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6595B1 -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6595B1
KR102726595B1 KR1020230028557A KR20230028557A KR102726595B1 KR 102726595 B1 KR102726595 B1 KR 102726595B1 KR 1020230028557 A KR1020230028557 A KR 1020230028557A KR 20230028557 A KR20230028557 A KR 20230028557A KR 102726595 B1 KR102726595 B1 KR 1027265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amlock
lock ball
rotation shaft
height adjus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28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135249A (ko
Inventor
김종이
Original Assignee
김종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이 filed Critical 김종이
Priority to KR1020230028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6595B1/ko
Publication of KR20240135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352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65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659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1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39/00School forms; Benches or forms combined with desks
    • A47B39/04Collapsible or tip-up for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00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 A47B9/04Tables with tops of variable height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1/00Feet for furniture in general
    • A47B91/02Adjustable fee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vertical spi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3/00Chair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Chairs or stools with rotatable or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20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 A47C3/34Chairs or stools with vertically-adjustable seats with pins coacting with holes or bolt-and-nut adjust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00/00General construction of tables or desks
    • A47B2200/0035Tables or desks with features relating to adjustability or folding
    • A47B2200/005Leg adjustment
    • A47B2200/0051Telescopic
    • A47B2200/0055Telescopic with a pair of telescoping legs, having a height-adjustable latching mechanism between the pair of legs

Landscapes

  • Tables And Desks Characterized By Structural Shap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생용 의자 및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로, 캠록세트에 구비된 장방형회전축의 피봇방향에 따라 록킹-릴리즈를 단속시키는 것으로 높낮이조절 상하부지주를 조립하는 소켓바디 외주상측연에 일체 돌출된 캠록세트내설돌부 상면에는 캠록납작대접면이 대응 형성된 캠록바디수용홀 및 내부에 캠록회전축공이; 전면 상측에는 캠록바디수용홀을 수평관통하는 록킹탭내설홀이;그 전면 하측에는 캠록회전축공 바닥면과 대접되게 수평관통되는 로크볼슬라이더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크볼슬라이더홀에는 로크볼슬라이더바디 윗면은 안내홈과 캠록회전축장공이 일체로 연통되며, 안내홈 쪽 외측단에는 로크볼이; 캠록회전축장공쪽 외측단에는 스프링돌부a가 형성된 로크볼슬라이더를 수납시키되,상기 스프링돌부a에 일측을 탄착시키는 스프링과; 타측은 테두리가 융착캡단턱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의 스프링돌부b에 지지시키는 융착캡을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 외측면에 융착 형성후,상기 로크볼슬라이더바디에 형성된 캠록회전축장공으로 캠록회전축이 진입되게 캠록바디수용홀을 통해 캠록세트를 수납시켜서, 상기 록킹탭내설홀 내측홀에 드러나는 캠록바디 일측 나선에 아미형 내측탭이 형성된 캠록바디록킹탭을 대접시키고 로킹탭내설홀 외측홀은 구조용에폭시로 최종 고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Description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the Student desk and chair height adjustment using camlock set}
본 발명은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및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히는 학생들의 책상이나 의자를 높낮이를 조절하는 장치로 학생들에 의해서는 임의조작이 되지 않고 관리자의 시건키로 높낮이를 조절시키도록하여 기존의 문제인 높낮이 조절장치의 부품 분실이 없도록 하는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학생들의 책상이나 의자등 책걸상 등 전국의 1만 358개의 초중고 학생들의 책걸상들은 8년 이상의 노후 책걸상의 부품이나 파손품을 교체하는데 많은 예산을 쏟아 붓는다.
교체되는 책걸상의 많은 경우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장치의 부품이 학생들에 의한 외부조작으로 부품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경우가 많은 실정으로, 종래에도 임의조작이 어려운 방식의 책걸장 높낮이 조절구에 대한 선행기술이 많다.
몇가지 선례들로 국내 등록실용신안 제 20-0263910호의 "높낮이 조절용 책걸상'에서는 하부지주로 부터 높이조절되는 상부지주 롤링부의 외연에 다수개의 볼걸림턱을 형성시키는 것으로 임가공비가 상승하며, 볼캡의 고정수단이 없어, 양쪽 높낮이조절구를 동시에 파지해 조작해야 하는 불편과, 외부 임의조작에 따른 부품파손이 용이한 우려가 잔존한다.
