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4237B1 - 소화기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소화기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4237B1
KR102724237B1 KR1020220020787A KR20220020787A KR102724237B1 KR 102724237 B1 KR102724237 B1 KR 102724237B1 KR 1020220020787 A KR1020220020787 A KR 1020220020787A KR 20220020787 A KR20220020787 A KR 20220020787A KR 102724237 B1 KR102724237 B1 KR 1027242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inguishing agent
fire extinguisher
gas
powder
extinguish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07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23707A (ko
Inventor
김도경
Original Assignee
김도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경 filed Critical 김도경
Priority to KR10202200207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724237B1/ko
Publication of KR202301237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237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42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4237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DCHEMICAL MEANS FOR EXTINGUISHING FIRES OR FOR COMBATING OR PROTECTING AGAINST HARMFUL CHEMICAL AGENTS; CHEMICAL MATERIALS FOR USE IN BREATHING APPARATUS
    • A62D1/00Fire-extinguish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in extinguishing f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2101/00Type of solid waste
    • B09B2101/02Gases or liquids enclosed in discarded articles, e.g. aerosol cans or cooling systems of refrig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거된 폐소화기로부터 잔류하는 분말 및 가스 소화제를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재생하기 위해 수거된 폐소화기의 핸들부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는 소화기캡 제거부와 수거된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는 분말소화기 재생부 및 수거된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소화기 재생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소화기 재생장치{FIRE EXTINUISHER REGENERATION DEVICE}
본 발명은 소화기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수거된 폐소화기로부터 잔류하는 분말 및 가스 소화제를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재생하기 위한 소화기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소화기(fire extinguisher)는 연소물질을 냉각시키고 화염으로부터 산소를 차단하거나, 화염을 일으키는 화학반응을 방해하는 물질을 사용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휴대용 또는 이동식 기구이다.
소화기는 용기에 담기는 소화약제의 종류에 따라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소화기, 할론소화기 등으로 구분되는데, 이들 중에서 분말소화기가 보편화되어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분말소화기는 화염을 향해 미세 분말을 분사하여 화재를 진압하는 기구로서,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또는 인산염류 등의 분말이 담기는 본체 용기와, 본체 용기의 내부 또는 외부 측면에서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가 채워진 가압 용기가 부착되어 만들어진다.
한편, 분말소화기는 화재 진압을 위해 사용이 이루어진 후 재사용을 위해 분말소화기 용기의 내부에 잔류된 분말소화제를 수거하는 작업이 실시된다. 또한, 장시간의 보관으로 인해 분말소화기 용기 내에서 분말이 괴상화되는 경우, 분말소화제를 회수하는 작업이 실시된다.
종래에는 분말소화기 용기에 채워지거나 잔류된 분말소화제를 회수하는 작업이 수작업으로 이루어졌다. 즉, 분말소화기의 밸브부 또는 캡부를 분리시킨 분말소화기 용기를 작업자가 들고, 분말소화기 용기의 일단에 형성되는 개구(분말 투입구)에 분말 수거용 비닐봉투를 감싸고, 분말소화기 용기를 타격하거나 또는 흔들어 용기 내의분말소화제를 배출시키는 작업이 이루어졌다.
