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5927B1 - Projector - Google Patents
Projec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5927B1 KR102735927B1 KR1020160113218A KR20160113218A KR102735927B1 KR 102735927 B1 KR102735927 B1 KR 102735927B1 KR 1020160113218 A KR1020160113218 A KR 1020160113218A KR 20160113218 A KR20160113218 A KR 20160113218A KR 102735927 B1 KR102735927 B1 KR 1027359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rrel
- adjustment
- lens
- bushing
- hol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8
- 101100272412 Arabidopsis thaliana BIA1 ge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09—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adapted for automatic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2—Adjusting of projection opti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프로젝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는, 영상 또는 화면을 전방에 투사하는 렌즈부가 내장된 영상출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프로젝터의 렌즈부는 기준 베렐, 기준 베렐의 전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 기준 베렐의 후면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기준 베렐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간격을 제어하는 캠 베렐 및 기준 베렐과 캠 베렐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베렐을 포함한다.A projector is disclosed. The pro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having a built-in lens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r screen forward. The lens unit of the projec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eference barrel, a first lens barrel assembly inserted and arranged in front of the reference barrel, a second lens barrel assembly inserted and arranged in the rear of the reference barrel, a cam barrel disposed outside the reference barrel and controlling a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nd an adjustment barrel disposed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and the cam barrel and adjusting a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Description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or.
영상 또는 화면 데이터를 스크린에 투영하는 투영장치로 프로젝터가 많이사용되고 있다. 프로젝터는 광원으로부터 방출된 광을 패널에 집광하여 스크린 상에 표시할 수 있다.Projectors are widely used as projection devices that project images or screen data onto a screen. Projectors can focus light emitted from a light source onto a panel and display it on a screen.
또한, 최근에는 휴대용 기기에 저장된 영상 또는 화면을 외부에 투사하여 표시하는 초소형 프로젝터에 관한 기술 개발이 급속도로 이루어지고 있다.In addition, technology development regarding ultra-small projectors that project images or screens stored in portable devices to the outside is rapidly progressing.
이와 같은 프로젝터는 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포커스를 조정하는 베렐(Barrel)을 포함한다. 베렐(Barrel)은 앞뒤로 움직이면서 전군 렌즈와 후군 렌즈의 간격을 조정하여 포커스를 맞출 수 있다.Such projectors include a barrel that adjusts the focus of what is displayed on the screen. The barrel moves back and forth to adjust the gap between the front and rear lens groups to achieve focus.
한편, 베렐(Barrel)이 일체형이 아닌 분리형일 경우, 전군 렌즈와 후군 렌즈의 이동량과 이동방향이 상이할 수 있다. 전군 렌즈와 후군 렌즈의 이동량과 이동방향이 상이하면 전군 렌즈와 후군 렌즈의 위치를 맞춘 후 BFL 조정을 와셔(Washer)로 해야 하기 때문에 정확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게다가 부정확한 포커스를 맞추기 위해 많은 작업 시간이 필요로 하였다.On the other hand, if the barrel is not an integral type but a separate type, the amount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ront lens group and the rear lens group may be different. If the amount and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front lens group and the rear lens group are different, the BFL adjustment must be done with a washer after the positions of the front lens group and the rear lens group are aligned, which causes a problem of reduced accuracy. In addition, a lot of work time is required to achieve an inaccurate focu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후군 렌즈와 프리즘 간 간격을 조정할 수 있는 조정 베렐을 추가하여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프로젝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other problems. Another object is to provide a projector capable of shortening the working time by adding an adjustment barrel capable of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rear lens and the prism.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영상 또는 화면을 전방에 투사하는 렌즈부가 내장된 영상출력부를 포함하고, 렌즈부는 기준 베렐, 기준 베렐의 전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 기준 베렐의 후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기준 베렐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간격을 제어하는 캠 베렐 및 기준 베렐과 캠 베렐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베렐을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achieve the above or other purpos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image output unit having a built-in lens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r screen to the front, wherein the lens unit includes a reference barrel, a first lens barrel assembly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reference barrel, a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rranged to be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reference barrel, a cam barrel arranged outside the reference barrel and controlling a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nd an adjustment barrel arranged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and the cam barrel and adjusting a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후방에 프리즘을 배치하고, 조정 베렐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간의 제1 간격 또는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프리즘 간의 제2 간격을 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prism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adjustment barrel may include adjusting a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to adjust a first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or a second gap between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prism.
조정 베렐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ar end of the adjustment barrel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therefrom.
조정 베렐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 가이드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ment barrel may include at least one adjustment guide hole on each side.
조정 가이드홀은 기준 베렐의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ment guide hole may include a longitudinal extension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ront-back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reference barrel.
조정 베렐은 상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 부싱홀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ment barrel may include at least one adjustment bushing ho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조정 부싱홀은 제1 조정 부싱홀과 제2 조정 부싱홀을 포함하고, 제1 조정 부싱홀과 제2 조정 부싱홀은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The adjustment bushing hole may include a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nd a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nd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nd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캠 베렐 및 조정 베렐 중 적어도 하나의 초기 위치를 셋팅할 수 있는 핀홀이 조정 베렐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A pinhole capable of setting an initial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the cam barrel, and the adjustment barrel may be disposed in the adjustment barrel.
핀홀은 제1 조정 부싱홀과 제2 조정 부싱홀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The pinhole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nd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효과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s of the proj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as follows.
본 발명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전군 렌즈와 후군 렌즈의 위치를 맞춘 상태에서 조정 베렐을 이용하여 후군 렌즈와 프리즘 간 간격을 용이하게 조정함으로써,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t least one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work time can be shortened by easily adjusting the gap between the rear lens group and the prism using the adjustment barrel while the positions of the front lens group and the rear lens group are aligned.
본 발명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Further scope of applic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detailed description below.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specific embodiments, such as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given by way of example only.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프로젝터에 장착된 영상출력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렌즈부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렌즈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기준 베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캠 베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캠 베렐의 평면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정 베렐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조정 베렐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캠 베렐이 제거된 렌즈부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라 렌즈부의 사시도이다.FIG. 1 is a drawing showing the appearance of a proj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 of an image output unit mounted on a project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cross-section of a lens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lens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eference barr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cam barr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b is a plan view of a cam barr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a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n adjustment barr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b is a plan view of an adjustment barre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portion with the cam barrel remo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lens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The suffixes "module" and "part" used for compon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assigned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convenience of writ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intended to facilitate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re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영상출력부(110), 메인전원부(130), 초점부(150) 및 커넥팅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 a proj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n image output unit (110), a main power unit (130), a focus unit (150), and a connecting unit (170).
프로젝터(100)는 내부공간을 가지면서 소정의 외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프로젝터(100)는 입력된 영상이나 화면을 외부에 투사하여 표시할 수 있다. 프로젝터(100)는 조명 광학계와 투사 광학계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광학계는 광원에서 디스플레이 패널까지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계이며, 투사 광학계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투사 렌즈까지의 광경로 상에 배치되는 광학계일 수 있다.The projector (100) may have an internal space and a predetermined external shape. The projector (100) may project an input image or screen to the outside and display it. The projector (100) may include an illumination optical system and a projection optical system. The illumination optical system may be an optical system arranged on an optical path from a light source to a display panel, and the projection optical system may be an optical system arranged on an optical path from a display panel to a projection lens.
