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726325B1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Google Patents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726325B1 KR102726325B1 KR1020210126544A KR20210126544A KR102726325B1 KR 102726325 B1 KR102726325 B1 KR 102726325B1 KR 1020210126544 A KR1020210126544 A KR 1020210126544A KR 20210126544 A KR20210126544 A KR 20210126544A KR 102726325 B1 KR102726325 B1 KR 10272632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ver
- receiving portion
- cosmetic container
- holder
- sealed structur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66 seal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6—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 A45D40/065—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crew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발명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일체로 회전하는 홀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화장품과 접촉하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의 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 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a cosmetic therein; a screw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groove extending spirally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a holder disposed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crew; a mov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support surface that contacts the cosmetic, and connected to the screw to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long the groove of the scre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and a cover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화장품 용기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ntainer, and more specifically, to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짧으면 수일에서 길면 수개월 동안 용기에 포함된 상태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화장품이 변질되지 않고 원래의 특성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화장품 용기의 기밀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In general, cosmetics are used in their containers for a short period of time, from several days to several months, so it is important to keep the cosmetic containers airtight to prevent them from spoiling and maintain their original properties.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내부 용기와 외부 용기 사이에 오링 등 별도의 실링 부재를 배치하여 기밀을 유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실링 부재는 화장품을 사용하기 위해 외부 용기 또는 캡을 이탈시키는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지정된 위치에서 벗어나는 경우가 많아, 사용에 불편함이 있고 기밀 유지 능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 cosmetic containers maintain airtightness by placing a separate sealing material, such as an O-ring, between the inner container and the outer container. However, such sealing materials are often deformed or move out of their designated positions during the process of removing the outer container or cap to use cosmetics, which causes inconvenience in use and reduces the ability to maintain airtightness.
이와 같은 선행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 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Such prior art is technical information that the inventor possessed for the purpose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or acquired during the process of deriving the present invention, and cannot necessarily be said to be publicly known technology disclosed to the general public prior to the application for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발명으로, 화장품을 수용하는 수용부와 커버가 밀폐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화장품의 변질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an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provides a cosmetic container in which a container for containing cosmetics and a cover form a sealed structure, thereby preventing deterioration of the cosmetics.
다만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tasks are exemplary, and the task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s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는 내부에 화장품이 수용되는 공간을 구비하는 수용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일체로 회전하는 홀더,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화장품과 접촉하는 지지면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류와 연결되어 상기 홀더의 회전에 따라 상기 스크류의 홈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 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includes: a receiving portion having a space for receiving a cosmetic therein; a screw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groove extending in a spiral direction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 holder disposed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and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crew; a moving portion dispos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support surface that contacts the cosmetic, and connected to the screw to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long the groove of the screw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and a cover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가 상기 홀더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일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단을 커버하며, 내측면이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may include a first region in which one end contacts the outer side of the holder, extends lengthwise from the one en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has an inner surface spaced from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g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커버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may further include one or more first cover protrusion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and protruding radially inward.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정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내경이 상기 제2 영역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has a constant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g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 커버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protrusion disposed on an inner surface of one end and protruding radially inwardly to contact an outer surface of the h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 돌기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한 쌍 구비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ver protrusions may be provided in a pair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holder may further include a joining protrusion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ver protrusion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부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가져, 외측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 상에 안착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holder has a connecting portion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at one end and a step formed on an outer surface, and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can be placed on the connect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일단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part may include a first cover that surrounds an open end of the receiving part and comes into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cover that is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cover and the receiving par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ver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arranged to contact each other between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n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and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fastened to the second co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내측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act portion may include a first protrusion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ly on an inner surface and contacts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제2 커버는 외측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돌기와 결합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cover may include a second protrusion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ly on an outer surface and engages with a third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상기 홀더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일측에 밀폐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ceiving portion may include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sealing member is inserted on one sid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에 있어서, 상기 홀더의 내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may be included.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은 이하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청구범위 및 도면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ther than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claims and drawings for practicing the inven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 용기의 내외부 간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화장품이 변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cosmetics from spoiling by reliably maintaining airtightness betwee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smetic containe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 스크류 및 이동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를 나타낸다.
도 6은 도 3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3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3의 C를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단면을 나타낸다.
도 13은 도 12의 D를 확대하여 나타낸다.Figure 1 illustrates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 cross-section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 state in which a receiving portion, a screw, and a moving portion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llustrates a moving par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ure 3.
Figure 7 show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6.
Figure 8 i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ure 3.
Figure 9 show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8.
Figure 10 is an enlarged view of C in Figure 3.
Figure 11 shows another embodiment of Figure 10.
Fig. 12 shows a cross-section of a cosmetic contain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3 is an enlarged view of D in Figure 12.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발명의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예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도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하여서는 동일한 식별부호를 사용한다.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dified in various ways and has various embodiments, and specific embodiments ar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but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identification numbers are used for the same components even though they are illustrated in different embodiment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s thereof are omitted.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In the examples below, the terms first, second, etc. are not used in a limiting sense but are used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In the examples below,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In the examples below,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mean that a feature or compon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is present, and d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that one or more other features or components may be added.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In the drawings, the sizes of components may be exaggerat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For example, the sizes and thicknesses of each component shown in the drawings are arbitrarily show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what is shown.
