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7086B1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Google Patents
Ice maker and refrig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7086B1 KR102737086B1 KR1020190033192A KR20190033192A KR102737086B1 KR 102737086 B1 KR102737086 B1 KR 102737086B1 KR 1020190033192 A KR1020190033192 A KR 1020190033192A KR 20190033192 A KR20190033192 A KR 20190033192A KR 102737086 B1 KR102737086 B1 KR 1027370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y
- ice
- ejector
- assembly
- chamb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abstract description 328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3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6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2441 reversibl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10 freez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014 freezing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457 bidirecti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844 mel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018 mel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52 repeti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70 lim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961 part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25C1/243—Moulds made of plastics e.g. silicon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5—Filling devices for moul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43—Tools, e.g. ice picks, ice crushers, ice shav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2—Harvesting ice including rotating or tilting or pivoting of a mould or tra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8—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for different type of i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14—Water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12—Temperature of ice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아이스 메이커는, 물이 채워져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챔버의 상측을 정의하도록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챔버를 구비하는 상부 트레이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1 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면을 지지하는 상부 서포터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2 면과 접촉하며, 상기 상부 서포터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하는 상부 어셈블리와 상기 얼음 챔버의 하측을 정의하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 챔버를 구비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어셈블리 및 제빙 완료 후, 상기 얼음 챔버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포함한다.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upper assembly including an upper tray having an upper chamber formed concavely toward the upper side to define an upper side of an ice chamber filled with water to produce ice, an upper supporter contacting a first side of the upper tray to support the first side, and an upper case contacting a second side of the upper tray and coupled with the upper supporter, a lower tray having a lower chamber formed concavely toward the lower side to define a lower side of the ice chamber, a lower supporter supporting the lower side of the lower tray, and a lower case at least partially covering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the lower assembly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assembly, and an ejector having an ejecting pin for separating ice from the ice chamber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아이스 메이커 및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This specification relates to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A refrigerator is a home appliance that stores food at a low temperature in an internal storage space sealed by a door.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can keep stored food in a refrigerated or frozen state by cooling the inside of the storage space using cold air.
통상 냉장고의 내부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아이스 메이커가 제공된다. Usually, an ice maker is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to make ice.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켜 얼음이 만들어지도록 구성된다. The above ice maker is configured to make ice by receiving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ource or water tank into a tray.
또한,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된 얼음을 히팅 방식 또는 트위스팅 방식으로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서 이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In addition, the ice maker is configured to be able to separate the ice that has been made from the ice tray by heating or twisting.
이와 같이 자동으로 급수 및 이빙되는 아이스 메이커는 상방으로 개구되도록 형성되어 성형된 얼음을 퍼올린다. This type of ice maker, which automatically supplies and removes ice, is formed to open upwards and scoop up the formed ice.
이와 같은 구조의 아이스 메이커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초승달모양 또는 큐빅모양 등 적어도 일면이 평평한 면을 가진다. Ice produced in an ice maker of this type of structure has at least one flat surface, such as a crescent or cubic shape.
한편, 얼음의 모양이 구형(球形)으로 형성될 경우 얼음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보다 편리할 수 있으며, 사용자에게 색다른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빙된 얼음의 저장시에도 얼음끼리 접촉되는 면적을 최소화 함으로써 얼음이 엉겨 붙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다. Meanwhile, if the ice is formed into a spherical shape, it can be more convenient to use the ice and provide a different experience to the user. In addition, when storing the ice, the area of contact between the ice pieces can be minimized, thereby minimizing the ice from sticking together.
선행문헌인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850918호에는 아이스 메이커가 구비된다. Prior literature,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1850918, includes an ice maker.
선행문헌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다수의 상부 셀이 배열되고, 양 측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링크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상부 트레이와, 반구 형태의 다수의 하부 셀이 배열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와 상부 트레이의 후단에 연결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가 상기 상부 트레이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하는 회전축과, 일단이 상기 하부 트레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연결되는 한 쌍의 링크; 및 양 단부가 상기 링크 가이드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링크에 각각 연결되고, 상기 링크와 함께 승하강하는 상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The ice maker of the prior art includes an upper tray having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upper cells arranged therein and a pair of link guide portions extending upward from both side ends; a lower tray having a plurality of hemispherical lower cells arranged therein and being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tray; a rotational shaft connected to the rear ends of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tray so that the lower tray rotates with respect to the upper tray; a pair of links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tra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ink guide portion; and an upper ejecting pin assembly having both end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pair of links while being fitted into the link guide portions and moving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links.
또한, 선행문헌의 경우, 하부 트레이가 회전하면, 하부 트레이를 가압하도록 고정된 하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Additionally, in the case of the prior art, when the lower tray rotates, a lower ejection pin assembly is included that is fixed to pressurize the lower tray.
하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에 의해서, 하부 트레이가 가압되면, 하부 트레이의 얼음은 하부 트레이에서 분리된다. When the lower tray is pressurized by the lower ejection pin assembly, the ice in the lower tray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이때, 하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에 가해지는 부하가 커지면서, 하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의 변형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At this time, as the load applied to the lower ejection pin assembly increase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lower ejection pin assembly may become deformed.
또한, 모터 기어의 공차에 의해서, 하부 트레이가 최대 이빙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거나, 하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가 하부 트레이의 중심을 충분히 가압하지 못하면서, 하부 트레이에서 모든 얼음이 분리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Additionally, due to tolerances in the motor gears, the lower tray may not reach the maximum ice removal position, or the lower ejection pin assembly may not sufficiently pressurize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resulting in not all ice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또한, 동시에 다수의 얼음이 이빙되면서, 하부 트레이를 회전하는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되는 문제도 있다. Additionally, there is also the problem that the load on the motor that rotates the lower tray increases as a large amount of ice is frozen at the same time.
또한, 상부 이젝팅 핀 어셈블리가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되면서 상부 트레이의 에어홀로 상부 이젝팅 핀이 삽입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Additionally, a problem may occur where the upper ejection pin assembly cannot be inserted into the air hole of the upper tray as the upper ejection pin assembly moves left and right or back and forth.
본 발명은, 하부 이젝팅 핀이 구 형상의 하부 챔버와 선접촉 내지 면접촉할 수 있고, 접촉 면적이 커지면서,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in which a lower ejection pin can make line or surface contact with a spherical lower chamber, and a pressure force can be properly transmitted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또한, 본 발명은 하부 이젝팅 핀이 연장되어 구 형상의 하부 챔버의 중심으로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모터 기어의 공차에 의해 하부 어셈블리가 최대 이빙위치에 미도달하더라도 하부 챔버에 충분한 가압력이 전달되는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in which a lower ejection pin is extended so that a pressing force can be properly transmitted to the center of a spherical lower chamber, and a sufficient press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chamber even if the lower assembly does not reach the maximum freezing position due to a tolerance of a motor gear.
또한, 본 발명은 이빙 시, 얼음이 가압력이 집중되면서, 얼음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hich can solve the problem of ice breaking when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ice during freezing.
또한, 본 발명은 이빙을 위해서 상부 이젝터가 상하이동할 때,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 발생을 방지하여 상부 트레이의 유입 개구로 상부 이젝팅 핀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which prevents the occurrence of left-right or forward-backward flow when the upper ejector moves up and down for ice ejection, thereby allowing smooth introduction of the upper ejecting pin into the inlet opening of the upper tray.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이젝터의 안정적인 상하 이동을 위한 상하 가이드에 의해서 상하 이동 가능 거리가 줄어드는 것이 방지되는 아이스 메이커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ce maker and a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in which a reduction in the distance that can be moved up and down is prevented by an up and down guide for stable up and down movement of the upper ejector.
본 발명의 아이스 메이커는, 반구 형태의 상부 챔버를 구비하는 상부 트레이를 구비하는 상부 어셈블리; 반구 형태의 하부 챔버를 구비하는 하부 트레이를 구비하는 하부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maker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upper assembly having an upper tray having a hemispherical upper chamber; and a lower assembly having a lower tray having a hemispherical lower chamber.
또한, 상부 어셈블리는, 물이 채워져 얼음이 생성되는 얼음 챔버의 상측을 정의하도록 상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상부 챔버를 구비하는 상부 트레이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1 면과 접촉하여 상기 제 1 면을 지지하는 상부 서포터와,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2 면과 접촉하며, 상기 상부 서포터와 결합되는 상부 케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assembly may include an upper tray having an upper chamber formed concavely upward to define an upper side of an ice chamber in which water is filled and ice is formed, an upper supporter that contacts a first surface of the upper tray and supports the first surface, and an upper case that contacts a second surface of the upper tray and is coupled with the upper supporter.
또한, 하부 어셈블리는, 상기 얼음 챔버의 하측을 정의하도록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된 하부 챔버를 구비하는 하부 트레이와, 상기 하부 트레이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어셈블리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assembly includes a lower tray having a lower chamber formed concavely downward to define a lower side of the ice chamber, a lower supporter supporting a lower side of the lower tray, and a lower case at least partially covering an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and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assembly.
또한, 제빙 완료 후, 상기 얼음 챔버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an ejector having an ejecting pin for separating ice from the ice chamber may be included.
상기 상부 챔버 및 상기 하부 챔버에 의해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고,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에 의해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상부 챔버 및 하부 챔버에서 분리될 수 있다.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by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and the created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chamber and the lower chamber by the rotation of the lower assembly.
또한, 상기 이젝터는,상기 상부 트레이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상부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상부 이젝터와 상기 하부 트레이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하부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하부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ejector may include an upper ejector having an upper ejecting pin for separating ice from the upper tray and a lower ejector having a lower ejecting pin for separating ice from the lower tray.
또한, 상기 상부 이젝터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된 상부 이젝터 바디와 상기 이젝터 바디의 하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상부 이젝팅 핀을 포함하며, 상기 이젝터 바디의 양단에는, 양측이 상기 이젝터 바디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 방지 돌기와 상기 상부 이젝팅 핀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상하 가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ejector includes an upper ejector body form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an upper ejecting pin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a lower side of the ejector body, and at both ends of the ejector body, separation-prevention protrusions protruding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ejector body and upper and lower guides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ejecting pi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상하 가이드는, 상기 이젝터 바디의 중심에서 상기 분리 방지 돌기를 향한 방향으로 경사가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and lower guides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from the center of the ejector body toward the separation-prevention protrusion.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하 가이드가 인입되는 간섭 방지 홈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case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guides are introduced.
또한, 상기 간섭 방지 홈은, 상기 상부 케이스의 중심에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may be formed symmetrically at the center of the upper case.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방 및 하방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상기 간섭 방지 홈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case may include one or more ribs formed adjacent 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in at least one of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또한, 상기 하부 이젝터는, 하부 이젝터 바디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ejector may include a lower ejector body and a plurality of lower ejecting pins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또한, 상기 하부 이젝팅 핀은, 하부 이젝터 바디에서 돌출되는 핀 바디와 상기 핀 바디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lower ejection pin may be provided with a pin body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and a pressurizing portion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pin body.
또한, 상기 핀 바디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n body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부 트레이와 접촉하는 단부에 오목한 홈부를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surizing portion may have a concave groove formed at an end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tray.
또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부 트레이와 접촉하는 가압 경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ressurizing portion may include a pressurizing slope that contacts the lower tray.
또한, 상기 핀 바디와 상기 가압부는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절곡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pin body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can be bent to form a certain angle.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냉동실이 구비되는 캐비닛;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할 수 있다.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may include a cabinet having a freezer; a housing having the freezer; and an ice maker installed within the housing.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제빙 완료 후, 상기 얼음 챔버로부터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이젝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ice maker may include an ejector having ejecting pins for separating ice from the ice chamber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제안되는 발명에 의하면, 하부 이젝팅 핀의 상단부가 하단부 보다 더 돌출된 형태로 형성되므로, 구 형상의 하부 챔버와 선접촉 내지 면접촉할 수 있고, 접촉 면적이 커지면서,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proposed invention, since the upper part of the lower ejection pin is formed in a shape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lower part, it can make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spherical lower chamber, and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essing force can be properly transmitted.
또한, 하부 이젝팅 핀의 길이가 연장되어 구 형상의 하부 챔버의 중심으로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될 수 있으며, 모터 기어의 공차에 의해 하부 어셈블리가 최대 이빙위치에 미도달하더라도 하부 챔버에 충분한 가압력이 전달되는 이점도 있다.In addition, the l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 is extended so that the pressurizing force can be properly transmitted to the center of the spherical lower chamber, an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sufficient pressurizing force is transmitted to the lower chamber even if the lower assembly does not reach the maximum ejecting position due to the tolerance of the motor gear.
또한, 이빙 시, 얼음이 가압력이 집중되면서, 얼음이 깨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Additionally, when moving,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solve the problem of ice breaking as the pressure is concentrated on the ice.
또한, 상부 이젝터에 구비된 상하 가이드의 길이를 연장함에 따라 이빙을 위해서 상부 이젝터가 상하이동할 때, 좌우 또는 전후로 유동 발생을 방지하고 상부 트레이의 유입 개구로 상부 이젝팅 핀의 인입이 원활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provided on the upper ejector,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when the upper ejector moves up and down for ejection, the occurrence of left-right or forward-backward flow is prevented and the upper ejecting pin is smoothly introduced into the inlet opening of the upper tray.
또한, 상부 이젝터에 구비된 상하 가이드와 대응되는 간섭 방지 홈을 포함함으로써 상부 이젝터의 상하 이동 거리가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by including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corresponding to the upper and lower guides provided on the upper ejector,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distance of the upper ejector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일부 평면도.
도 5c는 도 5b의 3-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12는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
도 22는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평면도.
도 24는 도 3a의 A-A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25는 도 24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26은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아이스 메이커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7은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아이스 메이커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28은 하부 트레이와 상부 이젝터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
도 29는 도 28의 상태에서, 하부 트레이가 회전하고 상부 이젝터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30은 상부 이젝터와 제2링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31은 상부 이젝터의 저면 사시도.
도 32는 제 1 링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3은 제 2 링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와 하부 이젝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5 내지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하부 이젝터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와 하부 이젝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
도 38 내지 도 39는 도 37에 도시된 하부 이젝터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이젝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41은 급수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2는 제빙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3은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4는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45는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refrigerator door of Figure 1 with the door open.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ure 5b.
Figure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sid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assembly in an assembled state.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ssembl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4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lower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7 and 18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side view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lower assembly assembled.
FIG. 23 is a plan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a.
Figure 25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ice formation is completed in the drawing of Figure 24.
Figure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from one side with the upper case removed.
Figure 2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from the other side with the upper case removed.
Fig. 28 is a side view showing the lower tray and upper ejector.
Fig. 2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28, with the lower tray rotating and the upper ejector lowered.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ate of the upper ejector and the second link.
Figure 3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ejector.
Figure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viewed from one side.
Figure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ink as viewed from the other side.
FIG. 3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nd a lower ejector separa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5 and 3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lower ejector illustrated in Figure 34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 3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nd a lower ejector separate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8 and 39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lower ejector illustrated in Figure 37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FIG. 40 is a bottom view of a lower ej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water supply state.
Fig. 4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de-icing state.
Fig. 4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state where ice making is complete.
Fig. 4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the initial state of ice breaking.
Fig. 4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BB of Fig. 3a in a state where moving is complete.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lso, i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된 모습을 보인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frig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drawing showing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of FIG. 1 open.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냉장고(1)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캐비닛(2)과, 상기 저장공간을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a refrigerator (1)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abinet (2) forming a storage space and a doo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storage space.
상세히, 상기 캐비닛(2)은 베리어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저장공간을 형성하며, 상부에 냉장실(3)이 형성되고, 하부에 냉동실(4)이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abinet (2) forms a storage space partitioned vertically by a barrier, and a refrigerator (3) can be formed at the top and a freezer (4) can be formed at the bottom.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내부에는 서랍, 선반, 바스켓 등의 수납부재가 제공될 수 있다.Storage elements such as drawers, shelves, and baskets may be provided inside the refrigerator (3) and freezer (4).
상기 도어는 상기 냉장실(3)을 차폐하는 냉장실 도어(5)와, 상기 냉동실(4)을 차폐하는 냉동실 도어(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oor may include a refrigerator door (5) that shields the refrigerator (3) and a freezer door (6) that shields the freezer (4).
상기 냉장실 도어(5)는 좌우측 한쌍의 도어로 구성되며, 회동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냉동실 도어(6)는 서랍식으로 인출입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above refrigerator door (5) is composed of a pair of door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rotation. In addition, the above freezer door (6) can be configured to be pulled out in a drawer-like manner.
물론, 상기 냉장실(3)과 냉동실(4)의 배치 및 상기 도어의 형태는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종류의 냉장고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냉동실(4)과 상기 냉장실(3)이 좌우로 배치거되나, 상기 냉동실(4)이 상기 냉장실(3)의 상측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arrangement of the refrigerator (3) and freezer (4) and the shape of the door may vary depending on the type of refrigerator,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refrigerators. For example, the freezer (4) and the refrigerator (3) may be arranged left and right, but the freezer (4) may also be positioned above the refrigerator (3).
상기 냉동실(4)에는 아이스 메이커(10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급수되는 물을 제빙하는 것으로, 구 형상의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The above freezer (4) may be equipped with an ice maker (100). The ice maker (100) can produce spherical ice by making ice out of supplied water.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하방에는 제빙된 얼음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부터 이빙된 후 저장되는 아이스 빈(10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In addition, an ice bin (102) may be further provided below the ice maker (100) in which the ice produced is stored after being removed from the ice maker (100).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와 아이스 빈(102)은 별도의 하우징(101)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냉동실(4)의 내부에 장착될 수도 있다. The above ice maker (100) and ice bin (102) may be installed inside the freezer (4) in a separate housing (101).
사용자는 상기 냉동실 도어(6)를 개방시켜, 상기 아이스 빈(102)에 접근하여 얼음을 획득할 수 있다. The user can open the freezer door (6) to access the ice bin (102) and obtain ice.
