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6935B1 -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 Google Patents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6935B1
KR102736935B1 KR1020240047212A KR20240047212A KR102736935B1 KR 102736935 B1 KR102736935 B1 KR 102736935B1 KR 1020240047212 A KR1020240047212 A KR 1020240047212A KR 20240047212 A KR20240047212 A KR 20240047212A KR 102736935 B1 KR102736935 B1 KR 102736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housing
terminal
connection
flexible cab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472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진국
박성규
정현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693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71Details
    • H01R12/774Retai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1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manufacturing wire harn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8Flat or ribbon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1/00Individual connecting elements provid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ive members which are, or may be, thereby interconnected, e.g. end pieces for wires or cables supported by the wire or cable and having means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blocks of binding posts
    • H01R11/11End pieces or tapping pieces for wires, supported by the wire and for facilitating electrical connection to some other wire, terminal or conductive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05Guiding, mounting, polarizing or locking means; Extractors
    • H01R12/7011Locking or fixing a connector to a PCB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7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 H01R12/79Coupling devices for flexible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인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다수의 연성 케이블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및 다수의 가이드벽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공간에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하우징; 및 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해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걸림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nector is a connector for respectively connecting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which are FFC (Flexible Flat Cable) 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includes: a terminal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a housing into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in a guide space formed by a plurality of guide walls; and a retainer having a first cover part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t a rear portion, the retainer being fastened to the housing by engaging with the housing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in a state where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Description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CONNECTOR FOR FLEXIBLE CABLE}CONNECTOR FOR FLEXIBLE CABLE

본 발명은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 케이블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for a flexible cab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nnecto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a flexible cable such a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전기적 신호를 이용한 장치에서,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 케이블과 해당 케이블을 연결하는 커넥터가 사용된다. 이때, 커넥터는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다양한 접속 단자에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일례로, 차량용 커넥터는 차량에서 다양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을 접속 단자에 연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In a device that uses electrical signals, cables and connectors that connect the cables are used to transmit various electrical signals. At this time, the connector functions to connect cables that transmit electrical signals to various connection terminals. For example, a vehicle connector can be used to connect cables that transmit various electrical signals in a vehicle to connection terminals.

한편, 종래에는 내구성 등을 고려하여 와이어 형태의 케이블(이하, "와이어 케이블"이라 지칭함)(CA)이 주로 사용되었다. 즉, 도 1을 참조하면, 와이어 케이블(CA)은 와이어 형태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도선(C)과, 이러한 도선(C)를 감싸는 피복 부분인 절연 표피층(I)을 각각 포함한다. 이때, 도선(C)은 단면이 환형인 와이어일 수 있다. 특히, 차량의 경우, 차량의 운행 중에 다양한 종류의 진동이 발생되므로, 해당 진동에 대한 내구성을 위해, 와이어 케이블(CA)이 주로 사용된다. Meanwhile, in the past, considering durability, etc., a wire-shaped ca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wire cable") (CA) was mainly used. That is, referring to FIG. 1, a wire cable (CA) includes at least one conductor (C) in the shape of a wire, and an insulating cover layer (I) which is a covering portion that wraps the conductor (C). At this time, the conductor (C) may be a wire with a circular cross-section.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a vehicle, since various types of vibrations occur while the vehicle is running, a wire cable (CA) is mainly used for durability against the vibrations.

이에 따라, 커넥터에서 와이어 케이블(CA)을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와이어 케이블(CA)의 단부에 대해, 납땜 공정 또는 초음파 융착 공정을 수행하는 방식의 제1 종래 기술이 사용되었다. 즉, 제1 종래 기술은 접속 단자와 와이어 케이블(CA)의 단부 간을 납땜 또는 초음파 융착하여 전기적으로 연결한 후, 해당 연결 부위를 세척하고 수축 튜브로 압착하여 마감하거나, 에폭시로 경화 후 하우징으로 감싸는 방식을 사용하였다.Accordingly, in order to electrically connect a wire cable (CA) to a connection terminal in a connector, a first conventional technique was used, which involved performing a soldering process or an ultrasonic welding process on the end of the wire cable (CA). That is, the first conventional technique used a method of electrically connecting the end of the wire cable (CA) and the connection terminal by soldering or ultrasonic welding, and then cleaning the connection portion and finishing it by compressing it with a shrink tube or curing it with epoxy and then wrapping it with a housing.

하지만, 제1 종래 기술을 이용할 경우, 해당 연결 작업이 불편하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어 제조 비용이 높아지는 문제점(이하. "제1 문제점"이라 지칭함)이 있다. 물론, 이러한 제1 문제점은 커넥터가 와이어 케이블을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발생되는 문제점에 해당할 수도 있다.However, when using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nnection work is inconvenient and takes a long time, which increases the manufacturing cos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problem"). Of course, this first problem may correspond to a problem that occurs because the connector must connect the wire cable.

제1 종래 기술을 이용하더라도, 접속 단자와 와이어 케이블 간이 매우 약한 연결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해당 연결이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떨어질 수 있는 문제점(이하, "제2 문제점"이라 지칭함)이 발생할 수 있다. Even if the first conventional technology is used, the connection structure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 and the wire cable is very weak. Accordingly, a problem may occur in which the connection can easily come off due to vibration, etc.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problem").

도 1은 제2 종래 기술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Figure 1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prior art.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림프(crimp) 방식의 터미널(T)을 이용하여 와이어 케이블(CA)을 압착하여 연결하는 제2 종래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1, a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may be used to connect a wire cable (CA) by crimping it using a crimp-type terminal (T).

도 2는 도 1에서 A-A'에 대한 터미널(T)의 단면에 대한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즉, 도 2(a)는 터미널(T) 내에 공극(air gap, G)이 발생하지 않은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내며, 도 2(b)는 터미널(T) 내에 공극(G)이 발생한 경우에 대한 예를 나타낸다.Fig. 2 shows various examples of cross sections of a terminal (T) for A-A' in Fig. 1. That is, Fig. 2(a)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no air gap (G) occurs within the terminal (T), and Fig. 2(b) shows an example of a case where an air gap (G) occurs within the terminal (T).

하지만, 제2 종래 기술에 따라, 클림프(crimp) 방식의 터미널(T)로 케이블(CA)의 단부에 노출된 다수의 와이어를 압착할 경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T) 내에 공극(G)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터미널(T)과 와이어 케이블(CA) 간이 매우 약한 연결 구조를 가지면서, 해당 연결이 진동 등에 의해 쉽게 떨어질 수 있는 제2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할 수 있다.However, when a plurality of wires exposed at the end of a cable (CA) are crimped with a terminal (T) in a crimp manner according to the second prior art, a gap (G) may be generated within the terminal (T), as shown in Fig. 2(b). In this case, a second problem may still occur in that the terminal (T) and the wire cable (CA) have a very weak connection structure and the connection may easily come off due to vibration, etc.

또한, 와이어 케이블(CA)은 두꺼운 두께를 가지므로, 다수의 전기적 신호의 전달을 위해 와이어 케이블(CA)이 다수개가 사용될 경우에 그 연결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고 부피가 커져 차량 내부 등의 협소 공간에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점(이하, "제3 문제점"이라 지칭함)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wire cable (CA) has a thick thickness, when a plurality of wire cables (CA) are used to transmit a plurality of electrical signals, the connection structure becomes very complex and bulky, which makes it difficult to apply to narrow spaces such as the interior of a vehic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third problem”).

이에 따라, 와이어 케이블(CA)을 대체하여, 다수의 전기적 신호를 한번에 전달할 수 있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 케이블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 구조를 단순하게 구현하여 부피를 줄이면서 다수의 전기적 신호를 한번에 전달할 수 있어, 공간의 제약 없이 협소 공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조 공정 및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ly, a flexible cable such a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that can transmit multiple electrical signals at once may be used instead of a wire cable (CA). In this case,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flexible cable can be simply implemented to reduce the volume while transmitting multiple electrical signals at once, so it can be easily applied to narrow spaces without spatial constraints, and there is an advantage of reduc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cost.

하지만, 이러한 연성 케이블에 대한 커넥터의 연결을 위해 제1 및 제2 종래 기술을 사용할 경우, 상술한 제1 문제점이 여전히 발생할 뿐 아니라, 상술한 제2 문제점이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종래 기술에 따라 납땜 공정 또는 초음파 융착 공정을 이용하여 연결 케이블을 연결하는 것과, 제2 종래 기술에 따라 클림프(crimp) 방식의 터미널(T)을 이용하여 연성 케이블을 연결하기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However,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s are used to connect a connector to such a flexible cable, not only will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still occur, but the second problem described above may become more serious. Accordingly, it is virtually impossible to connect a connecting cable using a soldering process or an ultrasonic fusion process according to the first conventional technique, and to connect a flexible cable using a crimp-type terminal (T) according to the second conventional technique.

한편, 종래의 케이블용 커넥터는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가 암수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이러한 방식의 커넥터를 "제3 종래 기술"이라 지칭한다. 하지만, 제3 종래 기술의 경우, 차량 등과 같이 흔들림이 심한 환경에서 장기간 사용에 따라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간의 결합이 느슨해지면서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간의 전기적인 연결이 끊어지는 문제점(이하, "제4 문제점"이라 지칭함)이 발생한다.Meanwhile, conventional cable connectors are generally connected in a male-female manner with a female connector. Hereinafter, a connector of this type is referred to as the "third conventional technology." However, in the case of the third conventional technology, there is a probl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ourth problem") in which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is disconnected as the connection betwe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 becomes loose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n environment with severe shaking, such as a vehicle.

또한, 차량용 부품에 대한 연결 등으로 사용하기 위해,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하지만, 종래 기술은 이러한 다수의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하, "제5 문제점"이라 지칭함)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it for connecting vehicle parts, etc., a technology is needed to individually connect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through a single connector. Howev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has a problem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fth problem") in that connection to such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is impossible.

이에 따라,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 구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으면서, 공간의 제약 없이 차량 내부 등의 협소 공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고, 흔들림이 심한 환경에서의 장기간 사용에도 암수 결합력을 단단히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technology that can increas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flexible cables, can be easily applied to narrow spaces such as the interior of a vehicle without space constraints, can firmly maintain male-female bonding strength even for long-term use in environments with severe shaking, and can individually connect multiple flexible cables through a single connector.

다만, 상술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기 공개된 기술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tent mere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rrespond to previously disclosed technology.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 구조를 보다 간편하게 구현하면서 해당 연결 구조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echnology for a flexible cable, which can more easily implement a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exible cable such a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while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공간의 제약 없이 차량 내부 등의 협소 공간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는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echnology for a flexible cable that can be easily applied to narrow spaces such as the interior of a vehicle without space constraints.

또한, 본 발명은 연성 케이블을 간편하게 연결하면서도 그 연결 구조의 내구성을 높이면서 부피를 줄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new type of connector technology for a flexible cable that can easily connect a flexible cable while reducing the volume and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또한, 본 발명은 암 커넥터와 수 커넥터 간의 암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echnology for a flexible cable capable of increasing the male-female coupling force between a female connector and a male connector.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커넥터를 통해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연성 케이블용 커넥터 기술을 제공하는데 그 다른 목적이 있다.In addition, another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nector technology for a flexible cable capable of connecting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through a single connector.

다만,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However, 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인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는 커넥터로서, 다수의 연성 케이블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터미널; 및 다수의 가이드벽에 의해 형성되는 가이드 공간에 개구부를 통해 상기 터미널이 삽입되는 하우징; 및 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터미널이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개구부에 대해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걸림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 a connector is provided which connects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which are FFC (Flexible Flat Cables) 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s), respectively, and includes: a terminal which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f the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a housing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through an opening in a guide space formed by a plurality of guide walls; and a retainer which has a first cover part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a rear portion and which covers at least a portion of the opening while having a hooking action on the housing and is fastened to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개구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구비된 다수의 삽입용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연성 케이블이 상기 다수의 삽입용 홀을 하나씩 통과하면서 해당 삽입용 홀의 내주면에 접촉할 수 있다.The above retain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provided in the first cover portion so as to expose a portion of the opening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and the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can contact an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s while passing through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one by one.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가이드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터미널에 접촉하여 상기 터미널을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삽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retainer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sertion portion extending in a front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so as to contact the terminal and secure the terminal when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덮개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하우징에 1차 걸림 작용하도록 상기 제2 덮개부에 구비된 홈 또는 홀 형상의 리테이너 걸림부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re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in a front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and a retainer catch portion in the shape of a groove or hole provided in the second cover portion to perform a primary catch operation on the housing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상기 리테이너는 제1 덮개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하우징에 2차 걸림 작용하도록 제2 삽입부에서 돌출된 제1 후크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retainer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ert portion extending in a front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and a first hook protruding from the second insert portion to perform a secondary engaging action on the housing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상기 하우징은 다른 커넥터에 암수 결합 시에 상기 다른 커넥터에 홀 또는 홈 형상의 커넥터 걸림부에 걸림 작용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housing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that engages a connector engaging portion having a hole or groove shape on the other connector when mated with the other connecto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다른 커넥터 간의 암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fix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a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es a male-female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other connector.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걸림 작용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걸림부 간의 걸림 작용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암수 결합을 고정할 수 있다.The above fixing member can secure the male-female combination by engaging with the housing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and maintaining the engaging ac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connector engaging member.

상기 터미널은 전면에서 서로 이격된 제1 핑거와 제2 핑거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다른 커넥터에 암수 결합할 경우, 상기 다른 커넥터에 노출된 연결 핀이 상기 제1 및 제2 핑거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핑거에 접촉할 수 있다.The terminals each further include a first finger and a second fing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and when the housing is mated to another connector, a connecting pin exposed to the other connector can be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to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상기 제1 및 제2 핑거는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 해당 이격 거리를 좁히려고 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탄성력에 따라 상기 삽입된 연결 핀에 대한 접촉력이 발생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ngers have an elastic force that attempt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m increases, and a contact force may be generated for the inserted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elastic force.

