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5562B1 -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 Google Patents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5562B1
KR102725562B1 KR1020210192213A KR20210192213A KR102725562B1 KR 102725562 B1 KR102725562 B1 KR 102725562B1 KR 1020210192213 A KR1020210192213 A KR 1020210192213A KR 20210192213 A KR20210192213 A KR 20210192213A KR 102725562 B1 KR102725562 B1 KR 102725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utoclave
discharge
foam particles
ho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2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04312A (ko
Inventor
박대병
박우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에프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에프솔루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에프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1922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5562B1/ko
Publication of KR20230104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4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56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3461Making or treat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16Making expandable part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리피스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오토클레이브의 하부에 구비되고, 발포 입자를 제조 배출하는 배출홀을 가지는 오리피스 포함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이 조정되는 모터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발포 입자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Autoclave foamed particle discharge valve system for the production of random polypropylene foamed particles}
본 발명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오리피스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다른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비하여 강성, 내약품성, 성형성이 뛰어나 공업적 이용범위가 매우 넓은 소재이다.
그리고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이용한 발포 소재를 제조할 때는 크게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기초재료로 사용하여 압출방법으로 생산된 시트 소재와 오토클레이브방법을 통한 배치(Batch) 제조 방법으로 생산된 비드(알갱이)소재가 있다.
근래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1차로 가공하여 미니 펠렛로 제조한 후 이산화탄소(CO2) 초임계 발포법을 이용한 오토클레이브 발포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랜덤 폴리프로필렌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초임계 발포법을 이용하여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장치에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발포 제조하여 배출하는 오토크레이브(Autoclave)가 포함된다.
먼저,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의 일 예를 설명하면, 솔베이트, 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아민옥사이드, 베타인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 매질과 폴리올레핀계 수지입자의 가열을 위한 물(일반적인 공업용수)을 혼합한 공정수를 제조하는 공정수 혼합(믹싱)단계와, 상기 공정수에 폴리올리핀계 미니 펠렛(Pellet)을 첨가하여 가열, 승온시키고 발포 역할을 하는 이산화탄소(CO2)를 투입 및 승압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면서 분산용액의 압력 해제를 통해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발포단계, 및 상기 제조된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로부터 공정수를 분리하여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를 수득하는 분리단계를 통해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것이다.
그리고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은 분산 매질과 물이 혼합된 공정수, 그리고 폴리올레핀계 수지 입자 와 이산화탄소(CO2)가 투입되는 내압용기(이하,"오토클레이브"라 한다.)와, 상기 용기에서 배출된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와 공정수를 분리시키는 분리기와, 상기 분리기에서 토출된폴리올레핀 발포 입자를 건조시키는 건조기와, 상기 분리기에서 토출된 분산 매질을 회수하여 용기로 이송되게 하는 리사이클 라인을 포함하는 제조장치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에 사용되는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오토클레이브의 하부에는, 이산화탄소(발포역할체)가 첨가된 분산용액이 배출되면서 대기압과 오토클레이브 내부압력에 차이에 의해 발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출홀을 가진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수동 조작식 배출 밸브가 설치된다.
그러나 종래의 상기 수동 조작식 배출 밸브는 작업자가 수동으로 핸들을 돌려서 오리피스의 배출홀의 개방량 및 개방 시간을 작업자의 감각으로 제어함으로써, 제조되는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가 균일하지 않는 불량이 빈번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902331호의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어부에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오리피스의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함으로써, 오리피스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은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오토클레이브의 하부에 구비되고, 발포 입자를 제조 배출하는 배출홀을 가지는 오리피스 포함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이 조정되는 모터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발포 입자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어부에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오리피스의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함에 따라, 오리피스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함으로써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가 불균일하게 제조되는 불량을 사전에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클레이브의 배출 밸브 시스템을 나타낸 것으로,
도 1a는 배출 밸브가 설치된 오토클레이브를 나타낸 일부 단면 구성도이고.
도 1b는 요부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 밸브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b의 A부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 밸브의 오리피스 배출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토클레이브의 배출 밸브 시스템을 나타낸 도면들이고, 도 2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 밸브를 확대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b의 A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배출 밸브의 오리피스 배출홀이 폐쇄된 상태를 나타낸 확대 단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이하, "오토클레이브의 배출 밸브 시스템"이라 한다.)은 오리피스의 배출홀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 오토클레이브(10)의 하부에 구비되는 배출 밸브(1), 제어부(2)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오토클레이브(10)는 솔베이트, 솔비탄, 폴리옥시에틸렌, 아민옥사이드, 베타인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분산 매질과 랜덤 폴리프로필렌 수지 입자의 가열을 위한 물(일반적인 공업용수)을 혼합한 공정수에 랜덤 폴리프로필렌 미니 펠렛(Pellet)을 첨가하여 가열, 승온시키고 발포 역할을 하는 이산화탄소(CO2 : 발포역할체)를 투입 및 승압하여 분산용액을 제조하면서 분산용액의 압력 해제를 통해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것으로, 하부에는 상기 배출 밸브(1)가 구비되는 것이다.
