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2750B1 -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 Google Patents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2750B1
KR102732750B1 KR1020220131294A KR20220131294A KR102732750B1 KR 102732750 B1 KR102732750 B1 KR 102732750B1 KR 1020220131294 A KR1020220131294 A KR 1020220131294A KR 20220131294 A KR20220131294 A KR 20220131294A KR 102732750 B1 KR102732750 B1 KR 102732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ing unit
frame
chair
electric wheelchair
axi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51523A (ko
Inventor
김용철
홍응표
장대진
남기태
김규석
이석민
Original Assignee
근로복지공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근로복지공단 filed Critical 근로복지공단
Priority to KR1020220131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2750B1/ko
Publication of KR202400515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5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2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27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2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rotating the whole seat around a vertic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056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 A61G5/107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seat positioning the whole seat forward or rearwa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61G5/12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 A61G5/12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for the head or the feet for ar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은 제1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제2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Chair Control Apparatus for Electric Wheelchair And Electric Wheelchai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의자의 시트, 등받이, 발판 등의 구성의 위치를 제어할 수 있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에 관한 것이다.
노약자, 중증 피간호인 및 장애인 등 자력으로 거동이 어렵거나 불가능한 피간호인의 경우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는 노령인구의 증가로 인해 자력으로 침대에 눕거나 이동이 어려운 피간호인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여서 간병인의 업무가 가중되고 있으며, 그에 따라 피간호인 및 간호인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여러 가지 장치 등이 소개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들 중에서 전동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가 편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이동보조장치이다.
이러한 전동 휠체어는 시트, 등받이, 발판 그리고 시트의 양측에 장착된 바퀴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동으로 바퀴를 움직일 필요 없는 전동휠체어가 많이 개발되고 있으며, 다양한 제품이 출시되어 판매되고 있다.
전동 휠체어는 일반적으로 모터를 이용해 바퀴를 구동시키며 이동하는 형태의 휠체어는 장애인이나 환자 또는 거동이 불편한 노약자의 이동을 편리하게 하는 이점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단순히 이동만을 목적으로 하는 장치의 경우 거동이 불편한 사용자가 이동하기에는 용이하지만, 추가적인 자세의 변경이나, 차량 탑승, 화장실의 이용등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중증의 장애인이나 노약자의 경우 휠체어에 탑승 및 하차하는 것 이외에도 스스로 자세의 조정이 어려우며, 용변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간병인이 상시 주변에서 대기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한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2265885 B1 (2021.06.10)호에서는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를 개시하고 있으나, 베이스(120)를 기준으로 베드유닛(110)의 전후진 이동이 어려워 다양한 자세모드 변환 시 무게 중심을 안정적인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동 휠체어의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변경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무게중심이 안정적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은 제1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제2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에 따르면 전동 휠체어의 사용자가 다양한 자세로 변경이 가능하고, 그에 따른 무게중심이 안정적인 위치에 위치될 수 있도록 조작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이 설치된 전동 휠체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일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타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에 의해 의자의 여러 자세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은 제1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제2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1 구동부의 일단이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구동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서 전진 및 후진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제3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3 구동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의자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등받이 프레임; 및 제3 축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 발판 프레임; 및 제4 축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발판 프레임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회전 프레임은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커버 프레임은 하측으로 개방된 포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포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제3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타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또, 상기 제5 구동부는 상기 의자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될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상기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이 설치된 전동 휠체어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일측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타측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의 개략 부분 확대 배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에 의해 의자의 여러 자세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측면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장치, 10)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동 휠체어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 및 전동 휠체어를 제어하는 것에 필요한 모터, 제어부, 배터리 등을 포함하는 본체(A)를 포함하며,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전동 휠체어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도록 의자의 자세를 다양하게 변경하는 매커니즘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는 여러 상황에 따라 다양한 자세 변경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리프트 자세, 스탠드업 자세, 틸트 자세, 리클라인 자세, 레그업 자세 및 이러한 자세들이 조합된 자세들이 필요하다.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이러한 여러 자세들의 변경이 가능하며, 자세 변경에 따른 무게 중심이 안전한 위치에 위치하도록 하는 것에 기술적 의의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겠다.
