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6999B1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Google Patents

Laundry Treating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6999B1
KR102736999B1 KR1020180063622A KR20180063622A KR102736999B1 KR 102736999 B1 KR102736999 B1 KR 102736999B1 KR 1020180063622 A KR1020180063622 A KR 1020180063622A KR 20180063622 A KR20180063622 A KR 20180063622A KR 102736999 B1 KR102736999 B1 KR 1027369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clothing
compression
support
support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362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137440A (en
Inventor
김재형
장세민
노보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636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6999B1/en
Priority to EP19177662.4A priority patent/EP3575480A1/en
Priority to US16/427,517 priority patent/US11535976B2/en
Priority to AU2019203836A priority patent/AU2019203836B2/en
Priority to CN201910469420.7A priority patent/CN110552133B/en
Priority to CN202310102200.7A priority patent/CN115976811A/en
Publication of KR20190137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7440A/en
Priority to AU2021204707A priority patent/AU2021204707B2/en
Priority to US18/074,913 priority patent/US12054877B2/en
Priority to AU2023201762A priority patent/AU2023201762A1/en
Priority to KR1020230068225A priority patent/KR102815018B1/en
Priority to US18/773,169 priority patent/US20240368823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69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699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10Drying cabinets or drying chambers having heating or ventilating mea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3Laundry condition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18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particular garments or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1/00Apparatus for hot-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i.e. wherein there is substantially no relative movement between pressing element and article while pressure is being applied to the article; Similar machines for cold-pressing clothes, linen or other textile articles
    • D06F71/32Detail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73/00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 D06F73/02Apparatus for smoothing or removing creases from garments or other textile articles by formers, cores, stretchers, or internal frames, with the application of heat or steam  having one or more treatment chamb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56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ir ducts, e.g. position of flow diverter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3/0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3/60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 D06F2103/62Parameters monitored or detected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related to auxiliary conditioning or finishing agents, e.g. filling level of perfume tanks related to systems for water or steam used for conditioning or finish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16Air properties
    • D06F2105/20Temperatur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30Bl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ccessory Of Washing/Drying Machine, Commercial Washing/Drying Machine, Other Washing/Drying Mach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의류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한 압축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축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면에는 의류를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garment treatment device, comprising: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capable of accommodating garments; a supply unit supplying at least one of air and moisture into the storage space; a base provided in the storage space; a compression unit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nd a support unit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uni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garments are fixed, the support unit having a mounting surfac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compression unit, on which garments pressed by the compression unit are mounted, and a pressing surfac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base for pressing garments toward the base.

Description

의류처리장치{Laundry Treating Apparatus}{Laundry Treat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lothing treatment device.

일반적으로 의류처리장치는 의류에 관련된 각종 처리작업(세탁, 건조, 탈취, 구김제거 등)을 진행하는 장치로서 의류를 세탁하는 세탁장치, 젖은 의류를 건조하는 건조장치, 의류에 배인 냄새를 제거 또는 구김(wrinkle)을 제거하기 위한 리프레셔(refresher)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In general,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s a device that performs various processing tasks related to clothing (washing, drying, deodorizing, wrinkle removal, etc.), and includes a washing device that washes clothing, a drying device that dries wet clothing, and a refresher that removes odors or wrinkles from clothing.

종래 의류처리장치들은 의류가 수용되는 드럼과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장치를 이용하고 있어 의류의 탈취나 구김 제거에는 미흡한 면이 있었다. 즉,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이 회전하는 동안 탈취나 구김 제거가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드럼에 투입된 의류는 곧게 펴진 상태가 아니라 구겨진 상태이므로 구김 제거나 탈취에 한계가 있었다.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have been insufficient in deodorizing or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because they use a drum that receives clothing and a driving device to rotate the drum. That is,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generally perform deodorizing or removing wrinkles while the drum rotates, and since clothing fed into the drum is not straightened but crumpled, there are limitations in removing wrinkles or deodorizing.

또한, 종래 의류처리장치는 주름(의류에 미리 설정된 주름)을 잡아주는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의류에 주름을 형성시키려면 세탁이나 건조가 완료된 후 다리미와 같은 주름 형성 수단을 이용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s were not equipped with a means for forming wrinkles (pre-set wrinkles on clothing), there was an inconvenience in that a wrinkle-forming means such as an iron had to be used after washing or drying was completed to form wrinkles on clothing.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pable of drying, deodoriz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은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pleat)은 강화하고, 구김(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주름)은 제거하는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problem of providing a garment treatment device having a means for reinforcing pleats included in the design of garments and removing creases (wrinkles not included in the design of garments).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의류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한 압축부; 및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고정되는 공간을 제공하며, 상기 압축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되고,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면에는 의류를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including: a cabinet having a receiving space capable of receiving clothing; a supply unit supplying at least one of air and moisture into the receiving space; a base provided in the receiving space; a compression unit rotatable about a rotational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nd a support unit rotatably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uni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clothing is fixed, and a mounting surface on which clothing pressed by the compression unit is mounted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compression unit, and a pressing surface on which clothing pressed toward the base is formed.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면, 상기 가압면, 및 상단에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구비한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지지부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body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member and having the seating surface, the pressurizing surface, and a support surface on which clothing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a pair of support hinges that enable the support body to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bout a rotational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면, 상기 가압면, 및 상단에 의류가 지지되는 지지면을 구비한 지지바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한 쌍의 지지부 힌지;를 포함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may include a support body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member and having the seating surface, the pressurizing surface, and a support surface on which clothing is supported at the upper end; a pair of support hinges that enable the support body to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상기 지지부 힌지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슬릿;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왕복 가능한 제1링크; 및 일단은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지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상기 슬릿의 하단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상기 슬릿의 상단을 향해 이동시키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support hinge includes a slit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in the receiving space; a first link having one end fixed to the supporting body and the other end inserted into the slit and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slit; and a second link having one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nk or the supporting body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and capable of rotating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and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wherein the second link may be provided to mo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ward the lower end of the slit when the supporting body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 move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ward the upper end of the slit when the supporting body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is positioned.

본 발명은 상기 압축부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n op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force to cause the support body to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when the compression uni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링크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하는 힘을 상기 제2링크에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operating member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on spring that provides force to the second link to rotate the second link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된 제1바; 및 일단은 상기 슬릿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에 연결된 제2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면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의류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link may include a first bar fixed to the support body; and a second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l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bar; wherein the second bar may be provided to form a space into which clothing is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and the base when the support body rotates away from the base.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의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간을 벗어나지 않게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guide that prevents the free end of clothing placed on the support body from leaving the space provided by the base.

본 발명은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바디 관통홀; 및 상기 압축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압축부 관통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support body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support body; and a compression part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compression part.

본 발명은 상기 안착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고정되는 의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에 고정된 고정부 제1바디; 상기 고정부 제1바디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에 고정되지 않는 고정부 제2바디 및 고정부 제3바디; 상기 고정부 제2바디의 자유단과 상기 고정부 제3바디의 자유단을 연결하는 고정부 제4바디;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clothing fixing part provided on the mounting surface to fix clothing; the clothing fixing part may include a first fixing part body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and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 second fixing part body and a third fixing part body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part body and not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nd a fourth fixing part body connecting a free end of the second fixing part body and a free end of the third fixing part body.

상기 압축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된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안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부 홈; 및 상기 압축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안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상기 의류고정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수용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mpression member may further include a compression bod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 compression member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compression body facing the mounting surfac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a sewing line formed on clothing is received; and a fixing member receiving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of the space provided by the compression body facing the mounting surfac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lothing fixing member is received.

본 발명은 상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가압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base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pressurized surface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bas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a sewing line formed on clothing is received.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above base may be provided as one of the faces forming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space or may be fixed to one of the faces forming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space.

본 발명은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n inlet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nnect the receiving space with the outside; and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nd the base may be formed by one side of the door facing the receiving space or may be fixedly provided on one side of the door facing the receiving space.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supply unit may be provided to include at least one of an air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air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moisture supply unit for supplying heated steam or unheated steam to the receiving space.

