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34369B1 - Intake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Intake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34369B1 KR102734369B1 KR1020170025621A KR20170025621A KR102734369B1 KR 102734369 B1 KR102734369 B1 KR 102734369B1 KR 1020170025621 A KR1020170025621 A KR 1020170025621A KR 20170025621 A KR20170025621 A KR 20170025621A KR 102734369 B1 KR102734369 B1 KR 10273436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ressor
- suction
- core body
- check valve
- protrus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0
- 230000010349 puls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5284 excit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9000003507 refrige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0873—Component parts, e.g. sealings; Manufacturing or assembly thereof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0027—Pulsation and noise damp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입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의 흡입구와 흡입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바디와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가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코어바디상에 배치되는 돌기블록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의 흡입구에 편심되어 작동되는 밸브를 통해 엔진 또는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 흡입되는 유체의 파동주파수를 불일치시켜 흡입맥동을 저감시키는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check valve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and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re body disposed between an intake port and an intake chamber of a compressor, a spring body dispos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re body inside the intake port, and a protrusion block disposed on the core body so that the core body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take 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suction pulsation by making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an engine or a pulley and the wave frequency of a suctioned fluid mismatched through a valve that operates eccentrically to the intake port of the compressor.
Description
본 발명은 흡입 체크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압축기의 흡입구에 편심되어 작동되는 밸브를 통해 엔진 또는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 흡입되는 유체의 파동주파수를 불일치시켜 흡입맥동을 저감하는 밸브 및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check valve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and more specifically, to a valve and compressor that reduce suction pulsation by making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an engine or a pulley and the wave frequency of a suctioned fluid mismatched through a valve that is operated eccentrically to the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일반적으로 차량용 냉각시스템에서 냉매를 압축시키는 역할을 하는 압축기는 다양한 형태로 개발되어 왔으며, 이와 같은 압축기에는 냉매를 압축하는 구성이 왕복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왕복식과, 회전운동을 하면서 압축을 수행하는 회전식이 있다. In general, compressors that play a role in compressing refrigerant in vehicle cooling systems have been developed in various forms. These compressors include reciprocating compressors that compress the refrigerant by reciprocating motion, and rotary compressors that compress the refrigerant by rotating motion.
여기서, 왕복식 압축기에는 구동원의 구동력을, 크랭크를 사용하여 복수개의 피스톤으로 전달하는 크랭크식과, 사판이 설치된 회전축으로 전달하는 사판식, 및 워블 플레이트를 사용하는 워블 플레이트식이 있고, 회전식 압축기에는 회전하는 로터리축과 베인을 사용하는 베인로터리식, 및 선회 스크롤과 고정 스크롤을 사용하는 스크롤식이 있다.Here, reciprocating compressors include a crank type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of a driving source to multiple pistons using a crank, a swash plate type that transmits the driving force to a rotating shaft on which a swash plate is installed, and a wobble plate type that uses a wobble plate, and rotary compressors include a vane rotary type that uses a rotating rotary shaft and vanes, and a scroll type that uses an orbiting scroll and a fixed scroll.
한편, 사판식 압축기로는 사판의 설치각도가 고정된 고정 용량형 타입과, 사판의 경사각을 변화시켜 토출 용량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용량형 타입이 있다. Meanwhile, there are two types of swash plate compressors: a fixed capacity type in which the install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is fixed, and a variable capacity type in which the discharge capacity can be changed by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wash plate.
도 1에는 일반적인 사판식 압축기의 일 형태에 대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도 1을 참고하여 사판식 압축기의 개략적인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Figure 1 illustrates the configuration of one form of a typical swash plate compressor. Hereinafter, a schematic configuration of a swash plate compresso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사판식 압축기(10, 이하, '압축기')에는 압축기(10)의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럭(20)이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 블럭(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 보어(21)가 형성되며, 이 센터 보어(21)에는 회전축(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10,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compressor') is provided with a cylinder block (20) that forms part of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compressor (10). At this time, a center bore (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ylinder block (20), and a rotation shaft (6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is center bore (21).
센터 보어(21)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도록 복수의 실린더 보어(22)가 실린더 블럭(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실린더 보어(22)의 내부에는 피스톤(70)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22)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공간이며, 피스톤(7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보어(22) 내의 냉매가 압축된다.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22) are formed through the cylinder block (20) to radially surround the center bore (21), and a piston (70)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bore (22) so as to be able to make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t this time, the piston (7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er bore (22) is a cylindrical space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refrigerant inside the cylinder bore (22) is compresse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70).
실린더 블럭(20)의 전방에 전방하우징(30)이 결합된다. 전방하우징(30)은 실린더 블럭(20)과의 대향면이 요입되어 실린더 블럭(2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31)을 형성한다.A front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block (20). The front housing (30) has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block (20) recessed to form a crankcase (31) inside together with the cylinder block (20).
전방하우징(30)의 전방에는 엔진 등 외부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풀리(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축(60)이 회전하게 된다.A pulley (32)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such as an engin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front housing (30), and a rotation shaft (6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pulley (32).
실린더 블럭(20)의 후방에는 후방하우징(40)이 결합된다. 이때, 후방하우징(40)에는 실린더 보어(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후방하우징(40)의 외주 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토출실(41)이 형성된다.A rear housing (4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block (20). At this time, a discharge chamber (41) is formed along a position adjacent to the outer peripheral edge of the rear housing (40) so as to be selectively connected to the cylinder bore (22).