영상출력부(110)는 프로젝터(100)의 전면(FS)에 배치될 수 있다. 영상출력부(110)는 프로젝터(100)는 전면(FS) 중 상측에 근접하여 배치되고, 전면(FS)과 소정의 각도를 유지할 수 있다. 영상출력부(110)는 영상 또는 화면을 전방에 투사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영상출력부(110)는 렌즈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렌즈부는 프로젝터(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The image output unit (110) may be placed on the front (FS) of the projector (100). The image output unit (110) may be placed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S) of the projector (100) and may maintain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front (FS). The image output unit (110) may be a part that projects an image or screen forward. The image output unit (110) may include a lens unit (not shown). The lens unit may be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rojector (100).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later.
선택부(120)는 프로젝터(100)의 전면(FS)에 배치될 수 있다. 선택부(120)는 프로젝터(100)의 전면(FS) 중 상측에 근접하여 배치되되, 영상출력부(110)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선택부(120)는 레버가 프로젝터(100)의 전면(FS)으로 돌출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선택부(120)는 전후 및 좌우 방향으로 일단이 움직일 수 있다. 즉, 선택부(120)는 조이스틱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선택부(120)는 메뉴 선택, 채널 조절 등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다.The selection unit (120) may be placed on the front (FS) of the projector (100). The selection unit (120) may be placed close to the upper side of the front (FS) of the projector (100), but may be placed apart from the image output unit (110). The selection unit (120) may have a cylindrical shape with a lever protruding from the front (FS) of the projector (100). The selection unit (120) may move one end in the forward, backward, left, and right directions. That is, the selection unit (120) may function as a joystick. The selection unit (120) may select functions such as menu selection and channel adjustment.
메인전원부(130)는 프로젝터(100)의 하면(DS)에 배치될 수 있다. 메인전원부(130)는 프로젝터(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부분일 수 있다. 메인전원부(13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원공급단자(13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전원부(130)는 전원공급단자를 통해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프로젝터(100)의 내부공간에 배치되는 배터리(미도시)에 저장시킬 수 있다.The main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placed on the bottom surface (DS) of the projector (100). The main power supply unit (130) may be a part that turns the power of the projector (100) on and off. The main power supply unit (130) may include a power supply terminal (131) that receives power from the outside. The main power supply unit (130) may receive power from the outside through the power supply terminal and store the power in a battery (not shown) that is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rojector (100).
또한, 메인전원부(130)가 전원을 온(On)한 상태에서 선택부(120)를 클릭하면, 프로젝터(100)의 전원을 온/오프(On/Off)할 수도 있다.In addition, by clicking the selection unit (120) while the main power unit (130) is turned on, the projector (100) can be turned on/off.
초점부(150)는 프로젝터(10) 좌면(LS)에 배치될 수 있다. 초점부(150)는 레버가 프로젝터(100)의 좌면(LS)으로 일부가 돌출된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초점부(150)는 돌출된 원형 형상의 일면에 산과 골이 배치될 수 있다. 초점부(150)는 제3 방향(DR3)으로 회전이동시키면 영상 또는 화면의 초점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100)는 초점부(150)가 내부공간에 내장된 렌즈부(미도시)와 이격되기 때문에, 초점을 조절할 때 렌즈에 손상을 입히지 않을 수 있다.The focus unit (150) may be placed on the left side (LS) of the projector (10). The focus unit (150) may have a circular shape in which a portion of the lever protrudes toward the left side (LS) of the projector (100). The focus unit (150) may have mountains and valleys placed on one side of the protruding circular shape. The focus unit (150) may be easily adjusted to focus an image or screen by rotating in the third direction (DR3). Since the focus unit (150) of the projector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lens unit (not shown) built into the internal space, the lens may not be damaged when adjusting the focus.
커넥팅부(170)는 프로젝터(100)의 좌면(LS)과 하면(DS)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커넥팅부(170)는 제1 커넥팅부(170a)와 제2 커넥팅부(17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넥팅부(170a)는 프로젝터(100)의 하면(DS)에 전원부(130)와 제1 방향(DR1)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2 커넥팅부(170b)는 프로젝터(100)의 좌면(LS)에 전원부(130)와 제3 방향(DR3)으로 소정의 간격만큼 이격될 수 있다. 제1 방향은 좌면(LS)에서 우면으로 진행하는 가로방향일 수 있다. 제2 방향(DR2)은 상면에서 하면(DS)으로 진행하는 세로방향일 수 있다. 제1 방향(DR1)은 제2 방향(DR2)과 서로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전면에서 후면으로 진행하는 수직방향일 수 있다. 제3 방향(DR3)은 제1 방향(DR1) 및 제2 방향(DR2) 모두와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The connecting part (170) may be arranged on each of the left side (LS) and the lower side (DS) of the projector (100). The connecting part (170) may include a first connecting part (170a) and a second connecting part (170b). The first connecting part (170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upply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first direction (DR1) on the lower side (DS) of the projector (100). The second connecting part (170b)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power supply (13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a third direction (DR3) on the left side (LS) of the projector (100). The first direction may be a horizont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left side (LS) to the right side. The second direction (DR2) may be a vertical direction extending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DS). The first direction (DR1) may be a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second direction (DR2).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vertical direction running from the front to the back. The third direction (DR3) may be a direction intersecting both the first direction (DR1) and the second direction (DR2).
제1,2 커넥팅부(170a, 170b)는 프로젝터(100)에 신호를 전달하는 부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2 커넥팅부(170a, 170b)는 화상, 전원 등의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2 커넥팅부(170a, 170b)는 USB 단자, HDMI/MHL 단자, AV 단자, 이어폰 홀, RGB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s (170a, 170b) may be parts that transmit signals to the projector (100). For example,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s (170a, 170b) may transmit signals such as image and power.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ng parts (170a, 170b) may include a USB terminal, an HDMI/MHL terminal, an AV terminal, an earphone hole, and an RGB terminal.
또한, 프로젝터(100)는 좌면과 우면에 통풍부(190)가 배치될 수 있다. 통풍부(190)는 복수의 홀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젝터(100)는 복수의 홀을 통해 프로젝터(100) 내부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쉽게 배출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jector (100) may have ventilation holes (190) arrang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 ventilation holes (190) may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he projector (100) may easily discharge heat generated inside the projector (100)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holes.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영상출력부(110)는 렌즈부(110b)를 통해 공급된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는 방향전환부(110a)와 렌즈부(110b)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image output unit (1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rection changing unit (110a) and a lens unit (110b) that can reflect light supplied through a lens unit (110b) in a different direction.
방향전환부(110a)는 프로젝터(100)의 내부공간 중 렌즈부(110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방향전환부(110a)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미러(M)를 포함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110a)는 렌즈부(110b)로부터 균일화된 광을 조명받고, 균일화된 광을 다른 방향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방향전환부(110a)는 균일화된 광을 영상출력부(110)의 외부화면(111)으로 반사시킬 수 있다. 이에 영상출력부(110)의 외부화면(111)에서 방출된 광은 외부 스크린에 출사될 수 있다.The direction changing unit (110a) may be arranged in front of the lens unit (110b)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projector (100). The direction changing unit (110a) may include at least one mirror (M). The direction changing unit (110a) may receive uniform light from the lens unit (110b) and reflect the uniform light in another direction. The direction changing unit (110a) may reflect the uniform light to the external screen (111) of the image output unit (110). Accordingly, light emitted from the external screen (111) of the image output unit (110) may be output to the external screen.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렌즈부(110b)는 기준 베렐(BB),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캠 베렐(CB) 및 조정 베렐(AB)을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4, the lens unit (110b) may include a reference barrel (BB), a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a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 cam barrel (CB), and an adjustment barrel (AB).