상기 배출 밸브(1)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오토클레이브(10)의 하부에 구비되는 것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이하, "발포 입자"라 한다.)를 제조 배출하는 배출홀(111)을 가지는 오리피스(11)를 포함하며,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출홀(111)의 개방량이 조정되는 모터 개폐부(13)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111)에서 배출되는 발포 입자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게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 오리피스(11)는 오토클레이브(10)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하부의 둘레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형 배출홀(112)을 가지는 배출홀(111)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모터 개폐부(13)는 배출홀(111)을 구성하는 원뿔형 배출홀(112)을 정확하게 개폐시키면서 승강을 통해 개폐량을 조정할 수 있도록, 수직 배출관(14)과 개폐 구동수단(1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수직 배출관(14)은 오리피스(11)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하부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내부에는 수직홀(141)이 형성되고, 수직홀(141)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홀(111)에서 배출되는 발포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 확장부(142)가 형성되며, 배출 확장부(142)의 일측에는 발포 입자 배출관(143)이 구비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발포 입자 배출관(143)은 다음 공정의 장치에 연결된 연결관(P)이 연결되는 것으로, 발포 입자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내측이 좁고 외측이 넓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진 경사 원뿔관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폐 구동수단(15)은 수직 배출관(14)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홀(141)의 내부와 수직 배출관(14)의 하부에 설치되어 후술할 제어부(2)와 연결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출홀(111)의 개방량을 조정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 구동수단(15)은 수직 배출관(14)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홀(141)의 내부에 비회전되면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배출홀(111)의 원뿔형 배출홀(112)의 둘레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형 개폐부(161)가 형성된 개폐축(16)과, 상기 개폐축(16)을 후술할 제어부(2)와 연결된 모터(M)의 구동에 의해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1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폐축(16)이 수직 배출관(14)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홀(141)의 내부에서 비회전되면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개폐축(16)은 원형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배출관(14)의 측부에는 수직 장홀(144)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개폐축(16)의 측부에는 상기 수직 장홀(144)에 승강이 가능하게 관통된 수평의 회전 방지축(162)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 구동부(17)는 개폐축(16)을 정밀하면서 정확하게 승강시킬 수 있도록, 상기 개폐축(16)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171)와, 상기 수직 배출관(14)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축(172)에는 상기 나사부(171)가 체결되어 회전축(172)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축(16)을 승강시키는 탭홈(173)이 형성된 상기 모터(M)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출 밸브(1)는 오리피스(11)를 구성하는 수평판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오토클레이브(10)의 하부에 관통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홀(111)과 연통되는 수직의 내부홀(121)이 형성되며 내부홀(121)의 상부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형 홀(122)이 형성된 수직 연결관(12)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원뿔형 개폐부(161)의 상부에 내부홀(121)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외주면의 외측 둘레에 하강 통로(164)를 형성하면서 상기 원뿔형 홀(122)을 개폐하는 개폐 승강축(16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오리피스(11)의 수평판 상부에 내부홀(121)을 가지는 수직 연결관(12)을 더 구비하고, 원뿔형 개폐부(161)의 상부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원뿔형 홀(122)을 개폐하는 개폐 승강축(163)을 더 구비함에 따라, 개폐 승강축(163)의 외주면의 외측 둘레에 오토클레이브(10) 내부의 분산용액이 적정량으로 상기 오리피스의 배출홀(111)에 유입될 수 있게 함으로써, 오리피스(11)의 배출홀(111)에 형성된 원뿔형 배출홀(112)로 분산용액의 병목이 최소화되면서 유입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는 배출 밸브(1)를 구성하는 모터(M)와 연결되고,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터(M)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오토클레이브의 배출 밸브시스템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클레이브의 배출 밸브 시스템을 통해 오토클레이브(10)에서 발포 입자가 제조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제어부(2)에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제어부(2)에서 상기 모터(M)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개폐축(16)의 원뿔형 개폐부(161)를 하강 또는 상승시켜 상기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어부(2)에서 모터(M)의 구동을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개폐축(16)의 원뿔형 개폐부(161)를 하강 또는 상승시킴에 따라, 개폐축(16)의 원뿔형 개폐부(161)의 외주면과 배출홀(111)의 하부에 형성된 원뿔형 배출홀(112)의 사이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은 제어부(2)에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실시간에 최적으로 조정된다. 