그리고 흡입구(43) 및 흡입된 유체가 잠시 머무르는 흡입챔버(42)는 하방하우징(40) 부위에 설치될 수 있으나, 압축기(100)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도 가능하다. 따라서 반드시 상기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And the suction port (43) and the suction chamber (42) where the suctioned fluid stays for a while can be installed in the lower housing (40) area, but other locations are also possible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ressor (100). Therefore,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 location.
이때, 실린더 블럭(20)과 후방하우징(40)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50)가 개재되며, 토출실(41)은 밸브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토출구(51)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된다.At this time, a valve plate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20) and the rear housing (40), and the discharge chamber (41)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bore (22) through a discharge port (51) formed in the valve plate (50).
또한, 회전축(60)에는 사판(61)이 설치되는데, 사판(6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슈(62)에 의해 각각의 피스톤(70)과 연결되며, 사판(61)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70)은 실린더 보어(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a swash plate (61)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60), and is connected to each piston (70) by a shoe (62)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swash plate (61), and the piston (70) moves linearly and reciprocally within the cylinder bore (22) by the rotation of the swash plate (61).
이때, 압축기(10)의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축(60)에 대한 사판(61)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토출실(41)과 크랭크실(31)을 연통하는 유로의 개도가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swash plate (61)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60) is installed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of the compressor (10) can be adjusted. To this end, the opening of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discharge chamber (41) and the crank chamber (31) is adjusted by a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사판식 압축기는 실린더 블록(20)에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 보어(22)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른 바 방사 대칭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The conventional swash plate type compresso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o-called radially 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22) formed in a cylinder block (20) are arranged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a rotation axis (60).
도 2에는 종래 후방하우징(40)상에 흡입구(43)와 흡입챔버(42)상에 연통되어 배치되는 흡입 체크밸브(80)가 게시되어 있다. 종래 흡입 체크밸브(80)은 금속 재질로 된 압입부(81)가 흡입구(43)에 억지끼움되어 고정되고, 밸브케이스(82)가 흡입구(43)과 흡입챔버(42) 사이에 배치된다. In Fig. 2, a suction check valve (80) is placed on a conventional rear housing (40) so as to be connected to a suction port (43) and a suction chamber (42). In the conventional suction check valve (80), a press-fit portion (81) made of a metal material is fixed by being forcibly fitted into a suction port (43), and a valve case (82) is placed between the suction port (43) and the suction chamber (42).
밸브케이스(82)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밸브케이스(82) 내측에는 유압에 따라 이동하는 코어(83) 및 코어(83)를 원위치시키는 스프링(85)이 배치된다. An opening is formed in the valve case (82), and a core (83) that moves according to hydraulic pressure and a spring (85) that returns the core (83) to its original position are arranged inside the valve case (82).
유입되는 유체가 코어(83)를 밀면서 개방되고, 유체는 흡입구(43)에서 흡입챔버(42)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As the inflowing fluid pushes the core (83), it opens and the fluid flows into the suction chamber (42) from the suction port (43).
그런데 고객사에서는 지속적인 원가절감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보다 구조를 단순화하여 납품단가를 낮출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However, as customers are demanding continuous cost reduction, a plan to lower the unit price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is required.
또한 이 경우 소음 및 진동 감소를 위해 유체의 맥동주파수를 저감시킬 수 있는 구조 또한 동시에 요구된다. In addition, in this case, a structure capable of reducing the pulsation frequency of the fluid is also required to reduce noise and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관련 기술분야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압축기의 흡입구에 편심되어 작동되는 밸브를 통해 엔진 또는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 흡입되는 유체의 파동주파수를 불일치시켜 흡입맥동을 저감시키는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압축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problems in the related technical field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valve that reduces suction pulsation by making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an engine or a pulley and the wave frequency of a suctioned fluid mismatched through a valve that operates eccentrically to the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and a compressor including the same.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에 관한 것으로, 압축기의 흡입구와 흡입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바디와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가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코어바디상에 배치되는 돌기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which may include a core body arranged between an intake port and an intake chamber of the compressor, a spring body arrang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re body inside the intake port, and a protrusion block arranged on the core body so that the core body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take 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바디는,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걸림턱부와 상기 흡입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2 걸림턱부와 상기 제1 걸림턱부와 상기 제2 걸림턱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개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body may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arranged at one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port, a second engaging portion arrang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chamber, a guid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n opening portion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블록은, 상기 제1 걸림턱부의 둘레 일부에 배치되는 제1 돌기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block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piece arranged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atch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돌기피스는 상기 제1 걸림턱부에 복수로 배치되되, 방사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rotrusion pieces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on the first catch portion, but may be arranged at uneven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돌기피스의 외측 둘레는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rotrusion piece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돌기블록은,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돌기피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block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sion piece arranged longitudinally alo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or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돌기피스는 상기 가이드부에 복수로 배치되되, 방사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may be arranged in plurality on the guide portion, but may be arranged at uneven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2 돌기피스의 외측 둘레는 둥근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 may be formed in a round shape.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축기의 흡입구와 흡입챔버 사이에 배치되는 코어바디와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가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스프링바디상에 배치되는 요철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body disposed between an intake port and an intake chamber of a compressor, a spring body dispos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re body inside the intake port, and a protrusion unit disposed on the spring body so that the core body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take port.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유닛은, 상기 스프링바디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링홈부를 포함할 수 있다. Additionally,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unit may include a ring groove portion bent inwardly from the spring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요철유닛은, 상기 스프링바디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링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ssed unit may include a ring protrusion portion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spring bod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압축기의 흡입구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걸림턱부와 압축기의 흡입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2 걸림턱부를 구비하는 코어바디와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스프링바디가 상기 코어바디의 외측 둘레에서 편심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걸림턱부의 둘레 일부에 배치되는 엣지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re body having a first engaging block disposed at one end located inside an intake port of a compressor and a second engaging block dispos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an intake chamber of the compressor, a spring body dispos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core body inside the intake port, and an edge block disposed at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engaging block so that the spring body is eccentrically disposed around an outer periphery of the core body.
