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5505B1 -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 Google Patents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5505B1
KR102725505B1 KR1020230185298A KR20230185298A KR102725505B1 KR 102725505 B1 KR102725505 B1 KR 102725505B1 KR 1020230185298 A KR1020230185298 A KR 1020230185298A KR 20230185298 A KR20230185298 A KR 20230185298A KR 102725505 B1 KR102725505 B1 KR 102725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ensor
signal
processor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529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현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도어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도어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도어랩
Priority to KR10202301852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5505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50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7/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 G01B7/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7/023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or magnetic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for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1/00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 G01J1/42Photometry, e.g. photographic exposure meter using electric radiation detec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JMEASUREMENT OF INTENSITY, VELOCITY, SPECTRAL CONTENT, POLARISATION, PHASE OR PULSE CHARACTERISTICS OF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COLORIMETRY; RADIATION PYROMETRY
    • G01J3/00Spectrometry; Spectrophotometry; Monochromators; Measuring colours
    • G01J3/02Details
    • G01J3/10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spectrometry or colorimetry
    • G01J3/108Arrangements of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for spectrometry or colorimetry for measurement in the infrared ran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8/00Prospecting or detecting by optical means
    • G01V8/10Detecting, e.g. by using light b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2Detection using safety edges
    • E05F15/43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 E05F2015/434Detection using safety edges responsive to disruption of energy beams, e.g. light or sound with cameras or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7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 E05F15/7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 E05F2015/76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with automatic actuation responsive to movement or presence of persons or objects using optical sens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시스템은, 개방 상태 또는 폐쇄 상태를 제공하는 도어,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 및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센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알람 장치, 및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을 위한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송출되도록, 상기 알람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door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may include a door providing an open state or a closed state, a first sensor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does not exist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bject exists, an alarm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an alarm signal, and a processor.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receiving an open signal for switching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control the door to rise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control the alarm device to transmit the alarm signal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and control the door to rise based on identifying that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from a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Description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시스템{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본 개시는, 센서를 이용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는 도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disclosure relates to a door system that controls the opening and closing of a door using a sensor.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는, 작업 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류 창고에서, 내부 공간에 적재된 물류를 보관하기 위해, 도어는, 입구를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어는, 상승함으로써, 입구를 개방할 수 있고, 하강함으로써, 입구를 폐쇄할 수 있다. 도어는, 자동으로 개폐될 수 있다. A door that opens and closes an entrance can be used in a work site. For example, in a logistics warehouse, in order to store logistics loaded in an internal space, the door can open or close the entrance. The door can open the entrance by rising, and close the entrance by lowering. The door can open and close automatically.

상기 내용은, 본 개시와 관련된 종래 기술(prior art)로서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하여 어떠한 주장이나 결정이 제기되지 않는다.No claim or determination is made as to whether the above content can be applied as prior art related to the present disclosure.

도어가 자동으로 개폐될 때,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의해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작업 차량이나 작업자가 위치하는 경우, 도어에 의해 작업 차량 또는 작업자가 반대편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어를 개방하여 작업 차량이 진입하면,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업 차량 또는 작업자와 진입하는 작업 차량이 충돌할 수 있다. 또는, 도어의 이동 위치에 오브젝트가 위치하는 경우, 오브젝트와 도어의 충돌에 의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When the door opens and closes automatically, an accident may be caused by objects located in the vicinity. For example, if a work vehicle or worker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the work vehicle or worker may not be visible from the opposite side due to the door. When the door is opened and the work vehicle enters, the work vehicle or work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may collide with the entering work vehicle. Or, if an object is located at the moving position of the door, an accident may occur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door.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주변의 오브젝트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기반하여 도어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accidents by detecting surrounding objects and controlling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based on the detection results.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s to be achieved in the document are not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시스템은, 상기 입구가 개방되는 개방 상태 내에서, 상기 입구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입구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입구가 폐쇄되는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입구의 상부로부터 상기 입구의 바닥까지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상기 입구 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주변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 및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센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알람 장치; 및 상기 알람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을 위한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송출되도록, 상기 알람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 door system for opening and closing an entrance may include a door positioned above the entrance, 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entrance is opened, and configured to descend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entrance to a bottom of the entrance to switch the entrance from the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in which the entrance is closed; a first sensor disposed above the entrance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does not exist around the door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bject exists; an alarm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an alarm signal;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larm device and the first sensor, and configured to control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receiving an open signal for switching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control the door to rise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control the alarm device to transmit the alarm signal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and control the door to rise based on identifying that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을 위한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request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for transitioning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control the door to descend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and control the door to maintain the open state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다시 요청하고, 상기 제1 식별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while maintaining the open state, re-request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from the first sensor, maintain the open state until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and control the door to lower the door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및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may include a bracket coupled to a wall or ceiling; a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and an infrared detection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emit infrared light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rared light reflected by the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센서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레이더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may include a radar detection unit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a second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by the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adjust an angle of the housing relative to the bracke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센싱 영역의 제1 면적을 지정된 제2 면적과 비교하고, 상기 제1 면적과 상기 제2 면적의 차이가 임계 면적을 초과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차이를 줄이도록, 상기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a first area of a sensing region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with a designated second area, and adjust an angle of the housing to reduce the difference based on identifying that a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exceeds a threshold area.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시스템은, 상기 입구의 측벽 내에 배치되는 감지 대상물; 및 상기 측벽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 대상물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oo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detection object disposed within a side wall of the entrance; and a second sensor disposed on a side of the door facing the side wall and configured to identify the detection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대상물은, 제1 감지 대상물 및 상기 제1 감지 대상물로부터 상기 바닥을 향하여 이격됨으로써, 상기 바닥에 인접하는 제2 감지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을 위한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정상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가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정상 상태와 구별되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ction object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object and a second detection objec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object toward the floor and adjacent to the floor. The second sens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first signal to the processor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object, and to transmit a second signal to the processor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objec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rmally switched to the closed state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while the door is lowered,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for switching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and to identify an abnormal stat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normal state based on not receiving the second signal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first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door is lower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 시스템은, 상기 입구의 바닥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에 위치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 및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정상 상태를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의 하강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다시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상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oor system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nsor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door facing the floor of the entrance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bject located on the floor does not exist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bject exists.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based on identifying the abnormal state, stop the descent of the door, request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or the third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and control the door to descend again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or the third sensor, and control the door to ascend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e object from the first sensor or the third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의 하강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다시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stop the descent of the doo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bnormal condition; request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control the door to descend again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and control the door to rise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단을 커버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 내에 배치되고, 외력에 기반하여 압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oor may include a buffer member covering a lower portion of the door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within the buffer member and compressible based on an external forc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식별한 후,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바닥에 접촉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도어가 지정된 거리만큼 더 하강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센서가 다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신호를 다시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를 다시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doo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by further lowering the door by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timing when the buffer member contacts the floor after the second sensor identifies that the second sensor has passed the second position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hat are sequentially received; control the doo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restored to an original state; control the door so that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gain at the second position; receive the second signal again; and identify the normal state based on the re-reception of the second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감지 대상물은, 제1 감지 대상물 및 상기 제1 감지 대상물로부터 상기 바닥을 향하여 이격됨으로써, 상기 바닥에 인접하는 제2 감지 대상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는 동안,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정상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가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정상 상태와 구별되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ction object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object and a second detection object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object toward the floor and adjacent to the floor. The second sensor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 first signal to the processor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object, and to transmit a second signal to the processor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object. The processor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rmally switched to the open state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the first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while the door is raised, based on receiving the open signal, and to identify an abnormal stat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normal state based on not receiving the first signal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a timing at which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while the door is lowered.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은, 오브젝트의 식별에 기반하여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오브젝트에 의해 야기되는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어 시스템은, 개방 시 동작과 폐쇄 시 동작을 상이하게 수행함으로써, 상황에 따라 적절한 대응을 제공할 수 있다.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accidents caused by objects by controlling the doo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The door system can provide appropriate responses depending on the situation by performing different operations when opening and closing.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btainable from the present disclosure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belongs from the description below.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블록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입구를 폐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도 3은, 입구를 개방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4a는, 제1 센서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4b는, 제1 센서의 블록도이다.
도 5a는, 제1 센서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센서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1 센서의 제1 조절부를 도시한다.
도 5c는, 제1 센서의 제2 조절부를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이 제1 센서를 통해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싱 영역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을 도시한다.
FIG. 1A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s 1b and 1c schematically illustrate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flow 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closing an entrance.
FIG. 3 is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of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opening an entrance.
Figure 4a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sensor.
Figure 4b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 sensor.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first sensor is adjusted while the first sensor is installed.
Figure 5b illustrates a first control unit of the first sensor.
Figure 5c illustrates a second control unit of the first sensor.
FIG. 6 illustrates examples of sensing areas in which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cts an object through a first sensor.
Figure 7 illustrates a door system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a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의 블록도이다. 도 1b 및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Fig. 1a is a block diagram of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s. 1b and 1c schematically illustrate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1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도어(100), 복수의 센서들(210, 220, 230), 알람 장치(300), 및 프로세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a,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door (100), a plurality of sensors (210, 220, 230), an alarm device (300), and a processor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100)는, 입구(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는, 입구(20)가 개방된 개방 상태를 도시한다. 도 1c는, 입구(20)가 폐쇄된 폐쇄 상태를 도시한다. 예를 들어, 내부 공간과 외부 공간은, 입구(20)를 통해 두 공간이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를 기준으로, 입구(20) 밖의 외부 공간과 입구(20) 안의 내부 공간이 구별될 수 있다. 외부 공간과 내부 공간은, 측벽(30)에 의해 구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공간은, 내부 공간 내에 물품들이 저장되는 물류 창고로 참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oor (100) may be configured to open or close the entrance (20). FIG. 1b illustrates an open state in which the entrance (20) is open. FIG. 1c illustrates a closed state in which the entrance (20) is closed. For example, the internal space and the external space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entrance (20). For example, based on the entrance (20), the external space outside the entrance (20) and the internal space inside the entrance (20) may be distinguished. The external space and the internal space may be distinguished by a side wall (30). For example, the space illustrated in FIG. 1b and FIG. 1c may be referred to as a logistics warehouse in which goods are stored within the internal space.

