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4649B1 -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 Google Patents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4649B1
KR102724649B1 KR1020220087772A KR20220087772A KR102724649B1 KR 102724649 B1 KR102724649 B1 KR 102724649B1 KR 1020220087772 A KR1020220087772 A KR 1020220087772A KR 20220087772 A KR20220087772 A KR 20220087772A KR 102724649 B1 KR102724649 B1 KR 102724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ypass
cos
line
holder
li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777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40010331A (en
Inventor
김시우
김옥현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220087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4649B1/en
Publication of KR20240010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0331A/en
Priority to KR1020240147762A priority patent/KR20240158207A/en
Priority to KR1020240148604A priority patent/KR2024015821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4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4649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45Indicating the presence of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7/00Overhead installations of electric lines or cables
    • H02G7/05Suspension arrangements or devices for electric cables or lin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NELECTRIC MACH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2N1/00Electrostatic generators or motors using a solid moving electrostatic charge carrier
    • H02N1/06Influence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는,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1 활선에 연결되는 제1 체결단;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2 활선에 연결되는 제2 체결단;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바이패스 배전 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선로부; 상기 제1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1 COS; 상기 제1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사활 표시부; 상기 제2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2 COS; 및 상기 제2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사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ypass cabl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first live line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second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second live line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bypass line section forming a bypass distribution path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 first COS electrically turning on/off a rotational state of a holder while maintain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 first life/death indicator section indic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first COS; a second COS electrically turning on/off a rotational state of the holder while maintain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end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nd a second life/death indicator section indic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Description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본 발명은 배전 현장에서 공사용개폐기를 대체할 수 있도록 사활램프가 장착된 임시 COS 장치를 구비한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ypass cable device having a temporary COS device equipped with a life-or-death lamp so as to replace a construction switch at a power distribution site.

배전 현장의 작업이란 배전설비의 신설, 철거 및 유지보수를 위해 배전설비 및 그 인근에서 수행하는 일련의 행위로 명확한 작업목적과 시행계획 아래에서 하는 모든 일을 의미한다.Work at a power distribution site refers to a series of actions performed at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and their vicinity for the purpose of installing, removing, and maintaining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and all work done under a clear work purpose and implementation plan.

도 1a는 사선작업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b는 직접활선공법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c는 간접활선공법의 일 예를 나타낸다.Figure 1a shows an example of diagonal work, Figure 1b shows an example of direct live-line work, and Figure 1c shows an example of indirect live-line work.

사선작업이란 선로의 신설 또는 휴전 등의 방법에 의하여 전압이 인가되지 않는 선로나 기기에서 시행되는 작업이다. Diagonal work is work performed on lines or equipment that are not energized due to methods such as the installation of new lines or a power outage.

공법은 배전설비 및 그 인근에서 수행하는 작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적용하는 공사의 방법을 말하며 노출 충전된 전선 또는 기기 등에서 작업하는 경우 사용전압에 적합한 고무 절연장갑 등 개인 안전장구를 착용하고 직접 충전부와 접촉하는 작업과 절연스틱을 사용하여 접촉하지 않고 작업하는 공법이 있으며 작업구간 내 고객에게 전기를 중단 없이 공급하는 무정전 공법이 있다. The method refers to the method of construction applied to achieve the purpose of work performed in power distribution facilities and their vicinity, and when working on exposed live wires or equipment, there is a method of wearing personal safety equipment such as rubber insulating gloves appropriate for the voltage used and working while directly contacting the live part, a method of working without contact using an insulating stick, and an uninterrupted work method that supplies electricity to customers within the work area without interruption.

무정전 공법의 모든 작업공정에는 전선 절단·압축, 클램프 설치·철거 등 활선작업이 수반 되므로, 작업자가 절연스틱 등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충전부 접근한계거리 외에서 고압 이상의 전압이 인가된 노출 도체나 기기와 비접촉인 상태에서 작업하는 간접활선공법과 작업자가 노출 도체나 기기 등의 작업에 적합한 절연용 보호구를 착용하고 충전부에 직접 접촉된 상태에서 작업하는 직접활선공법과 다르지 않으며 활선공법의 범주에는 무정전공법이 포함되어 있다. All work processes of the uninterruptible power construction method involve live work such as cutting and compressing wires, installing and removing clamps, etc. Therefore,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the indirect live-line work method in which the worker uses an insulated live-line tool such as an insulating stick to work without making contact with exposed conductors or equipment that are subject to high voltage or higher outside the proximity limit of live parts, and the direct live-line work method in which the worker wears insulating protective gear suitable for the work of exposed conductors or equipment, etc. and works while in direct contact with live parts. The uninterruptible power construction method is included in the category of live-line work methods.

도 2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표현한 개념도이다.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method.

도 3a는 일반적인 바이패스 단말 케이블을 나타내며, 도 3b는 일반적인 공사용 개폐기를 나타내며, 도 3b는 바이패스 단말 케이블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다.Fig. 3a shows a typical bypass terminal cable, Fig. 3b shows a typical construction-use switch, and Fig. 3b shows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bypass terminal cable.