또한, 공개특허 10-2009-0121953호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는 높이조절수단의 스톱 대상은 하부지지대 내부의 다수의 걸림홈으로 하부지주의 2중 구조로 원가상승되는 구조로 상부지지대의 일측에 관통되어 내부로 연장되는 회동체로 키홈과 열쇠가 구비되며,회동체에 의해 승강되어 로드 하단에 결합된 걸림홈에 착탈해정되는 구조로 조립성 및 원가가 높게 평가된다.
또 다른 등록특허 10-1358077호에서는 볼트체결식으로 돌출된 부품에 부딪힘에 의한 피부나 의복훼손,마감캡에 대한 임의 조작이 가능하여 볼트너트의 풀림이나 손망실에 따른 주의를 요하는 문제를 내포하며, 그 개선발명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862656호의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에서는 조립후 상하부지주흔들림 현상 및 상하충격에 취약한 구조로 마감캡의 제2걸림돌기를 납작한 도구로 가압하면 쉽게 분리되어 고정구손망실우려가 예측되며, 높이조절수단이 지지부재와 마감캡, 지지부재로부터 상호 분리되는 구조로 높낮이 조절시 부품손망실의 주의가 따른다.
다음의 등록특허 제10-1974490호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에 개시된 발명에서는 높이조절은 조절위치의 높이조절구멍에 끼워진 슬리브가 받침부재내에서 탄성돌기판이 밀착편으로 압착되게 조절부재를 받침부재에 나사조립시키는 방식으로 억지끼움방식의 결합력이 취약해 책걸상을 들어 옮길때 이탈 염려가 높고, 또한 결구된 슬리브 양측 중심방향으로 약간의 유격 상태로,상부지주와 결구된 부분의 좌우측 슬리브와의 유격이 크며,높이조절지점에서 조절부재의 밀착판이 받침부재내의 슬리브 탄성체로 끼워지는 과정에서 높이조절구멍에서의 돌기 이탈 우려가 상존하며, 상하단이 'U'형으로 절곡 이격배치된 탄성체에 의한 밀착편 내측 마모가 이어져 밀착도 저감과 더불어, 조절부재에 대한 멈춤수단이 없어 슬리브 조작시 이중으로 파지해야 하는 불편 수반과 외부 임의조작방지 수단이 결여된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감안한 국내 등록특허 10-2171790호 책걸상의 높낮이조절장치에서는 소켓과 슬리브캡이 일체로된 퀵커플러방식으로 슬리브캡 외주연에 잠금구로 둥근머리별렌찌볼트로 슬리브캡을 록킹시키는 방식이나,잠금구 입수도 어렵지 않은 편이고 잠금구 해정후 슬리브캡을 회전하향시켜 로크볼이 릴리즈(relese)된 상태에서 로크볼이 높이조절공으로 유도되지 않아 높이조절공위치를 맞추기 어려운구조이며, 슬리브캡을 회전상승시켜 높낮이 시건후 록킹볼트탭공 부위를 정확히 찾아 잠금구로 시건시키기 어려운 방식이다.
같은 사안으로 등록특허 10-2118426호 책걸상의 높낮이조절장치에서도 소켓과 슬리브캡이 일체로된 퀵커플러방식으로 슬리브캡 외주연에 잠금구로 둥근머리별렌찌볼트로 슬리브캡을 록킹시키는 방식이나, 상기 등록특허 10-2171790호 방식인나사회전식에서 스프링 작용되는 승하강식 슬리브캡조작은 간편성이 있으나,슬리브캡스톱퍼를 하향시켜 슬리브캡 하단테두리 걸림턱홀에 위치된 상태에서 로크볼이 높이조절공으로 유도되는 수단이 결여되어, 역시 높이조절공위치를 맞추기 어려운 편이며, 잠금구 입수도 어렵지 않은 구조로 임의조작에도 노출된 실태이다.
