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8382B1 -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 Google Patents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8382B1
KR102728382B1 KR1020220130397A KR20220130397A KR102728382B1 KR 102728382 B1 KR102728382 B1 KR 102728382B1 KR 1020220130397 A KR1020220130397 A KR 1020220130397A KR 20220130397 A KR20220130397 A KR 20220130397A KR 102728382 B1 KR102728382 B1 KR 1027283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chain
botulinum toxin
botulinum
3flag
pcs4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51355A (ko
Inventor
백광현
최해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알케미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알케미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알케미어
Priority to KR102022013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8382B1/ko
Priority to PCT/KR2023/015475 priority patent/WO2024080682A1/ko
Publication of KR20240051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8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838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4/00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C07K14/195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 C07K14/3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bacteria from Clostridium (G)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63Introduction of foreign genetic material using vectors; Vectors; Use of hosts therefor; Regulation of express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9/00Enzymes; Pro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for preparing, activating, inhibiting, separating or purifying enzymes
    • C12N9/14Hydrolases (3)
    • C12N9/48Hydrolases (3) acting on peptide bonds (3.4)
    • C12N9/50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 C12N9/52Proteinases, e.g. Endopeptidases (3.4.21-3.4.25) derived from bacteria or Archaea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YENZYMES
    • C12Y304/00Hydrolases acting on peptide bonds, i.e. peptidases (3.4)
    • C12Y304/24Metalloendopeptidases (3.4.24)
    • C12Y304/24069Bontoxilysin (3.4.24.69), i.e. botulinum neurotox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Toxic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특정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얻어진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가 억제됨으로써, 유의성 있게 증가된 생체내 반감기를 갖는다.

Description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Light chain mutants of Botulinum toxin}
본 발명은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보툴리눔 경쇄 단백질'로도 지칭된다)의 변이체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특정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얻어진, 반감기가 증가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에 관한 것이다.
진핵세포 내에서 일어나는 단백질의 분해는 리소좀(lysosome)과 프로테아좀(proteasome)에 의한 두 가지 경로를 통해 이루어진다. 단백질의 10%-20%를 분해하는 리소좀 경로는 기질 특이성 및 정교한 시간적 조절성이 없다. 즉 내포운동(endoxytosis)에 의해 세포 내로 함입되어 들어간 세포 표면단백질이 리소좀에서 분해되는 것처럼 대부분 세포 외 또는 막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진핵세포에서 단백질들이 선택적으로 분해되기 위해서는 유비퀴틴(ubiquitin) 결합 효소에 의해 목표단백질에 유비퀴틴이 결합한 후 폴리유비퀴틴 사슬이 형성되고, 이것이 프로테아좀에 의해 인지되어 분해되는 과정, 즉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 (ubiquitin-proteasome pathway)를 거쳐야 한다. 진핵세포 단백질 중 80% 이상은 이 과정을 거쳐서 분해되며, 유비퀴틴-프로테아좀 경로는 진핵세포 내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단백질 분해를 조절함으로써, 단백질의 기능전환과 항상성을 담당한다.
