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1122B1 -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1122B1
KR102731122B1 KR1020240035538A KR20240035538A KR102731122B1 KR 102731122 B1 KR102731122 B1 KR 102731122B1 KR 1020240035538 A KR1020240035538 A KR 1020240035538A KR 20240035538 A KR20240035538 A KR 20240035538A KR 102731122 B1 KR102731122 B1 KR 1027311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plate
ball pin
lower plate
upper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기태
송성빈
양재경
이완하
문진영
Original Assignee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주)에코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주)에코닝 filed Critical 유니슨에이치케이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3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11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11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112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1Decoupling of vibrations by means of point-of-contact supports, e.g. ba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2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dampers and springs in combin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10);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2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부보강판(210)이 구비되는 탄성패드(200);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는 상부연결부(510)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10)와 연결되고, 하부연결부(52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20)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결부(510)와 하부연결부(520)는, 상부플레이트(110) 및/또는 하부플레이트(120)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댐퍼의 설치 각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Sliding elastic bearing with excellent shock absorption performance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본 발명은, 교량이나 건축 구조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면서 변위, 충격 등을 흡수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설치 각도가 변하는 댐퍼를 구비함으로써, 상하방향 변위, 수평방향 변위 및 회전변위를 원활하게 수용하고,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으로의 가속도와 변위 제어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받침이란, 교량이나 건축 구조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기초, 기둥, 교각, 교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함과 동시에 온도변화, 크리프, 건조수축 및 처짐 등에 의해 발생되는 신축변위·회전변위 및 이동을 수용하고, 하중, 진동, 충격을 전달, 격리 및 소산하여 지진에 대해 구조물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진설계와 지진격리로 사용되는 것을 말한다.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탄성패드만 구비되는 종래의 탄성받침은 수평방향으로 일정부분 변형능력, 에너지 소산능력을 가지고 있으나, 가속도 및 변위 제어에 한계가 있었고, 상하방향으로는 충격흡수 성능이 부족하고, 가속도가 큰 힘 또는 변위가 많이 발생하는 경우 제 역할을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수평방향으로 변형능력, 에너지 소산능력 및 완충성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고, 상하방향으로의 제어 성능도 우수하며, 회전변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슬라이딩 탄성받침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등록특허 10-1008664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수평방향 및 상하방향으로의 제어 성능이 우수하고, 회전변위에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10);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2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부보강판(210)이 구비되는 탄성패드(200);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는 상부연결부(510)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10)와 연결되고, 하부연결부(52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20)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결부(510)와 하부연결부(520)는, 상부플레이트(110) 및/또는 하부플레이트(120)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댐퍼의 설치 각도가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을 제공한다.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6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상부연결부(510)는 연결핀(511), 볼핀수용구(512), 볼핀(5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520)는 연결핀(521), 볼핀수용구(522), 볼핀(523)을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상단에 볼핀(513)이, 댐퍼의 하단에 볼핀(52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연결핀(511)이 고정되고, 연결핀(511)의 하부에는 볼핀수용구(512)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는 연결핀(521)이 고정되고, 연결핀(521)의 상부에는 볼핀수용구(522)가 구비되거나, 상기 댐퍼의 상단에 연결핀(511)이 고정되고, 연결핀(511)의 상부에는 볼핀수용구(512)가 구비되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볼핀(513)이 고정되고, 댐퍼의 하단에 연결핀(521)이 고정되고, 연결핀(521)의 하부에는 볼핀수용구(522)가 구비되며, 하부플레이트(120)에는 볼핀(523)이 고정되어, 상기 볼핀수용구(512)에 볼핀(513)이, 상기 볼핀수용구(522)에 볼핀(523)이 삽입됨으로써, 댐퍼의 설치 각도가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댐퍼와 코일스프링(600)은 탄성패드(200)의 중심으로부터 일직선 상에 위치하되, 코일스프링(600)이 댐퍼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상기 댐퍼와 코일스프링(600)이 90°의 위상차로 각각 4개씩 구비된다.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부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댐퍼는 마찰댐퍼(300) 또는 오일댐퍼(4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탄성패드(20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하부앤드플레이트(70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패드(20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탄성패드, 댐퍼 및 코일스프링이 유기적으로 결합하고 작용함으로써 지진 등에 의한 강한 충격을 완충시킬 수 있고, 수평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방향으로의 변위수용 성능, 감쇠성능이 우수하며, 상부구조물의 회전변위에 대해서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둘째,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댐퍼는 연직방향으로 충격 완충, 가속도 제어, 변위 제어 효과를 발휘하고, 상부플레이트의 수평변위에 의해 댐퍼가 연직방향에서 일정각도 기울어질 경우, 기울어진 댐퍼의 수평성분에 의해 수평방향으로도 충격 완충, 가속도 제어, 변위 제어 효과를 발휘할 수 있다.