아래에서 설명되는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은 상대적인 방향이나, 도 1에 도시한 일 측면에서 바라보는 기준으로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제1 축(X1)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100),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 구동부(200) 및 제2 축(X2)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는 소정의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신장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수축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소정의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가 신장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진될 수 있고, 상기 제2 구동부(200)가 수축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후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구동부(300)는 소정의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구동부(3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신장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을 기준으로 기울어질 수 있고,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수축되는 경우 의자는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지면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상기 제1 구동부(100)의 일단이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F1), 상기 제1 구동부(1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부(1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F2)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베이스 프레임(F1)은 상기 바퀴 및/또는 상기 본체(A)와 연결되는 프레임으로서 사용자의 하중을 바퀴로 전달하는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의 일단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F1)에 회전되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으며 소정의 각도로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제1 구동부(100)의 타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F2)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베이스 프레임(F1)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1 축(X1)을 의미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신축되는 경우,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F2)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일단은 상기 회전 프레임(F2)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1 지점(P1)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상기 제2 구동부(2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부(2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서 전진 및 후진되는 커버 프레임(F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부(200)에 의해 상기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서 전진 및 후진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의 타단은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3 구동부(300)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연결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3 구동부(300)의 일단은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상기 제3 구동부(300)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의자 프레임(F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의자 프레임(F4)은 의자의 시트(B)를 지지하는 프레임을 의미할 수 있으며,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2 축(X2)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3 구동부(300)의 타단은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신축되는 경우, 상기 의자 프레임(F4)은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하측으로 개방된 상기 수용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ㄷ"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F2)의 상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제1 구동부(100)의 적어도 일부를 포위하여 의도치 않은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상기 제1 구동부(100)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하측으로 개방된 포위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하측으로 개방된 상기 포위공간을 형성하도록 하측으로 개구된 "ㄷ"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회전 프레임(F2)은 상기 포위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커버 프레임(F3)은 상기 회전 프레임(F2)을 포위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도 불구하고 상기 회전 프레임(F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기 회전 프레임(F2) 상에서 전진 및 후진 이동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F2)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F3)의 일 측면에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제3 구동부(300)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F3)의 타 측면에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컴팩트 한 배치로 인해, 지면을 기준으로 의자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등받이 프레임(F5) 및 제3 축(X3)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 구동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등받이(C)를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3 축(X3)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구동부(400)는 소정의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구동부(4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4 구동부(40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4 구동부(400)가 수축되는 경우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은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4 구동부(400)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구동부(400)는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발판 프레임(F6) 및 제4 축(X4)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F6)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구동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발판 프레임(F6)은 발판(D)을 지지하는 프레임으로서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고정 포인트가 상기 제4 축(X4)을 의미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소정의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F6)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진시키는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공압 또는 유압에 의해 신축되는 실린더일 수 있으나,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공지의 다양한 액츄에이터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가 신장되는 경우 상기 발판 프레임(F6)은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5 구동부(500)가 수축되는 경우 상기 발판 프레임(F6)은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F4)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타단이 상기 발판 프레임(F6)에 연결될 수 있으며 힌지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상기 의자 프레임(F4)과 상기 커버 프레임(F3)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상기 의자 프레임(F4)과 상기 커버 프레임(F3)에 의해 의도치 않은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컴팩트한 배치로 인해, 지면을 기준으로 의자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기 제1 구동부(100), 상기 제2 구동부(200), 상기 제3 구동부(300), 상기 제4 구동부(400) 및 상기 제5 구동부(500)의 구동에 의해 의자가 다양한 자세를 가지는 것을 설명하겠다.
