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8100B1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8100B1
KR102728100B1 KR1020220122805A KR20220122805A KR102728100B1 KR 102728100 B1 KR102728100 B1 KR 102728100B1 KR 1020220122805 A KR1020220122805 A KR 1020220122805A KR 20220122805 A KR20220122805 A KR 20220122805A KR 102728100 B1 KR102728100 B1 KR 102728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wall portion
connector
receptacle
plu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8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43559A (ko
Inventor
양강건
Original Assignee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28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8100B1/ko
Priority to CN202322524608.1U priority patent/CN220963955U/zh
Priority to US18/372,422 priority patent/US20240106168A1/en
Publication of KR20240043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8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810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01R13/642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by position or shape of contac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Means for preventing incorrect coupl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88Arrangements for power supp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Bases; Cases formed as an integral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이 제공된다.
플러그 커넥터는, 플러그 하우징과, 플러그 신호 단자와, 플러그 전원 단자와 체결벽을 포함한다.
리셉터클 커넥터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체결홈을 포함한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체결벽은 상기 체결홈에 위치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의 결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들이 상호 연결되는 경우, 솔더링(soldering)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각각의 기판과 연결되는 두 개의 커넥터가 사용되고, 상기 두 개의 커넥터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두 개의 커넥터 중 하나는 플러그 커넥터이며, 나머지 하나는 소켓 커넥터이다. 소켓 커넥터는 리셉터클(receptacle) 커넥터라고도 불리운다. 이러한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몰드부에 단자를 배치하여 형성될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와 소켓 커넥터는 서로 체결되어 전기 커넥터 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다.
전자 기기의 소형화 추세에 따라 커넥터의 소형화 및 저배화(低背化)되는 추세이다. 그러나, 피치를 줄이거나 부품을 작게 하여 커넥터를 소형화 및 저배화하는 데에는 어느 정도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한편, 커넥터가 소형화되면서 커넥터의 내구성을 확보하기가 전보다 어려워진 측면도 있다. 부재가 작으므로 이전보다 작은 힘에도 파손되거나 변형되기가 쉽기 때문이다.
또한, 부재가 작기 때문에, 오조립의 문제도 더 생기기 쉬워진다. 즉, 커넥터의 크기가 크다면 끼워맞춤에 비교적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방향을 잘못하여 끼워맞추는 경우가 적지만, 커넥터의 크기가 매우 작다면 끼워맞춤에 드는 힘의 크기도 작고, 그에 따라서 잘못된 방향으로 끼우는 경우(역 메이팅)에도 부재의 형상이 다소 무시되면서 끼워지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다.
또한, 변형의 일종으로서, 커넥터끼리의 결합 과정 중에, 또는 결합되어 있는 상태에서, 금속 재질의 단자가 특정의 형상으로 계속 유지되고 있으면 소성 변형이 발생할 수 있다. 소성 변형이란 탄성 변형의 반대 개념으로, 재질에 가해진 하중이 제거되더라도 재료가 가지고 있는 원래의 모양으로 되돌아가지 않는 변형을 유지하는 상태를 말한다. 모든 재료는 일반적으로 탄성을 가지고 있으나 응력이 발생하면 모양에 변형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점점 미세화되고 있는 커넥터의 단자에 있어서, 이러한 소성 변형을 방지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그리고, 커넥터의 수지 몰드(하우징)를 인서트 성형으로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 수지의 흐름성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하우징의 성형이 제대로 되는지가 결정되므로, 수지의 흐름성을 개선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통상적으로 금속 재질인 단자를 제작함에 있어서 제조의 방식(예컨대, 딥드로잉 방식의 사용 여부)에 따라서도 단자 자체 및 수지 몰드의 구조의 한계가 존재하는 바, 이러한 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또한, 인서트 성형 등에 있어서, 수지 사출물이 금속 재질을 덮는 문제점을 고려할 필요성도 존재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부재가 작기 때문에 생기는 오조립(역 메이팅) 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커넥터의 크기가 크다면 끼워맞춤에 비교적 큰 힘이 들기 때문에, 방향을 잘못하여 끼워맞추는 경우가 적지만, 커넥터의 크기가 매우 작다면 끼워맞춤에 드는 힘의 크기도 작고, 그에 따라서 잘못된 방향으로 끼우는 경우에도 부재의 형상이 다소 무시되면서 끼워지는 경우도 상정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a) 플러그 기저부 및 상기 플러그 기저부로부터 상면으로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b)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와,
(c)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단자와,
(d)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와 상기 플러그 전원 단자의 사이의 벽부에 형성된 체결벽
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e) 리셉터클 기저부 및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f)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g)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h)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체결홈
