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9435B1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Google Patents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9435B1 KR102739435B1 KR1020210170668A KR20210170668A KR102739435B1 KR 102739435 B1 KR102739435 B1 KR 102739435B1 KR 1020210170668 A KR1020210170668 A KR 1020210170668A KR 20210170668 A KR20210170668 A KR 20210170668A KR 102739435 B1 KR102739435 B1 KR 1027394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istor
- node
- pull
- electrode connected
- control nod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43—Details of the generation of driving signal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게이트 구동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가 개시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신호 전달부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제1 제어 노드를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여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제2 제어 노드를 상기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여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A gate driving circu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re disclosed. A signal transmission unit of the gate driving circu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which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for a first unit of time and controls a first control node as a pull-up control node to turn on a first transistor,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for a second unit of time and deactivates the first transistor; and a second control unit which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for the second unit of time and controls a second control node as the pull-up control node to turn on a second transistor,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for the first unit of time and deactivates the first transistor.
Description
본 발명은 게이트 구동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te driving circu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전계 발광 표시장치(Electroluminescence Display)는 발광층의 재료에 따라 무기 발광 표시장치와 유기 발광 표시장치로 나뉘어질 수 있다. 액티브 매트릭스 타입(active matrix type)의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스스로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이하, "OLED"라 함)를 포함하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및 시야각이 큰 장점이 있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라 함)가 픽셀들 각각에 형성된다. 유기 발광 표시장치는 응답속도가 빠르고 발광효율, 휘도, 시야각 등이 우수할 뿐 아니라, 블랙 계조를 완전한 블랙으로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명암비(contrast ratio)와 색재현율이 우수하다.Electroluminescence displays can be divided into in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and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s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light emitting layer.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f the active matrix type includes a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hereinafter referred to as "OLED") that emits light by itself, and has the advantages of a fast response speed, large luminous efficiency,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has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formed in each pixel.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not only has a fast response speed and excellent luminous efficiency, brightness, and viewing angle, but also has excellent contrast ratio and color reproducibility because it can express black gradation as complete black.
전계 방출 표시장치의 픽셀 회로는 발광 소자와,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그리고 하나 이상의 스위치 소자를 포함한다. 스위치 소자들은 게이트 전압에 따라 온/오프되어 픽셀 회로의 주요 노드들을 연결하거나 차단한다. 구동 소자와 스위치 소자들은 트랜지스터로 구현될 수 있다. The pixel circuit of the field emission display device includes a light-emitting element, a driving element for driving the light-emitting element, and one or more switching elements. The switching elements are turned on/off according to a gate voltage to connect or disconnect main nodes of the pixel circuit. The driving elements and the switching elements can be implemented as transistors.
게이트 구동 회로는 스위치 소자들의 게이트 전극에 인가되는 게이트 신호의 펄스를 발생하여 스위치 소자들을 제어한다. 이러한 게이트 구동 회로는 다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한다.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바이어스 스트레스(Gate bias strsss)로 인하여 구동 시간이 경과할수록 열화가 가속된다.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버퍼 트랜지스터는 비교적 고전압이 인가되고 다른 트랜지스터에 비해 구동 시간이 길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더 많이 받게 된다. 이는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신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원인이 되고 있다. The gate driving circuit controls the switch elements by generating a pulse of a gate signal appli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switch elements. This gate driving circuit includes a plurality of transistors. The transistor deteriorates rapidly as the driving time elapses due to gate bias stress. In the gate driving circuit, the buffer transistor is subjected to more stress because a relatively high voltage is applied and the driving time is longer than that of other transistors. This is a major cause of lowering the reliability of the gate driving circuit.
본 발명은 전술한 필요성 및/또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needs and/or problems.
본 발명은 버퍼 트랜지스터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게이트 구동 회로와 이를 포함한 표시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te driving circuit capable of reducing stress on a buffer transistor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는 스타트 신호와 시프트 클럭이 입력되고 제1 제어 노드와 제2 제어 노드를 충방전하는 복수의 신호 전달부들; 및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버퍼들을 포함한다.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that receive a start signal and a shift clock and charge and discharge a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control node; and first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상기 제1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게이트 펄스가 출력되는 제1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Each of the first buffers includes a first transistor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transistor driven in accordance with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and connected to the first transistor across a first output node from which a gate pulse is output.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제어 노드를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여 상기 제1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제어 노드를 상기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여 상기 제2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한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for a first unit of time and controls the first control node as a pull-up control node to turn on the first transistor,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for a second unit of time and deactivates it; and a second control unit that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for the second unit of time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as the pull-up control node to turn on the second transistor,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for the first unit of time and deactivates it.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상기 제1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1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2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Each of the first buffers of the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a first pull-down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pull-down control node.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1 풀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제2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Q 생성 로직부; 상기 제2 풀업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2 풀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풀업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Q 생성 로직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풀업 제어 노드가 방전되는 풀다운 시간 동안 상기 제1 풀다운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QB 생성 로직부를 포함한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includes a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which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during a first pull-up time, charges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nd turns on the 1-1st pull-up transistor,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during a second pull-up time and deactivates it; a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which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charges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turns on the 1-2nd pull-up transistor,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and deactivates it; and a QB generation logic unit which charges the first pull-down control node during a pull-down tim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pull-up control nodes are discharged, and turns on the pull-down transistor.
본 발명의 표시장치는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한다.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gate driving circui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제어 노드를 교대로 풀업 제어 노드와 풀다운 제어 노드로 제어하거나 두 개의 풀업 제어 노드들을 교대로 활성화함으로써 표시장치의 네로우 베젤(Narrow bezel)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게이트 구동 회로의 버퍼 트랜지스터들의 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implementation of a narrow bezel of a display device by alternately controlling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nodes as a pull-up control node and a pull-down control node or by alternately activating two pull-up control nodes, and can also reduce the stress on buffer transistors of a gate driving circuit.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개략적으로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시프트 레지스터에 입력되는 시프트 클럭, 게이트 펄스, 및 캐리 신호를 보여 주는 파형도이다.
도 3은 표시패널의 양측에 배치된 게이트 구동 회로의 일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신호 전달부와 버퍼를 상세히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회로의 입출력 신호와 주요 노드의 전압을 보여 주는 파형도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회로에서 제1 단위 시간과 제2 단위 시간의 동작을 보여 주는 회로도들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회로에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신호를 입력한 시뮬레이션 파형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구동 회로의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회로에서 제1 풀업 시간과 제2 풀업 시간의 동작을 보여 주는 회로도들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회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FIG.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hift register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waveform diagram showing a shift clock, gate pulse, and carry signal input to the shift register illustrated in FIG. 1.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of a gate driving circuit arranged on both sides of a display panel.
FIGS. 4A and 4B are drawings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and buffer illustrated in Figures 4a and 4b.
Figures 6a and 6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input/output signals and voltages of major nodes of the circuit illustrated in Figure 5.
FIGS. 7A and 7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unit time and the second unit time in the circuit illustrated in FIG. 5.
Fig. 8 is a simulation waveform in which the signals shown in Figs. 6a and 6b are input to the circuit shown in Fig. 5.
FIGS. 9A and 9B are drawings showing a driving method of a gate driving circui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0A and 10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ll-up time and the second pull-up time in the circuits illustrated in FIGS. 9A and 9B.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illustrated in Fig. 11.
FIG. 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ixel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e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The shapes, sizes, ratios, angles, numbers, etc. disclosed in the drawings for explain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matter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refer to substantially the same components. In addition, i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구비한다”,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 ~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specification, when “comprises,” “includes,” “has,” and “consists of,” other parts may be added unless “only” is used. When a component is expressed in the singular, it may be interpreted as plural unless otherwise explicitly stated.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When interpreting a component, it is interpreted as including the error range even if there is no separate explicit description.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 ~ 상에', ' ~ 상부에', ' ~ 하부에', ' ~ 옆에' 등으로 두 구성요소들 간에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그 구성요소들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될 수 있다. When describing a positional relationship, for example, when a positional relationship is described between two components as 'on', 'above', 'below', 'next to', etc.,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may intervene between those components for which 'directly' or 'directly' is not used.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하여 제1, 제2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 구성 요소들은 구성 요소 앞에 붙은 서수나 구성 요소 명칭으로 그 기능이나 구조가 제한되지 않는다. Although the terms 1st, 2nd, etc. may be used to distinguish components, the function or structure of these components is not limited by the ordinal number or component name attached to the front of the component.
이하의 실시예들은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다.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The following embodiments may be partially or wholly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and may be technically capable of various interconnections and operations. Each embodiment may be implemented independently of each other, or may be implemented together in a related relationship.
픽셀들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컬러가 서로 다른 복수의 서브 픽셀들로 나뉘어지고, 서브 픽셀들 각각은 스위치 소자 또는 구동 소자로 이용되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트랜지스터는 TFT(Thin Film Transistor)로 구현될 수 있다. Each pixel is divided into multiple sub-pixels with different colors for color implementation, and each sub-pixel includes a transistor used as a switching element or a driving element. This transistor can be implemented as a TFT (Thin Film Transistor).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픽셀들에 기입한다. 평판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는 데이터 신호를 데이터 라인들에 공급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와,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에 공급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등을 포함한다.The driving circuit of the display device write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nto pixels. The driving circuit of the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es a data driving circuit that supplies data signals to data lines, a gate driving circuit that supplies gate signals to gate lines, and the like.
본 발명의 표시장치에서 픽셀 회로와 게이트 구동 회로는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트랜지스터는 MOSFET(Metal-Oxide-Semiconductor FET) 구조의 TFT로 구현될 수 있으며,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한 Oxide TFT 또는 저온 폴리 실리콘(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을 포함한 LTPS TFT일 수 있다. 이하에서 픽셀 회로와 게이트 구동 회로를 구성하는 트랜지스터들은 Oxide TFT로 구현된 n 채널 Oxide TFT로 구현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 circuit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transistors. The transistor may be implemented as a TFT having a MOSFET (Metal-Oxide-Semiconductor FET) structure, and may be an Oxide TFT including an oxide semiconductor or an LTPS TFT including low temperature poly silicon (LTPS). Hereinafter,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pixel circuit and the gate driving circuit will be described based on an example implemented as an n-channel Oxide TFT implemented as an Oxide TFT,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트랜지스터는 게이트(gate), 소스(source) 및 드레인(drain)을 포함한 3 전극 소자이다. 소스는 캐리어(carrier)를 트랜지스터에 공급하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 내에서 캐리어는 소스로부터 흐르기 시작한다. 드레인은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가 외부로 나가는 전극이다. 트랜지스터에서 캐리어의 흐름은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흐른다.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경우, 캐리어가 전자(electron)이기 때문에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전자가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낮은 전압을 가진다. n 채널 트랜지스터에서 전류의 방향은 드레인으로부터 소스 쪽으로 흐른다. p 채널 트랜지스터의 경우, 캐리어가 정공(hole)이기 때문에 소스로부터 드레인으로 정공이 흐를 수 있도록 소스 전압이 드레인 전압보다 높다. p 채널 트랜지스터에서 정공이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르기 때문에 전류가 소스로부터 드레인 쪽으로 흐른다.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는 것에 주의하여야 한다. 예컨대, 소스와 드레인은 인가 전압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으로 인하여 발명이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의 설명에서 트랜지스터의 소스와 드레인을 제1 및 제2 전극으로 칭하기로 한다.A transistor is a three-electrode device including a gate, a source, and a drain. The source is an electrode that supplies carriers to the transistor. In a transistor, carriers start to flow from the source. The drain is an electrode from which carriers exit the transistor. In a transistor, the flow of carriers flows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the case of an n-channel transistor, since the carriers are electrons, the source voltage is lower than the drain voltage so that electrons can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an n-channel transistor, the direction of current flows from the drain to the source. In the case of a p-channel transistor, since the carriers are holes, the source voltage is higher than the drain voltage so that holes can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n a p-channel transistor, since holes flow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current flows from the source to the drain.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ource and drain of a transistor are not fixed. For example, the source and drain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applied voltage. Therefore,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ource and drain of a transistor.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source and drain of the transistor are referred to as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게이트 신호는 게이트 온 전압(Gate On Voltage)과 게이트 오프 전압(Gate Off Voltage) 사이에서 스윙(swing)할 수 있다. 게이트 온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보다 높은 전압으로 설정된다. 게이트 오프 전압은 트랜지스터의 문턱 전압 보다 낮은 전압으로 설정된다. The gate signal can swing between the Gate On Voltage and the Gate Off Voltage. The Gate On Voltage is set to a voltage high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 The Gate Off Voltage is set to a voltage lower than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transistor.
트랜지스터는 게이트 온 전압에 응답하여 턴-온(turn-on)되는 반면, 게이트 오프 전압에 응답하여 턴-오프(turn-off)된다. n 채널 트랜지스터의 경우에, 게이트 온 전압은 게이트 하이 전압(Gate High Voltage, VGH 및 VEH)이고, 게이트 오프 전압은 게이트 로우 전압(Gate Low Voltage, VGL 및 VEH)일 수 있다.A transistor is turned on in response to a gate-on voltage, while it is turned off in response to a gate-off voltage. For an n-channel transistor, the gate-on voltage can be a gate high voltage (VGH and VEH), and the gate-off voltage can be a gate low voltage (VGL and VEH).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표시장치는 유기발광 표시장치를 중심으로 설명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embodiments below, the display device is described with a focus on an organic light-emitting display devi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게이트 구동 회로는 시프트 클럭(CLK)에 동기하여 게이트 신호의 펄스(이하, “게이트 펄스”라 함) [Gout(n-1)~Gout(n+2)]를 순차적으로 출력하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gate driving circuit includes a shift register that sequentially outputs pulses of gate signals (hereinafter, “gate pulses”) [Gout(n-1) to Gout(n+2)] in synchronization with a shift clock (CLK).