일례로, 상기 제1 구동부(100), 상기 제2 구동부(200), 상기 제3 구동부(300), 상기 제4 구동부(400) 및 상기 제5 구동부(5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어느 하나만 구동(신축)될 수도 있고, 적어도 2개가 동시에 구동(신축)될 수도 있다.
일례로, 도 5는 의자가 후방으로 틸트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신장하여 상기 회전 프레임(F2)을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의자를 후방으로 틸트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구동부(200)가 신장하는 경우, 상기 커버 프레임(F3)을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진시킴으로서 무게 중심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도 6은 의자가 리프트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제1 구동부(100)가 신장하고, 상기 제2 구동부(200)가 신장하여 의자를 지면으로부터 상승시킬 수 있고, 또한,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신장하여 상기 제2 축(X2)을 기준으로 상기 의자 프레임(F4)을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에 따라 의자를 지면과 평행하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에도,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커버 프레임(F3)을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후진시킴으로서 무게 중심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도 7은 의자가 미드 스탠드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상기 제3 구동부(300)가 신장하여 의자를 지면과 기울어지게 위치되도록 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4 구동부(400)가 수축하여 상기 등받이 프레임(F5)을 상기 제3 축(X3)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5 구동부(500)를 신장하여 상기 발판 프레임(F6)을 상기 제4 축(X4)을 기준으로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에도,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커버 프레임(F3)을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후진시킴으로서 무게 중심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도 8은 의자가 스탠드업된 것을 도시한 개략도로서, 도 7의 상태에서, 상기 제3 구동부(300)가 더 신장하고, 상기 제4 구동부(400)가 더 수축하며, 상기 제5 구동부(500)가 더 신장하여 의자가 스탠드업된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에도,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커버 프레임(F3)을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후진시킴으로서 무게 중심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일례로, 도 9는 의자가 지면과 평행한, 즉 누워있는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도 8의 상태에서 제1 구동부(100)의 수축을 통해 상기 제1 축(X1)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F2)을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누워있는 상태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때에도,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 따라, 상기 커버 프레임(F3)을 제1 지점(P1)을 기준으로 전/후진시킴으로서 무게 중심을 안전한 위치로 이동시킬 수도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제1 구동부(100), 상기 제2 구동부(200), 상기 제3 구동부(300), 상기 제4 구동부(400) 및 상기 제5 구동부(500) 중 어느 하나만 구동(신축)될 수도 있고, 적어도 2개가 동시에 구동(신축)될 수 있어, 매우 다양한 자세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2 구동부(200)의 신축에 따라, 자세 변경에 따른 무게 중심이 안전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의자가 노멀 상태이거나, 도 5와 같이 의자가 틸트된 상태이거나, 도 7과 같이 의자가 미드 스탠드된 상태이거나, 도 8과 같이 의자가 스탠드업된 상태처럼 의자의 위치 이동으로 인해 무게 중심이 이동되는 경우,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바퀴가 전륜일 경우, 중륜일 경우 또는 후륜일 경우에 각각 무게 중심이 해당 바퀴의 회전축 상에 위치되거나 회전축와 근접한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제2 구동부(200)는 신축에 따라 사용자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킬 수 있다.