예를 들어, 도어(100)는, 입구(20)를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b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 내에서, 도어(100)는, 입구(20)를 개방하도록, 입구(20)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개방 상태 내에서, 도어(100)는, 입구(20)의 상부에 위치됨으로써, 입구(20)를 개방할 수 있다. 도 1c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 상태 내에서, 도어(100)는, 입구(20)를 폐쇄하도록, 입구(20)와 중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도어(100)는, 입구(20)의 상부에서 하부로 하강 이동함으로써, 입구(20)를 폐쇄할 수 있다. 반대로, 입구(20)가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 도어(100)는, 입구(20)의 상부로 상승 이동함으로써, 입구(20)를 개방할 수 있다. 입구(20)의 개방 및 폐쇄는, 프로세서(4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어(100)의 상승 이동 또는 하강 이동을 제어함으로써, 입구(20)를 개방하거나 또는 폐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door (100) may be configured to open and close the inlet (20). As illustrated in FIG. 1b, in the open state, the door (100) may be positioned outside the inlet (20) to open the inlet (20). Although not illustrated, in the open state, the door (100) may be positioned above the inlet (20) to open the inlet (20). As illustrated in FIG. 1c, in the closed state, the door (100) may overlap the inlet (20) to close the inlet (20). For example, when the inlet (20) transitions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the door (100) may close the inlet (20) by moving downwar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of the inlet (20). Conversely, when the inlet (20)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the door (100) can open the inlet (20) by moving upwardly toward the top of the inlet (20).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inlet (20) can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open or close the inlet (20) by controlling the upward movement or downward movement of the door (1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센서들(210, 220, 230)은, 도어(100) 주변의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1b 및 도 1c를 참조하면, 제1 센서(210)는, 입구(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입구(20)를 기준으로 내부 공간 및/또는 외부 공간의 일부 영역을 센싱함으로써, 도어(100)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는, 작업 차량(41) 및/또는 작업자(42)로 참조될 수 있으나, 이는 일 예시일 뿐,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센서(210)는, 복수일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 plurality of sensors (210, 220, 230) may be used to identify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Referring to FIGS. 1B and 1C, the first sensor (210) may be install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entrance (20). The first sensor (210) may be used to detect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door (100) by sensing a portion of an internal space and/or an external space based on the entrance (20). For example, the object may be referred to as a work vehicle (41) and/or a worker (42),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is not limited thereto. There may be a plurality of first sensors (2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 센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센서(210)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오브젝트의 존재, 거리, 및/또는 방향을 감지할 수 있다. 적외선은, 가시광선보다 긴 파장을 가지기 때문에 장거리 감지를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조명 상태에 의한 영향을 적게 받을 수 있다. 또한, 적외선은, 투명한 물질을 통과할 수 있으므로, 오브젝트의 감지가 정확하게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be an infrared detection sensor that detects an object using infrared ray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the presence, distance, and/or direction of an object using infrared rays. Since infrared rays have a longer wavelength than visible light, they may enable long-distance detection and may be less affected by lighting conditions. In addition, since infrared rays can pass through transparent materials, detection of an object may be performed accurately.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도어(100)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10)는, 도어(100)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지 않는 것에 기반하여, 오브젝트가 도어(100) 주변에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 및 도어(100) 주변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것에 기반하여,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프로세서(400)의 요청에 따라, 센싱 영역 내의 오브젝트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고, 생성된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센서(210)의 기능 및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된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n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door (100).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21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does not exist around the door (100) based on not detect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door (100),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exists based on detecting an object located around the door (100). The first sensor (210) may be configured to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cting an object within a sensing area at the request of the processor (400), and provide the generated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The function and structure of the first sensor (210) will be described below.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장치(300)는,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장치(300)는, 시각적 알림 신호로서, 특정 색상(예: 붉은색)의 조명을 지정된 패턴(예: 점멸)으로 제공하거나 또는 청각적 알림 신호로서 경고음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알람 장치(300)는, 도어(100) 주변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장치(300)는, 도어(100) 주변의 측벽(30)에 설치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알람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alarm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to transmit an alarm signal. For example, the alarm device (30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a light of a specific color (e.g., red) in a specified pattern (e.g., blinking) as a visual notification signal, or to provide a warning sound as an auditory notification signal. The alarm device (300) may be placed around the door (100). For example, the alarm device (300) may be installed on a side wall (30) around the door (100).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larm device (3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알람 장치(300) 및 제1 센서(210)와 작동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알람 장치(300) 및 제1 센서(210)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알람 장치(300)를 제어하고, 제1 센서(210)로부터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1 센서(210)에게 오브젝트의 감지를 요청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프로세서(40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신호에 기반하여, 센싱 영역 내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그 결과에 따른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be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larm device (300) and the first sensor (210).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control the alarm device (300) and receiv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210) by being directly connected to the alarm device (300) and the first sensor (210) or indirectly connected through another component. The processor (400) may transmit a signal to the first sensor (210) to request detection of an object. The first sensor (210) may be configured to detect whether an object exists within a sensing area based on the signal provided from the processor (400) and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according to the result.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provide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어(100)의 동작을 제함으로써, 입구(2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입구(20)의 바닥으로 하강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입구(20)의 바닥으로부터 상부로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도어(100)의 이동을 야기하는 모터가 구비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도어(100)의 이동을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entrance (20) b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door (100). For example, when the entrance (20)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descend to the bottom of the entrance (20). For example, when the entrance (20) is switched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entrance (20). Although not shown, a motor that causes the movement of the door (100) can be provided.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oor (100) by controlling the motor.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복수의 센서들(210, 220, 230)을 이용하여, 도어(100) 주변의 오브젝트의 존재를 식별하고, 오브젝트의 존재 여부에 기반하여 도어(100)의 이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 프로세서(400)는, 도어(100)를 입구(20)의 바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어(100)를 폐쇄할 수 있다. 개방 상태 내에서, 입구(20)의 상부에 위치되는 도어(100)가 입구(20)의 바닥으로 이동함에 따라 입구(20)가 폐쇄될 수 있다. 이 때,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도어(100)와 오브젝트의 충돌에 의해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자(42)가 입구(20)에 위치한 상태에서 도어(100)가 하강할 경우, 도어(100)가 작업자와 충돌함으로써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또는, 작업 차량(41)이 입구(20)를 통과하여 이동하고 있는 경우, 도어(100)가 하강하게 되면, 도어(100)와 작업 차량(41)이 충돌하여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폐쇄 상태 내에서, 입구(20)의 바닥과 접하는 도어(100)가 입구(20)의 바닥으로부터 입구(20)의 상부로 이동함에 따라, 입구(20)가 개방될 수 있다. 이 때, 도어(100)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작업 차량(41)이나 작업자(42)가 위치하는 경우, 도어(100)에 의해 작업 차량(41) 또는 작업자(42)가 반대편에서 보이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차량(41)의 입구(20) 통과를 위해서 입구(20)가 개방되는 경우, 도어(100)의 반대편에 작업자(42)가 위치함에도 도어(100)가 단순하게 개방되면, 작업 차량(41)이 입구(20)를 통과하면서 반대편의 작업자(42)와 충돌하는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즉, 폐쇄 상태 내에서, 도어(100)에 의해 입구(20) 반대편이 보이지 않기 때문에, 반대편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에 대한 경고를 제공하지 않는다면,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the presence of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using a plurality of sensors (210, 220, 230) and control the movement of the door (100)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object. For example, when the entrance (20) is switched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the processor (400) may close the door (100) by moving the door (100) to the bottom of the entrance (20). In the open state, the entrance (20) may be closed as the door (100) located above the entrance (20) moves to the bottom of the entrance (20). At this time, when an object exists around the door (100), an accident may be caused by a collision between the door (100) and the object. For example, if the door (100) is lowered while the worker (42) is positioned at the entrance (20), the door (100) may collide with the worker, causing an accident. Or, if the work vehicle (41) is moving through the entrance (20), if the door (100) is lowered, the door (100) and the work vehicle (41) may collide, causing an accident. For example, in a closed state, the door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may move from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to the upper part of the entrance (20), causing the entrance (20) to open. At this time, if the work vehicle (41) or the worker (42) is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with respect to the door (100), the work vehicle (41) or the worker (42) may not be visible from the opposite side due to the door (100). For example, when the entrance (20) is opened for a work vehicle (41)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20), if the door (100) is simply opened even though a worker (42)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100), an accident may occur in which the work vehicle (41) collides with the worker (42) on the opposite side while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20). That is, since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0) is not visible due to the door (100) in the closed state, an accident may occur if no warning is provided about an objec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도어(100)가 이동하기 전 도어(100) 주변의 오브젝트의 존재를 먼저 식별하고, 오브젝트의 존재에 기반하는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first identify the presence of an object around a door (100) before the door (100) moves, and perform operations based on the presence of the object,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도 2는, 입구(20)를 폐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FIG. 2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closing an entrance (20).

도 2에 기재된 동작들은, 프로세서(4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일 수 있다.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2 may b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400).

도 2를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프로세서(400)는,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제1 센서(210)로부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2, in operation 201, the processor (400) may receive an identification signal representing an object from the first sensor (210) based on receiving a closure signal.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입구(20)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제1 센서(210)에게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센싱 영역 내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센서(210)에게 요청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센서(210)는, 상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request the first sensor (210) to identify an object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for switching the inlet (20)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The processor (400) may provide a request signal to the first sensor (210) to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xists within a sensing area, and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the object based on the request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오브젝트의 식별 여부에 따라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고,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센서(210)는, 오브젝트를 감지하지 못하고, 오브젝트의 부존재를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1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센서(210)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고, 오브젝트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depending on whether an object is identified, and provide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If there is no object around the door (100), the first sensor (210) may not detect the object,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e absence of the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firs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If there is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the object, generate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동작 203에서,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3, the processor (400) can identify whether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has been received.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프로세서(400)는,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가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 205가 수행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가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동작 207이 수행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no object around the door (100). Conversely, when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t may determine that there is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When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peration 205 may be performed. When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operation 207 may be performed.