보툴리눔 독소는 약 100 kDa의 중쇄(heavy chain) 및 약 50 kDa의 경쇄가 이황화 결합으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황화 결합은 독소의 생물학적인 활성화와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결합력이 약하여 다른 주변 요인에 의해 쉽게 절단된다. 중쇄는 2개의 기능적 말단(terminal)으로 구성되어 있다. N-말단 부위는 전위부로 이중 지질층에 이온 통로를 형성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C-말단부는 결합부로 독소가 세포막에 부착하여 내재화(internalization)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경쇄는 아연 의존성 펩티드 중간 분해 효소의 역할을 한다. 보툴리눔 독소는 대부분 안면 미용 목적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다. 미간, 이마 등의 주름개선 용도로 독소를 피부에 주사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또한, 독소를 통한 신경의 마비 등의 장점으로 인해 질병 치료에도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는 보통 6개월 내외의 효과를 나타내며, 이후에는 피부 및 질병 부위가 원래의 형태를 찾는다. 보툴리눔 독소의 지속적인 주입은 내성을 유도할 수 있으며, 부작용 또한 배제할 수 없기 때문에 가능한 소량의 독소를 주입하면서 효과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자들은 보툴리눔 독소의 생체 내 반감기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장기간 지속되는 시술 혹은 적은 용량을 이용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가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경로를 거친다는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변이체를 제작하여 유비퀴탄화 분해경로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특정 라이신(즉, 335번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얻어진 변이체가 유비퀴틴화 분해가 유의성 있게 억제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특정 라이신(즉, 335번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얻어진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특정 라이신(즉, 335번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335번의 라이신이 아르기닌으로 치환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상기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태양에 따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335번의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는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가 억제됨으로써, 유의성 있게 증가된 생체내 반감기를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는 장기간 지속되는 시술 혹은 적은 용량을 이용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보툴리눔 독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B16F10 세포주 내에서 플라스미드 유전자인 보툴리눔 경쇄의 양을 증가시키며 형질감염을 유도한 후 발현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유비퀴틴화 분석 실험을 통한 보툴리눔 경쇄의 분해조절 경로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이다.
도 3은 야생형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단백질 및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단백질 변이체들의 유비퀴틴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4는 사이클로헥시미드를 처리한 후 세포 내 보툴리눔 경쇄의 안정화 정도를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4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 0.01 < p < 0.05, ns: p > 0.05).
본 발명자들은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가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경로를 거친다는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유도(site-directed mutagenesis)를 통하여,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에 대한 보존적 아미노산 치환 변이체, 즉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의 212번, 320번, 330번, 335번, 340번, 또는 417번째 라이신을 각각 아르기닌으로 치환한 변이체를 제작하여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 정도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이들 변이체 중 335번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여 얻어진 변이체(즉,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가 유의성 있게 억제된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를 나타냄으로써, 유의성 있게 증가된 생체내 반감기를 갖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상기 변이체는 장기간 지속되는 시술 혹은 적은 용량을 이용한 시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보툴리눔 독소의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의 변이체를 제공한다. 즉,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335번의 라이신이 아르기닌으로 치환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제공한다.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 및 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모두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은 서열번호 1과 같고, 이를 코딩하는 염기서열은 서열번호 2와 같다.
일 구현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는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변이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335번의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함으로써 제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기 서열번호 11 및 12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을 코딩하는 유전자(예를 들어,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을 갖는 유전자)를 주형으로 하여 중합효소연쇄반응을 수행함으로써 335번의 라이신이 아르기닌으로 치환된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얻을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335번의 라이신이 아르기닌으로 치환된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얻어진 유전자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방법에 따라, 발현 벡터를 제작한 후, 숙주세포를 형질감염시켜 형질감염된 세포를 얻을 수 있으며, 이를 배양함으로써 상기 변이체를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즉, 발현 벡터)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발현 벡터는 생명공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벡터, 예를 들어, pcDNA3, pCS4, pcDNA3.1 등을 빈 벡터(empty vector)로 사용하여 적절한 제한 효소를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빈 벡터는 필요에 따라 Flag 등의 표지로 표지된 벡터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즉, 발현 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를 포함한다. 상기 유전자는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될 수 있다. 숙주세포는 예를 들어, HEK293T 세포, B16F10 세포, A549 세포, A2780 세포, SKOV3 세포, HeLa 세포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또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335번의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치환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실험방법
(1) 발현벡터의 제작
제한효소 EcoR I 및 Xho I 을 사용하여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경쇄의 폴리뉴클레오티드를 pCS4-3Flag 벡터(4.3 kb)(E7908, Sigma-Aldrich)에 클로닝하여 야생형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의 발현벡터(pCS4-3Flag-Bont LC WT)를 제작하였다.