또한 본 발명은 압축기로서, 냉매 압축을 위한 피스톤이 구비되는 실린더블록 및 외부로부터 상기 냉매를 전달받아 상기 실린더블록에 전달하는 흡입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챔버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상기 냉매의 맥동 저감을 위해 상기 흡입 체크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mpressor, including a cylinder block having a piston for compressing a refrigerant, and a suction chamber for receiving the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and delivering it to the cylinder block; wherein the suction chamber may include the suction check valve for reducing pulsation of the refrigerant sucked in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르면, 압축기에서 유체가 유입되는 흡입구상에 배치되는 밸브를 편심되어 이동하며 흡입구가 개방되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운행시 발생되는 엔진 또는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 엔진에 마운팅된 압축기의 작동으로 유입되는 유체의 파동주파수가 일치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하여 맥동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moving a valve placed on an intake port through which fluid flows into a compressor eccentrically to open the intake port,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an engine or pulley generated when a vehicle is driven and the wave frequency of fluid flowing into the engine due to the operation of a compressor mounted on the engine are fundamentally prevented from coinciding, thereby alleviating the pulsation phenomenon.
이는 궁극적으로 압축기 성능을 유지할 수 있으며, 압축기 작동시 발생되는 소음 및 진동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This ultimately has the effect of maintaining compressor performance and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generated during compressor operation.
도 1은 종래 사판식 압축기에 대한 측단면도.
도 2는 종래 흡입구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체크밸브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인 코어바디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코어바디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인 스프링바디를 나타낸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편심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인 체크밸브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편심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Figure 1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a conventional swash plate compressor.
Figure 2 is a drawing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suction port.
Figure 3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and FIG. 4b are drawings showing one form of the cor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a and FIG. 5b are drawings showing another form of the core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a spring bod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7a and 7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illustrated in Figure 3 moves eccentrically.
Figure 8 is a drawing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the check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a and 9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illustrated in Figure 8 moves eccentrically.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흡입 체크밸브 및 압축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suction check valve and compress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우선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판식 압축기의 기본 형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구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사판식 압축기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을 이해하는 한도내에서만 유효하다.First, the basic form of a swash plate compressor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1.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structure, and the description of the swash plate compressor is effective only within the scope of understanding the present invention.
도 1를 참고하면, 사판식 압축기(10)에는 압축기(10)의 외관과 골격의 일부를 형성하는 실린더 블럭(20)이 구비된다. 이때, 실린더 블럭(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센터 보어(21)가 형성되며, 이 센터 보어(21)에는 회전축(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Referring to Fig. 1,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10) is provided with a cylinder block (20) that forms part of the exterior and skeleton of the compressor (10). At this time, a center bore (21) is formed through the center of the cylinder block (20), and a rotation shaft (60) is rotatably installed in this center bore (21).
센터 보어(21)를 방사상으로 둘러싸도록 복수의 실린더 보어(22)가 실린더 블럭(20)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실린더 보어(22)의 내부에는 피스톤(70)이 직선 왕복 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때, 피스톤(70)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실린더 보어(22)는 이에 대응되는 원통형의 공간이며, 피스톤(70)의 왕복 운동에 의해 실린더 보어(22) 내의 냉매가 압축된다.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22) are formed through the cylinder block (20) to radially surround the center bore (21), and a piston (70) is installed inside the cylinder bore (22) so as to be able to make a linear reciprocating motion. At this time, the piston (7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er bore (22) is a cylindrical space corresponding thereto, and the refrigerant inside the cylinder bore (22) is compressed by the reciprocating motion of the piston (70).
실린더 블럭(20)의 전방에 전방하우징(30)이 결합된다. 전방하우징(30)은 실린더 블럭(20)과의 대향면이 요입되어 실린더 블럭(20)과 함께 내부에 크랭크실(31)을 형성한다.A front housing (30) is coupled to the front of the cylinder block (20). The front housing (30) has a surface facing the cylinder block (20) recessed to form a crankcase (31) inside together with the cylinder block (20).
전방하우징(30)의 전방에는 엔진 등 외부 동력원(미도시)과 연결되는 풀리(32)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풀리(3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축(60)이 회전하게 된다.A pulley (32) that is connected to an external power source (not shown) such as an engine is rotatably installed at the front of the front housing (30), and a rotation shaft (60) rotates in conjun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pulley (32).