도시한 무정전 공종은 바이패스케이블, 공사용 개폐기, 이동용 변압기, 이동용 발전기 등이 있으며 무정전 공종을 현장에 적용 시에는 고객소유 발전기, ESS 저장장치 및 분산형 전원 역가압으로 인한 작업자와 설비의 안전을 위하야 작업 구간에 연계되어 있는 발전원을 분리하고 반드시 분리 여부를 확인 후 작업에 임하여야 한다.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ork includes bypass cables, construction switches, mobile transformers, and mobile generators. When applying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work to a site, the power source connected to the work area must be separated to ensure the safety of workers and equipment due to customer-owned generators, ESS storage devices, and distributed power supply reverse pressure, and work must be started only after confirming whether the power source has been separated.

바이패스 케이블 공종은 공사구간의 전원 및 부하측을 바이패스(By-pass)케이블 또는 신설 선로를 이용하여 임시로 전력을 송전 하면서, 공사구간의 전원측 및 부하측 점퍼선을 절단하고 공사구간을 사선 상태로 전환하여 시공하는 공종이다. 공사구간을 사선 상태로 만들어 작업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전기를 사용하는 고객도 정전불편 없이 전기공사를 수행할 수 있는 공법이다. Bypass cable construction is a type of construction that temporarily transmits electricity to the power and load sides of a construction section using bypass cables or newly constructed lines, while cutting the jumper wires on the power and load sides of the construction section and converting the construction section into a diagonal state. This is a construction method that protects workers safely by making the construction section into a diagonal state and allows customers who use electricity to perform electrical work without inconvenience from power outages.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은 도 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사구간의 전원 및 부하측을 바이패스 케이블과 공사용 개폐기를 병렬로 연결하여 고객선로에 임시로 전력을 공급한다.As shown in Fig. 3c, the bypass cable method temporarily supplies power to customer lines by connecting the power and load sides of a construction section in parallel with a bypass cable and a construction switch.

도 4a 내지 4c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1상 분기 공법을 예시하는 사진들로서, 도 4a3상 바이패스구간 내 1상 분기된 모습을 나타내며, 도 4b는 공사용개폐기를 2대 설치한 모습을 나타내며, 도 4c는 공사용개폐기 제품을 나타낸 것이다.Figures 4a to 4c are photographs exemplifying a method for branching a single-phase bypass cable. Figure 4a shows a single-phase branch within a three-phase bypass section, Figure 4b shows two construction-use switches installed, and Figure 4c shows a construction-use switch product.

3상 바이패스케이블 공법 구간내 1상분기를 송전하기 위해서는 기존공법에 사용되는 공사용개폐기 2대 외에도 1대의 공사용개폐기가 추가로 필요하다. 상측정이 필요없는 1상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에도 공사용개폐기를 사용함에 따라 임시 COS 시공과 비교하여 노무비가 46% 증가하고 있다. In order to transmit a 1-phase branch within a 3-phase bypass cable construction section, an additional 1 construction switch is required in addition to the 2 construction switches used in the existing construction method. Since the construction switch is used even in the 1-phase bypass cable construction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phase measurement, labor costs increase by 46% compared to temporary COS construction.

또한, 공사용개폐기는 가스압을 내장한 이동형태의 기계로 잦은 설치와 진동, 보관상의 문제로 가스누기 및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이 매우 높다.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 구간에 설치된 2개의 공사용개폐기 외에도 추가의 공사용개폐기 설치는 장비 및 작업 소요에 의한 경제적 비용의 상승 뿐만 아니라, 각 장비들의 고장 및 그에 따른 안전사고의 가능성도 높이게 된다.In addition, construction switches are mobile machines with built-in gas pressure, and there is a very high risk of safety accidents due to gas leakage and malfunctions due to frequent installation, vibration, and storage problems. In addition to the two construction switches installed in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section, installing additional construction switches not only increases economic costs due to equipment and work requirements, but also increases the possibility of equipment malfunctions and resulting safety accidents.

기존 바이패스 공법의 문제점을 정리하면, 3상 바이패스공법 구간내 1상 분기송전을 위해 공사용 개폐기 추가사용 필요하여, 특히, 상측정이 필요없는 1상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시에도 공사용 개폐기 사용이 강제되어 경제성이 떨어진다. 더불어, 공사용 개폐기 내부 가스누기 및 고장으로 인한 안전사고 가능성이 오히려 높아지며, 공사용 개폐기 설치시 시공이 복잡하여 시공시간이 장시간 소요된다.The problems of the existing bypass method are summarized as follows: In order to transmit 1-phase branch power within the 3-phase bypass method section, additional construction switches must be used, and especially, even in the 1-phase bypass cable method that does not require phase measurement, construction switches must be used, which reduces economic efficiency. In addition, the possibility of safety accidents due to gas leakage and malfunction inside the construction switches increases, and the construction process is complicated when installing the construction switches, which takes a long time.