KR 20-0263910 (Y1) 2002.01.29 KR 10-2009-0121953 (A) 2009.11.26 KR 10-1358077 (B1) 2014.01.22 KR 10-1862656 (B1) 2018.05.24 KR 10-1974490 (B1) 2019.04.25 KR 10-2171790 (B1) 2020.10.23 KR 10-2118426 (B1) 2020.10.2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으로, 관리자의 열쇠로 해정 조절되므로 학생들에 의해서는 임의 조작에 의한 고장 및 조절장치 부품 분실 염려를 제거시켜, 노후 책걸상의 부품이나 파손품을 교체하는데 쏟아 붓는 많은 예산을 절감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는 원통납작키에 의하여 로크볼이 릴리즈(relese)된 상태에서 높낮이조절공으로 탄성 유도되는 방식으로 높낮이조절공위치를 용이하게 맞추도록 하는 편리감과, 종전 소켓과 슬리브 이중구조사양에서, 원모듈로 작동되는 책걸상 높낮이조절장치에 따른 제조원가 구성비를 절감하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해 출원인의 선출원된 10-2023-001892호의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의 구조개선으로 캠록세트홀내 캠록세트 외경키 세팅방식과 캠록슬라이더의 상하동작에 따른 상하좌우 장평문제로 과다돌출로 미관과 트러블이 야기될수 있음을 감안하여, 그 개선에 따라 캠록세트내설돌부 볼륨 최소화로 미관개선과,기성 캠록세트 고정키와 키홈 생략에 따른 원가 및 공정개선에 따른 보다 나은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원통납작키 동작시 캠록바디 저부의 캠록나사축이 회전되는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의자 및 책상 높낮이 조절장치로, 캠록세트에 구비된 장방형회전축의 피봇방향에 따라 록킹-릴리즈를 단속시키는 것으로 높낮이조절 상하부지주를 조립하는 소켓바디 외주상측연에 일체 돌출된 캠록세트내설돌부 상면에는 캠록납작대접면이 대응 형성된 캠록바디수용홀 및 내부에 캠록회전축공이; 전면 상측에는 캠록바디수용홀을 수평관통하는 록킹탭내설홀이;그 전면 하측에는 캠록회전축공 바닥면과 대접되게 수평관통되는 로크볼슬라이더홀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로크볼슬라이더홀에는 로크볼슬라이더바디 윗면은 안내홈과 캠록회전축장공이 일체로 연통되며, 안내홈 쪽 외측단에는 로크볼이; 캠록회전축장공쪽 외측단에는 스프링돌부a가 형성된 로크볼슬라이더를 수납시키되,상기 스프링돌부a에 일측을 탄착시키는 스프링과; 타측은 테두리가 융착캡단턱으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의 스프링돌부b에 지지시키는 융착캡을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 외측면에 융착 형성후,상기 로크볼슬라이더바디에 형성된 캠록회전축장공으로 캠록회전축이 진입되게 캠록바디수용홀을 통해 캠록세트를 수납시켜서, 상기 록킹탭내설홀 내측홀에 드러나는 캠록바디 일측 나선에 아미형 내측탭이 형성된 캠록바디록킹탭을 대접시키고 로킹탭내설홀 외측홀은 구조용에폭시로 최종 고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를 제공하게 된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는 관리자에 특정 원통납작키 조작으로 캠록세트에 구비된 장방형회전축의 피봇방향에 따라 록킹-릴리즈를 단속시키는 것으로 기존 캠록바디 저부의 캠록나사축 회동에 따라 캠록슬라이더가 승하강되어 로크볼의 단속에 따른 과다한 상하좌우 장평문제를 직경이 16mm로 시판되는 기성 캠록바디면 나선에 대접되는 좌우장평 16mm로 형성한 캠록바디록킹탭과 구조용에폭시에 의한 캠록세트고정방식으로 개선으로 고정키와 키홈이 생략되는 것으로 캠록내설돌부의 좌우장평규격이 과다하게 증가되는 요소와 미관과 트러블이 야기되는 문제를 해결과 공정개선으로 원가절감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공통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 조절장치는 상부지주를 뽑아올리거나 내리는 과정에서 스프링으로 탄발되는 로그볼슬라이더의 로크볼이 높낮이조절공위치로 탄성 유도되어 원터치체결되는 편리감을 주며, 종전 소켓과 슬리브 이중구조 사양에서 원통형소켓바디와 캠록세트를 수용한 캠록내설돌부가 일체인 원모듈식 높낮이조절장치로 제조원가 구성비를 절감하였다.