다른 예로서, 상기 냉장실 도어(5)에는 정수된 물 또는 제빙된 얼음을 외부에서 취출하기 위한 디스펜서(7)가 구비될 수 있다. As another example, the refrigerator door (5) may be equipped with a dispenser (7) for dispensing purified water or frozen ice from the outside.
그리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생성된 얼음 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생성되어 아이스 빈(102)에 저장된 얼음이 이송 수단에 의해서 상기 디스펜서(7)로 이송되어 디스펜서(7)에서 얼음을 사용자가 획득할 수 있다. And, ice generated from the ice maker (100) or ice generated from the ice maker (100) and stored in the ice bin (102) is transferred to the dispenser (7) by a transfer means, so that a user can obtain ice from the dispenser (7).
이하에서는 아이스 메이커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the ice maker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S. 3A and 3B are perspective views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n ic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a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a to 4, the ice maker (100) may include an upper assembly (110) and a lower assembly (200).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upper assembly (110). For example,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upper assembly (110).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접촉된 상태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함께 구형 얼음을 생성할 수 있다.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assembly (110),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together with the upper assembly (110).
즉,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형 얼음이 생성되기 위한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다. 상기 얼음 챔버(111)는 실질적으로 구 형태의 챔버이다. That is,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form an ice chamber (111) for producing spherical ice. The ice chamber (111) is a substantially spherical chamber.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구획된 복수의 얼음 챔버(111)를 형성할 수 있다.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can form a plurality of partitioned ice chambers (111).
이하에서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하부 어셈블리(200)에 의해서 3개의 얼음 챔버(111)가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며, 얼음 챔버(111)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음을 밝혀둔다. Hereinafter, an example will be described in which three ice chambers (111) are formed by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and it will be noted that there is no limitation on the number of ice chambers (111).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얼음 챔버(111)를 형성한 상태에서는 급수부(190)를 통해 상기 얼음 챔버(111)로 물이 공급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form the ice chamber (111),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through the water supply unit (190).
상기 급수부(190)는,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을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한다. The above water supply unit (190) is coupled to the upper assembly (110) and guides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the ice chamber (111).
얼음이 생성된 후에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 사이에 형성된 구형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될 수 있다. After the ice is formed,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n, the spherical ice formed between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구동 유닛(1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unit (180) so that the lower assembly (200) can rotate relative to the upper assembly (110).
상기 구동 유닛(180)은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 전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하나 이상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driving unit (180) may include a driving motor and a power transmission unit for transmitting power of the driving motor to the lower assembly (200). The power transmission unit may include one or more gears.
상기 구동 모터는 양방향 회전 가능한 모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양방향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The above driving motor may be a bidirectional rotational motor. Accordingly, bidirectional rotation of the lower assembly (200) is possible.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o enable ice to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ejector (300).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연동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승강할 수 있다. The upper ejector (300) is connected in conjunction with the lower assembly (200), so that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the upper ejector (300) can rise and fall.
일 예로, 제빙 완료 후, 이빙을 위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이격되게 하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하강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i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downward away from the upper assembly (110) for ice ejection, the upper ejector (300) can descend.
또한, 이빙 완료 후, 급수를 위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결합되게 상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승할 수 있다. Additionally, after the ejection is completed, i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upper assembly (110) for water supply, the upper ejector (300) can rise.
이빙 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ejector (300) is lowered during the ice removal, ice adhered to the upper assembly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부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ejector (300) may include an upper ejector body (310) and a plurality of upper ejecting pins (320) extend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from the upper ejector body (310).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ejecting pins (32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ice chamber (111).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를 관통하여 상기 얼음 챔버(111) 내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The upper ejecting pin (320) can pressurize ice in the ice chamber (111) during the process of penetrating the upper assembly (110) and being drawn into the ice chamber (111).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에 의해서 가압된 얼음은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Ice pressed by the upper ejecting pin (32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또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ejector (400) so that ice adhered to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separated.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lower ejector (400) can pressurize the lower assembly (200) to separate ice adhered to the lower assembly (200) from the lower assembly (200). The lower ejector (400) can be fixed to the upper assembly (110), for example.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하부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ejector (400) may include a lower ejector body (410) and a plurality of lower ejecting pins (420)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410). The lower ejecting pins (42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ice chamber (111).
또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핀 바디(420a)와 상기 핀 바디(420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420b)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jection pin (420) may include a pin body (420a)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410) and a pressurizing portion (420b)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pin body (420a).
일 예로 상기 핀 바디(420a)와 가압부(420b)는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절곡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420b)는 얼음 챔버(111)의 중심을 가압하도록 핀 바디(420a)에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n body (420a)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be bent to form a certain angle,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extend from the fin body (420a) to pressurize the center of the ice chamber (111).
이빙을 위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for ejectio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upper ejector (300).
이를 위하여,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상기 상부 이젝터(300)를 연결하는 연결 유닛(3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350)은 하나 이상의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ing unit (350) that connects the lower assembly (200) and the upper ejector (300). The connecting unit (350) may include one or more links.
일 예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여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in one direction, the upper ejector (300) can be lowered by the connecting unit (350) so that the upper ejecting pin (320) can pressurize the ice.
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타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in the other direction, the upper ejector (300) can be raised by the connecting unit (350) and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이하에서는 상부 어셈블리(110) 및 하부 어셈블리(200)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the upper assembly (110) and the lower assembly (200)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얼음 챔버(111)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상측 부분을 정의한다. The upper assembly (110) may include an upper tray (150) forming a portion of an ice chamber (111) for ice formation. For example, the upper tray (150) defines an upper portion of the ice chamber (111).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상부 케이스(120) 및 상부 서포터(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assembly (110)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case (120) and an upper supporter (170) for fixing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150).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하측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tray (15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case (120). A part of the upper supporter (17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ray (150).
이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정렬되는 상부 케이스(120), 상부 트레이(150) 및 상부 서포터(17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upper tray (150), and upper supporter (170) aligne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this way can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즉, 체결 부재의 체결을 통해,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될 수 있다. That is, the upper tray (150) can be fixed to the upper case (120) through fastening of the fastening member.
그리고,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측을 지지하여 하측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pper supporter (170) can support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ray (150) to limit downward movement.
상기 급수부(19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above water supply unit (190) may be fixed to the upper case (120), for example.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 센서(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temperature sensor (500) for detecting the temperature of the upper tray (150).
상기 온도 센서(5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고정되면,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할 수 있다. The temperature sensor (500) may be mounted, for example, on the upper case (120). Then, when the upper tray (150) is fixed to the upper case (120), the temperature sensor (50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한편,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얼음 형성을 위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25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하측 부분을 정의한다. Meanwhile, the lower assembly (200) may include a lower tray (250) forming another part of the ice chamber (111) for ice formation. For example, the lower tray (250) defines a lower part of the ice chamber (111).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하측을 지지하는 하부 서포터(270)와,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측을 커버하는 하부 케이스(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assembly (2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supporter (270) that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lower tray (250) and a lower case (210) that at least partially covers the upper side of the lower tray (250).
상기 하부 케이스(210), 하부 트레이(250) 및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체결 부재에 의해서 체결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lower tray (250) and lower supporter (270) can be fastened by a fastening member.
한편,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의 온/오프를 위한 스위치(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스위치(600)를 온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가능하다. Meanwhile,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600) for turning the ice maker (100) on/off. When a user operates the switch (600) to the on state, ice can be produced through the ice maker (100).
즉, 상기 스위치(600)를 온시키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로 물이 공급되고, 냉기에 의해서 얼음이 생성되는 제빙 과정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어 얼음이 이빙되는 이빙 과정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switch (600) is turned on,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maker (100), and an ice-making process in which ice is created by cold air and an ice-breaking process in which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to separate ice can be repeatedly performed.
반면, 상기 스위치(600)를 오프 상태로 조작하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를 통해 얼음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스위치(6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 구비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switch (600) is turned off, ice production through the ice maker (100) becomes impossible. The switch (600)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upper case (120).
<상부 케이스> <Upper case>
도 5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일부 평면도이고, 도 5c는 도 5b의 3-3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 5a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b is a partial plan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c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5b, and FIG. 6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냉동실(4) 내의 하우징(101)에 고정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5 and 6, the upper case (120) can be fixed to the housing (101) within the freezer (4) while the upper tray (150) is fixed.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고정을 위한 상부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include an upper plate (121) for fixing the upper tray (150).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될 수 있다. The upper tray (150) can be fixed to the upper plate (121) with a part of the upper tray (150)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1).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123)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123)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tray (150) passes.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고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는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upper tray (150) is fixed to the upper plate (121) while the upper tray (15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upper plate (121), a part of the upper tray (150)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through the opening (123).
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되지 않고, 상기 개구(123)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노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pper tray (150) not to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through the opening (123), but to be exposed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through the opening (123).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후술할 상부 서포터(170)의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가 인입되는 관통 개구(도 5a의 139a, 139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1) may include a through opening (139a, 139b of FIG. 5a) into which a plurality of unit guides (181, 182) of the upper supporter (170) to be described later are introduced.
또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간섭 방지 홈(126a, 126b)을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upper plate (121) may include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6a, 126b).
한 쌍의 간섭 방지 홈(126a, 126b) 사이에 상기 개구(123)가 위치될 수 있다. The opening (123) can be located between a pair of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s (126a, 126b).
상기 간섭 장치 홈(126a, 126b)은,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유닛 가이드(181, 182)를 따라 상하 이동할 때 상부 플레이트(121)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후술하는 상하 가이드(313)의 일부가 인입되는 구성일 수 있다. The above interference device home (126a, 126b) may be configured such that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313) of the upper ejector (300), described later, is introduced to prevent interference with the upper plate (121) when the upper ejector (3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unit guide (181, 182).
상세히, 상기 간섭 방지 홈(126a, 126b)은 인입되는 상하 가이드(313)의 일부의 폭과 대응되는 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양측에 위치되는 관통 개구(139a, 139b)에 각각 대응되어 상기 개구(123)를 기준으로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detail, the abov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s (126a, 126b) may have a width corresponding to a width of a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being introduced, and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through openings (139a, 139b)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21), respectively, with respect to the openings (123).
또한, 상기 간섭 방지 홈(126a, 126b)은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하 가이드(313)의 하측부분이 수용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하 이동 거리가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6a, 126b) can prevent the upper ejector (300) from reducing its vertical movement distance by allowing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313) to be received during the process of lowering the upper ejector (300).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22)의 바닥(122a)에 상기 개구(123)가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1) may include a recessed portion (122) formed by sinking downward. An opening (123) may be formed at the bottom (122a) of the recessed portion (122).
따라서, 상기 함몰부(122)가 형성되는 공간에 상기 개구(123)를 관통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위치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upper tray (150) penetrating the opening (123) can be positioned in the space where the recessed portion (122) is formed.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는, 이빙을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150)를 가열하기 위한 상부 히터(148)가 결합되기 위한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be provided with a heater coupling part (124) to which an upper heater (148) for heating the upper tray (150) for freezing is coupled.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함몰부(122)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heater coupling part (124) may be provided, for example, on the upper plate (121). The heater coupling part (124) may be locat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cessed part (122).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스위치(600)가 설치되기 위한 스위치 케이스(125)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switch case (125) in which the switch (600) is installed.
상기 스위치 케이스(125)는 후술할 측면 둘레부(143)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하단에 구비될 수 있고, 스위치(600)가 설치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witch case (125) may be connected to a side peripheral portion (143) to be described later and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upper plate (121), and may include one or more holes for installing a switch (600).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설치되기 위한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installation ribs (128, 129) for installing the temperature sensor (500).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도 6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 사이에 상기 온도 센서(500)가 위치될 수 있다. The above pair of installation ribs (128, 129) ar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6. The above pair of installation ribs (128, 129) ar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0)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above pair of installation ribs (128, 129).
상기 한 쌍의 설치 리브(128, 129)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pair of installation ribs (128, 129)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21).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슬롯(131, 132)이 구비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1)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slots (131, 132) for connection with the upper tray (150).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에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upper tray (150) can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slots (131, 132).
상기 복수의 슬롯(131, 132)은,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개구(123)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슬롯(132)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slots (131, 132) may include a first upper slot (131) and a second upper slot (132)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upper slot (131) with respect to the opening (123).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상기 개구(123)가 위치될 수 있다. The opening (123)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pper slot (131) and the second upper slot (132).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과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도 6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slot (131) and the second upper slot (132) can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6.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상부 슬롯(131)이 화살표 B 방향(제 2 방향이라 함)과 교차되는 방향인 화살표 A 방향(제 1 방향이라 함)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slots (131)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referred to as the first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of arrow B (referred to as the second direction).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상부 슬롯(132)이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upper slots (132)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본 명세서에서 상기 화살표 A 방향은 복수의 얼음 챔버(111)의 배열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plurality of ice chambers (111).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은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above first upper slot (131) can be formed in a curved shape, for example.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first upper slot (131) can be increased.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은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상부 슬롯(133)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다. The second upper slot (132)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for example. Accordingly, the length of the second upper slot (133) can be increased.
상기 각 상부 슬롯(131, 132)의 길이가 증가되면, 상기 각 상부 슬롯(131, 132)에 삽입되는 돌기(상부 트레이에 형성됨)의 길이를 증가시킬 수 있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결합력이 증가될 수 있다. As the length of each of the upper slots (131, 132) increases, the length of the protrusion (formed on the upper tray) inserted into each of the upper slots (131, 132) can be increased, there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upper tray (150) and the upper case (120).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와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다를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 보다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서 상기 개구(123) 까지의 거리는 짧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stance from the first upper slot (131) to the opening (123) and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upper slot (132) to the opening (123) may be different. For example, the distance from the second upper slot (132) to the opening (123)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first upper slot (131) to the opening (123).
그리고, 상기 개구(123)에서 상기 각 상부 슬롯(131)을 바라볼 때, 상기 각 슬롯(131)에서 상기 개구(123)의 외측으로 볼록한 형태로 라운드 질 수 있다. And, when looking at each upper slot (131) from the opening (123), each slot (131) can be rounded in a convex shape toward the outside of the opening (123).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삽입되기 위한 슬리브(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plate (121) may further include a sleeve (133) into which a fastening boss of the upper supporter (17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상기 슬리브(133)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sleeve (133)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may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일 예로 복수의 슬리브(133)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슬리브(133)는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슬리브(133)는 화살표 B 방향으로 다수 열로 배열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sleeves (13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late (121). The plurality of sleeves (133)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sleeves (133) may be arranged in multiple rows in the direction of arrow B.
복수의 슬리브(133) 중 일부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슬롯(131)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sleeves (133)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upper slots (131).
복수의 슬리브(133) 중 다른 슬리브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상부 슬롯(132)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other sleeve among the plurality of sleeves (133)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second upper slots (132) or may be positioned to face an area between two second upper slots (132).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supporters (135, 136) to enable rotation of the lower assembly (200).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도 6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힌지 서포터(135, 136)에는 제 1 힌지 홀(137)이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hinge supporters (135, 136) may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with reference to Fig. 6. In addition, a first hinge hole (137) may be formed in each of the hinge supporters (135, 136).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hinge supports (135, 136) may, for example, extend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둘레를 따라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 연장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extension (140) that extends vertically alo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plate (121). The vertical extension (140) may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상기 수직 연장부(140)는 하나 이상의 결합 후크(140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후크(140a)에 의해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하우징(101)에 후크 결합될 수 있다. The above vertical extension (140) may include one or more coupling hooks (140a). The upper case (120) may be hook-coupled to the housing (101) by the coupling hooks (140a).
그리고, 상기 수직 연장부(140)에 상기 급수부(190)가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water supply unit (190) can be coupled to the vertical extension unit (140).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관통 개구(139a, 139b)에 인접하여 간섭 방지 홈(126a, 126b)을 형성함으로써 강도 및 내구성이 약해질 수 있는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리브(141a, 141b, 14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upper ribs (141a, 141b, 141c) to prevent problems in which strength and durability may be weakened by forming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s (126a, 126b) adjacent to the through openings (139a, 139b).
상기 상부 리브(141a, 141b, 141c)는 상부 플레이트(121)로부터 연장될 수 있으며, 상부 어셈블리(110)의 조립 시 간섭이 없는 한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 또는 하방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The upper ribs (141a, 141b, 141c) may extend from the upper plate (121) and may be formed in multiple numbers above or below the upper plate (121) as long as there is no interference during assembly of the upper assembly (110).
상부 리브(141a, 141b, 141c)는, 제 1 상부 리브 내지 제 3 상부 리브(141a, 141b, 141c)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ribs (141a, 141b, 141c) may include first to third upper ribs (141a, 141b, 141c).
제 1 상부 리브(141a)와 제 2 상부 리브(141b)는 상기 간섭 방지 홈(126a, 126b)에 인접하여 개구(123)를 기준으로 대칭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upper rib (141a) and the second upper rib (141b) can be formed at position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the opening (123) adjacent 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6a, 126b).
또한, 제 1 및 제 2 상부 리브(141a, 141b)는 한차례 절곡된 형상으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rst and second upper ribs (141a, 141b) may be formed in a shape that extends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in a single-folded shape.
상세히, 제 1 및 제 2 상부 리브(141a, 141b)는 상기 간섭 방지 홈(126a, 126b)에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 형성된 관통 개구(139a, 139b)의 둘레를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형태일 수 있다.In detail, the first and second upper ribs (141a, 141b) may be formed vertically along the perimeter of the through opening (139a, 139b) formed in the upper plate (121)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6a, 126b).
또한, 상부 서포터(170), 연결 유닛(350)의 조립에 의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간섭 방지 홈(126a, 126b)의 한 쪽 측면에만 제 1 및 제 2 상부 리브(141a, 141b)가 형성될 수도 있다. Additionally,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due to assembly of the upper supporter (170) and the connecting unit (350), the first and second upper ribs (141a, 141b) may be formed on only one side of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6a, 126b).
또한, 제 1 및 제 2 상부 리브(141a, 141b) 중 하나는 상부 플레이트(121)의 바깥쪽을 향할수록 높이가 증가되는 형태일 수 있다.Additionall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upper ribs (141a, 141b)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height increases toward the outside of the upper plate (121).