동작 205에서,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하강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5,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lower the door (1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어(100)가 하강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100)가 하강함에 따라, 입구(20)는, 도어(100)에 의해 폐쇄될 수 있다.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도어(100)가 하강하더라도 안전 사고가 야기되지 않으므로,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determine that no object exists around the door (100)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f the processor (400) determines that no object exists,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to descend. As the door (100) descends, the entrance (20) may be closed by the door (100). Since no object exists, even if the door (100) descends, no safety accident occurs, and therefore,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동작 207에서, 프로세서(400)는, 입구(2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입구(20)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도어(100)를 하강시키기 않고, 도어(100)가 입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참조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이동하지 않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207, the processor (400) can maintain the open state of the inlet (20). Maintaining the open state of the inlet (20) can be referred to as maintaining a state in which the door (100) is positioned above the inlet (20) without lowering the door (100). That is,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so that the door (100) does not m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도어(100)가 하강하지 않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100)가 하강하지 않음에 따라, 입구(20)는, 도어(100)에 의해 폐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도어(100)가 하강할 경우, 오브젝트와 도어(100)의 충격에 의해 안전 사고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프로세서(400)는, 제2 식별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determine that an object exists around the door (100)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f the processor (400) determines that an object exists,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so that the door (100) does not descend. Since the door (100) does not descend, the entrance (20) may remain closed by the door (100). Since an object exists, if the door (100) descends, a safety accident may occur due to an impact between the object and the door (100), and therefore, the processor (400) may maintain an open state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경우, 오브젝트가 도어(100) 주변에 위치하게 되면, 오브젝트가 도어(100)에 충돌함으로써, 안전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도어(100)가 하강하지 않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할 때까지, 지속적으로 제1 센서(210)에게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도어(100) 주변에서 이동하지 않을 경우, 제1 센서(210)로부터 제2 식별 신호가 지속적으로 수신될 것이므로, 프로세서(400)는, 개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도어(100) 주변에서 이동함으로써, 제1 센서(210)로부터 제1 식별 신호가 수신되면,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하강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switching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if an object is located around the door (100), the object may collide with the door (100), which may cause a safety accident. Therefore,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control the door (100) so that the door (100) does not descend in order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continuously request the first sensor (210) to identify the object until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If the object does not move around the door (100),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will be continuously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210), and thus the processor (400) may maintain the open state. If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from the first sensor (210) as the object moves around the door (100),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so that the door (100) descends.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도 3은, 입구(20)를 개방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의 동작을 나타내는 흐름도(flow chart)이다. FIG. 3 is a flow chart showing the operation of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or opening an entrance (20).

도 3에 기재된 동작들은, 프로세서(40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과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하는 동작은, 상이할 수 있다. The operations described in FIG. 3 may be operations performed by the processor (4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peration of switching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and the operation of switching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may be different.

도 3을 참조하면, 동작 201에서, 프로세서(400)는,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제1 센서(210)로부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in operation 201, the processor (400) may receive an identification signal representing an object from the first sensor (210) based on receiving an open signal.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입구(20)를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제1 센서(210)에게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센싱 영역 내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감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제1 센서(210)에게 요청 신호를 제공할 수 있고, 제1 센서(210)는, 상기 요청 신호에 기반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request the first sensor (210) to identify an object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for switching the inlet (20)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The processor (400) may provide a request signal to the first sensor (210) to perform an operation for detecting whether an object exists within a sensing area, and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the object based on the request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오브젝트의 식별 여부에 따라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고,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제1 센서(210)는, 오브젝트를 감지하지 못하고, 오브젝트의 부존재를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1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만약,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경우, 제1 센서(210)는, 오브젝트를 감지하고, 오브젝트의 존재를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며, 생성된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depending on whether an object is identified, and provide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If there is no object around the door (100), the first sensor (210) may not detect the object,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e absence of the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firs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If there is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the object, generate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e presence of the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동작 303에서, 프로세서(400)는, 제2 식별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알람 신호가 송출되도록, 알람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303,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alarm device (300) to transmit an alarm signal based on recep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 도어(100)가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프로세서(400)는, 제1 센서(210)로부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1 식별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하고, 도어(100)가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en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t can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When there is no object around the door (100), the processor (400) can receive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210).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the processor (400) can determine that there is no object around the door (100) and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이와 달리, 프로세서(400)가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400)는, 알람 신호가 송출되도록 알람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2 식별 신호에 기반하여,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폐쇄 상태에서, 입구(20)는, 도어(100)에 의해 차폐되므로, 도어(100)를 기준으로 반대편에 위치되는 오브젝트가 보이지 않을 수 있다. 도어(100)에 의해 오브젝트가 가려지므로, 개방 신호에 따라 도어(100)가 단순하게 개방될 경우, 안전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In contrast, when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alarm device (300) to transmit an alarm signal. The processor (400) may determine that an object exists around the door (100) based on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 the closed state, the entrance (20) is shielded by the door (100), so that an object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100) may not be visible. Since the object is shielded by the door (100), a safety accident may occur if the door (100) is simply opened according to the open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알람 장치(300)는, 프로세서(400)에 의해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알람 장치(300)는, 시각적 신호 및/또는 청각적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작업 차량(예: 도 1b의 작업 차량(42))이 입구(20)를 통과하기 위해서, 도어(100)의 개방 신호가 제공된 경우, 알람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알람 신호에 의해, 입구(20)를 통과하고자 하는 작업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예: 도 1b의 작업자(41))는,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인식할 수 있다. 알람 장치(300)로부터 송출되는 알람 신호에 의해, 입구(20)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도어(100)가 개방될 시 작업 차량이 입구(20)를 통과하여 지나갈 것을 인식할 수 있다. 입구(20)를 통과하고자 하는 작업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는, 입구(20) 통과 시 주변을 살펴야 하는 주의 경고를 미리 제공받을 수 있고, 입구(20)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작업 차량이 통과할 것을 미리 예상하여 대피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alarm device (300)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400) to transmit an alarm signal. For example, the alarm device (300) may transmit a visual signal and/or an auditory signal. For example, when a signal to open the door (100) is provided in order for a work vehicle (e.g., a work vehicle (42) of FIG. 1B)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20), a worker (e.g., a worker (41) of FIG. 1B) riding in the work vehicle attempting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20) may recognize that an object exists around the door (100) by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larm device (300). A work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0) may recognize that the work vehicle will pass through the entrance (20) when the door (100) is opened by the alarm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larm device (300). A worker riding a work vehicle attempting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20) can be provided with a warning in advance to look around when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20), and a work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0) can anticipate the passing of the work vehicle and take refuge.

동작 305에서, 프로세서(400)는,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식별할 수 있다. In operation 305, the processor (400) can identify whether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된 경우, 동작 307이 수행될 수 있다.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동작 309가 수행될 수 있다. If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operation 307 may be performed. If a specified time has not elapsed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operation 309 may be performed.

동작 307에서,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307,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됨에 기반하여, 도어(100)가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알람 신호에 의해, 도어(100)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경고가 제공되었고,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었으므로, 상기 작업자가 대피할 시간이 제공된 것으로 판단하고,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100)가 상승함에 따라, 도어(100)에 의해 폐쇄되었던 입구(20)는, 개방될 수 있다. 알람 신호가 미리 제공되었기 때문에, 입구(20)를 통과하는 작업 차량에 탑승한 작업자는, 입구(20)를 통과하는 경로 상에 사고가 야기될 수 있는 오브젝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주의를 가지고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입구(20)를 통과하는 작업자는 물론, 입구(20)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업자는, 미리 경고를 제공받음으로써,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based on the elapsed time of a specified period of time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Since the alarm signal provides a warning to a worker position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or (100), and since the specified period of time has elapsed, it is determined that the worker has time to evacuate, and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As the door (100) rises, the entrance (20) that was closed by the door (100) may be opened. Since the alarm signal has been provided in advance, a worker riding a work vehicle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20) can carefully check whether there is an object that may cause an accident on the path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20). Accordingly, workers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20) as well as worker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0) can be prevented from safety accidents by being given a warning in advance.

동작 309에서, 프로세서(400)는, 입구(2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입구(20)의 폐쇄 상태를 유지하는 것은, 도어(100)를 상승시키기 않고, 도어(100)가 입구(20)의 바닥에 접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으로 참조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이동하지 않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In operation 309, the processor (400) can maintain the closed state of the inlet (20). Maintaining the closed state of the inlet (20) can be referred to as maintaining the state in which the door (100) is in contact with the floor of the inlet (20) without raising the door (100). That is,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so that the door (100) does not mov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지정된 시간이 경과되지 않은 경우, 도어(100)를 이동시키지 않음으로써, 폐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어(100) 주변에 오브젝트가 존재하기 때문에, 알람 신호에 의한 경고를 제공하고, 입구(20)를 통과하려는 작업자는 물론, 입구(20) 반대편에 위치하는 작업자에게 미리 경고를 제공하고, 안전 사고를 예방하는데 필요한 시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 반대편에서 작업을 수행하고 있던 작업자는, 도어(100) 주변에서 이동할 시간을 제공받을 수 있으므로, 안전 사고가 미리 예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maintain the closed state by not moving the door (100) if a specified time has not elapsed. Since there is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a warning by an alarm signal can be provided, and a warning can be provided in advance to a worker trying to pass through the entrance (20) as well as a worker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0), and time requir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can be provided. For example, a worker performing work on the opposite side of the entrance (20) can be provided time to move around the door (100), and thus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in advance.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입구(20)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는지에 따라 상이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입구(20)를 폐쇄하는 경우, 오브젝트가 존재할 시, 도어(100)를 이동시키지 않을 수 있다. 도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입구(20)를 개방하는 경우, 오브젝트가 존재할 시, 알람 신호를 송출한 후, 지정된 시간 경과 후에 도어(10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입구(20)를 폐쇄하는 경우, 도어(100)가 하강하기 때문에, 도어(100)와 오브젝트 사이의 충돌에 의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 도어 시스템(10)은, 도어(100)의 이동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입구(20)를 개방하는 경우, 도어(100)가 상승하기 때문에, 도어(100)와 오브젝트가 충돌하는 상황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어 시스템(10)은, 경고를 제공하고, 경고에 따른 시간을 제공한 후, 도어(100)의 이동을 허용할 수 있다.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perform different oper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entrance (20) is opened or closed. As described in FIG. 2, when the entrance (20) is closed, the door (100) may not be moved when an object exists. As described in FIG. 3, when the entrance (20) is opened, when an object exists, an alarm signal may be transmitted and the door (100) may be moved after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When the entrance (20) is closed, since the door (100) descends, the door system (10) may not allow the door (100) to be moved in order to prevent an accident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door (100) and the object. However, when the entrance (20) is opened, the door (100) rises, so a situation in which the door (100) and the object collide does not occur, so the door system (10) can provide a warning, provide time according to the warning, and then allow the door (100) to move.

