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9714B1 - 멀티 뎁스(multi-depth) 이미지 생성 및 뷰잉 - Google Patents
멀티 뎁스(multi-depth) 이미지 생성 및 뷰잉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9714B1 KR102729714B1 KR1020180169483A KR20180169483A KR102729714B1 KR 102729714 B1 KR102729714 B1 KR 102729714B1 KR 1020180169483 A KR1020180169483 A KR 1020180169483A KR 20180169483 A KR20180169483 A KR 20180169483A KR 102729714 B1 KR102729714 B1 KR 10272971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de
- image
- images
- displayed
- us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419 depend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5—Interaction with a metaphor-based environment or interaction object displayed as three-dimensional, e.g. changing the user viewpoint with respect to the environment or objec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6—Drag-and-dro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7/00—Three dimensional [3D] modelling, e.g. data description of 3D objects
- G06T17/005—Tree description, e.g. octree, quadtre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4—Transparency, e.g. transparent or translucent window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24—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omet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Image Analysis (AREA)
- Image Processing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로 이미지를 트리 구조로 삽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로 이미지를 삽입한 경우를 설명하는 예시도,
도 4는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조작에 따른 멀티 뎁스 이미지 생성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뎁스 이미지에서의 개체 간 전환을 위한 일 예시도,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멀티 뎁스 이미지에서의 개체 간 전환을 위한 또 다른 예시도이다.
Claims (15)
- 복수의 개체들을 멀티 뎁스(multi-depth)의 트리 구조로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제1 개체와 제2 개체를 연결하는 노드 속성 및 상기 제1 개체 내의 좌표 속성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제1 모드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개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임; 및
상기 제1 개체 내의 좌표 속성 없이 상기 노드 속성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개체 내에서 상기 좌표 속성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삽입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개체 내의 위치를 지정함 없이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에 삽입하되,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제1 개체 내부의 특정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배치하는 사용자 조작으로부터 생성되고,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은 상기 전자 장치에 표시된 상기 제1 개체 외부의 영역에 상기 제2 개체를 배치하는 사용자 조작으로부터 생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개체 내에서 상기 좌표 속성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개체가 상기 제1 모드로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제1 마커를 표시하고,
상기 제1 개체의 가장자리 부분에 상기 제2 개체가 상기 제2 모드로 삽입되어 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복수의 개체들을 멀티 뎁스(multi-depth)의 트리 구조로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제1 개체와 제2 개체를 연결하는 노드 속성 및 상기 제1 개체 내의 좌표 속성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제1 모드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개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임; 및
상기 제1 개체 내의 좌표 속성 없이 상기 노드 속성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개체 내에서 상기 좌표 속성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삽입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개체 내의 위치를 지정함 없이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에 삽입하되,
상기 제2 개체가 상기 제1 개체에 상기 제2 모드로 삽입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방향성을 갖는 제스처를 수신하면, 상기 제스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제1 개체와 상기 제2 개체 간을 전환하며 표시하되, 상기 제1 개체와 상기 제2 개체 간의 전환의 정도가 상기 제스처의 이동 길이에 따라 다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은 서로 중첩된 제1 개체와 제2 개체 간의 투명도를 상기 제스처의 이동 길이에 따라 점진적으로 조절함으로써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중단되면 상기 제1 개체와 상기 제2 개체 중 중단 시점에서의 투명도가 낮은 개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중단되면 중단 시점에서의 투명도를 가지는 상기 제1 개체와 상기 제2 개체를 서로 중첩해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삭제
- 복수의 개체들을 멀티 뎁스(multi-depth)의 트리 구조로 구성하기 위한 전자 장치에서의 방법에 있어서,
제1 개체와 제2 개체를 연결하는 노드 속성 및 상기 제1 개체 내의 좌표 속성을 포함하는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제1 모드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와 연관시키는 단계, 상기 제1 개체는 2차원 또는 3차원 이미지임; 및
상기 제1 개체 내의 좌표 속성 없이 상기 노드 속성을 포함하는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와 연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개체 내에서 상기 좌표 속성에 의해 지시되는 위치에 상기 제2 개체를 삽입하고,
