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5191B1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5191B1 KR102735191B1 KR1020240107811A KR20240107811A KR102735191B1 KR 102735191 B1 KR102735191 B1 KR 102735191B1 KR 1020240107811 A KR1020240107811 A KR 1020240107811A KR 20240107811 A KR20240107811 A KR 20240107811A KR 102735191 B1 KR102735191 B1 KR 1027351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gnetic coupling
- coupling device
- challenge
- coil
- terminal pi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0—Fastening or clamping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together; 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H01F27/306—Fastening or mounting coils or windings on core, casing or other support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9—Terminals; Tapping arrangements for signal induct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4—Insulation between coil and core, between different winding sections, around the coil; Other insulation structures
- H01F27/325—Coil bobbi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2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 H04N23/23—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infrared radiation only from thermal infrared radi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코어부 및 상기 코어부 내에 적어도 일부가 수용되는 제1 코일부와 제2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 중 적어도 하나는, 복수의 도전선이 특정 영역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도전선 간의 인덕턴스 편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re portion and a first coil portion and a second coil portion at least partially accommodated within the core portion, wherein at least one of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can reduce an inductance deviation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by allow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to intersect each other in a specific reg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코일의 구성에 따른 인덕턴스 편차로 인한 발열을 저감할 수 있는 자성 소자, 그를 포함하는 영상 출력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gnetic element capable of reducing heat generation due to inductance deviation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a coil, and an image output device including the same.
전자기기의 전원공급장치에는 트랜스포머나 라인 필터와 같은 다양한 자기 결합 장치, 예컨대, 코일 부품이 탑재된다.Power supplies for electronic devices contain various magnetic coupling devices, such as transformers and line filters, and coil components.
트랜스포머(Transformer, 변압기)는 다양한 목적으로 전자기기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는 하나의 회로에서 다른 회로로 에너지를 전달하는 에너지 전달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포머는 전압의 크기를 바꾸는 승압 혹은 강압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1차, 2차측 권선 간에 유도성 결합(커플링)만 되므로 어떠한 DC 경로도 직접 형성되지 않는 특징을 가지는 트랜스포머는 직류 차단 및 교류 통과를 위한 목적이나 두 회로간 절연 분리를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Transformers can be included in electronic devices for various purposes. For example, transformers can be used to perform an energy transfer function that transfers energy from one circuit to another. Transformers can also be used to perform a step-up or step-down function that changes the size of a voltage. In addition, transformers, which have the characteristic of only inductive coupling between the primary and secondary windings and thus no direct DC path is formed,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blocking direct current and passing alternating current, or for insulating and separating two circuits.
도 1은 일반적인 트랜스포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ypical transformer configuration.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슬림형 트랜스포머(10)는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12)를 포함하는 코어부와, 그(11, 12) 사이에 2차측 코일(13)과 1차측 코일(14)을 포함한다. 2차측 코일(13)은 복수매의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로 구성되고, 1차측 코일(14)은 도전선을 권선한 형태를 갖는 것이 보통이다. 구성에 따라서는 상부 코어(11)와 하부 코어(12) 사이에 보빈(미도시)이 배치되기도 한다.Referring to Fig. 1, a typical slim-type transformer (10) includes a core section including an upper core (11) and a lower core (12), and a secondary coil (13) and a primary coil (14) between them (11, 12). The secondary coil (13) is usually composed of a plurality of conductive metal plates, and the primary coil (14) usually has a form in which a conductive wire is wound.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a bobbin (not shown) may be placed between the upper core (11) and the lower core (12).
도 1에 도시된 트랜스포머에서는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이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는데, 2차측 코일에 도전성 금속 플레이트 대신 도전선을 적용할 경우, 1차측 코일과 2차측 코일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e transformer illustrated in Fig. 1,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However, if a conductive wire is applied to the secondary coil instead of a conductive metal plate, the primary coil and the secondary coil can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그런데, 2 차측 코일에 도전선을 적용할 경우 슬림화를 위해 평면상에서 나란히 배치되어야 하기 때문에 코어부의 중족을 중심으로 턴을 형성함에 있어 중족에 가장 가까운 내측 도전선은 길이가 가장 짧게 되고, 가장 먼 외측 도전선은 길이가 가장 길게 되어 인덕턴스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인덕턴스 편차는 전류의 쏠림을 야기하고, 전류의 쏠림은 다시 심한 발열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when applying conductive lines to the secondary coil, they must be arranged side by side on a plane for slimming purposes, so when forming turns centered on the middle of the core, the inner conductive line closest to the middle becomes the shortest in length, and the outer conductive line farthest from the middle becomes the longest in length, resulting in inductance deviation. This inductance deviation causes current concentration, and this current concentration can cause severe heat generation again, which is a problem.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슬림하면서도 발열을 감소시킬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achie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lim transformer capable of reducing heat generation and a circuit board using the transformer.
특히, 본 발명은 도전선으로 구성된 코일의 길이 차이로 인한 인덕턴스 편차에 따른 발열을 방지할 수 있는 트랜스포머 및 이를 이용한 회로 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In particul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transformer capable of preventing heat generation due to inductance deviation caused by a difference in the length of a coil composed of a conductive wire, and a circuit board using the same.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일 실시예에 따른 자기 결합 장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코어 상에 배치된 제2 코어;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보빈; 상기 보빈 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제1 코일부 및 제2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1 도전선 및 제2 도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도전선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도전선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배치된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마주보는 전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선의 일부와 상기 제2 도전선의 일부는 상기 전착부 상에서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magnetic coupling device comprises: a first core; a second core disposed on the first core;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 first coil portion and a second coil portion having at least a portion disposed on the bobbin; wherein one of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comprises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disposed along a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each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the bobbin comprises a terminal portion hav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disposed; and a plating portion facing the terminal portion with the through hole interposed therebetween in a horizontal direction, wherein a portion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a portion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can vertically overlap on the plating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1 코일부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il portion may be placed inside the first coil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와 상기 제2 코일부는 일 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may overlap along one direction.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는 상기 제1 도전선 및 상기 제2 도전선으로 구비되고, 상기 제2 코일부는 금속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il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coil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plate.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 중 상기 어느 하나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3 도전선 및 제4 도전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either one of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hird conductive line and a fourth conductive line arranged along the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each including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예를 들어, 상기 제3 도전선의 일부는 상기 제4 도전선의 일부와 수직으로 중첩될 수 있다.For example, a portion of the third challenge line may vertically overlap a portion of the fourth challenge line.
예를 들어, 상기 제1 도전선은 상기 제4 도전선의 타부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선의 일부와 상기 제1 도전선의 타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hallenge line includes a tab that vertically overlaps with a tab of the fourth challenge line, and a part of the first challenge line and the tab of the first challenge line can b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예를 들어, 상기 제2 도전선은 상기 제3 도전선의 타부와 수직으로 중첩되는 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도전선의 일부와 상기 제2 도전선의 타부는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hallenge line includes a tab that vertically overlaps with a tab of the third challenge line, and a part of the second challenge line and the tab of the second challenge line can b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예를 들어, 상기 제3 도전선의 제1 단부, 상기 제1 도전선의 제1 단부, 상기 제4 도전선의 제1 단부, 상기 제2 도전선의 제1 단부, 상기 제1 도전선의 제2 단부, 상기 제3 도전선의 제2 단부, 상기 제2 도전선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4 도전선의 제2 단부는 상기 단자부 상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end of the third conductive line, a first end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 first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line, a first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a second end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 second end of the third conductive line, a second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line can be arranged in parallel on the terminal portion.
예를 들어, 상기 제4 도전선의 제1 단부, 상기 제2 도전선의 제1 단부, 상기 제1 도전선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3 도전선의 제2 단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제1 터미널부를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a first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line, a first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a second end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end of the third conductive line may form a first terminal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short-circuited with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3 도전선의 제1 단부 및 상기 제1 도전선의 제1 단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제2 터미널부를 구성하고, 상기 제2 도전선의 제2 단부 및 상기 제4 도전선의 제2 단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단락된 제3 터미널부를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end of the third conductive line and the first end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may form a second terminal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short-circuited to each other, and the second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end of the fourth conductive line may form a third terminal portion that is electrically short-circuited to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1 터미널부는 접지되고, 상기 제2 터미널부와 상기 제3 터미널부는 서로 전기적으로 다른 극성으로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terminal portion may be grounded, and the second terminal portion and the third terminal portion may be connected with electrically different polarities from each other.
예를 들어, 상기 제1 코어는 상기 제2 코어를 향하여 돌출된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는 상기 보빈의 관통홀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core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rotruding toward the second core, and the first protrusion may be positioned inside the through hole of the bobbin.