기준 베렐(BB)은 전면과 후면이 오픈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베렐(BB)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부싱홀(BBH1,BBH2)이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부싱홀(BBH1,BBH2)은 기준 베렐(BB)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부싱홀(BBH1,BBH2)은 사각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The reference barrel (BB) may be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pen. The reference barrel (BB) may have at least one reference bushing hole (BBH1, BBH2)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rrang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ides. The reference bushing hole (BBH1, BBH2)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reference bushing hole (BBH1, BBH2) may be arranged in a square shape.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는 기준 베렐(BB)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는 제1 렌즈커버(LC1)와 다수의 전방 렌즈(FL)를 포함할 수 있다.A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may be arranged at the front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may include a first lens cover (LC1) and a plurality of front lenses (FL).
제1 렌즈커버(LC1)는 기준 베렐(BB)의 전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커버(LC1)는 전면과 후면이 오프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렌즈커버(LC1)는 기준 베렐(BB)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기준 베렐(B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lens cover (LC1) can be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first lens cover (LC1) can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and back sides turned off. The first lens cover (LC1) can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erence barrel (BB) so that it can be inserted into the reference barrel (BB).
제1 렌즈커버(LC1)는 둘레면의 상측면에 제1 렌즈부싱홈(LB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부싱홈(LBH1)은 제1 렌즈커버(LC1)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부싱홈(LBH1)은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가 기준 베렐(BB)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동안 기준 베렐(BB)의 제1 기준 부싱홀(BBH1)과 상하방향(DRU,DRD)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1 렌즈커버(LC1)는 둘레면의 하측면에 제3 렌즈부싱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부싱홈(미도시)은 제1 렌즈커버(LC1)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렌즈부싱홈(미도시)은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가 기준 베렐(BB)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동안 기준 베렐(BB)의 제3 기준 부싱홀(BBH3)과 상하방향(DRU,DRD)으로 중첩될 수 있다.The first lens cover (LC1) may have a first lens bushing groove (LBH1)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lens bushing groove (LBH1)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lens cover (LC1). The first lens bushing groove (LBH1) may overlap with 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of the reference barrel (BB) in the vertical direction (DRU, DRD) while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is inserted and arranged into the reference barrel (BB). The first lens cover (LC1) may have a third lens bushing groove (not shown) arrang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third lens bushing groove (not shown)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of the first lens cover (LC1). The third lens bushing home (not shown) can overlap with the third reference bushing hole (BBH3) of the reference barrel (BB) in the vertical direction (DRU, DRD) while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reference barrel (BB).
제1 렌즈커버(LC1)는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방 렌즈(FL)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방 렌즈(FL)는 제1 렌즈커버(LC1) 내에서 서로 접하거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전방 렌즈(FL)는 광을 집광하는 집광 렌즈, 원거리를 가상의 한정 공간으로 매칭(Matching)시켜주는 시준화 렌즈(Collimator Lens) 광을 균일한 광도로 변환하는 플라이 아이 렌즈(Fly Eye Lens), 광을 조명하는 조명렌즈, 광의 배율을 변환하는 아나모픽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전방 렌즈(FL)는 렌즈의 양면이 같은 방향으로 휘어진 메니스커스 볼록 렌즈(Meniscus convex), 렌즈의 양면이 다른 방향으로 휘어진 양면 볼록 렌즈(Biconvex), 및 렌즈의 일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평볼록렌즈(Plano concav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전방 렌즈(FL)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lens cover (LC1) may include at least one front lens (FL) in the internal space. The plurality of front lenses (FL)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at a constant interval within the first lens cover (LC1). The plurality of front lenses (F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enser lens that condenses light, a collimator lens that matches a long distance to a virtual limited space, a fly-eye lens that converts light into a uniform intensity, an illumination lens that illuminates light, and an anamorphic lens that converts a magnification of light. The plurality of front lenses (FL) may include any one of a meniscus convex lens in which both sides of the lens are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a biconvex lens in which both sides of the lens are curv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plano-concave lens in which one side of the lens is curved convex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front lenses (FL) may include glass or plastic.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는 기준 베렐(BB)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는 제2 렌즈커버(LC2)와 다수의 후방 렌즈(RL)를 포함할 수 있다.A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may be positioned at the rear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may include a second lens cover (LC2) and a plurality of rear lenses (RL).
제2 렌즈커버(LC2)는 기준 베렐(BB)의 후면에 삽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렌즈커버(LC1)는 전면과 후면이 오프된 원기둥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렌즈커버(LC2)는 기준 베렐(BB)에 삽입될 수 있도록 기준 베렐(BB)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ens cover (LC2) may be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first lens cover (LC1)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turned off. The second lens cover (LC2) may have a diameter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erence barrel (BB) so that it may be inserted into the reference barrel (BB).
제2 렌즈커버(LC2)는 둘레면의 상측면에 제2 렌즈부싱홈(LB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부싱홈(LBH2)은 제2 렌즈커버(LC2)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렌즈부싱홈(LBH2)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가 기준 베렐(BB)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동안 기준 베렐(BB)의 제2 기준 부싱홀(BBH2)과 상하방향(DRU,DRD)으로 중첩될 수 있다. 제2 렌즈커버(LC2)는 둘레면의 하측면에 제4 렌즈부싱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제4 렌즈부싱홈(미도시)은 제2 렌즈커버(LC2)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렌즈부싱홈(미도시)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가 기준 베렐(BB)에 삽입되어 배치되는 동안 기준 베렐(BB)의 제4 기준 부싱홀(BBH4)과 상하방향(DRU,DRD)으로 중첩될 수 있다.The second lens cover (LC2) may have a second lens bushing groove (LBH2)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second lens bushing groove (LBH2)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ens cover (LC2). The second lens bushing groove (LBH2) may overlap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of the reference barrel (BB) in the vertical direction (DRU, DRD) while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is inserted and arranged into the reference barrel (BB). The second lens cover (LC2) may have a fourth lens bushing groove (not shown) arranged on a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ourth lens bushing groove (not shown)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lens cover (LC2). The fourth lens bushing home (not shown) can overlap with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of the reference barrel (BB) in the vertical direction (DRU, DRD) while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is inserted and positioned in the reference barrel (BB).
제2 렌즈커버(LC2)는 내부공간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후방 렌즈(RL)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후방 렌즈(RL)는 제2 렌즈커버(LC2) 내에서 서로 접하거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후방 렌즈(RL)는 집광 렌즈, 시준화 렌즈(Collimator Lens), 플라이 아이 렌즈(Fly Eye Lens), 조명렌즈, 아나모픽 렌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후방 렌즈(RL)는 렌즈의 양면이 같은 방향으로 휘어진 메니스커스 볼록 렌즈(Meniscus convex), 렌즈의 양면이 다른 방향으로 휘어진 양면 볼록 렌즈(Biconvex), 및 렌즈의 일면이 볼록하게 휘어진 평볼록렌즈(Plano concav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다수의 후방 렌즈(RL)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lens cover (LC2) may include at least one rear lens (RL) in the internal space. The plurality of rear lenses (RL) may be sequentially arrang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o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within the second lens cover (LC2). The plurality of rear lenses (RL)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 condenser lens, a collimator lens, a fly-eye lens, an illumination lens, and an anamorphic lens. The plurality of rear lenses (RL) may include any one of a meniscus convex lens in which both sides of the lens are curved in the same direction, a biconvex lens in which both sides of the lens are curv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a plano-concave lens in which one side of the lens is curved convexly.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rear lenses (RL) may include glass or plastic.
