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30535B1 -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 Google Patents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30535B1
KR102730535B1 KR1020180158663A KR20180158663A KR102730535B1 KR 102730535 B1 KR102730535 B1 KR 102730535B1 KR 1020180158663 A KR1020180158663 A KR 1020180158663A KR 20180158663 A KR20180158663 A KR 20180158663A KR 102730535 B1 KR102730535 B1 KR 1027305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frame
insert
cell
fuel cel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86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0944A (ko
Inventor
유진혁
정병헌
허성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586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30535B1/ko
Priority to US16/548,614 priority patent/US11050074B2/en
Priority to CN201910881565.8A priority patent/CN111293329B/zh
Priority to DE102019215468.9A priority patent/DE102019215468A1/de
Publication of KR202000709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09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305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3053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04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membrane-electrode assemblies [M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58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characterised by the configuration of channels, e.g. by the flow field of the reactant or coola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02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 H01M8/0267Collectors; Separators, e.g. bipolar separators; Interconnectors having heating or cooling means, e.g. heaters or coolant flow channe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73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with sealing or supporting means in the form of a fr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2Details
    • H01M8/0271Sealing or supporting means around electrodes, matrices or membranes
    • H01M8/0286Processes for forming se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07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related to heat exchange
    • H01M8/04067Heat exchange or temperature measuring elements, thermal insulation, e.g. heat pipes, heat pumps, fins
    • H01M8/04074Heat exchange unit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fuel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089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of gaseous reacta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04Auxiliary arrangements, e.g. for control of pressure or for circulation of fluids
    • H01M8/04082Arrangements for control of reactant parameters, e.g. pressure or concentration
    • H01M8/04201Reactant storage and supply, e.g. means for feeding, pip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8/1016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yte material
    • H01M8/1018Polymeric electrolyte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1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 H01M8/242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with solid or matrix-supported electrolytes comprising framed electrodes or intermediary frame-like gask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H01M8/2483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characterised by internal manifo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10Fuel cells with solid electrolytes
    • H01M2008/1095Fuel cells with polymeric electroly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uel Cel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을 사용하여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막전극접합체 및 기체확산층과 일체로 접합되며, 반응가스 및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채널을 형성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은 연료전지의 단위 셀을 구성하는 셀 프레임으로서, 막전극접합체와, 그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확산층이 접합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가 배치되는 반응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외곽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Elastomer cell frame for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nit cell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을 사용하여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막전극접합체 및 기체확산층과 일체로 접합되며, 반응가스 및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채널을 형성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에 관한 것이다.
연료전지는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 에너지를 스택 내에서 전기 화학적으로 반응시켜 전기 에너지로 변환하는 일종의 발전장치로서, 산업용, 가정용 및 차량의 구동 전력을 공급할 뿐만 아니라 휴대용 장치와 같은 소형 전자 제품의 전력공급에 사용될 수 있으며, 최근 고효율의 청정 에너지원으로 점차 그 사용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일반적인 연료전지의 단위 셀은 가장 안쪽에 막전극접합체(MEA: Membrane-Electrode Assembly)가 위치하는데, 이 막전극접합체는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이 고분자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도포된 촉매층, 즉 공기극(cathode) 및 연료극(anode)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막전극접합체의 일면과 타면, 즉 공기극 및 연료극이 위치한 바깥 부분에는 반응가스를 공급하고 반응에 의해 발생된 생성수를 배출하는 한 쌍의 분리판이 배치된다. 이때 막전극접합체와 분리판 사이에는 반응가스 및 생성수의 유동을 확산시키거나 원활하게 하는 기체확산층(GDL: Gas Diffusion Layer)이 개재될 수 있다.