예를 들어, 상기 제2 코일부는 상기 제1 돌출부와 상기 제1 코일부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second coil portion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rotrusion and the first coil portion.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출력 장치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자기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파워 공급 장치 (PSU); 및 상기 케이스 일측에 배치되어, 수신된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공급 장치(PSU)에 배치된 자기 결합 장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코어 상에 배치된 제2 코어; 중앙부에 형성된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와 상기 제2 코어 사이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보빈;상기 보빈 상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된 제1 코일부, 및 제2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일부 및 상기 제2 코일부 중 어느 하나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을 따라 배치되고, 각각 제1 단부와 제2 단부를 포함하는 제1 도전선 및 제2 도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보빈은, 상기 제1 도전선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 및 상기 제2 도전선의 제1 단부와 제2 단부가 배치된 단자부; 및 상기 단자부와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관통홀을 사이에 두고 마주는 전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도전선의 일부와 상기 제2 도전선의 일부는 상기 전착부 상에서 수직으로 중첩되고, 상기 단자부에 배치된 상기 제1 도전선의 제1, 2 단부와 상기 제2 도전선의 제1, 2 단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 image output device includes: a case; a power supply unit (PSU) disposed with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gnetic coupling device; and a displa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for outputting a received signal as an image; wherein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disposed in the power supply unit (PSU) includes: a first core; a second core disposed on the first core; a bobbi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and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between the first core and the second core; a first coil portion and a second coil portion, at least a portion of which is disposed on the bobbin; wherein one of the first coil portion and the second coil portion includes a first conductive line and a second conductive line disposed along a periphery of the through hole and each of which includes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and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 terminal portion on which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a first end and a second end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are disposed; And the terminal portion includes a contact portion facing the through hole in a horizontal direction, a part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a part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vertically overlap on the contact portion, and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first and second ends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arranged on the terminal portion can supply power to the display.
실시 예에 의한 트랜스포머는 코일을 구성하는 복수의 도전선이 일 영역에서 서로 교차하도록 하여 도전선의 길이 차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can minimize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conductive lines by allow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constituting the coil to intersect each other in one area.
또한, 터미널 핀의 단락을 통해 병렬로 동일 턴을 구성하는 도전선 간의 인덕턴스 편차가 개선되어 발열이 저감된다.Additionally, heat generation is reduced by improving the inductance deviation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forming the same turn in parallel through short-circuiting of the terminal pins.
아울러, 도전선 간 교차가 발생하는 영역에서 보빈이 오프닝을 가지므로 인해 슬림화가 가능하다.In addition, slimming is possible because the bobbin has an opening in the area where the crossing between the challenge lines occurs.
본 발명에서 얻은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from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은 일반적인 슬림형 트랜스포머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에서 코어부를 제거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 2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의 핀맵을 나타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
도 5는 비교례에 따른 제2 코일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비교례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전류 편차를 나타낸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비교례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발열 분포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발열 분포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의 제2 부에서 도전선 간에 중첩이 발생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평면도의 일례를,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제2 코일부의 측면도를, 도 11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평면도의 다른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Figure 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typical slim-type transformer configuration.
FIG. 2a is a plan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a transformer with the core portion remo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aken along line A-A' of FIG. 2a.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il s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4a shows a pin map of a second coil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4b is a circuit diagram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il s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ure 6 shows the current deviation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transform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 7 shows an example of a heat distribution shap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transform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il s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9 shows an example of a heat distribution shap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overlap occurs between conductive lines in a second section of a second coil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11a shows an example of a plan view of a second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1b shows a side view of the second coil portion illustrated in FIG. 11a, and FIG. 11c shows another example of a plan view of the second coil por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hav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Terms including ordinal numbers such as second, first,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or any item among a plurality of related describ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at there may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들이 기판, 각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s, the description that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s formed "on" or "under" the substrate, each layer (film), region, pad or pattern includes both being formed directly or via another layer. The reference to "on" or "under" each layer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n addition, the thickness or size of each layer (film), region, pattern or structure in the drawings may be modifi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therefore does not entirely reflect the actual size.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includes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terms "comprises" or "has"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they have in the context of the relevant art, and will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ressly defined in this appl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자기 결합 장치의 일례로 트랜스포머를 상정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transformer will be assumed as an example of a magnetic coupl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and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에서 코어부를 제거한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를 도 2a의 A-A'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FIG. 2a is a plan view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b is a plan view showing a form of a transformer with a core portion remov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2c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ross-section taken along line A-A' of FIG. 2a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2a 내지 도 2c를 함께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코어부(111, 112), 제1 코일부(120) 및 제2 코일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각 구성 요소를 상세히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2A to 2C together, a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core portion (111, 112), a first coil portion (120), and a second coil portion (130). Hereinafter,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in detail.
코어부(111, 112)는 자기회로의 성격을 가져 자속의 통로 역할을 할 수 있다. 코어부(111, 112)는 상측에서 결합되는 상부 코어(111)와 하측에서 결합되는 하부 코어(112)를 포함할 수 있다. 두 코어(111, 112)는 서로 상하로 대칭되는 형상일 수도 있고, 비대칭 형상일 수도 있다. 다만, 이하의 기재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하로 대칭되는 형상인 것으로 가정한다. 또한, 하부 코어(112)는 '제1 코어'로, 상부 코어(111)는 '제2 코어'로 각각 칭할 수도 있다.The core portion (111, 112)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magnetic circuit and can act as a path for magnetic flux. The core portion (111, 112) can include an upper core (111) coupled from the upper side and a lower core (112) coupled from the lower side. The two cores (111, 112) can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vertically or can have asymmetric shapes. However, in the description below, it is assumed that they have shap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vertically for the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lower core (112) can be referred to as a 'first core' and the upper core (111) can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re', respectively.
상부 코어(111)와 하부 코어(112) 각각은 평판 형태의 바디부 및 바디부로부터 두께방향(즉, 3축 방향)으로 돌출되며 소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 복수의 레그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레그부는 평면 상에서 일 축(여기서는 1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타 축(여기서는 2축)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두 개의 외족과, 두 개의 외족 사이에 배치된 한 개의 중족(C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코어(112)의 레그부는 제2 코어(111)를 향해 돌출되므로, '제1 돌출부'라 칭할 수 있으며, 제2 코어(111)의 레그부는 제1 코어(112)를 향해 돌출되므로, '제2 돌출부'라 칭할 수 있다.Each of the upper core (111) and the lower core (112) may include a body portion in the form of a flat plate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that protrude in the thickness direction (i.e., in the triaxial direction) from the body portion and extend along a predetermined direction. The plurality of leg portions may include two outer legs that extend along one axis (here, the 1st axis) on a plane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other axis (here, the 2nd axis) direction, and one middle leg (CL) that is arranged between the two outer legs. For example, the leg portion of the first core (112) protrudes toward the second core (111)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a 'first protrusion portion', and the leg portion of the second core (111) protrudes toward the first core (112) and thus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protrusion portion'.
상부 코어(111)와 하부 코어(112)가 상하로 결합될 때, 상부 코어(111)의 외족과 중족 각각은, 하부 코어(112)의 서로 대응되는 외족이나 중족과 대향하게 된다. 이때, 서로 대향하는 외족쌍이나 중족쌍 중 적어도 일부의 사이에는 소정 거리(예컨대, 10 내지 100um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의 갭(gap)이 형성될 수 있다.When the upper core (111) and the lower core (112) are connected vertically, each of the outer and middle legs of the upper core (111) faces the corresponding outer or middle legs of the lower core (112). At this time, a gap of a predetermined distance (for example, 10 to 100 um, but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may be formed between at least some of the outer or middle leg pairs that face each other.
또한, 코어부(111, 112)는 자성물질, 예를 들어, 철 또는 페라이트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dditionally, the core portion (111, 112) may include a magnetic material, for example, iron or ferrit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제1 코일부(120)는 중앙에 제1 관통홀(CH1)을 갖는 제1 보빈(B1)과, 제1 보빈의 수용공간 내에 제1 관통홀(CH1)을 중심으로 복수의 턴을 이루도록 권선된 제1 코일(C1)을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coil portion (120) may include a first bobbin (B1) having a first through-hole (CH1) in the center, and a first coil (C1) wound to form a plurality of turns centered around the first through-hole (CH1) within an accommodation space of the first bobbin.