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체결벽은 상기 체결홈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벽은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에 위치하며,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넓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체결벽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 사이에 연결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벽은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고,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좁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연결벽의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내부 돌출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돌출벽의 상측에는 벽부보다 높게 형성된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상방 돌출부는 상기 관통홀에 위치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부 공간은 개방홀을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연결벽은 상기 개방홀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그에 의해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10, 20)는 매우 낮은 높이와 좁은 폭을 가지면서도, 역 메이팅(반대 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벽(10-5-CW)과 개방홀(20-5-D)의 결합 구조, 체결벽(10-5-MW)과 체결홈(20-5-MD)의 결합 구조, 상방 돌출부(20-5-P2)와 관통홀(10-5-PH)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만약 그 방향이 반대인 채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즉,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맞지 않는 방향으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에는 결합이 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넥터(10, 20)의 저배화(낮은 높이가 됨)에 의해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역 메이팅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또한, 만약 신호 단자(10-3, 20-3)마다 핀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라면, 역 메이팅이 된다는 것은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원 단자(10-1, 20-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역 메이팅은 커넥터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커넥터가 완전히 대칭 구조이어서 물리적인 파손이 없더라도, 각 핀마다의 역할에 따라서는 원치 않는 오신호의 입력, 또는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러한 역 메이팅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에는 벽부보다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벽(10-5-MW)이 존재하고, 리셉터클 커넥터(20)에는 벽부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방 돌출부(20-5-P2)가 존재한다. 체결벽(10-5-MW)과 상방 돌출부(20-5-P2)는 수지제로 되어 있어서, 도 8a, 도 9a와 같이 역메이팅되는 경우, 수지제인 체결벽(10-5-MW)과 상방 돌출부(20-5-P2)가 각각 상대방 커넥터와 먼저 닿기 때문에 각 커넥터가 보유하고 있는 2개의 전원단자가 동시에 닿는 일이 방지되어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소켓 커넥터(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3의 소켓 커넥터(2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AA 라인을 통해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BB 라인을 통해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쌍에 있어서 역메이팅이 방지되는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를 다른 각도에서 보면서, 또한 상방 돌출부(20-5-P2)의 단면에서 본 것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쌍에 있어서 역메이팅이 방지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를 다른 각도에서 보면서, 또한 체결벽(10-5-MW)의 단면에서 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플러그 커넥터(1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서 전기 커넥터란,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 커넥터(10)를, 경우에 따라서는 리셉터클 커넥터(20)('소켓 커넥터'라고도 함)를,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 커넥터(10)과 리셉터클 커넥터(20)의 양자 모두(또는 그 조립체)를 칭하는 용어로 쓰일 수 있다.
도 1에는, 일예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10-1)는 커넥터(1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1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1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1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1의 예에서 신호 단자(10-3)의 갯수는 3개이다.
하우징(10-5)은 기저부(10-5-B)를 갖는다. 하우징(10-5)은 기저부(10-5-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10-5-W)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등이 형성된다 .
필요에 따라, 벽부는 사각 형상으로 이어진 4개의 벽일 수도 있으나, 도 1의 예에는 하나의 벽부(10-5-W)가 도시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하우징(1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1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10)의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1에서, 좌측에 도시된 전원 단자(10-1)와 3개의 신호 단자(10-3)의 사이에는 연결벽(10-5-CW)이 존재한다. 연결벽(10-5-CW)은 하우징(10-5)의 일부이다.
연결벽(10-5-CW)은 벽부(10-5-W)의 일부로 볼 수도 있다. 또는 관점에 따라서는 분리되어 있는 벽부(10-5-W)의 사이에 연결벽(10-5-CW)이 있다고 볼 수도 있다. 즉, 연결벽(10-5-CW)은 플러그 커넥터(10)의 벽부(10-5-W)에 위치하며,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벽부(10-5-W)의 상측 및 측면보다 작게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벽(10-5-CW)과 벽부(10-5-W)의 사이(및 연결벽(10-5-CW)과 체결벽(10-5-MW)의 사이)에는 경사면(경사부)(10-5-I)이 존재한다.