이하의 실시예에서, x축, y축 및 z축은 직교 좌표계 상의 세 축으로 한정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넓은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x축, y축 및 z축은 서로 직교할 수도 있지만, 서로 직교하지 않는 서로 다른 방향을 지칭할 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examples, the x-axis, y-axis, and z-axis are not limited to three axes on an orthogonal coordinate system, and can be interpreted in a broad sense that includes them. For example, the x-axis, y-axis, and z-axis may be orthogonal to each other, but may also refer to different directions that are not orthogonal to each other.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In some embodiments, where the implementation is otherwise feasible, a particular process sequence may b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one described. For example, two processes described in succession may be performed substantially simultaneously, or in a reverse order from the one described.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 or "have"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should be understood to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를 나타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분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용부(100), 스크류(200) 및 이동부(400)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부(400)를 나타내고, 도 6은 도 3의 A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7은 도 6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8은 도 3의 B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9는 도 8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10은 도 3의 C를 확대하여 나타내고, 도 11은 도 10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FIG. 1 illustrates a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llustrate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llustrates a cross-section of a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a receiving portion (100), a screw (200), and a moving portion (400) are combin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llustrates a moving portion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llustrates an enlarged view of A in FIG. 3, FIG. 7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FIG. 6, FIG. 8 illustrates an enlarged view of B in FIG. 3, FIG. 9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FIG. 8, FIG. 10 illustrates an enlarged view of C in FIG. 3, and FIG. 11 illustrates another embodiment of FIG. 1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10, 이하 '화장품 용기'라고도 함)는 내부에 고형 또는 젤형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로서 사용자는 덮개를 제거하여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을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장품 용기(10)는 립스틱 등과 같은 고형 화장품 용기일 수 있다. 화장품 용기(10)의 형상은 원기둥으로 한정하지 않으며, 다면체 또는 모서리가 라운드 처리된 다면체일 수 있다.A cosmetic container (10,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container that accommodates a solid or gel-type cosmetic inside, and a user can use the cosmetic accommodated inside by removing the cover. 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ntainer (10) may be a solid cosmetic container such as a lipstick. The shape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is not limited to a cylinder, and may be a polyhedron or a polyhedron with rounded corners.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수용부(100), 스크류(200), 홀더(300), 이동부(400) 및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S. 1 to 3, a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00), a screw (200), a holder (300), a moving portion (400), and a cover portion (500).
수용부(100)는 화장품이 수용되는 내부 공간(110)을 구비한다. 수용부(10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화장품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부(100)는 속이 비어있는 원기둥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수용부(100)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이 개방되어 있으며, 화장품은 수용부(100)에 수용된 상태에서 일단을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00) has an internal space (110) in which cosmetics are received. The shap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cosmetics. For example, 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have a hollow cylindrical shape. The receiving portion (100) is open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cosmetics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one end while being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100).
일 실시예로 수용부(100)의 내부에는 이동부(400)가 배치될 수 있으며, 화장품은 수용부(100)의 내부 공간(110)에 배치된 상태에서 이동부(400)의 지지면(410) 상에 지지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moving part (400) may be placed inside the receiving part (100), and cosmetics may be supported on the support surface (410) of the moving part (400) while placed in the internal space (110) of the receiving part (100).
수용부(100)는 결합 슬릿(1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 슬릿(120)은 수용부(100)의 일측에 높이 방향으로 긴 윈도우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결합 슬릿(120)에는 이동부(400)의 걸림 돌기(430)가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류(200)가 회전하면서 이동부(400)가 결합 슬릿(120)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 슬릿(120)은 수용부(100)의 일측에 배치되거나, 일측 및 이와 대칭되는 위치에 있는 타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slit (120). As shown in FIG. 4, the coupling slit (120) may have a window shape that is long in the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 catch projection (430) of the moving portion (400) may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120), and accordingly, the moving portion (400) may be moved up and down along the coupling slit (120) as the screw (200) rotates. For example, the coupling slit (120)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o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at a position symmetrical thereto, respectively.
수용부(100)는 제1 수용부 돌기(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수용부 돌기(130)는 수용부(100)의 외측에 배치되며, 수용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 돌기(130)는 이동부(400)의 지지면(410)보다 높이 방향으로 아래에 배치되며, 결합 슬릿(120)과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수용부 돌기(130)는 수용부(100)의 외측면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홀더(3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30). As shown in FIG. 4,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30) is arranged on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For exampl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30) may be arranged below in the height direction than the support surface (410) of the moving portion (400) and may be arranged to overlap with the coupling slit (120).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30) may protrude radially outward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by a predetermined height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Through this, the airtightnes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may be maintained.
제1 수용부 돌기(130)의 개수와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 돌기(130)는 수용부(100)의 외주면을 따라 고리 형상으로 배치되거나, 복수 개의 세그먼트가 불연속적으로 배치되어 홀더(300)의 내측면과 접촉할 수도 있다.The number and shape of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3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30) may be arranged in a ring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or a plurality of segments may be arranged discontinuously to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수용부(100)는 삽입홈(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삽입홈(140)은 수용부(100)의 외측면 일측에 오목하게 형성된 홈으로서, 삽입홈(140)에는 밀폐 부재(600)가 삽입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폐 부재(600)는 수용부(100)의 외주면에 대응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로서, 소정의 탄성을 갖는 O링일 수 있다. 밀폐 부재(600)는 삽입홈(140)에 삽입된 상태에서 홀더(300)의 내측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n insertion groove (140).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insertion groove (140) is a groove formed concavely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a sealing member (600)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0). For example, the sealing member (600) may be an O-ring having a predetermined elasticity, and may be a ring-shaped member correspon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he sealing member (600) may maintain airtightness by making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40).
수용부(100)는 제2 수용부 돌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4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수용부 돌기(150)는 수용부(100)의 하부 외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부 돌기(130)보다 아래에 배치되는 제2 수용부 돌기(150)는 수용부(100)의 외측면을 따라 돌출되어, 홀더(300)의 내측면과 접촉함으로써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As shown in FIGS. 3, 4, and 10,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may be positioned on the lower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For exampl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positioned lower than the first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30) may protrude alo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may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to maintain airtightness.