만약, 입구(20)를 개방하는 경우, 오브젝트가 존재함에 따라 도어(100)를 이동시키지 않으면, 도어(100) 주변의 오브젝트에 의해 입구(20)가 개방되지 않는 문제점이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00) 주변에 물체가 오브젝트로 식별된 경우, 경고 제공 후 입구(20)가 개방되었을 때, 입구(20)를 통과하는 작업자가 상기 물체를 이동시킨 후 작업 차량을 타고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오브젝트의 식별에 따라 도어(100)의 폐쇄 상태를 계속 유지할 경우, 상기 물체에 의해 도어(100)가 개방되지 않으므로, 불필요하게 입구(20)의 폐쇄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문제점이 해소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화재 사고와 같은 재난 상황에서, 오브젝트에 의해 입구(20)가 개방되지 않을 경우, 더 큰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입구(20)를 개방하는지 또는 입구(20)를 폐쇄하는지에 따라서 상이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안전 사고를 미리 예방함과 동시에, 불필요하게 입구(20)가 폐쇄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If the entrance (20) is opened, if the door (100) is not moved because an object exists, a problem may arise in which the entrance (20) is not opened by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For example, if an object is identified as an object around the door (100), when the entrance (20) is opened after a warning is provided, a worker passing through the entrance (20) can move the object and then pass through in a work vehicle. However, if the door (100) is kept closed according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the door (100) is not opened by the object, so the closed state of the entrance (20) is unnecessarily maintained, and the problem may not be resolved. In addition, in a disaster situation such as a fire accident, if the entrance (20) is not opened by an object, a bigger accident may occur.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in advance and prevent a situation in which the entrance (20) is unnecessarily closed by performing different operations depending on whether the entrance (20) is opened or closed.

도 4a는, 제1 센서(210)의 외관을 도시한다. 도 4b는, 제1 센서(210)의 블록도이다. Fig. 4a illustrates the appearance of the first sensor (210). Fig. 4b is a block diagram of the first sensor (2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적외선 센서 및 레이더 센서의 기능을 모두 포함하는 듀얼 기능을 가질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제1 센서(210)는, 브라켓(211), 하우징(212), 적외선 감지부(213) 및 레이더 감지부(215)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have a dual function including the functions of both an infrared sensor and a radar sensor. Referring to FIGS. 4A and 4B, the first sensor (210) may include a bracket (211), a housing (212), an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a radar detection unit (215).

일 실시예에 따르면, 브라켓(211)은,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11)은, 입구(20)를 포함하는 측벽(30)의 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브라켓(211)은, 입구(20)의 상부에 위치하는 천장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11)은, 스크류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bracket (211) can be attached to a wall or a ceiling. For example, the bracket (211) can be fixed to a wall surface of a side wall (30) including an inlet (20). Alternatively, the bracket (211) can be fixed to a ceiling located above the inlet (20). For example, the bracket (211) can be fixed by a screw,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우징(212)은, 제1 센서(210)의 구성요소들을 보호하고, 제1 센서(2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하우징(212)은, 브라켓(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11)이 벽면 또는 천장에 고정된 상태에서, 하우징(212)은, 브라켓(2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하우징(212) 내에 적외선 감지부(213) 및 레이더 감지부(215)가 배치되기 때문에, 하우징(212)이 브라켓(211)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센싱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10)는, 브라켓(211)에 대한 하우징(212)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잇는 제1 조절부(214)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housing (212) can protect components of the first sensor (210) and form an exterior of the first sensor (210). The housing (212)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211). For example, when the bracket (211) is fixed to a wall or a ceiling, the housing (212) can be rotatably coupled to the bracket (211). Since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are arranged within the housing (212), the sensing area can be adjusted by rotating the housing (212)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For example, the first sensor (210) can include a first adjustment unit (214) that can adjust the rotation of the housing (212)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감지부(213)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외선 감지부(213)는, 적외선을 방출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detect an object using infrared rays. For example,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identify an object by emitting infrared rays and detecting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감지부(215)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감지부(215)는, 전자기파를 이용하여 오브젝트를 감지할 수 있다. 레이더 감지부(215)는, 전자기파를 방출하고, 오브젝트로부터 반사된 전자기파를 감지함으로써,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can detect an object using electromagnetic waves. For example,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can detect an object using electromagnetic waves.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can identify an object by emitting electromagnetic waves and detecting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from the object.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레이더 감지부(215)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기 위한 제2 조절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부(216)의 조작에 의해, 센싱 영역의 사이즈가 조절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적외선 감지부(213)에 의해 센싱되는 영역 및 레이더 감지부(215)에 의해 센싱되는 영역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센서(210)의 총 센싱 각도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센싱 각도와 레이더 감지부(215)의 센싱 각도의 합으로 참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include a second adjusting unit (216) for adjusting a sensing area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The size of the sensing area may be adjusted by operating the second adjusting unit (216).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an area sensed by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an area sensed by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The total sensing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may be referred to as the sum of the sensing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the sensing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도 4b를 참조하면, 적외선 감지부(213)는, 제1 발광부(213a) 및 제1 수광부(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발광부(213a)는,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발광부(213a)는, 제1 조절부(214)에 의해 설정된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적외선 감지부(213)의 센싱 영역으로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제1 발광부(213a)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이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고, 제1 수광부(213b)는,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광부(213b)는, 적외선을 수신하기 위해서, IR 포토 다이오드, MOSFET, 및/또는 전위차계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적외선 감지부(213)는, 오브젝트에 반사된 적외선에 기반하여, 오브젝트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b,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may include a first light-emitting unit (213a) and a first light-receiving unit (213b).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213a) may be configured to emit infrared rays. For example,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213a) may emit infrared rays to the sensing area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based on an angle set by the first adjusting unit (214). Infrared rays emitted from the first light-emitting unit (213a) may be reflected by an object, and the first light-receiving unit (213b)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object. For example, the first light-receiving unit (213b)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an IR photodiode, a MOSFET, and/or a potentiometer in order to receive infrared rays.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indicate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based on infrared rays reflected from the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이더 감지부(215)는, 제2 발광부(215a) 및 제2 수광부(215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발광부(215a)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발광부(215a)는, 제2 조절부(216)에 의해 설정된 각도에 기반하여, 상기 레이더 감지부(215)의 센싱 영역으로 적외선을 방출할 수 있다. 제2 발광부(215a)로부터 방출된 전자기파가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되고, 제1 수광부(213b)는,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레이더 감지부(215)는, 오브젝트에 반사된 전자기파에 기반하여, 오브젝트의 존재 여부를 나타내기 위한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may include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215a) and a second light receiving unit (215b).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15a) may be configured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For example,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15a) may emit infrared rays to a sensing area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based on an angle set by the second adjusting unit (216). The electromagnetic waves emitted from the second light emitting unit (215a) may be reflected by an object, and the first light receiving unit (213b) may be configured to receive th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by the object.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may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or indicating the presence or absence of an object based on th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by the object, and provide the generated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외선 감지부(213)는, 상대적으로 짧은 거리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식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고, 온도에 기반하여 오브젝트를 식별할 수 있다. 레이더 감지부(215)는, 상대적으로 긴 거리에 위치하는 오브젝트의 식별을 정확하게 제공할 수 있고, 오브젝트의 이동과 관련된 정보(예: 이동 속도)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적외선 감지부(213) 및/또는 레이더 감지부(215)를 이용하여, 오브젝트에 관련된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accurately provide identification of an object located at a relatively short distance, and can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temperature.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can accurately provide identification of an object located at a relatively long distance, and can provide information related to movement of the object (e.g., movement speed). The first sensor (210) can provid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related to the object to the processor (400) using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or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도 5a는, 제1 센서(210)가 설치된 상태에서 제1 센서(210)의 각도를 조절하는 상태를 도시한다. 도 5b는, 제1 센서(210)의 제1 조절부(214)를 도시한다. 도 5c는, 제1 센서(210)의 제2 조절부(216)를 도시한다. Fig. 5a illustrates a state in which the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is adjusted when the first sensor (210) is installed. Fig. 5b illustrates a first adjustment unit (214) of the first sensor (210). Fig. 5c illustrates a second adjustment unit (216) of the first sensor (210).

도 5a를 참조하면, 하우징(212)은, 브라켓(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브라켓(211)에 대하여 하우징(212)이 회전되도록, 하우징(212)을 제어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으나, 하우징(212)을 브라켓(211)에 대하여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모터가 제1 센서(210) 내에 구비될 수 있고, 프로세서(400)는, 회전 모터를 제어함으로써, 하우징(212)을 브라켓(211)에 대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2)의 전면이 바닥을 향하는 각도를 0도라고 가정하고, 하우징(212)의 전면이 천장(31)을 향하는 각도를 180도라고 가정하면, 하우징(212)은, 0도 내지 180도 사이에서 회전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A, the housing (212) may be rotatabl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housing (212) to rotate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Although not shown, a rotation motor for rotating the housing (212)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may be provided in the first sensor (210), and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rotation motor to rotate the housing (212)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For example, assuming that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12) faces the floor is 0 degrees and the angle at which the front surface of the housing (212) faces the ceiling (31) is 180 degrees, the housing (212) may be rotated between 0 degrees and 180 degrees.