상기 터미널은 상부의 상기 제1 핑거를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 절곡부와, 하부의 상기 제2 핑거를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 절곡부를 각각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terminal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ending portion for bending the first finger at the top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for bending the second finger at the bottom in an upward direction.

상기 터미널은 상기 제1 핑거의 단부인 제1 단부를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제3 절곡부와, 상기 제2 핑거의 단부인 제2 단부를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제4 절곡부를 각각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핀은 삽입 과정 중에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비 접촉할 수 있다.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third bending portion for bending a first end, which is an end of the first finger, upwardly, and a fourth bending portion for bending a second end, which is an end of the second finger, downwardly, respectively, and the connecting pin can be in non-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ends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는 삽입되는 상기 연결 핀에 대한 접촉 부위로 작용할 수 있다.The third and fourth bends can act as contact points for the connecting pins being inserted.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성 케이블의 제1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성이 하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 구성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인터락(interlock) 기반에 따른 연결 구조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Th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of the flexible cable, and wherein one of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figuration, is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the other, the second configuration,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have a connecting structure based on an interlock basis,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상기 터미널은 상기 연성 케이블의 제1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관통홀을 각각 더 포함하며, 보조 체결판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성이 하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 구성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사이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인터락(interlock) 기반에 따른 연결 구조를 상기 관통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될 수 있다.The above terminal further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ng terminal of the flexible cable, and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one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figuration, is positioned at the bottom, and the other, the second configuration,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nd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has a connecting structure based on an interlock in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상기 인터락 기반에 따른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요입된 상태에서 언더컷(undercut)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The connection structure based on the above interlock may be a structure including an undercut shape in a state where some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re inserted.

상기 제1 구성은 상부 방향으로 요입된 제1 요입부와, 상기 제1 요입부의 측부인 제1 요입벽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은 상기 제1 요입부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요입부와, 상기 제2 요입부의 측부인 제2 요입벽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요입벽 중에 적어도 하나는 상기 언더컷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nfiguration includes a first indentation portion recess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first indentation wall as a side portion of the first indenta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includes a second indentation portion recessed in an upward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entation portion and a second indentation wall as a side portion of the second indentation portion, and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indentation walls may include the undercut shape.

상기 제1 요입벽의 외주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에 따른 상기 언더컷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입벽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요입벽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에 따른 상기 언더컷을 포함할 수 있다.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cessed wall may include the undercut shape according to a taper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wall may include the undercut according to a taper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cessed wall.

상기 언더컷 형상의 부분에서, 상기 제1 요입벽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2 요입벽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In the above undercut shape portion, the side thickness of the first indentation wall may in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side thickness of the second indentation wall may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차량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A conn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ehicles.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을 납땜 공정 또는 초음파 융착 공정 등의 필요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perform connection to a flexible cable such a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simply and quickly without the need for a soldering process or an ultrasonic fusion proces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연성 케이블에 대한 체결력을 높이도록 터미널을 통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을 수행하여 해당 연결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 등의 환경에서도 해당 연결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2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y performing an interlock-based connection through a terminal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for a flexible cable, 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maintained even in an environment such as vibr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second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을 통한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적은 부피를 차지하므로, 공간의 제약 없이 협소 공간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3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narrow spaces without space constraints because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exible cable through a terminal is very simple and takes up a small volu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third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을 통한 연성 케이블에 대한 연결 구조의 내구성 향상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협소 공간 환경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해당 환경들이 모두 노출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최적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environment where vibration occurs due to improved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exible cable through a terminal as described above, but can also be easily applied to a narrow space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optimally applied to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that are exposed to all of these environments.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커넥터 간의 암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 등과 같이 흔들림이 심한 환경에서의 장기간 사용에도 해당 암수 결합을 단단히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4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male-femal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le-female coupling can be firmly maintaine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n environment with severe shaking, such as a vehic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fourth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1 커넥터를 통해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5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respectively through one first connector.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fifth probl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제2 종래 기술에 대한 일 예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에서 A-A'에 대한 터미널(T)의 단면에 대한 다양한 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 연성 케이블(20, 20') 및 제2 커넥터(30)의 결합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 연성 케이블(20, 20') 및 제2 커넥터(3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에서 a-a'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전면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후면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우징(100)의 전면 및 후면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200)에 대한 다양한 상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테이너(200)의 일 측면 및 후면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300)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미널(300)의 일 측면, 평면 및 전면에 대한 도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30)의 전면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커넥터(30)의 후면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400)에 대한 사시도 및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6은 연성 케이블(20, 20')이 삽입되어 연결된 하우징(100)에 리테이너(200) 및 고정부(400)가 차례로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다.
도 17은 제2 커넥터(30)에 대한 평면의 단면도와, 제2 커넥터(30)에 하우징(100) 및 고정부(400)가 차례로 결합된 상태에 대한 평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제1 커넥터(10), 연성 케이블(20, 20') 및 제2 커넥터(30)의 결합 상태에 대한 측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제2 커넥터(30) 및 하우징(100)의 결합 상태에 대한 평면의 단면도와, 제1 커넥터(10), 연성 케이블(20, 20') 및 제2 커넥터(30)의 결합 상태에 대한 평면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터미널(300)에 연성 케이블(20)이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1은 터미널(300)에 연성 케이블(20)이 연결된 후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2는 도 21에서 B-B'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3은 터미널(300)에 연성 케이블(20') 및 보조 체결판(40)이 연결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다.
도 24는 터미널(300)에 연성 케이블(20') 및 보조 체결판(40)이 연결된 후에 대한 상측 및 하측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5는 도 24에서 C-C'에 대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26은 연성 케이블(20, 20')이 연결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정상적으로 삽입되는 경우와 삽입되지 않는 경우를 각각 나타낸다.
Figure 1 shows an example of the second prior art.
Figure 2 shows various examples of cross sections of terminals (T) for A-A' in Figure 1.
FIG. 3 show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ation of a first connector (10), a flexible cable (20, 20') and a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first connector (10), a flexible cable (20, 20'), and a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a-a' in Figure 4.
FIG. 6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front of a housing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rear surface of a housing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shows a drawing of the front and back of a housing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llustrates various top perspective views of a retain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llustrates a side view and a rear view of a retainer (2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a terminal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llustrates a side, plan view and front view of a terminal (3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front of a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rear surface of a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shows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of a fixing membe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6 shows a state in which a retainer (200) and a fixing member (400) are sequentially connected to a housing (100) into which a flexible cable (20, 20') is inserted and connected.
Figure 17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e for the second connector (30)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e for a state where the housing (100) and the fixing part (400) are sequentially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30).
Fig. 18 show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coupled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FIG. 19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e for the combined state of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housing (100), and a cross-sectional view of a plane for the combined state of the first connector (10),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Figure 20 shows the appearance before the flexible cable (20)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Figure 21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flexible cable (20) after it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Figure 22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B-B' in Figure 21.
Figure 23 shows the appearance before the flexible cable (20') and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re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Figure 24 shows upper and lower perspective views of the terminal (300) after the flexible cable (20') and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re connected.
Figure 2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along line C-C' in Figure 24.
Figure 26 shows the cases where a terminal (300) to which a flexible cable (20, 20') is connected is normally inserted into a housing (100) and the cases where it is not inserted, respectively.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수단 및 그에 따른 효과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objects, means and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through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easily practic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when expl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judg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known technology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경우에 따라 복수형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구비하다", "마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언급된 구성요소 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include," "have," "provide," or "have" do not ex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ther than the mentioned components.

본 명세서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용어는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는 A 또는 B 중 하나만을 포함할 수 있고, A와 B를 모두 포함할 수도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or", "at least one", etc. can refer to one of the words listed together, or can refer to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For example,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can include only one of A or B, or can include both A and B.

본 명세서에서, "예를 들어" 등에 따르는 설명은 인용된 특성, 변수, 또는 값과 같이 제시한 정보들이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을 수 있고, 허용 오차, 측정 오차, 측정 정확도의 한계와 통상적으로 알려진 기타 요인을 비롯한 변형과 같은 효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발명의 실시 형태를 한정하지 않아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the description using the word “for example” or the lik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y means,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variations in tolerances, measurement errors, limitations of measurement accuracy, and other commonly known factors, as well as the information presented, such as cited characteristics, variables, or values, may not be exact matches.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기재된 경우,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어야 할 것이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상에' 있다거나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 다른 구성요소에 상에 직접 맞닿아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을 수 있지만,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바로 위에' 있다거나 '직접 접하여' 있다고 기재된 경우에는,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예를 들면, '~사이에'와 '직접 ~사이에'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on" or "in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in direct contact with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directly on" or "in direct contact with" another compon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there is no another component in between. Other expressions that describe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onents, such as "between" and "directly between", can be interpreted similarly.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는 위 용어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위 용어는 각 구성요소의 순서를 한정하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하나의 구성요소와 다른 구성요소를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Also, the terms should not be construed to limit the order of each component, and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first component" may be named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named the "first component."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may be used with a meaning that can be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In addition,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all not be ideally or excessively interpreted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3 내지 도 2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커넥터(10) 및 제2 커넥터(30)는 연성 케이블(20, 20')을 연결하는 커넥터이다. 이를 위해, 터미널(300)이 연결된 연성 케이블(20, 20')이 제1 커넥터(10)에 삽입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해당 연결 상태에서 제1 커넥터(10)가 제2 커넥터(30)에 암수 결합하여 연결될 수 있다. 제1 커넥터(10)를 "본 커넥터"라 다르게 지칭할 수도 있으며, 제2 커넥터(30)를 "다른 커넥터"라 다르게 지칭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3 to 26, the first connector (1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connectors for connecting flexible cables (20, 20'). To this end, the flexible cable (20, 20') to which the terminal (300) is connected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connector (10) and connected, and in the connected state,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or (30) by male-female coupling.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differently referred to as "this connector", and the second connector (30) may be differently referred to as "another connector".

이때,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30)에 대해 수 커넥터로 작용할 수 있으며,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에 대해 암 커넥터로 작용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커넥터(10)는 제2 커넥터(30)에 대해 암 커넥터로 작용할 수도 있으며, 제2 커넥터(20)는 제1 커넥터(10)에 대해 수 커넥터로 작용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or (10) can act as a male connector for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can act as a female connector for the first connector (10). Of course, unlike what is shown in the drawing, the first connector (10) can also act as a female connector for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second connector (20) can also act as a male connector for the first connector (10).

제1 커넥터(10)는 하우징(100) 및 터미널(300)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제1 커넥터(10)는 리테이너(200) 또는 고정부(400)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커넥터(10)에서, 연성 케이블(20, 20')에 연결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안착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상태에서, 리테이너(2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으며, 선택적으로 고정부(400)가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The first connector (10) may include a housing (100) and a terminal (300). Of course, the first connector (10) may additionally include a retainer (200) or a fixing member (400). In this first connector (10), a terminal (300) connected to a flexible cable (20, 20') may be inserted into and seated in the housing (100). In this inserted state, the retainer (200)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nd optionally, the fixing member (400) may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housing (100).

연성 케이블(20, 20')은 연질(flexible) 재료로 구성되는 케이블이다. 즉, 연성 케이블(20, 20')은 통상적인 와이어 부재(CA) 보다 연성(flexible)의 특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연성 케이블(20, 20')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flexible cable (20, 20') is a cable composed of a flexible material. That is,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have a more flexible characteristic than a conventional wire member (CA). At this time,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be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but is not limited thereto.

특히, 연성 케이블(20')은 연성 케이블(20) 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즉,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는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 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 케이블(20)은 보조 체결판(40)이 없이 터미널(300)에 인터락(interlock)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성 케이블(20')은 터미널(300) 외에 보조 체결판(40)을 추가로 이용하여 인터락 기반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인터락 기반의 연결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In particular, the flexible cable (20')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lexible cable (20). That is,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Accordingly, the flexible cable (20) may be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on an interlock basis without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flexible cable (20') may be connected on an interlock basis by additionally using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in addition to the terminal (300). However,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will be described later.

도 5를 참조하면, 연성 케이블(20, 20')은 신호가 전송되는 내부의 배선 패턴(23)과, 배선 패턴(23)을 감싸는 피복 부분인 절연 표피층(24)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연성 케이블(20, 20')은 일단 및 타단에 각각 제1 및 제2 접속 단자(21, 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1 및 제2 접속 단자(21, 22)는 연성 케이블(20, 20')의 배선 패턴(2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물론, 배선 패턴(23)은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 접속 단자(21, 22)도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each include an internal wiring pattern (23) through which a signal is transmitted, and an insulating skin layer (24) which is a cover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wiring pattern (23). At this time,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hav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1, 22)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respectively, and thes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1, 2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wiring pattern (23) of the flexible cable (20, 20'). Of course, a plurality of wiring patterns (23) may be provided,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1, 22) may also be provided, respectively.

