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2724006B1 - Mask - Google Patents

Mas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724006B1
KR102724006B1 KR1020230142433A KR20230142433A KR102724006B1 KR 102724006 B1 KR102724006 B1 KR 102724006B1 KR 1020230142433 A KR1020230142433 A KR 1020230142433A KR 20230142433 A KR20230142433 A KR 20230142433A KR 102724006 B1 KR102724006 B1 KR 102724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nose
chin
ball
us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4243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30152621A (en
Inventor
허환
원정희
강민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5713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200002572A/en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90076654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594720B1/en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30152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5262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724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72400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07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A41D13/1115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with a horizontal pleated pocket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2Masks
    • A62B18/025Halfmas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시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입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접촉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body part covering a user's respiratory organ; and a sealing part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based on the main body part when worn,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face.

Description

마스크{Mask}Mask {Mask}

본 발명은 마스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코부, 볼부, 턱부, 입부 및 걸이부의 구조를 개선하여 사용자가 착용 시 안면에서의 밀착력 및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sk, and more specifically, to a mask that improves the structure of the nose, cheek, chin, mouth, and hook to enhance the sealing power and three-dimensional effect on the face when worn by a user.

최근 국내에서 발생되는 미세먼지와 함께 중국의 산업화에 따른 화석연료의 연소 증가로 국내로 유입되는 미세먼지가 늘어나고 있어 미세먼지로의 노출이 가중되고 있다. 미세먼지는 다량의 유독성 화합물과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으며, 사람이 흡입하면 심장마비, 천식, 기관지염, 폐렴, 폐암 등의 질병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Recently, fine dust generated domestically and the increase in fossil fuel combustion due to China's industrialization have increased the amount of fine dust flowing into the country, which is aggravating exposure to fine dust. Fine dust contains a large amount of toxic compounds and heavy metals, and it is known that when inhaled by humans, it can cause diseases such as heart attack, asthma, bronchitis, pneumonia, and lung cancer.

한 연구에 의하면 수도권에서만 미세먼지로 인하여 연간 2만 여명의 조기사망과 폐 관련 질환이 발생하고 있다는 보고도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의 인체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마스크를 사용한다. According to one study, fine dust causes premature deaths and lung diseases in the metropolitan area alone, with an estimated 20,000 deaths annually. Masks are used to prevent fine dust from entering the human body.

이외에도 중증 급성 호흡기 증후군(SARS)이나 최근 국내에 유행하였던 중동 호흡기 증후군(MERS), 감기 등을 유발하는 전염성 병균으로부터 감염 또는 전염을 막기 위하여 일상생활에서 착용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In addition, there are increasing cases of wearing them in daily life to prevent infection or transmission from contagious pathogens that caus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SARS), Middle East respiratory syndrome (MERS), which was recently prevalent in Korea, and colds.

통상 이러한 마스크는 사용자의 코와 입 등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와, 사용자에게 마스크를 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제공하는 걸이부로 구성된다. 일부 마스크에서는 착용시 편안함이나 마스크와 안면의 밀착을 높여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하여 코를 덮는 코부와 턱을 감싸는 턱부가 구분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Typically, these masks consist of a main body that covers the user's respiratory organs, such as the nose and mouth, and a hook that serves as a means for attaching the mask to the user. In some masks, the nose part that covers the nose and the chin part that covers the chin are separated to increase comfort when worn or to increase the seal between the mask and the face, thereby blocking the inflow of outside air.

일반적으로 마스크는 평면형태로 접혀 보관될 수 있도록 평평하게 제작되고, 착용 시 형상이 입체적으로 변형되면서 호흡기관 주변을 덮을 수 있다. 이러한 마스크는, 코나 입과 마스크 사이에 충분한 호흡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입체적인 형상을 유지할 수 있는 여러 구조가 사용되었다.In general, masks are manufactured flat so that they can be folded and stored in a flat shape, and when worn, their shape changes three-dimensionally to cover the respiratory tract. These masks use various structures that can maintain a three-dimensional shape to secure sufficient breathing space between the nose or mouth and the mask.

그런데 종래의 평판형 마스크는, 입체 형상을 구조적으로 유지하기 위하여 여러 가지 구성이나 구조 등을 사용하였지만, 종래의 마스크는 호흡공간을 확보하더라도 보관을 불편하게 하거나 착용감과 밀착감을 떨어뜨린다는 문제를 해소하지 못하고 있다.However, although conventional flat masks have used various configurations and structures to structurally maintain a three-dimensional shape, they have not been able to resolve the problem of making storage inconvenient or reducing the feeling of wearing and sealing, even though conventional masks secure breathing space.

또한, 종래의 마스크는, 코와 입 등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를 주름형으로 하여 호흡공간을 확보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래의 마스크는 간단한 제조공정으로 제작 가능한 반면, 착용시 사용자의 안면 즉, 볼, 코, 턱에 밀착력이 부족해 공기가 많이 누설되는 문제가 있고, 마스크 착용시 주름으로 인해 착용 후 말하거나 움직일 때 제한은 적으나 밀착력이 낮아 안면부를 움직일 때 중앙에 고정이 되지 않는 불편함이 있었다.In addition, conventional masks secure breathing space by forming the main body that covers the respiratory organs such as the nose and mouth in a pleated shape. However, while such conventional masks can be manufactured through a simple manufacturing process, they have the problem of insufficient sealing on the user's face, i.e., the cheeks, nose, and chin, causing a lot of air leakage when worn. In addition, although there are few restrictions on speaking or moving after wearing the mask due to the pleats, there is the inconvenience of not being fixed in the center when moving the face due to the low sealing.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용시 호흡기 주변의 입체형상을 가지도록 하면서도 안면(볼, 코, 턱)에서의 밀착력을 높여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마스크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creat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sk that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around the respiratory tract when worn, while increasing the sealing force on the face (cheeks, nose, chin) to prevent air leakage.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마스크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 및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시 상기 본체부를 기준으로 입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접촉하는 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 mask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main body part covering a user's respiratory organ; and a sealing part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having a three-dimensional shape based on the main body part when worn, and coming into contact with the user's face.

구체적으로, 상기 밀착부는, 사용자의 볼과 밀착하는 볼밀착부이며, 상기 본체부의 양측변에 각각 정렬되어 상변으로부터 하변까지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contact portion is a ball contact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all, and can be aligned to each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exte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볼밀착부는, 상기 본체부에 적층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변, 측변 및 하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는 개방되는 플랩구조를 이룰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fitting portion can be laminated to the main body portion and can form a flap structure that is open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by fusing the portion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side side, and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볼밀착부는,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fitt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non-porous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볼밀착부는,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sealing portion may be formed of a non-porous sheet, laminate, or non-porous urethane foam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라인에 대응되도록 측변 중앙부가 오목한 구조, 측변 상부가 오목한 구조, 측변 하부가 오목한 구조, 하변 모서리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절단된 구조, 양측변이 하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may be formed in any one of the following structure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side is concave to correspond to various facial lines of the user,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ide is conc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is conc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edge is cut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both sides becomes narrower as they go toward the low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양측부를 이루며, 상기 사용자의 볼을 덮는 볼부; 상부를 이루며, 상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 하부를 이루며,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 및 상기 볼부, 상기 코부, 상기 턱부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입을 덮는 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may include a cheek portion forming two sides and covering the user's cheek; a nose portion forming an upper part and covering the user's nose; a jaw portion forming a lower part and surrounding the user's chin; and a mouth portion provided on the inside of the cheek portion, the nose portion, and the jaw portion and covering the user's mouth.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착용 전에는 겹쳐져 있고 착용 후에는 펼쳐지는 복수 개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는, 각각이 주름면과 주름선으로 이루어지며,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측 폴딩부의 주름형상과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하측 폴딩부의 주름형상이 반대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portion is formed of a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that overlap before being worn and unfold after being worn,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is formed of a wrinkle surface and a wrinkle line, and the wrinkle shape of at least one upper folding portion formed on the upper side centered on the central folding portion and the wrinkle shape of at least one lower folding portion formed on the lower side can be formed in opposite or the same direction.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접었을 때, 상기 주름면과 상기 주름선에 의해 생기는 노출부와 비노출부와의 면적 비율, 상기 폴딩부 각각의 가로, 세로의 크기 및 상기 폴딩부의 개수를 조절하여,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펼쳤을 때 전체 크기가 결정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can adjust the area ratio between the exposed portion and the non-exposed portion created by the wrinkle surface and the wrinkle line when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are folded,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of each of the folding portions, and the number of the folding portions so that the overall size is determined when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are unfolded.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외부로 노출되는 겉감; 상기 겉감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 및 상기 필터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호흡기와 마주하는 안감이 적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part may be laminated with an outer fabric exposed to the outside; a filter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abric; and an lining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and facing the respirator.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는, 상기 겉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적층되는 강성중간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강성중간재는, 플라스틱매쉬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main body further includes a rigid intermediate material laminated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the filter, and the rigid intermediate material may be a plastic mesh.

구체적으로, 상기 볼부는, 상기 밀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밀착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변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 portion may include the contact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볼부는, 측변 상단 모서리로부터 측변 하단 모서리까지 연장되되, 상하 중심으로 갈수록 측변과 거리가 멀어지는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융착라인이 곡선라인형태를 이루는 제1볼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 portion may include a first ball fusion portion in the form of a curved line, in which a fusion line having a continuity of a dotted or solid line extending from an upper edge of a side to a lower edge of a side, and becoming increasingly distant from the side as it goes toward the upper or lower center, is formed.