하기 표 1의 프라이머 세트를 사용하여, 부위 특이적 돌연변이유도(site-directed mutagenesis)를 통하여,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의 212번, 320번, 330번, 335번, 340번, 또는 417번 라이신을 각각 아르기닌으로 치환한 변이체를 제작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변이체는 위에서 클로닝된 pCS4-3Flag-Bont LC WT 야생형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 유전자를 주형으로 하고, 각각의 프라이머 세트를 이용하여 다음 조건으로 중합효소연쇄반응(polymerase chain reaction, PCR)을 수행하였다: 95℃에서 30초, 60℃에서 30초, 및 68℃에서 5분 40초로 총 12 사이클. 돌연변이유도를 통해 총 6개의 변이체 pCS4-3Flag-LC (K212R), pCS4-3Flag-LC (K320R), pCS4-3Flag-LC (K330R), pCS4-3Flag-LC (K335R), pCS4-3Flag-LC (K340R), 및 pCS4-3Flag-LC (K417R)를 제작하였다.
발현벡터 서열번호 서열
pCS4-3Flag-LC (K212R) 5 정방향 5'- GGT GCA GGC AGA TTT GCT -3'
6 역방향 5'- AGC AAA TCT GCC TGC ACC -3'
pCS4-3Flag-LC (K320R) 7 정방향 5'- TTT TAA AGA GAG ATA TCT CCT A -3'
8 역방향 5'- TAG GAG ATA TCT CTC TTT AAA A -3'
pCS4-3Flag-LC (K330R) 9 정방향 5'- CAT CTG GAA GAT TTT CGG -3'
10 역방향 5'- CCG AAA ATC TTC CAG ATG -3'
pCS4-3Flag-LC (K335R) 11 정방향 5'- TTT CGG TAG ATA GAT TAA AAT T -3'
12 역방향 5'- AAT TTT AAT CTA TCT ACC GAA A -3'
pCS4-3Flag-LC (K340R) 13 정방향 5'- AAT TTG ATA GGT TAT ACA AAA -3'
14 역방향 5'- TTT TGT ATA ACC TAT CAA ATT -3'
pCS4-3Flag-LC (K417R) 15 정방향 5'- ACT AAA CTA AGA AAT TTT ACT GG -3'
16 역방향 5'- CCA GTA AAA TTT CTT AGT TTA GT -3'
(2) 형질감염(transfection)
각각의 발현벡터를 사용하여 B16F10 세포(ATCC, CRL-6475)에 형질감염(Transfection)을 유도하였다. B16F10 세포주는 10% 소태아혈청(FBS, Gibco, Grand Island, NY, USA)와 1% 페니실린 및 스트렙토마이신(Gibco, Grand Island, NY, USA)이 포함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Gibco, Grand Island, NY, USA)에 5% CO2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였다. 보툴리눔 경쇄 WT, K212R, K320R, K330R, K335R, K340R, 또는 K417R 및 유비퀴틴 pRK5-HA-Ub의 형질감염을 위해, 보툴리눔 경쇄의 야생형 또는 변이체 3 μg, 유비퀴틴 3 μg, 600 μl의 NaCl과 폴리에틸렌이민 시약(PEI, Polysciences, Inc., Warrington, PA, USA) 42 μl, 혼합하여 상온에서 15분 반응시키고, B16F10 세포(1 x 106 세포)가 담긴 6 ml의 배양액에 혼합액을 넣어준 후, 37℃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3) 면역블롯팅(immunoblotting) 및 항체(antibody)
항-Flag 항체(MBL), 항-HA 항체(12CA5 hybridoma cell media) 및 항 β-actin 항체(Santa Cruz Biotechnology)를 이용하여 면역블롯팅을 수행하였다. SDS-PAGE 과정을 거친 후, 폴리비닐리덴다이폴로라이드(polyvinylidene difluoride, PVDF) 멤브레인(Millipore)으로 옮긴 후, HRP-결합 2차 항체를 이용하여 블롯 검출을 수행하였다.