한편, 종래에는 단위 셀의 기밀 유지 및 적층 공정에서의 편의를 위하여 막전극접합체와 가스켓을 일체화시킨 막-전극-가스켓 접합체(Membrane-Electrode-Gasket Assembly, MEGA)를 제작하여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최근에는 막전극접합체에 기체확산층을 접합한 인서트와 가스켓을 일체화시킨 일체형 프레임이 제안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일체형 프레임은 플라스틱 재질의 프레임과 인서트를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합시켰다. 또한, 종래의 일체형 프레임을 사용하여 단위 셀을 제작하는 경우에 분리판과 일체형 프레임의 접합을 위하여 별도의 접착 부재 및 실링 부재가 필요하였다. 이러한 공정은 재료비용 및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일본공개특허공보 제2017-212126호 (2017.11.30)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11716호 (2018.02.02)
본 발명은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을 사용하여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막전극접합체 및 기체확산층과 일체로 접합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반응가스 및 냉각수를 유동시키는 채널을 형성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은 연료전지의 단위 셀을 구성하는 셀 프레임으로서, 막전극접합체와, 그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확산층이 접합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가 배치되는 반응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외곽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 프레임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서트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곽영역과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곽영역에는 상기 단턱부와 연통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안착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에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의 내주면과 안착홈부에 대면되는 제 2 탄성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인서트, 제 1 탄성체 프레임 및 제 2 탄성체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와 상기 인서트의 하면이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1 융착부와; 상기 제 2 탄성체 프레임, 상기 인서트의 상면 및 안착홈부가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2 융착부와;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와 상기 인서트의 측면이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3 융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탄성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은 열가소성 탄성체(TP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는 단면의 폭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이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연료전지 스택의 단위 셀을 구성하는 셀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막전극접합체의 양면에 각각 기체확산층을 접합하여 인서트를 준비하는 인서트 준비단계와;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을 준비하는 탄성체 프레임 준비단계와; 상기 인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을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상호 간을 열융착시켜서 일체로 형성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 프레임 준비단계에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은 열가소성 탄성체(TPE)를 시트의 형태로 성형하여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 사이에 상기 인서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이 서로 대면되는 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단계에서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에 가해지는 열은 상기 탄성체 프레임의 용융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합단계에서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면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연료전지용 단위 셀은 막전극접합체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가 배치되는 반응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외곽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탄성체 셀 프레임과;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양면에 배치되어 반응가스 및 냉각수의 유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분리판을 포함한다.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은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상기 분리판에 접하면서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접하는 영역에 상기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분리판은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접하는 영역을 둘러싸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분리판 또는 인서트와의 계면 접합을 위해 별도의 접착 부재가 불필요하고, 이에 따라 재료비 저감 및 접착제 도포 공정 등을 삭제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둘째, 별도의 실링 부재 없이 반응영역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고, 실링 부재가 불필요하게 됨에 따라 재료비 저감 및 씰링 부재 성형 공정 등을 삭제하여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셋째, 반응영역에서 생성된 수분이 전해질막을 통하여 셀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원천 차단할 수 있기에 셀 간 전기적 쇼트를 방지할 수 있고, 수분에 누출에 의한 연료전지 스택이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반응영역 이외의 영역에 사용되던 전해질막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재료비 측면에서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다.
다섯째, 종래의 플라스틱 프레임 대비 셀 피치 저감에 유리하고, 부피 저감을 통한 스택 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여섯째, 종래의 플라스틱 프레임에 접착 부재 및 실링 부재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중량 저감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일곱째, 연료전지의 스택 적층시 일체화 공정 축소로 생산 라인 단순화 및 스택 생산성(셀 적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덟째, 단위 셀 구성 부품을 금형 내 안착 후 열융착하여 일체화함으로써, 인서트와의 접합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불량률 저감 및 대량생산을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며,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의 접촉면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 구성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의 접촉면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이며,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이때, 도 3a는 도 1의 A-A선에 대한 단면이고, 도 3b는 도 1의 B-B선에 대한 단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은 한 쌍의 분리판과 함께 연료전지의 단위 셀을 구성하는 요소로서, 막전극접합체(110)와 그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확산층(120)이 접합된 인서트(100)와; 열융착에 의해 상기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면서 분리판(10)과의 접촉에 의해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채널이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210, 220)을 포함한다.
