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9452B1 -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9452B1
KR102739452B1 KR1020180105716A KR20180105716A KR102739452B1 KR 102739452 B1 KR102739452 B1 KR 102739452B1 KR 1020180105716 A KR1020180105716 A KR 1020180105716A KR 20180105716 A KR20180105716 A KR 20180105716A KR 102739452 B1 KR102739452 B1 KR 1027394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cosmetic composition
makeup cosmetic
eye makeup
type ey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5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7655A (ko
Inventor
박세준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05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9452B1/ko
Publication of KR202000276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76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94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94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Powders; Compacted Pow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61K2800/436Interference pigments, e.g. Iridescent, Pearlesc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6Mixtures of surface active compound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오일 및 w/o(water-in-oil) 계면활성제로 표면이 코팅된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상기 파우더부를 분산시키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으로서 우수한 수분감 및 산뜻한 발림성을 나타내며, 파우더부를 구성하는 펄 입자 및 구상 파우더의 표면이 오일 및 w/o 계면활성제로 코팅되어 균일하게 수분산 됨으로써 우수한 펴발림성으로 피부에 도포되고, 수분이 증발되면서 빠르게 밀착되어 화장 지속효과가 뛰어나며, 워터프루프(waterproof) 효과를 나타내고 색상 표현력도 우수하다.

Description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WATER DISPERSED TYPE EYE MAKEUP COSMETIC COMPOSITION WITH EXCELLENT MOISTURIZING FEELING AND LONG LASTING}
본 발명은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크게 얼굴 전체에 도포하는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과 얼굴의 국소 부분만을 도포하는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으로 구분한다. 베이스 메이크업 화장품은 얼굴의 기미, 주름, 결점 등을 가려주어 깨끗한 피부표현을 하는 것이 목적이며, 포인트 메이크업 화장품은 입술, 눈, 볼 등 부분적으로 입체감을 높이는 것이 목적이다.
아이메이크업을 위한 화장품으로는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아이섀도우, 아이브로우 펜슬 등이 있는데, 아이메이크업 화장품은 눈 주변에 도포되어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매에 아름다움을 주는 목적으로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아이메이크업 화장품이 갖추어야 할 조건들로는 눈 주변에 도포되기 때문에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며,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직후에 묻어남이 없어야 하고, 땀, 눈물 및 유분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가루 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리며, 사용 시 부담감이 없고, 세안 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최근 아이메이크업 화장품들은 화사한 시각적 효과를 얻기 위하여 다양한 펄을 사용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그러나, 펄을 함유함으로써 생기는 제형 안정성 문제와, 접착력 저하 문제, 발림성 문제 등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종래의 수분산 타입의 펄 함유 아이섀도우의 경우 수용성 성분을 이용하여 펄 입자를 분산, 혼합함으로써 도포 시 충분한 수분감과 밀착력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화장 지속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분산 타입의 낮은 지속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w/o(water-in-oil), w/s(water-in-silicon) 타입이 개발되었으나, 이들은 화장 지속 효과는 뛰어나지만 고정 효과가 수분산 타입에 비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52140호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고함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으로, 초기 발림성에서 우수한 수분감을 나타내고, 펴발려지는 동안 수분이 빠르게 날아가고 그 이후 펄 입자가 피부 위에 도포되어 세팅 속도가 빠르며, 피부 밀착력과 지속성이 뛰어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일 및 w/o(water-in-oil) 계면활성제로 표면이 코팅된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상기 파우더부를 분산시키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물을 포함하는 수분산 제형으로서 우수한 수분감 및 산뜻한 발림성을 나타내며, 파우더부를 구성하는 펄 입자 및 구상 파우더의 표면이 오일 및 w/o 계면활성제로 코팅되어 균일하게 수분산 됨으로써 우수한 펴발림성으로 피부에 도포되고, 수분이 증발되면서 빠르게 밀착되어 화장 지속효과가 뛰어나며, 워터프루프(waterproof) 효과를 나타내고 색상 표현력도 우수하다.