대한민국 공개공보 10-2022-0030727호 : 원격 트립 감지가 가능한 선로용 컷아웃 스위칭 장치 및 이를 갖는 배전 시스템Republic of Korea Public Notice No. 10-2022-0030727: Cutout switching device for line capable of remote trip detection and distribution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공사용개폐기 설치로 인한 비용 및 작업 소요를 제거할 수 있는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aims to provide a COS device and a bypass cable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that can eliminate costs and work requirements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construction switch.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에 체결되는 체결단; 바이패스 선로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는 스위치 프레임;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대한 회동 상태로서 상기 활선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의 전기적 연결을 on/off 시키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 COS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that is connected to a live line using an insulated live line tool; a switch frame that maintains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with a bypass line in an insulated state; a holder that turns on/off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live line and the bypass line as a rotational state with respect to the switch frame; and a life-or-death indication unit that indicates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여기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위치 프레임과 체결 또는 탈락 가능할 수 있다.Here, the holder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witch frame, and the other end can be fastened to or detached from the switch frame.

여기서, 상기 홀더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holder may include a tool handle so as to be rotatable using an insulated live tool.

여기서, 상기 사활 표시부는, 상기 일단 근방에 상기 홀더와 상기 스위치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홀더의 일부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Here, the life or death indicator may be locat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switch frame near the end or on the outer surface of a part of the holder.

여기서, 상기 사활 표시부는,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추출하는 전자 유도 발전부; 및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life-or-death display unit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that extracts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a light-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by the driving pow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는,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1 활선에 연결되는 제1 체결단;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2 활선에 연결되는 제2 체결단;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바이패스 배전 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선로부; 상기 제1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1 COS; 상기 제1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사활 표시부; 상기 제2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2 COS; 및 상기 제2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사활 표시부를 포함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bypass cable device having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first live line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second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second live line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bypass line section forming a bypass distribution path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 first COS electrically turning on/off a rotational state of a holder while maintain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 first life-or-death indication section indic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first COS; a second COS electrically turning on/off a rotational state of the holder while maintain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end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nd a second life-or-death indication section indic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여기서, 상기 제1 사활 표시부는, 상기 제1 COS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확보하여 발광되고, 상기 제2 사활 표시부는, 상기 제2 COS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확보하여 발광될 수 있다.Here, the first life-or-death indicator section can secure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when the first COS is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emit light, and the second life-or-death indicator section can secure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when the second COS is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emit light.

여기서, 상기 제1 COS의 홀더 및 상기 제2 COS의 홀더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Here, the holder of the first COS and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may be provided with a tool handle so as to be rotated using an insulated live tool.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는,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직선 접속함과 상기 제1 COS를 연결하는 제1 엘보; 및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직선 접속함과 상기 제2 COS를 연결하는 제2 엘보를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ypass line section may include a first elbow connecting the straight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nd the first COS; and a second elbow connecting the straight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nd the second COS.

여기서,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는, 상기 제1 활선를 위한 전주의 지지 기구상에서 상기 제1 엘보의 선로와 상기 제1 COS의 선로를 체결하는 제1 바이패스 클램프; 및 상기 제2 활선를 위한 전주의 지지 기구상에서 상기 제2 엘보의 선로와 상기 제2 COS의 선로를 체결하는 제2 바이패스 클램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bypass line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ypass clamp for connecting the line of the first elbow and the line of the first COS on a support mechanism of the pole for the first live line; and a second bypass clamp for connecting the line of the second elbow and the line of the second COS on a support mechanism of the pole for the second live line.

상술한 구성의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를 실시하면, 공사용개폐기 설치로 인한 비용 및 작업 소요를 억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즉, 임시COS 공법 사용시 공사용개폐기 설치 대비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고, 공사용개폐기 시공대비 시공효율 증가로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By implementing the COS device and bypass cable device for the bypass method with the life and 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f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cost and work required due to the installation of a construction switch can be suppressed. In other words, when using the temporary COS method, economical construction is possible compared to the installation of a construction switch,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due to increased construction efficiency compared to the construction of a construction switch.

본 발명의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및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는, 공사용개폐기 사용에 따른 안전사고 및 정전위험을 대폭 감소시키고, 사활 표시 램프 임시 COS로 작업자 안전성을 높이는 이점이 있다.The COS device and bypass cable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advantage of significantly reducing the risk of safety accidents and power outages due to the use of construction switches, and increasing worker safety with a temporary COS for the life-or-death indication lamp.

도 1a는 사선작업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b는 직접활선공법의 일 예를 나타내고, 도 1c는 간접활선공법의 일 예를 나타낸 사진들.
도 2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공법을 표현한 개념도.
도 3a는 일반적인 바이패스 단말 케이블을 나타내며, 도 3b는 일반적인 공사용 개폐기를 나타낸 사진들.
도 3b는 바이패스 단말 케이블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
도 4a 내지 4c는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1상 분기 공법을 예시하는 사진들.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진.
도 6은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
Figure 1a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diagonal work, Figure 1b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direct live-line work, and Figure 1c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indirect live-line work.
Figure 2 is a conceptual diagram expressing th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method.
Figure 3a shows a typical bypass terminal cable, and Figure 3b shows photographs of a typical construction switch.
Figure 3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a bypass terminal cable.
Figures 4a to 4c are photographs illustrating a single-phase branching method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n example of a COS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COS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7 is a conceptual diagram illustrating one embodiment of a bypass cable device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may not be limited by the terms. The terms are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될 수 있다.When it is sai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can be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upled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may also be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 may include the plural expression unless the context clearly indic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a feature, number, step, operation, component, part or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can be understood as not excluding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shape and size of elements in the drawing may be exaggerated for clearer explanation.