인서트(100)는 막전극접합체(110)와 한 쌍의 기체확산층(120)을 적층시킨 접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막전극접합체(110)의 일면 및 타면에 기체확산층(120)이 각각 배치되어 적층된다.
막전극접합체(110)는 수소 양이온(Proton)을 이동시켜 줄 수 있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이 고분자 전해질막 양면에 수소와 산소가 반응할 수 있도록 도포된 촉매층, 즉 공기극(cathode) 및 연료극(anode)으로 구성되는 일반적인 막전극접합체로 구현된다.
기체확산층(120)은 분리판을 통하여 유동되는 반응가스를 막전극접합체(110)로 확산시키면서 통과시키는 수단으로서, 기재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기재와, 기재의 일면으로 형성되는 미세기공층(MPL)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기재 및 미세기공층의 소재는 일반적인 기체확산층에 적용되는 소재로 구현된다.
탄성체 프레임(200, 300)은 인서트(100)의 기밀 유지 및 적층 공정에서의 편의를 위하여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단으로서, 탄성체 프레임(200, 300)은 소정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열융착에 의해 접착하기 위하여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로 형성된다.
특히, 탄성체 프레임(200, 300)은 인서트(100)가 배치되는 반응면 관통홀(210, 310)이 형성되며, 반응면 관통홀(210, 310)의 외곽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 322a)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 3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 322a)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210, 3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260a, 321a)가 형성되고,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 322b)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210, 3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랜드돌기(260b, 321b)가 형성된다.
부연하자면, 탄성체 프레임(200, 300)은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에서 인서트(100)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200, 300)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이란 인서트(100)의 가장자리 영역과 그 주변의 공간을 포함하는 영역을 의미하고, 인서트(100)의 '테두리'란 인서트(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 프레임(200, 300)은 인서트(100)의 테두리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1 탄성체 프레임(200)과; 인서트(100)의 테두리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서트(100)의 테두리에서 제 1 탄성체 프레임(20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이 서로 중첩된다.
부연하자면,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은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에서 인서트(100)의 테두리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는 인서트(100)가 배치되는 제 1 반응면 관통홀(210)이 형성되고, 제 1 반응면 관통홀(210)의 내주면에는 인서트(100)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턱부(24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곽영역과 복수의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곽영역에는 단턱부(240)와 연통되는 안착홈부(250)가 형성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부(250)는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의 일측에 3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과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의 타측에 3개가 일렬로 형성되는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 중 각각 중앙에 형성되어 냉각수가 유동되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과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의 외곽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3 개의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 중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과 제 1 반응면 관통홀(2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입 랜드돌기(260a)가 형성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3 개의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 중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과 제 1 반응면 관통홀(2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배출 랜드돌기(26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은 인서트(100)의 테두리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는데, 이때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에는 인서트(100)가 배치되는 제 2 반응면 관통홀(310)이 형성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안착홈부(2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부(320)가 형성되어 인서트(100)의 테두리에서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단턱부(240)의 내주면과 안착홈부(250)에 대면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의 연장부(320)에는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 1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220) 및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에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에 제 2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322a) 및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322b)이 형성된다. 이때 제 2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322a) 및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322b)의 개수는 연장부가 형성되는 영역에 형성된 제 1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220) 및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의 연장부(320) 중 제 2 유입매니폴드 관통홀(322a)과 제 2 반응면 관통홀(3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입 랜드돌기(321a)가 형성되고,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의 연장부(320) 중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322b)과 제 2 반응면 관통홀(3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배출 랜드돌기(321b)가 형성된다.
한편, 인서트(100), 제 1 탄성체 프레임(200) 및 제 2 탄성체 프레임(300) 사이에는, 각각 서로 대면되는 계면에 열융착에 의한 융착부가 형성되어 상호간에 견고한 접합 및 일체화가 이루어진다.