그런데, 종래의 방법에 의하면 분말소화제를 수거하는 과정에서 분말이 비닐봉투의 외부로 흘러나와 작업장 내로 비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비산되는 분말은 작업장 내에 구비되는 각종 장치에 부착되어 장치를 손상시킬 수 있어 각종 장치의 관리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장 내에 비산된 분말소화제가 작업장 환경을 오염시키고, 작업자의 호흡기를 손상시키는 등 인체에 유해한 요인을 야기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또 다른 분말소화제 회수 방법으로 분말소화기의 밸브부 또는 캡부를 분리시킨 분말소화기 용기를 뒤집어 진동을 가해 소화기 용기 내의 분말소화제를 배출시는 작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장치가 고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분말소화제 회수 방법 역시 분말소화기의 밸브부 또는 캡부를 분리시켜야 하며, 밸브부 또는 캡부 분리 과정에서 이산화탄소 가스 또는 질소 가스가 채워진 가압 용기를 손상시키는 경우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따라서, 수거된 폐소화기로부터 분말소화제를 보다 안전하게 회수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회수된 분말소화제들을 재사용 가능하게 건조 및 선별할 수 있도록 하는 소화기용 분말소화제 회수 및 재생 장치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09-0115214호(발명의 명칭 : 소화기용 분말 자동 수거장치, 출원일자 : 2009년 11월 26일)
본 발명의 목적은 수거된 폐소화기로부터 잔류하는 분말 소화제 뿐만 아니라 가스 소화제까지 용이하게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게 재생할 수 있는 소화기 재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거된 폐소화기의 핸들부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는 소화기캡 제거부(10)와 수거된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는 분말소화기 재생부(20) 및 수거된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소화기 재생부(3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일면에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2)과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3)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상기 지지판(11)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4)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말소화기 재생부(20)는 일측으로 폐소화기의 용기가 삽입되는 경우,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는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과 상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로부터 회수된 분말소화제를 전달받아 분말소화제로부터 이물을 선별하는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가스소화기 재생부(30)는 폐소화기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하는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로부터 회수된 가스소화제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 및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상기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로부터 회수된 가스소화제가 상기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가스소화제를 액화 상태로 변환시키는 온도조절유닛(33)을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상기 소화기캡 제거부(10)을 통해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의 폐소화기 입구가 삽입되어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 및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는 단부가 상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로부터 분말소화제를 흡입한 이후, 다시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은 수거된 폐소화기에서 핸들부의 노즐이 삽입되어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스소화제 흡입구(311)를 더 포함한다.
일단이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수되는 가스소화제의 이동을 유도하는 흡입유도관(321)이 더 포함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33)은 상기 흡입유도관(321)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가스소화제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수거한 폐소화기로부터 용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 및 가스 소화제가 외부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고, 신속하고 간편하게 자동 및 반자동으로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재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에서 소화기캡 제거부(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소화기캡 제거부(10)에서 지지프레임(12)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소화기캡 제거부(1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에서 분말소화기 재생부(2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분말소화기 재생부(20)에서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분말소화기 재생부(20)에서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가스소화기 재생부(3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가스소화기 재생부(3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에서 소화기캡 제거부(10)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소화기캡 제거부(10)에서 지지프레임(12)의 이동 상태를 도시한 동작상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소화기캡 제거부(10)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에서 분말소화기 재생부(20)의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분말소화기 재생부(20)에서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분말소화기 재생부(20)에서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가스소화기 재생부(30)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화기 재생장치의 가스소화기 재생부(30)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소화기 재생장치를 통상의 기술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은 소화기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수거된 폐소화기로부터 잔류하는 분말 및 가스 소화제를 회수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재생할 수 있도록 소화기 캡 제거부(10), 분말소화기 재생부(20), 가스소화기 재생부(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수거된 폐소화기로부터 부착된 핸들부를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수거된 폐소화기에서 분말 또는/ 및 가스가 내장되는 용기에 결합되는 손잡이와 호스 등을 구비한 핸들부를 용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지지판(11), 지지프레임(12), 이동부재(13), 회전부재(14) 및 테이블(15)을 포함한다.
지지판(11)은 일면에 폐소화기의 핸들부가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지지판(11)은 일정 크기를 갖는 플레이트(Plate)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11)은 일 예로, 사각형의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지지판(11)의 일면에 구비되어, 지지판(11)으로 폐소화기의 핸들부가 접촉되는 경우, 핸들부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다양한 각도로 절곡된 형상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일정 거리 이격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정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지지판(11)의 일면으로부터 특정 각도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 있다. 지지프레임(12)은 지지판(11)의 일면과 수직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지지프레임(12) 사이에 위치하도록 폐소화기의 핸들부가 지지판(11)의 일면에 접촉되는 경우, 지지프레임(12)의 각각은 이동하여 페소화기의 핸들부의 양측을 지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한 쌍의 지지프레임(12)에는 각각의 지지프레임(12)이 이동될 수 있도록 이동부재(13)가 결합될 수 있다.