연성 케이블(20, 20')에서, 다수의 제1 접속 단자(21)는 연성 케이블(20, 20')의 본체에서 돌출되되 각각이 서로 이격된 핑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도 20 및 도 23을 참조하면, 연성 케이블(20, 20')은 이러한 핑거 형상 중에 제1 접속 단자(21)가 노출되지 않도록 단부의 절연된 부위인 핑거 절연부(25)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서로 이격된 다수의 핑거 절연부(25)가 연성 케이블(20, 20')의 본체로부터 일단 방향으로 돌출되며, 이러한 각 핑거 절연부(25)로부터 제1 접속 단자(21)가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물론, 각 핑거 절연부(25)의 내부에는 각 제1 접속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배선 패턴(23)이 포함되며, 핑거 절연부(25)는 제1 접속 단자(21) 측에서 배선 패턴(23)의 표면을 절연하는 기능을 가진다. 즉, 핑거 절연부(25)는 절연 표피층(24)의 단부 부위에 해당할 수 있다.In the flexible cable (20, 20'), a plurality of first connection terminals (21) may be formed in a finger shape that protrudes from the main body of the flexible cable (20, 20') but i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f course, referring to FIG. 20 and FIG. 23,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further include a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which is an insulated portion of an end,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is not exposed among the finger shapes. That is, a plurality of finger insulation portions (25)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protrude in one direction from the main body of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may protrude from each of these finger insulation portions (25)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course, the inside of each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includes a wiring pattern (23)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has a function of insulating the surface of the wiring pattern (23) on the sid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That is, the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may correspond to an end portion of the insulating skin layer (24).

연성 케이블(20, 20')에서, 제1 접속 단자(21)는 터미널(300)에 인터락 기반으로 연결된다. 또한, 제2 접속 단자(22)에는 전자 부품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전자 부품은 센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전자 부품은 복수개의 접속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전자 부품의 제1 접속 단자가 다수의 제2 접속 단자(22)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자 부품의 제2 접속 단자가 다수의 제2 접속 단자(22) 중 다른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e flexible cable (20, 2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is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based on an interlock. In addition, an electronic compon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 For example,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a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t this time,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nnection terminals. At this tim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ne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2),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of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other of the plurality of second connection terminals (22).

특히, 전자 부품은 차량에 적용되는 부품일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부품은 센서 또는 배터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례로, 전자 부품이 센서일 경우, 해당 센서는 온도 센서, 파워 센서, 습도 센서, 가스 센서, 조도 센서, 압력 센서, 이미지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조향각 센서, 각속도 센서, 중력 센서, 토크 센서, 압력 센서, 유량 센서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물론, 제2 접속 단자(22)는 다른 커넥터나 회로 기판에 연결될 수도 있다.In particular,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a component applied to a vehicle. In this case, the electronic component may be a sensor or a battery,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if the electronic component is a sensor, the sensor may be a temperature sensor, a power sensor, a humidity sensor, a gas sensor, an illuminance sensor, a pressure sensor, an image sensor, 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a steering angle sensor, an angular velocity sensor, a gravity sensor, a torque sensor, a pressure sensor, a flow rate sensor, but is not limited thereto. Of course,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 may also be connected to another connector or circuit board.

터미널(300)은 연성 케이블(20, 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전도성 재질의 구성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연결부(330)를 포함하며, 핑거(310, 320), 절곡부(340, 350), 터미널 걸림부(360) 또는 터미널 관통부(370)를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The terminal (300) is a conductive material configuration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20, 20'). Referring to FIGS. 11 and 12, the terminal (300) includes a connecting portion (330) and may optionally further include a finger (310, 320), a bending portion (340, 350), a terminal catch portion (360), or a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터미널(300)에서 일측에 위치한 연결부(330)는 연성 케이블(20, 20')의 제1 접속 단자(21)에 인터락 기반으로 연결된다. 즉, 터미널(300)에서 연결부(330)는 전면부에서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길이를 가지는 부위로서, 인터락 기반의 연결 방식에 따라 연성 케이블(20, 20')의 제1 접속 단자(21)와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한다. 이러한 연결부(330)는 제1 및 제2 핑거(310, 320)와 제1 및 제2 절곡부(340, 350)로부터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일 수 있다.A connection portion (330) located on one side of the terminal (300) is interlock-bas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20'). That is, the connection portion (330) of the terminal (300) is a portion having a length extending from the front to the rear, and corresponds to a portion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20') according to an interlock-based connection method. This connection portion (330) may be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and the first and second bend portions (340, 350) in the rear direction.

제1 핑거(310)는 터미널(300)의 전면부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이고, 제2 핑거(320)는 터미널(300)의 전면부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형상을 가진다.The first finger (31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300), and the second finger (320)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front surface of the terminal (300). Thes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have a shap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에 삽입되어 하우징(100)의 제1 개구부(101)을 통해 노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커넥터(10)의 하우징(100)이 제2 커넥터(30)에 결합되는 경우,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각각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에서 노출된 연결 핀(31)에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이 삽입되면서, 제1 핑거(310)의 하부면이 연결 핀(31)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되고, 제2 핑거(320)의 하부면이 연결 핀(31)의 상부면에 접촉하게 된다. 그 결과, 터미널(300)은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에 연결된 회로기판의 접속 단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and exposed through the first opening (101) of the housing (100). Accordingly, when the housing (100) of the first connector (10) is coupled to the second connector (30),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each come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in (31) exposed in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At this time, when the connecting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finger (3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31),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finger (32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31). As a result, the terminal (3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connection terminal of a circuit board connected to a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특히,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탄성력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외력에 의해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 해당 이격 거리를 좁히려고 하는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핑거(310)는 외력에 의해 제1 핑거(310)가 상부로 움직이게 될 경우에 하부로 되돌아가려는 제1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핑거(320)는 외력에 의해 제2 핑거(320)가 하부로 움직이게 되면 상부로 되돌아가려는 제2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In particular,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may be formed to have elasticity.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may have elasticity that attempt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m increases due to an external force. That is, the first finger (310) may have a first elasticity that attempts to return downward when the first finger (310) is moved upward by an external force. In addition, the second finger (320) may have a second elasticity that attempts to return upward when the second finger (320) is moved downward by an external force.

만일,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이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삽입될 경우, 해당 연결 핀(31)의 상하 방향의 두께가 제1 및 제2 핑거(310, 320) 간의 이격 거리보다 크므로, 제1 및 제2 핑거(310, 320)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제1 및 제2 핑거(310, 320)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술한 제1 또는 제2 탄성력이 발생하면서, 삽입된 연결 핀(31)에 대한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접촉력을 높일 수 있다.If the connecting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e thickness of the connecting pin (31)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increases. Accordingly, the first or second elastic force described above is generated by at least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ereby increasing the contact force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against the inserted connecting pin (31).

상술한 제1 및 제2 탄성력의 강화를 위해, 터미널(300)은 제1 및 제2 절곡부(340, 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 절곡부(340)는 제1 핑거(310)로부터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1 핑거(310)를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이러한 제1 절곡부(340)의 절곡 형상에 의해 제1 핑거(310)는 보다 큰 제1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절곡부(350)는 제2 핑거(320)로부터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에 구비되는 것으로서, 제2 핑거(320)를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킨다. 이러한 제2 절곡부(350)의 절곡 형상에 의해 제2 핑거(320)는 보다 큰 제2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In order to reinforce the first and second elastic forces described above, the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first and second bending portions (340, 350). That is, the first bending portion (340) is provided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first finger (310) toward the rear, and bends the first finger (310) downward. Due to the bending shape of the first bending portion (340), the first finger (310) may have a greater first elastic force. In addition, the second bending portion (350) is provided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second finger (320) toward the rear, and bends the second finger (320) upward. Due to the bending shape of the second bending portion (350), the second finger (320) may have a greater second elastic force.

한편,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제1 핑거(310)의 단부인 제1 단부(311)나 제2 핑거(320)의 단부인 제2 단부(321)에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이 접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해당 제1 및 제2 단부(311, 321)는 날카로운 형상을 가질 수 있으므로, 해당 연결 핀(31)에 스크래치를 발생시킬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이러한 스크래치를 방지하기 위해, 제1 및 제2 단부(311, 321)는 각각 상하부로 절곡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e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end (311) of the first finger (310) or the second end (321) of the second finger (320). In this case, since the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may have a sharp shape, scratches may be generated on the connection pin (31). Accordingly, in order to prevent such scratches, the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may be bent upward and downward, respectively.

즉, 제1 핑거(310)는 제1 단부(311)를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제3 절곡부(312)를 포함할 수 있고, 제2 핑거(320)는 제2 단부(321)를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제4 절곡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finger (310) may include a third bending portion (312) for bending the first end (311) in an upward direction, and the second finger (320) may include a fourth bending portion (322) for bending the second end (321) in a downward direction.

이와 같이 제1 및 제2 단부(311, 321)가 상하부로 각각 절곡된 형상을 가짐에 따라,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을 삽입하는 과정에서, 해당 연결 핀(31)이 날카로운 제1 및 제2 단부(311, 321)에 접촉하지 않을 수 있으며, 대신에 날카롭지 않은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중간 부위에 접촉하면서, 제1 및 제2 단부(311, 321)에 의한 스크래치 발생이 방지될 수 있다.As the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have a shape in which they are each bent upward and downward, in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e connection pin (31) may not come into contact with the sharp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and instea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middle portion of the non-sharp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ereby preventing scratches from occurring due to the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일례로, 제3 및 제4 절곡부(312, 222) 또는 그 주변이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삽입되는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에 대한 접촉 부위로 작용할 수 있다. 즉, 제3 절곡부(312)는 제1 단부(311)와 제1 절곡부(3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절곡부(312)의 내측면(즉, 하부면)이 하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되면서, 해당 내측면 또는 그 주변이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핀(31)의 상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4 절곡부(332)는 제2 단부(321)와 제2 절곡부(3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절곡부(322)의 내측면(즉, 상부면)이 상부를 향하여 돌출된 형상을 가지게 되면서, 해당 내측면 또는 그 주변이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핀(31)의 하부면에 접촉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third and fourth bends (312, 222) or the surroundings thereof may act as contact portions for the connecting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That is, the third bend (31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first end (311) and the first bend (340).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i.e., the lower surface) of the third bend (312) has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so that the inner surface or the surroundings thereof may contact the upp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31)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Similarly, the fourth bend (332) may be provided between the second end (321) and the second bend (350). Accordingly, the inner surface (i.e., the upper surface) of the fourth bend (322) has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so that the inner surface or its surrounding area can contact the lower surface of the connecting pin (31)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특히, 터미널(300)의 너비를 좁은 피치로 구현하기 위해,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각각 1개씩 구비되되,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서 볼 때 서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In particular, in order to implement the width of the terminal (300) with a narrow pitch, it may be preferable that each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be provided with one, but implemented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m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the upper or lower direction.

터미널 걸림부(360)는 제2 핑커(220) 및 제2 절곡부(350)에서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부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구성이다. 이때, 터미널 걸림부(360)는 연결부(330)의 하부보다 하부 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300)이 설치될 경우에 터미널 걸림부(360)가 하우징(100)의 내부 홈(109)에 걸림 작용할 수 있다.The terminal catch portion (360) is configured to extend from the second finger (220) and the second bend portion (350) toward the rear and protrude downward. At this time, it may be preferable that the terminal catch portion (360) be formed to protrude further downward than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Accordingly, as illustrated in FIG. 18, when the terminal (3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he terminal catch portion (360) can act as a catch in the inner groove (109) of the housing (100).

제1 절곡부(340)에는 상면부와 하면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된 터미널 관통부(37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터미널 관통부(370)에 의해, 터미널(20)의 양측에 제1 절곡부(34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절곡부(350)는 터미널 관통부(370)에 대응하는 하부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irst bend portion (340) may be provided with a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formed to penetrate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By means of this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the first bend portion (340)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terminal (20). In this case, the second bend portion (350) may be provided at a lower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터미널 관통부(370)는 양측의 제1 절곡부(340)에 의해 형성되는 제1 탄성력을 적절히 조절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즉, 터미널 관통부(370)의 양측 방향 길이가 길어질수록 양측의 각 제1 절곡부(340)의 양측 방향 두께가 얇아지므로, 양측의 각 제1 절곡부(340)의 제1 탄성력이 약해질 수 있다. 반대로, 터미널 관통부(370)의 양측 방향 길이가 짧아질수록 양측의 각 제1 절곡부(340)의 양측 방향 두께가 두꺼워지므로, 양측의 각 제1 절곡부(340)의 제1 탄성력이 강해질 수 있다.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may have a function of appropriately adjusting the first elastic force formed by the first bend portions (340) on both sides. That is, as the length of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in both directions increases,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bend portions (340) on both sides decreases, so that the first elastic force of each of the first bend portions (340) on both sides may decrease. Conversely, as the length of the terminal penetration portion (370) in both directions decreases, the thickness of each of the first bend portions (340) on both sides increases, so that the first elastic force of each of the first bend portions (340) on both sides may increase.

물론,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일측에 하나의 제1 절곡부(340)만이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이 경우에도,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상하부에서 볼 때 서로 중첩된 영역에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중첩된 영역이 제1 및 제2 핑거(310, 320)가 접촉한다는 의미는 아니다. 즉, 상부 또는 하부 방향에서 볼 때 해당 중첩된 영역이 발생한다는 의미이며, 제1 및 제2 핑거(310, 320)는 여전히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형태를 가진다.Of course, unlike what is shown in the drawing, only one first bend (340) may be provided on one side. Of course, even in this case,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may be provided in an area that overlaps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and below. This overlapping area does not mean that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come into contact. That is, it means that the overlapping area occurs when viewed from above or below, and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still have a form that is spaced apart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

한편, 도 20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인터락 기반의 연결은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터미널(300)의 연결부(330)의 상부 또는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특정 형상의 돌기 등을 이용하여 해당 제1 접속 단자(21) 및 연결부(330)의 접촉 구조의 일부에 대한 상하부면을 압착하여, 제1 접속 단자(21) 및 연결부(330)의 접촉 구조에 언더컷(undercut, UC)을 포함하는 요입부(331, 212)를 형성함으로써,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와 터미널(300)의 연결부(330)를 고정하는 방식이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20 to 22,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is a method of fix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of the terminal (300) by pressing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part of the contact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using a projection of a specific shape, etc., to form a recessed portion (331, 212) including an undercut (UC) in the contact structur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일례로, 도 22를 참조하면,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연결부(330)의 상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착을 통해 요입부(331, 212)와 제1 및 제2 연결 돌출부(332, 211) 등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2,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osition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and the inlet portion (331, 21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332, 211), etc. can be 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compression.