본 발명에서 캠록바디록킹탭과 구조용에폭시로 고정설치된 캠록세트는 외부해체조작이 불가하고, 로크볼내설홀에 내설되는 로크볼슬라이더와 스프링 등 록킹부재도 융착 결합 상태로 제공되어 학생들에 의한 외부조작으로 부품이 파손되거나 분실되는 것을 방지해 노후 책걸상의 부품이나 파손품을 교체하는데 낭비되는 많은 예산을 절감하도록 하는 효과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과 의자중 일예시로 책상에 적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조립상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소켓바디부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록킹상태(6a)와 릴리즈상태(6b)를 나타낸 상하부지주 발췌 조립상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변형실시예로 장방타원형 책걸상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사시도
도 8은 도 7의 분해조립상태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실시된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는 학생용 책상 및 의자에 공히 적용되는 것이며, 본 발명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 구성에 따른 상세 도면으로 원형타입외에도 장방타원타입의 책걸상조절다리에도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보충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각 도면에 이용 실시된 캠록세트(7)는 원통납작키(도시되지 않았음)로 작동되는 일반 잠금쇠로 캠록플랜지(7a) 상면에 원통납작키홈(7a')이 형성되되, 나선이 형성된 캠록바디(7b)에는 캠록바디납작면(7b')이 대응형성되며,원통납작키 동작시 캠록바디(7b) 저부의 캠록회전축(7c)이 회전되는 키세트로 시중에서 부품단위로 거래되는 시건부품이다.
캠록세트(7)의 캠록바디(7b)는 외경18mm, 내경허용 직경 15mm에 적용되는 외경키는 KS B1337-85 표준 E형 멈춤링의 외경은 29~37mm로 적용되어야 했다.
이러한 선출원에서의 캠록세트홀내 캠록세트 외경키 세팅방식 따르면 캠록세트내설돌부의 좌우장평은 50mm까지 요구되어, 통상 사용되는 학생용 책걸상 하부지주 25A(외경34mm),상부지주 20A(외경 27.2mm)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소켓의 볼륨이 과대해지는 점과 로크볼슬라이더의 록킹이 캠록나사축에 대한 상하로 동작되는 캠록슬라이더에 따른 상하장평 자리차지로 인해 미관과 트러블이 야기될 수 있는 지적을 통해 캠록세트내설돌부 볼륨 최소화에 따른 미관개선과,기성 캠록세트 고정키와 키홈 생략에 따른 원가 및 공정개선을 위한 것이 주된 목적임을 전제로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책상과 의자중 일예시로 책상에 적용되는 높낮이 조절장치의 분해조립상태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외관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소켓바디부 종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는 도면 1 내지 5의 도시와 같이,
다수개의 높낮이조절공(10a)이 형성된 책상 상판의 상부지주(10)가 상단외주연에 걸림홈(20a)이 형성된 하부지주(20)의 중공부에서 높이조절되도록 압착조립되는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높낮이조절장치본체(30)는 원통타입의 소켓바디(31) 외주상측연에 일체로 돌출된 정방형 캠록세트내설돌부(32)를 포함하는 소켓바디(31) 상단은 상부지주홀(1)이 마련되며, 하단은 상부지주홀(1) 내주연과 단턱 경계되는 하부지주홀(2)을 구비하되, 그 내주연에는 상기 하부지주(20)의 각각의 걸림홈(20a) 대응 위치에 경사단턱(3)이 형성되며,
상기 캠록세트내설돌부(32)의 상면에는 캠록납작대접면(4a)이 대응 형성된 캠록바디수용홀(4) 및 그 바닥으로 캠록회전축공(4b)이 형성되고, 캠록세트내설돌부(32) 전면 상측에는 캠록바디수용홀(4)을 수평관통하는 록킹탭내설홀(5)이 형성되고, 그 전면 하측에는 캠록회전축공(4b) 바닥면과 대접되게 수평관통되는 로크볼슬라이더홀(6)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볼슬라이더홀(6)의 외측에는 융착캡단턱(6b)이;내측에는 상부지주홀(1)과 연통되는 로크볼단턱공(6a)이 일체 형성되며,
