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5432B1 -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 Google Patents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5432B1
KR102725432B1 KR1020220118471A KR20220118471A KR102725432B1 KR 102725432 B1 KR102725432 B1 KR 102725432B1 KR 1020220118471 A KR1020220118471 A KR 1020220118471A KR 20220118471 A KR20220118471 A KR 20220118471A KR 102725432 B1 KR102725432 B1 KR 102725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lifting block
coupled
display panel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4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40039748A (ko
Inventor
박명호
Original Assignee
박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명호 filed Critical 박명호
Priority to KR10202201184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5432B1/ko
Publication of KR202400397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7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5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543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09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comprising means allowing depth adjustment, i.e. forward-backward translation of the head relatively to the undercarri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02Heads
    • F16M11/04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 F16M11/06Means for attachment of apparatus; Means allowing adjustment of the apparatus relatively to the stand allowing pivo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20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 F16M11/22Undercarriages with or without wheels with approximately constant height, e.g. with constant length of column or of le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1/00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 F16M11/42Stands or trestles as supports for apparatus or articles placed thereon ; Stands for scientific apparatus such as gravitational force meters with arrangement for propelling the support stands on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호간에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승강 블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승강 블록; 상기 제1 승강 블록과 상기 제2 승강 블록을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하 이송부; 상기 제1 승강 블록과 상기 제2 승강 블록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용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MOVABLE TYPE SUPPORT FOR DISPLAY PANEL}
본 발명은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그래픽 기술의 발달로 인해 영화나 TV 광고 등을 실내 스튜디오에서 촬영한 후 배경 화면을 컴퓨터 그래픽 기술로 처리하는 것이 일반화되고 있다.
하지만, 실제 배경에서 촬영할 때에 촬영 대상물에 나타나는 그림자 효과를 컴퓨터 그래픽 기술에 의해 완벽하게 구현하지 못할 경우 현실감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배우가 자동차를 타고 가로등이 켜진 도심 속 도로 위를 달리는 광고 영상을 만들기 위해, 스튜디오에 마련된 플랫폼 상에 자동차를 올려놓고 배우가 탑승한 상태에서 촬영하고, 도로, 빌딩, 가로등 등과 같은 배경은 컴퓨터 그래픽 기술에 의해 구현하는 경우, 배경이 자동차의 유리에 투영되어 생기는 그림자 또는 이미지까지 컴퓨터 그래픽 기술에 의해 완벽하게 구현하는 것은 기술적 또는 비용적 측면에서 쉽지 않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튜디오에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을 설치하고, 대형 디스플레이 패널에 원하는 배경을 디스플레이 한 상태에서 촬영하는 방식이 고려될 수도 있다.
하지만, 종래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는 벽면 또는 바닥에 고정되는 고정식이 일반적이어서, 촬영 대상물은 그대로 둔 상태에서 촬영 기사가 위치를 변경하면서 다양한 높이와 각도에서 촬영 대상물을 촬영하는 일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는 스튜디오 작업에는 적합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11190호(2011.10.10,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거치한 상태에서 이동이 자유롭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한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호간에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승강 블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승강 블록; 상기 제1 승강 블록과 상기 제2 승강 블록을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하 이송부; 상기 제1 승강 블록과 상기 제2 승강 블록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용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 승강 블록 또는 상기 제2 승강 블록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호간에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수직한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블록 또는 상기 제2 승강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승강 블록 및 상기 제2 승강 블록이 소정의 높이보다 높게 상승하면 상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승강 블록 및 상기 제2 승강 블록이 소정의 높이보다 낮게 하강하면 상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이 가장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직립 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직립 시 상기 회전 프레임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을 연결해주는 복수의 연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되, 상기 후면 프레임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모서리, 및 상기 전단 모서리의 양단 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전단 