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40176B1 -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40176B1
KR102740176B1 KR1020220125289A KR20220125289A KR102740176B1 KR 102740176 B1 KR102740176 B1 KR 102740176B1 KR 1020220125289 A KR1020220125289 A KR 1020220125289A KR 20220125289 A KR20220125289 A KR 20220125289A KR 102740176 B1 KR102740176 B1 KR 102740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rget
battery cell
battery
switching element
internal resistanc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52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45680A (ko
Inventor
기석철
윤상선
Original Assignee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252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40176B1/ko
Priority to US18/353,953 priority patent/US20240118346A1/en
Priority to JP2023117239A priority patent/JP2024052523A/ja
Priority to EP23188726.6A priority patent/EP4346057A1/en
Publication of KR202400456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56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40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4017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6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hunting, discharge or bypass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67Software therefor, e.g. for battery testing using modelling or look-up t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 G01R31/3835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involving only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5Arrangements for measu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 G01R31/387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 G01R31/388Determining ampere-hour charge capacity or SoC involving voltage measur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9Measuring internal impedance, internal conductance or related vari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2Determining battery ageing or deterioration, e.g. state of health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96Acquisition or processing of data for testing or for monitoring individual cells or groups of cells within a batter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02J7/0019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using switched or multiplexed charge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Abstract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셀마다 구비되며, 밸런싱 저항 및 상기 밸런싱 저항을 통해 각 배터리 셀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 및 밸런싱을 수행할 배터리 셀(이하,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이하,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turn on)되기 전후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교류 내부저항(Alternativ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ACIR) 값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직류 내부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스택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밸런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각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함께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Method for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and Apparatus therefor}
본 개시는 배터리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 기술되는 내용은 단순히 본 실시예와 관련되는 배경 정보만을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이 아니다.
배터리가 전기차등 다양한 영역에 적용되면서, 배터리의 건강상태(State of Charge, SOC) 및 노후화(State of Health, SOH)에 대한 보다 정확한 측정이 요구되고 있다. 이를 위해, 배터리의 내부저항(Internal Resistance, IR)을 측정하여 배터리의 노후화를 계산하는 방안이 등장하였다.
배터리의 내부저항 측정방법으로는 직류법과 교류법이 있으며, 직류법으로 측정한 내부저항을 직류 내부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이라하고, 교류법으로 측정한 내부저항을 교류 내부저항(Alternativ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ACIR)이라 한다. 직류법에서는 배터리에 특정 정전류를 펄스 형태로 인가하고 일정시간이 지난 시점에 배터리 전압의 강하량을 측정하여 직류 내부저항 값을 산출하고, 교류법에서는 배터리에 특정 주파수의 교류 전류를 인가하고 배터리 양단의 전압을 측정하여 교류 내부저항 값을 산출한다.
기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Battery Management System, BMS)에서는 직류법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직류법을 이용하는 경우, 특정 정전류를 인가하는 동안에 배터리의 충전 또는 방전이 발생하게 된다. 즉, 직류 전류로 배터리를 충전하는 경우, 충전 중이기 때문에 측정 시간에 따라 내부저항 값이 바뀌게 된다. 마찬가지로, 직류 전류로 배터리를 방전하면, 방전 중이기 때문에 측정 시간에 따라 내부저항 값이 바뀌게 된다. 이와 같이, 직류 내부저항 측정법에서는,직류 전류로 충방전하면서 배터리의 건강상태가 변하기 때문에 측정 지연 시간에 따라 내부저항 값도 같이 바뀌며, 충전량도 같이 바뀌어, 내부저항 값 산출을 위한 전압이 안정화에 도달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기차에서 차량을 구동하기 위하여 모터를 동작시키는 동안 전류는 심하게 흔들리게 된다. 또한, 차량마다 충전을 위한 정전류 값이 다르기 때문에, 오차가 심하게 발생한다.