즉, 도 22에서, 연결부(330)의 하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요입된 형상인 제1 요입부(3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입부(331)에 대응하는 연결부(330)의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1 연결 돌출부(332)가 형성된다. 즉, 제1 연결 돌출부(332)는 하부의 제1 요입부(331)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이다. 특히, 제1 요입부(331)의 측부인 제1 요입벽(333)에는 언더컷(UC)이 형성된다. 이때, "언더컷(UC)"이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 또는 면적 등이 커지는 제1 테이퍼 형상을 가지는 부분을 지칭한다. 특히, 제1 요입벽(333)의 외주면의 상측 부분이 제1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UC)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언더컷(UC) 부분에서, 제1 요입벽(333)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That is, in Fig. 22, a first indentation portion (331) having an upwardly indented shap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portion (332) having an upwardly protruding shape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corresponding to this first indentation portion (331).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portion (332) is a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entation portion (331) at the lower portion. In particular, an undercut (UC) is formed at the first indentation wall (333), which is a side portion of the first indentation portion (331). At this time, the “undercut (UC)” refers to a portion having a first tapered shape in which the diameter or area, etc., increases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In particular, an undercut (UC) of the first tapered shape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irst indentation wall (333). Of course, in this undercut (UC) portion, the side thickness of the first inlet wall (333) can in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또한, 도 22에서, 제1 접속 단자(21)의 하부에는 제1 연결 돌출부(332)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요입부(21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요입부(212)에 대응하는 제1 접속 단자(21)의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2 연결 돌출부(211)가 형성된다. 즉, 제2 연결 돌출부(211)는 하부의 제1 연결 돌출부(332) 및 제2 요입부(212)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이다. 물론, 제2 연결 돌출부(211)의 중심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요입된 형상인 제3 요입부(213)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요입부(212)의 측부인 제2 요입벽(214)에는 제1 요입벽(333)의 언더컷(UC)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 형상이 형성된다. 이때, 제2 테이퍼 형상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 또는 면적 등이 커지는 형상일 수 있다. 특히, 제1 요입벽(333)의 외주면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제1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UC)에 대응하여, 제2 요입벽(214)의 내주면의 상측 부분이 제2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UC)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언더컷(UC) 부분에서, 제2 요입벽(214)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22, a second recessed portion (212)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to correspond to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332) and recessed upward. A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11) having a shape protruding upward is formed at the top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corresponding to this second recessed portion (212). That is,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11) is a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on protrusion (332)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212) at the bottom. Of course, a third recessed portion (213) having a shape recessed downward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on protrusion (211). In particular, a second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ndercut (UC) of the first recessed wall (333) is formed at the second recessed wall (214), which is a side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212). At this time, the second tapered shape may be a shape whose diameter or area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particular, in response to the first tapered undercut (UC)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cessed wall (333), a second tapered undercut (UC)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wall (214). Of course, in this undercut (UC) portion, the side thickness of the second recessed wall (214) may decrease from the bottom to the top.

즉, 도 22에서,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330)의 제1 요입부(331)의 제1 요입벽(333)에 제1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이 형성되고, 상부에 위치한 제1 접속 단자(21)의 제2 요입부(212)의 제2 요입벽(214)에 제1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 형상이 형성된다. 그 결과, 해당 제1 및 제2 테이퍼 형상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330)와 상부에 위치한 제1 접속 단자(21) 간을 인터락 방식으로 연결(즉, 언더컷에 따른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하부의 연결부(330)가 상부의 제1 접속 단자(21)에 강력히 고정되면서, 터미널(300)이 연성 케이블(20)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Fig. 22, a first taper-shaped undercut is formed in the first inlet wall (333) of the first inlet portion (331) of the lower-positioned connecting portion (330), and a second taper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per shape is formed in the second inlet wall (214) of the second inlet portion (212) of the upper-positioned first connecting terminal (21). As a result, the lower-positioned connecting portion (330) and the upper-positioned first connecting terminal (21) can be interlocked (i.e., connected according to the undercu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aper shapes, so that the lower-positioned connecting portion (330) can be strongly fixed to the upper-positioned first connecting terminal (21), and the terminal (300) can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20).

물론, 연결부(330)와 제1 접속 단자(21) 간의 체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의 구조에 관련된 부위는 다수개가 구현될 수도 있다.Of cours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connecting portion (330) and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21), multiple part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다만, 도 22에 따라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은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연결부(330)의 상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은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연결부(33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22에 따라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에 관련된 연결부(330)의 구성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제1 접속 단자(21)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2에 따라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에 관련된 제1 접속 단자(21)의 구성은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부(330)에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2 is generat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rimping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Conversely,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may also be generat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rimping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ositioned to contac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related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2 may be formed 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related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2 may be formed at the connection portion (33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이에 따라, 인터락 기반의 연결과 관련하여, 제1 접속 단자(21) 및 연결부(330) 중에 어느 하나는 "제1 구성"이라 지칭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2 구성"이라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성은 인터락 기반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제2 구성은 인터락 기반의 연결 부위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one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figuration”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figuration may be a configuration positioned lower in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may be a configuration positioned upper in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portion.

정리하면, 도 22에 기반한 인터락에 따른 연결은 제1 및 제2 구성이 상하부로 접촉하여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서로를 록킹(locking)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체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락의 구조는 도 22에 따라 상술한 언더컷 형상에 관련된 구조일 수 있다. In summary,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interlock based on Fig. 22 may mean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re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from above and below, and that the connection is made by having a structure in which some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lock each other. The structure of this interlock may be a structure related to the undercut shape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2.

한편, 도 23 내지 도 25를 참조하면, 터미널(300)은 보조 체결판(40)을 추가로 이용하여 연성 케이블(20')을 인터락 기반의 연결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성 케이블(20')에는 해당 인터락 기반의 연결을 위해 관통된 개구인 관통홀(26)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23 to 25, the terminal (300) may additionally use an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to connect a flexible cable (20') based on an interlock. In this case, the flexible cable (20') may be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6), which is an opening through which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is made.

이때,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보조 체결판(40)과 연결부(330)의 사이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특정 형상의 돌기 등을 이용하여 해당 보조 체결판(40), 제1 접속 단자(21) 및 연결부(330)의 접촉 구조의 일부에 대한 상하부면을 압착하여, 보조 체결판(40) 및 연결부(330)에 언더컷(undercut, UC)을 포함하는 요입부(331, 42)를 관통홀(26)의 주변(가령, 관통홀(26)의 상부 또는 하부)에 형성하며, 이에 따라 해당 언더컷 형상이 관통홀(26)에 끼여 고정됨으로써,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를 보조 체결판(40)과 연결부(330)의 사이에 고정하는 방식이다.At this time, in a state where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arranged to be in contact betwee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a part of the contact structure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are pressed using a projection of a specific shape, etc., so that an indentation (331, 42) including an undercut (UC) is formed around the through hole (26) (e.g.,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6)) i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and accordingly, the undercut shape is fix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6), thereby fix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betwee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일례로, 도 25를 참조하면,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의 하부가 연결부(330)의 상부에 접촉하고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의 상부가 보조 체결판(40)의 하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착을 통해 요입부(331, 42)와 제1 및 제2 연결 돌출부(332, 41) 등을 형성할 수 있다. For example, referring to FIG. 25, in a state where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33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laced in contact with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the indentation portions (331, 4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protrusions (332, 41), etc. can be form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essing.

즉, 도 25에서, 연결부(330)의 하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요입된 형상인 제1 요입부(331)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요입부(331)에 대응하는 연결부(330)의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1 연결 돌출부(332)가 형성된다. 즉, 제1 연결 돌출부(332)는 하부의 제1 요입부(331)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이다. 특히, 제1 요입부(331)의 측부인 제1 요입벽(333)에는 언더컷(UC)이 형성된다. 특히, 제1 요입벽(333)의 외주면의 상측 부분이 제1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UC)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언더컷(UC) 부분에서, 제1 요입벽(333)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질 수 있다.That is, in Fig. 25, a first indentation (331) having an upwardly indented shape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A first connecting protrusion (332) having an upwardly protruding shape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corresponding to this first indentation (331). That is,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332) is a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dentation (331) at the lower portion. In particular, an undercut (UC) is formed at the first indentation wall (333), which is a side portion of the first indentation (331). In particular, an undercut (UC) having a first tapered shape may be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indentation wall (333). Of course, in this undercut (UC) portion, the side thickness of the first indentation wall (333) may increase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또한, 도 25에서, 보조 체결판(40)의 하부에는 제1 연결 돌출부(332)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요입부(42)가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요입부(42)에 대응하는 보조 체결판(40)의 상부에는 상부 방향으로 돌출된 형상의 제2 연결 돌출부(41)가 형성된다. 즉, 제2 연결 돌출부(41)는 하부의 제1 연결 돌출부(332) 및 제2 요입부(42)에 대응하여 상부로 돌출되는 부위이다. 물론, 제2 연결 돌출부(41)의 중심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요입된 형상인 제3 요입부(43)가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제2 요입부(42)의 측부인 제2 요입벽(44)에는 제1 요입벽(333)의 언더컷(UC)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 형상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요입벽(333)의 외주면의 상측 부분에 형성된 제1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에 대응하여, 제2 요입벽(44)의 내주면의 상측 부분이 제2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이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언더컷(UC) 부분에서, 제2 요입벽(44)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질 수 있다.In addition, in Fig. 25, a second recessed portion (42) that is recessed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332) is form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41) that has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ly is form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corresponding to this second recessed portion (42). That is,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41) is a portion that protrudes upwardly corresponding to the first connecting protrusion (332) and the second recessed portion (42) at the lower portion. Of course, a third recessed portion (43) that has a shape that is recessed downwardly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second connecting protrusion (41). In particular, a second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undercut (UC) of the first recessed wall (333) is formed at the second recessed wall (44), which is a side portion of the second recessed portion (42). At this time, in response to the first tapered undercut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concave wall (333), a second tapered undercut may be form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ncave wall (44). Of course, in this undercut (UC) portion, the side thickness of the second concave wall (44) may become smaller from the lower portion to the upper portion.

즉, 도 22에서, 제1 요입부(331)의 제1 요입벽(333)에 제1 테이퍼 형상의 언더컷이 관통홀(26)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되고, 제2 요입부(42)의 제2 요입벽(44)에 제1 테이퍼 형상에 대응하는 제2 테이퍼 형상이 관통홀(26)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다. 그 결과, 해당 제1 및 제2 테이퍼 형상에 따라 하부에 위치한 연결부(330)와 상부에 위치한 보조 체결판(40) 간을 인터락 방식으로 연결(즉, 언더컷에 따른 연결)할 수 있으므로, 하부의 연결부(310) 및 상부의 보조 체결판(40)의 사이에서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강력히 고정되면서, 터미널(300)이 연성 케이블(20')에 연결될 수 있다.That is, in Fig. 22, a first tapered undercut is formed at the lower or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6) in the first inlet wall (333) of the first inlet portion (331), and a second tapered shape corresponding to the first tapered shape is formed at the lower or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6) in the second inlet wall (44) of the second inlet portion (42). As a result, the connection portion (330)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located at the upper portion can be interlocked (i.e., connected according to the undercu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tapered shapes, so th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can be strongly fixed between the connection portion (310) at the lower portion and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t the upper portion, and the terminal (300) can be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20').

물론, 보조 체결판(40), 제1 접속 단자(21) 및 연결부(330) 간의 체결력을 더욱 높이기 위해,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의 구조에 관련된 부위는 다수개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하나의 터미널(300)에 관통홀(26)이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된다.Of course,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bonding strength betwee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connecting portion (330), the part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above-described interlock-based connection may be implemented in multiple numbers. In this cas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6)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ne terminal (300).

다만, 도 25에 따라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은 연결부(330)가 하부에 배치되고 보조 체결판(40)이 상부에 배치되며 그 사이에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발생되는 것이다. 이와 반대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은 보조 체결판(40)이 하부에 배치되고 연결부(330)가 상부에 배치되며 그 사이에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술한 압착이 수행됨으로써 발생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도 19에 따라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에 관련된 연결부(330)의 구성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보조 체결판(40)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 25에 따라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에 관련된 보조 체결판(40)의 구성은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연결부(330)에 형성될 수 있다. However,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5 is generat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rimping in a state where the connecting portion (33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ositioned between them. Conversely,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may also be generated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crimping in a state where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is positioned at the bottom, the connecting portion (330) is positioned at the top, and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is positioned between them. In this case, the configura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330) related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19 may be formed i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related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5 may be formed in the connecting portion (330) located at the top.

이에 따라, 인터락 기반의 연결과 관련하여, 보조 체결판(40) 및 연결부(330) 중에 어느 하나는 "제1 구성"이라 지칭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제2 구성"이라 지칭될 수 있다. 이때, 제1 구성은 인터락 기반의 연결 부위에서 하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으며, 제2 구성은 인터락 기반의 연결 부위에서 상부에 위치하는 구성일 수 있다.Accordingly, with respect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one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connecting portion (330)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configuration” and the other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nfiguration.” In this case, the first configuration may be a configuration positioned lower in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portion, and the second configuration may be a configuration positioned upper in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portion.

