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4820B1 -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 Google Patents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4820B1
KR102724820B1 KR1020220112708A KR20220112708A KR102724820B1 KR 102724820 B1 KR102724820 B1 KR 102724820B1 KR 1020220112708 A KR1020220112708 A KR 1020220112708A KR 20220112708 A KR20220112708 A KR 20220112708A KR 102724820 B1 KR102724820 B1 KR 1027248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rotrusions
foam
base layer
skin lay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7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34900A (en
Inventor
이건규
김승호
정훈섭
최현우
Original Assignee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덕양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덕양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27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4820B1/en
Publication of KR20240034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90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48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4820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32B2255/102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synthetic resin or rubber layer being a foamed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78Polyureth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1Elast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55/00Specific 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index codes B32B2323/00 - B32B2333/00
    • B32B2355/02ABS polymers, i.e.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69/00Polycarbon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77/00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03Interior finishings

Landscapes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제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베이스층,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층을 커버하는 스킨층 및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간격 내부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layer mounted on an automobile, a skin layer covering the base layer so as to have a gap with the base layer at least in a portion of the base layer, and a spacer disposed within the gap to support the skin layer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Description

자동차 내장재 및 자동차 내장재 제조방법{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재 및 자동차 내장재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자동차의 내장재는 탑승자에 쾌적한 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변천했다. 이는, 탑승자가 자주 접촉하거나 신체를 거치하는 부분에 양질의 쿠션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표에 기인한다.The interior materials of automobiles have changed to provide a pleasant touch to the passengers. This is due to the goal of providing high-quality cushioning to the parts that the passengers frequently touch or touch.

종래 이러한 목표에 부응하여, 크래쉬패드, 도어용 내장재 등에 쿠션감 상승을 위한 폼(foam)을 이용하였다. 보다 상세하게, 자동차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코어와 최외각의 스킨 사이에 폼을 배치하여, 탑승자에게 쿠션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In response to these goals, foam has been used to enhance cushioning in crash pads, door interiors, etc. More specifically, foam has been placed between the core and the outermost skin mounted on the frame of the car to provide cushioning to the passengers.

그런데, 이러한 폼을 이용하더라도, 자동차 내장재의 촉감은 단단하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았다.However, even when using these forms, the car interior materials often felt hard to the touch.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쿠션감이 개선된 자동차 내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hat the present invention seeks to solve is to provide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with improved cushioning.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ask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tasks mentioned above, and other task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제는 자동차에 장착되는 베이스층,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층을 커버하는 스킨층 및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간격 내부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an automobile interior may include a base layer mounted on an automobile, a skin layer covering the base layer so as to have a gap with the base layer at least in a portion of the base layer, and a spacer disposed within the gap to support the skin layer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킨층에 상기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스킨층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above spacer can elastically support the skin lay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kin lay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narrows.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력이 해제된 후,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스킨층에 상기 간격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spacer can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kin layer in a direction to restore the gap based on elasticity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스킨층에 접촉되어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는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를 서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spacer may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support the skin layer by having one end in contact with the base layer and the other end in contact with the skin layer, and a connecting member that is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connect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each other and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상기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에 초기상태와 다른 각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스킨층을 지지할 수 있다.In a state where the abov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can support the skin layer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connecting member due to the external force.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돌기가 상기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connecting member can provide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상기 복수의 돌기는, 일단부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외력의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울어질 수 있다.The above plurality of protrusions include an inclined surface formed so that the area of one end becomes smaller, and can be guided and tilted by the inclined surfa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일면 상에 적층되어 상기 스킨층과 대면하며, 발포체를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base layer may include a core layer mounted on the automobile and a foam layer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to face the skin layer and including a foam body.

상기 폼층은, 상기 발포체로 구비된 발포체층 및 상기 발포체층이 상기 복수의 돌기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고경도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 foam layer may include a foam layer made of the foam, and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formed at a portion where the foam layer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상기 자동차의 사용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신체거치영역에는, 상기 폼층과 상기 스킨층 사이에 상기 간격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간격에 배치될 수 있다.Depending on the use of the above automobile, the body support area expected to support the user's body may be provided with the gap between the foam layer and the skin layer, and the spacer may be placed in the gap.

상기 신체거치영역이 아닌 비신체거치영역에는 상기 폼층과 상기 스킨층이 밀착될 수 있다.The foam layer and the skin layer can be in close contact with a non-body support area other than the body support area.

상기 간격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heating wire arranged inside the above gap.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제 제조 방법은, 자동차에 장착되는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가 상기 베이스층의 적어도 일 영역 상에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스페이서를 커버하도록 스킨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interi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 problem may include a step of preparing a base layer to be mounted on an automobile, a step of arranging a spacer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on at least one area of the base layer, and a step of connecting a skin layer to the base layer to cover the base layer and the spacer.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스킨층과 상기 베이스층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스킨층에 상기 베이스층과의 간격이 좁아지는 방향으로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스킨층을 탄성 지지할 수 있다.The above spacer is positioned between the skin layer and the base layer, and can elastically support the skin layer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the skin layer in a direction in which the gap with the base layer narrows.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외력이 해제된 후, 탄성력에 기반하여 상기 스킨층에 상기 간격을 회복하는 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The above spacer can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skin layer in a direction to restore the gap based on elasticity after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Other specific detail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t least the following effects are achieved.

탑승자에게 양질의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It can provide passengers with high-quality cushioning.