모서리의 양단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 영역의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함몰 깊이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직립 시 상기 전단 모서리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 프레임까지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하 이송부는, 상기 제1 승강 블록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나사 봉, 및 상기 제1 승강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나사 봉에 치합하는 제1 너트를 포함하는 제1 볼 스크류; 상기 제2 승강 블록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나사 봉, 및 상기 제2 승강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나사 봉에 치합하는 제2 너트를 포함하는 제2 볼 스크류; 동력 전달 축; 제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1 나사 봉 및 상기 동력 전달 축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1 기어 박스; 및 상기 동력 전달 축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2 나사 봉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2 기어 박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 구동부는,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운동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3 기어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박스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3 기어 박스는 상기 제1 승강 블록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제1 레버를 조작한 후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상기 제2 레버까지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된 상태에서도 복수의 바퀴에 의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므로, 촬영 기사가 위치를 변경하면서 촬영하여도 디스플레이 패널은 촬영 대상물의 배경이 되는 범위 내에 위치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의 승강 및 회전이 가능하므로, 촬영 기사가 촬영 높이 또는 각도를 상하 방향으로 변경하면서 촬영하여도 디스플레이 패널은 촬영 대상물의 배경이 될 수 있는 범위 내에 위치할 수 있도록 높이 또는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되는 회전 프레임을 제외하고 제1 지지부 또는 제2 지지부의 상단이 가장 높게 배치되되 회전 프레임의 상측에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게 구성될 수 있고, 회전 프레임은 승강 높이에 따라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의 상단보다 높거나 낮게 배치될 수 있으므로, 스튜디오의 천장 높이에 따라 회전 프레임의 승강 높이를 조절하여 천장 높이가 낮은 소형 스튜디오에도 적용될 수 있고, 천장 높이가 충분히 높은 대형 스튜디오에서는 회전 프레임을 최대로 상승시킨 상태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된 상태에서 거치대의 전복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베이스 프레임은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는 바퀴는 베이스 프레임의 각 코너부에 배치될 수 있는데, 그로 인해 촬영 대상물과 베이스 프레임 사이에서 촬영 기사가 촬영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할 수도 있는 문제는 베이스 프레임의 전단 모서리에 리세스 영역을 형성함으로써 극복할 수 있고, 이 경우 리세스 영역의 함몰 깊이를 제한함으로써 리세스 영역 내에서 촬영 작업을 수행하는 촬영 기사와 회전 프레임에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간의 충돌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 - 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다른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도 1의 저면도이고,
도 12는 도 4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명백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단지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볼 것이지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 복수형도 포함하는 것으로 볼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부분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 "상"으로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의 위 또는 아래를 의미하고,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또는 "결합"된다고 기재된 경우, 해당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해당 구성요소가 또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 또는 결합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러한 용어는 해당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을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사용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10)는 베이스 프레임(100), 제1 지지부(210), 제2 지지부(220), 제1 승강 블록(310), 제2 승강 블록(320), 상하 이송부(400), 회전 프레임(500) 및 회전 구동부(6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프레임(100)은 이동 가능하도록 베이스 프레임(100)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110)를 구비할 수 있다.
바퀴(1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이동 중 지면이 고르지 못한 사정 등으로 인해 베이스 프레임(10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도록 스프링, 쇼크 업소버(shock absorber) 등의 완충 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촬영 중 베이스 프레임(100)이 의도하지 않게 이동하지 않도록 브레이크(brake) 등의 제동 장치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제1 지지부(21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20)는 제1 지지부(210)로부터 제1 수평 방향(X축 방향)을 따라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베이스 프레임(100)으로부터 상향 연장될 수 있다.
제1 승강 블록(310)은 제1 지지부(210)에 상하 방향(Z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Z축 방향은 X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제2 승강 블록(320)은 제2 지지부(220)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상하 이송부(400)는 제1 승강 블록(310)과 제2 승강 블록(320)을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송할 수 있다.
즉, 제1 승강 블록(310)의 승강은 제2 승강 블록(320)의 승강과 연동될 수 있다.
