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7104B1 -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7104B1
KR102727104B1 KR1020240012409A KR20240012409A KR102727104B1 KR 102727104 B1 KR102727104 B1 KR 102727104B1 KR 1020240012409 A KR1020240012409 A KR 1020240012409A KR 20240012409 A KR20240012409 A KR 20240012409A KR 102727104 B1 KR102727104 B1 KR 102727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voice
payment
tax
information
transf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24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대성
Original Assignee
제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노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제노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400124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71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7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7104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06Q40/123Tax preparation or submiss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0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funds transfer [EFT]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ome bank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2Banking, e.g. interest calculation or account mainten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echnology Law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공급자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제공하며, 수급자에 대한 상기 공급자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계산서 관리 모듈;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대금 지급을 결정하는 상기 수급자의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급 품의 모듈; 및 상기 결재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급자가 뱅킹 시스템에 계좌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세금계산서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에 기초한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연동 모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AX INVOICES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실시예들은 국세청 홈택스 서비스와 같은 세금관리 시스템 및 금융기관의 뱅킹 시스템과 연계하여 세금계산서의 발행,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지급 품의, 및 대금 지급을 위한 자금 이체 업무를 일괄 처리가 가능하도록 자동화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세금계산서는 사업자 간의 재화 또는 용역의 거래 시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등을 기재하여 주고받는 법정영수증을 지칭한다. 과거에 세금계산서는 수기로 작성한 종이로 발행되었는데, 종이 영수증은 보관하기가 불편하며, 보관 중 분실 내지 변경될 위험이 있고, 종이 영수증 형태의 세금계산서를 공급받는 사업자(본 명세서에서, "수급자"로 지칭함)에게 교부하거나 국세청에 신고하기 위해서는 우편을 통해 또는 사람이 직접 이를 전달해야 하므로 비용과 불편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국세청에서는 재화 또는 용역을 공급하는 사업자(본 명세서에서, "공급자"로 지칭함)가 서비스 웹 페이지를 통하여 전자세금계산서용 항목을 입력하면, 전자세금계산서용 항목에 기초하여 전자세금계산서가 생성되며, 공급자의 공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전자세금계산서가 전자서명되면 전자서명된 전자세금계산서가 국세청 서버로 전송되는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대한민국 명의로 출원되어 등록된 등록특허공보 제10-1053097호는 이러한 시스템에 대한 것으로서, 네트워크를 통해 국세청 서버와 연동하는 전자세금계산서 발행장치를 개시한다.
그러나, 기존의 전자세금계산서 발급 시스템은 공급가액과 부가가치세액 등 대금에 대한 계산 항목을 사업자 간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할 뿐, 대금 수납을 위한 계좌 정보를 전달하거나 대금 지급 여부를 관리할 수 있는 기능은 포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공급자는 국세청 서버를 통한 계산서의 발행과 별도로 공급자의 수금 계좌 정보가 기재된 청구서를 작성하여 수급자에게 전송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수급자에 해당하는 기업에서는 공급자가 발행한 청구서에 대한 대금 지급을 위하여 기업 내의 지급 품의 절차를 수행하고, 지급 결재가 이루어지면 금융기관의 뱅킹 시스템에 접속하여 최종 품의가 완료된 내역에 해당하는 이체 금액과 공급자의 계좌 번호를 입력함으로써 이체를 실행하게 된다. 그런데, 현재 이러한 지급 절차는 공급자가 발행한 전자세금계산서 상의 정보와 무관하게 수급자의 수기 입력을 통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에는 수급자의 지급 품의 절차와 뱅킹 시스템을 통한 이체 절차에 있어서 이체 금액이나 계좌 번호의 수기 입력으로 인한 오류의 발생 가능성이 있어 왔다. 또한, 수급자가 대금을 지급하더라도 어떤 대금 청구 건에 대하여 지급이 이루어진 것인지를 확인할 수 없으므로, 공급자의 거래처별 미수금 관리나 수급자의 미지급금 관리가 어려운 한계가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05309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국세청의 홈택스 서비스와 같은 세금관리 시스템 및 금융기관의 뱅킹 시스템과 연계함으로써 세금계산서의 발행,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지급 품의, 및 대금 지급을 위한 자금 이체 업무를 자동화하여 업무 효율성을 높이고, 개별 세금계산서와 이체 내역을 비교함으로써 건별 대사가 가능한 계산서 대사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공급자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제공하며, 수급자에 대한 상기 공급자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계산서 관리 모듈;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대금 지급을 결정하는 상기 수급자의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급 품의 모듈; 및 상기 결재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급자가 뱅킹 시스템에 계좌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세금계산서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에 기초한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연동 모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산서 관리 모듈은, 하나의 상기 공급자에게 부여되며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급자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급 품의 모듈은,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품의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품의 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산서 