가스가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에 흡수되어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When the exhaust gas flow rat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10) change and the exhaust gas flows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exhaust gas is absorbed by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and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Here,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absorbs carbon dioxide and becomes a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nd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가스터빈의 부하가 변동되는 동안에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조건이 변경되기 때문에 상기 흡수탑(120) 하부에 고인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율도 변동된다. Since the exhaust gas condition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change while the load of the gas turbine changes,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also changes.
이때,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heck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in real time,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can be measured through the rich analyzer (220)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the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경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또는 점도 또는 비중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리치 분석기(220)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리치 분석기(220)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f carbon dioxide is not sufficiently absorbed into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e pH, viscosity, or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ay fall below a certain level. The rich analyzer (220) can measure this, and the absorption rate of carbon dioxide can be indirectly measured through the rich analyzer (22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와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211)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ch analyzer (220).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와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211)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bove control unit (2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ch analyzer (220) to control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제어부(230)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증가시켜 이산화탄소를 다 흡수하지 못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도 이산화탄소가 흡수될 수 있게 된다.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is increased, so that carbon dioxide can be absorbed even in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has not fully absorbed the carbon diox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와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211)의 용량은 인버터(Inverter)를 적용하여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형식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apply a format in which the capacity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211) can be varied by applying an inverter.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재순환 배관(210)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와 상기 열교환기(14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130)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재순환 배관(210)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의 후단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연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the recirculation pipe (21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130) connecting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and the heat exchanger (140). That is, the recirculation pipe (210) may be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branch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재순환 배관(210)에는 상기 재순환 배관을 개폐하면서 유량을 조절하는 제1조절 밸브(212)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와 상기 열교환기(140)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130)에는, 상기 제1배관(130)을 개폐하면서 유량을 조절하는 제2조절 밸브(132)가 구비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irculation pipe (21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valve (212) that controls the flow rate by opening and closing the recirculation pipe. In addition, the first pipe (130) connecting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and the heat exchanger (140)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control valve (132) that controls the flow rate by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ipe (130).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로 이송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일부는 상기 제1조절 밸브(212)와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작동에 의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될 수 있다.A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ransferred to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can be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리치 분석기(220)와, 상기 제1조절 밸브(212) 및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rich analyzer (220)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and a control unit (230)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리치 분석기(220)는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리치 분석기(220)는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다면 다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 and 4, the rich analyzer (220) can measure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rich analyzer (220) can be installed at various locations as long as it can measure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전처리 설비(110)에서 배기가스 유량과 이산화탄소 농도가 변동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으로 배기가스 유입되면, 배기가스가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에 흡수되어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로 모이게 된다. 여기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여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되면서 상기 흡수탑(120)의 하부에 모이게 된다. When the exhaust gas flow rate an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110) change and the exhaust gas flows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e exhaust gas is absorbed by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and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Here,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absorbs carbon dioxide and becomes a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nd is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가스터빈의 부하가 변동되는 동안에 상기 흡수탑(120)으로 유입되는 배기가스 조건이 변경되기 때문에 상기 흡수탑(120) 하부에 고인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율도 변동된다. Since the exhaust gas condition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change while the load of the gas turbine changes,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ccumulated at the bottom of the absorption tower (120) also changes.