또한,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는 후방에 프리즘(PSM)을 배치할 수 있다. 다수의 광은 프리즘(PSM)을 통해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에 공급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can have a prism (PSM) placed at the rear. A plurality of lights can be supplied to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through the prism (PSM).
캠 베렐(CB)은 기준 베렐(BB)의 외부에 배치되고,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의 간격을 제어할 수 있다. 기준 베렐(BB)은 캠 베렐(CB)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cam barrel (CB) is arranged outside the reference barrel (BB) and can control the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The reference barrel (BB) can be inserted and arranged into the cam barrel (CB).
캠 베렐(CB)은 전면과 후면이 오픈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캠 베렐(CB)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이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둘레면 중 상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좌우방향(DRLE,DRRI)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캠 베렐(CB)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cam barrel (CB) may be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and rear sides open. At least one cam bushing hole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arranged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of the cam barrel (CB).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DRLE, DRRI).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barrel (CB).
조정 베렐(AB)은 기준 베렐(BB)과 캠 베렐(CB) 사이에 배치되어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조정 베렐(AB)은 전면과 후면이 오픈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정 베렐(AB)은 캠 베렐(CB)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베렐(BB)은 조정 베렐(AB)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조정 베렐(AB)의 직경은 기준 베렐(BB)의 직경보다 크고, 캠 베렐(CB)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An adjustment barrel (AB) is arranged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cam barrel (CB)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be arrang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the front and the rear open.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be arrang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cam barrel (CB). The reference barrel (BB) may be arranged by being inserted into the adjustment barrel (AB). Accordingly, the diameter of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reference barrel (BB)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cam barrel (CB).
조정 베렐(AB)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에 다수의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과 다수의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은 둘레면의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은 둘레면의 양측 각각에 배치될 수 있다.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과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 중 일부는 전후방향(DRF,DRRE)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은 상하방향(DRU,DRD)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The adjustment barrel (AB) may have a plurality of adjustment bushing holes (ABH1 to ABH4) and a plurality of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the rear. The plurality of adjustment bushing holes (ABH1 to ABH4)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plurality of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may be arranged on each of both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adjustment bushing holes (ABH1 to ABH4) and the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Some of the adjustment bushing holes (ABH1 to ABH4)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extending long in the front-back direction (DRF, DRRE). The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extending long in the vertical direction (DRU, DRD).
이러한 조정 베렐(AB)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의 위치를 조정하여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간의 제1 간격 또는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와 프리즘(PSM) 간의 제2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조정 베렐(AB)은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및 캠 베렐(CB)을 고정한 상태에서 제2 간격을 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간격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에 장착된 렌즈 중 후면에 장착된 마지막 렌즈와 프리즘(PSM) 간의 간격일 수 있다.This adjustment barrel (AB) can adjust a first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or a second gap between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prism (PSM)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That is, the adjustment barrel (AB) can adjust the second gap while fixing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cam barrel (CB). Here, the second gap may be the gap between the last lens mounted at the rear among the lenses mounted on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prism (PSM).
도 5를 참조하면, 기준 베렐(BB)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준 부싱홀(BBH1,BBH2)이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부싱홀(BBH1,BBH2)은 제1 기준 부싱홀(BBH1) 내지 제4 기준 부싱홀(BBH4)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reference barrel (BB) may have at least one reference bushing hole (BBH1, BBH2)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reference bushing holes (BBH1, BBH2) may include a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to a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제1 기준 부싱홀(BBH1)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준 부싱홀(BBH2)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기준 부싱홀(BBH2)은 제1 기준 부싱홀(BBH1)과 전후방향(DRF,DRRE)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준 부싱홀(BBH3)은 둘레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기준 부싱홀(BBH3)은 제1 기준 부싱홀(BBH1)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준 부싱홀(BBH4)은 둘레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기준 부싱홀(BBH4)은 제2 기준 부싱홀(BBH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ide.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in the front-rear direction (DRF, DRRE). The third reference bushing hole (BBH3)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The third reference bushing hole (BBH3) may be arranged opposite 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ide.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may be arranged opposite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제1 기준 부싱홀(BBH1)은 제2 기준 부싱홀(BBH2)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제3 기준 부싱홀(BBH3)은 제4 기준 부싱홀(BBH4)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가질 수 있다. 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The third reference bushing hole (BBH3) may have a larger area than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또한, 기준 베렐(BB)은 둘레면의 양측면 각각에 제1 기준 가이드홈(BGH1)과 제2 기준 가이드홈(BG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준 가이드홈(BGH1)과 제2 기준 가이드홈(BGH2)은 서로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둘레면의 양측면 각각에 배치되는 제,2 기준 가이드홈은 제2 기준 부싱홀(BBH2)과 제4 기준 부싱홀(BBH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ference barrel (BB) may have a first reference guide groove (BGH1) and a second reference guide groove (BGH2) arranged on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first reference guide groove (BGH1) and the second reference guide groove (BGH2) may be arranged to face each other. The first and second reference guide grooves arranged on each of the two sides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and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기준 베렐(BB)은 둘레면의 후단면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치되는 지지부재(BBS)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재(BBS)는 소정의 두께를 가지며,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지지부재(BBS)는 기준 베렐(BB)의 후단면으로부터 연장된 연장영역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장착홀(H)이 배치될 수 있다. 장착부재(미도시)는 장착홀(H)을 관통하여 프로젝터(100)의 내부공간에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재(BBS)는 기준 베렐(BB)의 후단면에 배치되어 기준 베렐(BB)을 프로젝터(100)의 내부공간에 견고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The reference barrel (BB) may include a support member (BBS) that is arranged to extend from the rear end surface of the circumference. The support member (BBS)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may be formed in an approximately rectangular shape. In addition, the support member (BBS) may have at least one mounting hole (H) arranged in an extension region extending from the rear end surface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mounting member (not shown) may penetrate the mounting hole (H) and be fixed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rojector (100). The support member (BBS) may be arrang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reference barrel (BB) to firmly mount the reference barrel (BB) to the internal space of the projector (100).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캠 베렐(CB)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이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둘레면 중 상측면 또는 하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좌우방향(DRLE,DRRI)으로 길게 연장되는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캠 베렐(CB)의 둘레면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A and 6B, the cam barrel (CB) may have at least one cam bushing hole (CBH1 to CBH4)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r a low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extending in the left-right direction (DRLE, DRRI).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am barrel (CB).