일 실시예로 제2 수용부 돌기(150)는 수용부(100)와 홀더(300)를 체결하여 그 위치를 유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00)와 홀더(300)가 체결된 상태에서, 수용부(100)의 제2 수용부 돌기(150)는 홀더(300)의 홀더 돌기(320)와 서로 다른 높이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부 돌기(150)와 홀더 돌기(320)는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상면에서 보았을 때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 돌기(320)는 제2 수용부 돌기(150)가 높이 방향으로 기 설정된 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스토퍼의 역할을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may be used to fasten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holder (300) and maintain their positions.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0, when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holder (300) are fastened,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heights from the holder protrusion (320) of the holder (300). That is,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and the holder protrusion (320) may be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may b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hen viewed from above. Accordingly, the holder protrusion (320) may function as a stopper to prevent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from moving out of a preset position in the height direction.
여기서 제2 수용부 돌기(150)는 홀더(30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홀더 돌기(320)는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용기(10)의 하부에서의 기밀을 보다 잘 유지할 수 있다.Her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can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and the holder protrusion (320) can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ccordingly, the sealing at the bottom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can be better maintained.
제2 수용부 돌기(150)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일 실시예로 제2 수용부 돌기(150)는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가 수용부(100)의 외측면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며, 하부는 수용부(100)의 외측면을 향해 곡선을 그리며 연장되거나 소정의 각도를 갖고 기울어져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300)를 수용부(100)에 삽입할 때, 제2 수용부 돌기(150)의 하부를 통해 홀더 돌기(320)가 부드럽게 삽입된 후, 제2 수용부 돌기(150)의 상부는 홀더 돌기(320)가 아래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차단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The shape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one embodiment, as shown in FIG. 10,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may have an upper por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a lower portion extending in a curved manner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or may be arrang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Accordingly, when the holder (300) is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rtion (100), after the holder protrusion (320) is smoothly inserted through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may serve to block the holder protrusion (320) from moving downward.
다른 실시예로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수용부 돌기(150')는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즉, 제2 수용부 돌기(150')는 높이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만큼 서로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 홀더 돌기(320)는 한 쌍의 제2 수용부 돌기(15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수용부(100)와 홀더(300)의 위치를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고, 화장품 용기(10)의 밀폐 성능을 높일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as shown in Fig. 11,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50') may be provided in pairs. That is,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5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econd holder protrusions (32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50'). Through this, the positions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holder (300) can be maintained more firmly, and the sealing performance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can be improved.
스크류(200)는 수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이동부(400)를 승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스크류(200)는 수용부(100)의 내부에 삽입된 이동부(400)의 내부에 배치되며, 일단부는 이동부(400)의 지지면(410)의 반대측과 접할 수 있다. 또한 스크류(200)의 타단부는 홀더(300)의 바닥면에 돌출되는 고정 리브(310)와 결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300)를 회전시키면 스크류(200)는 홀더(300)와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스크류(200)에 결합된 이동부(400)가 승강하게 된다.The screw (200) is placed inside the receiving part (100) and elevates the moving part (400). More specifically, the screw (200) is placed inside the moving part (400) inserted inside the receiving part (100), and one end of the screw (200) can be in contact with the opposite side of the support surface (410) of the moving part (400). In addition, the other end of the screw (200) can be combined with a fixed rib (310) protruding from the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300). Accordingly, when the holder (300) is rotated, the screw (200) rotates integrally with the holder (300). Then, the moving part (400) coupled to the screw (200) is raised and lowered.
일 실시예로 스크류(200)는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되는 홈(210)을 구비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크류(200)는 외주면을 따라 나선을 그리며 길이 방향 양단을 연장하고, 소정의 깊이로 함몰 형성되는 홈(210)을 구비한다. 홈(210)에는 후술하는 이동부(400)의 슬라이딩 돌기(420)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홀더(300)를 회전시키면 스크류(200)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스크류(200)의 홈(210)에 삽입된 슬라이딩 돌기(420)가 홈(210)의 형상을 따라 승강한다.In one embodiment, the screw (200) has a groove (210)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s shown in FIG. 3, the screw (200) has a groove (210)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outer surface and extending at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eing formed by being sunken to a predetermined depth. A sliding projection (420) of a moving part (400) described later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0). Accordingly, when the holder (300) is rotated, the screw (200) rotates, and accordingly, the sliding projection (420) inserted into the groove (210) of the screw (200) moves up and down along the shape of the groove (210).
홀더(300)는 수용부(100)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스크류(200)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스크류(200)와 일체로 회전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홀더(300)는 바닥면에 돌출 형성되고 스크류(200)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고정 리브(310)를 구비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리브(310)는 스크류(2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외주면이 스크류(200)의 내주면과 접촉한다. 이에 따라 스크류(200)와 홀더(300)는 일체로 회전하게 된다.The holder (300) is arranged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is coupled to one end of the screw (200) to rotate integrally with the screw (200). As described above, the holder (300) may have a fixed rib (310) that is formed protrudingly on the bottom surface and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crew (200). In addition, the fixed rib (310) is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screw (200), so that the outer surface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screw (200). Accordingly, the screw (200) and the holder (300) rotate integrally.
일 실시예로 홀더(300)는 홀더 돌기(320)를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도 10에 나타낸 것처럼 홀더 돌기(320)는 홀더(300)의 내주면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0에는 홀더 돌기(320)가 제2 수용부 돌기(150)의 위에 배치되는 것으로 나타냈으나, 아래에 배치될 수도 있다. 홀더 돌기(320)는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수용부(100)와 홀더(30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lder (300) may be provided with a holder protrusion (32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 10, the holder protrusion (320)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300). In FIG. 10, the holder protrusion (320) is shown as being arranged above the secon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50), but may be arranged below it. The holder protrusion (32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o maintain sealing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holder (300).