오랜 기간의 사용에도 폼층의 훼손이 방지될 수 있다.Damage to the foam layer can be prevented even after long-term use.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The effe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exemplified above, and further diverse effects are includ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에 외력이 가해진 후 외력이 제거된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는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가 포함할 수 있는 단계들의 순서도이다.
도 5는 턴테이블 이중사출 방식으로 발포체층 및 코어층을 형성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각 층을 형성하는 순서를 표현한 도면이다.
FIG.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obile interio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expressing a situa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Figure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of step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tep of preparing a base layer.
Figure 5 is a drawing showing the formation of a foam layer and a core layer using a turntable double injection method.
FIG. 6 is a drawing expressing the order of forming each layer of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ogether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these embodiments are provided only to make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lete and to fully inform those skilled in the art of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only by the scope of the claims.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In addition,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will be explained with reference to cross-sectional drawings and/or schematic drawings, which are ideal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form of the examples may be modified due to manufacturing techniques and/or tolerances, etc. In addition,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illustrated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llustrated to some extent enlarged or reduce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indicate the same components.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제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drawings for explaining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1)는 베이스층(100), 스페이서(200), 스킨층(3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스킨층(300)에 대하여 베이스층(100)의 위치한 방향을 위쪽 방향, 그 반대 방향을 아래 방향으로 칭한다. 다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은 자동차에 장착된 상태에 따라 좌우, 상하, 대각선 방향 등 어떠한 위치관계도 가질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illustrated in FIG. 1,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base layer (100), a spacer (200), and a skin layer (300).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base layer (100) is positioned with respect to the skin layer (300) is referred to as the upward direction, and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downward direction. However, this is only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that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may have any positional relationship, such as left-right, up-down, or diagonal, depending on the state in which they are mounted on the automobile.

베이스층(100)은 자동차 내장재(1)에서 자동차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에 장착되는 층일 수 있다. 이러한, 베이스층(100)은 코어층(110) 및 폼층(1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base layer (100) may be a layer mounted on a frame forming the skeleton of an automobile in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This base layer (100) may be composed of a core layer (110) and a foam layer (120).

코어층(110)은 자동차의 프레임에 장착되는 프레임층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코어층(110)에는 자동차 프레임에 장착되기 위한 결합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코어층(110)은 사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 예로, 코어층(110)은, 폴리프로필렌, PC/ABS, 폴리아미드 등의 소재를 사출하여 형성될 수 있다.The core layer (110) may be a frame layer mounted on a frame of an automobile. To this end, a joining structure for mounting on a frame of an automobile may be formed on the core layer (110). This core layer (110) may be manufactured by an injection molding method. For example, the core layer (110)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material such as polypropylene, PC/ABS, or polyamide.

폼층(120)은 코어층(110)의 상면에 적층된 층일 수 있다. 폼층(120)은 다공질의 층으로, 연질의 특성을 가지며, 자동차 내장재(1)의 쿠션감 증대에 기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폼층(120)은 기포를 가진 발포체를 포함하는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포체는 올레핀복합소재, 폴리우레탄 등을 발포 성형하여 획득되는 것일 수 있다.The foam layer (120) may be a layer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re layer (110). The foam layer (120) is a porous layer, has soft characteristics, and may contribute to increasing the cushioning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Specifically, the foam layer (120) may be a layer including a foam having bubbles. For example, the foam may be obtained by foaming an olefin composite material, polyurethane, or the like.

이러한 폼층(120)은 다시 발포체층(122)과 고경도코팅층(124)으로 세분될 수 있다. 발포체층(122)은 상술한 발포체로 형성된 층이며, 연질의 특성을 이용해 자동차 내장재(1)의 쿠션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This foam layer (120) can be further divided into a foam layer (122) and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The foam layer (122) is a layer formed of the above-described foam, and can increase the cushioning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by utilizing its soft characteristics.

고경도코팅층(124)은 발포체층(122)의 상면에 배치된 층으로, 폼층(120)의 최상부면의 적어도 일 영역 상에 코팅된 층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경도코팅층(124)은 스페이서(200)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고경도코팅층(124)은 스페이서(200)의 돌기(210)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소재로 구성된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경도코팅층(124)은 금속소재 기반의 코팅층/박막층일 수 있다.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is a layer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am layer (122), and may be a layer coated on at least one area of the uppermost surface of the foam layer (120). Preferably,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may be formed on a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pacer (200).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may be a layer composed of a material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protrusion (210) of the spacer (200). For example,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may be a coating layer/thin film layer based on a metal material.

스페이서(200)는 베이스층(100)과 스킨층(300)이 직접 접촉되지 않고, 일정 간격 유지할 수 있도록 배치되는 부재일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서(200)는 복수의 돌기(210)와 연결부재(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pacer (200) may be a member positioned so that the base layer (100) and the skin layer (300)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and can maintain a certain distance between them. This spacer (200)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and a connecting member (220).

복수의 돌기(210)는 연결부재의 상면 및 하면에서 돌출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돌기(210)의 형상은 예시적인 것으로, 돌기(210)의 형상은 후술하는 설명에서 파악되는 스페이서(2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이면 족하다. 예를 들어, 돌기(210)는 도시된 예와 다르게 뾰족한 형상이 아닐 수 있으며, 상면 또는 하면 중 어느 하나에서만 돌출된 형상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돌기(210)의 상/하단의 높이가 서로 동일 및/또는 유사한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기(210)의 상단부분의 돌출 높이는 사용자가 스킨층(300)을 눌렀을 때의 촉감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돌기(210)의 상단부는 하단부보다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may have a shape protru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member. However,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210) is exemplary, and the shape of the protrusions (210) may be a shape that can perform the function of the spacer (200) as determined in the description below. For example, the protrusions (210) may not have a sharp shape, unlike the illustrated example, and may have a shape protruding only from one of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In addition, although the heights of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protrusions (210) are illustrated as being the same and/or simila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The protrusion height of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s (210) may be set in consideration of the tactile sensation when the user presses the skin layer (300). For example, the upper portion of the protrusions (210) may be formed to be shorter than the lower portion.

