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2805B1 -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 Google Patents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2805B1
KR102732805B1 KR1020230102051A KR20230102051A KR102732805B1 KR 102732805 B1 KR102732805 B1 KR 102732805B1 KR 1020230102051 A KR1020230102051 A KR 1020230102051A KR 20230102051 A KR20230102051 A KR 20230102051A KR 102732805 B1 KR102732805 B1 KR 1027328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manent magnet
relay
mounting space
battery power
power cu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020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재섭
Original Assignee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이모빌리티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4/00494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23748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28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28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9/00Rotary current collectors, distributors or interrup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4Constructional details of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01H2001/5877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with provisions for direct mounting on a battery po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9/00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 H01H2039/008Switching devices actuated by an explosion produced within the device and initiated by an electric current using the switch for a battery cutoff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인 제1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장착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 각각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is disclosed.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may include: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mounting space formed along a first axis dir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relays individ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so as to cover an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relays; and 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so as to control an arc generated from the relay.

Description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Battery Disconnect Apparatus}Battery Disconnect Apparatus

본 발명은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BDU(Battery Disconnect unit)는 친환경 자동차의 전력 제어 부품의 하나로 배터리와 부하 사이에서 전력을 연결 또는 차단하는 부품을 통칭한다.BDU (Battery Disconnect Unit) is a power control component of eco-friendly vehicles, and is a general term for a component that connects or disconnects power between the battery and the load.

보통 친환경차 배터리 시스템을 구성하는 DC/DC 컨버터, 고전압 컨버터, OBC, BMS 등과 함께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배터리를 사용하는 친환경차에 BDU 적용도 확대되고 있다.It usually plays an important role along with the DC/DC converter, high-voltage converter, OBC, BMS, etc. that make up the eco-friendly vehicle battery system. Accordingly, the application of BDU is also expanding to eco-friendly vehicles that use batteries.

이와 같은 BDU는 일반적으로 방전모드, 급속충전모드, 저속충전모드 등과 같은 다양한 모드로 작용하기 위하여 메인 릴레이, 프리차지 릴레이, 고속 충전용 릴레이, 저속 충전 릴레이 등과 같은 복수 개의 릴레이를 포함한다.Such BDUs typically include multiple relays, such as a main relay, a pre-charge relay, a fast charging relay, and a slow charging relay, to operate in various modes, such as a discharge mode, a fast charging mode, and a slow charging mode.

그러나, 종래의 BDU가 복수 개의 릴레이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 개의 릴레이 각각은 고정 접점 및 가동 접점을 포함하는 본체가 상부프레임, 하부프레임 및 바닥 플레이트로 구성된 프레임의 내부에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된 상태에서 하나의 공간으로 이루어진 별도의 케이스에 회로기판과 함께 장착된다.However, when a conventional BDU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is individually housed inside a frame composed of an upper frame, a lower frame, and a bottom plate, and the body including fixed contacts and movable contacts is mounted together with the circuit board in a separate case formed as a single space.

이에 따라, 종래의 BDU는 복수 개의 릴레이를 케이스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부품들이 요구되며, 각각의 릴레이를 동작시키기 위하여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케이블을 매개로 각각이 릴레이의 코일단자와 커넥터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작업이 요구된다.Accordingly, conventional BDUs require parts for fixing multiple relays to each case, and work is required to electrically connect the coil terminals and connectors of each relay via cables such as wire harnesses to operate each relay.

이로 인해, 종래의 BDU는 부품수의 과다로 인해 조립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작업성이 떨어지고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Because of this, conventional BDUs have problems with poor workability and low price competitiveness due to the excessive number of parts and poor assembl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 개의 릴레이를 포함하더라도 전기적인 연결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capable of simplifying electrical connection work even when including a plurality of relay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릴레이와 회로기판의 전기적인 연결을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capable of easily configuring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 relay and a circuit board.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인 제1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장착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 각각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를 제공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is provided, including: a lower case having a mounting space formed along a first axis direction in a longitudinal direction with an open upper portion; a plurality of relays individ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respectively;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formed in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relays, respectively; and a permanent magnet dispos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so as to control an arc generated from the relay.

또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상부 장착공간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영구자석 홀더를 매개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via a permanent magnet hold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mounting space.

또한, 상기 영구자석은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구자석 홀더는, 상기 제1영구자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와 상기 제2영구자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홀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는 상기 상부 장착공간에서 상기 제1영구자석 및 상기 제2영구자석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may include a first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holder may include a first holder to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detachably coupled and a second holder to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s detachably coupled, and th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may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case so that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mounting space.

또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장착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구자석 홀더는, 상기 영구자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upper case may include a joining groove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and the permanent magnet holder may include a holder body to which the permanent magnet is detachably joined and a hook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ly from an end of the holder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joining groove.

또한, 상기 영구자석 홀더는, 상기 영구자석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리브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리브를 통해 테두리가 지지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hold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ribs that protrude from the holder body so as to support a rim of the permanent magnet, and the permanent magnet may be remov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with a rim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또한, 상기 릴레이는 몸체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접촉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상부 장착공간은 상기 릴레이가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의 고정 접촉자를 수용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릴레이의 몸체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 장착공간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lay may include a fixed contact that is provid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by a certain height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mounting space may accommodate the fixed contact of the relay while the relay is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and the permanent magnet may be arranged within the upper mounting space so as to surround the body of the relay.

이때,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릴레이의 몸체 중 아크챔버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manent magnet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arc chamb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relay.

또한, 상기 영구자석은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장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 각각은 복수 개가 할바흐 배열을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 may include a first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arrang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so that one side faces each other, and each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may be provided in multiple pieces to form a Halbach arrangement.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공간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과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ase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formed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plurality of relays may be individually moun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and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may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또한, 상기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장착공간과 격벽을 매개로 서로 구획되면서 폭방향인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공간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circuit board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the lower case may further include a storage space formed so as to be adjacent to the mounting space along a second axis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and being partitioned from the mounting space by a bulkhead.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 각각은 상기 장착공간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장착된 회로기판과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direct connection with the circuit board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while being individ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 각각은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코일단자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코일단자의 일단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may include a coil terminal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body by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circuit board may include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coil terminal can be fitted,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 wiring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이때, 상기 릴레이는 상기 코일단자 및 단자연결부의 물리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로기판과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relay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coil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상기의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복수 개의 릴레이를 포함하더라도 전기적인 연결작업을 단순화할 수 있음으로써 조립과정을 단순화하고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 to the above configuratio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implify the electrical connection work even if it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thereby simplifying the assembly process and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즉,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복수 개의 릴레이와 다른 부품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간편하게 구성하면서도 전기적인 통전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음으로써 제품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 electrical current stability while easily configuring electrical connections between a plurality of relays and other components, thereby increasing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회로기판이 릴레이의 측면에 위치하면서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릴레이의 배치 및 체결 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rranged vertically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while the circuit board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relay, the worker can easily check the arrangement and connection status of the relay.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회로기판이 수납공간의 바닥면에 수직하게 배치되기 때문에 하부케이스 내부에서의 공기 흐름 방해를 줄일 수 있다. 즉, 회로기판이 바닥면과 평행한 가로 방향으로 배치되면 회로기판은 내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내부 공기의 온도 상승에 의해 가열될 수 있지만, 본 발명은 회로기판이 수납공간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됨으로써 이와 같은 문제를 원천적으로 방지하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airflow obstruction inside the lower case because the circuit board is arranged vertic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That is, if the circuit board is arranged horizontally parallel to the bottom surface, the circuit board may obstruct the flow of internal air and be heated by the increase in temperature of the internal air, but the present invention can fundamentally prevent or minimize such a problem by arranging the circuit board vertically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described above, but include all effects that can be inferred from the composition of the inven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r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서 주요 구성을 분리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를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A-A 방향을 따라 상부케이스의 일부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서 하부케이스를 상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서 릴레이, 하부케이스 및 회로기판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릴레이가 하부케이스에 장착된 상태에서 회로기판이 하부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서 회로기판이 하부케이스에 결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서 B-B 방향을 따라 상부케이스 및 하부케이스를 절개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서 "C"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에서 코일단자지지부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서 상부케이스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2를 하부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서 상부케이스에 매립되는 매립형 버스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서 매립형 버스바, 회로기판 및 릴레이의 전기적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서 일부의 영구자석 홀더 및 영구자석이 상부케이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에 적용될 수 있는 영구자석 홀더 및 영구자석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FIG. 1 is a drawing showing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separating the main components from Figure 1.
Figure 3 is a drawing of Figure 2 viewed from a different direction.
Figure 4 is a plan view of Figure 1.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a part of the upper case cut along the AA direction in Figure 1.
FIG. 6 is a drawing of the lower case as viewed from above i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relay, a lower case, and a circuit board i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circuit board is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while the relay is mounted in the lower case.
Figure 8 is a schematic drawing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circuit board is connected to the lower case in Figure 7.
Figure 9 is a drawing showing the upper case and the lower case cut along the BB direction in Figure 4.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portion “C” in Figure 9.
Fig. 11 is a drawing showing a modified example of the coil terminal support part in Fig. 10.
FIG. 12 is a drawing showing an upper case i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 drawing of Figure 12 viewed from below.
FIG. 14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a built-in bus bar embedded in an upper case i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electrical connection relationship of a built-in bus bar, a circuit board, and a relay i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6 is a drawing showing a state in which some of the permanent magnet holders and permanent magnets are separated from the upper case in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rawing showing a permanent magnet holder and a permanent magnet in a separated state that can be applied to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도면에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In order to clearly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in the drawings, an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단어와 용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않고,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발명자가 용어와 개념을 정의할 수 있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words and term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but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meanings and concepts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by which the inventor can define terms and concepts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or her invention.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상면은 도 1을 기준으로 상부에서 바라본 면을 의미할 수 있고, 하면은 도 1을 기준으로 하부에서 바라본 면을 의미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surface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mean a surface viewed from above with reference to Fig. 1, and the lower surface may mean a surface viewed from below with reference to Fig. 1.

