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7138B1 -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7138B1
KR102737138B1 KR1020240013426A KR20240013426A KR102737138B1 KR 102737138 B1 KR102737138 B1 KR 102737138B1 KR 1020240013426 A KR1020240013426 A KR 1020240013426A KR 20240013426 A KR20240013426 A KR 20240013426A KR 102737138 B1 KR102737138 B1 KR 102737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oil phase
cosmetic composition
formulation
multi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3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연
박정미
최형
홍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13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7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7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713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10General cosmetic u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상부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상부는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는 삼층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적으로 다층상 구조를 형성하며 분리능이 우수하여, 쉐이킹 후 짧은 시간 안에 다층으로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어, 사용자에게 제형 자체에서 오는 시각적 만족감과 분리속도에서 오는 제형의 우수성에 대한 만족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각 층에 용해가 편리한 유효성분을 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유효성분을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트러블이나 피부 자극을 낮출 수 있다.

Description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MULTI-LAYER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유효성분을 달리하여 화장품의 기능성을 강화할 뿐만 아니라, 특이한 제형 또는 외관으로 제품을 차별화하고 소비자의 관심을 끌기 위한 화장품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한 일환 중 하나로, 제형 내에서 층을 분리하여 시각적인 차별화를 구현한 다층상 구조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다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은 각 층마다 잘 용해되는 서로 다른 유효성분을 안정화할 수 있어, 한가지 제형으로 피부에 다양한 효능을 구현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다층상 구조의 대표적인 예에 해당하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한가지 제형으로 수분감과 유분감을 제공함으로써 피부의 유, 수분 밸런스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다층상의 화장품은 사용자에게 제형이 고급스럽게 느껴지면서, 시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한다.
그러나, 제형 내에서 층을 분리하고 분리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은 기술적인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대부분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만, 최근 화장품 내 계면활성제 사용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높아짐에 따라, 계면활성제를 배제하고 다층상 구조의 제형을 구현할 수 있는 기술도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복수개의 층으로 안정적으로 분리되어 시각적으로 차별화가 가능한 다층상 제형을 구현하기 위한 연구를 지속한 결과, 수상과 유상의 비중 차이와 유상을 구성하는 오일 간의 극성 차이를 이용하여 삼층상으로 안정적으로 분리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KR 10-2132614 B1
본 발명은 안정한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상부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상부는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는 삼층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제1유상부의 비극성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상부의 비극성 오일은, C15-19알케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5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상부의 극성 오일은,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상기 제2유상부 총 중량 기준으로 87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오일은, 피마자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삼층상으로 안정적으로 분리됨에 따라 시각적인 차별화가 가능하고, 사용자에게 독특한 심미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각 층에 용해가 편리한 유효성분을 배합할 수 있어, 다양한 종류의 유효성분을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효성분으로 인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관리 효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과 크림에서 느껴지는 수분감과 유분감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분리된 삼층상 제형을 흔들면 각 층의 성분이 섞이고, 우수한 분리능으로 인해, 쉐이킹 후 짧은 시간 안에 다시 다층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 사용적인 재미를 부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계면활성제의 함량을 최소화할 수 있어, 계면활성제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트러블이나 피부 자극을 낮출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실시예 1의 제조 직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1을 쉐이킹 한 후 쉐이킹 직후, 30초 후, 60초 후 및 1시간 후의 제형을 각각 촬영한 사진을 나타낸 것이다.