시프트 레지스터는 종속적으로 연결된 신호 전달부들[ST(n-1)~ST(n+2)]을 포함한다. 신호 전달부들[ST(n-1)~ST(n+2)] 각각은 스타트 신호(VST)가 입력되는 VST 노드, 시프트 클럭(CLK1~4)이 입력되는 CLK 노드, 버퍼 트랜지스터들(TR1, TR2)을 교번 구동하는 제1 및 제2 제어 노드 등을 포함한다. The shift register includes dependently connected signal transmission units [ST(n-1) to ST(n+2)]. Each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ST(n-1) to ST(n+2)] includes a VST node to which a start signal (VST) is input, a CLK node to which shift clocks (CLK1 to 4) are input, first and second control nodes for alternately driving buffer transistors (TR1, TR2), etc.
스타트 신호(VST)는 일반적으로 제1 신호 전달부에 입력된다. 도 1에서 제n-1 신호 전달부[ST(n-1)]는 스타트 신호(VST)를 입력 받는 제1 신호 전달부일 수 있다. 시프트 클럭(CLK1~4)은 k(k는 자연수) 상(phase) 클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start signal (VST) is generally input to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unit. In Fig. 1,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may be the first signal transmission unit that receives the start signal (VST). The shift clocks (CLK1 to 4) may be k (k is a natural number) phase clock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n-1 신호 전달부[ST(n-1)]에 종속적으로 연결된 신호 전달부들[ST(n)~ST(n+2)]은 이전 신호 전달부로부터의 캐리 신호(CAR)를 스타트 신호로서 입력 받아 구동되기 시작한다. 신호 전달부들[ST(n-1)~ST(n+2)] 각각은 제1 출력 노드를 통해 게이트 펄스[Gout(n-1)~Gout(n+2)]를 출력함과 동시에 제2 출력 노드를 통해 캐리 신호(CAR)를 출력할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ST(n) to ST(n+2)] dependently connected to the n-1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are started to be driven by receiving a carry signal (CAR) from the previous signal transmission unit as a start signal. Each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ST(n-1) to ST(n+2)] can output a gate pulse [Gout(n-1) to Gout(n+2)] through the first output node and simultaneously output a carry signal (CAR) through the second output node.
도 1에 도시된 버퍼(BUF)는 게이트 펄스가 출력되는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버퍼다. 버퍼(BUF)는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트랜지스터(TR1)와 제2 트랜지스터(TR2)를 포함하여 제1 출력 노드를 통해 게이트 펄스[Gout(n-1)~ Gout(n+2)]를 출력한다. 제1 출력 노드는 입력 영상이 재현되는 표시패널의 게이트 라인들에 연결된다. The buffer (BUF) illustrated in Fig. 1 is a buffer connected to a first output node from which a gate pulse is output. The buffer (BUF) includes a first transistor (TR1) and a second transistor (TR2)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and outputs a gate pulse [Gout(n-1) to Gout(n+2)] through the first output node. The first output node is connected to gate lines of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nput image is reproduced.
버퍼들(BUF) 중 적어도 하나에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R1, TR2)은 소정 시간 주기로 풀업 트랜지스터로 교번 동작하여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을 제1 출력 노드에 공급하여 제1 출력 노드의 전압을 라이징(rising)시킨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R1, TR2)는 소정 시간 주기로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구동되어 제1 출력 노드를 방전시킴으로써 게이트 펄스[Gout(n-1)~Gout(n+2)]를 폴링(falling)시킨다.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은 게이트 기준 전압(GVSS) 보다 높은 전압일 수 있다.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설정되고, 게이트 기준 전압(GVSS)은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In at least one of the buffers (BU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R1, TR2) alternately operate as pull-up transistor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supply a gate driving voltage (GVDD) to a first output node to rise a voltage of the first output node.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R1, TR2) alternately operate as pull-down transistors at predetermined time intervals to discharge the first output node to cause a gate pulse [Gout(n-1) to Gout(n+2)] to fall.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 may be a voltage higher than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 may be set as a gate-on voltage, and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 may be set as a gate-off voltage.
소정 시간은 j(j는 자연수) 프레임 기간, 또는 수초[sec]로 설정된 단위 시간일 수 있다. The given time can be a frame period of j (where j is a natural number), or a unit time set in seconds [sec].
버퍼들(BUF)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R1, TR2)은 소정 시간 주기로 교번하여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R1, TR2) 중 어느 하나가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할 때 다른 하나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동작하여 제1 출력 노드를 통해 게이트 펄스를 출력한다. In at least one of the buffers (BU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R1, TR2) alternately operate as pull-up transistors at a predetermined time cycle. Whe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R1, TR2)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the other operates as a pull-down transistor to output a gate pulse through the first output node.
신호 전달부들[ST(n-1)~ST(n+2)] 각각은 제1 트랜지스터(TR1)를 제어하는 제1 제어 노드와, 제2 트랜지스터(TR2)를 제어하는 제2 제어 노드를 소정 시간 주기로 교대로 충방전한다. Each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ST(n-1) to ST(n+2)] alternately charges and discharges the first control node controlling the first transistor (TR1) and the second control node controlling the second transistor (TR2) at a predetermined time cycle.
제1 트랜지스터(TR1)는 기수 번째 단위 시간 동안 풀업 트랜지스터로 구동되고, 우수 번째 단위 시간 동안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구동될 수 있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우수 번째 단위 시간 동안 풀업 트랜지스터로 구동되고, 기수 번째 단위 시간 동안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구동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단위 시간은 기수 번째 단위 시간으로, 제2 단위 시간은 우수 번째 단위 시간으로 해석될 수 있다. The first transistor (TR1) may be driven as a pull-up transistor during an odd-numbered unit time, and as a pull-down transistor during an even-numbered unit time. The second transistor (TR2) may be driven as a pull-up transistor during an even-numbered unit time, and as a pull-down transistor during an odd-numbered unit time. Hereinafter, the first unit time may be interpreted as an odd-numbered unit time, and the second unit time may be interpreted as an even-numbered unit time.
도 3은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시프트 레지스터가 입력 영상이 재현되는 표시패널 상에 실장된 예를 보여 주는 도면이다. 게이트 구동 회로는 표시패널의 좌측 베젤(Bezel) 영역에 형성된 제1 게이트 구동부와, 우측 베젤 영역에 형성된 제2 게이트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게이트 구동부와 제2 게이트 구동부는 입력 영상이 표시되는 화면의 픽셀 어레이(AA)를 사이에 두고 양측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 각각은 도 1과 같은 시프트 레지스터를 포함한다. 표시패널의 베젤 영역을 줄이기 위하여, 제1 및 제2 게이트 구동부의 회로 구성 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픽셀 어레이(AA)에 배치될 수 있다.FIG. 3 is a drawing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shift register of a gate driving circuit is mounted on a display panel on which an input image is reproduced. The gate driving circuit may include a first gate driving unit formed in a left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and a second gate driving unit formed in a right bezel area. The first gate driving unit and the second gate driving unit may be separated to both sides with a pixel array (AA) of a screen on which an input image is displayed interposed therebetween.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gate driving units includes a shift register as in FIG. 1. In order to reduce the bezel area of the display panel, at least some of the circuit components of the first and second gate driving units may be arranged on the pixel array (AA).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시프트 레지스터를 통해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게이트 펄스[Gout(n-1)~Gout(n+2)]는 스캔 펄스(또는 주사 펄스)와, 발광 제어 펄스(이하 “EM 펄스”)일 수 있다. The gate pulses [Gout(n-1) to Gout(n+2)] sequentially output through the shift register of the gate driving circuit may be scan pulses (or scan pulses) and emission control pulses (hereinafter, “EM pulses”).
본 발명은 하나의 신호 전달부에 연결된 트랜지스터들(TR1, TR2)을 소정 시간 주기로 교번 구동하여 그 트랜지스터들(TR1, TR2)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하나의 신호 전달부에 연결된 복수의 트랜지스터들을 교대로 구동하여 그 트랜지스터들의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tress of transistors (TR1, TR2) connected to one signal transmission unit by alternately driving the transistors (TR1, TR2) at a predetermined time cycle. In another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stress of a plurality of transistors connected to one signal transmission unit by alternately driving the transistors.
신호 전달부들[ST(n-1)~ST(n+2)] 중 적어도 하나에 연결된 버퍼(BUF)는 도 4a 및 도 4b와 같이 구동될 수 있다. A buffer (BUF) connected to at least one of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ST(n-1) to ST(n+2)] can be driven as shown in FIG. 4a and FIG. 4b.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랜지스터들(TR1, TR2)의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도면들이다. FIGS. 4A and 4B are drawings showing a method of driving buffer transistors (TR1, TR2)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트랜지스터(TR1)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풀업 트랜지스터로 구동된 후 제2 단위 시간 동안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구동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TR1)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되는 제1 제어 노드(Q/QB)의 전압에 응답하여 제1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이 때, 제1 전원 노드에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이 인가되고, 제2 전원 노드에 게이트 기준 전압(GVSS)이 인가된다. 제2 제어 노드(QB/Q)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되어 제2 트랜지스터(TR2)를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동작시킨다.The first transistor (TR1) is driven as a pull-up transistor for a first unit time and then as a pull-down transistor for a second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 4a, the transistor (TR1) operates as a first pull-up transistor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Q/QB) controlled by the pull-up control node [Q(n)] for the first unit time. At this time, the gate drive voltage (GVDD)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node.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controlled by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for the first unit time to operate the second transistor (TR2) as a pull-down transistor.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1 트랜지스터(TR1)와 교대로 구동된다. 예를 들어,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되는 제2 제어 노드(QB/Q)에 따라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동작된 후에 제2 단위 시간 동안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되는 제2 제어 노드(QB/Q)의 전압에 응답하여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R1, TR2)은 소정 수간 주기로 교대로 풀업 트랜지스터로 구동되어 스트레스가 분산된다.The second transistor (TR2) is driven alternately with the first transistor (TR1). For example, the second transistor (TR2) operates as a pull-down transistor according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controlled by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for a first unit of time, and then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in response to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QB/Q) controlled by the pull-up control node [Q(n)] for a second unit of tim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R1, TR2) are driven alternately as pull-up transistors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that stress is distributed.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제어 노드(QB/Q)가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2 트랜지스터(TR2)는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이 때, 제2 전원 노드에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이 인가되고, 제1 전원 노드에 게이트 기준 전압(GVSS)이 인가된다. 제2 제어 노드(QB/Q)가 풀업 제어 노드[Q(n)]인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는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되어 제1 트랜지스터(TR1)를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동작시킨다. As illustrated in FIG. 4B,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controlled by the pull-up control node [Q(n)], the second transistor (TR2)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At this time,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node, and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node.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the pull-up control node [Q(n)], the first control node (Q/QB) is controlled by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to operate the first transistor (TR1) as a pull-down transistor.
신호 전달부[ST(n)]는 제1 제어 노드(Q/QB)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CTR1)와, 제2 제어 노드(Q/QB)의 전압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CTR2)를 포함한다. 제1 제어부(CTR1)는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를 충전하여 제1 트랜지스터(TR1)를 풀업 트랜지스터로 제어하고,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된다. 제2 제어부(CTR2)는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를 충전하여 제2 트랜지스터(TR2)를 풀업 트랜지스터로 제어하고,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된다. 도 1에서 신호 전달부에 입력되는 두 개의 시프트 클럭 중에서 어느 하나는 활성화 클럭이고, 다른 하나는 비활성화 클럭일 수 있다.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ST(n)]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CTR1) that controls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Q/QB) and a second control unit (CTR2) that controls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Q/QB). The first control unit (CTR1) controls the first transistor (TR1) as a pull-up transistor by charging the first control node (Q/QB) during a first unit time when an activation clock is input, and is deactivated during a second unit time when a deactivation clock is input. The second control unit (CTR2) controls the second transistor (TR2) as a pull-up transistor by charging the second control node (QB/Q) during a second unit time when an activation clock is input, and is deactivated during the first unit time when a deactivation clock is input. In Fig. 1, one of the two shift clocks input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may be an activation clock and the other may be a deactivation clock.
활성화 클럭은 단위 시간 동안 하이 전압(High voltage)과 로우 전압(Low voltage) 사이에서 스윙하는 복수의 펄스들을 포함한다. 비활성화 클럭은 단위 시간 동안 로우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활성화 클럭의 펄스 전압 즉, 하이 전압은 게이트 온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로우 전압은 게이트 오프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다. The activation clock includes a plurality of pulses that swing between a high voltage and a low voltage during a unit time. The deactivation clock can maintain a low voltage during a unit time. The pulse voltage of the activation clock, i.e., the high voltage, can be set as a gate-on voltage. The low voltage can be set as a gate-off voltage.
제1 트랜지스터(TR1)는 제1 제어 노드(Q/QB)가 풀업 제어 노드[Q(n)]인 제1 단위 시간 동안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는 제1 제어부(CTR1)에 의해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으로 유지된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TR2)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The first transistor (TR1)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during a first unit time when the first control node (Q/QB) is a pull-up control node [Q(n)]. During the first unit time, the second control node (QB/Q) can be controlled as a pull-down control node [QB(n)] by the first control section (CTR1). During the first unit time,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maintained at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istor (TR2) operates as a pull-down transistor.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2 제어 노드(Q/QB)가 풀업 제어 노드[Q(n)]인 제2 단위 시간 동안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는 제2 제어부(CTR2)에 의해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될 수 있다.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으로 유지된다. 이 때, 제2 트랜지스터(TR2)는 풀다운 트랜지스터로 동작한다. The second transistor (TR2)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during a second unit time when the second control node (Q/QB) is a pull-up control node [Q(n)]. During the second unit time, the first control node (Q/QB) can be controlled as a pull-down control node [QB(n)] by the second control unit (CTR2). During the second unit time, the first control node (Q/QB) is maintained at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 At this time, the second transistor (TR2) operates as a pull-down transistor.