후술하겠으나, 연결벽(10-5-C)(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1) 주변의 개방홀(20-5-D)이 위치한다.
그리고, 도 1에서 연결벽(10-5-CW)와 우측의 전원 단자(10-1)의 사이에는 체결벽(10-5-MW)이 존재한다. 이 체결벽(10-5-MW)은 벽부(10-5-W)의 양측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있다. 도 1에서 체결벽(10-5-MW)의 높이는 전원 단자(10-1)의 높이와 동일(또는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으나, 그 폭(Y 방향)은 벽부(10-5-W)보다 더 옆으로 돌출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연결벽(10-5-CW)의 양 옆에는 관통홀(10-5-PH)이 2개소 형성되어 있다. 즉, 하우징(10-5)이 관통되어 있는 부분이다. 후술할 도 5~7에서와 같이, 이 관통홀(10-5-PH)을 통해 상대 커넥터(20)의 상방 돌출부(20-5-P2)가 노출된다.
도 1에는 연결벽(10-5-CW)과 체결벽(10-5-MW)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이며, 반드시 이 둘을 모두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예컨대, 연결벽(10-5-CW) 없이 체결벽(10-5-MW)만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2에도 도 1과 마찬가지로 전원 단자(10-1), 신호 단자(10-3), 하우징(10-5)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10-5)은 기저부(10-5-B), 벽부(10-5-W), 연결벽(10-5-C), 경사부(10-5-I)를 갖는다.
경사부(10-5-I)는, 도면의 좌측의 벽부(10-5-W)와 연결벽(10-5-CW)의 사이에 하나, 도면의 우측의 벽부(10-5-W)와 연결벽(10-5-CW)의 사이에 다른 하나, 이렇게 총 2개소가 존재한다.
후술하겠으나, 연결벽(10-5-CW)(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1) 주변의 개방홀(20-5-D)이 위치한다.
이는 길이 방향으로 대칭이 아니므로(즉, 연결벽(10-5-CW)이 커넥터(10)의 길이 방향(X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상대 커넥터(20)와의 결합 방향을 알기 쉽게 하며, 오결합(잘못된 끼워맞춤)시에 곧바로 알 수 있게 하므로, 거꾸로 끼워맞추는 것을 방지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커넥터 중 소켓 커넥터(20)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소켓 커넥터(20)는 리셉터클 커넥터(20)라고도 한다.
도 3의 소켓 커넥터(20)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와 서로 끼워맞춰져 결합되는 구조이다. 물론, 도 1 및 도 3의 방향(특히, 상하 방향)은 구조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설정된 것이며, 도 1에 나타난 방향 및 도 3에 나타난 방향 그대로 끼울 수는 없고, 도 1의 플러그 커넥터(10)를 상하 반전(Z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시켜 도 3의 소켓 커넥터(20)에 끼우거나, 도 3의 소켓 커넥터(20)를 상하 반전(Z 방향이 상하 반전되도록)시켜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0)에 끼우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3에는, 일예로 소켓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하우징(20-5; 몰드부)이 도시되어 있다.
전원 단자(20-1)는 커넥터(20)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금속제의 구조체임과 동시에, 전원 전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신호 단자(20-3)는 데이터 신호를 입출력할 수 있다.
단, 이는 일예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컨대, 전원 단자(20-1)는 별도의 금구와 전원 단자로서 분리되어 만들어질 수도 있다.
또한, 예컨대, 신호 단자(20-3)는 0.3A의 전류를 허용하는 4개의 PIN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0.3A를 초과하여, 예컨대, 전원 단자로 기능하도록 5A의 전류까지 허용되는 단자일 수 있다. 단, PIN의 갯수가 4개라는 것은 일예이다. 참고로, 도 3의 예에서 신호 단자(20-3)의 갯수는 3개이다.
하우징(20-5)은 기저부(20-5-B)를 갖는다. 하우징(20-5)은 기저부(20-5-B)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벽부를 가지며, 벽부에,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등이 형성된다.