제2 코일부(130)는 중앙에 제2 관통홀(도 3의 CH2)을 갖는 제2 보빈(B2)과, 제2 보빈(B2)의 수용공간 내에 제2 관통홀(CH2)을 중심으로 턴을 형성하도록 배치된 제2 코일(C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코일부(120)는 제2 관통홀(CH2)에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코일부(120)와 제2 코일부(130)는 적어도 일부가 수평 방향을 따라 중첩될 수 있다. 여기서, 수평 방향은 도 3에 개시된 제1 축 방향 및/또는 제2 축 방향일 수 있다. 그리고, 수직 방향은 상기 수평 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을 의미하고, 도 3에 개시된 제 3축 방향일 수 있다. 또한, 제2 보빈(B2)의 수용 공간은 상부 플레이트(TP), 하부 플레이트(BP) 및 상부 플레이트(TP)와 하부 플레이트(BP) 사이에 배치되는 측벽부(SW)로 정의될 수 있다.The second coil part (130) may include a second bobbin (B2) having a second through-hole (CH2 in FIG. 3) in the center, and a second coil (C2) arranged to form a turn centered on the second through-hole (CH2) with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second bobbin (B2). Here, at least a portion of the first coil part (120) may be arranged in the second through-hole (CH2). Accordingly, the first coil part (120) and the second coil part (130) may at least a portion overlap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Here,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be the first axial direction and/or the second axial direction disclosed in FIG. 3. And, the vertical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may be the third axial direction disclosed in FIG. 3. Additionally,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second bobbin (B2) can be defined by an upper plate (TP), a lower plate (BP), and a side wall portion (SW) disposed between the upper plate (TP) and the lower plate (BP).
제1 코일(C1)과 제2 코일(C2)은 강성 도체 금속, 예를 들어 구리 도전선이 나선형 또는 평면 나선형으로 수회 감겨진 다중 권선(winding)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코일(C1)은 섬유원사로 감싼 에나멜 와이어(USTC wire), 리츠(Litz) 와이어, 3중 절연 와이어(TIW: Triple Insulated Wire)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first coil (C1) and the second coil (C2) may be multiple windings in which a rigid conductor metal, for example, a copper conductor wire, is wound several times in a spiral or flat spiral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first coil (C1) may be applied with an enameled wire (USTC wire) wrapped with fiber yarn, a Litz wire, a triple insulated wire (TIW: Triple Insulated Wire), etc.
실시예에 따라, 제1 코일부(120)는 트랜스포머(100)의 1차측 코일에 해당할 수 있고, 제2 코일부(130)는 트랜스포머(100)의 2차측 코일에 해당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first coil part (120) may correspond to a primary coil of the transformer (100), and the second coil part (130) may correspond to a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100),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제2 코일(C2)의 직경은, 제2 보빈(B2)의 3축 방향으로의 높이의 0.7 내지 0.9배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높이는 제3 축 방향에 대한 길이를 의미할 수 있고, 높이 방향은 두께 방향, 제3 축 방향, 수직 방향과 같은 의미를 가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diameter of the second coil (C2) may be 0.7 to 0.9 times the height of the second bobbin (B2) in the three-axis direction,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Here, the height may mean the length in the third-axis direction, and the height direction may have the same meaning as the thickness direction, the third-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또한, 제1 코일부(120) 와 제2 코일부(130) 중 어느 하나는 복수의 도전선으로 구비되고, 다른 하나는 금속 플레이트로 구비될 수도 있다.Additionally, one of the first coil portion (120) and the second coil portion (130) may b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nd the other may be provided with a metal plate.
보다 상세한 제2 코일부의 구성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A mor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sec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il s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보빈(B2)의 상부 플레이트(TP)가 제거된 형태로 도시된다.In Fig. 3,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upper plate (TP) of the second bobbin (B2) is shown with the upper plate (TP) removed.
도 3에 도시된 제2 코일부(130A)는 제2 보빈(B2), 제2 코일(C2) 및 복수의 터미널 핀(T1, T2, T3, T4, T5, T6, T7, T8)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il portion (130A) illustrated in FIG. 3 may include a second bobbin (B2), a second coil (C2), and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T1, T2, T3, T4, T5, T6, T7, T8).
제2 보빈(B2)은 중앙부(CP), 중앙부(CP) 또는 제2 관통홀(CH2)에서 1축 방향으로 일측에 위치하는 제1부(1P), 및 중앙부(CP) 또는 제2 관통홀(CH2)에서 1축 방향으로 제1 부(1P)와 대향하는 타측에 위치하는 제2 부(2P)를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bobbin (B2) may include a central portion (CP), a first portion (1P) positioned on one side in the uniax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CP) or the second through hole (CH2), and a second portion (2P) position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first portion (1P) in the uniaxial direction from the central portion (CP) or the second through hole (CH2).
중앙부(CP)에는 제2 관통홀(CH2)이 배치될 수 있으며, 제1부(1P)에는 2축 방향을 따라 복수의 터미널 핀(T1, T2, T3, T4, T5, T6, T7, T8)이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부(1P)는 터미널 핀들이 배치됨으로 인해 '단자부'라 칭할 수 있다.A second through hole (CH2) may be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CP), and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T1, T2, T3, T4, T5, T6, T7, T8) may be arranged in a parallel manner along a two-axis direction in the first portion (1P). Accordingly, the first portion (1P) may be referred to as a 'terminal portion' due to the arrangement of terminal pins.
제2 코일(C2)은 복수의 도전선(L1, L2, L3, L4)을 포함할 수 있다.The second coil (C2) may include multiple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복수의 도전선(L1, L2, L3, L4)의 양 말단은 복수의 터미널 핀(T1, T2, T3, T4, T5, T6, T7, T8) 중 서로 다른 어느 하나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제2 관통홀(CH2)을 중심으로 각각 한 턴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인가하는 전류에 대한 저항을 낮추어 트랜스포머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저항에 의한 발열을 낮추어 트랜스포머에서 발생하는 열을 억제할 수 있다.The two ends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are electrically connected to different ones of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T1, T2, T3, T4, T5, T6, T7, T8), respectively, and can form one turn centered on the second through hole (CH2). Accordingly, the efficiency of the transformer can be increased by lowering the resistance to the applied current, and the heat generated in the transformer can be suppressed by lowering the heat generation due to the resistance.
예를 들어, 제1 도전선(L1)의 양 말단은 제2 터미널 핀(T2)과 제5 터미널 핀(T5)에 연결되고, 제3 도전선(L3)의 양 말단은 제1 터미널 핀(T1)과 제6 터미널 핀(T6)에 각각 연결된다. 또한, 제2 도전선(L2)의 양 말단은 제4 터미널 핀(T4)과 제7 터미널 핀(T7)에 각각 연결되고, 제4 도전선(L4)의 양 말단은 제3 터미널 핀(T3)과 제8 터미널 핀(T8) 각각에 연결될 수 있다.For example, both ends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may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pin (T2) and the fifth terminal pin (T5), and both ends of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pin (T1) and the sixth terminal pin (T6), respectively.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second conductive line (L2) may be connected to the fourth terminal pin (T4) and the seventh terminal pin (T7), respectively, and both ends of the fourth conductive line (L4) may be connected to the third terminal pin (T3) and the eighth terminal pin (T8), respectively.
한편, 제1 도전선(L1)과 제3 도전선(L3)은, 제2 도전선(L2) 및 제4 도전선(L4)과 제2 부(2P)에서 적어도 일부가 3축 방향을 따라 중첩되도록 교차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도전선(L1, L2, L3, L4)은 중앙부(CP)에서는 2축 방향을 따라 서로 나란하게 배치되며, 1축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복수의 도전선(L1, L2, L3, L4)은 중앙부(CP)에서 서로 3축 방향을 따라 중첩되지 않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제2 부(2P)와 인접한 영역에서는 3축 방향으로 일부 중첩이 발생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도전선(L1, L2, L3, L4) 각각의 일측은 제2 부(2P) 상에 배치되도록 연장되고, 타측은 양 말단이 제1 부(1P) 상에 배치되도록 연장될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and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may intersect with the second conductive line (L2)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L4) so that at least some of them overlap along the three-axis direction in the second portion (2P). 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may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long the two-axis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CP) and may extend along the one-axis direction. In Fig. 3,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are illustrated as not overlapping each other along the three-axis direction in the central portion (CP), but some overlap may occur in the three-axis direction in the area adjacent to the second portion (2P). That is, one side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may be extended so as to be arranged on the second portion (2P), and the other side may be extended so that both ends are arranged on the first portion (1P).
상술한 제2 코일부(130) 구성에 의해, 제2 부(2P) 등에서 제2 코일(C2)을 구성하는 도전선간 중첩이 발생하는 부분이 있게 되나, 개별 도전선의 관점에서는 1턴만 이루기 때문에 제2 코일(C2)은 1층으로 권선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도전선간 중첩이 발생함으로 인해, 제2 부(2P)는 '전착부'라 칭할 수 있다.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section (130) described above, there is a part where the conductive wires constituting the second coil (C2) overlap in the second section (2P), etc., but from the perspective of each conductive wire, since only one turn is formed, the second coil (C2) can be viewed as being wound in one layer. Due to the occurrence of overlap between the conductive wires, the second section (2P) can be referred to as a 'deposition section'.
