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8557B1 -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8557B1
KR102738557B1 KR1020200179564A KR20200179564A KR102738557B1 KR 102738557 B1 KR102738557 B1 KR 102738557B1 KR 1020200179564 A KR1020200179564 A KR 1020200179564A KR 20200179564 A KR20200179564 A KR 20200179564A KR 102738557 B1 KR102738557 B1 KR 1027385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voltage
gamma reference
gamma
during
perio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95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89173A (ko
Inventor
김성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Priority to KR10202001795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8557B1/ko
Priority to TW110147491A priority patent/TW202225793A/zh
Priority to US17/556,228 priority patent/US11727866B2/en
Priority to CN202111560020.0A priority patent/CN114648953A/zh
Publication of KR20220089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89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85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855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1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for resetting or blank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09G2320/0276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for the purpose of adaptation to the characteristics of a display device, i.e. gamma correc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73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gamma adjustment, e.g. selecting another gamma curv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 G09G2340/0435Change or adaptation of the frame rate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실시예는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장치가 저주사율로 구동할 때에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를 디스에이블시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POWER MANAGEMEN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본 실시예는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를 비롯한 전자기기에서 가장 중요한 이슈 중 하나는 소비전력의 최소화이다. 배터리의 용량이 제한되고 전자기기가 소형화됨에 따라, 소비전력도 지속적으로 낮아질 필요가 있다. 그래서 소비전력 감소에 대한 연구는 더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거의 모든 전자기기에 장착되는 디스플레이는 소비전력이 감소할 수 있는 여지가 충분한 영역일 것이다.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로 알려진 전력관리장치는 전자기기 내부에서 디스플레이 구동에 필요한 전력을 각 장치-패널, 데이터구동장치, 게이트구동장치 등-로 공급한다. 최근 상시적으로 전력을 공급받지 않는 디스플레이장치-예를 들어, 모바일통신장치, 노트북컴퓨터장치 등-가 증가하면서 이러한 전력관리장치의 소비전력을 최소화시키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실시예는 디스플레이장치가 동작하는 중에 전력의 공급을 부분적으로 감소 또는 차단하여 소비전력을 개선하는 기술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실시예의 목적은, 일 측면에서, 디스플레이장치가 저주사율로 구동할 때에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를 디스에이블시켜서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일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 및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를 제공한다.
전력관리장치는 출력단과 연결된 내부배선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평활화하는 외부 커패시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간헐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해서 상기 외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출력측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는 제1시구간과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가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제2시구간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제1시구간은 상기 제2시구간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수직 액티브 기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로 바이어스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레귤레이팅해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 블랭크 기간이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보다 길게 설정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본 실시예는,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 및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는 인에이블되어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는 디스에이블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한다.
수직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전력관리장치와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는 상기 출력단과 연결된 내부배선에 병렬로 연결되어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평활화하는 외부 커패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간헐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해서 상기 외부 커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의하면, 디스플레이장치가 저주사율로 구동하는 경우, 전력관리장치가 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마다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의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데이터처리장치(140), 감마전압 생성장치(150) 및 전력관리장치(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구동장치(120), 게이트구동장치(130), 데이터처리장치(140), 감마전압 생성장치(150), 전력관리장치(160) 중 하나 이상은 하나의 집적회로(IC: Integrated Circuit)에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집적회로는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DDI: Display Driver Integrated Circuit)로 호칭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집적회로는 호스트(10)로부터 영상데이터(IMG)를 수신하고, 내부 데이터 형식에 맞게 가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한 영상데이터(IMG')에 대응하는 데이터전압을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공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다수의 데이터라인(DL) 및 다수의 게이트라인(GL)이 배치되고, 다수의 화소(P)가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화소(P)는 패널(110)의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어 장방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장방형의 형태는 매트릭스 행렬과 유사하여, 가로방향으로 배열된 화소(P) 집합은 화소행(row) 또는 수평라인으로 정의되고, 세로방향(V)으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P) 집합은 화소열(column) 또는 수직라인으로 정의될 수 있다.
여기서, 화소(P)는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나 이상의 트랜지스터는 저온다결정산화물(LTPO: Low-temperature polycrystalline Oxide)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구동장치(130)는 턴온(turn-on)전압 혹은 턴오프(turn-off)전압의 스캔신호를 게이트라인(GL)으로 공급할 수 있다. 턴온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는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되고 턴오프전압의 스캔신호가 화소(P)로 공급되면 해당 화소(P)와 데이터라인(DL)의 연결은 해제된다.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처리장치(140)로부터 영상데이터(IMG')를 수신하고, 영상데이터(IMG')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해서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한다. 데이터라인(DL)으로 공급된 데이터전압은 스캔신호에 따라 데이터라인(DL)과 연결된 화소(P)로 전달되게 된다.