벽부는 크게 4개의 부분으로 형성되며, 제1 벽부(20-5-W1), 제2 벽부(20-5-W2), 제3 벽부(20-5-W3), 제4 벽부(20-5-W4)를 포함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1 벽부(20-5-W1)-제2 벽부(20-5-W2)-제3 벽부(20-5-W3)-제4 벽부(20-5-W4)의 순으로 연결되며, 제4 벽부(20-5-W4)는 다시 제1 벽부(20-5-W1)과 연결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소켓 커넥터(20)의 하우징(20-5; 몰드부)은 플라스틱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어 LCP(Liquid Crystal Polymer)일 수 있다. 또한, 하우징(20-5)은 수지 및 에폭시 등을 포함하는 절연체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플러그 커넥터(20)의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는 금속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어 구리일 수도 있고, 구리 합금에 금도금(니켈 언더 레이어)을 한 것일 수 있다.
도 3에서, 좌측에 도시된 전원 단자(20-1)와 3개의 신호 단자(20-3)의 사이에는 내부 돌출벽(20-5-P1)이 존재한다. 내부 돌출벽(20-5-P1)은 하우징(20-5)의 일부이며, 소켓 커넥터(20)의 기저부(20-5-B)의 상측으로 돌출한 부분이다.
내부 돌출벽(20-5-P1)은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사이의 낮은 벽으로 볼 수도 있다. 내부 돌출벽(20-5-P1)은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사이 중에서도, 제1 벽부(20-5-W1) 또는 제3 벽부(20-5-W3) 중의 어느 한쪽에 더 가깝게 치우쳐 있다. 도 3에서는 내부 돌출벽(20-5-P1)이 제3 벽부(20-5-W3)보다는 제1 벽부(20-5-W1)에 가깝게 형성되어 있다.
내부 돌출벽(20-5-P1)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는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높이보다 낮고, 그 외측부(커넥터(20)의 폭 방향으로 외측)는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의 높이보다 높다. 특히, 내부 돌출벽(20-5-P1)에 이어진 부분으로서, 소켓 커넥터(20)의 벽부의 양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인 외측부는 별도로 상방 돌출부(20-5-P2)라 칭하기로 한다.
한편, 내부 돌출벽(10-5-P1)이 그 주변의 벽부(20-5-W2, 20-5-W4)(및 상방 돌출부(20-5-P2)보다 낮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공간이 있는데, 이를 개방홀(20-5-D)이라 칭한다.
도 1, 도 2에서 설명한 연결벽(10-5-CW)(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구체적으로, 내부 돌출벽(20-5-P1) 주변의 개방홀(20-5-D)이 위치한다.
한편, 추가적으로, 내부 돌출벽(20-5-P1)보다 제1 벽부(20-5-W1)에 더 가까운 부분에는 체결홈(20-5-MD)이 형성되어 있다. 이 체결홈(20-5-MD)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체결벽(10-5-MW)(도 1, 도 2 참조; 주변의 벽부(10-5-W)와 높이는 동일(또는 거의 동일)하고 폭이 더 넓음)이 위치한다.
이렇게 결합하는 경우, 커넥터(10, 20)는 전체적으로 매우 낮은 높이와 좁은 폭을 가지면서도, 역 메이팅(반대 방향으로 끼워맞춤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연결벽(10-5-CW)과 개방홀(20-5-D)의 결합 구조, 체결벽(10-5-MW)과 체결홈(20-5-MD)의 결합 구조, 체결벽(10-5-MW)과 체결홈(20-5-MD)의 결합 구조, 상방 돌출부(20-5-P2)와 관통홀(10-5-PH)의 결합 구조로 인하여, 만약 그 방향이 반대인 채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즉, 커넥터(10, 20)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 서로 맞지 않는 방향으로 결합하려 하는 경우)에는 결합이 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그에 따라, 커넥터(10, 20)의 저배화(낮은 높이가 됨)에 의해 공간을 절약하면서도, 역 메이팅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된다.
도 1을 보면, 연결벽(10-5-CW)에 기인한 공간은 커넥터(10)의 폭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고, 도 3을 보면, 내부 돌출벽(내부 돌출부)(20-5-P1)에 기인한 공간(즉, 개방홀(20-5-D))은 커넥터(20)의 길이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처럼 가로 방향의 개구와 세로 방향의 개구가 서로 만나므로, 결합력도 제공하면서, 커넥터(10, 20)의 방향도 올바르게 하여 끼워맞춤(감합, 메이팅)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벽부(10-5-W)에 비해 폭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벽(10-5-MW)이,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체결홈(20-5-MD)에 결합되므로, 마찬가지로, 결합력도 제공하면서, 커넥터(10, 20)의 방향도 올바르게 하여 끼워맞춤(감합, 메이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만약 신호 단자(10-3, 20-3)마다 핀 역할이 구분되어 있는 경우라면, 역 메이팅이 된다는 것은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되었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전원 단자(10-1, 20-1)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즉, 역 메이팅은 커넥터의 파손을 초래할 수도 있지만, 커넥터가 완전히 대칭 구조이어서 물리적인 파손이 없더라도, 각 핀마다의 역할에 따라서는 원치 않는 오신호의 입력, 또는 원치 않는 쇼트 회로가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의하면 그러한 역 메이팅이 원천적으로 방지된다.