실린더 블럭(20)의 후방에는 도 7a 및 도 9a에 도시된 것과 같이 후방하우징(200)이 결합된다. 후방하우징(200)의 전반적인 외형은 도 1에 게시된 후방하우징(40)가 유사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A rear housing (200)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cylinder block (20) as shown in FIG. 7a and FIG. 9a. The overall appearance of the rear housing (200) is similar to the rear housing (40) shown in FIG. 1,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때, 후방하우징(200)에는 실린더 보어(22)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후방하우징(200)의 외주 측 가장자리에 인접한 위치를 따라 토출실(미도시 ; 도 1의 도면부호 41과 유사한 구조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형성된다. At this time, a discharge chamber (not shown; similar to the
그리고 도 7a 및 도 9a를 참고하면, 흡입구(210)는 후방하우징(200)의 일측에 형성되고, 후방하우징(200)의 중앙측 부위에 배치되는 흡입챔버(230)과 연결된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기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도 가능하다. And referring to FIG. 7a and FIG. 9a, the suction port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rear housing (200) and is connected to the suction chamber (230) arrang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rear housing (200). However,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other locations are also possible depending on the type of compressor.
여기서 흡입구(210), 흡입챔버(230) 및 이하 검토할 흡입 체크밸브(300)를 포함하여 흡입어셈블리로 포괄할 수 있다. 물론 반드시 상기 구성요소만 포함되는 것은 아니고, 압축기 설계를 구체화하는 과정에서 필요시되는 다른 구성요소도 포함될 수 있다. Here, the suction assembly can be comprised of the suction port (210), the suction chamber (230), and the suction check valve (300) to be reviewed below. Of course, only the above components are not necessarily included, and other components that are necessary in the process of specifying the compressor design can also be included.
이때, 실린더 블럭(20)과 후방하우징(200) 사이에는 밸브플레이트(50)가 개재되며, 토출실(미도시)은 밸브플레이트(50)에 형성되는 토출구(51)를 통해 실린더 보어(22)와 연통된다.At this time, a valve plate (50) is interposed between the cylinder block (20) and the rear housing (200), and the discharge room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bore (22) through a discharge port (51) formed in the valve plate (50).
또한, 회전축(60)에는 사판(61)이 설치되는데, 사판(61)의 테두리를 따라 구비되는 슈(62)에 의해 각각의 피스톤(70)과 연결되며, 사판(61)의 회전에 의해 피스톤(70)은 실린더 보어(22) 내에서 직선 왕복 운동하게 된다. In addition, a swash plate (61) is installed on the rotating shaft (60), and is connected to each piston (70) by a shoe (62) provided along the edge of the swash plate (61), and the piston (70) moves linearly and reciprocally within the cylinder bore (22) by the rotation of the swash plate (61).
이때, 압축기(10)의 냉매 토출량이 조절될 수 있도록, 회전축(60)에 대한 사판(61)의 각도가 가변될 수 있게 설치되는데 이를 위해, 토출실(미도시)과 크랭크실(31)을 연통하는 유로의 개도가 압력조절밸브(미도시)에 의해 조절된다.At this time, the angle of the swash plate (61) with respect to the rotating shaft (60) is installed so that the refrigerant discharge amount of the compressor (10) can be adjusted. To this end, the opening of the flow path connecting the discharge chamber (not shown) and the crank chamber (31) is adjusted by a pressure regulating valve (not shown).
상기와 같은 구성의 종래 사판식 압축기는 실린더 블록(20)에 형성된 다수의 실린더 보어(22)가 회전축(60)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이른 바 방사 대칭의 구조를 이루고 있다. The conventional swash plate type compressor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has a so-called radially symmetrical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cylinder bores (22) formed in a cylinder block (20) are arranged radi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round a rotation axis (60).
상기와 같은 구조를 통해 사판(61)이 회전하게 되면, 복수의 피스톤(70)이 운동을 하게 되어 유체를 압축하고, 유압에 의해 밸브도어(52)이 개방되면서 밸브플레이트(50)의 토출구(51)를 통해 토출실(미도시)로 압축된 유체를 밀어 내게 된다.When the swash plate (61) rotates through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multiple pistons (70) move to compress the fluid, and when the valve door (52) is opened by hydraulic pressure, the compressed fluid is pushed out into the discharge chamber (not shown) through the discharge port (51) of the valve plate (50).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흡입 체크밸브를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Below, the suction check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by dividing it into various embodiments.
[제1 실시예][Example 1]
도 3은 본 발명인 체크밸브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인 코어바디의 일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인 코어바디의 다른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인 스프링바디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7a 및 도 7b는 도 3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편심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FIG. 3 is a drawing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check val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4a and 4b are drawings showing one form of a cor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S. 5a and 5b are drawings showing another form of a core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showing a spring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7a and 7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shown in FIG. 3 moves eccentrically.
도 3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흡입 체크밸브의 실시예는 코어바디(310), 스프링바디(330) 및 돌기블록(3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n embodiment of the suction check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re body (310), a spring body (330), and a protrusion block (350).
상기 코어바디(310)는 도 1에 게시된 압축기의 흡입구(210)와 흡입챔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바디(31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core body (310) may be placed between the suction port (210) and the suction chamber (230) of the compressor shown in Fig. 1. The above core body (3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러한 상기 코어바디(310)는 제1 걸림턱부(311), 제2 걸림턱부(313), 가이드부(315) 및 개방부(3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부(311)는 상기 흡입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315)보다 약간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중앙측은 관통홀(319)이 형성되어 있어, 흡입구(210)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개방부(317)를 통해 흡입챔버(230)의 내부로 흐르게 된다. The core body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311), a second engaging portion (313), a guide portion (315), and an opening portion (317).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1) may be arranged at one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port (210).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slightly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guide portion (315). A through hole (319)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1), so that fluid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210) flows into the suction chamber (23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17).