한편, 돌기(210)들의 수와 돌기(210) 사이의 간격은 쿠션감 증대라는 과제를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돌기(210)의 수와 간격은 실험적으로 판단되어 적절히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Meanwhile, the number of protrusions (210) and the spacing between the protrusions (21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considering the task of increasing cushioning. The number and spacing of the protrusions (210) can be appropriately selected by experimentally determining them.

돌기(210)는 양단에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돌기(210)의 중간부분부터 상부의 첨단(尖端)까지 이어진 경사면을 상부 경사면(212)이라 칭하며, 돌기(210)의 중간부분부터 하부의 첨단까지 이어진 경사면을 하부 경사면(214)이라 칭한다. 상부 경사면(212)과 하부 경사면(214)은 각각 상단과 하단이 돌기(210)의 중앙부분보다 작은 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돌기(210)는 연결부재(220)에서 돌출된 뿔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돌기(210)가 대략 두 개의 원뿔을 연결한 형상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가정일 뿐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210)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rotrusion (210) may have inclined surfaces formed at both ends. Hereinafter, the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protrusion (210) to the upper tip is referred to as the upper inclined surface (212), and the inclined surface extending from the middle of the protrusion (210) to the lower tip is referred to as the lower inclined surface (214). The upper inclined surface (212) and the lower inclined surface (214) may be formed so that the upper and lower ends each have a smaller area tha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rotrusion (210). Therefore, the protrusion (210) may have a horn shape protruding from the connecting member (220). Hereinafter, the protrusion (210) is explained assuming that it has a shape in which two cones are connected, but this is only an assumption to help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s described above,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10) may be formed in various ways.

돌기(210)의 상단은 스킨층(300)에 접촉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하여 돌기(210)의 하단은 고경도코팅층(124)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은 복수의 돌기(210)들에 의하여 사이의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돌기(210)의 상단 및/또는 하단은, 그 형상으로 인해 응력이 집중되어 스킨층(300) 및/또는 베이스층(100)이 훼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완곡한 곡면의 형상을 갖게 처리될 수 있다.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kin layer (300), and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210) may be in contact with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Accordingly, the gap between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may be maintained by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Although not shown, the upper end and/or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210) may be processed to have a gently curved shape to prevent damage to the skin layer (300) and/or the base layer (100) due to stress concentration caused by the shape.

연결부재(220)는 복수의 돌기(210)의 사이사이를 연결하는 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부재(220)는 대략 판형의 소재로, 복수의 돌기(210)들을 서로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20) may be a member that connects between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For example, the connecting member (220) may be made of a substantially plate-shaped material and may be provided to connect a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to each other.

한편, 연결부재(220) 및/또는 복수의 돌기(210)는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거나, 그러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스페이서(200)는 베이스층(100)에 대하여 스킨층(300)을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연결부재(220) 및/또는 복수의 돌기(210)는 외력이 인가되면 형상 변형되며 탄성에너지를 저장하고,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기반하여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Meanwhile, the connecting member (220) and/or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may include or be composed of an elastic material. Accordingly, the spacer (200) may perform a role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skin layer (300)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100). More specifically, the connecting member (220) and/or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210) may be deforme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store elastic energy, and may b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based on the elastic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leased.

스킨층(300)은 자동차 내장재(1)의 최외각 층으로, 자동차에 장착시 자동차 내부 환경에 노출되는 층일 수 있다. 스킨층(300)은 베이스층(100)의 상면에 적층되며, 스페이서(200)는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 사이에 위치되게 될 수 있다.The skin layer (300) is the outermost layer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and may be a layer exposed to the automobile interior environment when installed in an automobile. The skin layer (300)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yer (100), and the spacer (200) may be positioned between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보다 상세하게,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 사이에 스페이서(200)가 위치된 영역은 신체거치영역(A1)이며,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이 밀착된 영역은 비신체거치영역(A2)일 수 있다. 신체거치영역(A1)에는 스페이서(200)의 존재로 인하여, 외력이 없는 초기상태에서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 사이에 스페이서(200)의 돌기(210)의 높이만큼의 간격이 생길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area where the spacer (200) is positioned between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may be a body-supporting area (A1), and the area where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are in close contact may be a non-body-supporting area (A2). In the body-supporting area (A1), due to the presence of the spacer (200), a gap equal to the height of the protrusion (210) of the spacer (200) may be created between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in an initial state in which there is no external force.

신체거치영역(A1)은 자동차의 사용 과정에서, 탑승자가 신체를 거치할 것으로 예상되거나, 탑승자의 신체의 접촉이 잦을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로 인해, 신체거치영역(A1)은 자동차 내장재(1)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체거치영역(A1)은 크래쉬패드, 도어의 손잡이 부분 등에 형성될 수 있다.The body-mounting area (A1) may be an area where a passenger is expected to place his or her body during use of the vehicle, or where frequent body contact with the passenger is expected. Accordingly, the body-mounting area (A1) may be formed in different locations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1). For example, the body-mounting area (A1) may be formed on a crash pad, a door handle, etc.