상기 로크볼슬라이더홀(6)에는 모서리가 둥근형상의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 윗면은 안내홈(8d)과 캠록회전축장공(8c)이 일체로 연통되며, 안내홈(8d) 쪽 외측단에는 원주둥근헤드형 로크볼(8b)이; 캠록회전축장공(8c)쪽 외측단에는 스프링돌부a(8e)가 형성된 로크볼슬라이더(8)를 수납시키되,
상기 로크볼슬라이더(8)의 스프링돌부a(8e)에 일측이 탄착되게 내재시키는 스프링(9)과; 상기 스프링 타측은 테두리가 융착캡단턱(10b)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면의 스프링돌부b(10a)에 지지시키는 융착캡(10)을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6) 외측면에 융착 형성후,
상기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6)의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에 형성된 캠록회전축장공(8c)으로 캠록회전축(7c)이 진입되도록 캠록바디수용홀(4)을 통해 준비된 캠록세트(7)를 수납시켜서, 상기 록킹탭내설홀(5) 내측홀에 드러나는 캠록바디(7b) 일측 나선과 결합되게 아미형 내측탭이 형성된 캠록바디록킹탭(5a)을 억지 끼움 대접시킨 로킹탭내설홀(5) 외측홀은 구조용에폭시(5b)로 최종 고착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의 구성동작에 따른 메카니즘을 첨부도면 6을 통하여 상세히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록킹상태(도6a)와 릴리즈상태(도6b)를 나타낸 상하부지주 발췌 조립상태 단면도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의 록킹상태는 로크볼슬라이더(8)의 로크볼(8b)이 상부지주(10)의 높낮이조절공(10a)에 결합되어 구속된 상태를 의미한다.
상세히는, 록킹상태를 도시한 상하부지주 발췌 조립상태 단면도(도6a) 참조와 같이, 로크볼(8b)이 높낮이조절공(10a)에 결합된 상태로 유지되는 것은 캠록회전축(7c)이 캠록회전축장공(8c)과 동일 직경으로 폭이 좁은 안내홈(8d)에는 통과되지 않아 로크볼슬아이더(8)가 고정되어 로크볼(8b)이 높낮이조절공(10a)에서 이탈되지 않는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관리자에 의하여 하부지주(20)로부터 상부지주(10)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한 릴리즈상태(도6b)로 전환시켜야 한다.
릴리즈상태는 록킹상태의 캠록세트(7)를 원통납작키(도시되지 않았음)로 원통납작키홈(7a')을 통해 스타트원(start on) 위치에서 어느 방향이던 90도 또는 270도 선회시키면, 캠록회전축(7c)양측이 삭성된 캠록회전축납작면(7b')의 축경과 안내홈(8d)이 일치되어 로크볼슬라이더(8)는 캠록회전축공(8c)과 안내홈(8d)내에서 구속이 풀려 유격상태로 놓인체,스프링(9)의 탄설로만 상부지주(10)의 높낮이조절공(10a)에 결합된 로크볼(8b)의 결합이 유지된다.
이와 같은 릴리즈(relese) 상태에서의 하부지주(20)에 결합된 상부지주(10)는 위로 뽑아 올리거나 내리는 간단한 외력으로도 높낮이조절공(10a)에 결합되었던 로크볼(8b)은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와 함께 스프링(9) 쪽으로 되밀려 빠지거나, 또 다른 높낮이조절공(10a) 위치로 상부지주(10)의 높낮이를 조절높이로 맞추는 과정에서 높낮이조절장치본체(30)의 로크볼(8b)이 상부지주(10)에 형성된 높이조절공(10a) 위치에 도달하면 스프링(10)에 의해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와 함께 탄발되어 원터치식으로 높낮이조절공(10a) 위치로 용이하게 유도 결합되는 것이다.
이처럼 릴리즈(relese) 상태에서는 캠록회전축장공(8c)과 연통된 안내홈(8d)의 폭과 같은 캠록회전축납작면(7c')이 형성된 캠록회전축(7c)이 스프링(9)으로 탄발되는 로크볼슬라이더(8) 내에서 수평적으로 자재로이 유격상태로 놓여 높낮이조정이 가능하게 되는 상태인 것이다.