셋째, 상부구조물의 회전변위에 의해 상부플레이트와 하부플레이트가 벌어질 수 있으나, 인장상태로 구비되는 코일스프링이 회전변위에 의해 충격과 과도한 벌어짐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A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A-A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B-B 단면도이다.
도 8은 마찰댐퍼와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연결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9는 오일댐퍼와 상부플레이트 및 하부플레이트의 연결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전단변형이 발생하여 댐퍼가 회전하는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은 교량 또는 건축 구조물의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기초, 기둥, 교각, 교대)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탄성받침은 상부플레이트(110), 하부플레이트(120), 탄성패드(200), 댐퍼(300, 400), 코일스프링(60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는 본 발명 슬라이딩 탄성받침의 상면을 형성하고, 탄성받침을 상부구조물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를 상부구조물에 고정할 때 상부판의 상부에 솔 플레이트나 다른 고정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는 본 발명 슬라이딩 탄성받침의 하면을 형성하고, 탄성받침을 하부구조물에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부플레이트(120)를 하부구조물에 고정할 때 하부판의 하부에 매슨리(masonry) 플레이트나 다른 고정장치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200)는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된다. 탄성패드(20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는 하부앤드플레이트(7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탄성패드(200)의 내부에는 복수의 내부보강판(210)이 상하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면서 구비되어 탄성패드(200)의 강성을 보완한다.
상기 탄성패드(200)의 평면 형상은 사각형 또는 원형일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에 연결된다.
댐퍼의 최초 설치각도는 댐퍼의 길이방향이 연직방향이 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상부플레이트(110) 및/또는 하부플레이트(120)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댐퍼의 설치 각도가 변할 수 있다.
상부플레이트(110) 및/또는 하부플레이트(120)의 변위에 대응하여 댐퍼가 회전하도록 함으로써, 댐퍼의 설치각도가 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댐퍼와 상부플레이트(110)를 연결하기 위한 상부연결부(510) 및 댐퍼와 하부플레이트(120)를 연결하기 위한 하부연결부(520)를 구비한다.
그 실시예로, 상부연결부(510)는 연결핀(511), 볼핀수용구(512), 볼핀(513)을 포함하고, 하부연결부(520)는 연결핀(521), 볼핀수용구(522), 볼핀(523)을 포함한다.
상기 볼핀(513)은 댐퍼의 상부에 구비되고, 상기 볼핀(523)은 댐퍼의 하부에 구비된다.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연결핀(511)이 고정되고, 연결핀(511)의 단부에는 볼핀수용구(512)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는 연결핀(521)이 고정되고, 연결핀(521)의 단부에는 볼핀수용구(522)가 구비된다. 이를 위해, 상부플레이트(110)에는 핀설치홀(111)이 구비되고, 하부플레이트(120)에는 핀설치홀(121)이 구비된다.
상기 볼핀수용구(512)에 볼핀(513)이, 상기 볼핀수용구(522)에 볼핀(523)이 삽입됨으로써, 댐퍼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위에서는,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20)에 볼핀수용구가 구비되고, 댐퍼에 볼핀이 구비되는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이와 반대로 상부플레이트(110) 및 하부플레이트(120)에 볼핀을 고정하고, 댐퍼에 볼핀수용구를 구비하는 실시예도 가능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댐퍼는 두가지로 실시할 수 있다. 첫 번째 실시예는 마찰댐퍼(300)이고, 두 번째 실시예는 오일댐퍼(400)이다.
마찰댐퍼(300)는 변위제어 성능이 우수하므로, 마찰댐퍼(300)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탄성받침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큰 변위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오일댐퍼(400)는 가속도제어 성능이 우수하므로, 오일댐퍼(400)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탄성받침이 설치되는 구조물에 가속도가 큰 힘이 작용할 가능성이 높은 경우에 설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찰댐퍼(300)는 실린더 내부 마찰부재의 마찰력을 이용하여 충격에너지를 흡수하는 것으로, 실린더(310) 내부에 마찰부재(330)가 구비되고, 마찰부재(330)는 가동로드(320)에 연결되며, 가동로드(320)의 일단은 실린더(310) 내부에 위치하고, 실린더(310) 밖으로 노출되는 가동로드(320)의 타단에는 상기 볼핀(523)이 연결될 수 있다.
가동로드(320) 타단의 맞은편 실린더(310)에는 마감부재(340)가 일체로 구비되고, 마감부재(340)의 상단에는 상기 볼핀(51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8에는 가동로드(320)의 하단이 실린더(310) 밖으로 노출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8에 도시된 것과 상하 반전된 실시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오일댐퍼(400)는 실린더 내부에 있는 오일이 압축 및/또는 이동하면서 오일의 점섬에 의해 충격에 저항하는 것으로, 제1실린더(411), 제2실린더(412), 피스톤로드(420), 피스톤(430), 마감부재(440)를 포함한다.