한편, 비신체거치영역(A2)은 자동차의 사용 과정에서, 탑승자의 신체 거치가 부자연스럽거나, 신체의 접촉이 잦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영역일 수 있다. 비신체거치영역(A2) 또한 마찬가지로, 자동차 내장재(1)의 종류에 따라 다른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신체거치영역(A2)은 도어에서 손잡이를 제외한 부분, 자동차의 천장 부분 등을 고려한 영역일 수 있다.Meanwhile, the non-body mounting area (A2) may be an area where the passenger's body mounting is unnatural or where body contact is not expected to be frequent during the use of the vehicle. Likewise, the non-body mounting area (A2) may be formed in a different loca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vehicle interior material (1). For example, the non-body mounting area (A2) may be an area that takes into account the part of the door excluding the handle, the ceiling of the vehicle, etc.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1)는 신체거치영역(A1)과 비신체거치영역(A2)을 구별하므로, 신체가 거치되는 부분은 양질의 쿠션감을 제공하여 고촉감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신체가 거치되지 않는 부분은 스페이서(200)를 제거하여 불필요한 중량의 증가를 방지하고, 제조 원가를 감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Since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istinguishes between a body-bearing area (A1) and a non-body-bearing area (A2), the area where the body is beared can provide a high-quality cushioning feeling to realize a high-touch feeling, and the area where the body is not beared can have the advantage of preventing unnecessary weight increase and reducing manufacturing costs by eliminating the spacer (200).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자동차 내장재(1)에는 열선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열선은 고경도코팅층(124) 상에 배치되거나, 연결부재(220) 상에 배치되거나, 스킨층(3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Meanwhile, although not shown, the automotive interior material (1) may further include heating wires. For example, the heating wires may be placed on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on the connecting member (220), or on the lower surface of the skin layer (300).

열선은 자동차의 제어 회로와 연결되어, 자동차의 히터와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동차 히터 가동 시, 열선은 자동차의 히터 설정 온도이 비례하는 혼도로 발열되어 자동차 내장재의 내부를 가열할 수 있다.The heating wire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of the car and can be linked to the car heater. Accordingly, when the car heater is turned on, the heating wire is heated to a degree proportional to the car heater setting temperature, thereby heating the interior of the car interior.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1)가 양질의 쿠션감을 제공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에 외력이 가해진 후 외력이 제거된 상황을 표현한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2(a)는 스킨층의 외부에서 외력이 가해진 것을 표현한 도면이며, 도 2(b)는 스페이서의 탄성력에 의해 자동차 내장재가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providing a high-quality cushion feeling by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2. FIG. 2 is a drawing expressing a situation in which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o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Specifically, FIG. 2(a) is a drawing expressing an external force applied from the outside of a skin layer, and FIG. 2(b) is a drawing expressing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being restored to its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force of a spacer.

도 2를 참고하면, 스킨층(300)에는, 사용자의 신체와의 접촉에 의해, 스킨층(300)을 베이스층(100) 방향으로 가압하는 외력(F)이 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외력(F)이 작용되면, 외력(F)이 작용되는 부분 근처의 돌기(210)는 외력(F)에 의해 회전되게 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an external force (F) that presses the skin layer (300) toward the base layer (100) may be applied to the skin layer (300) by contact with the user's body. When this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he protrusion (210) near the part where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may be rotated by the external force (F).

이하에서는, 외력이 없는 초기상태에서 돌기(210)가 연결부재에 대략 직각(g2; 도 2(b) 참조)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킨층(300)에 외력(F)이 가해지면, 돌기(210)는 상부 경사면(212) 및/또는 하부 경사면(214)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울어질 수 있다(도 2(a) 참조). 이 상태에서 돌기(210)는 연결부재(220)와 각도(g1; 도 2(b)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초기 상태로 복귀하기 전에 돌기가 연결부재와 형성한 각도 참조)를 형성하게 될 수 있다.Hereinafter, it is explained assuming that the protrusion (210) is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connecting member (g2; see Fig. 2(b)) in the initial state without an external forc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o the skin layer (300), the protrusion (210) may be guided by the upper inclined surface (212) and/or the lower inclined surface (214) to tilt (see Fig. 2(a)). In this state, the protrusion (210) may form an angle (g1; see the angle formed by the protrusion with the connecting member before returning to the initial state indicated by the dotted line in Fig. 2(b)) with the connecting member (220).

도 2(a)를 참조하면, 스킨층(300)이 가압되어 베이스층(100) 쪽으로 압박되면, 외력(F)에 의해 변형된 스킨층(300)의 하부면이 상부 경사면(212)을 밀게 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상부 경사면(212)이 외력(F)이 작용하는 부분에서 이격되는 방향으로 힘들 받을 수 있다. 돌기(210)는 상부 경사면(212)에 의해 가이드 되어, 상단이 외력(F)이 가해진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연결부재(220)와의 각도가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기울어진 각도(g1)만큼 돌기(210) 및/또는 연결부재(220)에는 탄성에너지가 저장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a), when the skin layer (300) is pressurized and pushed toward the base layer (100), the lower surface of the skin layer (300) deformed by the external force (F) may push the upper inclined surface (212). As a result, the upper inclined surface (212) may receive forc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he protrusion (210) is guided by the upper inclined surface (212) so that the upper end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and the angle with the connecting member (220) may be changed. At this time, elastic energy may be stored in the protrusion (210) and/or the connecting member (220) by the amount of the tilted angle (g1).