다시 말해서,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영상데이터(IMG')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데이터(IMG)는 다수의 프레임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게이트구동장치(130) 및 데이터구동장치(120)로 각종 제어신호를 공급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각 프레임에서 구현하는 타이밍에 따라 스캔이 시작되도록 하는 게이트제어신호(GCS)를 생성하여 게이트구동장치(13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데이터처리장치(140)는 호스트(1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데이터(IMG)를 데이터구동장치(120)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형식에 맞게 전환할 수 있다.
데이터처리장치(140)는 전환한 영상데이터(IMG')를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각 타이밍에 맞게 데이터구동장치(120)가 각 화소(P)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도록 제어하는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데이터처리장치(140)는 호스트(10)로부터 수신하는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게이트제어신호(GCS)와 데이터제어신호(DCS)를 생성할 수 있다.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는 데이터구동장치(120)가 데이터전압을 생성할 때에 필요한 다수의 감마전압(VGMA)을 생성해서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출력한다. 도 1에서는 감마전압 생성장치(150)가 데이터구동장치(120)와 분리된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감마전압 생성장치(150)가 데이터구동장치(120)에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라인(DL)으로 데이터전압을 공급하는 데이터구동블록과 다수의 감마전압을 생성하는 감마블록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160)는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의 각 구성 요소에 공급하기 위한 전압(전력)들을 생성해서 디스플레이장치(100 내의 각 구성 요소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관리장치(160)는 공통전극전압(VCOM)을 생성해서 디스플레이패널(15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관리장치(160)는 게이트로우전압(VGL)과 게이트하이전압(VGH)을 생성해서 게이트구동장치(130)로 출력하고, 구동전압(AVDD)을 생성해서 데이터구동장치(12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장치(160)는 감마용 기준전압(Vref)을 생성해서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로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감마용 기준전압(Vref)는 제1기준전압 및 제2기준전압을 포함할 수 있고, 제1기준전압이 제2기준전압보다 더 높을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는 동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60HZ(Hertz) 이상의 고주사율로 구동하고, 정지영상을 표시할 때에는 10HZ 이하의 저주사율로 구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저주사율로 구동하는 경우, 한 프레임 데이터가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 수직 액티브 기간과 수직 블랭크 기간, 즉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과 수직 블랭크 기간 중에서 수직 블랭크 기간이 고주사율로 구동할 때에 비해 길어질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액티브 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0)는 한 프레임 데이터에 해당하는 데이터전압을 생성해서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블랭크 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0)는 데이터전압을 생성 및 출력하는 구성 요소들을 디스에이블(Disable)시킬 수 있고,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도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직 액티브 기간에 데이터구동장치(120)는 전체 구성 요소들을 인에이블시켜서 데이터전압을 생성 및 출력하고, 수직 블랭크 기간에는 데이터전압을 생성 및 출력하는 구성 요소들을 디스에이블시켜서 전력을 적게 소비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도 수직 액티브 기간에는 인에이블되어 전력관리장치로부터 감마용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감마용 기준전압을 이용해서 다수의 감마전압을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블랭크 기간에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는 디스에이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비전력이 절감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직 블랭크 기간에는 감마전압 생성장치(150)가 디스에이블되기 때문에 전력관리장치(16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구성 요소가 디스에이블될 수 있으면,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비전력이 더 절감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 실시예에서는 전력관리장치(160)의 구성 요소들 중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생성하는 구성 요소를 아래와 같은 구성을 통해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전력관리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력관리장치(160)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 제어부(220), 외부 커패시터(230)를 포함할 수 있고, 출력측 스위치회로(240), 출력 패드(250), 제1내부배선(260), 제2내부배선(2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는 도 4와 같이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Active1)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Blank1)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 액티브 기간과 수직 블랭크 기간은 디스플레이장치(100)가 10HZ 이하의 저주사율로 구동할 때의 수직 액티브 기간과 수직 블랭크 기간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장치(100)가 10HZ 이하의 저주사율로 구동할 때에 수직 블랭크 기간은 수직 액티브 기간에 비해 길게 설정될 수 있다.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가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한다는 것을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가 디스에이블된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212)은 일반적으로 낮은 임피던스를 가지고 있다.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외부 커패시터(230)와 출력단(212)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외부 커패시터(230)에 충전되어 있던 전하가 출력단(212)을 통해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Blank1)에서 다른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Active2)으로 전환될 때에 외부 커패시터(23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과 시간이 더 소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가 디스에이블된 상태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212)은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가 되도록 한다.