(4) 면역침강
형질감염된 세포를 용액 완충액(lysis buffer)(50 mM Tris-HCl[pH 7.5], 1 mM EDTA, 10% 글리세롤, 300 mM NaCl 및 1% Triton X-100)에 얼음에서 20분간 용해시킨 후, 13,000 rpm으로 20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취하여 항체(Flag 항체)를 넣고 4℃에서 밤새 반응시킨 다음, A/G PLUS 아가로스 비드(Santa Cruz Biotechnology, Santa Cruz, CA, USA)를 넣고 4℃ 로테이터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켜, B16F10 세포주에서 발현된 단백질 중 Flag로 표지된 보툴리눔 경쇄(Flag-Bont LC)만을 얻어 내었다. 항체, 비드 및 단백질을 2X SDS(sodium dodecyl sulfate) 완충액과 혼합한 후, 100℃에서 7분간 끓여 결합을 끊고, 보툴리눔 경쇄의 구조적 풀림(unfolding)을 유도하여 SDS-PAGE를 수행하여 분리하였다. 분리된 단백질은 폴리비닐덴다이플로라이드 멤브레인으로 이동(transfer)시켜, 1차 항체[항-Flag(MBL), 항-HA(12CA5 hybridoma cell media) 및 항-β-actin(Santa Cruz Biotechnology)]를 2% 스킴밀크(skim milk)와 섞어주어 4℃에서 하룻밤 동안 반응시킨 후, 항-마우스 2차 단일클론항체를 이용하여 ECL (Enhanced chemiluminescence) 시스템으로 블롯을 감광필름에 현상하였다.
(5) 도출된 결과 확인 및 통계 분석
덴시토메터 분석(Densitometric analysis)은 Image J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로 수행하였고, Turkey는 GraphPad Prism version 5 (GraphPad Software)로 수행하였다. ANOVA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일원 분석 (one-way analysis)으로 수행하였다.
2. 실험결과
야생형 보툴리눔 경쇄 단백질의 발현벡터로 형질감된 세포에 대하여 아가로즈 겔 전기영동을 수행하였다. 항체를 이용하여 특이적으로 Flag-Bont LC만을 선별하였고, 정확한 단백질 크기를 확인하기 위하여 플라스미드 유전자의 양을 증가시키며 형질감염을 실시하였다. Flag-Bont LC은 약 51-54 kDa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고, 세포주 내에서 발현이 유도됨을 확인하였다(도 1).
보툴리눔 경쇄의 유비퀴틴화 분석을 위해 pCS4-3Flag-Bont LC WT 및 pRK5-HA-Ub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이용하여 B16F10 세포에 형질감염(Transfection)을 유도하였다. 면역침강분석법에 의해 세포주 내로 형질감염시킨 보툴리눔 경쇄를 침강시켜 유비퀴틴화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MG132 시약을 처리한 결과, 유비퀴틴화 정도가 증가한 것을 통해 보툴리눔 경쇄가 유비퀴틴-프로테아좀에 의한 분해경로를 거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2).
pCS4-3Flag-Bont LC WT, 3Flag-LC (K212R), pCS4-3Flag-LC (K320R), pCS4-3Flag-LC (K330R), pCS4-3Flag-LC (K335R), pCS4-3Flag-LC (K340R), pCS4-3Flag-LC (K417R), 및 pRK5-HA-Ub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이용하여 B16F10 세포에 형질감염(Transfection)을 유도하였으며, 상기와 동일한 유비퀴틴화 정도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335번째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한 변이체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비퀴틴화 정도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도 3).
pCS4-3Flag-Bont LC WT 및 pCS4-3Flag-LC (K335R) 플라스미드 유전자를 B16F10 세포에 동일한 양으로 형질감염을 유도하고, 24시간 후 각 세포배지에 사이클로헥시미드(cycloheximide: CHX)를 100 μg/ml 농도로 0시간, 12시간, 18시간 동안 처리한 다음, 면역침강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도 5는 도 4의 결과를 수치화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의 결과로부터, 335번째 라이신 잔기를 치환한 경우 반감기가 유의성 있게(즉, 18시간에서 1.69배)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7)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335번의 라이신이 아르기닌으로 치환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2. 제1항에 있어서, 서열번호 3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벡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를 코딩하는 유전자를 포함하는 벡터로 형질감염된 세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자가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포.
  7.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로 구성된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에 있어서, 335번의 라이신을 아르기닌으로 치환하는 것을 포함하는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의 반감기를 증가시키는 방법.