구체적으로, 상기 볼부는, 상기 제1볼융착부의 곡선라인에서 측변과 가장 멀어진 부분 아래쪽에 위치되는 상기 하측 폴딩부의 상기 주름선을 융착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불연성을 갖는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볼융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ll fusion portion formed to fuse the wrinkle line of the lower folding portion located below the part furthest from the side of the curved line of the first ball fusion portion, wherein the dotted or solid line is a fusion line having non-flammability.

구체적으로, 상기 볼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상기 겉감에 형성되며, 착용 시 걸이부에 의해 상기 안면부를 압박하는 볼압박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 portion may include a ball compression portion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and formed on the outer fabric, and compressing the facial portion by the hook portion when worn.

구체적으로, 상기 볼압박부는, 상기 걸이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일부분이 덮어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 pressure part can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hook part is covered while the hook part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part.

구체적으로, 상기 볼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상기 겉감과 안감 사이에 형성되며, 착용 시 걸이부에 의해 상기 안면부를 밀봉하는 볼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ball portion may include a ball sealing portion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and formed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the inner fabric, and sealing the face portion by the hook portion when worn.

구체적으로, 상기 코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이루며, 좌우가 평행하거나 좌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코부의 상변 또는 그 상변에 인접하여 삽입되는 코쇠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portion forms the upper portion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has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arallel or the height in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and may include a nose piece inserted at the upper side of the nose portion or adjacent to the upp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코쇠는, 콧날 주변의 얼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피복 철사를 소재로 이용하되, 길이를 50.0mm 내지 200.0mm로 하고, 폭을 2.0mm 내지 10.0mm로 하고, 두께를 0.50mm 내지 2.50mm로하여, 모듈러스(N)(n+10)가 1.50N 이상 5.00N 이하가 되도록 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pin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ce around the bridge of the nose, and uses a covering wire as a material, and may have a length of 50.0 mm to 200.0 mm, a width of 2.0 mm to 10.0 mm, a thickness of 0.50 mm to 2.50 mm, and a modulus (N)(n+10) of 1.50 N or more and 5.00 N or less.

구체적으로, 상기 코부는, 좌우 중심으로부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코융착점을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part is formed on each side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 and may include a nose fusion point having a certain area.

구체적으로, 상기 코융착점은,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코끝에 접촉되는 해당 폴딩부의 상기 주름면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fusion point may be formed on the wrinkle surface of a corresponding fold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p of the user's nose.

구체적으로, 상기 코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변에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상기 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내재되어 형성되며, 착용 시 걸이부에 의해 상기 안면부를 밀봉하는 코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section may include a nose sealing section that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section, has a three-dimensional feel, is formed while being embedded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the inner fabric, and seals the facial section by a hook section when worn.

구체적으로, 상기 코부는, 상기 사용자의 코를 감싸는 코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덮개부는, 상기 코부의 상변에 정렬되어 상기 코부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part includes a nose cover part that covers the nose of the user, and the nose cover part is aligned with an upper side of the nose part and can extend from one side of the nose part to the oth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코덮개부는, 상기 본체부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를 이루는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정된 크기보다 일정 길이 크게 연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형성한 후 연장된 상기 재질을 가로방향으로 접은 후 상기 코부의 일측변 및 타측변을 융착하여, 상기 코부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cover portion is formed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portion, and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of the material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form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the extended material is fold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nose portion are fused to form the nose portion so as to be opened inwardly.

구체적으로, 상기 코덮개부는, 상기 코부에 적층되고, 상기 코부의 상변, 일측변, 타측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상기 코부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cover part can be formed by fusing parts that are laminated to the nose part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nose part, so as to be open to the inside of the nose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코덮개부는,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cover part can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코덮개부는,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nose cover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sheet, laminate, or non-breathable urethane foam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턱덮개부는, 상기 턱부의 하변에 정렬되어 상기 턱부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portion includes a chin cover portion that surrounds the user's chin, and the chin cover portion is aligned with a lower side of the chin portion and can extend from one side of the chin portion to the other side.

구체적으로, 상기 턱덮개부는, 상기 본체부를 이루는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정된 크기보다 일정 길이 크게 연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형성한 후 연장된 상기 재질을 가로방향으로 접은 후 상기 턱부의 일측변 및 타측변을 융착하여, 상기 턱부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cover portion may be formed by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of a material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forming the main body portion, and then folding the extended material in a horizontal direction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and then fusing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hin portion so as to be opened inwardly of the chin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턱덮개부는, 상기 턱부에 적층되고, 상기 턱부의 하변, 일측변, 타측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상기 턱부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cover part can be formed by fusing parts that are laminated to the chin part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hin part, so as to be open to the inside of the chin part.

구체적으로, 상기 턱덮개부는,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cov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턱덮개부는,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cover portion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sheet, laminate, or non-breathable urethane foam material.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호흡기에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턱덮개부가 없는 본체부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턱덮개부가 포함된 본체부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hook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secure the main body to the user's respirator, wherein one end of the hook may be connected to an area of the main body without the chin cover, and the other end may be connected to an area of the main body including the chin cover.

구체적으로, 상기 턱부는,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융착라인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턱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jaw portion may include a first jaw fusion portion formed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to correspond to the user's jaw line, and having at least one fusion line having continuity of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구체적으로, 상기 턱부는,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하측 폴딩부의 상기 주름선을 융착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불연성을 갖는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턱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portion may include a second chin fusion portion formed to fuse the wrinkle line of the lower fold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chin line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and formed as a fusion line having a dotted line or solid line that is non-flammable.

구체적으로, 상기 턱부는, 상기 본체부의 하변에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상기겉감과 상기 안감 사이에 내재되어 형성되며, 착용 시 걸이부에 의해 상기 안면부를 밀봉하는 턱밀봉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hin portion may include a chin sealing portion that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ortion, has a three-dimensional feel, is formed while being embedded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the inner fabric, and seals the facial portion by the hook portion when worn.

구체적으로, 상기 턱부는, 턱을 감싸는 접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이부는, 상기 턱부의 하변을 따라 일정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jaw portion includes a folding portion that surrounds the jaw, and the folding portion can be formed with a certain width along the lower edge of the jaw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세로 길이를 연장하고, 연장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folding portion can be formed by extend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and folding the extended portion inward.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의 폭은, 상기 본체부의 세로 길이에서 10%내지 60% 범위 일수 있다.Specifically, the width of the folding portion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60%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접이부에 걸이부가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a hanging portion can be connected to the above-mentioned fold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입부는, 좌우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입융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portion may include a fusion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s.

구체적으로, 상기 입융착부는,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코끝과 입 사이에 위치되는 해당 폴딩부의 상기 주름면에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fusion portion may be formed on the wrinkle surface of a corresponding fold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tip of the user's nose and the mouth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and may be formed by at least one fusion line having continuity in a dotted or solid line.

구체적으로, 상기 입부는, 좌우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강성부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above-mentioned portion may include a rigid portion extending a certain length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s.

구체적으로, 상기 강성부는,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 중에서 상기 사용자의 코끝과 입 사이에 위치되는 해당 폴딩부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igid portion may be formed in a corresponding folding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located between the tip of the user's nose and mouth.

구체적으로, 상기 강성부는, 상기 해당 폴딩부의 상기 주름면에서 상기 겉감과 상기 필터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igid portion can be laminated between the outer fabric and the filter on the wrinkle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old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호흡기에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제1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에 의해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hanging par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secure the main body to the user's respiratory organ, and the hanging part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by a first connecting part an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by a second connecting part.

구체적으로, 상기 제2연결부는, 상기 제1연결부보다 좌우 중심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to be offset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 compar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구체적으로, 상기 제1연결부와 상기 제2연결부 각각은, 상기 본체부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로부터 상하 중심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Specifically,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may be formed offset from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main body portion toward the upper and lower center.