본 발명은 의류의 건조, 탈취, 및 구김 제거가 가능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apable of drying, deodorizing, and removing wrinkles from clothing.

또한, 본 발명은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은 강화하고, 구김(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는 주름)은 제거하는 수단이 구비된 의류처리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garment treatment device having a means for reinforcing wrinkles included in the design of the garment and removing creases (wrinkles not included in the design of the garment).

도 1과 도 2는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과 도 4는 은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와 도 6은 프레서를 구성하는 지지부 및 압축부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프레서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프레서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Figures 1 and 2 illustrate examples of a clothing treatmen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illustrate examples of presses provided in the invention.
Figures 5 and 6 illustrate examples of a support member and a compression member constituting a press.
Figure 7 illustrates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s.
Figure 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er.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성요소 등을 구체적으로 특정하는 도면 및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사용된 것이다. 또한, 아래의 실시예에서 특정의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 및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과장 또는 축소되게 도시되거나 설명될 수 있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using drawings and examples that specifically specify compon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se are only used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in the examples below, specific components may be illustrated or described in an exaggerated or reduced mann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understanding.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외관을 형성하는 캐비닛(1), 상기 캐비닛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제1챔버(2, 수용공간), 상기 제1챔버(2)에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31, 34, 도 2 참고), 상기 제1챔버(2) 내부에 구비되어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pleat)은 강화하고, 의류의 구김(wrinkle,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은 주름)은 펴주는 프레서(P)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binet (1) forming an exterior, a first chamber (2, receiv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to provide a space in which garments are received, a supply unit (31, 34, see FIG. 2)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air and moisture to the first chamber (2), and a presser (P) provided inside the first chamber (2) to reinforce pleats included in the design of garments and smooth out wrinkles (wrinkles not included in the design of garments) of the garments.

상기 공급부(31, 34)는 제2챔버(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제2챔버(3)는 상기 캐비닛(1) 내부에 구비되되 상기 제1챔버(2)와 분리된 공간을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제2챔버(3)가 상기 제1챔버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격벽(15)을 통해 분리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 supply unit (31, 34)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 and the second chamber (3) may be provided inside the cabinet (1) but may be provided with a space separated from the first chamber (2).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econd chamber (3) is separated through a partition (15) so as to be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hamber.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캐비닛(1)에는 캐비닛의 높이방향(Z축 방향)을 따라 구비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캐비닛의 전방면(1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캐비닛의 전방면(11)을 향해 회전 가능한 도어(13)가 구비된다. 상기 제1챔버(2)는 상기 전방면(11)에 구비된 투입구(111)를 통해 외부와 연통하고, 상기 제2챔버(3)는 상기 전방면(11)에 구비된 연통구(112)를 통해 외부와 연통할 수 있다. 상기 연통구(112)는 상기 캐비닛(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2챔버 도어(3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13)가 전방면(1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면, 상기 투입구(111) 및 제2챔버 도어(35)는 동시에 외부에 노출될 것이다.As illustrated in FIG. 1, the cabinet (1) is provided with a door (13) that can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ont surface (11) of the cabinet and toward the front surface (11) of the cabinet about a rotation ax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Z-axis direction) of the cabinet. The first chamber (2) communicates with the outside through an inlet (111)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1), and the second chamber (3) can communicate with the outside through a communication port (11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11). The communication port (112) can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second chamber door (35)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abinet (1). When the door (13)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front surface (11), the inlet (111) and the second chamber door (35) will be simultaneously exposed to the outside.

상기 제1챔버(2)에는 의류를 지지하는 옷걸이 지지부가 더 구비되는데, 상기 옷걸이 지지부는 상기 제1챔버(2)의 너비방향(Y축 방향) 또는 제1챔버의 깊이방향(X축 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지지바(27), 상기 지지바의 양단을 상기 제1챔버(2)의 상부면에 고정시키는 지지바 고정부(29)로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2) is further provided with a hanger support for supporting clothing. The hanger support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ar (27)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Y-axis direction) of the first chamber (2) or the depth direction (X-axis direction) of the first chamber, and a support bar fixing part (29) that fixes both ends of the support ba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chamber (2).

상기 지지바(27)는 옷걸이 고리(H2)를 지지하는 수단으로, 옷걸이(H1)에 고정된 의류(C)는 상기 지지바(27)를 통해 상기 제1챔버(2) 내부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The above support bar (27) is a means for supporting a clothes hanger hook (H2), and clothing (C) fixed to the clothes hanger (H1) is maintained in an unfolded state inside the first chamber (2) through the support bar (27).

상기 공급부는 상기 제1챔버(2)로 가열된 공기 또는 미가열 공기를 공급 가능한 공기공급부(31), 및 상기 제1챔버(2)로 가열된 수증기(steam) 또는 미가열 수증기(mist)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34) 중 어느 하나로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공급부가 공기공급부(31) 및 수분공급부(34)를 모두 포함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 supply unit may be equipped with either an air supply unit (31) capable of supplying heated air or unheated air to the first chamber (2), or a moisture supply unit (34) capable of supplying heated steam or unheated steam (mist) to the first chamber (2).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supply unit includes both an air supply unit (31) and a moisture supply unit (34).

상기 공기공급부(31)는 상기 제1챔버(2) 내부의 공기를 제1챔버의 외부로 배출한 뒤 다시 제1챔버로 안내하는 덕트(311), 상기 덕트를 따라 이동하는 공기와 열교환하는 열교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air supply unit (31) may include a duct (311) that discharges air inside the first chamber (2) to the outside of the first chamber and then guides it back into the first chamber, and a heat exchange unit that exchanges heat with the air moving along the duct.

상기 제1챔버(2)와 제2챔버(3)는 상기 격벽(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배출구(21)와 공급구(23)를 통해 서로 연통하는데, 상기 덕트(311)는 일단은 상기 배출구(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공급구(23)에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덕트(311)는 제2챔버(3)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chamber (2) and the second chamber (3)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a discharge port (21) and a supply port (23) that are provid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15), and the duct (311) may be provid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2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upply port (23). In this case, the duct (311) may be provid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

상기 열교환부는 상기 덕트(311) 내부에서 회전하는 팬(318) 및 상기 덕트(311)로 유입된 공기를 제습한 뒤 가열하는 히트펌프(heat pump)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heat exchange unit may be equipped with a fan (318) that rotates inside the duct (311) and a heat pump that dehumidifies and then heats the air introduced into the duct (311).

히트펌프로 구비된 열교환부는 냉매의 순환유로를 제공하는 냉매관(317), 상기 냉매관(317)에 고정되어 상기 배출구(21)와 팬(318) 사이에 위치하는 제1열교환기(312, 증발기), 상기 냉매관(317)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열교환기(312)와 팬(318) 사이에 위치하는 제2열교환기(313, 응축기), 냉매가 상기 냉매관(317)을 따라 순환할 수 있게 하는 압축기(315), 제2열교환기(313)를 통과한 냉매의 압력을 낮추는 팽창기(316)를 포함한다.A heat exchanger equipped with a heat pump includes a refrigerant pipe (317) providing a refrigerant circulation path, a first heat exchanger (312, evaporator) fixed to the refrigerant pipe (317) and positioned between the discharge port (21) and a fan (318), a second heat exchanger (313, condenser) fixed to the refrigerant pipe (317) and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heat exchanger (312) and the fan (318), a compressor (315) allowing the refrigerant to circulate along the refrigerant pipe (317), and an expander (316) lowering the pressure of the refrigerant passing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313).

상기 제1열교환기(312)와 제2열교환기(313)는 덕트(3)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압축기(315) 및 팽창기(316)는 상기 덕트(311)의 외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압축기(315) 및 팽창기(316)는 상기 제2챔버 도어(35)가 연통구(112)를 개방한 때 외부에 노출되는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하다.The first heat exchanger (312) and the second heat exchanger (313) may be provided inside the duct (3), and the compressor (315) and the expander (316) may be provided outside the duct (311).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ressor (315) and the expander (316) be provided at a position where they are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second chamber door (35) opens the communication port (112).