상기 제2 걸림턱부(313)는 상기 흡입챔버(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또한 상기 가이드부(315)보다는 약간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catch portion (313) may b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chamber (230). This may also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slightly in a radial direction compared to the guide portion (315).
상기 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1)와 상기 제2 걸림턱부(313)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15)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개방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319)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개방부(317)를 통해 흡입챔버(230) 내부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guide portion (315) may be a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catch portion (311)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313), and an opening portion (317)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uide portion (315).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319) can flow into the suction chamber (23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17).
다음 상기 스프링바디(330)는 상기 흡입구(210)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310)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Next, the spring body (330) may be arrang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core body (310) inside the suction port (2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a coil spring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스프링바디(330)는 유압에 의해 코어바디(310)가 후퇴하였을 때, 다시 코어바디(31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above spring body (330) provides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re body (3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re body (310) is re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여기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서는 상기 돌기블록(350)은 상기 코어바디(310)가 상기 흡입구(2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코어바디(310)상에 배치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rotrusion block (350) may be placed on the core body (310) so that the core body (310)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port (210).
상기 돌기블록(350)의 일 형태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둘레 일부에 배치되는 제1 돌기피스(351)로 구현될 수 있다. One form of the above protrusion block (350) can be implemented as a first protrusion piece (351) arranged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atch portion (311).
이때 상기 제1 돌기피스(351)은 도 5a에 게시된 것처럼 단수일 수도 있으나, 도 4a에 게시된 것처럼 복수일 수도 있다. 복수로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돌기피스(351)은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방사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irst protrusion piece (351) may be single as shown in Fig. 5a, or may be plural as shown in Fig. 4a. When arranged in multiples, the first protrusion pieces (351) may be arranged at uneven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catch portion (311).
상기 제1 돌기피스(351)이 불균일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어바디(310)가 흡입구(210)를 따라 이동할 때, 편심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엔진 또는 엔진과 밸트로 연결된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의 불일치를 유도할 수 있어, 궁극적으로는 흡입과정에서의 맥동주파수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다. 이는 흡입과정에서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유발한다.When the first protrusion piece (351) is arranged unevenly, the core body (310) moves eccentrically when moving along the suction port (210), which can induce a mismatch with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the engine or the pulley connected to the engine by a belt, ultimately reducing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ulsation frequency during the suction process. This causes the effect of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during the suction process.
여기서 상기 제1 돌기피스(351)의 외측 둘레는 도 4a 및 도 5a에서와 같이 둥근형태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는 흡입구(210) 내부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Here,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first protrusion piece (351) can be processed into a round shape as in FIG. 4a and FIG. 5a, to facilitate movement within the suction port (210).
다음 상기 돌기블록(350)은 상기 가이드부(315)의 둘레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돌기피스(3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b에서는 상기 제2 돌기피스(353)가 단수로 배치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도 4b에서와 같이 상기 제2 돌기피스(353)는 복수로 배치될 수 있다. The following protrusion block (35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sion piece (353) arranged longitudinally around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ortion (315). In FIG. 5b, the second protrusion piece (353) is arranged singly,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and as in FIG. 4b, the second protrusion piece (353) may be arranged in multiples.
이 경우 상기 제2 돌기피스(353) 또한 상기 가이드부(315)의 방사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353) may also be arranged in multiple numbers at uneven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of the guide portion (315).
상기 제2 돌기피스(353)가 불균일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어바디(310)가 경계블록(220;도 7a 및 도 7b 참조)을 따라 이동할 때, 경계블록(220)의 내주면에 맞닿는 부분이 방사방향으로 불균일하여 편심되어 이동하게 되므로, 엔진 또는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의 불일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는 궁극적으로는 흡입과정에서의 맥동주파수 발생빈도를 낮출 수 있으며, 흡입과정에서의 진동 및 소음을 저감시키는 효과를 유발하게 된다.In the case where the second protrusion piece (353) is arranged unevenly, when the core body (310) moves along the boundary block (220; see FIGS. 7a and 7b), the part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boundary block (220) moves eccentrically due to being uneven in the radial direction, which may induce a mismatch with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the engine or pulley. This ultimately lower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pulsation frequency during the suction process, and induces the effect of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during the suction process.
여기서 상기 제2 돌기피스(353)의 외측 둘레는 도 4b 및 도 5b에서와 같이 둥근형태로 가공될 수 있으며, 이는 경계블록(220) 내부에서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Here, the outer perimeter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 (353) can be processed into a round shape as in FIGS. 4b and 5b, to facilitate movement within the boundary block (220).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코어바디(310)가 상기 흡입구(21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스프링바디(330)에 배치되는 요철유닛(3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돌기블록(350) 또는 상기 요철유닛(370)은 개별적으로 상기 코어바디(310) 또는 상기 스프링바디(330)에 적용될 수 있으며, 도 3에서와 같이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Meanwhile,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e body (310) may further include a protrusion unit (370) arranged on the spring body (330) so that the core body (310)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port (210). The protrusion block (350) or the protrusion unit (370) may be individually applied to the core body (310) or the spring body (330), or may be applied together as in FIG. 3.