캠 부싱홀(CBH1 내지 CBH4)은 제1 캠 부싱홀(CBH1) 내지 제4 캠 부싱홀(CBH4)을 포함할 수 있다. The cam bushing holes (CBH1 to CBH4) may include a first cam bushing hole (CBH1) to a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제2 캠 부싱홀(CBH2)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캠 부싱홀(CBH2)은 제1 캠 부싱홀(CBH1)과 전후방향(DRF,DRRE)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캠 부싱홀(CBH3)은 둘레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캠 부싱홀(CBH3)은 제1 캠 부싱홀(CBH1)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캠 부싱홀(CBH4)은 둘레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캠 부싱홀(CBH4)은 제2 캠 부싱홀(CBH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ide.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may be arranged spaced apart from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in the front-rear direction (DRF, DRRE).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may be arranged opposite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The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ide. The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may be arranged opposite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제1 캠 부싱홀(CBH1)은 좌우방향(DRLE,DRRI)으로 배치되되, 전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캠 부싱홀(CBH1)은 좌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과 우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타측을 포함할 수 있다. 타측은 일측보다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캠 부싱홀(CBH1)은 일측이 타측보다 전면에서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3 캠 부싱홀(CBH3)은 좌우방향(DRLE,DRRI)으로 배치되되, 전면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3 캠 부싱홀(CBH3)은 좌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일측과 우측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타측을 포함할 수 있다. 일측은 타측보다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3 캠 부싱홀(CBH3)은 타측이 일측보다 전면에서 멀어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may be arrang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DRLE, DRRI), but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For example,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may include one side arranged closer to the left side and the other side arranged closer to the right side. The other side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front than the one side. Accordingly,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may be arranged such that one side is further away from the front than the other side. In addition,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may be arranged in the left-right direction (DRLE, DRRI), but may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respect to the front. For example,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may include one side arranged closer to the left side and the other side arranged closer to the right side. The one side may be arranged closer to the front than the other side. Accordingly,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may be arranged such that the other side is further away from the front than the one side.
이와 달리, 제2 캠 부싱홀(CBH2)과 제4 캠 부싱홀(CBH4)은 좌우방향(DRLE,DRRI)과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In contrast,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and the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can be arranged parallel to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DRLE, DRRI).
또한, 캠 베렐(CB)은 캠 핀홀(CSP1)을 포함할 수 있다. 캠 핀홀(CSP1)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캠 핀홀(CSP1)은 제1 캠 부싱홀(CBH1)과 제2 캠 부싱홀(CBH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cam barrel (CB) may include a cam pinhole (CSP1). The cam pinhole (CSP1) may be arrang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The cam pinhole (CSP1)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and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캠 베렐(CB)은 후면에 초점부(150, 도 1 참조)와 연결되어 회전이동할 수 있는 기어부(CBF)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부(CBF)는 톱니바퀴 형상이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CBF)는 원형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기어부(CBF)는 초점부(150, 도 1 참조)와 쌍으로 작동하며, 기어부(CBF)의 톱니와 초점부(150, 도 1 참조)의 톱니가 맞물리면서 회전운동과 회전력을 미끄러짐 없이 전달하거나 가감할 수 있다. 즉, 초점부(150, 도 1 참조)가 회전이동하면, 초점부(150, 도 1 참조)와 맞물린 기어부(CBF)도 회전이동할 수 있다. 이에 캠 베렐(CB)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캠 베렐(CB)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면, 제1 캠 부싱홀(CBH1)과 제3 캠 부싱홀(CBH3)에 결합되는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와 제2 캠 부싱홀(CBH2)과 제4 캠 부싱홀(CBH4)에 결합되는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간의 간격이 좁아지거나 넓어질 수 있다.The cam barrel (CB) may include a gear portion (CBF) that is rotatably connected to a focus portion (150, see FIG. 1) at the rear. The gear portion (CBF) may be arranged in a gear shape. The gear portion (CBF)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The gear portion (CBF) operates as a pair with the focus portion (150, see FIG. 1), and the teeth of the gear portion (CBF) and the teeth of the focus portion (150, see FIG. 1) mesh with each other to transmit rotational motion and rotational power without slipping or increase or decrease them. That is, when the focus portion (150, see FIG. 1) rotates, the gear portion (CBF) that meshes with the focus portion (150, see FIG. 1) can also rotate. Accordingly, the cam barrel (CB) can rotate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For example, when the cam barrel (CB)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the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coupled to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and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coupled to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and the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may narrow or widen.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조정 베렐(AB)은 전면과 후면 사이에 배치되는 둘레면에 다수의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과 다수의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이 배치될 수 있다. 다수의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이격되어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7a and 7b,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have a plurality of adjustment bushing holes (ABH1 to ABH4) and a plurality of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arranged on a circumferential surface disposed between the front and rear surfaces. The plurality of adjustment bushing holes (ABH1 to ABH4)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다수의 조정 부싱홀(ABH1 내지 ABH4)은 제1 조정 부싱홀(ABH1) 내지 제4 조정 부싱홀(ABH4)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djusting bushing holes (ABH1 to ABH4) may include a first adjusting bushing hole (ABH1) to a fourth adjusting bushing hole (ABH4).
제1 조정 부싱홀(ABH1)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정 부싱홀(ABH1)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전후방향(DRF,DRRE)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조정 부싱홀(ABH2)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정 부싱홀(ABH2)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정 부싱홀(ABH2)의 면적은 제1 조정 부싱홀(ABH1)의 면적보다 작을 수 있다. 제3 조정 부싱홀(ABH3)은 둘레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조정 부싱홀(ABH3)은 제1 조정 부싱홀(ABH1)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3 조정 부싱홀(ABH3)은 제1 조정 부싱홀(ABH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제4 조정 부싱홀(ABH4)은 둘레면의 하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조정 부싱홀(ABH4)은 제2 조정 부싱홀(ABH2)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조정 부싱홀(ABH4)은 제2 조정 부싱홀(ABH2)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but may be extended in the front-rear direction (DRF, DRRE).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ide.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The area of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may be smaller than that of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The third adjustment bushing hole (ABH3)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front side. The third adjustment bushing hole (ABH3) may be arranged to face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The third adjustment bushing hole (ABH3)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may be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may be arranged opposite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may have substantially the same shape as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다수의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은 제1 조정 가이드홀(AGH1)과 제2 조정 가이드홀(AGH2)을 포함할 수 있다.The plurality of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may include a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and a second adjustment guide hole (AGH2).
제1 조정 가이드홀(AGH1)은 둘레면의 우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조정 가이드홀(AGH1)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되되, 상하방향(DRU,DRD)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제1 조정 가이드홀(AGH1)은 제2 조정 부싱홀(ABH2)과 제4 조정 부싱홀(ABH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정 가이드홀(AGH2)은 둘레면의 좌측면에 배치되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정 가이드홀(AGH2)은 제1 조정 가이드홀(AGH1)과 대향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정 가이드홀(AGH2)은 제1 조정 가이드홀(AGH1)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조정 가이드홀(AGH2)은 제2 조정 부싱홀(ABH2)과 제4 조정 부싱홀(ABH4)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but may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RU, DRD). 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and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The second adjustment guide hole (AGH2)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but may be arranged adjacent to the rear surface. The second adjustment guide hole (AGH2) may be arranged opposite 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The second adjustment guide hole (AGH2) may be arranged in a shape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The second adjustment guide hole (AGH2)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and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또한, 조정 베렐(AB)은 조정 핀홀(ASP1)을 포함할 수 있다. 조정 핀홀(ASP1)은 둘레면의 상측면에 배치되되,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조정 핀홀(ASP1)은 제1 조정 부싱홀(ABH1)과 제2 조정 부싱홀(ABH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include an adjustment pinhole (ASP1). The adjustment pinhole (ASP1) may be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and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The adjustment pinhole (ASP1)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and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또한, 조정 베렐(AB)은 후단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ABF1, ABF2)가 돌출될 수 있다. 돌기(ABF1, ABF2)는 제1 돌기(ABF1) 와 제2 돌기(ABF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ABF1)는 후단면 중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ABF2)는 후단면 중 좌측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have at least one projection (ABF1, ABF2)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surface. The projections (ABF1, ABF2) may include a first projection (ABF1) and a second projection (ABF2). The first projection (ABF1) may be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ar end surface. The second projection (ABF2) may be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rear end surface.