상기 제2 모드에서는 상기 제1 개체 내의 위치를 지정함 없이 상기 제2 개체를 상기 제1 개체에 삽입하되,
상기 제2 개체가 복수의 이미지로 구성된 이미지 그룹인 경우, 상기 제1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하나의 이미지는 상기 제1 모드로 상기 제1 개체 내에 삽입되고,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 나머지 이미지들은 상기 제2 모드로 상기 하나의 이미지에 삽입되며,
상기 하나의 이미지 상에 상기 나머지 이미지들이 상기 제2 모드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 그룹 내의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체가 상기 이미지 그룹인 경우, 상기 제2 사용자 명령을 수신하면,
상기 이미지 그룹을 상기 제2 모드로 상기 제1 개체 내에 삽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체 내에 상기 이미지 그룹이 상기 제2 모드로 삽입되었음을 나타내는 제2 마커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이미지 그룹 내의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이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0 또는 1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복수의 이미지 중의 임의의 이미지가 표시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방향성을 가지는 제스처를 수신하면, 상기 제스처의 방향 및 속도에 따라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을 순차적으로 디스플레이되는 방향 및 속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가 중단되면, 상기 복수의 이미지들 중 중단된 시점에 표시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제5항 및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해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에 의해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9483A KR102729714B1 (ko) | 2018-12-26 | 2018-12-26 | 멀티 뎁스(multi-depth) 이미지 생성 및 뷰잉 |
EP19906003.9A EP3905019A4 (en) | 2018-12-26 | 2019-12-16 | GENERATION AND VISUALIZATION OF MULTI-DEPTH IMAGES |
JP2021537194A JP7229587B2 (ja) | 2018-12-26 | 2019-12-16 | イメージ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US17/418,400 US11354028B2 (en) | 2018-12-26 | 2019-12-16 | Multi-depth image generation and viewing |
PCT/KR2019/017773 WO2020138801A1 (ko) | 2018-12-26 | 2019-12-16 | 멀티 뎁스 이미지 생성 및 뷰잉 |
JP2023017269A JP7481044B2 (ja) | 2018-12-26 | 2023-02-08 | マルチデプスイメージの作成及びビューイン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69483A KR102729714B1 (ko) | 2018-12-26 | 2018-12-26 | 멀티 뎁스(multi-depth) 이미지 생성 및 뷰잉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00079849A KR20200079849A (ko) | 2020-07-06 |
KR102729714B1 true KR102729714B1 (ko) | 2024-11-13 |
Family
ID=71126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69483A Active KR102729714B1 (ko) | 2018-12-26 | 2018-12-26 | 멀티 뎁스(multi-depth) 이미지 생성 및 뷰잉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US (1) | US11354028B2 (ko) |
EP (1) | EP3905019A4 (ko) |
JP (2) | JP7229587B2 (ko) |
KR (1) | KR102729714B1 (ko) |
WO (1) | WO2020138801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39169A (ko) * | 2018-10-05 | 2020-04-16 |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 멀티 뎁스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 |
KR20220090103A (ko) * | 2020-12-22 | 2022-06-29 |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 멀티 뎁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레이블링하고 어노테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295B1 (ko) * | 2008-04-17 | 2009-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
US20110122153A1 (en) * | 2009-11-26 | 2011-05-26 | Okamura Yuki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KR101501028B1 (ko) * | 2013-04-04 | 2015-03-12 | 박정환 |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2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723454B2 (ko) * | 1973-09-14 | 1982-05-19 | ||
US6362839B1 (en) * | 1998-09-29 | 2002-03-26 | Rockwell Software In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mechanical emulation with graphical objects in an object oriented computing environment |
JP2001314648A (ja) * | 2000-05-10 | 2001-11-13 | Namco Ltd | ゲーム装置および情報記憶媒体 |
GB2391149B (en) * | 2002-07-19 | 2005-10-26 | Autodesk Canada Inc | Processing scene objects |
JP2004288170A (ja) | 2003-03-05 | 2004-10-14 | Olympus Corp | 三次元モデル検索方法及びシステム |
JP2006313991A (ja) | 2005-05-06 | 2006-11-16 | Canon Inc | 画像データ保管管理装置、画像データ保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
JP5339667B2 (ja) | 2005-06-10 | 2013-11-13 | キヤノン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方法 |
JP4835135B2 (ja) | 2005-12-06 | 2011-12-14 | ソニー株式会社 |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JPWO2007105364A1 (ja) | 2006-03-06 | 2009-07-30 | 株式会社ジャストシステム | 文書処理装置及び文書処理方法 |
JP4052664B2 (ja) | 2006-04-17 | 2008-02-27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画像情報処理システム |
EP2333683A1 (en) * | 2009-11-06 | 2011-06-15 | Dassault Systèmes | Method and system for designing an assembly of objects in a system of computer-aided design |