도 1은 시험예 1에 따른 워터프루프 효과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시험예 2에 따른 제형 안정도 평가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시험예 3에 따른 외관 비교 시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에서, 오일 및 w/o(water-in-oil) 계면활성제로 표면이 코팅된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를 포함하는 파우더부; 및 상기 파우더부를 분산시키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오일은 상기 w/o 계면활성제와 함께 상기 펄 입자 및 구상 파우더의 표면에 코팅되어 파우더부가 수상에 균일하게 분산되도록 하며, 피부에 도포 후 밀착력 및 지속성을 향상시키고 워터프루프(waterproof) 효과를 나타내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하이드로카본(hydrocarbon)계 오일 및 에스터(ester)계 오일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로카본계 오일은 이소헥사데칸, 이소데칸, 운데칸, 스쿠알란,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데센, 알파올레핀올리고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 폴리이소부텐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에스터계 오일은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헥실 라우레이트, 세틸에칠헥사노에이트 및 부틸렌 글라이콜 디카프릴레이트/디카프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8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또는 0.7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오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또는 0.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w/o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이소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w/o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일 수 있다.
상기 w/o 계면활성제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w/o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w/o 계면활성제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또는 0.6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구상 파우더는 상기 펄 입자와 함께 파우더부에 포함되어,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 시 펴발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MSQ),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실리카일 수 있다.
상기 구상 파우더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0.9 중량% 이상, 1.0 중량% 이상, 1.1 중량% 이상, 1.2 중량% 이상, 1.3 중량% 이상, 또는 1.4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구상 파우더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5 중량% 이하, 1.4 중량% 이하, 1.3 중량% 이하, 1.2 중량% 이하, 1.1 중량% 이하, 1.0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또는 0.6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펄 입자는 투명감과 광택감이 우수한 유리 플레이크(glass flake) 혹은 천연 마이카(natural mica), 합성 마이카(synthetic mica)를 기재로 하면서 높은 굴절률을 갖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아이언 옥사이드(iron oxide)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코팅되어 화려한 글리터감(반짝이는 입자감)을 나타내는 입도 분포(D90)가 90 내지 300μm인 펄제, 및 천연 마이카(natural mica)를 기반으로 티타늄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 아이언 옥사이드(iron oxide) 등과 같은 금속 산화물이 코팅되어 잔잔한 광택을 나타내는 입도 분포(D90)가 90μm 미만인 펄제를 모두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펄 입자는 마이카, 합성 마이카, 알루미나, 칼슘 소듐 보로실리케이트, 칼슘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칼슘 티타늄 보로실리케이트, 합성운모, 보론나이트라이드 파우더,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판상 파우더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 실시예로서 상기 펄 입자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틴 옥사이드 및 아이언 옥사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펄 입자는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펄 입자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5.0 중량% 이상, 5.5 중량% 이상, 6.0 중량% 이상, 6.5 중량% 이상, 7.0 중량% 이상, 7.5 중량% 이상, 8.0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9.0 중량% 이상, 또는 9.5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펄 입자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 9.5 중량% 이하, 9.0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0 중량% 이하, 7.5 중량% 이하, 7.0 중량% 이하, 6.5 중량% 이하, 6.0 중량% 이하, 또는 5.5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오일 및 w/o 계면활성제를 상기 펄 입자 및 구상 파우더의 표면에 분무함으로써, 상기 펄 입자 및 구상 파우더의 표면이 상기 오일 및 w/o 계면활성제로 코팅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상기 파우더부가 물에 균일하게 분산된 상태를 유지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함으로써 수상의 점도(thickness)가 증가하면 펄 입자가 서로 뭉치거나 위로 떠오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스타치(starch)계 점증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sodium polyacrylate starch),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hydroxypropyl starch phosphate), 잔탄검(Xanthan gum), 소듐 카복시 메틸 스타치(sodium carboxy methyl starch) 및 칼슘 스타치 옥테닐석시네이트(calcium starch octenylsucc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하게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일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점증제를 투명한 스타치계 점증제를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펄 입자의 색상 표현력을 나타낼 수 있다. 