제1 돌기(ABF1) 하단에는 제1 완충홀(ABS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완충홀(ABS1)은 제1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과 제1 돌기(ABF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완충홀(ABS1)은 조정 베렐(AB)의 후단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되, 조정 베렐(AB)의 후단면 중 우측단면을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기(ABF2) 하단에는 제2 완충홀(ABS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완충홀(ABS2)은 제2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과 제2 돌기(ABF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완충홀(ABS2)은 조정 베렐(AB)의 후단면과 이격되어 배치되되, 조정 베렐(AB)의 후단면 중 좌측단면을 따라서 길게 배치될 수 있다.A first buffer hole (ABS1) may b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protrusion (ABF1). The first buffer hole (ABS1) may be arrang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and the first protrusion (ABF1). That is, the first buffer hole (ABS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but may be arranged to be long along the right end surface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A second buffer hole (ABS2) may be arranged at the bottom of the second protrusion (ABF2). The second buffer hole (ABS2)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adjustment guide holes (AGH1 to AGH2) and the second protrusion (ABF2). That is, the second buffer hole (ABS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but may be arranged to be long along the left end surface of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또한, 조정 베렐(AB)은 후단면 상측에 제1 체결홀(H1)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홀(H1)은 제2 조정 부싱홀(ABH2)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조정 베렐(AB)은 후단면 하측에 제2 체결홀(H2)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체결홀(H2)은 제4 조정 부싱홀(ABH4)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1 체결홀(H1)과 제2 체결홀(H2)은 원형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have a first fastening hole (H1)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end surface. The first fastening hole (H1)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have a second fastening hole (H2)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ar end surface. The second fastening hole (H2)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The first fastening hole (H1)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H2) may be arranged in a circular shape.
제1 체결홀(H1)은 제7 부싱결합부재(N7)와 결합되어 기준 베렐(BB)와 조정 베렐(AB)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체결홀(H2)은 제8 부싱결합부재(미도시)와 결합되어 기준 베렐(BB)와 조정 베렐(AB)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first fastening hole (H1) can be combined with the seventh bushing-joining member (N7) to fix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second fastening hole (H2) can be combined with the eighth bushing-joining member (not shown) to fix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adjustment barrel (AB).
도 8을 참조하면, 렌즈부(110b)는 기준 베렐(BB),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캠 베렐(CB) 및 조정 베렐(A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서는 캠 베렐(CB)을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Referring to Fig. 8, the lens unit (110b) may include a reference barrel (BB), a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a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 cam barrel (CB), and an adjustment barrel (AB). Fig. 8 illustrates a state before the cam barrel (CB) is inserted.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는 기준 베렐(BB)의 전면에 삽입되어 배치되고,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는 기준 베렐(BB)의 후면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기준 베렐(BB)은 조정 베렐(AB)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 front of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 the rear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reference barrel (BB)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 the adjustment barrel (AB).
제1 프런트 부싱부재(FB1)는 제1 렌즈커버(LC1)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1 렌즈 부싱홈(LBH1)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프런트 부싱부재(FB1)는 기준 베렐(BB)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1 기준 부싱홀(BBH1), 조정 베렐(AB)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1 조정 부싱홀(ABH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부싱결합부재(N1)는 제1 프런트 부싱부재(FB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front bushing member (FB1)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first lens bushing groove (LBH1)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lens cover (LC1). The first front bushing member (FB1) can be arranged to sequentially penetrate 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first bushing coupling member (N1)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ront bushing member (FB1).
제1 리어 부싱부재(RB1)는 제2 렌즈커버(LC2)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2 렌즈 부싱홈(LBH2)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리어 부싱부재(RB1)는 기준 베렐(BB)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2 기준 부싱홀(BBH2), 조정 베렐(AB)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2 조정 부싱홀(ABH2)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부싱결합부재(N2)는 제1 리어 부싱부재(RB1)에 결합될 수 있다.The first rear bushing member (RB1)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lens bushing groove (LBH2)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lens cover (LC2). The first rear bushing member (RB1)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arrang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second bushing coupling member (N2) can be coupled to the first rear bushing member (RB1).
제2 프런트 부싱부재(FB2)는 제1 렌즈커버(LC1)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3 렌즈 부싱홈(LBH3)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프런트 부싱부재(FB2)는 기준 베렐(BB)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3 기준 부싱홀(BBH3), 조정 베렐(AB)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3 조정 부싱홀(ABH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3 부싱결합부재(N3)는 제2 프런트 부싱부재(FB2)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front bushing member (FB2)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third lens bushing groove (LBH3)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first lens cover (LC1). The second front bushing member (FB2) can be arranged to sequentially penetrate the third reference bushing hole (BBH3)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third adjustment bushing hole (ABH3)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third bushing coupling member (N3)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front bushing member (FB2).
제2 리어 부싱부재(RB2)는 제2 렌즈커버(LC2)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4 렌즈 부싱홈(LBH4)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리어 부싱부재(RB2)는 기준 베렐(BB)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4 기준 부싱홀(BBH4), 조정 베렐(AB)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4 조정 부싱홀(ABH4)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4 부싱결합부재(N4)는 제2 리어 부싱부재(RB2)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rear bushing member (RB2)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fourth lens bushing groove (LBH4)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econd lens cover (LC2). The second rear bushing member (RB2)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eference barrel (BB) and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fourth bushing coupling member (N4)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rear bushing member (RB2).
또한, 제1 가이드 부싱부재(GB1)는 기준 베렐(BB)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부싱홀(미도시)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싱부재(GB1)는 조정 베렐(AB)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제1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5 부싱결합부재(N5)는 제1 가이드 부싱부재(GB1)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guide bushing member (GB1)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first guide bushing hole (not shown)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first guide bushing member (GB1)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first adjustment guide hole (AGH1 to AGH2) arranged on the right sid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fifth bushing coupling member (N5) can be coupled to the first guide bushing member (GB1).
제2 가이드 부싱부재(GB2)는 기준 베렐(BB)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제2 가이드 부싱홀(미도시)에 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싱부재(GB2)는 조정 베렐(AB)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제2 조정 가이드홀(AGH1 내지 AGH2)을 관통하여 배치될 수 있다. 제6 부싱결합부재(N6)는 제2 가이드 부싱부재(GB2)에 결합될 수 있다.The second guide bushing member (GB2) can be arranged in contact with the second guide bushing hole (not shown)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reference barrel (BB). The second guide bushing member (GB2) can be arranged to penetrate the second adjustment guide hole (AGH1 to AGH2) arranged on the left sid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The sixth bushing coupling member (N6) can be coupled to the second guide bushing member (GB2).
도 9을 참조하면, 캠 베렐(CB)은 제1 프런트 부싱부재(FB1), 제2 프런트 부싱부재(FB2), 제1 리어 부싱부재(RB1) 및 제2 리어 부싱부재(RB2)에 결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cam barrel (CB) can be coupled to the first front bushing member (FB1), the second front bushing member (FB2), the first rear bushing member (RB1), and the second rear bushing member (RB2).