더불어,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제1축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x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제2축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y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제3축 방향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z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xis direct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illustrated in FIGS. 1 to 3, the second axis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y-axis illustrated in FIGS. 1 to 3, and the third axis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illustrated in FIGS. 1 to 3.

더하여,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길이방향은 상기 x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고, 폭방향은 상기 y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높이방향은 상기 z축과 평행한 방향을 의미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x-axis, the width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y-axis, and the height direction may mean a direction parallel to the z-axi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배터리 및 부하 사이에서 전력을 연결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일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EV, HEV, PHEV(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HV 등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는 임의의 차량에 적용될 수 있다.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connect or cut off power between a battery and a load. For exampl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vehicle equipped with a battery (not shown), such as an EV, an HEV, a PHEV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or an HV.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배터리가 구비되는 임의의 전력 장치, 예를 들면 ESS(Energy Storage System) 등에도 적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ny power device equipped with a battery, such as an ESS (Energy Storage System).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케이스(110), 릴레이(120), 회로기판(130) 및 상부케이스(140)를 포함할 수 있다.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lower case (110), a relay (120), a circuit board (130), and an upper case (140) as shown in FIGS. 1 to 3.

본 발명에서, 상기 릴레이(120)는 전자석의 원리를 이용하여 기계적인 구동 또는 전류 신호를 전달해 주는 장치로서, 내부에 구동력을 인가하기 위한 코일(미도시)을 포함하는 구동부(미도시), 상기 구동부에 의해 가동되는 가동 접촉자(미도시), 상기 가동 접촉자와의 접촉 및 분리를 통해 통전을 허용하거나 차단하기 위한 고정 접촉자(123) 및 상기 회로기판(130)과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코일단자(12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부, 가동 접촉자 및 고정 접촉자(123)의 일부는 몸체(121)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120) is a device that transmits a mechanical drive or current signal by utilizing the principle of an electromagnet, and may include a driving unit (not shown) including a coil (not shown) for applying a driving force therein, a movable contact (not shown) operated by the driving unit, a fixed contact (123) for allowing or blocking current flow through contact with and separation from the movable contact, and a coil terminal (122)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circuit board (130), and parts of the driving unit, the movable contact, and the fixed contact (123) may be accommodated inside the body (121).

또한, 상기 몸체(121)는 상기 구동부 및 코일을 수용하면서 상기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된 코일단자(122)가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부분과, 내부에 상기 고정 접촉자(123) 및 가동 접촉자를 수용하는 아크챔버 부분(121a)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ody (121) may include a portion in which a coil terminal (122)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il protrudes outward by a certain length while accommodating the driving unit and the coil, and an arc chamber portion (121a) that accommodates the fixed contact (123) and the movable contact inside.

즉, 상기 몸체(121)는 내부에 구동부 및 코일을 수용하면서 하부를 형성하는 부분과, 상기 고정 접촉자(123)의 일부 및 가동 접촉자를 내부에 수용하면서 상부를 형성하는 아크챔버 부분(121a)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단자(122)는 상기 몸체(121) 중 하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at is, the body (121) may include a portion forming a lower portion while accommodating a driving unit and a coil therein, and an arc chamber portion (121a) forming an upper portion while accommodating a portion of the fixed contactor (123) and a movable contactor therein, and the coil terminal (122) may be provided to protrude a certain length outward from a portion forming the lower portion of the body (121).

이와 같은 릴레이(120)는 메인 릴레이, 고속 충전용 릴레이, 저속 충전용 릴레이 등과 같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기능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A relay (120) like this can perform any one of various functions that are commonly used, such as a main relay, a high-speed charging relay, a low-speed charging relay, etc.

여기서, 상기 고정 접촉자(123)는 상기 몸체(121)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단자(122)는 상기 코일과 연결되면서 상기 몸체(121)로부터 측부로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Here, the fixed contact (123)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dy (121) by a certain height and be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coil terminal (122) may be provided so as to protrude laterally from the body (121) by a certain length while being connected to the coil.

또한,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고정 접촉자(123)가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후술할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장착공간(111)에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relay (120) can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of the lower case (110) described below so that the fixed contact (123)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1).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123)는 버스바나 와이어 하네스와 같은 케이블을 통해 다른 전기부품이나 전기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단자(122) 역시 전기부품이나 전기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the fixed contact (123)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or electrical elements through a cable such as a bus bar or wire harness, and the coil terminal (122) can als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lectrical component or electrical element.

더불어, 상기 릴레이(12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은 서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lay (120) may be provided in multiple units, and each of the multiple relays (120a, 120b, 120c) may perform the same function or different functions.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으며,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 각각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높이방향인 제3축 방향(z축 방향)을 따라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The lower case (110) can provide a space for individually accommodating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and each of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inserted into the lower case (110) along the third axis direction (z-axis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상기 릴레이(1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및 회로기판(130)을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case (1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lays (120),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and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individually accommodated.