반대로 원통납작키(도시되지 않았음)로 원통납작키홈(7a')을 통해 캠록세트(7)를 다시 어느 방향이던 90도 내지 270도로 선회시켜 스타트원 위치에서 키를 뽑은 록킹상태는 안내홈의 폭과 같은 직경5mm로 삭성된 캠록회전축납작면(7c')을 갖는 캠록회전축(7c)이 삭성되지 않은 직경 6.5mm의 캠록회전축(7c) 방향으로 피봇선회되어 동일직경의 캠록회전축장공(8c)에 구속되어 안내홈쪽으로는 로크볼슬라이더의 유동이 제한된 록킹상태로 유지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책걸상지주 높낮이 조절을 위한 록킹 및 릴리즈상태 전환은 한세트의 책걸상 높낮이조절장치본체마다 동일하게 부여된 캠록세트의 마다 2개씩의 원통납작키 동시에 사용하여 조작시켜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관리자에 의한 원통납작키로 학생들의 책상 및 의자의 높낮이를 조절할수 있도록 하는 본 발명에 따른 높낮이조절장치본체(30)는 캠록세트홀(4)에 내설되는 캠록세트(7)의 조립은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6)의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에 형성된 캠록회전축장공(8c)으로 캠록회전축(7c)이 진입되도록 캠록바디수용홀(4)을 통해 준비된 캠록세트(7)를 수납시켜서, 상기 록킹탭내설홀(5) 내측홀에 드러나는 캠록바디(7b) 일측 나선과 결합되게 아미형 내측탭이 형성된 캠록바디록킹탭(5a)을 억지 끼움 대접시키고, 로킹탭내설홀(5) 외측홀은 구조용에폭시(5b)로 최종 고착 형성시키는 것으로, 외부에서 해체조작이 어렵도록 하여 학생들의 임의 조작에 의한 부품의 손망실 위험을 없애도록 하였다.
한편, 통상 사용되는 학생용 책걸상 하부지주 25A(외경34mm) 및 상부지주 20A(외경 27.2mm)에 적용되는 높이조절소켓의 볼륨에 있어서도 종전 로크볼슬라이더의 록킹이 캠록나사축에 대한 상하로 동작되는 캠록슬라이더에 따른 상하장평차지로 인해 미관과 트러블이 야기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본 발명에서는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윗면에 일체로 연통되어 마련된 안내홈(8d)과 캠록회전축장공(8c)에 도입되는 캠록회전축(7c)의 피봇선회에 따라 로크볼슬라이더의 록킹-릴리즈 상태를 단속을 할수 있도록 하여, 종전 상하동작에 의한 캠록세트내설돌부 볼륨 문제 및 미관개선과,기성 캠록세트 고정키와 키홈 생략에 따른 원가 및 공정개선 효과를 제공하게 된 것이다.
또,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홈(6)에 로크볼슬라이더(8)와 스프링(9) 내설후 슬라이더내설홈단턱(6b)과 융착캡(10)의 융착캡단턱(10b)을 대접시켜 융착시키는 방식은 고주파융착 또는 구조용에폭시에 의한 융착수단중 선택되는 방식에 따르는 것으로, 외부조작에 의한 해체가 불가하여 학생들의 임의 조작에 의한 부품의 손망실 위험을 없애도록 하였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본체는 도면 1 내지 6에 예시는 책걸상 상하부지주가 원형타입이였지만, 본 발명에 따른 변형실시예로 장방타원형 책걸상 높낮이조절장치 본체사시도인 도 7과 그 분해조립상태사시도인 도면 8과 같이 장방타원타입의 책걸상조절다리에도 변형 실시될 수 있도록 참고 도시 하였다.