상기 제1열교환기(312)는 상기 덕트(311)로 유입된 공기에서 열을 흡수하여 냉매관(317)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1열교환기(312)를 통과하면서 증발하고, 공기는 상기 제1열교환기(312)를 통과하면서 응축(제습)된다.The first heat exchanger (312) above is a means for absorbing heat from air introduced through the duct (311) and transferring it to the refrigerant circulating inside the refrigerant pipe (317). The refrigerant evaporates as it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312), and the air is condensed (dehumidified) as it passes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312).

상기 제2열교환기(313)는 압축기(315)에서 배출된 냉매가 가진 열을 제1열교환기(312)를 통과한 공기에 전달하는 수단으로, 냉매는 상기 제2열교환기(313)를 통과하면서 응축되고, 공기는 상기 제2열교환기(313)를 통과하면서 가열된다.The second heat exchanger (313) above is a means for transferring the heat of the refrigerant discharged from the compressor (315) to the air passing through the first heat exchanger (312). The refrigerant is condensed as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313), and the air is heated as it passes through the second heat exchanger (313).

도 2는 상기 수분공급부(34)가 제2챔버(3)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챔버(2)로 스팀을 공급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인데, 이 경우 상기 수분공급부(34)는 상기 제2챔버(3) 내부에 위치하는 저장부(341), 상기 저장부(341) 내부에 구비되는 히터(343), 상기 저장부(341)를 상기 제1챔버(2)에 연결하는 공급관(345)로 구비될 수 있다.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moisture supply unit (34) is provid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 to supply steam to the first chamber (2). In this case, the moisture supply unit (34)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341) located inside the second chamber (3), a heater (343) provided inside the storage unit (341), and a supply pipe (345) connecting the storage unit (341) to the first chamber (2).

상기 저장부(341)는 물을 저장하는 수단이고, 상기 히터(343)는 저장부(341) 내부에 저장된 물을 가열하여 물을 수증기로 변환시키는 수단이며, 상기 공급관(345)은 저장부(341) 내부의 스팀을 제1챔버(2)로 안내하는 수단이다. 상기 공급관(345)은 일단은 상기 저장부(34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격벽(15)을 관통하도록 구비된 수분공급구(25, 도 1 참고)에 연결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41) above is a means for storing water, the heater (343) is a means for heating the water stored inside the storage unit (341) and converting the water into steam, and the supply pipe (345) is a means for guiding the steam inside the storage unit (341) to the first chamber (2). One end of the supply pipe (345) is fixed to the storage unit (341), and the other end can be connected to a water supply port (25, see FIG. 1) provided to penetrate the partition wall (15).

상기 저장부(341)는 제2챔버 도어(35)에 고정된 탱크(351)로부터 물을 공급받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탱크(351)는 상기 제2챔버 도어(35)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탱크(351)는 연결관(353)을 통해 상기 저장부(341)에 연결되며, 상기 연결관(353)은 밸브(355)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storage unit (341) may be provided to receive water from a tank (351) fixed to the second chamber door (35). It is preferable that the tank (351) be detachably provided on the second chamber door (35). The tank (351) is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341) through a connecting pipe (353), and the connecting pipe (353) may be provided to be opened and closed by a valve (355).

펌프가 없더라도 밸브가 개방되면 상기 탱크(351)에 저장된 물이 상기 저장부(341)로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탱크(351)는 상기 저장부(341)보다 높은 위치에 구비됨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tank (351) be installed at a higher position than the storage unit (341) so that water stored in the tank (351) can move to the storage unit (341) when the valve is opened even without a pump.

상술한 바와 달리, 본 발명에 구비된 수분공급부(34)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수분공급부(34)는 물이 저장되는 저장부, 저장부에 저장된 물을 진동시켜 수증기를 발생시키는 진동자, 저장부 내부의 수증기를 수분공급구(25)로 안내하는 공급관으로 구비될 수 있다.Unlike the above, the water supply unit (34)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supply unheated steam. In this case, the water supply unit (34) may be provided with a storage unit in which water is stored, a vibrator that vibrates the water stored in the storage unit to generate steam, and a supply pipe that guides the steam inside the storage unit to the water supply port (25).

상기 도어(13)에는 컨트롤패널(131)이 구비되는데, 상기 컨트롤패널(131)에는 상기 공기공급부(31) 및 수분공급부(34) 등의 작동에 필요한 제어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 사용자가 선택 가능한 제어명령이나 의류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한 정보가 표시되는 표시부가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door (13) is equipped with a control panel (131). The control panel (131) may be equipped with an input section for inputting control commands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air supply unit (31) and the moisture supply unit (34), and a display section for displaying control commands selectable by the user or information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상술한 구조를 가진 의류처리장치(100)는 옷걸이에 고정된 의류를 지지바(27)에 거치시킨 후 수분공급부(34) 및 공기공급부(31)를 통해 수분과 가열된 공기(열풍)를 순차적으로 공급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회전하는 드럼에 열풍이나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탈취나 구김을 제거하는 종래 의류처리장치와 달리 수분과 열풍의 공급 중 의류가 제1챔버(2) 내부에서 곧게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어 의류에 구김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The clothing treatment device (100)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can sequentially supply moisture and heated air (hot air) through the moisture supply unit (34) and the air supply unit (31) after placing clothing fixed to a hanger on the support bar (27). Therefore, unlike a conventional clothing treatment device that removes odor or wrinkles by supplying hot air or steam to a rotating drum, the clothing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kept straight inside the first chamber (2) while moisture and hot air are supplied, thereby preventing wrinkles from forming on the clothing.

한편,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 presser)는 제1챔버(2) 내 어느 위치에나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프레서(P)는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될 수 있는데, 도 2는 상기 프레서(P)가 도어(13)의 내주면(제1챔버를 형성하는 일면)에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프레서(P)가 하나만 구비된 경우를 도시한 것이지만, 본 발명 의류처리장치(100)는 두 개 이상의 프레서(P)를 포함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Meanwhile, the presser (P)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ovided at any location within the first chamber (2). That is, the presser (P) can be provided on any one of the surfaces forming the first chamber (2). FIG. 2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presser (P) is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one surface forming the first chamber). FIG. 2 illustrates a case in which only one presser (P) is provided, but the garment treatment device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rovided to include two or more pressers (P).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는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구비된 베이스(4),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Y축 방향, 캐비닛의 너비방향, 제1챔버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압축부(6), 상기 베이스(4)와 압축부(4)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의류가 고정되는 지지부(5)를 포함한다.As illustrated in FIG. 3, the presser (P)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4) provided on one of the surfaces forming the first chamber (2), a compression member (6) that rotates around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Y-axis direction, width direction of the cabinet,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chamber), and a support member (5) that is provided to be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between the base (4) and the compression member (4) and to which clothing is fixed.

상기 베이스(4)는 상기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보드(board)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3은 상기 베이스(4)가 제1챔버(2)를 형성하는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된 보드 형상의 베이스 바디(41)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베이스(4)가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The above base (4) may be provided as one of the surfaces forming the first chamber (2), or may be provided as a board fixed to one of the surfaces forming the first chamber (2).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base (4) is provided as a board-shaped base body (41)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a door (13) forming the first chamber (2).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based on the case in which the base (4)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바디(41)는 너비(Y축 방향 길이)가 높이(Z축 방향 길이)보다 짧은 사각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바디(41)는 상기 도어(13)에 고정되는 고정부(411), 상기 고정부(411)의 좌측과 우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1연장부(412) 및 제2연장부(413)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base body (41) may be provided in a rectangular shape with a width (length in the Y-axis direction) shorter than a height (length in the Z-axis direction). The base body (41) may include a fixing portion (411) fixed to the door (13), a first extension portion (412)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413) extending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fixing portion (411), respectively.