관리 모듈은 상기 세금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급 품의 모듈은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급 품의 모듈은, 상기 수급자에 상응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품의 문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생성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문서 생성부; 및 상기 품의 문서를 상기 수급자에 상응하며 지급 결정 권한을 갖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결재 관리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기초한 이체 금액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동 모듈은, 상기 이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자가 계좌 번호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뱅킹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백엔드(back-end) 데이터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뱅킹 시스템은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에 포함하여 상기 이체 정보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이때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상기 뱅킹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로 포함하는 이체 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체 내역과 상기 세금계산서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수납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납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수급자에 대한 공급자의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대금 수령을 위한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에 대한 대금 지급을 결정하는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결재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급자가 뱅킹 시스템에 계좌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세금계산서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에 기초한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품의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품의 문서를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은,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상기 세금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은,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기초한 이체 금액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이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자가 이체 금액 및 계좌 번호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상기 뱅킹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백엔드 데이터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한다. 이때, 상기 뱅킹 시스템은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에 포함하여 상기 이체 정보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하도록 더 구성된다. 또한 이때 계산서 대사 방법은,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뱅킹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로 포함하는 이체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체 내역과 상기 세금계산서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수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공급자의 각 거래처에 고유한 수납전용 계좌를 공급자에게 제공하고, 공급자의 전자세금계산서 발행 시 공급자의 수납전용 계좌 정보가 품의 문서 또는 그 외 다른 경로로 수급자에게 공유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수급자의 지급 품의 결재 시 수납전용 계좌를 포함하는 이체 정보가 뱅킹 시스템으로 자동 전송되어, 수급자는 뱅킹 시스템에서 이체 금액 및 계좌 번호를 다시 입력할 필요 없이 단순 클릭만으로 대금 지급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의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을 이용하면, 개별 세금계산서와 개별 이체 내역을 비교하여 청구(또는 지급) 건 별로 대사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이를 이용하면, 수급자는 자금 이체 시 계좌 번호의 수기 입력 오류에 따른 자금 사고를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 있고, 거래처에 대한 미지급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는 각 거래처와 매칭된 수납전용 계좌에 대한 이체 내역을 통하여 거래처별 미수금을 용이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계산서 관리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지급 품의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계산서 발행 및 정보 전달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계산서 발행 및 정보 전달 과정에서 각 거래주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지급 품의 및 자금 이체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지급 품의 및 자금 이체 과정에서 각 거래주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뱅킹 시스템의 예시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급자 및 공급자로부터 상품 및/또는 서비스를 제공받고 이에 대한 대금을 지급하여야 하는 수급자가 사용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에서 사용자 장치(1) 및 사용자 장치(4)는 각각 공급자 및 수급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나타낸 것이나, 실제 장치의 형태 또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이용하는 공급자 및 수급자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세금관리 시스템(3)과 더 통신하며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세금관리 시스템(3)은 국가 또는 지방행정기관에서 세금 신고를 관리하는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예컨대, 국세청의 전자세금계산서 신고 및 발급 시스템일 수 있다.