제 3 상부 리브(141c)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The third upper rib (141c) may also be formed in a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상세히,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125)를 지지하기 위해 제 3 상부 리브(141c)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125)와 함몰부(122)를 연결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 3 상부 리브(141c)에 의해서 돌출되어 있는 구조의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내구성이나 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In detail, in order to support the switch case (125) formed by protruding, the third upper rib (141c) may be formed in a form that connects the switch case (125) and the recessed portion (122). The problem of weakening durability or strength that may occur in a structure that protrudes due to the third upper rib (141c) can be solved.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상기 수직 연장부(140)의 외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extension (142) that extends horizontally to the outside of the vertical extension (140).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를 상기 하우징(101)에 스크류 체결하기 위하여 외부로 돌출되는 스크류 체결부(142a)가 구비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extension (142) may be provided with a screw fastening portion (142a) that protrudes outward to fasten the upper case (120) to the housing (101).
상기 상부 케이스(120)는, 측면 둘레부(1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수평 연장부(142)에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case (120) may further include a side peripheral portion (143). The side peripheral portion (143) may extend downward from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142).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둘레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측면 둘레부(143)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above side peripheral portion (143) can be arranged to surround the perimeter of the lower assembly (200). That is, the above side peripheral portion (143) serves to prevent the lower assembly (200) from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위에서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냉동실(4) 내의 별도의 하우징(101)에 체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와 달리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상기 냉동실(4)을 형성하는 벽에 직접 체결되는 것도 가능하다. Above, it has been described that the upper case (120) is attached to a separate housing (101) within the freezer (4), but alternatively, it is also possible for the upper case (120) to be attached directly to the wall forming the freezer (4).
<상부 트레이><Upper tray>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FIG. 7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9 is a side view of an upp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7 to 9, the upper tray (1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after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하게 되므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upper tray (150)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If the upper tray (150)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the shape of the upper tray (150) is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the upper tray (150) returns to its original shape, so that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even when ice is repeatedly created.
만약,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상부 트레이(150) 자체가 변형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다. If the upper tray (15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upper tray (150) and the upper tray (150) itself is deformed, the upper tray (150) can no longer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이 경우,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에는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없다. 즉, 반복적인 구형 얼음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after the shape of the upper tray (150) is deformed, spherical ice cannot be created. That is, repetitive creation of spherical ice becomes impossible.
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upper tray (150) has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상부 히터(148)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upper tray (150)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the upper tray (150) can be prevented from melting or thermally deforming due to heat provided from the upper heater (148).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상부 챔버(152)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tray (150) may include an upper tray body (151) forming an upper chamber (152) that is part of the ice chamber (111).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복수의 상부 챔버(152)를 정의할 수 있다. The above upper tray body (151) can define a plurality of upper chambers (152).
일 예로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는,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를 정의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upper chambers (152) may define a first upper chamber (152a), a second upper chamber (152b), and a third upper chamber (152c).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독립적인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를 형성하는 3개의 챔버 벽(153)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챔버 벽(153)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The upper tray body (151) may include three chamber walls (153) forming three independent upper chambers (152a, 152b, 152c), and the three chamber walls (153) may be formed as one body and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챔버(152a), 제 2 상부 챔버(152b) 및 제 3 상부 챔버(152c)는 도 8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도 8의 화살표 A 방향은 도 6의 화살표 A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The first upper chamber (152a), the second upper chamber (152b), and the third upper chamber (152c) may be arranged in a row. For example, the first upper chamber (152a), the second upper chamber (152b), and the third upper chamber (152c)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with reference to FIG. 8.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8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6.
상기 상부 챔버(15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형 얼음 중 상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chamber (152)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That is, the upper part of the spherical ice may be formed by the upper chamber (152).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측에는 상기 상부 챔버(152)로 물이 유입되기 위한 유입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는 3개의 유입 개구(154)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안내될 수 있다. An inlet opening (154) may be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tray body (151) for allowing water to flow into the upper chamber (152). For example, three inlet openings (154) may be formed in the upper tray body (151). Cold air may be guided to the ice chamber (111) through the inlet openings (154).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인입될 수 있다. During the ejection process, the upper ejector (300) can be introduced into the upper chamber (152) through the inlet opening (154).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 측의 변형이 최소화되도록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는 입구 벽(155)이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minimize deformation of the upper tray (150) on the side of the inlet opening (154) during the process in which the upper ejector (300) is introduced through the inlet opening (154), the upper tray (15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wall (155).
상기 입구 벽(155)은 상기 유입 개구(154)의 둘레를 따라 배치되며,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inlet wall (155) is arrang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let opening (154) and can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tray body (151).
상기 입구 벽(155)은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입구 벽(155)의 내측 공간을 지나 상기 유입 개구(154)를 관통할 수 있다. The above inlet wall (155)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ccordingly, the upper ejector (300) may pass through the inner space of the inlet wall (155) and penetrate the inlet opening (154).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입 개구(154)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하나 이상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구비될 수 있다. In order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nlet wall (155) during the process of the upper ejector (300) being introduced into the inlet opening (154), one or more first connecting ribs (155a)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inlet wall (155).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연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연결 리브(155a)는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 및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connecting rib (155a) can connect the inlet wall (155) and the upper tray body (151).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ing rib (155a) can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perimeter of the inlet wall (155)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ray body (151).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연결 리브(155a)가 상기 입구 벽(155)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ng ribs (155a) may be arrang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inlet wall (155).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제 3 상부 챔버(152c)에 대응되는 두 개의 입구 벽(155)은 제 2 연결 리브(162)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결 리브(162)도 상기 입구 벽(155)의 변형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two inlet walls (15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chamber (152b) and the third upper chamber (152c) can be connected by the second connecting rib (162). The second connecting rib (162) also serve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inlet wall (155).
3개의 상부 챔버(152a, 152b, 152c) 중 어느 하나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는 급수 가이드(156)가 구비될 수 있다. A water supply guide (156) may be provided on the inlet wall (155)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three upper chambers (152a, 152b, 152c).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에 대응되는 입구 벽(155)에 형성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water supply guide (156) may be formed on the inlet wall (155) corresponding to the second upper chamber (152b).
상기 급수 가이드(156)는 상기 입구 벽(155)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 2 상부 챔버(152b)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 The above water supply guide (156) may be inclined upward from the inlet wall (155)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second upper chamber (152b).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제 1 수용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함몰부(122)가 수용될 수 있다. The upper tray (15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ceiving portion (160).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60) may receive a recessed portion (122) of the upper case (120).
상기 함몰부(122)에 히터 결합부(124)가 구비되고,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도 12의 148 참조)가 구비되므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상부 히터(도 12의 148 참조)가 수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Since a heater coupling part (124) is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recessed part (122), and an upper heater (see 148 of FIG. 12) is provided in the heater coupling part (124),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 upper heater (see 148 of FIG. 12)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part (160).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챔버 들(152a, 152b, 152c)을 둘러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수용부(16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면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60) may be arranged in a form that surrounds the upper chambers (152a, 152b, 152c).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60) may be formed as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tray body (151) is sunken downward.
상기 제 1 수용부(160)에는 상기 상부 히터(도 12의 148참조)가 결합된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될 수 있다. A heater coupling part (124) to which the upper heater (see 148 of FIG. 12) is coupled can be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160).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온도 센서(500)가 수용되는 제 2 수용부(161)(또는 센서 수용부라고 할 수 있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tray (1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iving portion (161) (or may be referred to as a sensor receiving portion) in which the temperature sensor (500) is received.
일 예로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에 구비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에서 하방으로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61) may be provided in the upper tray body (151). Although not limite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61) may be formed by being sunken downward from the bottom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60).
그리고, 상기 제 2 수용부(161)는 인접하는 두 개의 상부 챔버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는 제 1 상부 챔버(152a)와 제 2 상부 챔버(152b)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도시된다. An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61)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upper chambers. As an example, FIG. 7 illustrates that it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upper chamber (152a) and the second upper chamber (152b).
따라서,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 상부 히터(도 12의 148참조)와 상기 온도 센서(500) 간의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Accordingly,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heater (see 148 of FIG. 12)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60) and the temperature sensor (500) can be prevented.
상기 온도 센서(500)가 상기 제 2 수용부(161)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온도 센서(50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외면과 접촉할 수 있다. When the temperature sensor (500) is accommodated in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161), the temperature sensor (500)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upper tray body (151).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은 수직벽(153a)과 곡선벽(153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hamber wall (153) of the upper tray body (151) may include a vertical wall (153a) and a curved wall (153b).
상기 곡선벽(153b)은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The above curved wall (153b) may be rou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upper chamber (152) as it goes upward.
상기 상부 트레이(150)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둘레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수평 연장부(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일 예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상단 테두리의 둘레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The upper tray (150) may further include a horizontal extension (164) extending horizontally around the perimeter of the upper tray body (151).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for example, extend along the perimeter of the upper edge of the upper tray body (151).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 및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extension (164) can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case (120) and the upper supporter (170).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또는 "제 1 면"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서포터(170)와 접촉될 수 있고,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또는 "제 2 면"이라고 할 수 있음)은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접촉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ower surface (164b) (or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pporter (170), and the upper surface (164a) (or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surface”)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case (120).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서포터(170)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upper case (120) and the upper supporter (170).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상기 복수의 상부 슬롯(131, 132) 각각에 삽입되기 위한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protrusions (165, 166) for insertion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slots (131, 132).
상기 복수의 상부 돌기(165, 166)는,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유입 개구(15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상부 돌기(16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upper protrusions (165, 166) may include a first upper protrusion (165) and a second upper protrusion (166) positioned opposite the first upper protrusion (165) with respect to the inlet opening (154).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상기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rotrusion (165)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lot (131), and the second upper protrusion (166)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slot (132).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 및 제 2 상부 돌기(166)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rotrusion (165) and the second upper protrusion (166)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164a)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와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도 8에서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8의 화살표 B 방향은 도 6의 화살표 B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다. The above first upper protrusion (165) and the above second upper protrusion (166) can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8.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8 is the same direction as the direction of arrow B in Fig. 6.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기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plurality of first upper protrusions (165)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또한, 상기 복수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lurality of second upper protrusions (166)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upper protrusion (165)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for example. In addition, the above second upper protrusion (166)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for example.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각 상부 돌기(165, 166)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가 결합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제빙 과정이나 이빙 과정에서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한다. In this embodiment, each of the upper protrusions (165, 166) not only allows the upper tray (150) and the upper case (120) to be combined, but also prevents the horizontal extension (264) from being deformed during the ice-making or ice-separating process.
이때, 상기 상부 돌기(165, 165)가 곡선 형태로 형성되면, 상기 상부 돌기(165, 165)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상부 챔버(152)와의 간격이 동일하거나 거의 유사하게 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264)의 변형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upper protrusion (165, 165) is formed in a curved shape, the gap between the upper chamber (152) and the upper protrusion (165, 165)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the same or almost the same, so that deforma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264)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264)의 수평 방향 변형이 최소화되어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늘어나 소성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수평 연장부(264)가 소성 변형되는 경우, 제빙 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가 정위치에 위치하지 못하게 되므로, 얼음이 구 형태와 가깝지 않게 된다. For example, the horizontal direction deforma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264) can be minimized to prevent the horizontal extension (264) from being stretched and deformed plastically. If the horizontal extension (264) is deformed plastically, the upper tray body cannot be positioned in the correct position during ice making, so that the ice does not have a spherical shape.
상기 수평 연장부(164)는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후술할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하부 슬롯에 삽입될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167, 168). The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167, 168) may be inserted into the lower slot of the upper supporter (1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는, 제 1 하부 돌기(167)와, 상기 상부 챔버(152)를 기준으로 제 2 하부 돌기(167)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제 2 하부 돌기(168)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167, 168) may include a first lower protrusion (167) and a second lower protrusion (168) positioned opposite the second lower protrusion (167) with respect to the upper chamber (152).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 및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lower protrusion (167) and the second lower protrusion (168)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surface (164b)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16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166)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protrusion (167) may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upper protrusion (165)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The second lower protrusion (168) may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upper protrusion (166) with respect to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protrusion (167)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vertical wall (153a) of the upper tray body (151). The second lower protrusion (168)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curved wall (153b) of the upper tray body (151).
상기 복수의 하부 돌기(167, 168)도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상면(164a) 및 하면(164b) 각각에 돌기(165, 166, 167, 168)가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수평 방향 변형이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lower protrusions (167, 168) can also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s the protrusions (165, 166, 167, 168) are formed on each of the upper surface (164a) and the lower surface (164b)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164), horizontal deformation of the horizontal extension portion (164)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는 후술할 상기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가 관통하기 위한 관통홀(169)이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horizontal extension (164)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169) for the fastening boss of the upper supporter (170) to pass through,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일 예로 복수의 관통홀(169)이 상기 수평 연장부(164)에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9) may be provided in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복수의 관통홀(169) 중 일부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165) 또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16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9) may b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upper protrusions (165) or between two adjacent first lower protrusions (167).
복수의 관통홀(169) 중 다른 관통홀은 인접하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에 배치되거나 또는 두 개의 제 2 하부 돌기(168) 사이 영역을 바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Another of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169)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second lower protrusions (168) or may be positioned to face an area between two second lower protrusions (168).
<상부 서포터><Upper supporter>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 1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n upp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접촉하는 서포터 플레이트(17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0 and 11, the upper supporter (170) may include a supporter plate (171)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일 예로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수평 연장부(164)의 하면(164b)과 접촉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71) may be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64b)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of the upper tray (150).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가 관통하기 위한 플레이트 개구(17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 plate (171) may be provided with a plate opening (172) for the upper tray body (151) to penetrate through.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테두리에는 상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둘레 벽(174)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둘레 벽(174)은 일 예로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측면 둘레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할 수 있다. The edge of the support plate (171) may be provided with a peripheral wall (174) formed by being bent upward. The peripheral wall (174) may, for example, be in contact with at least a portion of the side perimeter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그리고, 상기 둘레 벽(174)의 상면은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174) can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21).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 plate (171) may include a plurality of lower slots (176, 177).
상기 복수의 하부 슬롯(176, 177)은, 상기 제 1 하부 돌기(167)가 삽입되는 제 1 하부 슬롯(176)과 상기 제 2 하부 돌기(168)가 삽입되는 제 2 하부 슬롯(177)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lower slots (176, 177) may include a first lower slot (176) into which the first lower protrusion (167) is inserted and a second lower slot (177) into which the second lower protrusion (168) is inserted.
복수의 제 1 하부 슬롯(176)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하부 슬롯(177)이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lower slots (176)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n the support plate (171).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lower slots (177)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n the support plate (171).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는 복수의 체결 보스(17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서포터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er plate (171)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75). The plurality of fastening bosses (17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er plate (171).
상기 각 체결 보스(175)는 상기 수평 연장부(164)의 관통홀(169)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될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fastening bosses (175) can be introduced into the sleeve (133) of the upper case (120) by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 (169) of the horizontal extension (164).
상기 체결 보스(175)가 상기 슬리브(133)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낮게 위치될 수 있다. When the above fastening boss (175) is inserted into the sleeve (133), the upper surface of the above fastening boss (175)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or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133).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체결 부재는 일 예로 볼트(도 3의 B1)일 수 있다. 상기 볼트(B1)는 바디부와, 바디부의 직경 보다 크게 형성되는 헤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볼트(B1)는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astening member fastened to the above fastening boss (175) may be, for example, a bolt (B1 in FIG. 3). The bolt (B1) may include a body portion and a head portion formed to have a diameter larger than that of the body portion. The bolt (B1) may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 (175) from above the fastening boss (175).
상기 볼트(B1)의 바디부가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헤드부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상기 헤드부가 상기 슬리브(133)의 상면 및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면에 접촉되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의 조립은 완료될 수 있다. When the body of the bolt (B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 (175), and the hea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133), or the hea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sleeve (13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boss (175), the assembly of the upper assembly (110) can be completed.
상기 상부 서포터(170)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와 연결된 연결 유닛(350)을 가이드하기 위한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supporter (17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unit guides (181, 182) for guiding a connection unit (350) connected to the upper ejector (300).
상기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일 예로 도 11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lurality of unit guides (181, 182)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ased on FIG. 11, for example.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서포트 플레이트(171)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둘레 벽(174)과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unit guides (181, 182) can extend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plate (171). In addition, each unit guide (181, 182) can be connected to the peripheral wall (174).
상기 각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슬롯(183)을 포함할 수 있다. Each of the above unit guides (181, 182) may include a guide slot (183)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이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관통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이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와 연결된다. The connecting unit (350) is connected to the upper ejector body (310) while both ends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of the upper ejector (300) penetrate the guide slot (183).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로 전달되면,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가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따라 상하 이동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ejector body (310) by the connecting unit (350)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the upper ejector body (310) can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183).
도 12는 상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ure 1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upper assembly in an assembled state.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히터 결합부(124)에 상부 히터(148)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 상기 상부 트레이(150), 상부 서포터(170)를 서로 결합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2, the upper case (120), the upper tray (150), and the upper supporter (170)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upper heater (148) is connected to the heater connecting portion (124) of the upper case (120).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상부 돌기(165)가 상부 케이스(120)의 제 1 상부 슬롯(131)에 삽입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2 상부 돌기(166)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제 2 상부 슬롯(132)에 삽입되도록 한다. And, the first upper protrusion (165) of the upper tray (1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upper slot (131) of the upper case (120). In addition, the second upper protrusion (166) of the upper tray (150) is inserted into the second upper slot (132) of the upper case (120).
그 다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하부 돌기(167)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1 하부 슬롯(176)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상부 트레이의 제 2 하부 돌기(168)가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제 2 하부 슬롯(177)에 삽입되도록 한다. Next, the first lower protrusion (167) of the upper tray (150) is inserted into the first lower slot (176) of the upper supporter (170), and the second lower protrusion (168) of the upper tray is inserted into the second lower slot (177) of the upper supporter (170).
그러면,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체결 보스(175)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관통홀(169)을 통과하여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슬리브(133) 내에 수용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볼트(B1)를 상기 체결 보스(175)의 상방에서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할 수 있다. Then, the fastening boss (175) of the upper supporter (17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169) of the upper tray (150) and is accommodated in the sleeve (133) of the upper case (120). In this state, the bolt (B1) can be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 (175) from above the fastening boss (175).