예를 들어, 브라켓(211)이 천장(31)에 결합된 경우, 하우징(212)이 15도, 30도, 45도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212)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213) 및 레이더 감지부(215)는, 하우징(212)의 전면을 향하여 적외선 또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212)의 각도에 따라,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조절되면, 적외선 감지부(213)의 센싱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라켓(211)이 벽면(32)에 결합된 경우, 하우징(212)이 15도, 30도, 45도 각도로 회전됨에 따라, 하우징(212)이 향하는 방향이 조절될 수 있다. 브라켓(211)이 벽면(32)에 결합된 상태에서 15도, 30도, 45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하우징(212)의 자세(posture)와 브라켓(211)이 천장(31)에 결합된 상태에서 15도, 30도, 45도의 회전 각도에 대응하는 하우징(212)의 자세는, 상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센서(210)는, 센싱 영역에 따라 천장(31) 또는 벽면(32)에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멀리 떨어진 영역을 센싱하고자 할 경우, 제1 센서(210)는, 천장(3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가까운 영역을 센싱하고자 할 경우, 제1 센서(210)는, 벽면(32)에 결합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bracket (211) is coupled to the ceiling (31),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212) faces can be adjusted as the housing (212) is rotated at angles of 15 degrees, 30 degrees, and 45 degrees.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can be configured to emit infrared or electromagnetic waves toward the front of the housing (212). Therefore,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angle of the housing (212). When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s adjusted, the sensing area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bracket (211) is coupled to the wall (32), the direction in which the housing (212) faces can be adjusted as the housing (212) is rotated at angles of 15 degrees, 30 degrees, and 45 degrees. The posture of the housing (212) corresponding to rotation angles of 15 degrees, 30 degrees, and 45 degrees when the bracket (211) is coupled to the wall (32) and the posture of the housing (212) corresponding to rotation angles of 15 degrees, 30 degrees, and 45 degrees when the bracket (211) is coupled to the ceiling (31) may be differen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first sensor (210) may be installed on the ceiling (31) or the wall (32) depending on the sensing area.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sense a relatively distant area, the first sensor (210) may be coupled to the ceiling (31). For example, when it is desired to sense a relatively close area, the first sensor (210) may be coupled to the wall (32).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도 5b를 참조하면, 제1 조절부(214)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기 위해, 브라켓(211)에 대한 하우징(212)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부(214)는, 제1 센서(210)가 천장에 설치될 경우 하우징(212)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제1 눈금(214a) 및 제1 센서(210)가 벽면에 설치될 경우 하우징(212)의 회전 각도를 나타내는 제2 눈금(214b)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2)의 회전 각도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에 대응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b, the first adjusting unit (214)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housing (212) relative to the bracket (211) in order to adjust the sensing area of the infrared sensing unit (213). For example, the first adjusting unit (214) may include a first scale (214a) indic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212) when the first sensor (210) is installed on a ceiling, and a second scale (214b) indicating a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212) when the first sensor (210) is installed on a wall. The rotation angle of the housing (212) may correspond to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sensing unit (213).

사용자는, 천장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제1 눈금(214a)을 보고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벽면에 설치된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때, 제2 눈금(214b)을 보고 각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회전 각도로 하우징(212)이 브라켓(211)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제1 조절부(214)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절부(214) 내부에 회전 모터가 결합되고, 프로세서(400)는, 회전 모터를 제어할 수 있다.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적외선 감지부(213)의 센싱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nstalled on the ceiling, the user can set the angle by looking at the first scale (214a). When the user wants to adjust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nstalled on the wall, the user can set the angle by looking at the second scale (214b).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first adjusting unit (214) so that the housing (212) rotates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at a rota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based on receiving a user input regarding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For example, a rotation motor is coupled inside the first adjusting unit (214), and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rotation motor. As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s adjusted, the sensing area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can be adjusted.

도 5c를 참조하면, 제2 조절부(216)는, 레이더 감지부(215)의 센싱 영역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조절부(216)가 조절됨에 따라,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는, -8도 내지 22도 사이의 범위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조절부(216)의 눈금(216a)은, 상기 감지 각도를 나타낼 수 있다. 제2 조절부(216)는, 프로세서(400)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감지 각도로 레이더 감지부(215)가 오브젝트를 감지하도록, 제2 조절부(216)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2 조절부(216)를 수동으로 저작함으로써,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레이더 감지부(215)의 센싱 영역이 조절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5c, the second adjustment unit (216)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ensing area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For example, as the second adjustment unit (216) is adjusted,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may be adjusted. For example,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may have a range of -8 degrees to 22 degrees,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ale (216a) of the second adjustment unit (216) may indicate the detection angle. The second adjustment unit (216) may be controlled by the processor (400) or may be controlled by a manual operation of a user.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second adjustment unit (216) so that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detects an object at a detection angle corresponding to the user input based on receiving a user input for adjusting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As another example, a user can adjust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by manually authoring the second adjustment unit (216). As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is adjusted, the sensing area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can be adjusted.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이 제1 센서(210)를 통해 오브젝트를 감지하는 센싱 영역의 예시들을 도시한다. FIG. 6 illustrates examples of sensing areas in which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detects an object through a first sensor (210).

도 6을 참조하면, 제1 센서(210)의 센싱 영역(600)은, 적외선 감지부(213)의 센싱 영역에 해당하는 제1 영역(601) 및 레이더 감지부(215)의 센싱 영역에 해당하는 제2 영역(602)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10)의 감지 각도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와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의 합으로 참조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the sensing area (600) of the first sensor (210) can be determined by the first area (601)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rea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the second area (602) corresponding to the sensing area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For example, the sensing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can be referred to as the sum of the sensing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the sensing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도 6의 600a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30도이고,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가 -8도인 경우, 제1 영역(601) 및 제2 영역(602)에 따른 센싱 영역(60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센서(210)의 감지 각도는, 22도로 참조될 수 있다. 600a of FIG. 6 illustrates a sensing area (600) according to the first area (601) and the second area (602) when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s 30 degrees and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is -8 degrees. In this case, the detection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can be referred to as 22 degrees.

도 6의 600b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30도이고,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가 0도인 경우, 제1 영역(601) 및 제2 영역(602)에 따른 센싱 영역(60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센서(210)의 감지 각도는, 30도로 참조될 수 있다. 600b of FIG. 6 illustrates a sensing area (600) according to the first area (601) and the second area (602) when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s 30 degrees and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is 0 degrees. In this case, the detection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can be referred to as 30 degrees.

도 6의 600c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30도이고,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가 +11도인 경우, 제1 영역(601) 및 제2 영역(602)에 따른 센싱 영역(600)을 도시한다. 이 경우, 제1 센서(210)의 감지 각도는, 41도로 참조될 수 있다. 600c of FIG. 6 illustrates a sensing area (600) according to the first area (601) and the second area (602) when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s 30 degrees and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is +11 degrees. In this case, the detection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can be referred to as 41 degrees.

도 6을 참조하면, 제1 감지 각도 및 제2 감지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제1 영역(601) 및 제2 영역(602)이 조절될 수 있다. 제1 영역(601) 및 제2 영역(602)에 의해 결정되는 센싱 영역(600)은, 제1 영역(601) 및 제2 영역(602)이 조절됨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구(20)의 형태, 도어(100)의 배치 구조, 측벽(30)의 형태에 따라, 오브젝트를 식별하기에 적합한 제1 센서(210)의 감지 각도가 설정됨으로써, 제1 센서(210)를 이용한 센싱 영역(600)의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6, as the first detection angle and the second detection angle are adjusted, the first region (601) and the second region (602) can be adjusted. The sensing region (600) determined by the first region (601) and the second region (602) can be adjusted as the first region (601) and the second region (602) are adjust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entrance (20),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oor (100), and the shape of the side wall (30), the detection angle of the first sensor (210) suitable for identifying an object is set, thereby enabling adjustment of the sensing region (600) using the first sensor (21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감지 각도 및 제2 감지 각도에 기반하여 센싱 영역(600)이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감지 각도 및/또는 제2 감지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센싱 영역(600)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nsing area (600)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first sensing angle and the second sensing angl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sensing area (600) by adjusting the first sensing angle and/or the second sensing angl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센서(210)를 통해 감지되는 센싱 영역(600)의 제1 면적을 지정된 제2 면적과 비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와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에 기반하여 결정되는 센싱 영역(600)의 제1 면적을 식별하고, 식별된 제1 면적을 지정된 제2 면적과 비교할 수 있다. 제2 면적은,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필요한 오브젝트의 감지 영역의 면적으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면적은, 입구(20)의 형태, 도어(100)의 배치 구조, 측벽(30)의 형태에 기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어(100)가 큰 경우, 제2 면적도 상대적으로 클 수 있고, 도어(100)가 작은 경우, 제2 면적도 상대적으로 작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compare a first area of a sensing region (600)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210) with a designated second area.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identify a first area of a sensing region (600) determined based on a detection angle of an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 a detection angle of a radar detection unit (215), and compare the identified first area with a designated second area. The second area may be referred to as an area of a detection region of an object required to prevent a safety accident. The second area may be determined based on the shape of the entrance (20),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door (100), and the shape of the side wall (30). For example, when the door (100) is large, the second area may also be relatively large, and when the door (100) is small, the second area may also be relatively small, but is not limited thereto.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면적과 제2 면적의 차이가 임계 면적을 초과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차이를 줄이도록, 센싱 영역(600)을 조절할 수 있다. 하우징(212)의 브라켓(211)에 대한 각도가 조절됨에 따라,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가 조절되기 때문에, 센싱 영역(600)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면적과 제2 면적의 차이가 임계 면적보다 큰 경우는, 센싱 영역(600)의 면적인 제1 면적이 너무 작거나 너무 커서 오브젝트의 식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일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제1 면적과 제2 면적의 차이가 임계 면적 이내가 되도록, 적외선 감지부(213)의 감지 각도 및/또는 레이더 감지부(215)의 감지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상기 차이를 줄이도록, 상기 하우징(212)의 브라켓(211)에 대한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면적이 조절됨에 따라, 제1 센서(210)를 이용한 오브젝트의 식별이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오브젝트에 의한 안전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adjust the sensing area (600) to reduce the difference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exceeds the threshold area. Since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is adjusted as the angle of the housing (212) with respect to the bracket (211) is adjusted, the sensing area (600) may be adjusted. For example, when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is greater than the threshold area, it may be the case that the first area of the sensing area (600) is too small or too large, so that the object is not properly identified. In this case, the processor (400) may adjust the detection angle of the infrared detection unit (213) and/or the detection angle of the radar detection unit (215) so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becomes within the threshold area.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the bracket (211) of the housing (212) to reduce the difference. As the first area is adjusted,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using the first sensor (210) can be performed accurately and stably.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safety accidents caused by objects.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을 도시한다. Figure 7 illustrates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제2 센서(220) 및/또는 제3 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sensor (220) and/or a third sensor (230).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도어(100)가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제어하는 동안, 오브젝트가 입구(20) 주변으로 근접하는 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센서(210)를 통해 오브젝트가 식별되지 않았으므로, 도어(100)가 하강 또는 상승할 수 있으므로, 오브젝트와 도어(100)의 충돌에 의한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제1 센서(210), 제2 센서(220) 및/또는 제3 센서(230)를 이용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while the door (100) is controlled to descend or ascend based on the reception of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does not exist, a situation may occur in which an object approaches the vicinity of the entrance (20). In this case, since the object is not identified through the first sensor (210), the door (100) may descend or ascend, which may cause an accident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door (100). To prevent this,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utilize the first sensor (210), the second sensor (220), and/or the third sensor (230).