구체적으로, 상기 걸이부는 길이가 100mm 내지 250mm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hanging portion may have a length of 100 mm to 250 mm.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부의 상하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호흡기에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제1걸이부 및 제2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걸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에 각각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걸이부는, 상기 본체부의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각각에 마련되는 연결부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device further includes a first hanging part and a second hanging part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to secure the main body to the user's respirator, wherein the first hanging part can be secured by connecting parts provided at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and the second hanging part can be secured by connecting parts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lower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respectively.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안면에서의 밀착력을 높이고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본체부를 이루는 볼부, 코부, 턱부 및 입부와 걸이부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of the user by improving the structure of the ball part, nose part, chin part, mouth part, and hook part that make up the main body part so as to increase the sealing force on the face and to provide a three-dimensional effec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본체부를 이루는 복수 개의 폴딩부에서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상측 폴딩부의 주름형상과 하측 폴딩부의 주름형상이 반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상측 주름과 하측 주름이 별개로 펼쳐질 수 있어, 입체감 향상은 물론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nkle shapes of the upper folding part and the wrinkle shapes of the lower folding part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centered on the central fold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forming the main body part,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rinkles can be spread out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s well as the user's wearing comfort.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본체부의 양측변 구조 또는 하변 구조를 사용자의 다양한 볼 형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볼 또는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볼 또는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n the user's cheek or chin when worn and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cheek or chin by forming the double-sided side structure or the lower side structure of the main body in various structures to suit various cheek shapes of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볼부에 플랩구조의 볼밀착부를 형성하거나, 볼융착부, 볼압박부, 볼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볼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볼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n the user's cheek when worn and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cheek side by forming a ball-contacting portion with a flap structure on the cheek portion, or by forming a ball-fusion portion, a ball-compressing portion, or a ball-sealing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코부의 상변 형상을 사용자의 콧날 주변의 형태로 하면서 코쇠를 적용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코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n the user's nose when worn and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nose by applying a nose pad while making the upper shape of the nose part into the shape around the user's nose bridg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코부에 코덮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코덮개부가 코를 감싸게되어, 코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고, 코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ose cover portion on the nose portion, so that when worn, the nose cover portion wraps around the nose,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force to the nose and also improving the fixing force, and preventing air leakage from the no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턱부에 턱덮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턱덮개부가 턱을 감싸게되어,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고, 코 및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으며 마스크 착용시 말을 하거나 고개를 움직이거나 장시간 착용하여도 밀착력, 고정력 향상으로 마스크 착용 형태 유지가 일정해 사용상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hin cover portion on the chin portion, so that when worn, the chin cover portion wraps around the chin,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force on the chin as well as the fixing force, and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nose and chin, and even when talking, moving the head, or wearing the mask for a long time, the sealing force and fixing force are improved, so that the shape of the mask is maintained consistently, thereby improving the satisfaction of u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코부에 코밀봉부를 형성하고 턱부에 턱밀봉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코밀봉부 및 턱밀봉부가 코 및 턱을 밀봉하게 되어, 코 윗부분과 턱 아랫부분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nose sealing portion in the nose portion and a chin sealing portion in the chin portion, so that when worn, the nose sealing portion and the chin sealing portion seal the nose and chin, thereby preventing air leakage from the upper part of the nose and the lower part of the chi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코부에 코융착점을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when worn by forming a nasal fusion point on the nos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턱부에 연속성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1턱융착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n the user's chin when worn and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chin by forming a first chin fusion portion made of a continuous fusion line on the chin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턱부에 폴딩부의 주름선만을 융착하는 불연속성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턱융착부를 형성함으로써, 폴딩부가 펼쳐질 때 그 부분에 호흡공간이 마련될 수 있어,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second chin fusion portion made of a discontinuous fusion line that fuses only the wrinkle lines of the folding portion on the chin portion, so that when the folding portion is unfolded, a breathing space can be provided in that portion,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ortion.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입부에 입융착부 또는 강성부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when worn by forming a welding part or a rigid part at the mouth.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마스크는, 걸이부를 본체부의 상하측에 마련함으로써, 얼굴 사이즈가 평균보다 작은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보다 큰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에 양측 볼에서 발생되는 공기 누설을 방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sk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both cheeks when a user with a smaller-than-average face size wears a mask larger than his or her face by providing hanging parts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3실시예 또는 턱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의 (a), (b), (c)는 도 14의 마스크를 전부 또는 일부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부 펼친 상태, (b)는 코부를 펼친 상태, (c)는 턱부를 펼친 상태이다.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4실시예 또는 턱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턱부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ure 1 is a front view of a mask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the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l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al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bal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no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nose pie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nose or a first embodiment of a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5 (a), (b), and (c) are drawings showing the mask of Figure 14 in a fully or partially unfolded state, with (a) showing the fully unfolded state, (b) showing the nose part unfolded, and (c) showing the chin part unfolded.
FIG. 1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nose or a second embodiment of a jaw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jaw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jaw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a jaw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n ent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n entra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hang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hang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hang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purpose, specific advantages and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nd preferred embodiments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as much as possible,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본체부의 제6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볼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볼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볼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3실시예 또는 턱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5의 (a), (b), (c)는 도 14의 마스크를 전부 또는 일부 펼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부 펼친 상태, (b)는 코부를 펼친 상태, (c)는 턱부를 펼친 상태이고, 도 16는 본 발명에 따른 코부의 제4실시예 또는 턱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턱부의 제4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턱부의 제5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입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의 제1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의 제2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걸이부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 1 is a front view of a mas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ixth embodiment of a main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bal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bal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ball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nos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nose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nose part or a first embodiment of a ch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15 (a), (b), and (c) are drawing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ask of FIG. 14 is fully or partially unfolded, where (a) is a state in which the nose part is fully unfolded, (b) is a state in which the nose part is unfolded, and (c) is a state in which the chin part is unfolded, FIG. 16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nose part or a second embodiment of a ch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7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ch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8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ourth embodiment of a ch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9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fth embodiment of a chin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0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mouth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1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mouth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2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first embodiment of a hang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3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second embodiment of a hang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4 is a drawing for explaining a third embodiment of a hang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스크(1)는, 본체부(10), 걸이부(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S. 1 to 8, a mask (1)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in body (10) and a hanging part (20).

본체부(10)는,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다. 본체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로 노출되는 겉감(101), 겉감(101)의 내측에 마련되는 필터(102), 필터(102)의 내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와 마주하는 안감(103)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 있다. 안감(103)은 직접 피부에 닿는 부분으로 착용 시 화장 묻음이 발생되지 않는 것이 좋은데, 이를 위해 안감의 재료로 엠보 형상의 부직포를 적용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covers the user's respiratory organ. As shown in Fig. 2, the main body (10) may be configured by laminating an outer fabric (101) exposed to the outside, a filter (102)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outer fabric (101), and an inner lining (103)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filter (102) and facing the user's respiratory organ. The inner lining (103) is a part that directly touches the skin, so it is desirable that makeup not be smudged when worn. To this end, an embossed non-woven fabric may be used as the material for the inner lining.

또한, 본체부(1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겉감(101)과 필터(102) 사이에 적층되는 강성중간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강성중간재는, 플라스틱매쉬일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the main body (10) may further include a rigid intermediate material laminat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filter (102). At this time, the rigid intermediate material may be a plastic mesh.

또한, 본체부(10)는, 주름이 없도록 이루어지거나, 착용 전에는 겹쳐져 있고 착용 후에는 펼쳐지는 복수 개의 폴딩부(11)로 이루어 질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without wrinkles or may be formed of multiple folding parts (11) that overlap before wearing and unfold after wearing.

복수 개의 폴딩부(11)는, 각각이 주름면(111)과 주름선(11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폴딩부(11)는,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상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상측 폴딩부의 주름형상과 하측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는 하측 폴딩부의 주름형상이 반대방향 또는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 즉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may each be formed of a wrinkle surface (111) and a wrinkle line (112).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may be formed such that the wrinkle shape of the upper folding part formed at least one or more on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olding part and the wrinkle shape of the lower folding part formed at least one or more on the lower side are formed in opposite or identical directions, that is, they may be form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olding part.

복수 개의 폴딩부(11)가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주름형상이 반대방향으로 형성되는데, 이와 같이 주름형상을 구성함으로써,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하여, 상측 폴딩부는 상방으로 펼쳐지고 하측의 폴딩부는 하방으로 펼쳐지게 된다. 사용자마다 상악골, 하악골의 크기가 다르고, 예를 들어 상악골이 큰 사용자일 경우 상측 폴딩부의 주름이 넓게 펴지게 되고, 상대적으로 작은 하악골에 대응되는 하측 폴딩부의 주름은 좁게 펴지게 되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폴딩부(11)는 사용자의 얼굴 형상에 따라 유기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착용감, 편의감, 밀착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주름형상이 본 발명과 달리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될 경우, 주름이 일괄적으로 한 방향으로 펼쳐지게 되기 때문에, 착용감, 편의감, 밀착감이 본 발명 대비 저하될 수 밖에 없다.A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the central folding part as the center, and by configuring the folding shape in this way, the upper folding part is spread upward and the lower folding part is spread downward with the central folding part as the center. The sizes of the maxilla and the mandible are different for each user, and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user with a large maxilla, the wrinkles of the upper folding part are spread widely, and the wrinkles of the lower folding part corresponding to the relatively small mandible are spread narrowly, and as a result, the folding part (11)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organically respond to the shape of the user's face, thereby increasing the user's wearing comfort, convenience, and fit. If the wrinkle shapes are formed in the same direction unlik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rinkles are uniformly spread in one direction, and therefore the wearing comfort, convenience, and fit are bound to be lower than in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체부(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폴딩부(11)에서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상측 폴딩부의 주름형상과 하측 폴딩부의 주름형상이 반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상측 주름과 하측 주름이 별개로 펼쳐질 수 있어, 입체감 향상은 물론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at is, by forming the wrinkle shape of the upper folding part and the wrinkle shape of the lower folding part in the multiple folding parts (11) forming the main body part (10) in the opposite direction with the central folding part as the center, the upper and lower wrinkles can be unfold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s well as the user's wearing comfort.

상기한 복수 개의 폴딩부(11)로 이루어지는 본체부(10)는, 복수 개의 폴딩부(11)를 접었을 때, 주름면(111)과 주름선(112)에 의해 노출부와 비노출부가 생기게 되는데, 노출부와 비노출부의 면적 비율, 폴딩부(11) 각각의 가로, 세로의 크기 및 상기 폴딩부(11)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복수 개의 폴딩부(11)를 펼쳤을 때 전체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composed of the above-described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has an exposed part and a non-exposed part created by the wrinkle surface (111) and the wrinkle line (112) when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are folded. By controlling the area ratio of the exposed part and the non-exposed part, the width and height of each folding part (11), and the number of the folding parts (11), the overall size can be determined when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are unfolded.

본체부(10)는,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라인에 대응되도록 측변 중앙부가 오목한 구조, 측변 상부가 오목한 구조, 측변 하부가 오목한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볼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main body (10) can be formed in any one of a concave structure in the center of the side, a concave structure in the upper part of the side, and a concave structure in the lower part of the side to correspond to various facial lines of the user, and such a structure can improve the adhesion of the ball.

측변 중앙부가 오목한 구조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측변 상단 및 측변 하단으로부터 좌우 중심으로 갈수록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조로서, 볼 중앙라인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ortion of the side is concave, as illustrated in Fig. 3,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side of the main body (10) gradually slope inward from the center to the left and right,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central line of the ball.

측변 상부가 오목한 구조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측변 상단 부근에서 본체부(10)의 내측으로 급격하게 경사지다가, 이후 본체부(10)의 측변 하단으로 갈수록 본체부(10)의 외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조로서, 볼 상부라인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ide is concave, as illustrated in FIG. 4, is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is steeply inclined toward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near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n gradually inclined toward the outside of the main body (10) as it goes toward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upper line of the ball.