상기 볼트(B1)가 상기 체결 보스(175)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볼트(B1)의 헤드부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보다 높게 위치된다. When the above bolt (B1) is fastened to the fastening boss (175), the head of the bolt (B1)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plate (121).
반면, 상기 힌지 서포터(135, 136)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 보다 낮게 위치되므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부 어셈블리(110) 또는 연결 유닛(350)이 상기 볼트(B1)의 헤드부와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since the hinge supporter (135, 136)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upper plate (121), interference between the upper assembly (110) or the connecting unit (350) and the head of the bolt (B1) can be prevented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wer assembly (200).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 서포터(170)의 복수의 유닛 가이드(181, 182)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에서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양측에 위치되는 관통 개구(도 5a의 139a, 139b)를 통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된다. During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upper assembly (110), the plurality of unit guides (181, 182) of the upper supporter (170)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through the through openings (139a, 139b of FIG. 5a)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late (121) in the upper case (120).
이와 같이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방으로 돌출된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의 가이드 슬롯(183)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관통한다. In this way, the upper ejector (300) penetrates the guide slot (183) of the unit guide (181, 182) protruding upward from the upper plate (121).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상부 플레이트(121)의 상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하강하면서 상기 상부 챔버(152)로 내부로 인입되어 상기 상부 챔버(152)의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되도록 한다. Accordingly, the upper ejector (300) is lowered while positioned on the upper side of the upper plate (121) and is drawn into the upper chamber (152) so that the ice in the upper chamber (152)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150).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가 조립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결합된 상기 히터 결합부(124)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제 1 수용부(160)에 수용된다. When the upper assembly (110) is assembled, the heater coupling portion (124) to which the upper heater (148) is coupled is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160) of the upper tray (150).
상기 제 1 수용부(160)에 상기 히터 결합부(124)가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히터(148)는 상기 제 1 수용부(160)의 바닥면(160a)에 접촉한다. With the heater coupling part (124) accommodated in the first receiving part (160), the upper heater (148) comes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160a) of the first receiving part (160).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상부 히터(148)가 함몰된 형태의 히터 결합부(124)에 수용되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접촉하는 경우,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외의 다른 부분으로 전달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heater (148) is accommodated in a sunken heater joint (124)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tray body (151), the heat of the upper heater (148) can be minimized from being transferred to other parts than the upper tray body (151).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챔버(152)로 원활히 전달되도록 상기 상부 히터(148)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상부 챔버(15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upper heater (148) may be arranged to overlap the upper chamber (152)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the heat of the upper heater (148) is smoothly transferred to the upper chamber (152).
<하부 케이스> <Subcase>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케이스의 하부 사시도이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low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a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is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 lower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하부 트레이(250), 하부 서포터(270)와, 하부 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3 to 15, the lower assembly (200) may include a lower tray (250), a lower supporter (270), and a lower case (210).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를 감쌀 수 있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can surround the perimeter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supporter (270) can support the lower tray (250).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상기 연결 유닛(350)이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connecting unit (35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링크(35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connecting unit (350) may include a first link (352)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80) to rotate the lower supporter (270), and a second link (356)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supporter (270) to the upper ejector (300) when the lower supporter (270) rotates.
상기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탄성 부재(36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일 예로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The above first link (352) and the lower supporter (270)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member (360). The elastic member (360) may be, for example, a coil spring.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3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된다.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6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5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above elastic member (360) provides elasticity to the lower supporter (270) so that it remains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and the lower tray (250).
본 실시 예에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양측에 각각 제 1 링크(352)와 제 2 링크(356)가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a first link (352) and a second link (356) may be positioned on each side of the lower supporter (270).
그리고, 두 개의 제 1 링크(352) 중 어느 한 링크가 상기 구동 유닛(180)과 연결되어 상기 구동 유닛(180)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다. And, one of the two first links (352) is connected to the driving unit (180) and receives rotational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80).
상기 두 개의 제 1 링크(352)는 연결 샤프트(도 4의 37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The above two first links (352) can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shaft (370 in FIG. 4).
상기 제 2 링크(356)의 상단부에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부 이젝터 바디(310)가 관통할 수 있는 홀(358)이 형성될 수 있다. A hole (358) through which the upper ejector body (310) of the upper ejector (300) can pass may be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second link (356).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고정을 위한 하부 플레이트(21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may include a lower plate (211) for fixing the lower tray (250).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접촉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lower tray (250) can be fixed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11).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관통하기 위한 개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plate (211) may be provided with an opening (212)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tray (250) passes.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 고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는 상기 개구(212)를 통해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ower tray (250) is fixed to the lower plate (211) while the lower tray (250) is positioned on the lower side of the lower plate (211), a part of the lower tray (250) can protrude upward from the lower plate (211) through the opening (212).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를 관통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둘러싸는 둘레 벽(214)(또는 커버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wall (214) (or cover wall) surrounding the lower tray (250) penetrating the lower plate (211).
상기 둘레 벽(214)은 수직벽(214a)과 곡선벽(215)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erimeter wall (214) may include a vertical wall (214a) and a curved wall (215).
상기 수직벽(214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수직하게 연장되는 벽이다. 상기 곡선벽(215)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상방으로 갈수록 상기 개구(212)에서 멀어지도록 라운드지는 벽이다. The above vertical wall (214a) is a wall that extends vertically upward from the lower plate (211). The above curved wall (215) is a wall that rounds upward from the lower plate (211) and moves away from the opening (212).
상기 수직벽(214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1 결합 슬릿(214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슬릿(214b)은 상기 수직벽(214a)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vertical wall (214a)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slit (214b) for coupling with the lower tray (250). The first coupling slit (214b) may be formed as the upper end of the vertical wall (214a) is sunken downward.
상기 곡선벽(215)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되기 위한 제 2 결합 슬릿(215a)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curved wall (215) may include a second joining slit (215a) for joining with the lower tray (250).
상기 제 2 결합 슬릿(215a)은 상기 곡선벽(215)의 상단이 하방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coupling slit (215a) can be formed as the upper end of the curved wall (215) is sunken downward.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를 더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lower case (21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stening boss (216) and a second fastening boss (217).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fastening boss (216) may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11).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bosses (216) may protrude downwardly from the lower plate (211).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6)는 도 14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bosses (216)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ased on FIG. 14.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에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 1 체결 보스(217)는 도 14를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열될 수 있다.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211). For example, a plurality of second fastening bosses (217) may protrude from the lower plate (211).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bosses (217)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ased on FIG. 14.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와 제 2 체결 보스(217)는 화살표 B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fastening boss (216) and second fastening boss (217) can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B.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와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는 다르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길이 보다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and the length of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may be formed differently. For example, the length of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may be formed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제 1 체결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의 상측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될 수 있다. 반면, 제 2 체결 부재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The first fasten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On the other hand, the second fastening member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from the lower side of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에 체결되는 과정에서 상기 제 1 체결 부재가 상기 곡선벽(215)과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곡선벽(215)에는 체결 부재의 이동을 홈(215b)이 구비된다. In order to prevent the first fastening member from interfering with the curved wall (215) during the process of fastening the first fastening member to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a groove (215b) is provided in the curved wall (215) for movement of the fastening member.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의 결합을 위한 슬롯(21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may further include a slot (218) for coupling with the lower tray (250).
상기 슬롯(218)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슬롯(218)은 상기 수직벽(214a)에 인접하게 위치될 수 있다. A portion of the lower tray (250) may be inserted into the slot (218). The slot (218)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vertical wall (214a).
일 예로, 복수의 슬롯(218)이 도 14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슬롯(218)은 곡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slots (218) may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4. Each of the slots (218)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일부가 삽입되기 위한 수용홈(218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홈(218a)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11)의 일부가 상기 곡선벽(215)을 향하여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may further include a receiving groove (218a) into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tray (250) is inserted. The receiving groove (218a) may be formed as a portion of the lower plate (211) is sunk toward the curved wall (215).
상기 하부 케이스(2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212)의 측면 둘레 일부와 접촉하는 연장벽(21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장벽(219)는 화살표 A 방향으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e lower case (210) may further include an extension wall (219) that contacts a portion of the side periphery of the lower plate (212) while being coupled with the lower tray (250). The extension wall (219) may extend in a straight shape in the direction of arrow A.
<하부 트레이> <Lower Tray>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17 및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트레이의 측면도이다. FIG. 16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7 and 18 are bottom perspective views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9 is a side view of a lower tra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외력에 의해서 변형된 후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6 to 19, the lower tray (250) may be form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after being deformed by an external force.
일 예로,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실리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이빙 과정에서 외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되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다시 원래의 형태로 복귀할 수 있다. 따라서, 반복적인 얼음 생성에도 불구하도 구 형태의 얼음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For example, the lower tray (250) may be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If the lower tray (250)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tray (250)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and the shape of the lower tray (250) is deformed, the lower tray (250)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Therefore, even with repeated ice-making, spherical ice-making is possible.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250) 자체가 변형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더 이상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없다. If the lower tray (250) is formed of a metal material, and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tray (250) itself is deformed, the lower tray (250) can no longer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이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형태가 변형된 이후에는 구 형태의 얼음을 생성할 수 없다. 즉, 반복적인 구형 얼음의 생성이 불가능하게 된다. In this case, after the shape of the lower tray (250) is deformed, spherical ice cannot be created. That is, repetitive creation of spherical ice becomes impossible.
반면,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원래의 형태로 복귀될 수 있는 연성 재질을 가지는 경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ower tray (250) has a flexible material that can return to its original shape,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is problem can be solved.
또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면, 후술할 하부 히터에서 제공되는 열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녹거나 열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f the lower tray (250) is formed of a silicone material, the lower tray (250) can be prevented from melting or thermally deforming due to heat provided from the lower heater described later.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일부인 하부 챔버(252)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tray (250) may include a lower tray body (251) forming a lower chamber (252) that is part of the ice chamber (111).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복수의 하부 챔버(252)를 정의할 수 있다. The above lower tray body (251) can define a plurality of lower chambers (252).
일 예로 상기 복수의 하부 챔버(252)는,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252c)를 포함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lower chambers (252) may include a first lower chamber (252a), a second lower chamber (252b), and a third lower chamber (252c).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독립적인 3개의 하부 챔버(252a, 252b, 252c)를 형성하는 3개의 챔버 벽(252d)을 포함할 수 있으며, 3개의 챔버 벽(252d)이 한몸으로 형성되어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형성할 수 있다. The above lower tray body (251) may include three chamber walls (252d) forming three independent lower chambers (252a, 252b, 252c), and the three chamber walls (252d) may be formed as one body to form the lower tray body (251).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일렬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1 하부 챔버(252a), 제 2 하부 챔버(252b) 및 제 3 하부 챔버(152c)는 도 16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The first lower chamber (252a), the second lower chamber (252b), and the third lower chamber (152c) may be arranged in a row. For example, the first lower chamber (252a), the second lower chamber (252b), and the third lower chamber (152c) may be arranged in the direction of arrow A with reference to FIG. 16.
상기 하부 챔버(252)는 반구 형태 또는 반구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구형 얼음 중 하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The lower chamber (252)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or a shape similar to a hemisphere. That is, the lower part of the spherical ice may be formed by the lower chamber (252).
본 명세서에서 반구와 유사한 형태는, 완전한 반구는 아니나 반구에 거의 가까운 형태를 의미한다. In this specification, a hemisphere-like shape means a shape that is not a complete hemisphere, but is very close to a hemisphere.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단 테두리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부(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연장부(253)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lower tray (25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253)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dge of the lower tray body (251).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53) may be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perimeter of the lower tray body (251).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제 1 연장부(253)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둘레 벽(2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tray (250) may further include a peripheral wall (260) extending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53).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와 접촉될 수 있다.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tray body (151)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 안착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를 둘러쌀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eripheral wall (260) can surround the upper tray body (151)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상기 둘레 벽(260)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을 둘러싸는 제 1 벽(260a)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을 둘러싸는 제 2 벽(260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mentioned peripheral wall (260) may include a first wall (260a) surrounding the vertical wall (153a) of the upper tray body (151), and a second wall (260b) surrounding the curved wall (153b) of the upper tray body (151).
상기 제 1 벽(260a)은 상기 제 1 연장부(253)의 상면에서 수직하게 연장되는 수직벽이다.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곡선벽이다. 즉, 상기 제 2 벽(260b)은 상기 제 1 연장부(253)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상기 하부 챔버(252)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라운드질 수 있다. The first wall (260a) is a vertical wall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53). The second wall (260b) is a curved wall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upper tray body (151). That is, the second wall (260b) may be rounded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lower chamber (252) as it goes upward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253).
상기 하부 트레이(250)는 상기 둘레 벽(260)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연장부(25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tray (2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254)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peripheral wall (260).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상기 제 1 연장부(253)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연장부(253)와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단차를 형성한다. The second extension (254)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extension (253). Accordingly, the first extension (253) and the second extension (254) form a step.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슬롯(218)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상부 돌기(2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254) may include a first upper protrusion (255) for insertion into a slot (218) of the lower case (210). The first upper protrusion (25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eripheral wall (260) in the horizontal direction.
일 예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상기 제 1 벽(260a)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upper protrusion (255)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254)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first wall (260a).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상부 돌기(255)가 도 6을 기준으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는 일 예로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a plurality of first upper protrusions (255) may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based on Fig. 6. The first upper protrusions (255) may be extended in a curved shape, for example.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의 돌기 홈에 삽입되기 위한 제 1 하부 돌기(2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may further include a first lower protrusion (257) to be inserted into a protrusion groove of a lower supporter (270) to be described later. The first lower protrusion (257)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a plurality of first lower protrusions (257) may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와 상기 제 1 하부 돌기(257)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하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The first upper protrusion (255) and the first lower protrusion (257) may be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upper protrusion (255) may overlap with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57)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상기 제 2 연장부(254)에는 복수의 관통홀(256)이 형성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6) can be formed 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복수의 관통홀(256)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가 관통하는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제 2 관통홀(256b)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6) may include a first through hole (256a) through which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of the lower case (210) passes, and a second through hole (256b) through which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of the lower case (210) passes.
일 예로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이 도 1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56a)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6.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이 도 1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56b)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in Fig. 16.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과 상기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은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56a) and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56b) may be positioned on opposite sides with respect to the lower chamber (252).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인접하는 두 개의 제 1 상부 돌기(255)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제 2 관통홀(256b) 중 일부는 두 개의 제 1 하부 돌기(25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56b) may be located between two adjacent first upper protrusions (255). Additionally, some of the plurality of second through holes (256b) may be located between two first lower protrusions (257).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제 2 상부 돌기(25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1 상부 돌기(255)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254)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upper protrusion (258).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58) may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upper protrusion (255) with respect to the lower chamber (252).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둘레 벽(260)과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제 2 벽(260b)과 인접한 위치에서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에서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58) may be positioned horizontally apart from the peripheral wall (260). For example,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58)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254) at a position adjacent to the second wall (260b).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복수의 제 2 상부 돌기(258)가 도 16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a plurality of second upper protrusions (258) may be spaced apart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f FIG. 16.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수용홈(218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가 상기 수용홈(218a)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상부 돌기(258)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곡선벽(215)과 접촉할 수 있다.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58) can b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8a) of the lower case (210). With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58)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groove (218a), the second upper protrusion (258)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curved wall (215) of the lower case (210).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1 결합 돌기(26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wall (260) of the lower tray (25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262) for coupling with the lower case (210).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1 벽(260a)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상기 제 1 벽(260a)의 측면 상측부에 위치될 수 있다.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62) may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first wall (260a) of the peripheral wall (260).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262) may be located on the upper side of the first wall (260a).
상기 제 1 결합 돌기(262)는, 직경이 다른 부분에 비하여 줄어드는 목부(26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부(262a)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1 결합 슬릿(214b)에 삽입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coupling protrusion (262) may include a neck portion (262a) whose diameter is reduced compared to other parts. The neck portion (262a) may be inserted into a first coupling slit (214b) formed in a peripheral wall (214) of the lower case (210).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의 결합을 위한 제 2 결합 돌기(260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peripheral wall (260) of the lower tray (2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260c) for coupling with the lower case (210).
상기 제 2 결합 돌기(260c)는, 상기 둘레 벽(260)의 제 2 벽(260b)에서 수평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결합 돌기(260c)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둘레 벽(214)에 형성되는 제 2 결합 슬릿(215a)에 삽입될 수 있다.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60c) may protrude horizontally from the second wall (260b) of the peripheral wall (260).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260c)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upling slit (215a) formed in the peripheral wall (214) of the lower case (210).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제 2 하부 돌기(2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하부 챔버(252)를 기준으로 상기 제 2 하부 돌기(257)의 반대편에 위치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254)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lower protrusion (266).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66) may be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57) with respect to the lower chamber (252).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일 예로 직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66) may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66) may extend in a straight shape, for example.
상기 복수의 제 1 관통홀(256a) 중 일부는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와 하부 챔버(25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through holes (256a) may be located between the second lower protrusion (266) and the lower chamber (252).
상기 제 2 하부 돌기(266)는 후술할 하부 서포터(270)에 형성되는 가이드 홈에 수용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lower protrusion (266) can be accommodated in a guide groove formed in a lower supporter (270)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제 2 연장부(254)는 측면 제한부(2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케이스(210)와 하부 서포터(270)와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한다. The second extension (254) may further include a side restriction (264). The side restriction (264) restricts the lower tray (250) from moving in a horizontal direction while it is coupled with the lower case (210) and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측면 제한부(264)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에서 측면으로 돌출되며,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두께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일 예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상면 보다 높게 위치되고, 다른 일부는 상기 제 2 연장부(254)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된다. The side restriction portion (264) protrudes laterally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and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side restriction portion (264) ar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For example, a part of the side restriction portion (264) is positioned high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and another part is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254).
따라서, 상기 측면 제한부(264)의 일부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측면에 접촉하고, 다른 일부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측면에 접촉할 수 있다. Accordingly, a part of the side limiting portion (264) may contact the side of the lower case (210), and another part may contact the side of the lower supporter (270).