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특정 기능을 위하여 세금관리 시스템(3)을 호출하거나 또는 세금관리 시스템(3)과 연동된 모듈(module)을 포함하여 동작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를 이용한 통신 방식으로 세금관리 시스템(3)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수급자에 의한 대금 결제를 위하여 하나 이상의 뱅킹 시스템(5)와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은행 서버, 금융결제원 서버, 결제대행사업자(VAN 사) 서버 등과 통신하거나 이들에 의해 제공되는 결제 모듈을 호출하여 대금 결제를 요청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실시예들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 4), 세금관리 시스템(3), 및 뱅킹 시스템(5) 등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통신 방법은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구현된 것일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에 의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치들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실시예들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2) 및 이와 통신하는 각각의 시스템, 장치, 서버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 "시스템", "플랫폼",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의 도면들에 도시된 공급자의 사용자 장치(1), 수급자의 사용자 장치(4), 및 뱅킹 시스템(5)의 개수 및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이용하는 사용자(즉, 공급자 또는 수급자) 또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과 연계된 다른 시스템의 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공급자 및 수급자는 상호 간의 거래계약에 따라 대금에 대한 세금계산서를 각각 발행 및 수령하고 대금을 주고받는 임의의 거래주체를 지칭하며, 개인사업자 또는 법인 등 임의의 형태의 사업자를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사용자 장치(1, 4)만을 도시하였으나, 동일한 기업 내에서 복수의 사용자(예컨대, 임직원)가 실시예들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공급자 또는 수급자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들은 자신의 스마트폰(smartphone), 노트북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또는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C)와 같은 단말기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과의 통신을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앱(app))을 실행하거나, 또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이용하여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제공하는 웹 페이지에 접속함으로써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제공하는 기능을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계산서 관리 모듈(22), 지급 품의 모듈(23) 및 연동 모듈(24)을 포함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수납 관리 모듈(25)을 더 포함한다. 한편,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이들 각 모듈(22-25)에서 사용되기 위한 구조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의 각 모듈(21-25)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의 하드웨어(200)를 이용하여 구현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구성하는 각각의 장치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즉, 도 1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과 이에 포함된 컴포넌트(21-25)는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이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전술한 각 컴포넌트 중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으며, 또는 하나 이상의 부분이 다른 부분과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컨대,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분산 컴퓨팅 환경 하에서 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컴포넌트들일 수도 있다.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공급자가 수급자 앞으로 발행하는 세금계산서와 관련하여 수납전용 계좌를 생성하여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공급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공급자의 요청이 있을 경우 뱅킹 시스템(5)과 통신함으로써, 뱅킹 시스템(5)을 운영하는 금융기관에 개설된 공급자의 모계좌를 기반으로 하여 하나 또는 복수 개의 수납전용 계좌를 생성할 것을 뱅킹 시스템(5)에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수납전용 계좌는, 해당 계좌에 입금된 금액이 금융기관에 의해 자동으로 모계좌로 집금되는 계좌일 수 있으며, 예컨대, 가상계좌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관리 모듈(22)이 제공하는 수납전용 계좌는 공급자와 거래하는 각 거래처(즉, 수급자)에 1:1 대응되는 것일 수 있다. 즉,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동일한 공급자에게 부여되지만 서로 상이한 수급자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수납전용 계좌를 생성하여 공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금이 입금된 계좌만으로도 어느 거래처(즉, 수급자)로부터 대금이 지급된 것인지를 공급자가 용이하게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공급자가 수급자 앞으로 발행한 세금계산서 관련 정보의 획득을 위하여 세금관리 시스템(3)과 통신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계산서란,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세금관리 시스템(3)을 통하여 그 발급과 세금 등 신고 내역이 관리되는 전자 영수증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전자세금계산서 또는 전자계산서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계산서란, 계산 내역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는지 여부나 공급자의 과세 유형 등에 관계없이 세금관리 시스템(3)을 통해 발급되는 전자 영수증을 통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컨대, 공급자가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세금관리 시스템(3)에 접속하여 전자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면,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발행된 계산서에 대한 정보를 세금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다. 특히,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계산서를 구성하는 기본 정보(공급자 정보, 수급자 정보, 공급금액, 부가세, 비고 등)와 더불어 특히 세금관리 시스템(3)이 부여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수집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공급자가 세금관리 시스템(3)과 직접 통신하지 않고 세금계산서의 발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계산서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공급자는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 접속한 후 계산서 정보를 입력하면, 계산서 관리 모듈(22)이 입력된 계산서 정보를 토대로 세금관리 시스템(3)과 통신함으로써 공급자의 입력 정보에 따른 세금계산서가 발행되도록 할 수 있다.