수직 블랭크 기간(Blank1)에 출력단(212)이 하이 임피던스(Hi-Z) 상태가 되면, 출력단(212)과 외부 커패시터(230)가 전기적으로 절연된 상태가 되기 때문에 외부 커패시터(230)에 저장된 전하가 기준전압생성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Blank1)에서 다른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Active2)으로 전환될 때에 외부 커패시터(230)를 충전하기 위한 전력과 시간이 절감된다.
이러한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는 출력단(212) 뿐만아니라, 도 3과 같이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214) 및 내부 스위치회로(216)를 포함할 수 있다.
LDO 레귤레이터(214)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Vin)을 레귤레이팅해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으로 출력할 수 있다.
내부 스위치회로(216)는 후술할 제어부(220)에서 출력한 Hi-Z신호에 따라 LDO 레귤레이터(214)와 출력단(212)을 전기적으로 연결(turn-on)시키거나 분리(turn-off)시킬 수 있다. LDO 레귤레이터(214)와 출력단(212)이 전기적으로 분리되었을 때에 출력단(212)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위와 같은 내부 스위치회로(216)는 하나 이상의 박막 트랜지스터(TFT: Thin Film Trans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20)는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에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에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감마용 기전준압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212)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에 제어부(220)는 도 4와 같이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를 인에이블시키기 위한 제1레벨의 EN신호를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의 LDO 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LDO 레귤레이터(214)가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할 때에 필요한 바이어스 전류를 LDO 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할 수 있다.
위와 같이 LDO 레귤레이터(214)로 제1레벨의 EN신호와 바이어스 전류를 출력할 때에 제어부(220)는 제2레벨의 Hi-Z신호를 내부 스위치회로(216)로 출력해서, 내부 스위치회로(216)가 LDO 레귤레이터(214)와 출력단(212)을 전기적으로 연결(turn-on)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레벨은 고전위 레벨일 수 있고, 제2레벨은 제1레벨에 비해서 저전위 레벨일 수 있다.
수직 액티브 기간에 제어부(220)는 출력측 스위치회로(240)에 제1레벨의 SW신호를 출력해서, 출력측 스위치회로(240)가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제어부(220)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를 디스에이블시키기 위한 제2레벨의 EN신호를 LD0 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할 수 있다. 이 때에 제어부(220)는 바이어스 전류의 출력은 중지할 수 있다.
제2레벨의 EN신호를 LDO 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할 때에 제어부(220)는 제1레벨의 Hi-Z신호를 내부 스위치회로(216)로 출력해서, 내부 스위치회로(216)가 LDO 레귤레이터(214)와 출력단(212)을 전기적으로 분리(turn-off)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제어부(220)는 출력측 스위치회로(240)에 제2레벨의 SW신호를 출력해서, 출력측 스위치회로(240)가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전력관리장치(16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는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수직 블랭크 기간에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가 전기적으로 분리되면, 외부 커패시터(23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도 전기적으로 분리되기 때문에 외부 커패시터(230)에 충전된 전하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로 유입되지 않는다.
외부 커패시터(230)는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212)과 연결된 제1내부배선(260)에 병렬로 연결되어 감마용 기준전압을 평활화한다.
다시 말해서, 외부 커패시터(230)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에서 출력한 감마용 기준전압에서 리플 성분 또는 노이즈 성분을 제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직 액티브 기간과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외부 커패시터(230)의 전압은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수직 블랭크 기간에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212)을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만들어서 외부 커패시터(230)에 충전된 전하가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했다. 다시 말해서, 수직 블랭크 기간에 외부 커패시터(230)의 방전으로 인해 외부 커패시터(230)의 전압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했다.