도 7을 참조하면, 입구(20)의 측벽(30) 내에 감지 대상물(33)이 배치되고, 감지 대상물(33)을 감지하기 위한 제2 센서(220)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대상물(33)은, 자성체이고, 제2 센서(220)는, 홀 효과에 기반하여 자성체와의 근접을 식별할 수 있는 홀 센서일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20)는, 측벽(30)을 향하는 도어(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감지 대상물(33)을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7, a detection target (33) may be placed within a side wall (30) of an entrance (20), and a second sensor (220) for detecting the detection target (33) may be provided. For example, the detection target (33) may be a magnetic body, and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a Hall sensor that can identify proximity to a magnetic body based on the Hall effect.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placed on a side of the door (100) facing the side wall (30).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used to identify the detection target (33).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감지 대상물(33)은, 복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감지 대상물(33)은, 제1 감지 대상물(33a) 및 제2 감지 대상물(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감지 대상물(33a)은, 제1 감지 대상물(33a)로부터 바닥을 향하여 이격됨으로써, 바닥에 인접할 수 있다. 즉, 제1 감지 대상물(33a)은, 제2 감지 대상물(33b)보다 위에 위치되고, 제2 감지 대상물(33b)은, 제1 감지 대상물(33a)보다 아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제1 감지 대상물(33a) 및 제2 감지 대상물(33b)이 배치된 측벽(30)을 향하는 도어(100)의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2 센서(220)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4 센서(222), 제1 감지 대상물(33a)에 대응하는 제3 감지 대상물(33c), 및 제2 감지 대상물(33b)에 대응하는 제4 감지 대상물(33d)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2 센서(220), 제1 감지 대상물(33a), 및 제2 감지 대상물(33b)의 동작이 설명되나, 해당 설명들은, 제4 센서(222), 제3 감지 대상물(33c), 및 제4 감지 대상물(33d)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detection target (33) may be plural. For example, the detection target (33) may include a first detection target (33a) and a second detection target (33b).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may be spaced from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toward the floor, thereby being adjacent to the floor. That is,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may be positioned above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and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may be positioned below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positioned on the side of the door (100) facing the sidewall (30) where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and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are positioned.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 fourth sensor (222) substantially identical to the second sensor (220), a third detection object (33c)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object (33a), and a fourth detection object (33d)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object (33b) may be further provided.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perations of the second sensor (220), the first detection object (33a), and the second detection object (33b) are described, but the descriptions may be equally applied to the fourth sensor (222), the third detection object (33c), and the fourth detection object (33d).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도어(100)는, 바닥을 향하여 하강할 수 있다. 도어(100)가 하강하는 동안, 도어(100)의 측면에 배치된 제2 센서(220)는, 입구(20)의 상부로부터, 바닥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제2 센서(220)가 하강함에 따라, 제2 센서(220)가 제1 감지 대상물(33a)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1 위치는, 제2 센서(220)와 제1 감지 대상물(33a)이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위치로서, 제2 센서(220)가 제1 감지 대상물(33a)을 마주하는 위치로 참조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제2 센서(220)는, 제1 감지 대상물(33a)을 나타내는 제1 신호를 생성하고, 제1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프로세서(400)는, 제1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제2 센서(220)가 제1 위치를 통과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as the door (100) transitions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the door (100) may descend toward the floor. While the door (100) descends, the second sensor (220)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oor (100) may move from the top of the entrance (20) toward the floor. As the second sensor (220) descends,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positioned at a first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The first position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ensor (220) and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are disposed closest to each other, and where the second sensor (220) faces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At the first position,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signal representing the first detection target (33a) and transmit the first signal to the processor (400). When transitioning to a closed state, the processor (400) can identify that the second sensor (220) has passed the first location based on reception of the first signal.

도어(100)가 계속 하강하여, 제2 센서(220)가 제2 감지 대상물(33b)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위치는, 제2 센서(220)와 제2 감지 대상물(33b)이 가장 가깝게 배치되는 위치로서, 제2 센서(220)가 제2 감지 대상물(33b)을 마주하는 위치로 참조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제2 센서(220)는, 제2 감지 대상물(33b)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생성하고, 제2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송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폐쇄 상태로 전환될 때, 프로세서(400)는, 제2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제2 센서(220)가 제2 위치를 통과하였음을 식별할 수 있다. 제2 감지 대상물(33b)은, 입구(20)의 바닥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The door (100) may continue to descend so that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positioned at a second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The second position is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ensor (220) and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are positioned closest to each other, and may be referred to as a position where the second sensor (220) faces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At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sensor (220) may be configured to generate a second signal representing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and transmit the second signal to the processor (400). When transitioning to a closed state, the processor (400) may identify that the second sensor (220) has passed through the second position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second signal.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may be positioned adjacent to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도어(100)가 하강하는 동안, 제2 센서(220)로부터 일정한 시간 간격을 두고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적으로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정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1 신호를 수신한 후, 제2 신호를 수신하면, 도어(100)가 정상적으로 하강하여 입구(20)가 정상적으로 폐쇄된 것으로 식별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identify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oor (100) is normally switched to a closed state based on a first signal and a second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at a predetermined time interval from the second sensor (220) while the door (100) is lowered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If the processor (400) receives the second signal after receiving the first signal, it may identify that the door (100) is normally lowered and the entrance (20) is normally closed.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하강하는 동안, 제1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제2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와 구별되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비정상 상태는, 도어(100)가 정상적으로 하강하지 못한 상태로서, 예를 들어, 도어(100)와 입구(20) 사이에 오브젝트가 끼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 상태일 수 있다. 비정상 상태에서 프로세서(400)가 도어(100)를 계속 하강하도록 제어하면, 오브젝트와 도어(100)의 충돌에 의한 사고가 야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오브젝트가 도어(100)와 입구(20) 사이에 끼인 상태에서, 계속해서 도어(100)가 하강하면, 도어(100)가 파손되거나, 오브젝트가 손상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도어(100)의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be configured to identify an abnormal state, which is distinguished from a normal state, based on not receiving a second signal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ing of receiving a first signal while the door (100) is lowered. The abnormal state may be a state in which the door (100) is not lowered normally, and may be a state in which, for example, a problem such as an object being caught between the door (100) and the entrance (20) has occurred. If the processor (400) continues to control the door (100) to continue to descend in the abnormal state, an accident due to a collision between the object and the door (100) may occur. For example, if the door (100) continues to descend while an object is caught between the door (100) and the entrance (20), the door (100) may be broken or the object may be damaged. In this case, the processor (400) may stop the operation of the door (1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100)의 이동을 중단시키고, 상기 제1 센서(210)에게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 제1 센서(210)는, 상기 요청에 기반하여, 오브젝트를 다시 감지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1 센서(210)는, 제1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오브젝트가 감지된 경우, 제1 센서(210)는, 제2 식별 신호를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stop the movement of the door (100) based on identifying an abnormal condition and request the first sensor (210) to identify an object. The first sensor (210) may detect the object again based on the request. If the object is not detected, the first sensor (210) may provid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If the object is detected, the first sensor (210) may provide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o the processor (400).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센서(210)로부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100)가 다시 하강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식별 신호는,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므로, 도어(100)의 오동작에 의해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수신 타이밍이 어긋난 것이므로, 프로세서(400)는, 다시 도어(100)를 하강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1 센서(210)로부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100)가 다시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식별 신호는,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므로, 도어(100)의 오동작이 아니라 오브젝트에 의해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수신 타이밍이 어긋난 것이므로, 프로세서(400)는, 도어(100)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다. 도어(100)가 다시 상승함에 따라, 입구(20)는, 개방 상태가 되고, 안전 사고가 예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제2 식별 신호의 수신에 기반하여, 알람 신호가 송출되도록, 알람 장치(300)를 제어할 수 있다. 작업자는, 알람 신호를 통해, 비정상 상태임을 인식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descend again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210). Since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es that an object does not exist, the timing of reception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misaligned due to a malfunction of the door (100), and therefore, the processor (400) can lower the door (100) agai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again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210). Since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es that an object exists, the timing of reception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is misaligned due to an object, not a malfunction of the door (100), and therefore, the processor (400) can raise the door (100) again. As the door (100) rises again, the entrance (20) becomes open, and a safety accident can be prevented.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alarm device (300) to transmit an alarm signal based on the reception of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The operator can recognize that there is an abnormality through the alarm signal.