도 3에는 내부 돌출벽(20-5-P1), 상방 돌출부(20-5-P2), 체결홈(20-5-MD)이 모두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일예이며, 반드시 이 셋을 모두 가지는 것에 한정되지는 않고, 일부만을 가져도 좋다. 예컨대, 내부 돌출벽(20-5-P1) 및/또는 상방 돌출부(20-5-P2) 없이 체결홈(20-5-MD)만을 가지는 형태도 가능하다.
도 4는 도 3의 소켓 커넥터(20)를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도 4에도 도 3과 마찬가지로 전원 단자(20-1), 신호 단자(20-3), 하우징(20-5)이 도시되어 있다.
하우징(20-5)은 기저부(20-5-B), 벽부(20-5-W1 내지 20-5-W4), 내부 돌출벽(20-5-P1)을 갖는다.
내부 돌출벽(20-5-P1)의 중앙부는 낮은 높이이며, 그 외측부(커넥터의 폭 방향으로 외측)는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에 접하며, (신호 단자(20-3)가 있는 부분의) 제2 벽부(20-5-W2)와 제4 벽부(20-5-W4)보다 높게 형성되어 상방 돌출부(20-5-P2)를 형성한다.
도 1, 도 2의 연결벽(10-5-CW)(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는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1) 주변의 개방홀(20-5-D)이 위치함으로써, 두 커넥터(10, 20)가 서로 결합한다.
이는 길이 방향으로 대칭이 아니므로(즉, 연결벽(10-5-CW)이 커넥터(10)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 있고, 또한 내부 돌출벽(20-5-P1)도 마찬가지로 커넥터(20)의 길이 방향의 한쪽에 치우쳐 있으므로) 커넥터(10)와 커넥터(20) 사이의 결합 방향을 알기 쉽게 하며, 오결합(잘못된 끼워맞춤(역 메이팅))시에 곧바로 알 수 있게 하므로, 거꾸로 끼워맞추는 것을 방지한다.
그리고, 벽부(10-5-W)에 비해 폭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벽(10-5-MW)이,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체결홈(20-5-MD)에 결합되므로, 마찬가지로, 결합력도 제공하면서, 커넥터(10, 20)의 방향도 올바르게 하여 끼워맞춤(감합, 메이팅)할 수 있게 한다.
도 5는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의 좌표계는 도 3, 도 4의 소켓 커넥터(20)의 것과 일치하며, 도 1, 도 2의 플러그 커넥터(10)가 상하 반전되어 도 3, 도 4의 소켓 커넥터(20)에 결합된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5에 있어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W)은 도면의 우측에 치우쳐 있다. 그리고,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도 도면의 우측에 치우쳐 있다.
그렇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와 소켓 커넥터(20)가 이격 없이 잘 결합(끼워맞춤)되어 있다.
만약 도 5에서 소켓 커넥터(20)는 그대로 두고 플러그 커넥터(10)를 X 방향(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 반대로 돌려서 끼우려고 하면, (가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W)은 도면의 좌측에 치우치게 되며,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은 도면의 우측에 치우쳐 있게 되므로, 서로 잘 결합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W)(주변의 벽부(10-5-W)보다 낮고 폭이 좁음)에 의해 생기는 공간에 상대 커넥터인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달리 말하면, 내부 돌출벽(20-5-P1) 주변의 개방홀(20-5-D))이 위치하게 되어, 역 메이팅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벽부(10-5-W)에 비해 폭 방향으로 돌출된 체결벽(10-5-MW)이, 폭 방향으로 넓게 형성된 체결홈(20-5-MD)에 결합되므로, 마찬가지로, 결합력도 제공하면서, 커넥터(10, 20)의 방향도 올바르게 하여 끼워맞춤(감합, 메이팅)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도 5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관통홀(10-5-PH)을 통해 소켓 커넥터(20)의 상방 돌출부(20-5-P2)가 노출되며, 이는 다소간의 결합력을 제공할 수도 있고, 결합이 제대로 이루어졌는지 육안으로(또는 검사 장비를 통해)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수단이 된다.