지급 품의 모듈(23)은, 공급자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대금의 지급을 위한 수급자 측의 의사 결정 및 자금 이체 과정을 가능하도록 한다. 즉, 지급 품의 모듈(23)은 수급자에게 발행된 세금계산서에 대한 대금의 지급을 결정하는 수급자 기업 내의 지급 품의 과정을 처리하기 위한 부분이다. 수급자가 기업인 경우, 기업 내의 품의 문서의 생성과 이에 대한 지급 결재 등의 처리 과정이 지급 품의 모듈(23)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해 공급자에게 제공된 수납전용 계좌 정보가 품의 문서 내에 자동으로 기입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급 품의 문서(23)가 생성하여 제공하는 품의 문서는, 수급자에 상응하는 복수의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는 것으로서 각 사용자에 대해 DB(21)에 설정된 권한 정보를 근거로 문서의 생성이 요청되거나 또는/또한 대금 지급 여부가 결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3b 및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지급 품의 모듈(23)은 수급자가 기존에 이용하는 전사적 자원 관리(Enterprise Resouce Planning; ERP) 시스템(미도시)과 연계하여 동작하거나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이러한 ERP 시스템과 중첩되는 기능 요소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지급 품의 모듈(23)을 통하여 수급자 기업 내의 지급 품의 과정이 완료되면, 연동 모듈(24)은 최종 품의가 완료된 내역에 근거한 이체 정보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함으로써 뱅킹 시스템(5)에 의해 자금 이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연동 모듈(24)이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하는 이체 정보에는 적어도 공급자의 수납전용 계좌 번호가 포함되어 있어, 수급자가 별도로 공급자의 계좌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이체가 완료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연동 모듈(24)이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하는 이체 정보에는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이체 금액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연동 모듈(24)은 수급자 측의 자금 결제 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뱅킹 시스템(5)에 대한 인증 정보(예컨대, 공동인증서, 비밀번호 등)를 입력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제공하고, 수납전용 계좌 번호 및 세금계산서 정보를 토대로 자동으로 생성된 이체 정보를 인증 정보와 함께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함으로써 수급자에 의한 추가적인 인터넷 뱅킹 접속 등의 과정이 없이 이체가 일어나도록 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연동 모듈(24)은 뱅킹 시스템(5)이 수급자 측의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소정의 UI와 관련하여 해당 UI의 일정 부분을 수급자가 입력할 필요 없이 사전에 완성하기 위한 백엔드(back-end) 데이터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연동 모듈(24)이 이체 금액 및 수납전용 계좌 번호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하면, 뱅킹 시스템(5)은 전송받은 이체 정보들이 사전에 기입되어 있어 수급자가 이체 금액 및/또는 입금 계좌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 없이 단순 확인(예컨대, 메뉴나 버튼 클릭)만으로 이체를 실행할 수 있는 UI를 구성하여 이를 수급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UI에 대해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일 실시예에서, 연동 모듈(24)이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하는 이체 정보에는 셰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식별 정보는 세금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발급된 세금계산서 승인번호일 수 있다. 이 경우, 뱅킹 시스템(5)은 연동 모듈(24)로부터 전달된 이체 정보를 기반으로 이체를 실행하고, 실행된 이체 내역을 세금계산서의 식별 정보와 매칭(matching)하여 연동 모듈(24)에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뱅킹 시스템(5)은 세금계산서의 식별 데이터를 이체 적요의 형태로 이체 내역 안에 포함시켜 이체를 실행하고, 실행된 이체 내역을 연동 모듈(24)에 전송할 수도 있다.
수납 관리 모듈(25)은, 연동 모듈(24)을 통하여 뱅킹 시스템(5)으로부터 세금계산서 식별 데이터와 매칭된 이체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 전술한 것과 같이, 일 실시예에서 수납 관리 모듈(25)이 수신하는 이체 내역에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가 적요로 포함될 수도 있다. 수납 관리 모듈(25)은, 세금계산서 승인번호와 같은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이체 내역과 세금계산서를 매칭함으로써, 공급자에 의해 수급자 앞으로 발행된 세금계산서에 대응되는 수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공급자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해 제공되는 수납 정보를 기반으로 거래처별 미수금을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수급자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제공하는 수납 정보를 통해 자신이 지급한 대금 내역을 확인하고 미지급금을 관리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하드웨어(20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며,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입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보안 모듈이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를 통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사용자 장치(1, 4), 세금관리 시스템(3) 및/또는 뱅킹 시스템(5) 등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30)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하나 이상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모듈(230)은 메모리(210)를 참조하는 프로세서(220)에 의하여 그 기능이 제어됨으로써,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기능 모듈을 실현하는 부분이다.
입출력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장치(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단말 장치가 스마트폰(smartphone)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계산서 대사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하드웨어(200) 구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형태로 구현된 계산서 대사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계산서 대사 방법은 사용자 장치 및/또는 서버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그 밖의 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서비스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계산서 관리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관리 모듈(22)은 계좌 관리부(221) 및 계산서 처리부(222)를 포함한다. 계좌 관리부(221)는 공급자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를 관리하기 위한 부분이다. 즉, 계좌 관리부(221)는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수납전용 계좌 번호의 생성을 뱅킹 시스템에 요청하거나, 또는 공급자가 직접 뱅킹 시스템을 통하여 또는 금융기관에 요청함으로써 발급받은 수납전용 계좌 번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수납전용 계좌 번호는, 수급자에 해당하는 공급자의 거래처가 복수인 경우 각각의 거래처에 1:1 매칭될 수도 있다.