본 개시는, 보다 짧은 시간 안에 보다 더 정확한 내부저항 측정이 가능한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 셀마다 구비되며, 밸런싱 저항 및 상기 밸런싱 저항을 통해 각 배터리 셀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 및 밸런싱을 수행할 배터리 셀(이하,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이하,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turn on)되기 전후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교류 내부저항(Alternativ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ACIR) 값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직류 내부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스택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밸런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각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함께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장치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밸런싱을 수행할 배터리 셀(이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패시브 배런싱 회로의 스위칭 소자(이하, 타겟 스위칭 소자)를 턴온(turn on)시키는 과정;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이후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측정된 전압들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교류 내부저항(Alternativ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ACIR) 값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직류 내부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 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키는 과정은, 배터리 스택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밸런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각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함께 제어하고, 상기 교류 내부저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짧은 시간 안에 보다 더 정확한 내부저항 측정이 가능하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에 포함되어 있는 패시브 밸런싱 회로들을 이용하여 셀 밸런싱을 수행함과 동시에 셀의 내부저항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 및 장치들은 기존의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변경만으로 구현될 수 있어,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본 개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저항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택 내의 각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이용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 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개시에 따른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i), ii), a), b) 등의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부호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부호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 또는 차례나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또는 '구비'한다고 할 때, 이는 명시적으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개시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개시가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하나 이상의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100), 및 제어부(120)를 전부 또는 일부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모든 블록이 필수 구성요소는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 배터리 관리장치(10)에 포함된 일부 블록이 추가, 변경 또는 삭제될 수 있다. 즉, 도 1은 패시브 밸런싱 회로를 이용하여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구성요소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다른 기능의 구현을 위해 도시한 것보다 많거나 적은 구성요소 또는 상이한 구성요소의 구성을 가질 수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한편, 도 1에서는, 배터리 관리장치(10)가 하나의 배터리 스택(14)에 포함된 배터리 셀들(Cell-1 내지 Cell-N)의 상태를 측정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복수의 배터리 스택에 포함된 배터리 셀들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100)는 배터리 셀(Cell-1 내지 Cell-N)마다 구비되며, 밸런싱 저항(BR-1 내지 BR-N) 및 밸런싱 저항(BR-1 내지 BR-N)을 통해 각 배터리 셀(Cell-1 내지 Cell-N)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N)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N)는 트랜지스터(transistor)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부(120)는, 스위칭 소자(SW-1 내지 SW-N)들을 온 또는 오프시키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각 배터리 셀(Cell-1 내지 Cell-N)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배터리 셀의 상태는, 예를 들어, 내부저항, SOC, SOH 및/또는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을 디지털신호로 변환시키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Analog-to-Digital converter, ADC)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아날로그-디지털 변환기는 배터리 셀(Cell-1 내지 Cell-N)과 제어부(120) 사이에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120)는, 복수개의 배터리 셀들(Cell-1 내지 Cell-N) 중, 밸런싱을 수행할 하나 이상의 타겟 배터리 셀(Cell-n, 여기서 n은 N 이하의 자연수)에 각각 대응하는 타겟 스위칭 소자(SW-n)들을 턴온(turn on)시키고, 각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기 전후의 각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전압에 기초하여 각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제어부(120)가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하는 방법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등가 회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저항 측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도 2에 도시되는 것과 같이, 각 배터리 셀(Cell-1 내지 Cell-N)은 등가 직렬저항(R1) 및, 리크저항(R2)과 등가 커패시터(C)가 병렬연결된 RC 병렬 회로를 포함하는 R-RC 등가 회로로 표현될 수 있다. 타겟 배터리 셀(Cell-n)과 연결된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면, 밸런싱 저항(BR-n)을 통한 방전 경로가 형성되며, 도 3에 도시된 것과 같이,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VCell -n)이 은 순간적으로 강하한 후, 안정화를 찾아가게 된다.