도 3 및 도 6를 참고하면, 상기 요철유닛(370)은 링홈부(371) 및 링돌기부(3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링홈부(371)는 상기 스프링바디(330)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상기 링돌기부(373)는 상기 스프링바디(330)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3 and 6, the uneven unit (37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ng groove portion (371) and a ring protrusion portion (373). The ring groove portion (371)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bent inwardly from the spring body (330), and the ring protrusion portion (373)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is bent in an outwardly from the spring body (330).
상기 스프링바디(330)의 내측으로 절곡된 링홈부(371)는 상기 코어바디(310)의 외주면에서 상기 스프링바디(330)의 위치를 중심에서 벗어나게 하므로, 스프링바디(330)의 압축작용시 코어바디(310)상의 국부적인 위치들에 탄성력의 차이를 발생하게 한다. The ring groove portion (371) bent inwardly of the spring body (330) causes the position of the spring body (330) to deviate from the cente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body (310), thereby generating a difference in elasticity at local locations on the core body (310) when the spring body (330) is compressed.
이러한 작은 형상 차이를 통해서도 맥동주파수의 불일치를 유도할 수 있어 흡입과정에서의 소음 및 진동을 저감할 수 있게 된다.Even these small shape differences can induce a mismatch in the pulsation frequency, thereby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during the suction process.
그리고 상기 링돌기부(373)의 높이(D5)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높이(D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방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돌기피스(351)과 함께 상기 링돌기부(373)의 위치 또한 불균일하게 스프링바디(330)상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불균일 배치를 통한 맥동주파수 저감 효과는 보다 상승하게 된다. And the height (D5) of the ring protrusion (373) can be formed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D2) of the first catch block (311). In this case, since the position of the ring protrusion (373) is also arranged unevenly on the spring body (330) together with the first protrusion piece (351) arrange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first catch block (311), the effect of reducing the pulsation frequency through the uneven arrangement is further increased.
이제 도 7a 및 도 7b를 참고하여 작동상태를 살펴보면, 흡입구(210)를 통해 유체가 유입되면, 유체는 코어바디(310)의 관통홀(319)로 유입되며 코어바디(310)를 유압으로 밀게 된다. Now, looking at the operating state with reference to FIGS. 7a and 7b, when fluid is introduced through the suction port (210), the fluid is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319) of the core body (310) and pushes the core body (310) hydraulically.
이때 상기 제1 걸림턱부(311)상에는 제1 돌기피스(351)이 배치되고, 상기 가이드부(315)상에는 제2 돌기피스(353)가 배치되며, 상기 스프링바디(330)상에는 링홈부(371) 및 링돌기부(373)가 배치되어 있어서, 코어바디(310)의 이동은 도 7b에서와 같이 흡입구(210)의 내주면 중심을 기준으로 약간 편심되어 이동하게 된다. At this time, a first protrusion piece (351) is placed on the first catch portion (311), a second protrusion piece (353) is placed on the guide portion (315), and a ring groove portion (371) and a ring protrusion portion (373) are placed on the spring body (33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ore body (310) is slightly eccentric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ction port (210), as shown in FIG. 7b.
압축기는 통상 엔진에 마운팅되어 있어서, 엔진 또는 엔진과 밸트로 연결된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만약 흡입되는 유체의 파동주파수와 일치하게 되면, 맥동주파수가 증가하게 되고, 이는 소음 및 진동 상승을 일으킨다. Since the compressor is usually mounted on the engine, it is affected by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the engine or the pulley connected to the engine by a belt. If it matches the wave frequency of the suctioned fluid, the pulsation frequency increases, which causes an increase in noise and vibration.
때문에 흡입과정에서 코어바디(310) 자체가 편심되어 이동하는 경우 유체의 이동과정에서 파동주파수가 변하게 되므로, 엔진 또는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와의 불일치를 유도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경우 맥동주파수는 저감되고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은 완화되게 된다. Therefore, when the core body (310) itself moves eccentrically during the suction process, the wave frequency changes during the movement of the fluid, which can induce a mismatch with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the engine or pulley. In this case, the pulsation frequency is reduced and the noise and vibration of the compressor are alleviated.
[제2 실시예][Example 2]
도 8은 본 발명인 체크밸브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9a 및 도 9b는 도 8에 도시된 체크밸브가 편심되어 이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작동상태도이다. FIG. 8 is a drawing showing a second embodiment of a check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9a and 9b are operating state diagram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heck valve shown in FIG. 8 moves eccentrically.
도 8를 참고하면, 본 발명인 흡입 체크밸브의 제2 실시예에서는 코어바디(310), 스프링바디(330) 및 엣지블록(39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8,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suction check valv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re body (310), a spring body (330), and an edge block (390).
상기 코어바디(310)는 도 1에 게시된 압축기의 흡입구(210)와 흡입챔버(2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코어바디(310)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above core body (310) may be placed between the suction port (210) and the suction chamber (230) of the compressor shown in Fig. 1. The above core body (310) may be made of a plastic material,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이러한 상기 코어바디(310)는 제1 걸림턱부(311), 제2 걸림턱부(313), 가이드부(315) 및 개방부(3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부(311)는 상기 흡입구(210)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가이드부(315)보다 약간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중앙측은 관통홀(319)이 형성되어 있어, 흡입구(210)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개방부(317)를 통해 흡입챔버(230)의 내부로 흐르게 된다. The core body (31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first engaging portion (311), a second engaging portion (313), a guide portion (315), and an opening portion (317).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1) may be arranged at one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port (210). It may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slightly in a radial direction from the guide portion (315). A through hole (319) is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engaging portion (311), so that fluid introduced into the suction port (210) flows into the suction chamber (23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17).