계산서 처리부(222)는, 공급자가 수급자 앞으로 발행하는 계산서에 관련된 정보를 세금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거나, 또는/또한 공급자가 입력한 계산서 정보를 바탕으로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세금계산서가 발행되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특히, 계산서 처리부(222)는 계산서 처리부(222)를 통해 발행되거나 또는 공급자가 세금관리 시스템을 통해 별도로 발행된 공급자의 세금계산서에 관련된 식별정보(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를 세금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의 지급 품의 모듈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지급 품의 모듈(23)은 문서 생성부(231) 및 결재 관리부(232)를 포함한다. 문서 생성부(231)는, 수급자에 상응하는 사용자로부터 대금의 지급을 위한 품의 문서의 생성 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수급자 기업 내의 지급 절차를 위한 품의 문서를 자동 생성하는 부분이다. 이때 생성되는 품의 문서에는, 공급자의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가 포함되어, 수급자가 별도로 지급 계좌를 수기 입력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품의 문서에는 공급자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결재 관리부(232)는, 문서 생성부(231)에 의해 생성된 품의 문서를 수급자 측 결재 권한을 갖는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대금 지급의 실행을 결정하는 결재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급자가 기업인 경우 자금에 대한 권한이 없는 임직원에 해당하는 제1 사용자가 지급 품의를 요청하면, 지급 품의 모듈(23)이 품의 문서를 생성하고, 수급자 기업 내 자금 운용에 대한 권한을 갖는 제2 사용자에게 품의 문서를 제공함으로써 제2 사용자로부터 대금 지급을 위한 결재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공급자 및/또는 수급자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의 사용자 정보 및 자금 운용에 관련된 각 사용자의 권한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21; 도 1)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급자 측에서 지급 품의에 대한 결재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거래처별로 상이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수급자에 해당하는 복수의 사용자에 대해 각 사용자가 결재 권한을 갖는 거래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21)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특정 세금계산서에 대한 지급 품의가 수급자에 의해 요청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지출전용 계좌 정보 및 계산서 정보를 통해 공급자를 특정하고, 해당 공급자에 대한 지급 권한을 갖는 사용자에게만 품의 문서를 제공하거나 또는/또한 해당 공급자에 대한 지급 권한을 갖는 사용자만이 품의 문서에 대한 결재가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계산서 발행 및 정보 전달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공급자의 요청에 따라 공급자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의 개설을 뱅킹 시스템(5)에 요청하여(S11), 뱅킹 시스템(5)으로부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2).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발급된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공급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함으로써(S13), 공급자가 이를 기반으로 거래처에 대한 대금의 수납을 관리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수납전용 계좌는 공급자에 의해 직접 개설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단지 뱅킹 시스템(5) 또는 공급자의 사용자 장치(1)로부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공급자가 사용자 장치(1)를 통해 수급자 정보, 공급금액, 부가세액, 품목 등 계산서 발행에 필요한 정보들을 입력함으로써 세금계산서의 발행을 요청하면(S14),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한국의 홈택스 시스템과 같은 세금관리 시스템(3)과 통신함으로써 공급자의 입력 정보에 기초한 세금계산서가 발행되도록 할 수 있다(S15).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급자가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하지 않고 직접 세금관리 시스템(3)과의 통신을 통해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도 있다.
세금관리 시스템(3)을 통해 세금계산서가 발행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발행된 계산서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를 세금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공급자가 발행한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계산서 정보를 수급자의 사용자 장치(4)에 제공할 수 있다(S17). 또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수급자의 사용자 장치(4)에 더 제공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수급자에게 제공된 정보들은 수급자 기업 내의 지급 품의 과정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후술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계산서 발행 및 정보 전달 과정에서 각 거래주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공급자(100)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 뱅킹 시스템(5)을 이용함으로써 자신의 수납전용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이때 공급자의 거래처에 해당하는 수급자(400)가 복수인 경우(예컨대, A기업, B기업, ?? F기업 등), 공급자의 수납전용 계좌는 각각의 수급자 기업에 1:1 매칭되도록 복수 개가 생성될 수도 있다.
수납전용 계좌 번호가 생성되면, 공급자(100)는 세금관리 시스템(3)을 통하여 수급자(400) 앞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할 수 있다. 또한, 공급자(100)는 각 수급자(400) 거래처로부터 대금을 수령하기 위하여 각 거래처에 매칭된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각각의 수급자(400) 거래처에 통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수납전용 계좌 정보의 통지 과정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공급자(100)의 모계좌와 연계되어 생성되며 공급자(100)의 각 거래처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의 테이블을 저장하고 있어, 세금계산서에 정의된 공급자(100) 및 수급자(400) 정보를 토대로 해당 거래 대금의 수령을 위한 수납전용 계좌를 특정하고 이를 수급자(400)에게 통지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급자(100)가 수급자(400)에게 직접 이메일 등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통지할 수도 있다.
수급자(400)가 자신에게 통지된 수납전용 계좌로 입금을 하면, 입금된 금액은 뱅킹 시스템(5)에 의하여 공급자(100)의 모계좌로 집금된다. 또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뱅킹 시스템(5)과의 연동을 통하여 수납전용 계좌 및/또는 모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세금관리 시스템(3)과의 통신을 통하여 공급자(100)가 발행한 계산서 정보를 수신하고, 계산서 정보를 계좌에 대한 입금 내역과 매칭한 수납 정보를 공급자(100)에게 제공함으로써, 공급자(100)가 대금 입금 여부에 대한 대사 결과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지급 품의 및 자금 이체 과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전술한 과정을 통하여 계산서의 거래 주체들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 및 계산서 식별 정보(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를 저장할 수 있다(S21).