한편, 도 2(a)는 외력(F)이 가해지는 경우, 돌기(210)의 상단이 외력(F)이 가해진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Meanwhile, Fig. 2(a) exemplifies that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he upper end of the protrusion (210)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ion to which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예를 들어, 이와 반대로, 스킨층의 하면의 형상, 외력의 방향 등에 따라, 돌기(210)의 하단이 외력(F)이 가해진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돌기(210)는 하부 경사면(214)에 의해 기울기 변화가 가이드될 수 있다.For example, conversely, depending on the shape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kin layer, the direction of the external force, etc., the lower end of the protrusion (210) may move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portion where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In this case, the protrusion (210) may be guided in a change in inclination by the lower inclined surface (214).

또한, 외력(F)이 가해지면, 베이스층(100)과 스킨층(300)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므로, 외력(F)이 가해진 부분 아래의 공기는 좁아진 간격에 따라 양 옆의 공간으로 이동되게 될 수 있다.In addition, when an external force (F) is applied, the gap between the base layer (100) and the skin layer (300) narrows, so the air below the part where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can move to the space on both sides according to the narrowed gap.

외력(F)이 해제되면, 연결부재(220) 및/또는 돌기(210)에 저장된 탄성에너지에 의하여 돌기(210)가 다시 초기상태로 복원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기(210)는 외력(F) 인가되었을 때와 반대로 기울어지며 다시 연결부재(220)와 대략 직각(g2)을 이루게 될 수 있다.When the external force (F) is released, the protrusion (210) can be restored to its initial state by the elastic energy stored in the connecting member (220) and/or the protrusion (210). As a result, the protrusion (210) can be til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when the external force (F) was applied and can again form an approximately right angle (g2) with the connecting member (220).

이때, 돌기(210)가 탄성력에 의해 초기상태로 돌아오며 스킨층(300)을 미는 힘과,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며 생기는 간극에 유입되는 공기가 스킨층(300)을 미는 힘에 의하여, 스킨층(300)에 복원력(B)이 작용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protrusion (210) returns to its initial state due to elasticity, and a force pushing the skin layer (300), and the force of air flowing into the gap created by the widening gap between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pushing the skin layer (300), can apply a restoring force (B) to the skin layer (300).

복원력(B)은 스킨층(300)의 하부면을 미는 힘으로, 스킨층(300)과 베이스층(100)의 간격이 초기상태의 간격과 같거나 유사하도록 회복하는 방향으로 작용될 수 있다.The restoring force (B) is a force that pushes the lower surface of the skin layer (300) and can be applied in a direction that restores the gap between the skin layer (300) and the base layer (100) to the same or similar to the gap in the initial state.

이하에서는 상술한 설명을 바탕으로,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중복된 설명을 생략하기 위하여,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은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며, 그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based on the above description,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In order to omit redundant description, parts that are identical or similar to those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re designated by the same drawing reference numerals, and their descriptions are omitted.

먼저,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제조 방법의 순서도이다.First, FIG. 3 is a flow chart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 제조 방법은,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S100), 스페이서가 준비되는 단계(S200),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단계(S300) 및 스킨층이 베이스층에 연결되는 단계(S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As illustrated in FIG. 3,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tep of preparing a base layer (S100), a step of preparing a spacer (S200), a step of arranging the spacer (S300), and a step of connecting a skin layer to the base layer (S400).

먼저,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S100)는 베이스층이 제조 및/또는 구비되는 단계일 수 있다. 베이스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층, 발포체층 및 고경도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층을 제조하는 경우에 대한 설명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후술한다.First, the step (S100) of preparing the base layer may be a step of manufacturing and/or providing the base layer. The base layer may include a core layer, a foam layer, and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as described above. A description of the case of manufacturing the base layer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스페이서가 준비되는 단계(S200)는 스체이서가 제조 및/또는 구비되는 단계일 수 있다. 스페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돌기와 연결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서는 연결부재에서 돌기가 돌출된 형상을 갖도록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스페이서의 재료는 고무복합소재,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O(열가소성폴리올레핀) 등으로 구비될 수 있다.The step (S200) of preparing a spacer may be a step of manufacturing and/or providing a chaser. The spacer may include a protrusion and a connecting member as described above. The spacer may be manufactured through injection molding so as to have a shape in which a protrusion protrudes from the connecting member. The material of the spacer may be provided as a rubber composite material,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O (thermoplastic polyolefin), etc.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단계(S300)에서는 베이스층 상에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본 단계에서는 자동자 내장재에 따라 미리 설정된 위치에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위치란, 신체거치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In the step of arranging the spacer (S300), the spacer may be arranged on the base layer. In this step, the spacer may be arranged at a preset position according to the car interior material. The preset position may mean a body support area.

스킨층이 베이스층에 연결되는 단계(S400)에서는 스킨층이 베이스층을 커버하도록 베이스층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단계는 자동차 내장재의 감싸기 공정에 대응되는 단계일 수 있다.In the step (S400) where the skin layer is connected to the base layer, the skin layer can be connected to the base layer so as to cover the base layer. This step may be a step corresponding to a wrapping process of automobile interior materials.