이동부재(13)는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어 지지프레임(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13)는 일측이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고, 일측의 길이가 조정됨에 따라 지지프레임(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동부재(13)는 일단이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는 실린더 로드(131)와 실린더 로드(131)의 타단과 결합되며 실린더 로드(131) 일단의 길이를 조정하는 실린더 유닛(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린더 로드(131)는 타단이 실린더 유닛(132)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으며, 실린더 유닛(132)의 축방향으로 일단이 이동할 수 있다. 이동부재(13)는 일 예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재(13)는 일측이 지지프레임(12)과 결합된 상태로, 타측이 지지판(11)상에 구비되며, 실린더 유닛(132)을 통해 실린더 로드(131)를 이동시킴에 따라 이와 함께 지지프레임(12)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부재(13)는 지지프레임(12)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와 대응되어 각각의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며, 한 쌍의 지지프레임(12) 사이에 이격거리가 짧아지거나 길어지도록 각각의 지지프레임(12)을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회전부재(14)는 지지판(11)에 결합되어 지지판(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14)는 일측이 지지판(11)의 타면과 결합되며,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지지판(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부재(14)는 일 예로, “회전모터”일 수 있다. 회전부재(14)는 일측의 회전축이 지지판(11)의 타면에 결합됨에 따라 회전축을 중심으로 지지판(11)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회전부재(14)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2)에 의해 폐소화기의 핸들부가 지지되고, 사용자에 의해 용기 부분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하여 폐소화기의 핸들부를 용기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것이다.
테이블(15)은 상부로 지지판(11), 지지프레임(12), 이동부재(13) 및 회전부재(14)가 배치되며, 지지판(11), 지지프레임(12), 이동부재(13) 및 회전부재(14)를 지지할 수 있다. 테이블(15)은 상부가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도록 각 모서리에 다리가 형성될 수 있다. 테이블(15)의 상면으로는 회전부재(14)의 타측이 결합되며, 회전부재(14)가 테이블(15)의 상부에 배치되어 테이블(15)로부터 용이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지지판(11)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수거된 폐소화기에서 용기로부터 핸들부를 분리시키기 위해, 핸들부가 지지프레임(12)을 통해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부재(14)의 회전에 따라 핸들부를 회전시킴으로써, 용기로부터 핸들부를 용이하게 분시킬 수 있는 것이다.
분말소화기 재생부(20)는 폐소화기에서 용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여 저장하고, 회수한 분말소화제에서 이물을 선별하여 재사용 가능하게 재생할 수 있다. 여기서, 폐소화기는 탄산수소나트륨, 탄산수소칼륨 또는 인산염류 등으로 이루어진 분말을 소화제로 하는 소화기 일 수 있다. 이때, 분말소화기 재생부(20)는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 및 재생분말소화제 저장유닛(23)을 포함한다.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며, 일측으로 폐소화기의 용기가 삽입되면 폐소화기의 용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다.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하부가 하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내부로 분말소화제가 회수된 경우, 분말소화제가 경사면을 따라 하측 방향으로 모아질 수 있다.
여기서,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일측으로는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는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되, 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는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과 연통되며, 단부로는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와 나란한 방향으로 폐소화기의 용기 입구가 삽입될 수 있다.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를 통해 핸들부가 제거된 폐소화기의 용기 입구가 삽입되면, 그 용기 내로 압축공기를 불어넣거나 용기에서 내부로 흡입할 수 있다.