본 실시예에서, 계산서에 상응하는 대금 지급을 수행하고자 하는 수급자(400)는 자금 운용에 대한 권한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사용자를 포함하는 것으로 상정하며, 도 6의 사용자 장치(41, 42)는 이와 같이 권한이 상이한 각 사용자가 사용하는 장치를 나타낸다.
자금 운용에 대한 권한이 없는 제1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41)를 통해 지급 품의를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 요청하면(S22),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서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 저장되어 있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 및/또는 계산서 식별 정보를 반영하여 수급자(400) 내 지급 품의를 위한 품의 문서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품의 문서는 수급자(400)에 상응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사용자에게 제공되며, 수급자(400)의 자금 운용에 대한 권한을 갖는 제2 사용자는 품의 문서를 확인 후 결재하는 방식으로 결재 정보를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 전송할 수 있다(S24).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 결재 정보가 수신된 것은 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의 이체를 실행할 것을 수급자(400)가 요청하였음을 의미하며,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자금 이체의 실행을 위한 이체 정보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할 수 있다(S25). 이때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하는 정보는, 뱅킹 시스템(5)을 통한 이체를 실행함에 있어서 수급자(400)가 별도로 이체 금액 및/또는 이체 계좌를 입력할 필요가 없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제공하는 정보를 통해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수급자(400)의 결재가 완료된 품의 문서를 기반으로 자금 이체가 이루어질 계좌 번호(즉, 수납전용 계좌 번호) 및 이체 금액(즉, 계산서의 공급금액 및 부가세 합계)을 특정하고, 이를 이체 정보로서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전송되는 이체 정보는, 뱅킹 시스템(5)이 수급자(400)에게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UI)를 구성하기 위한 백엔드(back-end) 데이터의 역할을 한다.
뱅킹 시스템(5)에서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해 백엔드 데이터로 제공된 이체 금액 및/또는 계좌 번호를 UI를 통해 노출될 프론트엔드(front-end) 데이터와 결합하여 UI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UI에서는 이체 금액 및 입금 계좌가 사전에 기입되어 있어, 수급자(400)가 이러한 정보를 별도로 입력할 필요 없이 수급자(400)의 본인 인증만으로 이체가 가능하도록 한다(S26). 수급자(400) 측의 자금 운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뱅킹 시스템(5)의 UI를 통하여 인증 정보(예컨대, 공동인증서 및 비밀번호 등)를 입력함으로써, 사전에 작성되어 있는 이체 정보에 기반한 이체 실행을 요청할 수 있다(S27).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뱅킹 시스템(5)에 대한 인증 과정도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을 통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뱅킹 시스템(5)에 대한 수급자(400)의 본인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수급자(400)로부터 수신하고, 수납전용 계좌 및 이체 금액이 포함된 이체 정보와 함께 인증 정보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함으로써, 별도의 UI를 통하지 않고 뱅킹 시스템(5)에 의해 바로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뱅킹 시스템(5)에 의해 이체가 완료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뱅킹 시스템(5)으로부터 이체 내역을 수신할 수 있다(S28). 또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수신된 이체 내역을 세금계산서와 매칭함으로써(S29), 이체 내역이 어떤 세금계산서에 대한 대금 지급을 위한 것인지를 나타내는 수납 정보를 생성하고 이를 공급자의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 또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수납 정보를 수급자의 사용자 장치(41, 42)에 제공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체 내역과 세금계산서를 매칭하는 과정은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납전용 계좌 정보는 공급자의 각 거래처에 1:1 매칭되도록 발급되므로, 이체 내역의 계좌 번호에 해당하는 수납전용 계좌를 특정함으로써 해당하는 수급자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체 내역의 이체 금액와 세금계산서의 금액 정보를 비교함으로써 이체 내역에 해당하는 세금계산서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체 내역과 세금계산서를 매칭하는 과정은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식별 정보, 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를 기반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이체 정보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할 때 계산서 승인번호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뱅킹 시스템(5)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2)으로부터 수신한 이체 정보를 기반으로 이체에 필요한 정보들이 사전에 기입되어 있도록 UI를 구성하되, 계산서 승인번호가 이체 내역의 일부(예컨대, 거래 적요 등)가 되도록 이체를 실행할 수 있다. 뱅킹 시스템(5)에 의한 이체 실행 후 이체 내역이 수신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이체 내역 중 거래 적요를 통하여 이체 내역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를 바로 특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지급 품의 및 자금 이체 과정에서 각 거래주체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수급자(400)는 뱅킹 시스템(5)을 통한 대금 지급을 위하여 뱅킹 시스템(5)에 해당하는 금융기관에 수급자(400)의 계좌를 개설할 수 있다. 공급자(100)에 해당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거래처(예컨대, 기업1, 기업2, ?? 기업6 등)에서 수급자(400) 앞으로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면, 수급자(400)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이 제공하는 지급 품의 기능을 통하여 특정 세금계산서에 대한 대금의 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수급자(400)로부터 대금 지급이 요청하면, 계산서 대사 시스템(2)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 저장된 수납전용 계좌 및 계산서 정보들을 기반으로 한 이체 정보를 뱅킹 시스템(5)에 전송함으로써, 수급자(400)가 별도로 이체 금액 및/또는 이체 계좌를 입력할 필요 없이 자금의 이체가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계산서 대사 시스템(2)에서는 세금관리 시스템(3)으로부터 수신한 계산서 정보를 이체 내역과 매칭하여 수급자(400)에게 제공함으로써, 수급자(400)의 미지급금 관리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8 및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사용되기 위한 뱅킹 시스템의 예시적인 UI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뱅킹 시스템은 계산서 대사 시스템으로부터 입력된 이체 금액(802) 및 수납전용 계좌 정보(803)(금융기관 및 계좌번호를 포함함)가 사전에 등록되어 있는 이체 UI를 제공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뱅킹 시스템이 제공하는 이체 UI에는 해당 이체 정보를 등록한 수급자 측의 사용자 정보(즉, 등록자)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뱅킹 시스템의 이체 UI 상에는 이와 같이 계산서 대사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등록된 이체 건을 하나 또는 복수 개 표시될 수 있다.