한편, 스킨층은 고무복합소재, TPU(열가소성 폴리우레탄), TPO(열가소성폴리올레핀), 가죽 등 다양한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스킨층은 사출, 진공성형 등 다양한 제조 방식에 의해 준비될 수 있다.Meanwhile, the skin layer can be composed of various materials such as rubber composite material, TPU (thermoplastic polyurethane), TPO (thermoplastic polyolefin), and leather. The skin layer can be prepared by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such as injection molding and vacuum forming.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베이스층을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가 포함할 수 있는 단계들의 순서도이다. 이에 대하여, 도 5는 턴테이블 이중사출 방식으로 발포체층 및 코어층을 형성하는 것을 표현한 도면이다.Hereinafter,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base layer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5. FIG. 4 is a flow chart of steps that may be included in the step of preparing a base layer. In this regard, FIG. 5 is a drawing expressing the formation of a foam layer and a core layer by a turntable double injection method.

먼저, 턴테이블 이중사출 방식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 이중사출 방식은 복수의 몰드(MU1, MU2, MD)가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몰드(MU1, MU2, MD)는 2개의 주입 몰드(MU1, MU2)와 제품 몰드(MD)를 포함할 수 있다. 주입 몰드(MU1, MU2)에는 복수의 주입기(I)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주입 몰드(MU1, MU2)는 각각 서로 다른 물질을 주입기(I)에 공급받을 수 있다.First, the turntable double injection method is briefly explained. As shown in Fig. 5(a), the turntable double injection method can utilize a plurality of molds (MU1, MU2, MD). For example, the plurality of molds (MU1, MU2, MD) can include two injection molds (MU1, MU2) and a product mold (MD). A plurality of injectors (I) can be formed in the injection molds (MU1, MU2). At this time, the plurality of injection molds (MU1, MU2) can each receive different materials from the injectors (I).

제품 몰드(MD)는 주입 몰드(MU1, MU2) 각각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품 몰드(MD)가 제1 주입 몰드(MU1)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품 몰드(MD)와 제1 주입 몰드(MU1) 사이의 공간(제1 공간)은, 제품 몰드(MD)가 제2 주입 몰드(MU2)와 결합된 상태에서 제품 몰드(MD)와 제2 주입 몰드(MU2) 사이의 공간(제2 공간)보다 좁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간은 제2 공간에 포함될 수 있는 크기일 수 있다.The product mold (MD) can be selectively coupled to each of the injection molds (MU1, MU2). At this time, the space (first space) between the product mold (MD) and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when the product mold (MD) is coupled to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can be narrower than the space (second space) between the product mold (MD) and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when the product mold (MD) is coupled to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For example, the first space can be of a size that can be included in the second spac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층(100)이 제조되는 경우,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S1O0)는, 코어층이 형성되는 단계(S110). 발포체층이 형성되는 단계(S120) 및 고경도코팅층이 코팅되는 단계(S130)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4, when the base layer (100) is manufactured, the step (S100) of preparing the base layer may include the step (S110) of forming a core layer, the step (S120) of forming a foam layer, and the step (S130) of coating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코어층이 형성되는 단계(S110)에서는 도 5(a)와 같이 위치되었던 제품 몰드가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입 몰드(MU1)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주입 몰드(MU1)는 주입기(I)를 통하여 코어층(110)의 소재를 제1 공간 내부로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입 몰드(MU1)는 주입기(I)를 통해 폴리프로필렌, PC/ABS, 폴리아미드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단계에서는 제품 몰드(MD) 상에 코어층(110)이 형성될 수 있다.In the step (S110) of forming a core layer, the product mold positioned as in FIG. 5(a) can be combined with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as illustrated in FIG. 5(b).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can supply the material of the core layer (110) into the first space through the injector (I). For example,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can supply polypropylene, PC/ABS, polyamide, etc. through the injector (I). As a result, the core layer (110) can be formed on the product mold (MD) in this step.

발포체층이 형성되는 단계(S120)에서는 다시 제1 주입 몰드(MU1)와 제품 몰드(MD)의 결합이 해제되고, 도 5(c)와 같이 제품 몰드(MD)가 제2 주입 몰드(MU2)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품 몰드(MD)는 제1 주입 몰드(MU1)와 결합이 해제된 후,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2 주입 몰드(MU2)와 대면하고, 제2 주입 몰드(MU2)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2 공간이 제1 공간보다 크므로, 코어층(110)과 제2 주입 몰드(MU2)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할 수 있다.In the step (S120) of forming the foam layer,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and the product mold (MD) are released again, and the product mold (MD) can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as shown in Fig. 5(c). For example, after the product mold (MD) is released from the first injection mold (MU1), it can be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to face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and be connected to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At this time, since the second space is larger than the first space, a gap may exist between the core layer (110) and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제2 주입 몰드(MU2)는 주입기(I)를 통해 제2 공간에 발포체층(122) 형성을 위한 수지를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입 몰드(MU2)는 제2 공간 내부로 올레핀복합소재, 폴리우레탄 등을 공급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 단계에서는 코어층이 형성되는 단계(S110)에서 형성된 코어층(110) 상에 발포체층(122)이 사출되고, 코어층(110) 상에 발포체층(122)이 적층되게 될 수 있다.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can supply resin for forming a foam layer (122) into the second space through the injector (I). For example, the second injection mold (MU2) can supply an olefin composite material, polyurethane, etc. into the second space. Accordingly, in this step, the foam layer (122) can be injected onto the core layer (110) formed in the step (S110) of forming the core layer, and the foam layer (122) can be laminated onto the core layer (110).

상술한 바와 같이, 코어층이 형성되는 단계(S110) 및 발포체층이 형성되는 단계(S120)가 하나의 턴테이블 이중사출 장비를 이용하여 진행되므로, 공정시간이 단축되는 이점이 있을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step of forming a core layer (S110) and the step of forming a foam layer (S120) are performed using a single turntable double injection device, there may be an advantage of shortening the process time.