도 5는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신호 전달부[ST(n)]와 버퍼(BUF)를 상세히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는 EM 펄스를 출력하는 제n 신호 전달부[ST(n)]와 이에 연결된 버퍼(BUF)의 회로를 예시한 것이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회로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를 이용하고 시프트 클럭을 스캔 펄스에 맞는 클럭을 이용하면 스캔 펄스가 생성될 수 있다. 제n 신호 전달부[ST(n)] 이외의 다른 신호 전달부도 제n 스테이지(ST(n))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를 구성하는 모든 트랜지스터들은 n 채널 Oxide TFT로 구현될 수 있다. FIG. 5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in detail the signal transmission unit [ST(n)] and the buffer (BUF) illustrated in FIGS. 4a and 4b. The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5 exemplifies the circuit of the n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 that outputs an EM pulse and the buffer (BUF) connected thereto,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a circuit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circuit illustrated in FIG. 5 is used and a clock matching the scan pulse is used as the shift clock, the scan pulse can be generated. Signal transmission units other than the n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 can also be implemented with a circuit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nth stage (ST(n)). All of the transistors constituting the shift register can be implemented with n-channel oxide TFTs.
도 6a 및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회로의 입출력 신호와 주요 노드의 전압을 보여 주는 파형도들이다. 도 6a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제1 제어부(CTR1)에 의해 충방전되는 제1 및 제2 제어 노드 전압을 보여 준다. 도 6b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제2 제어부(CTR2)에 의해 충방전되는 제1 및 제2 제어 노드 전압을 보여 준다. 도 6a 및 도 6b에서 'VDD'는 하이 전압이고, 'VSS'는 로우 전압이다. 도 7a 및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회로에서 제1 단위 시간과 제2 단위 시간의 동작을 보여 주는 회로도들이다. 도 7a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제1 제어부(CTR1)에 의해 제1 제어 노드(Q/QB)가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되고, 제2 제어 노드(QB/Q)가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되는 전류 흐름을 보여 준다. 도 7b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제2 제어부(CTR2)에 의해 제2 제어 노드(QB/Q)가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되고, 제1 제어 노드(Q/QB)가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되는 전류 흐름을 보여 준다. FIGS. 6A and 6B are waveform diagrams showing input/output signals and voltages of major nodes of the circuit illustrated in FIG. 5. FIG. 6A shows first and second control node voltages charged and discharged by a first control unit (CTR1) activated for a first unit time. FIG. 6B shows first and second control node voltages charged and discharged by a second control unit (CTR2) activated for a second unit time. In FIGS. 6A and 6B, 'VDD' is a high voltage, and 'VSS' is a low voltage. FIGS. 7A and 7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operations of the first unit time and the second unit time in the circuit illustrated in FIG. 5. Fig. 7a shows a current flow in which a first control node (Q/QB) is controlled as a pull-up control node [Q(n)] by a first control unit (CTR1) that is activated for a first unit of time, and a second control node (QB/Q) is controlled as a pull-down control node [QB(n)]. Fig. 7b shows a current flow in which a second control node (QB/Q) is controlled as a pull-up control node [Q(n)] by a second control unit (CTR2) that is activated for a second unit of time, and a first control node (Q/QB) is controlled as a pull-down control node [QB(n)].
도 5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제n 신호 전달부[ST(n)]는 제1 제어부(CTR1)와 제2 제어부(CTR2)를 포함하고, 제1 및 제2 버퍼(BUF1, BUF2)에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S. 5 to 7b, the n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 includes a first control unit (CTR1) and a second control unit (CTR2) and is connected to first and second buffers (BUF1, BUF2).
도 5에서 게이트 구동 전압(GVDD1, GVDD2)은 서로 다른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기준 전압(GVSS, GVSS0, GVSS2)은 서로 다른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Fig. 5, the gate driving voltages (GVDD1, GVDD2) can be set to different voltag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The gate reference voltages (GVSS, GVSS0, GVSS2) can be set to different voltag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제1 버퍼(BUF1)는 제1 및 제2 제어 노드(Q/QB, QB/Q)의 전압에 따라 제1 출력 노드를 충방전하여 EM 펄스[EMOUT(n)]를 출력한다. 제1 버퍼(BUF1)는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TR1, TR2)를 포함한다. 제1 트랜지스터(TR1)는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1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제1 트랜지스터(TR1)에 연결된다. 제2 트랜지스터(TR2)는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원 노드와 제2 전원 노드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은 게이트 구동 전압(GVDD2)과 게이트 기준 전압(GVSS0)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예를 들어, 제1 전원 노드에 게이트 구동 전압(GVDD2)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된 후, 게이트 기준 전압(GVSS0)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전원 노드에 게이트 기준 전압(GVSS0)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된 후, 게이트 구동 전압(GVDD2)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 The first buffer (BUF1) charges and discharges the first output node according to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nodes (Q/QB, QB/Q) to output an EM pulse [EMOUT(n)]. The first buffer (BUF1) includes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TR1, TR2). The first transistor (TR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The second transistor (TR2)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istor (TR1) across the first output node. The second transistor (TR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node. A voltage applied to each of the first power node and the second power node is switched between a gate driving voltage (GVDD2) and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For example, after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2)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node for a first unit time,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may be applied for a second unit time. Conversely, after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node for the first unit time,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2) may be applied for a second unit time.
제3 커패시터(C3)는 제1 트랜지스터(TR1)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4 커패시터(C4)는 제2 트랜지스터(TR2)의 게이트 전극과 제1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A third capacitor (C3)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TR1). A fourth capacitor (C4)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TR2).
제2 버퍼(BUF2)는 제1 및 제2 제어 노드(Q/QB, QB/Q)의 전압에 따라 제2 출력 노드를 충방전하여 캐리 펄스[CAR(n)]를 출력한다. 제2 버퍼(BUF2)는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들(TR3, TR4)를 포함한다. 제3 트랜지스터(TR3)는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4 트랜지스터(TR4)는 제2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제3 트랜지스터(TR3)에 연결된다. 제4 트랜지스터(TR4)는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4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 전원 노드와 제4 전원 노드 각각에 인가되는 전압은 게이트 구동 전압(GVDD1)과 게이트 기준 전압(GVSS2) 사이에서 스위칭된다. 예를 들어, 제3 전원 노드에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된 후, 게이트 기준 전압(GVSS2)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 반대로, 제4 전원 노드에 게이트 기준 전압(GVSS2)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된 후,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인가될 수 있다.The second buffer (BUF2) charges and discharges the second output node according to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nodes (Q/QB, QB/Q) to output a carry pulse [CAR(n)]. The second buffer (BUF2) includes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TR3, TR4). The third transistor (TR3)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third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node. The fourth transistor (TR4) is connected to the third transistor (TR3) across the second output node. The fourth transistor (TR4)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node. A voltage applied to each of the third power node and the fourth power node is switched between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and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2). For example, after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1) is applied to the third power node for a first unit time,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2) may be applied for a second unit time. Conversely, after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2) is applied to the fourth power node for a first unit time, the gate driving voltage (GVDD1) may be applied for a second unit time.
제1 버퍼들(BUF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제1 및 제2 트랜지스터들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이 주기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제2 버퍼들(BUF2)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들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이 주기적으로 스위칭될 수 있다. A power voltage applied to the first and second transistors in at least one of the first buffers (BUF1) may be periodically switched. A power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buffers (BUF2) may be periodically switched.
제1 제어부(CTR1)는 제1 Q 생성 로직부(QG1)와 제1 QB 생성 로직부(QBG1)를 포함한다. The first control unit (CTR1) includes a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 and a first QB generation logic unit (QBG1).
제1 Q 생성 로직부(QG1)는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어 제1 제어 노드(Q/QB)를 충전함으로써 제1 제어 노드(Q/QB)를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하고, 제2 제어 노드(QB/Q)를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한다. 제1 Q 생성 로직부(QG1)는 제1 CLK 노드에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된다.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 controls the first control node (Q/QB) as a pull-up control node [Q(n)] by charging the first control node (Q/QB) by inputting an activation clock (ECLK) to the first CLK node for a first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S. 6A and 7A,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s a pull-down control node [QB(n)].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 is deactivated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an de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제1 Q 생성 로직부(QG1)는 제5 내지 제8 트랜지스터들(T5~T8)을 포함할 수 있다.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 may include fifth to eighth transistors (T5 to T8).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턴-온되어 캐리 신호 노드를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한다. 캐리 신호 노드에는 캐리 펄스[CAR(n-1)]가 인가된다. 캐리 펄스[CAR(n-1)]는 이전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제2 출력 노드로부터 출력된다. 제5 트랜지스터(T5)는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CLK 노드에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된다. The fifth transistor (T5) is turned on during a first unit time when an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to connect the carry signal node to the first buffer node (Qh). A carry pulse [CAR(n-1)] is applied to the carry signal node. The carry pulse [CAR(n-1)] is output from a second output node of a previous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an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The fifth transistor (T5)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signa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 An in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during a second pull-up time.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턴-온되어 제1 버퍼 노드(Qh)를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한다. 제6 트랜지스터(T6)는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sixth transistor (T6) is turned on during the first unit time when an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to connect the first buffer node (Qh)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The sixth transistor (T6)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T5, T6)은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인가되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ECLK)의 하이 전압(VDD)에 따라 턴-온되어 제1 버퍼 노드(Qh)와 제1 제어 노드(Q/QB)를 충전한다. 이 때 제1 제어 노드(Q/QB)는 풀업 제어 노드[Q(n)]이다. 제5 및 제6 트랜지스터들(T5, T6)은 제1 CLK 노드에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T5, T6)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high voltage (VDD) of the activation clock (ECLK) during the first unit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applied to the first CLK node, thereby charging the first buffer node (Qh) and the first control node (Q/QB). At this time, the first control node (Q/QB) is a pull-up control node [Q(n)]. The fifth and sixth transistors (T5, T6) maintain an off state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de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1 제어 노드(Q/QB)가 하이 전압(VDD)으로 충전될 때 턴-온되어 제5 전원 노드를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하여 제1 버퍼 노드(Qh)를 충방전한다. 제5 전원 노드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기준 전압(GVSS0)이 인가된다. 제7 트랜지스터(T7)는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5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seventh transistor (T7) is turned on when the first control node (Q/QB) is charged to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fifth power node to the first buffer node (Qh) to charge and discharge the first buffer node (Qh). As illustrated in FIG. 7a,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is applied to the fifth power node for a first unit time, and as illustrated in FIG. 7b,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is applied to the fifth power node for a second unit time. The seventh transistor (T7)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
제8 트랜지스터(T8)는 제2 버퍼 노드(QhB)의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6 전원 노드를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하여 제1 제어 노드(Q/QB)를 방전시킨다. 제6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2)이 인가된다. 제8 트랜지스터(T8)는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eighth transistor (T8)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buffer node (QhB)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sixth power node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to discharge the first control node (Q/QB).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2) is applied to the sixth power node. The eighth transistor (T8)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제1 QB 생성 로직부(QBG1)는 도 6a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가 로우 전압으로 방전될 때 제2 제어 노드(QB/Q)를 충전시켜 제2 제어 노드(QB/Q)를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한다. The first QB generation logic unit (QBG1)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QB/Q) to a pull-down control node [QB(n)] by charging the second control node (QB/Q) when the first control node (Q/QB) is discharged to a low voltage for the first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S. 6A and 7A.
제1 QB 생성 로직부(QBG1)는 제9 내지 제11 트랜지스터들(T9, T10, T1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QB generation logic unit (QBG1) may include ninth to eleventh transistors (T9, T10, T11).
제9 트랜지스터(T9)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제2 제어 노드(QB/Q)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7 전원 노드를 제11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한다. 제7 전원 노드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기준 전압(GVSS)이 인가된다. 제9 트랜지스터(T9)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의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7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1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ninth transistor (T9)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QB/Q)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is a high voltage (VDD), and connects the seventh power node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11). As illustrated in FIG. 7A,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is applied to the seventh power node for a first unit time, and as illustrated in FIG. 7B,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 is applied to the seventh power node for a second unit time. The ninth transistor (T9)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ven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11).
제10 트랜지스터(T10)는 제1 버퍼 노드(Qh)의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11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을 제10 전원 노드에 연결한다. 제10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1)이 인가된다. 제10 트랜지스터(T10)는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1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0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tenth transistor (T10)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buffer node (Qh)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gate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11) to the tenth power node.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1) is applied to the tenth power node. The tenth transistor (T10)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11),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tenth power node.
제11 트랜지스터(T11)는 게이트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11 전원 노드를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한다. 제11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된다. 제11 트랜지스터(T11)는 제9 트랜지스터(T9)의 제2 전극과 제10 트랜지스터(T10)의 제1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커패시터(C1)는 제11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eleventh transistor (T11) is turned on when the gate voltage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eleventh power node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is applied to the eleventh power node. The eleventh transistor (T1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ninth transistor (T9)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tenth transistor (T10),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eleven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 first capacitor (C1)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11).
제2 제어부(CTR2)는 제2 Q 생성 로직부(QG2)와 제2 QB 생성 로직부(QBG2)를 포함한다. The second control unit (CTR2) includes a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2) and a second QB generation logic unit (QBG2).
제2 Q 생성 로직부(QG2)는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를 충전함으로써 제2 제어 노드(QB/Q)를 풀업 제어 노드[Q(n)]로 제어하고, 제1 제어 노드(Q/QB)를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한다. 제2 Q 생성 로직부(QG2)는 제2 CLK 노드에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된다.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2)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s a pull-up control node [Q(n)] and controls the first control node (Q/QB) as a pull-down control node [QB(n)] by charging the second control node (QB/Q)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as illustrated in FIGS. 6b and 7b.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2) is deactivated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de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제2 Q 생성 로직부(QG2)는 제12 내지 제15 트랜지스터들(T12~T1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2) may include twelfth to fifteenth transistors (T12 to T15).