부연하자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의 단턱부(240)와 인서트(100)의 하면이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1 융착부(H1)와; 제 2 탄성체 프레임(300), 인서트(100)의 상면 및 안착홈부(250)가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2 융착부(H2)와;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의 단턱부(240)와 인서트(100)의 측면이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3 융착부(H3)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탄성체 프레임은 그 형상을 변경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은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서트(100)와 탄성체 프레임(200, 300)을 포함한다. 이때 인서트(100)는 전술된 실시예의 인서트(100)와 동일하다.
그리고, 탄성체 프레임(200, 300)도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탄성체 프레임(20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250)의 위치 및 개수와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에 형성되는 연장부(320)의 위치 및 개수가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250)는 3개가 형성된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 중 양측 측방에 형성되어 반응가스를 유동시키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의 외곽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3 개의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 중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220)과 제 1 반응면 관통홀(2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입 랜드돌기(260a)가 형성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3 개의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 중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과 제 1 반응면 관통홀(2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배출 랜드돌기(260b)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은 인서트(100)가 배치되는 제 2 반응면 관통홀(310)이 형성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안착홈부(250)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부(320)가 형성되어 인서트(100)의 테두리에서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단턱부(240)의 내주면과 안착홈부(250)에 대면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의 연장부(320)에는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형성된 제 1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220) 및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230)에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에 제 2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322a) 및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322b)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의 연장부(320) 중 제 2 유입매니폴드 관통홀(322a)과 제 2 반응면 관통홀(3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입 랜드돌기(321a)가 형성되고, 제 2 탄성체 프레임(300)의 연장부(320) 중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322b)과 제 2 반응면 관통홀(310)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배출 랜드돌기(321b)가 형성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은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인서트(100)와 탄성체 프레임(400, 500을) 포함한다. 이때 인서트는 전술된 실시예의 인서트(100)와 동일하다.
그리고, 탄성체 프레임(400, 500)도 전술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 1 탄성체 프레임(40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500)으로 이루어진다. 다만, 탄성체 프레임(400, 5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421, 422)과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431, 432)의 위치 변경에 따라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 형성되는 안착홈부(460)의 위치 및 개수와 제 2 탄성체 프레임(500)의 형상이 변경된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는 인서트(100)가 배치되는 제 1 반응면 관통홀(410)이 형성되고, 제 1 반응면 관통홀(410)의 내주면에는 인서트(100)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턱부(440)가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을 기준으로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2개의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421)이 상부에 형성되고, 냉각수가 유동되는 1개의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422)이 좌측부에 형성되며, 냉각수가 유동되는 1개의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432)이 우측부에 형성되고,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2개의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431)이 하부에 형성된다.
또한,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422) 및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432)의 외곽영역과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에 해당되는 영역에 안착홈부(46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제 1 유입매니폴드 관통홀(421)과 제 1 반응면 관통홀(410) 사이 영역에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유입 랜드돌기(450a)가 형성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는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431)과 제 1 반응면 관통홀(410) 사이 영역에 반응가스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1 배출 랜드돌기(450b)가 형성된다. 이때 제 2 탄성체 프레임(500)에는 상기 제 1 유입 랜드돌기(450a) 및 제 1 배출 랜드돌기(450b)와 인서트(100)가 배치된 영역 사이를 연장시키는 제 1 유입연장 랜드돌기(550a) 및 제 1 배출연장 랜드돌기(550b)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500)는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 형성된 단턱부(440) 및 안착홈부(460)이 형성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져서, 인서트(100)가 배치되는 제 2 반응면 관통홀(510)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500)에는 제 1 탄성체 프레임(400)에 형성된 제 1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422) 및 제 1 배출매니폴드 관통홀(432)에 대응되는 형상 및 위치에 제 2 유입 매니폴드 관통홀(521) 및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52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500)에는 제 2 유입매니폴드 관통홀(521)과 제 2 반응면 관통홀(510) 사이 영역에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유입 랜드돌기(530a)가 형성되고, 제 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522)과 제 2 반응면 관통홀(510) 사이 영역에는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제 2 배출 랜드돌기(530b)가 형성된다.