상기 제2 걸림턱부(313)는 상기 흡입챔버(230)의 내부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 또한 상기 가이드부(315)보다는 약간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The second catch portion (313) may be position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chamber (230). This may also be provided in a form that protrudes slightly in a radial direction compared to the guide portion (315).
상기 가이드부(315)는 상기 제1 걸림턱부(311)와 상기 제2 걸림턱부(313)를 연결하는 부분일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15)상에는 길이방향으로 상기 개방부(317)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관통홀(319)로 유입된 유체는 상기 개방부(317)를 통해 흡입챔버(230) 내부로 유동할 수 있게 된다.The above guide portion (315) may be a portion that connects the first catch portion (311) and the second catch portion (313), and an opening portion (317) i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guide portion (315). The fluid introduced into the through hole (319) can flow into the suction chamber (230) through the opening portion (317).
다음 상기 스프링바디(330)는 상기 흡입구(210)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310)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될 것은 아니다. Next, the spring body (330) may be arrang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core body (310) inside the suction port (210).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may be implemented in a coil spring shape, bu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hereto.
상기 스프링바디(330)는 유압에 의해 코어바디(310)가 후퇴하였을 때, 다시 코어바디(310)가 원위치로 복귀하도록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The above spring body (330) provides restoring force so that the core body (31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re body (310) is retracted by hydraulic pressure.
그리고 상기 엣지블록(390)은 상기 스프링바디(330)가 상기 코어바디(310)의 외측 둘레에서 편심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둘레 일부에 배치될 수 있다. And the edge block (390) can be placed on a part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catch block (311) so that the spring body (330) is eccentrically plac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core body (310).
상기 엣지블록(390)에 의해 스프링바디(330)는 상기 코어바디(310)의 외주면에서 국부적으로 탄성력의 차이를 발생시키게 된다.By means of the above edge block (390), the spring body (330) locally generates a difference in elasticity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re body (310).
이는 도 9a 및 도 9b에서와 같이 코어바디(310)가 흡입구(210) 내부를 이동할 때, 국부적으로 인가되는 탄성력의 차이로 인해 흡입구(210)의 내주면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이동되도록 한다. 도 9b를 참고하면, 엣지블록(390)에 의해 상기 제1 걸림턱부(311)의 일측에서는 타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탄성력이 인가되어 코어바디(310)는 일측에서 타측으로 약간 힘을 받게 된다. This causes the core body (310) to move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suction port (210) due to the difference in locally applied elastic force when the core body (310) moves inside the suction port (210) as shown in FIGS. 9a and 9b. Referring to FIG. 9b, a relatively higher elastic force is applied to one side of the first catch block (311) than to the other side by the edge block (390), so that the core body (310) receives a slight force from one side to the other side.
이러한 탄성력 불균형을 통해 코어바디(310)가 약간 편심되게 흡입구(210) 내부를 이동되게 하는 것이다. This elasticity imbalance causes the core body (310) to move slightly eccentrically inside the suction port (210).
이에 따라 엔진에 장착된 압축기가, 엔진 또는 엔진과 밸트로 연결된 풀리의 진동(가진)주파수에 의해 영향을 받더라도, 흡입되는 유체의 파동주파수가 변경되게 되므로, 맥동주파수의 발생빈도는 낮출 수 있게 된다. 이는 압축기의 소음 및 진동 저감의 효과를 발생시키게 된다.Accordingly, even if the compressor mounted on the engine is affected by the vibration (excitation) frequency of the engine or the pulley connected to the engine by a belt, the wave frequency of the suctioned fluid is changed, so that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the pulsation frequency can be reduced. This produces the effect of reducing noise and vibration of the compressor.
이상의 사항은 흡입 체크밸브 및 압축기의 특정한 실시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다.The above merely illustrates specific embodiments of the suction check valve and compressor.
따라서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취지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한 형태로 치환, 변형될 수 있음을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밝혀 두고자 한다.Accordingly, it is to be made clear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easily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stituted and modified in various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200:후방하우징 210:흡입구
220:경계블록 230:흡입챔버
300:흡입 체크밸브 310:코어바디
311:제1 걸림턱부 313:제2 걸림턱부
315:가이드부 317:개방부
330:스프링바디 350:돌기블록
351:제1 돌기피스 353:제2 돌기피스
370:요철유닛 371:링홈부
373:링돌기부 390:엣지블록200: Rear housing 210: Intake
220:Border block 230:Suction chamber
300: Suction check valve 310: Core body
311: 1st catch 313: 2nd catch
315: Guide section 317: Open section
330: Spring body 350: Protrusion block
351:1st protrusion piece 353:2nd protrusion piece
370: Uneven unit 371: Ring home unit
373:Ring protrusion 390:Edge block
Claims (13)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가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코어바디상에 배치되는 돌기블록; 및
상기 코어바디가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스프링바디상에 배치되는 요철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A core body plac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of the compressor;
A spring body arrang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core body within the suction port; and
A protrusion block arranged on the core body so that the core body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port; and
A protruding unit arranged on the spring body so that the core body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port;
A suction check valve of a compress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
상기 코어바디는,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 위치하는 일단부에 배치되는 제1 걸림턱부;
상기 흡입챔버의 내부에 위치하는 타단부에 배치되는 제2 걸림턱부;
상기 제1 걸림턱부와 상기 제2 걸림턱부를 연결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가이드부에서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개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ore body is,
A first catch portion arranged at one end inside the above suction port;
A second catch portion arrang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the above suction chamber;
A guide portion connecting the first engaging portion and the second engaging portion; and
An opening arranged longitudinally in the above guide section;
A suction check valve of a compress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
상기 돌기블록은,
상기 제1 걸림턱부의 둘레 일부에 배치되는 제1 돌기피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protrusion block is,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protrusion piece arranged on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상기 제1 돌기피스는 상기 제1 걸림턱부에 복수로 배치되되, 방사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the third paragraph,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protrusion pieces are arranged in plurality on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but are arranged at uneven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제1 돌기피스의 외측 둘레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the third paragraph,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first protrusion piece is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돌기블록은, 상기 가이드부의 둘레 일부에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 돌기피스;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the third paragraph,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 protrusion block furth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piece arranged longitudinally along a portion of the circumference of the guide portion.