제12 트랜지스터(T12)는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턴-온되어 캐리 신호 노드를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한다. 캐리 신호 노드에는 캐리 펄스[CAR(n-1)]가 인가된다. 캐리 펄스[CAR(n-1)]는 이전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제2 출력 노드로부터 출력된다. 제12 트랜지스터(T12)는 제2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twelfth transistor (T12) is turned on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to connect the carry signal node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A carry pulse [CAR(n-1)] is applied to the carry signal node. The carry pulse [CAR(n-1)] is output from the second output node of a previous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The twelfth transistor (T1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signa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제13 트랜지스터(T13)는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턴-온되어 제2 버퍼 노드(QhB)를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한다. 제13 트랜지스터(T13)는 제2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thirteenth transistor (T13) is turned on for a second unit time during which an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to connect the second buffer node (QhB)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The thirteenth transistor (T13)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제12 및 제13 트랜지스터들(T12, T13)은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인가되는 제2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ECLK)의 하이 전압(VDD)에 따라 턴-온되어 제2 버퍼 노드(QhB)와 제2 제어 노드(QB/Q)를 충전한다. 이 때 제2 제어 노드(QB/Q)는 풀업 제어 노드[Q(n)]이다. 제12 및 제13 트랜지스터들(T12, T13)은 제2 CLK 노드에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되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The twelfth and thirteenth transistors (T12, T13)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high voltage (VDD) of the activation clock (ECLK) during the second unit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applied to the second CLK node, thereby charging the second buffer node (QhB) and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t this time,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a pull-up control node [Q(n)]. The twelfth and thirteenth transistors (T12, T13) maintain an off state during the first unit time when the de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제14 트랜지스터(T14)는 제2 제어 노드(QB/Q)가 하이 전압(VDD)으로 충전될 때 턴-온되어 제12 전원 노드를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하여 제2 버퍼 노드(QhB)를 충방전한다. 제12 전원 노드에는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되고,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기준 전압(GVSS0)이 인가된다. 제14 트랜지스터(T14)는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fourteenth transistor (T14)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charged to the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twelfth power node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to charge and discharge the second buffer node (QhB). The twelfth power node is applied with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for a second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 7B, and is applied with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for a first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 7A. The fourteenth transistor (T14)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twelf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제15 트랜지스터(T15)는 제1 버퍼 노드(Qh)의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6 전원 노드를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하여 제2 제어 노드(QB/Q)를 방전시킨다. 제6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2)이 인가된다. 제15 트랜지스터(T15)는 제1 버퍼 노드(Qh)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제어 노드(QB/Q)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fifteenth transistor (T15)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buffer node (Qh)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sixth power node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to discharge the second control node (QB/Q).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2) is applied to the sixth power node. The fifteenth transistor (T15)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QB/Q).
제2 QB 생성 로직부(QBG2)는 도 6b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가 로우 전압(VSS)으로 방전될 때 제1 제어 노드(Q/QB)를 충전시켜 제1 제어 노드(Q/QB)를 풀다운 제어 노드[QB(n)]로 제어한다. The second QB generation logic unit (QBG2) controls the first control node (Q/QB)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by charging the first control node (Q/QB) when the second control node (QB/Q) is discharged to the low voltage (VSS) for the second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S. 6b and 7b.
제2 QB 생성 로직부(QBG2)는 제16 내지 제18 트랜지스터들(T16, T17, T18)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QB generation logic unit (QBG2) may include sixteenth to eighteenth transistors (T16, T17, T18).
제16 트랜지스터(T16)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제1 제어 노드(Q/QB)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13 전원 노드를 제18 트랜지스터(T18)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한다. 제13 전원 노드에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기준 전압(GVSS)이 인가되고,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된다. 제13 트랜지스터(T13)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의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8 트랜지스터(T18)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16th transistor (T16)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Q/QB)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13th power node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8th transistor (T18). The 13th power node is applied with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 for a first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 7A, and with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for a second unit time as illustrated in FIG. 7B. The 13th transistor (T13)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13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8th transistor (T18).
제17 트랜지스터(T17)는 제2 버퍼 노드(QhB)의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18 트랜지스터(T18)의 게이트 전극을 제10 전원 노드에 연결한다. 제10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1)이 인가된다. 제17 트랜지스터(T17)는 제2 버퍼 노드(Qh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8 트랜지스터(T11)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0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17th transistor (T17)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buffer node (QhB)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gate electrode of the 18th transistor (T18) to the 10th power node.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1) is applied to the 10th power node. The 17th transistor (T17)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8th transistor (T11),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10th power node.
제18 트랜지스터(T18)는 게이트 전압이 하이 전압(VDD)일 때 턴-온되어 제11 전원 노드를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한다. 제11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된다. 제18 트랜지스터(T18)는 제16 트랜지스터(T16)의 제2 전극과 제17 트랜지스터(T17)의 제1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제어 노드(Q/QB)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커패시터(C2)는 제18 트랜지스터(T18)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The eighteenth transistor (T18) is turned on when the gate voltage is a high voltage (VDD) to connect the eleventh power node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is applied to the eleventh power node. The eighteenth transistor (T18)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ixteenth transistor (T16)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seventeenth transistor (T17),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eleven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Q/QB). A second capacitor (C2)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ighteenth transistor (T18).
도 8은 도 5에 도시된 회로에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신호를 입력한 시뮬레이션 파형이다. 도 8에서, 'Q'는 풀업 제어 노드의 파형으로서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의 전압이고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의 전압이다. 도 8에서, 'QB'는 풀다운 제어 노드의 파형으로서 제1 단위 시간 동안 제2 제어 노드(QB/Q)의 전압이고 제2 단위 시간 동안 제1 제어 노드(Q/QB)의 전압이다. Fig. 8 is a simulation waveform in which the signals shown in Figs. 6a and 6b are input to the circuit shown in Fig. 5. In Fig. 8, 'Q' is a waveform of a pull-up control node, which is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Q/QB) for the first unit time and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QB/Q) for the second unit time. In Fig. 8, 'QB' is a waveform of a pull-down control node, which is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QB/Q) for the first unit time and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Q/QB) for the second unit time.
게이트 구동 회로의 다른 실시예는 도 9a 내지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풀업 트랜지스터들을 교번 구동하여 풀업 트랜지스터들의 스트레스를 분산할 수 있다. 이 실시예는 전술한 제1 및 제2 Q 생성부들 중 적어도 하나와 그 Q 생성부에 연결되는 버퍼에 적용되거나 단독으로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도 4a 내지 도 5에 도시된 게이트 구동 회로에서 적어도 제1 및 제2 제어부들(CTR1, CTR2) 중 적어도 하나의 Q 생성 로직부를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제1 및 제2 Q 생성 로직부로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버퍼 트랜지스터들 각각은 교대로 구동되는 두 개의 트랜지스터들을 포함할 수 있다. 1 단위 시간은 제1 및 제2 풀업 시간으로 나뉘고, 제1 Q 생성 로직부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두 개의 풀업 트랜지스터들 중 하나의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동하고, 제2 Q 생성 로직부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다른 풀업 트랜지스터를 구동할 수 있다. Another embodiment of the gate driving circuit can distribute the stress of the pull-up transistors by alternately driving two pull-up transistors as illustrated in FIGS. 9A and 10B. This embodiment can be applied to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Q generation units described above and a buffer connected to the Q generation unit, or can be applied alone. For example,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figure the Q generation logic unit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control units (CTR1, CTR2) in the gate driving circuit illustrated in FIGS. 4A to 5 as the first and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s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In this case, each of the buffer transistors can include two transistors that are alternately driven. One unit time is divided into first and second pull-up times, and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can drive one of the two pull-up transistors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and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can drive the other pull-up transistor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버퍼 트랜지스터들의 구동 방법을 보여 주는 도면이다. 도 9에서 게이트 구동 전압(GVDD, GVDD1, GVDD2)은 서로 다른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게이트 기준 전압(GVSS0, GVSS1, GVSS2)은 서로 다른 전압으로 설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0a 및 도 10b는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회로에서 제1 풀업 시간과 제2 풀업 시간의 동작을 보여 주는 회로도들이다.FIGS.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a driving method of buffer transistor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FIG. 9, gate driving voltages (GVDD, GVDD1, GVDD2) may be set to different voltag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Gate reference voltages (GVSS0, GVSS1, GVSS2) may be set to different voltages, but are not limited thereto. FIGS. 10A and 10B are circuit diagram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first pull-up time and the second pull-up time in the circuits shown in FIGS. 9A and 9B.
도 9a 내지 도 10b를 참조하면, 제n 신호 전달부[ST(n)]는 제1 Q 생성 로직부(QG11), 제2 Q 생성 로직부(QG12), 및 QB 생성 로직부(QGB)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9a to 10b, the n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 includes a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a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and a QB generation logic unit (QGB).
제1 Q 생성 로직부(QG11)는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제1 풀업 제어 노드[Q1(n)]를 충전하여 제1 버퍼(BUF1)의 제1-1 풀업 트랜지스터(TR11)를 구동한다. 제1 Q 생성 로직부(QG11)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업 시간 동안 제2 버퍼(BUF2)의 제3-1 풀업 트랜지스터(TR31)를 더 구동할 수 있다. 제1 Q 생성 로직부(QG11)는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charges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drive the 1-1st pull-up transistor (TR11) of the first buffer (BUF1).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can further drive the 3-1st pull-up transistor (TR31) of the second buffer (BUF2)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as illustrated in FIG. 10a.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can be deactivated by inputting the deactivation clock (ECLK)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as illustrated in FIG. 10b.
제2 Q 생성 로직부(QG12)는 제1 Q 생성 로직부(QG11)와 교대로 활성화되어 제2 풀업 제어 노드[Q2(n)]를 충전하여 제1-2 풀업 트랜지스터(TR11)를 구동한다. 제2 Q 생성 로직부(QG1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제1 버퍼(BUF1)의 제1-2 풀업 트랜지스터(TR12)를 구동한다. 제2 Q 생성 로직부(QG12)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제2 버퍼(BUF2)의 제3-2 풀업 트랜지스터(TR32)를 더 구동할 수 있다. 제2 Q 생성 로직부(QG12)는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어 비활성화될 수 있다.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is activated alternately with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to charge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and drive the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TR11).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drives the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TR12) of the first buffer (BUF1)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to which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as illustrated in FIG. 10a.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can further drive the third-second pull-up transistor (TR32) of the second buffer (BUF2)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can be deactivated by inputting the deactivation clock (ECLK)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as illustrated in FIG. 10a.
활성화 클럭(ECLK)은 단위 시간 동안 하이 전압과 로우 전압 사이에 스윙하는 복수의 펄스들을 포함한다. 비활성화 클럭(ECLKB)은 단위 시간 동안 로우 전압을 유지한다. The enable clock (ECLK) contains multiple pulses that swing between high and low voltages during a unit of time. The disable clock (ECLKB) remains low during a unit of time.
QB 생성 로직부(QGB)는 제1 및 제2 풀업 제어 노드[Q1(n), Q2(n)]가 방전되는 풀다운 시간 동안 풀다운 제어 노[QB(n)]를 충전하여 풀다운 트랜지스터들(TR20, TR40)을 구동한다. QB 생성 로직부(QGB)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풀업 제어 노드 전압에 응답하여 제1 버퍼(BUF)의 풀다운 트랜지스터들(TR20, TR40)를 구동할 수 있다. The QB generation logic unit (QGB) charges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during the pull-down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pull-up control nodes [Q1(n), Q2(n)] are discharged, thereby driving the pull-down transistors (TR20, TR40). The QB generation logic unit (QGB) can drive the pull-down transistors (TR20, TR40) of the first buffer (BUF) in response to the pull-up control node voltage of a previous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제1 버퍼(BUF1)는 제1 출력 노드를 충방전하여 EM 펄스[EMOUT(n)]를 출력한다. 제1 버퍼(BUF1)는 제1 및 제2 Q 생성 로직부(QG11, QG12)에 의해 교대로 구동되는 제1-1 및 제1-2 풀업 트랜지스터들(TR11, TR12)과, QB 생성 로직부(QGB)에 의해 구동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R20)를 포함한다. The first buffer (BUF1) charges and discharges the first output node to output an EM pulse [EMOUT(n)]. The first buffer (BUF1) includes first-first and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s (TR11, TR12) alternately driven by first and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s (QG11, QG12), and a first pull-down transistor (TR20) driven by a QB generation logic unit (QGB).
제1-1 풀업 트랜지스터(TR11)는 제1 풀업 제어 노드[Q1(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2 풀업 트랜지스터(TR12)는 제2 풀업 제어 노드[Q2(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GVDD2)이 인가된다. 제2 커패시터(C6)는 제1-1 풀업 트랜지스터(TR11)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제3 커패시터(C7)는 제1-2 풀업 트랜지스터(TR12)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TR1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output node. The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TR1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A gate driving voltage (GVDD2)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node. The second capacitor (C6)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TR11). The third capacitor (C7)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TR12).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R20)는 제1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제1-1 및 제1-2 풀업 트랜지스터들(TR11, TR12)에 연결된다.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TR20)는 풀다운 제어 노드(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0)이 인가된다. The first pull-down transistor (TR20) is connected to the first-first and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s (TR11, TR12) with the first output no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pull-down transistor (TR20)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power node.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node.
제2 버퍼(BUF2)는 제2 출력 노드를 충방전하여 캐리 펄스[CAR(n)]를 출력한다. 제2 버퍼(BUF2)는 제1 및 제2 Q 생성 로직부(QG11, QG12)에 의해 교대로 구동되는 제3-1 및 제3-2 풀업 트랜지스터들(TR31, TR32)과, QB 생성 로직부(QGB)에 의해 구동되는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R40)를 포함한다. The second buffer (BUF2) charges and discharges the second output node to output a carry pulse [CAR(n)]. The second buffer (BUF2) includes 3-1 and 3-2 pull-up transistors (TR31, TR32) alternately driven by the first and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s (QG11, QG12), and a second pull-down transistor (TR40) driven by the QB generation logic unit (QGB).
제3-1 풀업 트랜지스터(TR31)는 제1 풀업 제어 노드[Q1(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2 풀업 트랜지스터(TR32)는 제2 풀업 제어 노드[Q2(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third-first pull-up transistor (TR3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node. The third-second pull-up transistor (TR3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node.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R40)는 제2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제3-1 및 제3-2 풀업 트랜지스터들(TR31, TR32)에 연결된다.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TR40)는 풀다운 제어 노드(QB)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second pull-down transistor (TR40) is connected to the 3-1 and 3-2 pull-up transistors (TR31, TR32) with the second output no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pull-down transistor (TR40)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output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ower node.
