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8084B1 -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 Google Patents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8084B1
KR102738084B1 KR1020230122850A KR20230122850A KR102738084B1 KR 102738084 B1 KR102738084 B1 KR 102738084B1 KR 1020230122850 A KR1020230122850 A KR 1020230122850A KR 20230122850 A KR20230122850 A KR 20230122850A KR 102738084 B1 KR102738084 B1 KR 1027380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ease trap
oil
pressure
nozzle body
nozz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28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민균
Original Assignee
에코클린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코클린 사회적협동조합 filed Critical 에코클린 사회적협동조합
Priority to KR10202301228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80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80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808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ai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를 얻기 위한 것인 바,
그리스트랩 저수조 및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공급부로 포함하여 형성한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는,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전방노즐부와 내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기압강하부와, 상기 기압강하부에 관통구를 형성한 유분유입구와 외부의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고압노즐본체부; 상기 고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는 유분유입구로 저수조 상부의 유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분흡입소켓과 상기 유분흡입소켓을 부유체에 고정하되, 부유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높이를 미세조절이 되도록 내부에 이동구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구에 끼워지는 지지로드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기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형성하고,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고압노즐본체부를 고정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팅노즐장착부로 이루어지도록 달성함으로서, 그리스트랩(Grease-Trap)은 급식시설 등에서 조리, 급식 및 세정 전/후 발생되는 폐유와 폐지방을 분해하여 하수처리장까지 관로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류를 미세분해를 위한 고압분사노즐을 이용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Decomposition apparatus of grease-trap}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리스트랩(Grease-Trap)은 급식시설 등에서 조리, 급식 및 세정 전/후 발생되는 폐유와 폐지방을 분해하여 하수처리장까지 관로의 막힘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유지류를 미세분해를 위한 고압분사노즐을 이용한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급식시설, 주방 등에서의 조리, 식기세척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수에는 음식물찌꺼기, 동식물성 유지분이 포함되기 마련인 데, 이런 하수를 배수관으로 그냥 흘려보내면 시간이 지날수록 배수관의 관벽에 흡착되어 관로가 좁아져서 배수가 곤란해지고, 최악의 경우에는 관로가 막혀 배수불능상태에 직면하기도 한다. 배수관의 관벽에 흡착된 유지분 등이 부패되면서 악취도 발생하며, 병원균의 서식처가 되기도 한다.
하수로 인한 악취, 병원균의 서식과 같은 부작용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려면 그리스트랩과 싱크대 및 배수관에 대하여 흡착력이 큰 유지분, 초미세 찌꺼기가 배수관으로 흘러나가지 못하게 철저히 방지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이 필요하다.
그리스트랩은 싱크대 내 폐음식물의 고형분, 유지분을 거르고 흡착하는 데 유용한 수단으로 알려져 있다. 그리스트랩은 내식성이 우수하고 강성이 큰 스테인레스강판제 걸름통을 근간으로 하고, 여기에 여과망, 흡착포 등을 추가 내장하여 효율높게 유지분, 미세찌꺼기가 흡착 또는 여과되도록 한 것이다.
그리스트랩은 구성 요소와 부가기능에 따라 여러 가지가 있으며, 아래에 부가 기능별 선행기술 몇 가지를 소개한다.
공개특허 10-2013-0023543호의 그리스트랩은 1차로 주방 오폐수에 포함된 음식물 찌꺼기를 걸러내고, 2차로 오폐수에 함유된 유지분을 분리하여 배수관으로 배출되도록 한 것이고, 공개특허 제10-2007-0112595호는 케이스 내의 배수구측에 비치된 흡착시트로 하수에 포함된 유지분을 흡착해 제거하도록 한 그리스트랩인 데, 초미세찌기는 걸러내 수거할 수 없다.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139호는 유지분과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으로 이뤄진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여 1차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로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을 분리하되 상기분리조 내에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전동식 유지분 회수기를 구비한 그리스트랩으로서, 유지분 회수기와 폭기장치를 이용하여 물에 에멀젼 상태로 녹아 있는 유지분을 세제잔류물과 혼합해 분해하고 폐지방을 수표면으로 떠오르게 해 유지분의 회수율을 높이고, 폭기장치에는 OH라디칼발생기를 설치하여 OH라디칼이 함유된 공기로 폭기시켜 하수의 살균과 수중 용존산소량을 높히는 자정력으로 BOD수치를 낮추고, 유수분리를 용이하는 기계식 그리스트랩이고, 등록실용신안 제0340184호는 유지분과 고형 음식물 찌꺼기가 포함된 하수를 걸름망과 격벽이 설치된 분리조에 일시 저장하다가 1차적으로는 걸름망으로 고형물 찌꺼기를 분리하고, 2차적으로는 비중차를 이용하여 물과 유지분이 분리하며, 분리조에는 수표면으로 떠오른 유지분을 접촉식으로 걸러내는 유지분 회수기와 오존발생기, 폭기장치를 설치하여 분리조내 하수의 살균과 탈취, 물과 유지분을 분리수거토록 한 것인 데, 장비가 워낙 고가인 데다 유지보수비도 감당키 어렵기 때문에 영세한 요식업주에겐 시설비와 유지보수관리비 부담에 설치공간확보에 어려움이 따른 등의 이유로 매우 부적합하고, 구조 상 초미세찌기를 걸러내 수거할 수가 없다.