직경이 큰 제1실린더(411)와 직경이 작은 제2실린더(412)가 일체로 연결되고, 피스톤로드(420)는 제2실린더(412) 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하며, 피스톤(430)은 제1실린더(411) 내에서 피스톤로드(420)에 부착된다.
피스톤로드(420)의 일단은 제2실린더(412) 내부에 위치하고, 피스톤로드(420)의 타단은 제1실린더(411) 밖으로 노출되며, 피스톤로드(420)의 타단에 상기 볼핀(523)이 연결될 수 있다.
제2실린더(412)의 상단에는 마감부재(440)가 일체로 구비되고, 마감부재(440)의 상단에는 상기 볼핀(513)이 연결될 수 있다.
도 9에는 피스톤로드(420)의 하단이 제1실린더(411) 밖으로 노출되는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는데, 도 9에 도시된 것과 상하 반전된 실시도 가능하다.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된다.
코일스프링(600)의 위치는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코일스프링(600)은 회전변위가 발생했을 때,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과도한 벌어짐과 분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외측에 구비하는 것이 효과적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부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과도한 벌어짐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수평방향으로 발생하는 변위 및 가속도에 대해 완충 및 제어하는 효과도 발휘하는 상승효과를 발휘한다.
상기 코일스프링(600)의 상단과 하단을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부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부에 스프링고정구(112)를 구비할 수 있고,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부에 스프링고정구(122)를 구비할 수 있다.
댐퍼(300, 400)와 코일스프링(600)은 탄성패드(200)의 중심으로부터 일직선 상에 위치하되, 코일스프링(600)이 댐퍼(300, 400)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댐퍼(300, 400)와 코일스프링(600)의 수는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탄성받침이 설치되는 구조물의 제원, 탄성받침의 형상 및 구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댐퍼(300, 400)와 코일스프링(600)의 수는 4개가 될 수 있으며, 각 댐퍼(300, 400)와 코일스프링(600)이 90°의 위상차로 구비될 수 있다. 대칭구조로 4개 미만 또는 4개 초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딩 탄성받침에 지진 등에 의한 외부충격, 변위, 힘 등이 가해졌을 때, 대응하는 메커니즘에 대해 설명한다.
상하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가속도, 변위 등에 대해, 탄성패드와 댐퍼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완충 성능을 발휘한다.
수평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 가속도, 변위 등에 대해, 탄성패드, 댐퍼의 충격흡수 성능과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완충성능을 발휘한다.
상하방향 충격, 수평방향 충격 및 회전 변위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경우, 댐퍼에 의한 상하방향 완충, 댐퍼에 의한 수평방향 완충,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수평방향 완충,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한 원형복귀 등의 유기적인 작용에 의해 복합적인 충격에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10. 상부플레이트
111. 핀설치홀 112. 스프링고정구
120. 하부플레이트
121. 핀설치홀 122. 스프링고정구
200. 탄성패드
210. 내부보강판
300. 마찰댐퍼
310. 실린더
320. 가동로드
330. 마찰부재
340. 마감부재
400. 오일댐퍼
411. 제1실린더 412. 제2실린더
420. 피스톤로드
430. 피스톤
440. 마감부재
510. 상부연결부
511. 연결핀 512. 볼핀수용구
513. 볼핀
520. 하부연결부
521. 연결핀 522. 볼핀수용구
523. 볼핀
600. 코일스프링
700. 하부앤드플레이트

Claims (10)

  1. 상부구조물과 하부구조물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탄성받침에 있어서,
    상면을 형성하는 상부플레이트(110);
    하면을 형성하는 하부플레이트(120);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되고, 내부에 복수의 내부보강판(210)이 구비되는 탄성패드(200);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으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구비되는 코일스프링(600);
    상기 탄성패드(200)의 외측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에 연결되는 댐퍼를 포함하되,
    상기 댐퍼는 상부연결부(510)에 의해 상부플레이트(110)와 연결되고, 하부연결부(520)에 의해 하부플레이트(120)와 연결되며,
    상기 상부연결부(510)와 하부연결부(520)는, 상부플레이트(110) 및/또는 하부플레이트(120)의 이동 및 회전에 따라 댐퍼의 설치 각도가 변하고,
    상기 상부연결부(510)는 연결핀(511), 볼핀수용구(512), 볼핀(513)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연결부(520)는 연결핀(521), 볼핀수용구(522), 볼핀(523)을 포함하며,
    상기 댐퍼의 상단에 볼핀(513)이, 댐퍼의 하단에 볼핀(523)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연결핀(511)이 고정되고, 연결핀(511)의 하부에는 볼핀수용구(512)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120)에는 연결핀(521)이 고정되고, 연결핀(521)의 상부에는 볼핀수용구(522)가 구비되거나,
    상기 댐퍼의 상단에 연결핀(511)이 고정되고, 연결핀(511)의 상부에는 볼핀수용구(512)가 구비되며, 상부플레이트(110)에는 볼핀(513)이 고정되고, 댐퍼의 하단에 연결핀(521)이 고정되고, 연결핀(521)의 하부에는 볼핀수용구(522)가 구비되며, 하부플레이트(120)에는 볼핀(523)이 고정되어,