정리하면, 도 25에 기반한 인터락에 따른 연결은 제1 및 제2 구성이 상하부로 배치되되 그 사이에 연성 케이블(20')의 제1 접속 단자(21)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서로를 록킹(locking)하는 구조를 연성 케이블(20')의 관통홀(26)에 구비함으로써 체결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러한 인터락의 구조는 도 25에 따라 상술한 언더컷 형상에 관련된 구조일 수 있으며, 해당 인터락의 구조는 관통홀(26)에 대해 고정되는 구조일 수 있다.In summary,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interlock based on Fig. 25 may mean that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re arranged upper and lower,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arranged between them, and a structure for locking some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to each other is provided in the through hole (26) of the flexible cable (20'). The structure of this interlock may be a structure related to the undercut shape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Fig. 25, and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 may be a structure that is fixed to the through hole (26).

특히, 도 25에서, 제1 접속 단자(21)는 보조 체결판(40) 및 연결부(330) 보다 얇은 두께일 수 있다. 즉, 제1 접속 단자(21)가 너무 얇아 제1 접속 단자(21)와 연결부(330)로는 도 22에 따른 인터락 기반의 연결 구조를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접속 단자(21) 보다 두꺼운 보조 체결판(40) 및 연결부(330)의 사이에 제1 접속 단자(21)를 배치함으로써 도 25에 기반한 인터락에 따른 연결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In particular, in Fig. 25,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may have a thinner thickness tha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That is, i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is too thin, it may be difficult to implement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Fig. 22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Accordingly, by arranging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between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40) and the connection portion (330) which are thicker than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the connec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interlock based on Fig. 25 can be implemented.

특히, 터미널(300)의 너비와 연성 케이블(20, 20')의 제1 접속 단자(21)의 너비가 좁은 피치로 구현되는 경우에 제1 또는 제2 종래 기술 등의 연결 방식을 이용하면, 연성 케이블(20, 20')과 터미널(300) 간의 연결 부위가 좁아지면서 그 체결력이 약해질 수 있다. 하지만, 상술한 바와 같은 인터락에 따른 연결이 구현됨에 따라, 해당 좁은 피치에도 불구하고 연성 케이블(20, 20')과 터미널(300) 간에 매우 큰 체결력이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상술한 언더컷 형상에 관련된 구조가 좁은 피치에도 충분히 구현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상술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의 구조에 관련된 부위가 터미널(300)의 길이를 따라 다수개가 구현되는 경우, 좁은 피치에도 불구하고 매우 강력한 체결력이 제공될 수 있다.In particular, when the width of the terminal (300) and the width of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20') are implemented with a narrow pitch, if a connection method such as the first or second conventional technology is used, the connection portion between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terminal (300) may become narrow and the fastening force may be weakened. However, as the connection according to the interlock as described above is implemented, a very large fastening force can be provided between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terminal (300) despite the narrow pitch. This is because the structure related to the undercut shape described above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even with a narrow pitch. In particular, when a plurality of portions related to the structure of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described above are implemented along the length of the terminal (300), a very strong fastening force can be provided despite the narrow pitch.

물론,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터미널(300)은 연결부(330)에서 후면부 방향으로 연장된 부위에 상부로 돌출된 다수의 고정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수의 고정부는 해당 연장 부위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1쌍 또는 그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Of cours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terminal (3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fixing parts (not shown) protruding upwardly at a portion extending from the connection portion (330) toward the rear. Such a plurality of fixing parts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corresponding extension portion, and one or more pairs may be provided.

다수의 고정부는 외부 압력에 의해 연성 케이블(20, 20')을 향해 절곡 압착되면서 연성 케이블(20, 20')에 체결될 수 있다. 이하, 이러한 체결을 "추가 연결"이라 지칭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연결 시, 다수의 고정부 중에 적어도 하나는 연성 케이블(20, 20')을 관통한 후 해당 관통 상태에서 절곡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통한 고정부는 해당 관통에 의해 핑거 절연부(25) 또는 연성 케이블(20, 20')의 본체 내의 도전 부위와 접촉하게 된다. A plurality of fasteners may be fastened to the flexible cable (20, 20') by being bent and compressed toward the flexible cable (20, 20') by an external pressure. Hereinafter, such fastening may be referred to as an "additional connection." In the case of such an additional connection,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asteners may be bent and compressed in the state of penetration after penetrating the flexible cable (20, 20'). Accordingly, the fastener that has penetrate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finger insulation (25) or the conductive portion within the body of the flexible cable (20, 20') by the penetration.

이때, 연성 케이블(20, 20')의 도전 부위는 제1 접속 단자(2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부위에 해당하므로, 관통한 고정부는 해당 관통에 의해 제1 접속 단자(21) 및 연성 케이블(20, 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적 연결은 인터락 기반의 연결에 따른 제1 접속 단자(21) 및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터미널(300)의 전기적인 연결을 보완할 수 있다.At this time, since the conductive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20, 20') corresponds to a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the penetrated fixed portion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flexible cable (20, 20') by the penetration. This electrical connection can supplement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terminal (300)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 flexible cable (20, 20') according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ion.

물론, 추가 연결에 따른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고정부가 모두 연성 케이블(20, 20')을 관통할 수 있다. 또한, 추가 연결의 체결력을 높이기 위해, 다수의 고정부가 터미널(300)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길이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즉, 다수의 고정부 중에 어느 하나가 보다 상대적으로 전면부에 더 가까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가 상대적으로 후면부에 더 가까이 구비될 수 있다.Of course, in orde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according to the additional connection, multiple fixing members can all pass through the flexible cable (20, 20'). Also, in order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of the additional connection, multiple fixing members can be provided at different length positions based 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terminal (300). That is, among the multiple fixing members, one can be provided relatively closer to the front side and the other can be provided relatively closer to the rear side.

한편, 추가 연결이 수행되는 연성 케이블(20, 20')의 부위는 핑거 절연부(25), 연성 케이블(20, 20')의 본체 또는 제1 접속 단자(21)일 수 있다. 물론, 다수의 고정부 중에 적어도 하나가 연성 케이블(20, 20')의 제1 접속 단자(21)에 접촉될 수도 있다. Meanwhile, the portion of the flexible cable (20, 20') where the additional connection is performed may be the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the body of the flexible cable (20, 20'), or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course,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xed portions may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of the flexible cable (20, 20').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보다 원활한 관통 작용을 위해, 다수의 고정부의 적어도 하나는 단부로 갈수록 단면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그 단부가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다. For a smoother penetration action on the flexible cable (20, 20'), at least one of the plurality of fixing parts may be formed with a cross-section that becomes smaller as it goes towards the end, so that the end may be formed sharply.

일례로, 연성 케이블(20, 20')의 핑거 절연부(25)를 다수의 고정부 보다 상측에 배치한 상태에서, 연성 케이블(20, 20')과 터미널(300)에 대해 인력의 외부 힘이 가해지면서, 다수의 고정부가 연성 케이블(20, 20')의 핑거 절연부(25)를 관통할 수 있다. 물론, 필요한 경우, 해당 관통 홀이 연성 케이블(20, 20')에 미리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이러한 관통 상태에서, 다수의 고정부가 각각 연성 케이블(20, 20')을 향하여 절곡 압착되도록 외력에 의해 변형됨으로써, 터미널(300)이 연성 케이블(20, 20')에 추가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finger insulation (25) of the flexible cable (20, 20') is positioned above a plurality of fixing members, and an external force of attraction is applied to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terminal (300),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can penetrate the finger insulation (25) of the flexible cable (20, 20'). Of course, if necessary, the corresponding penetration hole may be provided in advance in the flexible cable (20, 20'). In this penetration state, the terminal (300) can be additionally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20, 20') by deforming the plurality of fixing members by an external force so that they are each bent and compressed toward the flexible cable (20, 20').

제1 커넥터(10)에서,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에 삽입 설치되는 터미널(300)을 둘러싸는 케이스로 기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1 커넥터(10)는 회로기판(미도시) 또는 제2 커넥터(30)에 연결될 수 있다. 물론, 제2 커넥터(30)는 회로기판에 연결된 커넥터일 수 있다. 이때, 회로기판은 다양한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회로기판에 접속하여 해당 전자기기들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회로기판은 차량 내의 다양한 전장 부품에 대한 각종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회로기판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커넥터(10)는 차량용 커넥터(즉, 차량의 전장 부품용 커넥터)에 해당할 수 있다.In the first connector (10), the housing (100) is configured to function as a case surrounding a terminal (300) that is inserted and installed in the internal space. This first connector (10) can be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not shown) or a second connector (30). Of course,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a connector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At this time, the circuit board can correspond to a circuit board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is, the first connector (10)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necting to the circuit boards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transmitting signals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circuit board can be a circuit board for processing various signals for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n a vehicle. In this case, the first connector (10) can correspond to a vehicle connector (i.e., a connector for electrical components of a vehicle).

특히, 회로기판은 연성 케이블(20, 20') 보다 경질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PCB(Printed Circuit Board) 등일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가 회로기판 또는 제2 커넥터(30)에 연결되면, 하우징(100) 내에 삽입된 터미널(300)이 회로기판의 접속 단자 또는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particular, the circuit board may be composed of a harder material than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may be a PCB (Printed Circuit Board), etc. That is, when the first connector (10) is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or the second connector (30), the terminal (3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circuit board or the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제1 및 제2 커넥터(10, 30)의 암수 결합 시, 하우징(100)의 전면부는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하우징(100)은,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부에 개구된 제1 개구부(101)와, 후면부에 개구된 제2 개구부(102)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개구부(101, 102)는 서로 통로가 연결될 수 있으며,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개구부(101, 102)에 따른 통로는 하우징(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해당 통로는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및 제2 개구부(101, 102)에 따른 통로는 후술할 가이드 공간에 해당할 수 있다. When the male and female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are coupled,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can be inserted into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As shown in FIGS. 6 to 8,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first opening (101) opened in the front and a second opening (102) opened in the rear, respectively.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01, 102)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passages and may be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In particular, a plurality of passag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01, 102) may be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Of course, a plurality of passages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e passages according to these first and second openings (101, 102) may correspond to the guide space described later.

특히, 하우징(100)의 너비 방향을 따라 구비된 제1 및 제2 개구부(101, 102)에 따른 복수개의 통로는 하나의 열을 이루며, 이러한 열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물론, 도 6 내지 도 8에서, 해당 열은 3개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In particular, a plurality of passages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01, 102)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form one row, and a plurality of such rows may be provided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Of course, in FIGS. 6 to 8, the number of rows is illustrated as thre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연성 케이블(20, 20')과 복수개의 터미널(300)이 연결된 하나의 구조체(즉, 제1 구조체)는 복수개의 통로에 따른 하나의 열에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연성 케이블(20, 20')과 복수개의 터미널(300)이 연결된 다른 하나의 구조체(즉, 제2 구조체)는 복수개의 통로에 따른 다른 하나의 열에 삽입될 수 있다. 물론, 제1 및 제2 구조체에서 복수개의 터미널(300)의 핑거(310, 320)가 각 열의 제2 개구부(102)를 향해 삽입된다. One structure (i.e., the first structure) having the flexible cables (20, 2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300) connected thereto can be inserted into one row al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In addition, another structure (i.e., the second structure) having the flexible cables (20, 20') and the plurality of terminals (300) connected thereto can be inserted into another row along the plurality of passages. Of course, in the first and second structures, the fingers (310, 320)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300) are inserted toward the second openings (102) of each row.

하우징(100)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 돌출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넥터(30)는 제1 돌출부(103)에 대응하여 개구부(32)에 홈 또는 홀 형상의 커넥터 걸림부(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에 하우징(100)의 전면부가 삽입되는 경우, 제1 돌출부(103)는 제2 커넥터(30)의 커넥터 걸림부(34)에 대해 걸림 작용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넥터(10, 30)의 암수 결합 시에 제1 돌출부(103)가 커넥터 걸림부(34)에 걸림 작용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protrusion (103) formed to protrude on the outer surface. Accordingly, the second connector (30) may further include a connector catch (34) in the shape of a groove or hole in the opening (32) corresponding to the first protrusion (103). That is, when the front part of the housing (1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the first protrusion (103) may catch on the connector catch (34) of the second connector (30). That is, when the male and female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are coupled, the first protrusion (103) may catch on the connector catch (34).

일례로, 제1 돌출부(103)는 하우징의 상부에 적어도 하나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의 상부에 커넥터 걸림부(34)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103)는 하우징(100)의 외주면에서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커넥터 걸림부(34)도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의 측면 또는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1 돌출부(103)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커넥터 걸림부(34)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t least one first protrusion (10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housing, and correspondingly, a connector catch (34)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Of course, i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rotrusion (103)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r the lower part of the out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In this case, the connector catch (34) may also be provided on the side or the lower part of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Of course, a plurality of first protrusions (103) may be provided,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connector catches (34) may also be provided.

하우징(100)은 외주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된 제2 돌출부(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104)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즉, 전면부에서 후면부로 향하는 방향 또는 후면부에서 전면부로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제2 돌출부(104)는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에 하우징(100)의 전면부가 삽입되는 경우에 제2 커넥터(30)의 가이드 홈(33)에 삽입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 커넥터(10, 30)의 암수 결합 시에 가이드 홈(33)가 삽입된 제2 돌출부(104)를 가이드함으로써 해당 암수 결합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sion (104)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At this time, the second protrusion (104) may have a shape that extend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e., in the direction from the front to the rear or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is second protrusion (104) may be inserted into the guide groove (33) of the second connector (30) when the front of the housing (100) is inserted into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That is, when the male and female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are coupled, the male and female parts can be smoothly coupled by guiding the second protrusion (104) into which the guide groove (33) is inserted.