수급자 측의 자금 운용 권한을 갖는 사용자는, 뱅킹 시스템에 접속함으로써 도 8에 예시된 것과 같은 이체 UI를 확인하고, 이체를 실행하고자 하는 하나 이상의 이체 건을 선택하는 방식으로 뱅킹 시스템에 이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이체에 필요한 이체 금액(802) 및 계좌 정보(803)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사전에 입력되어 있으므로 수급자가 이를 뱅킹 시스템에 입력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수기 입력으로 인한 오류의 우려가 없이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이체 UI에서 특정 이체 건을 선택하여 이체를 실행하기 위한 예시적인 화면을 나타낸다. 도 8의 이체 UI와 마찬가지로, 도 9에 도시된 UI에서도 이체 금액(902) 및 이체할 계좌 정보(903)(즉, 입금 은행 및 계좌 번호)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미리 작성되어 있으므로, 수급자는 1회용 비밀번호 등 인증 정보를 입력하는 것만으로 사전에 등록된 정보에 따른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이체 내역에는 공급자의 통장 및/또는 수급자의 통장에 표시될 거래 적요(901, 904)가 포함될 수 있으며, 뱅킹 시스템은 이러한 거래 적요(901, 904) 상에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관리하는 계산서의 식별 정보(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를 기입하여 이체를 실행할 수도 있다. 도 9의 예에서는 수급자 측 통장(즉, 출금 통장)의 거래 적요(904)로 계산서 승인번호가 기재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공급자 측 통장(즉, 입금 통장)의 거래 적요(901) 상에 정보를 기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은, 거래 적요(901, 904) 상에 기재된 계산서 식별정보(예컨대, 계산서 승인번호)를 뱅킹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계산서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이체 내역에 해당하는 세금계산서를 특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계산서 대사 시스템과 뱅킹 시스템의 정보 연계를 통하여, 공급자에게는 매출 관련 입금 대사를 제공하고, 수급자에게는 매입에 대한 미지급금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의 순서도들에 도시된 각 블록 또는 각 단계는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시예들에서는 블록들 또는 단계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 또는 단계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 또는 단계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공급자에 상응하는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제공하며, 수급자에 대한 상기 공급자의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계산서 관리 모듈; 및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계산서 정보를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하여, 상기 세금계산서에 대한 대금 지급을 결정하는 상기 수급자의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지급 품의 모듈; 및
    상기 결재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급자가 뱅킹 시스템에 계좌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세금계산서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에 기초한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구성된 연동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기초한 이체 금액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 모듈은, 상기 이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자가 계좌 번호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뱅킹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백엔드 데이터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도록 더 구성된 계산서 대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서 관리 모듈은, 하나의 상기 공급자에게 부여되며 서로 상이한 복수의 수급자에 상응하는 복수 개의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계산서 대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 품의 모듈은,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품의 문서를 생성하여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하며, 상기 품의 문서를 이용하여 상기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된 계산서 대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서 관리 모듈은 상기 세금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지급 품의 모듈은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계산서 대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급 품의 모듈은,
    상기 수급자에 상응하는 제1 사용자로부터 상기 품의 문서의 생성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생성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문서 생성부; 및
    상기 품의 문서를 상기 수급자에 상응하며 지급 결정 권한을 갖는 제2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2 사용자로부터 상기 결재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된 결재 관리부를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뱅킹 시스템은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에 포함하여 상기 이체 정보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뱅킹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로 포함하는 이체 내역을 수신하고,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체 내역과 상기 세금계산서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수납 정보를 생성하도록 구성된 수납 관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시스템.