상기 고정부(411)와 달리 상기 제1연장부(412)의 자유단과 상기 제2연장부(413)의 자유단은 도어(13)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지지부(5)에 고정된 의류는 상기 지지부(5)와 베이스(4) 사이에서 압축될 것이기 때문에, 상기 제1연장부(412)와 제2연장부(413)의 자유단이 도어(13)의 내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면, 의류를 보다 효과적으로 압축 가능하다. 각 연장부(412, 413)가 일종의 판 스프링 역할(의류를 지지부 방향으로 가압하는 역할)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Unlike the above-described fixed portion (411), the free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2)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 may b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As will be described later, clothing fixed to the support portion (5) will be compressed between the support portion (5) and the base (4), so if the free ends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2) and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 are maintain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the clothing can be compressed more effectively. This is because each extension portion (412, 413) will act as a kind of plate spring (a role that presses the clothing toward the support portion).

상기 베이스 바디(41)에는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홈(42)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베이스 홈(42)은 상기 고정부(411)의 표면이 오목하게 절곡됨으로써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서 각 연장부(412, 413)의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서 상기 고정부(411)의 표면까지의 거리보다 길게 설정됨으로써 두 개의 연장부(412, 413)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으로 구비될 수도 있다.The base body (41)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base groove (42) that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ewing line formed on clothing. The base groove (42) may be provided by concavely bending th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411), or may be provided as a space formed between two extension portions (412, 413) by setting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to the surface of each extension portion (412, 413) to be longer than the distance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to the surface of the fixing portion (411).

상기 베이스(4)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 또는 상기 베이스 바디(41)에 구비되어 의류를 베이스 바디(41)에 고정하는 가이드(43, 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가이드가 베이스 바디(41)에 고정된 제1가이드(43) 및 제2가이드(45)로 구비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 base (4) may further include guides (43, 45)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or the base body (41) to secure clothing to the base body (41). FIG. 3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guides are provided as a first guide (43) and a second guide (45) secured to the base body (41).

상기 제1가이드(43)는 상기 제1연장부(412)에서 돌출된 제1고정바디(431), 상기 제1고정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2가이드(45)를 향해 돌출된 제1연장바디(433)로 구비될 수 있다(도 6 참고). 상기 제2가이드(45)는 상기 제2연장부(413)에서 돌출된 제2고정바디(451), 상기 제2고정바디의 자유단에서 상기 제1가이드(43)를 향해 돌출된 제2연장바디(453)로 구비될 수 있다(도 3 참고).The first guide (43)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ed body (431) protruding from the first extension portion (412), and a first extended body (433) protruding from a free end of the first fixed body toward the second guide (45) (see FIG. 6). The second guide (45) may be provided with a second fixed body (451) protruding from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413), and a second extended body (453) protruding from a free end of the second fixed body toward the first guide (43) (see FIG. 3).

상기 지지부(5)는 상기 베이스 바디(41)와 상기 압축부(6) 사이에 위치하는 지지바디(5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는 한 쌍의 힌지유닛(7)을 통해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되고, 상기 힌지유닛(7)은 상기 베이스(4)의 너비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상기 지지바디(51)에 제공한다. 따라서,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다. 상기 힌지유닛(7)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The above support member (5)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body (51) positioned between the base body (41) and the compression member (6). The support body (5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through a pair of hinge units (7), and the hinge unit (7) provides the support body (51) with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4). Therefore, the support body (51) is rotat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and toward the base body (41). The structure of the hinge unit (7)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바디(51)는 안착면(511), 가압면(513), 지지면(515) 및 바닥면(517)이 구비된 보드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안착면(511)은 상기 압축부(6)를 향하는 방향에 형성된 면이고, 상기 가압면(513)은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하는 면이다. 상기 바닥면(517)은 지지바디(51)의 하단에 위치된 면이고, 상기 지지면(515)는 상기 지지바디의 상단에 위치된 면이다.As illustrated in FIG. 5, the support body (51) may be provided in a board shape having a mounting surface (511), a pressure surface (513), a support surface (515), and a bottom surface (517). The mounting surface (511) is a surface formed in a direction facing the compression portion (6), and the pressure surface (513) is a surface facing the base body (41). The bottom surface (517) is a surface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support body (51), and the support surface (515) is a surface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body.

의류는 상기 지지바디(51)의 상단에 위치된 지지면(515)에 거치되어 일단은 상기 안착면(511)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가압면(513)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의 공간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면(515)은 의류를 프레서(P)에 고정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The clothing may be placed on a support surface (515) located at the top of the support body (51), with one end positioned on the mounting surface (511) and the other end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pressurizing surface (513) and the base body (41). Accordingly, the support surface (515) may be defined as a means for fixing the clothing to the presser (P).

상기 안착면(511)에는 의류의 일단을 지지바디(51)에 고정하는 의류고정부(54)가 구비되는데, 상기 의류고정부(54)는 상술한 기능을 구현 가능한 한 다양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상기 의류고정부(54)가 탄성력을 이용하여 의류를 지지바디(51)에 고정하는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mentioned fixing surface (511) is provided with a clothing fixing part (54) that fixes one end of clothing to the support body (51). The clothing fixing part (54) may be provided in various forms as long as it is possible to implement the above-mentioned function. FIG. 5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lothing fixing part (54) fixes clothing to the support body (51) by utilizing elasticity.

도 5의 의류고정부(54)는 상기 지지바디(51)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된 바(bar) 형상의 고정부 제1바디(541), 상기 고정부 제1바디(541)의 양단에서 지지바디(51)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된 고정부 제2바디(542) 및 고정부 제3바디(543), 상기 고정부 제2바디(542)와 고정부 제3바디(543)를 연결하는 고정부 제4바디(544)로 구비될 수 있다.The clothing fixing part (54) of Fig. 5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ixing part body (541) in the shape of a bar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51), a second fixing part body (542) and a third fixing part body (543)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51)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ixing part body (541), and a fourth fixing part body (544) connecting the second fixing part body (542) and the third fixing part body (543).

상기 고정부 제1바디(541)는 안착면(511)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 제2바디(542), 고정부 제3바디(543), 및 고정부 제4바디(544)는 상기 지지바디(51)에 접촉하도록 구비될 수는 있지만,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사용자는 의류의 일단을 상기 고정부 제4바디(544)와 지지바디(5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상기 고정부 제2바디(542)와 지지바디(51) 사이에 형성된 공간, 및 상기 고정부 제3바디(543)와 지지바디(51)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삽입함으로써 의류를 지지바디(51)에 고정할 수 있다.The above-described first body of the fixed part (541) is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511). The second body of the fixed part (542), the third body of the fixed part (543), and the fourth body of the fixed part (544) may be provided to contact the support body (51), but are not fixed to the support body (51). Accordingly, a user can fix the clothing to the support body (51) by inserting one end of the clothing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fourth body of the fixed part (544) and the support body (51),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econd body of the fixed part (542) and the support body (51), and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third body of the fixed part (543) and the support body (51).

상기 지지부(5)는 지지바디(51)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부 관통홀(5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고정부 제2바디(542)와 고정부 제3바디(543)는 상기 지지부 관통홀(52)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되 안착면(511)의 상부에 위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 제2바디(542) 및 고정부 제3바디(543)가 지지부 관통홀(52) 내부에 위치하면, 의류고정부(54)는 의류를 안착면(511)에 고정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The above support member (5)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support member penetration hole (52) that is provided to penetrate the support body (51). In this case, the fixing member second body (542) and the fixing member third body (543) are preferab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member penetration hole (52), but are positioned above the mounting surface (511). This is because if the fixing member second body (542) and the fixing member third body (543) are positioned inside the support member penetration hole (52), the clothing fixing member (54) will not be able to fix the clothing to the mounting surface (511).