<하부 서포터> <Lower Supporter>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상부 사시도이고,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서포터의 하부 사시도이고, 도 22는 하부 어셈블리가 조립된 상태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FIG. 20 is a top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a lower support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lower assembly.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지지하는 서포터 바디(271)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20 to 22, the lower supporter (270) may include a supporter body (271) that supports the lower tray (250).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3개의 챔버 벽(252d)을 수용하기 위한 3개의 챔버 수용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챔버 수용부(272)는 반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er body (271) may include three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for receiving three chamber walls (252d) of the lower tray (250). The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may be formed in a hemispherical shape.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274)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3개의 챔버 수용부(272)에 대응하도록 3개의 하부 개구(274)가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supporter body (271) may include a lower opening (274) for the lower ejector (400) to pass through during the ejection process. For example, the supporter body (271) may be provided with three lower openings (274) corresponding to three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상기 하부 개구(274)의 둘레를 따라서 강보 보강을 위한 보강 리브(275)가 구비될 수 있다.A reinforcing rib (275) for reinforcement may be provided along the perimeter of the lower opening (274).
또한, 상기 3개의 챔버 벽(252d) 들에서 인접하는 두 개의 챔버 벽(252d) 들은 연결 리브(273)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리브(273)는 상기 챔버 벽(252d)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In addition, two adjacent chamber walls (252d) among the three chamber walls (252d) can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rib (273). This connecting rib (273) can reinforce the strength of the chamber walls (252d).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1 연장벽(28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extension wall (285) extending horizontally from the upper end of the supporter body (271).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제 1 연장벽(285)의 테두리에서 제 1 연장벽(285)과 단차지도록 형성된 제 2 연장벽(28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extension wall (286) formed at a level with the first extension wall (285) at the edge of the first extension wall (285).
상기 제 2 연장벽(286)의 상면은 상기 제 1 연장벽(285)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may be positioned higher than the first extension wall (285).
상기 서포터 바디(271)의 상면(271a)에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가 안착될 수 있고, 상기 제 2 연장벽(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을 둘러쌀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연장벽(286)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 first extension part (253) of the lower tray (250) can be secured to the upper surface (271a) of the supporter body (271), and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can surround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53) of the lower tray (250). At this time,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53) of the lower tray (250).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하부 돌기(257)가 수용되기 위한 돌기 홈(28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groove (287) for receiving the first lower protrusion (257) of the lower tray (250).
상기 돌기 홈(287)은 곡선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돌기 홈(287)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protrusion groove (287) may be extended in a curved shape. The above protrusion groove (287) may be formed, for example, in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제 1 체결 부재(B2)가 체결되는 제 1 체결홈(286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fastening groove (286a) to which a first fastening member (B2) penetrating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of the upper case (210) is fastened.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구비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fastening groove (286a)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이 상기 제 2 연장벽(286)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체결홈(286a) 중 일부는 상기 제 1 체결홈(286a)은 인접하는 두 개의 돌기 홈(287)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286a)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n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Some of the plurality of first fastening grooves (286a) may be positioned between two adjacent protruding grooves (287).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제 2 체결 보스(217)가 관통하기 위한 보스 관통홀(286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boss penetration hole (286b) for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of the upper case (210) to penetrate therethrough.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연장벽(286)에는 상기 보스 관통홀(286b)을 관통한 제 2 체결 보스(217)를 둘러싸는 슬리브(286c)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리브(286c)는 하부가 개구된 원통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The above boss penetration hole (286b) may be provided, for example, in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may be provided with a sleeve (286c) surrounding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penetrating the boss penetration hole (286b). The sleeve (286c)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an open bottom.
상기 제 1 체결 부재(B2)는 상기 하부 케이스(210)의 상방에서 상기 제 1 체결 보스(216)를 관통한 후에 상기 제 1 체결홈(286a)에 체결될 수 있다. The above first fastening member (B2) can be fastened to the first fastening groove (286a) after passing through the first fastening boss (216) from the upper side of the lower case (210).
상기 제 2 체결 부재(B3)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방에서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에 체결될 수 있다. The above second fastening member (B3)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at the bottom of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슬리브(286c)의 하단은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과 동일한 높이에 위치되거나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의 하단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The lower end of the sleeve (286c) may be positioned at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or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end of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따라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3)의 체결 과정에서 상기 제 2 체결 부재(B3)의 헤드부는 상기 제 2 체결 보스(217) 및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하거나 상기 슬리브(286c)의 하면과 접촉할 수 있다. Therefore, during the fastening process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3), the head of the second fastening member (B3)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fastening boss (217)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286c) or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of the sleeve (286c).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외측과 이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를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외벽(2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n outer wall (280) arranged to surround the lower tray body (251) whil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lower tray body (251).
상기 외벽(280)은 일 예로 상기 제 2 연장벽(286)의 테두리를 따라서 하방으로 연장될 수 있다. The above outer wall (280) may, for example, extend downward along the edge of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상부 케이스(210)의 각 힌지 서포터(135, 136)와 연결되기 위한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inge bodies (281, 282) for connecting to each hinge supporter (135, 136) of the upper case (210).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는 도 20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각 힌지 바디(281, 282)는 제 2 힌지 홀(281a)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plurality of hinge bodies (281, 28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direction of arrow A of Fig. 20. Each of the above hinge bodies (281, 28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hinge hole (281a).
상기 제 2 힌지 홀(281)에는 상기 제 1 링크(352)의 샤프트 연결부(353)가 관통할 수 있다.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가 연결될 수 있다. The shaft connection part (353) of the first link (352) can pass through the second hinge hole (281). The connection shaft (370) can be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ion part (353).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 간의 간격은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 사이 간격 보다 작다. 따라서, 상기 복수의 힌지 바디(281, 282)가 상기 복수의 힌지 서포터(135, 136)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inge bodies (281, 282) is smaller than the interval between the plurality of hinge supporters (135, 136). Therefore, the plurality of hinge bodies (281, 282) can be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hinge supporters (135, 136).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제 2 링크(356)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결합 샤프트(28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 샤프트(383)는 상기 외벽(280)의 양면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haft (283) to which the second link (356) is rotatably connected. The coupling shaft (383) may be provid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outer wall (280).
그리고,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상기 탄성 부재(360)가 결합되기 위한 탄성 부재 결합부(2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부가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가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에 수용됨에 따라서 상기 탄성 부재(360)가 주변 구조물과 간섭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pporter (270) may further include an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84) to which the elastic member (360) is coupled.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84) may form a space in which a portion of the elastic member (360) may be accommodated. As the elastic member (360) is accommodated in the elastic member coupling portion (284), interference of the elastic member (360) with surrounding structures may be prevented.
그리고, 상기 탄성 부재 결합부(284)는 상기 탄성 부재(370)의 하단이 걸리기 위한 걸림부(284a)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elastic member joining portion (284) may include a catch portion (284a) for catching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member (370).
도 24는 도 3a의 A-A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25는 도 24의 도면에서 얼음 생성이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Fig. 2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a, and Fig. 25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ice formation is completed in the drawing of Fig. 24.
도 24에는 상부 트레이와 하부 트레이가 접촉된 상태가 도시된다. Figure 24 shows a state in which the upper tray and the lower tray are in contact.
먼저, 도 24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하 방향으로 접촉함에 따라서, 상기 얼음 챔버(111)가 완성된다. First, referring to Fig. 24, the ice chamber (111) is completed as the upper tray (150) and the lower tray (250) come into contact in the vertical direction.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는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접촉된다.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51a) of the upper tray body (151).
이때,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과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이 상기 하부 서포터(270)로 가해진다. At this time, whe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51a) of the upper tray body (151), the elastic force of the elastic member (360) is appli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탄성 부재(360)의 탄성력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가해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을 가압한다. The elastic force of the above elastic member (360) is applied to the lower tray (250) by the lower supporter (270), so that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presses the lower surface (151a) of the upper tray body (151).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접촉된 상태에서 각 면이 상호 가압되어 밀착력이 향상된다. Accordingly, whe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surface (151a) of the upper tray body (151), the surfaces are mutually pressed,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 사이에 밀착력이 증가되면, 두 면 사이의 틈새가 없어서 제빙의 완료 후에 구형 얼음의 둘레를 따라 얇은 띠 형상의 얼음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this way, when the adhesion betwee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and the lower surface (151a) of the upper tray body (151) increases, there is no gap between the two surfaces, so that the formation of a thin strip-shaped ice along the perimeter of the spherical ice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can be prevented.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서포터 바디(271)의 상면(271a)에 안착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1 연장부(253)의 측면에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제 2 연장벽(286)이 접촉된다. The first extension part (253) of the lower tray (250) is mounted on the upper surface (271a) of the supporter body (271) of the lower supporter (270). Then,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of the lower supporter (27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first extension part (253) of the lower tray (250).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제 2 연장벽(286)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제 2 연장부(254)가 안착될 수 있다. The second extension part (254) of the lower tray (250) can be mounted on the second extension wall (286) of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하면(151a)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상면(251e)에 안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부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In a state where the lower surface (151a) of the upper tray body (151) is seated o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body (251), the upper tray body (151) can be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peripheral wall (260) of the lower tray (250).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수직벽(153a)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수직벽(260a)과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곡선벽(153b)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곡선벽(260b)과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At this time, the vertical wall (153a) of the upper tray body (151) is arranged to face the vertical wall (260a)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curved wall (153b) of the upper tray body (151) is arranged to face the curved wall (260b) of the lower tray (250).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과 이격된다. 즉,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에 공간이 형성된다.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wall (153) of the upper tray body (151)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60) of the lower tray (250). That is,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wall (153) of the upper tray body (15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60) of the lower tray (250).
상기 급수부(180)를 통해 공급되는 물은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 수용되는데,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된 경우,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 수용되지 못하는 물은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의 챔버 벽(153)의 외면과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둘레 벽(260)의 내면 사이 공간에 위치된다. Water supplied through the above water supply unit (180) is accommodated in the ice chamber (111). If an amount of water supplied is greater than the volume of the ice chamber (111), water that is not accommodated in the ice chamber (111) is loc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chamber wall (153) of the upper tray body (15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peripheral wall (260) of the lower tray (250).
따라서,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얼음 챔버(111)의 체적 보다 많은 양의 물이 공급되어도 물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에서 넘쳐 흐르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Therefor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even if a larger amount of water is supplied than the volume of the ice chamber (111), water can be prevented from overflowing from the ice maker (100).
한편,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는 상기 하부 히터(296)와의 접촉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히터 접촉부(251a)가 더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lower tray body (251)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heater contact portion (251a) to increase the contact area with the lower heater (296).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하면에서 돌출돌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히터 접촉부(251a)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하면에 링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히터 접촉부(251a)의 하면을 평면일 수 있다. The heater contact portion (251a) may protrude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tray body (251). For example, the heater contact portion (251a)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tray body (251). In addition, the lower surface of the heater contact portion (251a) may be flat.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는 하측 일부가 상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되는 볼록부(251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얼음 챔버(111)의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lower tray body (251) may further include a convex portion (251b) formed so that a lower portion thereof is convexly formed upward. That is, the convex portion (251b) may be arranged to be convex toward the inside of the ice chamber (111).
상기 볼록부(251b)의 두께가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볼록부(251b)의 하측에는 함몰부(251b)가 형성된다. A recessed portion (251b)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convex portion (251b)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convex portion (251b)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other parts of the lower tray body (251).
본 명세서에서 "실질적으로 동일"하다는 것은 완전하게 동일한 것 및 동일하지 않으나 차이가 거의 없을 정도로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As used herein, the term “substantially identical” includes things that are completely identical and things that are not identical but are similar enough that there is little difference.
상기 볼록부(251b)는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하부 개구(274)와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above convex portion (251b) can be positioned to face the lower opening (274) of the lower supporter (270) in the vertical direction.
그리고,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하부 챔버(252)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즉, 상기 하부 개구(274)가 상기 볼록부(251b)의 연직 하방에 위치될 수 있다. And, the lower opening (274) can be located vertically downward of the lower chamber (252). That is, the lower opening (274) can be located vertically downward of the convex portion (251b).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1)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The diameter (D1) of the above convex portion (251b) can be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ower opening (274).
상기 얼음 챔버(111)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냉기가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되면, 액체 상태의 물이 고체 상태의 얼음으로 상변화된다. 이때, 물이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과정에서 물이 팽창되고, 물의 팽창력이 상기 상부 트레이 바디(151) 및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각각으로 전달된다. When cold air is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whil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the liquid water changes into solid ice. At this time, the water expands in the process of changing into ice, and the expansion force of the water is transferred to each of the upper tray body (151) and the lower tray body (251).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다른 부분은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 의해서 둘러싸이나, 상기 서포트 바디(271)의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부분(이하 "대응 부분"이라 함)은 둘러싸이지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another part of the lower tray body (251) is surrounded by the supporter body (271), but the part corresponding to the lower opening (274) of the support body (271) (hereinafter referred to as “corresponding part”) is not surrounded.
만약,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가 완전한 반구 형태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물의 팽창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 중 상기 하부 개구(274)와 대응되는 대응 부분에 가해지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이 상기 하부 개구(274) 측으로 변형된다. If the lower tray body (251) is formed in a perfect hemispherical shape, when the expansion force of the water is applied to a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ower tray body (251) corresponding to the lower opening (274),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ower tray body (251) is deformed toward the lower opening (274).
이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로 존재하게 되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구형의 얼음에서 상기 대응 부분의 변형에 의해서 생성된 공간 만큼 돌기 형태의 추가적인 얼음 생성된다. In this case, before ice is created,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exists in a spherical shape, but after ice creation is completed, additional ice in the form of protrusions is created in the space created by the deformation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of the lower tray body (251) from the spherical ice.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제빙 완료된 얼음의 완전한 구형에 최대한 가까워지도록,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변형을 고려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에 볼록부(251b)를 형성하였다.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a convex portion (251b) was formed on the lower tray body (251) in consideration of deformation of the lower tray body (251) so as to make the ice as close to a perfect sphere as possible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이러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얼음이 생성되기 전에는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 물은 구 형태가 되지 않으나,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 바디(251)의 볼록부(251b)가 상기 하부 개구(274) 측을 향하여 변형되므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before ice is created, the water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does not have a spherical shape, but after ice creation is completed, the convex portion (251b) of the lower tray body (251) is deformed toward the lower opening (274), so that spherical ice can be created.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볼록부(251b)의 직경(D1)은 상기 하부 개구(274)의 직경(D2) 보다 작게 형성되므로, 상기 볼록부(251b)가 변형되어 상기 하부 개구(274)의 내측에 위치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diameter (D1) of the convex portion (251b) is formed smaller than the diameter (D2) of the lower opening (274), so that the convex portion (251b) can be deformed and positioned on the inside of the lower opening (274).
<상부 이젝터><Upper Ejector>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부 이젝터의 구조 및 하부 어셈블리와의 연동 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tructure of the upper ejector and its linkage structure with the lower assembly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도 26은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아이스 메이커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27은 상부 케이스가 제거된 아이스 메이커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2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with the upper case removed, viewed from one side. Fig. 2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ce maker with the upper case removed, viewed from the other side.
도 28은 하부 트레이와 상부 이젝터의 모습을 보인 측면도이다. 도 29는 도 28의 상태에서, 하부 트레이가 회전하고 상부 이젝터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30은 상부 이젝터와 제 2 링크의 결합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31은 상부 이젝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2는 제 1 링크를 일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33은 제 2 링크를 타측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Fig. 28 is a sid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the lower tray and the upper ejector. Fig. 29 is a side view showing the state of Fig. 28, with the lower tray rotating and the upper ejector lowered. Fig. 3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tate of the upper ejector and the second link being coupled. Fig. 31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ejector. Fig. 3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first link as seen from one side. Fig. 3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second link as seen from the other side.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100)는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부 이젝터(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illustrated, the ice make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upper ejector (300) so that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이젝터 바디(310)와, 상기 이젝터 바디(310)에서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상부 이젝팅 핀(320)을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ejector (300) may include an ejector body (310) and a plurality of upper ejecting pins (320) extending in an intersecting direction from the ejector body (310).
일 예로,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는 수평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이젝터 바디(310)의 하측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pper ejector body (310) may be formed horizontally, and the upper ejecting pin (320) may be formed to extend vertically from the lower side of the ejector body (310).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홈에는 복수의 보강리브(3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강리브(311)는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리브(311)는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길이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upper ejector body (310) may have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addition, a plurality of reinforcing ribs (311) may be formed in the grooves. The reinforcing ribs (311)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s (311) may be formed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또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에는 중공(321)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이젝팅 핀(32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a hollow (321) may be formed in the upper ejecting pin (320).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upper ejecting pin (320) may be improved.
또한, 이빙을 위해서, 상부 이젝팅 핀(320)의 하단이 구 형상의 상부 트레이(150), 즉 얼음챔버(111)의 상측을 누를 때, 중공(321)에 의해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다. In addition, for ice ejection, when the lower end of the upper ejection pin (320) presses the upper tray (150) of a spherical shape, i.e., the upper side of the ice chamber (111), stable contact is possible through the hollow (321).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는 연결 유닛(350)과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연결 유닛(350)과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분리 방지 돌기(312)가 구비될 수 있다. At both ends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a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312) may be provided to prevent separation from the connection unit (350) while connected to the connection unit (350).
일 예로 한 쌍의 분리 방지 돌기(312)가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For example, a pair of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s (312) may protrude in opposite directions from the upper ejector body (310).
상세히,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는, 양측이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돌출된 분리 방지 돌기(312)가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at both ends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separation-preventing protrusions (312) may be formed so that both sides protrude in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upper ejector body (310).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는 원형의 중심부(312a)와, 상기 중심부(312a)의 양측에서 상기 중심부(312a)의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한 쌍의 돌기부(312b)를 포함할 수 있다. The abov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312) may include a circular center portion (312a) and a pair of protrusions (312b) protruding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center portion (312a) on both sides of the center portion (312a).