따라서 오토클레이브(10) 내부의 분산용액이 개폐축(16)의 원뿔형 개폐부(161)의 외주면과 배출홀(111)의 하부에 형성된 원뿔형 배출홀(112)의 사이에서 병목 없이 적정량이 원활하게 배출됨으로써,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발포 입자가 균일하게 제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개폐축(16)의 원뿔형 개폐부(161)의 외주면과 배출홀(111)의 하부에 형성된 원뿔형 배출홀(112)의 사이에서 배출되는 균일한 발포 입자는 수직 배출관(14)의 내부 상부에 형성된 배출 확장부(142)를 통과하고 발포 입자 배출관(143)을 통과하여 다음 공정으로 투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어부(2)에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오리피스(11)의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함에 따라, 오리피스(11)의 배출홀(111)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오리피스(11)의 배출홀(111)에서 배출되면서 제조되는 발포 입자를 균일하게 제조함으로써 발포 입자가 불균일하게 제조되는 불량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어부(2)에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오리피스(11)의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111)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함에 따라, 오리피스(11)의 배출홀(111)에서 발포되어 배출되는 발포 입자들이 높은 압력에 의해 한 번에 몰려서 막히는 증상이 방지되면서 일정한 속도로 발포 입자들이 균일하게 제조될 수 있는 유용한 발명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배출 밸브(1)는 상기 모터(M) 회전축(172)의 회전속도나 각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2)와 연결된 엔코더(18)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2)는, 배출홀(111)의 둘레에서 오토클레이브(10) 내부의 분산용액이 배출되면서 발포 입자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엔코더(18)에서 출력되는 모터(M)의 회전축(172)의 회전속도나 각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분산용액의 배출 병목으로 개폐축(16)이 미세하게 하강될 경우에 모터(M)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발포 입자의 개방량을 초기에 설정된 적정 개방량으로 유지하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엔코더(18)에서 출력되는 모터(M)의 회전축(172)의 회전속도나 각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분산용액의 배출 병목으로 개폐축(16)이 미세하게 하강될 경우에, 모터(M)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개폐축(16)을 미세하게 다시 상승시켜 발포 입자의 개방량을 초기에 설정된 적정 개방량으로 보정하여 유지할 수 있게 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구성하는 상기 배출 밸브(1)는 오리피스(11) 배출홀(111)에서 발포 수지가 배출되는 부분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2)와 연결된 온도감지센서(19)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클레이브(10)의 내부 온도를 적정 범위내로 제어하는 공지된 온도제어수단(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2)는 온도감지센서(19)에서 실시간으로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에 상기 온도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오토클레이브(10) 내부의 온도를 적정 범위내로 유지시키게 구성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온도감지센서(19)에서 실시간으로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에 상기 온도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오토클레이브(10) 내부의 온도를 적정 범위내로 유지시킴에 따라, 오토클레이브(10) 내부 온도의 과열로 인하여 발생되는 발포 입자의 불량을 사전에 예방하는 장점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1 : 배출 밸브
11 : 오리피스
12 : 수직 연결관
13 : 모터 개폐부
14 : 수직 배출관
15 : 개폐 구동수단
16 : 개폐축
17 : 승강 구동부
18 : 엔코더
19 : 온도감지센서
2 : 제어부
10 : 오토클레이브

Claims (9)

  1.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를 제조하는 오토클레이브의 하부에 구비되고, 발포 입자를 제조 배출하는 배출홀을 가지는 오리피스 포함하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이 조정되는 모터 개폐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발포 입자를 다음 공정으로 배출시키는 배출 밸브와;
    상기 모터와 연결되고, 초기 입력된 프로그램에 의해 상기 모터를 자동으로 제어하여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자동으로 조정하여 배출홀의 개방량과 개방시간을 최적의 조건으로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는 오토클레이브의 하부에 설치되고 중앙에는 하부의 둘레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형 배출홀을 가진 배출홀이 형성되는 수평판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 개폐부는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연결되게 설치되고 내부에는 수직홀이 형성되고 수직홀의 상부에는 상기 배출홀에서 배출되는 발포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 확장부가 형성되고 배출 확장부의 일측에는 발포 입자 배출관이 구비된 수직 배출관과,
    상기 수직 배출관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홀의 내부와 수직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상기 배출홀의 개방량을 조정하는 개폐 구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 입자 배출관은
    발포 입자를 원활하게 배출할 수 있도록 내측이 좁고 외측이 넓고 내측에서 외측으로 하향진 경사 원뿔관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구동수단은
    상기 수직 배출관의 내부에 형성된 수직홀의 내부에 비회전되면서 승강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부에는 상기 배출홀의 원뿔형 배출홀의 둘레면에 밀착되거나 이격되게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형 개폐부가 형성된 개폐축과,