한편, 본 발명은 탄성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의 계면 형상을 변경하여 상호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의 접촉면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 구성도이고,
도 6 내지 도 8은 도 1의 C-C선에 대한 단면에 해당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61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620)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612, 62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탄성체 프레임(620)의 측부를 경사면(621)으로 형성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610) 중 단턱부(611)가 형성되는 내주면을 제 2 탄성체 프레임(620)의 측부 경사면(621)에 대응되는 경사면(612)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호간의 계면을 경사면(612, 621)으로 형성하여 계면의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상호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71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720)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 탄성체 프레임(720)의 측면 및 하면에 다수의 접착돌기(721)를 형성하고, 제 1 탄성체 프레임(710)의 내주면 및 단턱부(711) 중 접착돌기(721)가 형성된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접착돌기(721)가 인입되는 접착홈(712)을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상호간의 계면에 형성된 접착돌기(721)와 접합홈(712)의 구조에 의해 계면의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상호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접착돌기(721) 및 접합홈(712)의 단면 형상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삼각형 및 타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81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820)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을 곡면(811, 821)으로 형성하여 제 1 탄성체 프레임(81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820)의 계면 면적을 확장시킬 수 있다.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의 접촉면 관계를 보여주는 평면 구성도로서, 도 1의 C-C선 영역의 평면도를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91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920)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탄성체 프레임(910)과 제 2 탄성체 프레임(920)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측면에는 다수의 접착돌기(912, 921)와 이에 대응되는 접착홈(911, 922)이 형성되어 서로 인입되어 접촉된다. 이렇게 상호 간의 계면에 형성된 접착돌기(912, 921)와 접합홈(911, 922)의 구조에 의해 계면의 면적을 확장시킴으로써 상호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도 마찬가지로 접착돌기(912, 921)와 접합홈(911, 922)의 단면 형상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형, 삼각형 및 타원형과 같이 다양한 형상으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체 프레임에는 분리판과의 기밀 및 접착을 위한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탄성체 프레임(810)의 하면에는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을 따라 인서트(100)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돌기씰(812)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탄성체 프레임(820)의 상면에는 인서트(100)의 외곽영역을 따라 인서트(100)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2 돌기씰(822)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은 막전극접합체의 양면에 각각 기체확산층을 접합하여 인서트를 준비하는 인서트 준비단계와;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을 준비하는 탄성체 프레임 준비단계와; 상기 인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을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상호 간을 열융착시켜서 일체로 형성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한다.
인서트 준비단계는 막전극접합체와 기체확산층을 접합하여 인서트를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막전극접합체는 고분자 전해질막과, 이 고분자 전해질막 양면에 공기극(cathode) 및 연료극(anode)이 형성되는 일반적인 막전극접합체를 준비한다.
또한, 기체확산층도 기재 단독으로 이루어지거나 기재와, 기재의 일면으로 형성되는 미세기공층(MPL)으로 이루어지는 일반적인 기체확산층을 준비한다.
그리고, 막전극접합체의 양면에 기체확산층을 적층하여 인서트를 준비한다.
탄성체 프레임 준비단계는 인서트의 상면과 하면에 배치되는 시트 형태의 탄성체 프레임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이때 탄성체 프레임은 열가소성 탄성체(TPE; Thermo Plastic Elastomer)를 시트의 형태로 성형하여 준비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탄성체를 사출성형에 의해 시트 형태로 성형하여 탄성체 프레임을 준비한다.
배치단계는 인서트의 테두리가 제 1 탄성체 프레임 및 제 2 탄성체 프레임과 중첩되도록 배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이 제 1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에 안착되고, 해당 영역을 제 2 탄성체 프레임이 덮는 형태로 배치된다.
접합단계는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과 인서트를 탄성체 프레임의 열융착에 의해 상호 간에 접합시키는 단계이다.