이를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도 2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인 제1축 방향(x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착공간(111)과,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장착공간(111)과 격벽(118)을 매개로 서로 구획되면서 폭방향인 제2축 방향(y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공간(111)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112)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wer case (110) may include a mounting space (111) formed along a first axis direction (x-axis direction) that is open at the top and longitudinal as shown in FIGS. 2 and 6, and a storage space (112) formed along a second axis direction (y-axis direction) that is open at the top and partitioned from the mounting space (111) by a partition wall (118) and adjacent to the mounting space (111) along the width direction.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장착공간(111)은 상기 릴레이(120)가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고, 상기 수납공간(112)은 상기 회로기판(130)이 장착되는 공간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mounting space (111) may be a space where the relay (120) is mounted, and the storage space (112) may be a space where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에서 상기 릴레이(120)가 장착되는 장착공간(111)과 상기 회로기판(130)이 장착되는 수납공간(112)은 서로 구획되면서 폭방향을 따라 배열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That is,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ounting space (111) in which the relay (120) is mounted and the storage space (112) in which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can be formed in the lower case (110)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width direction while being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이때, 상기 장착공간(111)은 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mounting space (111) may include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that are formed to b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또한, 상기 장착공간(111)이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은 서로 구획되면서 길이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mounting space (111)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may be formed in the lower case (110) so as to be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ile being partitioned from each other.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는 서로 구획된 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면서도 하나의 부재로 구비되는 하부케이스(110)에 모두 수납될 수 있음으로써 전체 부품 수를 줄여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can be individually mounted in separate spaces while being all housed in a lower case (110) provided as a single member, thereby reducing the total number of parts and increasing work productivity.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가 서로 구획된 장착공간(111)에 각각 개별적으로 삽입되면 각각의 릴레이(120)는 별도의 고정부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하부케이스(110)에 각각 고정하기 위한 고정부재와 같은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음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i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are individually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s (111)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each relay (120) can be fixed to the lower case (110) without using a separate fixing member. Through this,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reduce the number of parts, such as fixing members for fixing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to the lower case (110), thereby improving the assembling efficiency.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장착되는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은 폭방향을 따라 서로 구획된 장착공간(111) 및 수납공간(112)에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은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서로 적층되지 않으면서 서로 구획된 다른 공간에 각각 위치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mounted on the lower case (110) can be individually accommoda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2)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so that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mounted so as to be located in different partitioned spaces without being stacked on each other in the lower case (110).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장착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는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구획된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에 각각 개별적으로 수용될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은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개별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하부케이스(110)로부터 개별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mounted on the lower case (110) can be individually accommodated in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that are partition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can be individually mounted on the lower case (110) or individually separated from the lower case (110).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릴레이(120), 회로기판(130)을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결합하거나 분리할 수 있음으로써 작업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Accordingly,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increase the convenience of operation by individually coupling or separating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to or from the lower case (110).

여기서, 상기 장착공간(111)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리브(116)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mounting space (111) may include at least one protruding rib (116)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floor surface to a certain height as shown in FIG. 6.

이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릴레이(120)는 상기 돌출리브(116)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111)의 바닥면과 선접촉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lay (120)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can be in direct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1) through the protruding rib (116).

즉, 상기 돌출리브(116)는 상기 릴레이(120)와 상기 장착공간(111)의 바닥면과의 접촉면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120)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공간(111)에 오차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장착공간(111)을 용이하게 수정할 수 있다.That is, the protruding rib (116) can reduce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relay (120) and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1). Accordingly, even if an error occurs in the mounting space (111) for mounting the relay (120), the mounting space (111) can be easily corrected.

한편,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수납공간(112)의 바닥면과 수직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12)에 장착될 수 있다.Meanwhile,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so as to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2).

즉, 상기 회로기판(130)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12)에 세로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That is,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mounted vertically in the storage space (112) as shown in FIGS. 7 and 8.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이 서로 적층되지 않고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폭방향을 따라 인접하게 배열되면서도 상기 회로기판(130)이 상기 수납공간(112)에 세로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전체 폭을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are not stacked on each other but are arranged adjacently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and since the circuit board (130) is arranged vertically in the storage space (112), the overall width of the lower case (110) can be minimized.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장착공간(111)에 상기 릴레이(120)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공간(112)에 상기 회로기판(130)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릴레이(120)는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the relay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즉,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단자(122)와 상기 수납공간(112)에 장착된 회로기판(130)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the relay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direct connection between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circuit board (130)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whil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단자(122)와 상기 수납공간(112)에 장착된 회로기판(130)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may be individually mounted in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and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direct coupling between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circuit board (130)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이를 위해, 상기 회로기판(130)은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단자(131)와, 상기 코일단자(122)의 일단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단자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circuit board (130) may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fitted.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는 상기 회로기판(130)에 형성된 배선패턴(133)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 (13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wiring pattern (133)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30).

또한,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 개의 제1단자연결부(132) 각각은 상기 배선패턴(133)을 통해 각각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is provided in multiple units, each of the multipl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s (132)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wiring pattern (133).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단자(122)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의 물리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로기판(130)과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lay (120)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30)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서로 대응되는 상기 코일단자(122)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의 물리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로기판(130)과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may be individually mounted in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and may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30)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corresponding to each other.

여기서, 상기 코일단자(122)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폭방향인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21)로부터 연장되는 제1부분(122a)과 상기 제1부분(122a)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높이방향인 제3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부분(12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는 상기 코일단자(122)의 제2부분(122b)과 결합될 수 있다.Here, the coil terminal (12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22a) extending from the body (121)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when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s shown in FIGS. 7 and 8, and a second portion (122b)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portion (122a) along the third axis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ng portion (132) may be coupled with the second portion (122b) of the coil terminal (122).

이를 통해,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을 삽입하면, 상기 코일단자(122)와 제1단자연결부(132)는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배선패턴(13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통전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2)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can be physically connected, and the relay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nd the wiring pattern (133).

일례로, 상기 외부연결단자(131)는 외부연결용 커넥터일 수 있으며, 상기 외부연결용 커넥터는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릴레이(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may be an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and the external connection connector may be supplied with power for driving or receive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lay (120).

이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릴레이(120)는 상기 외부연결단자(131)를 통해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받거나 상기 릴레이(1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relay (120)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can receive power for driving or a control signal for controlling the relay (120) throug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더라도, 각각의 릴레이(120a,120b,120c)가 물리적으로 직접 체결되는 상기 코일단자(122) 및 제1단자연결부(132)의 결합을 통해 하나로 구비되는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기 때문에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연결단자를 하나로 통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each relay (120a, 120b, 120c)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provided as one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to which each relay is physically directly connected,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can be integrated into one and used.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를 포함하더라도, 각각의 릴레이(120a,120b,120c)를 외부와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단자의 사용 개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연결단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케이블 연결 작업을 생략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the number of connection terminals us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each relay (120a, 120b, 120c) to the outside can be minimized, and the cable connection work for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connection terminals can be omitted.

여기서, 상기 외부연결단자(131)가 외부연결용 커넥터인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외부연결단자(131)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이 가능하다면 공지의 다양한 전기부품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Here,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is described as a connector for external connection,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of various known electrical components can be appli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as long as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is possible.

또한,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 및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제1단자연결부(132)를 연결하는 배선패턴(133)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상기 외부연결단자(131), 제1단자연결부(132) 및 배선패턴(133) 이외에, 반도체 스위치(134) 및 프리차지 저항(135)을 통해 구성된 프리차지 회로와, 상기 프리차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비되는 제2단자연결부(136)를 포함하는 프리차지 회로 일체형 PCB일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3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that include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nd a wiring pattern (133) that connects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but may also be a precharge circuit-integrated PCB that includes, in addition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nd the wiring pattern (133), a precharge circuit configured through a semiconductor switch (134) and a precharge resistor (135),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that is provided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echarge circuit.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몸체(121)로부터 상기 수납공간(112) 측으로 돌출되는 코일단자(122)를 포함하더라도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하방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relay (120) can smoothly move downward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111) even if the relay (120) includes a coil terminal (122) that protrudes from the body (121) toward the storage space (112) while being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을 삽입하면, 상기 릴레이(120)의 몸체(121)로부터 상기 수납공간(112) 측으로 돌출된 코일단자(122)는 상기 제2부분(122b)이 상기 수납공간(112)으로 삽입되는 회로기판(130)의 제1단자연결부(132)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2)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s described above, the coil terminal (122) protruding from the body (121) of the relay (120) toward the storage space (112)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of the circuit board (130) whose second portion (122b)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2).

이를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방향을 따라 서로 이웃하게 배치되는 상기 장착공간(111)과 수납공간(112)을 서로 연통시키는 연통공간(113)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공간(113)은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wer case (110) may include a communication space (113) that connects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2) which ar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the width direction as shown in FIG. 6, and the communication space (113)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part is open.

즉, 상기 연통공간(113)은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폭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공간(111)과 수납공간(112)을 구획하기 위한 격벽(118)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가 개방되도록 상기 격벽(118)의 상부로부터 하부로 일정깊이 절개형성될 수 있다.That is, the above-mentioned communication space (113) may be formed to be located in a partition wall (118) for dividing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2)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and may be formed by cutting a certain depth from the top to the bottom of the partition wall (118) so that the top is open.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111)으로 삽입되는 경우, 상기 몸체(121)로부터 일정길이 돌출되는 코일단자(122)는 상기 연통공간(113)을 가로지르도록 배치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rela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1)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111), the coil terminal (122) protruding from the body (121) by a certain length can be arranged to cross the communication space (113).