제1 Q 생성 로직부(QG11)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내지 제6 트랜지스터들(T25~T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Q 생성 로직부(QG11)는 제2 Q 생성 로직부(QG12)와 공유되는 제7 트랜지스터(Q28)를 더 포함한다.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may include fourth to sixth transistors (T25 to T27) as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QG11) further includes a seventh transistor (Q28) shared with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제4 트랜지스터(T25)는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턴-온되어 캐리 신호 노드를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한다. 캐리 신호 노드에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로부터의 캐리 펄스[CAR(n-1)]가 인가된다. 캐리 펄스[CAR(n-1)]는 이전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제2 출력 노드로부터 출력될 수 있다. 제4 트랜지스터(T25)는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CLK 노드에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된다. The fourth transistor (T25) is turned on during a first pull-up time when an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to connect the carry signal node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A carry pulse [CAR(n-1)] from a previous signal transmission unit is applied to the carry signal node. The carry pulse [CAR(n-1)] can be output from a second output node of the previous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The fourth transistor (T25)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signa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An in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제5 트랜지스터(T26)는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턴-온되어 제1 버퍼 노드(Qh1)를 제1 풀업 제어 노드[Q1(n)]에 연결한다. 제5 트랜지스터(T26)는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풀업 제어 노드[Q1(n)]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fifth transistor (T26) is turned on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to connect the first buffer node (Qh1) to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The fifth transistor (T26)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들(T25, T26)은 제1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인가되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ECLK)의 하이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제1 버퍼 노드(Qh1)와 제1 풀업 제어 노드[Q1(n)]를 충전한다. 제4 및 제5 트랜지스터들(T25, T26T)은 제1 CLK 노드에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되는 제2 풀업 시간과, 풀다운 시간 동안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The fourth and fifth transistors (T25, T26)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high voltage of the activation clock (ECLK)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applied to the first CLK node, thereby charging the first buffer node (Qh1) and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The fourth and fifth transistors (T25, T26T) are maintained in an off state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when the de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first CLK node, and during the pull-down time.
제6 트랜지스터(T27)는 제1 풀업 제어 노드[Q1(n)]가 하이 전압으로 충전될 때 턴-온되어 제3 전원 노드를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하여 제1 버퍼 노드(Qh1)를 충전한다. 제3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이 인가된다. 제6 트랜지스터(T27)는 제1 풀업 제어 노드[Q1(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sixth transistor (T27) is turned on when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is charged to a high voltage to connect the third power node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to charge the first buffer node (Qh1). A gate driving voltage (GVDD) is applied to the third power node. The sixth transistor (T27)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Q1(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제7 트랜지스터(T28)는 제1 버퍼 노드(Qh1) 또는 제2 버퍼 노드(Qh2)의 전압이 하이 전압일 때 턴-온되어 풀다운 제어 노드[QB(n)]를 제4 전원 노드에 연결하여 풀다운 제어 노드[QB(n)]를 방전시킨다. 제4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2)이 인가된다. 제7 트랜지스터(T28)는 제1 및 제2 버퍼 노드(Qh1, Qh2)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풀다운 제어 노드[QB(n)]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4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seventh transistor (T28)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buffer node (Qh1) or the second buffer node (Qh2) is a high voltage to connect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to the fourth power node to discharge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2) is applied to the fourth power node. The seventh transistor (T28)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uffer nodes (Qh1, Qh2),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ourth power node.
제2 Q 생성 로직부(QG12)는 도 10a 및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8 내지 제10 트랜지스터들(T29~T31)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QG12) may include eighth to tenth transistors (T29 to T31) as illustrated in FIGS. 10a and 10b.
제8 트랜지스터(T29)는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턴-온되어 캐리 신호 노드를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한다. 캐리 신호 노드에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로부터의 캐리 펄스[CAR(n-1)]가 인가된다. 제8 트랜지스터(T29)는 제3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버퍼 노드(Qh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CLK 노드에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된다. The eighth transistor (T29) is turned on during a second pull-up time when an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to connect the carry signal node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A carry pulse [CAR(n-1)] from a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is applied to the carry signal node. The eighth transistor (T29)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rd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signa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2). An in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제9 트랜지스터(T30)는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입력되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턴-온되어 제2 버퍼 노드(Qh2)를 제2 풀업 제어 노드[Q2(n)]에 연결한다. 제9 트랜지스터(T30)는 제2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버퍼 노드(Qh2)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풀업 제어 노드[Q2(n)]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ninth transistor (T30) is turned on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to connect the second buffer node (Qh2) to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The ninth transistor (T30)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2),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제8 및 제9 트랜지스터들(T29, T30)은 제2 CLK 노드에 활성화 클럭(ECLK)이 인가되는 제2 풀업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ECLK)의 하이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제2 버퍼 노드(Qh2)와 제2 풀업 제어 노드[Q2(n)]를 충전한다. 제8 및 제9 트랜지스터들(T29, T30)은 제2 CLK 노드에 비활성화 클럭(ECLKB)이 입력되는 제1 풀업 시간과, 풀다운 시간 동안 오프 상태를 유지한다. The eighth and ninth transistors (T29, T30) are turned on according to the high voltage of the activation clock (ECLK)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when the activation clock (ECLK) is applied to the second CLK node, thereby charging the second buffer node (Qh2) and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The eighth and ninth transistors (T29, T30) are maintained in an off state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when the deactivation clock (ECLKB) is input to the second CLK node, and during the pull-down time.
제10 트랜지스터(T31)는 제2 풀업 제어 노드[Q2(n)]가 하이 전압으로 충전될 때 턴-온되어 제3 전원 노드를 제2 버퍼 노드(Qh2)에 연결하여 제2 버퍼 노드(Qh2)를 충전한다. 제3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GVDD)이 인가된다. 제10 트랜지스터(T31)는 제2 풀업 제어 노드[Q2(n)]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버퍼 노드(Qh2)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tenth transistor (T31) is turned on when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is charged to a high voltage to connect the third power node to the second buffer node (Qh2) to charge the second buffer node (Qh2). A gate driving voltage (GVDD) is applied to the third power node. The tenth transistor (T31)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Q2(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2).
풀업 트랜지스터들(TR11, TR12, TR31, TR32)는 제1 및 제2 풀업 시간 동안 교대로 충전되는 제1 및 제2 풀업 제어 노드들[Q1(n), Q2(n)]의 전압에 응답하여 턴-온되어 출력 노드들을 충전한다. Pull-up transistors (TR11, TR12, TR31, TR32) are turned on in response to the voltages of the first and second pull-up control nodes [Q1(n), Q2(n)], which are alternately charged during the first and second pull-up times, to charge the output nodes.
QB 생성 로직부(QBG)는 풀다운 시간 동안 될 때 풀다운 제어 노드[QB(n)]를 충전시킨다. 풀다운 트랜지스터들(TR20, TR40)은 풀다운 제어 노드[QB(n)]가 하이 전압으로 충전될 때 턴-온되어 출력 노드들을 게이트 기준 전압(GVSS0, GVSS2)까지 방전시킨다. The QB generation logic section (QBG) charges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when the pull-down time is reached. The pull-down transistors (TR20, TR40) are turned on when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is charged to a high voltage, thereby discharging the output nodes to the gate reference voltage (GVSS0, GVSS2).
QB 생성 로직부(QBG)는 제11 내지 제14 트랜지스터들(T32~T35)을 포함할 수 있다.The QB generation logic unit (QBG) may include eleventh to fourteenth transistors (T32 to T35).
제11 트랜지스터(T32)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 예를 들어, 제n-1 신호 전달부[ST(n-1)]의 풀다운 제어 노드[QB(n-1)] 전압이 하이 전압일 때 즉, 풀다운 시간에 턴-온되어 제5 전원 노드를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한다. 제5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GVDD1)이 인가된다. 제11 트랜지스터(T32)는 이전 단 신호 전달부의 풀다운 제어 노드[QB(n-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5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eleventh transistor (T32)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1)]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for example, the n-1th signal transmission unit [ST(n-1)], is a high voltage, that is, at the pull-down time, to connect the fifth power node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eenth transistor (T35). A gate driving voltage (GVDD1) is applied to the fifth power node. The eleventh transistor (T32)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1)]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fourteenth transistor (T35).
제12 트랜지스터(T33)는 제1 버퍼 노드(Qh1)의 전압이 하이 전압일 때 즉, 제1 풀업 시간에 턴-온되어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을 제6 전원 노드에 연결한다. 제6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기준 전압(GVSS1)이 인가된다. 제12 트랜지스터(T33)는 제1 버퍼 노드(Qh1)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The 12th transistor (T33)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first buffer node (Qh1) is a high voltage, that is, at the first pull-up time, to connect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T35) to the sixth power node. A gate reference voltage (GVSS1) is applied to the sixth power node. The 12th transistor (T33)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Qh1),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T35),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node.
제13 트랜지스터(T34)는 제2 버퍼 노드(Qh2)의 전압이 하이 전압일 때 즉, 제2 풀업 시간에 턴-온되어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을 제6 전원 노드에 연결한다. 제13 트랜지스터(T34)는 제2 버퍼 노드(Qh2)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The 13th transistor (T34) is turned on when the voltage of the second buffer node (Qh2) is a high voltage, that is, at the second pull-up time, to connect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T35) to the sixth power node. The 13th transistor (T34)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Qh2),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T35),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node.
제14 트랜지스터(T35)는 게이트 전압이 하이 전압인 풀다운 시간에 턴-온되어 제5 전원 노드를 풀다운 제어 노드[QB(n)]에 연결하여 풀다운 제어 노드[QB(n)]를 충전한다. 제14 트랜지스터(T35)는 제11 트랜지스터(T32)의 제2 전극과 제12 및 제13 트랜지스터들(T33, T34)의 제1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5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풀다운 제어 노드[QB(n)]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커패시터(C5)는 제14 트랜지스터(T35)의 게이트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The fourteenth transistor (T35) is turned on during the pull-down time when the gate voltage is a high voltage to connect the fifth power node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to charge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The fourteenth transistor (T35)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32) and the first electrodes of the twelfth and thirteenth transistors (T33, T34),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QB(n)]. A first capacitor (C5)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gate electrode and the second electrode of the fourteenth transistor (T35).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표시장치를 보여 주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표시패널의 단면 구조를 보여 주는 단면도이다. Fig. 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shown in Fig. 11.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장치는 표시패널(100),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픽셀 데이터를 기입(write)하기 위한 표시패널 구동부, 및 픽셀들과 표시패널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발생하는 전원부(140)를 포함한다. Referring to FIGS. 11 and 12, a display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isplay panel (100), a display panel driver for writing pixel data to pixels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a power supply unit (140) for generating power required to drive the pixels and the display panel driver.
표시패널(100)은 X축 방향의 길이, Y축 방향의 폭 및 Z축 방향의 두께를 가지는 장방형 구조의 표시패널일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화면 상에서 입력 영상을 표시하는 픽셀 어레이를 포함한다. 픽셀 어레이는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102), 데이터 라인들(102)과 교차되는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103), 및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는 픽셀들을 포함한다. 표시패널(100)은 픽셀들에 공통으로 연결된 전원 라인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라인들은 픽셀 구동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전원 라인, 초기화 전압(Vinit1)이 인가되는 전원 라인, 저전위 전원 전압(ELVSS)이 인가되는 전원 라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00) may be a display panel having a rectangular structure having a length in the X-axis direction, a width in the Y-axis direction, and a thickness in the Z-axis direction. The display panel (100) includes a pixel array that displays an input image on a screen. The pixel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data lines (102), a plurality of gate lines (103) intersecting the data lines (102), and pixels arranged in a matrix form. The display panel (100) may further include power lines commonly connected to the pixels. The power lines may include a power line to which a pixel driving voltage (ELVDD) is applied, a power line to which an initialization voltage (Vinit1) is applied, a power line to which a low-potential power voltage (ELVSS) is applied, etc.
표시패널(100)의 단면 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판(10) 상에 적층된 회로층(12), 발광 소자층(14), 및 봉지층(encapsulation layer)(16)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ross-sectional structure of the display panel (100) may include a circuit layer (12), a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and an encapsulation layer (16) laminated on a substrate (10), as illustrated in FIG. 2.
회로층(12)은 데이터 라인, 게이트 라인, 전원 라인 등의 배선들에 연결된 픽셀 회로를 포함한 TFT 어레이, 디멀티플렉서 어레이(112), 게이트 구동부(12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12)의 배선과 회로 소자들은 복수의 절연층들과, 절연층을 사이에 두고 분리된 둘 이상의 금속층, 그리고 반도체 물질을 포함한 액티브층을 포함할 수 있다. 회로층(12)에 형성된 모든 트랜지스터들은 n 채널 Oxide TFT로 구현될 수 있다.The circuit layer (12) may include a TFT array including pixel circuits connected to wiring such as data lines, gate lines, and power lines, a demultiplexer array (112), a gate driver (120), etc. The wiring and circuit elements of the circuit layer (12) may include a plurality of insulating layers, two or more metal layers separated by an insulating layer, and an active layer including a semiconductor material. All of the transistors formed in the circuit layer (12) may be implemented as n-channel oxide TFTs.
발광 소자층(14)은 픽셀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발광 소자(EL)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EL)는 적색(R) 발광 소자, 녹색(G) 발광 소자, 및 청색(B)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발광 소자층(14)은 백색 발광 소자와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발광 소자층(14)의 발광 소자들(EL)은 유기막 및 보호막을 포함한 보호층에 의해 덮여질 수 있다.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may include light-emitting elements (EL) driven by pixel circuits. The light-emitting elements (EL) may include red (R) light-emitting elements, green (G) light-emitting elements, and blue (B) light-emitting elements. In another embodiment,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may include a white light-emitting element and a color filter. The light-emitting elements (EL)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may be covered by a protective layer including an organic film and a protective film.