상술한 종래 바이패스 공법시 공사용개폐기를 사용하는 이유는 전기의 투입과 개방을 확인할 수 있는 램프가 달려 있으며 착오송전에 대한 위험이 적기 때문에 1상 분기송전 공법에서도 공사용개폐기를 사용하는 것이다. The reason why a construction switch is used in the conventional bypass method described above is that it has a lamp that can confirm the input and release of electricity, and there is less risk of erroneous transmission, so a construction switch is also used in the one-phase branch transmission method.

반대로, 공사현장에서 시공성을 용이하게 하고 기기고장으로 인한 사고 요인을 줄이며 경제성 또한 높이기 위해서는 임시 COS에 통전시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전기가 흐르고 있음 및/또는 가압되어 있음을 육안으로 확인하는 램프장치가 내장된 임시 COS를 적용한다면, 상술한 공사용개폐기를 생략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는 공사용개폐기 사용보다 안전하고 시공성이 높고 경제적인 임시 COS 공법을 제시하는 바, 구체적으로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및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를 제안한다.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facilitate constructability at a construction site,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equipment failure, and increase economic efficiency, if a temporary COS is applied that has a built-in lamp device that visually confirms that electricity is flowing and/or pressurized so that workers can check when the temporary COS is energized, the construction-use switch described above can be omitted. That is, the present invention proposes a temporary COS method that is safer, more constructable, and more economical than the use of a construction-use switch, and specifically proposes a bypass cable device and a COS device for the bypass method.

도 5는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진이다.FIG. 5 is a photograph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S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 6은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mbodiment of a COS device for a bypass method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시한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100)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에 체결되는 체결단(110); 바이패스 선로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는 스위치 프레임(120);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에 대한 회동 상태로서 상기 활선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의 전기적 연결을 on/off 시키는 홀더(140); 및 상기 홀더(140)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 표시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A COS device (100) for a bypass method with a city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connection member (110) that is connected to a live line using an insulated live line tool; a switch frame (120) that maintains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with a bypass line in an insulated state; a holder (140) that turns on/off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live line and the bypass line as a rotational state with respect to the switch frame (120); and a life-or-death indication unit (160) that indicates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140).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140)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과 체결 또는 탈락 가능한 형태를 가지며,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에는 상기 홀더(140)의 타단의 체결 상태를 유지시키는 홀더 체결부(149)가 구비된다.As shown, the holder (140) has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witch frame (120) and the other end is formed to be capable of being fastened or detached from the switch frame (120), and the switch frame (120) is provided with a holder fastening portion (149) that maintains the fastening state of the other end of the holder (140).

상기 홀더(140)에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핸들(144)이 구비되며, 구현에 따라, 상기 홀더 체결부(149)도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조작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체결단(110)도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절연된 활선 공구는 최근의 간접 활선 공법에 널리 사용되는 장비인 바, 별도 설명은 생략한다.The holder (140) is provided with a tool handle (144) so that it can be rotated using an insulated live-line tool,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holder fastening portion (149) can also be manipulated using an insulated live-line tool. Likewise, the fastening end (110) can also be connected to a live line using an insulated live-line tool. The insulated live-line tool used here is equipment widely used in recent indirect live-line methods, and therefore, a separ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사활 표시부(160)는, 상기 홀더(140)가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으로부터 탈락된 상태(즉, off 상태)에서도 플로팅 가압된 상기 홀더(140)에서 방출되는 전자기장으로 발전될 수 있으며, 아래에서 작업 중인 작업자가 관측이 용이한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요망된다.The above-mentioned life and death indicator (160) can be generated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from the floating pressurized holder (140) even when the holder (140) is detached from the switch frame (120) (i.e., in the off state), and it is desirable to place it in a position where it can be easily observed by a worker working below.

이러한 관점에서, 예컨대, 상기 사활 표시부(160)는, 상기 일단 근방에 상기 홀더(140)와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 사이 또는 상기 홀더(140)의 일부의 외면에 위치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홀더(140)와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의 아래쪽의 상기 바이패스 선로에 연결되는 부분(180)에 위치할 수도 있다.From this perspective, for example, the life or death indicator (160) may be located between the holder (140) and the switch frame (120) near the end, or on the outer surface of a portion of the holder (140). Alternatively, it may be located at a portion (180) connected to the bypass line at the bottom of the holder (140) and the switch frame (120).

구체적으로, 상기 사활 표시부(160)는,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추출하는 전자 유도 발전부; 및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life and death display unit (160) may include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that extracts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a light-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by the driving power.

상기 홀더(140)의 내부 공간에는 일반적인 COS와 마찬가지로 퓨즈가 내장될 수 있으며, 구현에 따라 상기 전자 유도 발전부를 구성하는 코일이 상기 퓨즈나 퓨즈 선로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 fuse may be built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holder (140) as in a typical COS, and depending on the implementation, the coil constituting the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may have a form that surrounds the fuse or fuse line.