이때,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타측으로는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가 형성되어, 메인분발소화제 흡입구(211)를 통해 폐소화기의 용기 내부의 분말소화제를 흡입한 이후에도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용이하게 회수할 수 있다.
여기서,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는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타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는 중공의 원상으로 형성되되, 단부가 테이퍼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는 단부가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하게 절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에 폐소화기의 용기 입구가 삽입되는 경우, 용기 입구가 하측을 향하며 폐소화기의 용기가 수직한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소화기캡 제거부(10)을 통해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에서 폐소화기의 용기 입구가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에 삽입되고,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를 통해 폐소화기의 용기 내의 분말소화제를 회수한 이후에도 폐소화기의 용기 내에 분말소화제가 잔류하는 경우, 폐소화기의 용기를 다시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에 삽입하여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모두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은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을 통해 회수된 분말소화제에서 이물질을 선별할 수 있다.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은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을 통해 회수된 분말소화제를 이송 받아 분말소화제의 이물질을 선별하고 선별한 이물질과, 이물질이 선별된 분말소화제를 각각 분리하여 별도로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은 집진탱크(221), 집진유도관(222), 이송스크류(223), 거름판(224), 진동부재(225), 분말소화제 회수부재(226), 이물 회수부재(227)를 포함한다.
집진탱크(221)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과 연결되어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로부터 분말소화제가 전달되는 경우, 내부에 분말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집진탱크(221)는 집진유도관(222)을 통해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으로부터 분말소화제를 전달받을 수 있다.
집진유도관(222)은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과 집진탱크(221)의 사이를 연결하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로부터 분말소화제를 집진탱크(221)로 이송시킬 수 있다. 집진유도관(222)은 중공의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일정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집진유도관(222)은 일단이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하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집집탱크(221)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집집유도관(222)의 내부에는 이송스크류(223)가 결합되며, 회전하여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하부로 이동한 분말소화제를 집진탱크(221)로 이송시킬 수 있다. 여기서, 이송스크류(223)는 축을 중심으로 외주연에 나선형의 스크루날개를 형성함에 따라, 회전 시, 스크류날개를 통해 분말소화제 이송될 수 있다.
거름판(224)은 집진탱크(221)의 내부에 배치되어 상부로 분말소화제가 전달되는 경우, 분말소화제로부터 이물을 걸러낼 수 있다. 거름판(224)은 메쉬(Mesh) 형태로 형성되어 다수개의 메쉬 개구를 가질 수 있다. 거름판(224)은 집집유도관(222)을 통해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으로부터 상부로 분말소화제가 전달되는 경우, 상부로 이물은 남기고 메쉬 개구를 통해 하부로 분말소화제만을 걸러낼 수 있다.
진동부재(225)는 집진탱크(221)의 하부에 결합되어 집진탱크(221)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진동부재(225)는 일 예로, “진동모터”일 수 있다. 진동부재(225)는 거름판(224)의 상부로 분말소화제가 전달되는 경우, 집진탱크(221)로 진동을 전달하며, 그 진동을 통해 거름판(224)이 진동하여 분말소화제를 보다 효율적으로 걸러질 수 있다.
분말소화제 회수부재(226)는 집진탱크(221)의 일측에 결합되어, 거름판(224)을 통해 걸러진 분말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다. 분말소화제 회수부재(226)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집진탱크(221)로부터 회수한 분말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다. 분말소화제 회수부재(226)는 거름판(224)을 통해 걸러져 집진탱크(221)의 하부에 위치한 분말소화제를 내부로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다.