또한,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와 인접하여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상하 이동을 가이드 하는 상하 가이드(313)가 구비될 수 있다.Additionally, an upper and lower guide (313) may be provided adjacent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312) to guide the upper ejector body (310) to move up and down.
일 예로 한 쌍의 상하 가이드(313)가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양단에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와 나란히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가 더 바깥쪽에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s (313) may be provided parallel to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312) at both ends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and the separation prevention protrusion (312) may be provided further outward.
상세히, 상하 가이드(313)는 상기 가이드 슬롯(183)의 폭과 대응되어 상기 가이드 슬롯(183)에 인입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따라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하로 이동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In detail,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can be inserted into the guide slot (183)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guide slot (183) and guide the upper ejector (300) to move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183).
또한, 상기 상하 가이드(313)는 수직 단면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회전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부 트레이(150)의 유입 개구(154)로 정위치에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may be formed in a vertical cross-section in a square shape to limit rotation of the upper ejector (300). This is to ensure that the upper ejecting pin (320) is introduced into the inlet opening (154) of the upper tray (150) at the correct position.
상기 상하 가이드(313)가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부 트레이(150)의 유입 개구(154)로 정위치에서 유입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가이드 슬롯(183)을 따라 상하 이동할 때 전후 또는 좌우의 유동이 최소가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 상기 상하 가이드(313)의 상하 길이 즉, 높이를 크게 할 수 있다.In order for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to ensure that the upper ejection pin (320) is properly positioned and fed into the inlet opening (154) of the upper tray (150), the forward and backward or left and right movement must be minimized when moving up and down along the guide slot (183). To this end, the upper and lower length, i.e., the height,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can be increased.
즉, 상기 상하 가이드(313)와 가이드 슬롯(183)과의 접촉면적을 증가시켜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and the guide slot (183), the flow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can be prevented.
일 예로, 상기 상하 가이드(313)의 상하 길이는 인접하여 결합되는 상기 분리 방지 돌기(312)의 중심부(312a)의 직경보다 크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center (312a) of the separation-preventing protrusion (312) that is adjacently coupled.
또한, 상기 상하 가이드(313)는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하로 이동하는 데에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하부를 향해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상하 가이드(313)의 하단부는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하면 보다 낮게 위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may be extended toward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ejector (300) so that no interference occurs when the upper ejector (300) moves up and dow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may be position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이 때, 상기 상하 가이드(313)의 하단부와 상기 상부 케이스(120)와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상하 가이드(313)의 일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상기 간섭 방지 홈(126a, 126b)으로 인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의 상하 이동 거리가 줄어드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in order to prevent interference between the lower portion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313) and the upper case (120),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guide (313) can be introduced in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126a, 126b) of the upper case (120). Accordingly, the upper and lower movement distance of the upper ejector (30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reduced.
상기 상하 가이드(313)는, 일부가 상기 상부 케이스(120)의 간섭 방지 홈(126a, 126b)으로 인입되는 것을 가이드하기 위해 경사부(313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upper and lower guides (313) may further include an inclined portion (313a) to guide a portion thereof to be introduced into the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s (126a, 126b) of the upper case (120).
일 예로 상기 경사부(313a)는, 상기 한 쌍의 상하 가이드(313) 하단부의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중심을 향한 면이 바깥쪽을 향한 방향으로 경사질 수 있다.For example, the inclined portion (313a) may be inclined in a direction such that the surface facing the center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of the lower portion of the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s (313) faces outward.
또한, 상기 경사부(313a)를 포함한 상기 한 쌍의 상하 가이드(313)는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310)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air of upper and lower guides (313) including the inclined portion (313a) may be formed in a symmetrical shape based on the center of the upper ejector body (310).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와 연동하게 연결되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승강할 수 있다. The upper ejector (300) is connected in conjunction with the lower assembly (200), so that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the upper ejector (300) can rise and fall.
일 예로, 제빙 완료 후, 이빙을 위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이격되게 하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하강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i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downward away from the upper assembly (110) for ice ejection, the upper ejector (300) can descend.
또한, 이빙 완료 후, 급수를 위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결합되게 상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승할 수 있다. Additionally, after the ejection is completed, i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upper assembly (110) for water supply, the upper ejector (300) can rise.
이빙 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ejector (300) is lowered during the ice removal, ice adhered to the upper assembly (11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하부 어셈블리(200)와 연결된다.The upper ejector (300) is connected to the lower assembly (200) by a connecting unit (350).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구동 유닛(180)의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회전시키기 위한 제 1 링크(352)를 포함한다. 따라서, 구동 유닛(180) 작동 시, 제 1 링크(352)와 하부 서포터(270)는 동시에 회전한다. The above connecting unit (350) includes a first link (352) for receiving power from the driving unit (180) and rotating the lower supporter (270). Therefore, when the driving unit (180) operates, the first link (352) and the lower supporter (270) rotate simultaneously.
하부 서포터(270)는 양측에 힌지 바디(281, 282)를 형성하고, 상기 각 힌지 바디(281, 282)에는 제 2 힌지 홀(281a)이 각각 형성된다. The lower supporter (270) forms hinge bodies (281, 282) on both sides, and a second hinge hole (281a) is formed in each of the hinge bodies (281, 282).
상기 제 2 힌지 홀(281)에는 상기 제 1 링크(352)의 샤프트 연결부(353)가 관통할 수 있다. The shaft connecting part (353) of the first link (352) can pass through the second hinge hole (281).
그리고,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에 상기 연결 샤프트(370)가 연결될 수 있다.And, the connecting shaft (370) can be connected to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353).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는 마주보는 면에 다각형의 축 열결 홈(353c)을 구비하고,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는 양단이 상기 축 열결 홈(353c)에 삽입되는 다각형의 단면을 갖는 연결 샤프트(37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 shaft connecting portion (353) has a polygonal shaft connecting groove (353c) on the facing surface, and the above shaft connecting portion (353) can be connected by a connecting shaft (370) having a polygonal cross-section, both ends of which are inserted into the above shaft connecting groove (353c).
일 예로,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는 마주보는 면에 정사각형의 단면을 갖는 축 열결 홈(353c)을 구비하고, 연결 샤프트(370)는 단면이 정사각형의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353) may have an axial connecting groove (353c) having a square cross-section on the facing surface, and the connecting shaft (370) may have a square cross-section.
상기 제2 힌지홀(281a)은,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가 결합된 상태에서, 샤프트 연결부(353)의 회전 방향으로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The second hinge hole (281a) above can secure free space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haft connection part (353) when the shaft connection part (353) is connected.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샤프트 연결부(353)는, 원형의 제1중심부(353a)와, 상기 제1중심부(353a)의 양측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제1걸림부(353b)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힌지홀(281a)은, 원형의 제2중심부(281b), 상기 제2중심부(281b)와 연통하고, 상기 제2중심부(281b)의 양측에서 반경방향의 외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제2걸림홈(281c)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the drawing, the shaft connecting portion (353) includes a circular first center portion (353a) and first engaging portions (353b) protruding radially from both sides of the first center portion (353a), and the second hinge hole (281a) may include a circular second center portion (281b), a second engaging groove (281c) communicating with the second center portion (281b) and recessed radially outwardly from both sides of the second center portion (281b).
또한, 상기 제1걸림부(353b)의 너비 보다 제2걸림홈(281c)의 너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width of the second catch groove (281c) may be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first catch portion (353b).
상기 제2걸림홈(281c)에 제1걸림부(353b)가 삽입된 상태에서, 제2걸림홈(281c)에는 제1걸림부(353b)의 회전 방향으로 여유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When the first engaging portion (353b) is inserted into the second engaging groove (281c), a free space can be secured in the second engaging groove (281c)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53b).
또한, 상기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는 탄성 부재(360)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제 1 링크(352)와 상기 하부 서포터(270) 사이에 인장력을 제공한다. 일 예로 탄성 부재(360)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탄성 부재(360)는 인장 스프링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link (352) and the lower supporter (270) may be connected by an elastic member (360). The elastic member (360) provides a tensile force between the first link (352) and the lower supporter (270). As an example, the elastic member (360) may be a coil spring. As another example, the elastic member (360) may be a tensile spring.
상기 탄성 부재(360)의 일단은 상기 제 1 링크(35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된다. One end of the elastic member (36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352),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상기 탄성 부재(360)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하부 서포터(270)를 상부 트레이(150) 측으로 잡아 당기는 탄성력을 제공한다. The above elastic member (360) provides an elastic force that pulls the lower supporter (270) toward the upper tray (150) so that it remains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and the lower tray (250).
상기 제1링크(352)는 일측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36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홀(352d)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링크(352)는 일측 단부에 상기 탄성부재(360)의 단부가 결합되는 결합홈(352d)이 형성될 수도 있다. The first link (352) may have a joining hole (352d) formed at one end to which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360) is joined. In addition, the first link (352) may have a joining groove (352d) formed at one end to which the end of the elastic member (360) is joined.
한편, 상기 연결 유닛(350)은 상기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되어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 시 상기 하부 서포터(27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하기 위한 제 2 링크(356)를 포함한다. Meanwhile, the connecting unit (350) includes a second link (356)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to transmit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supporter (270) to the upper ejector (300) when the lower supporter (270) rotates.
즉,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제2링크(356)에 의해, 하부 서포터(270)와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upper ejector (30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supporter (270) by the second link (356).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제 2 링크(356)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될 수 있다. Therefore,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transmitted to the upper ejector (300) by the second link (356).
그리고,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에 의해서 직선으로 승강할 수 있다.And, the upper ejector (300) can be raised and lowered in a straight line by the unit guide (181, 182).
일 예로, 제빙 완료 후, 이빙을 위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이격되게 하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하강할 수 있다. For example,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i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downward away from the upper assembly (110) for ice ejection, the upper ejector (300) can descend.
또한, 이빙 완료 후, 급수를 위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결합되게 상측으로 회전하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는 상승할 수 있다. Additionally, after the ejection is completed, i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upward to be coupled with the upper assembly (110) for water supply, the upper ejector (300) can rise.
이빙 시,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하강하면,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 내로 인입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 밀착되어 있는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ejector (300) is lowered during ice ejection, the upper ejecting pin (320) is drawn into the upper chamber (152) through the inlet opening (154). Then, the ice adhered to the upper tray (150)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150).
참고로, 상부 이젝터(300)의 상부 이젝터 바디(310)는 유닛 가이드(181, 182)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83) 내에서, 승강할 수 있다. For reference, the upper ejector body (310) of the upper ejector (300) can rise and fall within the guide slot (183) formed in the unit guide (181, 182).
그리고, 상부 이젝터(300)는 하부 어셈블리(200)가 이빙을 위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각도와 대응하여, 상부 이젝터(300)는 하강한다. And, when the upper ejector (300) rotates counterclockwise for the lower assembly (200) to separate, the upper ejector (300) descends in response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assembly (200).
일 예로, 하부 트레이(250)가 하부 이젝터(400)와 접촉하면, 상부 이젝터(300)는 가장 낮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lower tray (2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jector (400), the upper ejector (300) can reach the lowest position.
반면, 이빙 완료 후,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및 제빙을 위해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각도와 대응하여, 상부 이젝터(300)는 상승한다. On the other hand, after the ice is complete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clockwise for water supply and ice removal, the upper ejector (300) rise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lower assembly (200).
일 예로, 하부 트레이(250)가 상부 트레이(150)와 수평을 이루면서 접촉하면, 상부 이젝터(300)는 가장 높은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lower tray (250)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while being level, the upper ejector (300) can reach the highest position.
<하부 이젝터><Lower Ejector>
도 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와 하부 이젝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5 내지 도 36은 도 34에 도시된 하부 이젝터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37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와 하부 이젝터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저면 사시도이고, 도 38 내지 도 39는 도 37에 도시된 하부 이젝터를 다양한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또한, 도 4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하부 이젝터를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FIG. 3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nd a lower eject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5 to 3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lower ejector shown in FIG. 34 whe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In addition, FIG. 37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showing an ice maker and a lower ejector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38 to 39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lower ejector shown in FIG. 37 when viewed from various directions. In addition, FIG. 40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of the lower ejecto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분리될 수 있도록, 상기 아이스 메이커(100)는 하부 이젝터(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ice maker (100) may further include a lower ejector (400) so that ice adhered to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separated.
상세히, 제빙 완료 후,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상부 어셈블리(110)와 이격되면서 회전하면,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 밀착된 얼음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에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할 수 있다. In detail, after ice making is complete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while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assembly (110), the lower ejector (400) can pressurize the lower assembly (200) so that ice adhered to the lower assembly (20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assembly (200). At this time, the lower ejector (400) can pressurize the lower tray (250).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일 예로 상기 상부 어셈블리(110)에 고정될 수 있다. The above lower ejector (400) can be fixed to the upper assembly (110), for example.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하부 이젝터 바디(410)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얼음 챔버(111)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 The lower ejector (400) may include a lower ejector body (410) and a plurality of lower ejecting pins (420)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410). The lower ejecting pins (420) may be provided in the same number as the ice chamber (111).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상부 트레이(120)에서 수직방향으로 연장된 수직벽(120a)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수직벽(120a)은 아이스 메이커의 후벽을 형성한다.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수직벽(120a)에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joined to a vertical wall (120a)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upper tray (120). The vertical wall (120a) forms a rear wall of the ice maker.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detachably assembled to the vertical wall (120a).
또한,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수직벽(120a)과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마주보는 일측에, 상기 수직벽(120a)을 기준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410a)을 형성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jector body (410) may be formed parallel to the vertical wall (120a). In addition, the lower ejector body (410) may form an inclined surface (410a) formed at an angle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wall (120a) on one side facing the lower tray (250).
한편, 상기 경사면(410a)은 이빙을 위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하부 이젝터(400) 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경사진 각도와 대응하는 각도만큼 경사질 수 있다.Meanwhile, the inclined surface (410a) can be inclined at an angle corresponding to the inclined angle of the lower assembly (200)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toward the lower ejector (400) for ejection.
즉, 상기 이빙을 위한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410a)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하단은 나란하게 형성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rotation of the lower assembly (200) for the above-mentioned moving is completed, the inclined surface (410a)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assembly (200) can be formed parallel.
한편, 수직벽(120a)은 상부 케이스(12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상부 케이스(120)와 별도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vertical wall (120a)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upper case (120) or may be provided separately from the upper case (120).
또한, 상기 서포터 바디(271)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관통하기 위한 하부 개구(27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개구(274)는 각각의 챔버 수용부(272)에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upporter body (271) may include a lower opening (274) for the lower ejector (400) to pass through during the icing process. The lower opening (274) may be formed in each chamber receiving portion (272).
또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형성된 하부 챔버(252) 및 상기 하부 챔버(252)가 수용되는 챔버 수용부(272), 챔버 수용부(272)에 형성된 하부 개구(274)의 개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jection pin (420) may be formed to have the same number of lower chambers (252) formed in the lower tray (250),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in which the lower chambers (252) are received, and lower openings (274) formed in the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일 예로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하부 챔버(25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포터 바디(271)에는 3개의 하부 챔버(252)가 각각 수용되게 3개의 챔버 수용부(272)가 형성되고, 상기 각각의 챔버 수용부(272)에는 하부 개구(27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 역시, 상기 각각의 하부 개구(274)를 통과하여, 3개의 하부 챔버(252)를 가압하도록 3개 구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ree lower chambers (252) may be formed in the lower tray (250). In addition, three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may be formed in the supporter body (271) to receive the three lower chambers (252), respectively, and a lower opening (274) may be provided in each of the chamber receiving portions (272). In addition, three lower ejecting pins (420) may also be provided to pressurize the three lower chambers (252) by passing through each of the lower openings (274).
따라서, 상기 하부 이젝터(400)가 고정된 상태에서, 하부 어셈블리(200)가 하부 이젝터(400) 측으로 회전하면, 하부 이젝팅 핀(420)이 하부 개구(274)를 관통하고,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트레이(250)가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하부챔버(252)의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toward the lower ejector (400) while the lower ejector (400) is fixed, the lower ejecting pin (420) can penetrate the lower opening (274) and pressurize the lower tray (250). Then, the lower tray (250) is deformed by the pressing force of the lower ejecting pin (420), and the ice in the lower chamber (252)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한편,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적어도 하나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ejection pin (420) can be formed to have at least one shorter length.
일 예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총 3개 구비될 수 있다. 그 중 가운데 배치된 하부 이젝팅 핀(422, 도 40참조)의 길이가 양측에 배치된 하부 이젝팅 핀(421,423, 도 40참조) 대비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a total of three lower ejection pins (420) may be provided. Among them, the l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 (422, see FIG. 40) arranged in the middle may be formed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s (421, 423, see FIG. 40) arranged on both sides.
상기와 같이,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421,422,423)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이젝팅 핀(422)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이빙 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f the length of one of the lower ejection pins (422) among the plurality of lower ejection pins (421, 422, 423) is formed short,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during ejection can be reduced.
상세히, 복수의 하부 이젝팅 핀(421,422,423) 중 어느 하나의 하부 이젝팅 핀(422)의 길이가 짧게 형성되면,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2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3)에 먼저 접촉하고, 나머지 하나의 하부 이젝팅 핀(422)이 나중에 접촉하게 된다. In detail, when the length of one of the lower ejecting pins (421, 422, 423) is formed short,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wer assembly (200), the lower tray (250) first contacts two of the lower ejecting pins (421, 423) and then contacts the remaining lower ejecting pin (422).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2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3)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고, 나머지 하나의 하부 이젝팅 핀(422)이 나중에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게 된다. An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continuously rotated, the two lower ejecting pins (421, 423) pressurize the lower tray (250), and the remaining one lower ejecting pin (422) pressurizes the lower tray (250) later.
그리고, 2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3)에 의해서 먼저 가압된 하부 트레이(250)의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후, 중간의 하부 이젝팅 핀(422)에 의해서 나중에 가압된 하부 트레이(250)의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And, after the ice in the lower tray (250) that is first pressed by the two lower ejecting pins (421, 423) is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the ice in the lower tray (250) that is later pressed by the lower ejecting pin (422) in the middl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즉, 하부 트레이(250)의 얼음이 순차적으로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That is, the ice on the lower tray (250) can be sequentially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따라서, 하부 어셈블리(200)에 회전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180)에 포함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시간차를 두고 분배되면서, 순간적으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줄어들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80) that provides rotational power to the lower assembly (200) is distributed with a time difference, so that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can be reduced instantaneously.