이를 위하여 핫프레스 금형 내에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과 인서트를 안착시킨다. 이때 인서트는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 사이에 개재되도록 배치한다.
그리고, 핫프레스 금형을 작동시켜 인서트의 외곽영역에 해당되는 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시킴으로서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이 접합되는 동시에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과 인서트로 서로 접합된다.
그래서,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과 인서트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도 그 계면에서 탄성체 프레임이 열융착되면서 접합된다.
이때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과 인서트의 견고한 접합을 위하여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에 가해지는 열은 상기 탄성체 프레임의 용융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은 분리판과 함께 연료전지용 단위 셀을 구성한다.
부연하자면, 연료전지용 단위 셀은 막전극접합체와, 그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확산층이 접합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탄성체 셀 프레임과;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양면에 배치되어 반응가스 및 냉각수를 유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분리판을 포함한다.
이때 탄성체 셀 프레임은 전술된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되어 구현되는 탄성체 셀 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의 접합은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을 대면하여 적층한 상태에서 탄성체 셀 프레임이 열융착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 사이에는 열융착 없이 적층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분리판의 냉각면에 가스켓이 형성된 경우에는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을 대면하여 적층한 상태에서 가스켓에 형성된 영역의 가열에 의해 가스켓과 탄성체 셀 프레임이 열융착되면서 이루어질 수 있고, 서로 다른 단위 셀에 구성되어 서로 인접되는 분리판의 냉각면끼지 대면되는 경우에는 분리판끼리 용접하거나 접착제에 의해 접착시킬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용 단위 셀은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분리판에 접하면서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채널이 형성된다.
이렇게 채널을 형성하기 위한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의 형상과 분리판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도 10 내지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요부 단면도이다.
유입 랜드돌기와 배출 랜드돌기는 그 형상을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이하에는 유입 랜드돌기를 예로 하여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랜드돌기(260)는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에 분리판(10)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되, 그 단면의 폭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유입 랜드돌기(260)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유입 랜드돌기(260)의 단면 폭을 점점 좁아지게 형성하는 이유는 제 1 탄성체 프레임(200)과 분리판(10)의 적층 및 접합을 위하여 제 1 탄성체 프레임(200)과 분리판(10)을 압착하는 경우에 제 1 탄성체 프레임(200)이 압축에 의한 변형으로 채널(C)이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2 및 도 13과 같이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분리판을 압착하는 경우에 유입 랜드돌기의 형상을 유지시키면서 그 위치가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분리판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10)은 유입 랜드돌기(260)가 접하는 영역에 유입 랜드돌기(260)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인입홈(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판(10)은 유입 랜드돌기(260)가 접하는 영역을 둘러싸는 가이드 돌기(12)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을 첨부 도면과 전술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된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100: 인서트
110: 막전극접합체(MEA)
120: 기체확산층(GDL)
200,300,400,500,610,620,710,720,810,820,910,920: 탄성체 프레임
210, 310, 410, 510: 반응면 관통홀
220, 322a, 421, 422: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230, 322b, 431, 432: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240: 단턱부
250: 연장홈부
260a, 321a, 450a: 유입 랜드돌기
260b, 321b, 450b: 배출 랜드돌기
H1 ~ H3: 융착부

Claims (17)

  1. 연료전지의 단위 셀을 구성하는 셀 프레임으로서,
    막전극접합체와, 그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확산층이 접합된 인서트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이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가 배치되는 반응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외곽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은
    상기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 및 측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내주면에는 상기 인서트의 하면 및 측면을 감싸는 단턱부가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곽영역과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외곽영역에는 상기 단턱부와 연통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는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상면을 둘러싸도록 배치되면서, 상기 안착홈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연장부가 형성되어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에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의 내주면과 안착홈부에 대면되는 제 2 탄성체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인서트, 제 1 탄성체 프레임 및 제 2 탄성체 프레임 사이에는,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와 상기 인서트의 하면이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1 융착부와;