현재 학교와 같은 대규모 급식시설에서는 그리스트랩의 운용규정이 잘못 실행되어 그리스트랩 본연의 기능을 망각하고 청소 상태만을 점검하기에 기기의 설치 취지에 역행하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일례로 학교등 급식시설에서는 그리스트랩 내부의 수표면에 부상된 폐지방을 수거할 적절한 방법이 없기 때문에 내부의 분리격벽과 피트랩 등을 제거한 후, 내부에 분리되어 있는 폐지방 등을 정화조나 하천 수계로 흘려보내고 있는 실정이며 일부 가든이나 대형 식당 등에는 이러한 기능마저도 수행할 수 있는 그리스트랩 자체가 없기 때문에 모든 폐지방이 정화조로 유입되며 폐지방의 발생 현장에서 정화조까지의 관거가 폐색되거나 정화조 내부에 쌓여 정화조의 기능을 상실케 하므로 하수, 오수, 폐수처리를 위해 설치된 정화조가 무용지물인것이다. 또한, 정화조와 연결된 관거를 통하여 각종 수인성 전염병균등이 역류하여 조리시설을 오염시켜 급기야는 대규모의 식중독 사태가 발생하기도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2007-0112595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1-0004139호 공개특허 10-2013-0023543호 등록실용신안 제0340184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급식시설, 호텔, 백화점, 패스트 푸드점, 슈퍼마켓, 식당주방, 생선, 정육코너, 편의점, 육가공 식품을 조리·생산하는 식품공장, 주유소, 선박 등에서 사용되는 유지의 양이 증가하고 그에 따라 방출되는 폐유지의 양 또한 증가하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이를 제거·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공정을 거치지 않고 일반하수에 섞여 배출되는 것을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를 이용하여 유지류를 분해하여 배수구로 배출하도록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고압과 유분과 유지분해 혼합액을 믹싱하여 미세분자로 나누어지도록 하여 유분과 폐기름을 분해하도록 함으로 배관에 달라붙지 않고 정화장치로 보내지도록 하여 관이 막히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그리스트랩 저수조 및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공급부로 포함하여 형성한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는,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전방노즐부와 내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기압강하부와, 상기 기압강하부에 관통구를 형성한 유분유입구와 외부의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관으로 이루어진 고압노즐본체부;
상기 고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는 유분유입구로 저수조 상부의 유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분흡입소켓과 상기 유분흡입소켓을 부유체에 고정하되, 부유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 부유체와 상기 부유체의 높이를 미세조절이 되도록 내부에 이동구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구에 끼워지는 지지로드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기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 축결합되어 형성하고,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고압노즐본체부를 고정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팅노즐장착부로 이루어지도록 달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Grease-Trap)은 급식시설 등에서 조리, 급식 및 세정 전/후발생되는 폐유와 폐지방을 수거하여 하수처리장까지 관로의 막힘현상을 방지 및 악취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특히 그리스트랩(Grease-Trap)의 저수조내에서 시공시 또는 사용시 노즐본체부를 이동이 가능하므로 별도의 공사도 없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저수조에 떠는 유분 상하부에서 흡수하여 고속으로 오즐부에서 분사하여 혼합함으로 미세하게 공기와 기름을 분해하는 성분과 같이 와류가 발생하여 혼합하여 분해가 되도록 한후에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 매우 유용한 친환경 자이츨 제공하는 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의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3과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의 유분흡입소켓의 다른 실시예도.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세팅노즐장착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의 작동상태도.