도 6은 도 5의 AA 라인을 통해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의 단면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W)이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 위에 형성된 개방홀(20-5-D)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소켓 커넥터(20)의 내부 돌출벽(20-5-P1)의 외측부인 상방 돌출부(20-5-P2)이 플러그 커넥터(10)의 관통홀(10-5-PH)에 다소간 결합되고 노출되어 보이게 되어 있는 것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도 6에서 소켓 커넥터(20)는 그대로 두고 플러그 커넥터(10)를 X 방향(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 반대로 돌려서 끼우려고 하면, (가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연결벽(10-5-CW)과 개방홀(20-5-D)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고, 또한, 상방 돌출부(20-5-P2)와 관통홀(10-5-PH)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아, 서로 잘 결합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7은 도 5의 BB 라인을 통해 절단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난 절단면보다 제1 벽부(20-5-W1) 쪽으로 조금 더 다가간 모습을 나타낸다.
도 7의 단면에서는, 플러그 커넥터(10)의 체결벽(10-5-MW)이 소켓 커넥터(20)의 체결홈(20-5-MD)에 결합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만약 도 7에서 소켓 커넥터(20)는 그대로 두고 플러그 커넥터(10)를 X 방향(커넥터의 길이 방향)에서 반대로 돌려서 끼우려고 하면, (가상적으로) 플러그 커넥터(10)의 체결벽(10-5-MW)과 체결홈(20-5-MD)의 위치가 서로 맞지 않아, 서로 잘 결합되지 않을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도 8a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쌍에 있어서 역메이팅이 방지되는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a에서 보듯이, 플러그 커넥터(10)는 벽부보다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벽(10-5-MW)을 가지며,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벽부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방 돌출부(20-5-P2)를 갖는다.
체결벽(10-5-MW)과 상방 돌출부(20-5-P2)는 수지제(하우징(10-5, 20-5)의 일부)로 되어 있어서, 도 8a와 같이 역메이팅되는 경우, 수지제인 상방 돌출부(20-5-P2)가 상대방 커넥터와 먼저 닿기 때문에, 각 커넥터(10, 20)가 보유하고 있는 2개의 전원 단자(10-1, 20-1)가 동시에 닿는 일이 방지되어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8a의 예에서 도면의 오른쪽에서 상방 돌출부(20-5-P2)가 플러그 커넥터(10)에 닿아 있고, 이때 플러그 커넥터(10)의 도면상의 우측을 하방으로 누른다면,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는 서로 닿지만, 상방 돌출부(20-5-P2)의 존재로 인하여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는 닿을 수 없다.
도 8b는, 도 8a를 다른 각도에서 보면서, 또한 상방 돌출부(20-5-P2)의 단면에서 본 것이다.
상방 돌출부(20-5-P2)는 상대 커넥터(10)의 신호 단자(10-3)에 닿아 있지만,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은 닿아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는 서로 닿는 상태라면, 상방 돌출부(20-5-P2)의 존재로 인하여,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는 닿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9a는 본 발명의 커넥터의 쌍에 있어서 역메이팅이 방지되는 다른 예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에서 보듯이, 플러그 커넥터(10)는 벽부보다 양측으로 돌출된 체결벽(10-5-MW)을 가지며, 리셉터클 커넥터(20)는 벽부보다 상측으로 돌출된 상방 돌출부(20-5-P2)를 갖는다.
도 8a에서는 도면의 우측을 먼저 결합하였기에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이 닿아 있었다. 그러한 도 8a의 상황에서,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를 닿게 하기 위해 추가로 힘을 가하면(즉, 플러그 커넥터의 도면 좌측을 아래로 추가로 누르면) 도 9a와 같은 상황이 된다.
체결벽(10-5-MW)과 상방 돌출부(20-5-P2)는 수지제(하우징(10-5, 20-5)의 일부)로 되어 있어서, 도 9a와 같이 역메이팅되는 경우, 수지제인 체결벽(10-5-MW)과 상방 돌출부(20-5-P2)가 각각 상대방 커넥터와 먼저 닿기 때문에, 각 커넥터(10, 20)가 보유하고 있는 2개의 전원 단자(10-1, 20-1)가 동시에 닿는 일이 방지되어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도 8a와 같이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전원 우측의 전원 단자(20-1)가 닿아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10)를 도면 좌측부를 하방으로 누르면 도 9a와 같은 상황이 된다.