목적하는 효과를 위하여,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 중 수용성 점증제의 함량은 0.1 중량% 이상, 0.2 중량% 이상, 0.3 중량% 이상, 0.4 중량% 이상, 0.5 중량% 이상, 0.6 중량% 이상, 0.7 중량% 이상, 0.8 중량% 이상, 또는 0.9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 중 수용성 점증제의 함량은 1.0 중량% 이하, 0.9 중량% 이하, 0.8 중량% 이하, 0.7 중량% 이하, 0.6 중량% 이하, 0.5 중량% 이하, 0.4 중량% 이하, 0.3 중량% 이하, 또는 0.2 중량%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 중 물의 함량은 80 중량% 이상, 81 중량% 이상, 82 중량% 이상, 83 중량% 이상, 84 중량% 이상, 85 중량% 이상, 87 중량% 이상, 88 중량% 이상, 또는 89 중량% 이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조성물 중 물의 함량은 90 중량% 이하, 89 중량% 이하, 88 중량% 이하, 87 중량% 이하, 86 중량% 이하, 85 중량% 이하, 84 중량% 이하, 83 중량% 이하, 82 중량% 이하, 또는 81 중량%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이와 같이 물을 80 중량% 이상의 고함량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에 도포 시 우수한 수분감 및 산뜻한 발림성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들 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한, 부수적인 성분들을 더 함유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수분산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거나 적절한 각종의 기재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물성 향상 및 제품 질 향상을 위하여 색소, 방부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 및 시험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주지된 변형, 치환 및 삽입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것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제조예]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단위: 중량%)에 따라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헨셀 믹서에 펄, 실리카를 넣고 균일하게 섞일 수 있도록 충분히 혼합한 후, 오일(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 또는 디메치콘)과 계면활성제(소르비탄 이소 스테아레이트 또는 폴리소르베이트60)를 가열한 다음 헨셀 믹서에 분무하여 펄과 실라카 입자에 고르게 코팅이 되도록 혼합하였다. 그 후 만들어진 파우더부는 물,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글리세린, 1,2-헥산디올, 카프릴릴 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이 잘 섞여있는 수상부에 넣고 분산시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파우더부 8.2 8.2 8.2 8.2
실리카 1.0 1.0 1.0 1.0
옥틸도데실 스테아로일 스테아레이트(에스터계 오일) 0.5 0.5 -
디메치콘(실리콘계 오일) - - 0.5 0.5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w/o 계면활성제) 1.5 - 1.5 1.5
폴리소르베이트60(o/w 계면활성제) - 1.5 -
수상부 82.0 82.0 82.0 82.0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 0.5 0.5 0.5 0.5
정제수*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아크릴레이트-13*폴리이소부텐*폴리소르베이트20(불투명 점증제) - - 0.5
글리세린 5.0 5.0 5.0 5.0
방부제 1,2-헥산디올 1.0 1.0 1.0 1.0
카프릴릴글라이콜 0.2 0.2 0.2 0.2
에칠헥실 글리세린 0.1 0.1 0.1 0.1
[시험예 1] 워터프루프(waterproof) 효과 평가 시험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각각 0.1g씩 손등에 도포하고 물 속에 넣었다 뺀 후 도포된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손가락으로 1회 문지른 다음 상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1(왼쪽이 실시예 1, 오른쪽이 비교예 1)에 나타내었다.
도 1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가 w/o 계면활성제로 코팅된 실시예 1의 경우 물에도 지워지지 않는 우수한 워터프루프 효과로 인한 지속성을 나타내는 반면, 이와 달리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가 o/w 계면활성제로 코팅된 비교예 1의 경우 물에 의해 쉽게 지워져 워터프루프 특성을 나타내지 못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오일 종류에 따른 제형 안정도 평가 시험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2의 제형 안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2(왼쪽이 실시예 1, 오른쪽이 비교예 2)에 나타내었다.
도 2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가 에스터계 오일로 코팅된 실시예 1의 경우 파우더부가 수상부에 균일하게 분산되고 분산된 상태가 우수하게 유지되어 제형 안정도가 뛰어난 반면,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가 실리콘계 오일로 코팅된 비교예 2의 경우 실리콘계 오일로 인해 파우더부가 수상부로부터 분리되어 흰색 펄 입자가 침전되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점증제 종류에 따른 외관 비교 시험
상기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과 비교예 3의 외관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도 3(왼쪽이 실시예 1, 오른쪽이 비교예 3)에 나타내었다.
