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8514B1 -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8514B1
KR102738514B1 KR1020190019248A KR20190019248A KR102738514B1 KR 102738514 B1 KR102738514 B1 KR 102738514B1 KR 1020190019248 A KR1020190019248 A KR 1020190019248A KR 20190019248 A KR20190019248 A KR 20190019248A KR 102738514 B1 KR102738514 B1 KR 102738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lever
catch
door la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19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01073A (ko
Inventor
남진우
곽경택
한정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19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8514B1/ko
Priority to US16/445,919 priority patent/US11365565B2/en
Publication of KR20200101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1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8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851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04Preventing unwanted lock actuation, e.g. unlatch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7/00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 E05B77/02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s or purposes for accident situations
    • E05B77/12Automatic locking or unlocking at the moment of colli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2Operative connections between handles, sill buttons or lock knobs and the lock uni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bolt detents, e.g. for unlatching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6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operating on locking elements for locking or unlocking a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1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 E05B81/18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function or purpose of the powered actuators to effect movement of a bolt or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6Output elements
    • E05B81/30Rotary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05B81/36Geared sectors, e.g. fan-shaped gea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50Powered actuators with automatic return to the neutral position by non-powered means, e.g. by 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90Manual override in case of power failur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가 개시된다.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차량용 도어가 상기 차체에 록킹되게 하거나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가 상기 차체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하는 캐치 파트;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캐치 파트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되게 하거나 해방되게 하는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 및 충돌 사고 발생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충돌 대응 파트를 포함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 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는 상태로 전환하여 충돌에 대한 탑승개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모터를 이용해서 도어를 차체에 록킹 혹은 해방시키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용 도어를 사용자가 파지하여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도록 인사이드 핸들 및 아웃사이드 핸들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상기 전동식 도어 래치를 록킹 혹은 해방시키기 위해 스위치 등이 차량용 도어에 구비되어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동식 도어 래치 구조에서, 차량의 충돌 사고 발생 시에, 충돌측 도어는 차체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한 도어 록킹 기구가 도어의 아우사이드 패널에 설치되어, 충돌로 인해 아웃사이드 패널의 변형으로 제기능을 유지하여 못하여 탑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충돌 사고 발생 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는,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차량용 도어가 상기 차체에 록킹되게 하거나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가 상기 차체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하는 캐치 파트;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캐치 파트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되게 하거나 해방되게 하는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 및 충돌 사고 발생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충돌 대응 파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인사이드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충돌 대응 파트와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거쳐서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아웃사이드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충돌 대응 파트와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거쳐서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 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치 파트는 상기 차체에 장착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어 걸리거나 혹은 이탈되는 록킹 홈을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캐치;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치에 밀착되어 상기 캐치의 회전을 저지하거나 상기 캐치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캐치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동 기어를 구비한 상기 모터;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된 피동 기어; 상기 폴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폴 릴리즈 레버; 및 상기 피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피동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폴 릴리즈 레버를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 대응 파트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는 걸고리가 형성된 마스터 록 링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는 관성 중량체 및 타단에는 암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암이 상기 마스터 록 링크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마스터 록 링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레버; 및 상기 마스터 록 링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 릴리즈 레버에는 2개의 안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에는 상기 안착 돌기들에 안착되어 상기 폴 릴리즈 레버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가압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핸들이나 버튼의 조작을 감지해서 상기 모터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도어 래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가압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록 링크에는 상기 가압 플랜지에 대응하고, 상기 가압 플랜지에 의해 눌려서 상기 마스터 록 링크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도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홀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1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터 록 링크에는 상기 제1장홀에 삽입되는 핀축이 구비될 수 있다.
차량용 키이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실린더에는 키이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키이 너트에는 키이 레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키이 레버의 타단은 상기 제어 레버와 연결될수 있다.