    상기 제 2 탄성체 프레임, 상기 인서트의 상면 및 안착홈부가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2 융착부와;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의 단턱부와 상기 인서트의 측면이 대면되어 열융착되는 제 3 융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체 프레임과 제 2 탄성체 프레임은 상호 간에 대면되는 영역이 서로 대응되는 요철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을 형성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은 열가소성 탄성체(TPE)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는 단면의 폭이 돌출되는 방향으로 점점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8. 연료전지 스택의 단위 셀을 구성하는 셀 프레임을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막전극접합체의 양면에 각각 기체확산층을 접합하여 인서트를 준비하는 인서트 준비단계와;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된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을 준비하는 탄성체 프레임 준비단계와;
    상기 인서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을 배치하는 배치단계와;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상호 간을 열융착시켜서 일체로 형성하는 접합단계를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 준비단계에서 상기 탄성체 프레임은 열가소성 탄성체(TPE)를 시트의 형태로 성형하여 준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는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 사이에 상기 인서트가 개재된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이 사로 대면되는 영역 중 일부 또는 전부에 열을 가하면서 압착하여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을 접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에서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에 가해지는 열은 상기 탄성체 프레임의 용융온도보다 높은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
  12.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접합단계에서는 별도의 접착부재 없이 한 쌍의 탄성체 프레임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면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의 제조방법.
  13. 막전극접합체와;
    그 양면에 배치되는 한 쌍의 기체확산층이 접합된 인서트의 외곽영역에서 상기 인서트의 테두리 하면과 상면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시트형 탄성체 프레임이 별도의 접착 부재 없이 상호 간에 열융착되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가 배치되는 반응면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반응면 관통홀의 외곽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입되는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배출되는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유입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입 랜드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배출매니폴드 관통홀 중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과 반응면 관통홀 사이 영역에는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경로를 형성하는 배출 랜드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체 프레임을 포함하는 탄성체 셀 프레임과;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양면에 배치되어 반응가스 및 냉각수의 유동을 유도하는 한 쌍의 분리판을 포함하는 연료전지용 단위 셀.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과 분리판은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이 열융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단위 셀.
  15.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상기 분리판에 접하면서 반응가스 및 냉각수가 유동되는 채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단위 셀.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접하는 영역에 상기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는 인입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단위 셀.
  17.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상기 탄성체 셀 프레임의 유입 랜드돌기 및 배출 랜드돌기가 접하는 영역을 둘러싸는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용 단위 셀.
KR1020180158663A 2018-12-10 2018-12-10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Active KR1027305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63A KR102730535B1 (ko) 2018-12-10 2018-12-10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US16/548,614 US11050074B2 (en) 2018-12-10 2019-08-22 Elastomeric cell frame for fuel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unit cell using the same
CN201910881565.8A CN111293329B (zh) 2018-12-10 2019-09-18 燃料电池的弹性电池框架及制造方法和使用其的单元电池
DE102019215468.9A DE102019215468A1 (de) 2018-12-10 2019-10-09 Elastomerer Zellrahmen für Brennstoffzell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sowie Einheitszelle dam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8663A KR102730535B1 (ko) 2018-12-10 2018-12-10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0944A KR20200070944A (ko) 2020-06-18
KR102730535B1 true KR102730535B1 (ko) 2024-11-13

Family

ID=70776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8663A Active KR102730535B1 (ko) 2018-12-10 2018-12-10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50074B2 (ko)