이러한 터미널 핀 연결 상태와 제2 부(2P)에서의 교차는 회로 관점에서 동일 턴을 이루는 부분간의 인덕턴스 매칭을 위함이다. 이를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terminal pin connection state and the crossing in the second part (2P) are for inductance matching between parts forming the same turn from a circuit perspective. This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s. 4a and 4b.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의 핀맵을 나타내고,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회로도이다.FIG. 4a shows a pin map of a second coil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4b is a circuit diagram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도전선(L1)과 제3 도전선(L3)은 병렬로 연결되어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의 제1 시그널에 대한 제1 턴부(NS2)를 구성하고, 제2 도전선(L2)과 제4 도전선(L4)은 2차측 코일의 제2 시그널에 대한 제2 턴부(NS3)를 구성한다. 이러한 경우, 제1 터미널 핀(T1)과 제2 터미널 핀(T2)은 제1 시그널에 대한 입력단에 해당하고, 제5 터미널 핀(T5)과 제6 터미널 핀(T6)은 제1 시그널에 대한 그라운드(Ground)에 해당한다. 또한, 제7 터미털 핀(T7)과 제8 터미널 핀(T8)은 제2 시그널에 대한 입력단에 해당하고, 제4 터미널 핀(T4)과 제3 터미널 핀(T3)은 제2 시그널에 대한 그라운에 해당한다. 여기서, 각 시그널의 그라운드는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이른 바 센터탭(Center Tap)(CT) 구조를 이룰 수 있다. 즉, 제3 터미널 핀(T3), 제4 터미널 핀(T4), 제5 터미널 핀(T5), 제6 터미널 핀(T6)은 전기적으로 단락될 수 있다. 여기서, 시그널이 다르다고 함은 전기적으로 극성이 다름을 의미할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and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are connected in parallel to form a first turn portion (NS2) for a first signal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L2)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L4) form a second turn portion (NS3) for a second signal of the secondary coil. 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pi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in (T2) correspond to input terminals for the first signal, and the fifth terminal pin (T5) and the sixth terminal pin (T6) correspond to grounds for the first signal. In addition, the seventh terminal pin (T7) and the eighth terminal pin (T8) correspond to input terminals for the second signal, and the fourth terminal pin (T4) and the third terminal pin (T3) correspond to grounds for the second signal. Here, the grounds of each signal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form a so-called Center Tap (CT) structure. That is, the third terminal pin (T3), the fourth terminal pin (T4), the fifth terminal pin (T5), and the sixth terminal pin (T6) can be electrically short-circuited. Here, different signals may also mean different electrical polarities.
다시 도 3으로 돌아와서, 전술한 도전선과 터미널 핀들간의 연결로 인해, 병렬로 제1 턴부(NS2)를 구성하는 제1 도전선(L1) 및 제3 도전선(L3)은, 병렬로 제2 턴부(NS3)를 구성하는 제2 도전선(L2) 및 제4 도전선(L4)과 제2 관통홀(CH2)을 기준으로 1축 방향을 따라 평면 상에서 미러 이미지(대칭) 형태가 된다. 따라서, 제1 턴부(NS2)와 제2 턴부(NS3)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전선 구성을 가지므로, 도전선의 길이 차이로 인한 임피던스 편차 또는 인덕턴스 편차가 최소화되며, 이를 통해 전류 쏠림에 따른 발열이 감소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턴부(NS2)와 제2 턴부(NS3)가 실질적으로 동일한 도전선 구성을 갖는 것은 길이 및/또는 두께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일하다는 의미는 완전히 동일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닐 수 있다. 즉, 길이나 두께의 편차가 1~10% 이내를 의미할 수 있고, 공정에 따라 이 차이는 좁혀질 수 있다. 즉, 길이의 편차가 10% 이내임을 의미할 수 있고, 도전선의 두께의 편차가 10% 이내임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편차가 10% 보다 큰 편차를 갖는 경우, 임피던스 편차 또는 인덕턴스 편차를 유발할 수 있고, 전류 쏠림에 의한 발열이 개선되기는 어려울 수 있다. 즉, 편차는 10% 이하가 되도록 도전선을 구비하는 것이 좋고, 이상적으로는 0% 가 되도록 도전선을 구비하는 것이 좋으나, 실질적으로 공정에 의해 도전선의 길이나 두께에 차이가 날 수 있으며, 이 차이는 10% 이하가 되도록 도전선을 구비하는 것이 좋다.Returning to FIG. 3 again, due to the connection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and the terminal pins described above,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and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constituting the first turn portion (NS2) in parallel have a mirror image (symmetrical) shape on a plane along the 1-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conductive line (L2)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L4) constituting the second turn portion (NS3) in parallel and the second through hole (CH2). Accordingly, since the first turn portion (NS2) and the second turn portion (NS3) have substantially the same conductive line configuration, the impedance deviation or inductance deviation due to the difference in the lengths of the conductive lines is minimized, and thereby heat generation due to current concentration can be reduced. Here, the first turn portion (NS2) and the second turn portion (NS3) having substantially the same conductive line configuration may mean the length and/or thickness. In addition, the meaning of being identical may not necessarily mean being completely identical. That is, it can mean that the deviation in length or thickness is within 1 to 10%, and this difference can be narrowed depending on the process. That is, it can mean that the deviation in length is within 10%, and it can mean that the deviation in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wire is within 10%. However, if the deviation is greater than 10%, it can cause impedance deviation or inductance deviation, and it can be difficult to improve heat generation due to current concentration. That is, it is recommended to have a conductive wire so that the deviation is 10% or less, and ideally, it is recommended to have a conductive wire so that it is 0%. However, in reality, there can be a difference in the length or thickness of the conductive wire depending on the process, and it is recommended to have a conductive wire so that this difference is 10% or less.
상술한 제2 코일부(130A)의 구성의 효과를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비교례와의 비교를 통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The effec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portion (130A) described above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through comparison with comparative examples with reference to FIGS. 5 to 7.
도 5는 비교례에 따른 제2 코일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il s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5를 참조하면, 비교례에 따른 제2 코일부(130')는 제2 보빈(B2)의 구성은 일 실시예와 동일하나, 복수의 도전선(L1, L2, L3, L4)이 서로 평행하고 제2 부(2P)에서도 서로 3축 방향으로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서로 교차하지 않는다. 이러한 경우, 제1 도전선(L1')이 가장 내측에서 턴을 형성하므로 가장 길이가 짧고, 제4 도전선(L4')이 가장 외측에서 턴을 형성하므로 가장 길이가 길게 된다.Referring to FIG. 5, the second coil portion (13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has the sam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bobbin (B2) as in the first embodiment, but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are parallel to each other and do not intersect each other so that at least some of them overlap in the three-axis direction in the second portion (2P). In this case,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forms a turn at the innermost side and thus has the shortest length,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L4') forms a turn at the outermost side and thus has the longest length.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비교례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전류 편차를 나타낸다.Figure 6 shows the current deviation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transform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6을 참조하면, 상단과 하단 각각에 그래프가 도시되며, 각 그래프에서 공통적으로 세로축은 전류를, 가로축은 시간을 나타낸다. 또한, 상단 그래프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A)에서 각 턴부의 실효(rms) 전류를 나타내고, 하단 그래프는 비교례에 따른 제2 코일부(130')에서 각 턴부의 실효(rms) 전류를 나타낸다.Referring to FIG. 6, graphs are shown at the top and bottom, respectively, and in each graph, the vertical axis commonly represents current and the horizontal axis commonly represents time. In addition, the upper graph represents the root mean square (rms) current of each turn section in the second coil section (13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the lower graph represents the root mean square (rms) current of each turn section in the second coil section (130')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먼저, 상단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A)는 턴부간 도전선 구성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제1 턴부(NS2)와 제2 턴부(NS3)의 전류 차이는 0.39A에 불과하다.First, as shown in the upper graph, the second coil portion (13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has substantially the same conductive line configuration between turns, so the curre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urn portion (NS2) and the second turn portion (NS3) is only 0.39 A.
이와 달리, 상단 그래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례에 따른 제2 코일부(130')는 턴부간 도전선 구성이 상이해지므로, 제1 턴부(NS2)와 제2 턴부(NS3)의 전류 차이가 1.56A에 달하였다.In contrast, as shown in the upper graph, the second coil part (130') according to the comparative example has a different conductive line configuration between the turns, so the current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turn part (NS2) and the second turn part (NS3) reached 1.56 A.
이러한 전류 쏠림은 발열의 차이를 야기한다. 이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current drift causes differences in heat generation, which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7.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비교례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발열 분포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Fig. 7 shows an example of a heat distribution shap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transformer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도 7을 참조하면, 상단 영상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A)가 적용된 트랜스포머의 동작 중 촬영된 열화상 카메라 영상으로, 제1 부(1P)에 해당하는 영역(610)에 온도가 비교적 균일함을 알 수 있으며, 최대 온도도 68도 정도로 측정되었다.Referring to FIG. 7, the upper image is a thermal imaging camera image captured during the operation of a transformer to which a second coil section (13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seen that the temperature in the area (610) corresponding to the first section (1P) is relatively uniform, and the maximum temperatur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68 degrees.