일 실시예로 홀더(300)는 결합부(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300)는 커버부(500)와 결합하는 일단부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가져, 외측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결합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330)는 커버부(500)의 일단부의 두께에 대응되는 두께 L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500)의 일단부는 결합부(330)에 안착된 상태에서 홀더(300)와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holder (300) may further include a coupling portion (33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d FIG. 8, the holder (300) may include a coupling portion (330)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at one end coupled with the cover portion (500) and having a step formed on the outer surface. The coupling portion (330) may have a thickness L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of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500). Accordingly,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500) may maintain contact with the holder (300) while being secured to the coupling portion (330).
이동부(400)는 수용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며, 화장품과 접촉하는 지지면(410)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이동부(400)는 스크류(200)와 연결되어 홀더(300)의 회전에 따라 스크류(200)의 홈(210)을 따라 회전하면서 승강 운동할 수 있다.The moving part (400) is placed inside the receiving part (100) and may be provided with a support surface (410)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smetic. In addition, the moving part (400) is connected to the screw (200) and may move up and down while rotating along the groove (210) of the screw (20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holder (300).
도 5를 참조하면 이동부(400)는 지지면(410), 슬라이딩 돌기(420), 걸림 돌기(430) 및 개방 슬릿(440)을 구비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5, the moving part (400) may have a support surface (410), a sliding projection (420), a catch projection (430), and an opening slit (440).
지지면(410)은 이동부(400)의 내부 일측에 배치되며, 이동부(400)의 내부 공간을 두 구역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면(410) 위쪽 공간에는 수용부(100)에 수용된 화장품이 배치될 수 있으며, 지지면(410)의 아래쪽 공간에는 스크류(200)가 삽입될 수 있다.The support surface (410) is arranged on one side of the inside of the moving part (400), and can divide the inside space of the moving part (400) into two areas. For example, cosmetics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part (100) can be arranged in the space above the support surface (410), and a screw (200) can be inserted in the space below the support surface (410).
슬라이딩 돌기(420)는 이동부(400)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스크류(200)의 홈(210)에 삽입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슬라이딩 돌기(420)가 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홈(210)은 내측에 단차를 구비하고 슬라이딩 돌기(420)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즉 홈(210)은 슬라이딩 돌기(420)가 삽입되는 입구의 폭보다 그 내측의 폭이 더 클 수 있다. 이에 따라 창틀과 창문의 결합 구조와 같이, 슬라이딩 돌기(420)가 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쉽게 이탈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슬라이딩 돌기(420)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The sliding projection (420) is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400)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groove (210) of the screw (200). In one embodiment, in order to prevent the sliding projection (420) from being easily detached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210), the groove (210) may have a step on the inner side and the sliding projection (420) may also have a step corresponding to the step. That is, the width of the inner side of the groove (210) may be larger than the width of the entrance into which the sliding projection (420) is inserted. Accordingly, the sliding projection (420) may not be easily detached when inserted into the groove (210), such as in the joint structure of a window frame and a window. In one embodiment, the sliding projections (420) may be provided in pairs at positions symmetrical to each other.
걸림 돌기(430)는 이동부(400)의 외주면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 돌기(430)는 원통 형상을 가지며, 수용부(100)의 결합 슬릿(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류(200)가 회전하면서 이동부(400)가 승강할 때, 걸림 돌기(430)가 결합 슬릿(120)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이동부(400)가 높이 방향으로 승강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걸림 돌기(430)는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한 쌍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걸림 돌기(430)는 슬라이딩 돌기(42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한 쌍 배치될 수 있다.The catch projection (430) may be arranged on one side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4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catch projection (430) has a cylindrical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slit (120) of the receiving part (100). Accordingly, when the screw (200) rotates and the moving part (400) is raised and lowered, the moving part (400) may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height direction while the catch projection (430) remains inserted into the coupling slit (120). In one embodiment, the catch projections (430) may be provided in pairs at position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For example, the catch projections (430) may be arranged in pairs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jections (420).
개방 슬릿(440)은 이동부(400)의 외주면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부재로서, 슬라이딩 돌기(420) 또는 걸림 돌기(430)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open slit (440) is a member formed by cutting a portion of the outer surface of the moving part (400), and can be plac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liding protrusion (420) or the catch protrusion (430).
커버부(500)는 화장품 용기(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수용부(100)의 개방된 상부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500)는 일측이 막혀 있으며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원통 형상의 부재로서, 수용부(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하단부가 홀더(300)와 접촉할 수 있다.The cover part (500) is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and can be placed to cover the open upper part of the receiving part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 to 3, the cover part (500) is a cylindrical member having one side closed and an internal space, and the lower part can come into contact with the holder (300) when fastened to the receiving part (100).
일 실시예로 커버부(500)는 수용부(1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부(500)는 수용부(100)와 체결된 상태에서,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수용부(100)와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커버부(500)는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하는 영역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접촉 영역 자체가 수용부(100)와 커버부(500)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화장품 용기(10)는 종래 수용부와 커버부 사이에 유격이 존재하는 경우에 비해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유지하고, 내부에 수용된 화장품이 변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art (500) may be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art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d FIG. 6, the cover part (500) may be arranged such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inner surface thereof is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art (100) when the cover part (500) is fastened to the receiving part (100). That is, the cover part (500) includes an area that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100), and through this, the contact area itself may serve to seal the receiving part (100) and the cover part (500). Through this, the cosmetic container (10) can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and prevent cosmetics contained inside from being spoiled, compared to a case in which there is a gap between the receiving part and the cover part in the past.