이때,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실시간으로 직접 확인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At this time, since it is difficult to directly check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in real time,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can be measured through the rich analyzer (220)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the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 이산화탄소가 충분히 흡수되지 않을 경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또는 점도 또는 비중이 일정 수준 이하가 될 수 있다. 상기 리치 분석기(220)는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리치 분석기(220)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흡수율을 간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게 된다. If carbon dioxide is not sufficiently absorbed into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e pH, viscosity, or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ay fall below a certain level. The rich analyzer (220) can measure this, and the absorption rate of carbon dioxide can be indirectly measured through the rich analyzer (220).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조절 밸브(212) 및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이다. Referring to FIG. 4, the control unit (23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ch analyzer (220).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조절 밸브(212) 및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작동을 제어하여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The above control unit (230)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ch analyzer (220) to control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상기 제어부(230)를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양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흡수탑(120)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증가시켜 이산화탄소를 다 흡수하지 못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에도 이산화탄소가 흡수될 수 있게 된다. By controlling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control unit (230), the liquid-gas ratio (L/G) of the absorption tower (120) is increased, so that carbon dioxide can be absorbed even in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at has not fully absorbed the carbon dioxide.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조절 밸브(212) 및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작동에 따라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시키는 경우,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131)는 종래의 리치 용액 펌프(31) 보다 용량이 큰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131) has a larger capacity than a conventional rich solution pump (31).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제1조절 밸브(212) 및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작동에 따라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시키는 경우,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제1조절 밸브(212) 및 상기 제2조절 밸브(132)의 개도율을 조절하여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유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30) can control the amount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by controlling the opening rate of the first control valve (212)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132).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재열기(180)에 열원을 공급하는 증기의 양을 제어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230)는 상기 리치 분석기(220)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재열기(180)에 열원을 공급하는 증기의 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상기 탈거탑(150)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생산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230) can also control the amount of steam that supplies heat to the reheater (180). The control unit (230) can control the amount of steam that supplies heat to the reheater (180) according to the measured value of the rich analyzer (220),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maintain the production amount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the stripping tower (150) at a constant level.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흡수탑(120)에서 상기 재순환 배관(210)이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제2배관(160)이 상기 흡수탑(120)과 연결되는 지점 보다 낮은 지점일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oint at which the recirculation pipe (210) is connected in the absorption tower (120) may be lower than the point at which the second pipe (160) is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120).
구체적으로, 상기 재순환 배관(210)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이산화타소 리치 흡수제가 재투입되는 주입 위치는, 상기 제2배관(160)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투입되는 주입 위치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jection position wher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210) be lower than the injection position where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is inject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second pipe (160).
상기 흡수탑(120)에서의 반응은 향류 접촉이기 때문에, 배기가스가 상기 흡수탑(120)에서 배출되기 전에 가능한 이산화탄소를 덜 흡수하고 있는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와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ince the reaction in the above absorption tower (120) is a countercurrent contact, it is desirable for the exhaust gas to come into contact with a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that absorbs as little carbon dioxide as possible before being discharged from the absorption tower (120).
따라서 상기 재순환 배관(210)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재투입되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는, 상기 제2배관(160)을 통해 상기 흡수탑(120)으로 투입되는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 보다 하부에서 재투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210) be reintroduced from below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120) through the second pipe (160).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의 흡수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순환되는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투입함에 따라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탈거탑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a stripping tower can be maintained constant even if th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fluctuate by reintroducing a portion of the circulated absorbent into the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amount of carbon dioxide absorbed in the absorption tower.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유량이 변동되더라도 탈거탑에서 생산되는 이산화탄소의 유량을 일정하게 유지함에 따라 탈거탑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로 운영되는 압축설비계통을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tably operate a compression facility system operated with carbon dioxide discharged from a stripping tower by maintaining the flow rate of carbon dioxide produced in a stripping tower constant even when the concentration and flow rate of carbon dioxide flowing into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change.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흡수탑에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일부를 흡수탑으로 재순환시켜 흡수탑에서의 기액비(L/G, Liquid-Gas ratio)를 증가시킴에 따라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이산화탄소 흡수율을 최대화시켜 탈거탑에서 이산화탄소 분리에 필요한 열에너지 또는 증기 소요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maximize the carbon dioxide absorption rate of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by recycling a portion of the carbon dioxide-rich absorbent that has absorbed carbon dioxide in the absorption tower to increase the liquid-gas ratio (L/G) in the absorption tower, thereby reducing the amount of heat energy or steam required for carbon dioxide separation in the stripping tower.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는 배기가스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분석기와, 배기가스의 유입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유량 조절 밸브를 통해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따라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로 유입되는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trol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through a carbon dioxide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exhaust gas in real time and a flow rate control valve capable of controlling the flow rate of exhaust gas.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on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i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patent claims.
110...전처리 설비 111...급기팬
112...공급 배관 113...유량 조절 밸브
114...유량계 115...이산화탄소 분석기
116...??칭 타워 117...회송 배관
120...흡수탑 130...제1배관
131...제1리치 용액 펌프 132...제2조절 밸브
140...열교환기 150...탈거탑
160...제2배관 161...린 용액 펌프
170...응축기 171...환류 드럼
180...재열기 181...응축수 탱크
210...재순환 배관 211...제2리치 용액 펌프
212...제1조절 밸브 220...리치 분석기
230...제어부110...
112...Supply piping 113...Flow control valve
114...
116...??
120...