제1 프런트 부싱부재(FB1)는 캠 베렐(CB)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1 캠 부싱홀(CBH1)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프런트 부싱부재(FB1)는 제1 캠 부싱홀(CBH1), 제1 조정 부싱홀(ABH1), 제1 기준 부싱홀(BBH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1 렌즈 부싱홈(LBH1)에 접할 수 있다.The first front bushing member (FB1)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m barrel (CB). Accordingly, the first front bushing member (FB1)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irst cam bushing hole (CBH1),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BH1), and the first reference bushing hole (BBH1)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rst lens bushing groove (LBH1).
제1 리어 부싱부재(RB1)는 캠 베렐(CB)의 상측면에 배치되는 제2 캠 부싱홀(CBH2)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1 리어 부싱부재(RB1)는 제2 캠 부싱홀(CBH2), 제2 조정 부싱홀(ABH2), 제2 기준 부싱홀(BBH2)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2 렌즈 부싱홈(LBH2)에 접할 수 있다.The first rear bushing member (RB1)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cam barrel (CB). Accordingly, the first rear bushing member (RB1)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second cam bushing hole (CBH2),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BH2), and the second reference bushing hole (BBH2)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lens bushing groove (LBH2).
제2 프런트 부싱부재(FB2)는 캠 베렐(CB)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3 캠 부싱홀(CBH3)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프런트 부싱부재(FB2)는 제3 캠 부싱홀(CBH3), 제3 조정 부싱홀(ABH3), 제3 기준 부싱홀(BBH3)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3 렌즈 부싱홈(LBH3)에 접할 수 있다.The second front bushing member (FB2)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m barrel (CB). Accordingly, the second front bushing member (FB2)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third cam bushing hole (CBH3), the third adjustment bushing hole (ABH3), and the third reference bushing hole (BBH3)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third lens bushing groove (LBH3).
제2 리어 부싱부재(RB2)는 캠 베렐(CB)의 하측면에 배치되는 제4 캠 부싱홀(CBH4)에 삽입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2 리어 부싱부재(RB2)는 제4 캠 부싱홀(CBH4), 제4 조정 부싱홀(ABH4), 제4 기준 부싱홀(BBH4)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제4 렌즈 부싱홈(LBH4)에 접할 수 있다.The second rear bushing member (RB2) can be inserted and placed into the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cam barrel (CB). Accordingly, the second rear bushing member (RB2) can sequentially pass through the fourth cam bushing hole (CBH4), the fourth adjustment bushing hole (ABH4), and the fourth reference bushing hole (BBH4)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urth lens bushing groove (LBH4).
또한, 렌즈부(110b)는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와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의 초기 위치를 셋팅할 수 있는 셋팅핀(P)이 캠 핀홀(CSP1)과 조정 핀홀(ASP1)에 결합될 수 있다. 셋팅핀(P)은 캠 핀홀(CSP1)과 조정 핀홀(ASP1)을 순차적으로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ens unit (110b) may have a setting pin (P) that can set the initial positions of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coupled to the cam pinhole (CSP1) and the adjustment pinhole (ASP1). The setting pin (P) may be coupled by sequentially penetrating the cam pinhole (CSP1) and the adjustment pinhole (ASP1).
렌즈부(110b)는 제5 부싱결합부재(N5)를 제1 가이드 부싱부재(GB1)에 결합하고, 제6 부싱결합부재(N6)를 제2 가이드 부싱부재(GB2)에 결합함으로써,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및 캠 베렐(CB)을 고정시킬 수 있다. The lens unit (110b) can fix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cam barrel (CB) by coupling the fifth bushing coupling member (N5) to the first guide bushing member (GB1) and coupling the sixth bushing coupling member (N6) to the second guide bushing member (GB2).
렌즈부(110b)는 셋팅핀(P)을 캠 핀홀(CSP1)과 조정 핀홀(ASP1)에 결합한 후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및 캠 베렐(CB)을 고정한 상태에서 조정 베렐(AB)을 이용하여 이들의 위치를 미세하게 조정할 수 있다. 이에 렌즈부(110b)는 조정 베렐(AB)을 통해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및 캠 베렐(CB)의 초기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조정할 수 있다. The lens unit (110b) can finely adjust the positions of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cam barrel (CB) by fixing the setting pin (P) to the cam pinhole (CSP1) and the adjustment pinhole (ASP1) using the adjustment barrel (AB). Accordingly, the lens unit (110b) can easily and accurately adjust the initial positions of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cam barrel (CB) using the adjustment barrel (AB).
이와 같이 조정된 렌즈부(110b)는 셋팅핀(P)을 캠 핀홀(CSP1)과 조정 핀홀(ASP1)에서 제거하고, 조정 베렐(AB)을 제5 부싱결합부재(N5)와 제6 부싱결합부재(N6)를 이용하여 기준 베렐(BB)에 고정될 수 있다.The lens part (110b) adjusted in this way can be fixed to the reference barrel (BB) by removing the setting pin (P) from the cam pin hole (CSP1) and the adjustment pin hole (ASP1) and using the fifth bushing connecting member (N5) and the sixth bushing connecting member (N6) to the adjustment barrel (AB).
또한, 조정 베렐(AB)은 후단면에 제1 돌기(ABF1)와 제2 돌기(ABF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돌기(ABF1)와 제2 돌기(ABF2)는 렌즈부(110b)가 조정 베렐(AB)을 이용하여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1),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 및 캠 베렐(CB)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동안, 기준 베렐(BB), 조정 베렐(AB), 캠 베렐(CB) 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arrel (AB) may include a first projection (ABF1) and a second projection (ABF2) on the rear end surface. The first projection (ABF1) and the second projection (ABF2) may prevent a play from occurring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BB), the adjustment barrel (AB), and the cam barrel (CB) while the lens unit (110b) adjusts the positions of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LBA1),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cam barrel (CB) using the adjustment barrel (AB).
즉, 제1 돌기(ABF1)와 제2 돌기(ABF2)가 조정 베렐(AB)의 후단면에 배치됨으로써, 조정 베렐(AB)을 앞으로 밀려고 하는 반발력이 발생될 수 있다. 렌즈부(110b)는 반발력을 이용하여 기준 베렐(BB), 조정 베렐(AB), 캠 베렐(CB) 간에 발생되는 유격을 제거할 수 있다. 조정 베렐(AB)은 베렐들(BB,AB,CB) 간에 유격이 없는 상태에서 기준 베렐(BB)에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부(110b)는 베렐들(BB,AB,CB) 간 유격이 없는 상태에서 조정 베렐(AB)을 이용하여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LBA2)와 프리즘(PSM) 간의 제2 간격을 조정하고, 조정 베렐(AB)을 기준 베렐(BB)에 고정함으로써 제2 간격이 틀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protrusion (ABF1) and the second protrusion (ABF2) are arranged on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djustment barrel (AB), a repulsive force can be generated to push the adjustment barrel (AB) forward. The lens unit (110b) can eliminate the clearance generated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BB), the adjustment barrel (AB), and the cam barrel (CB) by using the repulsive force. The adjustment barrel (AB) can be fixed to the reference barrel (BB)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clearance between the barrels (BB, AB, CB). In this way, the lens unit (110b) can adjust the second gap between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LBA2) and the prism (PSM) by using the adjustment barrel (AB) in a state where there is no clearance between the barrels (BB, AB, CB), and can prevent the second gap from being misaligned by fixing the adjustment barrel (AB) to the reference barrel (BB).