하단 영상은 비교례에 따른 제2 코일부(130')가 적용된 트랜스포머로, 특정 영역(620)에 전류가 집중되어 발열이 편중되며, 최대 온도도 70.7도로 일 실시예 대비 높음을 알 수 있다.The lower image shows a transformer to which a second coil section (130') is applied according to a comparative example. It can be seen that the current is concentrated in a specific area (620), heat generation is biased, and the maximum temperature is 70.7 degrees, which is higher than that of the example.
지금까지 설명한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제2 코일부(130)의 제2 코일(C2)을 구성하는 각 도전선들이 시그널별로 대칭형상을 가짐으로 인해 인덕턴스 편차가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다만, 도 3에서 드러나듯이, 동일 시그널에 해당하는 턴부라도 병렬 연결된 각 도전선의 길이는 상이하다. 예를 들어, 제1 턴부(NS2)를 구성하는 제1 도전선(L1)과 제3 도전선(L3)의 경우, 제1 도전선(L1)이 제3 도전선(L3)의 내측에 위치하므로 상대적으로 길이가 짧다. 따라서, 이러한 도전선 편차까지 최소화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터미널 핀을 서로 단락시켜 터미널 핀에서 발생하는 입력 인덕턴스의 편차를 트랜스포머 내에서 낮출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제2 코일부 구성을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scribed so far has the effect of reducing inductance deviation because each of the conductive lines constituting the second coil (C2) of the second coil section (130) has a symmetrical shape for each signal. However, as shown in FIG. 3, even for turn sections corresponding to the same signal, the lengths of each conductive line connected in parallel are different.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and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constituting the first turn section (NS2),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is located inside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so it is relatively short. Therefore, in order to minimize such conductive line deviatio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to reduce the deviation of the input inductance generated at the terminal pins within the transformer by short-circuiting the terminal pins with each other.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section for this purpos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Fig. 8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second coil section configuration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8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B)의 구성은 단락부(SP1, SPC, SP2)를 제외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A)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part (13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llustrated in Fig. 8 is identical to the configuration of the second coil part (13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except for the short circuit parts (SP1, SPC, SP2), so redundant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8을 참조하면, 제1 시그널의 입력단에 해당하는 제1 터미널 핀(T1)과 제2 터미널 핀(T2)은 제1 단락부(SP1)를 통해 단락될 수 있다. 또한, 제2 시그널의 입력단에 해당하는 제7 터미널 핀(T7)과 제8 터미널 핀(T8)은 제2 단락부(SP2)를 통해 단락될 수 있다. 아울러, 센터탭 구성의 그라운드에 해당하는 제3 내지 제6 터미널 핀(T3, T4, T5, T6)은 센터 단락부(SPC)를 통해 단락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8, the first terminal pin (T1) and the second terminal pin (T2)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first signal can be short-circuited through the first short-circuit part (SP1). In addition, the seventh terminal pin (T7) and the eighth terminal pin (T8) corresponding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second signal can be short-circuited through the second short-circuit part (SP2). In addition, the third to sixth terminal pins (T3, T4, T5, T6) corresponding to the ground of the center-tap configuration can be short-circuited through the center short-circuit part (SPC).
여기서, 각 단락부(SP1, SP2, SPC)는 솔더링을 통해 구현될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터미널 핀 간의 단락이 가능하다면 어떠한 방식에도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각 단락부(SP1, SP2, SPC)는 도체 클립, 도체 핀 또는 이들과 솔더링의 조합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다.Here, each short circuit (SP1, SP2, SPC) can be implemented through soldering, but this is an example and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is not limited to any method as long as short circuiting between terminal pins is possible. For example, each short circuit (SP1, SP2, SPC) can be implemented through a conductor clip, a conductor pin, or a combination of these and soldering.
도 8에서는 센터 단락부(SPC)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제3 내지 제6 터미널 핀(T3, T4, T5, T6) 모두를 단락시키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센터 단락부(SPC)는 제3 터미널 핀(T3)과 제4 터미널 핀(T4)을 단락시키는 제1 센터 단락부(미도시)와, 제5 터미널 핀(T5)과 제6 터미널 핀(T6)을 단락시키는 제2 센터 단락부(미도시)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센터 단락부(미도시)와 제2 센터 단락부(미도시)는 트랜스포머 내에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여기서 물리적으로 연결되지 않는다는 의미는, 제1 센터 단락부(미도시)와 제2 센터 단락부(미도시)가 직접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고, 다른 연결 부재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In FIG. 8, the center short circuit (SPC) is illustrated as being configured as an integral part to short circuit all of the third to sixth terminal pins (T3, T4, T5, and T6).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center short circuit (SPC) may be configured with a first center short circuit (not shown) that short circuits the third terminal pin (T3) and the fourth terminal pin (T4), and a second center short circuit (not shown) that short circuits the fifth terminal pin (T5) and the sixth terminal pin (T6). In this case, the first center short circuit (not shown) and the second center short circuit (not shown) may not be physically connected within the transformer. Here, not being physically connected means that the first center short circuit (not shown) and the second center short circuit (not shown) are not directly connected, and does not mean that they are not electrically connected via another connecting member.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B)의 효과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The effect of the second coil portion (13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9.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의 발열 분포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heat distribution shape of a transform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a transform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9을 참조하면, 상단 영상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A)가 적용된 트랜스포머의 동작 중 촬영된 열화상 카메라 영상으로, 센터탭에 해당하는 각 터미널이 단락되지 않아 센터탭 부근(910)에 상대적으로 열이 집중됨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upper image is a thermal imaging camera image captured during the operation of a transformer to which a second coil portion (130A)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s applied. It can be seen that each terminal corresponding to the center tap is not short-circuited, so heat is relatively concentrated in the vicinity of the center tap (910).
하단 영상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B)가 적용된 트랜스포머로, 센터탭에 부근(920)에서도 발열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온도에 있어서 상단 영상에서는 최대 69도로 측정되나, 하단 영상에서도는 최대 63.5도로 5.5도 가량 발열이 감소함을 알 수 있다.The lower image shows a transformer to which a second coil section (130B)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is applied, and it can be seen that heat generation is improved even near the center tap (920). 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is measured at a maximum of 69 degrees in the upper image, but it can be seen that the heat generation is reduced by about 5.5 degrees to a maximum of 63.5 degrees in the lower image.
인덕턴스에 있어서 실험 결과는 아래 표 1과 같다.The experimental results for inductance are shown in Table 1 below.
없음Paragraph
doesn't exist
제2 센터 단락부Section 1 Center Paragraph &
2nd Center Paragraph
표 1에 결과가 나타난 실험은 제2 보빈(B2)의 제2 부(2P)에서 도전선간 교차가 있는지 여부와, 단락부의 구성에 따라 총 6개의 케이스로 수행되었으며, 측정값은 각 도전선(L1 내지 L4)의 인덕턴스를 측정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The experiment, the results of which are shown in Table 1, was performed for a total of six cases depending on whether there was a crossing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in the second part (2P) of the second bobbin (B2) and the configuration of the short circuit, and the measurement values were measured by measuring the inductance of each conductive line (L1 to L4).
즉, 표 1의 구분에서 "제2 부에서 교차"는 도 3이나 도 8과 같이 제2 보빈(B2)의 제2 부(2P)에서 도전선간 교차가 발생하는 구성을 의미하고, "제 2부에서 교차없음"은 도 5와 같은 구성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교차”는 수직으로 중첩됨을 의미할 수 있다. “제2 부에서 교차”는 전착부에서 수직으로 중첩됨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단자부에서는 도전선간 수직으로 중첩되지 않고, 전착부에서 수직으로 중첩됨을 의미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도전선이 길이 및/또는 두께가 이상적으로 동일하도록 배치함에 따라 도 8과 같이 서로 어긋나도록 배치함으로써 전착부에서 수직으로 중첩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따라 단자부에서 각 도전선의 단부가 나란히 배치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류 쏠림, 인덕턴스 편차, 임피던스 편차, 발열을 줄일 수 있다.That is, in the classification of Table 1, "crossing in the second part"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crossing occurs between conductive lines in the second part (2P) of the second bobbin (B2), as in FIG. 3 or FIG. 8, and "no crossing in the second part" may mean a configuration as in FIG. 5. Here, "crossing" may mean vertically overlapping. "Crossing in the second part" may mean vertically overlapping in the electrodeposition por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conductive lines do not vertically overlap in the terminal portion, but may vertically overlap in the electrodeposition portion. That is, by arrang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so that their lengths and/or thicknesses are ideally the same, and thus arranging them to be misaligned as in FIG. 8, a structure can be formed in which the ends of each conductive line are arranged side by side in the terminal portion. Accordingly, current concentration, inductance deviation, impedance deviation, and heat generation can be reduced.