회전 프레임(500)은 회전축(510)을 통해 제1 승강 블록(310)과 제2 승강 블록(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 프레임(500)은 회전축(51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510)에 결합 내지 고정될 수 있고, 회전축(510)의 양단은 제1 승강 블록(310)과 제2 승강 블록(32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프레임(500)에는 디스플레이 패널(20)이 거치 내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20)은 하나의 대면적 디스플레이 화면을 형성하는 복수의 LED 패널로 이루어질 수 있고, 브래킷, 자석 등을 통해 회전 프레임(5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회전 프레임(500)에는 빛 번짐 방지용 천을 고정시킬 수 있는 액자틀 형태의 고정 프레임(30)이 클램프 등을 통해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도 있다.
회전 구동부(600)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축(51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좌측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우측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I - I에서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6의 다른 일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제1 지지부(210)는 제1 하부 프레임(211) 및 제1 상부 프레임(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프레임(211)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프레임(212)은 제1 하부 프레임(211)의 상단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수직부(212a), 한 쌍의 제1 수평부(212b) 및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12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직부(21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수직부(212a)는 상호간에 제2 수평 방향(Y축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Y축 방향은 X축 방향 및 Z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일 수 있다.
한 쌍의 제1 수평부(212b)는 제1 수직부(212a)의 상단 및 하단에서 한 쌍의 제1 수직부(212a)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 블록(310)은 한 쌍의 제1 수직부(212a)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한 쌍의 제1 수평부(212b)에 의해 제1 승강 블록(310)의 승강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한 쌍의 제1 가이드 레일(212c)은 한 쌍의 제1 수직부(212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제1 승강 블록(31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2 지지부(220)는 제2 하부 프레임(221) 및 제2 상부 프레임(2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부 프레임(221)은 베이스 프레임(100)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제2 상부 프레임(222)은 제2 하부 프레임(221)의 상단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수직부(222a), 한 쌍의 제2 수평부(222b) 및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22c)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수직부(222a)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수직부(222a)는 상호간에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수평부(222b)는 제2 수직부(222a)의 상단 및 하단에서 한 쌍의 제2 수직부(222a)를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승강 블록(320)은 한 쌍의 제2 수직부(222a) 사이에 삽입될 수 있고, 한 쌍의 제2 수평부(222b)에 의해 제2 승강 블록(320)의 승강 범위가 제한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 가이드 레일(222c)은 한 쌍의 제2 수직부(222a)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제2 승강 블록(320)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하 이송부(400)는 제1 볼 스크류(410), 제2 볼 스크류(420), 동력 전달 축(430), 제1 기어 박스(440) 및 제2 기어 박스(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볼 스크류(410)는 제1 나사 봉(411) 및 제1 너트(4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나사 봉(411)은 제1 기어 박스(440)에서 상향 연장되어 제1 승강 블록(31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1 너트(412)는 제1 승강 블록(310)에 결합되어 제1 나사 봉(411)에 치합될 수 있다. 제1 나사 봉(411)과 제1 너트(412)는 볼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나사 봉(411)이 회전하면 제1 승강 블록(310)이 승강할 수 있다.
제2 볼 스크류(420)는 제2 나사 봉(421) 및 제2 너트(4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나사 봉(421)은 제2 기어 박스(450)에서 상향 연장되어 제2 승강 블록(320)을 상하 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제2 너트(422)는 제2 승강 블록(320)에 결합되어 제2 나사 봉(421)에 치합될 수 있다. 제2 나사 봉(421)과 제2 너트(422)는 볼 스크류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나사 봉(421)이 회전하면 제2 승강 블록(320)이 승강할 수 있다.