측변 하부가 오목한 구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측변 하단 부근에서 본체부(10)의 내측으로 급격하게 경사지다가, 이후 본체부(10)의 측변 상단으로 갈수록 본체부(10)의 외측으로 완만하게 경사지는 구조로서, 볼 하부라인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 concave lower side structure, as shown in Fig. 5, is a structure that steeply slopes inwardly of the main body (10) near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then gradually slopes outwardly of the main body (10) as it approaches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of the lower ball line.

또한, 본체부(10)는,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라인에 대응되도록, 하변이 좁아지는 구조, 예를 들어, 하변 모서리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절단된 구조(도 6 참조), 양측변이 하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도 7 및 도 8 참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턱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in any one of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is narrowed to correspond to various facial lines of the user, for exampl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side edge is cut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see FIG. 6),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both sides becomes narrower as they go towards the lower side (see FIGS. 7 and 8), and such a structure can improve the adhesion to the chin.

상기한 본체부(10)는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시 본체부(10)를 기준으로 입체 형상을 가지며, 사용자의 안면부와 접촉하는 밀착부로서 볼밀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main body (10) is formed on each side and has a three-dimensional shape based on the main body (10) when worn, and may include a ball-contacting portion (121) as a close-contacting portion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face.

본체부(10)의 양측부에 각각에는, 사용자의 볼과 접촉하는 볼밀착부(121)가 형성될 수 있다.A ball contact portion (12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ser's ball can be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10).

볼밀착부(121)는, 본체부(10)의 양측변에 각각 정렬되어 상변으로부터 하변까지 연장될 수 있다. 볼밀착부(121)는, 본체부(10)에 적층되고, 본체부(10)의 상변, 측변 및 하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본체부(10)의 내측으로는 개방되는 플랩구조를 이룰 수 있다.The ball-fitting portion (121) may be align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10) and may exte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ball-fitting portion (121) may be laminated on the main body (10) and may form a flap structure that is open to the inside of the main body (10) by fusing the portions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side side, and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이러한 볼밀착부(121)는,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se ball-fitting parts (121) can be formed of a non-porous material, such as a non-porous sheet, laminate, or non-porous urethane foam material.

본체부(10)는, 양측부를 이루며, 사용자의 볼을 덮는 볼부(12), 상부를 이루며, 사용자의 코를 덮는 코부(13), 하부를 이루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부(14), 볼부(12), 코부(13), 턱부(14)의 내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입을 덮는 입부(15)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cheek part (12) formed on both sides and covering the user's cheek, a nose part (13) formed on the upper side and covering the user's nose, a jaw part (14) formed on the lower side and surrounding the user's chin, and a mouth part (15) provided on the inner side of the cheek part (12), nose part (13), and jaw part (14) and covering the user's mouth.

본 실시예에서, 본체부(10)를 볼부(12), 코부(13), 턱부(14), 입부(15)로 구분하여 설명하는 것은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어떠한 경계선에 의해 구분되어지지 않고 일체형일 수 있음을 밝혀둔다.In this embodiment, the main body (10) is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a ball portion (12), a nose portion (13), a jaw portion (14), and a mouth portion (15) only to help understanding, and it is to be noted that the main body portion may be integral without being divided by any boundary line.

또한 본체부(10)는, 본체부(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본체부(10)를 고정하는 걸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in body (10) may include a hanging part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to secure the main body (10) to the user's respirator.

볼부(12)는, 상기한 볼밀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part (12) may include the ball-contacting part (121) described above.

볼밀착부(121)는, 도 1에 도시된 본체부(10)의 구조뿐만 아니라,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본체부의 다양한 구조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때 볼밀착부(121)는 다양한 구조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다.The ball-fitting part (121) can be applied not only to the structure of the main body part (10) illustrated in FIG. 1, but also to various structures of the main body part illustrated in FIGS. 3 to 8, and in this case, the ball-fitting part (121)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various structures.

또한, 볼부(12)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측변 상단 모서리로부터 측변 하단 모서리까지 연장되되, 상하 중심으로 갈수록 측변과 거리가 멀어지는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융착라인이 곡선라인형태를 이루는 제1볼융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part (12) may include a first ball fusion part (122) that forms a curved line shape with a fusion line that is a continuous dotted or solid line that extends from the upper edge of the side to the lower edge of the side, as shown in FIG. 9, and that becomes farther away from the side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of the top and bottom.

또한, 볼부(12)는,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제1볼융착부(122)의 곡선라인에서 측변과 가장 멀어진 부분 아래쪽에 위치되는 하측 폴딩부의 주름선(112)을 융착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불연성을 갖는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볼융착부(123)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part (12) may further include a second ball fusion part (123) formed to fuse the wrinkle line (112) of the lower folding part located below the part furthest from the side of the curved line of the first ball fusion part (122)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and formed as a fusion line with a dotted or solid line having non-flammability.

상기와 같이, 볼부(12)는, 플랩구조의 볼밀착부(121)를 형성하거나, 제1볼융착부(122), 제2볼융착부(123)를 형성함에 의해 착용 시 사용자의 볼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all part (12) can improve the adhesion to the user's cheek when worn by forming a ball-contacting part (121) of a flap structure or by forming a first ball-contacting part (122) and a second ball-contacting part (123).

볼부(12)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겉감(101)에 형성되어, 착용 시 걸이부(20)에 의해 안면부를 압박하는 볼압박부(124)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part (12), as shown in Fig. 10,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has a three-dimensional feel, and may include a ball pressure part (124) formed on the outer fabric (101) to compress the face by the hook part (20) when worn.

볼압박부(124)는, 본체부(10)의 양측변에 각각 정렬되어, 일정 폭으로 상변에서 하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겉감(101)에 적층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볼압박부(124)는, 비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pressure member (124) may be alig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exte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ith a certain width, and may be formed by laminating the outer fabric (101) of the main body (10). The ball pressure member (124) may be formed of a non-porous material, such as a non-porous sheet, laminate, or non-porous urethane foam.

또한, 볼압박부(124)는, 걸이부(20)를 본체부(10)의 내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걸이부(20)의 일부분이 덮어씌워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볼압박부(124)를 걸이부(20)의 일부분이 덮어씌워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걸이부(20)가 볼압박부(124)를 직접적으로 누르게 되어 압박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ball pressure part (124) may be formed so that a part of the hook part (20) is covered while the hook part (20)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part (10). In this way, by forming the ball pressure part (124) so that a part of the hook part (20) is covered, when worn, the hook part (20) directly presses the ball pressure part (124), thereby increasing the compressive force.

상기와 같이, 볼부(12)는, 입체감을 갖는 볼압박부(124)에 의해 착용 시 볼을 압박함에 따라 볼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ll part (12)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ball by compressing the ball when worn by the ball compression part (124)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볼부(12)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겉감(101)과 안감(103)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 시 걸이부(20)에 의해 안면부를 밀봉하는 볼밀봉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ll part (12), as shown in Fig. 11, is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has a three-dimensional feel, and may include a ball sealing part (125) form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inner fabric (103) to seal the face part by the hook part (20) when worn.

볼밀봉부(125)는, 본체부(10)의 양측변에 각각 정렬되어, 일정 폭으로 상변에서 하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겉감(101)과 안감(103) 사이에 내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볼밀봉부(125)는, 우레탄폼, 벌키 부직포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ball sealing portion (125) may be align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may extend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with a certain width, and may be formed embedd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inner fabric (103) of the main body (10). The ball sealing portion (125)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foam or bulky non-woven fabric.

상기와 같이, 볼부(12)는, 입체감을 갖는 볼밀봉부(125)에 의해 착용 시 볼을 밀봉함에 따라 볼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all part (12)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ball by sealing the ball when worn by the ball sealing part (125)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코부(13)는, 본체부(10)의 상부를 이루며, 좌우가 평행하거나 좌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부(13)의 상변 또는 그 상변에 인접하여 삽입되는 코쇠(131)를 포함할 수 있다.The nose (13) forms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and may have a shape in which the left and right sides are parallel or the height increases as it goes toward the center, and as shown in Fig. 12, may include a nose pin (131) inserted at the upper side of the nose (13) or adjacent to the upper side thereof.

코쇠(131)는, 콧날 주변의 얼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쇠(131)는, 피복 철사를 소재로 이용하되, 길이를 50.0mm 내지 200.0mm로 하고, 폭을 2.0mm 내지 10.0mm로 하고, 두께를 0.50mm 내지 2.50mm로하여, 모듈러스(N)(n+10)가 1.50N 이상 5.00N 이하가 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코에 밀착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The nose pin (131) may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face around the bridge of the nose. The nose pin (131) may be made of a material made of covered wire, with a length of 50.0 mm to 200.0 mm, a width of 2.0 mm to 10.0 mm, a thickness of 0.50 mm to 2.50 mm, and a modulus (N) (n+10) of 1.50 N or more and 5.00 N or less, thereby increasing the adhesion to the user's nose.

일례로, 본 발명의 코쇠(131)와 기존의 제1,2코쇠와 비교한 하기 표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코쇠를 이용할 경우 모듈러스(N)(n+10)가 높게 나왔으며, 본 발명의 코쇠(131)를 이용할 경우 누설률이 85% 이상으로 개선된 결과를 얻었다. 참고로, 보건용 마스크 KF80 조건은 누설률 75% 이상이다.For example, as shown in the table below comparing the cork (131)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existing first and second cork, when the cork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the modulus (N)(n+10) was high, and when the cork (131)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used, the leakage rate was improved to 85% or more. For reference, the condition for a KF80 health mask is a leakage rate of 75% or more.