상술한 구조에 따라, 본 발명이 제시하는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는, 상기 COS가 on 상태에서 상기 홀더(140)를 통해 배전 전류가 흐를 때 뿐만 아니라, 상기 홀더(140)가 상기 스위치 프레임(120)으로부터 탈락된 상태(즉, COS off 상태)에서, 상기 바이패스 선로가 다른 고압/초고압 활선에 연결되어, 상기 바이패스 선로와 상기 COS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도, 상기 사활 표시부(160)가 발광하는 점에서 종래기술들 중 on/off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COS와 구별되는 특징이 된다.According to the structure described above, the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suggest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being distinguished from COS devices that visually display on/off states among conventional technologies in that the life/death indicator (160) emits light not only when the distribution current flows through the holder (140) in the on state of the COS, but also when the holder (140) is removed from the switch frame (120) (i.e., in the COS off state), and the bypass line is connected to another high-voltage/ultra-high-voltage live line, so that the bypass line and the COS are in a floating state.

상기 전자 유도 발전부에 의한 플로팅 가압 감지 방안은, 플로팅 가압 상태를 효과적으로 인지하면서도, 상기 전자 유도 발전부 자체의 외부 절연 효과로, 통전된 상태에서의 대전류에 의해 사활 표시부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통전된 상태의 대전류에 의해 높은 전자기장이 가해져도, 상기 전자 유도 발전부 자체의 발전 용량 만큼만 전력이 생성되어, 상기 발광 소자의 대전류/대전압이 가해지지 않아 파손이 방지된다.The floating pressurization detection method using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effectively recognizes the floating pressurization state, and can prevent the life and death indicator from being damaged by a large current in an energized state due to the external insulation effect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itself. That is, even if a high electromagnetic field is applied by a large current in an energized state, power is generated only as much as the power generation capacity of the above-described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itself, so that a large current/large voltage is not applied to the light-emitting element, thereby preventing damage.

도 7은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FIG. 7 illustrates one embodiment of a bypass cable device with a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도시한 사활 표시 기능의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는,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1 활선(LL)에 연결되는 제1 체결단;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2 활선에 연결되는 제2 체결단; 상기 제1 활선(LL)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바이패스 배전 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선로부; 상기 제1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1 COS(100-1); 상기 제1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사활 표시부(160-1); 상기 제2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2 COS(100-2); 및 상기 제2 COS(100-2)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사활 표시부(160-2)를 포함할 수 있다. A bypass cable device having an illustrated life-or-death indication function may include: a first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first live line (LL)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second connection end connected to a second live line for an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bypass line section forming a bypass distribution path between the first live line (LL) and the second live line; a first COS (100-1) electrically turning on/off a rotational state of a holder while maintain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first connection end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 first life-or-death indication section (160-1) for indic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first COS; a second COS (100-2) electrically turning on/off a rotational state of the holder while maintaining a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connection end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nd a second life-or-death indication section (160-2) for indicating a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100-2).

상기 제1 사활 표시부(160-1)는 상기 제1 COS(100-1)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확보하여 발광되고, 상기 제2 사활 표시부(160-2)는 상기 제2 COS(100-2)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확보하여 발광된다.The first life and death indicator (160-1) secures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when the first COS (100-1) is in a floating and pressurized state and emits light, and the second life and death indicator (160-2) secures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when the second COS (100-2) is in a floating and pressurized state and emits light.

또한, 상기 제1 COS(100-1)의 홀더 및 상기 제2 COS(100-2)의 홀더는, 별도의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핸들을 구비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holder of the first COS (100-1) and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100-2) may be provided with a tool handle so that they can be rotated using a separate insulated live tool.

도시한 구현의 경우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는,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직선 접속함(400)과 상기 제1 COS(100-1)를 연결하는 제1 엘보(301); 및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직선 접속함(400)과 상기 제2 COS(100-2)를 연결하는 제2 엘보(302)를 포함한다.In the case of the urban implementation, the bypass line section includes a first elbow (301) connecting the straight connection box (400)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nd the first COS (100-1); and a second elbow (302) connecting the straight connection box (400)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nd the second COS (100-2).

추가적으로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는, 상기 제1 활선(LL)를 위한 전주의 지지 기구상에서 상기 제1 엘보(301)의 선로와 상기 제1 COS(100-1)의 선로를 체결하는 제1 바이패스 클램프(201); 및 상기 제2 활선를 위한 전주의 지지 기구상에서 상기 제2 엘보(302)의 선로와 상기 제2 COS(100-2)의 선로를 체결하는 제2 바이패스 클램프(2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ypass line section may further include a first bypass clamp (201) for connecting the line of the first elbow (301) and the line of the first COS (100-1) on a support mechanism of a pole for the first live line (LL); and a second bypass clamp (202) for connecting the line of the second elbow (302) and the line of the second COS (100-2) on a support mechanism of a pole for the second live line.