상술한 4개의 바디(541, 542, 543, 544)로 구성된 의류고정부(54)에는 중앙에 고정바디 관통홀(545)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바디(51)에는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545)의 하부에 위치된 지지부 관통홀(52)이 구비되므로, 공기나 수분은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545) 및 지지부 관통홀(52)을 통해 베이스 바디(41)로 공급될 수 있다.The clothing fixing part (54) composed of the four bodies (541, 542, 543, 544) described above has a fixing body through hole (545) formed in the center, and the support body (51) is provided with a support part through hole (52) located below the fixing body through hole (545), so that air or moisture can be supplied to the base body (41) through the fixing body through hole (545) and the support part through hole (52).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6)는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한 압축바디(61)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바디(61)는 후술할 힌지유닛(7)을 통해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the compression part (6)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on body (61) that can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and toward the base body (41). The compression body (61) may be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through a hinge unit (7)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압축바디(61)에는 상기 압축바디를 관통하도록 압축부 관통홀(612)가 구비되는데, 상기 압축부 관통홀(612)은 상기 고정바디 관통홀(545) 및 지지부 관통홀(52)에 연통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챔버(2) 내부의 공기 및 수분은 상기 압축부 관통홀(612), 고정바디 관통홀(545) 및 지지부 관통홀(52)을 통해 베이스 바디(41)까지 공급 가능하다.The above compression body (61) is provided with a compression part penetration hole (612) that penetrates the compression body, and the compression part penetration hole (612) is provided to communicate with the fixed body penetration hole (545) and the support part penetration hole (52). Therefore, air and moisture inside the first chamber (2) can be supplied to the base body (41) through the compression part penetration hole (612), the fixed body penetration hole (545), and the support part penetration hole (52).

한편, 상기 지지바디(51)를 향하는 상기 압축바디(61)의 일면에는 상기 지지바디(51)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지지부 수용홈(611), 상기 의류고정부(54)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수용홈(65, 67)이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o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61) facing the support body (51), a support receiving groove (611)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support body (51) and a fixing receiving groove (65, 67) providing a space for receiving the clothing fixing part (54) may be provided.

상기 지지부 수용홈(611)은 상기 지지바디(51)를 향하는 압축바디(51)의 일면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바디의 안착면(511) 전체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support receiving groove (611)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51) facing the support body (51), and may be provided as a groove in which the entire mounting surface (511) of the support body is received.

상기 고정부 수용홈은 상기 지지부 수용홈(61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부 제2바디(542)가 수용되는 제2바디 수용홈(65) 및 상기 고정부 제3바디(543)가 수용되는 제3바디 수용홈(67)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ixed part receiving groove may be configured as a second body receiving groove (65) provided in the support receiving groove (611) to receive the fixed part second body (542) and a third body receiving groove (67) to receive the fixed part third body (543).

나아가, 상기 지지바디(51)를 향하는 상기 압축바디(51)의 일면에는 의류에 형성돼 있는 봉제선이 상기 압축바디(51)에 의해 가압되는 것을 방지하는 압축부 홈(63)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축부 홈(63)은 상기 지지바디(5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다. 바지와 같은 의류는 봉제선(Sewing Line)이 존재하는데, 상술한 압축부 홈(63) 및 베이스 홈(42)은 봉제선 때문에 의류에 불필요한 구김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이다.In addition, a compression groove (63) may be further provided on one side of the compression body (51) facing the support body (51) to prevent a sewing line formed on clothing from being pressed by the compression body (51). The compression groove (63)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51). Clothing such as pants has a sewing line, and the compression groove (63) and base groove (42) described above are means for preventing unnecessary wrinkling of clothing due to the sewing line.

상기 압축부(6)는 압축바디 고정부(8)를 통해 상기 베이스 바디(41) 또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상기 압축바디(61)를 도어의 내주면에 고정시키는 상기 압축바디 고정부(8)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above compression part (6) can be remov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body (41) or the door (13) through the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8). Fig. 6 illustrates an example of the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8) that fixes the compression body (61)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상기 압축바디 고정부(8)는 압축바디(61)에 구비된 제1체결부(81) 및 제2체결부(83),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가 결합하는 제3체결부(86), 상기 도어의 내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체결부가 결합하는 제4체결부(87)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8)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fastening part (81) and a second fastening part (83) provided on the compression body (61), a third fastening part (86)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and to which the first fastening part is coupled, and a fourth fastening part (87)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and to which the second fastening part is coupled.

상기 제3체결부(86)와 제4체결부(87)는 도어(13)의 내주면에서 돌출된 후크로 구비되고, 상기 제1체결부(81)와 제2체결부(83)는 상기 압축바디(61)에 구비되어 상기 후크가 수용되는 홈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third fastening portion (86) and the fourth fastening portion (87) are provided as hooks protruding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and the first fasten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83) are provided in the compression body (61) and can be provided as grooves in which the hooks are received.

이와 달리, 상기 제1체결부(81)는 상기 압축바디(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3체결부(86)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2체결부(83)는 상기 압축바디(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제4체결부(87)에 착탈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다만, 이 경우, 상기 제1체결부(81)와 제2체결부(83)는 상기 압축바디(6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핸들(85)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Alternatively, the first fastening portion (81)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compression body (61) and detachably provided on the third fastening portion (86),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83) may be rotatably provided on the compression body (61) and detachably provided on the fourth fastening portion (87). However,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fastening portion (81) and the second fastening portion (83) be provided so as to be rotated by a handle (85) rotatably provided on the compression body (61).

상술한 구조를 가진 압축부(6) 및 지지부(5)는 한 쌍의 힌지유닛(7)을 통해 상기 베이스 바디(41) 또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다. 도 4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된 힌지유닛(7)에 상기 압축부(6) 및 지지부(5)가 도어(13)에 고정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compression part (6) and the support part (5)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are rotatably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body (41) or the door (13) through a pair of hinge units (7).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the compression part (6) and the support part (5) are fixed to the door (13) by a hinge unit (7)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힌지유닛(7)은 상기 베이스 바디(41) 또는 상기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되는 유닛바디(71), 상기 유닛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압축바디(61)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압축부 힌지(73), 및 상기 유닛바디에 고정되어 상기 지지바디(51)의 회전축을 형성하는 지지부 힌지(75)를 포함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4, the hinge unit (7) may include a unit body (71)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base body (41) or the door (13), a compression hinge (73) fixed to the unit body and forming a rotation axis of the compression body (61), and a support hinge (75) fixed to the unit body and forming a rotation axis of the support body (51).

상기 압축부 힌지(73)는 상기 유닛바디(71)에 고정되는 힌지 바디(731), 상기 힌지 바디에 구비되어 상기 압축바디(61)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는 압축바디 회전축(733)을 포함한다.The above compression hinge (73) includes a hinge body (731) fixed to the unit body (71), and a compression body rotation axis (733) provided on the hinge body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compression body (61).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압축부 힌지(73)는 한 쌍으로 구비된다. 따라서, 한 쌍의 상기 압축바디 회전축(733)은 상기 압축바디(61)에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베이스 바디의 너비방향, Y축 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제공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compression hinges (73) are provided in pairs. Accordingly, the pair of compression body rotation axes (733) can provide the compression body (61) with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width direction of the base body, Y-axis direction).

상기 지지부 힌지(75)는 상기 지지바디(51)가 상기 도어의 너비방향에 평행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게 하는 수단으로, 제1링크(751) 및 제2링크(757)로 구비될 수 있다.The above support hinge (75) is a means for enabling the support body (51) to rotat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and toward the base body (41) around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door, and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link (751) and a second link (757).

상기 유닛바디(71)에는 제1챔버(2)를 향해(도어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돌출된 슬릿바디(711) 및 상기 제2링크(757)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는 축고정부(13)가 구비된다. 상기 축고정부(73)는 상기 슬릿(712)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슬릿바디(711)에는 상기 도어(13)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슬릿(712)이 구비된다.The above unit body (71) is provided with a slit body (711) that protrudes toward the first chamber (2) (in the direction away from the door) and an axial fixing part (13) 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link (757) is rotatably fixed. The axial fixing part (73) is provided to be positioned below the slit (712), and the slit body (711) is provided with a slit (712) that is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13).