브랜드Brand 본 발명의 코쇠The nose of the present invention 기존의 제1코쇠The existing first nose 기존의 제2코쇠The existing second nose 코쇠 소재Nose material 피복 철사Covered wire 피복 철사Covered wire 피복 철사Covered wire 모듈러스(N)(n=10)Modulus (N) (n=10) 2.392.39 0.5620.562 1.31.3

또한, 코부(13)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심으로부터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일정 면적을 갖는 코융착점(132)을 포함할 수 있다.코융착점(132)은,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사용자의 코끝에 접촉되는 해당 폴딩부의 주름면에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13) may include a nose fusion point (132) formed on each side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 as shown in FIG. 13 and having a certain area. The nose fusion point (132) may be formed on the wrinkle surface of a corresponding fold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tha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tip of the user's nose.

이러한 코융착점(132)은, 착용 시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se nasal fusion points (132)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when worn.

또한, 코부(13)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코를 감싸는 코덮개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nose piece (13) may include a nose cover (133) that surrounds the user's nose, as illustrated in FIG. 14.

코덮개부(133)는, 코부(13)의 상변에 정렬되어 코부(13)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nose cover (133) can be alig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nose part (13) and extend from one side of the nose part (13) to the other side.

코덮개부(133)는, 본체부(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본체부(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폴딩부(11)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정된 크기보다 일정 길이 크게 연장하고, 복수 개의 폴딩부(11)를 형성한 후 연장된 재질을 가로방향으로 접은 후 코부(13)의 일측변 및 타측변을 융착하여, 코부(13)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nose cover part (13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part (10), and at this time, the material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forming the main body part (10)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greater than the intended size, and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the extended material may be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nose part (13) may be fused to form the nose part (13) so as to be opened to the inside.

또한, 코덮개부(133)는, 코부(13)에 적층되고, 코부(13)의 상변, 일측변, 타측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코부(13)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코덮개부(133)는, 비통기성 재질 예를 들어,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cover part (133) may be formed by fusing the parts that are laminated to the nose part (13)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nose part (13), so as to be open to the inside of the nose part (13). At this time, the nose cover part (133)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material, for example, a non-breathable sheet, laminate, or non-breathable urethane foam material.

이러한 코덮개부(133)는, 코부(13)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코덮개부(133)가 위쪽으로 펼쳐지면서 코를 감싸게되어, 코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s this nose cover part (133) is formed to be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nose part (13), as shown in (b) of Fig. 15, when worn, the nose cover part (133) opens upwards to wrap around the nose,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nose and also improving the fixing force.

상기한 코쇠(131), 코융착점(132), 코덮개부(133)는 적어도 하나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mentioned nose pin (131), nose fusion point (132), and nose cover (133)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at least once.

또한, 코부(13)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상변에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겉감(101)과 안감(103)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 시 걸이부(20)에 의해 안면부를 밀봉하는 코밀봉부(13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se part (13), as shown in Fig. 16, may include a nose sealing part (134)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and form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inner fabric (103), to seal the face part by the hanging part (20) when worn.

코밀봉부(134)는, 본체부(10)의 상변에 정렬되어, 코부(13)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겉감(101)과 안감(103) 사이에 내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코밀봉부(134)는, 우레탄폼, 벌키 부직포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nose sealing portion (134) may be aligned with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nose part (13) to the other side, and may be formed embedd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inner fabric (103) of the main body (10). The nose sealing portion (13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foam or bulky non-woven fabric.

상기와 같이, 코부(13)는, 입체감을 갖는 코밀봉부(134)에 의해 착용 시 코 윗부분을 밀봉함에 따라 코 윗부분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nose piece (13)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upper part of the nose by sealing the upper part of the nose when worn by the nose sealing part (134)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턱부(14)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덮개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The chin part (14) may include a chin cover part (143) that surrounds the user's chin, as illustrated in FIG. 14.

턱덮개부(143)는, 턱부(14)의 하변에 정렬되어 턱부(14)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될 수 있다.The chin cover (143) can be aligned with the lower edge of the chin portion (14) and extend from one edge of the chin portion (14) to the other edge.

턱덮개부(143)는, 본체부(1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때, 본체부(10)를 상하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시킨 후, 본체부의 하단을 접은 후 접착, 융착 또는 용착하여 턱덮개부(143)을 구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체부(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폴딩부(11)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정된 크기보다 일정 길이 크게 연장하고, 복수 개의 폴딩부(11)를 형성한 후 연장된 재질을 가로방향으로 접은 후 턱부(14)의 일측변 및 타측변을 융착하여, 턱부(14)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턱덮개부(143)는, 본체부(10)와 다른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The chin cover (14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 In this case, the main body (10) may be formed to be longer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lower end of the main body may be folded, and then the chin cover (143) may be formed by bonding, fusing, or welding. In addition, the material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forming the main body (10) may be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greater than the intended size, and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the extended material may be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hin cover (14) may be fusing, so as to be formed so as to be open to the inside of the chin cover (14). 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chin cover (143) may be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main body (10).

또한, 턱덮개부(143)는, 턱부(14)에 적층되고, 턱부(14)의 하변, 일측변, 타측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턱부(14)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턱덮개부(143)는, 비통기성 재질 예를 들어,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hin cover part (143) may be formed by fusing the parts that are laminated to the chin part (14)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lower side,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hin part (14), so as to be open to the inside of the chin part (14). At this time, the chin cover part (143) may be formed of a non-breathable material, for example, a non-breathable sheet, laminate, or non-breathable urethane foam material.

이러한 턱덮개부(143)는, 턱부(14)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됨에 따라 도 15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코덮개부(133)와 마찬가지로 착용시 턱덮개부(143)가 아래쪽으로 펼쳐지면서 턱을 감싸게되어,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As this chin cover part (143) is formed to open toward the inside of the chin part (14), as shown in (c) of FIG. 15, when worn, the chin cover part (143) unfolds downwards and wraps around the chin, similar to the nose cover part (133),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chin and also improving the fixing force.

상기한 코덮개부(133)와 턱덮개부(143)는 동시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착용시 코덮개부(133)가 코를 감싸게되고, 턱덮개부(143)가 턱을 감싸게되어, 코 및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정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고, 코 및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t goes without saying that the above-mentioned nose cover part (133) and chin cover part (143) can be applied simultaneously, and in this case, as shown in (a) of FIG. 15, when worn, the nose cover part (133) wraps around the nose and the chin cover part (143) wraps around the chin, thereby improving the sealing force to the nose and chin, further improving the fixing force, and preventing air leakage in the nose and chin area.

턱덮개부(143)의 폭은, 본체부(10)의 세로 길이에서 10% 내지 60% 범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턱덮개부(143)는 마스크 착용 시 턱부(14)의 누설률을 개선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턱덮개부(143) 폭은 본체부(10)의 세로 길이에서 25% 내지 50% 범위일 수 있으며, 이를 통해, 턱덮개부(143)로 턱 고정력을 향상 시켜 장시간 착용하거나 착용시 말을 할 때 마스크가 위로 움직이는 것을 방지해 사용자 착용감이 좋아지게 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chin cover (143)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60%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is, the chin cover (143) may improve the leakage rate of the chin cover (14) when the mask is worn. Preferably, the width of the chin cover (143) may be in the range of 25% to 50%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10). Through this, the chin fixing force of the chin cover (143) may be improved, thereby preventing the mask from moving upward when worn for a long time or when speaking, thereby improving the user's wearing comfort.

상기 턱덮개부(143)을 갖는 구조에서, 본체부(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본체부(10)를 고정하는 걸이부(20)는, 일단이 턱덮개부(143)가 없는 본체부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이 턱덮개부(143)가 포함된 본체부 영역에 연결될 수 있다.In the structure having the chin cover part (143), the hanging part (20)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to fix the main body part (10) to the user's respirator can have one end connected to a main body part area without the chin cover part (143)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a main body part area including the chin cover part (143).

턱덮개부(143)의 재질은, 본체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턱덮개부(143)는 본체부(10)보다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턱덮개부(143)는 평량이 15gsm 내지 60gsm인 부직포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턱덮개부(143)는 평량이 낮아 유연성이 좋은 부직포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형태에 상관없이 턱 전체를 골고루 밀착시킬 수 있어, 턱부(14)의 누설률을 개선할 수 있다.The chin cover (143)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main body (10). However, the chin cover (143) may be formed to have greater flexibility than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the chin cover (143) may be formed by laminating nonwoven fabric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sm to 60 gsm. In this way, the chin cover (143)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low basis weight and good flexibility, thereby evenly fitting the entire chin regardless of the user's various face shapes, thereby improving the leakage rate of the chin cover (14).

또한, 턱부(14)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하변에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겉감(101)과 안감(103) 사이에 형성되어, 착용 시 걸이부(20)에 의해 안면부를 밀봉하는 턱밀봉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hin part (14), as shown in Fig. 16, may include a chin sealing part (144)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part (10),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and form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inner fabric (103), to seal the face part by the hanging part (20) when worn.

턱밀봉부(144)는, 본체부(10)의 하변에 정렬되어, 턱부(14)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될 수 있으며, 본체부(10)의 겉감(101)과 안감(103) 사이에 내재되어 형성될 수 있다. 턱밀봉부(144)는, 우레탄폼, 벌키 부직포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The jaw sealing portion (144) may be aligned with the lower side of the main body (10), may extend from one side of the jaw portion (14) to the other side, and may be formed embedd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and the inner fabric (103) of the main body (10). The jaw sealing portion (144) may be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urethane foam or bulky non-woven fabric.

상기와 같이, 턱부(14)는, 입체감을 갖는 턱밀봉부(144)에 의해 착용 시 턱 아랫부분을 밀봉함에 따라 턱 아랫부분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chin part (14)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lower chin area by sealing the lower chin area when worn by the chin sealing part (144) having a three-dimensional feel.