도 3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에 따라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가 에스터계 오일로 코팅되고 수상부에 스타치계 점증제가 포함된 실시예 1의 경우 외관상 펄이 선명하게 나타나는 반면,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가 실리콘계 오일로 코팅되고 수상부에 불투명한 점증제가 포함된 비교예 3의 경우 점증제로 인하여 펄 입자가 외관상 보이지 않거나 얼룩지는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7)

  1. 파우더부; 및
    상기 파우더부를 분산시키는 수상부를 포함하며,
    상기 파우더부는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를 포함하고,
    상기 구상 파우더 및 펄 입자는 오일 및 w/o(water-in-oil) 계면활성제로 표면이 코팅된 것이며,
    상기 오일은 에스터(ester)계 오일이고,
    상기 w/o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이소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소르비탄 트리올리에이트 및 소르비탄 세스퀴올리에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며,
    상기 수상부는 수용성 점증제를 포함하며,
    물을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0.8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o 계면활성제는 소르비탄 이소스테아레이트(sorbitan isostearate)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w/o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실리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폴리우레탄(PU), 폴리메틸실세스퀴옥산(PMSQ), 실리콘 엘라스토머 파우더 및 나일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실리카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상 파우더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1.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 입자는 마이카, 합성 마이카, 알루미나, 칼슘 소듐 보로실리케이트, 칼슘 알루미늄 보로실리케이트, 칼슘 티타늄 보로실리케이트, 합성운모, 보론나이트라이드 파우더, 탈크 및 세리사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판상 파우더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펄 입자는 티타늄 다이옥사이드, 틴 옥사이드 및 아이언 옥사이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로 코팅된 것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펄 입자는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스타치(starch)계 점증제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sodium polyacrylate starch), 하이드록시프로필 스타치 포스페이트(hydroxypropyl starch phosphate), 소듐 카복시 메틸 스타치(sodium carboxy methyl starch) 및 칼슘 스타치 옥테닐석시네이트(calcium starch octenylsuccin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소듐 폴리아크릴레이트 스타치인,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점증제는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17. 삭제
KR1020180105716A 2018-09-05 2018-09-05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7394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16A KR102739452B1 (ko) 2018-09-05 2018-09-05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5716A KR102739452B1 (ko) 2018-09-05 2018-09-05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55A KR20200027655A (ko) 2020-03-13
KR102739452B1 true KR102739452B1 (ko) 2024-12-09

Family

ID=6993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5716A Active KR102739452B1 (ko) 2018-09-05 2018-09-05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94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2240B1 (ko) * 2020-03-27 2020-08-06 선진뷰티사이언스(주) 천연 무기분체 유래의 탄성을 가지는 화장용 파우더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53B1 (ko) 2009-11-12 2012-11-16 (주)젠텍 수분산형 및 유화형 아이메이크업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055562B1 (ko) * 2012-10-31 2019-12-13 (주)아모레퍼시픽 수용성 점증제를 함유하는 수분산 화장료 조성물
KR20160077756A (ko) * 2014-12-24 2016-07-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7655A (ko) 2020-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13311B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ilicone pullulan, low viscosity silicone oil and powder ingredient
KR102692678B1 (ko) 혼합 사용이 가능한 채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8265A (ko) 묻어남이 개선된 메이크업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10038006A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98490B1 (ko) 고함량의 젤 및 오일을 함유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3689588B2 (ja) 外用組成物
KR102739452B1 (ko) 수분감 및 지속성이 우수한 수분산 타입의 아이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KR101729541B1 (ko) 이산화티탄과 마이카의 복합 분체 및 이를 함유하는 베이스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2548A (ko) 광택감 및 사용감이 우수한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3704464B2 (ja) 油性化粧料
JP6715044B2 (ja) 固形粉末化粧料
JP3652843B2 (ja) 凹凸補正用組成物
KR101765097B1 (ko) 크리즈 생성 방지 및 지속력이 개선된 아이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684415B1 (ko) 리포좀화된 헥사카복시메틸 다이펩타이드-12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유중수형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75779B1 (ko) 직쇄형 유화제 및 표면이 코팅된 안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JP2011201797A (ja) 粉末状整髪剤
JP7193937B2 (ja) 化粧方法
Riley Decorative cosmetics
US20140356302A1 (en) Buoyant Cosmetic Gel Formulation
KR101700114B1 (ko) 립 코팅과 롱 래스팅 효과를 가지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23258B1 (ko) 글리터타입 필오프 수성 네일폴리쉬 화장료 조성물
JP7493218B2 (ja) メイクアップ化粧料
KR102174571B1 (ko) 필-오프타입 메이크업 파운데이션 조성물
JP2019104710A (ja) 油性化粧料
Azuma et al. Transforming Favorite Lipsticks into Long-Lasting Products Using an Over-Coating Fil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90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7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010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23071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