이 경우, 상기 제1링크(751)는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릿(712)에 삽입되는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링크(751)는 상기 지지바디(51)에 고정된 제1바(753), 일단은 상기 슬릿(712)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753)에 연결된 제2바(755)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바(755)의 일단에는 상기 슬릿(712)에 삽입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왕복 가능한 링크 축(756)이 구비된다.In this case, the first link (751) may be provided as a bar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51) and whose other end is inserted into the slit (712). That is, the first link (751) may be provided as a first bar (753) fixed to the support body (51), a second bar (755)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slit (712) and whos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bar (753). A link shaft (756) that is inserted into the slit (712) and can reciprocate along the slit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second bar (755).

상기 제2링크(757)는 일단은 상기 축고정부(713)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1링크(751) 또는 상기 지지바디(5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 바(bar)로 구비될 수 있다. 도 4는 상기 제2링크(757)의 일단은 제1연결축(758)을 통해 축고정부(713)에 연결되고, 제2링크(757)의 타단은 제2연결축(759)을 통해 제1링크(751)에 연결된 경우를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The second link (757) may be provided as a bar having one end rotatably fixed to the shaft fixing member (713)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first link (751) or the support body (51). FIG. 4 illustrates an example in which one end of the second link (757) is connected to the shaft fixing member (713) via the first connecting shaft (758)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757)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751) via the second connecting shaft (759).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링크(575)는 상기 유닛바디(71)를 향하는 방향(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유닛바디(71)에서 멀어지는 방향(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다.As shown in FIG. 5, the second link (575) is rotatable in a direction toward the unit body (71) (direction toward the base) and a direction away from the unit body (71)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상기 지지바디(51)가 상기 베이스 비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링크(757)는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고, 상기 제1링크에 구비된 링크 축(756)은 상기 제2링크(757)에 의해 상기 슬릿(712)의 하단을 향해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상기 지지바디의 지지면(515)은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이동하므로, 상기 지지면(515)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에는 의류가 통과 가능한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1링크의 제2바(755)는 상기 지지바디(51)가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면(515)과 상기 베이스 바디(41) 사이에 의류가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수단이 된다.When the support body (51)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vid (41), the second link (757)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and the link shaft (756) provided in the first link moves toward the bottom of the slit (712) by the second link (757). In this process, the support surface (515) of the support body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so that a space through which clothes can pass is form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515) and the base body (41). Accordingly, the second bar (755) of the first link serves as a means for forming a space through which clothes can be insert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515) and the base body (41) when the support body (51)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한편, 상기 지지바디(51)가 상기 베이스 바디(41)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2링크(757)는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해 회전하고, 상기 링크 축(756)은 상기 제2링크(575)에 의해 상기 슬릿(712)의 상단을 향해 이동할 것이다. 이 경우, 상기 지지면(515)은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해 이동할 것이다.Meanwhile, when the support body (51) rotate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body (41) is positioned, the second link (757) will rotate toward the base body (41), and the link axis (756) will move toward the top of the slit (712) by the second link (575). In this case, the support surface (515) will move toward the base body (41).

상기 지지부 힌지(75)에는 상기 지지바디(51)가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스스로 회전하게 하는 작동부(76)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작동부(76)는 일단은 상기 제2링크(757)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유닛바디(71)에 고정된 압축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은 상기 제2링크(757)가 베이스 바디(41)를 향해 회전하면 압축되고, 상기 제2링크(757)에 작용하는 외력이 사라지면 상기 제2링크(757)를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한 어떠한 구조로도 구비될 수 있다. 사용자가 압축바디(61)를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바디(51)는 작동부(76)에 의해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지지면(515)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에 의류가 통과 가능한 공간을 자동으로 형성할 것이므로, 상기 작동부(76)는 사용자 편의를 향상시키는 수단이 된다.The support hinge (75)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n operating part (76) that allows the support body (51) to rotate on its own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The operating part (76) may be provided with a compression spring whose one end is fixed to the second link (757) and whose other end is fixed to the unit body (71). The compression spring is compressed when the second link (757) rotates toward the base body (41), and may be provided with any structure as long as it can rotate the second link (757)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when an external force acting on the second link (757) disappears. When the user rotates the compression body (61) away from the base body (41), the support body (51) is rotated away from the base body (41) by the operating part (76) to automatically form a space between the support surface (515) and the base body (41) through which clothing can pass. Therefore, the operating part (76) serves as a means to improve user convenience.

이하에서는 도 1, 도 3 및 도 7을 참고하여, 상기 프레서(P)의 작동과정에 대해 살펴본다.Below,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presser (P) will be examined with reference to FIG. 1, FIG. 3, and FIG. 7.

도 1의 상태는 상기 압축바디(61)가 압축바디 고정부(8)를 통해 도어(13)의 내주면에 고정된 상태이다. 사용자는 핸들(85)을 통해 압축바디(61)를 압축바디 고정부(8)에서 분리시킨 후 상기 압축바디(61)를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The state of Fig. 1 is a state in which the compression body (61) is fix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door (13) through the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8). The user can separate the compression body (61) from the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8) through the handle (85) and then rotate the compression body (61) away from the base body (41).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압축바디(61)를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 지지바디(51)는 작동부(76)에 의해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지지바디의 지지면(515)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에는 의류가 통과 가능한 공간이 형성될 것이다.As shown in Fig. 3, when the user rotates the compression body (61) away from the base body (41), the support body (51) is rotated away from the base body (41) by the operating part (76). At this time, a space through which clothing can pass will be form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515) of the support body and the base body (41).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상기 지지면(515)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의류(C)를 삽입한 뒤 의류의 일단(C1)을 의류고정부(54)에 고정시킬 수 있다. 그러면, 의류(C)의 일부는 상기 안착면(511)에 지지되고, 의류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가압면(513)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에 위치한 상태가 될 것이다.As shown in Fig. 7 (a), a user can insert a garment (C) into the space formed between the support surface (515) and the base body (41) and then fix one end (C1) of the garment to the garment fixing part (54). Then, a part of the garment (C) will be supported on the fixing surface (511),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garment will be positioned between the pressurizing surface (513) and the base body (41).

이후, 사용자는 상기 가이드(41, 43)에 상기 가압면(513)과 베이스 바디(41) 사이에 위치된 의류를 삽입할 수 있고, 이로써 의류를 프레서(P)에 고정하는 과정이 완료된다.Thereafter, the user can insert clothing positioned between the pressurized surface (513) and the base body (41) into the guide (41, 43), thereby completing the process of fixing the clothing to the presser (P).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의류(C)가 프레서(P)에 고정되면, 사용자는 압축바디(61)를 베이스 바디(41)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시켜 상기 압축바디(61)를 압축바디 고정부(86)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는 상기 압축바디(61)에 의해 베이스 바디(41)를 향해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의류는 상기 지지바디의 가압면(513)과 상기 베이스 바디(41) 사이에서 압축될 뿐 아니라, 상기 지지바디의 가압면(513)과 상기 압축바디(61) 사이에서도 압축될 것이다.As shown in Fig. 7 (b), when the clothing (C) is fixed to the presser (P), the user can rotate the compression body (6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body (41) is positioned to couple the compression body (61) to the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86). The support body (51) will be rotated toward the base body (41) by the compression body (61). The clothing will be compressed not only between the pressurizing surface (513) of the support body and the base body (41), but also between the pressurizing surface (513) of the support body and the compression body (61).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제어부(미도시)는 수분공급부(34)와 공기공급부(31)를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수분공급부(34)에 의해 상기 제1챔버(2)로 공급된 수분은 상기 압축부 관통홀(612), 고정바디 관통홀(545), 및 지지부 관통홀(52)을 통해 베이스 바디(41)까지 이동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의류에 수분을 공급 가능하다.In this state, the control unit (not shown) can operate the moisture supply unit (34) and the air supply unit (31) sequentially or simultaneously.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first chamber (2) by the moisture supply unit (34) can move to the base body (41) through the compression unit through-hole (612), the fixed body through-hole (545), and the support unit through-hole (52), so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moisture to clothing.