또한, 턱부(14)는,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융착라인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턱융착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aw portion (14), as shown in FIG. 17, may include a first jaw fusion portion (141) formed to correspond to the user's jaw line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and having at least one fusion line having continuity of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상기에서, 제1턱융착부(141)는,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측 폴딩부의 주름면 및 주름선을 융착시키게 되어, 착용 시 사용자의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In the above, the first chin fusion part (141) fuses the wrinkle surface and wrinkle line of the lower folding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jaw line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user's chin when worn.

또한, 턱부(14)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는 위치의 하측 폴딩부의 주름선을 융착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불연성을 갖는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턱융착부(14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jaw portion (14), as shown in FIG. 18, may include a second jaw fusion portion (142) formed to fuse the wrinkle line of the lower folding portion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jaw line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s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11), and formed as a fusion line with a dotted or solid line that has non-flammability.

상기에서, 제2턱융착부(142)는,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하측 폴딩부의 주름선만 융착시키게 되어, 복수 개의 폴딩부(11)가 펼쳐질 때 그 부분에서 주름면 또한 펼쳐지게 되어 호흡공간이 마련될 수 있고, 이로써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In the above, the second jaw fusion part (142) fuses only the wrinkle line of the lower fold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so that when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are unfolded, the wrinkle surface at that part is also unfolded, so that a breathing space can be provided,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또한, 턱부(14)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접이부(145)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jaw portion (14) may include a folding portion (145) that surrounds the user's jaw, as illustrated in FIG. 19.

접이부(145)는, 턱부(14)의 하변을 따라 일정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folding portion (145) can be formed with a certain width along the lower edge of the jaw portion (14).

이러한 접이부(145)는, 안면부를 감싸는 본체부(10)의 세로 길이를 연장하고, 연장되는 부분이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접이부(145)는 본체부(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폴딩부(11)와 유사 또는 동일한 폴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부(10)의 연장되는 부분을 이용하여 접이부(145)를 형성함으로써, 접이부(145)를 형성하기 위한 별도의 추가 절단 공정 없이, 기존의 본체부(10)를 형성하기 위한 절단 공정(다만, 본체부의 길이에 더하여 접이부(145)의 길이만큼 연장하여 절단)만으로 접이부(145)를 갖는 평판형 마스크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다.This folding part (145) can be formed by extending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10) that wraps around the face and folding the extended portion inward. The folding part (145) can be formed with a folding structure similar to or identical to a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that form the main body (10). By forming the folding part (145) using the extended portion of the main body (10) in this way, a flat mask having the folding part (145) can be easily produced by only using a cutting process for forming the existing main body (10) (however, cutting by extending the length of the folding part (145) in addition to the length of the main body) without a separate additional cutting process for forming the folding part (145).

상기에서는 접이부(145)가 본체부(10)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설명하였지만, 턱부(14)의 하변에 별도로 부착하여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the above, it was described that the folding part (145) is formed by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part (10), but it is of course possible to form it by separately attaching it to the lower side of the jaw part (14).

접이부(145)의 폭은, 본체부(10)의 세로 길이에서 10% 내지 60% 범위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접이부(145)는 마스크 착용 시 턱부(14)의 누설률을 개선할 수 있다. The width of the folding portion (145) may be in the range of 10% to 60% of the vertical length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hrough this, the folding portion (145) can improve the leakage rate of the chin portion (14) when wearing the mask.

접이부(145)에 걸이부(20)가 연결될 수 있다. 걸이부(20)는 일반적으로 본체부(10)에 연결되어 본체부(10)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20)를 접이부(145)에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마스크 착용 시 본체부(10)가 안면부에 밀착되도록 하면서 접이부(145)를 턱부(14)에 더욱 밀착 고정시킬 수 있어, 턱부(14)의 누설률을 더욱 개선할 수 있다.A hook (20) can be connected to the folding part (145). The hook (20) is generally connected to the main body (10) so that the main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but in this embodiment, by connecting the hook (20) to the folding part (145), the main body (1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ace when the mask is worn, and the folding part (145) can be more closely fixed to the chin part (14), so that the leakage rate of the chin part (14) can be further improved.

접이부(145)의 재질은, 본체부(10)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접이부(145)는 본체부(10)보다 유연성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이부(145)는 평량이 15gsm 내지 60gsm인 부직포를 적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이부(145)는 평량이 낮아 유연성이 좋은 부직포로 형성함으로써,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형태에 상관없이 턱 전체를 골고루 밀착시킬 수 있어, 턱부(14)의 누설률을 개선할 수 있다.The material of the folding part (145)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main body (10). However, the folding part (145) may be formed to have greater flexibility than the main body (10). For example, the folding part (145) may be formed by laminating nonwoven fabrics having a basis weight of 15 gsm to 60 gsm. In this way, the folding part (145) may be formed of a nonwoven fabric having a low basis weight and good flexibility, thereby evenly fitting the entire chin regardless of the user's various face shapes, thereby improving the leakage rate of the chin part (14).

입부(15)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입융착부(151)를 포함할 수 있다.The mouth (15), as illustrated in Fig. 20, may include a mouth-welding portion (151) extending a certain length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s.

입융착부(151)는,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사용자의 코끝과 입 사이에 위치되는 해당 폴딩부의 주름면에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fusion portion (151) is formed on the wrinkle surface of a corresponding folding portion positioned between the tip of the user's nose and the mouth among a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11), and may be formed of at least one fusion line having continuity in a dotted or solid line.

또한, 입부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우 중심으로부터 좌우측으로 일정 길이 연장되는 강성부(152)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trance may include a rigid portion (152) extending a certain length to the left and right from the left and right centers, as illustrated in FIG. 21.

강성부(152)는, 복수 개의 폴딩부(11) 중에서 사용자의 코끝과 입 사이에 위치되는 해당 폴딩부에 형성될 수 있다.The rigid portion (152) can be formed in a corresponding folding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ortions (11) located between the tip of the user's nose and mouth.

구체적으로, 강성부(152)는, 해당 폴딩부의 주름면에서 본체부(10)의 겉감(101)과 필터(102) 사이에 적층될 수 있다.Specifically, the rigid portion (152) can be laminated between the outer fabric (101) of the main body portion (10) and the filter (102) on the fold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folding portion.

상기한 입융착부(151)와 강성부(152)는 조합하여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들은 착용 시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The above-mentioned fusion portion (151) and rigid portion (152) can be applied in combination, and they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when worn.

걸이부(20)는, 본체부(10)의 양측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본체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The hanging part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can secure the main body part (10) to the user's respirator.

걸이부(20)는, 걸이부(20)는 사용자의 머리를 두르는 밴드이거나, 또는 사용자의 귀에 걸 수 있는 귀걸이 형태 등일 수 있고, 본 실시예에서는 편의상 걸이부(20)가 귀걸이 형태임을 한정해 설명하도록 한다.The hanging part (20) may be a band that wraps around the user's head, or may be in the form of an earring that can be hung on the user's ear, and in this embodiment, for convenience, the hanging part (20) is limited to being in the form of an earring.

걸이부(20)는, 스판덱스 등과 같이 탄성력을 갖는 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끈의 양단을 융착이나 압착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고정할 수 있고, 이때 끈의 양단이 고정된 부분을 제1연결부(21) 및 제2연결부(22)라 지칭할 수 있다. 즉 걸이부(20)는 제1연결부(21)와 제2연결부(22)를 기준으로 하는 폐루프를 구현할 수 있다.The hanging part (20) may be made of an elastic string such as spandex, and the two ends of the string may be fixed by various methods such as fusing or pressing. At this time, the parts where the two ends of the string are fixed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nnecting part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 In other words, the hanging part (20) may implement a closed loop based on the first connecting part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

걸이부(20)는, 제1연결부(21)에 의해 본체부(10)의 상부에 연결되고, 제2연결부(22)에 의해 본체부(10)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The hanging part (20) can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10) by the first connecting part (21) and to the lower part of the main body (10) by the second connecting part (22).

제1연결부(21)와 제2연결부(22)는 일반적으로 본체부(1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부분에 형성되지만, 본 실시예는 이들을 이용하여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are general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corners of the main body (10), but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adhesion by using them.

구체적으로,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부(22)는, 제1연결부(21)보다 좌우 중심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연결부(22)의 위치를 변경함에 따라 턱부(14)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2,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can be formed to be offset toward the left and right center compared to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By changing the position of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in this way, the adhesion of the jaw portion (14) can be improved.

또한,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연결부(21)와 제2연결부(22) 각각은, 본체부(10)의 상단 및 하단 모서리로부터 상하 중심쪽으로 치우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연결부(21)와 제2연결부(22)와의 간격을 좁힘으로써, 볼부(12)의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다.In addition, as illustrated in Fig. 23, each of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may be formed so as to be offset from the upper and lower edges of the main body portion (10) toward the upper and lower center. In this way, by narrowing the gap between the first connecting portion (21) and the second connecting portion (22), the adhesion of the ball portion (12) can be improved.

상기에서는 걸이부(20)가 본체부(10)의 양측부에 마련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상하부에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에 본체부(10)를 고정시킬 수 있다.In the above, it was described that the hanging part (20)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but as shown in FIG. 24, it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ain body part (10) to secure the main body part (10) to the user's respirator.

도 24를 참고하면, 걸이부(30a, 30b)는, 본체부(10)의 상하측에 마련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측에 마련되는 것을 제1걸이부(30a)로 하고 하측에 마련되는 것을 제2걸이부(30b)로 하여 설명한다.Referring to Fig. 24, the hanging parts (30a, 30b) can b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10),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one provided on the upper side is referred to as the first hanging part (30a), and the one provided on the lower side is referred to as the second hanging part (30b).