131...1st
140...
160...
170...
180...
210...
212...
230...Control Unit
Claims (13)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황화합물을 제거하거나 상기 배기가스의 온도를 낮추는 전처리 설비;
상기 전처리 설비에서 처리된 상기 배기가스가 이동하는 유입 배관;
상기 유입 배관을 통해 상기 배기가스가 유입되며,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와 흡수제를 반응시키는 흡수탑;
상기 이산화탄소와 상기 흡수제가 반응한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이동하는 제1배관;
상기 제1배관에 마련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열교환이 수행되는 열교환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유입되며,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로부터 이산화탄소를 분리하는 탈거탑;
상기 탈거탑과 상기 흡수탑을 연결하며, 상기 이산화탄소가 분리된 이산화탄소 린 흡수제가 이동하는 제2배관;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되는 재순환 배관;을 포함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을 통해 상기 제1배관으로 이동하는 상기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가 상기 흡수탑으로 재유입되며,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흡수탑으로 유입되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을 조절하는 유량 조절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전처리 설비는, 배기가스를 이동시키는 급기팬을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급기팬의 전단과 후단을 연결하는 회송 배관에 설치되며,
상기 제1배관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리치 용액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되며,
상기 재순환 배관에는, 상기 재순환 배관을 개폐하는 제1조절 밸브가 구비되며,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와 상기 열교환기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에는, 상기 제1배관을 개폐하는 제2조절 밸브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a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contained in exhaust gas,
Pretreatment equipment for removing sulfur compounds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or lowering the temperature of the exhaust gas;
An inlet pipe through which the exhaust gas treated in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moves;
An absorption tower in which the exhaust gas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pipe and the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is reacted with an absorbent;
A first pipe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which has reacted with the carbon dioxide and the absorbent, moves;
A heat exchanger provided in the first pipe and in which heat exchange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performed;
A stripping tower into which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is introduced and carbon dioxide is separated from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 second pipe connecting the above-mentioned stripping tower and the above-mentioned absorption tower, through which the carbon dioxide lean absorbent from which the carbon dioxide is separated moves;
A recirculation pipe branched from the first pipe and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moving through the recirculation pipe to the first pipe is re-introduced into the absorption tower,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is,
It includes a flow control valve that controls the flow rate of the exhaust gas flowing into the absorption tower.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includes a supply fan that moves exhaust gas,
The above flow control valve is installed in the return pipe connecting the front and rear ends of the supply fan.
The first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rich solution pump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he above re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by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connecting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heat exchanger,
The above recirculation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contro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above recirculation pipe.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ipe connecting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heat exchanger is provided with a second control valve for opening and closing the first pipe.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배기가스의 유량을 측정할 수 있는 유량계를 포함하며,
상기 유량 조절 밸브는 상기 유량계에서 측정된 유량에 따라 개폐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is,
Includes a flow meter capable of measuring the flow rate of the above exhaust gas,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flow control valve is opened and closed according to the flow rate measured by the above flow meter.
상기 전처리 설비는,
상기 배기가스에 포함된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분석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pretreatment facility is,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arbon dioxide analyzer for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carbon dioxide contained in the exhaust gas.
상기 제1배관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1리치 용액 펌프가 구비되며,
상기 재순환 배관은, 상기 흡수탑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 사이를 연결하는 상기 제1배관에서 분기되면서 상기 흡수탑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The first pipe is provided with a first rich solution pump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re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while branching from the first pipe connecting between the absorption tower and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상기 재순환 배관에는,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를 상기 흡수탑으로 이동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제2리치 용액 펌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Article 6,
In the above recirculation pipe,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plant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second rich solution pump that provides power to move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to the absorption tower.
상기 흡수탑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리치 분석기와,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 및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치 분석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리치 용액 펌프 및 상기 제2리치 용액 펌프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Article 7,
A rich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ove absorption tower,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rich solution pump and the second rich solution pump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ch analyzer.
상기 흡수탑의 하부에 모여진 이산화탄소 리치 흡수제의 pH, 점도, 비중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측정할 수 있는 리치 분석기와,
상기 제1조절 밸브 및 상기 제2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치 분석기의 측정값에 따라 상기 제1조절 밸브 및 상기 제2조절 밸브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A rich analyzer capable of measuring at least one of pH, viscosity, and specific gravity of the carbon dioxide rich absorbent collected at the bottom of the above absorption tower,
It further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first control valve and the second control valve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value of the rich analyzer.