즉,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삽입된 경우, 상기 코일단자(122)의 제1부분(122a)은 상기 연통공간(113)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분(122b)은 상기 수납공간(112)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la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1), the first part (122a) of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and the second part (122b) can be positioned so as to be located in the storage space (112).

이에 따라, 상기 장착공간(111)에 릴레이(120)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2)에 상기 회로기판(130)이 삽입되면 상기 수납공간(112)에 배치된 제2부분(122b)은 상기 수납공간(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기 회로기판(130)에 구비되는 제1단자연결부(132)에 원활하게 끼워질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2) while the rela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1), the second part (122b) placed in the storage space (112) can be smoothly inserted in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 (132)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30) whi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2).

여기서, 상기 릴레이(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21)의 하부 모서리 측에 하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모서리 돌출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relay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corner protrusions (124) that protrude downward at a certain height on the lower edge side of the body (121) as shown in FIG. 3.

이와 같은 복수 개의 모서리 돌출부(124)는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삽입된 경우, 상기 릴레이(120)의 바닥면이 상기 장착공간(111)의 바닥면과 면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uch multiple corner protrusions (124) can prevent the bottom surface of the relay (120) from making surface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1) when the rela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1).

즉,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릴레이(120)에서 몸체(121)의 바닥면은 상기 모서리 돌출부(124)를 통해 상기 장착공간(111)의 바닥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That is, the bottom surface of the body (121) of the relay (120)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can be separate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1) through the corner protrusion (124).

이를 통해, 상기 코일단자(122)가 상기 몸체(121)의 하부측에서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구비되더라도 상기 코일단자(122)가 상기 장착공간(111)의 바닥면과 접촉될 가능성을 차단함으로써 외력에 의한 상기 코일단자(122)의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coil terminal (122) is provid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lower side of the body (121), deformation of the coil terminal (122) due to external force can be prevented by blocking the possibility of the coil terminal (122)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bottom surface of the mounting space (111).

본 발명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10)가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연통공간(113)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을 각각 상기 수납공간(112)과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과 일대일로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lower cas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the communication space (113) may be provided in a number corresponding one-to-one to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so that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can be connected with the storage space (112).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은 일대일로 대응되는 복수 개의 연통공간(113a,113b,113c)을 통해 상기 수납공간(112)과 연통될 수 있다.That is, as illustrated in FIG. 6,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can be connected to the storage space (112) through the plurality of communicating spaces (113a, 113b, 113c) corresponding to each other in a one-to-one manner.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가 상기 연통공간(113)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연통공간(113)에 의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강도 저하를 방지하기 위한 보강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inforcing rib (114) to prevent a decrease in strength of the lower case (110) due to the communication space (113) even if the lower case (110) includes the communication space (113).

즉,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통공간(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보강리브(114)를 포함할 수 있다.That is, the lower case (110) may include at least one reinforcing rib (114)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space (113) to a certain height as shown in FIG. 6.

더불어, 상기 보강리브(114)는 상기 연통공간(113)에 상기 코일단자(122)가 배치되는 경우 상기 코일단자(122)의 진입을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inforcing rib (114) may be form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obstruct the entry of the coil terminal (122) when the coil terminal (122) is placed 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10)가 상기 연통공간(113)을 포함하더라도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상기 보강리브(114)를 통해 강도가 보강될 수 있음으로써 외력에 대한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Through this,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lower case (110) includes the communication space (113), the strength of the lower case (110) can be reinforced through the reinforcing rib (114), thereby increasing durability against external force.

한편, 상기 장착공간(111)에 릴레이(120)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공간(112)에 회로기판(130)이 장착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에서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코일단자(122)와 회로기판(130)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에 구비되는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Meanwhile, when a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a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30) through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circuit board (130).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코일단자(122) 및 회로기판(130)의 물리적인 접촉을 통해 상기 릴레이(120)와 상기 외부연결단자(131)가 안정적으로 통전시킬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구비되는 코일단자지지부(117,2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117, 217) provided in the lower case (110) so that the relay (120) and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can stably conduct current through physical contact between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circuit board (130).

즉, 상기 코일단자지지부(117,217)는 상기 장착공간(111)과 상기 수납공간(112)에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이 각각 장착되면, 상기 코일단자(122) 또는 상기 코일단자(122)와 접촉된 회로기판(130)의 접촉부(137)를 상방으로 가압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구비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ar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2), respectively, the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117, 217) may be provided in the lower case (110) to press upward the contact portion (137) of the coil terminal (122) or the circuit board (130) in contact with the coil terminal (122).

일례로,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단자지지부(117)는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경우, 상기 코일단자(122)의 하면을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납공간(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S. 9 and 10, the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117) may be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2) to a certain height so as to be able to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coil terminal (122) by contacting it when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이와 같은 경우,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단자(122)는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폭방향인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21)로부터 연장되는 제1부분(122a)과 상기 제1부분(122a)의 단부로부터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높이방향인 제3축 방향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는 제2부분(12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부분(122b)은 상기 수납공간(112)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described above, the coil terminal (122) may include a first portion (122a) extending from the body (121)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a second portion (122b) extending upward from an end of the first portion (122a) along the third axis direction, which is the height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and the second portion (122b) may be arranged to be located within the storage space (112).

또한, 상기 회로기판(130)은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단자(131)와, 상기 코일단자(122)의 일단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제1단자연결부(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는 상기 회로기판(130)에 형성된 배선패턴(133)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30) may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a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fitted,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a wiring pattern (133)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30).

이를 통해,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을 삽입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단자(122)의 제2부분(122b)은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수납공간(112)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상기 코일단자지지부(117)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배치되는 상기 제1부분(122a)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upper part of the storage space (112)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part (122b) of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phys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 (132), and the coil terminal support part (117)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2) by a certain height can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22a) that is arranged in the storage space (112).

즉, 상기 수납공간(112)에 상기 회로기판(130)이 삽입되면 상기 코일단자(122)의 제2부분(122b)과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의 물리적인 결합시 체결 마찰력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단자는 체결 마찰력에 의해 하방으로 가압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2), a fastening frictional force may occur when the second part (122b) of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art (132) are physically connected, and the coil terminal may be pressed downward by the fastening frictional force.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수납공간(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코일단자지지부(117)는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끼움결합되는 상기 코일단자(122)의 하방을 접촉하여 지지하여 상기 코일단자(122)가 하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제2부분(122b)은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에 원활하게 체결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il terminal support portion (117)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storage space (112) contacts and supports the lower portion of the coil terminal (122) that is fitted in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thereby preventing the coil terminal (122) from moving downward, so that the second portion (122b)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이를 통해,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112)의 개방된 상부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을 삽입하면, 상기 코일단자(122)는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원활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배선패턴(133)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통전될 수 있다.Through this,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throug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2)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nd the relay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wiring pattern (133)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더불어, 상기 회로기판(130)이 삽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코일단자지지부(117)가 상기 코일단자(122)의 하방을 지지하기 때문에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상기 코일단자(122)의 결합과정에서 상기 코일단자(122)에 과도한 하중이 발생하더라도 상기 코일단자(122)가 파손도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117)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coil terminal (122) during the process of inserting the circuit board (130), even if an excessive load is applied to the coil terminal (122) during the process of connecting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member (132) and the coil terminal (122),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prevented from being damaged.

다른 예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는 상기 연통공간(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1, the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217) may be a protrusion formed by protruding a certain height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space (113).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코일단자(122)는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폭방향인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몸체(121)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코일단자(122)는 상기 연통공간(113)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il terminal (12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body (121)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which is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coil terminal (122) may be positioned to be located with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또한, 상기 회로기판(130)은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단자(131)와, 상기 수납공간(112)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단자(122)와 물리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길이 돌출되는 접촉부(137)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ircuit board (130) may include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and a contact portion (137) that protrudes a certain length so as to be in physical contact with the coil terminal (122) when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접촉부(137)는 제1단자연결부(132)와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는 상기 회로기판(130)에 형성된 배선패턴(133)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일 수 있다.In this case, the contact portion (137)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a wiring pattern (133) formed on the circuit board (130).