여기서,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는 시점에, 배터리 셀(Cell-n)에는 주파수의 크기가 무한대에 가까운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는 시점에서 타겟 배터리 셀의 등가 커패시터(C)의 임피던스가 0에 가까워지기 때문에, 전류 분배에 의해서 리크저항(R2)이 무시될 수 있고, 등가 직렬저항(R1)의 크기만을 측정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점에 기인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는 시점에서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VCell -n)의 순간적인 강하량을 측정하여,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VCell -n)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기 직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VCell -n) 및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기 직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VCell -n) 간의 차를 이용하여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됨에 따라,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전압이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등가 직렬저항(R1)과 타겟 스위칭 소자(SW-n)와 연결된 밸런싱 저항(BR-n)에 분배되는 비율에 기초하여,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수학식 1에 기초하여,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교류 내부저항 값, 즉 등가 직렬저항(R1)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Figure 112022103460484-pat00001
여기서, v1은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되기 전에 측정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VCell -n)이고, v2는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된 후에 측정된 배터리 셀의 양단 전압(VCell -n)이며, BR은 밸런싱 저항의 저항값이다. 이를 위해, 제어부(120)는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100)에 포함된 밸런싱 저항(BR-1 내지 BR-N)의 저항값을 미리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타겟 배터리 셀(Cell-n)의 직류 내부저항 값을 측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20)는 타겟 스위칭 소자(SW-n)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VCell -n)의 변화량에 기초하여, 직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어부(120)는 배터리 스택(14)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Cell-1 내지 Cell-N)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타겟 배터리 셀들의 교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120)는 교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에 앞서, 배터리 스택(14)을 다른 배터리 스택(미도시)과 병렬로 연결하는 릴레이(미도시)를 개방(open)시키고, 배터리 스택(14) 내의 홀수 번째 배터리 셀(Cell-(2i+1), 여기서, i는 (N-1)/2 이하의 자연수)들의 그룹과 짝수 번째 배터리 셀(Cell-(2j), 여기서, j는 N/2 이하의 자연수)들의 그룹 중에서, 양단 전압이 가장 높은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켜 선택된 그룹 내의 각 배터리 셀들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하고, 선택된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오프한 이후에, 나머지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켜 해당 배터리 셀들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방법은, 전술한 제어부(120) 및/또는 배터리 관리장치(1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생략한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밸런싱을 수행할 배터리 셀(이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400). 이때,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패시브 배런싱 회로의 스위칭 소자는 오프(off)되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패시브 배런싱 회로의 스위칭 소자를 턴온(turn on)시킬 수 있다(S420).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이후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440).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측정된 전압들에 기초하여, 타겟 배터리 셀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S460).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스위칭 소자가 턴온됨에 따라,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이 타겟 배터리 셀의 등가 직렬저항 성분과 스위칭 소자와 연결된 밸런싱 저항에 분배되는 비율에 기초하여,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타겟 배터리 셀의 직류 내부저항 값을 추가로 결정할 수도 있다.
한편,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배터리 스택(14)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밸런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각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함께 제어하여,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스택 내의 각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방법은, 전술한 제어부(120) 및/또는 배터리 관리장치(10)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에 대해서는 자세한 내용을 생략한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배터리 스택(14)을 다른 배터리 스택과 병렬로 연결하는 PRA(Power Relay Assembly) 릴레이를 개방(open)할 수 있다(S500). 배터리 스택들이 병렬로 연결된 상태에서 셀 밸런싱을 진행하는 경우, 상대적으로 전체 전압이 낮아진 배터리 스택으로 보상전류가 유입되며, 이 전류 값은 셀 밸런스 수의 차이에 비례하여 늘어나기 때문에 내부저항 측정에 오차를 야기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패시브 밸런싱 회로를 이용한 내부저항 측정에 앞서, 배터리 스택들 사이의 릴레이를 개방시킴으로써, 셀 밸런싱 진행으로 인한 전압 균등이 무너져 발생하는 보상 전류의 유입(또는 유출)을 방지할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배터리 스택(14) 내의 홀수 번째 배터리 셀들과 짝수 번째 배터리 셀들을 각각 그룹핑할 수 있다(S510).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홀수 셀 그룹과 짝수 셀 그룹 중에서, 양단 전압이 가장 높은 배터리 셀(이하, 최고 전압 셀)을 포함하는 그룹을 확인할 수 있다(S520).
최고 전압 셀이 포함된 그룹이 짝수 셀 그룹인 경우,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짝수 셀 그룹에 대한 셀 밸런싱을 진행할 수 있다(S530).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짝수 셀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 중 적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이하, 제1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됨에 따른, 제1 타겟 배터리 셀의 순간 변동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532).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장치(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제1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며,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기 직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 및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기 직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 간의 차를 순간 변동 전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제1 타겟 배터리 셀의 SOC 및/또는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홀수 셀 그룹에 대한 셀 밸런싱을 진행할 수 있다(S534).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제1 타겟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오프한 이후에, 홀수 셀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 중 적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이하, 제2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됨에 따른, 제2 타겟 배터리 셀의 순간 변동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536). 예를 들어, 배터리 관리장치(10)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제2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며,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기 직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 및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기 직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 간의 차를 순간 변동 전압으로 측정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제2 타겟 배터리 셀의 SOC 및/또는 온도를 함께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최고 전압 셀이 포함된 그룹이 홀수 셀 그룹인 경우,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홀수 셀 그룹에 대한 셀 밸런싱을 진행할 수 있다(S540).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홀수 셀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 중 적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인 제2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됨에 따른, 제2 타겟 배터리 셀의 순간 변동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542).