게다가, 조정 베렐(AB)은 제1 돌기(ABF1)와 제2 돌기(ABF2) 하단에 제1 완충홀(ABS1)과 제2 완충홀(ABS2)을 더 배치함으로써 반발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조정 베렐(AB)은 기준 베렐(BB)과 오버랩시킴으로써, 반발력을 더욱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렌즈부(110b)는 더욱 완벽하게 기준 베렐(BB), 조정 베렐(AB), 캠 베렐(CB) 간에 유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djustment barrel (AB) can utilize the repulsive force more effectively by further arranging the first buffer hole (ABS1) and the second buffer hole (ABS2) at the bottom of the first projection (ABF1) and the second projection (ABF2). In particular, the adjustment barrel (AB) can generate the repulsive force more effectively by overlapping the reference barrel (BB). Accordingly, the lens unit (110b) can more perfectly prevent the occurrence of a gap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BB), the adjustment barrel (AB), and the cam barrel (CB).
본 발명의 각 실시 예 및/또는 구성은, 상호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 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점은, 본 발명이 프로젝터에 대한 것임을 고려할 때 자명하다.Each embodiment and/or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For example, it means that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a specific embodiment and/or drawing can be combined with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and/or drawing. In other words, even if a combination between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it means that a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cases where a combination is described as impossible. This point is self-evident when considering tha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ojector.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above detailed descrip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in all respects but should be considered as illustrati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a reasonable interpretation of the appended claims, and all changes coming within the equivalent scope of the invention are intended to be embraced within the scope of the invention.
Claims (9)
상기 렌즈부는
기준 베렐;
상기 기준 베렐의 전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
상기 기준 베렐의 후면에 삽입되도록 배치되는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상기 기준 베렐의 외부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간격을 제어하는 캠 베렐; 및
상기 기준 베렐과 상기 캠 베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 베렐;
을 포함하고,
상기 조정 베렐은 양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 가이드홀을 포함하며,
상기 조정 가이드홀은 상기 기준 베렐의 전면과 후면을 가로지르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프로젝터.Includes an image output unit having a built-in lens unit for projecting an image or screen to the front;
The above lens part
standard berel;
A first lens barrel assembly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front of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barrel;
A second lens barrel assembly positioned to be inserted into the rear of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barrel;
A cam barrel positioned outside the above-mentioned reference barrel and controll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nd
An adjusting barrel positioned between the reference barrel and the cam barrel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Including,
The above adjustment barrel includes at least one adjustment guide hole on both sides,
The above adjustment guide hole is a projector that extends in a vertical direction intersecting with the front-back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and rear of the above standard barrel.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후방에 배치되는 프리즘을 더 포함하고,
상기 조정 베렐은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의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간의 제1 간격 또는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와 상기 프리즘 간의 제2 간격을 조정하는 프로젝터.In the first paragraph,
Further comprising a prism disposed at the rear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The above adjustment barrel
A projector for adjusting a first gap between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or a second gap between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and the prism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상기 조정 베렐의 후단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돌출되는 프로젝터.In the first paragraph,
A projector having at least one protrusion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adjustment barrel.
상기 조정 베렐은 상하측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조정 부싱홀을 포함하는 프로젝터.In any one of claims 1 to 3,
A projector wherein the above adjustment barrel includes at least one adjustment bushing hole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상기 조정 부싱홀은 제1 조정 부싱홀과 제2 조정 부싱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조정 부싱홀과 상기 제2 조정 부싱홀은 상기 전후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프로젝터.In Article 6,
The above adjustment bushing hole includes a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nd a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 projector in which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nd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상기 제1 렌즈 베렐 어셈블리, 상기 제2 렌즈 베렐 어셈블리, 상기 캠 베렐 및 상기 조정 베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초기 위치를 셋팅할 수 있는 핀홀이 상기 조정 베렐에 배치되는 프로젝터.In Article 7,
A projector, wherein a pinhole capable of setting an initial position of at least one of the first lens barrel assembly, the second lens barrel assembly, the cam barrel, and the adjustment barrel is disposed on the adjustment barrel.
상기 핀홀은 상기 제1 조정 부싱홀과 상기 제2 조정 부싱홀 사이에 배치되는 프로젝터.
In Article 8,
A projector wherein the pinhole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adjustment bushing hole and the second adjustment bushing hol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218A KR102735927B1 (en) | 2016-09-02 | 2016-09-02 | Projec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13218A KR102735927B1 (en) | 2016-09-02 | 2016-09-02 | Projec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6181A KR20180026181A (en) | 2018-03-12 |
KR102735927B1 true KR102735927B1 (en) | 2024-11-29 |
Family
ID=61728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13218A Active KR102735927B1 (en) | 2016-09-02 | 2016-09-02 | Projec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5927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390365B2 (en) * | 2019-04-12 | 2023-12-01 | リコーインダストリアル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 Lens barrel and image projection device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8881A (en) * | 1999-10-07 | 2001-04-20 | Canon Inc | Optical element driving device and optical equipment |
JP2004233690A (en) | 2003-01-30 | 2004-08-19 | Nidec Copal Corp | Zoom lens barrel |
JP2008051886A (en) * | 2006-08-22 | 2008-03-06 | Seiko Epson Corp | projector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80063099A (en) * | 2006-12-29 | 2008-07-03 | 파워옵틱스 주식회사 | Zoom Lens Barrel Assembly |
-
2016
- 2016-09-02 KR KR1020160113218A patent/KR102735927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108881A (en) * | 1999-10-07 | 2001-04-20 | Canon Inc | Optical element driving device and optical equipment |
JP2004233690A (en) | 2003-01-30 | 2004-08-19 | Nidec Copal Corp | Zoom lens barrel |
JP2008051886A (en) * | 2006-08-22 | 2008-03-06 | Seiko Epson Corp | proje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6181A (en) | 2018-03-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06087B2 (en) | Portable virtual reality device | |
WO2009034694A1 (en) | Projector | |
EP2103980A3 (en) |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image display device | |
TW200634340A (en) | Image display | |
CN105319820B (en) | Projection device | |
CN208537809U (en) | The projecting lens unit and projector of projector | |
EP2184532A3 (en) | Lighting unit | |
BRPI0509037A (en) | projection module and projector built into it | |
KR102595295B1 (en) | Projector | |
EP2560378A3 (en) | Projector with offset between projection optical system and display unit | |
KR102735927B1 (en) | Projector | |
US10254469B2 (en) | Flexible display panel,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and flexible display device | |
EP1942373A3 (en) |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and optical unit | |
WO2012108202A1 (en) | Illumination optical assembly and projection display device | |
CN107680482B (en) | Display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 |
TWI533074B (en) | Photography lights | |
JP6379634B2 (en) | Image projection apparatus and light source lamp unit | |
JP2013195501A (en) | Laser emitting device and video display device | |
EP2656131B1 (en) | Lens and illumination apparatus having the same | |
JP2017058474A (en) | Projection device | |
WO2008099116A3 (en) | Opto-electronic display device with an optical insert encapsulated in an ophthalmic lens | |
EP1469684A3 (en) | Projector | |
KR20160060619A (en) | Optical system for pen type pico projector | |
US11294268B1 (en) | Optical projection device for household projectors | |
KR20060106386A (en) | Backlight unit having reflect plate having multiple reflect surfa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9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08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6090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2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