다른 식으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전문가에 의해서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명명법은 본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져 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부와 유상부가 비중의 차이로 인하여 분리되고, 유상부 내에서 오일의 극성 차이로 인하여 제1유상부 및 제2유상부로 분리됨에 따라 안정적인 다층상 제형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은,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유상부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유상부는 극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는 삼층상으로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1유상부는, 다층상 구조 중 상층부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1유상부에 포함되는 비극성 오일은, 수상부에 비하여 낮은 비중으로 인해 수상부보다 상층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유상부의 식물성 오일과의 극성 차이에서 발생되는 비중 차이로 인해 제2유상부보다 상층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상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유상부에 포함되는 비극성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탄화수소계 오일이란 탄소(C)와 수소(H)로만 구성된 비극성의 오일을 의미한다. 상기 탄화수소계 오일은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성분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 예로 유동파라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스쿠알란, C15-19알케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이 사용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C15-19알케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이 사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실시예에서, 제1유상부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5 중량%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2 내지 33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1유상부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층부와 중층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다층상 제형이 명확하게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35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상층부의 비극성 오일이 갖는 가벼운 사용감이 극대화되어 사용감을 저하시키거나 제형 안정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제2유상부는, 삼층상 구조 중 중층부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제2유상부에 포함되는 극성 오일은, 수상부에 비하여 낮은 비중으로 인해 수상부보다 상층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1유상부의 비극성 오일과의 극성 차이에서 발생되는 비중 차이로 인해 제1유상부보다 하층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되어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중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유상부에 포함되는 극성 오일은 식물성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식물성 오일은 단일불포화지방산(Mono-Unsaturated Fatty Acid; MUFA)의 조성비가 높은 식물성 오일을 선택할 수 있다. 상기 “단일불포화지방산”이란, 지방산 사슬 내에 오직 한 개의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가지고 있는 지방산을 의미한다. 단일불포화지방산의 일 예로, 리시놀레산(Ricinoleic acid)가 있다.
실시예에서, 식물성 오일은 단일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제2유상부 총 중량 기준으로 87 중량% 이상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88 중량% 이상, 더욱 구체적으로 89 중량% 이상, 가장 구체적으로 90 중량%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상기 제2유상부 총 중량 기준으로 87 중량% 미만일 경우, 제형 자체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거나 분리능이 불량하여 쉐이킹 후 원하지 않는 형태로 분리되는 문제 또는 매우 느린 속도로 분리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식물성 오일은 피마자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피마자오일은 단일불포화지방산에 해당하는 리시놀레익애씨드의 조성비가 90 중량% 이상인 성분으로 리시놀레익애씨드의 하이드록시기(-OH)로 인하여 매우 큰 극성을 가져, 점성 및 비중이 높고 매우 낮은 온도에서도 유동성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2유상부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5 중량%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 내지 33 중량%,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30 중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유상부 함량이 1 중량%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상층부와 중층부의 구분 또는 중층부와 하층부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아 다층상 제형이 구현되지 않을 수 있으며, 35 중량%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중층부의 식물성 오일이 갖는 낮은 유동성이 극대화되어 사용감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1유상부에 포함되는 비극성 오일 및 제2유상부에 포함되는 극성 오일은 1 : 0.2 내지 1.25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 : 0.75 내지 1.25의 중량비, 더욱 구체적으로 1 : 0.9 내지 1.1 의 중량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중량비와 같이 비극성 오일 및 극성 오일이 유사한 중량으로 포함되는 경우 제형 안정성이 더욱 우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극성 오일 및 극성 오일의 중량비가 1 : 0.2 미만으로 포함되어 비극성 오일의 함량이 과도하게 증가할 경우 제형 안정도가 현저히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수상부는, 다층상 구조 중 하층부 구조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수상부는, 제1유상부 및 제2유상부에 포 함되는 성분에 비해 높은 비중을 가질 수 있어,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의 하층부에 위치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수상부에 검류, 카보머계, 아크릴레이트계, 히알루론산 및 전분류 등으로 이루어지는 점증제; 1,2-헥산다이올 및 1,2-펜탄다이올 등으로 이루어지는 방부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메틸프로판다이올, 펜틸렌글라이콜, 글리세레스-26, 프로판디올, 솔비톨 및 다이글리세린 등으로 이루어지는 폴리올; EDTA 및 다이소듐이디티에이 등으로 이루어지는 이온 봉쇄제; 소듐클로라이드 및 구연산나트륨 등으로 이루어지는 pH 조절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부 컨디셔닝제; 토코페롤, 아스코르브산, 에리소르빈산 등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방지제; 알코올; 향료; 주름 개선제, 미백 기능성 성분, 색소침착 기능성 성분, 피부진정 기능성 성분 및 피지 또는 모공관리 기능성 성분 등으로 이루어지는 기능성 성분; 및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다층상 구조의 화장품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피부 미백 및/또는 피부 장벽 개선 효능 등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유효성분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효능이 있는 제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세럼, 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앰플과 같은 기능성 화장품이나, 화장수, 로션 등의 기초 화장품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성분의 배합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 및 실험예를 다음과 같이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실시예 1의 제조
(1) 실시예 1의 성분 및 제조방법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 및 성분으로 삼층상 제형의 실시예 1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제1유상부의 비극성 오일은 C15-19알케인, 제2유상부의 극성 오일은 식물성 오일의 1종인 피마자 오일 사용하였다. 수상부에는 정제수, 점증제로 소듐히알루로네이트, 보습제로 프로판디올, 이온봉쇄제로 다이소듐이디티에이, 산도조절제로 소듐클로라이드 및 방부제로 1,2-헥산다이올을 투입하였다. 표 1의 단위는 중량%이다.