고경도코팅층이 코팅되는 단계(S130)에서는 발포체층이 형성되는 단계(S120)에서 형성된 발포체층(122) 및 코어층(110)을 포함하는 적층체에 고경도코팅층(124)을 코팅한다, 이에 대한 설명은 도 6을 참조하여 후술한다.In the step (S130) of coating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is coated on a laminate including a foam layer (122) and a core layer (110) formed in the step (S120) of forming a foam layer. A description thereof will be given below with reference to FIG. 6.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내장재의 각 층을 형성하는 순서를 표현한 도면이다.FIG. 6 is a drawing expressing the order of forming each layer of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a)는 턴테이블 이중사출장비에서 사출된 적층체를 표현한 것이다. 도 6(a)와 같이, 적층체가 적층되고 몰드에서 인출되면, 도 6(b)와 같이 발포체층(122) 상에 고경도코팅층(124)이 코팅될 수 있다. 고경도코팅층(124)은 종래의 다양한 코팅 방법을 통해 다양한 소재로 코팅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고경도코팅층(124)은 침지인상법, 무전해도금, 기상증착 등을 통해 코팅될 수 있다.Fig. 6(a) shows a laminate injected from a turntable double injection molding machine. As shown in Fig. 6(a), when the laminate is laminated and taken out from the mold,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can be coated on the foam layer (122) as shown in Fig. 6(b).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can be coated with various materials through various conventional coating methods. For example,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can be coated through immersion drawing, electroless plating, vapor deposition, etc.

이때, 고경도코팅층(124)의 경도는 돌기(210)의 경도보다 높을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는, 자동차 내장재의 사용 과정에서, 폼층(120)이 외력(F, 도 2 참조)에 반복적으로 노출되어 돌기(210)에 의해 가압되더라도, 돌기(210)가 폼층(120)을 파고들거나 훼손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일 수 있다.At this time, the hardness of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may be required to be higher than the hardness of the protrusion (210). This may be to prevent the protrusion (210) from digging into or damaging the foam layer (120) even when the foam layer (120) is repeatedly exposed to an external force (F, see FIG. 2) and is pressed by the protrusion (210) during the use of the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고경도코팅층(124)의 코팅이 완료되면, 도 6(c)에 나타난 것처럼, 고경도코팅층(124) 상에, 스페이서(200)를 배치할 수 있다. 스페이서(200)는 신체거치영역에만 구비되므로, 고경도코팅층(124) 또한 신체거치영역에만 코팅될 수 있다.When the coating of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is completed, a spacer (200) can be placed on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as shown in Fig. 6(c). Since the spacer (200) is provided only in the body-supporting area, the high-hardness coating layer (124) can also be coated only in the body-supporting area.

스페이서(200)가 신체거치영역상에 배치되면, 스킨층(300)이 스페이서(200)와, 베이스층(100)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커버한다. 예를 들어, 스킨층(300)은 코어층(110)이 자동차에 장착되기 위한 부분을 제외하고, 스페이서(200) 및 베이스층(100)을 감싸도록 베이스층(100)에 연결될 수 있다.When the spacer (200) is placed on the body support area, the skin layer (300) covers the spacer (200) and the base layer (100) so that they are not exposed to the outside. For example, the skin layer (300) may be connected to the base layer (100) so as to surround the spacer (200) and the base layer (100) except for the portion where the core layer (110) is to be mounted on the car.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 person having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Therefor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bove,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자동차 내장재 100: 베이스층
110: 코어층 120: 폼층
122: 발포체층 124: 고경도코팅층
200: 스페이서 210: 돌기
212: 상부경사면 214: 하부경사면
220: 연결부재 300: 스킨층
A1: 신체거치영역 A2: 비신체거치영역
I: 주입기 MU1, MU2: 주입 몰드
MD: 제품 몰드
1: Car interior material 100: Base layer
110: Core layer 120: Foam layer
122: Foam layer 124: High hardness coating layer
200: Spacer 210: Bump
212: Upper slope 214: Lower slope
220: connecting member 300: skin layer
A1: Body support area A2: Non-body support area
I: Injector MU1, MU2: Injection mold
MD: Product Mold

Claims (8)