하지만, 외부 커패시터(230)의 일반적인 특성으로 인해 수직 블랭크 기간 동안에 외부 커패시터(230)에서 누설 전류가 흐를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외부 커패시터(230)에 충전된 전하가 방전되어 외부 커패시터(230)의 전압이 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위와 같은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제어부(220)는 도 5와 같이 수직 블랭크 기간에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간헐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직 블랭크 기간에 외부 커패시터(230)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제어부(220)는 제1시구간(t1) 동안 제2레벨의 EN신호를 LDO 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하고, 제1시구간(t1) 동안 제1레벨의 Hi-Z신호를 내부 스위치회로(216)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212)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된다. 제어부(220)는 제1시구간(t1) 동안 바이어스 전류의 출력은 중지할 수 있다.
제1시구간(t1) 이후에 제어부(220)는 제2시구간(t2) 동안 제1레벨의 EN신호를 LDO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하고, 제2시구간(t2) 동안 제2레벨의 Hi-Z신호를 내부 스위치회로(216)로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220)는 제2시구간(t2) 동안 바이어스 전류를 LDO 레귤레이터(214)로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LDO 레귤레이터(214)에서 출력한 감마용 기준전압에 의해 외부 커패시터(230)에 전하가 충전되도록 한다. 여기서, 제1시구간(t1)과 제2시구간(t2)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시구간(t1)이 제2시구간(t2)보다 짧게 설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이 수직 블랭크 기간에 제어부(220)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를 간헐적으로 인에이블시켜서 외부 커패시터(230)의 누설전류로 인한 외부 커패시터(230)의 전압 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1시구간(t1)과 제2시구간(t2) 동안에 제어부(220)는 제2레벨의 SW신호를 출력측 스위치(240)로 출력해서, 출력측 스위치회로(240)가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를 전기적으로 분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출력측 스위치회로(240)는 제어부(220)에서 출력한 SW신호에 따라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와 감마전압 생성장치(1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분리시킬 수 있다.
출력 패드(250)는 감마전압 생성장치(150)와 제2내부배선(27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1내부배선(260)은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과 출력측 스위치회로(240)의 입력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제2내부배선(270)은 출력측 스위치회로(240)의 출력단과 출력 패드(250)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장치(100)가 저주사율로 구동하는 경우, 전력관리장치(160)가 매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마다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210)를 디스에이블시킬 수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장치(100)의 소비전력이 저감될 수 있다.

Claims (11)

  1.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에서 감마전압 생성장치로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출력단과 연결된 내부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평활화하는 커패시터;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간헐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해서 상기 커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출력측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는 제1시구간과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가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는 제2시구간은 서로 상이하게 설정되는 전력관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구간은 상기 제2시구간보다 짧게 설정되는 전력관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로 바이어스 전류를 출력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바이어스 전류의 출력을 중지하는 전력관리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는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입력전압을 레귤레이팅해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으로 출력하는 LDO(Low Drop-out) 레귤레이터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
  8. 삭제
  9. 일 프레임의 수직 액티브 기간에서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고, 상기 일 프레임의 수직 블랭크 기간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고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단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는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 및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의 출력을 중지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출력단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가 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출력단과 연결된 내부배선에 연결되어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평활화하는 커패시터를 포함하는 전력관리장치; 및
    상기 수직 액티브 기간에는 인에이블되어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입력받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는 디스에이블되는 감마전압 생성장치
    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생성부에서 상기 감마용 기준전압을 간헐적으로 출력하도록 제어해서 상기 커패시터의 전압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디스플레이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블랭크 기간 동안, 상기 전력관리장치와 상기 감마전압 생성장치는 전기적으로 절연되는 디스플레이장치.