한편, 상기 공기공급부(31)는 상기 제1챔버(2)에 습도가 낮고 온도가 높은 공기를 공급하는 수단이므로, 상기 공기공급부(31)가 작동하면 의류에 공급된 수분은 증발할 것이다. 의류에 공급된 수분이 증발할 때 의류에 뭍어 있던 냄새 입자도 함께 증발하므로, 본 발명은 탈취가 가능하다.Meanwhile, since the air supply unit (31) is a means for supplying air with low humidity and high temperature to the first chamber (2), when the air supply unit (31) operates,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clothing will evaporate. When the moisture supplied to the clothing evaporates, the odor particles attached to the clothing also evaporate together, so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deodorization.

또한, 상기 프레서(P)를 통해 의류에 압력을 가하는 동안 수분공급 과정과 공기공급 과정을 진행하면, 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된 주름은 잡아주고, 의류의 구김(의류의 디자인에 포함되지 않은 주름)은 펴주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by carrying out the moisture supply process and the air supply process while applying pressure to the clothing through the presser (P), it is expected that the wrinkles included in the design of the clothing will be held and the creases in the clothing (wrinkles not included in the design of the clothing) will be smoothed out.

상술한 구조를 가진 프레서(P)는 의류의 일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안착면(511)에 위치하고, 의류의 나머지 일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가압면(513)에 위치하기 때문에, 상기 베이스 바디(41)의 길이, 지지바디(51)의 길이, 및 압축바디(61)의 길이를 최소화하면서도 의류(C) 전체를 가압 가능한 효과가 있다.The presser (P) having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pressurizing the entire garment (C) while minimizing the length of the base body (41), the length of the support body (51), and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body (61), because a part of the garment is positioned on the mounting surface (511) of the support body and the remaining part of the garment is positioned on the pressurizing surface (513) of the support body.

즉, 프레서(P)가 상기 지지바디(51)에 구비된 안착면(511)과 가압면(513) 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만 의류를 지지하거나 가압하도록 구비된다면, 상기 베이스 바디(41)의 길이, 지지바디(51)의 길이, 및 압축바디(61)의 길이는 더 길어질 수 밖에 없는데,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는 각 바디(41, 51, 61)의 길이가 길어지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That is, if the presser (P) is provided to support or pressurize clothing only with one of the mounting surface (511) and the pressurizing surface (513) provided on the support body (51), the length of the base body (41), the length of the support body (51), and the length of the compression body (61) cannot but become longer, but the presser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solve the problem of the length of each body (41, 51, 61) becoming longer.

또한, 본 발명에 구비된 프레서(P)는 상기 압축바디(61) 및 지지바디(51)가 베이스 바디(41)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41)를 향해 회전 가능하므로, 지지바디(51) 및 압축바디(61)에 의해 의류에 주름이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In addition, since the presser (P) provid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rotate toward the base body (41)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body (41) by the compression body (61) and the support body (51), it is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wrinkles occurring in clothing due to the support body (51) and the compression body (61).

상기 압축바디(61)와 지지바디(51)가 도어(13)의 높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면, 상기 지지바디(51)가 베이스 바디(41)를 향해 회전할 때 의류에 지지바디 및 베이스 바디에 의한 주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바디(51)와 베이스 바디(41) 사이의 거리는 회전축에 가까울수록 짧기 때문에, 상기 지지바디(51)를 베이스 바디(41)로 회전할 때 의류가 회전축 반대방향으로 밀리면서 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 압축바디(61) 및 지지바디(51)가 베이스 바디(41)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술한 문제를 해결 가능하다.If the compression body (61) and the support body (51) are arranged to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13), when the support body (51) rotates toward the base body (41), wrinkles may be formed on clothing due to the support body and the base body.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support body (51) and the base body (41) becomes shorter the closer it is to the rotation axis, when the support body (51) rotates toward the base body (41), the clothing may be wrinkled as it is pushed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the rotation axis. However, if the compression body (61) and the support body (51) rotate around a rotation axis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body (41), the above-described problem can be solved.

도 8은 상기 프레서(P)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서(P)는 상기 지지바디(51)가 상기 베이스 바디(41)의 높이방향(도어의 높이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 바디(41)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 바디(41)가 위치된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즉, 본 실시예에 구비된 지지바디(51)는 베이스 바디(41)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된 지지부 힌지(75)를 통해 도어(13)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입니다.FIG. 8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ser (P). The presser (P)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ody (51) can rotate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body (41) (the height direction of the door)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body (41) an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body (41) is positioned. That is, the support body (51) provided in this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ixed to the door (13) through a support hinge (75)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base body (41).

본 발명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인바 상술한 실시예에 그 권리범위가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변형된 실시예가 본 발명 특허청구범위의 구성요소를 포함하고 있다면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modified forms, and the scope of the rights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if a modified embodiment includes an element of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의류처리장치 1: 캐비닛 13: 도어
15: 격벽 2: 제1챔버 21: 배출구
23: 공급구 25: 수분공급구 27: 지지바
3: 제2챔버 31: 공기공급부 34: 수분공급부
35: 제2챔버도어 P: 프레서 4: 베이스
41: 베이스 바디 411: 고정부 412: 제1연장부
413: 제2연장부 42: 베이스 홈 43: 제1가이드
45: 제2가이드 5: 지지부 51: 지지바디
511: 안착면 513: 가압면 515: 지지면
517: 바닥면 52: 지지부 관통홀 54: 의류고정부
545: 고정바디 관통홀 6: 압축부 61: 압축바디
611: 지지부 수용홈 612: 압축부 관통홀 63: 압축부 홈
65: 제2바디 수용홈 67: 제3바디 수용홈 7: 힌지유닛
71: 유닛바디 711: 슬릿바디 712: 슬릿
713: 축고정부 73: 압축부 힌지 731: 힌지 바디
733: 압축바디 회전축 75: 지지부 힌지 751: 제1링크
757: 제2링크 76: 작동부 8: 압축바디 고정부
100: Clothes treatment device 1: Cabinet 13: Door
15: Bulkhead 2: Chamber 1 21: Outlet
23: Supply port 25: Water supply port 27: Support bar
3: Second chamber 31: Air supply section 34: Water supply section
35: 2nd chamber door P: presser 4: base
41: Base body 411: Fixed part 412: First extension part
413: 2nd extension 42: Base home 43: 1st guide
45: Second guide 5: Support 51: Support body
511: Seating surface 513: Pressing surface 515: Supporting surface
517: Bottom surface 52: Support penetration hole 54: Clothing fixing part
545: Fixed body penetration hole 6: Compression part 61: Compression body
611: Support receiving groove 612: Compression through hole 63: Compression groove
65: Second body receiving home 67: Third body receiving home 7: Hinge unit
71: Unit body 711: Slit body 712: Slit
713: Axle body 73: Compression hinge 731: Hinge body
733: Compression body rotation axis 75: Support hinge 751: First link
757: Second link 76: Operating part 8: Compression body fixing part

Claims (14)