제1걸이부(30a)는, 본체부(10)의 좌측 상단과 우측 상단에 각각 마련되는 연결부(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착용시 사용자의 뒷머리 부분에 걸릴 수 있다.The first hanging part (30a) can be fixed by connecting parts (31) provided at the upper left and upper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respectively, and can be hung on the back of the user's head when worn.

제1걸이부(30a)는, 사용자의 머리를 두르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hanging part (30a)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and that wraps around the user's head.

제2걸이부(30b)는, 본체부(10)의 좌측 하단과 우측 하단에 각각 마련되는 연결부(31)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착용시 사용자의 뒷목 부분에 걸릴 수 있다.The second hanging part (30b) can be fixed by a connecting part (31) provided at the lower left and lower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part (10), and can be hung on the back of the user's neck when worn.

제2걸이부(30b)는, 사용자의 뒷목을 두르는 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hanging part (30b) can be formed in the shape of a band that wraps around the back of the user's neck.

상기한 제1,2걸이부(30a, 30b)는, 양측부에서 당겨 본체부(10)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고정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측에서 당겨 본체부(10)를 사용자의 안면부에 고정하기 때문에, 얼굴 사이즈가 평균보다 작은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보다 큰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에 양측 볼에서 발생되는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first and second hanging parts (30a, 30b) are not pulled from both sides to secure the main body part (10) to the user's face, but rather are pulled from the upper and lower sides to secure the main body part (10) to the user's face. Therefore, when a user with a smaller-than-average face size wears a mask that is larger than his or her face, air leakage occurring from both cheeks can be prevented.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실시예들의 조합 또는 상기 실시예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공지 기술의 조합을 또 다른 실시예로서 포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nd may include a combination of the above embodiments or a combination of at least one of the above embodiments and a known technology as another embodiment.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안면에서의 밀착력을 높이고 입체감을 살릴 수 있도록, 본체부(10)를 이루는 볼부(12), 코부(13), 턱부(14) 및 입부(15)와 걸이부(20)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사용자의 편리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is way,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structure of the ball part (12), nose part (13), chin part (14), mouth part (15) and hanging part (20) forming the main body part (10) to increase the adhesion to the face and to bring out a three-dimensional effect,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and reliability of the user.

또한, 본 실시예는, 본체부(10)를 이루는 복수 개의 폴딩부(11)에서 중앙 폴딩부를 중심으로 상측 폴딩부의 주름형상과 하측 폴딩부의 주름형상이 반대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얼굴 크기에 따라 상측 주름과 하측 주름이 별개로 펼쳐질 수 있어, 입체감 향상은 물론 사용자의 착용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wrinkle shape of the upper folding part and the wrinkle shape of the lower folding part are formed in opposite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central folding part among the plurality of folding parts (11) forming the main body part (10), so that the upper and lower wrinkles can be spread out separately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user's face,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 effect as well as the user's wearing comfort.

또한, 본 실시예, 본체부(10)의 양측변 구조 또는 하변 구조를 사용자의 다양한 볼 형상에 적합하도록 다양한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볼 또는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볼 또는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embodiment, by forming the side structures or the lower structure of the main body (10) into various structures suitable for various ball shapes of the user, the adhesion to the user's cheek or chin when worn can be improved, and air leakage in the cheek or chin area can be prevented.

또한, 본 실시예는, 볼부(12)에 플랩구조의 볼밀착부(121)를 형성하거나, 볼융착부(122, 123), 볼압박부(124), 볼밀봉부(125)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볼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볼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flap-structured ball-contacting portion (121) on the ball portion (12), or forms a ball-fusion portion (122, 123), a ball-compressing portion (124), and a ball-sealing portion (125),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user's cheek when worn and preventing air leakage from the cheek side.

또한, 본 실시예는, 코부(13)의 상변 형상을 사용자의 콧날 주변의 형태로 하면서 코쇠(131)를 적용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코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코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sealing force on the user's nose when worn and prevent air leakage from the nose by applying the nose pin (131) while making the upper shape of the nose (13) in the shape of the user's nose bridge.

또한, 본 실시예는, 코부(13)에 코덮개부(133)를 형성하고 턱부(14)에 턱덮개부(143)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코덮개부(133) 및 턱덮개부(143)가 코 및 턱을 감싸게되어, 코 및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킴은 물론 고정력 또한 향상시킬 수 있고, 코 및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nose cover part (133) on the nose part (13) and a chin cover part (143) on the chin part (14), so that when worn, the nose cover part (133) and the chin cover part (143) wrap around the nose and chin,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nose and chin, as well as improving the fixing force, and preventing air leakage from the nose and chin.

또한, 본 실시예는, 코부(13)에 코밀봉부(134)를 형성하고 턱부(14)에 턱밀봉부(144)를 형성함으로써, 착용시 코밀봉부(134) 및 턱밀봉부(144)가 코 및 턱을 밀봉하게 되어, 코 윗부분과 턱 아랫부분에서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nose sealing portion (134) in the nose portion (13) and a chin sealing portion (144) in the chin portion (14), so that when worn, the nose sealing portion (134) and the chin sealing portion (144) seal the nose and chin, thereby preventing air leakage from the upper part of the nose and the lower part of the chin.

또한, 본 실시예는, 코부(13)에 코융착점(132)을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when worn by forming a nose fusion point (132) on the nose (13).

또한, 본 실시예는, 턱부(14)에 연속성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1턱융착부(141)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사용자의 턱에 밀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턱 쪽의 공기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first chin fusion portion (141) consisting of a continuous fusion line on the chin portion (14), thereby improving the adhesion to the user's chin when worn and preventing air leakage from the chin area.

또한, 본 실시예는, 턱부(14)에 폴딩부(11)의 주름선(112)만을 융착하는 불연속성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턱융착부(142)를 형성함으로써, 폴딩부(11)가 펼쳐질 때 그 부분에 호흡공간이 마련될 수 있어,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forms a second jaw fusion part (142) consisting of a discontinuous fusion line that fuses only the wrinkle line (112) of the folding part (11) to the jaw part (14), so that when the folding part (11) is unfolded, a breathing space can be provided in that part, thereby improving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또한, 본 실시예는, 입부(15)에 입융착부(151) 또는 강성부(152)를 형성함으로써, 착용 시 호흡기 부분의 입체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improve the three-dimensionality of the respiratory part when worn by forming a fusion part (151) or a rigid part (152) in the mouth (15).

또한, 본 실시예는, 걸이부(30a, 30b)를 본체부(10)의 상하측에 마련함으로써, 얼굴 사이즈가 평균보다 작은 사용자가 본인의 얼굴보다 큰 마스크를 착용할 경우에 양측 볼에서 발생되는 공기 누설을 방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embodiment can prevent air leakage from both cheeks when a user with a smaller-than-average face size wears a mask larger than his or her face by providing hanging parts (30a, 30b)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1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기술내용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실시예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조합 또는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로부터 용이하게 도출 가능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기술내용들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In the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focusing o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his is only an example and does not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nd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various combinations or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not illustrated in the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technical contents of the present embodiments. Accordingly, technical contents related to modifications and applications that can be easily derived from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1: 마스크 10: 본체부
101: 겉감 102: 필터
103: 안감 11: 폴딩부
111: 주름면 112: 주름선
12: 볼부 121: 볼밀착부
122: 제1볼융착부 123: 제2볼융착부
124: 볼압박부 125: 볼밀봉부
13: 코부 131: 코쇠
132: 코융착점 133: 코덮개부
134: 코밀봉부 14: 턱부
141: 제1턱융착부 142: 제2턱융착부
143: 턱덮개부 144: 턱밀봉부
145: 접이부 15: 입부
151: 입융착부 152: 강성부
20: 걸이부 21: 제1연결부
22: 제2연결부 30a: 제1걸이부
30b: 제2걸이부 31: 연결부
1: Mask 10: Body
101: Outer fabric 102: Filter
103: Lining 11: Folding part
111: Wrinkle surface 112: Wrinkle line
12: Ball part 121: Ball contact part
122: First ball fusion part 123: Second ball fusion part
124: Ball pressure part 125: Ball sealing part
13: Nose 131: Nose
132: Nasal fusion point 133: Nasal flap
134: Nose seal 14: Chin
141: First jaw fusion part 142: Second jaw fusion part
143: Chin cover 144: Chin seal
145: Fold 15: Mouth
151: Fusion part 152: Rigid part
20: Hanging part 21: First connecting part
22: Second connecting part 30a: First hanging part
30b: 2nd hook 31: Connection part

Claims (14)