봉지층(16)은 회로층(12)과 발광 소자층(14)을 밀봉하도록 상기 발광 소자층(14)을 덮는다. 봉지층(16)은 유기막과 무기막이 교대로 적층된 멀티 절연막 구조일 수도 있다. 무기막은 수분이나 산소의 침투를 차단한다. 유기막은 무기막의 표면을 평탄화한다. 유기막과 무기막이 여러 층들로 적층되면, 단일 층에 비해 수분이나 산소의 이동 경로가 길어져 발광 소자층(14)에 영향을 주는 수분과 산소의 침투가 효과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The sealing layer (16) covers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to seal the circuit layer (12) and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The sealing layer (16) may be a multi-insulating film structure in which organic films and inorganic films are alternately laminated. The inorganic film blocks the penetration of moisture or oxygen. The organic film flattens the surface of the inorganic film. When the organic film and the inorganic film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the migration path of moisture or oxygen becomes longer compared to a single layer, so that the penetration of moisture and oxygen affecting the light-emitting element layer (14) can be effectively blocked.
봉지층(16) 상에 도면에서 생략된 터치 센서층이 형성되고 그 위에 편광판이나 컬러필터층이 배치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터치 입력 전후에 용량(capacitance)의 변화를 바탕으로 터치 입력을 센싱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들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층은 터치 센서들의 용량을 형성하는 금속 배선 패턴들과 절연막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절연막들은 금속 배선 패턴들에서 교차되는 부분을 절연하고 터치 센서층의 표면을 평탄화할 수 있다. 편광판은 터치 센서층과 회로층의 금속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의 편광을 변환하여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편광판은 선편광판과 위상지연필름이 접합된 편광판 또는 원편광판으로 구현될 수 있다. 편광판 상에 커버 글래스가 접착될 수 있다. 컬러 필터층은 적색, 녹색, 및 청색 컬러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은 블랙 매트릭스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컬러 필터층은 회로층과 터치 센서층으로부터 반사된 빛의 파장 일부를 흡수하여 편광판의 역할을 대신하고 픽셀 어레이에서 재현되는 영상의 색순도를 높일 수 있다.A touch sensor layer, which is omitted in the drawing, may be formed on the sealing layer (16), and a polarizing plate or a color filter layer may be disposed thereon. The touch sensor layer may include capacitive touch sensors that sense a touch input based on a change in capacitance before and after a touch input. The touch sensor layer may include metal wiring patterns and insulating films that form the capacitance of the touch sensors. The insulating films may insulate an intersecting portion of the metal wiring patterns and flatten the surface of the touch sensor layer. The polarizing plate may convert the polarization of external light reflected by the metal of the touch sensor layer and the circuit layer to improve visibility and contrast ratio. The polarizing plate may be implemented as a polarizing plate or a circular polarizing plate in which a linear polarizing plate and a phase delay film are bonded. A cover glass may be adhered to the polarizing plate. The color filter layer may include red, green, and blue color filters. The color filter layer may further include a black matrix pattern. The color filter layer can replace the role of a polarizing plate by absorbing some of the wavelengths of light reflected from the circuit layer and the touch sensor layer, thereby increasing the color purity of the image reproduced in the pixel array.
픽셀 어레이는 복수의 픽셀 라인들(L1~Ln)을 포함한다. 픽셀 라인들(L1~Ln) 각각은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에서 라인 방향(X축 방향)을 따라 배치된 1 라인의 픽셀들을 포함한다. 1 픽셀 라인에 배치된 픽셀들은 게이트 라인들(103)을 공유한다. 데이터 라인 방향을 따라 컬럼 방향(Y)으로 배치된 서브 픽셀들은 동일한 데이터 라인(102)을 공유한다. 1 수평 기간은 1 프레임 기간을 픽셀 라인들(L1~Ln)의 총 개수로 나눈 시간이다. The pixel array includes a plurality of pixel lines (L1 to Ln). Each of the pixel lines (L1 to Ln) includes one line of pixels arranged along a line direction (X-axis direction) in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The pixels arranged in one pixel line share gate lines (103). The sub-pixels arranged in the column direction (Y) along the data line direction share the same data line (102). One horizontal period is a time obtained by dividing one frame period by the total number of pixel lines (L1 to Ln).
표시패널(100)은 비투과형 표시패널 또는 투과형 표시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투과형 표시패널은 화면 상에 영상이 표시되고 배경의 실물이 보이는 투명 표시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표시패널(100)은 플렉시블 표시패널로 제작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implemented as a non-transparent display panel or a transparent display panel. The transparent display panel can be applied to a transparent display device in which an image is displayed on the screen and the actual object in the background is visible. The display panel (100) can be manufactured as a flexible display panel.
픽셀들(101) 각각은 컬러 구현을 위하여 적색 서브 픽셀, 녹색 서브 픽셀, 청색 서브 픽셀로 나뉘어질 수 있다. 픽셀들 각각은 백색 서브 픽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서브 픽셀들 각각은 픽셀 회로를 포함한다. 이하에서 픽셀은 서브 픽셀과 같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픽셀 회로 각각은 데이터 라인과 게이트 라인들 그리고 전원 라인들에 연결된다. Each of the pixels (101) may be divided into a red sub-pixel, a green sub-pixel, and a blue sub-pixel for color implementation. Each of the pixels may further include a white sub-pixel. Each of the sub-pixels includes a pixel circuit. Hereinafter, a pixel may be interpreted as having the same meaning as a sub-pixel. Each of the pixel circuits is connected to data lines, gate lines, and power lines.
픽셀들은 리얼(real) 컬러 픽셀과, 펜타일(pentile) 픽셀로 배치될 수 있다. 펜타일 픽셀은 미리 설정된 픽셀 렌더링 알고리즘(pixel rendering algorithm)을 이용하여 컬러가 다른 두 개의 서브 픽셀들을 하나의 픽셀(101)로 구동하여 리얼 컬러 픽셀 보다 높은 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다. 픽셀 렌더링 알고리즘은 픽셀들 각각에서 부족한 컬러 표현을 인접한 픽셀에서 발광된 빛의 컬러로 보상할 수 있다.Pixels can be arranged as real color pixels and pentile pixels. Pentile pixels can implement higher resolution than real color pixels by driving two sub-pixels with different colors into one pixel (101) using a preset pixel rendering algorithm. The pixel rendering algorithm can compensate for insufficient color expression in each pixel with the color of light emitted from an adjacent pixel.
전원부(140)는 직류-직류 변환기(DC-DC Converter)를 이용하여 표시패널(100)의 픽셀 어레이와 표시패널 구동부의 구동에 필요한 직류(DC) 전원을 발생한다. 직류-직류 변환기는 차지 펌프(Charge pump), 레귤레이터(Regulator), 벅 변환기(Buck Converter), 부스트 변환기(Boost Convert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40)는 도시하지 않은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직류 입력 전압의 레벨을 조정하여 감마 기준 전압(VGMA), 게이트 온 전압(VGH). 게이트 오프 전압(VGL), 픽셀 구동 전압(ELVDD), 저전위 전원 전압(ELVSS), 초기화 전압(Vinit1) 등의 직류 전압(또는 정전압)을 발생할 수 있다. 감마 기준 전압(VGMA)은 데이터 구동부(110)에 공급된다. 게이트 온 전압(VGH)과 게이트 오프 전압(VGL)은 게이트 구동부(120)에 공급된다. 픽셀 구동 전압(ELVDD), 저전위 전원 전압(ELVSS), 및 초기화 전압(Vinit)은 픽셀들(101)에 공통으로 공급된다. The power supply unit (140) generates a DC power required to drive the pixel array of the display panel (100) and the display panel driver using a DC-DC converter. The DC-DC converter may include a charge pump, a regulator, a buck converter, a boost converter, etc. The power supply unit (140) may adjust the level of a DC input voltage applied from a host system (not shown) to generate a DC voltage (or constant voltage) such as a gamma reference voltage (VGMA), a gate-on voltage (VGH), a gate-off voltage (VGL), a pixel driving voltage (ELVDD), a low-potential power supply voltage (ELVSS), and an initialization voltage (Vinit1). The gamma reference voltage (VGMA) is supplied to the data driving unit (110). The gate-on voltage (VGH) and the gate-off voltage (VGL) are supplied to the gate driving unit (120). The pixel driving voltage (ELVDD), the low-potential power supply voltage (ELVSS), and the initialization voltage (Vinit) are commonly supplied to the pixels (101).
표시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Timing controller)(130)의 제어 하에 표시패널(100)의 픽셀들에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기입한다. 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write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to the pixels of the display panel (100) under the control of a timing controller (130).
표시패널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10)와 게이트 구동부(120)를 포함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데이터 구동부(110)와 데이터 라인들(102) 사이에 배치된 디멀티플렉서 어레이(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river includes a data driver (110) and a gate driver (120). The display panel driver may further include a demultiplexer array (112) arranged between the data driver (110) and data lines (102).
디멀티플렉서 어레이(112)는 복수의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DEMUX)를 이용하여 데이터 구동부(110)의 채널들을 출력된 데이터 전압을 데이터 라인들(102)에 순차적으로 공급한다. 디멀티플렉서는 표시패널(100) 상에 배치된 다수의 스위치 소자들을 포함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가 데이터 구동부(110)의 출력 단자들과 데이터 라인들(102) 사이에 배치되면, 데이터 구동부(110)의 채널 개수가 감소될 수 있다. 디멀티플렉서 어레이(112)는 생략될 수 있다. The demultiplexer array (112) sequentially supplies data voltages output from the channels of the data driving unit (110) to the data lines (102) using a plurality of demultiplexers (DEMUX). The demultiplex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witch elements arranged on the display panel (100). When the demultiplexer is arranged between the output terminals of the data driving unit (110) and the data lines (102), the number of channels of the data driving unit (110) may be reduced. The demultiplexer array (112) may be omitted.
표시패널 구동부는 터치 센서들을 구동하기 위한 터치 센서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터치 센서 구동부는 도 1에서 생략되어 있다. 데이터 구동부(110)와 터치 센서 구동부는 하나의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에 집적될 수 있다. 모바일 기기나 웨어러블 기기에서 타이밍 콘트롤러(130), 전원부(140), 데이터 구동부(110) 등은 하나의 드라이브 IC에 집적될 수 있다. 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touch sensor driving unit for driving touch sensors. The touch sensor driving unit is omitted in Fig. 1. The data driving unit (110) and the touch sensor driving unit may be integrated into one drive IC (Integrated Circuit). In a mobile device or wearable device, a timing controller (130), a power supply unit (140), a data driving unit (110), etc. may be integrated into one drive IC.
표시패널 구동부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저속 구동 모드(Low speed driving mode)로 동작할 수 있다. 저속 구동 모드는 입력 영상을 분석하여 입력 영상이 미리 설정된 프레임 개수 만큼 변화가 없을 때 표시장치의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하여 설정될 수 있다. 저속 구동 모드는 정지 영상이 일정 시간 이상 입력될 때 픽셀들의 리프레쉬 레이트(Refresh rate)를 낮춤으로써 표시패널 구동부와 표시패널(100)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저속 구동 모드는 정지 영상이 입력될 때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표시장치가 대기 모드로 동작하거나, 사용자 명령 또는 입력 영상이 소정 시간 이상 표시패널 구동 회로에 입력되지 않을 때 표시패널 구동 회로는 저속 구동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can operate in a low speed driving mode under the control of the timing controller (130). The low speed driving mode can be set to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device when the input image does not change by a preset number of frames by analyzing the input image. The low speed driving mode can reduce power consumption of 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and the display panel (100) by lowering the refresh rate of pixels when a still image is inpu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The low speed driving mode is not limited to when a still image is input. For example, the display panel driving circuit can operate in the low speed driving mode when the display device operates in a standby mode or when a user command or an input image is not input to the display panel driving circuit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or longer.
데이터 구동부(11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디지털 신호로 수신되는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입력 받아 데이터 전압을 출력한다. 데이터 구동부(110)는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를 이용하여 매 프레임 기간마다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를 감마 보상 전압으로 변환하여 데이터 전압을 발생한다. 감마 기준 전압(VGMA)은 분압회로를 통해 계조별 감마 보상 전압으로 분압된다. 계조별 감마 보상 전압은 데이터 구동부(110)의 DAC에 제공된다. 데이터 전압은 데이터 구동부(110)의 채널들 각각에서 출력 버퍼를 통해 출력된다. The data driving unit (110) receive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as a digital signal from a timing controller (130) and outputs a data voltage. The data driving unit (110) converts pixel data of an input image into a gamma compensation voltage for each frame period using a DAC (Digital to Analog Converter) to generate a data voltage. A gamma reference voltage (VGMA) is divided into a gamma compensation voltage for each grayscale through a voltage divider circuit. The gamma compensation voltage for each grayscale is provided to the DAC of the data driving unit (110). The data voltage is output through an output buffer from each channel of the data driving unit (110).
게이트 구동부(120)는 픽셀 어레이의 TFT 어레이 및 배선들과 함께 표시패널(100) 상의 회로층(12)에 형성되는 GIP(Gate in panel)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표시패널(100)의 비표시 영역인 베젤 영역(Bezel, BZ) 상에 배치되거나 입력 영상이 재현되는 픽셀 어레이 내에 분산 배치될 수 있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타이밍 콘트롤러(130)의 제어 하에 게이트 신호를 게이트 라인들(103)로 순차적으로 출력한다. 게이트 구동부(120)는 시프트 레지스터(Shift register)를 이용하여 게이트 신호를 시프트시킴으로써 그 신호들을 게이트 라인들(103)에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게이트 신호는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서 스캔 펄스, EM 펄스, 초기화 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The gate driver (120) may be implemented as a GIP (Gate in panel) circuit formed on a circuit layer (12) on a display panel (100) together with a TFT array and wires of a pixel array. The gate driver (120) may be disposed on a bezel area (BZ), which is a non-display area of the display panel (100), or may be distributed within the pixel array on which an input image is reproduced. The gate driver (120) sequentially outputs gate signals to the gate lines (103) under the control of a timing controller (130). The gate driver (120) may sequentially supply the signals to the gate lines (103) by shifting the gate signals using a shift register. The gate signal may include a scan pulse, an EM pulse, an initialization pulse, etc. in a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게이트 구동부(120)는 스캔 펄스를 출력하는 제1 시프트 레지스터(121), EM 펄스를 출력하는 제2 시프트 레지스터(122), 및 초기화 펄스를 출력하는 제3 시프트 레지스터(123)를 포함할 수 있다. 시프트 레지스터들(121, 122, 123) 중 적어도 하나는 전술한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게이트 구동 회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gate driving unit (120) may include a first shift register (121) that outputs a scan pulse, a second shift register (122) that outputs an EM pulse, and a third shift register (123) that outputs an initialization pulse. At least one of the shift registers (121, 122, 123) may be implemented with the gate driving circuit described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입력 영상의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DATA)와, 그와 동기되는 타이밍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신호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클럭(CLK) 및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를 카운트하는 방법으로 수직 기간과 수평 기간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 데이터 인에이블신호(DE)는 1 수평 기간(1H)의 주기를 갖는다.The timing controller (130) receives digital video data (DATA) of an input image from the host system and a timing signal synchronized therewith. The timing signal may include a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a clock (CLK), and a data enable signal (DE). Since the vertical period and the horizontal period can be known by counting the data enable signal (DE), the vertical synchronization signal (Vsync) and the horizontal synchronization signal (Hsync) may be omitted. The data enable signal (DE) has a cycle of 1 horizontal period (1H).