의류가 수용 가능한 수용공간이 구비된 캐비닛;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공기 또는 수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수용공간에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한 압축부; 및
i)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구비되되, 상기 베이스의 너비방향에 나란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압축부를 향하는 면에는 상기 압축부에 의해 가압되는 의류가 안착되는 안착면이 형성된 지지바디와, ii)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축으로부터 소정거리 이격시키며 상기 지지바디를 상기 지지바디의 회전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지지부 힌지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지지부 힌지에 의해 상기 회전축과 소정거리 이격됨에 따라 형성된 공간으로, 의류가 통과하게 구비되는 의류 통과 공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A cabinet having a storage space that can accommodate clothing;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t least one of air and moisture into the above-described receiving space;
A base provided in the above-mentioned accommodation space;
A compression member rotat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bout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and
i) a support body provid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unit, wherein the support body is rotatable around a rotation axis parallel to the width direction of the base, and has a mounting surface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compression unit on which clothing pressed by the compression unit is mounted; and ii) a support unit including a support hinge that separates the support body from the rotation axis of the support body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rotatably connects the support body about the rotation axis of the support body; and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clothing passage space formed by the support body being spaced apart from the rotation axis by a predetermined distance by the support hinge, and through which clothing can pas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와 상기 압축부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안착면을 구비하는 지지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upport
A garment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upport body positioned between the base and the compression member and having the seating surface.
삭제dele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 힌지는
상기 수용공간에 상기 캐비닛의 높이방향을 따라 구비되는 슬릿;
일단은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슬릿에 삽입되어 상기 슬릿을 따라 왕복 가능한 제1링크; 및
일단은 상기 제1링크 또는 상기 지지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고,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한 제2링크;를 포함하고,
상기 제2링크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상기 슬릿의 하단을 향해 이동시키고,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가 위치된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제1링크의 타단을 상기 슬릿의 상단을 향해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support hinge
A slit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cabinet in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space;
A first link, which is fixed to the support body at one end and inserted into the slit at the other end and is capable of reciprocating along the slit; and
A second link is provided, which is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link or the support body at one end and rotatabl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at the other end, and is rotatable in a direction toward the base and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link mov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ward the bottom of the slit when the support body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mov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oward the top of the slit when the support body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the base is positioned.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하는 힘을 발생시키는 작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2링크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해 회전하게 하는 힘을 상기 제2링크에 제공하는 압축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paragraph 4,
further comprising an operating unit that generates a force to rotate the support body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when the compression unit rotat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 garment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operating part is a compression spring that provides force to the second link to rotate the second link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링크는 상기 지지바디에 고정된 제1바; 및 일단은 상기 슬릿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제1바에 연결된 제2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바는 상기 지지바디가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할 때 상기 지지부과 상기 베이스 사이에 상기 의류 통과 공간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paragraph 4,
The first link includes a first bar fixed to the support body; and a second ba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sli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bar;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bar is provided to form a clothing passage space between the support member and the base when the support body rotates away from the ba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에 거치된 의류의 자유단이 상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간을 벗어나지 않게 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6,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 guide that prevents the free end of clothing placed on the support body from leaving the space provided by the bas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디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지지바디 관통홀; 및
상기 압축부를 관통하도록 구비된 압축부 관통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6,
A support body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above support body; and
A garment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compression member penetration hole provided to penetrate the compression member.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면에 구비되어 의류가 고정되는 의류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의류고정부는
상기 지지바디의 너비방향을 따라 구비되며, 상기 안착면에 고정된 고정부 제1바디;
상기 고정부 제1바디의 양단에서 상기 지지바디의 높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안착면에 고정되지 않는 고정부 제2바디 및 고정부 제3바디;
상기 고정부 제2바디의 단부와 상기 고정부 제3바디의 단부를 연결하는 고정부 제4바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8,
It further includes a clothing fixing part provided on the above-mentioned mounting surface to fix clothing; and the clothing fixing part comprises:
A first body of a fixed part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above support body and fixed to the above mounting surface;
A second fixed body and a third fixed body extending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from both ends of the first fixed body and not fixed to the mounting surface;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ourth fixed body connecting an end of the second fixed body and an end of the third fixed body.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는
상기 베이스에서 멀어지는 방향 및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방향을 향해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결합된 압축바디;
상기 압축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안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압축부 홈; 및
상기 압축바디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안착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상기 의류고정부가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고정부 수용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9,
The above compression part
A compression body coupled to the receiving space so as to be rotatabl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base and toward the base;
A compression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mounting surface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compression body, which provides a space for accommodating a sewing line formed on clothing; and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receiving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mounting surface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compression body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the clothing fixing member is receive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에서 상기 베이스를 향하는 면에는 의류를 상기 베이스 방향으로 가압하는 가압면이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가 제공하는 공간 중 상기 가압면을 향하는 면에 구비되며, 의류에 형성된 봉제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는 베이스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9,
A pressing surface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upport facing the base to press the clothing toward the base.
A garment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by further comprising a base groove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pressurized surface among the spaces provided by the base and providing a space in which a sewing line formed on garments is received.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으로 구비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는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1,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provided as one of the surfaces forming the receiving space or is fixed to one of the surfaces forming the receiving space.
제1항,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의 전방면을 관통하도록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을 외부와 연통시키는 투입구; 및
상기 캐비닛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는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의해 형성되거나 상기 수용공간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일면에 고정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ny one of claims 1, 2, and 4 to 11,
An inlet provided to penetrate the front surface of the cabinet and connect the receiving space to the outside; and
Further comprising a door rotatably provided on the cabinet to open and close the inlet;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base is formed by one side of the door facing the receiving space or is fixed to one side of the door facing the receiving space.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부는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공급부; 및 상기 수용공간으로 가열된 수증기 또는 가열되지 않은 수증기를 공급하는 수분공급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류처리장치.
In Article 13,
A clothing treatment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ly unit includes at least one of an air supply unit that supplies heated air to the receiving space; and a moisture supply unit that supplies heated or unheated vapor to the receiving space.
KR1020180063622A 2018-06-01 2018-06-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ctive KR10273699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22A KR102736999B1 (en) 2018-06-01 2018-06-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19177662.4A EP3575480A1 (en) 2018-06-01 2019-05-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6/427,517 US11535976B2 (en) 2018-06-01 2019-05-31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19203836A AU2019203836B2 (en) 2018-06-01 2019-05-31 Clothes treating apparatus
CN201910469420.7A CN110552133B (en) 2018-06-01 2019-05-31 Clothes treating device
CN202310102200.7A CN115976811A (en) 2018-06-01 2019-05-31 Clothes treatment device
AU2021204707A AU2021204707B2 (en) 2018-06-01 2021-07-06 Clothes treating apparatus
US18/074,913 US12054877B2 (en) 2018-06-01 2022-12-0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U2023201762A AU2023201762A1 (en) 2018-06-01 2023-03-21 Clothes treating apparatus
KR1020230068225A KR102815018B1 (en) 2018-06-01 2023-05-26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18/773,169 US20240368823A1 (en) 2018-06-01 2024-07-15 Laundry treat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3622A KR102736999B1 (en) 2018-06-01 2018-06-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25A Division KR102815018B1 (en) 2018-06-01 2023-05-26 Laundry Treating Apparatu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40A KR20190137440A (en) 2019-12-11
KR102736999B1 true KR102736999B1 (en) 2024-12-02

Family

ID=69003722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3622A Active KR102736999B1 (en) 2018-06-01 2018-06-01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230068225A Active KR102815018B1 (en) 2018-06-01 2023-05-26 Laundry Treating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68225A Active KR102815018B1 (en) 2018-06-01 2023-05-26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73699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1332A (en) 2020-09-04 2022-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es Treatment Apparatus
KR20220153336A (en) 2021-05-11 2022-11-18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Apparatus for laundry treatment
KR20220161109A (en) 2021-05-28 2022-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Clothing treating device
KR20240149723A (en) * 2023-04-06 202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A press module and a laundry treating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46717Y2 (en) * 1977-06-06 1981-10-31
KR20110048344A (en) * 2009-11-02 2011-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Fabric treating apparatus
KR102599104B1 (en) * 2016-11-11 2023-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7607548B2 (en) * 2021-11-30 2024-12-27 三菱電機株式会社 Learning device, power demand inference device, grid control system, supply and demand control system, facility formation support system and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7440A (en) 2019-12-11
KR20230078985A (en) 2023-06-05
KR102815018B1 (en) 2025-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2691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EP2889426B1 (en) Laundry treatment apparatus
KR10281501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599108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JP2024088770A (en) Clothes Processing Equipment
KR10205297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US20240301617A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198832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65998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43410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40064605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78137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158701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04771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18552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824503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102384526B1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KR20250108255A (en) Press Moduel and Laundry Treatment Apparatus having the same
KR20190017844A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06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52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06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4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