일 실시예로 커버부(500)는 제1 영역(500a), 제2 영역(500b) 및 제3 영역(500c)을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500) may include a first region (500a), a second region (500b), and a third region (500c).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500a)은 커버부(500)의 일단부가 홀더(300)의 외측과 접촉하고, 일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수용부(100)의 상단을 커버하며, 내측면이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일 실시예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영역(500a)은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소정의 거리 D만큼 이격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3, the first region (500a) may be a region in which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500) contacts the outer side of the holder (300), extends lengthwise from the one en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has an inner surfac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s an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first region (500a) may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by a predetermined distance D.
제2 영역(500b)은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영역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영역(500b)은 수용부(100)와 직접 접촉하여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second region (500b) may be a reg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d FIG. 6, the second region (500b) may come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00) to maintain the seal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일 실시예로 제2 영역(500b)은 제1 커버 돌기(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커버 돌기(510)는 제2 영역(500b)의 내측면에서 수용부(100)를 향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기로서, 수용부(100)와 접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커버 돌기(510)가 수용부(100)를 강하게 가압함으로써 수용부(100)와 제2 영역(500b) 사이의 기밀을 보다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second region (500b) may further include a first cover protrusion (510). The first cover protrusion (510) is a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radially inwardly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00b) toward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may come into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100). Through this, the first cover protrusion (510) strongly presses the receiving portion (100), thereby more firmly maintaining the seal between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second region (500b).
일 실시예로 커버부(500)는 외경이 일정하며, 제1 영역(500a)의 내경은 제2 영역(500b)의 내경보다 클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500) has a constant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500a) may be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gion (500b).
다른 실시예로 제1 커버 돌기(510)는 수용부(100)의 제3 수용부 돌기(16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00)는 외측면에 제3 수용부 돌기(160)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수용부 돌기(160)는 수용부(100)의 외측면에 높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배치되며, 커버부(500)의 내측면,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영역(500b)의 내측면을 향해 돌출되는 한 쌍의 돌기일 수 있다. 또한 제1 커버 돌기(510)는 제3 수용부 돌기(16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In another embodiment, the first cover protrusion (51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thir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60)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7, 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have the thir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60) on the outer surface. The thir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60) may be a pair of protrusions that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protrude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more specifically, towar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00b). In addition, the first cover protrusion (510) may be inserted between the thir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60).
이에 따라 한 쌍의 제3 수용부 돌기(160)는 커버부(500)의 내주면(제2 영역(500b)의 내주면)과 접촉하고, 제1 커버 돌기(510)는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접촉하여 기밀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제3 수용부 돌기(160)와 제1 커버 돌기(510)가 서로 결합되어, 수용부(100)와 커버부(500)가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Accordingly, a pair of thir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s (160) come into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region (500b)), and the first cover protrusion (510) com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hereby maintaining a more secure seal. In addition, the third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60) and the first cover protrusion (510) are coupled with each other,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can be firmly coupled.
일 실시예로 커버부(500)는 제3 영역(500c)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 영역(500c)은 제1 영역(500a)과 제2 영역(500b) 사이에 배치되며, 제1 영역(500a)에서 수용부(100)의 외측면을 향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연장되는 영역일 수 있다. 제3 영역(500c)을 통해 제1 영역(500a)과 제2 영역(500b)이 그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부드럽게 연장됨으로써 수용부(100)와 커버부(5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500) may further include a third region (500c). As shown in FIG. 3 and FIG. 6, the third region (500c)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region (500a) and the second region (500b), and may be a region that extends at a predetermined angle from the first region (500a) towar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hrough the third region (500c), the first region (500a) and the second region (500b) are smoothly extended without forming a step therebetween,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can be easily coupled.
일 실시예로 커버부(500)는 제2 커버 돌기(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커버 돌기(520)는 커버부(500)가 홀더(300)와 결합하는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커버 돌기(520)가 홀더(30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제2 커버 돌기(520)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하여 한 쌍 구비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cover portion (500)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cover protrusion (5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nd FIG. 8, the second cover protrusion (520)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500) where it is coupled with the holder (300) and may protrude radially inward. Accordingly, the second cover protrusion (520) may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300) to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In one embodiment, the second cover protrusions (520) may be provided in pai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height direction.
다른 실시예로 제2 커버 돌기(520) 사이에는 수용부(100)의 제4 수용부 돌기(17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부(100)는 외측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제4 수용부 돌기(170)를 포함하며, 제4 수용부 돌기(170)는 한 쌍의 제2 커버 돌기(520)의 사이에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 수용부 돌기(170)가 커버부(500)의 내측면과 접촉하고, 한 쌍의 제2 커버 돌기(520)가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접촉하여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제2 커버 돌기(520) 사이에 제4 수용부 돌기(170)가 삽입되어 수용부(100)와 커버부(5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fourth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70)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may be arranged between the second cover protrusions (520). For example, as shown in FIG. 9, the receiving portion (100) includes a fourth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70) that is formed to protrude radially outwardly on the outer surface, and the fourth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70) may be inserted between a pair of second cover protrusions (520). Accordingly, the fourth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70) contacts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and the pair of second cover protrusions (52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hereby reliably maintaining the airtightnes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In addition, the fourth receiving portion protrusion (170) may be inserted between a pair of second cover protrusions (520), so that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may be more firmly coupled.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화장품이 수용되어 있는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커버부(500)의 내측면이 직접 접촉하여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가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보다 확실하게 화장품 용기(10)의 기밀을 유지하고, 화장품 용기(10)의 구성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할 수 있다.Through this configuration, the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securely maintain the airtightnes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by hav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containing the cosmetic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over portion (500) in direct contact. In addition, the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form a sealed structure with at least one protrusion arrang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rough this, the airtightnes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can be more securely maintained, and the bonding between the components of the cosmetic container (10) can be solidified.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의 단면을 나타내고, 도 13은 도 12의 D를 확대하여 나타낸다.Fig. 12 shows a cross-section of a cosmetic container (2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shows an enlarged view of D of Fig. 12.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20)는 수용부(100), 스크류(200), 홀더(300), 이동부(400) 및 커버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화장품 용기(20)는 전술한 화장품 용기(10)와 비교했을 때 커버부(500)의 구성이 상이하며, 나머지 구성은 동일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커버부(500)를 중심으로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2 and 13, a cosmetic container (2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receiving portion (100), a screw (200), a holder (300), a moving portion (400), and a cover portion (500). In one embodiment, the cosmetic container (20) may have a different configuration of the cover portion (500) compared to the aforementioned cosmetic container (10), and the remaining configurations may be the same.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focus on the cover portion (500).