호스트 시스템은 TV(Television) 시스템, 태블릿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 네비게이션 시스템, 개인용 컴퓨터(PC), 홈 시어터 시스템, 모바일 기기, 웨어러블 기기, 차량 시스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호스트 시스템은 비디오 소스로부터의 영상 신호를 표시패널(100)의 해상도에 맞게 스케일링하여 타이밍 신호와 함께 타이밍 콘트롤러(130)에 전송할 수 있다. The host system may be any one of a television (TV) system, a tablet computer, a notebook computer, a navigation system, a personal computer (PC), a home theater system, a mobile device, a wearable device, and a vehicle system. The host system may scale a video signal from a video source to a resolution of a display panel (100) and transmit the same to a timing controller (130) together with a timing signal.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저속 구동 모드에서 노말 구동 모드에 비하여 픽셀 데이터가 픽셀들에 기입되는 프레임 레이트를 주파수를 낮춘다. 예를 들어, 노말 구동 모드에서 픽셀 데이터가 픽셀들에 기입되는 데이터 리프레쉬 프레임 주파수는 60Hz 이상의 주파수 예를 들어, 60Hz, 120Hz, 144Hz 중 어느 하나의 리프레쉬 레이트로 발생할 수 있으며, 저속 구동 모드의 데이터 리프레쉬 프레임(DRF)은 저속 구동 모드의 그 것 보다 낮은 주파수의 리프레쉬 레이트로 발생 수 있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저속 구동 모드에서 픽셀들의 리프레쉬 레이트를 낮추기 위하여 프레임 주파수를 1Hz ~ 30Hz 사이의 주파수로 낮추어 표시패널 구동부의 구동 주파수를 낮출 수 있다. The timing controller (130) lowers the frame rate at which pixel data is written to pixels in the low-speed driving mode compared to the normal driving mode. For example, the data refresh frame frequency at which pixel data is written to pixels in the normal driving mode may occur at a frequency higher than 60 Hz, for example, a refresh rate of any one of 60 Hz, 120 Hz, and 144 Hz, and the data refresh frame (DRF) of the low-speed driving mode may occur at a refresh rate of a lower frequency than that of the low-speed driving mode. The timing controller (130) may lower the frame frequency to a frequency between 1 Hz and 30 Hz in order to lower the refresh rate of the pixels in the low-speed driving mode, thereby lowering the driving frequency of 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호스트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타이밍 신호(Vsync, Hsync, DE)를 바탕으로서 데이터 구동부(11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 디멀티플렉서 어레이(112)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 게이트 구동부(12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타이밍 콘트롤러(130)는 표시패널 구동부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여 데이터 구동부(110), 디멀티플렉서 어레이(112), 터치 센서 구동부, 및 게이트 구동부(120)를 동기시킨다.The timing controller (130) generates a data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ata driving unit (110),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emultiplexer array (112), and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timing of the gate driving unit (120) based on timing signals (Vsync, Hsync, DE) received from the host system. The timing controller (130) controls the operation timing of the display panel driving unit to synchronize the data driving unit (110), the demultiplexer array (112), the touch sensor driving unit, and the gate driving unit (120).
타이밍 콘트롤러(130)로부터 발생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는 도시하지 않은 레벨 시프터(Level shifter)를 통해 게이트 구동부(120)의 시프트 레지스터들(121, 122, 123)에 입력될 수 있다. 레벨 시프터는 게이트 타이밍 제어 신호를 입력 받아 스타트 펄스와 시프트 클럭을 발생하여 시프트 레지스터들(121, 122, 123)에 제공할 수 있다. A gate timing control signal generated from a timing controller (130) can be input to shift registers (121, 122, 123) of a gate driver (120) through a level shifter (not shown). The level shifter can receive the gate timing control signal and generate a start pulse and a shift clock to provide them to the shift registers (121, 122, 123).
표시패널(100)의 제조 공정에서 초래되는 공정 편차와 소자 특성 편차로 인하여 픽셀들 간에 구동 소자의 전기특성에서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차이는 픽셀들의 구동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더 커질 수 있다. 픽셀들 간에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 편차를 보상하기 위해, 유기 발광 표시장치에 내부 보상 기술 또는 외부 보상 기술이 적용될 수 있다. 내부 보상 기술은 픽셀 회로 각각에 구현된 내부 보상 회로를 이용하여 서브 픽셀별로 구동 소자의 문턱 전압을 샘플링하여 그 문턱 전압만큼 구동 소자의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을 보상한다. 외부 보상 기술은 외부 보상 회로를 이용하여 구동 소자들의 전기적 특성에 따라 변하는 구동 소자의 전류 또는 전압을 실시간 센싱한다. 외부 보상 기술은 픽셀 별로 센싱된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 편차(또는 변화) 만큼 입력 영상의 픽셀 데이터(디지털 데이터)를 변조함으로써 픽셀들 각각에서 구동 소자의 전기적 특성 편차(또는 변화)를 실시간 보상한다. 표시패널 구동부는 외부 보상 기술 및/또는 내부 보상 기술을 이용하여 픽셀들을 구동할 수 있다. Due to process deviation and element characteristic deviation caus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isplay panel (100),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elements between pixels, and such difference may become larger as the driving time of the pixels elapses.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deviation of the driving elements between pixels, an in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or an ex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may be applied to the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The in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samples the threshold voltage of the driving element for each subpixel using an internal compensation circuit implemented in each pixel circuit and compensates the gate-source voltage (Vgs) of the driving element by the threshold voltage. The ex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senses in real time the current or voltage of the driving element that changes according to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driving elements using an external compensation circuit. The ex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compensates for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deviation (or change) of the driving element in each pixel in real time by modulating the pixel data (digital data) of the input image by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 deviation (or change) of the driving element sensed for each pixel. The display panel driver may drive the pixels using the ex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and/or the internal compensation technology.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픽셀 회로를 보여 주는 회로도이다. 본 발명의 픽셀 회로는 도 13과 같은 내부 보상 회로를 포함한 픽셀 회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Fig. 13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pixel circu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xel circui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as a pixel circuit including an internal compensation circuit as in Fig. 13, but is not limited thereto.
도 13을 참조하면, 픽셀 회로는 발광 소자(EL)구동 소자(DT), 제1 내지 제4 스위치 소자들(M1~M4), 및 커패시터(Cst)를 포함한다. 구동 소자(DT)와 스위치 소자들(M1~M4)은 n 채널 Oxide TFT로 구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3, the pixel circuit includes a light-emitting element (EL) driving element (DT), first to fourth switching elements (M1 to M4), and a capacitor (Cst). The driving element (DT) and the switching elements (M1 to M4) can be implemented as n-channel oxide TFTs.
발광 소자(EL)는 애노드 전극, 캐소드 전극, 및 그 전극들 사이에 연결된 유기 화합물층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화합물층은 정공주입층(Hole Injection layer, HIL), 정공수송층(Hole transport layer, HTL), 발광층(Emission layer, EML), 전자수송층(Electron transport layer, ETL) 및 전자주입층(Electron Injection layer, EIL)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애노드 전극과 캐소드 전극에 전압이 인가되면 정공수송층(HTL)을 통과한 정공과 전자수송층(ETL)을 통과한 전자가 발광층(EML)으로 이동되어 여기자가 형성되어 발광층(EML)에서 가시광이 방출된다. The light emitting element (EL) may include an anode electrode, a cathode electrode, and an organic compound layer connected between the electrodes. The organic compound laye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 hole injection layer (HIL), a hole transport layer (HTL), an emission layer (EML), an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and an electron injection layer (EIL). When voltage is applied to the anode electrode and the cathode electrode, holes passing through the hole transport layer (HTL) and electrons passing through the electron transport layer (ETL) move to the emission layer (EML), whereby excitons are formed and visible light is emitted from the emission layer (EML).
구동 소자(DT)는 게이트-소스간 전압(Vgs)에 따라 발광 소자(EL)를 구동하기 위한 전류를 발생한다. 구동 소자(DT)는 제1 노드(DRG)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2 노드(DRD)에 연결된 제1 전극, 제3 노드(DRD)에 연결된 제3 전극을 포함한다. 커패시터(Cst)는 제1 노드(DRG)와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A driving element (DT) generates a current for driving a light-emitting element (EL) according to a gate-source voltage (Vgs). The driving element (DT)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node (DRG),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node (DRD), and a third electrode connected to a third node (DRD). A capacitor (Cst) may be connected between the first node (DRG) and an anode electrod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EL).
제1 스위치 소자(M1)는 제n 스캔 펄스[SCAN(n)]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1 노드(DRG)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노드(DRD)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1 스위치 소자(M1)는 제n 스캔 펄스[SCAN(n)]의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제1 노드(DRG)와 제2 노드(DRD)를 연결하여 구동 소자(DT)의 전극들을 다이오드 커넥션 구조로 연결한다. The first switching element (M1) includes a gate electrode to which an n-th scan pulse [SCAN(n)]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node (DRG),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node (DRD). The first switching element (M1) is turned on according to a gate-on voltage of the n-th scan pulse [SCAN(n)] to connect the first node (DRG) and the second node (DRD) to connect the electrodes of the driving element (DT) in a diode connection structure.
제2 스위치 소자(M2)는 제n 스캔 펄스[SCAN(n)]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3 노드(DRS)에 연결된 제2 전극, 및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되는 데이터 라인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2 스위치 소자(M2)는 제n 스캔 펄스[SCAN(n)]의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데이터 전압(Vdata)을 제3 노드(DRS)에 공급한다.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M2) includes a gate electrode to which the nth scan pulse [SCAN(n)] is applie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third node (DRS),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data line to which a data voltage (Vdata) is applied. The second switching element (M2)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gate-on voltage of the nth scan pulse [SCAN(n)] and supplies the data voltage (Vdata) to the third node (DRS).
제3 스위치 소자(M3)는 제1 EM 펄스(EM1)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픽셀 구동 전압(ELVDD)이 인가되는 제1 전극, 및 제1 노드(DRD)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3 스위치 소자(M3)는 제1 EM 펄스(EM1)의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제1 노드(DRD)에 픽셀 구동 전압(ELVDD)을 공급한다. The third switching element (M3) includes a gate electrode to which a first EM pulse (EM1)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to which a pixel driving voltage (ELVDD)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node (DRD). The third switching element (M3)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gate-on voltage of the first EM pulse (EM1) and supplies the pixel driving voltage (ELVDD) to the first node (DRD).
제4 스위치 소자(M4)는 제2 EM 펄스(EM2)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제3 노드(DRS)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4 스위치 소자(M4)는 제2 EM 펄스(EM2)의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제3 노드(DRS)를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한다.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M4) includes a gate electrode to which a second EM pulse (EM2)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third node (DRS),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EL). The fourth switching element (M4)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gate-on voltage of the second EM pulse (EM2) to connect the third node (DRS)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EL).
제5 스위치 소자(M5)는 제n-1 스캔 펄스[SCAN(n-1)]가 인가되는 게이트 전극, 초기화 전압(Vinit1)이 인가되는 전원 노드에 연결되는 제1 전극, 및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한다. 제5 스위치 소자(M5)는 제n-1 스캔 펄스[SCAN(n-1)]의 게이트 온 전압에 따라 턴-온되어 발광 소자(EL)의 애노드 전극에 초기화 전압(Vinit1)을 공급한다. The fifth switching element (M5) includes a gate electrode to which the n-1th scan pulse [SCAN(n-1)] is applied,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power node to which an initialization voltage (Vinit1)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EL). The fifth switching element (M5) is turned on according to the gate-on voltage of the n-1th scan pulse [SCAN(n-1)] and supplies the initialization voltage (Vinit1) to the anode electrode of the light-emitting element (EL).
이상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에 기재한 명세서의 내용이 청구항의 필수적인 특징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므로, 청구항의 권리범위는 명세서의 내용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는다.Since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described above in terms of the problem to be solved, the means for solving the problem, and the effect do not specify the essential features of the claim, the scope of the claim is not limited by the matters described in the contents of the specification.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se embodiments,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a scope equivalent thereto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ST(n-1) ~ ST(n+2): 시프트 레지스터의 신호 전달부
VST: 스타트 신호 CLK1~CLK4: 시프트 클럭
ECLK: 활성화 클럭 ECLKB: 비활성화 클럭
CTR1, CTR2: 제어부 BUF, BUF1, BUF2: 버퍼
QG1, QG2, QG11, QG12: Q 생성 로직부
QBG1, QBG2, QBG: QB 생성 로직부
Q/QB: 제1 제어 노드 QB/Q: 제2 제어 노드
Q: 풀업 제어 노드 QB: 풀다운 제어 노드
TR1, TR2, TR3, TR4, TR11, TR12, TR20, TR31, TR32, TR40: 버퍼 트랜지스터
GVDD, GVDD1, GVDD2: 게이트 구동 전압
GVSS, GVSS0, GVSS2: 게이트 기준 전압ST(n-1) ~ ST(n+2): Signal transmission section of shift register
VST: Start signal CLK1~CLK4: Shift clock
ECLK: Enable Clock ECLKB: Disable Clock
CTR1, CTR2: Control unit BUF, BUF1, BUF2: Buffer
QG1, QG2, QG11, QG12: Q generation logic section
QBG1, QBG2, QBG: QB generation logic section
Q/QB: 1st control node QB/Q: 2nd control node
Q: Pull-up control node QB: Pull-down control node
TR1, TR2, TR3, TR4, TR11, TR12, TR20, TR31, TR32, TR40: Buffer transistors
GVDD, GVDD1, GVDD2: Gate drive voltage
GVSS, GVSS0, GVSS2: Gate Reference Voltage
Claims (14)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버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게이트 펄스가 출력되는 제1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제어 노드를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고,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제어 노드를 상기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1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2 전원 노드에는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that input a start signal and a shift clock and charge and discharge a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control node; and
Including first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signal transmission units,
Each of the above first buffers,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istor with a first output no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transistor being driven by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and outputting a gate pulse;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for a first unit of time and controls the first control node as a pull-up control node,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for a second unit of time and deactivates the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during the second unit time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as the pull-up control node,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during the first unit time and deactivates it.