본 발명의 변형 실시예에서는 장방타원형 상하부지주(10';20')를 사용한 책걸상다리와 같이,상하부지주홀(1;2)에 장방타원형인 소켓바디(31')가 수용되게 변형시킨 소켓바디(31') 외에는 캠록내설돌부(32')에 설치 형성되는 캠록세트 및 그 록킹수단과 로크볼슬라이더의 구성수단은 원형타입의 캠록내설돌부(32)와 동일하여 상세 설명은 생략하나, 장방형 상부지주(10')에 형성하는 높낮이조절공(10a')은 장방형 외측면에 형성되는 것과, 하부지주(20')에 형성되는 걸림홈(20a')은 장방외주연에 타공 형성되는 것으로 기타는 본 발명에 따른 원형타입에 실시된 구체설명 설명에 의해 설명되는 것으로 상세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책걸상다리가 장방타원형인 상하부지주(10';20')를 사용한 실시예에서도 장방형 소켓바디 캠록내설돌부를 책걸상다리의 외측면에 위치시켜,좌우장평에 따른 캠록내설돌부(32')가 과다돌출로 미관과 트러블이 야기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는 캠록세트마다 지정된 원통납작키(도시되지 않았음)를 지역별 학교나 학년별 시리얼번호가 부여된 공동키로 관리자에 의해서만 열쇠를 관리해 책상 및 의자 높낮이를 조절 하도록 해 기존의 문제인 책걸상 높낮이 조절장치의 부품 분실 염려를 없애 노후 책걸상의 부품이나 파손품을 교체하는데 쏟아 붓는 많은 예산을 절감시키도록 하는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10;10':상부지주 10a;10a':높낮이조절공
20;20':하부지주 20a;20a':걸림홈
30;30':높낮이조절장치본체 31;31':소켓바디
32;32':캠록내설돌부
1:상부지주홀 2:하부지주홀
3:경사단턱 4:캠록바디수용홀
4a:캠록납작대접면 4b:캠록회전축공
5:록킹탭내설홀
5a:캠록바디록킹탭 5b:구조용에폭시
6:로크볼슬라이더홈 6a:로크볼단턱공
6b:슬라이더내설홈단턱
7:캠록세트 7a:캠록플랜지
7a':원통납작키홈 7b:캠록바디
7b':캠록바디납작면 7c:캠록회전축
7c':캠록회전축납작면
8:로크볼슬라이더 8a:로크볼슬라이더바디
8b:로크볼 8c:캠록회전축장공
8d:회전축안내홈 8e:스프링돌부a
9:스프링 10:융착캡
10a:스프링돌부b 10b:융착캡단턱

Claims (1)

  1. 다수개의 높낮이조절공(10a)이 형성된 책상 상판의 상부지주(10)가 상단외주연에 걸림홈(20a)이 형성된 하부지주(20)의 중공부에서 높이조절되도록 압착조립되는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에 있어서, 높낮이조절장치본체(30)는 원통타입의 소켓바디(31) 외주상측연에 일체로 돌출된 정방형 캠록세트내설돌부(32)를 포함하는 소켓바디(31) 상단은 상부지주홀(1)이 마련되며, 하단은 상부지주홀(1) 내주연과 단턱 경계되는 하부지주홀(2)을 구비하되, 그 내주연에는 상기 하부지주(20)의 각각의 걸림홈(20a) 대응 위치에 경사단턱(3)이 형성되며,
    상기 캠록세트내설돌부(32)의 상면에는 캠록납작대접면(4a)이 대응 형성된 캠록바디수용홀(4) 및 그 바닥으로 캠록회전축공(4b)이 형성되고, 캠록세트내설돌부(32) 전면 상측에는 캠록바디수용홀(4)을 수평관통하는 록킹탭내설홀(5)이 형성되고, 그 전면 하측에는 캠록회전축공(4b) 바닥면과 대접되게 수평관통되는 로크볼슬라이더홀(6)이 형성되고, 상기 로크볼슬라이더홀(6)의 외측에는 융착캡단턱(6b)이;내측에는 상부지주홀(1)과 연통되는 로크볼단턱공(6a)이 일체 형성되며,
    상기 로크볼슬라이더홀(6)에는 모서리가 둥근형상의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 윗면은 안내홈(8d)과 캠록회전축장공(8c)이 일체로 연통되며, 안내홈(8d) 쪽 외측단에는 원주둥근헤드형 로크볼(8b)이; 캠록회전축장공(8c)쪽 외측단에는 스프링돌부a(8e)가 형성된 로크볼슬라이더(8)를 수납시키되,
    상기 로크볼슬라이더(8)의 스프링돌부a(8e)에 일측이 탄착되게 내재시키는 스프링(9)과; 상기 스프링 타측은 테두리가 융착캡단턱(10b)으로 이루어지되 내측면의 스프링돌부b(10a)에 지지시키는 융착캡(10)을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6) 외측면에 융착 형성후,
    상기 로크볼슬라이더내설홀(6)의 로크볼슬라이더바디(8a)에 형성된 캠록회전축장공(8c)으로 캠록회전축(7c)이 진입되도록 캠록바디수용홀(4)을 통해 준비된 캠록세트(7)를 수납시켜서, 상기 록킹탭내설홀(5) 내측홀에 드러나는 캠록바디(7b) 일측 나선과 결합되게 아미형 내측탭이 형성된 캠록바디록킹탭(5a)을 억지 끼움 대접시킨 로킹탭내설홀(5) 외측홀은 구조용에폭시(5b)로 최종 고착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KR1020230028557A 2023-03-03 2023-03-03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Active KR1027265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557A KR102726595B1 (ko) 2023-03-03 2023-03-03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28557A KR102726595B1 (ko) 2023-03-03 2023-03-03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5249A KR20240135249A (ko) 2024-09-10