동력 전달 축(430)은 제1 수평 방향을 따라 제1 기어 박스(440)에서 제2 기어 박스(450)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기어 박스(440)는 제1 레버(441)를 구비할 수 있고, 제1 레버(441)의 회전 운동이 제1 나사 봉(411)과 동력 전달 축(43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내부에 베벨 기어 등과 같은 복수의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기어 박스(450)는 동력 전달 축(430)의 회전 운동이 제2 나사 봉(421)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내부에 베벨 기어 등과 같은 복수의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1 레버(441)를 회전시키면 제1 승강 블록(310)과 제2 승강 블록(320)이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제1 레버(441)는 예를 들어 휠 타입의 레버일 수 있고, 제1 레버(441)의 회전 중심에는 공구 체결 홀(441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공구 체결 홀(441a)에 결합되는 전동 드라이버 등을 이용하여 제1 레버(441)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공구 체결 홀(441a)의 횡단면 형상은 다각형, 예를 들어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회전 구동부(600)는 제2 레버(611)를 구비하는 제3 기어 박스(6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어 박스(610)는 제2 레버(611)의 회전 운동이 회전축(510)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되도록 내부에 베벨 기어 등과 같은 복수의 기어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가 제2 레버(611)를 회전시키면 회전 프레임(500)이 회전할 수 있다.
제2 레버(611)는 제3 기어 박스(610)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한 쌍의 제2 레버(611)를 양손으로 잡고 회전시킴으로써 보다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어 박스(44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제1 승강 블록(310)의 하측에 배치되되, 제3 기어 박스(610)는 제1 승강 블록(31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제1 레버(441)를 조작한 후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제2 레버(611)까지 조작할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기어 박스(450)는 베이스 프레임(100)에 결합되어 제2 승강 블록(32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1의 배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회전 프레임(500)은 전면 프레임(501), 후면 프레임(502) 및 복수의 연결 바(503)를 포함할 수 있고, 밸런스 웨이트(504)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면 프레임(501)은 회전 프레임(500)의 직립 시, 즉 회전 프레임(500)에 결합된 디스플레이 패널이 거치대(10)의 전방을 향해 배치되었을 때 회전 프레임(50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전면 프레임(501)은 제1 수평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링 형상일 수 있고, 전면 프레임(501)의 내측에서 제1 수평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바를 구비할 수 있다.
후면 프레임(502)은 회전 프레임(500)의 직립 시 회전 프레임(50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전면 프레임(501)과 후면 프레임(502)은 회전 프레임(500)의 직립 시 제2 수평 방향으로 상호간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전면 프레임(501)과 후면 프레임(502) 사이에는 회전축(510)이 배치될 수 있다.
후면 프레임(502)은 전면 프레임(501)에서와 마찬가지로 제1 수평 방향의 길이가 상하 방향의 길이보다 긴 직사각형의 링 형상일 수 있고, 후면 프레임(502)의 내측에서 제1 수평 방향 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보강 바를 구비할 수 있다.
복수의 연결 바(503) 각각은 전면 프레임(501)과 후면 프레임(502)을 연결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2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패널은 전면 프레임(501)에 결합될 수 있는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중으로 인해 회전 프레임(500)에 발생할 수 있는 토크는 후면 프레임(502)에 밸런스 웨이트(504)를 결합함으로써 상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밸런스 웨이트(504)가 후면 프레임(502)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의 무게에 따라 후면 프레임(502)에 결합되는 밸런스 웨이트(504)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2 수평 방향의 전단에는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모서리(101)가 형성될 수 있고, 전단 모서리(101)의 양단 사이에는 리세스 영역(102)이 형성될 수 있다.
리세스 영역(102)은 전단 모서리(101)에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후방, 즉 베이스 프레임(100)의 제2 수평 방향의 후단을 향해 함몰되어 형성되는 빈 공간을 의미할 수 있다.