KR (1) KR102730535B1 (ko)
CN (1) CN111293329B (ko)
DE (1) DE102019215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0786B2 (ja) * 2020-11-20 2023-07-1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JP7456373B2 (ja) * 2020-12-25 2024-03-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EP4181245A1 (en) * 2021-11-12 2023-05-17 AVL List GmbH Frame device for a fuel stack and fuel cell device comprising the same
KR20240006380A (ko) * 2022-07-06 2024-01-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카트리지 어셈블리
DE102022208819A1 (de) 2022-08-25 2024-03-07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Elektrochemische Zelle, Brennstoffzellenstapel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elektrochemischen Zelle
CN116014200B (zh) * 2022-12-09 2024-10-18 大连海事大学 一种高功率密度液流电池正负极电极框一体化流场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217A (ja) * 2007-06-11 2009-01-29 Panasonic Corp 燃料電池用の電極−膜−枠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60256B1 (ja) * 2013-04-18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3172A1 (fr) * 2000-11-21 2002-05-30 Nok Corporation Partie constitutive pour pile a combustible
EP1633010B1 (en) * 2003-05-12 2016-04-27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omposite porous body, member for gas diffusion layer, cell member,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KR100801430B1 (ko) * 2006-10-16 2008-02-05 현대하이스코 주식회사 연료전지용 분리판, 이를 구비하는 연료전지 시스템 및연료전지 스택
DE102009010794A1 (de) * 2009-02-27 2010-09-02 Li-Tec Battery Gmbh Galvanische Zelle mit Rahm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JP2015113984A (ja) 2013-12-09 2015-06-22 株式会社知的未来 足部環境調整装置
KR101620155B1 (ko) * 2014-01-22 2016-05-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셀 및 그 제조 방법
JP6534250B2 (ja) 2014-09-03 2019-06-26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遅延蛍光体用ホスト材料、有機発光素子および化合物
JP6237675B2 (ja) * 2015-03-03 2017-11-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単セル及び燃料電池単セルの製造方法
JP2017212126A (ja) 2016-05-26 2017-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
JP6521912B2 (ja) 2016-07-25 2019-05-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単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547731B2 (ja) * 2016-12-13 2019-07-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スタック
KR102676724B1 (ko) * 2016-12-16 2024-06-1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전지 셀 프레임
JP6783695B2 (ja) * 2017-04-07 2020-11-1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燃料電池単セル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21217A (ja) * 2007-06-11 2009-01-29 Panasonic Corp 燃料電池用の電極−膜−枠接合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660256B1 (ja) * 2013-04-18 2015-01-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固体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5747A1 (en) 2020-06-11
DE102019215468A1 (de) 2020-06-10
US11050074B2 (en) 2021-06-29
CN111293329B (zh) 2024-03-15
CN111293329A (zh) 2020-06-16
KR20200070944A (ko) 202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730535B1 (ko)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US10811715B2 (en) Fuel-cell unit cel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CN112310431B (zh) 用于燃料电池的弹性体电池框架及其制造方法和单元电池
CN106611864B (zh) 燃料电池用带树脂框的电解质膜-电极构造体
US20180159160A1 (en) Manufacturing method for fuel cell
KR102683799B1 (ko)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JP7257851B2 (ja) 燃料電池用弾性体セルフレー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とそれを用いた単位セル
CA2861978C (en) Fuel cell with sealing structure between the frame and separator
KR20200132294A (ko)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연료전지 스택
WO2006033374A1 (ja) 単電池、単電池の製造方法、燃料電池、燃料電池の製造方法
CN112751054A (zh) 燃料电池的单元电池
JP7236913B2 (ja) 燃料電池用分離板組立体およびこれを含む燃料電池スタック
JP4880995B2 (ja) 燃料電池モジュー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JP7205381B2 (ja) 燃料電池の製造方法
JP6150060B2 (ja) フレーム付き膜電極接合体、燃料電池用単セル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
KR20210076468A (ko) 연료전지용 탄성체 셀 프레임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단위 셀
KR20250007789A (ko) 연료전지 스택용 일체화 단위셀
KR20250039091A (ko) 일체화 연료전지
JP2014165040A (ja) 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用の電極―膜―枠接合体の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高分子電解質型燃料電池
JP2006351342A (ja) 燃料電池スタック、燃料電池スタックのシール部材及び燃料電池スタックの製造方法
CN118216023A (zh) 具有膜电极单元、扩散层和分布板的电化学电池和用于制造电化学电池的方法
JPH04245163A (ja) 積層電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129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