또한, "단락부 없음"은 도 3 또는 도 5와 같이 단락부가 없는 구성을 의미하고, "일체형 센터 단락부"는 도 8과 같은 단락부 구성을 의미한다. 아울러, "제1 센터 단락부 & 제2 센터 단락부"는 도 8의 구성에서 센터 단락부(SPC)가 일체형이 아닌, 제3 터미널 핀(T3)과 제4 터미널 핀(T4)을 단락시키는 제1 센터 단락부(미도시)와, 제5 터미널 핀(T5)과 제6 터미널 핀(T6)을 단락시키는 제2 센터 단락부(미도시)로 분리된 구성을 의미한다.In addition, "no paragraph" means a configuration without a paragraph, such as in FIG. 3 or FIG. 5, and "integrated center paragraph" means a paragraph configuration, such as in FIG. 8. In addition, "first center paragraph & second center paragraph" means a configuration in which, in the configuration of FIG. 8, the center paragraph (SPC) is not integral, but is separated into a first center paragraph (not shown) that short-circuits the third terminal pin (T3) and the fourth terminal pin (T4), and a second center paragraph (not shown) that short-circuits the fifth terminal pin (T5) and the sixth terminal pin (T6).
표 1을 참조하면, 단락부의 유무와 무관하게, "제2 부에서 교차" 케이스들이 "제2 부에서 교차 없음"케이스들 대비 인덕턴스 편차가 적은 것으로 나타나, 제2 부에서 도전선간의 교차를 통해 도전선간의 길이 편차를 낮추는 것이 인덕턴스 편차 해소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Referring to Table 1, regardless of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short circuit, the "crossing in Part 2" cases show smaller inductance deviations than the "no crossing in Part 2" cases, indicating that reducing the length deviation between conductive lines through crossing between conductive lines in Part 2 is effective in resolving the inductance deviation.
또한, 단락부가 존재하는 경우 단락부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대비 인덕턴스 편차가 크게 낮았으며, 센터 단락부의 경우 일체형인 경우가 제1/제2 센터 단락부를 별도로 구비한 구성 대비 조금 더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알 수 있다.In addition, when a short circuit exists, the inductance deviation is significantly lower than when a short circuit does not exist, and in the case of a center short circuit, it can be seen that the integrated case shows slightly better performance than the configuration with separate first and second center short circuits.
한편, 제2 보빈(B2)의 제2 부(2P)에서 도전선간의 교차가 발생함에 따라, 도전선 간의 3축 방향으로 중첩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빈(B2)의 측벽부(SW) 높이가 도전선 두께의 2배 이상 확보되어야 제2 부(2P)에서 제2 보빈(B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측벽부(SW)의 높이 확보로 인해 제2 보빈(B2)이 전체적으로 두꺼워지고, 이는 트랜스포머 전체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높이, 두께를 정의하는 방향은 수직 방향이나 제3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since the crossing of the conductive lines occurs in the second part (2P) of the second bobbin (B2), the three-axis overlapping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may occur. Therefore,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art (SW) of the second bobbin (B2) must be secured to be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of the conductive lines to prevent deformation of the second bobbin (B2) in the second part (2P). However, due to securing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art (SW), the second bobbin (B2) becomes thicker overall, which may increase the thickness of the entire transformer. Here, the direction defining the height and thickness may mean the vertical direction or the third-axis direction. Thi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0.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의 제2 부에서 도전선 간에 중첩이 발생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에서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전선(L1, L2, L3, L4)을 중첩과 무관하게 실선으로 표현하였다.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rm in which overlap occurs between conductive lines in the second section of the second coil sect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In Fig. 10, conductive lines (L1, L2, L3, L4) are expressed as solid lines regardless of overlap to aid understanding.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코일부의 제2 부(2P)에서, 복수의 도전선 간의 중첩 조합 쌍에 따라 복수의 중첩 영역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2 부(2P)에서는 제3 도전선(L3)과 제4 도전선(L4)이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A1), 제1 도전선(L1)과 제4 도전선(L4)이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A2), 제2 도전선(L2)과 제3 도전선(L3)이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3 영역(A3) 및 제1 도전선과 제2 도전선이 평면 상에서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4 영역(A4)이 발생한다. 상술한 제1 영역(A1) 내지 제4 영역(A4)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수평 방향은 제1 축 방향 및/또는 제2 축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수직 방향은 이에 수직한 제3 축 방향, 높이 방향, 또는 두께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10, in the second part (2P) of the second coil portion, a plurality of overlapping regions are formed according to the overlapping combination pairs between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For example, in the second part (2P), a first region (A1) in which a third conductive line (L3) and a fourth conductive line (L4) vertically overlap on a plane, a second region (A2)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ine (L1)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L4) vertically overlap on a plane, a third region (A3)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e line (L2) and the third conductive line (L3) vertically overlap on a plane, and a fourth region (A4) in which the first conductive line and the second conductive line vertically overlap on a plane are formed. The above-described first region (A1) to fourth region (A4)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a horizontal direc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may mean a first axial direction and/or a second axial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may mean a third axial direction, a height direction, or a thickness direction perpendicular thereto.
이러한 영역들(A1, A2, A3, A4)에서는 3축 방향으로 나머지 영역 대비 더 큰 수용 공간이 요구된다.These areas (A1, A2, A3, A4) require a larger accommodation space in the three-axis directions compared to the remaining areas.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 보빈(B2) 제2 부(2P)에 해당하는 영역에 상부 플레이트(TP)와 하부 플레이트(BP) 중 적어도 하나에 오프닝을 형성하여 제2 보빈의 두께 증가를 방지할 것을 제안한다.Therefore,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oposed to prevent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obbin by forming an opening in at least one of the upper plate (TP) and the lower plate (BP) in an area corresponding to the second part (2P) of the second bobbin (B2).
도 11a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평면도의 일례를, 도 11b는 도 11a에 도시된 제2 코일부를 도 11a 상단의 화살표 방향으로 바라본 측면도를, 도 11c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 평면도의 다른 일례를 각각 나타낸다.FIG. 11a shows an example of a plan view of a second coi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FIG. 11b shows a side view of the second coil unit illustrated in FIG. 11a as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at the top of FIG. 11a, and FIG. 11c shows another example of a plan view of the second coi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도 11a와 도 11b를 함께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2 코일부(130C)에는, 제2 보빈의 상부 플레이트(TP_A)와 하부 플레이트(BP_A) 각각에 반원형 평면 형상을 갖는 오프닝(OP1_T, OP1_B)이 형성된다. 이러한 오프닝(OP1_T, OP1_B)을 가짐으로 인해,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공간의 높이(h2)(즉, 측벽부(SW) 높이)가 도전선의 직경(D)의 2배보다 작더라도 보빈의 변형 없이 도전선들이 교차할 공간이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보빈의 두께 증가가 방지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1A and 11B together, in a second coil portion (130C)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penings (OP1_T, OP1_B) having a semicircular plane shape are formed in each of the upper plate (TP_A) and the lower plate (BP_A) of the second bobbin. Due to the presence of these openings (OP1_T, OP1_B), even if the height (h2) of the receiving space (i.e., the height of the side wall portion (SW)) is less than twice the diameter (D) of the conductive wires, as illustrated in FIG. 11B, a space for the conductive wires to intersect can be secured without deformation of the bobbin. Accordingly, an increase in the thickness of the second bobbin can be prevented.
한편, 1축 방향으로 오프닝(OP1_T, OP1_B)의 최대 길이(h1)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도전선의 직경의 2배(2*D)보다는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오프닝(OP1_T, OP1_B)의 위치는 도 10의 도전선 간 중첩이 발생하는 네 영역(A1, A2, A3, A4) 각각을 적어도 일부라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오프닝(OP1_T, OP1_B)의 평면적은 도전선 간 중첩이 발생하는 네 영역(A1, A2, A3, A4)의 면적합 대비 5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Meanwhile, the maximum length (h1) of the openings (OP1_T, OP1_B) in the 1-axis direction is preferably greater than twice the diameter (2*D) of each conductive line, as illustrated in FIG. 10. In addi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positions of the openings (OP1_T, OP1_B)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four regions (A1, A2, A3, A4) where overlapping occurs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in FIG. 10. In addi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planar area of the openings (OP1_T, OP1_B) is 50% to 90% of the sum of the areas of the four regions (A1, A2, A3, A4) where overlapping occurs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또한, 오프닝(OP1_T, OP1_B)의 평면 형상은 도 11a에서는 반원형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도전선 간 중첩이 발생하는 네 영역(A1, A2, A3, A4) 각각을 적어도 일부라도 포함시킬 수 있다면 원형, 트랙형, 다각형 등 그 형상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1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코일부(130D)의 오프닝(OP2_T, OP2_B)은 삼각형 평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planar shape of the opening (OP1_T, OP1_B) is illustrated as a semicircle in Fig. 11a, this is exemplary and is not limited to a circle, track shape, polygon, etc., as long as it can include at least a portion of each of the four regions (A1, A2, A3, A4) where overlap between the conductive lines occurs.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c, the opening (OP2_T, OP2_B) of the second coil portion (130D) may have a triangular planar shape.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트랜스포머는 제2 코일부(130, 130A, 130B, 130C, 130D)가 트랜스포머의 2차측 코일에 해당함을 가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제2 코일부(130, 130A, 130B, 130C, 130D)에 적용된 인덕턴스 편차를 감소시키기 위한 구성은 제1 코일부(120) 또는 제1 및 제2 코일부 모두에 적용될 수도 있다.The transform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so far has been described assuming that the second coil part (130, 130A, 130B, 130C, 130D) corresponds to the secondary coil of the transformer, but the configuration for reducing the inductance deviation applied to the second coil part (130, 130A, 130B, 130C, 130D) may be applied to the first coil part (120) or both the first and second coil parts.