즉, 상기 접촉부(137)는 일단부가 상기 회로기판(130)의 제1단자연결부(132)와 결합된 상태에서 타단부가 상기 연통공간(113) 내에 위치하도록 일정길이 돌출될 수 있다.That is, the contact portion (137) can protrude a certain length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of the circuit board (130) and the other end is positioned with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여기서, 상기 접촉부(137)는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도 있으나, 상기 제1단자연결부(13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접촉부(137)는 상기 배선패턴(133)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Here, the contact portion (137) may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but may also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nd the contact portion (137) may be direct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wiring pattern (133).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되면서 상기 회로기판(130)이 상기 수납공간(112)에 장착되면 상기 접촉부(137) 및 코일단자(12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를 포함하는 일부 길이가 상기 연통공간(113)에서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연통공간(113)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형성되는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는 상기 연통공간(113)에서 서로 중첩되는 상기 접촉부(137)의 일부 및 상기 코일단자(122)의 일부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In this case, when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the contact portion (137) and the coil terminal (122) can be arranged so that a portion of the length including one end overlaps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as shown in FIG. 11, and the coil terminal support portion (217)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communication space (113) by a certain height can support the lower portion of a portion of the contact portion (137) and a portion of the coil terminal (122) that overlap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112)에 상기 회로기판(130)이 삽입되고 상기 접촉부(137)의 일단부가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코일단자(122)의 일단부가 상기 접촉부(137)의 단부측과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장착공간(111)에 릴레이(120)가 삽입되면, 상기 연통공간(113)에서 서로 중첩되는 접촉부(137)의 일부 및 코일단자(122)의 일부는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를 통해 모두 상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2) and one end of the contact portion (137) is supported by the coil terminal support portion (217), and the rela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1) so that one end of the coil terminal (122) partially overlaps the end side of the contact portion (137), a part of the contact portion (137) and a part of the coil terminal (122) that overlap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can both be supported upwards by the coil terminal support portion (217).

유사하게, 상기 장착공간(111)에 상기 릴레이(120)가 삽입되고 상기 코일단자(122)의 일단부가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를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촉부(137)의 일단부가 상기 코일단자(122)의 단부측과 일부 중첩되도록 상기 수납공간(112)에 회로기판(130)이 삽입되면, 상기 연통공간(113)에서 서로 중첩되는 접촉부(137)의 일부 및 코일단자(122)의 일부는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를 통해 모두 상방으로 지지될 수 있다.Similarly, when the relay (120) is inserted into the mounting space (111) and one end of the coil terminal (122) is supported by the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217), and the circuit board (130) is inserted into the storage space (112) so that one end of the contact member (137) partially overlaps with the end side of the coil terminal (122), a part of the contact member (137) and a part of the coil terminal (122) that overlap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can both be supported upward by the coil terminal support member (217).

이로 인해, 상기 연통공간(113)에서 서로 중첩되는 접촉부(137)의 일부 및 코일단자(122)의 일부는 상기 코일단자지지부(217)를 통해 서로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코일단자(122) 및 접촉부(137)의 접촉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안정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Due to this, a part of the contact portion (137) and a part of the coil terminal (122) that overlap each other in the communication space (113) can be maintained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rough the coil terminal support portion (217), so that the relay (120) can be stably powered on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contact of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contact portion (137).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The upper case (14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lower case (110).

일례로,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상기 장착공간(111)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수납공간(112)의 개방된 상부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upper case (14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so as to cover both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2).

또한, 상기 하부케이스(110)가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 각각의 개방된 상부와 상기 수납공간(112)의 개방된 상부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lower cas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the upper case (140) can be coupled to the lower case (110) so as to cover both the open upper portion of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and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2).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납공간(112)의 상부를 덮으면서 상기 회로기판(130)에 구비되는 외부연결단자(131)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upper case (140) can be connected to the lower case (110) so that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covering the upper portion of the storage space (112) as shown in FIG. 1.

이에 따라, 상기 수납공간(112)에 회로기판(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40)가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체결되더라도 상기 외부연결단자(131)는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배터리 또는 다른 부하와 원활하게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pper case (140) is connected to the lower case (110) while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is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it can be smoothly connected to a battery or other load.

이때,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상기 하부케이스(11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upper case (140) can be detachably combined with the lower case (110).

이를 위해, 상기 하부케이스(110)는 둘레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돌기(115)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상기 돌기(115)가 착탈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돌기(115)와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끼움부재(141)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lower case (1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115) that protrude outward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the upper case (140) may include fitting members (141)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115) so that the protrusions (115) can be removably fitted.

이를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는 서로 대응되는 돌기(115) 및 끼움부재(141)를 통해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rough this,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can be detach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corresponding protrusions (115) and fitting members (141).

그러나,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의 결합방식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면 공지의 다양한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However, the method of joining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is not limited to this, and any of various known methods can be applied as long as they can be joined detachably.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에서 상기 릴레이(120)는 상기 고정 접촉자(123)가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장착공간(11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접촉자(123)는 상기 수납공간(112)에 장착된 회로기판(130)과 상부케이스(140)를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t this time,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lay (120)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of the lower case (110) so that the fixed contact (123)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1), and the fixed contact (123)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130)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through the upper case (140).

즉, 상기 장착공간(111)에 상기 릴레이(120)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공간(112)에 회로기판(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기 상부케이스(140)를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That is, when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upper case (140).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케이스에 매립되는 매립형 버스바(150)를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uilt-in bus bar (150) embedded in the upper case as illustrated in FIGS. 12 to 14.

이와 같은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장착공간(111)에 상기 릴레이(120)가 장착되고 상기 수납공간(112)에 회로기판(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되면,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상기 회로기판(130)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When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15.

여기서, 상기 회로기판(130)은 상술한 외부연결단자(131), 배선패턴(133) 및 제1단자연결부(132)와 더불어 반도체 스위치(134) 및 프리차지 저항(135)을 통해 구성된 프리차지 회로와, 상기 프리차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회로기판(130)에 구비되는 제2단자연결부(136)를 포함하는 프리차지 회로 일체형 PCB일 수 있다.Here, the circuit board (130) may be a precharge circuit-integrated PCB including a precharge circuit configur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wiring pattern (133), and first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2), a semiconductor switch (134), and a precharge resistor (135), and a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provided on the circuit board (130)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echarge circuit.

이와 같은 경우,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를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embedded bus bar (150) can electrically connect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art (136) with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being connected to each other.

일례로,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길이를 갖는 바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진 몸체부분(151)과, 상기 몸체부분(151)의 일단부 측에 형성되는 제1체결홀(152)과 상기 몸체부분(151)의 타단부 측에 형성되는 제2체결홀(153)을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above-described built-in bus bar (15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51) formed of a bar-shaped member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s illustrated in FIG. 14, a first fastening hole (152) formed on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51), and a second fastening hole (153) formed on the other end of the body portion (151).

또한,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도 4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체결홀(152)과 상기 제2체결홀(153)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매립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edded bus bar (150) can be embedded in the upper case (140) so that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and the second fastening hole (153) are exposed to the outside, as shown in FIG. 4 and FIG. 12.

더불어,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제1체결홀(152)을 포함하는 일단부가 상기 장착공간(111)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홀(153)을 포함하는 타단부가 상기 수납공간(112)과 대응되는 위치에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embedded bus bar (150) may be arranged so that one end including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mounting space (111) while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other end including the second fastening hole (153) may be arranged so that the other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112).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되고 상기 수납공간(112)에 상기 회로기판(130)이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제1체결홀(152)을 포함하는 일단부가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접촉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홀(153)을 포함하는 타단부는 상기 회로기판(130)의 제2단자연결부(136)와 접촉될 수 있다.Accordingly, when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while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circuit board (130) is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112), one end of the embedded bus bar (150) including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and the other end including the second fastening hole (153)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of the circuit board (130).

이와 같은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제2체결홀(153)을 포함하는 단부가 고정부재(180)를 통해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회로기판(130)의 제2단자연결부(136)와 안정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 15, the end portion of the embedded bus bar (150) including the second fastening hole (153)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through a fixing member (180). Through this, the embedded bus bar (150) can be stab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of the circuit board (130).