반면, 3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2,423)의 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되면,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3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2,423)와 동시에 접촉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if the lengths of the three lower ejecting pins (421, 422, 423) are formed to be the same, the lower tray (2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hree lower ejecting pins (421, 422, 423) simultaneously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wer assembly (200).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3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2,423)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동시에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3개의 하부 이젝팅 핀(421,422,423)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3개의 얼음이 거의 동시에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An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continuously rotated, the three lower ejecting pins (421, 422, 423) pressurize the lower tray (250) simultaneously, so that the lower tray (250) is deform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three lower ejecting pins (421, 422, 423) is transmitted to the ice, so that the three ices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almost simultaneously.
이때, 구동유닛(180)에 포함된 모터에 가해지는 부하가 증가될 수 밖에 없다. At this time, the load applied to the motor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80) cannot help but increase.
또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서 돌출되는 핀 바디(420a)와 상기 핀 바디(420a)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가압부(420b)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ejection pin (420) may include a pin body (420a)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410) and a pressurizing portion (420b)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pin body (420a).
일 예로 상기 핀 바디(420a)와 가압부(420b)는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절곡된 형태일 수 있으며, 상기 가압부(420b)는 하부 트레이(250)의 중심을 가압하도록 핀 바디(420a)에서 연장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in body (420a)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be bent to form a certain angle, and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extend from the pin body (420a) to pressurize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50).
상세히 상기 핀 바디(420a)는 곡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In detail, the above pin body (420a) may be formed in a curved shape and may be formed to slope downward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jector body (410) to the other side.
다른 예로, 상기 핀 바디(420a)는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되, 적어도 일부가 곡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in body (420a)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jector body (410), but at least a portion thereof may be formed to be rounded in a curved shape.
또 다른 예로, 상기 핀 바디(420a)는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에 연결된 일측에서 타측으로 하향 경사지되, 적어도 일부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궤적의 연장선상에 위치되게 곡선형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pin body (420a) may be formed to have a rounded curved shape so that it slopes downward from one side connected to the lower ejector body (410) to the other side, but at least a portion of it is positioned on an extension of the rotational trajectory of the lower assembly (200).
상기 가압부(420b)는 상기 핀 바디(420a)로부터 연장되어 이빙을 위해서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할 때, 하부 트레이(250)의 중심에 접촉하여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pin body (420a) and contact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50) to pressurize it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for separation.
상세히 상기 가압부(420b)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중심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어지도록 상기 핀 바디(420a)와 일정한 각도를 형성하여 연결될 수 있다.In detail,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can be connected to the pin body (420a) at a certain angle so as to increase the area of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50).
또한, 상기 가압부(420b)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접촉되는 가압 경사부(420c)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include a pressurizing inclined portion (420c)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tray (250).
예를 들어, 상기 가압부(420b)의 상단부의 길이가 하단부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됨에 따라서 상기 가압 경사부(420c)가 형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essing slope (420c) can be formed by forming the length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ing portion (420b) to be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portion.
상기 가압 경사부(420c)는 이빙 과정에서 상기 가압 경사부(420c)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먼저 접촉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pressure slope (420c) can be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pressure slope (420c) first contacts the lower tray (250) during the ice-making process.
만약, 상기 가압부(420b)에 가압 경사부(420c)가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회전하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상기 가압부(420b)의 하단부가 먼저 접촉하게 된다. 이 경우, 상기 가압부(420b)의 일부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거나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중앙부에서 이격된 위치에서 하부 트레이(250)의 변형이 발생하여 얼음의 이빙 성능이 저하될 수 있다.If the lower tray (250) rotates while the pressure slope (420c) is not formed on the pressure portion (420b), the lower end of the pressure portion (420b)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tray (250) first. In this case, only a part of the pressure portion (420b) presses the lower tray (250) or deformation of the lower tray (250) occurs at a location spaced from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50), which may deteriorate the ice-making performance.
그러나,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가압부(420b)에 가압 경사부(420c)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가압 경사부(420c)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먼저 접촉하게 되거나,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시에 접촉할 수 있다. However, in the case where the pressure inclined portion (420c) is formed on the pressure portion (420b)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tray (250), the upper portion of the pressure inclined portion (420c) may first contact the lower tray (250), or the upper portion and the lower portion may contact each other at the same time.
일 예로, 상기 가압 경사부(420c)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접촉하여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하는 회전각도의 하한치(약, 112도)에 도달했을 때, 하부 트레이(250)의 중심선과 일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ressurized inclined portion (420c) may be formed to coincide with the center line of the lower tray (250)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eaches a lower limit (approximately 112 degrees) of the rotation angle at which it contacts the lower tray (250).
상기와 같이 상기 가압 경사부(420c)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가압 경사부(420c)의 상단부가 먼저 접촉 또는 상단부와 하단부가 동시에 접촉되면 상기 가압부(420b)가 하부 트레이의 중앙부를 가압할 수 있어서 이빙 성능이 향상된다. When the pressurizing slope (420c)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izing slope (420c) comes into contact first or the upper and lower parts come into contact simultaneously, the pressurizing part (420b) can pressurize the central part of the lower tray, thereby improving the ice-making performance.
또한, 상기와 같이, 하부 트레이(250)의 중심에 가압부(420b)가 접촉한 상태에서, 하부 어셈블리(200)가 추가로 회전할 때, 지속적으로 하부 트레이(250)의 중심으로 가압력이 가해지면서, 이빙에 유리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further rotated while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is in contact with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5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essurizing force is continuously appli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250).
또한, 상기 가압부(420b)는 하부 트레이(250)와 접촉하는 단부에 오목한 홈부(424)를 형성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may form a concave groove portion (424) at the end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tray (250).
따라서,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이빙을 위해서, 가압부(420b)가 구 형상의 하부 트레이(250), 즉 하부 챔버(111)의 볼록한 하측을 누를 때, 홈부(424)에 의해 안정적인 접촉이 가능하고 한 곳이 힘이 집중되면서, 얼음이 깨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tr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 (420) can be improved. In addition, for ice ejection, when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presses the convex lower side of the spherical lower tray (250), i.e., the lower chamber (111), stable contact is possible by the groove portion (424), and the problem of ice breaking can be prevented as the force is concentrated in one place.
만약, 가압부(420b)의 단부가 평면일 경우, 하부 이젝팅 핀(420)은 구 형상의 하부 챔버(111)와 점접촉하게 되고, 접촉 면적이 줄어들면서,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혹은 한곳에 힘이 집중되면서, 얼음이 깨질 우려도 있다. If the end of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is flat, the lower ejecting pin (420) comes into point contact with the spherical lower chamber (111), and as the contact area decreases, there is a risk that the pressurizing force will not be properly transmitted. Or, if the force is concentrated in one place, there is a risk that the ice will break.
반면, 본 발명의 경우, 가압부(420b)에 오목한 홈부(424)가 형성되면서, 하부 이젝팅 핀(420)은 구 형상의 하부 챔버(111)와 선접촉 내지 면접촉할 수 있고, 접촉 면적이 커지면서, 가압력이 제대로 전달되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힘이 분산되면서, 얼음이 깨지는 문제를 예방할 수 있는 이점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a concave groove (424) is formed in the pressurizing portion (420b), the lower ejecting pin (420) can make line contact or surface contact with the spherical lower chamber (111), and as the contact area increase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pressurizing force is properly transmitted. In addition, since the force is distributed, there is also an advantage in that the problem of ice breaking can be prevented.
또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핀 바디(420a) 저면에 보강용 장공(425)이 적어도 하나 구비될 수 있다. Additionally, at least one reinforcing hole (425) may be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pin body (420a) of the lower ejection pin (420).
또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길이를 연장하여 이빙을 위한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시, 구동유닛(180)에 포함된 모터 기어의 공차에 의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최대 이빙위치(약, 115도)에 미도달하더라도 하부 챔버(111)로 충분한 가압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 (420),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for ejection, even if the lower assembly (200) does not reach the maximum ejection position (approximately 115 degrees) due to the tolerance of the motor gear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80), sufficient pressure can be transmitted to the lower chamber (111).
한편, 상기 하부 이젝터(400)는 상기 수직벽(120a)과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ejector (400) can be combined with the vertical wall (120a) in various ways.
도 34 및 도 37을 참조하면, 상기 수직벽(120a)은 이빙을 위한 하부 어셈블리(200) 회전 시, 하부 트레이(250)와 마주보는 일면에서, 하부 트레이(250) 측을 향해서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1a)를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4 and FIG. 37, the vertical wall (120a) can form a protrusion (121a) that protrudes forward toward the lower tray (250) on one side facing the lower tray (250) when the lower assembly (200) for moving rotates.
그리고, 상기 돌출부(121a)의 하단에는 후방으로 오목한 캐비티(122a)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부 이젝터(400)의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캐비티(122a)에 수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돌출부(121a)의 하부에 위치될 수 있다. And, a concave cavity (122a) can be form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21a) toward the rear. And, the lower ejector body (410) of the lower ejector (400) can be accommodated in the cavity (122a). Therefore,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positioned at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121a).
또한, 상기 캐비티(122a)는 양측에 가이드 슬롯(123a)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이젝터 바디(410)의 양측에는 가이드 슬롯(123a)에 슬라이드 되면서 삽입되는 가이드 돌기(415)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avity (122a) may form guide slots (123a) on both sides. In addition, guide protrusions (415) that are inserted while sliding into the guide slots (123a)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jector body (410).
따라서,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 수직벽(120a)의 하방에서 상측으로 슬라이드 되면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하부 이젝터 바디(410) 양측의 가이드 돌기(415)는 캐비티(122a)는 양측에 형성된 가이드 슬롯(123a)에 삽입된다.Accordingly,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combined by sliding up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vertical wall (120a). At this time, the guide protrusions (415) on both sides of the lower ejector body (410) are inserted into the guide slots (123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avity (122a).
도 31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상기와 같이 수직벽(120a)에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430)을 이용해서, 상기 캐비티(122a)의 상면(122b)에 결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1,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22b) of the cavity (122a) using a fastening means (430) such as a bolt or screw while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120a) as described above.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전방에서, 후방으로 오목한 체결홈부(416) 구비할 수 있다. 체결홈부(416)의 상면에는 체결수단(430)이 관통하는 체결홀(416a)이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ower ejector body (410) may be provided with a concave fastening groove (416) from the front to the rear. A fastening hole (416a) through which a fastening means (430) passe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416).
또한, 상기 체결홈부(416)는 경사면(410a)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홈부(410a)는 상부에서 하부로 그 전후방향 폭이 점차 줄어드는 형태를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fastening groove (416) may be formed on an inclined surface (410a). The fastening groove (410a) may have a shape in which its width in the front-back direction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top to the bottom.
또한, 체결홈부(416)는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a fastening groove (416) can be formed between the lower ejecting pins (420).
상기와 같이 체결홈부(416)가 형성되면, 체결홈부(416)의 상면과 캐비티(122a)의 상면(122b)이 면접촉된 상태에서, 체결홈부(416)의 하방에서 체결홈부(416)의 상면과 캐비티(122a)의 상면(122b)을 체결수단(430)으로 체결하여, 하부 이젝터 바디(410)를 수직벽(120a)에 보다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하부 이젝터(400)가 수직벽(120a)에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fastening groove (416) is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416) and the upper surface (122b) of the cavity (122a)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fastening groove (416) and the upper surface (122b) of the cavity (122a) are fastened by the fastening means (430) from below the fastening groove (416), so that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more easily fixed to the vertical wall (120a). In addition, the lower ejector (400) can be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120a) without the fastening portion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도 34를 참조하면, 상기 수직벽(120a)의 하단에는 상측으로 오목한 결합홈부(122c)를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ure 34, an upwardly concave joining groove (122c) can be additionally formed at the bottom of the vertical wall (120a).
그리고,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수직벽(120a)에 슬라이드 결합된 상태에서, 볼트, 나사 등의 체결수단(430)을 이용해서, 상기 결합홈부(122c)의 상면(122d)에 결합될 수 있다. And,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122d) of the coupling groove (122c) using a fastening means (430) such as a bolt or screw while being slidably coupled to the vertical wall (120a).
이를 위해,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하단에 후방으로 돌출된 연장부(417)를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연장부(417)애에 의해서,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410)는 후면의 하단에 결합홈부(122c)의 상면과 마주보는 결합단턱(418)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417)에는 체결홀(417a)이 형성된 체결보스(417b)가 형성될 수 있다. To this end, the lower ejector body (410) may form an extension (417) that protrudes rearwardly at the bottom. In addition, by the extension (417), the lower ejector body (410) may form a joining step (418) facing the upper surface of the joining groove (122c) at the bottom of the rear. A joining boss (417b) having a joining hole (417a) formed therein may be formed at the extension (417).
상기와 같이 결합홈부(122c) 및 연장부(417)가 형성되면, 결합홈부(122c)의 상면(122d)과 결합단턱(418)이 면접촉된 상태에서, 연장부(417)의 하방에서 결합홈부(122c)의 상면(122d)과 연장부(417)을 체결수단(430)으로 체결하여, 하부 이젝터 바디(410)를 수직벽(120a)에 보다 쉽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체결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면서, 하부 이젝터(400)가 수직벽(120a)에 결합될 수 있다. When the joining groove (122c) and the extension (417) are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upper surface (122d) of the joining groove (122c) and the joining step (418) are in surface contact with each other, and the upper surface (122d) of the joining groove (122c) and the extension (417) are joined by the joining means (430) from below the extension (417), so that the lower ejector body (410) can be more easily fixed to the vertical wall (120a). In addition, the lower ejector (400) can be joined to the vertical wall (120a) without the joining part being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와 같이 하부 이젝터(400)가 구비되면, 이빙을 위한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더라도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가압되고, 결과적으로 하부 챔버(252)의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ejector (400) is provided as described above,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for ice separation, even if the ice is not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by its own weight, the lower tray (250) is pressurized by the lower ejector (400), and as a result, the ice in the lower chamber (252)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하부 이젝터(400) 측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Specifically, as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toward the lower ejector (400), the lower tray (2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jecting pin (420).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하부 이젝터(400) 측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을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An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continuously rotated toward the lower ejector (400), the lower ejecting pin (420) presses the lower tray (250), so that the lower tray (250) is deform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lower ejecting pin (420) is transmitted to the ice, so that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The ic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can fall downward and be stored in the ice bin (102).
상기와 같은 이빙을 위한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시, 구동유닛(180)에 포함된 모터 기어의 공차에 의해 하부 어셈블리(200)가 최대 이빙위치(약, 115도)에 미도달하게 될 우려가 있다. 이 경우, 이빙이 완벽히 진행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이빙이 확실이 이루어 지도록, 하부 어셈블리(200)가 최대 이빙위치(약, 115도)를 넘길 수 있도록 구동유닛(180)에 포함된 모터를 추가 회전시키는 제어가 진행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for the above-described separa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lower assembly (200) may not reach the maximum separation position (approximately 115 degrees) due to the tolerance of the motor gear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80). In this case, a problem occurs in which separation does not proceed perfectly. Therefore, in order to ensure separation, a control may be performed to additionally rotate the motor included in the driving unit (180) so that the lower assembly (200) can exceed the maximum separation position (approximately 115 degree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아이스 메이커에 의한 얼음 제조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Below, a process for making ice using an ic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41은 급수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2는 제빙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41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water supply state, and Fig. 4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de-icing state.
도 43은 제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4는 이빙 초기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45는 이빙 완료 상태에서 도 3a의 B-B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Fig. 4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state where ice making is complete, Fig. 4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state where ice breaking is initial, and Fig. 4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3a in a state where ice breaking is complete.
도 41 내지 도 45를 참조하면, 먼저,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대기 위치로 회전된다. Referring to FIGS. 41 to 45, first,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to a water supply standby position.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은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이격된다. In the water supply standby position of the lower assembly (200),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은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중심(C2)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높이에 위치될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may be positioned at a height equal to or similar to the rotation center (C2) of the lower assembly (200).
본 실시 예에서, 이빙을 위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방향(도면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을 정 방향이라고, 그 반대 방향(시계 방향)을 역 방향이라 한다. In this embodiment, the direction in which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for moving (counterclockwise with respect to the drawing) is called the forward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clockwise) is called the reverse direction.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급수 대기 위치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이루는 각도는 대략 8도 내외일 수 있다. Although not limited, the angle formed by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at the water supply standby position of the lower assembly (200) may be approximately 8 degrees.
이와 같은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물이 상기 급수부(190)에 의해서 안내되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In this state,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guided by the water supply unit (190) and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이때,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복수의 유입 개구(154) 중 일 유입 개구를 통해 물이 상기 얼음 챔버(111)로 공급된다. At this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ice chamber (111) through one of the multiple inlet openings (154) of the upper tray (150).
급수가 완료된 상태에서, 물의 일부는 상기 하부 챔버(252)에 가득채워지고,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상기 하부 트레이(250) 사이 공간에 채워질 수 있다. When the water supply is complete, some of the water may be filled in the lower chamber (252), and another part may be filled in the space between the upper tray (150) and the lower tray (250).
물의 또 다른 일부는 상기 상부 챔버(151)에 채워질 수 있다. 물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이루는 각도나, 상기 하부 챔버(252)와 상부 챔버(152)의 체적에 따라서 급수 완료 후 물이 상기 상부 챔버(152)에는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Another portion of water may be filled in the upper chamber (151). Of course, depending on the angle formed betwee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or the volume of the lower chamber (252) and the upper chamber (152), water may not be located in the upper chamber (152) after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는 3개의 하부 챔버(252) 간의 상호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는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is no channel for mutual communication between the three lower chambers (252) in the lower tray (250).