도 9는 종래의 그리스트랩의 저수조를 도시한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도어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함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이동,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9에 도시한 그리스트랩 저수조(100)에, 일측에 하수 또는 폐수 등을 그리스트랩 저수조로 제공하는 입수배관(110); 및 타측에 그리스트랩 저수조의 유체를 배출하는 배수배관(120)이 구비되며, 그리스트랩 저수조의 바닥에는 그리스트랩 저수조의 공간을 상호 유동 가능하게 구획하거나 침전물의 이동을 방지하는 배플부(130)가 구비된다.
상기 입수배관 측에는 하수 또는 폐수 등에 포함된 큰 폐기물질이 여과되어 보유되는 걸름망(14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안전사고 방지 및 미관 성능, 이물질 유입 방지 등을 고려하여 그리스트랩 저수조의 상부에는 그리스트랩 커버(150)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상기 그리스트랩 커버를 통기 구조로 형성하거나 별도의 통기용 배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100)는 그리스트랩 등의 제거장치를 포함하는 의미하며 그 설치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 공급부(, 공기 및 오존,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한다. 이때, 단순히 공기만 제공하는 방식도 선택될 수 있으나 오존 및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생성하여 공기와 함께 공급하는 방식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기능성 기체공급부는 대기중의 공기를 이용하여 고주파 전원에 의하여 오존 및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생성하여 공기와 함께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상기 오존 및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생성하기 위한 세부 구조는 통상의 기술자가 공지된 기술로부터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성 기체에 의하여 폐유지의 분해 및 미세 유기물의 분해 등의 작용효과가 발생될 뿐만 아니라 그리스트랩 저수조에 대하여 미생물 살균 효과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한 본 발명의 그리스트랩 저수조(100) 및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공급부(500)로 포함하여 형성한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는,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전방노즐부(210)와 내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기압강하부(220)와, 상기 기압강하부에 관통구를 형성한 유분유입구(230)와 외부의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관(240)으로 이루어진 고압노즐본체부(300);
상기 고압노즐본체부(300)의 상부에는 유분유입구(230)로 저수조 상부의 유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분흡입소켓(520)과 상기 유분흡입소켓을 부유체에 고정하되, 부유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 부유체(550)와 상기 부유체의 높이를 미세조절조절도록 내부에 이동구(560)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구에 끼워지는 지지로드(57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기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 축결합(580)되어 형성하고,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고압노즐본체부(300)를 고정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팅노즐장착부(600)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그리스트랩 저수조(100) 및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공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 공급부(500)는 외부에서 펌프 또는 컴프레셔 등으로 유지 등을 분해하는 액체를 공급하여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와 별도이 공급관을 공급시에 사용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는,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전방노즐부(210)와 내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기압강하부(220)와, 상기 기압강하부에 관통구를 형성한 유분유입구(230)와 외부의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관(240)으로 이루어진 고압노즐본체부(300); 상기 고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는 유분유입구(230)로 저수조 상부의 유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분흡입소켓(520)과 상기 유분흡입소켓을 부유체에 고정하되, 부유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 부유체(550)와 상기 부유체의 높이를 미세조절조절도록 내부에 이동구(560)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구에 끼워지는 지지로드(57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기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 축결합(580)되어 형성하였다.
상기와 같이 유량의 변화에 따라 이동시에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함으로 유지류에 의해 작동이 느려지는 것을 방지하도록하였다.
또한,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고압노즐본체부(300)를 고정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팅노즐장착부(600)로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 세팅노즐장착부(600)는 고압노즐본체부(300)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장착브래킷(610)를 형성하고, 상기 고압노즐본체부(300)를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고정함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상기 조절장볼트(620)를 고정하도록 상부돌출장착구(630)와 중앙에 이동구(640)가 형성된 수직장착브래킷(610)과, 상기 수직장착브래킷(610)에 체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노즐본체부(300)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홈(640)과 이동돌출장착구(650)가 형성된 노즐고정브래킷(660)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조절장볼트(620)를 회전시키면 노즐고정브래킷이 상/하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고압노즐본체부(300)를 이동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이 있다.