자동차에 장착되는 베이스층;
적어도 일부 영역에서 상기 베이스층과 간격을 갖도록 상기 베이스층을 커버하는 스킨층; 및
상기 베이스층에 대하여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도록 상기 간격 내부에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스킨층에 접촉되어,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는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를 서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에 초기상태와 다른 각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돌기가 상기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일단부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외력의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울어지며,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일면 상에 적층되어 상기 스킨층과 대면하며, 발포체를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고,
상기 폼층은,
상기 발포체로 구비된 발포체층; 및
상기 발포체층이 상기 복수의 돌기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고경도코팅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Base layer mounted on a car;
a skin layer covering the base layer so as to have a gap from the base layer at least in some areas; and
A spacer is disposed within the gap to support the skin layer with respect to the base layer and includes an elastic material;
The above spac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support the skin layer, with one end contacting the base layer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skin layer; and
A connec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bove plurality of protrusions support the skin layer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connecting member due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 connecting member provides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The above multiple protrusions are,
Including a slope formed so that the area of one end becomes smaller, it tilts guided by the slope in the stat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bove base layer is,
A core layer mounted on the above vehicle; and
A foam layer including a foam body, laminated on one surface of the core layer and facing the skin layer;
The above foam layer,
A foam layer provided with the above foam; and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comprising: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formed at a portion of the foam lay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사용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를 지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신체거치영역에는, 상기 폼층과 상기 스킨층 사이에 상기 간격이 구비되고 상기 스페이서가 상기 간격에 배치되며,
상기 신체거치영역이 아닌 비신체거치영역에는 상기 폼층과 상기 스킨층이 밀착되는, 자동차 내장재.
In the first paragraph,
Depending on the use of the above automobile, the body support area expected to support the user's body is provided with the above gap between the above foam layer and the above skin layer, and the above spacer is placed in the above gap.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in which the foam layer and the skin layer are in close contact with each other in a non-body-bearing area other than the body-bearing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의 내부에 배치되는 열선;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In the first paragraph,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further comprising a heating wire arranged inside the above gap.
자동차에 장착되는 베이스층이 준비되는 단계;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스페이서가 상기 베이스층의 적어도 일 영역 상에 배치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층 및 상기 스페이서를 커버하도록 스킨층이 상기 베이스층에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일단이 상기 베이스층에 접촉되고 타단이 상기 스킨층에 접촉되어,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는 복수의 돌기; 및
상기 복수의 돌기 사이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복수의 돌기를 서로 연결하며, 탄성력을 가진 소재를 포함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며,
외력이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돌기는 상기 외력에 의해 상기 연결부재에 초기상태와 다른 각도를 갖는 상태로 상기 스킨층을 지지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복수의 돌기가 상기 초기상태로 복원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고,
상기 복수의 돌기는,
일단부의 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된 경사면을 포함하여, 상기 외력의 가해진 상태에서 상기 경사면에 의해 가이드되어 기울어지며,
상기 베이스층은,
상기 자동차에 장착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의 일면 상에 적층되어 상기 스킨층과 대면하며, 발포체를 포함하는 폼층;을 포함하고,
상기 폼층은,
상기 발포체로 구비된 발포체층; 및
상기 발포체층이 상기 복수의 돌기와 접촉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돌기보다 높은 경도를 가진 고경도코팅층;을 포함하는, 자동차 내장재 제조 방법.
The stage where the base layer to be mounted on the car is prepared;
A step in which a spacer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is placed on at least one area of the base layer; and
A step of connecting a skin layer to the base layer to cover the base layer and the spacer;
The above spacer,
A plurality of protrusions that support the skin layer, with one end contacting the base layer and the other end contacting the skin layer; and
A connecting member positioned betwee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connecting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to each other, and including an elastic material;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bove plurality of protrusions support the skin layer at an angle different from the initial state to the connecting member due to the external force, and the connecting member provides elasticity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re restored to the initial state.
The above multiple protrusions are,
Including a slope formed so that the area of one end becomes smaller, it tilts guided by the slope in the state where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The above base layer is,
A core layer mounted on the above vehicle; and
A foam layer including a foam body, laminated on one side of the core layer and facing the skin layer;
The above foam layer,
A foam layer provided with the above foam;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an automobile interior material, comprising: a high-hardness coating layer formed at a portion of the foam layer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and having a higher hardness than the plurality of protrusions;
KR1020220112708A 2022-09-06 2022-09-06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ctive KR10272482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708A KR102724820B1 (en) 2022-09-06 2022-09-06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708A KR102724820B1 (en) 2022-09-06 2022-09-06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900A KR20240034900A (en) 2024-03-15
KR102724820B1 true KR102724820B1 (en) 2024-11-06

Family

ID=90272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708A Active KR102724820B1 (en) 2022-09-06 2022-09-06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4820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489A (en) * 2007-10-30 2009-05-21 Inoac Corp Vehicular interior trim member
WO2013132677A1 (en) * 2012-03-07 2013-09-12 豊田鉄工株式会社 Superimposed composite componen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07489A (en) * 2007-10-30 2009-05-21 Inoac Corp Vehicular interior trim member
WO2013132677A1 (en) * 2012-03-07 2013-09-12 豊田鉄工株式会社 Superimposed composite compon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900A (en) 2024-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4978B1 (en) Interior trim for automobile
US9561741B2 (en) Vehicle seat
EP2569186B1 (en) Flexible interior trim component having an integral skin show surface
US20050186388A1 (en) Automotive interior trim assembly with soft feel
EP0169627A3 (en) Molded foam-backed carpet assembly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CA2149331C (en) A cushion body structure comfortable to sit
JPH0571014B2 (en)
US10457174B2 (en) Forming of motor vehicle seat upholstery
KR102724820B1 (en) An automobile inside componen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utomobile inside component
JP2636875B2 (en) Insert molding method for pads of different hardness
JPH0211482A (en) Water resistant sheet for snow and water vehicle and manufacture thereof
KR20130027799A (en) Vehicle seat pad having different hardnesses
US4728148A (en) Supporting structure of the lumbar portion of the foam cushion member in an automotive seat
CN117957141A (en) Vehicle seat backs
JPS63222813A (en) Manufacture of cushion, particularly, seat cushion for automobile
JPH09168678A (en) Cushion body for automotive seat and its production
JP4710398B2 (en) Vehicle seat pa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6102560B2 (en) Cushion body for vehicle seat
JP7700300B2 (en) Seat pad for vehicle
JP2005110923A (en) Shaping method of flexible urethane foam and seat pad
JP5656707B2 (en) Seat pad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H047932Y2 (en)
JPH10166864A (en) Arm rest pad
JP2001238752A (en) Automotive seat pad, automotive sheet provided therewith,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hem
JPS6294112A (en) Cushion body and its prod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6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