유사하게,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제1체결홀(152)을 포함하는 단부가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상기 고정 접촉자(123)와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안정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Similarly, the embedded bus bar (150) may have an end portion including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coupled to the fixed contact (123) through a fixed member (not shown). Through this, the embedded bus bar (150) may be stably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이때,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도 15의 확대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부분(151)의 일단부로부터 상방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1연장부분(154) 및 상기 제1연장부분(154)의 단부로부터 수평한 방향으로 일정길이 연장되는 제2연장부분(155)을 포함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embedded bus bar (150) may include a first extension portion (154) that extends upward from one end of the body portion (151) by a certain length, as shown in the enlarged view of FIG. 15, and a second extension portion (155) that extends horizontally from an end of the first extension portion (154) by a certain length.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체결홀(152)은 상기 제2연장부분(155)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can be formed to be located in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55).

이에 따라, 상기 릴레이(120)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 접촉자(123)의 상면과 상기 회로기판(130)의 제2단자연결부(136)의 상면이 서로 다른 높이를 갖더라도 상기 제1체결홀(152)이 형성된 상기 제2연장부분(155)의 일면은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의 상면과 면접촉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contact (123)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of the circuit board (130) have different heights when the relay (120) is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one surfac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55) in which the first fastening hole (152) is formed can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즉, 상기 제2연장부분(155)의 일면은 상기 고정 접촉자(123)의 상면과 밀착될 수 있으며, 상기 제2체결홀(153)을 포함하는 단부는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와 밀착될 수 있다.That is, one side of the second extension portion (155)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contact (123), and the end including the second fastening hole (153)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이를 통해, 상기 고정 접촉자(123)의 상면이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의 상면보다 상대적으로 더 높은 위치에 위치하더라도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는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 및 제2단자연결부(136)와 각각 안정적으로 통전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the upper surface of the fixed contact (123) is positioned at a relatively higher position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the embedded bus bar (150) can be stably current-conducted with the fixed contact (123)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of the relay (120), respectively.

본 발명에서, 상기 릴레이(12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매립형 버스바(150) 역시 상기 릴레이(120)의 전체 개수와 대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relay (120) is provided in multiple units, the embedded bus bar (150) may also be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total number of relays (120).

일례로,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3개의 장착공간(111)이 서로 구획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에 형성되고, 상기 3개의 장착공간(111)에 3개의 릴레이(120)가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경우, 6개의 매립형 버스바(150a,150b,150c,150d,150e,150f)가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매립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ree mounting spaces (111) are formed in the lower case (110) so as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wer case (110), and three relays (120) are individually mounted in each of the three mounting spaces (111), six embedded bus bars (150a, 150b, 150c, 150d, 150e, 150f) can be embedded in the upper case (140).

이와 같은 경우, 6개의 매립형 버스바(150a,150b,150c,150d,150e,150f)는 전체가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와 연결되면서 상기 고정 접촉자(123)와 연결될 수도 있지만, 일부의 매립형 버스바(150b,150f)는 일단부가 상기 고정 접촉자(123)와 연결되면서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와 연결되지 않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In such a case, six embedded bus bars (150a, 150b, 150c, 150d, 150e, 150f) may be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123) while being connected entirely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but some embedded bus bars (150b, 150f) may be provided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xed contact (123) while not being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이 상기 장착공간(111) 및 수납공간(112)에 각각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릴레이(120)는 상술한 상기 코일단자(122) 및 제1단자연결부(132)의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131)와 통전되면서 상기 고정 접촉자(123) 및 매립형 버스바(150)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의 제2단자연결부(136)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while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are respective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2), the relay (12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136) of the circuit board (130) through the fixed contact (123) and the embedded bus bar (150) while being energized with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131) through the coupling of the coil terminal (122) and the first terminal connection (132) described above.

이로 인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릴레이(120) 및 회로기판(130)이 상기 장착공간(111)과 수납공간(112)에 각각 장착되더라도 상기 상부케이스(140) 및 하부케이스(110)가 서로 결합되면,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매립된 매립형 버스바(150)를 통해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회로기판(130)이 통전될 수 있음으로써 상기 릴레이(120)의 고정 접촉자(123)와 회로기판(13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배선작업을 줄이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ly, in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ar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and the storage space (112), respectively, when the upper case (140) and the lower case (110) are coupled to each other,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embedded bus bar (150) embedded in the upper case (140), thereby reducing or minimizing the wiring work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xed contact (123) of the relay (120) and the circuit board (130).

더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회로기판(130)이 프리차지 회로를 포함하는 프리차지 회로 일체형 PCB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되는 릴레이(120)는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매립된 매립형 버스바(150)를 통해 상기 회로기판(130)에 포함된 프리차지 회로를 간편하게 연결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the circuit board (130) is provided as a precharge circuit-integrated PCB including a precharge circuit as described above, the relay (120)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can be easily connected to the precharge circuit included in the circuit board (130) through the embedded bus bar (150) embedded in the upper case (140).

상술한 설명에서는,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가 상기 회로기판(130)에 포함된 프리차지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2단자연결부(136)는 상기 회로기판(130)에 실장되는 다른 전기소자 또는 다른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is described as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echarge circuit included in the circuit board (130),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econd terminal connection portion (136)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other electrical components or other circuits mounted on the circuit board (130).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장착공간(111)에 장착된 릴레이(120)의 작동시 발생할 수 있는 아크(Arc)를 제어하기 위한 영구자석(161,162)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permanent magnet (161, 162) for controlling an arc that may occur when a relay (120)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is operated.

이와 같은 영구자석(161,162)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가 상기 장착공간(111)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Arc)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Such permanent magnets (161, 162) can be provided so that even if a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are individ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they can individually control the arcs that may occu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이를 위해,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도 13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14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릴레이(120)로부터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14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o this end, the upper case (140) may include a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142)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as illustrated in FIGS. 13 and 16, and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may be plac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142) so as to control an arc generated from the relay (120).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장착공간(111)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은 상기 고정 접촉자(123)가 상기 몸체(121)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하부케이스(110)의 장착공간(111)에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접촉자(123)는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 내에 위치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individ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may be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111) of the lower case (110) so that the fixed contactor (123) is positioned at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1), and the fixed contactor (123) may be positioned so as to be positioned with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더불어,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 배치되는 상기 릴레이의 몸체(121)를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 내에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may be arranged with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so as to surround the body (121) of the relay arrang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일례로,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몸체(121) 중 상기 고정 접촉자(123) 및 가동 접촉자(미도시)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몸체(121)의 상부를 형성하는 아크챔버 부분(121a)을 둘러싸도록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may be plac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to surround the arc chamber portion (121a) forming the upper portion of the body (121) so as to accommodate the fixed contact (123) and the movable contact (not shown) inside the body (121).

비제한적인 일례로써,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제1영구자석(161)과 제2영구자석(162)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영구자석(161) 및 제2영구자석(162)은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결합될 수 있다.As a non-limiting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16,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may include a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162),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may be coupled to the upper case (140) so as to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이때,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영구자석 홀더(170)를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manent magnet (161, 16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40) through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100)는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영구자석 홀더(1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영구자석 홀더(170)를 통해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permanent magnet holder (170)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40), and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40) through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일례로, 상기 영구자석 홀더(170)는 상기 제1영구자석(161)이 결합되는 제1홀더(170a)와 상기 제2영구자석(162)이 결합되는 제2홀더(170b)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1홀더(170a) 및 제2홀더(170b) 각각은 상기 영구자석(161,162)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171)와 상기 홀더몸체(171)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는 후크부(172)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may include a first holder (170a) to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is coupled and a second holder (170b) to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is coupled, and each of the first holder (170a) and the second holder (170b) may include a holder body (171) to which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are detachably coupled and a hook portion (172) that protrudes outwardly from an end of the holder body (171) by a predetermined length.