아울러, 전술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머(100)는 다른 자성 소자(예컨대, 인덕터)와 함께 파워 공급 장치(PSU) 등을 구성하는 회로 기판(미도시)을 구성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transformer (10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form a circuit board (not shown) that constitutes a power supply unit (PSU) or the like together with other magnetic elements (e.g., an inductor).
상술한 발명의 특징을 갖는 자기 결합 장치가 스마트폰, 서버용 컴퓨터, 영상 출력 장치 (예를 들어, TV), 차량 등의 IT 장치, 가전 제품, 차량에 이용되는 경우, 슬림한 두께를 갖도록 하며 전력 변환 기능을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기존 자기 결합 장치, 예를 들어 트랜스포머를 이용하는 경우, 가전 제품이나 IT 장치의 부피를 얇게 만드는 것이 어렵고, 이를 단순히 얇게 제작하는 경우 누설 인덕턴스, 누설 전류, 또는 전력 변환 효율이 매우 저하되는 등의 문제를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발명의 특징을 갖는 자기 결합 장치는 예를 들어 얇은 두께 및/또는 작은 면적을 갖도록 파워 공급 장치(PSU)를 구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전력 변환 효율의 저하, 누설 전류, 누설 인덕턴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제품 내에 각 부품으로 전력을 원활하게 공급하여 발열이 적고, 높은 전력 변환 효율을 가지며, 누설 전류나 누설 인덕턴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자기 결합 장치가 구성하는 파워 공급 장치(PSU)가 영상 출력 장치(예를 들어, TV)에 적용되는 경우, 소비 전력이 적은 저전력 영상 출력 장치(예를 들어, TV)를 더 얇게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소비자가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자기 결합 장치가 적용된 영상 출력 장치(예를 들어, TV)를 구매하기 위한 원동력이 될 수 있다. 상술한 영상 출력 장치(예를 들어, TV)는 케이스 내에 디스플레이, 파워 공급 장치(PSU)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에 인가될 전력을 변환하기 위한 트랜스포머로 적용될 수 있고, 또는 소비 전력을 절감하기 위한 고주파용으로 적용될 수 있다. 즉, 영상 출력 장치(예를 들어, TV) 케이스 내에 디스플레이, 파워 공급 장치(PSU), 신호 수신 장치가 본 발명의 특징을 갖는 자기 결합 장치로 연결되어 얇은 두께를 갖는 영상 출력 장치(예를 들어, TV)가 발열 문제없이 안정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기능적 일체성 또는 기술적 연동성을 이룰 수 있다.When a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used in IT devices such as smartphones, server computers, image output devices (e.g., TVs), vehicles, home appliances, and vehicles, it can have a slim thickness and stably perform a power conversion function. When using an existing magnetic coupling device, for example, a transformer, it is difficult to make the volume of a home appliance or IT device thin, and if it is simply manufactured thin, it may have problems such as leakage inductance, leakage current, or greatly reduc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However, a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configure a power supply unit (PSU) to have a thin thickness and/or a small area, for example, and can solve problems such as reduced power conversion efficiency, leakage current, and leakage inductance that may occur accordingly. Therefore, power can be smoothly supplied to each component within the entire product, so that heat generation is low, power conversion efficiency is high, and leakage current or leakage inductance problems can be solved. For example, when a power supply unit (PSU) composed of a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s applied to an image output device (e.g., a TV), a low-power image output device (e.g., a TV) with low power consumption can be provided to consumers in a thinner form, which can serve as a driving force for consumers to purchase the image output device (e.g., a TV) to which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he image output device (e.g., a TV) described above can include a display and a power supply unit (PSU) in a case. It can be applied as a transformer for converting power to be applied to the display, or it can be applied for high frequency to reduce power consumption. That is, a display, a power supply unit (PSU), and a signal receiving device can be connected in a case of the image output device (e.g., a TV) by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the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a thin image output device (e.g., a TV) can operate stably without a heat generation problem, thereby achieving functional integration or technical interoperability.
또한, IT 장치나 가전 제품, 차량에 이용되는 경우, 좀 더 작은 부피로 전체 제품을 만들 수 있고, 제품의 안정적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체 제품과 본 발명이 적용된 자기 결합 장치는 서로 기능적 일체성 또는 기술적 연동성을 이룰 수 있다.In addition, when used in IT devices, home appliances, or vehicles, the entire product can be manufactured in a smaller volume, and the product can maintain stable function, thereby enabling the entire product and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to achieve functional integration or technical interconnection with each other.
이상에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 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 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above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ese are merely examples and do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exemplified above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embodiment. For example, each component specifically shown in the embodiments can be modified and implemented. In addition, the differences related to such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00: 트랜스포머 111, 112: 코어부
120: 제1 코일
130, 130A, 130B, 130C, 130D: 제2 코일100: Transformer 111, 112: Core
120: 1st coil
130, 130A, 130B, 130C, 130D: Second coil
Claims (20)
상기 제1 코어 상에 배치된 제2 코어;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부를 포함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된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상기 제2 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어 복수의 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중첩영역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자기 결합 장치.1st core;
A second core disposed on the first core;
A bobbin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first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a coil portion arranged on the above bobbin,
The above coi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rranged around the through hole,
The above plurality of challenge lines overlap vertically in the second s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overlapping regions,
The above-mentioned multiple overlapping regions are magnetically coupled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상기 관통홀을 중심으로 한 턴을 형성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agnetic coupling device in which the above plurality of challenge lines form a turn centered on the through hole.
상기 복수의 도전선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2 부와 인접한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수직 방향으로 중첩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agnetic coupling device in which at least some of the plurality of challenge lines overlap in the vertical direction at the central portion adjacent to the second portion.
상기 복수의 도전선의 양단부는 상기 제1 부에서 중첩되지 않고 나란히 배치된 자기 결합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agnetic coupling device in which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above-mentioned challenge lines are arranged side by side without overlapping in the first section.
상기 복수의 도전선의 상기 양단부가 연결되며, 상기 제1 부에 배치된 복수의 터미널 핀을 더 포함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the fourth paragraph,
A magnetic coup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terminal pins arranged in the first section, wherein the two ends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re connected.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제1 내지 제4 도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중첩 영역은
상기 제3 도전선과 상기 제4 도전선이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1 영역;
상기 제1 도전선과 상기 제4 도전선이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2 영역;
상기 제2 도전선과 상기 제3 도전선이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3 영역; 및
상기 제1 도전선과 상기 제2 도전선이 수직으로 중첩되는 제4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4 영역은 상기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자기 결합 장치.In clause 5,
The above plurality of challenge lines include first to fourth challenge lines,
The above multiple overlapping areas are
A first region in which the third challenge line and the fourth challenge line vertically overlap;
A second region in which the first challenge line and the fourth challenge line vertically overlap;
a third region in which the second challenge line and the third challenge line vertically overlap; and
Including a fourth region in which the first challenge line and the second challenge line vertically overlap,
The first to fourth regions are magnetic coupling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상기 복수의 터미널 핀은
상기 제1 도전선의 양 말단이 각각 연결된 제2 및 제5 터미널 핀;
상기 제3 도전선의 양 말단이 각각 연결된 제1 및 제6 터미널 핀;
상기 제2 도전선의 양 말단이 각각 연결된 제4 및 제7 터미널 핀; 및
상기 제4 도전선의 양 말단이 각각 연결된 제3 및 제8 터미널 핀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6,
The above multiple terminal pins
Second and fifth terminal pi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ends of the first challenge line;
First and sixth terminal pins,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two ends of the third challenge line;
The fourth and seventh terminal pins, respectively, are connected to the two ends of the second challenge line; and
A magnetic coupling device including third and eighth terminal pins,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opposite ends of the fourth conductive wire.
상기 제1 도전선과 상기 제3 도전선이 병렬로 연결된 제1 턴부; 및
상기 제2 도전선과 상기 제4 도전선이 병렬로 연결된 제2 턴부를 포함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7,
A first turn part in which the first and third challenge lines are connected in parallel; and
A magnetic coupling device including a second turn part in which the second conductive line and the fourth conductive line are connected in parallel.