US8515137B2 (en) * | 2010-05-03 | 2013-08-20 | Microsoft Corporation | Generating a combined image from multiple images |
WO2013047541A1 (ja) * | 2011-09-28 | 2013-04-04 | シャープ株式会社 | 視認性を高める表示装置および表示方法 |
US10573045B2 (en) | 2012-12-19 | 2020-02-25 | Shutterfly, Llc | Generating an assembled group image from subject images |
US10824313B2 (en) * | 2013-04-04 | 2020-11-03 | P.J. Factory Co., Ltd. | Method and device for creating and editing object-inserted images |
KR102512755B1 (ko) | 2015-12-11 | 2023-03-23 | 삼성전자주식회사 |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
JP6680085B2 (ja) * | 2016-05-31 | 2020-04-15 | 富士通株式会社 | 表示制御方法、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プログラム |
JP2018124608A (ja) | 2017-01-30 | 2018-08-09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故障サポートシステムおよび故障サポートシステムの制御方法 |
US10635841B2 (en) * | 2017-02-23 | 2020-04-28 | OPTO Interactive, LLC | Method of managing proxy objects |
KR102644105B1 (ko) * | 2017-12-29 | 2024-03-06 |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 멀티 심도 이미지의 자동 생성 방법 |
KR102509976B1 (ko) * | 2017-12-29 | 2023-03-14 |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 이미지 패닝 방법 |
KR20200039169A (ko) * | 2018-10-05 | 2020-04-16 | 주식회사 피제이팩토리 | 멀티 뎁스 이미지 표시 장치 및 방법 |
-
2018
- 2018-12-26 KR KR1020180169483A patent/KR102729714B1/ko active Active
-
2019
- 2019-12-16 EP EP19906003.9A patent/EP3905019A4/en not_active Withdrawn
- 2019-12-16 US US17/418,400 patent/US11354028B2/en active Active
- 2019-12-16 JP JP2021537194A patent/JP7229587B2/ja active Active
- 2019-12-16 WO PCT/KR2019/017773 patent/WO2020138801A1/ko unknown
-
2023
- 2023-02-08 JP JP2023017269A patent/JP7481044B2/ja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00295B1 (ko) * | 2008-04-17 | 2009-05-2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디바이스와 이동 통신 시스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방법 |
US20110122153A1 (en) * | 2009-11-26 | 2011-05-26 | Okamura Yuki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
KR101501028B1 (ko) * | 2013-04-04 | 2015-03-12 | 박정환 | 개체가 삽입된 이미지를 생성하고 편집하는 방법 및 그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0138801A1 (ko) | 2020-07-02 |
KR20200079849A (ko) | 2020-07-06 |
US20220066627A1 (en) | 2022-03-03 |
US11354028B2 (en) | 2022-06-07 |
JP7229587B2 (ja) | 2023-02-28 |
JP2023079226A (ja) | 2023-06-07 |
EP3905019A1 (en) | 2021-11-03 |
JP2022515462A (ja) | 2022-02-18 |
EP3905019A4 (en) | 2022-09-28 |
JP7481044B2 (ja) | 2024-05-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193556B2 (ja) | 携帯端末におけるユーザーインタフェースの提供方法及び装置 | |
US10684757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for independently moving and regrouping selected objects | |
CN101896880B (zh) | 用于提供使用分割的屏幕的图形用户界面(gui)的方法和使用该方法的多媒体装置 | |
US10452223B2 (en) | Three-dimensional space for navigating objects connected in hierarchy | |
CN100334532C (zh) | 三维运动图形用户界面以及提供该界面的方法和设备 | |
JP7481044B2 (ja) | マルチデプスイメージの作成及びビューイング | |
US20090187864A1 (en) | Dynamically Scalable Hierarchy Navigation | |
US20120151408A1 (en) | Dynamic network browser | |
US20140052763A1 (en) |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 |
JP2005267390A (ja) |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方法,記録媒体 | |
KR20120082418A (ko) | 디지털 정보 콘텐츠의 카탈로그를 탐색하는 방법 | |
CN108804002A (zh) | 交互智能设备的文本注释方法和装置 | |
KR20150021722A (ko) | 스크롤 실행의 화면 표시 방법, 장치 및 기록매체 | |
KR20150019064A (ko) | 계층정보 표시방법 및 이를 이용한 계층정보 표시장치 | |
US20140304311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file in portable terminal | |
KR101589969B1 (ko) | 네트워크형 파일 관리 방법 및 시스템 | |
US11243678B2 (en) | Method of panning image | |
US8566359B1 (en) | Unfolding sparse data sets | |
US20230252701A1 (en) | Method for generating multi-depth image | |
US11677929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multi-depth image | |
KR20220090103A (ko) | 멀티 뎁스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레이블링하고 어노테이션하는 방법 및 장치 | |
KR20210150260A (ko) | 멀티 뎁스 이미지를 생성하는 방법 | |
KR102233008B1 (ko) | 이미지 관리 장치 및 방법 | |
JP2008077432A (ja) | ファイルの管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 |
CN102981694A (zh) | 与平台无关的用户接口/用户体验和人类交互范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81226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1122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812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0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09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