일례로, 하우징(100)의 상부에 제2 돌출부(104a)가 구비되거나, 하우징(100)의 하부에 제2 돌출부(104b)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제2 커넥터(30)의 개구부(32)의 상부 또는 하부에 가이드 홈(33)이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제2 돌출부(104)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가이드 홈(33)도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a second protrusion (104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or a second protrusion (104b) may be provided on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and correspondingly, a guide groove (3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or lower portion of the opening (32) of the second connector (30). Of course, a plurality of second protrusions (104) may be provided, and accordingly, a plurality of guide grooves (33) may also be provided.

하우징(100)은 일 측면에 홈 형상의 제1 삽입홈(1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삽입홈(105)은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제1 삽입홈(105)은 하우징(100)의 높이 방향(즉,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이러한 제1 삽입홈(105)에 따른 내측면에는 단차 형상 또는 요입된 홈 형상의 제1 걸림부(105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1 걸림부(105a)는 제1 삽입홈(105)에 따른 내측면에서 측면 방향으로 요입된 단차 또는 홈일 수 있다. 하우징(100)에 후술할 리테이너(200)의 체결 시, 제1 걸림부(105a)에 리테이너(200)의 제1 후크(207)가 걸림 작용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insertion groove (105) in a groove shape on one side. This first insertion groove (105)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Of course,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grooves (105)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eight direction of the housing (i.e., from the bottom to the top). Referring to FIG. 19, a first catch (105a) in a step shape or a recessed groove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is first insertion groove (105). That is, the first catch (105a) may be a step or groove recessed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first insertion groove (105). When the retainer (200) described later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the first hook (207) of the retainer (200) can be caught by the first catch (105a).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에는 양측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개의 가이드벽(111)이 구비될 수 있다. 가이드벽(111)은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을 구분하는 벽체일 수 있다. 즉, 가이드벽(111)들이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면서, 해당 이격에 의한 중공의 공간이 자연히 생겨나게 된다. 이하, 이러한 공간을 "가이드 공간" 또는 "내부 공간"이라 지칭할 수 있다. 즉, 가이드 공간은 가이드벽(111)들의 사이 공간일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공간에서 전면 및 후면의 개구부가 각각 제1 및 제2 개구부(101, 102)에 해당한다.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guide walls (111)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both directions. The guide walls (111) may be walls that divide the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That is, when the guide walls (111) ar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 hollow space is naturally created due to the spaced apart. Hereinafter, this space may be referred to as a “guide space” or an “internal space.” That is, the guide space may be a space between the guide walls (111). In this guide space, the openings at the front and rear correspond to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01, 102), respectively.

하우징(100)에서, 각 가이드 공간에 터미널(300)이 하나씩 삽입될 수 있다. 즉, 가이드벽(111)들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공간을 통해 각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에 가이드 되면서 삽입될 수 있다. In the housing (100), one terminal (300) can be inserted into each guide space. That is, each terminal (300) can be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while being guided through a plurality of guide spaces formed by the guide walls (111).

도 26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제1 또는 제2 구조체 등의 터미널(300)이 올바른 방향(가령, 제1 방향)일 때만 삽입되고, 잘못된 방향(가령, 제2 방향)일 때는 제1 또는 제2 구조체의 터미널(300)의 완전한 삽입을 막는 역삽입 방지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역삽입 방지 구조는 가이드벽(111)에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하우징(100)의 너비 방향에서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역삽입 방지 구조는 주변보다 돌출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6, the housing (100) may include a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that allows the terminal (300) of the first or second structure to be inserted only when it is in the correct direction (e.g., the first direction) and prevents complete insertion of the terminal (300) of the first or second structure when it is in the wrong direction (e.g., the second direction). This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in the guide wall (111), and may be provid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This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that protrudes more than the surroundings.

즉, 연성 케이블(20, 20')이 체결된 터미널(300)이 제1 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로 삽입될 경우, 터미널(300)은 가이드벽(111)들의 가이드 공간을 통해 가이드되어 쉽게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연성 케이블(20, 20')이 체결된 터미널(300)이 제2 방향(즉, 제1 방향에 대해 반대로 뒤집힌 방향)으로 놓인 상태에서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로 삽입될 경우, 연성 케이블(20, 20')이 하우징(100)의 역삽입 방지 구조에 막히면서, 터미널(300)이 가이드벽(111)들의 가이드 공간에 일정 이상으로는 삽입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터미널(300) 및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역삽입 방지가 가능하다. That is, when the terminal (300) to which the flexible cable (20, 20') is connecte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while being plac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terminal (300) can be easily inserted by being guided through the guide space of the guide walls (111). On the other hand, when the terminal (300) to which the flexible cable (20, 20') is connected is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while being placed in the second direction (i.e.,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first direction), the flexible cable (20, 20') is blocked by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of the housing (100), and the terminal (300) is prevented from being inserted beyond a certain amount into the guide space of the guide walls (111).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enables the prevention of reverse insertion for the terminal (300) and the flexible cable (20, 20').

이를 위해,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케이블(20, 20')에서 일측의 핑거 절연부(25)에만 요입된 형상이 구비되고, 연성 케이블(20, 20')에서 타측의 핑거 절연부(25)에는 요입된 형상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 방향에 따라 삽입되는 경우, 일측의 요입된 핑거 절연부(25)가 하우징(100)의 일측에서 돌출된 역삽입 방지 구조에 막히지 않고 삽입될 수 있다 반면, 제2 방향에 따라 삽입되는 경우, 타측의 핑거 절연부(25)가 하우징(100)의 역삽입 방지 구조에 막히면서 일정 이상이 삽입되지 않을 수 있다.To this end, as illustrated in FIG. 26, only the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on one side of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be provided with a recessed shape, and the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on the other side of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not be provided with a recessed shape. That is, when inserted in the first direction, the recessed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on one side may be inserted without being blocked by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housing (100). On the other hand, when inserted in the second direction, the finger insulation portion (25) on the other side may be blocked by the reverse insertion prevention structure of the housing (100) and may not be inserted beyond a certain extent.

하우징(100)은 상부에 홈 형상의 제2 삽입홈(106)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삽입홈(106)은 하우징(100)의 후면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해당 개구부로부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insertion groove (106) in the shape of a groove on the upper portion. This second insertion groove (106) has an opening that is open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10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from the opening.

하우징(100)은 제2 삽입홈(106)의 상부에 위치한 상측 벽체(107)에 홈 형상의 제3 삽입홈(108)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3 삽입홈(108)은 하우징(100)의 후면 방향으로 개구된 개구부를 구비하며, 해당 개구부로부터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7을 참조하면, 제3 삽입홈(108)에 따른 내측면에는 단차 형상 또는 요입된 홈 형상의 제2 걸림부(108a)가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걸림부(108a)는 제3 삽입홈(107)에 따른 내측면에서 상측 방향으로 요입된 단차 또는 홈일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insertion groove (108) in the shape of a groove in the upper wall (107) located above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06). The third insertion groove (108) has an opening that is open toward the rear of the housing (100) and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pening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using (100).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7, a second catch (108a) in the shape of a step or a recessed groove may be provided on the inner surface along the third insertion groove (108). That is, the second catch (108a) may be a step or a groove recessed upward from the inner surface along the third insertion groove (107).

하우징(100)은 내부 공간에 요입된 홈 형상으로 형성된 내부 홈(109)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 홈(109)은 가이드벽(111)의 가이드 공간에 하나씩 마련될 수 있다. 즉, 내부 홈(109)은 하우징(100) 내에 터미널(300)이 설치될 경우에 해당 터미널(300)의 후술할 터미널 걸림부(360)에 대해 걸림 작용하는 구성이다. 즉, 내부 홈(109)은 내부 공간에 연결되며, 제1 및 제2 개구부(101, 102)와 통로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ternal groove (109) formed in a groove shape that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These internal grooves (109) may be provided one by one in the guide space of the guide wall (111). That is, the internal groove (109) is configured to act as a catch for the terminal catch portion (360) of the terminal (300) to be described later when the terminal (30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hat is, the internal groove (109) is connected to the internal space, and the first and second openings (101, 102) and the passag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하우징(100)은 외주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3 걸림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제3 걸림부(112)는 하우징(100)의 하부에서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이러한 제3 걸림부(112)는 하우징(100)에 리테이너(200)의 체결 시에 리테이너(200)에 걸림 작용하는 구성이다. 이때, 리테이너(200)는 제3 걸림부(112)에 대응하도록 형성된 홈 또는 홀 형상의 리테이너 걸림부(205)을 포함한다. 즉, 하우징(100)에 리테이너(200)의 체결 시에 리테이너 걸림부(205)에 제3 걸림부(112)가 삽입되면서 걸림 작용할 수 있다.The housing (1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atch (112) formed to protrude from the outer surface. For example, the third catch (112)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lower portion of the housing (100). This third catch (112) is configured to catch the retainer (200) when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retainer (200) includes a retainer catch (205) in the shape of a groove or hole formed to correspond to the third catch (112). That is, when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the third catch (112) may be inserted into the retainer catch (205) to cause a catch.

하우징(100)에 터미널(300)을 설치하려는 경우, 연성 케이블(20, 20')이 연결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를 통해 하우징(10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된다. 이러한 삽입 상태에서, 리테이너(200)가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의 적어도 일부와 하우징(100)의 상부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제3 걸림부(112)와 리테이너 걸림부(205)의 걸림 작용이 발생하며, 이에 따라 하우징(100)에 리테이너(200)가 체결될 수 있다.When installing a terminal (300) in a housing (100), a terminal (300) to which a flexible cable (20, 20') is connected is inserted into an internal space of the housing (100) through a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In this inserted state, the retainer (200) cover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and at least a part of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0), and a locking action of the third locking portion (112) and the retainer locking portion (205) occurs, whereby the retainer (200) can be fastened to the housing (100).

한편, 리테이너(200)는 하우징(100)에 대한 덮개로 기능하며, 이에 따라 "커버"라고 다르게 지칭할 수도 있다. 물론, 리테이너(200)는 하우징(100)에 삽입된 터미널(300)의 고정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하우징(100)에 삽입된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다양한 삽입 형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기능도 제공할 수 있다.Meanwhile, the retainer (200) functions as a cover for the housing (100), and may therefore be referred to differently as a “cover”. Of course, the retainer (200) may provide a fixing force for the terminal (3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while also providing a function for maintaining various insertion forms for the flexible cable (20, 2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리테이너(200)는 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덮개부(201)와, 제1 덮개부(201)에서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좌우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1 삽입부(202)와, 다수의 제1 삽입부(202)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되 제1 덮개부(201)로부터 전면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제2 덮개부(20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 덮개부(203)와 제1 삽입부(202)의 사이는 이격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부(203)에는 상술한 리테이너 걸림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9 and 10, the retainer (200) may include a first cover portion (201)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at the rear end, a plurality of first insert portions (202)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front end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201)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and a second cover portion (203) protruding and extending in the front end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201) but spaced downward from the plurality of first insert portions (202). At this time, the second cover portion (203) and the first insert portion (202)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addition, the second cover portion (203) may be provided with the above-described retainer catch portion (205).

리테이너(200)는 제1 덮개부(201)의 일측에서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하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다수의 제2 삽입부(206)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삽입부(206)는 제1 삽입부(201) 보다 길이가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삽입부(206)에는 돌출된 형상의 제1 후크(207)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후크(207)는 제2 삽입부(206)의 단부 주변에 타측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retainer (200)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second insert portions (206) that protrude and extend from one side of the first cover portion (201) toward the front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cond insert portions (206) may be formed to be longer than the first insert portion (201). The second insert portion (206)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hook (207) having a protruding shape. For example, the first hook (207) may be formed to protrude toward the other side around the end of the second insert portion (206).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를 통해 가이드벽(111)의 가이드 공간으로 삽입될 경우, 터미널(300)에 연결된 연성 케이블(20, 20’)도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로 삽입된다. 이때, 도 18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의 후면부에 리테이너(200)가 체결되면, 제1 삽입부(202)가 가이드벽(111)의 가이드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이미 삽입된 터미널(300)에 접촉하면서 해당 터미널(300)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동시에, 제1 덮개부(201)는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의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해당 제2 개구부(102)로 빗물 등의 외부 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2 덮개부(203)에 구비된 리테이너 걸림부(205)가 하우징(100)의 제3 걸림부(112)에 걸림 작용(이하, "1차 걸림 작용"이라 지칭함)하면서, 하우징(100)에 대한 리테이너(200)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18을 참조하면, 제2 삽입부(206)가 제1 삽입홈(105)에 삽입되어 제1 후크(207)가 제1 걸림부(105a)에 대해 걸림 작용(이하, "2차 걸림 작용"이라 지칭함)하면서, 하우징(100)에 대한 리테이너(200)의 체결력이 보강될 수 있다.When the terminal (3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of the guide wall (111) through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the flexible cable (20, 20')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is also inserted into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referring to FIG. 18, when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100),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02)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of the guide wall (111) and contacts the terminal (300) that has already been inserted, thereby fixing the terminal (300) so that it does not move. At the same time, the first cover portion (201) can block external substances such as rainwater from flowing into the second opening (102) by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In addition, when the retainer catch portion (205) provided in the second cover portion (203) catches the third catch portion (112) of the housing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irst catch action”), the fastening force of the retainer (200) to the housing (100) can be maintained. In addition, referring to FIG. 18, when the second insertion portion (206) is inserted into the first insertion groove (105) and the first hook (207) catches the first catch portion (105a)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second catch action”), the fastening force of the retainer (200) to the housing (100) can be reinforced.