이와 같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물의 이동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이격되어 있으므로, 급수 과정에서 특정 하부 챔버에 물이 가득차게 되면, 물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을 따라 다른 하부 챔버로 유동할 수 있다. Even if there is no channel for the movement of water in the lower tray (250),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is spaced apart from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so that when a specific lower chamber is filled with water during the water supply process, the water can flow to another lower chamber along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따라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복수의 하부 챔버(252) 각각에 물이 가득찰 수 있다. Accordingly, each of the plurality of lower chambers (252) of the lower tray (250) can be filled with water.
또한, 본 실시 예의 경우,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하부 챔버(252) 들의 연통을 위한 채널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얼음 생성 완료 후 얼음의 둘레에 돌기 형태의 추가 얼음이 존재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re is no channel for communication between the lower chambers (252) in the lower tray (250), the presence of additional ice in the form of protrusions around the ice after ice creation is completed can be prevented.
급수 완료된 상태에서, 도 42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는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과 가까워지게 된다. In the state where the water supply is completed,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as shown in Fig. 42.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becomes closer to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그러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 사이의 물은 상기 복수의 상부 챔버(152) 각각의 내부로 나뉘어 분배된다. Then, the water betwee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is divided and distributed into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chambers (152).
그리고,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완전하게 밀착되면, 상기 상부 챔버(152)에 물이 채워지게 된다. And, when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are completely in contact, the upper chamber (152) is filled with water.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상면(251e)과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하면(151e)이 접촉된 상태에서의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위치를 제빙 위치라 할 수 있다. The position of the lower assembly (200) in which the upper surface (251e) of the lower tray (250) and the lower surface (151e) of the upper tray (150) are in contact can be referred to as the ice-making position.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된다.Ice making begins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moved to the ice making position.
제빙 중에는 물의 가압력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볼록부(251b)를 변형시키기 위한 힘 보다 작으므로, 상기 볼록부(251b)는 변형되지 않고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게 된다. During ice making, the pressure of the water is less than the force to deform the convex portion (251b) of the lower tray (250), so the convex portion (251b) is not deformed and maintains its original shape.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다.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되면, 상기 하부 히터(296)의 열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로 전달된다. When ice making begins, the lower heater (296) is turned on. When the lower heater (296) is turned on, the heat of the lower heater (296) is transferred to the lower tray (250).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가 온된 상태에서 제빙이 수행되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얼음이 최상측에서부터 생성된다. Therefore, when ice making is performed with the lower heater (296) turned on, ice is created from the top inside the ice chamber (111).
즉,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 측에서부터 물이 얼음으로 변화된다. 얼음이 상기 얼음 챔버(11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 내의 기포는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That is, water is changed into ice from the inlet opening (154) side within the ice chamber (111). Since ice is created from the upper side within the ice chamber (111), the air bubbles within the ice chamber (111) move downward.
상기 얼음 챔버(111)가 구 형태로 형성되므로, 상기 얼음 챔버(111)의 높이 별로 수평 단면적이 다르다. Since the ice chamber (111)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ice chamber (111).
따라서, 상기 하부 히터(296)의 출력은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높이에 따라서 가변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output of the lower heater (296) can be varied depending on the height at which ice is generated in the ice chamber (111).
상측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수평 단면적은 증가하다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하부 트레이(250)의 경계에서 최대가 되고 다시 하측으로 감소하게 된다. The horizontal cross-sectional area increases from top to bottom, reaches a maximum at the boundary between the upper tray (150) and lower tray (250), and then decreases downward.
상기 얼음 챔버(111)에서 얼음이 상측에서 하측으로 생성되는 과정에서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블록부(251b)의 상면에 접촉하게 된다. In the process of ice being generated from the top to the bottom in the ice chamber (111), the ice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portion (251b) of the lower tray (250).
이 상태에서 얼음이 지속적으로 생성되면 도 43과 같이 상기 블록부(251b)가 가압되어 변형되고, 제빙 완료 시 구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In this state, if ice is continuously generated, the block part (251b) is pressurized and deformed as shown in Fig. 43, and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spherical ice can be generated.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는 상기 온도 센서(50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The undocumented control unit can determine whether ice making is complete based on the temperature detected by the temperature sensor (500).
제빙 완료 시 또는 제빙 완료 전에 상기 하부 히터(296)는 오프될 수 있다. The lower heater (296) may be turned off upon completion of ice making or before completion of ice making.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먼저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된다.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온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ice making is completed, the upper heater (148) is first turned on to separate the ice. When the upper heater (148) is turned on, the heat of the upper heater (148) is transferred to the upper tray (150), so that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inner surface) of the upper tray (150).
상기 상부 히터(148)가 설정 시간 작동되면, 상기 상부 히터(148)가 오프되고, 상기 구동 유닛(180)이 작동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When the upper heater (148) operates for a set time, the upper heater (148) is turned off and the driving unit (180) operates so that the lower assembly (200) can rotate in the forward direction.
도 44와 같이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멀어져 이격된다. As shown in Fig. 44,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ower tray (250) is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150).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기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기 유닛 가이드(181, 182)에 의해서 하강하게 되어,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해 상기 상부 챔버(152) 내로 인입된다. And, the rotational power of the lower assembly (200) is transmitted to the upper ejector (300) by the connecting unit (350). Then, the upper ejector (300) is lowered by the unit guide (181, 182), and the upper ejecting pin (320) is drawn into the upper chamber (152) through the inlet opening (154).
이빙 과정에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얼음을 가압하기 전에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즉,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에 의해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During the ice ejection process,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250) before the upper ejecting pin (320) pressurizes the ice. That is,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tray (150) by the heat of the upper heater (148).
이 경우에는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5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ice can be rotated together with the lower assembly (25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ower tray (250).
또는, 상기 상부 히터(148)의 열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로 가해지더라도 상기 상부 트레이(150)의 표면에서 얼음이 분리되지 않는 경우도 있을 수 있다. Alternatively, even if the heat of the upper heater (148) is applied to the upper tray (150), there may be cases where ice is not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upper tray (150).
따라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정 방향 회전 시,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분리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otates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whil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이 상태에서는,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유입 개구(154)를 통과한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와 밀착된 얼음을 가압함으로써, 얼음이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트레이(150)에서 분리된 얼음은 다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될 수 있다. In this state,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the upper ejecting pin (320) that has passed through the inlet opening (154) presses the ice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tray (150), so that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150). The ice separated from the upper tray (150) can be supported again by the lower tray (250).
얼음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의해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50)와 함께 회전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 외력이 가해지지 않더라도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When the ice is rotated together with the lower assembly (250) while being supported by the lower tray (250),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by its own weight even if no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lower tray (250).
만약,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회전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자중에 의해서 분리되지 않더라도 도 45와 같이 상기 하부 이젝터(400)에 의해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가압되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에서 분리될 수 있다. If, during th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the ice is not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by its own weight, as shown in FIG. 45,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if the lower tray (250) is pressurized by the lower ejector (400).
구체적으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과 접촉하게 된다. Specifically, during the process of rotating the lower assembly (200), the lower tray (25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lower ejecting pin (420).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정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되면,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250)가 변형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트레이(250)의 표면과 분리된 얼음을 하방으로 낙하되어 상기 아이스 빈(102)에 보관될 수 있다. An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is continuously rotated in the forward direction, the lower ejecting pin (420) presses the lower tray (250), so that the lower tray (250) is deformed, and the pressing force of the lower ejecting pin (420) is transmitted to the ice, so that the ice can b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The ice separated from the surface of the lower tray (250) can fall downward and be stored in the ice bin (102).
상기 하부 트레이(2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다시 상기 구동 유닛(180)에 의해서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된다. After the ice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the lower assembly (200) is rotated in the reverse direction by the driving unit (180).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역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 이젝팅 핀(420)이 상기 하부 트레이(250)와 이격되면, 변형된 하부 트레이는 원래의 형태로 복원될 수 있다. When the lower ejection pin (420) is separated from the lower tray (250) during the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rotating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deformed lower tray can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hape.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의 역 방향 회전 과정에서 회전력이 상기 연결 유닛(350)에 의해서 상부 이젝터(300)로 전달되어, 상기 상부 이젝터(300)가 상승하고, 상기 상부 이젝팅 핀(320)은 상기 상부 챔버(152)에서 빠지게 된다. And, during the reverse rotation process of the lower assembly (200), the rotational force is transmitted to the upper ejector (300) by the connecting unit (350), so that the upper ejector (300) rises and the upper ejecting pin (320) falls out of the upper chamber (152).
그리고, 상기 하부 어셈블리(200)가 급수 대기 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구동 유닛(180)이 정지되고, 다시 급수가 시작된다. And, when the lower assembly (200) reaches the water supply standby position, the driving unit (180) stops and water supply starts again.
100: 아이스 메이커 110: 상부 어셈블리
120: 상부 케이스 150: 상부 트레이
170: 상부 서포터 200: 하부 어셈블리
210: 하부 케이스 250: 하부 트레이
270: 하부 서포터 300 : 상부 이젝터
400 : 하부 이젝터100: Ice Maker 110: Upper Assembly
120: Upper case 150: Upper tray
170: Upper support 200: Lower assembly
210: Lower case 250: Lower tray
270: Lower supporter 300: Upper ejector
400 : Lower Ejector
Claims (16)
상기 얼음의 챔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하부 어셈블리;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상부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상부 이젝터;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트레이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에서 얼음을 분리시키는 하부 이젝팅 핀과 하부 이젝터 바디를 구비하는 하부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에서 돌출되는 핀 바디와 상기 핀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An upper assembly comprising an upper tray forming part of an ice chamber;
A lower assembly comprising a lower tray forming another portion of the ice chamber;
A driv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lower assembly and rotating the lower assembly;
An upper ejector having an upper ejecting pin for separating ice from the upper tray by descending by the power of the above driving unit; and
It includes a lower ejector having a lower ejecting pin and a lower ejector body that pressurizes the lower tray that rotates by the power of the above driving unit to separate ice from the lower tray.
The above lower ejection pin is an ice maker including a pin body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and a pressurizing portion extending and bending from the pin body.
상기 가압부의 단부에는 상기 하부 트레이에 접촉되어 상기 하부 트레이를 가압하는 가압 경사부가 구비되고,
상기 가압부의 상단의 길이는 하단의 길이보다 긴 아이스 메이커.In paragraph 1,
At the end of the above pressurizing portion, a pressurizing inclined portion is provided to contact the lower tray and pressurize the lower tray.
An ice maker in which the length of the upper part of the pressurized portion is long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part.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가압부는 상기 하부 트레이의 중심을 향하는 아이스 메이커.In the second paragraph,
An ice maker wherein the pressurizing portion faces the center of the lower tray when the lower assembly rotates in one direction.
상기 하부 이젝팅 핀은 하나 이상이고, 서로 상이한 길이를 가지는 아이스 메이커.In paragraph 1,
An ice maker wherein the lower ejection pins are one or more and have different lengths.
상기 하부 이젝팅 핀은 3개이고,
가운데 배치된 하부 이젝팅 핀의 길이가 양측에 배치된 하부 이젝팅 핀의 길이보다 짧은 아이스 메이커.In paragraph 4,
The above lower ejection pins are three in number,
An ice maker in which the l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 positioned in the center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lower ejection pins positioned on both sides.
상기 상부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가 더 포함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하부 이젝터의 일부가 수용되는 캐비티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In paragraph 1,
The upp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upper case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tray pass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An ice maker wherein the upper case includes a cavity in which a portion of the lower ejector is accommodated.
상기 하부 이젝터는,
상기 하부 이젝팅 핀이 결합되고,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는 하부 이젝터 바디를 더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In paragraph 6,
The above lower ejector,
An ice maker further comprising a lower ejector body to which the lower ejection pin is coupled and which is accommodated in the cavity.
상기 구동 유닛과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연결하는 연결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구동 유닛의 동력을 상기 하부 어셈블리로 전달하기 위해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양측에 연결되는 한 쌍의 제 1 링크와,
상기 상부 이젝터와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연결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 이젝터로 전달하는 한 쌍의 제 2 링크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In paragraph 1,
Including a connecting unit connecting the above driving unit and the lower assembly,
The above connecting unit is,
A pair of first link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lower assembly to transmit power of the above driving unit to the lower assembly;
An ice maker comprising a pair of second links connecting the upper ejector and the lower assembly and transmitt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lower assembly to the upper ejector.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일 방향 회전 시 상기 연결 유닛에 의해 상기 상부 이젝터가 하강하는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8,
An ice maker in which the upper ejector is lowered by the connecting unit when the lower assembly rotates in one direction.
상기 상부 이젝터는
상기 상부 이젝팅 핀이 결합되고, 상기 상부 이젝팅 핀이 연장되는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부 이젝터 바디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8,
The upper ejector above
An ice maker comprising an upper ejector body to which the upper ejector pin is coupled and which extends in a direction intersecting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ejector pin extends.
상기 제 2 링크의 상단에는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홀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의 양단에는 상기 홀로 삽입되고,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분리 방지 돌기가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10,
The upper part of the second link is provided with a hole extending horizontally,
An ice maker having separation-prevention protrusions inserted into the hole an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both ends of the upper ejector body.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는, 상기 상부 이젝팅 핀과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상하 가이드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10,
An ice maker wherein the upper ejector body includes upper and lower guides protruding in the same direction as the upper ejecting pin.
상기 상부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되고, 상기 상부 트레이의 하측에서 결합되는 상부 서포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서포터는 상기 연결 유닛을 가이드하고, 상기 상하 가이드가 인입되는 가이드 슬롯이 구비된 유닛 가이드를 포함하는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12,
The upp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upper supporter that is coupled to the lower side of the upper tray and has a portion of the upper tray penetrated therethrough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An ice maker comprising a unit guide having a guide slot into which the upper and lower guides are introduced, the upper supporter guiding the connection unit.
상기 상하 가이드의 수직방향의 길이는 상기 상부 이젝터 바디의 수직방향의 길이보다 큰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12,
An ice maker wherein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is greater than the vertical length of the upper ejector body.
상기 상부 어셈블리는, 상기 상부 트레이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의 일부가 관통되는 개구가 구비되는 상부 케이스가 더 포함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에는, 상기 상하 가이드의 적어도 일부가 인입되는 간섭 방지홈이 구비되는 아이스 메이커.In Article 12,
The upper assembly further includes an upper case having an opening through which a portion of the upper tray passes to fix the position of the upper tray,
An ice maker, wherein the upper case is provided with an interference prevention groove into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and lower guides are introduced.
상기 캐비닛 내에 설치되는 아이스 메이커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스 메이커는,
얼음의 챔버의 일부를 형성하는 상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상부 어셈블리;
상기 얼음의 챔버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하부 트레이를 포함하는 하부 어셈블리;
상기 하부 어셈블리의 일측에 위치하여 상기 하부 어셈블리를 회전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하강하여 상기 상부 트레이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한 상부 이젝팅 핀을 구비하는 상부 이젝터; 및
상기 구동유닛의 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하부 트레이를 가압하여 상기 하부 트레이에서 얼음을 분리시키는 하부 이젝팅 핀과 하부 이젝터 바디를 구비하는 하부 이젝터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이젝팅 핀은, 상기 하부 이젝터 바디에서 돌출되는 핀 바디와 상기 핀 바디로부터 절곡되어 연장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Cabinet with freezer compartment;
Including an ice maker installed within the above cabinet,
The above ice maker,
An upper assembly comprising an upper tray forming part of an ice chamber;
A lower assembly comprising a lower tray forming another portion of the ice chamber;
A driving unit located on one side of the lower assembly and rotating the lower assembly;
An upper ejector having an upper ejecting pin for separating ice from the upper tray by descending by the power of the above driving unit; and
It includes a lower ejector having a lower ejecting pin and a lower ejector body that pressurizes the lower tray that rotates by the power of the above driving unit to separate ice from the lower tray.
A refrigerator in which the lower ejection pin includes a pin body protruding from the lower ejector body and a pressurizing portion extending and bending from the pin body.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192A KR102737086B1 (en) | 2019-03-22 | 2019-03-2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US16/685,656 US11313603B2 (en) | 2018-11-16 | 2019-11-15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EP19209301.1A EP3653973A1 (en) | 2018-11-16 | 2019-11-15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US17/701,609 US11740000B2 (en) | 2018-11-16 | 2022-03-2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US18/224,356 US12163715B2 (en) | 2018-11-16 | 2023-07-20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KR1020240172633A KR20240173196A (en) | 2019-03-22 | 2024-11-27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US18/974,713 US20250102212A1 (en) | 2018-11-16 | 2024-12-09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33192A KR102737086B1 (en) | 2019-03-22 | 2019-03-2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72633A Division KR20240173196A (en) | 2019-03-22 | 2024-11-27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112544A KR20200112544A (en) | 2020-10-05 |
KR102737086B1 true KR102737086B1 (en) | 2024-11-29 |
Family
ID=7280927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33192A Active KR102737086B1 (en) | 2018-11-16 | 2019-03-22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KR1020240172633A Pending KR20240173196A (en) | 2019-03-22 | 2024-11-27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172633A Pending KR20240173196A (en) | 2019-03-22 | 2024-11-27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737086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86134A1 (en) * | 2004-10-26 | 2006-04-27 | Voglewede Ronald L | Refrigerator with compact icemak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01653B1 (en) * | 2009-06-24 | 2016-03-10 | 삼성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
KR101890939B1 (en) * | 2011-07-15 | 2018-08-2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
KR101850918B1 (en) * | 2011-10-04 | 2018-05-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Ice maker and method for making ice using the same |
-
2019
- 2019-03-22 KR KR1020190033192A patent/KR102737086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11-27 KR KR1020240172633A patent/KR2024017319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086134A1 (en) * | 2004-10-26 | 2006-04-27 | Voglewede Ronald L | Refrigerator with compact icemak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3196A (en) | 2024-12-10 |
KR20200112544A (en) | 2020-10-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122719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760086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20100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20101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EP3653973A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782080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30018502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30136583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11297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737086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753564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27605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753565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30589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660521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50101995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736443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34897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102822926B1 (en) | Ice maker | |
KR102832260B1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10129858A (en) | Ice maker | |
KR20250111071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00057604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50109653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
KR20230026373A (en) | Ice maker and refrigerat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903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202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903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