The first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The second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power node,
During the first unit time, the first transistor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and a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n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A gate driving circuit in which, during the second unit time, the second transistor operates as the pull-up transistor and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n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상기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3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캐리 펄스가 출력되는 제2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3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서 상기 제3 및 제4 트랜지스터들에 인가되는 전원 전압이 주기적으로 스위칭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paragraph 1,
Including second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s,
Each of the above second buffers,
a third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and
A fourth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third transistor with a second output no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second transistor being driven by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and outputting a carry pulse;
A gate driving circuit in which the power voltage applied to the third and fourth transistors in at least one of the second buffers is periodically switched.
상기 활성화 클럭은 단위 시간 동안 하이 전압과 로우 전압 사이에 스윙하는 복수의 펄스들을 포함하고,
상기 비활성화 클럭은 상기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로우 전압을 유지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In paragraph 1,
The above activation clock comprises a plurality of pulses that swing between a high voltage and a low voltage during a unit time,
The above-described inactive clock is a gate driving circuit that maintains the low voltage for the above-described unit time.
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제어 노드를 충전시켜 상기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는 제1 Q 생성 로직부; 및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제어 노드가 방전될 때 상기 제2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2 제어 노드를 풀다운 제어 노드로 제어하는 제1 QB 생성 로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2 제어 노드를 충전시켜 상기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는 제2 Q 생성 로직부; 및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2 제어 노드가 방전될 때 상기 제1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 제어 노드를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로 제어하는 제2 QB 생성 로직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paragraph 5,
The above first control unit,
A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that charges the first control node during the first unit time and controls it with the pull-up control node; and
Including a first QB generation logic unit that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as a pull-down control node by charging the second control node when the first control node is discharged during the first unit time,
The second control unit,
A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that charges the second control node during the second unit time and controls it with the pull-up control node; and
A gate drive circuit including a second QB generation logic section for controlling the first control node as the pull-down control node by charging the first control node when the second control node is discharged during the second unit time.
상기 제1 Q 생성 로직부는,
제5 트랜지스터, 제6 트랜지스터, 제7 트랜지스터, 및 제8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5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이전 단의 신호 전달부로부터 캐리 펄스가 입력되는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6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7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보다 낮은 전압인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5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8 트랜지스터는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QB 생성 로직부는,
제9 트랜지스터, 제10 트랜지스터, 및 제11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9 트랜지스터는 상기 이전 단의 신호 전달부의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7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0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10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9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0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되는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paragraph 6,
The abov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including a fifth transistor, a sixth transistor, a seventh transistor, and an eighth transistor,
The fif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CLK node to which the 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first unit time and the de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second unit tim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carry signal node to which a carry pulse is input from a signal transmission section of a previous stag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buffer node.
The six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The seven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fif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for the first unit time and a gate reference voltage that is lower than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for the second unit tim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The eigh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six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The above first QB generation logic unit,
including a ninth transistor, a tenth transistor, and an eleventh transistor;
The nin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revious stag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ven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for the first unit time and the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for the second unit tim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eleventh transistor,
The 10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1th transistor,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10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A gate driving circuit in which the 11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9th tran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10th transistor,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n 11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상기 제2 Q 생성 로직부는,
제12 트랜지스터, 제13 트랜지스터, 제14 트랜지스터, 및 제15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2 트랜지스터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게이트 전극, 상기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2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되고,
상기 제14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5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QB 생성 로직부는,
제16 트랜지스터, 제17 트랜지스터, 및 제18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6 트랜지스터는 상기 이전 단의 신호 전달부의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고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1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7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0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8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6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7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paragraph 7,
The abov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including a 12th transistor, a 13th transistor, a 14th transistor, and a 15th transistor,
The 12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to which the deactivation clock is input for a first unit time and the activation clock is input for a second unit tim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signa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The 13th transistor ha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CLK node to which the 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second unit time and the de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first unit tim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and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The 14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12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for the first unit time and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for the second unit tim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The 15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ix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The above second QB generation logic unit,
including a 16th transistor, a 17th transistor, and an 18th transistor;
The 16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control node of th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of the previous stag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13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for the first unit time and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for the second unit tim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8th transistor,
The 17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8th transistor,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10th power node,
The 18th transistor is a gate driving circuit including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16th tran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 of the 17th transistor,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11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상기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버퍼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1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2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1 풀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제2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Q 생성 로직부;
상기 제2 풀업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2 풀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풀업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Q 생성 로직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풀업 제어 노드가 방전되는 풀다운 시간 동안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QB 생성 로직부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that input a start signal and a shift clock and charge and discharge a first pull-up control node, a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a pull-down control node; and
Including first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s,
Each of the above first buffers,
A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driven by the voltage of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A first pull-down transistor is included, which is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pull-down control node,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Q generation logic section that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during a first pull-up time to charge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nd turns on the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during a second pull-up time to deactivate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section;
A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that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to charge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turns on the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to deactivate it; and
A gate drive circuit including a QB generation logic section for turning on the first pull-down transistor by charging the pull-down control node during a pull-down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pull-up control nodes are discharged.
상기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제2 버퍼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3-1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3-2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2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Article 9,
Further comprising second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s,
Each of the above second buffers,
A third-first pull-up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 third-second pull-up transistor driven by the voltage of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A gate driving circuit including a second pull-down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pull-down control node.
상기 제1 Q 생성 로직부는,
제4 트랜지스터, 제5 트랜지스터, 제6 트랜지스터, 및 제7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풀업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고 상기 제2 풀업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이전 단 신호 전달부로부터의 캐리 펄스가 입력되는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5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6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7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버퍼 노드와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4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Q 생성 로직부는,
제8 트랜지스터, 제9 트랜지스터, 및 제10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8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풀업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이 입력되고 상기 제1 풀업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이 입력되는 제2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캐리 신호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9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CLK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0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3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Article 10,
The above first Q generation logic unit,
including a fourth transistor, a fifth transistor, a sixth transistor, and a seventh transistor,
The four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CLK node to which the 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and the de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carry signal node to which a carry pulse from a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unit is input,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first buffer node.
The fif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The six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a third power node to which a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The seven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and the second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fourth power node to which a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he above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Including an 8th transistor, a 9th transistor, and a 10th transistor,
The eigh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CLK node to which the 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and the deactivation clock is input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carry signal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The nin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LK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The gate driving circuit of the 10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third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상기 QB 생성 로직부는,
제11 트랜지스터, 제12 트랜지스터, 제13 트랜지스터, 및 제14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제11 트랜지스터는 상기 이전 단 신호 전달부의 풀다운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제5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게이트 기준 전압이 인가되는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3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버퍼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4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극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6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제14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1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과 상기 제12 및 제13 트랜지스터들의 제1 전극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5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 In Article 11,
The above QB generation logic section is,
Including an eleventh transistor, a twelfth transistor, a thirteenth transistor, and a fourteenth transistor,
The above 11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of the previous stage signal transmission section,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supply node to which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The 12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6th power node to which the gate reference voltage is applied.
The 13th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buffer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gate electrode of the 14th transistor,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6th power node.
The 14th transistor is a gate driving circuit including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11th transistor and the first electrodes of the 12th and 13th transistors,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fth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pull-down control node.
픽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시프트 레지스터는,
스타트 신호와 시프트 클럭이 입력되고 제1 제어 노드와 제2 제어 노드를 충방전하는 복수의 신호 전달부들; 및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버퍼들을 포함하고,
상기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트랜지스터; 및
상기 제2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고, 게이트 펄스가 출력되는 제1 출력 노드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는 제2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단위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제어 노드를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고, 제2 단위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제어부; 및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제어 노드를 상기 풀업 제어 노드로 제어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1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제1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상기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는 상기 제2 제어 노드에 연결된 게이트 전극, 상기 제1 출력 노드에 연결된 제1 전극, 및 제2 전원 노드에 연결된 제2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1 트랜지스터가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하고 상기 제1 트랜지스터의 제1 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1 전원 노드에는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며,
상기 제2 단위 시간 동안, 상기 제2 트랜지스터가 상기 풀업 트랜지스터로 동작하고 상기 제2 트랜지스터의 제2 전극에 연결된 상기 제2 전원 노드에는 상기 게이트 구동 전압이 인가되는 표시장치.A display panel having pixel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to which a data voltage is applied, a plurality of gate lines intersecting the data lines and to which a gate signal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power lines;
A data driving circuit that inputs pixel data and outputs the data voltage; and
A gate driving circuit is included that outputs the gate signal using a shift register,
The shift register of the above gate driving circuit is,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that input a start signal and a shift clock and charge and discharge a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control node; and
Contains buffers each connected to a signal transmission unit,
Each of the above buffers,
A first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transistor is connected to the first transistor with a first output node interposed therebetween, the first transistor being driven by the voltage of the second control node and outputting a gate pulse;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control unit that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for a first unit of time and controls the first control node as a pull-up control node,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for a second unit of time and deactivates the first control node; and
A second control unit is included that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during the second unit time and controls the second control node as the pull-up control node,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during the first unit time and deactivates it.
The first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power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The second transistor includes a gate electrode connected to the second control node, a first electrode connected to the first output node, and a second electrode connected to a second power node,
During the first unit time, the first transistor operates as a pull-up transistor and a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first power node connected to the first electrode of the first transistor.
A display device in which, during the second unit time, the second transistor operates as the pull-up transistor and the gate driving voltage is applied to the second power node connected to the second electrode of the second transistor.
픽셀 데이터를 입력 받아 상기 데이터 전압을 출력하는 데이터 구동 회로; 및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상기 게이트 신호를 출력하는 게이트 구동 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게이트 구동 회로의 시프트 레지스터는,
스타트 신호와 시프트 클럭이 입력되고 제1 풀업 제어 노드, 제2 풀업 제어 노드, 및 풀다운 제어 노드를 충방전하는 복수의 신호 전달부들; 및
상기 신호 전달부들에 각각 연결된 제1 버퍼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버퍼들 각각은,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1 풀업 트랜지스터;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2 풀업 트랜지스터; 및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의 전압에 따라 구동되는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전달부는,
제1 풀업 시간 동안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1 풀업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1 풀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제2 풀업 시간 동안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1 Q 생성 로직부;
상기 제2 풀업 시간 동안 상기 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상기 제2 풀업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2 풀업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고, 상기 제1 풀업 시간 동안 상기 비활성화 클럭을 입력 받아 비활성화되는 제2 Q 생성 로직부; 및
상기 제1 및 제2 풀업 제어 노드가 방전되는 풀다운 시간 동안 상기 풀다운 제어 노드를 충전하여 상기 제1 풀다운 트랜지스터를 턴-온시키는 QB 생성 로직부를 포함하는 표시장치.A display panel having pixel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data lines to which a data voltage is applied, a plurality of gate lines intersecting the data lines and to which a gate signal is applied, and a plurality of power lines;
A data driving circuit that inputs pixel data and outputs the data voltage; and
A gate driving circuit is included that outputs the gate signal using a shift register,
The shift register of the above gate driving circuit is,
A plurality of signal transmission units that input a start signal and a shift clock and charge and discharge a first pull-up control node, a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a pull-down control node; and
Including first buff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s,
Each of the above first buffers,
A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driven by the voltage of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A first pull-down transistor is included, which is driven according to the voltage of the pull-down control node,
The above signal transmission unit,
A first Q generation logic section that receives an activation clock during a first pull-up time to charge the first pull-up control node and turns on the first-first pull-up transistor, and receives a deactivation clock during a second pull-up time to deactivate the first Q generation logic section;
A second Q generation logic unit that receives the activation clock during the second pull-up time to charge the second pull-up control node and turns on the first-second pull-up transistor, and receives the deactivation clock during the first pull-up time to deactivate it; and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QB generation logic section for turning on the first pull-down transistor by charging the pull-down control node during a pull-down time when the first and second pull-up control nodes are discharged.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210670157.XA CN115602122B (en) | 2021-07-08 | 2022-06-14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7/848,175 US12243489B2 (en) | 2021-07-08 | 2022-06-23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089994 | 2021-07-08 | ||
KR1020210089994 | 2021-07-08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9254A KR20230009254A (en) | 2023-01-17 |
KR102739435B1 true KR102739435B1 (en) | 2024-12-09 |
Family
ID=85111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70668A Active KR102739435B1 (en) | 2021-07-08 | 2021-12-02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9435B1 (en)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90686B1 (en) * | 2010-05-21 | 2020-12-14 |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 Pulse output circuit, shift register, and display device |
-
2021
- 2021-12-02 KR KR1020210170668A patent/KR102739435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09254A (en) | 2023-01-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423821B2 (en) |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741222B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82770A (en) | Data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CN115602122B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US11749207B2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1HE same | |
KR102762223B1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10144401A (en) |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 |
KR102625440B1 (en) | Display panel and electroluminescence display using the same | |
CN115762415A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39435B1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65082B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20230009250A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JP7573083B2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70708B1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51464B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51756B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834881B1 (en) | Pixel circuit, pixel driving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102770647B1 (en) | Gate driving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51480B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39031B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601611B1 (en) | Data switching device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
KR102739436B1 (en) | Gate driver and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 |
US20250148977A1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102702568B1 (en) | Gate driving circui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30045190A (en) | Pixel circuit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31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112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2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