상기 키이 레버의 하부에는 제2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레버에는 상기 제2장홀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키이 레버의 상부에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키이 너트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제1,2조작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조작 돌기 사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홈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에 의하면, 모터를 이용해서 차량용 도어를 차체에 안정되게 록킹시킬 수 있고, 록킹된 차량용 도어를 차체로부터 원활하게 해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편리하게 차량용 도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돌 사고 발생 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모터가 작동 불능일 때에는 차량용 키이를 이용해서 차체에 록킹된 도어를 해방시킬 수 있으므로, 차량용 도어의 사용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이 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는데 참조하기 위함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한 도면에 한정해서 해석하여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캐치 파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폴과 폴 릴리즈 레버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와 충돌 대응 파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충돌 사고 발생시 작동 설명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와 마스터 록 링크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와 마스터 록 링크의 작동 설명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차량용 키이 조작시 작동 설명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의 키이 너트와 키이 레버의 작동 설명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부분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이 동일한 관계로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하기의 설명에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는,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차량용 도어를 차체에 록킹시키거나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어 도어가 차체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하는 캐치 파트(10)와; 상기 캐치 파트(10)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캐치 파트가 스트라이커에 록킹되게 하거나 해방되게 하는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20): 및 충돌 사고 발생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충돌 대응 파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캐치 파트(10)는 제1베이스 플레이트(1)의 일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가 삽입 혹은 이탈되는 록킹 홈(111)을 구비한 캐치(11) 및;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1)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캐치(11)에 밀착하여 캐치(11)의 회전을 저지하거나 캐치(11)로부터 이탈되어 캐치(11)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폴(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20)는, 제2베이스 플레이트(2)에 장착되고,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구동 기어(211)를 구비한 모터(21)와, 구동 기어(211)에 치합된 피동 기어(22); 상기 제1베이스 플레이트(1)를 사이에 두고 상기 폴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폴 릴리즈 레버(23) (도 4참조); 및 상기 피동 기어(22)에 치합되고, 상기 피동 기어(22)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를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돌 대응 파트(30)는, 일단이 제1베이스 플레이트(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는 걸고리(331)가 형성된 마스터 록 링크(33); 제1베이스 플레이트(1)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는 관성 중량체(322) 및 타단에는 암(323)이 구비되며, 상기 암(323)이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레버(32); 및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3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어에 설치된 릴리즈 핸들이나 버튼 등을 조작하면, 도어 래치 컨트롤러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메인 모터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여 상기 모터(21)를 구동시킨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모터(21)의 구동에 의해 구동 기어(211)와 피동 기어(22)가 각각 회전하고, 피동 기어(22)에 치합된 작동 레버(24)가 회전하면서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를 눌러서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의 회전으로 상기 폴(12)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캐치(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치(11)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도어의 차체 록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게 된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도어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이나 아웃사이드 핸들을 파지한 상태로 도어를 밀거나 당기면, 도어의 일측이 차체에 지지된 상태로 도어가 회전되면서 도어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에는 2개의 안착 돌기(231)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24)에는 상기 안착 돌기(231)들에 안착되어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가압 돌기(241)가 구비된다.
도 7을 참조하면, 차량용 도어가 록킹된 상태에서 충돌 사고 발생시에, 외부 충돌체(80)가 충돌측 도어의 아웃사이드 패널(90)을 타격하면, 상기 제어 레버(32)의 관성 중량체(322)는 충돌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관성을 받게 되고, 이로 인해 제어 레버(3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제어 레버(32)의 회전으로 제어 레버(32)의 암(323)은 마스터 록 링크(33)와 접촉되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억압하여 마스터 록 링크(33)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충돌측 도어의 록킹 상태는 그대로 유지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충돌 반대측 도어에서는, 상기 제어 레버(32)의 관성 중량체(322)는 충돌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관성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제어 레버(32)의 회전으로 제어 레버(32)가 마스터 록 링크(33)로부터 이격됨으로써, 마스터 록 링크(33)는 가압 스프링(34)의 탄성력을 받아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의 걸고리(331)가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의 안착 돌기(231)들에 걸리게 되는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에서 차량의 탑승객이 인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인사이드 핸들에 와이어(41)를 통해 연결된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4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30)는 제2베이스 플레이트(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플랜지(42)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에는 상기 가압 플랜지(42)에 대응하여 회전 유도 플랜지(312)가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가압 플랜지(42)가 상기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40)의 회전으로 일체로 회전하면서 상기 미스터 록 링크(33)의 회전 유도 플랜지(312)를 눌러주면,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가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의 안착 돌기(231)들에 걸려 있는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된다.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의 회전으로 상기 폴(12)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캐치(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치(11)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돌 반대측 도어의 차체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도어를 개방시킬 수 게 된다.
상기 마스터 록 링크(33)에는 상기 제어 레버(32)의 암(323)이 접촉되거나 밀착되는 눌림 돌기(334)가 구비된다.
한편, 상기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에서 사용자가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웃사이드 핸들에 와이어를 통해 연결된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50)가 회전하게 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50)는 제2베이스 플레이트(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홀(51)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마스터 록 링크(33)에 구비된 핀축(333)이 삽입되는 제1장홀(52)이 형성된다.
상기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50)가 회전하면, 마스터 록 링크(33)가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50)의 회전에 의해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더욱 회전하여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주게 된다.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의 회전으로 상기 폴(12)이 함께 회전하면서 상기 캐치(11)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캐치(11)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됨으로써, 충돌 반대측 도어의 차체 록킹 상태가 해제되어, 충돌 반대측 도어를 개방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차량이 방전되어 상기 모터(21)가 작동 불능이 된 경우에는, 차량의 키이를 키이 홀에 삽입하여 키이 실린더를 회전 조작하면,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키이 실린더에 구비된 키이 너트(60)가 회전하고, 키이 너트(60)의 회전에 의해 키이 레버(70)가 상승하면서 제어 레버 (32)를 회전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제어 레버(32)의 회전으로 마스터 록 링크(33)는 제어 레버(32)로부터 해방되면서 가압 스프링(34)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마스터 록 링크(33)의 걸고리(331)가 상기 폴 릴리즈 레버(23)의 안착 돌기(231)들에 걸리게 되는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가 된다.