다음으로,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짝수 셀 그룹에 대한 셀 밸런싱을 진행할 수 있다(S544).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제2 타겟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오프한 이후에, 짝수 셀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 중 적어 하나 이상의 배터리 셀(이하, 제1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킬 수 있다.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스위칭 소자가 턴온 됨에 따른, 제1 타겟 배터리 셀의 순간 변동 전압을 측정할 수 있다(S536).
배터리 관리장치(10)는 각 배터리 셀들의 순간 변동 전압 및 SOC를 이용하여, SOC별 교류 내부저항을 산출할 수 있다(S550). 배터리 관리장치(10)는 온도 및 SOC 별 데이터를 비교하고(S560), 각 배터리의 SOH를 추정할 수 있다(S570). 일 예로, 배터리 관리장치(10)는 특정 배터리 셀이, 동일한 SOC의 다른 배터리 셀 대비 교류 내부저항이 큰 경우, 해당 배터리 셀의 노후화가 많이 진행된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터리 관리장치(10)는, 배터리 셀의 온도, SOC 및 내부저항에 따른 SOH가 저장된 테이블을 참조하여, 각 배터리의 SOH를 추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을 포함하는 배터리 스택(14)에서, 연속된 배터리 셀들, 즉 직접적으로 직렬 연결된 배터리 셀들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하지 않음으로써, 의도하지 않은 전류 루프(loop)와, 이로 인한 측정오차 및 사고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 또는 방법의 각 구성요소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기능이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가 각 구성요소에 대응하는 소프트웨어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설명되는 시스템들 및 기법들의 다양한 구현예들은, 디지털 전자 회로, 집적회로,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컴퓨터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및/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구현예들은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 상에서 실행 가능한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들로 구현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가능 시스템은, 저장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입력 디바이스, 그리고 적어도 하나의 출력 디바이스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수신하고 이들에게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전송하도록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이것은 특수 목적 프로세서일 수 있거나 혹은 범용 프로세서일 수 있음)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들(이것은 또한 프로그램들, 소프트웨어,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들 혹은 코드로서 알려져 있음)은 프로그래밍가능 프로세서에 대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RO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메모리 카드, 하드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의 비휘발성(non-volatile) 또는 비일시적인(non-transitory) 매체일 수 있으며, 또한 데이터 전송 매체(data transmission medium)와 같은 일시적인(transitory) 매체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흐름도/타이밍도에서는 각 과정들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이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이다. 다시 말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흐름도/타이밍도에 기재된 순서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각 과정들 중 하나 이상의 과정을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하여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흐름도/타이밍도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설명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들은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배터리 관리장치 14: 배터리 스택
100: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 120: 제어부

Claims (5)

  1. 배터리 셀마다 구비되며, 밸런싱 저항 및 상기 밸런싱 저항을 통해 각 배터리 셀을 선택적으로 방전시키기 위한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패시브 밸런싱 회로부; 및
    밸런싱을 수행할 배터리 셀(이하,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이하,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turn on)되기 전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과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후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교류 내부저항(Alternativ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ACIR) 값을 결정하고,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직류 내부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 값을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배터리 스택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밸런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각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함께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설정된 주기마다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며,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기 직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 및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직후의 주기에서 측정된 전압 간의 차를 이용하여 상기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됨에 따라,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이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등가 직렬저항과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와 연결된 밸런싱 저항에 분배되는 비율에 기초하여, 상기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교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에 앞서, 상기 배터리 스택을 다른 배터리 스택과 병렬로 연결하는 릴레이를 개방(open)하고,
    상기 배터리 스택 내의 홀수 번째 배터리 셀들의 그룹과 짝수 번째 배터리 셀들의 그룹 중에서, 양단 전압이 가장 높은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켜 각 배터리 셀들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하고,
    상기 선택된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오프한 이후에, 나머지 그룹 내의 배터리 셀들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들을 턴온시켜 각 배터리 셀들의 교류 내부저항 값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관리장치.