3상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공법 구간에서 1상 분기에 대한 임시송전을 위해서는 전기가 흐르는 특고압선에서 1상 특고압선으로 바이패스케이블선의 연결이 필요한 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임시 COS 장치로 공사용개폐기를 대체하여 분기 바이패스 케이블 송전을 시행할 수 있다. 즉, 도 7에 도시한 공법은, 3상 특고압전선 → 임시COS → 바이패스케이블 → 직선접속함 → 바이패스케이블 → 1상 특고압전선으로의 통전경로를 가지는 1상 바이패스 케이블 분기송전 공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In order to temporarily transmit power for a 1-phase branch in a 3-phas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construction section, it is necessary to connect a bypass cable line from a live high-voltage line to a 1-phase high-voltage line. As shown in Fig. 7, a temporary COS device can be used to replace the construction switch to perform branch bypass cable transmission. That is, the construction method shown in Fig. 7 can be applied as a 1-phase bypass cable branch transmission method having a current transmission path of 3-phase high-voltage line → temporary COS → bypass cable → straight connection box → bypass cable → 1-phase high-voltage line.

이때, 작업자에게 통전중 또는 플로팅 가압 중을 알리는 경고의 램프가 점등되며 작업자는 해당 선로의 통전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전체 바이패스 통전 경로 중 한쪽만 연결된 상태인 플로팅 가압된 경우에도, 다른 쪽에서 램프가 점등되어 가압된 위험한 상태임을 인지할 수 있다.At this time, a warning lamp that informs the worker of the current being supplied or floating pressurized is lit, and the worker can visually check the current status of the relevant line. In particular, even in the case of floating pressurized state where only one side of the entire bypass current path is connected, the lamp on the other side can be lit to recognize that it is in a pressurized and dangerous state.

불필요한 공사용개폐기의 사용을 줄여 안전 사고의 위험요인을 사전에 제거하고 보다 저렴한 임시COS를 통해 경제적 시공이 가능하며 시공시간을 대폭 감소시켜 고객불편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 are advantages in that it reduces the use of unnecessary construction switches, eliminates risk factors for safety accidents in advance, enables economical construction through cheaper temporary COS, and significantly reduces construction time, preventing customer inconvenience.

또한, 1상 특고압선로 공사에서도 공사용개폐기를 별도로 사용할 필요가 없어 공사가 안전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진다.In addition, there is no need to use a separate construction switch when constructing a single-phase extra-high voltage line, so construction is completed safely and quickly.

다음, 본 발명을 통한 임시 COS활용 무정전 바이패스케이블 1상 분기 방법 및 구성을 예시하고, 안전상의 이점을 구체적으로 예시하겠다.Next, the method and configuration for branching a single-phas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using a temporary COS through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exemplified, and the safety advantages will be specifically exemplified.

먼저, 직선접속함(400) 및 제1/제2 엘보(301, 302)의 형태로 1상 바이패스 케이블을 설치한다.(3상 무정전바이패스케이블에서도 동일함) First, install a 1-phase bypass cable in the form of a straight connection box (400) and 1st/2nd elbows (301, 302). (The same applies to a 3-phase uninterruptible bypass cable.)

다음, 사활구분 램프 내장형 전원측 임시 COS(100-1)를 전원측 선로에 설치하고, 부하측 임시 COS(100-2)를 부하측 선로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전원측 임시 COS(100-1) 및 부하측 임시 COS(100-2)는 off 상태로 설치된다.Next, a power-side temporary COS (100-1) with a built-in life-or-death lamp is installed on the power-side line, and a load-side temporary COS (100-2) is installed on the load-side line. At this time, the power-side temporary COS (100-1) and the load-side temporary COS (100-2) are installed in the off state.

다음, 전원측 바이패스클램프(201)를 체결하고, 부하측 바이패스클램프(202)를 체결한다.Next, fasten the power side bypass clamp (201) and fasten the load side bypass clamp (202).

바이패스 통전 경로에 대한 모든 체결이 완료되면, 각 임시 COS의 홀더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전원측 임시 COS(100-1)를 투입하고, 부하측 임시 COS(100-2)를 투입한다. 이때, 전원측 임시 COS(100-1) 및 부하측 임시 COS(100-2) 중 하나가 먼저 투입되는 순간, 2 COS에 위치한 사활구분 램프로서, 제1 사활 표시부(160-1) 및 제2 사활 표시부(160-2)는 동시에 점등된다.When all connections for the bypass current path are completed, the power-side temporary COS (100-1) is connected by connecting the holders of each temporary COS, and the load-side temporary COS (100-2) is connected. At this time, at the moment when one of the power-side temporary COS (100-1) and the load-side temporary COS (100-2) is connected first, the first life-or-death indicator (160-1) and the second life-or-death indicator (160-2) located at the 2 COS are simultaneously lit.

이후, 작업자는 1상분기 전원측 절분하여, 필요한 조치/복구 작업을 개시한다.Afterwards, the worker disconnects the power supply to Phase 1 and initiates any necessary actions/repair work.

상술한 과정에서 작업자가 실수로 2 COS들 중 하나를 on 상태로 전원/부하측 선로에 설치하거나, 2 COS들 중 하나를 투입하면서 반대편에 통보를 누락하더라도, 2 COS들 모두에서 램프가 점등되어 작업자가 이를 인지할 수 있어,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In the above-described process, even if the worker accidentally installs one of the two COSs on the power/load side line while turning it on, or fails to notify the other side while turning on one of the two COSs, the lamps on both COSs will light up, allowing the worker to recognize this,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비록, 규정상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도록 되어 있지만, 바이패스 통전 경로가 가압되지 않은 사선 상태임을 인지한 작업자는 안전에 소홀하기 쉬우며, 예상치 않게 바이패스 통전 경로가 가압된 경우, 이러한 안전 소홀 작업은 큰 사고를 발생시킬 수 있다.Although regulations require the use of insulated live-line tools, workers who are aware that the bypass path is in an unpressurized diagonal state can easily neglect safety, and if the bypass path is unexpectedly energized, this negligence can result in a serious accident.