리세스 영역(102)은 촬영 대상물과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의 촬영 공간 또는 대피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리세스 영역(102)의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함몰 깊이(L1)는 회전 프레임(500)의 직립 시 전단 모서리(101)에서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전면 프레임(501)까지의 이격 거리(L2)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1은 도 1의 저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복수의 바퀴(1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4개 코너부 외에 베이스 프레임(100)의 중앙에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프레임(100)의 중앙 상측에 배치되도록 거치되는 디스플레이 패널로 인한 베이스 프레임(100)의 굽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바퀴(110)는 베이스 프레임(100)의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형태의 전단 모서리(101)의 양단 코너부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리세스 영역(102)은 제1 수평 방향으로 한 쌍의 바퀴(1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는 도 4의 작동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및 도 12를 참조하면, 제1 지지부(210) 및 제2 지지부(220)는 제1 승강 블록(310) 및 제2 승강 블록(320)이 소정의 높이보다 높게 상승하면 제1 지지부(210) 및 제2 지지부(220)의 상단이 회전 프레임(500)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1 승강 블록(310) 및 제2 승강 블록(320)이 소정의 높이보다 낮게 하강하면 제1 지지부(210) 및 제2 지지부(220)의 상단이 회전 프레임(500)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는 회전 프레임(500)을 제외하고 제1 지지부(210) 또는 제2 지지부(220)의 상단이 가장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거치대(10)는 회전 프레임(500)의 상측에 제1 지지부(210)와 제2 지지부(220)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지지부(210) 및 제2 지지부(220)는 각각 하단이 베이스 프레임(100)에 고정되는 외팔보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실시 예를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거치대 20: 디스플레이 패널
30: 고정 프레임 100: 베이스 프레임
110: 바퀴 210: 제1 지지부
220: 제2 지지부 310: 제1 승강 블록
320: 제2 승강 블록 400: 상하 이송부
410: 제1 볼 스크류 420: 제2 볼 스크류
430: 동력 전달 축 440: 제1 기어 박스
441: 제1 레버 450: 제2 기어 박스,
00: 회전 프레임 510: 회전축
600: 회전 구동부 610: 제3 기어 박스
611: 제2 레버

Claims (8)

  1. 베이스 프레임;
    상기 베이스 프레임이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프레임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의 바퀴;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각각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고, 상호간에 제1 수평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는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
    상기 제1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승강 블록;
    상기 제2 지지부에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승강 블록;
    상기 제1 승강 블록과 상기 제2 승강 블록을 동시에 상하 방향으로 이송하는 상하 이송부;
    상기 제1 승강 블록과 상기 제2 승강 블록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축;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용 회전 프레임; 및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회전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각각,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상향 연장되게 결합되는 하부 프레임; 및
    상기 하부 프레임의 상단에 상향 연장되도록 결합되는 상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 프레임은,
    상기 제1 승강 블록 또는 상기 제2 승강 블록이 사이에 삽입되도록, 상호간에 상기 제1 수평 방향에 수직한 제2 수평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배치되는 한 쌍의 수직부;
    상기 수직부의 상단 및 하단에서 상기 한 쌍의 수직부를 연결하는 한 쌍의 수평부; 및
    상기 한 쌍의 수직부에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블록 또는 상기 제2 승강 블록의 상하 방향으로의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및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승강 블록 및 상기 제2 승강 블록이 소정의 높이보다 높게 상승하면 상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단보다 낮게 배치되되, 상기 제1 승강 블록 및 상기 제2 승강 블록이 소정의 높이보다 낮게 하강하면 상단이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단보다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전 프레임은,
    상기 회전 프레임의 직립 시 상기 회전 프레임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프레임;
    상기 회전 프레임의 직립 시 상기 회전 프레임의 후면을 형성하는 후면 프레임; 및
    상기 전면 프레임과 상기 후면 프레임을 연결해주는 복수의 연결 바를 포함하고,
    상기 전면 프레임에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되, 상기 후면 프레임에는 밸런스 웨이트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을 제외하고 상기 제1 지지부 또는 상기 제2 지지부의 상단이 가장 높게 배치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상측에 상기 제1 지지부와 상기 제2 지지부를 연결하는 구조물이 존재하지 않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은, 상기 제1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전단 모서리, 및 상기 전단 모서리의 양단 사이에서 후방을 향해 함몰되도록 형성되는 리세스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바퀴는 상기 전단 모서리의 양단 코너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리세스 영역의 상기 제2 수평 방향으로의 함몰 깊이는 상기 회전 프레임의 직립 시 상기 전단 모서리에서 상기 제2 수평 방향을 따라 상기 전면 프레임까지의 이격 거리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 이송부는,