이물 회수부재(227)는 집진탱크(221)의 타측에 결합되어, 거름판(224)을 통해 걸러진 이물을 회수할 수 있다. 이물 회수부재(227)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형성하여, 집진탱크(221)로부터 회수한 이물을 저장할 수 있다. 이물 회수부재(227)는 거름판(224)을 통해 걸러져 거름판(224)의 상부에 잔류하는 이물을 내부로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말소화기 재생부(20)는 소화기 캡 제거부(10)를 통해 핸들부가 제거된 폐소화기의 용기가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에 삽입되면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고, 회수된 분말소화제를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을 통해 분말소화제로부터의 이물을 선별하여 이물과 분말소화제를 별도로 분리 저장하는 방식으로 재사용 가능하게 분말소화제를 재생하는 공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가스소화기 재생부(30)는 폐소화기에서 용기 내에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폐소화기는 액화 이산화탄소를 소화제로 하는 소화기일 수 있다. 이때,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 및 온도조절유닛(33)을 포함한다.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며, 일측으로 폐소화기의 내에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다.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은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갖는 함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의 일측으로는 가스소화제 흡입구(311)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가스소화제 흡입구(311)는 중공의 원기둥 형성될 수 있다. 가스소화제 흡입구(311)는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연통되며, 단부로는 폐소화기에서 핸들부의 노즐이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은 가스소화제 흡입구(311)로부터 폐소화기에서 핸들부의 노즐이 삽입된 상태로 핸들부를 조작하여 가스소화제를 분사하는 경우, 폐소화기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소화제를 내부로 흡입하여 회수할 수 있는 것이다.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는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의 일측에 결합되어,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을 통해 회수되는 가스소화제를 전달받아 저장할 수 있다.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는 내부에 일정 공간을 가지며, 상부에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연결되도록 흡입유도관(321)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흡입유도관(321)의 일단은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은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흡입유도관(321)은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을 통해 회수한 가스소화제가 가스소화제 집지탱크(32)로 전달되도록 가스소화제의 이동을 유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는 흡입유도관(321)을 경유하여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로부터 회수된 가스소화제를 흡입하여 전달받는 경우, 내부에 그 가스소화제를 저장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33)은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사이에 배치되어,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로부터 가스소화제 집진탱크로(32)로 전달되는 가스소화제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33)은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흡입유도관(321)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33)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경우, 흡입유도관(321)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온도조절유닛(33)은 히트 싱크(Heat Sink), 칠러(Chiller)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온도조절유닛(33)은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을 통해 폐소화기로부터 가스소화제를 회수하고, 회수된 가스소화제가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로 전달되는 경우, 가스소화제의 온도를 낮춰 액화 상태를 변환시킴으로써,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내부에 가스소화제가 저장되는 경우 액솨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가스소화기 재생부(30)는 폐소화기의 노즐이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에 삽입된 상태에서 폐소화기의 핸들부를 조작하여 가스소화제가 분사되도록 하는 경우, 분사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하고, 회수된 가스소화제를 저장하는 방식으로 재사용 가능하게 가스소화제를 재생하는 공정을 자동 또는 반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소화기 캡 제거부
20 : 분말소화기 재생부
30 : 가스소화기 재생부

Claims (8)

  1. 수거된 폐소화기의 핸들부를 회전시켜 분리할 수 있는 소화기캡 제거부(10);와
    수거된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도록, 일측으로 폐소화기의 용기가 삽입되는 경우,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는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과 상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로부터 회수된 분말소화제를 전달받아 분말소화제로부터 이물을 선별하는 분말소화제 선별유닛(22)으로 이루어진 분말소화기 재생부(20); 및
    수거된 폐소화기 내에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할 수 있는 가스소화기 재생부(30);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은 상기 소화기캡 제거부(10)을 통해 핸들부가 제거된 상태의 폐소화기 입구가 삽입되어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기 위해, 일측 및 타측 각각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 및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잔류분말소화제 흡입구(212)는 단부가 상기 분말소화제 흡입유닛(21)의 상부를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되며, 상기 메인분말소화제 흡입구(211)로부터 분말소화제를 흡입한 이후, 다시 잔류하는 분말소화제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지지판(11);과
    상기 지지판(11)의 일면에 상호 대향하는 상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지지프레임(12);과
    일측은 상기 지지프레임(12)에 결합되고, 타측은 상기 지지판(11)의 일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재생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화기캡 제거부(10)는 상기 지지판(11)의 타면에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11)을 회전시키는 회전부재(14)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재생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화기 재생부(30)는,
    폐소화기로부터 분사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하는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로부터 회수된 가스소화제를 전달받아 저장하는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 및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과 상기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로부터 회수된 가스소화제가 상기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가스소화제를 액화 상태로 변환시키는 온도조절유닛(3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재생장치.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은,
    수거된 폐소화기에서 핸들부의 노즐이 삽입되어 잔류하는 가스소화제를 회수하기 위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가스소화제 흡입구(31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화기 재생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일단이 가스소화제 흡입유닛(31)의 타측에 결합되고, 타단이 가스소화제 집진탱크(32)의 상부에 결합되어 회수되는 가스소화제의 이동을 유도하는 흡입유도관(321)이 더 포함되며,
    상기 온도조절유닛(33)은 상기 흡입유도관(321)에 결합되어, 이동하는 가스소화제의 온도를 저온으로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소화기 재생장치.