상기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에서 아웃사이드 핸들을 당기게 되면, 상기 서술한 바와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50)가 회전하게 되어, 도어를 개방할 수 있게 된다.
도 12를 참조하면, 키이 레버(70)의 하부에는 제2장홀(71)이 형성되고, 제어 레버 (32)에는 상기 제2장홀(71)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321)가 구비되며, 키이 레버(70)의 상부에는 걸림 돌기(72)가 구비되고, 키이 너트(60)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제1,2조작 돌기(61,62)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조작 돌기(61,62) 사이에는 상기 걸림 돌기(72)가 삽입되어 이동하는 이동 가능홈(63)이 구비된다.
즉, 제2장홀(71) 및 결합제어 돌기(321)를 통해 제어 레버(32)가 키이 레버(70)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제어 레버(32)가 회전할 경우에 상기 키이 레버(70)는 상하 운동을 하지만, 키이 레버(70)의 걸림 돌기(72)는 키이 너트(60)의 이동 가능홈(63) 내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키이 레버(70)의 걸림 돌기(72)가 키이 너트(60)의 제1,2조작 돌기(61,62)와 접촉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키이 너트(60)가 차량의 키이의 조작으로 회전하면, 키이 레버(70)가 제1조작 돌기(61)에 닿아서 상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어 올려지게 되고, 이로 인해 제어 레버(32)가 키이 레버(70)에 의해 강제적으로 회전되면서 마스터 록 링크(33)가 회전하여, 상기 서술한 도어 록 해제 준비 상태가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본 명세서에서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 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제1베이스 플레이트
2: 제2베이스 플레이트
10: 캐치 파트
11: 캐치
12: 폴
20: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
21: 메인 모터
22: 피동 기어
23: 폴 릴리즈 레버
24: 작동 레버
30: 충돌 대응 파트
32: 제어 레버
33: 마스터 록 링크
34: 가압 스프링
40: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
50: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
60: 키이 너트
70: 키이 레버

Claims (13)

  1. 차체에 장착된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차량용 도어가 상기 차체에 록킹되게 하거나 상기 스트라이커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차량용 도어가 상기 차체로부터 개방될 수 있게 하는 캐치 파트;
    모터를 구비하고, 상기 모터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여 상기 캐치 파트가 상기 스트라이커에 록킹되게 하거나 해방되게 하는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 및
    충돌 사고 발생시에 충돌측 도어는 록킹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는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통해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충돌 대응 파트;
    를 포함하고,
    상기 충돌 대응 파트는,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타단에는 걸고리가 형성된 마스터 록 링크;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일단에는 관성 중량체 및 타단에는 암이 각각 구비되며, 상기 암이 상기 마스터 록 링크와 접촉되거나 이격되어 상기 마스터 록 링크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레버; 및
    상기 마스터 록 링크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 가압하는 가압 스프링;
    을 포함하되,
    외부 충돌체가 충돌측 도어의 아웃사이드 패널을 타격하면, 상기 제어 레버의 관성 중량체는 충돌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관성을 받아, 상기 제어 레버의 암은 마스터 록 링크와 접촉되어 상기 마스터 록 링크가 회전되지 못하게 하고,
    충돌 반대측 도어에서는, 상기 제어 레버의 관성 중량체가 충돌 방향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 관성을 받아 제어 레버가 마스터 록 링크로부터 이격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인사이드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인사이드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충돌 대응 파트와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거쳐서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아웃사이드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아웃사이드 핸들의 조작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충돌 대응 파트와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를 거쳐서 상기 캐치 파트에 회전력을 인가하는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 레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 파트는
    상기 차체에 장착된 상기 스트라이커가 삽입되어 걸리거나 혹은 이탈되는 록킹 홈을 구비하고,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캐치; 및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캐치에 밀착되어 상기 캐치의 회전을 저지하거나 상기 캐치로부터 이탈되어 상기 캐치가 자유 회전 가능하도록 하는 폴;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록킹 및 해방 파트는,
    시계 방향 및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고, 구동 기어를 구비한 상기 모터;
    상기 구동 기어에 치합된 피동 기어;
    상기 폴과 일체로 회전되게 결합된 폴 릴리즈 레버; 및
    상기 피동 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피동 기어를 통해 상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면서 상기 폴 릴리즈 레버를 회전시키는 작동 레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6. 삭제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폴 릴리즈 레버에는 2개의 안착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작동 레버에는 상기 안착 돌기들에 안착되어 상기 폴 릴리즈 레버를 눌러서 회전시키는 가압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용 도어에 설치된 핸들이나 버튼의 조작을 감지해서 상기 모터에 작동 신호를 인가하는 도어 래치 컨트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9.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인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가압 플랜지가 구비되며;