실시예 1의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의 각 상의 성분들을 각각 준비하였다. 수상부에 제2유상부를 투입하여 2상의 혼합물을 제조한 뒤, 상기 혼합물에 제1유상부를 투입하고 혼합하여 삼층상의 실시예 1을 완성하였다.
(2) 실시예 1의 제형 형성 여부 및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표 1에 나타난 조성으로 제조된 실시예 1에 대하여 제형 형성 여부 및 제형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제형 형성 여부는 제조가 완료된 후 삼층상 제형의 형성 여부를 육안으로 관찰하였으며, 제형 안정성 평가는 제형을 쉐이킹한 후 1시간 안에 다층상 제형으로의 분리가 이루어지는지 여부 및 24시간 안에 초기의 다층상 제형의 형태로 완전히 잘 분리되는지 여부를 종합적으로 평가하였다. 하기 표 2의 기준으로 평가 결과를 기록하였다.
실시예 1을 상기 평가 방법 및 표 2의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한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고, 도 1에 실시예 1을 제조한 직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고, 도 2에 실시예 1을 쉐이킹 하여, 쉐이킹 직후, 30초 후, 60초 후 및 1시간 후의 제형을 촬영한 사진을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은 층상 구조가 명확하게 구분되는 다층상 제형이 형성되었으며, 쉐이킹 후 60초 경과 시 다층상으로 분리되는 것이 관찰되었고, 1시간 경과 시 제조 직후와 같은 다층상 제형으로 잘 분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실험예 1. 제1유상부의 오일 종류에 따른 비교 실험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제1유상부의 오일 종류가 다층상 제형의 형성 및 안정에 갖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1유상부의 오일의 종류를 달리하고 나머지 성분의 함량을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의 오일은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실시예 1의 C15-19알케인과 혼합하여 사용하였고, 비교예의 오일은 극성오일인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또는 실리콘오일인 다이메티콘을 사용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하기 표 4에 제1유상부의 오일의 종류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 4의 단위는 중량%이다.
(2) 제형 형성 여부 및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실시예 2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 형성 여부 및 제형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하기 표 5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5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1유상부의 오일로 비극성 오일에 해당하는 탄화수소계 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2 내지 4의 경우 다층상 제형이 형성되고, 쉐이킹 후 우수한 분리능을 가져 제조 직후의 제형으로 원활히 분리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반면, 제1유상부의 오일로 극성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1 및 실리콘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2는 계면이 평평하지 않고 계면이 불안정한 다층상 제형이 형성되었으며, 쉐이킹 후 다층상 제형으로 분리되지 않았다.
따라서, 제1유상부의 오일로 비극성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다층상 제형의 형성과 안정성을 달성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제2유상부의 오일 종류 및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에 따른 비교 실험
(1)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
제2유상부의 오일 종류 및 제2유상부의 오일의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다층상 제형의 형성 및 안정에 갖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제2유상부의 오일의 종류를 달리하고 나머지 성분의 함량을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를 제조하고, 비교예와의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1과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제2유상부의 오일로 식물성 오일인 올리브오일, 아몬드오일, 홍화씨오일, 아르간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호호바오일을 각각 1종씩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상기 6종의 오일 중 1종 이상과 피마자오일을 함께 사용하였다. 제조방법은 실시예 1의 제조방법과 동일하다. 하기 표 6에 실시예 및 비교예의 제조에 사용된 제2유상부의 오일의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하기 표 7에 제2유상부의 오일의 종류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표 6 및 7의 단위는 중량%이다.