KR1020220130397A 2022-10-12 2022-10-12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Active KR102728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397A KR102728382B1 (ko) 2022-10-12 2022-10-12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PCT/KR2023/015475 WO2024080682A1 (ko) 2022-10-12 2023-10-10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397A KR102728382B1 (ko) 2022-10-12 2022-10-12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355A KR20240051355A (ko) 2024-04-22
KR102728382B1 true KR102728382B1 (ko) 2024-11-14

Family

ID=90669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397A Active KR102728382B1 (ko) 2022-10-12 2022-10-12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28382B1 (ko)
WO (1) WO2024080682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563A (ko) * 2015-08-27 2018-06-26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통증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20180080205A (ko) * 2015-10-02 2018-07-11 입센 바이오팜 리미티드 클로스트리디움 신경독소를 정제하는 방법
KR20190025906A (ko) * 2016-06-08 2019-03-12 칠드런'즈 메디컬 센터 코포레이션 조작된 보툴리눔 신경독소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1843B2 (en) * 2003-04-11 2008-03-11 Allergan, Inc. Botulinum toxin A peptides and methods of predicting and reducing immunoresistance to botulinum toxin therapy
NZ703378A (en) * 2010-05-20 2016-10-28 Allergan Inc Degradable clostridial toxin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70563A (ko) * 2015-08-27 2018-06-26 프레지던트 앤드 펠로우즈 오브 하바드 칼리지 통증 치료용 조성물 및 방법
KR20180080205A (ko) * 2015-10-02 2018-07-11 입센 바이오팜 리미티드 클로스트리디움 신경독소를 정제하는 방법
KR20190025906A (ko) * 2016-06-08 2019-03-12 칠드런'즈 메디컬 센터 코포레이션 조작된 보툴리눔 신경독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355A (ko) 2024-04-22
WO2024080682A1 (ko) 202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21797B2 (ja) ヒト疾患に関連する生物製剤およびタンパク質の産生のための修飾ポリヌクレオチド
JP6496386B2 (ja) クロストリジウム・ヒストリチクム(clostridium histolyticum)酵素およびその使用のための方法
KR102811896B1 (ko) 병리학적 석회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TWI709649B (zh) 製造經蛋白分解處理之多肽之方法
US5863782A (en) Synthetic mammalian sulphamidase and genetic sequences encoding same
US8298550B2 (en) PEGylated mutated Clostridium botulinum toxin
EP2776457B1 (en) Neurotoxins exhibiting shortened biological activity
UA129511C2 (uk) СПОСІБ ОДЕРЖАННЯ РОЗЧИННОГО ДВОЛАНЦЮГОВОГО BoNT/A БІЛКА
JP4368925B2 (ja) 基質特異性を変換した新規高機能酵素
JPWO2008143354A1 (ja) 酵素補充療法用医薬組成物
KR101535791B1 (ko) 개량형 이듀로네이트-2-설파타제 및 이의 용도
US11952602B2 (en) Variants of porcine trypsin
EP3576720B1 (en) Mutated arylsulfatase a
KR102728382B1 (ko) 보툴리눔 독소의 경쇄 변이체
WO2017192761A1 (en) Propionyl-coa carboxylas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CN107530407A (zh) 丙酰辅酶a羧化酶组合物及其用途
EP4471138A1 (en) Iga protease truncation, fusion protein comprising iga protease truncation, and use thereof
KR20250051812A (ko) 보툴리눔 독소 a2형의 경쇄 변이체
EP4365190A1 (en) Recombinant botulinum toxin type a light chain, recombinant botulinum toxin, and composition, use, and method thereof
EP4365191A1 (en) Recombinant botulinum toxin type a light chain, recombinant botulinum toxin, and composition, use, and method thereof
US20250230199A1 (en) Method for increasing half-life of botulinum toxin type a light chain protein
Tegoni et al. Structural studies on recombinant and point mutants of flavocytochrome b2
EP4043562A1 (en) Mutated arylsulfatase a with increased stability
JP4232423B2 (ja) 新規ユビキチン特異プロテアーゼ
JP2006515168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3032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