  11. 삭제
KR1020200179564A 2020-12-21 2020-12-21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Active KR1027385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64A KR102738557B1 (ko) 2020-12-21 2020-12-21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TW110147491A TW202225793A (zh) 2020-12-21 2021-12-17 電源管理裝置和包括電源管理裝置的顯示裝置
US17/556,228 US11727866B2 (en) 2020-12-21 2021-12-20 Power management devic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202111560020.0A CN114648953A (zh) 2020-12-21 2021-12-20 电源管理装置和包括电源管理装置的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9564A KR102738557B1 (ko) 2020-12-21 2020-12-21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89173A KR20220089173A (ko) 2022-06-28
KR102738557B1 true KR102738557B1 (ko) 2024-12-06

Family

ID=8199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9564A Active KR102738557B1 (ko) 2020-12-21 2020-12-21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27866B2 (ko)
KR (1) KR102738557B1 (ko)
CN (1) CN114648953A (ko)
TW (1) TW20222579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738557B1 (ko) * 2020-12-21 2024-12-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KR20230121230A (ko) * 2022-02-10 2023-08-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력 관리 회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40061666A (ko) * 2022-11-01 2024-05-08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패널구동을 위한 전원관리장치
KR20240081615A (ko) * 2022-11-30 2024-06-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전압 생성부, 드라이버 ic, 및 표시 장치
TWI849770B (zh) * 2023-02-23 2024-07-21 大陸商北京歐錸德微電子技術有限公司 動態電壓切換方法、顯示驅動晶片、顯示裝置及資訊處理裝置
KR20250052681A (ko) 2023-10-12 2025-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디스플레이 구동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077B1 (ko) * 2005-05-02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마 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3377B2 (en) * 2004-05-24 2007-02-06 Samsung Sdi Co., Ltd. Light emission device and power supply therefor
KR100578844B1 (ko) * 2004-05-24 2006-05-1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발광표시 장치용 전원공급 장치
JP2006126471A (ja) * 2004-10-28 2006-05-18 Nec Micro Systems Ltd 表示装置の駆動回路および駆動方法
US7977931B2 (en) * 2008-03-18 2011-07-12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Family of current/power-efficient high voltage linear regulator circuit architectures
KR101056248B1 (ko) * 2009-10-07 2011-08-11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드라이버 ic 및 그를 이용한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KR101476880B1 (ko) * 2011-09-29 2014-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169169B1 (ko) * 2014-01-20 2020-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KR102174104B1 (ko) * 2014-02-24 2020-11-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데이터 구동부,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339039B1 (ko) * 2014-08-27 2021-12-1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KR102345396B1 (ko) 2015-04-03 2021-12-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원 관리 드라이버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4732949B (zh) * 2015-04-17 2019-01-2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伽马电压生成电路、驱动单元、显示装置和色坐标调节方法
JP6957919B2 (ja) * 2017-03-23 2021-11-02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駆動回路及び電子機器
CN107481695B (zh) * 2017-10-09 2021-01-26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时序控制器、显示驱动电路及其控制方法、显示装置
US20200013321A1 (en) * 2018-07-09 2020-01-09 Sharp Kabushiki Kaisha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etecting state thereof
KR102554201B1 (ko) * 2018-09-20 2023-07-12 주식회사 디비하이텍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68101B1 (ko) * 2018-12-31 2024-05-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휘도 보상 장치와 이를 이용한 전계 발광 표시장치
US11464099B2 (en) * 2020-02-06 2022-10-04 Lumileds Llc 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interface for light emitting diode system
KR102752294B1 (ko) * 2020-05-08 2025-01-10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저전력 모드를 지원하는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방법
KR102739016B1 (ko) * 2020-11-02 2024-12-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디스플레이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KR102738557B1 (ko) * 2020-12-21 2024-12-06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6077B1 (ko) * 2005-05-02 2006-09-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감마 기준전압 발생회로 및 이를 구비하는 평판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225793A (zh) 2022-07-01
US11727866B2 (en) 2023-08-15
CN114648953A (zh) 2022-06-21
KR20220089173A (ko) 2022-06-28
US20220199005A1 (en) 2022-06-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38557B1 (ko) 전력관리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장치
US8564587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US798628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EP2743910A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11482148B2 (en) Power supply time sequence control circuit and control method thereof, display driver circuit, and display device
US20160189600A1 (en) Data control circuit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CN105741785B (zh) 数据驱动器和使用该数据驱动器的显示装置
US11900873B2 (en) Display panels, methods of driving the same, and display devices
US11151941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isplay panel
US11798480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system
KR20150078981A (ko) 평판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JP2005274658A (ja) 液晶表示装置
TW201301238A (zh) 顯示裝置、液晶顯示裝置及驅動方法
US9153191B2 (en) Power management circuit and gate pulse modulation circuit thereof capable of increasing power conversion efficiency
US943715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display device
KR102673351B1 (ko) 전력소비를 최소화시키기 위한 전력관리장치
US11195491B2 (en) Power management device to minimize power consumption
US9621035B2 (en) Control circuit for switching regula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switching regulator, and electronic device
US10135444B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booster part, and booster
JP4278314B2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表示装置
KR102466991B1 (ko) 전압 발생기, 그것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전압 발생 방법
CN114944138B (zh) 显示面板的驱动方法、驱动电路和显示装置
US11948502B2 (en) Power voltage supply circuit, a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a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display device
EP4542536A1 (en) Pix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background
US20250209974A1 (en) Pixel circuit, display panel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0122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