전술된 설명은, 개방 상태로부터,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로 설명되었으나, 폐쇄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도 전술된 설명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0)는,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도어(100)가 상승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100)가 상승하는 동안, 프로세서(400)는, 제2 센서(220)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 및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정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도어(100)가 상승할 때, 제2 센서(220)가 제2 감지 대상물(33b)을 지난 후, 제1 감지 대상물(33a)을 지나기 때문에, 제2 신호가 먼저 수신되고, 제1 신호가 다음에 수신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2 신호 및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도어(100)가 하강하는 동안, 제2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와 구별되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400)는, 제1 센서(210)에게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제1 식별 신호 또는 제2 식별 신호의 수신에 따라 후속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The above description has been described in the case of transition from an open state to a closed state, but the above descriptions may be equally applied to a case of transition from a closed state to an open state. For example,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to rise based on receiving an open signal. While the door (100) rises, the processor (400) may identify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rmally transitioned to the open state based on a second signal and a first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220). When the door (100) rises, since the second sensor (220) passes the second detection object (33b) and then the first detection object (33a), the second signal may be received first and the first signal may be received next. The processor (400) may identify a normal state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the first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The processor (400) can identify an abnormal state that is distinct from a normal state based on not receiving the first signal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ing of receiving the second signal while the door (100) is lowered. In this case, the processor (400) can request identification of an object from the first sensor (210) and perform subsequent operations according to the reception of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or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완충 부재 및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도어(100)의 하단을 커버할 수 있다. 도어(100)의 하단은, 폐쇄 상태 내에서, 입구(20)의 바닥면에 접촉되는 도어(100)의 부분으로 참조될 수 있다. 완충 부재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는, 폴리에틸렌 폼, EVA(Ethylene Vinyl Acetate), 폴리 우레탄 폼, 펄프 몰드, 및/또는 ABS(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buffer member and an elastic member.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may cover the bottom of the door (100). The bottom of the door (100) may be referred to as a portion of the door (100) that contacts the bottom surface of the inlet (20) in a closed state. The buffer member may include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shock. For example, the buffer member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polyethylene foam, EVA (Ethylene Vinyl Acetate), polyurethane foam, pulp mold, and/or ABS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탄성 부재는, 완충 부재 내에 포함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압축 가능한 가요성(flexiblity)을 가질 수 있다. 외력이 탄성 부재에 가해지면, 탄성 부재는, 압축될 수 있고, 외력이 제거되면, 탄성 부재는, 다시 원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elastic member may be included within the buffer member. The elastic member may have compressible flexibility.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elastic member, the elastic member may be compressed, and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the elastic member may be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제1 신호 및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센서(220)가 상기 제2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식별한 후, 완충 부재가 바닥에 접촉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도어(100)가 지정된 거리만큼 더 이동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도록, 도어(100)를 제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어(100)에 의해 입구(20)가 폐쇄된 상태에서, 완충 부재는, 입구(20)의 바닥에 접촉할 수 있다. 완충 부재가 입구(20)의 바닥에 접촉한 타이밍 이후, 프로세서(400)는, 도어(100)를 지정된 거리만큼 더 하강시킬 수 있다. 도어(100)가 하강함에 따라, 완충 부재 내에 배치된 탄성 부재는, 압축될 수 있다. 탄성 부재가 압축됨에 따라, 제2 감지 대상물(33b)이 바닥면에 인접하므로, 제2 센서(220)는, 제2 감지 대상물(33b)을 통과하여 아래로 더 이동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may control the door (100) to move further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timing when the buffer member contacts the floor after the second sensor (220) identifies that the second position has passed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that are sequentially receiv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In other words, when the entrance (20) is closed by the door (100), the buffer member may contact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After the timing when the buffer member contacts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the processor (400) may further lower the door (100) by the specified distance. As the door (100) is lowered, the elastic member disposed within the buffer member may be compressed. As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the second detection object (33b) is adjacent to the floor surface, so the second sensor (220) can move further downward through the second detection object (33b).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400)는, 탄성 부재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도어(100)를 제어함으로써, 제2 센서(220)가 다시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도어(100)를 제어함으로써, 제2 신호를 다시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도어(100)를 다시 상승시킬 수 있고, 이 경우, 압축 부재가 복원됨에 따라, 도어(100)가 추가적으로 이동한 지정된 거리만큼 상승할 수 있다. 도어(100)가 상승함에 따라, 제2 센서(220)는, 다시 제2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센서(220)는, 제2 위치에 위치됨으로써, 제2 감지 대상물(33b)을 나타내는 제2 신호를 다시 프로세서(400)에게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제2 신호를 다시 수신함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400)는, 제1 신호, 제2 신호(1차)를 순차적으로 수신한 후, 다시 제2 신호(2차)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전술된 동작을 수행함으로써, 오동작에 의해 비정상 상태를 정상 상태로 식별하는 상황을 해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신호 및 제2 신호의 순차적 수신 이후에 발생되는 예상치 못한 이벤트에 의해, 도어(100)가 다시 상승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2차로 수신되는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 상태를 판단하므로, 제2 신호가 다시 수신되지 않을 경우, 비정상 상태를 식별하고, 오브젝트를 다시 감지할 수 있다. In one embodiment, the processor (400) can control the door (100) to return the elastic member to its original state, thereby controlling the door (100) to return the second sensor (220) to its second position, thereby re-receiving the second signal. The processor (400) can then raise the door (100) again, in which case the door (100) can be raised by an additional specified distance as the compressive member is restored. As the door (100) rises, the second sensor (220) can be re-received to the second position. The second sensor (220), by being positioned at the second position, can again provide the second signal representing the second detection target (33b) to the processor (400). The processor (400) can be configured to identify a normal state based on re-receiving the second signal. That is, the processor (400) can identify a normal state based on sequentially receiving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primary) and then receiving the second signal (secondary) again.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resolve a situation in which an abnormal state is identified as a normal state due to a malfunction by performing the above-described operation. For example, a situation in which the door (100) must rise again may occur due to an unexpected event that occurs after the sequential reception of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Since the processor (400) determines a normal state based on the second signal received secondarily, if the second signal is not received again, the processor (400) can identify the abnormal state and detect the object again.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입구(20)의 바닥을 향하는 도어(10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3 센서(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센서(230)는, 하면에서 서로 이격되는 3개의 센서들(231, 232, 233)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3 센서(230)는, 입구(20)의 바닥을 향하기 때문에, 바닥 위에 놓이는 오브젝트를 식별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400)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함에 기반하여, 제1 센서(210) 및/또는 제2 센서(220)에게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센서(210)는, 입구(20) 위에 배치되므로, 바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식별하지 못할 수 있다. 바닥에 위치하는 오브젝트를 정확하게 식별하기 위해서, 도어(100)의 하면에 배치되는 제3 센서(23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시스템(10)은, 제1 센서(210) 및/또는 제3 센서(230)를 이용하여 비정상 상태에서 오브젝트를 식별함으로써,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The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 third sensor (23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100) facing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The third sensor (230)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three sensors (231, 232, 233)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on the lower surface. Since the third sensor (230) faces the floor of the entrance (20), it may be used to identify an object placed on the floor. The processor (400) may request the first sensor (210) and/or the second sensor (220)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identifying an abnormal state. For example, since the first sensor (210) is disposed above the entrance (20), it may not be able to identify an object placed on the floor. In order to accurately identify an object placed on the floor, a third sensor (230)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100) may be further provided. A door system (1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can prevent an accident by identifying an object in an abnormal state using a first sensor (210) and/or a third sensor (230).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들 및 이에 사용된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적 특징들을 특정한 실시예들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해당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또는 관련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아이템에 대응하는 명사의 단수 형은 관련된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지시하지 않는 한, 상기 아이템 한 개 또는 복수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 "A, B 또는 C",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 및 "A, B, 또는 C 중 적어도 하나"와 같은 문구들 각각은 그 문구들 중 해당하는 문구에 함께 나열된 항목들 중 어느 하나, 또는 그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제2", 또는 "첫째" 또는 "둘째"와 같은 용어들은 단순히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해당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해당 구성요소들을 다른 측면(예: 중요성 또는 순서)에서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라는 용어와 함께 또는 이런 용어 없이, "커플드" 또는 "커넥티드"라고 언급된 경우, 그것은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예: 유선으로), 무선으로, 또는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is document and the terminology used herei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features described in this document to specific embodiments, but include various modifications, equivalents, or substitutes of the embodiments. In connection with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similar reference numerals may be used for similar or related components. The singular form of a noun corresponding to an item may include one or more of the item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document, each of the phrases "A or B", "at least one of A and B", "at least one of A or B", "A, B, or C", "at least one of A, B, and C", and "at least one of A, B, or C" can include any one of the items listed together in the corresponding phrase, or all possible combinations thereof. Terms such as "first", "second", or "first" or "second" may be used merely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nd do not limit the components in any other respect (e.g., importance or order). When a component (e.g., a first component) is referred to as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e.g., a second component), with or without the terms "functionally" or "communicatively,"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directly (e.g., wired), wirelessly, or through a third component.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상기 기술한 구성요소들의 각각의 구성요소는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개체 중 일부는 다른 구성요소에 분리 배치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술한 해당 구성요소들 중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들 또는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복수의 구성요소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로 통합될 수 있다. 이런 경우, 통합된 구성요소는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각각의 구성요소의 하나 이상의 기능들을 상기 통합 이전에 상기 복수의 구성요소들 중 해당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것과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으로, 병렬적으로, 반복적으로,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상기 동작들 중 하나 이상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동작들이 추가될 수 있다.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each of the components described above may include a single or multiple entities, and some of the multiple entities may be separately arranged in other components.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or operations of the aforementioned components may be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or operations may be added. Alternatively or additionally, the multiple components may be integrated into one component. In such a case, the integrated component may perform one or more functions of each of the multiple components identically or similarly to those performed by the corresponding component of the multiple components before the integration. According to various embodiments, the operations performed by a module, a program, or other component may be executed sequentially, in parallel, repeatedly, or heuristically, or one or more of the operations may be executed in a different order, omitted, or one or more other operations may be added.