리테이너(200)는 하우징(100)에 체결 시에 제1 덮개부(201)가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를 모두 덮지 않을 정도의 상하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00)가 하우징(100)에 체결 시, 제1 덮개부(201)가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의 일부만 덮으면서, 해당 제2 개구부(102)의 일부 공간이 리테이너(200)의 후측 방향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 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때, 이러한 노출 공간을 연성 케이블(20, 20')이 통과하게 되며, 연성 케이블(20, 20')의 일부가 해당 노출 공간 주변에 해당하는 하우징(100) 및 리터이너(20)의 일부(즉, 노출 공간 주변 벽체)에 접촉하면서 연성 케이블(20, 20')이 지지될 수 있다.The retainer (200) may be formed with a vertical length such that the first cover part (201) does not completely cover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ccordingly, when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the first cover part (201) covers only a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and an exposed space may be generated in which a portion of the second opening (102) is exposed to the outside from the rearward direction of the retainer (200). At this time, the flexible cable (20, 20') passes through the exposed space, and a part of the flexible cable (20, 20') can be supported by contacting a part of the housing (100) and the return liner (20) corresponding to the periphery of the exposed space (i.e., the wall surrounding the exposed space).

일례로, 제1 덮개부(201)에는 전면 및 후면 방향으로 관통하는 홀 형상인 삽입용 홀(204)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용 홀(204)은 좌우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리테이너(200)가 하우징(100)에 체결 시,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의 일부가 해당 삽입용 홀(204)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즉, 삽입용 홀(204)이 노출 공간으로 작용하며, 이에 따라 삽입용 홀(204)을 연성 케이블(20, 20')이 통과하게 되면서, 연성 케이블(20, 20')의 일부가 삽입용 홀(204)에 따른 벽체(내주면)에 접촉하면서 연성 케이블(20, 20')이 지지될 수 있다. 물론, 리테이너(200)에서 삽입용 홀(204)은 상하 방향으로 다수개가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다수의 연성 케이블(20, 20')이 하나씩 각 삽입용 홀(204)을 통과하면서 지지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ver part (201) may be provided with an insertion hole (204) that is a hole shape penetrating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s. This insertion hole (204) may have a shape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ccordingly, when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 part of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insertion hole (204). That is, the insertion hole (204) functions as an exposed space, and accordingly, when the flexible cable (20, 2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204), a part of the flexible cable (20, 20') may contact the wall (inner surface) along the insertion hole (204), thereby supporting the flexible cable (20, 20'). Of course, multiple insertion holes (204) in the retainer (200) can be spaced apart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multiple flexible cables (20, 20') can be supported while passing through each insertion hole (204) one by one.

한편, 고정부(400)는 제2 커넥터(30)와 하우징(100) 간의 암수 결합 시에 해당 결합을 고정시키기 위한 기능을 제공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고정부(400)는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된 제1 고정 삽입부(401)와, 제1 고정 삽입부(401)에서 상부 방향으로 이격되며 전면부 방향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2 고정 삽입부(402)와, 제2 고정 삽입부(402)에는 돌출된 형상의 제2 후크(403)가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제2 후크(403)는 제2 고정 삽입부(402)의 단부 주변에 상부 방향을 향해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member (400) provides a function for fixing the coupling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housing (100) when the male and female are coupled. Referring to FIG. 15, the fixing member (400) may include a first fixing insertion member (401) that protrudes and extends toward the front, a second fixing insertion member (402) that is spaced upward from the first fixing insertion member (401) and protrudes and extends toward the front, and a second hook (403) having a protruding shape may be provided on the second fixing insertion member (402). For example, the second hook (403)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around an end of the second fixing insertion member (402).

이때, 제1 고정 삽입부(401)는 하우징(100)의 제2 삽입홈(106)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고정 삽입부(402)는 하우징(100)의 제3 삽입홈(107)에 대응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2 고정 삽입부(402)는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각 제2 고정 삽입부(402)는 서로 좌우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물론, 제2 고정 삽입부(402)는 제1 고정 삽입부(401) 보다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가 더 짧게 구비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first fixed insertion part (401)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06)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fixed insertion part (402) may be provided corresponding 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107) of the housing (100). In addition, a plurality of second fixed insertion parts (402) may be provided, and in this case, each of the second fixed insertion parts (40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eft-right direction. Of course, the second fixed insertion part (402) may be provided to have a shorter length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than the first fixed insertion part (401).

도 17을 참조하면, 제2 커넥터(30)와 하우징(100) 간의 암수 결합 상태에서, 고정부(400)는 하우징(100)에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이때, 고정부(400)의 제1 고정 삽입부(401)는 하우징(100)의 제2 삽입홈(106)에 삽입될 수 있으며, 고정부(400)의 제2 고정 삽입부(402)는 하우징(100)의 제3 삽입홈(108)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후크(403)가 하우징(100)의 제2 걸림부(108a)에 대해 걸림 작용(이하, "3차 걸림 작용"이라 지칭함)한다. 이러한 3차 걸림 작용은 제1 및 제2 커넥터(10, 30)의 암수 결합에 따라 발생된 제1 돌출부(103)와 커넥터 걸림부(34) 간의 걸림 작용을 유지시킬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7, in a male-female coupling state between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housing (100), the fixing member (400) can be inserted into and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first fixing insertion part (401) of the fixing member (400) can be inserted into the second insertion groove (106) of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fixing insertion part (402) of the fixing member (400) can be inserted into the third insertion groove (108) of the housing (100). Accordingly, the second hook (403) engages the second engaging part (108a) of the housing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hird engaging action”). This third engaging action can maintain the engaging ac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03) and the connector engaging part (34) generated by the male-female coupling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즉, 3차 걸림 작용에 따라 하우징(100)에 삽입된 고정부(400)의 체결이 유지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돌출부(103)와 커넥터 걸림부(34) 간의 걸림 작용이 유지되면서 제2 커넥터(30)에 대한 하우징(100)의 체결력이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상술한 암수 결합 상태는 터미널(300)이 연결된 연성 케이블(20, 20')이 하우징(100)에 삽입된 후에 리테이터(2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된 상태를 포함하는 상태일 수 있다.That is, the fastening of the fixed part (4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can be maintained according to the third fastening action, and accordingly, the fastening force of the housing (100) to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maintained while the fastening ac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103) and the connector fastening part (34) is maintained. Of course, the above-described male-female coupling state may include a state in which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fter the flexible cable (20, 20') to which the terminal (300) is connected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다음으로, 제1 및 제2 커넥터(10, 30)의 설치 및 설치 해제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installation and uninstallation proces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will be described.

먼저, 연성 케이블(20, 20')에 터미널(300)이 인터락 기반으로 연결된 후, 연성 케이블(20, 20')에 연결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다. 이때,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제1 및 제2 단부(311, 321)가 하우징(100)의 제2 개구부(102)를 향하여 삽입된다. 즉, 터미널(300)이 하우징(100)의 가이드벽(111)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그 가이드 공간으로 삽입되고, 해당 가이드 공간의 내주면에 터미널(300)이 접촉하면서 지지된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의 제1 개구부(101)에 제1 및 제2 핑거(310, 320)의 제1 및 제2 단부(311, 321)가 노출된다. 이때, 터미널 걸림부(360)가 하우징(100)의 내부 홈(109)에 걸림 작용하면서, 터미널(300)이 하우징(100) 내에서 1차 고정될 수 있다. First, after the terminal (300) is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20, 20') based on an interlock, the terminal (300) connected to the flexible cable (20, 20')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are inserted toward the second opening (102) of the housing (100). That is, the terminal (3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while being guided by the guide wall (111) of the housing (100), and the terminal (300) is supported while maki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guide space. Accordingly, the first and second ends (311, 321) of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310, 320) are exposed to the first opening (101) of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when the terminal catch (360) catches the inner groove (109) of the housing (100), the terminal (300) can be initially fixed within the housing (100).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커넥터(30)와 하우징(100)이 암수 결합한다. 이러한 암수 결합 상태에서,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이때, 리테이너(200)의 제1 삽입부(202)가 가이드벽(111)의 가이드 공간으로 삽입되어 터미널(300)에 접촉(밀착)하게 되면서, 터미널(300)에 대한 고정력을 제공하며, 이에 따라 터미널(300)이 하우징(100) 내에서 2차 고정될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상술한 1차 및 2차 걸림 작용이 발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 1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400)가 하우징(100)에 체결된다. 이에 따라, 상술한 3차 걸림 작용이 발생한다.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6(a),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housing (100) are male-female coupled. In this male-female coupled state, as shown in Fig. 16(b), the retainer (2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t this time, the first insertion portion (202) of the retainer (200) is inserted into the guide space of the guide wall (111) and comes into contact (close contact) with the terminal (300), thereby providing a fixing force for the terminal (300), and thus the terminal (300) can be secondarily fixed within the housing (100). At the same time,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actions described above occur. 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6(c), the fixing portion (40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0). Accordingly, the third engaging action described above occurs.

즉, 상술한 1차 및 2차의 고정 방식에 따라 하우징(100) 내에서 터미널(300)에 대한 고정력을 높이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고, 상술한 1차 및 2차 걸림 작용에 따라 하우징(100)와 리테이터(200) 간의 체결력을 높이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으며, 상술한 3차 걸림 작용에 따라 하우징(100)와 제2 커넥터(30) 간의 암수 결합력을 높이는 구조가 구현될 수 있다. 특히, 제1 및 제2 고정 삽입부(401, 402)가 상하로 이격된 구조로 구현된 상태에서 상술한 3차 걸림 작용이 발생하므로, 제1 및 제2 커넥터(10, 30) 간의 암수 결합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이에 따라, 하우징(100)으로부터 터미널(300)의 의도치 않은 이탈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제2 커넥터(30)로부터 하우징(100)의 의도치 않은 이탈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That is, a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 fixing force for the terminal (300) within the housing (1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fixing methods described above, a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retainer (200)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ngaging actions described above, and a structure can be implemented to increase the male-female coupling force between the housing (100) and the second connector (30) according to the third engaging action described above. In particular, since the third engaging action described above occurs in a state where the first and second fixing insertion portions (401, 402) are implemented in a structu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the male-femal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can be further increased. Accordingly, unintended detachment of the terminal (300) from the housing (10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and unintended detachment of the housing (100) from the second connector (30) can be prevented in advance.

한편, 하우징(100)에 삽입된 고정부(400)를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하고, 제2 커넥터(30)에 암수 결합한 하우징(100)을 제2 커넥터(30)로부터 분리하며, 리테이너(200)를 하우징(100로부터 분리한다. 이후, 하우징(100) 내에 설치된 터미널(300) 및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해, 하우징(100)의 내부 홈(109)에 걸림 작용하는 터미널 걸림부(360)을 푸쉬(push)함으로써, 터미널(300)을 하우징(100)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터미널(300)은 커넥터(10, 10')에 쉽게 설치되면서도 설치된 커넥터(10, 10')에 단단히 고정될 뿐 아니라, 필요한 경우에 커넥터(10, 10')로부터 터미널(300)이 쉽게 분리될 수 있어, 설치 및 유지보수에 유리할 수 있다. Meanwhile, the fixing member (400) inserted into the housing (1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the housing (100) coupled with the second connector (30) in a male-female manner is separated from the second connector (30), and the retainer (200) is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Thereafter, by pushing the terminal engaging member (360) that engages the internal groove (109) of the housing (100) with respect to the terminal (300) and the flexible cable (20, 20') installed in the housing (100), the terminal (300) can be separated from the housing (100). Accordingly, the terminal (300) can be easily installed in the connector (10, 10') and firmly fixed to the installed connector (10, 10'), and the terminal (300)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onnector (10, 10') when necessary, which can be advantageous for installation and maintenance.

한편, 제1 커넥터(30)가 연결되는 회로기판 또는 제2 커넥터(30)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회로기판 또는 커넥터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제1 커넥터(10)는 다양한 전자기기의 회로기판 또는 제2 커넥터(30)에 접속하여 해당 전자기기들에 필요한 신호를 전송하는 용도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일례로, 제1 커넥터(10)는 차량 내의 다양한 전장 부품에서 각종 센서 신호를 처리하는 회로기판 또는 제2 커넥터(30)에 연결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Meanwhile, the circuit board or second connector (30) to which the first connector (30) is connected may correspond to a circuit board or connector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That is,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used for the purpose of connecting to the circuit board or second connector (30) of various electronic devices and transmitting signals required for the corresponding electronic devices. For example,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connected to a circuit board or second connector (30) that processes various sensor signals in various electrical components in a vehicle.

다음으로, 제1 커넥터(10)와 관련된 신호 전달 과정은 다음과 같을 수 있다.Next, the signal transmission process related to the first connector (10) may be as follows.

즉, 제1 신호가 제2 접속 단자(22), 연성 케이블(20, 20')의 배선 패턴(23) 및 제1 접속 단자(21)에 차례로 전달될 수 있으며, 이후 제1 접속 단자(21)에 인터락 기반의 연결된 터미널(3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후, 해당 제1 신호는 터미널(300)과 연결된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을 통해 회로기판 등에 전달될 수 있다.That is, the first signal can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 the wiring pattern (23) of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and then transmitted to the interlock-based connected terminal (300) a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21). Thereafter, the first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a circuit board or the like through the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connected to the terminal (300).