  5. 배터리의 내부저항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밸런싱을 수행할 배터리 셀(이하,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패시브 배런싱 회로의 스위칭 소자(이하, 타겟 스위칭 소자)를 턴온(turn on)시키는 과정;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이후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과정;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되기 전에 측정된 전압과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이후에 측정된 전압 사이의 차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교류 내부저항(Alternative Current Internal Resistance, ACIR) 값을 결정하는 과정; 및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가 턴온된 시점으로부터 일정 시간이 경과한 이후의 시간 구간 동안의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전압 변화량에 기초하여 상기 타겟 배터리 셀의 직류 내부저항(Direct Current Internal Resistance, DCIR) 값을 결정하는 과정을 포함하되,
    상기 타겟 스위칭 소자를 턴온시키는 과정은,
    배터리 스택을 구성하는 복수의 배터리 셀들 중에서 선택된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밸런싱이 동시에 수행되도록 각 타겟 배터리 셀에 대응하는 스위칭 소자를 함께 제어하고,
    상기 교류 내부저항을 결정하는 과정은, 상기 복수의 타겟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을 동시에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220125289A 2022-09-30 2022-09-30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ctive KR102740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89A KR102740176B1 (ko) 2022-09-30 2022-09-30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18/353,953 US20240118346A1 (en) 2022-09-30 2023-07-18 Method of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cell and device therefor
JP2023117239A JP2024052523A (ja) 2022-09-30 2023-07-19 バッテリセルの内部抵抗測定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EP23188726.6A EP4346057A1 (en) 2022-09-30 2023-07-31 Method of measuring internal resistance of battery cell and device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5289A KR102740176B1 (ko) 2022-09-30 2022-09-30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680A KR20240045680A (ko) 2024-04-08
KR102740176B1 true KR102740176B1 (ko) 2024-12-06

Family

ID=875509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5289A Active KR102740176B1 (ko) 2022-09-30 2022-09-30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8346A1 (ko)
EP (1) EP4346057A1 (ko)
JP (1) JP2024052523A (ko)
KR (1) KR1027401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88520A1 (en) * 2016-05-13 2019-09-19 Vito Nv Method and apparatus of a modular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storage cells
JP2021517448A (ja) 2018-10-26 2021-07-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ランシング装置、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83742B2 (ja) * 2016-09-16 2021-06-0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池の診断方法、電池の診断プログラム、電池管理装置、及び蓄電システム
KR102248227B1 (ko) * 2019-01-10 2021-05-03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밸런싱 장치,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KR20210028397A (ko) * 2019-09-04 2021-03-12 주식회사 엘지화학 배터리 팩 테스트를 위한 에뮬레이터 및 에뮬레이터가 적용된 테스트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288520A1 (en) * 2016-05-13 2019-09-19 Vito Nv Method and apparatus of a modular management system for energy storage cells
JP2021517448A (ja) 2018-10-26 2021-07-15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バランシング装置、それを含むバッテリー管理システム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5680A (ko) 2024-04-08
EP4346057A1 (en) 2024-04-03
US20240118346A1 (en) 2024-04-11
JP2024052523A (ja) 2024-04-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42037B1 (ko) 절연저항 측정 장치 및 방법
US7656164B2 (en) Method of voltage measurement and apparatus for same
KR101746141B1 (ko) 절연저항측정 장치 및 방법
US8587262B2 (en) Assembled battery monitoring apparatus, method for detecting wiring disconnection of assembled battery, and assembled battery system
JP6763376B2 (ja) 蓄電池制御装置、蓄電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US20170067967A1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reliability of state of health parameter values
JP2007240299A (ja) フライングキャパシタ方式電圧測定装置
HK1254370A1 (zh) 锂-硫电池管理系统
US20200256924A1 (en) Device and Method for Monitoring a Reliability of a Cell Impedance Measurement of a Battery Cell
US11811024B2 (en) BMS and battery system
CN105634051A (zh) 电池余量预测装置以及电池组
KR102155207B1 (ko) 절연저항 측정 장치, 이를 구비한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절연저항 측정 방법
US20150109155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electronic control device
KR102740176B1 (ko) 배터리 셀의 내부저항 측정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7864090B2 (en) Analog-to-digital converting apparatus with lower temperature dependence
JP2016211923A (ja) 充電量推定方法及び充電量推定装置
US12119683B2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battery device
JP2012220344A (ja) セル電圧測定装置
CN110235334B (zh) 均等化控制装置及车载用电源装置
KR20230063689A (ko) 저항 퇴화도에 기초한 배터리 진단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배터리 시스템
KR20220100330A (ko) 방전 전압 그래프 예측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시스템
US10401437B2 (en) Circuit arrangement for determining the cell voltage of an individual cell in a cell grouping
JP2000040530A (ja) 組電池セル容量調整方法
WO2012143422A1 (en) Measur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series connection of energy storage devices
JP2017219430A (ja) 電池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