(2) 제형 형성 여부 및 제형 안정성 평가
상기 비교예 3 내지 12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형 형성 여부 및 제형 안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하기 표 8에 실시예 1 및 비교예의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표 8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제2유상부의 오일로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87 중량% 이상인 피마자오일을 사용한 실시예 1만이 다층상 제형이 형성되고 및 우수한 제형 안정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87 중량% 미만인 오일을 사용한 비교예 3 내지 12는 다층상 제형 형성 자체가 형성되지 않거나 쉐이킹 후 계면이 불균일하여, 다층상 구조가 형성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2유상부의 극성 오일로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87 중량%인 오일을 사용하는 것이 본 발명이 목적하는 다층상 제형의 형성과 안정성을 달성하는 것에 있어서 중요한 요소임을 확인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8)

  1.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제1유상부; 제2유상부; 및 수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유상부는 비극성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2유상부는 극성 오일을 포함하며,
    상기 비극성 오일은, C15-19알케인 및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C6-14올레핀)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상기 극성 오일은, 식물성 오일을 포함하고,
    상기 식물성 오일은,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이 상기 제2유상부 총 중량 기준으로 87 중량% 이상인 것을 포함함으로써,
    상기 제1유상부는 상기 다층상의 최상층, 제2유상부는 상기 다층상의 중층 및 수상부는 상기 다층상의 최하층에 위치하는 삼층상으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상부의 비극성 오일은, 탄화수소계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상부는, 상기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오일은, 피마자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상부는, 상기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기준으로 1 내지 35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KR1020240013426A 2024-01-29 2024-01-29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Active KR102737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3426A KR102737138B1 (ko) 2024-01-29 2024-01-29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3426A KR102737138B1 (ko) 2024-01-29 2024-01-29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7138B1 true KR102737138B1 (ko) 2024-12-03

Family

ID=9384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3426A Active KR102737138B1 (ko) 2024-01-29 2024-01-29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71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14B1 (ko) 2018-12-04 2020-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09358A (ko) * 2020-04-14 2023-01-17 샤넬 파르퓜 보트 적어도 2개의 비혼화성 유상을 포함하는 다상 화장품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614B1 (ko) 2018-12-04 2020-07-21 코스맥스 주식회사 다층상 구조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09358A (ko) * 2020-04-14 2023-01-17 샤넬 파르퓜 보트 적어도 2개의 비혼화성 유상을 포함하는 다상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67625A (en) Lamella type single phase liquid crystal composition and oil-base cosmetic compositions using the same
KR101988449B1 (ko)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DE19924277A1 (de) Zubereitungen von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mit einem Gehalt an mittelpolaren Lipiden und Siliconemulgatoren und gegebenenfalls kationischen Polymeren
KR101663141B1 (ko) 캡슐을 포함하는 이층상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9126791A (ja) 多価アルコール中油型乳化化粧料
KR20180003081A (ko) 고함량의 유용성 성분을 함유하는 스프레이형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3902A (ko) 오일 드롭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4603A (ko) 수중유형 에멀젼 형태의 분사형 보습 화장료 조성물
KR20100028568A (ko) 유중수형 유화 조성물
TW201244746A (en) Water in oil type emulsified cosmetic material
CN1925832A (zh) 剃须凝胶产品
DE10048125A1 (de) Zubereitungen von Emulsionstyp W/O mit erhöhtem Wassergehalt, mit mittelpolaren und/oder unpolaren Lipiden und einem oder mehreren grenzflächenaktiven Polyethern vom Typ A-O-B-O-A
KR101125922B1 (ko) 저점도의 화장료 조성물
KR100508978B1 (ko) 오일 겔화제로서 스테아로일 이눌린을 포함하는 유중수형 유화 파운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KR102737138B1 (ko) 다층상 화장료 조성물
JP2009007299A (ja) 化粧料
KR102632762B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이층상 화장료 조성물
CN110882181B (zh) 视黄醇油组合物
JP4722351B2 (ja) 酸化的に安定な長鎖エチルエステル皮膚軟化薬
KR101812335B1 (ko) 유화 조성물
EP1708678B1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a lipid fraction from vegetal source and anticrystallizing agent
KR100245796B1 (ko) 저점도의 유중수적형 화장료 조성물
JP4722683B2 (ja) 皮膚用乳化組成物
KR102269199B1 (ko) 투명도가 유지되는 다층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4256A (ko) 고함량의 버터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12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