커버부(500)는 제1 커버(500A) 및 제2 커버(500B)를 포함할 수 있다.The cover part (500) may include a first cover (500A) and a second cover (500B).
제1 커버(500A)는 수용부(100)의 개방된 일단부를 감싸며,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 및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커버(500A)는 커버부(500)의 내측에 배치되며, 일단부가 수용부(10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이 수용된 수용부(100)는 제1 커버(500A)에 의해 1차적으로 밀폐될 수 있다.The first cover (500A) wraps around an open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can come into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For example, as shown in FIGS. 12 and 13, the first cover (500A)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ide of the cover portion (500) and may be arranged so that one end wraps around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ccordingly, the receiving portion (100) containing the cosmetic may be primarily sealed by the first cover (500A).
일 실시예로 제1 커버(500A)는 제2 커버(500B)의 내측에 배치되며, 상부가 제2 커버(500B)와 접촉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500A) is placed on the inner side of the second cover (500B) and the upper part can contact the second cover (500B).
일 실시예로 제1 커버(500A)는 접촉부(510A) 및 체결부(520A)를 포함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500A) may include a contact portion (510A) and a fastening portion (520A).
접촉부(510A)는 수용부(100)의 외측면 및 제2 커버(500B)의 내측면 사이에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접촉부(510A)의 내측면은 수용부(100)의 외측면과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할 수 있다.The contact portion (510A) can be arranged so as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500B).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510A)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o maintain airtightness.
일 실시예로 접촉부(510A)의 내측면에는 제1 돌기(511A)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돌기(511A)는 접촉부(510A)의 내측면을 따라 배치되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고리 형상의 부재일 수 있다. 제1 돌기(511A)는 수용부(100)의 외측면을 가압하여, 수용부(100)와 커버부(500)가 보다 견고하게 결합되고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하게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a first protrusion (511A) may be arrang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510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first protrusion (511A) may be a ring-shaped member that is arranged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contact portion (510A) and protrudes radially inward. The first protrusion (511A) may press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thereby allowing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to be more firmly coupled and to maintain airtightness.
체결부(520A)는 접촉부(510A)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커버(500B)와 체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부(520A)는 제1 커버(500A)의 상부에서 아래로 연장되며, 제2 커버(500B)의 내측면과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하여 배치될 수 있다.The fastening portion (520A) extends lengthwise from the contact portion (510A) and can be fastened to the second cover (500B).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fastening portion (520A) extends down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first cover (500A) and can be positioned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500B)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일 실시예로 체결부(520A)는 제2 돌기(521A)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돌기(521A)는 체결부(520A)의 외측면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되는 돌기일 수 있다. 제2 돌기(521A)는 둘레 방향을 따라 연속 또는 불연속적으로 배치되며, 제2 커버(500B)의 제3 돌기(510B)와 결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커버(500A)와 제2 커버(500B)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커버(500A)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astening portion (520A)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protrusion (521A). For example, as shown in FIG. 13, the second protrusion (521A) may be a protrusion that is arrang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astening portion (520A) and extends radially outward. The second protrusion (521A) may be arranged continuously or discontinuously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may be combined with the third protrusion (510B) of the second cover (500B). In this way, when the first cover (500A) and the second cover (500B) are combined, the first cover (500A) may not be easily separated.
연결부(530A)는 접촉부(510A)와 체결부(520A)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으로, 접촉부(510A)에서 반경 방향 내측으로 소정의 각도만큼 기울어져 연장될 수 있다. 연결부(530A)를 통해 접촉부(510A)와 체결부(520A)가 그 사이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고 부드럽게 연장됨으로써 수용부(100)와 커버부(500)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The connecting portion (530A) is a region positioned between the contact portion (510A) and the fastening portion (520A), and can extend at a predetermined angle inwardly in the radial direction from the contact portion (510A). Through the connecting portion (530A), the contact portion (510A) and the fastening portion (520A) can be smoothly extended without forming a step therebetween, thereby allowing the receiving portion (100) and the cover portion (500) to be easily coupled.
제2 커버(500B)는 제1 커버(500A)와 수용부(100)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커버(500B)는 내측에 제1 커버(500A)가 삽입되며, 일단부가 홀더(300)에 안착되어 수용부(100)를 덮을 수 있다.The second cover (500B) may be arranged to cover the first cover (500A) and the receiving portion (100). For example, the second cover (500B) may have the first cover (500A) inserted into the inside, and one end may be secured to the holder (300) to cover the receiving portion (100).