상기 그리스트랩 수조(100)내에 상부에 떠있는 유분을 분해하기 위해 상기 유분을 흡입하여 기능성 기체와 혼합하여 고압으로 분사하되 미세하게 분출이 되도록 고압노즐본체부(520)를 통하여 분사가 이루어지도록 믹싱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수위에 따라서 상기 유분흡입소켓(520)을 통하여 유분이 흡입되도록 부유체에 각도에 따라 변화가 이루어지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기압노즐본체부의 유분유입구(230)로 상부의 유분을 공급할 수 있는 유분흡입소켓(520)과 상기 유분흡입소켓을 고정하되, 부유가 가능한 부유체(550)와 상기 부유체의 높이를 미세조절조절 하도록 내부에 이동구(560)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구에 끼워지는 지지로드(57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기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 축결합(580)되어 수위에 따라 각도가 변하게 되어 유분만을 유입되도록 형성하였다. 또한, 유분유입구(230)에는 연결소켓(280)을 공급호스(290)와 연결하여 유분흡입소켓(520)과 연결하도록 형성하였다.
상기 유분흡입소켓(520)은 전방입구(530)와 상부입구(540)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선별하여 유입하도록 형성하였다.
본 발명의 도 5에 도시한 다른 실시예의 유분흡입소켓(520)은 전방입구(530)와 상부입구(540)로 형성하고, 상기 상부입구(540)에는 걸림턱(381)과 걸림대(382)가 형성된 보조플로트(550)를 형성하여 상부로도 유입과 차단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세팅노즐장착부(600)는 그리스트랩 저수조(100)내에 고정함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노즐본체부(300)를 원하는 위치와 유량 등에 따라 설치하여 고정이 가능하고, 사용중에도 조절장볼트(620)를 돌려서 고정한 특징이 있다.
상기 조절장볼트(620)를 고정하도록 상부돌출장착구(630)와 중앙에 이동구(640)가 형성된 수직장착브래킷(610)과, 상기 수직장착브래킷(610)에 체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노즐본체부(300)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홈(640)과 이동돌출장착구(650)가 형성된 노즐고정브래킷(660)으로 형성하여 이루어진 특징이 있다.
상기와 같이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수위에 따라서 설치시에 세팅에 편리하고, 사용중에 유량의 증가와 저유량이 발생시에는 높낮이를 미리 조절하여 미세조정보다는 큰 유량의 조절이 편리한 특징이 있다.
100: 그리스트랩저수조 200: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
220: 기압강하부 230: 유분유입구
240: 공급관 250: 연결관
300: 노즐본체부 550: 부유체
560:이동구 570: 지지로드

Claims (4)

  1. 그리스트랩 저수조(100) 및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 기능성 유체 또는 기체공급부(500)로 포함하여 형성한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에 있어서,
    상기 고압혼합미세버블노즐부(200)는,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형성되며, 전방노즐부(210)와 내부에 양쪽으로 돌출된 기압강하부(220)와, 상기 기압강하부에 관통구를 형성한 유분유입구(230)와 외부의 유체 또는 기체를 공급하는 공급관(240)으로 이루어진 고압노즐본체부(300);
    상기 고압노즐본체부(300)의 상부에는 유분유입구(230)로 저수조 상부의 유분을 공급할 수 있도록 하되, 전방입구(530)와 상부입구(540)를 형성하여 선택적으로 유입되는 것을 선별하여 유입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상부입구(540)에는 걸림턱(381)과 상기 걸림턱에 끼워지는 걸림대(382)를 포함하는 보조플로트(380)를 형성하여 상부로도 유입과 차단을 할 수 있도록 형성한 유분흡입소켓(520)과; 상기 유분흡입소켓을 부유체에 고정하되, 부유가 가능한 재질로 형성한 부유체(550)와 상기 부유체의 높이를 미세조절조절도록 내부에 이동구(560)를 형성하고 상기 이동구에 끼워지는 지지로드(570)를 나사결합하여 체결하고, 상기 지지로드는 유분의 높이에 따라 기울어지도록 기압노즐본체부의 상부에 축결합(580)되어 형성하고,
    상기 그리스트랩 저수조내 고압노즐본체부(300)를 고정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세팅노즐장착부(60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팅노즐장착부(600)는,
    고압노즐본체부(300)를 지지하며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수직장착브래킷(610)를 형성하고, 상기 고압노즐본체부(300)를 그리스트랩 저수조내에 고정함과 동시에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고, 조절장볼트(620)를 고정하도록 상부돌출장착구(630)와 중앙에 이동구(640)가 형성된 수직장착브래킷(610)과, 상기 수직장착브래킷(610)에 체결하여 상하방향으로 노즐본체부(300)를 이동이 가능하도록 레일홈(640)과 이동돌출장착구(650)가 형성된 노즐고정브래킷(660)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또는 기체 공급부는,