또한, 상기 상부케이스(140)는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143)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upper case (140) may include a joining groove (143)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이에 따라, 상기 제1홀더(170a) 및 제2홀더(170b) 각각은 상기 후크부(172)와 상기 결합홈(143)을 통해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서 상기 상부케이스(140)와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holder (170a) and the second holder (170b)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40)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through the hook portion (172) and the coupling groove (143).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1홀더(170a) 및 제2홀더(170b)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서 상기 제1영구자석(161) 및 상기 제2영구자석(162)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1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holder (170a) and the second holder (170b) can b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upper case (140) so that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as shown in FIG. 16.

또한, 상기 상부 장착공간(142)에서 서로 마주하는 상기 제1영구자석(161) 및 제2영구자석(162)은 서로 다른 극성이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facing each other in the upper mounting space (142) can be arranged so that their polarities face each other.

이를 통해, 상기 제1영구자석(161) 및 제2영구자석(162)은 상기 릴레이(120)의 작동시 아크가 발생하더라도 상기 고정 접촉자(123) 및 가동 접촉자에 통전되던 전류와 함께 자기장을 통해 전자기력을 형성함으로써 아크를 빠르게 신장시켜 아크로 인한 부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Through this, even if an arc occurs during operation of the relay (120),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can quickly extend the arc by forming an electromagnetic force through a magnetic field together with the current flowing through the fixed contactor (123) and the movable contactor, thereby preventing damage to components caused by the arc.

이때,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영구자석 홀더(17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ermanent magnet (161, 16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일례로, 상기 제1홀더(170a) 및 제2홀더(170b) 각각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영구자석(161,162)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몸체(171)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리브(173)를 포함할 수 있다.For example, each of the first holder (170a) and the second holder (170b) may include a plurality of support ribs (173) that protrude from the holder body (171) to support the edges of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as illustrated in FIG. 17.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리브(173)를 통해 테두리가 지지됨으로써 상기 홀더몸체(171)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permanent magnet (161, 162) can be detachably coupled to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171) by having its edge supported by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173).

이때, 상기 제1영구자석(161) 및 제2영구자석(162) 각각은 하나로 구비될 수도 있지만, 복수 개가 할바흐 배열을 이루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each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may be provided as one, but may also be configured to form a Halbach arrangement with multiple magnets.

일례로, 상기 제1영구자석(161)은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3개의 영구자석(161a,161b,161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3개의 영구자석(161a,161b,161c)은 할바흐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may be composed of three permanent magnets (161a, 161b, 161c)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and the three permanent magnets (161a, 161b, 161c) may be arranged to form a Halbach arrangement.

마찬가지로, 상기 제2영구자석(162)은 일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하게 배열되는 3개의 영구자석(162a,162b,162c)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3개의 영구자석(162a,162b,162c)은 할바흐 배열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Similarly,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may be composed of three permanent magnets (162a, 162b, 162c)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long one direction, and the three permanent magnets (162a, 162b, 162c) may be arranged to form a Halbach arrangement.

도면과 설명에서는 상기 영구자석 홀더(170)가 제1홀더(170a) 및 제2홀더(170b)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을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영구자석 홀더(170)는 상기 제1홀더(170a) 및 제2홀더(170b)가 하나로 연결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Although the drawing and description illustrate and describe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as including a first holder (170a) and a second holder (170b),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may be configured in a form in which the first holder (170a) and the second holder (170b) are connected as one.

즉, 상기 영구자석 홀더(170)는 폐루프 형상의 단면을 갖는 하나의 부재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영구자석(161) 및 제2영구자석((162)은 하나의 부재로 이루어진 영구자석 홀더에 각각 착탈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That is, the permanent magnet holder (170) may be configured as a single member having a cross-section in a closed loop shape, and the first permanent magnet (161)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162)) may be removably coupled to the permanent magnet holder configured as a single member.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케이스(110)가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을 포함하는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는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142)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과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when the lower case (110)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can be individually moun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and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142) can be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상기 릴레이(120)로부터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142)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can be respectively placed in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142) so as to control the arc generated from the relay (120).

이에 따라, 상기 영구자석(161,162)은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111a,111b,111c)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더라도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120a,120b,120c) 각각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아크(Arc)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Accordingly, the permanent magnets (161, 162) can individually control an arc that may occur in each o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even if the plurality of relays (120a, 120b, 120c) are individually mount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111a, 111b, 111c).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Although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present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ho understand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ble to easily propose other embodiments by adding, changing, deleting, or adding component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pirit, but this will also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110 : 하부케이스
111,111a,111b,111c : 장착공간 112 : 수납공간
113,113a,113b,113c : 연통공간 114 : 보강리브
115 : 돌기 116 : 돌출리브
117,217 : 코일단자지지부 120a,120b,120c : 릴레이
121 : 몸체 122 : 코일단자
122a : 제1부분 122b : 제2부분
123 : 고정 접촉자 124 : 모서리 돌출부
130 : 회로기판 131 : 외부연결용 커넥터
132 : 제1단자연결부 133 : 배선패턴
134 : 반도체 스위치 135 : 프리차지 저항
136 : 제2단자연결부 137 : 접촉부
140 : 상부케이스 141 : 끼움부재
142 : 상부 장착공간 143 : 결합홈
150,150a,150b,150c,150d,150e,150f : 매립형 버스바
151 : 몸체부분 152 : 제1체결홀
153 : 제2체결홀 161,161a,161b,161c : 제1영구자석
162,162a,162b,162c : 제2영구자석 170 : 영구자석 홀더
170a : 제1홀더 170b : 제2홀더
171 : 홀더몸체 172 : 후크부
173 : 지지리브 180 : 고정부재
100 : Battery power cutoff device 110 : Lower case
111,111a,111b,111c: Mounting space 112: Storage space
113,113a,113b,113c: Flue space 114: Reinforcing rib
115 : protrusion 116 : protruding rib
117,217: Coil terminal support 120a,120b,120c: Relay
121: Body 122: Coil terminal
122a: Part 1 122b: Part 2
123: Fixed contact 124: Corner projection
130: Circuit board 131: Connector for external connection
132: 1st terminal connection 133: Wiring pattern
134: Semiconductor switch 135: Precharge resistor
136: Second terminal connection part 137: Contact part
140: Upper case 141: Fitting member
142: Upper mounting space 143: Joining groove
150,150a,150b,150c,150d,150e,150f : Embedded busbar
151: Body part 152: First fastening hole
153: 2nd fastening hole 161,161a,161b,161c: 1st permanent magnet
162,162a,162b,162c: 2nd permanent magnet 170: Permanent magnet holder
170a: 1st holder 170b: 2nd holder
171: Holder body 172: Hook part
173: Support rib 180: Fixed member

Claims (11)