반면, 본 발명의 경우, 바이패스 통전 경로가 플로팅 가압된 경우에는 양쪽에서 모두 사활 표시부가 점등되어 가압(또는 활선)임을 통보하여, 공사용개폐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이러한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bypass current path is pressurized by floating, the life and death indicators on both sides light up to notify that it is pressurized (or live), so that such accidents can be prevented without using a construction switch.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the technical idea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an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exemplary in all respects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 concepts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110 : 체결단
120 : 스위치 프레임 140 : 홀더
144 : 공구 핸들 160 : 사활 표시부
149 : 홀더 체결부 400 : 직선 접속함
301 : 제1 엘보 302 : 제2 엘보
201 : 제1 바이패스 클램프 202 : 제2 바이패스 클램프
100: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110: Fastening end
120 : Switch Frame 140 : Holder
144: Tool handle 160: Life and death indicator
149: Holder fastening part 400: Straight connection box
301: 1st elbow 302: 2nd elbow
201: 1st bypass clamp 202: 2nd bypass clamp

Claims (10)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활선에 체결되는 체결단;
바이패스 선로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절연된 상태로 유지하는 스위치 프레임;
상기 스위치 프레임에 대한 회동 상태로서 상기 활선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의 전기적 연결을 on/off 시키는 홀더; 및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사활 표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사활 표시부는,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추출하는 전자 유도 발전부; 및
상기 구동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 소자
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A terminal that is connected to a live wire using an insulated live wire tool;
A switch frame which maintains an insulated mechanical connection to the bypass line;
A holder for turning on/off the electrical connection of the live line and the bypass line in a rotating state with respect to the switch frame; and
A life indicator that indicates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The life and death indicator above is,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generator extracting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A light-emitting element that emits light by the above driving power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일단이 상기 스위치 프레임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타단이 상기 스위치 프레임과 체결 또는 탈락 가능한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holder,
A COS device for a bypass method, wherein one end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switch frame and the other end is capable of being connected to or detached from the switch fram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더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핸들
을 포함하는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 holder,
Tool handle to enable rotation using insulated live tools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including.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활 표시부는,
상기 일단 근방에 상기 홀더와 상기 스위치 프레임 사이 또는 상기 홀더의 일부의 외면에 위치한 바이패스 공법용 COS 장치.
In the second paragraph,
The life and death indicator above is,
A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located between the holder and the switch frame or on the outer surface of a part of the holder in the vicinity of the above-mentioned stage.
삭제delete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1 활선에 연결되는 제1 체결단;
무정전 바이패스 공법을 위한 제2 활선에 연결되는 제2 체결단;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바이패스 배전 경로를 형성하는 바이패스 선로부;
상기 제1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1 COS;
상기 제1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1 사활 표시부;
상기 제2 체결단과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의 기계적 연결 상태를 유지하면서, 홀더의 회동 상태로서 전기적으로 on/off 시키는 제2 COS; 및
상기 제2 COS의 상기 홀더의 가압된 상태를 표시하는 제2 사활 표시부
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A first terminal connected to the first live line for the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second terminal connected to the second live line for the uninterruptible bypass method;
A bypass line section forming a bypass distribution path between the first live line and the second live line;
A first COS that electrically turns on/off the rotational state of the holder while maintain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state of the first connecting section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 first life or death indicator indicating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first COS;
A second COS that electrically turns on/off the holder in a rotational state while maintain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second connecting section and the bypass line section; and
A second life and death indicator indicating the pressurized state of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A bypass cable device including: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활 표시부는, 상기 제1 COS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확보하여 발광되고,
상기 제2 사활 표시부는, 상기 제2 COS가 플로팅 가압된 상태에서의 방출되는 전자계에 의해 구동 전원을 확보하여 발광되는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first life and death indicator portion is driven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when the first COS is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emits light.
The above second life-or-death indicator is a bypass cable device that secures driving power by an electromagnetic field emitted when the second COS is in a floating pressurized state and emits light.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COS의 홀더 및 상기 제2 COS의 홀더는,
절연된 활선 공구를 이용하여 회동시킬 수 있도록 공구 핸들을 구비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In Article 6,
The holder of the first COS and the holder of the second COS,
A bypass cable device having a tool handle so that it can be rotated using an insulated live tool.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는,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직선 접속함과 상기 제1 COS를 연결하는 제1 엘보; 및
상기 제1 활선과 상기 제2 활선 사이의 직선 접속함과 상기 제2 COS를 연결하는 제2 엘보
를 포함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In Article 6,
The above bypass line section,
A first elbow connecting the first COS and the straight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ive wire and the second live wire; and
A straight connection between the first live wire and the second live wire and a second elbow connecting the second COS
A bypass cable device including: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선로부는,
상기 제1 활선를 위한 전주의 지지 기구상에서 상기 제1 엘보의 선로와 상기 제1 COS의 선로를 체결하는 제1 바이패스 클램프; 및
상기 제2 활선를 위한 전주의 지지 기구상에서 상기 제2 엘보의 선로와 상기 제2 COS의 선로를 체결하는 제2 바이패스 클램프
를 더 포함하는 바이패스 케이블 장치.
In Article 9,
The above bypass line section,
A first bypass clamp for connecting the line of the first elbow and the line of the first COS on the supporting mechanism of the electric pole for the first live line; and
A second bypass clamp for connecting the line of the second elbow and the line of the second COS on the supporting mechanism of the electric pole for the second live line
A bypass cable device further comprising:
KR1020220087772A 2022-07-15 2022-07-1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Active KR1027246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72A KR102724649B1 (en) 2022-07-15 2022-07-1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KR1020240147762A KR20240158207A (en) 2022-07-15 2024-10-2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with Rotatable Holder
KR1020240148604A KR20240158213A (en) 2022-07-15 2024-10-28 Bypass Cable Device with Floating Display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7772A KR102724649B1 (en) 2022-07-15 2022-07-1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47762A Division KR20240158207A (en) 2022-07-15 2024-10-2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with Rotatable Holder
KR1020240148604A Division KR20240158213A (en) 2022-07-15 2024-10-28 Bypass Cable Device with Floating Display Func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0331A KR20240010331A (en) 2024-01-23
KR102724649B1 true KR102724649B1 (en) 2024-11-01

