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7167B1 -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와 분할커플링패널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 - Google Patents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와 분할커플링패널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7167B1 KR102727167B1 KR1020220029030A KR20220029030A KR102727167B1 KR 102727167 B1 KR102727167 B1 KR 102727167B1 KR 1020220029030 A KR1020220029030 A KR 1020220029030A KR 20220029030 A KR20220029030 A KR 20220029030A KR 102727167 B1 KR102727167 B1 KR 1027271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upling
- split
- pipe
- panel
- connect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13 ins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88 irreg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66 inser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79 reinforc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578 rel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6—Joints for connecting lengths of protective tubing or channels, to each other or to casings, e.g. to distribution boxes; Ensuring electrical continuity in the joint
- H02G3/0616—Joints for connecting tubing to cas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02—Details
- H02G3/0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 H02G3/18—Distribution boxes; Connection or junction boxes providing line outl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또한, 현장에 따라 변화되는 커넥터배치수요를 일정한 커넥터조합으로 정형화하여 함 일면에 모든 커넥터배치수요에 대응한 커넥터조합을 수용할 수 있는 일정 배관단말통구를 배치한 배관단말부를 형성하고 각 커넥터배치수요에 대응한 커플링조합을 배치한 분할커플링패널을 성형하여, 현장의 커넥터배치수요에 적합한 여러 커넥터의 조합을 쉽게 구성하여 함 일면에 쉽게 조립할 수 있어서, 제품의 안전성능과 품질을 향상하고, 생산성과 시공성 향상으로 인력을 절감하여 시공비용절감을 절감할 수 있는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에 분할한 분할커플링패널을 일체로 결합하여 함에 전선관을 접속하는 분할조립형커넥터가 개시된다.
또, 상기 결합부재로 분할커플링패널을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에 슬라이딩으로 끼워 결합할 수 있도록 배관단말부와 분할커플링패널에 슬롯결합테두리와 패널결합슬롯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페어로 형성되고 연결편걸림홈과 연결편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수의 페어로 형성되어 제1결합부재를 구성하고, 배관단말부와 분할커플링패널에 수평고정나사인서트와 수평나사공이 페어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수직고정나사인서트와 수직나사공이 페어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수의 페어로 형성되고 상기 각 나사공에 나사를 끼워서 상기 각 인서트에 조여 완성되는 제2결합부재를 구성하여, 분할조립형커넥터를 쉽게 조립하여 일체로 결합할 수 있는 결합수단을 제공하며,
또, 함과 별도로 분할하여 분리된 커플링형성플레이트의 커플링에 절개커플링일체형캡이 형성된 분할커플링패널을 구성하거나, 커플링형성플레이트의 커플링을 외커플링과 내커플링으로 분할하여 외커플링에 외커플링일체형캡을 형성하고 내커플링을 외커플링에 조립하여 분할커플링패널을 구성하여, 커플링에 캡을 조립하지 않아 추가로 인력을 절감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할조립형커넥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도 12는 종래의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함일체형커넥터가 함에 일체로 성형되어 고정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15는 종래의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착형커넥터 3개를 함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6은 종래의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착형커넥터 12개를 4행3열로 함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종래의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함일체형커넥터 6개가 1줄로 구성된 