KR1020220020787A 2022-02-17 2022-02-17 소화기 재생장치 Active KR1027242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787A KR102724237B1 (ko) 2022-02-17 2022-02-17 소화기 재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20787A KR102724237B1 (ko) 2022-02-17 2022-02-17 소화기 재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07A KR20230123707A (ko) 2023-08-24
KR102724237B1 true KR102724237B1 (ko) 2024-10-30

Family

ID=878413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0787A Active KR102724237B1 (ko) 2022-02-17 2022-02-17 소화기 재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7242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82B1 (ko) 2019-05-21 2019-11-27 이준호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6856A (ko) 2004-11-29 2007-08-27 리서치 인 모션 리미티드 Ganc 방향 변경을 수반하는 네트워크 선택 방법
KR20180099051A (ko) * 2017-02-28 2018-09-05 주식회사 아산정밀 소화기용 할론가스의 회수 및 충전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1782B1 (ko) 2019-05-21 2019-11-27 이준호 폐소화기 자동 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23707A (ko) 2023-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3772B1 (ko) 소화기용 분말소화약제 회수 장치
JP2004358442A (ja) 粉塵類の回収装置
KR101188329B1 (ko) 소화기용 분말 자동 수거장치
KR101770542B1 (ko) 용접 플럭스 회수 및 공급 장치
KR102109203B1 (ko) 소화기 분말 배출장치
KR102724237B1 (ko) 소화기 재생장치
JP2014054611A (ja) 集塵装置
JP6397232B2 (ja) 有害物質含有塗装材除去システム
CN111633308A (zh) 一种h型钢埋弧焊机
JP5776632B2 (ja) エアフィルタ再生方法及びエアフィルタ再生装置
KR102306429B1 (ko) 소화기의 분말소화약제 재생 장치
JP7544328B2 (ja) 除染装置
JP2007528785A (ja) 蛍光ランプ廃棄システム
CN207445381U (zh) 一种设过滤膜的滤毒罐
US502643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and disposing of contaminated concrete
JP3455111B2 (ja) 集塵装置
KR102440356B1 (ko) 폐소화기 소화약제 회수장치 및 회수된 소화약제를 이용한 목재 방염도료 제조방법
CN210159116U (zh) 一种推车式干粉灭火器
JP3117947U (ja) アスベスト等粉塵用集塵機
KR102222823B1 (ko) 분말소화기의 분말 소화약제 재활용장치
KR20230105136A (ko) 폐소화기 소화약제 회수 장치
CN211924234U (zh) 一种黄金矿山喷雾降尘装置
KR100950935B1 (ko) 용접흄 집진필터 재생장치
CN215394061U (zh) 一种便于清理壳体废屑的cnc精雕机
CN216856056U (zh) 焊剂输送回收集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21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3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410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