상기 제2 돌기피스는 상기 가이드부에 복수로 배치되되, 방사방향을 따라 불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Article 6,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protrusion pieces are arranged in plurality on the guide section, but are arranged at uneven intervals along the radial direction.
상기 제2 돌기피스의 외측 둘레는 둥근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Article 6,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periphery of the second protrusion piece is formed in a round shape.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코어바디가 상기 흡입구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편심 이동되도록, 상기 스프링바디상에 배치되는 요철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A core body placed between the suction port and the suction chamber of the compressor;
A spring body arrang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core body within the suction port; and
A protruding unit arranged on the spring body so that the core body moves eccen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axis of the suction port;
A suction check valve of a compress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
상기 요철유닛은, 상기 스프링바디에서 내측 방향으로 절곡된 링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Article 9,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unit includes a ring groove portion bent inwardly from the spring body.
상기 요철유닛은, 상기 스프링바디에서 외측 방향으로 절곡된 링돌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In Article 9,
A suction check valve for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unit includes a ring protrusion portion bent in an outward direction from the spring body.
상기 흡입구의 내부에서 상기 코어바디의 일부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스프링바디; 및
상기 스프링바디가 상기 코어바디의 외측 둘레에서 편심 배치되도록, 상기 제1 걸림턱부의 둘레 일부에 배치되는 엣지블록;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의 흡입 체크밸브.
A core body having a first engaging portion arranged at one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port of the compressor and a second engaging portion arranged at the other end located inside the suction chamber of the compressor;
A spring body arranged along a portion of the perimeter of the core body within the suction port; and
An edge block disposed on a portion of the periphery of the first engaging jaw portion so that the spring body is eccentrically dispos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of the core body;
A suction check valve of a compressor,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
외부로부터 상기 냉매를 전달받아 상기 실린더블록에 전달하는 흡입챔버;를 포함하되,
상기 흡입챔버는 외부로부터 흡입되는 상기 냉매의 맥동 저감을 위해 상기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의 흡입 체크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기.
A cylinder block having a piston for compressing refrigerant; and
Including an intake chamber that receives the refrigerant from the outside and delivers it to the cylinder block;
A compress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uction chamber includes a suction check valv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2 to reduce pulsation of the refrigerant sucked in from the outsid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621A KR102734369B1 (en) | 2017-02-27 | 2017-02-27 | Intake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25621A KR102734369B1 (en) | 2017-02-27 | 2017-02-27 | Intake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8892A KR20180098892A (en) | 2018-09-05 |
KR102734369B1 true KR102734369B1 (en) | 2024-11-27 |
Family
ID=635943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25621A Active KR102734369B1 (en) | 2017-02-27 | 2017-02-27 | Intake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4369B1 (en)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828730A (en) * | 1994-07-15 | 1996-02-02 | Kvk Corp | Check valve |
KR101995886B1 (en) | 2013-09-23 | 2019-07-04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Suction damping device of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KR101960441B1 (en) * | 2013-11-05 | 2019-03-20 | 한온시스템 주식회사 | Compressor check valve |
-
2017
- 2017-02-27 KR KR1020170025621A patent/KR102734369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98892A (en) | 2018-09-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16831B2 (en) | Valve assembly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2734369B1 (en) | Intake check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
KR100402461B1 (en) | mounting structure of a piston pin for hermetic compressor | |
KR10137961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073110B1 (en) | Discharge check valve for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 |
KR20120133034A (en) | valve unit of compressor | |
KR20120090529A (en) | Valve plate asembly of compressor | |
KR102103440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50060199A (en) | Reciprocating compressor | |
KR20180124516A (en) | Discharge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
KR102680626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712301B1 (en) |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080006258A (en) | compressor | |
KR102032397B1 (en) | A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US20190383278A1 (en) | Discharge valve and compressor having the same | |
KR102040965B1 (en) | Valve assembly for compressor | |
KR101660537B1 (en) | compressor | |
KR101613986B1 (en) | Valve plate assembly for compressor | |
KR101721255B1 (en) | Compressor | |
KR101165949B1 (en) | Compressor | |
KR20130143398A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102006341B1 (en) | Variable displacement swash plate type compressor | |
KR20130092880A (en) | Valve assembly of swash plate type variable capacity compressor | |
KR102069600B1 (en) | Variable swash plate compressor | |
KR101032196B1 (en) | compresso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22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0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7022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