도 9a의 예에서 도면의 오른쪽에서 상방 돌출부(20-5-P2)가 플러그 커넥터(10)에 닿아 있는 것은 도 8a와 동일하지만, 플러그 커넥터(10)의 도면상의 우측을 하방으로 추가로 눌렀기 때문에, 도 8a에서는 붙어 있었던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는 서로 떨어지고, 상방 돌출부(20-5-P2) 및 체결벽(10-5-MW)의 존재로 인하여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는 닿을 수 있다(반드시 닿는 것은 아니고 커넥터의 형상에 의하지만, 닿을 수도 있는 위치가 된다).
즉, 도 8a의 상황에서는 도면 좌측에서 전원 단자(10-1)와 전원 단자(20-1)가 닿지 않았고, 도 9a의 상황에서는 도면 우측에서 전원 단자(10-1)와 전원 단자(20-1)가 닿지 않았다. 만약 도 8a에서 플러그 커넥터(10)의 도면 우측 부분을 먼저 누르지 않고 플러그 커넥터(10) 도면 좌측 부분을 먼저 눌렀다고 해도 결과는 마찬가지이다.
다시 말해,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는 닿을 수도 있고,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는 닿을 수도 있지만, 도면 좌우측의 2개의 전원 단자(10-1)가 도면 좌우측의 2개의 전원 단자(20-1)에 동시에 닿는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다.
그에 의해, 각 커넥터(10, 20)가 보유하고 있는 2개의 전원 단자가 동시에 닿는 일이 방지되어 쇼트가 발생하지 않는 효과를 갖는다.
도 9b는, 도 9a를 다른 각도에서 보면서, 또한 체결벽(10-5-MW)의 단면에서 본 것이다.
체결벽(10-5-MW)은 상대 커넥터(20)의 신호 단자(20-3) 또는 벽부(20-5-W2, 20-5-W4)에 닿아 있지만,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은 닿아 있지 않은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좌측의 전원 단자(20-1)는 서로 닿는 상태라면, 체결벽(10-5-MW) 및 상방 돌출부(20-5-P2)의 존재로 인하여,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10-1)와 도면 우측의 전원 단자(20-1)는 닿을 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플러그 커넥터
10-1: (플러그) 전원 단자
10-3: (플러그) 신호 단자
10-5: (플러그) 하우징(몰드부)
10-5-B: 기저부
10-5-W: 벽부
10-5-CW: 연결벽
10-5-I: 경사부(경사면)
10-5-MW: 체결벽
10-5-PH: 관통홀
20: 리셉터클 커넥터(소켓 커넥터)
20-1: (리셉터클) 전원 단자
20-3: (리셉터클) 신호 단자
20-5: (리셉터클) 하우징(몰드부)
20-5-W1: 제1 벽부
20-5-W2: 제2 벽부
20-5-W3: 제3 벽부
20-5-W4: 제4 벽부
20-5-P1: 내부 돌출벽
20-5-D: 개방홀
20-5-P2: 상방 돌출부
20-5-MD: 체결홈

Claims (8)

  1.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a) 플러그 기저부 및 상기 플러그 기저부로부터 상면으로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b)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와,
    (c)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단자와,
    (d)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와 상기 플러그 전원 단자의 사이의 벽부에 형성되며,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넓고, 상기 벽부보다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높이 방향으로 더 돌출된 체결벽
    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e) 리셉터클 기저부 및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f)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g)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h)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체결홈
    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체결벽은 상기 체결홈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체결벽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 사이에 연결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벽은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고,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좁은, 전기 커넥터의 쌍.