Family

ID=8971376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7772A Active KR102724649B1 (en) 2022-07-15 2022-07-1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KR1020240147762A Pending KR20240158207A (en) 2022-07-15 2024-10-2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with Rotatable Holder
KR1020240148604A Pending KR20240158213A (en) 2022-07-15 2024-10-28 Bypass Cable Device with Floating Display Function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147762A Pending KR20240158207A (en) 2022-07-15 2024-10-25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with Rotatable Holder
KR1020240148604A Pending KR20240158213A (en) 2022-07-15 2024-10-28 Bypass Cable Device with Floating Display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724649B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67B1 (en) 2016-11-09 2018-04-20 제룡전기 주식회사 Replacrment method of cut-out switch using bypass means in state of hot lin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4948A (en) * 2008-11-17 2010-05-26 (주) 진흥이엔지 By-pass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ement of pole-top transformer (1phase/3phase) using 1phase portable transformer
KR20180042028A (en) * 2016-10-17 2018-04-25 한국전력공사 Jumper cable for changing cos
KR20180116848A (en) * 2017-04-18 2018-10-26 한국전력공사 Wire changing device and method of wire changing by using same
KR102247153B1 (en) * 2019-10-10 2021-05-04 한국전력공사 Live wire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753644B1 (en) 2020-09-03 2025-01-14 한국전력공사 Cut out switching apparatus for line which can detect trip remotely and Power distribution system hav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0867B1 (en) 2016-11-09 2018-04-20 제룡전기 주식회사 Replacrment method of cut-out switch using bypass means in state of hot l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8213A (en) 2024-11-04
KR20240158207A (en) 2024-11-04
KR20240010331A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00054948A (en) By-pass construction method for replacement of pole-top transformer (1phase/3phase) using 1phase portable transformer
KR100769583B1 (en) Ground Transformer Replacement Method for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s by Uninterruptible Construction Method
KR100968588B1 (en) Uninterruptible bypass device for repairing underground power distribution equipment and bypass method using the same
US7298055B2 (en) Auxiliary power supply for a wind turbine
KR102724649B1 (en) COS Device for Bypass Method and Bypass Cable Device with Life and Death Display Function
JP5106579B2 (en) Terminal block device
KR101123272B1 (en) Temporary Transformer Device and Transformer Changing Method Using the Same
KR20080041785A (en) Method of replacing ground transformer on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with ground transformer equipped with load switch by uninterruptible method
KR102598786B1 (en) Uninterruptible power distribution work method for low voltage line
KR20090024035A (en) Uninterruptible replacement method for columnar transformer using construction transformer
CN102064498B (en) New line bridging method and special bridging line
JP4808204B2 (en) Power external input / output device
KR20100005384U (en) Portable Transformer for one phase Equipped with Solid Dielectric Switchgear
KR20200135901A (en) Uninterrupted Ground Transformer Replacement Method
KR100757730B1 (en) Uninterrupted construction of underground ships
JP2009177947A (en) Emergency connection circuit and connection device used for the same
CN113328374A (en) Earth potential all-terrain on-load operation method
KR101499420B1 (en) Temporary power supply through indirect methods for live
CN113851991A (en) Method for replacing box type transformer with low-voltage side having short-time power failure
KR200259107Y1 (en) Transformer for moving
CN206697813U (en) The supporting bypass equipment of fuse switch on 10kV posts
KR19990064561A (en) Transformer system
KR102697226B1 (en) Temporary supporting device for underground cable of ground switching and temporary supporting method
KR102791032B1 (en) Live wire interlock device
KR100434152B1 (en) Movable transformer of above groun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1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9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