    상기 볼핀수용구(512)에 볼핀(513)이, 상기 볼핀수용구(522)에 볼핀(523)이 삽입됨으로써, 댐퍼의 설치 각도가 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댐퍼와 코일스프링(600)은 탄성패드(200)의 중심으로부터 일직선 상에 위치하되, 코일스프링(600)이 댐퍼의 외측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이고, 상기 댐퍼와 코일스프링(600)이 90°의 위상차로 각각 4개씩 구비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6.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스프링(600)은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의 하부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상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7.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마찰댐퍼(300) 또는 오일댐퍼(4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8.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탄성패드(20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사이에 하부앤드플레이트(700)가 구비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9.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플레이트(110)와 하부플레이트(12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10. 제1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패드(200)의 평면 형상이 사각형 또는 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딩 탄성받침.









KR1020240035538A 2024-03-14 2024-03-14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Active KR1027311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5538A KR102731122B1 (ko) 2024-03-14 2024-03-14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35538A KR102731122B1 (ko) 2024-03-14 2024-03-14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31122B1 true KR102731122B1 (ko) 2024-11-15

Family

ID=9345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5538A Active KR102731122B1 (ko) 2024-03-14 2024-03-14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3112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93B1 (ko) * 2005-02-25 2007-05-25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흡진베어링장치
KR101008664B1 (ko) 2008-05-20 2011-01-17 유니슨이앤씨(주) 일방향 가동형 납면진받침
KR101934365B1 (ko) * 2018-07-20 2019-01-02 주식회사 에이이 내진 보강용 오일 댐퍼 장치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303102B1 (ko) * 2020-07-09 2021-09-16 윤철희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용 댐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0193B1 (ko) * 2005-02-25 2007-05-25 (주)엠피기술산업 구조물용 흡진베어링장치
KR101008664B1 (ko) 2008-05-20 2011-01-17 유니슨이앤씨(주) 일방향 가동형 납면진받침
KR101934365B1 (ko) * 2018-07-20 2019-01-02 주식회사 에이이 내진 보강용 오일 댐퍼 장치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2303102B1 (ko) * 2020-07-09 2021-09-16 윤철희 건축 구조물의 내진성능 보강용 댐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21751B2 (en) Frictional non rocking damped base isolation system to mitigate earthquake effects on structures
US8438795B2 (en) Multi-directional torsional hysteretic damper (MTHD)
ES2585208T3 (es) Amortiguador pasivo
US20150076315A1 (en) Three-dimensional shock-absorbing device
JP4545920B2 (ja) 橋梁における免震構造系
KR20110019587A (ko) 댐퍼 분리형 면진받침
KR100965236B1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트러스교
KR100635478B1 (ko) 저 마찰 구름운동 진자받침
KR101105370B1 (ko) 앵글형 편심 회전판을 이용한 변위 증폭형 제진 시스템
KR101365093B1 (ko) 구조물 지지용 면진장치
KR101351069B1 (ko) 완충구조를 갖는 감쇠용 교좌장치
KR102731122B1 (ko) 상하방향 및 수평방향 충격흡수 성능이 우수한 슬라이딩 탄성받침
KR20010074179A (ko) 일체형 다방향 면진받침
KR20090033671A (ko) 진동 흡수가 가능한 교량
CN114016396A (zh) 一种用于三跨桥梁横向抗震的组合支撑结构
KR20090112512A (ko) 쐐기형 전단키
KR100997697B1 (ko) 교량용 면진받침
JP2005187185A (ja) タワークレーンのマスト水平支持装置
JP7487041B2 (ja) 防振床構造
KR20100045328A (ko) 변위 증폭형 제진 시스템
KR101070259B1 (ko) 변위 증폭형 제진 시스템
KR102731110B1 (ko) 상하방향 감쇠성능이 우수한 구조물 받침
JP2023100172A (ja) 免震用ダンパー機構
JP5095015B1 (ja) 免震装置
KR20020095271A (ko) 교량의 탄성 슬라이드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3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31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