일 실시예로 제1 커버(500A)는 제2 커버(500B)에 삽입된 상태에서 일단부가 홀더(300)의 상단부와 이격될 수 있다. 즉 제1 커버(500A)의 길이는 제2 커버(500B)의 길이보다 짧으며, 제1 커버(500A)의 일단부와 홀더(300)의 상단부 사이에 대응되는 제2 커버(500B)의 영역은 수용부(100)의 외주면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first cover (500A) may be inserted into the second cover (500B) so that one end thereof is spaced apart from the upper end of the holder (300). That is, the length of the first cover (500A) is shorter than the length of the second cover (500B), and the area of the second cover (500B) corresponding to one end of the first cover (500A) and the upper end of the holder (300) can be maintaine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1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10)는 커버부(500)를 제1 커버(500A)와 제2 커버(500B)로 분리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부(500)가 수용부(10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커버(500A)가 제2 커버(500B)를 가압하여, 제2 커버(500B)와 수용부(100)의 기밀을 보다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smetic container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figured by separating the cover portion (500) into a first cover (500A) and a second cover (500B). Accordingly, when the cover portion (500) is coupled to the receiving portion (100), the first cover (500A) presses the second cover (500B), thereby more reliably maintaining the seal between the second cover (500B) and the receiving portion (100).
이와 같이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다.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초하여 정해져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these are merely example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from the embodiments.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appended claims.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특정 기술 내용은 일 실시예들로서, 실시예의 기술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발명의 설명을 간결하고 명확하게 기재하기 위해, 종래의 일반적인 기술과 구성에 대한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는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 표현될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Specific technical detail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are examples only and do not limit the technical scope of the embodiments. In order to describe the invention concisely and clearly, descriptions of conventional general techniques and configurations may be omitted. In addition, the connection or absence of connection of lines between components illustrated in the drawings is an example of functional connections and/or physical or circuit connections, and may be expressed as various functional connections, physical connections, or circuit connections that are replaceable or additional in an actual device. In addition, if there is no specific mention such as “essential” or “importantly,” it may not be a component that is absolutely necessary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발명의 설명 및 청구범위에 기재된 "상기" 또는 이와 유사한 지시어는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 한, 단수 및 복수 모두를 지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 예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실시예들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실시예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The words "above" or similar designator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and claims of the invention can refer to both singular and plural unless specifically limited. In addition, when a range is described in an embodiment, it is intende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n individual value that falls within the range (unless otherwise stated), and each individual value constituting the range is described 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n addition, unless there is an explicit description or contrary description regarding the steps constituting the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steps can be performed in any appropriate order. The embodiments are not necessarily limited by the order in which the steps are described. The use of all examples or exemplary terms (e.g., "for example," etc.) in the embodiments is merely intended to describe the embodiments in detail, and the scope of the embodiments is not limited by the examples or exemplary terms, unless otherwise limited by the claims. In addition,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various modifications, combinations, and changes can be made according to design conditions and factor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or their equivalents.
10, 20: 화장품 용기
100: 수용부
200: 스크류
300: 홀더
400: 이동부
500: 커버
600: 밀폐 부재10, 20: Cosmetic containers
100: Reception area
200: Screw
300: Holder
400: Moving part
500: Cover
600: Sealing absence
Claims (13)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외주면에 길이 방향을 따라 나선으로 연장되는 홈을 구비하는 스크류;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스크류와 일체로 회전하되 승강 운동하지 않는 홀더; 및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홈과 각각 체결되며 서로 대칭되는 위치에 구비되는 한 쌍의 슬라이딩 돌기를 내측면에 포함하고, 상기 홀더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돌기가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하면서 승강 운동하는 이동부; 및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측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수용부와 접촉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A storage compartment having a space inside to store cosmetics;
A screw disposed inside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 groove extending in a spiral shape along the length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A holder arranged to surround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coupled with one end of the screw, and rotating integrally with the screw but not moving up and down; and
A moving part disposed inside the above-mentioned receiving portion, including a pair of sliding projections on the inner surface, each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groove and is provided at a position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which moves up and down while the sliding projections move along the groove as the holder rotates; and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comprising a cover portion arranged to surround the receiving portion and having at least a portion of an inner surface in contact with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가 상기 홀더의 외측과 접촉하고, 상기 일단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수용부의 상단을 커버하며, 내측면이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이격되는 제1 영역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 영역을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cover portion has one end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holder, extends lengthwise from the one end to cover the upper end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includes a first region whose inner side is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 second region in contact with the outer side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2 영역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제1 커버 돌기를 더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second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cover portion is disposed in the second region and further includes one or more first cover protrusions protruding radially inward.
상기 커버부는 일정한 외경을 가지며, 상기 제1 영역의 내경이 상기 제2 영역의 내경보다 큰,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second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cover portion has a constant outer diameter and the inner diameter of the first region is larger than the inner diameter of the second region.
상기 커버부는 일단부의 내측면에 배치되며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홀더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2 커버 돌기를 더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cover portion further includes a second cover protrusion disposed 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and protruding radially inwardly to contact the outer surface of the holder.
상기 제2 커버 돌기는 높이 방향으로 이격하도록 한 쌍 구비되고,
상기 홀더는 상기 한 쌍의 제2 커버 돌기 사이에 삽입되는 결합 돌기를 더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clause 5,
The above second cover protrusions are provided in pairs spaced apart in the height direction,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holder further includes a joining projection inserted between the pair of second cover projections.
상기 홀더는 일단부에 서로 다른 외경을 가져, 외측면에 단차가 형성되는 결합부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부의 일단부는 상기 결합부 상에 안착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older has a joint having different outer diameters at one end and a step formed on the outer surface,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one end of the cover portion is placed on the connecting portion.
상기 커버부는 상기 수용부의 개방된 일단부를 감싸며,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 커버 및 상기 제1 커버와 상기 수용부를 감싸도록 배치되는 제2 커버를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cover part surrounds an open end of the receiving part and includes a first cover in contact with an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art and a second cover arranged to surround the first cover and the receiving part.