상기 제1 턴부는 상기 자기 결합 장치의 2차측 코일의 제1 시그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2 턴부는 상기 자기 결합 장치의 2차측 코일의 제2 시그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터미널 핀과 상기 제2 터미널 핀은 상기 제1 시그널에 대한 입력단에 해당하고,
상기 제5 터미널 핀과 상기 제6 터미널 핀은 상기 제1 시그널에 대한 그라운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7 터미털 핀과 상기 제8 터미널 핀은 상기 제2 시그널에 대한 입력단에 해당하고,
상기 제4 터미널 핀과 상기 제3 터미널 핀은 상기 제2 시그널에 대한 그라운드에 해당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8,
The above first turn portion forms a first signal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The second turn part forms a second signal of the secondary coil of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The above first terminal pin and the above second terminal pin correspond to input terminals for the first signal,
The above fifth terminal pin and the above sixth terminal pin correspond to the ground for the first signal,
The above 7th terminal pin and the above 8th terminal pin correspond to input terminals for the above 2nd signal,
The above fourth terminal pin and the above third terminal pin are magnetic coupling devices corresponding to the ground for the second signal.
상기 제3 내지 제6 터미널 핀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된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9,
The third to sixth terminal pins are magnetic coupling device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상기 제1 및 제3 도전선은 상기 제2 및 제4 도전선과 상기 관통홀을 기준으로 제1 방향을 따라 평면 상에서 미러 이미지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제1 방향은 상기 제1 부와 상기 제2 부가 상기 중앙부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하는 방향인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8,
The first and third conductive lines are arranged in a mirror image shape on a plane along the first direction based on the second and fourth conductive lines and the through hole,
A magnetic coupling device in which the first direction is a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portion and the second portion face each other with the central portion therebetween.
상기 복수의 터미널 핀을 단락시키는 단락부를 더 포함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10,
A magnetic coupling device further comprising a short-circuiting section for short-circuiting the plurality of terminal pins.
상기 단락부는
상기 제1 터미널 핀과 상기 제2 터미널 핀을 단락시키는 제1 단락부;
상기 제7 터미널 핀과 상기 제8 터미널 핀을 단락시키는 제2 단락부; 및
상기 제3 내지 제6 터미널 핀을 단락시키는 제3 단락부를 포함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12,
The above paragraph
A first short circuit portion for short circuiting the first terminal pin and the second terminal pin;
A second short circuit portion for short-circuiting the seventh terminal pin and the eighth terminal pin; and
A magnetic coupling device comprising a third short-circuiting section for short-circuiting the third to sixth terminal pins.
상기 제3 단락부는 상기 제1 단락부와 상기 제2 단락부 사이에 배치된 평면 형상을 갖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13,
The third paragraph section is a magnetic coupling device having a plane shape arranged between the first paragraph section and the second paragraph section.
상기 보빈은 상기 중첩 영역의 적어도 일부를 노출시키는 오프닝을 포함하는 자기 결합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magnetic coupling device wherein the bobbin includes an opening expos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overlapping region.
상기 오프닝은 상기 복수의 도전선 각각의 직경의 2배보다 큰 최대 길이를 갖는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15,
A magnetic coupling device wherein the above opening has a maximum length greater than twice the diameter of each of the plurality of conductive wires.
상기 오프닝의 평면적은 상기 중첩 영역의 면적합 대비 50% 내지 90%인 자기 결합 장치.In Article 15,
A magnetic coupling device wherein the planar area of the above opening is 50% to 90% of the total area of the above overlapping region.
상기 케이스 내에 배치되고, 자기 결합 장치를 포함하는 파워 공급 장치 (PSU); 및
상기 케이스 일측에 배치되어, 수신된 신호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고,
상기 파워 공급 장치(PSU)에 배치된 자기 결합 장치는,
제1 코어;
상기 제1 코어 상에 배치된 제2 코어;
관통홀이 형성된 중앙부; 상기 중앙부의 일측에 위치한 제1 부; 및 상기 중앙부의 타측에 배치된 제2 부를 포함하는 보빈;
상기 보빈에 배치된 코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일부는 상기 관통홀의 주변에 배치된 복수의 도전선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도전선은 상기 제2 부에서 수직 방향으로 중첩되어 복수의 중첩 영역을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중첩영역은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된 영상 출력 장치.case;
A power supply unit (PSU) disposed within the case and including a magnetic coupling device; and
A display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case and outputs the received signal as an image,
The magnetic coupling device placed in the above power supply unit (PSU) is:
1st core;
A second core disposed on the first core;
A bobbin comprising: a central portion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therein; a first portion located on one side of the central portion; and a second portion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central portion;
Including a coil portion arranged on the above bobbin,
The above coil portion includes a plurality of conductive lines arranged around the through hole,
The above plurality of challenge lines overlap vertically in the second section to form a plurality of overlapping regions,
The above multiple overlapping areas are image output devi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0136784 | 2020-10-21 | ||
KR1020200136784 | 2020-10-21 | ||
KR1020220095820A KR102697283B1 (en) | 2020-10-21 | 2022-08-02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95820A Division KR102697283B1 (en) | 2020-10-21 | 2022-08-02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9139A KR20240129139A (en) | 2024-08-27 |
KR102735191B1 true KR102735191B1 (en) | 2024-11-28 |
Family
ID=8144683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9407A Active KR102429895B1 (en) | 2020-10-21 | 2021-10-19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KR1020240107811A Active KR102735191B1 (en) | 2020-10-21 | 2024-08-12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39407A Active KR102429895B1 (en) | 2020-10-21 | 2021-10-19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2) | KR1024298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41556B1 (en) * | 2022-09-29 | 2023-06-13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40073446A (en) * | 2022-11-18 | 2024-05-2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40149146A (en) * | 2023-04-05 | 2024-10-14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Transformer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80881A (en) | 2011-10-05 | 2013-05-02 | Tdk Corp | Coil component |
JP2013115379A (en) | 2011-11-30 | 2013-06-10 | Tdk Corp | Vertical transformer |
JP2014053453A (en) | 2012-09-07 | 2014-03-20 | Tabuchi Electric Co Ltd | Electromagnetic inductor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9232167A (en) * | 1996-02-19 | 1997-09-05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Arc welder transformer |
JP2002175922A (en) * | 2000-12-08 | 2002-06-21 | Sansha Electric Mfg Co Ltd | High frequency high current transformer |
KR101124147B1 (en) * | 2010-12-29 | 2012-03-21 | 삼성전기주식회사 |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
KR102174244B1 (en) * | 2013-08-29 | 2020-11-04 | 주식회사 솔루엠 | Transformer and power supply unit including the same |
US20200090856A1 (en) * | 2017-05-29 | 2020-03-19 | Thin Energy Ltd. | Thin transformer and method of production of same |
-
2021
- 2021-10-19 KR KR1020210139407A patent/KR102429895B1/en active Active
-
2024
- 2024-08-12 KR KR1020240107811A patent/KR10273519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3080881A (en) | 2011-10-05 | 2013-05-02 | Tdk Corp | Coil component |
JP2013115379A (en) | 2011-11-30 | 2013-06-10 | Tdk Corp | Vertical transformer |
JP2014053453A (en) | 2012-09-07 | 2014-03-20 | Tabuchi Electric Co Ltd | Electromagnetic inducto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429895B1 (en) | 2022-08-05 |
KR20220052840A (en) | 2022-04-28 |
KR20240129139A (en) | 2024-08-2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735191B1 (en)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TWI389147B (en) | Conductive winding structure and magnetic device using same | |
US10366823B2 (en) | Coil component | |
KR102769901B1 (en) | Magnetic component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 |
KR102810318B1 (en) | Magnetic component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 |
KR102209038B1 (en) | Magnetic coupl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WO2022007706A1 (en) | Winding assembly, on-board charger, and vehicle | |
US20230076761A1 (en) | Transformer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 |
KR102697283B1 (en) | Magnetic component an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 |
CN116762146A (en) | transformer | |
KR102605507B1 (en) | Transformer | |
EP4235712A1 (en) | Magnetic element and image output device comprising same | |
KR200386286Y1 (en) | High-voltage Transformer | |
US20240087800A1 (en) | Transformer | |
US11901109B2 (en) | Primary coil assembly for transformer and transformer including the same | |
KR102837146B1 (en) | Magnetic coupling device and flat pane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 |
KR20220106558A (en) | Magnetic component and circuit board having the same | |
US20220028598A1 (en) | Magnetic induction assembly | |
TWM542845U (en) | Magnetic component | |
KR20220122280A (en) | Coil and magnetic component including the same | |
KR20240073432A (en) | Transformer and display device | |
CN117711763A (en) | Miniaturized transformer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PA0107 | Divisional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