KR102726595B1 true KR102726595B1 (ko) 2024-11-05

Family

ID=92757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28557A Active KR102726595B1 (ko) 2023-03-03 2023-03-03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659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05Y1 (ko) 2003-03-26 2003-06-12 한국에스에스(주)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
KR200381992Y1 (ko) 2005-01-26 2005-04-15 손경섭 높이조절책상
KR102171790B1 (ko) 2020-03-27 2020-10-29 주식회사 금강교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2424Y1 (ko) * 1997-07-07 1999-12-15 최상제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263910Y1 (ko) 2001-09-06 2002-02-19 대한민국(대구교도소장) 높낮이 조절용 책걸상
KR20030068225A (ko) * 2002-02-14 2003-08-21 박침곤 학생용 책상 및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0682109B1 (ko) * 2004-07-02 2007-02-12 김성수 책상과 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20090121953A (ko) 2008-05-23 2009-11-26 박문안 책걸상의 높이조절장치
KR101019834B1 (ko) * 2008-09-22 2011-03-04 우진교구산업(주) 책·걸상의 높이 조절장치
KR101358077B1 (ko) 2013-05-23 2014-02-03 주식회사 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862656B1 (ko) 2017-11-24 2018-05-31 (주)진성기업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1974490B1 (ko) 2018-08-31 2019-05-02 김두철 책걸상 다리높이 조절장치
KR102118426B1 (ko) 2020-03-26 2020-06-26 주식회사 금강교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KR102493636B1 (ko) * 2020-08-28 2023-01-31 고암 이송 및 조립이 간편한 조립형 가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205Y1 (ko) 2003-03-26 2003-06-12 한국에스에스(주) 책상 및 의자용 높이조절장치
KR200381992Y1 (ko) 2005-01-26 2005-04-15 손경섭 높이조절책상
KR102171790B1 (ko) 2020-03-27 2020-10-29 주식회사 금강교구 책걸상의 높낮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35249A (ko) 202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36833B2 (en) Locking device and furniture
JP3193400U (ja) ロック構造
US5040758A (en) Level adjustment device, particularly for furniture
JP4498805B2 (ja) 脚装置
KR102726595B1 (ko)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JP2000138467A (ja) 機器用調整脚
KR10214910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가구용 다리
CN110507078A (zh) 升降桌
KR102748890B1 (ko) 캠록세트를 이용한 학생용 책상 및 의자 높낮이 조절장치
JPH1182881A (ja) 機器用調整脚
CN114777564B (zh) 一种防松夹紧结构及其枪灯
CN218355247U (zh) 翻转椅
JPH08254588A (ja) 原子炉燃料束用の係止・持上げ機構
CN217205857U (zh) 防猫眼开锁的把手装置及门锁
JP3819747B2 (ja) 昇降脚具
US6827406B2 (en) Armrest support
US20220372789A1 (en) Handle and lock structure with the handle
JP4783522B2 (ja) 昇降脚具
CN219605726U (zh) 一种连接组件及显示屏模组
JPH102485A (ja) 脚高さ調節装置
JP2001152586A (ja) 壁パネル固定具
CN220981151U (zh) 一种连接组件及路灯
CN222840718U (zh) 椅背及具有其的座椅
CN222616163U (zh) 一种推杆锁定组件
TW202019366A (zh) 夾持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1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