그 결과, 사용자의 안전성 및 주행 편안함을 극대화 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 휠체어는 상기 의자 제어 매커니즘(10)을 포함하며, 상기 바퀴 및 상기 본체(A)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0: 제1 구동부
200: 제2 구동부
300: 제3 구동부
400: 제4 구동부
500: 제5 구동부

Claims (10)

  1.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에 있어서,
    제1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구동부;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의자를 전진 및 후진시키는 제2 구동부; 및
    제2 축을 기준으로 의자를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3 구동부;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부의 일단이 연결되는 베이스 프레임;
    상기 제1 구동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2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 지점을 기준으로 상기 회전 프레임 상에서 전진 및 후진되는 커버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에 연결되며,
    상기 제3 구동부의 타단이 연결되며, 상기 제3 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 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의자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등받이 프레임; 및
    제3 축을 기준으로 상기 등받이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4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4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등받이 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발판 프레임; 및
    제4 축을 기준으로 상기 발판 프레임을 시계 방향 및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5 구동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의자 프레임에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발판 프레임에 연결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프레임은,
    하측으로 개방된 수용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제1 구동부의 타단은,
    상기 수용공간 상에 배치되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면에 연결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프레임은,
    하측으로 개방된 포위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포위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제2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일 측면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일 측면에 연결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부는,
    일단이 상기 커버 프레임의 타 측면에 연결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구동부는,
    상기 의자 프레임과 상기 커버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20220131294A 2022-10-13 2022-10-13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Active KR102732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294A KR102732750B1 (ko) 2022-10-13 2022-10-13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294A KR102732750B1 (ko) 2022-10-13 2022-10-13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523A KR20240051523A (ko) 2024-04-22
KR102732750B1 true KR102732750B1 (ko) 2024-11-25

Family

ID=908817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294A Active KR102732750B1 (ko) 2022-10-13 2022-10-13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275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611A (ja) 1999-04-19 2000-10-31 Tsubakimoto Chain Co 起立介助椅子
JP2019037670A (ja) 2017-08-29 2019-03-14 キョウワテクノス株式会社 起立補助装置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車椅子
JP2019181086A (ja) 2018-04-17 2019-10-24 社会福祉法人天寿会 移乗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60058A (ko) * 2010-12-01 2012-06-11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기립 도우미 훨체어
KR101838105B1 (ko) * 2016-03-07 2018-03-13 김용근 기립 보조기
KR102265885B1 (ko) * 2018-12-06 2021-06-16 (주)옵토닉스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KR102418551B1 (ko) * 2020-09-04 2022-07-07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스탠딩 기능을 포함한 휠체어
KR102601961B1 (ko) * 2021-12-22 2023-11-14 한국기계연구원 휠체어용 자세 변환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0611A (ja) 1999-04-19 2000-10-31 Tsubakimoto Chain Co 起立介助椅子
JP2019037670A (ja) 2017-08-29 2019-03-14 キョウワテクノス株式会社 起立補助装置及びそれを取り付けた車椅子
JP2019181086A (ja) 2018-04-17 2019-10-24 社会福祉法人天寿会 移乗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523A (ko) 2024-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44059B2 (ja) 患者介護用移乗ロボット
KR102265885B1 (ko) 다중의 자세모드 변경이 가능한 전동휠체어
JP2000140029A (ja) 自立用の椅子
KR102080917B1 (ko) 전동 휠체어
KR102268100B1 (ko) 휠체어 사용자용 이동 보조장치
KR102732750B1 (ko) 전동 휠체어의 의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2732752B1 (ko) 전동 휠체어의 발판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KR101310840B1 (ko) 콘트롤러 가변수단을 가지는 전동휠체어
KR102732751B1 (ko) 전동 휠체어의 등받이 제어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동 휠체어
CN110840660B (zh) 一种适于行动不便者使用的病患转移装置
CN115315238A (zh) 具备升降功能的轮椅
KR101216028B1 (ko) 밸런싱 2륜 주행 로봇기능을 응용한 휠체어
JP2002078756A (ja) ベッド及び車椅子
JP3516340B2 (ja) 車椅子
CN110840661B (zh) 一种急诊科用病患转移装置
KR20250089686A (ko) 휠체어의 자세 전환 시, 사용자의 안전성을 담보하는 전동 휠체어
JP2013123556A (ja) ベッド
JPH11226056A (ja) 起立補助装置
JP3706231B2 (ja) 椅子
JP7517734B2 (ja) 電動車椅子
JP2000042039A (ja) 電動車椅子
JP2010273745A (ja) 車椅子後方傾倒装置
JP2004195138A (ja) 立ち上がり補助機構付き車椅子
JP2010279582A (ja) 移乗支援装置
JP2023128689A (ja) 車椅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8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