    상기 마스터 록 링크에는 상기 가압 플랜지에 대응하고, 상기 가압 플랜지에 의해 눌려서 상기 마스터 록 링크를 회전시키는 회전 유도 플랜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10.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아웃사이드 비상 작동 레버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일단에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와이어 홀이 형성되며, 타단에는 제1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마스터 록 링크에는 상기 제1장홀에 삽입되는 핀축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11. 제1 항에 있어서,
    차량용 키이를 삽입하여 회전 조작할 수 있는 키이 실린더에는 키이 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키이 너트에는 키이 레버의 일단이 연결되며;
    상기 키이 레버의 타단은 상기 제어 레버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레버의 하부에는 제2장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어 레버에는 상기 제2장홀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키이 레버의 상부에는 걸림 돌기가 구비되고;
    상기 키이 너트에는 원주 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제1,2조작 돌기가 구비되며;
    상기 제1,2조작 돌기 사이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삽입되어 이동할 수 있는 이동 가능홈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1020190019248A 2019-02-19 2019-02-19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Active KR102738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48A KR102738514B1 (ko) 2019-02-19 2019-02-19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US16/445,919 US11365565B2 (en) 2019-02-19 2019-06-19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19248A KR102738514B1 (ko) 2019-02-19 2019-02-19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73A KR20200101073A (ko) 2020-08-27
KR102738514B1 true KR102738514B1 (ko) 2024-12-04

Family

ID=72041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9248A Active KR102738514B1 (ko) 2019-02-19 2019-02-19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365565B2 (ko)
KR (1) KR10273851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1102595A1 (de) * 2021-02-04 2022-08-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DE102021102591A1 (de) * 2021-02-04 2022-08-04 Kiekert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schloss und verfahren zum betrieb eines solchen kraftfahrzeug-schlosses
KR20240164830A (ko) * 2023-05-14 2024-11-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09B1 (ko) 2013-08-21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US20180023325A1 (en) * 2016-07-20 2018-01-25 Ansel Corporatio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034723B1 (fr) * 2014-12-18 2017-06-21 U-Shin France Serrure pour un ouvrant de véhicule automobile
US10392838B2 (en) * 2015-06-11 2019-08-27 Magna Closures Inc. Key cylinder release mechanism for vehicle closure latches, latch assembly therewith and method of mechanically releasing a vehicle closure latch
KR20160148819A (ko) * 2015-06-16 2016-12-27 평화정공 주식회사 안전형 도어잠금장치
KR101755828B1 (ko) * 2015-08-19 2017-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US20190301212A1 (en) * 2018-03-27 2019-10-03 Magna BOCO GmbH Closure latch assembly with latch mechanism having a dual-pawl configuration
JP7035709B2 (ja) * 2018-03-28 2022-03-1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11598129B2 (en) * 2018-12-18 2023-03-07 Magna Closures Inc. Smart latch assembly with double pawl latch mechanism having flexible connection to release mechanism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1309B1 (ko) 2013-08-21 2015-01-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아웃사이드 핸들
US20180023325A1 (en) * 2016-07-20 2018-01-25 Ansel Corporation Vehicle door lock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1073A (ko) 2020-08-27
US20200263455A1 (en) 2020-08-20
US11365565B2 (en) 2022-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41336B2 (en) Motor-driven door latch for vehicle
KR102763517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CN108204184B (zh) 用于车辆的后背门打开和关闭装置
CN113107289B (zh) 用于车辆的电动车门闩锁设备
JP6255631B2 (ja) 自動車ドアの閉鎖装置
JP5832725B2 (ja) 慣性部材付きクロージャラッチ
KR102738514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JPS6055672B2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装置
JPWO2013046317A1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CN112302437B (zh) 用于车辆的电动门锁
EP3783173B1 (en) A vehicle door comprising a power child lock device
US12129690B2 (en) Electric door latch apparatus for vehicle
JP7488123B2 (ja) トランクラッチ非常時開放構造
KR102715803B1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101755828B1 (ko) 도어 열림 방지를 위한 도어 래치 링크구조
CN1103923A (zh) 具有紧急开锁功能的门把手总成
CN112368455A (zh) 用于车辆的发动机罩安全系统
JP3183625B2 (ja) 車両用ロック装置におけるロックレバー軸止装置
CN116583653A (zh) 机动车锁、特别是机动车门锁
KR102788211B1 (ko) 인터럽트 구현 가능한 차량용 도어래치
CN117967153A (zh) 一种车外开启装置及车辆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2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2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2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