반대로, 제2 신호가 제2 커넥터(30)의 연결 핀(31)을 통해 터미널(300)에 전달될 수 있다. 이후, 해당 제2 신호는 연성 케이블(20, 20')의 배선 패턴(23) 및 제2 접속 단자(22)에 차례로 전달될 수 있다.Conversely, a second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terminal (300) through the connection pin (31) of the second connector (30). Thereafter, the second signal can be sequentially transmitted to the wiring pattern (23) of the flexible cable (20, 20') and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22).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 등의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연결을 납땜 공정 또는 초음파 융착 공정 등의 필요 없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nd quickly perform a connection to a flexible cable (20, 20') such a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an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without the need for a soldering process or an ultrasonic fusion proces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first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체결력을 높이도록 터미널(300)을 통한 인터락 기반의 연결을 수행하여 해당 연결 구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진동 등의 환경에서도 해당 연결 구조를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2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by performing an interlock-based connection through a terminal (300) to increase the fastening force for the flexible cable (20, 20'), so that the connection structure can be maintained even in an environment such as vibr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second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터미널(300)을 통한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연결 구조가 매우 간단하고 적은 부피를 차지하므로, 공간의 제약 없이 협소 공간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3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easily applied to narrow spaces without space constraints because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the flexible cable (20, 20') through the terminal (300) is very simple and takes up a small volum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third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300)을 통한 연성 케이블(20, 20')에 대한 연결 구조의 내구성 향상에 따라 진동이 발생되는 환경에 적용 가능할 뿐 아니라 상술한 바와 같이 협소 공간 환경에도 쉽게 적용될 수 있으므로, 해당 환경들이 모두 노출되는 차량용 전장 부품에 최적 적용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not only to an environment where vibration occurs due to improved durability of the connection structure for a flexible cable (20, 20') through a terminal (300) as described above, but can also be easily applied to a narrow space environment as described above, so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optimally applied to vehicle electrical components that are exposed to all of these environments.

또한, 본 발명은 제1 및 제2 커넥터(10, 30) 간의 암수 결합력을 높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므로, 차량 등과 같이 흔들림이 심한 환경에서의 장기간 사용에도 해당 암수 결합을 단단히 유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4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capable of increasing the male-female coupling for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ors (10, 3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ale-female coupling can be firmly maintained even when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in an environment with severe shaking, such as a vehicle.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fourth problem described above.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제1 커넥터(10)를 통해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제5 문제점을 쉽게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connect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respectively through one first connector (10).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solve the fifth problem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청구범위 및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described specific embodiments, it is obvious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and equivalents of the claims.

10: 제1 커넥터 20, 20': 연성 케이블
30: 제2 커넥터 40: 보조 체결판
100: 하우징 200: 리테이너
300: 터미널
10: 1st connector 20, 20': Flexible cable
30: Second connector 40: Auxiliary fastening plate
100: Housing 200: Retainer
300: Terminal

Claims (20)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인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고, 회로기판, 전장 부품 또는 전자기기의 다른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연성 케이블의 제1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부를 구비하되, 상기 제1 접속 단자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성이 하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 구성이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인터락(interlock) 기반에 따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다수의 연성 케이블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 및
다수의 가이드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공간의 각 개구부에 상기 다수의 터미널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다른 커넥터와 암수 결합하는 하우징; 및
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터미널이 각각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개구부에 대해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걸림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커넥터.
A connector for connecting multiple flexible cables, each of which i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for combining with other connectors of a circuit board, electrical components, or electronic devices.
A plurality of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respectively, by connect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ng terminal of a flexible cable, wherein one of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and the connecting portion, a first configura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other, a second configuration, is located at the top, and parts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re connected based on an interlock basis,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and
A housing in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each inserted into each opening of the plurality of guide spac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guide walls, and which is male and female coupled with the other connector; and
A retainer having a first cover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rear portion, and fastened to the housing by engaging with the housing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each opening 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nector including.
FFC(Flexible Flat Cable) 또는 FPC(Flexible Printed Circuit)인 다수의 연성 케이블을 각각 연결하고, 회로기판, 전장 부품 또는 전자기기의 다른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연성 케이블의 제1 접속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부와, 상기 연결부에 구비된 관통홀을 각각 구비하되, 보조 체결판 및 상기 연결부 중 어느 하나인 제1 구성이 하부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인 제2 구성이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사이에 상기 제1 접속 단자가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상기 관통홀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인터락(interlock) 기반에 따라 연결됨으로써 상기 연결부가 상기 제1 접속 단자에 연결됨에 따라, 다수의 연성 케이블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다수의 터미널; 및
다수의 가이드벽에 의해 형성되는 다수의 가이드 공간의 각 개구부에 상기 다수의 터미널이 각각 삽입되며, 상기 다른 커넥터와 암수 결합하는 하우징; 및
후면부에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덮개부를 구비하며, 상기 다수의 터미널이 각각 상기 하우징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각 개구부에 대해 적어도 일부를 덮으면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걸림 작용하여 상기 하우징에 체결되는 리테이너;
를 포함하는 커넥터.
A connector for connecting multiple flexible cables, each of which is an FFC (Flexible Flat Cable) or FPC (Flexible Printed Circuit), and for combining with other connectors of a circuit board, electrical components, or electronic devices.
A plurality of terminals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each having a connecting portion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ng terminal of a flexible cable, and a through hole provided in the connecting portion, wherein one of the auxiliary fastening plate and the connecting portion, the first configuration,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 other, the second configuration, is located at the top, and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is loca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nd a part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is connect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through hole according to an interlock basis, so that the connecting portion is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ng terminal; and
A housing in which the plurality of terminals are each inserted into each opening of the plurality of guide spaces formed by the plurality of guide walls, and which is male and female coupled with the other connector; and
A retainer having a first cover portion extend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at the rear portion, and fastened to the housing by engaging with the housing while covering at least a portion of each opening while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is inserted into the housing;
Connector includ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다수의 가이드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에 각각 접촉하여 상기 다수의 터미널을 각각 고정하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제1 삽입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A connector wherein the retain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insertion portions extending in the front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guide spaces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and contact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spectively, to secure the plurality of terminals, respectively.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제1 덮개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덮개부와,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하우징에 1차 걸림 작용하도록 상기 제2 덮개부에 구비된 홈 또는 홀 형상의 리테이너 걸림부를 각각 더 포함하는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A connector wherein the retainer further includes a second cover portion extending in a front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and a retainer engaging portion in the shape of a groove or hole provided in the second cover portion so as to have a primary engaging effect on the housing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제1 덮개부에서 전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삽입부와,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하우징에 2차 걸림 작용하도록 제2 삽입부에서 돌출된 제1 후크를 각각 더 포함하는 커넥터.
In paragraph 4,
A connector wherein the retainer further includes a second insert portion extending in a front direction from the first cover portion, and a first hook protruding from the second insert portion to perform a secondary engaging action on the housing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다른 커넥터에 암수 결합 시에 상기 다른 커넥터에 홀 또는 홈 형상의 커넥터 걸림부에 걸림 작용하는 제1 돌출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A connector wherein the housing further includes a first protrusion that engages a connector engaging portion having a hole or groove shape when mated with the other connecto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후면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다른 커넥터 간의 암수 결합을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In Article 6,
A connector further comprising a fixing member that is fastened to the rear surface of the housing and fixes a male-female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and the other connector.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하우징에 대해 걸림 작용하여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커넥터 걸림부 간의 걸림 작용을 유지시킴으로써 상기 암수 결합을 고정하는 커넥터.
In Article 7,
A connector in which the above fixing member, when connected to the housing, engages with the housing to maintain the engaging action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connector engaging member, thereby fixing the male-female combination.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은 각각 전면에서 서로 이격된 제1 핑거와 제2 핑거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이 상기 다른 커넥터에 암수 결합할 경우, 상기 다른 커넥터에 노출된 연결 핀이 상기 제1 및 제2 핑거의 사이에 삽입되어 제1 및 제2 핑거에 접촉하는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Each of the above multiple terminals further includes a first finger and a second finge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side,
A connector in which, when the housing is mated to the other connector, the connecting pin exposed to the other connector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and makes contact with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핑거는 서로 간의 이격 거리가 멀어질 경우에 해당 이격 거리를 좁히려고 하는 탄성력을 가지며, 상기 탄성력에 따라 상기 삽입된 연결 핀에 대한 접촉력이 발생하는 커넥터.
In Article 9,
A connector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fingers have an elastic force that attempts to narrow the distance between them when the distance between them increases, and in which a contact force is generated for the inserted connecting pin according to the elastic forc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은 각각 상부의 상기 제1 핑거를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1 절곡부와, 하부의 상기 제2 핑거를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키는 제2 절곡부를 더 포함하는 커넥터.
In Article 9,
A connector wherein each of the plurality of terminals further includes a first bending portion for bending the first finger at the top in a downward direction, and a second bending portion for bending the second finger at the bottom in an upward direction.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터미널은 각각 상기 제1 핑거의 단부인 제1 단부를 상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제3 절곡부와, 상기 제2 핑거의 단부인 제2 단부를 하부 방향으로 절곡시키기 위한 제4 절곡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 핀은 삽입 과정 중에 상기 제1 및 제2 단부에 비 접촉하는 커넥터.
In Article 9,
Each of the above multiple terminals further includes a third bending portion for bending a first end, which is an end of the first finger, upwardly, and a fourth bending portion for bending a second end, which is an end of the second finger, downwardly,
The above connecting pin is a connector which does not contact the first and second ends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및 제4 절곡부는 삽입되는 상기 연결 핀에 대한 접촉 부위로 작용하는 커넥터.
In Article 12,
A connector in which the third and fourth bends serve as contact points for the connecting pins to be inser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하우징에 체결 시 상기 각 개구부의 일부를 노출시키도록 상기 제1 덮개부에 구비된 다수의 삽입용 홀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연성 케이블이 상기 다수의 삽입용 홀을 하나씩 통과하면서 해당 삽입용 홀의 내주면에 접촉하는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retainer further includes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provided in the first cover portion so as to expose a portion of each of the openings when fastened to the housing, and the connector in which the plurality of flexible cables pass through the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one by one and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insertion holes.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터락 기반에 따른 구조는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요입된 상태에서 언더컷(undercut) 형상을 포함하는 구조인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A connector having a structure based on the above interlock, which includes an undercut shape in a state where some of the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re inserted.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성은 상부 방향으로 요입된 제1 요입부와, 상기 제1 요입부의 측부인 제1 요입벽을 각각 포함하고,
상기 제2 구성은 상기 제1 요입부에 대응하여 상부 방향으로 요입되는 제2 요입부와, 상기 제2 요입부의 측부인 제2 요입벽을 각각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요입벽 중에 적어도 하나가 언더컷(undercut) 형상을 포함함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성의 일부가 상기 인터락 기반에 따라 연결되는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first configuration includes a first inlet portion that is introduced in an upward direction, and a first inlet wall that is a side portion of the first inlet portion,
The above second configuration includes a second inlet portion that is indented upward corresponding to the first inlet portion, and a second inlet wall that is a side of the second inlet portion,
A connector wherein parts of said first and second configurations are connected according to said interlock basis, wherein at least one of said first and second insertion walls includes an undercut shape.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요입벽의 외주면은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에 따른 상기 언더컷 형상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요입벽의 내주면은 상기 제1 요입벽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직경이 커지는 테이퍼에 따른 상기 언더컷을 포함하는 커넥터.
In Article 17,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inlet wall includes the undercut shape according to a taper in which th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 connector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cessed wall includes an undercut according to a taper whose diameter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correspondence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recessed wall.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언더컷 형상의 부분에서, 상기 제1 요입벽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커지고 상기 제2 요입벽의 측면 두께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커넥터.
In Article 18,
A connector in which, in the above undercut shape portion, the side thickness of the first recessed wall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d the side thickness of the second recessed wall de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차량용으로 적용된 커넥터.
In paragraph 1 or 2,
Connectors applied for vehicles.
KR1020240047212A 2023-09-19 2024-04-08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Active KR102736935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30124914 2023-09-19
KR1020230124914 2023-09-19
KR20230192241 2023-12-27
KR1020230192241 2023-12-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6935B1 true KR102736935B1 (en) 2024-12-02

Family

ID=9384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47212A Active KR102736935B1 (en) 2023-09-19 2024-04-08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36935B1 (en)
WO (1) WO2025063417A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493A (en) * 2005-10-19 2007-05-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ulti-layer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090102963A (en) * 2008-03-27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KR20150043025A (en) * 2013-10-14 2015-04-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Terminal for connector
KR20210121524A (en)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20220005202A (en) * 2020-07-06 2022-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nd flat cable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7958B2 (en) * 2002-06-14 2006-12-13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Flat cable connector and flat cable with connector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15493A (en) * 2005-10-19 2007-05-10 Furukawa Electric Co Ltd:The Multi-layer connector for flat cable
KR20090102963A (en) * 2008-03-27 2009-10-01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nnector Assembly Comprising Male Housing and Female Housing
KR20150043025A (en) * 2013-10-14 2015-04-22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Terminal for connector
KR20210121524A (en) * 2020-03-30 2021-10-08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KR20220005202A (en) * 2020-07-06 2022-01-13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Connector for flat cable connection and flat cable connection method using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5063417A1 (en) 2025-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2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or
US20090305530A1 (en) Board Mounted Connector
US9368906B2 (en) Electric terminal
KR100592360B1 (en) Board Embedded Press Contacts
US6997749B1 (en) Shield connector
US20040002255A1 (en) Structure for engaging and releasing connectors
US7118409B2 (en) Connector and cable retainer
JP2010073535A (en) Connector device
JP2008041268A (en) Connector with locking mechanism
CN103493296A (en) Harness connector
JP3313329B2 (en) Multi-pole waterproof connector
US20030022533A1 (en) Signal transmission connector in a computer hard disk drive
KR101070480B1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KR102736935B1 (en) Connector for flexible cable
JP2001244030A (en) Plug connector
US20020127904A1 (en) Relay connector
JP4359414B2 (en) Connector lock structure
KR20060135054A (en) Connector and how to connect it
KR102757612B1 (en) Terminal with narrow pitch for flexible cables and connector including the same
KR102671623B1 (en) Terminal for flexible cabl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KR102757611B1 (en) Terminal and sensor connection structure equipped with same
US20020146936A1 (en) Electric connector, particularly for vehicles
JP2001052788A (en) Electric connector device between fpc and printed circuit board
KR102683274B1 (en) Terminal for flexible cable and connector having the same
JPS6244457Y2 (e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4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408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2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