  8.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수급자에 대한 공급자의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대금 수령을 위한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대한 기본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계산서 정보를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대한 대금 지급을 결정하는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결재 정보가 수신되는 것에 대한 응답으로, 상기 수급자가 뱅킹 시스템에 계좌 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세금계산서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에 기초한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기초한 이체 금액 및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이체 정보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이체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수급자가 이체 금액 및 계좌 번호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입력하지 않고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할 수 있도록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되는 상기 뱅킹 시스템의 미리 설정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사용되기 위한 백엔드 데이터를 상기 뱅킹 시스템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상기 수납전용 계좌 정보를 포함하는 품의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품의 문서를 상기 수급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세금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하여 상기 품의 문서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재 정보를 상기 수급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전에,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관리 시스템과 통신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를 발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방법.
  12. 삭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체 정보는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더 포함하며,
    상기 뱅킹 시스템은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에 포함하여 상기 이체 정보에 상응하는 자금 이체를 실행하도록 더 구성되고,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뱅킹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를 적요로 포함하는 이체 내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계산서 대사 시스템이, 상기 세금계산서 승인번호에 기초하여 상기 이체 내역과 상기 세금계산서를 매칭함으로써, 상기 세금계산서에 상응하는 수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계산서 대사 방법.
  14.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8항 내지 제11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계산서 대사 방법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에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0240012409A 2024-01-26 2024-01-26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ctive KR102727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2409A KR102727104B1 (ko) 2024-01-26 2024-01-26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2409A KR102727104B1 (ko) 2024-01-26 2024-01-26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7104B1 true KR102727104B1 (ko) 2024-11-05

Family

ID=93462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2409A Active KR102727104B1 (ko) 2024-01-26 2024-01-26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710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97B1 (ko) 2009-08-24 2011-08-03 대한민국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44929B1 (ko) * 2010-05-31 2012-05-11 중소기업은행 금융관리시스템 및 금융관리시스템에서 선투여수행방법
KR101272134B1 (ko) * 2011-10-20 2013-06-10 주식회사 페이컴스 금융기관 연계 대가지급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2117B1 (ko) * 2019-04-29 2020-01-03 문한경 사내망 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KR20220083963A (ko) * 2020-12-11 2022-06-21 제노솔루션 주식회사 계산서 관리 시스템, 계산서의 발급과 계산서에 대한 수납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97B1 (ko) 2009-08-24 2011-08-03 대한민국 전자세금계산서를 발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44929B1 (ko) * 2010-05-31 2012-05-11 중소기업은행 금융관리시스템 및 금융관리시스템에서 선투여수행방법
KR101272134B1 (ko) * 2011-10-20 2013-06-10 주식회사 페이컴스 금융기관 연계 대가지급 확인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062117B1 (ko) * 2019-04-29 2020-01-03 문한경 사내망 관리를 위한 erp 시스템
KR20220083963A (ko) * 2020-12-11 2022-06-21 제노솔루션 주식회사 계산서 관리 시스템, 계산서의 발급과 계산서에 대한 수납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6404B2 (ja) 電子請求書の提示および支払いに対する方法および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
US9275410B2 (en) Internet payment system and method
US8626653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processing electronic cross-border payments
US8738476B2 (en) Architectural design for selling standardized services application software
JP2016536673A (ja) 仲介業者によって媒介される支払い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11270313B2 (en) Real-time resource account verification processing system
JP656854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240095735A1 (en) Distributed network of computing devices for creating digital records of physical items
US2024041218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ayment Transaction Coding and Management
US9824393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anaging consumer savings with credit card transactions
US20200302407A1 (en) Real-time resource split distribution network
US20100125521A1 (en) Biller focused business to business electronic invoice presentment and accounts receivables reconciliation system
JP5852636B2 (ja) マンション管理会社向け振込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20220083963A (ko) 계산서 관리 시스템, 계산서의 발급과 계산서에 대한 수납을 관리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1520167B1 (ko) 하도급 통합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실행 방법
US11907801B2 (en) System for encoding resource access credential in barcode
KR101024992B1 (ko) 그룹웨어 및 전사적 자원 관리 시스템을 연계한 지출결의 관리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JP5089678B2 (ja) 資金移動処理データ送信装置、資金移動処理データ送信プログラム及び資金移動処理データ送信方法
KR102727104B1 (ko) 계산서 대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7556520B2 (ja) 資金移動管理システム及び該システムによる資金移動管理方法並びに該方法を実行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KR20020037072A (ko) 통신망을 이용한 토털 금융서비스 장치 및 방법
US20220051345A1 (en) Flag system and method of flagging for real-time expenditures transacted electronically
JP2025039191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40092992A (ko) 상품 분류에 기초한 빌링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JP2025039284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1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13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