  4. 플러그 커넥터 및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으로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a) 플러그 기저부 및 상기 플러그 기저부로부터 상면으로 돌출되는 벽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하우징과,
    (b)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신호 단자와,
    (c) 상기 벽부에 설치되는 플러그 전원 단자와,
    (d) 상기 플러그 신호 단자와 상기 플러그 전원 단자의 사이의 벽부에 형성된 체결벽
    을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e) 리셉터클 기저부 및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1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벽부와 교차하는 제2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2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1 벽부와 대향하는 제3 벽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상기 제1 및 제3 벽부와 교차하며 상기 제2 벽부와 대향하는 제4 벽부를 포함하는 리셉터클 하우징과,
    (f) 적어도 상기 제2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신호 단자와,
    (g) 적어도 상기 제1 벽부에 설치되는 리셉터클 전원 단자와,
    (h)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체결홈
    을 포함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체결벽은 상기 체결홈에 위치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는, 상기 체결벽과 상기 플러그 커넥터의 벽부 사이에 연결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연결벽은 상기 벽부보다 높이가 더 낮고, 상기 벽부보다 폭이 더 좁으며,
    상기 연결벽의 양측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의 쌍.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 사이에 위치한 내부 돌출벽을 더 포함하며,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기 리셉터클 기저부의 상측으로 돌출하고, 또한,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의 폭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의 내측으로 돌출한, 전기 커넥터의 쌍.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벽의 상측에는 상기 제2 벽부와 상기 제4 벽부보다 높게 형성된 상방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는, 전기 커넥터의 쌍.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상방 돌출부는 상기 연결벽의 양측에 형성된 관통홀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돌출벽은 상부 공간은 개방홀을 형성하며,
    상기 플러그 커넥터와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를 끼워맞춤 완료하면, 상기 연결벽은 상기 개방홀에 위치하는, 전기 커넥터의 쌍.
KR1020220122805A 2022-09-27 2022-09-27 전기 커넥터 Active KR1027281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805A KR102728100B1 (ko) 2022-09-27 2022-09-27 전기 커넥터
CN202322524608.1U CN220963955U (zh) 2022-09-27 2023-09-18 电连接器对
US18/372,422 US20240106168A1 (en) 2022-09-27 2023-09-25 Electric connec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805A KR102728100B1 (ko) 2022-09-27 2022-09-27 전기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559A KR20240043559A (ko) 2024-04-03
KR102728100B1 true KR102728100B1 (ko) 2024-11-08

Family

ID=903586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805A Active KR102728100B1 (ko) 2022-09-27 2022-09-27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06168A1 (ko)
KR (1) KR102728100B1 (ko)
CN (1) CN220963955U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7282A1 (en) 2015-10-14 2018-10-04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JP2021082390A (ja) 2019-11-14 2021-05-27 株式会社フジクラ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22050226A (ja) * 2020-09-17 2022-03-30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23560B2 (ja) * 1996-05-29 2003-07-07 ケル株式会社 コネクタ
KR102646125B1 (ko) * 2019-07-04 2024-03-08 아이펙스 가부시키가이샤 커넥터 장치
KR102391830B1 (ko) * 2020-05-19 2022-04-28 히로세코리아 주식회사 기판 접속용 플러그 커넥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87282A1 (en) 2015-10-14 2018-10-04 Kyocera Corporation Connector and connector system
JP2021082390A (ja) 2019-11-14 2021-05-27 株式会社フジクラ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JP2022050226A (ja) * 2020-09-17 2022-03-30 株式会社フジクラ プラグコネクタ、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6168A1 (en) 2024-03-28
KR20240043559A (ko) 2024-04-03
CN220963955U (zh) 2024-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52468A1 (en) Receptacle connector
KR20200104727A (ko) 플러그 커넥터
US12095194B2 (en) Board-to-board connector and method for forming same
JP2019504456A (ja) 双方向両面電気コネクタ
KR102728100B1 (ko) 전기 커넥터
CN107978938B (zh) 同轴连接器
KR102728096B1 (ko) 전기 커넥터
US20160126685A1 (en) Hermaphroditic electrical connector
KR102718405B1 (ko) 플러그 커넥터
KR10278531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JPH10284197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の製造方法
KR10275866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플러그 커넥터, 및 커넥터 어셈블리
KR102785321B1 (ko) 리셉터클 커넥터
CN222088880U (zh) 电连接器
KR102754216B1 (ko) 전기 커넥터
KR102706995B1 (ko) 전기 커넥터
CN222802140U (zh) 电连接器
KR102815290B1 (ko) 전기 커넥터
KR102644055B1 (ko) 전기 커넥터
KR20250018667A (ko) 리셉터클 커넥터, 전기 커넥터 조립체
CN217882031U (zh) 电连接器
KR20230172873A (ko) 전기 커넥터
CN210379511U (zh) 一种超小型电流信号连接器公端
CN2671158Y (zh) 表面粘着型导电端子的电连接器
KR20250062053A (ko) 플러그 커넥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