    공기 및 오존, 수산화 라디칼, 플라즈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KR1020230122850A 2023-09-15 2023-09-15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Active KR1027380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850A KR102738084B1 (ko) 2023-09-15 2023-09-15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22850A KR102738084B1 (ko) 2023-09-15 2023-09-15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8084B1 true KR102738084B1 (ko) 2024-12-04

Family

ID=938485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2850A Active KR102738084B1 (ko) 2023-09-15 2023-09-15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8084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84B1 (ko) 1999-06-21 2002-06-12 이토가 미찌야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70112595A (ko) 2006-05-22 2007-11-27 홍용은 그리스트랩
KR20110004139U (ko) 2009-10-20 2011-04-27 유근수 오토그리스트랩
KR20130023543A (ko) 2011-08-29 2013-03-08 유제빈 음이온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KR200469777Y1 (ko) * 2013-07-25 2013-11-06 홍민종 수상 부유물 제거 장치
KR20140057829A (ko) * 2012-11-05 2014-05-14 브이케이테크(주) 유지분해 그리스트랩
KR101905377B1 (ko) * 2018-03-16 2018-10-05 신상교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KR20220167368A (ko) * 2020-04-17 2022-12-20 코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카이죠ㆍ코완ㆍ코쿠기쥬츠켄큐죠 부유 기름의 회수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0184B1 (ko) 1999-06-21 2002-06-12 이토가 미찌야 현상 장치 및 화상 형성 장치
KR20070112595A (ko) 2006-05-22 2007-11-27 홍용은 그리스트랩
KR20110004139U (ko) 2009-10-20 2011-04-27 유근수 오토그리스트랩
KR20130023543A (ko) 2011-08-29 2013-03-08 유제빈 음이온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KR20140057829A (ko) * 2012-11-05 2014-05-14 브이케이테크(주) 유지분해 그리스트랩
KR200469777Y1 (ko) * 2013-07-25 2013-11-06 홍민종 수상 부유물 제거 장치
KR101905377B1 (ko) * 2018-03-16 2018-10-05 신상교 마이크로버블을 이용한 그리스트랩 장치.
KR20220167368A (ko) * 2020-04-17 2022-12-20 코쿠리츠켄큐카이하츠호진 카이죠ㆍ코완ㆍ코쿠기쥬츠켄큐죠 부유 기름의 회수 처리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98417B2 (en) Integrated apparatus and system for the treatment of waste fluids and drain networks
AU2012348774B2 (en) Apparatus for treating waste water
JPWO2010076853A1 (ja) 汚染ガスの水洗式除塵浄化方法
WO2010050795A1 (en) Kitchen wastewater treatment device
KR100999413B1 (ko) 생활폐수의 기름 제거장치
KR102738084B1 (ko) 그리스트랩용 유지류 분해 가속장치
JP5250758B2 (ja) キャビテ−ション効果を用いた雑排水処理装置、雑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雑排水処理方法。
KR20110004139U (ko) 오토그리스트랩
KR101404703B1 (ko) 분리배수를 이용한 친환경 생활하수 정화시스템
JP2003001282A (ja) 廃水処理装置
JP2009208057A (ja) キャビテーション効果を用いた雑排水処理装置、それを用いた雑排水処理システムおよび雑排水処理方法。
KR200420647Y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KR100730591B1 (ko) 주방용 오물걸름장치
JP6762048B1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及び排液処理装置
WO2010134175A1 (ja) 汚水処理装置
KR102750409B1 (ko) 그리스트랩정화장치
JP7345848B2 (ja) グリストラップの排液処理方法及び排液処理装置
JP2001003420A (ja) 排水装置
KR200225625Y1 (ko) 오수 여과장치
JP3555293B2 (ja) 生ごみ処理装置
KR100520848B1 (ko) 지방성분 함유 폐수 처리장치
KR100392484B1 (ko) 고효율 기름제거장치와 제거방법
KR200236069Y1 (ko) 고효율 기름제거장치
KR101746832B1 (ko) 그리스 트랩의 오수 정화장치
JPH022029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9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91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2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