상기 제1 커버는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 및 상기 제2 커버의 내측면 사이에 서로 접촉하도록 배치되는 접촉부와 상기 접촉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2 커버와 체결되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Article 8,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first cover includes a contact portion arranged to be in contact with each other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cover, and a fastening portion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contact portion and fastened to the second cover.
상기 접촉부는 내측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과 접촉하는 제1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Article 9,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ncludes a first projection protruding radially inward on the inner surface and contac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상기 제2 커버는 외측면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제1 커버의 내측면에 형성된 제3 돌기와 결합하는 제2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Article 9,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second cover includes a second protrusion that protrudes radially inwardly on an outer surface and engages with a third protrusion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cover.
상기 수용부는 상기 홀더의 내측면과 마주보는 일측에 밀폐 부재가 삽입되는 삽입홈을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wherein the receiving portion includes an insertion groove into which a sealing member is inserted on one side fac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상기 홀더의 내측면과 상기 수용부의 외측면에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되며,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돌기를 포함하는, 밀폐 구조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In the first paragraph,
A cosmetic container having a sealed structure, the container including a pair of protrusions formed at different height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der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receiving portion and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6544A KR102726325B1 (en) | 2021-09-24 | 2021-09-24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CN202190000153.XU CN217658584U (en) | 2021-09-24 | 2021-11-19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PCT/KR2021/017088 WO2023048335A1 (en) | 2021-09-24 | 2021-11-19 | Cosmetic container having closed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126544A KR102726325B1 (en) | 2021-09-24 | 2021-09-24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30043541A KR20230043541A (en) | 2023-03-31 |
KR102726325B1 true KR102726325B1 (en) | 2024-11-13 |
Family
ID=85719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126544A Active KR102726325B1 (en) | 2021-09-24 | 2021-09-24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2726325B1 (en) |
WO (1) | WO2023048335A1 (en)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65474A1 (en) | 2005-01-24 | 2006-07-27 | Jun Zhang | Cosmeticizing pen |
US20110126851A1 (en) | 2009-11-30 | 2011-06-02 | O Sin Yeom | Cosmetics case |
KR101231622B1 (en) | 2011-09-30 | 2013-02-08 | 김태진 | Refillable Lipstick Containers |
KR102057260B1 (en) * | 2019-06-24 | 2019-12-18 |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 Lipstick vessel |
US20210112946A1 (en) | 2018-05-31 | 2021-04-22 | Yonwoo Co., Ltd. | Cosmetic Container |
KR102290356B1 (en) * | 2019-10-29 | 2021-08-19 | (주)연우 | Retractable container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21984U (en) | 1999-02-09 | 1999-06-25 | 윤동한 | Mascara bottle having packings |
JP5311113B2 (en) * | 2008-12-08 | 2013-10-09 | 株式会社カツシカ | Stick-shaped cosmetic container |
KR20190116853A (en) * | 2018-04-05 | 2019-10-15 | 차동례 | Container pulled out by the rotation of the lower case to protect the lipstick |
KR102676368B1 (en) * | 2019-05-31 | 2024-06-18 | (주)아모레퍼시픽 | Lipstick case |
-
2021
- 2021-09-24 KR KR1020210126544A patent/KR102726325B1/en active Active
- 2021-11-19 WO PCT/KR2021/017088 patent/WO2023048335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60165474A1 (en) | 2005-01-24 | 2006-07-27 | Jun Zhang | Cosmeticizing pen |
US20110126851A1 (en) | 2009-11-30 | 2011-06-02 | O Sin Yeom | Cosmetics case |
KR101231622B1 (en) | 2011-09-30 | 2013-02-08 | 김태진 | Refillable Lipstick Containers |
US20210112946A1 (en) | 2018-05-31 | 2021-04-22 | Yonwoo Co., Ltd. | Cosmetic Container |
KR102057260B1 (en) * | 2019-06-24 | 2019-12-18 | 연희화학공업 주식회사 | Lipstick vessel |
KR102290356B1 (en) * | 2019-10-29 | 2021-08-19 | (주)연우 | Retractable container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3048335A1 (en) | 2023-03-30 |
KR20230043541A (en) | 2023-03-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764119B1 (en) | Container with screw cap | |
KR19980023959A (en) | Overcap assembly for geared finish bottles | |
CN108137201A (en) | Container and closure | |
ES1287004U (en) | Capping device intended to be fixed on the neck of a container | |
KR100238849B1 (en) | Cosmetic Container | |
JP2019182539A (en) | Bottle cap | |
TW201704106A (en) | A container cap with function of anti-missing and anti-idle stopper | |
CN110125271B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neck of bottle-shaped can | |
KR102726325B1 (en)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
JPS59103851A (en) | Holder for vessel | |
US6769560B1 (en) | Bottle stopper | |
JP5479029B2 (en) | Combination of rubber stopper (B) for vial and plastic cap (C) | |
JP6986733B2 (en) | cap | |
KR102516262B1 (en) | Cosmetic container that usable without residue | |
US20070267379A1 (en) | Reversible two-function cap for vial | |
JP2011050699A (en) | Vial and sealing device used for the same | |
JP5240835B2 (en) | Feeding container | |
CN217658584U (en) | Cosmetic container with sealing structure | |
US20010030196A1 (en) | Automatic cap/cover locators and orientation guides | |
US7374357B2 (en) | Plugging type dental liquid housing container | |
JP2004136976A (en) | Screw type lid structure, screw type lid section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 |
WO2018042537A1 (en) | Container | |
JPS59187555A (en) | Combination of vessel proper and cover body | |
US12195249B2 (en) | Cap for closing a receptacle and an assembly comprising said cap | |
JP2019210054A (en) | Cap with sealing por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9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5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