상태에서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나사결합부착형커넥터 6개를 1줄로 함에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개방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절개커플링일체형캡이 형성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외커플링일체형캡이 형성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가 1개, 2개, 3개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경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가 3개, 8개, 12개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경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분할조립형커넥터가 1번째 줄에 분리형캡이 결합되는 함일체형커넥터 6개가 구성된 함체에서 2번째 줄에 0개, 2개, 12개의 커넥터를 추가 형성하는 경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절개커플링일체형캡이 성형된 분할조립형커넥터가 6개, 8개, 12개의 커넥터를 형성하는 경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외커플링일체형캡이 성형된 분할조립형커넥터가 4개와 8개의 커넥터를 더하여 형성하는 경우를 함에서 분할된 상태에서 함의 폐쇄후방에서 조립하여 고정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11. 커넥터결합부(함체) 12. 커넥터결합통구(함체)
13. 배관단말통구
15. 커넥터결합수나사 16. 커넥터결합암나사
17. 커플링(배관연결통관) 41. 분리형캡
20. 함일체형커넥터(함체, 박스 등에 일체성형)
21. 커넥터배치부(함체) 22. 커넥터형성플레이트(함체)
23. 배관단말통구(함체)
27. 커플링(배관연결통관) 41. 분리형캡
30. 분할조립형커넥터(배관단말통구와 커플링 분할)
31. 배관단말부(함체) 32. 배관단말형성플레이트(함체)
33. 배관단말통구(함체) 34. 분할커플링패널
35. 커플링형성플레이트 36. 커플링(배관연결통관)
37. 외커플링 38. 내커플링
39. 구조보강리브 41. 분리형캡
46. 절개커플링일체형캡 48. 외커플링일체형캡
40. 캡(전선관홀딩고정)
41. 분리형캡 42. 내환형탄성걸림편
43. 커플링결합암나사 44. 캡결합수나사(커플링에 형성)
46. 절개커플링일체형캡 47. 절개형환탄성걸림편
48. 외커플링일체형캡
60. 제1결합부재
61. 연결편걸림홈 62. 연결편
64. 패널결합슬롯(함체) 68. 슬롯결합테두리(분할커플링패널)
70. 제2결합부재
71. 수평나사고정인서트 72. 수평나사공(분할커플링패널)
73. 수직나사고정인서트 74. 수직나사공(분할커플링패널)
75. 나사
Claims (3)
- 함 일면에 가요전선관이나 직관형전선관을 연결하는 배관커넥터를 구성함에 있어서
함 일면의 배관단말형성플레이트(32)에 전선관내경크기의 배선통구 주변이 전선관외경크기의 배관저지턱으로 작용하는 일정 수의 배관단말통구(33)와 분할커플링패널(34)와의 일정 결합수단의 해당부분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배관단말부(31);와
함과 별도로 분할하여 분리된 커플링형성플레이트(35)에 상기 배관단말통구(33)에 대응되고 배관접속이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하며 직접 또는 탄성걸림편이 형성된 부재인 캡(40)을 결합하여 배관을 연결하는 일정수의 커플링(36)과, 배관단말부(31)와의 일정 결합수단의 해당부분을 일체로 성형하여 구성하는 분할커플링패널(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31)와 분할커플링패널(34)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3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으로 분할커플링패널(34)을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31)에 슬라이딩으로 끼워 고정할 수 있도록, 배관단말부(31)의 패널결합슬롯(64)과 분할커플링패널(34)의 슬롯결합테두리(68)가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페어로 형성되고, 배관단말부(31)의 연결편걸림홈(61)과 분할커플링패널(34)의 연결편(62) 또는 배관단말부(31)의 연결편(62)과 분할커플링패널(34)의 연결편걸림홈(61)이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수의 페어로 형성되어 구성되는 제1결합부재(60);와
또 다른 상기 결합수단으로 배관단말부(31)의 수평고정나사인서트(71)와 분할커플링패널(34) 수평나사공(72)이 페어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배관단말부(31)의 수직고정나사인서트(73)와 분할커플링패널(34)의 수직나사공(74)이 페어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일정수의 페어로 형성되고 상기 각 나사공(72, 74)에 나사(75)를 끼워서 상기 각 인서트(71, 73)에 조여 완성되는 제2결합부재(70);를
제1결합부재(60) 또는 제2결합부재(70)를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또는 제1결합부재(60)와 제2결합부재(70)를 복수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31)와 분할커플링패널(34)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30) - 제 1항에 있어서