입체 형상으로 마련되어 사용자의 호흡기를 덮는 본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어 착용시 상기 사용자의 안면부와 접촉하는 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부는,
상기 사용자의 볼과 밀착하는 볼밀착부이며, 상기 본체부의 양측변에 각각 정렬되어 상변으로부터 하변까지 연장되며,
상기 볼밀착부는,
상기 본체부에 적층되고, 상기 본체부의 상변, 측변 및 하변에 밀착되는 부분을 융착하여,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는 개방되는 플랩구조를 이루며, 펼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의 전면을 감싸는 영역 및 상기 본체부의 후면을 감싸는 영역은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t includes a main body part that is formed in a three-dimensional shape and covers the user's respiratory organ;
The above main body part,
It includes a cheek part formed on each side of the main body part and contacting the user's face when worn,
The above ball is,
The ball-contacting part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user's ball is aligned to each side of the main body and extend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The above ball-joint part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flap structure is formed by fusing parts that are laminated to the main body and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side,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region that wraps around the front side of the main body and the region that wraps around the rear side of the main body are separated when unfold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밀착부는,
비통기성 시트, 라미네이트 또는 비통기성 우레탄폼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ball-joint part is,
A mask characterized by being formed of a non-porous sheet, laminate or non-porous urethane foam material.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턱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턱부는,
상기 사용자의 턱을 감싸는 턱덮개부를 포함하고,
상기 턱덮개부는,
상기 턱부의 하변에 정렬되어 상기 턱부의 일측변으로부터 타측변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paragraph 1 or 2,
The above main body part further includes a jaw part,
The above jaw part,
Including a chin cover that surrounds the user's chin,
The above chin cover part,
A mask characterized by being aligned with the lower edge of the jaw portion and extending from one edge of the jaw portion to the other edge of the jaw por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착용 전에는 겹쳐져 있고 착용 후에는 펼쳐지는 복수 개의 폴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는,
각각이 주름면과 주름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third paragraph, the main body part,
It is made up of multiple folding parts that overlap before wearing and unfold after wearing.
The above multiple folding parts,
A mask characterized by each having a wrinkle surface and a wrinkle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턱덮개부는,
상기 본체부를 이루는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형성하는 재질의 예정된 크기보다 일정 길이 크게 연장하고, 상기 복수 개의 폴딩부를 형성한 후 연장된 상기 재질을 가로방향으로 접은 후 상기 턱부의 일측변 및 타측변을 융착하여, 상기 턱부의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fourth paragraph, the chin cover part,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material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sections forming the main body is extended by a predetermined length greater than the intended size, and after forming the plurality of folding sections, the extended material is fold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nd the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jaw section are fused to form the mask so as to be opened toward the inside of the jaw sectio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융착라인이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제1턱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third paragraph, the jaw portion,
A mask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first chin fusion portion formed in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portions to correspond to the user's jawline, and having at least one fusion line having continuity of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양측에 마련되어 상기 사용자의 호흡기에 상기 본체부를 고정하는 걸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걸이부는, 일단이 상기 턱덮개부가 없는 본체부 영역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턱덮개부가 포함된 본체부 영역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paragraph 4,
It further includes a hanging part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to secure the main body to the user's respiratory organ,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the above-mentioned hanging part is connected at one end to a body part area without the chin cover part, and at the other end to a body part area including the chin cover par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턱부는,
좌우 하단 모서리 부분에서 상기 사용자의 턱선에 대응되는 위치의 상기 폴딩부의 상기 주름선을 융착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불연성을 갖는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턱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fourth paragraph, the jaw portion,
A mask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second chin fusion part formed by a fusion line having a dotted line or solid line that is non-flammable and is formed to fuse the wrinkle line of the folding par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user's jaw line at the lower left and right corner part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상기 사용자의 다양한 얼굴 라인에 대응되도록 측변 중앙부가 오목한 구조, 측변 상부가 오목한 구조, 측변 하부가 오목한 구조, 하변 모서리가 직선 또는 곡선으로 절단된 구조, 양측변이 하변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구조 중 어느 하나의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third paragraph, the main body part,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s formed with one of the following structures: a structure in which the central part of the side is concave to correspond to the various facial lines of the user, a structure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side is conc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part of the side is concave, a structure in which the lower edge is cut in a straight or curved shape, and a structure in which the width of both sides becomes narrower as they go towards the lower par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볼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변 형상에 대응되는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ball part of the main body is,
A mask characterized by having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s of both sides of the main body.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볼부는,
측변 상단 모서리로부터 측변 하단 모서리까지 연장되되, 상하 중심으로 갈수록 측변과 거리가 멀어지는 점선 또는 실선이 연속성을 갖는 융착라인이 곡선라인형태를 이루는 제1볼융착부; 및
상기 제1볼융착부의 곡선라인에서 측변과 가장 멀어진 부분 아래쪽에 위치되는 상기 폴딩부의 상기 주름선을 융착하도록 형성되되, 점선 또는 실선이 불연성을 갖는 융착라인으로 이루어지는 제2볼융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fourth paragraph, the ball part of the main body,
A first ball fusion portion having a fusion line in the form of a curved line, which is a continuous dotted or solid line extending from the upper edge of the side to the lower edge of the side, but becoming farther away from the side as it goes up and down to the center; and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ball fusion part formed to fuse the wrinkle line of the folding part located below the part furthest from the side of the curved line of the first ball fusion part, and formed as a fusion line of a dotted line or a solid line having non-flammability.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볼부는,
상기 본체부의 양측부에 각각 형성되되, 입체감을 가지면서 외부로 노출되는 겉감에 형성되며, 착용 시 걸이부에 의해 안면부를 압박하는 볼압박부를 포함하고,
상기 볼압박부는,
상기 걸이부를 상기 본체부의 내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걸이부의 일부분이 덮어씌워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third paragraph, the ball part of the main body,
It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ain body, has a three-dimensional feel, and is formed on an outer fabric that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includes a cheek compression part that compresses the face by the hanging part when worn.
The above ball pressure part is,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of the hanging part is formed to be covered while the hanging part is positioned inside the main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의 코부는,
상기 본체부의 상부를 이루며, 좌우가 평행하거나 좌우 중심으로 갈수록 높이가 높아지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코부의 상변 또는 그 상변에 인접하여 삽입되는 코쇠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the first paragraph, the nose of the main body part,
It forms the upper part of the main body, and has a shape where the left and right are parallel or the height increases as you go towards the center.
A mask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nose pad inserted into the upper edge of the nose or adjacent to the upper edge thereof.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코쇠는,
콧날 주변의 얼굴 형태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피복 철사를 소재로 이용하되, 길이를 50.0mm 내지 200.0mm로 하고, 폭을 2.0mm 내지 10.0mm로 하고, 두께를 0.50mm 내지 2.50mm로하여, 모듈러스(N)(n+10)가 1.50N 이상 5.00N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
In Article 13,
The above nose,
It has a shape that corresponds to the shape of the face around the bridge of the nose.
A mask characterized in that it uses a covering wire as a material, has a length of 50.0 mm to 200.0 mm, a width of 2.0 mm to 10.0 mm, a thickness of 0.50 mm to 2.50 mm, and a modulus (N)(n+10) of 1.50 N or more and 5.00 N or less.
KR1020230142433A 2018-06-29 2023-10-23 Mask Active KR10272400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6024 2018-06-29
KR20180076024 2018-06-29
KR1020180157131 2018-12-07
KR1020180157131A KR20200002572A (en) 2018-06-29 2018-12-07 Mask
KR1020190076654A KR102594720B1 (en) 2018-06-29 2019-06-26 Mask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654A Division KR102594720B1 (en) 2018-06-29 2019-06-26 Mas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621A KR20230152621A (en) 2023-11-03
KR102724006B1 true KR102724006B1 (en) 2024-10-31

Family

ID=68987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42433A Active KR102724006B1 (en) 2018-06-29 2023-10-23 Mask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724006B1 (en)
WO (1) WO2020005033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672071B2 (en) * 2021-07-01 2025-05-07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Facial beauty devic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904A (en) * 2005-10-05 2007-04-19 Kao Corp mask
JP2007159784A (en) * 2005-12-13 2007-06-28 Kao Corp mask
JP2010279620A (en) * 2009-06-05 2010-12-16 Masaru Imaizumi Sanitary mask
JP2015100570A (en) * 2013-11-26 2015-06-04 優 今泉 Horizontal fold type sanitary mask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6182U (en) * 2009-12-14 2011-06-22 주식회사 뉴맨코포레이션 Mask
US9603395B2 (en) * 2013-08-29 2017-03-2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Filtering face-piece respirator having darted mask body
JP3188156U (en) * 2013-10-21 2014-01-09 牧野 長生 Sanitary mask
KR101730124B1 (en) * 2015-04-20 2017-04-27 (주)씨앤투스성진 Method for fabricating three dimensional shape folding type dustproof mask
KR102365513B1 (en) * 2015-04-21 2022-0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JP2016216835A (en) * 2015-05-14 2016-12-22 玉川衛材株式会社 Mask and mask manufacturing method
KR20180054008A (en) * 2016-11-14 2018-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Mas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7904A (en) * 2005-10-05 2007-04-19 Kao Corp mask
JP2007159784A (en) * 2005-12-13 2007-06-28 Kao Corp mask
JP2010279620A (en) * 2009-06-05 2010-12-16 Masaru Imaizumi Sanitary mask
JP2015100570A (en) * 2013-11-26 2015-06-04 優 今泉 Horizontal fold type sanitary 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52621A (en) 2023-11-03
WO2020005033A1 (en) 2020-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94720B1 (en) Mask
KR20200002572A (en) Mask
KR101134604B1 (en) Facemask structure improvement
JP3126242U (en) mask
US805282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 facemask structure
CN203692607U (en) Non-woven fabric three-dimensional mask with wrinkles
CN206062218U (en) A kind of variable plane cavate medical protective mask
KR102724006B1 (en) Mask
WO2017208260A1 (en) A flat fold filtering face piece 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KR102568995B1 (en) Mask
TWM599101U (en) Three-dimensionally tailored mask
CN212117183U (en) Sealed reinforced mask
CN109172977A (en) Flexible liner, breathing casing structure and breathing interface
KR200433854Y1 (en) Disposable dust mask
CN205378874U (en) Mask
KR102624660B1 (en) Mask
CN213587483U (en) Folding high-end personal protective mask
CN213045317U (en) Mask with adjustable size and high comfort level
CN211882323U (en) Three-dimensional mask
KR20150145520A (en) Nose mask
TW202304566A (en) Mask
CN113142715A (en) Medical surgical mask with ventilation and improvement functions
JP2007021032A5 (en)
JP2007021032A (en) Mask
TW202138025A (en) Planar three-dimensional face mask enables edge of main body to easily fit face of user so as to perform well closen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6-div-PA0107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8-div-PA0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Fee payment year number: 1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4-4-Q10-Q13-nap-PG1601