Claims (14)

입구를 개폐하는 도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입구가 개방되는 개방 상태 내에서, 상기 입구의 상부에 위치되고, 상기 입구를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입구가 폐쇄되는 폐쇄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서, 상기 입구의 상부로부터 상기 입구의 바닥까지 하강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상기 입구 위에 배치되고, 상기 도어 주변의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 및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1 센서;
알람 신호를 송출하도록 구성되는 알람 장치; 및
상기 알람 장치 및 상기 제1 센서와 작동적으로(operatively) 연결되고, 상기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폐쇄 상태로부터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을 위한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신호가 송출되도록, 상기 알람 장치를 제어하고,
상기 알람 신호가 송출된 타이밍으로부터, 지정된 시간이 경과됨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의 측벽 내에 배치되는 감지 대상물; 및
상기 측벽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감지 대상물을 식별하기 위한 제2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감지 대상물은,
제1 감지 대상물 및 상기 제1 감지 대상물로부터 상기 바닥을 향하여 이격됨으로써, 상기 바닥에 인접하는 제2 감지 대상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을 위한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되는 정상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가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정상 상태와 구별되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입구의 바닥을 향하는 상기 도어의 하면에 배치되고, 상기 바닥에 위치된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제1 식별 신호 및 상기 오브젝트가 존재함을 나타내는 제2 식별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제3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정상 상태를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의 하강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 중 적어도 하나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다시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 또는 상기 제3 센서로부터, 상기 오브젝트를 나타내는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a door system that opens and closes the entrance,
A door positioned above the inlet, within an open state in which the inlet is open, and configured to descen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inlet to the bottom of the inlet in order to switch the inlet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in which the inlet is closed;
A first sensor disposed above the entrance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does not exist around the door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an object exists;
An alarm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an alarm signal; and
A processor operatively connected to the alarm device and the first sensor and configured to control the opening and closing of the door;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receiving an open signal for transitioning from the closed state to the open state, requesting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controlling the door to rise,
Controlling the alarm device so that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Based on identifying that a specified time has elapsed from the timing at which the alarm signal is transmitted, the door is controlled to rise.

A detection target placed within the side wall of the above entrance; and
further comprising a second sensor disposed on the side of the door facing the side wall and for identifying the detection target;

The above detection target is,
A first detection target and a second detection target adjacent to the flo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target toward the floor,
The second sensor above,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first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target, a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second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target, a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for transitioning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while the door is lowered,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rmally transitioned to the closed state is identified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It is configured to identify an abnormal state that is distinguished from the normal state based on not receiving the second signal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ing of receiving the first signal while the door is lowering,

Further comprising a third sensor arrang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door facing the floor of the entrance and configured to generate a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bject located on the floor does not exist and a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indicating that the object exists,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identifying the above abnormal condition, stopping the descent of the door and requesting identification of the object from at least one of the first sensor or the third sensor,
Controlling the door so that the door descends again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or the third sensor;
configured to control the door to rise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representing the object from the first sensor or the third sensor;
Do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로부터 상기 폐쇄 상태로 전환을 위한 폐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receiving a closing signal for transitioning from the open state to the closed state, requesting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controlling the door to descend;
configured to control the door to maintain the open state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Door syste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다시 요청하고,
상기 제1 식별 신호가 수신될 때까지, 상기 개방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While maintaining the above open state, request the first sensor to identify the object again,
Maintaining the open state until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is received;
configured to control the door to lower the door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Do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벽면 또는 천장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 및
적외선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제1 발광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1 수광부를 포함하는 적외선 감지부를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first sensor,
A bracket that attaches to a wall or ceiling;
a housing rotatably coupled to the above bracket; and
An infrared detection unit including a first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emit infrared rays and a first light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infrared rays reflected by the object.
Door system.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센서는,
전자기파를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제2 발광부 및 상기 오브젝트에 의해 반사된 전자기파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2 수신부를 포함하는 레이더 감지부를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In paragraph 4,
The above first sensor,
A radar detection unit including a second light emitting unit configured to emit electromagnetic waves and a second receiving unit configured to receive electromagnetic waves reflected by the object.
Door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브라켓에 대한 상기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paragraph 5,
The above processor,
configured to adjust the angle of said housing relative to said bracket;
Door system.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센싱 영역의 제1 면적을 지정된 제2 면적과 비교하고,
상기 제1 면적과 상기 제2 면적의 차이가 임계 면적을 초과하는 것을 식별함에 기반하여, 상기 차이를 줄이도록, 상기 하우징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Article 6,
The above processor,
Compare a first area of a sensing area detected by the first sensor with a designated second area,
Based on identifying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first area and the second area exceeds a critical area, the angle of the housing is adjusted to reduce the difference.
Door system.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비정상 상태의 식별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의 하강을 중지시키고, 상기 제1 센서에게 상기 오브젝트의 식별을 요청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1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다시 하강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센서로부터, 상기 제2 식별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the identification of the above abnormal condition, the lowering of the door is stopped and the first sensor is requested to identify the object,
Based on receiving the first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controlling the door to lower the door again;
configured to control the door so that the door rises based on receiving the second identification signal from the first sensor;
Do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는,
상기 도어의 하단을 커버하는 완충 부재 및 상기 완충 부재 내에 배치되고, 외력에 기반하여 압축 가능한 탄성 부재를 포함하는,
도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oor,
A buffer member covering the lower part of the door and an elastic member disposed within the buffer member and compressible based on an external force,
Door system.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1 신호 및 상기 제2 신호에 기반하여,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위치를 통과한 것으로 식별한 후, 상기 완충 부재가 상기 바닥에 접촉한 타이밍으로부터, 상기 도어가 지정된 거리만큼 더 하강함으로써, 상기 탄성 부재가 압축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하고,
상기 탄성 부재가 원래 상태로 복원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센서가 다시 상기 제2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도어를 제어함으로써, 상기 제2 신호를 다시 수신하고,
상기 제2 신호를 다시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Article 12,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the first signal and the second signal received sequentially, after the second sensor identifies that the second location has passed, the door is controlled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compressed by lowering the door further by a specified distance from the timing when the buffer member contacts the floor.
By controlling the door so that the elastic member is restored to its original state, the second signal is received again by controlling the door so that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gain at the second position,
Based on re-receiving the second signal, configured to identify the normal state,
Door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대상물은,
제1 감지 대상물 및 상기 제1 감지 대상물로부터 상기 바닥을 향하여 이격됨으로써, 상기 바닥에 인접하는 제2 감지 대상물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센서는,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1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1 위치에 위치될 때, 제1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고,
상기 제2 센서가 상기 제2 감지 대상물에 대응하는 제2 위치에 위치될 때, 제2 신호를 상기 프로세서에게 송신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개방 신호를 수신함에 기반하여, 상기 도어가 상승하는 동안, 상기 제2 센서로부터 순차적으로 수신되는 상기 제2 신호 및 상기 제1 신호에 기반하여, 정상적으로 상기 개방 상태로 전환되는 정상 상태를 식별하고,
상기 도어가 하강하는 동안, 상기 제2 신호를 수신한 타이밍으로부터, 임계 시간 이내에 상기 제1 신호를 수신하지 않음에 기반하여, 상기 정상 상태와 구별되는 비정상 상태를 식별하도록, 구성되는,
도어 시스템.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detection target is,
A first detection target and a second detection target adjacent to the floor, spaced apart from the first detection target toward the floor,
The second sensor above,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first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first detection target, a first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When the second sensor is positioned at a second location corresponding to the second detection target, a second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processor,
The above processor,
Based on receiving the above open signal, while the door is rising, a normal state in which the door is normally switched to the open state is identified based on the second signal and the first signal sequentially received from the second sensor,
configured to identify an abnormal state that is distinct from the normal state based on not receiving the first signal within a threshold time from the timing of receiving the second signal while the door is lowering.
Door system.
KR1020230185298A 2023-12-19 2023-12-19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Active KR102725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5298A KR102725505B1 (en) 2023-12-19 2023-12-19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5298A KR102725505B1 (en) 2023-12-19 2023-12-19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725505B1 true KR102725505B1 (en) 2024-11-05

Family

ID=93462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5298A Active KR102725505B1 (en) 2023-12-19 2023-12-19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5505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694Y1 (en) * 1995-03-13 1998-10-15 김명묵 Detecting device for roller shutters
JP2003138872A (en) * 2001-11-02 2003-05-14 Bunka Shutter Co Ltd Closure device
KR100959924B1 (en) * 2010-01-15 2010-05-26 (주)리츠엔 Apparatus of sensing an object movement, method of installing the apparatus and system of opening and closing an automatic door
JP2014238278A (en) * 2013-06-06 2014-12-18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Object detection system
JP2017145554A (en) * 2016-02-15 2017-08-24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Construction electric shutter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3694Y1 (en) * 1995-03-13 1998-10-15 김명묵 Detecting device for roller shutters
JP2003138872A (en) * 2001-11-02 2003-05-14 Bunka Shutter Co Ltd Closure device
KR100959924B1 (en) * 2010-01-15 2010-05-26 (주)리츠엔 Apparatus of sensing an object movement, method of installing the apparatus and system of opening and closing an automatic door
JP2014238278A (en) * 2013-06-06 2014-12-18 オプテックス株式会社 Object detection system
JP2017145554A (en) * 2016-02-15 2017-08-24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Construction electric shutter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502562C (en) A remote body detection system for a door
US7380375B2 (en) Alarm system for a loading dock
CN105775946B (en) A kind of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vator and method
EP3351500A1 (en) Multi-functional elevator light curtain
CN107250478B (en) Method for controlling a door assembly, and such a door assembly and safety device for such a door assembly
US8061486B2 (en) Elevator safety systems including detection of an object in the hoistway
WO2020044030A1 (en) An elevator door sensor arrangement
KR101805859B1 (en) home security system of automatically switching security modes based on approach feature
WO2016025289A2 (en) Elevator entry and exit system and method with exterior sensors
US20090033460A1 (en)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a Transmitter With a Proximity Sensor
US9528312B2 (en) Active object detection sensor
US20130086841A1 (en) Overhead Door Object Detection Apparatus
CN101920898B (en) elevator door device
KR102725505B1 (en) Door system that controls opening and closing of door using sensor
KR101305308B1 (en) Positioning device of safety shoe
CN105347156A (en) Anti-collision elevator and using method thereof
KR101324093B1 (en)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 of elevator entrance
JP6905871B2 (en) Open / close control system
KR20100046868A (en) Safty control apparatus for automatic door
DK2845985T3 (en) Port Security System
KR20210151009A (en) AUTOMATIC DOOR OPENING AND CLOSING SYSTEM USING ToF SENSOR
KR20080000200U (en) Elevator safety system
JP6978226B2 (en) Open / close control system
JP6905870B2 (en) Open / close control system
KR102591708B1 (en) Elevating system senseing the borading spa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1219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