함과 별도로 분할하여 분리된 커플링형성플레이트(35)에 상기 배관단말통구(33)에 대응되고 배관접속이 요구되는 위치에 배치하는 커플링(36)을 외커플링(37)과 내커플링(38)으로 분할하여 외커플링(37)에 외커플링일체형캡(48)을 형성하여 커플링형성플레이트(35)에 일체로 성형하고, 내경이 배관외경과 같은 내커플링(38)을 외커플링(37)에 끼워 조립하여 구성한 분할커플링패널(3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31)와 분할커플링패널(34)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30)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10177163 | 2021-12-12 | ||
KR1020210177163 | 2021-12-12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8867A KR20230088867A (ko) | 2023-06-20 |
KR102727167B1 true KR102727167B1 (ko) | 2024-11-06 |
Family
ID=86994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029030A Active KR102727167B1 (ko) | 2021-12-12 | 2022-03-08 |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와 분할커플링패널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7167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707B1 (ko) * | 2014-02-26 | 2015-01-12 | (주)대교에이스 |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
KR101885713B1 (ko) | 2017-10-20 | 2018-08-17 |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 전선관과 배선박스의 연결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730461U (ja) * | 1993-11-12 | 1995-06-06 | バーグ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その固定部材 |
KR20180124444A (ko) * | 2017-05-12 | 2018-11-21 | 기대전기통신(주) | 전선관 연결용 커넥터 |
KR102597864B1 (ko) * | 2022-01-10 | 2023-11-02 | 구자왕 | 전선관 접속이 용이한 아웃렛박스 |
-
2022
- 2022-03-08 KR KR1020220029030A patent/KR102727167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0707B1 (ko) * | 2014-02-26 | 2015-01-12 | (주)대교에이스 | 전선 케이블 접속용 아웃렛 박스 |
KR101885713B1 (ko) | 2017-10-20 | 2018-08-17 | 부경트레이 주식회사 | 전선관과 배선박스의 연결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88867A (ko) | 2023-06-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7578B1 (ko) | 케이블용 연결 용품, 그러한 연결 용품의 커넥터용 홀더, 및 케이블 연결용 키트 | |
US6835081B2 (en) | Snap fit modular electrical distribution block | |
US11828443B2 (en) | Tool-free light box | |
HUT68301A (en) | Data communications outlet kit | |
KR102727167B1 (ko) | 함 일면의 배관단말부와 분할커플링패널을 일체로 결합한 분할조립형배관커넥터 | |
US11189996B2 (en) | Modular distribution box for cables | |
US20140185992A1 (en) | Fiber optic module housing and fiber optic module | |
HK1218465A1 (zh) | 插頭件及插頭系統 | |
KR200446280Y1 (ko) | 커넥터 일체형 콘센트 세트 | |
US6715247B1 (en) | Modular bracket for supporting passage cores for concrete structures | |
US5713757A (en) | Assembly for supplying power | |
US7798829B2 (en) | Basic insulating plug and method of manufacture | |
KR102576413B1 (ko) | 배선박스를 원터치로 배선박스설치대에 조립하는 배선용박스 고정판넬 | |
US6969279B1 (en) | Exterior connection weather seal | |
KR20250050681A (ko) | 이중관형멀티커넥터 | |
CN219393803U (zh) | 一种灵活性分线端子 | |
CN111009863A (zh) | 一种新型接线盒 | |
CN210669409U (zh) | 一种预制叠合板上专用组装式线盒 | |
CN222016122U (zh) | 一种多单元嵌装组合式接线盒结构 | |
KR100350966B1 (ko) | 팬아웃 코드 | |
US12259591B2 (en) | Dual-sided fiber routing trays, assemblies, and methods | |
CN213341557U (zh) | 一种线束敷设金属框 | |
JPH09284970A (ja) | 配線ユニットケーブル用ジョイントボックス及びその製造方法 | |
KR101217868B1 (ko) | 트윈 파이프 | |
CN222500601U (zh) | 温室接头及温室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3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02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