    상기 제1 승강 블록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나사 봉, 및 상기 제1 승강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1 나사 봉에 치합하는 제1 너트를 포함하는 제1 볼 스크류;
    상기 제2 승강 블록을 관통하여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나사 봉, 및 상기 제2 승강 블록에 결합되어 상기 제2 나사 봉에 치합하는 제2 너트를 포함하는 제2 볼 스크류;
    동력 전달 축;
    제1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레버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1 나사 봉 및 상기 동력 전달 축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1 기어 박스; 및
    상기 동력 전달 축의 회전 운동을 상기 제2 나사 봉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2 기어 박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구동부는,
    제2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제2 레버의 회전 운동을 상기 회전축의 회전 운동으로 변환시켜주는 제3 기어 박스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어 박스는 상기 베이스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승강 블록의 하측에 배치되되, 상기 제3 기어 박스는 상기 제1 승강 블록에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상기 제1 레버를 조작한 후 이동하지 않고 제자리에서 상기 제2 레버까지 조작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KR1020220118471A 2022-09-20 2022-09-20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Active KR102725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71A KR102725432B1 (ko) 2022-09-20 2022-09-20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471A KR102725432B1 (ko) 2022-09-20 2022-09-20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748A KR20240039748A (ko) 2024-03-27
KR102725432B1 true KR102725432B1 (ko) 2024-11-06

Family

ID=9048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471A Active KR102725432B1 (ko) 2022-09-20 2022-09-20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543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622369U (zh) * 2019-01-04 2019-11-12 深圳市佳帝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显示屏
CN214618869U (zh) * 2021-04-09 2021-11-05 沈阳西联威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led广告屏幕支架
CN216202125U (zh) * 2021-11-04 2022-04-05 铜陵市智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和转运的可调式科技信息展示装置
CN216715658U (zh) * 2021-12-03 2022-06-10 北京神州数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会议终端支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190A (ko) 2010-04-02 2011-10-10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패널의 거치대 및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9622369U (zh) * 2019-01-04 2019-11-12 深圳市佳帝科技有限公司 一种电子显示屏
CN214618869U (zh) * 2021-04-09 2021-11-05 沈阳西联威创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led广告屏幕支架
CN216202125U (zh) * 2021-11-04 2022-04-05 铜陵市智想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便于携带和转运的可调式科技信息展示装置
CN216715658U (zh) * 2021-12-03 2022-06-10 北京神州数讯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视频会议终端支撑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748A (ko) 2024-03-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537968A (zh) 一种电子迎宾牌、电子白板及电子讲台
KR102725432B1 (ko) 이동식 디스플레이 패널 거치대
KR20190017623A (ko) 대형 디스플레이용 거치대
JP3170483U (ja) プロジェクター付きホワイトボード
CN104077951A (zh) 动感升降沙盘
US20200064717A1 (en) Picture display apparatus
CN206419653U (zh) 一种位置和倾角可自由调整的吊装式激光投影仪
KR200469149Y1 (ko) 3자유도 모션의자
CN111887678B (zh) 一种视觉传达设计平台
CN113418096A (zh) 一种影视动画作品影像展示装置
CN114051097B (zh) 一种2.5d动画拍摄用摄像机移动设备
CN111035148A (zh) 一种建筑设计用绘图展示台
CN214331997U (zh) 全方位摄像机云台
CN204010486U (zh) 动感升降沙盘
CN108180385A (zh) 安装角度可调的全承载式投影机
CN220623428U (zh) 一种银幕水平移动机构
CN220962153U (zh) 一种3d全息投影科普展台
KR20140100158A (ko) 4d체어용 프레임장치 및 그 프레임장치가 구비된 4d체어
CN215993269U (zh) 一种教育一体机用可升降式摆放架
CN218767754U (zh) 一种动画拍摄用挡光装置
CN213400484U (zh) 一种视觉传达设计用的投影装置
CN213271800U (zh) 一种投影机投影画面调节装置
CN219105324U (zh) 一种挡光装置
CN220600926U (zh) 一种飞机大屏支架调节机构
CN220851441U (zh) 一种带有滑轨的智能全景拍摄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7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5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