상부가 개방되고 길이방향인 제1축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하부케이스;
상기 장착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는 복수 개의 릴레이;
상기 장착공간의 개방된 상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하부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와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을 포함하는 상부케이스; 및
상기 릴레이로부터 발생하는 아크를 제어할 수 있도록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 각각에 배치되는 영구자석;을 포함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A lower case having an open upper portion and a mounting space formed along a first longitudinal axis direction;
A plurality of relays each individually mounted in the above mounting space;
An upper case coupled to the lower case so as to cover the open upper portion of the above mounting space,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plurality of relays; and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including a permanent magnet arrang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so as to control an arc generated from the re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상부 장착공간의 내부 둘레면을 따라 배치되면서 상기 상부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영구자석 홀더를 매개로 상기 상부케이스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ermanent magnet is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ase via a permanent magnet holder that is detachably connected to the upper case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upper mount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 홀더는, 상기 제1영구자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홀더와 상기 제2영구자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홀더를 포함하며,
상기 제1홀더 및 제2홀더는 상기 상부 장착공간에서 상기 제1영구자석 및 상기 제2영구자석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케이스에 각각 결합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permanent magnet includes a first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The above permanent magnet holder includes a first holder to which the first permanent magnet is detachably coupled and a second holder to which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s detachably coupled.
The above first holder and the second holder are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each of which is coupled to the upper case so that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face each other in the upper mount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는 상기 상부 장착공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 홀더는,
상기 영구자석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홀더몸체와 상기 홀더몸체의 단부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형성되고 상기 결합홈에 착탈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후크부를 포함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upper case includes a joining groove formed to be position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The above permanent magnet holder,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including a holder body to which the permanent magnet is detachably coupled and a hook portion that protrudes outwardly from an end of the holder body by a certain length and is detachably fitted into the coupling groov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 홀더는, 상기 영구자석의 테두리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홀더몸체로부터 돌출형성되는 복수 개의 지지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복수 개의 지지리브를 통해 테두리가 지지되어 상기 홀더몸체의 일면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paragraph 4,
The above permanent magnet holder includes a plurality of support ribs that protrude from the holder body so as to support the edge of the permanent magnet.
The above permanent magnet is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that is removably connected to one surface of the holder body by supporting the edge through the plurality of support rib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릴레이는 몸체로부터 상부로 일정높이 돌출되면서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비되는 고정 접촉자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장착공간은 상기 릴레이가 상기 장착공간에 수용된 상태에서 상기 릴레이의 고정 접촉자를 수용하며,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릴레이의 몸체를 감싸도록 상기 상부 장착공간 내에 배치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relay includes a fixed contact that is provi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while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dy at a certain height,
The above upper mounting space accommodates the fixed contact of the relay while the relay is accommodated in the above mounting space,
The above permanent magnet is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rranged within the upper mounting space so as to surround the body of the above relay.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상기 릴레이의 몸체 중 아크챔버 부분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permanent magnet is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arranged to surround the arc chamber portion of the body of the above rel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구자석은 일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상기 상부 장착공간 내에 배치되는 제1영구자석과 제2영구자석을 포함하고,
상기 제1영구자석 및 제2영구자석 각각은 복수 개가 할바흐 배열을 이루도록 구비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ermanent magnet includes a first permanent magnet and a second permanent magnet arranged in the upper mounting space so that one side faces each other,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in which each of the first permanent magnet and the second permanent magnet is provided in a plurality of pieces to form a Halbach arrangem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기 제1축 방향을 따라 배치되면서 서로 구획되도록 형성되는 복수 개의 장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는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에 각각 개별적으로 장착되며,
상기 복수 개의 상부 장착공간은 상기 복수 개의 장착공간과 각각 일대일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lower case includes a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formed to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while being arranged along the first axis direction,
The above plurality of relays are individually mounted in the abov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The above plurality of upper mounting spaces are battery power cut-off devices form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one-to-one with the above plurality of mounting sp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는, 외부와의 전기적인 연결을 위한 외부연결단자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하부케이스는,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장착공간과 격벽을 매개로 서로 구획되면서 폭방향인 제2축 방향을 따라 상기 장착공간과 서로 인접하도록 형성된 수납공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 각각은 상기 장착공간에 개별적으로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수납공간에 장착된 회로기판과의 직접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attery power cut-off device further includes a circuit board including an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for electrical connection with the outside,
The above lower case further includes a storage space formed adjacent to the above mounting space along the second axis direction in the width direction while the upper part is open and partitioned from the above mounting space by a bulkhead,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in which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relays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direct connection with the circuit board mounted in the storage space while being individually mounted in the mounting space.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릴레이 각각은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되는 코일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코일단자의 일단부가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단자연결부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연결부는 상기 회로기판에 형성된 배선패턴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되,
상기 릴레이는 상기 코일단자 및 단자연결부의 물리적인 결합을 통해 상기 외부연결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회로기판과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배터리 전원 차단 장치.
In Article 10,
Each of the above plurality of relays includes a coil terminal protruding outward from the body by a certain length,
The above circuit board includes a terminal connection portion provided so that one end of the coil terminal can be fitted,
The above terminal connection part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a wiring pattern formed on the circuit board,
The above relay is a battery power cut-off device that is physically connected to the circuit board while being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external connection terminal through the physical connection of the coil terminal and the terminal connection portion.
KR1020230102051A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Active KR1027328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4/004944 WO2024237489A1 (en) 2023-05-16 2024-04-12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63106 2023-05-16
KR20230063106 2023-05-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2805B1 true KR102732805B1 (en) 2024-11-21

Family

ID=93671128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049A Active KR102732810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KR1020230102051A Active KR102732805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KR1020230102050A Active KR102765639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KR1020230102048A Active KR102732808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049A Active KR102732810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02050A Active KR102765639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KR1020230102048A Active KR102732808B1 (en) 2023-05-16 2023-08-04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732810B1 (e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7736A (en) * 2017-08-25 2017-12-22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lay of efficiently arc extinguishing
JP2021082402A (en) * 2019-11-14 2021-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omagnetic relay module and electric connection device
KR20220001352A (en) * 2020-06-29 2022-01-05 엘에스일렉트릭(주) Arc path former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e the same
CN218385030U (en) * 2022-09-23 2023-0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Insulating boot and arc extinguishing magnetic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and high-voltage direct-current rela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915B1 (en) * 2006-11-28 2008-05-0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Component integration box
JP2010027275A (en) * 2008-07-16 2010-02-04 Nissin Electric Co Ltd Relay terminal
KR101044026B1 (en) * 2008-12-29 2011-06-23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TISH RELAY BOX OF FITISH HEATER FOR DIESEL CAR
KR101185735B1 (en) * 2010-07-16 2012-09-2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Battery disconnect unit for electric vehicle
KR20180075926A (en) * 2016-12-27 2018-07-05 (주)티에이치엔 Junction box
CN206976274U (en) * 2017-06-29 2018-02-06 保定曼德汽车配件有限公司 Automobile fuse box box body structure and automobile fuse box
CN209471917U (en) 2019-04-23 2019-10-08 四川泛华电器有限责任公司 A kind of relay fuse box for motor vehicle
KR102322488B1 (en) * 2019-09-24 2021-11-09 주식회사 유라코퍼레이션 Fixing structure for relay
KR102595716B1 (en) * 2020-11-17 2023-10-30 장국환 Compact power relay assembly with high reliability
CN216700693U (en) * 2022-02-10 2022-06-07 苏州科易新动力科技有限公司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battery pack
CN217892742U (en) 2022-08-16 2022-11-25 苏州汇川联合动力系统有限公司 PDU module device, power supply module and electric automobil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07736A (en) * 2017-08-25 2017-12-22 浙江英洛华新能源科技有限公司 A kind of relay of efficiently arc extinguishing
JP2021082402A (en) * 2019-11-14 2021-05-2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Electromagnetic relay module and electric connection device
KR20220001352A (en) * 2020-06-29 2022-01-05 엘에스일렉트릭(주) Arc path former and direct current relay include the same
CN218385030U (en) * 2022-09-23 2023-01-24 厦门宏发电力电器有限公司 Insulating boot and arc extinguishing magnetic circuit connection structure and high-voltage direct-current r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2808B1 (en) 2024-11-21
KR102765639B1 (en) 2025-02-12
KR20240165838A (en) 2024-11-25
KR102732810B1 (en) 202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29343B2 (en) Battery device for vehicle
US8294293B2 (en) High-voltage electrical component unit for vehicles
US7508164B2 (en) Battery pack having control devices of differing heights
US20240413488A1 (en) Battery wiring module
JP5609464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KR102032517B1 (en) DC Relay with Magnet Housing
US20180262122A1 (en) Power converter
JP2025013380A (en) Power Control Device
CN113165696B (en) Vehicle Mounting Structure of Power Storage Device
KR102732805B1 (en) Battery Disconnect Apparatus
US9685905B2 (en) Terminal box and solar cell module
US20230039051A1 (en) Circuit assembly
US11264678B2 (en) Battery wiring module with partition wall separating module-side terminal and electric wire passing above partition wall
US10355586B2 (en) Power converter
JP7276068B2 (en) charging device
JP7309314B2 (en) vehicle battery pack
US20230178840A1 (en) Battery wiring module
CN219286302U (en) Relay and new energy automobile
CN103568845B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7443841B2 (en) battery pack
US20240356319A1 (en) High-voltage junction box modules and assemblies
US20240047805A1 (en) Battery pack and vehicle
JP2020179725A (en) Vehicle battery device
JP2025107670A (en) Circuit Unit
KR20240176347A (en) Power distribution unit for electric vehic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8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8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