상기 흡수탑에서 상기 재순환 배관이 연결되는 지점은,
상기 제2배관이 상기 흡수탑과 연결되는 지점 보다 낮은 지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가 재순환하는 습식 이산화탄소 포집 설비.In the first paragraph,
The point where the recirculation pipe is connected in the above absorption tower is,
A wet carbon dioxide capture facility with recirculating absorb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ipe is at a lower point than the point at which it is connected to the absorption tow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815A KR102740614B1 (en) | 2022-07-07 | 2022-07-07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with absorbant recircul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083815A KR102740614B1 (en) | 2022-07-07 | 2022-07-07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with absorbant recircul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6929A KR20240006929A (en) | 2024-01-16 |
KR102740614B1 true KR102740614B1 (en) | 2024-12-10 |
Family
ID=89719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83815A Active KR102740614B1 (en) | 2022-07-07 | 2022-07-07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with absorbant recircul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40614B1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20463B2 (en) * | 2011-07-21 | 2015-05-20 | 株式会社Ihi |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and recovery apparatus |
CN113908663A (en) * | 2021-09-13 | 2022-01-11 | 常州大学 | Pressurized multi-stage "absorption, condensation, adsorption" modular combined organic waste gas recovery method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277422A (en) * | 1975-12-22 | 1977-06-29 | Noriyuki Kitamura | Material to be coated on seam of finishing foundation of building |
KR20130046546A (en) * | 2011-10-28 | 2013-05-08 | 한국전력공사 | Acidic gas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cidic gas absorption quantity |
KR20180033813A (en) * | 2016-09-26 | 2018-04-04 | 한국전력공사 | Carbon dioxide treatment apparatus |
KR102622423B1 (en) * | 2020-12-16 | 2024-01-08 | 한국전력기술 주식회사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
-
2022
- 2022-07-07 KR KR1020220083815A patent/KR102740614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720463B2 (en) * | 2011-07-21 | 2015-05-20 | 株式会社Ihi | Carbon dioxide recovery method and recovery apparatus |
CN113908663A (en) * | 2021-09-13 | 2022-01-11 | 常州大学 | Pressurized multi-stage "absorption, condensation, adsorption" modular combined organic waste gas recovery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06929A (en) | 2024-01-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Bravo et al. | Optimization of energy requirements for CO2 post-combustion capture process through advanced thermal integration | |
EP2200731B1 (en) | Improved method for regeneration of absorbent | |
JP5134578B2 (en) | CO2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 |
RU2558361C2 (en) | Water flushing method and system for carbon dioxide trapping method | |
US10874976B2 (en) | Acid gas removal apparatus and acid gas removal method | |
US8623307B2 (en) | Process gas treatment system | |
US9216380B1 (en) | Ammonia stripper for a carbon capture system for reduction of energy consumption | |
RU2656655C2 (en) | Co2 recovery apparatus, and co2 recovery method | |
NO332812B1 (en) | Amine emission control | |
KR101874068B1 (en)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 |
KR102622423B1 (en)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 |
KR20130023484A (en) | Energy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carbon dioxide capture in power plant | |
AU2013300693A1 (en) | Exhaust gas treatment system | |
KR20130046546A (en) | Acidic gas capturing apparatus and method capable of controlling acidic gas absorption quantity | |
EP2230000A1 (en) | Flue gas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ammonia solution | |
JP2018118203A (en) | Exhaust gas treatment apparatus and co2 recovery system using the same | |
CN107754568B (en) | Low-energy-consumption device for capturing and recovering carbon dioxide by flue gas and gas recovery process | |
US11148095B2 (en) | Reclaiming apparatus and method for reclaiming | |
WO2019168180A1 (en) | Co2 recovery device, and co2 recovery method | |
KR101961436B1 (en) | Apparatus for capturing carbon dioxide using heat of compression | |
KR20120029523A (en) | Separation devices and methods for separating acidic gas from mixed gas | |
CN111054187A (en) | Recovery system and gas recovery method | |
KR102740614B1 (en) | Equipment for wet type carbon dioxide capturing with absorbant recirculation | |
WO2022044487A1 (en) | Carbon dioxide recovery system | |
KR20250052175A (en) | Carbon dioxide capturing facility using stripper containing heat exchag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0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