    상기 개폐축을 제어부와 연결된 모터의 구동에 의해 승강시키는 승강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축은 원형축으로 구성되고,
    상기 수직 배출관의 측부에는 수직 장홀이 더 형성되며,
    상기 개폐축의 측부에는 상기 수직 장홀에 승강이 가능하게 관통된 수평의 회전 방지축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구동부는
    상기 개폐축의 하부에 형성된 나사부와,
    상기 수직 배출관의 하부에 설치되고 회전축에는 상기 나사부가 체결되어 회전축의 회전에 의해 상기 개폐축을 승강시키는 탭홈이 형성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수평판의 상부 중앙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오토클레이브의 하부에 관통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는 수직의 내부홀이 형성되며 내부홀의 상부에는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원뿔형 홀이 형성된 수직 연결관과,
    상기 원뿔형 개폐부의 상부에 내부홀의 내경보다 외경이 작게 돌출되게 형성되어 외주면의 외측 둘레에 하강 통로를 형성하면서 상기 원뿔형 홀을 개폐하는 개폐 승강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는
    상기 모터 회전축의 회전속도나 각도를 실시간으로 센싱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엔코더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배출홀의 둘레에서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분산용액이 배출되면서 발포 입자가 제조되는 과정에서, 상기 엔코더에서 출력되는 모터의 회전축의 회전속도나 각도를 실시간으로 입력받아 분산용액의 배출 병목으로 개폐축이 미세하게 하강될 경우에 모터를 실시간으로 제어하여 발포 입자의 개방량을 초기에 설정된 적정 개방량으로 유지하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9.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 밸브는 오리피스 배출홀에서 발포 수지가 배출되는 부분의 주위에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와 연결된 온도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오토클레이브의 내부 온도를 적정 범위내로 제어하는 온도제어수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어부는 온도감지센서에서 실시간으로 온도 신호를 입력받아 기 설정된 온도 범위를 초과하거나 미달할 경우에 상기 온도 제어수단을 제어하여 오토클레이브 내부의 온도를 적정 범위내로 유지시키게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KR1020210192213A 2021-12-30 2021-12-30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Active KR1027255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13A KR102725562B1 (ko) 2021-12-30 2021-12-30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2213A KR102725562B1 (ko) 2021-12-30 2021-12-30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12A KR20230104312A (ko) 2023-07-10
KR102725562B1 true KR102725562B1 (ko) 2024-11-04

Family

ID=8715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2213A Active KR102725562B1 (ko) 2021-12-30 2021-12-30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556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7635A (ja) 2019-08-30 2021-03-11 株式会社カネカ 発泡粒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2331B1 (ko) 2008-02-29 2009-06-12 하오기술 주식회사 폴리올레핀계 발포 입자의 제조방법
KR20100007270A (ko) * 2008-07-12 2010-01-22 서흥식 폴리올레핀 발포입자와 그 성형체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20210051362A (ko) * 2019-10-30 2021-05-10 주식회사 엘지화학 발포성 입자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1037635A (ja) 2019-08-30 2021-03-11 株式会社カネカ 発泡粒子の製造装置およ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4312A (ko) 2023-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6216A (e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apparatus
EP3295823B1 (en) Eco-pump type cosmetic container
US8914990B2 (en) Hopper structure
KR102725562B1 (ko) 랜덤 폴리프로필렌 발포 입자 제조용 오토클레이브의 발포 입자 배출 밸브 시스템
US3907953A (en) Container closure and method
US2724580A (en) Method of mixing a pulverulent solid material and a liquid
US4031302A (en) Process for preparing granular rubber
US3329748A (en) Processes of curing tires
CN106133882A (zh) 基板处理装置
US5133653A (en) Apparatus for vulcanizing an elastomeric product utilizing a pressurizing and a heating medium
KR100419706B1 (ko) 폴리에스테르원료의연속적결정화장치
JP5524617B2 (ja) 液体タンクの通気回路のためのバルブ
US3347534A (en) Solids flow equalizer
ITMI950053A1 (it)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la produzione continua di schiume poliuretaniche pre-espanse
KR101776556B1 (ko) 이중구조의 회전체를 이용한 탈포기
KR100596674B1 (ko) 일체형 부품의 탈지장치
CN201454525U (zh) 自调式快速反应釜
JPH0780080B2 (ja) 微粉造粒装置
JPH0513551Y2 (ko)
CN112705128A (zh) 一种纳米级碳酸钙加工装置
KR101965889B1 (ko) 진동체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한 서스펜션 중합 방법
CN218139165U (zh) 一种母粒原料卧式均化机
US5133914A (en) Method for vulcanizing elastomer product
CN117542765B (zh) 一种半导体晶圆刻蚀用全自动喷嘴
SU1502066A1 (ru) Способ смешени гранулированных материалов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12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22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42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